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 처지: 도전율, 독일, 곱셈 역원, 볼트 (단위), 국제 도량형 총회, 국제단위계, 제1대 켈빈 남작 윌리엄 톰슨, 전류, 전기 회로, 전기저항, 전압, 초 (시간), 옴 (단위), 에른스트 베르너 폰 지멘스, 암페어, 1971년.
도전율
전율(導電率, conductivity) 또는 전도율은 물질에서 전류가 잘 흐르는 정도를 나타내는 물리량으로, 비저항(고유저항)의 역수.
새로운!!: 지멘스 (단위)와 도전율 · 더보기 »
독일
독일 연방공화국(), 줄여서 독일()은 중앙유럽에 있는 나라이.
새로운!!: 지멘스 (단위)와 독일 · 더보기 »
곱셈 역원
''y''.
새로운!!: 지멘스 (단위)와 곱셈 역원 · 더보기 »
볼트 (단위)
250px 볼트를 측정하는 멀티미터 볼트(이탈리아어/영어: volt, 약자: V)는 전위의 차이, 즉 전압을 나타내는 SI 유도 단위로, 암페어와 와트로부터 유. 이름은 1800년에 최초의 화학 전지를 발명한 알레산드로 볼타에서 유. 1V는 1A의 전류가 도체의 두 점 사이를 흐를 때 소모되는 전력량이 1W일 때 그 두 점 사이의 전압으로 정의.
새로운!!: 지멘스 (단위)와 볼트 (단위) · 더보기 »
국제 도량형 총회
국제도량형총회(國際度量衡總會,,, 약어: CGPM)는 1875년 미터조약 체결에 따라서 국제단위계(SI 단위계)를 유지하기 위해 만들어진 3개 기구 중의 하나이.
새로운!!: 지멘스 (단위)와 국제 도량형 총회 · 더보기 »
국제단위계
국제단위계(國際單位系,, 약칭 SI)는 도량형의 하나로, MKS 단위계(Mètre-Kilogramme-Seconde)이라고도 불린.
새로운!!: 지멘스 (단위)와 국제단위계 · 더보기 »
제1대 켈빈 남작 윌리엄 톰슨
제1대 켈빈 남작 윌리엄 톰슨(PRS, 1824년 6월 26일 ~ 1907년 12월 7일)은 아일랜드에서 태어난 영국의 수리물리학자이며 공학자이.
새로운!!: 지멘스 (단위)와 제1대 켈빈 남작 윌리엄 톰슨 · 더보기 »
전류
섬네일 전류(電流)는 전하의 흐름으로, 단위 시간 동안에 흐른 전하의 양으로 정의.
새로운!!: 지멘스 (단위)와 전류 · 더보기 »
전기 회로
섬네일 전기 회로는 전기가 흐를 수 있도록 설치된 닫힌 회. 회로에는 저항기, 축전기, 코일 등 다양한 전기적 소자가 전기 전도체인 전선에 의해 연. 건전지, 전선, 저항을 나란히 이어 만든 폐회로는 가장 간단한 전기회로의 예라고 할 수 있. 전기회로는 회로에 공급되는 전기의 종류에 따라 크게 직류회로와 교류회로로 나뉘며 각각의 회로에서 저항, 축전기, 코일 등을 연결하여 다양한 전기회로를 만들 수 있.
새로운!!: 지멘스 (단위)와 전기 회로 · 더보기 »
전기저항
전기저항(電氣抵抗, electrical resistance)은 도체에서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물리량이.
새로운!!: 지멘스 (단위)와 전기저항 · 더보기 »
전압
전압(電壓) 또는 전위차(電位差)는 전기장 안에서 전하가 갖는 전위의 차이이.
새로운!!: 지멘스 (단위)와 전압 · 더보기 »
초 (시간)
략 1초에 한 번 깜빡이는 불빛의 모습. 초(秒, 기호 s)는 시간의 단위로, 국제단위계의 기본단위 중 하나이.
새로운!!: 지멘스 (단위)와 초 (시간) · 더보기 »
옴 (단위)
저항계 옴(기호: Ω)은 임피던스의 SI 단위(직류의 경우에는 전기 저항)로 옴의 법칙을 발견한 게오르그 옴의 이름을 따서 만들었.
새로운!!: 지멘스 (단위)와 옴 (단위) · 더보기 »
에른스트 베르너 폰 지멘스
베르너 폰 지멘스 에른스트 베르너 폰 지멘스(Ernst Werner von Siemens, 1816년 12월 13일 ~ 1892년 12월 6일)는 독일의 발명가 또는 물리학자이.
새로운!!: 지멘스 (단위)와 에른스트 베르너 폰 지멘스 · 더보기 »
암페어
250px 암페어(ampere)는 전류를 측정하는 데 사용하는 SI 기본 단위이.
새로운!!: 지멘스 (단위)와 암페어 · 더보기 »
1971년
1971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지멘스 (단위)와 1971년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