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Let It Be

색인 Let It Be

《Let It Be》(렛 잇 비)는 비틀즈의 12번째이자 마지막 앨범으로, 1970년 5월 8일, 비틀즈 소유의 애플 레코드 레이블을 달고 발매되었.

58 처지: Abbey Road, Across the Universe, Don't Let Me Down, EMI, EMI 뮤직 재팬, 레논-매카트니, , 롤링 스톤, 리듬 앤 블루스, 링고 스타, 매카트니, 미국, 블루스, 비틀즈, Get Back, Golden Slumbers, 폴 매카트니, 일본, 조지 마틴, 조지 해리슨, 존 레논, 캐피틀 레코드, 콤팩트 디스크, 영국, 오노 요코, 올뮤직, 헤로인, 플레이보이, 애플 레코드, 필 스펙터, Let It Be (노래), Mean Mr. Mustard, Please Please Me, Q (잡지),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10월 10일, 11월 6일, 12월 15일, 1968년, 1969년, 1970년, 1979년, 1987년, 1998년, 1월 21일, 1월 2일, 1월 31일, 1월 3일, 1월 4일, 1월 8일, ..., 2003년, 2004년, 3월 11일, 3월 23일, 4월 1일, 5월 18일, 5월 28일, 5월 8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8 더) »

Abbey Road

영국 런던 웨스트민스터의 세인트 존스 우드에 있는 "애비 로드". 이 횡단보도에서 역사적인, 비틀즈의 앨범 커버가 찍혔다. 《Abbey Road》(애비 로드)는 영국의 록 밴드 비틀즈가 발매한 11번째 스튜디오 음반이.

새로운!!: Let It Be와 Abbey Road · 더보기 »

Across the Universe

〈Across the Universe〉(어크로스 더 유니버스)는 비틀즈에 의해 녹음된 곡이.

새로운!!: Let It Be와 Across the Universe · 더보기 »

Don't Let Me Down

〈Don't Let Me Down〉(돈 렛 미 다운)는 1969년 4월 11일 발표된 비틀즈 (with 빌리 프레스턴)의 싱글 〈Get Back〉의 B 사이드 수록곡이.

새로운!!: Let It Be와 Don't Let Me Down · 더보기 »

EMI

EMI 그룹()은 영국의 레코드 레이블 그룹이자 한때 세계 4대 메이저 레이블로 손꼽피기로 유명.

새로운!!: Let It Be와 EMI · 더보기 »

EMI 뮤직 재팬

주식회사 EMI 뮤직 재팬(EMI Music Japan Inc.)은 EMI그룹 산하의 음반사이.

새로운!!: Let It Be와 EMI 뮤직 재팬 · 더보기 »

레논-매카트니

1964년, 존 레논(왼쪽)과 폴 매카트니(오른쪽) 레논-매카트니(Lennon–McCartney, 레논/매카트니 또는 가끔 매카트니-레논으로도 표기)는 영국의 음악가 존 레논과 폴 매카트니가 비틀즈 시절 맺은 작곡·작사가 파트너십이.

새로운!!: Let It Be와 레논-매카트니 · 더보기 »

록 또는 락은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Let It Be와 록 · 더보기 »

롤링 스톤

《롤링 스톤》(Rolling Stone)은 미국의 대중문화 격주.

새로운!!: Let It Be와 롤링 스톤 · 더보기 »

리듬 앤 블루스

리듬 앤 블루스() 또는 알앤비(R&B)는 흑인의 생활 양식에 맞도록 녹음 된 블루스 보컬이나 밴드 연주의 대중음악을 총칭.

새로운!!: Let It Be와 리듬 앤 블루스 · 더보기 »

링고 스타

리처드 스타키 경(ref MBE, 1940년 7월 7일 ~)은 링고 스타(Ringo Starr)로 알려진 영국의 드러머, 가수, 작곡가, 배우.

새로운!!: Let It Be와 링고 스타 · 더보기 »

매카트니

매카트니(Paul McCartney)는 영국의 싱어송라이터이.

새로운!!: Let It Be와 매카트니 · 더보기 »

미국

미합중국(美合衆國,, U.S.A.), 약칭 합중국(U.S.) 또는 미국(美國)은 주 50개와 특별구 1개로 이루어진 연방제 공화국이.

새로운!!: Let It Be와 미국 · 더보기 »

블루스

블루스(Blues)는 19세기 중엽, 미국 노예 해방 선언 이후 미국으로 넘어온 미국 남부의 흑인들이 창시한 장르 혹은 음악적 형태를 말. 이 장르는 아프리카 전통 음악과 노동요, 그리고 유럽계 미국인의 포크송을 뿌리로 두고있는데, 구체적으로 스피릿튜얼스, 노동요, 필드홀러, 링 샤우트, 찬트, 그리고 리듬이 간단하고 경험을 풀어낸 발라드 등이 합쳐져 개인이 부르는 노래로 바뀌어 블루스가 된 것으로 전. 블루스 형식은 재즈, 리듬앤블루스, 로큰롤의 안에서도 볼 수 있는데, 주고 받기 형식(), 블루스 스케일을 이용한 여러 코드 진행, 그리고 12마디 진행의 블루스가 일반적이.

새로운!!: Let It Be와 블루스 · 더보기 »

비틀즈

비틀즈(비틀스)는 1960년 리버풀에서 결성된 영국의 록 밴. 존 레논, 폴 매카트니, 조지 해리슨, 링고 스타로 구성된 이 밴드는 록의 시대에서 최선두 주자이자 가장 영향력 있는 밴드로 널리 인정받고 있. 스키플, 비트 음악과 1950년대 로큰롤에 뿌리를 둔 비틀즈는 이후 팝 발라드와 인도 음악에서 사이키델릭과 하드 록까지 그 범위를 확장시키면서 여러 음악 스타일을 실험했고, 종종 혁명적인 방식으로 클래식적인 요소와 관습에서 벗어난 녹음 기술을 결합.

새로운!!: Let It Be와 비틀즈 · 더보기 »

Get Back

〈Get Back〉은 레논-매카트니 명의로 폴 매카트니가 쓴 비틀즈의 노래로, 원래 1969년 4월 11일 "비틀즈와 빌리 프레스턴(The Beatles with Billy Preston)" 표기로 싱글 발표되었.

새로운!!: Let It Be와 Get Back · 더보기 »

Golden Slumbers

〈Golden Slumbers〉는 비틀즈의 노래로, 그들의 1969년 음반 《Abbey Road》의 메들리의 절정 부분에 수록.

새로운!!: Let It Be와 Golden Slumbers · 더보기 »

폴 매카트니

매카트니 경(MBE, 1942년 6월 18일 ~)은 비틀즈와 윙스의 전 멤버로 가장 잘 알려진 영국의 싱어송라이터, 시인, 작곡가, 멀티플레이어, 사업가, 녹음 프로듀서, 영화 프로듀서, 화가, 그리고 동물 권리와 평화 운동가이.

새로운!!: Let It Be와 폴 매카트니 · 더보기 »

일본

일본국(닛폰코쿠), 약칭 일본(日本,, 닛폰)은 동아시아에 있는 국. 국토는 태평양에 있는 일본 열도의 네 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홋카이도, 혼슈, 시코쿠, 규슈를 중심으로 주변에 산재한 작은 섬으로 구성되어 있. 총 면적은 37만 7835 km2인데 이는 노르웨이(스발바르 제도와 얀마옌을 포함한 경우)보다 작으며 독일보.

새로운!!: Let It Be와 일본 · 더보기 »

조지 마틴

조지 헨리 마틴 경(Sir George Henry Martin, 1926년 1월 3일 – 2016년 3월 8일)은 영국의 음악 프로듀서이.

새로운!!: Let It Be와 조지 마틴 · 더보기 »

조지 해리슨

조지 해리슨(George Harrison, MBE, 1943년 2월 25일 ~ 2001년 11월 29일)은 영국의 기타 연주자, 싱어송라이터, 그리고 음악 및 영화 프로듀서.

새로운!!: Let It Be와 조지 해리슨 · 더보기 »

존 레논

존 윈스턴 오노 레논(존 윈스턴 오노 레넌, MBE, 1940년 10월 9일 ~ 1980년 12월 8일) 또는 출생명인 존 윈스턴 레논(존 윈스턴 레넌)은 영국의 싱어송라이터이자 대중음악 사상 가장 성공했으며 또한 가장 영향력 있는 밴드인 비틀즈의 창립 멤버.

새로운!!: Let It Be와 존 레논 · 더보기 »

캐피틀 레코드

(Capitol Records)는 EMI (현 유니버설 뮤직 그룹)가 소유하고 있는 미국의 음반사이.

새로운!!: Let It Be와 캐피틀 레코드 · 더보기 »

콤팩트 디스크

팩트 디스크 로고 콤팩트 디스크 콤팩트 디스크()는 광 디스크의 일종으로서 디지털 정보를 저장하는 광 디스크이.

새로운!!: Let It Be와 콤팩트 디스크 · 더보기 »

영국

이트 브리튼 북아일랜드 연합왕국(-聯合王國), 약칭 브리튼() 또는 연합왕국(聯合王國,, UK) 혹은 영국(英國)은 유럽 북서부 해안의 브리튼 제도에 위치한 주권국이자 섬나라로, 북해, 영국 해협, 아일랜드 해 및 대서양에 접하여 있으며 그레이트 브리튼 섬의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 및 아일랜드 섬 북부의 북아일랜드로 네 개의 구성국으로 이루어져 있는 연합국가이.

새로운!!: Let It Be와 영국 · 더보기 »

오노 요코

오노 요코(1933년 2월 18일 ~)은 아방가르드 작품 활동을 벌인 일본의 행위예술가이자 음악가이.

새로운!!: Let It Be와 오노 요코 · 더보기 »

올뮤직

올뮤직(AllMusic, 과거에는 All Music Guide 또는 AMG로 알려짐)은 온라인 음악 가이.

새로운!!: Let It Be와 올뮤직 · 더보기 »

헤로인

헤로인 헤로인(heroin)은 모르핀을 아세틸화하여 만든 진정제의 하나로, 사용이 금지된 마약의 일종이며 중독성이 매우 강해 한번 투여하면 거의 끊지 못. 증상은 극단적인 쾌락과 황홀감을 수시간~수십시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느끼며 정신적 한계까지 각성상태가 되며 신체적 능력도 다소 상승.

새로운!!: Let It Be와 헤로인 · 더보기 »

플레이보이

《플레이보이》(Playboy)는 미국의 남성 라이프스타일 및 엔터테인먼트 잡. 1953년, 휴즈 헤프너가 자신의 주변인들과 함께 시카고에서 창. 어머니로부터 빌린 1,000달러의 금액이 일부 자금으로 쓰였.

새로운!!: Let It Be와 플레이보이 · 더보기 »

애플 레코드

애플 레코드(Apple Records)는 영국의 음반 회사이며, 1968년 비틀즈 멤버인 존 레논, 폴 매카트니, 조지 해리슨, 링고 스타가 설립한 애플 코어의 자회사이.

새로운!!: Let It Be와 애플 레코드 · 더보기 »

필 스펙터

립 하비 스펙터(Phillip Harvey Spector, 1939년 12월 26일 ~)는 미국의 음반 프로듀서, 음악가, 작곡가이.

새로운!!: Let It Be와 필 스펙터 · 더보기 »

Let It Be (노래)

"Let It Be"는 영국의 밴드 비틀즈의 노래로 1970년 3월 6일 Let It Be의 타이틀 트랙으로써 싱글로 발매되었.

새로운!!: Let It Be와 Let It Be (노래) · 더보기 »

Mean Mr. Mustard

Mean Mr.

새로운!!: Let It Be와 Mean Mr. Mustard · 더보기 »

Please Please Me

《Please Please Me》는 영국의 록 밴드 비틀즈의 첫 번째 정규 음반이.

새로운!!: Let It Be와 Please Please Me · 더보기 »

Q (잡지)

《Q》(큐)는 월간으로 발행되는 영국의 음악 잡지이.

새로운!!: Let It Be와 Q (잡지) · 더보기 »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Sgt.

새로운!!: Let It Be와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 더보기 »

10월 10일

10월 1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83번째(윤년일 경우 28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Let It Be와 10월 10일 · 더보기 »

11월 6일

11월 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10번째(윤년일 경우 31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Let It Be와 11월 6일 · 더보기 »

12월 15일

12월 1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49번째(윤년일 경우 35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Let It Be와 12월 15일 · 더보기 »

1968년

1968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Let It Be와 1968년 · 더보기 »

1969년

1969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Let It Be와 1969년 · 더보기 »

1970년

1970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Let It Be와 1970년 · 더보기 »

1979년

1979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Let It Be와 1979년 · 더보기 »

1987년

1987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Let It Be와 1987년 · 더보기 »

1998년

1998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Let It Be와 1998년 · 더보기 »

1월 21일

1월 2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1번째(윤년일 경우도 2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Let It Be와 1월 21일 · 더보기 »

1월 2일

1월 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Let It Be와 1월 2일 · 더보기 »

1월 31일

1월 3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1번째(윤년일 경우도 3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Let It Be와 1월 31일 · 더보기 »

1월 3일

1월 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Let It Be와 1월 3일 · 더보기 »

1월 4일

1월 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Let It Be와 1월 4일 · 더보기 »

1월 8일

1월 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8번째(윤년일 경우도 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Let It Be와 1월 8일 · 더보기 »

2003년

2003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Let It Be와 2003년 · 더보기 »

2004년

2004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Let It Be와 2004년 · 더보기 »

3월 11일

3월 1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70번째(윤년일 경우 7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Let It Be와 3월 11일 · 더보기 »

3월 23일

3월 2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82번째(윤년일 경우 8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Let It Be와 3월 23일 · 더보기 »

4월 1일

4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91번째(윤년일 경우 9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Let It Be와 4월 1일 · 더보기 »

5월 18일

5월 1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38번째(윤년일 경우 13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Let It Be와 5월 18일 · 더보기 »

5월 28일

5월 2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48번째(윤년일 경우 14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Let It Be와 5월 28일 · 더보기 »

5월 8일

5월 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28번째(윤년일 경우 129번째), 뒤에서부터는 23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Let It Be와 5월 8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Let It Be (음반), 렛 잇 비, 렛잇비.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