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상해 (불교)

색인 상해 (불교)

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논서 《유가사지론》 제8권에 따르면, 상해(常害)는 번뇌의 다른 이름인 결(結)박(縛)수면(隨眠)수번뇌(隨煩惱)전(纏)폭류(暴流)액(軛)취(取)계(繫)개(蓋)주올(株杌)구(垢)상해(常害)전(箭)소유(所有)근(根)악행(惡行)누(漏)궤(匱)소(燒)뇌(惱)유쟁(有諍)화(火)치연(熾然)조림(稠林)구애(拘礙) 가운데 하나이.

33 처지: 무명 (불교), 개 (불교), 박 (불교), 결 (불교), 번뇌, 번뇌의 다른 이름, 계 (번뇌), , 불선근, 대승불교, 누 (불교), 구 (번뇌), 구애 (불교), 뇌 (불교), 폭류, 전 (번뇌), 조림 (불교), 주올, 중생, 진 (불교), 취 (불교), 치연, 유가행파, 유가사지론, 유쟁, , 수면 (불교), 수번뇌, 소 (불교), 소유 (불교), 액 (불교), 악행, 화 (불교).

무명 (불교)

무명(無明) 또는 치(癡,, moha, mūdha,,, delusion)는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상해 (불교)와 무명 (불교) · 더보기 »

개 (불교)

(蓋)는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상해 (불교)와 개 (불교) · 더보기 »

박 (불교)

박(縛)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상해 (불교)와 박 (불교) · 더보기 »

결 (불교)

(結,, bandhana)은 사(使) 등과 함께 번뇌의 여러 다른 이름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상해 (불교)와 결 (불교) · 더보기 »

번뇌

번뇌(煩惱,, ,)는 그 본질적 성질이 부적정(不寂靜: 고요하지 않음)인 마음작용들을 말. 번뇌의 본질적인 작용은 번뇌가 일어나게 되면, 그 번뇌를 대치(對治)하지 않는 한, 그 자체의 본질적인 성질에 근거하여 그 번뇌가 일으키는 부적정한 영향력 즉 부적정한 업이 몸과 마음에 상속되어 전전(展轉)하게 하는 것이.

새로운!!: 상해 (불교)와 번뇌 · 더보기 »

번뇌의 다른 이름

번뇌(煩惱)는 그것의 특정한 의미 즉 특정 측면을 부각시켜 말하는 여러 다른 이름들 즉 번뇌의 동의어가 존재.

새로운!!: 상해 (불교)와 번뇌의 다른 이름 · 더보기 »

계 (번뇌)

(繫)는 계박(繫縛) 또는 계속(繫屬)이라고도 하며, 어떤 것에 얽히어 속박된다는 뜻이.

새로운!!: 상해 (불교)와 계 (번뇌) · 더보기 »

300px 궤(櫃, chest)는 물건 수납을 위해 만든 상자형의 가구의 일종이.

새로운!!: 상해 (불교)와 궤 · 더보기 »

불선근

음을 나타낸다. 달을 가리키고 있는 붓다는 6도윤회로부터 벗어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불선근(不善根)은 3계 중 욕계의 탐(貪)진(瞋)치(癡)의 3가지 번뇌 또는 번뇌성의 마음작용(심소법)을 말. 불선근을 3불선근(三不善根)이.

새로운!!: 상해 (불교)와 불선근 · 더보기 »

대승불교

승불교(大乘佛敎) 또는 마하야나()는 "대승(大乘)"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큰 탈것"(great vehicle) 또는 "뛰어난 탈 것"이라는 뜻이며, '탈 것'이란 '가르침'을 비유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가르침에 의해 사람들을 미혹의 세계로부터 깨달음의 세계로 실어간다는 것이.

새로운!!: 상해 (불교)와 대승불교 · 더보기 »

누 (불교)

(漏) 또는 루(漏)는 번뇌를 뜻하며,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사상 > 근본불교의 사상 > 무루,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단어의 처음에서 두음법칙에 의해 누로 발음되고 표기되며, 단어의 처음이 아닌 경우에는 루로 발음.

새로운!!: 상해 (불교)와 누 (불교) · 더보기 »

구 (번뇌)

(垢)는 번뇌의 다른 말이.

새로운!!: 상해 (불교)와 구 (번뇌) · 더보기 »

구애 (불교)

애(拘礙)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붙잡고(拘) 장애하다(礙)로, 번뇌의 여러 다른 이름들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상해 (불교)와 구애 (불교) · 더보기 »

뇌 (불교)

(惱)는 변괴(變壞: 변하여 허물어짐) 또는 뇌괴(惱壞: 허물어짐에 괴로워하게 되는 것)의 뜻이 있는데, 이러한 뜻에서 뇌(惱)는 번뇌의 동의어로 사용.

새로운!!: 상해 (불교)와 뇌 (불교) · 더보기 »

폭류

폭류(暴流, 瀑流)는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상해 (불교)와 폭류 · 더보기 »

전 (번뇌)

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논서 《유가사지론》 제8권에 따르면, 전(箭)은 번뇌의 다른 이름인 결(結)박(縛)수면(隨眠)수번뇌(隨煩惱)전(纏)폭류(暴流)액(軛)취(取)계(繫)개(蓋)주올(株杌)구(垢)상해(常害)전(箭)소유(所有)근(根)악행(惡行)누(漏)궤(匱)소(燒)뇌(惱)유쟁(有諍)화(火)치연(熾然)조림(稠林)구애(拘礙)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상해 (불교)와 전 (번뇌) · 더보기 »

조림 (불교)

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논서 《유가사지론》 제8권에 따르면, 조림(稠林)은 번뇌의 다른 이름인 결(結)박(縛)수면(隨眠)수번뇌(隨煩惱)전(纏)폭류(暴流)액(軛)취(取)계(繫)개(蓋)주올(株杌)구(垢)상해(常害)전(箭)소유(所有)근(根)악행(惡行)누(漏)궤(匱)소(燒)뇌(惱)유쟁(有諍)화(火)치연(熾然)조림(稠林)구애(拘礙)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상해 (불교)와 조림 (불교) · 더보기 »

주올

주올(株杌)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상해 (불교)와 주올 · 더보기 »

중생

중생(衆生)은 산스크리트어 사트바(sattva)의 번역어로 유정(有情)이.

새로운!!: 상해 (불교)와 중생 · 더보기 »

진 (불교)

(瞋,, dvesa,,, anger, repugnance)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상해 (불교)와 진 (불교) · 더보기 »

취 (불교)

(取)는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상해 (불교)와 취 (불교) · 더보기 »

치연

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논서 《유가사지론》 제8권에 따르면, 치연(熾然)은 번뇌의 다른 이름인 결(結)박(縛)수면(隨眠)수번뇌(隨煩惱)전(纏)폭류(暴流)액(軛)취(取)계(繫)개(蓋)주올(株杌)구(垢)상해(常害)전(箭)소유(所有)근(根)악행(惡行)누(漏)궤(匱)소(燒)뇌(惱)유쟁(有諍)화(火)치연(熾然)조림(稠林)구애(拘礙)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상해 (불교)와 치연 · 더보기 »

유가행파

유가행파(瑜伽行派) 또는 요가차라()는 4세기 인도의 무착스님이 만든 대승불교 종파이.

새로운!!: 상해 (불교)와 유가행파 · 더보기 »

유가사지론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K.0570, T.1579)은 불교 전통에 따르면 미륵보살이 강설한 것을 무착이 기록하여 성립된 논서로, 유식유가행파의 근본 논서이.

새로운!!: 상해 (불교)와 유가사지론 · 더보기 »

유쟁

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논서 《유가사지론》 제8권에 따르면, 유쟁(有諍)은 번뇌의 다른 이름인 결(結)박(縛)수면(隨眠)수번뇌(隨煩惱)전(纏)폭류(暴流)액(軛)취(取)계(繫)개(蓋)주올(株杌)구(垢)상해(常害)전(箭)소유(所有)근(根)악행(惡行)누(漏)궤(匱)소(燒)뇌(惱)유쟁(有諍)화(火)치연(熾然)조림(稠林)구애(拘礙)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상해 (불교)와 유쟁 · 더보기 »

(貪,,,, attachment) 또는 집착(執著) 즉 무언가에 들러붙어서 떠나지 못함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상해 (불교)와 탐 · 더보기 »

수면 (불교)

수면(隨眠,,,, rgyas par 'gyur ba)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상해 (불교)와 수면 (불교) · 더보기 »

수번뇌

수번뇌(隨煩惱)는 수혹(隨惑)이라고도 하는데 세 가지 뜻이 있. 첫 번째는 근본번뇌(根本煩惱)를 따라 일어난 2차적인 번뇌라는 뜻으로, 이 경우의 수번뇌를 근본번뇌와 구분하여 지말번뇌(枝末煩惱) 또는 지말혹(枝末惑)이.

새로운!!: 상해 (불교)와 수번뇌 · 더보기 »

소 (불교)

소(燒)의 한자어 문자 그대로의 뜻에는 '사르다, 불사르다, 불태우다'의 보다 일반적인 뜻 뿐만 아니라 '안달하다, 애태우다'의 뜻이 있는데, 궤핍(匱乏) 즉 결핍(缺乏) 또는 부족함의 뜻에서 소(燒)가 번뇌의 동의어로 사용.

새로운!!: 상해 (불교)와 소 (불교) · 더보기 »

소유 (불교)

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논서 《유가사지론》 제8권에 따르면, 소유(所有)는 번뇌의 다른 이름인 결(結)박(縛)수면(隨眠)수번뇌(隨煩惱)전(纏)폭류(暴流)액(軛)취(取)계(繫)개(蓋)주올(株杌)구(垢)상해(常害)전(箭)소유(所有)근(根)악행(惡行)누(漏)궤(匱)소(燒)뇌(惱)유쟁(有諍)화(火)치연(熾然)조림(稠林)구애(拘礙)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상해 (불교)와 소유 (불교) · 더보기 »

액 (불교)

액(軛)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상해 (불교)와 액 (불교) · 더보기 »

악행

악행(惡行) 또는 나쁜 행위의 일반 사전적인 뜻은 '악독(惡毒)한 행위', 즉 '마음이 흉악하고 독한 를 말하는데, 불교에서는 말과 행동과 뜻으로 지은 일체(一切)의 불선(不善)의 행위를 말. 즉, 일체의 불선의 3업(三業), 즉 일체의 불선의 신업(身業)어업(語業)의업(意業)을 말하며, 이들을 신악행(身惡行)어악행(語惡行)의악행(意惡行) 3악행(三惡行)이.

새로운!!: 상해 (불교)와 악행 · 더보기 »

화 (불교)

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논서 《유가사지론》 제8권에 따르면, 화(火)는 번뇌의 다른 이름인 결(結)박(縛)수면(隨眠)수번뇌(隨煩惱)전(纏)폭류(暴流)액(軛)취(取)계(繫)개(蓋)주올(株杌)구(垢)상해(常害)전(箭)소유(所有)근(根)악행(惡行)누(漏)궤(匱)소(燒)뇌(惱)유쟁(有諍)화(火)치연(熾然)조림(稠林)구애(拘礙)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상해 (불교)와 화 (불교)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3상해, 삼상해.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