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군사분계선

색인 군사분계선

사 분계선(軍事分界線)은 휴전(休戰) 중인 양측의 영역을 군사적으로 나누는 경계선을 말.

22 처지: 마크 웨인 클라크, 베트남 민주 공화국, 베트남 공화국, 북방한계선, 북위 17도, 북위 38도, 대한민국, 조선 서해 해상 군사분계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한반도, 한반도 군사 분계선, 한국 전쟁, 황해, 1945년, 1950년, 1953년, 1999년, 6월 25일, 7월 27일, 8월 30일, 9월, 9월 2일.

마크 웨인 클라크

마크 웨인 클라크(Mark Wayne Clark, 1896년 5월 1일 ~ 1984년 4월 17일)은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 참전했던 미국 육군의 장군으로, 당시 최연소 중장에 임관한 이력을 가지고 있. 2차 대전 동안 혁혁한 공을 세웠으며, 횃불 작전과 이탈리아 전역에 참가하였.

새로운!!: 군사분계선와 마크 웨인 클라크 · 더보기 »

베트남 민주 공화국

북베트남 지도 베트남 민주공화국(越南民主共和國) 1945년 9월 2일 호찌민()을 중심으로 세워진 동남아시아 최초의 공산주의 국가이.

새로운!!: 군사분계선와 베트남 민주 공화국 · 더보기 »

베트남 공화국

베트남의 지도 베트남 공화국(越南共和國,, 월남공화) 또는 남베트남(南越南) 은 1955년 10월 26일부터 1975년 4월 30일까지 북위 17도 베트남 군사분계선 이남에 존재했던 나라이.

새로운!!: 군사분계선와 베트남 공화국 · 더보기 »

북방한계선

북방한계선 북방한계선(北方限界線,, 줄여서 NLL)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이에 설정된 사실상의 남북 해상 군사 분계선을 말. 이중 서해 북방한계선(西海北方限界線)은 대한민국 서해 5도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남도 해안 사이에 설정된 해상 경계선으로, 1999년 제1연평해전 이후 군사적인 분쟁 이슈로 떠오르고 있.

새로운!!: 군사분계선와 북방한계선 · 더보기 »

북위 17도

북위 17도(北緯十七八度)는 적도를 기준으로 북쪽으로 17도를 지나는 위선이.

새로운!!: 군사분계선와 북위 17도 · 더보기 »

북위 38도

북위 38도(北緯三十八度)는 적도를 기준으로 북쪽으로 38도를 지나는 위선이.

새로운!!: 군사분계선와 북위 38도 · 더보기 »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군사분계선와 대한민국 · 더보기 »

조선 서해 해상 군사분계선

red: 조선 서해 해상 군사분계선 (1999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선포) 조선 서해 해상 군사분계선(朝鮮西海海上軍事分界線, Korea West Sea Maritime Military Demarcation line, KWSMMD) 1999년 9월부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일방적으로 주장하는 황해상의 군사분계선이.

새로운!!: 군사분계선와 조선 서해 해상 군사분계선 · 더보기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북부에 위치한 국가이.

새로운!!: 군사분계선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더보기 »

한반도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한반도의 모양 한반도(韓半島)는 정치지리학적으로 동아시아에 위치해 있으며, 지형학적으로 유라시아 대륙의 동북쪽 끝에 있는 반도이.

새로운!!: 군사분계선와 한반도 · 더보기 »

한반도 군사 분계선

비무장지대 북쪽의 철조망 한반도의 군사 분계선(韓半島軍事分界線)은 한반도의 남북을 분단하여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경계를 이루는 지도상의 선이.

새로운!!: 군사분계선와 한반도 군사 분계선 · 더보기 »

한국 전쟁

국 전쟁(韓國戰爭)은 1950년 6월 25일 새벽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대한민국을 침공하여 발발한 전쟁이.

새로운!!: 군사분계선와 한국 전쟁 · 더보기 »

황해

반도 주변 바다의 이름 황해(黃海) 또는 서해(西海))는 태평양의 일부로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 연안의 바다이다. 황하의 토사가 유입되어 바다의 색깔이 누런 빛을 띠기 때문에 황해(서해)라는 이름이 붙었다. 대한민국에서는 한반도 서쪽에 있는 바다라고 해서 서해라고도 부르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조선서해(朝鮮西海)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프랑스 지도 제작자 당빌이 만든 신중국지도첩(1737년)에 표기된 황해()가 국제 표준으로 쓰인다. 대한민국에서도 교과서나 지도 등에 황해라고 기술하는 경우가 있다.

새로운!!: 군사분계선와 황해 · 더보기 »

1945년

1945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군사분계선와 1945년 · 더보기 »

1950년

한국 전쟁 중 아주머니와 아이가 땔깜용 파편을 구하는 모습. 1950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군사분계선와 1950년 · 더보기 »

1953년

1953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군사분계선와 1953년 · 더보기 »

1999년

1999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군사분계선와 1999년 · 더보기 »

6월 25일

6월 2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76번째(윤년일 경우 17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군사분계선와 6월 25일 · 더보기 »

7월 27일

7월 2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08번째(윤년일 경우 20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군사분계선와 7월 27일 · 더보기 »

8월 30일

8월 3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42번째(윤년일 경우 24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군사분계선와 8월 30일 · 더보기 »

9월

9월(九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아홉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 한국, 중국, 일본, 미국과 같은 북반구에는 가을이 되며,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과 같은 남반구에는 봄이.

새로운!!: 군사분계선와 9월 · 더보기 »

9월 2일

9월 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45번째(윤년일 경우 24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군사분계선와 9월 2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군사 분계선, 한국의 군사 분계선.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