6 처지: 바수반두, 경장, 대장경, 율 (불교), 석가모니, 아비달마.
바수반두
바수반두 바수반두(Vasubandhu, 世親, 세친)은 316 - 396년 경의 인도의 불교 사상가이.
경장
경장(經藏)은 경(經: Sutra)을 집대성한 것이.
대장경
대한민국 해인사에 보관중인 팔만대장경 대장경(大藏經)은 불경을 집대성한 경전을 말. 부처가 사용한 언어는 동부 인도의 속어(俗語)인 고대 마가다어라고 하는데 이 언어에 관한 한 문헌은 오늘날 전혀 존재하지 않으며 그것이 서북 인도의 속어인 팔리어로 옮겨져 스리랑카로부터 동남아시아로 전해지게 되었.
율 (불교)
율(律, vinaya)이란 '제거(除去)', 즉 악행(惡行)을 제거하는 훈련·규율을 뜻하는 것으로서 불제자(佛弟子)들이 악행을 할 때마다 부처가 그 행위의 금지와 벌칙을 규정하게 되는데 그것이 후일 모여 율장(律藏)으로 조직화된 것이.
새로운!!: 삼장와 율 (불교) · 더보기 »
석가모니
석가모니(釋迦牟尼Śākyamuni, 기원전 624년? ~ 544년? 생몰연대가 확실하지 않아 여러 설이 있지만, 세계불교도대회에서 이것(기원전 624년? ~ 544년)을 공식 채택하였다. 그 외 기원전 563년 ~ 483년, 기원전 565년 ~ 485년, 기원전 463년 ~ 383년설이 있다.)는 불교의 교조이.
아비달마
아비달마(阿毘達磨,, 논論) 또는 아비담마()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대법(對法: abhi + dharma.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3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