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WKB 근사

색인 WKB 근사

양자역학에서, WKB 근사(WKB近似)는 슈뢰딩거 방정식을 풀 때, 순수하게 양자역학적인 효과가 작아 파동 함수의 진폭 또는 위상이 거의 일정하다는 가정 아래 푸는 근사법이.

25 처지: 라그랑주 부분 다양체, 레옹 브릴루앵, 리 미분, 리만 다양체, 미분동형사상, 미분방정식, 밀도 다발, 가설 풀이, 기하학적 양자화, 당김, 슈뢰딩거 방정식, 편미분방정식, 지수 함수, 파동 함수, 상수 함수, 투과계수, 양자역학, 에어리 함수, 헨드릭 안토니 크라머르스, 플랑크 상수, 터널 효과, 해밀턴-야코비 방정식, 해밀토니언 (양자역학), 테일러 급수, 심플렉틱 다양체.

라그랑주 부분 다양체

심플렉틱 기하학에서, 라그랑주 부분 다양체(Lagrange部分多樣體)는 심플렉틱 형식의 당김이 0이 되어, 국소적으로 일반화 좌표(또는 일반화 운동량)의 부분 다양체로 간주할 수 있는 최대 차원 부분 다양체이.

새로운!!: WKB 근사와 라그랑주 부분 다양체 · 더보기 »

레옹 브릴루앵

옹 니콜라 브릴루앵(Léon Nicolas Brillouin, 1889년 8월 7일 – 1969년 10월 4일)은 프랑스 태생 미국 물리학자.

새로운!!: WKB 근사와 레옹 브릴루앵 · 더보기 »

리 미분

미분기하학에서, 리 미분(Lie微分)은 매끄러운 다양체 위에서 아핀 접속 없이 정의될 수 있는, 텐서장의 미분 연산이.

새로운!!: WKB 근사와 리 미분 · 더보기 »

리만 다양체

미분기하학에서, 리만 다양체(Riemann多樣體)는 각 점의 접공간 위에 양의 정부호 쌍선형 형식이 주어져, 두 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매끄러운 다양체이.

새로운!!: WKB 근사와 리만 다양체 · 더보기 »

미분동형사상

미분동형사상(微分同形寫像)은 두 미분다양체 사이의, 미분 가능이고 그 역도 미분 가능한 위상동형사상이.

새로운!!: WKB 근사와 미분동형사상 · 더보기 »

미분방정식

200px 미분 방정식(微分方程式, differential equation)은 미지의 함수와 그 도함수, 그리고 이 함수들의 함수값에 관계된 여러 개의 변수들에 대한 수학적 방정식이.

새로운!!: WKB 근사와 미분방정식 · 더보기 »

밀도 다발

미분기하학에서, 밀도 다발(密度-)은 적분을 정의할 수 있는 단면들을 갖는 선다발이.

새로운!!: WKB 근사와 밀도 다발 · 더보기 »

가설 풀이

물리학과 수학에서, 가설 풀이(假說-,, 복수 안제체)는 어떤 주어진 문제를 풀기 위하여 그 해의 꼴에 대하여 세우는 가설이.

새로운!!: WKB 근사와 가설 풀이 · 더보기 »

기하학적 양자화

양자역학에서, 기하학적 양자화(幾何學的量子化)는 해밀턴 역학으로 나타내어지는 고전적 계를 양자화하는 체계적인 방법이.

새로운!!: WKB 근사와 기하학적 양자화 · 더보기 »

당김

미분기하학에서, 당김()이란 한 다양체 위에 정의된 공변(covariant) 텐서를 다른 다양체 위에 옮겨 정의하는 방법이.

새로운!!: WKB 근사와 당김 · 더보기 »

슈뢰딩거 방정식

에르빈 슈뢰딩거 슈뢰딩거 방정식(Schrödinger方程式)은 비상대론적 양자역학적 계의 시간에 따른 진화를 나타내는 선형 편미분 방정식이.

새로운!!: WKB 근사와 슈뢰딩거 방정식 · 더보기 »

편미분방정식

수학에서, 편미분 방정식(偏微分方程式,, 약자 PDE)은 여러 개의 독립 변수로 구성된 함수와 그 함수의 편미분으로 연관된 방정식이.

새로운!!: WKB 근사와 편미분방정식 · 더보기 »

지수 함수

''y.

새로운!!: WKB 근사와 지수 함수 · 더보기 »

파동 함수

양자역학에서, 파동 함수(波動函數, wavefunction)는 양자역학적 계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복소 함수이다. 고전적인 파동 방정식을 따르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었지만, 고전적인 파동과는 여러 면에서 다르다. 파동 함수의 절댓값의 제곱은 입자가 특정 위치에 존재할 확률 밀도 함수이다 (보른 해석, Born interpretation). 수학적으로, 파동 함수의 집합은 힐베르트 공간을 이룬다. 즉, 파동 함수는 힐베르트 공간 안의 벡터로 간주할 수 있다.

새로운!!: WKB 근사와 파동 함수 · 더보기 »

상수 함수

수학에서, 상수 함수(常數函數)는 정의역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같은 값을 갖는 함수를 말. 예를 들어, f(x).

새로운!!: WKB 근사와 상수 함수 · 더보기 »

투과계수

An electromagnetic (or any other) wave experiences partial transmittance and partial reflectance when the medium through which it travels suddenly changes. 일반적으로 투과계수(透過係數)는 전자기파 등을 비롯한 어떤 파동이 다른 물체와의 경계면에 입사했을 때, 그 물체를 투과하는 정도를 가리키는 것으로 광학이나 양자역학에서 사용되는 개념이.

새로운!!: WKB 근사와 투과계수 · 더보기 »

양자역학

양자역학(量子力學)은 분자, 원자, 전자, 소립자와 미시적인 계의 현상을 다루는 즉, 작은 크기를 갖는 계의 현상을 연구하는 물리학의 분야이.

새로운!!: WKB 근사와 양자역학 · 더보기 »

에어리 함수

에어리 함수의 그래프 수학에서, 에어리 함수(Airy function)는 특수 함수의 한 종. 두 개가 있으며, 기호는 Ai와 Bi.

새로운!!: WKB 근사와 에어리 함수 · 더보기 »

헨드릭 안토니 크라머르스

헨드릭 안토니 크라머르스(1894 – 1952)는 네덜란드의 이론물리학자이.

새로운!!: WKB 근사와 헨드릭 안토니 크라머르스 · 더보기 »

플랑크 상수

랑크 상수(Planck常數, Planck constant, 기호 h)는 입자의 에너지와 드브로이 진동수의 비 (h.

새로운!!: WKB 근사와 플랑크 상수 · 더보기 »

터널 효과

셜 장벽을 통과하는 전자를 표현한 애니메이션. 일정 확률의 전자가 장벽을 넘는다. 터널 효과(tunnel effect) 또는 터널링(tunneling)은 양자 역학에서 원자핵을 구성하는 핵자가 그것을 묶어 놓은 핵력의 포텐셜 장벽보다 낮은 에너지 상태에서도 확률적으로 원자 밖으로 튀어 나가는 현상을 말.

새로운!!: WKB 근사와 터널 효과 · 더보기 »

해밀턴-야코비 방정식

전역학에서, 해밀턴-야코비 방정식(Hamilton-Jacobi 方程式)은 고전역학을 기술하는 하나의 방법이.

새로운!!: WKB 근사와 해밀턴-야코비 방정식 · 더보기 »

해밀토니언 (양자역학)

양자역학에서, 해밀토니언(Hamiltonian, \hat H 또는 H로 표기)은 양자 상태의 시간 변화를 생성하는 에르미트 연산자이.

새로운!!: WKB 근사와 해밀토니언 (양자역학) · 더보기 »

테일러 급수

사인 함수의 테일러 급수의 수렴. 검은 선은 사인 함수의 그래프이며, 색이 있는 선들은 테일러 급수를 각각 1차(빨강), 3차(주황), 5차(노랑), 7차(초록), 9차(파랑), 11차(남색), 13차(보라) 항까지 합한 것이다. 미적분학에서, 테일러 급수(Taylor級數)는 도함수들의 한 점에서의 값으로 계산된 항의 무한합으로 해석함수를 나타내는 방법이.

새로운!!: WKB 근사와 테일러 급수 · 더보기 »

심플렉틱 다양체

미분기하학에서, 심플렉틱 다양체(symplectic多樣體, symplectic manifold) 또는 사교다양체(斜交多樣體)는 닫힌 비퇴화 2차 미분 형식을 갖춘 매끄러운 다양.

새로운!!: WKB 근사와 심플렉틱 다양체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