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구세계

색인 구세계

세계 구세계(舊世界) 혹은 구대륙(舊大陸)은 15세기까지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사람들에게 알려졌던 지역을 말.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합쳐서 아프로·유라시아)와 주변의 섬을.

13 처지: 동반구, 북아프리카, 대항해시대, 유럽, 유라시아, 수에즈 운하, 오스트랄라시아,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아메리카, 아프로·유라시아, 아프리카, 아시아, 신대륙.

동반구

색 부분이 동반구이다 동반구 동반구(東半球)는 그리니치 천문대를 지나는 본초 자오선을 기준으로 동쪽의 반구를 말. 아시아와 유럽, 아프리카, 오세아니아가 포함되며, 정치지리학 용어인 구세계의 뜻으로 쓰이.

새로운!!: 구세계와 동반구 · 더보기 »

북아프리카

북아프리카의 범위 북아프리카는 대체로 다음 나라들을 말.

새로운!!: 구세계와 북아프리카 · 더보기 »

대항해시대

포르투갈 리스본의 발견기념비. 대항해시대(大航海時代) 또는 대발견 시대(大發見時代)는 15세기 후반부터 18세기 중반까지 유럽의 배들이 세계를 돌아다니며 항로를 개척하고 탐험과 무역을 하던 시기를 말. 그 과정에서, 유럽인들은 자신들이 알지 못했던 아메리카 대륙과 같은 지리적 발견을 달성.

새로운!!: 구세계와 대항해시대 · 더보기 »

유럽

리 받아들여지는 '''유럽'''의 정의:- 녹색은 지리적 유럽- 진한 파랑색은 문화적 유럽 (옅은 파랑색은 유럽 국가의 아시아 부분) 유럽() 또는 구주(한자: 歐洲), 구라파(한자: 歐羅巴)는 대륙 중 하나로, 우랄 산맥과 캅카스 산맥, 우랄 강, 카스피 해, 흑해와 에게 해의 물길을 분수령으로 하여 아시아와 구분한 지역을 일컫.

새로운!!: 구세계와 유럽 · 더보기 »

유라시아

유라시아()는 아시아와 유럽을 하나의 대륙으로 보는 이름이.

새로운!!: 구세계와 유라시아 · 더보기 »

수에즈 운하

수에즈 운하의 위성 사진 수에즈 운하()는 지중해와 홍해를 잇는 운하이.

새로운!!: 구세계와 수에즈 운하 · 더보기 »

오스트랄라시아

오스트랄라시아(Australasia)는 오세아니아의 일부 지역을 부르는 이름이.

새로운!!: 구세계와 오스트랄라시아 · 더보기 »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UN에서 분류하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수단은 아랍세계 국가로 분류하기도 함.)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Sub-Saharan Africa)는 사하라 사막의 남쪽에 있는 아프리카 대륙의 지역, 또는 전체적으로나 부분적으로 사하라 남쪽에 위치한 아프리카 국가들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구세계와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 더보기 »

아메리카

18 세기의 아메리카 지도 CIA의 아메리카 지도 아메리카(음역어: 미주(美洲))는 북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를 함께 부르는 이름이.

새로운!!: 구세계와 아메리카 · 더보기 »

아프로·유라시아

륙 아프로·유라시아(Afro-Eurasia)는 이를 하나의 대륙으로 취급할 경우 세계에서 가장 큰 대륙으로 인류의 약 85%가 살고 있. 수에즈 운하를 경계로 아프리카와 유라시아의 두 대륙으로 다시 나눌 수 있. 역사학자들은 유라시아-북아프리카와 사하라 이남 아프리.

새로운!!: 구세계와 아프로·유라시아 · 더보기 »

아프리카

아프리카의 인공위성 합성사진 아프리카(Africa, 음역: 아비리가(阿非利加))는 아시아 다음으로 면적이 넓고 인구가 많은 대륙이.

새로운!!: 구세계와 아프리카 · 더보기 »

아시아

아시아의 인공위성 합성사진 동남아시아 아시아(음역: 亞細亞 아세아) 또는 아주(亞洲)는 지구에서 가장 넓고 인구가 많은 대륙으로, 면적은 44,579,000km²이.

새로운!!: 구세계와 아시아 · 더보기 »

신대륙

구세계 (회색)와 구별되는 신세계 (녹색). 신세계(新世界)는 지구의 비유럽권, 비아프리카권에 쓰이는 이름으로 대항해 시대 때 유럽인이 새로 발견한 토지에 대한 호칭이.

새로운!!: 구세계와 신대륙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구대륙.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