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4 베스타

색인 4 베스타

4 베스타(Vesta)는 내부가 분화된 원시 행성으로 추측되는 소행성으로, 지름은 530 km 이. 소행성대 전제 질량의 9% 가량을.

73 처지: ESA, 돈 (우주선), 로마 신화, 맨틀, 마그마, 미국, 미행성, 각력암, 감람석, 방사성 붕괴, 백조자리, 반사율, 베스타, 경도, 겉보기등급, 고래자리, 복사압, 변성암, 광공해, 금속, , 디스커버리 프로그램, 땅꾼자리, , 달의 바다, 니켈, 스윙바이, 용암, 우주선이 방문한 소행성체와 혜성 목록, 자전축 기울기, 장축단, 이온 엔진, 적경, 적위, 전갈자리, 지각, 지구, , 천문 기호, 처녀자리, 충 (천문학),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 캐나다, 커크우드 간극, 쌍안경, 윌리엄 허셜, 휘석, 태양, 현무암, 염소자리, ..., 엄폐, 표토, 사자자리, 사장석, 섭동 (천문학), 세레스 (왜행성), 소련, 소행성, 소행성대, , 알루미늄, 하버드 대학교, 하인리히 올베르스, 핵 (행성), 심성암, 왜행성, 화구, 화성, 17 테티스, 1807년, 2011년, 3 유노, 3월 29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23 더) »

ESA

ESA는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4 베스타와 ESA · 더보기 »

돈 (우주선)

델타 2호 로켓으로 발사중인 돈 탐사선 돈(Dawn)은 미국 항공우주국의 소행성 탐사선으로, 2007년 9월 27일 발사되었.

새로운!!: 4 베스타와 돈 (우주선) · 더보기 »

로마 신화

마 신화 (— 神話; Roman mythology)는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할 수 있. 한 부분은 그리스 신화에서 그대로 옮긴 것으로 후기에 지어지고 기록으로 전해졌.

새로운!!: 4 베스타와 로마 신화 · 더보기 »

맨틀

의 단면 맨틀()은 지구에서는 지각 바로 아래에 있으면서 외핵을 둘러싸고 있는 두꺼운 암석층이.

새로운!!: 4 베스타와 맨틀 · 더보기 »

마그마

와이에서 촬영한 용암, 용암은 마그마가 지표로 분출된 것이다. 마그마(magma)는 암석이 녹은 것이.

새로운!!: 4 베스타와 마그마 · 더보기 »

미국

미합중국(美合衆國,, U.S.A.), 약칭 합중국(U.S.) 또는 미국(美國)은 주 50개와 특별구 1개로 이루어진 연방제 공화국이.

새로운!!: 4 베스타와 미국 · 더보기 »

미행성

미행성(planetesimal)은 태양계가 생겨날 때 존재했던 것으로 생각되는 작은 천체이.

새로운!!: 4 베스타와 미행성 · 더보기 »

각력암

각력암 각력암(角礫岩)은 주로 지름이 4mm 이상의 모난 입자가 굳어져 생성된 암석이.

새로운!!: 4 베스타와 각력암 · 더보기 »

감람석

현무암에 포함된 감람석(황록색,올리브색) 감람석(Olivine)은 마그네슘-철질의 규산염 광물로 화학식은 (Mg,Fe)2SiO4이며, 마그네슘과 철의 비가 두 내성분인 포스터라이트(마그네슘 내성분)와 파얄라이트(철 내성분) 사이에서 변화하는 고용체이.

새로운!!: 4 베스타와 감람석 · 더보기 »

방사성 붕괴

방사성 붕괴(放射性崩壞), 또는 방사성 감쇠(放射性減衰), 핵붕괴(核崩壞, radioactive decay)란 불안정한 원자핵이 자발적으로 이온화 입자와 방사선의 방출을 통해서 에너지를 잃고 안정된 상태로 가는 과정이.

새로운!!: 4 베스타와 방사성 붕괴 · 더보기 »

백조자리

백조자리(Cygnus)는 북쪽 하늘의 별자리로, 고니자리로도 불린.

새로운!!: 4 베스타와 백조자리 · 더보기 »

반사율

반사율 또는 알베도(albedo)는 물체가 빛을 받았을때 반사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단위이.

새로운!!: 4 베스타와 반사율 · 더보기 »

베스타

베스타(Vesta)는 고대 로마의 종교에서 난로, 가정, 가족의 여신이.

새로운!!: 4 베스타와 베스타 · 더보기 »

경도

위도(φ)와 경도(λ)를 나타낸 그림. 경위선(눈금) 간격은 10도이다. 경도(날줄. 經度)는 지구상에서 본초 자오선을 기준으로 동쪽 또는 서쪽으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 나타내는 위치이.

새로운!!: 4 베스타와 경도 · 더보기 »

겉보기등급

소행성 Cybele와 (절대등급 11.6)과 HD 217121 (절대등급 8.7)과 HD 216932 (절대등급 9.1)의 절대등급을 비교했다.두 항성은 50mm이상의 쌍안경으로 보인다. 이 사진 오른쪽 위 HD216932 주위에 은하 PGC 194570과 PGC 101645가 보인다. 겉보기등급 또는 실시등급(實視等級), 안시등급(眼視等級)은 별의 밝기를 측정하는 단위이.

새로운!!: 4 베스타와 겉보기등급 · 더보기 »

고래자리

자리(Cetus)는 남쪽하늘의 별자리로, 물과 관련 있는 물병자리, 물고기자리, 에리다누스자리와 함께 놓여 있. 동아시아의 별자리로는 '천균', '천창'에 해당.

새로운!!: 4 베스타와 고래자리 · 더보기 »

복사압

복사압(輻射壓)은 전자기파에 노출된 물체의 표면에 가해지는 압력을 뜻. 만약 전자기파가 물체에 모두 흡수될 경우, 복사압은 복사 에너지 플럭스의 밀도를 빛의 속도로 나눈 값이.

새로운!!: 4 베스타와 복사압 · 더보기 »

변성암

변성암 변성암(變成岩, metamorphic rock)은 이전에 있었던 암석, 즉 모암이 '형태의 변화'를 뜻하는 변성작용을 받아 변화되어 만들어진 암석을 말. 모암은 열(섭씨 150도 이상의)과 강한 압력을 받아 물리적 혹은 화학적 변화를 겪. 모암은 퇴적암일수도 있고 화성암일수도 있으며 혹은 다른 변성암일수도 있. 변성암은 지각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며 조직과 화학적, 광물조합(변성상) 등으로 분. 변성암은 지표 아래 깊은 곳에서 높은 온도와 위에 놓인 층들의 높은 압력을 받아 만들어질 수도 있고, 수평적 압력, 대륙의 충돌과 같은 조구적 과정에 의해 동반된 마찰, 뒤틀림, 압력 등에 의해서 만들어질 수 있. 관입한 마그마 주변의 암석이 열을 받아서 만들어질 수도 있. 침식과 융기에 의해 지표에 노출된 변성암의 연구는 지각 내부의 깊은 곳의 온도와 압력에 대한 매우 가치있는 정보를 제공.

새로운!!: 4 베스타와 변성암 · 더보기 »

광공해

뉴욕의 밤. 광공해(光公害, light pollution)는, 인간에 의해 발생된, 과잉 또는 필요 이상의 빛에 의한 공해(公害)를 말. 광해(光害), 빛공해라고도 부른.

새로운!!: 4 베스타와 광공해 · 더보기 »

금속

대장장이로부터의 뜨거운 금속 작업. 금속(金屬, metal)은 일반적으로 단단하고 광택이 있으며, 열 전도율과 전기 전도도가 높은 물질을 아우른.

새로운!!: 4 베스타와 금속 · 더보기 »

. 굴은 바다에서 사는 굴과의 연체동물 가운데 먹는 것의 총칭이.

새로운!!: 4 베스타와 굴 · 더보기 »

디스커버리 프로그램

NASA가 진행하고 있는 디스커버리 계획()은 저비용에 초점을 맞춘 우주 과학 임무이.

새로운!!: 4 베스타와 디스커버리 프로그램 · 더보기 »

땅꾼자리

밤하늘의 뱀주인자리 땅꾼자리() 또는 뱀주인자리는 뱀을 들고 있는 형상의 별자리로, 프톨레마이오스의 48별자리 중 하나였.

새로운!!: 4 베스타와 땅꾼자리 · 더보기 »

(moon)은 지구의 유일한 영구한 자연위성으로, 태양계내의 위성 중 5번.

새로운!!: 4 베스타와 달 · 더보기 »

달의 바다

앞면의 모습. 달의 바다()는 어두운 현무암질의 넓고 편평한 지대를 말.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자기 자신이 만든 망원경으로 달을 보았을 때 마치 이것이 달의 고요한 바다와 같이 생각되어 바다라고 불. 달의 북반구에는 지름이 약 1200km나 되는 '비의 바다'가 있으며 그 위에 '위난의 바다', '맑음의 바다' 등이 있. 바다(mare)보다 큰 곳은 "대양"(oceanus), 작은 곳에는 "호수"(lacus), "만"(sinus), "늪"(palus)과 같은 이름이 붙.

새로운!!: 4 베스타와 달의 바다 · 더보기 »

니켈

(←)은 화학 원소로 기호는 Ni(←)이고 원자 번호는 28이.

새로운!!: 4 베스타와 니켈 · 더보기 »

스윙바이

스윙바이(Swingby) 란 우주 탐사선의 항법 중 하나로 (슬링샷 혹은 그래비티-어시스트 라고도 한다) 행성의 중력을 이용하여 궤도를 조정하는 방법이.

새로운!!: 4 베스타와 스윙바이 · 더보기 »

용암

미국 하와이의 10 m 높이의 용암 분수 용암(熔岩)은 화산이 분출하는 동안 밖으로 나온 암석의 용융체이.

새로운!!: 4 베스타와 용암 · 더보기 »

우주선이 방문한 소행성체와 혜성 목록

이 문서는 우주선이 소행성체와 혜성을 방문한 목록이.

새로운!!: 4 베스타와 우주선이 방문한 소행성체와 혜성 목록 · 더보기 »

자전축 기울기

회전체의 자전축은 회전 방향으로 오른손을 감싸쥐었을 때, 엄지가 가리키는 방향으로 정의된다. 자전축 기울기는 천체의 자전축과 공전축 사이의 각도를 말. 천체의 적도면과 궤도면 사이의 각도와 같으며, 적도 기울.

새로운!!: 4 베스타와 자전축 기울기 · 더보기 »

장축단

점 케플러 궤도 요소: ''F''점은 근점이다. ''H''점은 원점이다. 빨간 선은 장축단의 선이다. 천문학에서 장축단(長軸端, apsis)은 타원 궤도에서 초점에서의 거리가 가장 먼 원점(遠點, apoapsis)과 가장 가까운 근점(近點, periapsis)을 함께 부르는 말이.

새로운!!: 4 베스타와 장축단 · 더보기 »

이온 엔진

NASA의 딥 스페이스 1호 이온 엔진의 테스트 이온 엔진은 우주선 추진의 한 방법으로서, 전기 추진 장치이.

새로운!!: 4 베스타와 이온 엔진 · 더보기 »

적경

적경(赤經)은 천문학 용어로, 적도 좌표계에서 천구상의 한 점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는 두 개의 좌표 중의 하나이.

새로운!!: 4 베스타와 적경 · 더보기 »

적위

적도 좌표계. 파란색은 적경을 나타내고, 녹색이 적위를 나타낸다. 적위(赤緯)는 천문학 용어의 하나로, 적도 좌표계에서 천구상의 한 점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는 두 개의 좌표 중의 하나이.

새로운!!: 4 베스타와 적위 · 더보기 »

전갈자리

전갈자리(Scorpius, 기호: ♏)는 황도를 지나는 남쪽 하늘의 별자리로, 황도12궁 중 하나이.

새로운!!: 4 베스타와 전갈자리 · 더보기 »

지각

각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4 베스타와 지각 · 더보기 »

지구

(地球, Earth)는 태양으로 부터 세번째 행성이며, 엷은 대기층으로 둘러싸여 있고, 지구형 행성 중에서 가장.

새로운!!: 4 베스타와 지구 · 더보기 »

(鐵) 또는 쇠는 화학 원소로 기호는 Fe(←)이고 원자 번호는 26이.

새로운!!: 4 베스타와 철 · 더보기 »

천문 기호

중국의 청동 거울에 있는 천문 기호. 천문 기호는 천문학과 천체를 나타내는 기호이.

새로운!!: 4 베스타와 천문 기호 · 더보기 »

처녀자리

자리(Virgo,, 기호: ♍)는 하늘의 적도 부근의 비교적 큰 별자리로, 황도12궁 중 하나이.

새로운!!: 4 베스타와 처녀자리 · 더보기 »

충 (천문학)

면 천문학에서 관측 위치에서 보기에 두 개의 천체가 하늘의 반대편에 있을 때를 충(衝, opposition)에 있. right 한 행성이 행성(또는 소행성이나 혜성) 태양의 반대 편에 있을 때, "충에 있다".

새로운!!: 4 베스타와 충 (천문학) · 더보기 »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

요한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1777년 4월 30일~1855년 2월 23일)는 독일의 수학자이자 과학자이.

새로운!!: 4 베스타와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 · 더보기 »

캐나다

()는 북아메리카 북부의 연방 국가이.

새로운!!: 4 베스타와 캐나다 · 더보기 »

커크우드 간극

4개의 주요한 커크우드 간극을 나타낸 히스토그램 커크우드 간극(Kirkwood gap)은 소행성대에서 궤도장반경이나 공전주기를 기준으로 나타내볼때 그 분포가 매우 줄어드는 지점을 가리.

새로운!!: 4 베스타와 커크우드 간극 · 더보기 »

쌍안경

리즘을 사용한 쌍안경의 구조 '''1''' - Objective '''2-3''' - Porro prisms '''4''' Eyepiece 쌍안경(雙眼鏡, binocular)은 동일한, 또는 대칭의 두 망원경을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나란히 배치하여 관측자가 양쪽 눈으로 멀리 있는 물체를 보도록 한 장치이.

새로운!!: 4 베스타와 쌍안경 · 더보기 »

윌리엄 허셜

릭 윌리엄 허셜(Frederick William Herschel, 1738년 11월 15일~1822년 8월 25일)은 독일에서 태어난 천문학자이고, 전문적인 기술자이며, 작곡가이.

새로운!!: 4 베스타와 윌리엄 허셜 · 더보기 »

휘석

휘석(輝石, pyroxene)은 조암광물의 하나로 화성암과 변성암에서 폭넓.

새로운!!: 4 베스타와 휘석 · 더보기 »

태양

1992년에 촬영한 태양 모습. 태양 표면에 있는 흑점이 보인다. 태양(太陽)은 태양계 중심에 있으며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항성(또는 별)이.

새로운!!: 4 베스타와 태양 · 더보기 »

현무암

현무암 현무암(玄武岩, basalt)은 회색~흑색의 분출 화산암이.

새로운!!: 4 베스타와 현무암 · 더보기 »

염소자리

염소자리(Capricornus, 기호: ♑)는 남쪽 하늘의 별자리이며, 황도12궁 중 하나이.

새로운!!: 4 베스타와 염소자리 · 더보기 »

엄폐

목성(오른쪽)이 달에 의해 엄폐되기 몇 분 전의 모습-2005년도. 천문학에서 엄폐(掩蔽, occultation)는 한 천체가 다른 천체에 의해 가리어지는 현상을 의미.

새로운!!: 4 베스타와 엄폐 · 더보기 »

표토

표토유출. 표토(表土, topsoil)는 토양의 상부 2인치(5.1 센티미터)에서 8인치(20 센티미터)를 덮고 있는 흙이.

새로운!!: 4 베스타와 표토 · 더보기 »

사자자리

사자자리(Leo, 기호 20px, 유니코드 ♌))는 황도 12궁에 속하는 별자리이다. 서쪽의 게자리와 동쪽의 처녀자리 사이에 놓여 있다. 봄철 초저녁 하늘에서 찾아볼 수 있는 별자리이다. 동아시아의 별자리에서는 사자자리의 머리부분은 성수(星宿)의 '헌원' 별자리의 머리쪽에 해당되며, 사자의 뒷다리와 꼬리 부분은 태미원의 동쪽 담장에 해당된다.

새로운!!: 4 베스타와 사자자리 · 더보기 »

사장석

사장석 사장석(斜長石, plagioclase)는 장석의 일종으로, 알루미늄, 칼슘, 나트륨 등을 포함하는 규산염이며 칼슘, 나트륨 2가지 주성분이 여러 가지 비율로 섞인 고용체이.

새로운!!: 4 베스타와 사장석 · 더보기 »

섭동 (천문학)

섭동(Perturbation:攝動)은 천문학에서 여러 개의 다른 물체로부터 명확한 중력 효과를 겪은 하나의 큰 물체가 보이는 복잡한 움직임을 설명할 때 쓰는 용어이.

새로운!!: 4 베스타와 섭동 (천문학) · 더보기 »

세레스 (왜행성)

세레스(Ceres)는 소행성대에 있는 왜행성으로, 공식 명칭인 소행성명은 1 세레스(1 Ceres)이.

새로운!!: 4 베스타와 세레스 (왜행성) · 더보기 »

소련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약칭 소비에트 연방()또는 소련(蘇聯) 은 1922년 12월 30일부터 1991년 12월 26일까지 유라시아 북부에 존재하였던 세계 최초의 공산주의 국가였.

새로운!!: 4 베스타와 소련 · 더보기 »

소행성

소행성 433 에로스의 사진 소행성(小行星)은 목성 궤도 및 그 안쪽에서 태양 주위를 공전하고 있는 행성보다 작은 천체이.

새로운!!: 4 베스타와 소행성 · 더보기 »

소행성대

소행성대 소행성대(小行星帶)는 화성 궤도와 목성 궤도 사이에 소행성이 많이 있는 영역이.

새로운!!: 4 베스타와 소행성대 · 더보기 »

수학에서, 합(合)은 유한 개의 수를 더한 결과를 뜻. 합의 표기에는 시그마의 모양을 딴 대형 연산자 \sum가 쓰인.

새로운!!: 4 베스타와 합 · 더보기 »

알루미늄

알루미늄(←,, ←) 또는 반소(礬素←)는 전이후 금속에 속하는 화학 원소로 기호는 Al(←)이고 원자 번호는 13이.

새로운!!: 4 베스타와 알루미늄 · 더보기 »

하버드 대학교

메모리얼 처치 (Memorial Church) 하버드 대학교(Harvard University)는 미국의 아이비 리그 사립 대학이.

새로운!!: 4 베스타와 하버드 대학교 · 더보기 »

하인리히 올베르스

인리히 빌헬름 올베르스(Heinrich Wilhelm Matthäus Olbers, 1758년 10월 11일 ~ 1840년 3월 2일)는 독일의 천문학자이자 물리학자이며 의사.

새로운!!: 4 베스타와 하인리히 올베르스 · 더보기 »

핵 (행성)

내행성의 내부 구조. 행성의 핵은 행성 내부의 제일 안쪽 층에 형성되어 있. 핵은 고체 혹은 액체 층으로 구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여기서 화성과 금성의 핵은 내부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이 없는 것으로 볼 때 완전히 고체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추정.

새로운!!: 4 베스타와 핵 (행성) · 더보기 »

심성암

심성암(深成岩)은 화성암의 종류 중 하나로, 용암이나 지하 깊은곳에서 천천히 식어 만들어진 암석으로, 광물 입자의 크기가 큰 조립질 조직을 보인.

새로운!!: 4 베스타와 심성암 · 더보기 »

왜행성

왜행성 에리스 왜행성(矮行星, dwarf planet)은 태양계를 돌고 있는 천체를 분류하는 기준 중 하나로, 국제천문연맹에서 2006년 8월 24일 정의하였.

새로운!!: 4 베스타와 왜행성 · 더보기 »

화구

산의 백록담 화구(火口)란 지하의 마그마와 화산 가스로 운반된 바위 등의 고체, 액체가 지표로 분출되는 구멍을 말. 분화구(噴火口)는 '분출하는 화구'라는 뜻이.

새로운!!: 4 베스타와 화구 · 더보기 »

화성

화성(火星)은 태양계의 네 번째 행성이.

새로운!!: 4 베스타와 화성 · 더보기 »

17 테티스

17 테티스(17 Thetis)는 소행성대의 소행성 중 하나이.

새로운!!: 4 베스타와 17 테티스 · 더보기 »

1807년

1807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4 베스타와 1807년 · 더보기 »

2011년

2011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4 베스타와 2011년 · 더보기 »

3 유노

유노(Juno)는 세 번째로 발견된 소행성으로, 소행성대 전체 질량의 1%가량.

새로운!!: 4 베스타와 3 유노 · 더보기 »

3월 29일

3월 2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88번째(윤년일 경우 8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4 베스타와 3월 29일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