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U-이중성

색인 U-이중성

M이론에서, U-이중성(U-二重性)은 S-이중성과 T-이중성에 의하여 생성되는, M이론의 이산 대칭군이.

21 처지: E₈, E₆, E₇, 리 군, 모듈러 군, 미분동형사상, 방향 (다양체), 부분군, 자기 동형 사상, 일반 상대성이론, 초끈 이론, 초중력, 축소화, 행렬 이론, 사상류군, 합집합, 원환면, M이론, S-이중성, T-이중성, 2차원 실수 특수선형군.

E₈

E8의 딘킨 도표 리 군론에서, E8은 복소수 예외적 단순 리 군 가운데 가장 큰 것이.

새로운!!: U-이중성와 E₈ · 더보기 »

E₆

리 군론에서, E6는 다섯 개의 예외적 단순 리 군 가운.

새로운!!: U-이중성와 E₆ · 더보기 »

E₇

E7의 딘킨 도표 리 군론에서, E7은 복소수 예외적 단순 리 군의 하나이.

새로운!!: U-이중성와 E₇ · 더보기 »

리 군

리 군(Lie群)은 매끄러운 다양체인 위상군이.

새로운!!: U-이중성와 리 군 · 더보기 »

모듈러 군

수학에서, 모듈러 군() 또는 보형군(保型群)은 정수 계수의 뫼비우스 변환의 군이.

새로운!!: U-이중성와 모듈러 군 · 더보기 »

미분동형사상

미분동형사상(微分同形寫像)은 두 미분다양체 사이의, 미분 가능이고 그 역도 미분 가능한 위상동형사상이.

새로운!!: U-이중성와 미분동형사상 · 더보기 »

방향 (다양체)

미분기하학과 위상수학에서, 다양체의 방향(方向)은 다양체 위에서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의 개념을 정의하는 구조이.

새로운!!: U-이중성와 방향 (다양체) · 더보기 »

부분군

부분군 (部分群, subgroup)은 어떤 군(群, group)의 부분 집합으로서, 그 스스로가 다시 원래의 군과 동일한 연산에 대해 군이 되는 대상을 뜻. 분류:군론.

새로운!!: U-이중성와 부분군 · 더보기 »

자기 동형 사상

수학에서, 자기 동형 사상(自己同型寫像)은 자기 사상인 동형 사상이.

새로운!!: U-이중성와 자기 동형 사상 · 더보기 »

일반 상대성이론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에 대한 논문 원고 일반 상대성이론(一般相對性理論) 또는 일반상대론(一般相對論)은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1915년에 발표한, 중력을 상대론적으로 다루는 물리 이론이.

새로운!!: U-이중성와 일반 상대성이론 · 더보기 »

초끈 이론

이론(- 理論) 또는 수퍼스트링 이론()은 자연계의 모든 입자와 기본 상호작용을 미소한 크기의 초대칭적 끈의 진동으로 설명하려는 시도이.

새로운!!: U-이중성와 초끈 이론 · 더보기 »

초중력

물리학에서, 초중력(超重力,, 약자 SUGRA)은 일반 상대성 이론에 초대칭을 도입하여 얻는 중력 이론이.

새로운!!: U-이중성와 초중력 · 더보기 »

축소화

축소화(縮小化)은 어떤 물리 이론을 유클리드 공간 대신 기본군이 자명하지 않은 (즉 일부 차원이 "말려" 있는) 시공에 정의하는 것을 일컫.

새로운!!: U-이중성와 축소화 · 더보기 »

행렬 이론

이론물리학에서, 행렬 이론(行列理論)은 매우 큰 행렬들을 다루는 양자역학 모형이.

새로운!!: U-이중성와 행렬 이론 · 더보기 »

사상류군

위상수학에서, 사상류군(寫像類群)은 어떤 위상 공간의 자기 위상 동형들의 호모토피류들로 구성된 군이.

새로운!!: U-이중성와 사상류군 · 더보기 »

합집합

''A'' ∪ ''B''는 두 원을 합쳐 만든 큰 모양이다. 집합론에서 둘 또는 더 많은 집합의 합집합(合集合)은 그들의 모든 원소를 한 군데 합쳐놓은 집합이.

새로운!!: U-이중성와 합집합 · 더보기 »

원환면

원환체(torus) 기하학에서, 원환면(圓環面) 또는 토러스()란 원을 삼차원 공간 상에서 원을 포함하는 평면 위의 직선을 축으로 회전하여 만든 회전면(surface of revolution)이.

새로운!!: U-이중성와 원환면 · 더보기 »

M이론

이론물리학에서, M이론(-理論)은 11차원의 시공간에서 존재하는 물리 이론이.

새로운!!: U-이중성와 M이론 · 더보기 »

S-이중성

이론물리학에서, S-이중성(S-二重性, S-duality)은 서로 다른 듯한 두 물리 이론이 결합 상수의 역수를 취하는 변환에 의하여 서로 동등한 현상이.

새로운!!: U-이중성와 S-이중성 · 더보기 »

T-이중성

T-이중성과 S-이중성은 서로 다른 것처럼 보이는 초끈 이론들을 서로 연관짓는다. T-이중성에 따라, ⅡA형과 ⅡB형 초끈 이론이 서로 동형이고, E8×E8 잡종 끈 이론과 SO(32) 잡종 끈 이론이 서로 동형이다. 끈 이론에서, T-이중성(T-二重性) 또는 과녁 공간 이중성(target space duality)은 서로 다른 두 시공간 (과녁 공간) 위의 끈 이론이 서로 같은 현상이.

새로운!!: U-이중성와 T-이중성 · 더보기 »

2차원 실수 특수선형군

2차원 실수 특수선형군(二次元實數特殊線型群) \operatorname(2;\mathbb R)는 수학과 물리학에 자주 등장하는 3차원 리 군이.

새로운!!: U-이중성와 2차원 실수 특수선형군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