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갑술환국

색인 갑술환국

갑술환국(甲戌換局)은 1694년(숙종 20년) 4월 1일에 발생한 숙종 시대의 3차 환국으로, 기사환국이 발생한 1689년 2월 2일 이후로 정권을 집권해온 남인이 몰락하고, 기사환국 때 몰락했던 서인(노론·소론)이 재집권한 사건이.

74 처지: 동평군, 목창명, 명안공주, 무고의 옥, 민정중, 민진장, 민진원, 민암, 박태상, 경신환국, 북송 인종, 권대운, 기사환국, 금위영, 김도명, 김만중, 김인, 김창집, 김춘택, 김수항, 김석주, 남구만, 남인, 노론, 승정원일기, 장희재 (조선), 희빈 장씨, 이문정, 이건명 (조선), 이기정, 이장영, 이이명, 이인좌의 난, 이정영, 이진명, 이유, 이사명, 인목왕후, 인현왕후, 인현왕후전, 의금부, 의원군, 조사석, 조선 경종, 조선 효종, 조선 정조, 조선 숙종, 조선 영조, 조선 선조, 윤희, ..., 윤증, 윤지선, 윤지완, 숙명공주, 숙빈 최씨, 숙휘공주, 숙안공주, 영빈 김씨, 오시복, 오시수, 예송, 최석항, 사헌부, 삼복의 옥, 서문중, 서인, 송준길, 소론, 신임사화, 신익상, 홍수의 변, 환국, 1689년, 1694년.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24 더) »

동평군

동평군 이항(東平君 李杭, 1660년 음력 4월 8일 ~ 1701년 음력 11월 8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겸 시인이자 서예가이.

새로운!!: 갑술환국와 동평군 · 더보기 »

목창명

목창명(睦昌明, 1645년 ~ 1695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갑술환국와 목창명 · 더보기 »

명안공주

명안공주(明安公主, 1667년 ~ 1687년 5월 16일)는 조선의 왕족으로 현종(顯宗, 1641~1674, 재위 1660~1674)과 명성왕후 김씨(明聖王后 金氏, 1642~1684)의 3녀로 조선시대 공주들 중 유일하게 이름이 알려져 있으며 본명은 이온희(李溫姬)이.

새로운!!: 갑술환국와 명안공주 · 더보기 »

무고의 옥

무고의 옥(巫蠱-獄) 또는 신사옥사, 신사환국은 1701년(숙종 27) 희빈 장씨가 취선당에서 인현왕후를 저주했다고 알려진 사건이.

새로운!!: 갑술환국와 무고의 옥 · 더보기 »

민정중

민정중(閔鼎重, 1628년 ~ 1692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갑술환국와 민정중 · 더보기 »

민진장

민진장(閔鎭長, 1649년 ~ 1700년)은 조선시대 후기의 척신으로 본관은 여흥이.

새로운!!: 갑술환국와 민진장 · 더보기 »

민진원

민진원(閔鎭遠, 1664년 ~ 1736년)은 조선 후기의 척신으로 민유중의 아들이며, 민진후의 남동생, 인현왕후의 작은오빠이.

새로운!!: 갑술환국와 민진원 · 더보기 »

민암

민암(閔黯, 1636년 ~ 1694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갑술환국와 민암 · 더보기 »

박태상

박태상(1636년 ~ 1696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본관은 반남이.

새로운!!: 갑술환국와 박태상 · 더보기 »

경신환국

경신환국(庚申換局)은 1680년(숙종 6년) 남인 일파가 정치적으로 대거 실각한 일이.

새로운!!: 갑술환국와 경신환국 · 더보기 »

북송 인종

송 인종 송 인종(宋仁宗, 1010년 ~ 1063년)은 북송의 제4대 황제(재위:1022년 ~ 1063년)였.

새로운!!: 갑술환국와 북송 인종 · 더보기 »

권대운

운(權大運, 1612년 ~ 1699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갑술환국와 권대운 · 더보기 »

기사환국

사환국(己巳換局)은 조선 숙종 15년(1689년) 때 소의(昭儀) 장씨 소생의 아들 윤(昀)을 원자로 삼으려는 숙종에 반대한 송시열 등 서인이 이를 지지한 남인에게 패배하고, 정권이 서인에서 남인으로 바뀐 일이.

새로운!!: 갑술환국와 기사환국 · 더보기 »

금위영

위영은 5군영 중 가장 마지막으로 설치된 것으로서, 숙종 때 설치되었.

새로운!!: 갑술환국와 금위영 · 더보기 »

김도명

명은 다음 사람을 가리.

새로운!!: 갑술환국와 김도명 · 더보기 »

김만중

만중(金萬重, 1637년 ~ 1692년)은 조선 문신이자, 소설가이.

새로운!!: 갑술환국와 김만중 · 더보기 »

김인

인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갑술환국와 김인 · 더보기 »

김창집

몽와 김창집 영정(영의정 재직 무렵) 김창집 (金昌集, 1648년(인조 26년) ∼ 1722년 5월 2일(경종 2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학자, 작가이.

새로운!!: 갑술환국와 김창집 · 더보기 »

김춘택

택‎ 김춘택(金春澤, 1670년 ~ 1717년)은 조선후기의 문신, 외척, 작가이.

새로운!!: 갑술환국와 김춘택 · 더보기 »

김수항

수항(金壽恒, 1629년(인조 7년) ∼ 1689년(숙종 15년) 4월 9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학자, 본관은 (신)안동(安東)으로 좌의정 청음 김상헌(金尙憲)의 손자이며 인목대비는 그의 이모할머니였고 영창대군과 정명공주는 이종숙과 외종이모였.

새로운!!: 갑술환국와 김수항 · 더보기 »

김석주

석주(金錫冑, 1634년 ~ 1684년 9월 20일)는 조선시대 후기의 외척, 권신, 작가이자 비상한 머리와 수완을 지닌 책사로서, 당시 명성왕후 김씨를 도와 정국을 주. 경신대출척이 그의 작품이.

새로운!!: 갑술환국와 김석주 · 더보기 »

남구만

만 초상 남구만(南九萬, 1629년 ~ 1711년)은 조선의 문신이자 정치가이.

새로운!!: 갑술환국와 남구만 · 더보기 »

남인

인(南人)은 조선 붕당정치의 당파로, 조선 중기 이후 동인이 북인과 남인으로 분파되면서 발생.

새로운!!: 갑술환국와 남인 · 더보기 »

노론

(老論)은 서인과 같이 성리학적 명분론을 신봉하였지만 숙종 때 서인에서 노론과 소론으로 나뉜 붕당으로 알려져 있. 서인에서 송시열을 중심으로 하는 사람들은 노론, 윤증을 중심으로 하는 사람들은 소론이 되었으며 숙종 이후 조선의 주요 집권 세력이었.

새로운!!: 갑술환국와 노론 · 더보기 »

승정원일기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는 조선 및 대한제국의 승정원에서 왕명 출납, 행정 사무 등을 매일 기록한 일기 이. 2001년 9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

새로운!!: 갑술환국와 승정원일기 · 더보기 »

장희재 (조선)

장희재(張希載, 1651년승정원일기 숙종 27년(1701년) 11월 2일 기록에 장희재의 나이가 51세로 기록되어 있으므로 1651년 생임을 알 수 있다. ~ 1701년 10월 29일)는 조선 후기 무관이자 숙종의 척신으로 옥산부대빈 장씨의 동복 오빠이자 경종의 외삼촌이.

새로운!!: 갑술환국와 장희재 (조선) · 더보기 »

희빈 장씨

희빈 장씨(禧嬪 張氏, 1659년 11월 3일 (음력 9월 19일) ~ 1701년 11월 7일 (음력 10월 8일)), 장희빈(張禧嬪) 또는 옥산부대빈 장씨(玉山府大嬪 張氏)는 조선의 제19대 왕 숙종의 빈(嬪)으로, 제20대 왕 경종(景宗)의 어머니이.

새로운!!: 갑술환국와 희빈 장씨 · 더보기 »

이문정

이문정(1989년 3월 23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갑술환국와 이문정 · 더보기 »

이건명 (조선)

이건명(李健命, 1663년~1722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갑술환국와 이건명 (조선) · 더보기 »

이기정

이기정(1995년 7월 18일 ~)은 대한민국의 컬링 선수이.

새로운!!: 갑술환국와 이기정 · 더보기 »

이장영

이장영(李長榮, 1955년 1월 15일 ~, 대구)은 대한민국의 경제학자이자, 금융감독원 부원장 등을 역임한 경제부처 공직자이.

새로운!!: 갑술환국와 이장영 · 더보기 »

이이명

이이명(李頤命, 1658년 ~ 1722년 4월 30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출신 문신·정치인·학자로 노론 4대신의 한사람이.

새로운!!: 갑술환국와 이이명 · 더보기 »

이인좌의 난

이인좌의 난(李麟佐亂)은 조선 영조(英祖) 4년(1728년) 소론 강경파와 남인 일부가 경종의 죽음에 영조와 노론이 관계되었다고 주장하면서 일으킨 반란이.

새로운!!: 갑술환국와 이인좌의 난 · 더보기 »

이정영

이정영(李正英, 1616년 ~ 1686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서예가, 조각가이.

새로운!!: 갑술환국와 이정영 · 더보기 »

이진명

이진명(1955년 ~)은 대한민국의 시인이.

새로운!!: 갑술환국와 이진명 · 더보기 »

이유

이유(理由)는 어떤 귀결 내지 결과를 낳기 위한 논거 또는 근거를 말. 충족이유율(充足理由律)에 의하면, 충분한 이유가 없으면 어떠한 사실도 생겨나지 않으며, 어떠한 판단도 참된 것(眞)이 못.

새로운!!: 갑술환국와 이유 · 더보기 »

이사명

이사명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갑술환국와 이사명 · 더보기 »

인목왕후

인목왕후 김씨(仁穆王后 金氏, 1584년 12월 15일/음력 11월 14일 ~ 1632년 8월 13일/음력 6월 28일)는 조선 선조(宣祖)의 계비(繼妃, 임금이 다시 장가를 가서 맞은 아내)이.

새로운!!: 갑술환국와 인목왕후 · 더보기 »

인현왕후

인현왕후 민씨(仁顯王后 閔氏, 1667년 5월 15일(음력 4월 23일) ~ 1701년 9월 16일(음력 8월 14일))는 조선 제19대 임금인 숙종의 2번째 왕후(王后)이.

새로운!!: 갑술환국와 인현왕후 · 더보기 »

인현왕후전

《인현왕후전(仁顯王后傳)》은 지은이와 연대 미상의 전기로, 원명은 《인현성모덕행록(仁顯聖母德行錄)》이.

새로운!!: 갑술환국와 인현왕후전 · 더보기 »

의금부

의금부 터 의금부(義禁府)는 고려와 조선의 수사기관이.

새로운!!: 갑술환국와 의금부 · 더보기 »

의원군

의원군(義原君)이라는 작위를 받은 조선 왕족 종실은 다음과 같.

새로운!!: 갑술환국와 의원군 · 더보기 »

조사석

조사석(趙師錫, 1632년 ∼ 1693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갑술환국와 조사석 · 더보기 »

조선 경종

경종(景宗, 1688년 11월 20일(음력 10월 28일) ~ 1724년 10월 11일(음력 8월 25일))은 조선의 제20대 임금이.

새로운!!: 갑술환국와 조선 경종 · 더보기 »

조선 효종

효종의 한글편지 효종(孝宗, 1619년 7월 3일 (음력 5월 22일) ~ 1659년 6월 23일 (음력 5월 4일), 재위: 1649년 ~ 1659년)은 조선의 제17대 임금이.

새로운!!: 갑술환국와 조선 효종 · 더보기 »

조선 정조

정조 (正祖, 1752년 10월 28일(음력 9월 22일) ~ 1800년 8월 18일(음력 6월 28일))는 조선의 제22대 왕이며, 대한제국의 추존 황제이.

새로운!!: 갑술환국와 조선 정조 · 더보기 »

조선 숙종

숙종(肅宗, 1661년 10월 7일(음력 8월 15일) ~ 1720년 7월 12일(음력 6월 8일))은 조선의 제19대 왕이.

새로운!!: 갑술환국와 조선 숙종 · 더보기 »

조선 영조

영조(英祖, 1694년 10월 31일(음력 9월 13일) ~ 1776년 4월 22일(음력 3월 5일))는 조선의 제21대 왕(재위, 1724년 10월 16일 ~ 1776년 4월 22일)이.

새로운!!: 갑술환국와 조선 영조 · 더보기 »

조선 선조

선조(宣祖, 1552년 11월 26일 (음력 11월 11일) ~ 1608년 3월 16일 (음력 2월 1일))는 조선의 제14대 임금 (재위 1567년~1608년)이.

새로운!!: 갑술환국와 조선 선조 · 더보기 »

윤희

윤희(尹喜, ?~?)는 중국 주나라와 전국시대 진나라의 도가(道家) 철학자이.

새로운!!: 갑술환국와 윤희 · 더보기 »

윤증

윤증 초상 윤증 윤증(尹拯, 1629년 ~ 1714년 1월 30일)은 조선 후기의 학자, 정치인, 사상가이.

새로운!!: 갑술환국와 윤증 · 더보기 »

윤지선

윤지선(1627년 ~ 1704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숙종 때 좌의정을.

새로운!!: 갑술환국와 윤지선 · 더보기 »

윤지완

윤지완(尹趾完, 1635년~1718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갑술환국와 윤지완 · 더보기 »

숙명공주

숙명공주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갑술환국와 숙명공주 · 더보기 »

숙빈 최씨

숙빈 최씨(淑嬪 崔氏, 1670년 12월 17일(음력 11월 6일) ~ 1718년 4월 9일(음력 3월 9일))는 조선의 19대 왕 숙종(肅宗)의 총관후궁이자, 21대 왕 영조(英祖)의 생모이.

새로운!!: 갑술환국와 숙빈 최씨 · 더보기 »

숙휘공주

숙휘공주(淑徽公主, 1642년 ~ 1696년 10월 27일)는 조선의 공주로 제17대 왕 효종(孝宗, 1619~1659, 재위: 1649~1659)과 인선왕후 장씨(仁宣王后 張氏, 1618~1674)의 4녀이.

새로운!!: 갑술환국와 숙휘공주 · 더보기 »

숙안공주

숙안공주(淑安公主, 1636년 ~ 1697년 음력 12월 22일)는 조선의 공주로 제17대 왕 효종(孝宗, 1619~1659, 재위: 1649~1659)과 인선왕후 장씨(仁宣王后 張氏, 1618~1674) 사이의 차녀이.

새로운!!: 갑술환국와 숙안공주 · 더보기 »

영빈 김씨

영빈 김씨(寧嬪 金氏, 1669년 ~ 1735년 음력 1월 12일)는 조선 제19대 왕 숙종의 후궁이.

새로운!!: 갑술환국와 영빈 김씨 · 더보기 »

오시복

오시복(1637년 ~ ?)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남인의 핵심 인물이었.

새로운!!: 갑술환국와 오시복 · 더보기 »

오시수

오시수(吳始壽, 1632년 2월 8일 ~ 1681년 6월 12일)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갑술환국와 오시수 · 더보기 »

예송

예송(禮訟) 또는 예송논쟁(禮訟論爭)은 예절에 관한 논란으로, 효종과 효종비 인선왕후에 대한 계모 자의대비(慈懿大妃)의 복상기간을 둘러싸고 현종, 숙종대에 발생한 서인과 남인간의 논쟁이.

새로운!!: 갑술환국와 예송 · 더보기 »

최석항

석항(崔錫恒, 1654년 ~ 1724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이.

새로운!!: 갑술환국와 최석항 · 더보기 »

사헌부

사헌부는 고려와 조선의 종이품아문 S 조선 최대의 거리, '육조거리' 행정기관이.

새로운!!: 갑술환국와 사헌부 · 더보기 »

삼복의 옥

삼복의 옥(三福-獄)은 조선 숙종때의 정승 허적(許積)의 서자 허견이 종실 복창군(福昌君), 복선군(福善君), 복평군(福平君)의 3형제와 역모를 꾸민다고 고변하면서 발생한 사건이.

새로운!!: 갑술환국와 삼복의 옥 · 더보기 »

서문중

서문중(徐文重, 1634년 ~ 1709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갑술환국와 서문중 · 더보기 »

서인

서인(西人)은 조선 시대 붕당정치 초기의 당파로, 1575년(선조 8)의 동서분당(東西分黨)으로 생긴 당파의 하나이.

새로운!!: 갑술환국와 서인 · 더보기 »

송준길

송준길(宋浚吉, 1606년 12월 28일 ~ 1672년 12월 2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성리학자·정치가로서 유교 주자학의 대가였.

새로운!!: 갑술환국와 송준길 · 더보기 »

소론

소론(少論)은 조선 붕당정치의 한 당파이.

새로운!!: 갑술환국와 소론 · 더보기 »

신임사화

신임사화(辛壬士禍) 또는 신임옥사(辛壬獄事)는 조선 경종 즉위 1년 후인 1721년부터 다음 해 1722년까지 당파인 노론과 소론 이 연잉군 왕세제 책봉문제로 충돌한 사건이.

새로운!!: 갑술환국와 신임사화 · 더보기 »

신익상

신익상(申翼相, 1634년 ~ 1697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갑술환국와 신익상 · 더보기 »

홍수의 변

홍수의 변(紅袖之變)은 조선 숙종 1년, 인조의 셋째 아들 인평대군의 아들인 종친 복창군과 복평군이 궁녀와 간통하여 자식을 보았다는 청풍부원군 김우명의 거짓 고발로 발발한 사건이.

새로운!!: 갑술환국와 홍수의 변 · 더보기 »

환국

환국(換局)은 시국이나 정국이 바뀌었다는 것을 뜻. 특히 한국사에서 조선 후기에 집권 세력이 급변하면서 이에 따라 정국이 바뀌는 것을 가리.

새로운!!: 갑술환국와 환국 · 더보기 »

1689년

1689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갑술환국와 1689년 · 더보기 »

1694년

1694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갑술환국와 1694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갑술옥사.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