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 처지: 물리량, 백금, 반도체, 반응저항, 게오르크 옴, 복소평면, 비저항, 교류, 구리, 국제단위계, 납, 일 (물리학), 은, 제곱평균제곱근, 절연체, 전력, 전류, 전기 회로, 전기 전도체, 전기용량, 전자기학, 전지, 전압, 전압 강하, 저항기, 직류, 철, 축전기, 유도계수, 유도자, 온저항, 옴 (단위), 옴의 법칙, 허수 단위, 삼각함수, 세기 성질과 크기 성질, 알루미늄, 텅스텐, 실효값.
물리량
물리량(物理量)은 물리학에서 대상이 되는 양으로, 측정 가능한 물리학의 양이거나 종종 수치 값과 물리 단위(주로 SI 단위)의 곱으로 표현되는 측정의 결과치이.
백금
백금(白金, ←) 또는 플래티나(←)는 화학 원소로 기호는 Pt(←), 원자 번호는 78이.
반도체
반도체(半導體)는 열 등의 에너지를 통해 전도성을 급격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고체 물질이.
반응저항
반응저항(反應抵抗, 리액턴스)은 교류 회로에서 코일과 축전기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 저항과 유사한 역할을 하는 물리량이며, 온저항의 허수 성분이.
새로운!!: 전기저항와 반응저항 · 더보기 »
게오르크 옴
오르크 시몬 옴 게오르크 시몬 옴(Georg Simon Ohm, 1789년 3월 16일 ~ 1854년 7월 6일)은 독일 물리학자이.
새로운!!: 전기저항와 게오르크 옴 · 더보기 »
복소평면
복소평면에 나타낸 복소수 ''z''와 켤레복소수의 기하학적 표현. 원점에서 점 ''z''를 따라 그어진 파란색 선의 거리는 복소수 ''z''의 절댓값을 나타내고 각 ¢은 z의 argument를 나타낸다. 수학에서, 복소평면(複素平面)은 복소수를 기하학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개발된 좌표평면으로 서로 직교하는 실수축과 허수축으로 이루어져 있. 이것은 복소수의 실수부가 실수축에, 허수부가 허수축에 대응된 형태의 데카르트 좌표로 볼 수 있. 복소평면의 개념은 복소수의 기하학적 해석을 가능.
새로운!!: 전기저항와 복소평면 · 더보기 »
비저항
비저항(比抵抗, resistivity)은 물질이 전류의 흐름에 얼마나 세게 맞서는지를 측정한 물리량으로, 도전율의 역수.
교류
섬네일 교류(交流)는 시간에 따라 주기적으로 크기와 방향이 변하는 전. 교류 전류를 사용하는 전압을 교류 전압이.
구리
리, 구리쇠, 동(銅) 또는 적금(赤金)은 화학 원소로 기호는 Cu(←), 원자 번호는 29이.
국제단위계
국제단위계(國際單位系,, 약칭 SI)는 도량형의 하나로, MKS 단위계(Mètre-Kilogramme-Seconde)이라고도 불린.
새로운!!: 전기저항와 국제단위계 · 더보기 »
납
납() 또는 연(鉛)은 화학 원소로, 기호는 Pb(←)이고 원자 번호는 82이.
일 (물리학)
일은 물리학에서 물체에 힘을 가했을 때 힘이 가해진 방향으로 움직인 거리를 뜻. 일의 단위는 줄이.
새로운!!: 전기저항와 일 (물리학) · 더보기 »
은
은(銀) 또는 백은(白銀)은 화학 원소로 기호는 Ag(←), 원자 번호는 47이.
제곱평균제곱근
수학에서, 제곱평균제곱근(root mean square; rms) 혹은 이차평균(quadratic mean)은 변화하는 값의 크기에 대한 통계적 척도이.
새로운!!: 전기저항와 제곱평균제곱근 · 더보기 »
절연체
절연체 (絶緣體)는 전기나 열을 전달하기 어려운 성질을 가지는 물질의 총칭이.
전력
전력(電力)은 단위 시간 당 전류가 할 수 있는 일의 양을 말.전자기술연구회, 《초보의 전기전자 교본》, 기문사, 1988년,, 22쪽 전기 회로에서 일을 하는 순간의 전기량을 전기 전력량이.
전류
섬네일 전류(電流)는 전하의 흐름으로, 단위 시간 동안에 흐른 전하의 양으로 정의.
전기 회로
섬네일 전기 회로는 전기가 흐를 수 있도록 설치된 닫힌 회. 회로에는 저항기, 축전기, 코일 등 다양한 전기적 소자가 전기 전도체인 전선에 의해 연. 건전지, 전선, 저항을 나란히 이어 만든 폐회로는 가장 간단한 전기회로의 예라고 할 수 있. 전기회로는 회로에 공급되는 전기의 종류에 따라 크게 직류회로와 교류회로로 나뉘며 각각의 회로에서 저항, 축전기, 코일 등을 연결하여 다양한 전기회로를 만들 수 있.
새로운!!: 전기저항와 전기 회로 · 더보기 »
전기 전도체
전기 전도체 (電氣傳導體)는 전도도가 높아서 전기가 통하기 쉬운 재료를 말. 줄여서 도체라고 부른.
새로운!!: 전기저항와 전기 전도체 · 더보기 »
전기용량
전자기학에서, 전기 용량(電氣容量, 커패시턴스) 또는 전기 들이(電氣-)는 축전기가 전하를 저장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는 물리량이며, 단위 전압에서 축전기가 저장하는 전하이.
새로운!!: 전기저항와 전기용량 · 더보기 »
전자기학
전자기학(電磁氣學)은 전기와 자기 현상을 탐구하는 학문이.
새로운!!: 전기저항와 전자기학 · 더보기 »
전지
AA 충전지 아연-탄소 건전지의 구조 전지(電池)는 손전등, 스마트폰 및 전기자동차와 같은 전기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화학적 에너지를 전기로 변환하여 저장하고, 직류 전력을 생산하는, 한 개 이상의 셀로 이루어진 기기((機器/器機)이다. 전해질에 금속 이온이 녹으면 금속의 특성에 따라 전위차가 생겨 전류를 흘린다. 따라서 두 극판을 만들고 이에 전선을 연결하여 전류를 공급받는다. 볼타가 처음 만들었다. 장시간동안 안정적인 전압을 출력하므로 순간적인 방전을 일으키는 콘덴서와는 구분된다.
전압
전압(電壓) 또는 전위차(電位差)는 전기장 안에서 전하가 갖는 전위의 차이이.
전압 강하
전압 강하는 전기 저항 R을 지나면서 소비되는 전기 에너지(V.
새로운!!: 전기저항와 전압 강하 · 더보기 »
저항기
저항기의 모습 저항기(抵抗器)는 저항 성질을 띠는 회로 소자이.
직류
섬네일 직류(直流, direct current, 약자 DC) 또는 연속 전류(連續電流)는 높은 전위에서 낮은 전위로 전선과 같은 도선을 통한 전류의 연속적인 흐름이.
철
(鐵) 또는 쇠는 화학 원소로 기호는 Fe(←)이고 원자 번호는 26이.
축전기
축전기(커패시터) 또는 콘덴서(condenser)란 전기 회로에서 전기 용량을 전기적 퍼텐셜 에너지를 저장하는 장치이.
유도계수
유도계수(誘導係數, 인덕턴스 또는 자기인덕턴스)란 코일 등의 유도자에서 전류의 변화가 유도기전력이 되어 나타나는 성질이.
새로운!!: 전기저항와 유도계수 · 더보기 »
유도자
350px 유도자(誘導子, inductor)는 수동소자 전자 부품의 하나이.
온저항
온저항(임피던스)은 회로에서 전압이 가해졌을 때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값이.
옴 (단위)
저항계 옴(기호: Ω)은 임피던스의 SI 단위(직류의 경우에는 전기 저항)로 옴의 법칙을 발견한 게오르그 옴의 이름을 따서 만들었.
새로운!!: 전기저항와 옴 (단위) · 더보기 »
옴의 법칙
옴의 법칙에서 V,I 그리고 R. 옴의 법칙(Ohm's law)은 도체의 두 지점사이에 나타나는 전위차에 의해 흐르는 전류가 일정한 법칙에 따르는 것을 말. 두 지점 사이의 도체에 일정한 전위차가 존재할 때, 도체의 저항(resistance)의 크기와 전류의 크기는 반비.
새로운!!: 전기저항와 옴의 법칙 · 더보기 »
허수 단위
복소 평면에서의 \ i. 실수는 수평선에 놓이고, 허수는 수직선 위에 위치한다. 허수 단위(imaginary unit 또는 unit imaginary number) i는 제곱해서 -1이 되는 복소수를 말. 즉 이차 방정식 x^2 + 1.
새로운!!: 전기저항와 허수 단위 · 더보기 »
삼각함수
사인 함수와 코사인 함수 수학에서, 삼각함수(三角函數)는 각의 크기를 삼각비로 나타내는 함수이.
새로운!!: 전기저항와 삼각함수 · 더보기 »
세기 성질과 크기 성질
물리학과 화학에서는 자연계의 물리적 성질을 세기 성질(intensive property)과 크기 성질(extensive property)로 구분.
새로운!!: 전기저항와 세기 성질과 크기 성질 · 더보기 »
알루미늄
알루미늄(←,, ←) 또는 반소(礬素←)는 전이후 금속에 속하는 화학 원소로 기호는 Al(←)이고 원자 번호는 13이.
새로운!!: 전기저항와 알루미늄 · 더보기 »
텅스텐
텅스텐 봉 텅스텐(←) 또는 볼프람(←)은 화학 원소로 기호는 W(←), 원자 번호는 74이.
실효값
교류 전압의 개형이 위와 같을 때 ①은 진폭, ③은 실효 전압이다. 실효값(實效-)은 제곱평균제곱근으로 표현한 물리량을 말하며, 전기공학·음향학 등에서 쓰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