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근대철학

색인 근대철학

적인 철학자 도표 근대 철학(近代哲學)은 17세기에 서유럽에서 시작한 철학을 말하며, 현재는 온 세계로 펴져.

87 처지: 데이비드 흄, 도덕, 독일 관념론, 루돌프 카르나프,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르네 데카르트, 마르틴 하이데거, 막스 셸러, 모더니즘, 모리스 메를로퐁티, 모리츠 슐리크, 몽테뉴, 무신론, 뮌헨 대학교, 미국, 바뤼흐 스피노자, 가브리엘 마르셀, 경험론,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버트런드 러셀, ,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 고틀로프 프레게, 과학, 괴팅겐 대학교, 관념론, 권리, 권위, 분석철학, 논리학, 뉴질랜드, 니콜라 말브랑슈, G. E. 무어, 스칸디나비아, 스콜라주의, 요한 고틀리프 피히테, 자유, 자연과학, 장자크 루소, 장폴 사르트르, 재산, 이마누엘 칸트, 인식론, 제1철학에 관한 성찰, 제러미 벤담, 제임스 밀, 정의, 정치, 정치철학, 조지 버클리, ..., 존 로크, 존 듀이, 존 스튜어트 밀, 찰스 샌더스 퍼스, 철학, 카를 마르크스, 카를 야스퍼스, 캐나다, 코기토 에르고 숨, 유사주의, 유아론, 윤리학, 윌리엄 제임스,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현상학, 형이상학, 언어, 에드문트 후설, 역사철학, 염세주의, 플라톤, 프랜시스 허버트 브래들리, 프리드리히 빌헬름 요제프 셸링, 프리드리히 니체, 프리드리히 엥겔스, 서유럽, 토머스 홉스, 쇠렌 키르케고르, 합리론, 아르투어 쇼펜하우어, 아리스토텔레스, 신은 죽었다, 실용주의, 실존주의, 심리철학, 시몬 드 보부아르.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37 더) »

데이비드 흄

이비드 흄(1711년 4월 26일 - 1776년 8월 25일)은 스코틀랜드 출신의 철학자이자 경제학자이며 역사가이.

새로운!!: 근대철학와 데이비드 흄 · 더보기 »

도덕

덕(道德, 영어 "Morality"는 라틴어moralitas에서 유래했다.), 곧 "예의범절, 성품, 예의바른 행동"(manner, character, proper behavior")은 덕과 악덕을 분간하는 것을 배우는 과정이.

새로운!!: 근대철학와 도덕 · 더보기 »

독일 관념론

독일 관념론(Deutscher Idealismus)은 18세기 말부터 19세기 중반까지 독일의 주로 루터파 지역에서 전개했던 철학 사상이.

새로운!!: 근대철학와 독일 관념론 · 더보기 »

루돌프 카르나프

르나프(1891년 5월 18일 ~ 1970년 9월 14일)는 현대 독일의 철학자이.

새로운!!: 근대철학와 루돌프 카르나프 · 더보기 »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비히 요제프 요한 비트겐슈타인(1889년 4월 26일 ~ 1951년 4월 29일)은 오스트리아와 영국에서 활동한 철학자이며, 논리학, 수학 철학, 심리 철학, 언어 철학 분야에 업적을.

새로운!!: 근대철학와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 더보기 »

르네 데카르트

르네 데카르트(1596년 3월 31일 - 1650년 2월 11일)는 프랑스의 물리학자, 근대 철학의 아버지, 해석기하학의 창시자로 불린.

새로운!!: 근대철학와 르네 데카르트 · 더보기 »

마르틴 하이데거

마르틴 하이데거(1889년 9월 26일 ~ 1976년 5월 26일)는 메스키르히에서 출생한 독일의 철학자이.

새로운!!: 근대철학와 마르틴 하이데거 · 더보기 »

막스 셸러

막스 셸러 막스 셸러(Max Scheler, 1874년 ~ 1928년)는 독일의 철학자이.

새로운!!: 근대철학와 막스 셸러 · 더보기 »

모더니즘

모더니즘(Modernism) 또는 근대주의(近代主義)는 종래의 전통이나 권위 등에 반대하여, 근대의 과학이나 문화에 의해서 자유·평등한 근대인으로서 살아가려는 개인주의의 입장을 말. 나아가서 기계 문명이나 도시 생활의 근대성 또는 미학적 근대주의와 서양 미술 전반의 보편적인 감각을 중시하는 경향도 지칭.

새로운!!: 근대철학와 모더니즘 · 더보기 »

모리스 메를로퐁티

모리스 메를로퐁티(Maurice Merleau-Ponty, 1908년 3월 14일 ~ 1961년 5월 4일)는 프랑스의 철학자이.

새로운!!: 근대철학와 모리스 메를로퐁티 · 더보기 »

모리츠 슐리크

모리츠 슐리크 모리츠 슐리크(Moritz Schlick, 1882년~1936년)는 독일의 철학자이.

새로운!!: 근대철학와 모리츠 슐리크 · 더보기 »

몽테뉴

산악파(라 몽테뉴)는 프랑스 혁명 중 프랑스 정치 파벌의 하나이.

새로운!!: 근대철학와 몽테뉴 · 더보기 »

무신론

무신론(無神論)은 큰 의미에서 신의 존재에 대한 신앙을 부정하거나, 신의 존재 자체를 인정하지 않는 사상이.

새로운!!: 근대철학와 무신론 · 더보기 »

뮌헨 대학교

비히-막시밀리안 뮌헨 대학교()는 독일 뮌헨에 있는 공립 대학이.

새로운!!: 근대철학와 뮌헨 대학교 · 더보기 »

미국

미합중국(美合衆國,, U.S.A.), 약칭 합중국(U.S.) 또는 미국(美國)은 주 50개와 특별구 1개로 이루어진 연방제 공화국이.

새로운!!: 근대철학와 미국 · 더보기 »

바뤼흐 스피노자

바뤼흐 스피노자 바뤼흐 스피노자(‎,, 1632년 11월 24일 ~ 1677년 2월 21일)는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태어난 포르투갈계 유대인 혈통의 철학자이.

새로운!!: 근대철학와 바뤼흐 스피노자 · 더보기 »

가브리엘 마르셀

브리엘 오노레 마르셀(1889년 12월 7일 파리 ~ 1973년 10월 8일 파리)은 프랑스의 철학자·극작가·비평가이.

새로운!!: 근대철학와 가브리엘 마르셀 · 더보기 »

경험론

경험론(經驗論)이란 철학에서 감각의 경험을 통해 얻은 증거들로부터 비롯된 지식을 강조하는 이론이.

새로운!!: 근대철학와 경험론 · 더보기 »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Georg Wilhelm Friedrich Hegel, 1770년 8월 27일~1831년 11월 14일)은 관념철학을 대표하는 독일의 철학자이.

새로운!!: 근대철학와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 더보기 »

버트런드 러셀

제3대 러셀 백작 버트런드 아서 윌리엄 러셀(Bertrand Arthur William Russell, 3rd Earl Russell, OM, FRS, 1872년 5월 18일 ~ 1970년 2월 2일)은 영국의 수학자, 철학자, 수리논리학자, 역사가, 사회 비평가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1 May 2003.

새로운!!: 근대철학와 버트런드 러셀 · 더보기 »

정의의 의인화 유스티티아. 법(法)은 질서를 유지하고 사회가 유지되기 위해 정의를 실현함을 직접 목적으로 하는 국가의 강제력을 수반하는 사회적 규범 또는 관습을 말. 넓은 뜻으로는 자연법(自然法), 헌법(憲法), 관습법(慣習法), 명령, 규칙, 판례까지를 포함하지만 좁은 뜻에서는 일정한 조직과 절차 밑에서 제정된 법률을 가리.

새로운!!: 근대철학와 법 · 더보기 »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

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1646년 7월 1일 ~ 1716년 11월 14일)는 독일의 철학자이자 수학자이.

새로운!!: 근대철학와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 · 더보기 »

고틀로프 프레게

리드리히 루트비히 고틀로프 프레게(1848년 11월 8일 ~ 1925년 7월 26일)는 독일의 수리논리학자이자 철학자이.

새로운!!: 근대철학와 고틀로프 프레게 · 더보기 »

과학

원자의 보어 모형은 실험에 의해 검증된 과학 이론으로, 나중에 보다 정교한 실험을 통해 부분적으로 반증되었다. 이와 같은 사례는 과학사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과학(科學, Science)은 사물의 구조·성질·법칙 등을 관찰 가능한 방법으로 얻어진 체계적·이론적인 지식의 체계를 말. 좁게는 인류가 경험주의와 방법론적 자연주의에 근거하여 실험을 통해 얻어낸 자연계에 대한 지식들을 의미.

새로운!!: 근대철학와 과학 · 더보기 »

괴팅겐 대학교

오르크 아우구스트 괴팅겐 대학교(괴팅겐 대학교)는 독일 니더작센 주 괴팅겐에 있는 대학교이.

새로운!!: 근대철학와 괴팅겐 대학교 · 더보기 »

관념론

제임스 진스는 "우주가 거대한 기계라기보다는 거대한 정신처럼 보이기 시작한다"라고 기술하였다. 관념론(觀念論)은 실체 또는 우리가 알 수 있는 실체는 근본적으로 정신적이거나 정신적으로 구성되었거나 또는 비물질적이라고 주장하는 철학적 입장이.

새로운!!: 근대철학와 관념론 · 더보기 »

권리

리(權利)는 인간과 집단이 국가, 사회, 단체 활동을 함에 있어 정당하게 행사할 수 있는 힘이.

새로운!!: 근대철학와 권리 · 더보기 »

권위

위(權威, authority, 라틴어 auctoritas)라는 말은 국가(정부, 판사, 경찰 등)에 의해서 혹은 어떤 분야(어떤 주제에 관한 권위자)의 학문적 지식에 의해서 힘이 실행되는 권리를 의미.

새로운!!: 근대철학와 권위 · 더보기 »

분석철학

분석철학의 창시자 중 한 명인 버트런드 러셀 분석철학(分析哲學, 애널리틱 펄라서피)은 철학 연구에서 언어 분석의 방법이나 기호 논리의 활용이 불가결하다고 믿는 이들의 철학을 총칭한 것이.

새로운!!: 근대철학와 분석철학 · 더보기 »

논리학

리학(論理學,, logic)은 인간의 두뇌 활동과 관련하여 그 원리들을 분석하고 명제화하여 체계화하는 학문이.

새로운!!: 근대철학와 논리학 · 더보기 »

뉴질랜드

(), 아오테아로아()는 태평양 남서부에 위치한 섬나라이.

새로운!!: 근대철학와 뉴질랜드 · 더보기 »

니콜라 말브랑슈

말브랑슈 니콜라 말브랑슈(Nicolas Malebranche, 1638년 8월 6일 ~ 1715년 10월 13일)는 프랑스의 기회원인론자, 철학자이.

새로운!!: 근대철학와 니콜라 말브랑슈 · 더보기 »

G. E. 무어

조지 에드워드 무어(George Edward Moore, OM, 1873년 11월 4일~1958년 10월 24일)는 영국의 철학자로, 버트런드 러셀,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고틀로프 프레게 등과 함께 현대 분석 철학의 기초를 닦은 사람이.

새로운!!: 근대철학와 G. E. 무어 · 더보기 »

스칸디나비아

붉은색: 엄격한 의미에서의 스칸디나비아.주황색: 확장된 영역. 노랑색: 노르딕 국가 영역 스칸디나비아 (Scandinavia)는 북유럽의 스칸디나비아 반도를 중심으로 한 문화·역사적 지역을 일컫.

새로운!!: 근대철학와 스칸디나비아 · 더보기 »

스콜라주의

14세기 학교 모습 스콜라주의()에서 스콜라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여유'라는 뜻을 가진 스콜레(σχολη)를 라틴어로 (schola) 소리 나는 대로 적은 낱말로서 오늘날 '학파'라는 뜻으로 이해되고 있으며, 특히 9세기에서 15세기에 걸쳐서 유럽의 정신세계를 지배하였던 신학에 바탕을 둔 철학적 사상을 일컫는 데 쓰이고 있. 때문에 철학사에서는 이 시기의 철학을 통틀어서 흔히 스콜라주의라 부르고 있. 스콜라 철학은 기독교의 신학에 바탕을 두기 때문에 일반 철학이 추구하는 진리 탐구와 인식의 문제를 신앙과 결부시켜 생각하였으며, 인간이 지닌 이성 역시 신의 계시 혹은 전능 아래에서 이해하였.

새로운!!: 근대철학와 스콜라주의 · 더보기 »

요한 고틀리프 피히테

요한 고틀리프 피히테 (Johann Gottlieb Fichte, 1762년 5월 19일 - 1814년 1월 27일)는 독일 철학자이.

새로운!!: 근대철학와 요한 고틀리프 피히테 · 더보기 »

자유

자유(自由)는 일반적으로 어떤 존재가 내부나 외부로부터 구속이나 지배를 받지 않고 하고자 하는 것을 하거나 있는 그대로 존재할 수 있는 상태를 말. 서구 학술사의 맥락에서는 영어 리버티(liberty)와 프리덤(freedom)의 번역어로 사용되고 있. 단정할 수는 없으나 일반적으로 liberty는 freedom과 뚜렷한 차이를 갖. freedom은 주로 누군가가 의지한 대로 할 수 있는 능력이며, 누군가가 행위 할 수 있는 힘을 가짐을 말. 반면 liberty는 원칙 혹은 법이 아닌 자의적인 의지로 행해지는 억압을 봉쇄하는 것에 관심을 가지며 연루된 모든 이의 권리를.

새로운!!: 근대철학와 자유 · 더보기 »

자연과학

자연과학(自然科學, natural science)은 조직화된 지식의 체계이며, 과학의 한 분야이.

새로운!!: 근대철학와 자연과학 · 더보기 »

장자크 루소

장 자크 루소(Jean-Jacques Rousseau, 1712년 6월 28일 ~ 1778년 7월 2일)는 스위스 제네바 공화국에서 태어난 프랑스의 사회계약론자이자 직접민주주의자, 공화주의자, 계몽주의 철학자이.

새로운!!: 근대철학와 장자크 루소 · 더보기 »

장폴 사르트르

장폴 사르트르(1905년 6월 21일 ~ 1980년 4월 15일)는 프랑스 실존주의 철학자, 대표적인 실존주의 사상가이며 작가이.

새로운!!: 근대철학와 장폴 사르트르 · 더보기 »

재산

재산(財産)은 개인이나 단체에 속하는 경제적 가치가 있는 것을 두루 이르는 말이.

새로운!!: 근대철학와 재산 · 더보기 »

이마누엘 칸트

이마누엘 칸트(1724년 4월 22일 ~ 1804년 2월 12일)는 근대 계몽주의를 정점에 올려놓았고 독일 관념철학의 기초를 놓은 프로이센의 철학자이.

새로운!!: 근대철학와 이마누엘 칸트 · 더보기 »

인식론

인식론(認識論)은 지식에 대한 제반 사항을 다루는 철학의 한 분야로서 지식의 본질, 신념의 합리성과 정당성 등을 연. 인식론(Epistemology)은 고대 그리스어의 episteme(지식 또는 인식)와 logos(이론)을 합친 데에서 비롯하였.

새로운!!: 근대철학와 인식론 · 더보기 »

제1철학에 관한 성찰

《제1철학에 관한 성찰》(第一哲學- 省察)(이하 '성찰')은 르네 데카르트가 라틴어로 집필하여 1641년에 처음 출간된 형이상학에 관한 저서이.

새로운!!: 근대철학와 제1철학에 관한 성찰 · 더보기 »

제러미 벤담

제러미 벤담(1748년 2월 15일 ~ 1832년 6월 6일)은 영국의 법학자·철학자이자, 변호사이.

새로운!!: 근대철학와 제러미 벤담 · 더보기 »

제임스 밀

''Elements of political economy'', 1826 Alexander Bain, ''James Mill. A biography'', 1882 제임스 밀(James Mill, 1773년 4월 6일 - 1836년 6월 23일)은 스코틀랜드 출신으로 잉글랜드에서 활동한 영국의 계몽주의자, 공리주의 철학자, 정치학자, 경제학자, 역사학자, 동인도회사의 간부로서, 존 스튜어트 밀의 부친이.

새로운!!: 근대철학와 제임스 밀 · 더보기 »

정의

안대를 두르고 저울과 칼을 든 유스티티아는 정의의 상징이다. 정의(正義)는 사회를 구성하고 유지하기 위해 사회 구성원들이 공정하고 올바른 상태를 추구해야 한다는 가치로, 대부분의 법이 포함하는 이념이.

새로운!!: 근대철학와 정의 · 더보기 »

정치

정치(政治, politics)에 대해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학문적인 정의는 데이비드 이스턴(David Easton)이 내린 "가치의 권위적 배분(authoritative allocation of values)"이.

새로운!!: 근대철학와 정치 · 더보기 »

정치철학

정치철학(政治哲學)은 시민과 국가, 평등과 자유, 법과 정의 등의 본질과 필요성, 정부의 합법성의 근원, 정치와 윤리와의 관계, 전쟁과 평화, 정치란 무엇인가 등에 대한 근원적인 물음에 관한 학문이며, 정치학의 한 분과이고 철학적인 차원에서 논의되는 분야이.

새로운!!: 근대철학와 정치철학 · 더보기 »

조지 버클리

조지 버클리 조지 버클리(George Berkeley, 1685년 3월 12일 – 1753년 1월 14일)는 아일랜드의 철학자이자, 성공회 주교이.

새로운!!: 근대철학와 조지 버클리 · 더보기 »

존 로크

존 로크 존 로크(John Locke, 1632년 8월 29일 - 1704년 10월 28일)는 잉글랜드 왕국의 철학자·정치사상가이다 로크는 영국의 첫 경험론 철학자로 평가를 받지만, 사회계약론도 동등하게 중요한 평가를 받고 있. 그의 사상들은 인식론과 더불어 정치철학에 매우 큰 영향을 주었.

새로운!!: 근대철학와 존 로크 · 더보기 »

존 듀이

존 듀이(John Dewey, 1859년 10월 20일 ~ 1952년 6월 1일)는 미국의 철학자, 심리학자, 교육학자이.듀이는 미국인 최초로 자신이 직접 저술한 제목심리학 교과서를 출간하였.

새로운!!: 근대철학와 존 듀이 · 더보기 »

존 스튜어트 밀

존 스튜어트 밀 (John Stuart Mill, 1806년 5월 20일~1873년 5월 8일)은 영국의 사회학, 철학자이자 정치경제학자로서, 논리학, 윤리학, 정치학, 사회평론 등에 걸쳐서 방대한 저술을.

새로운!!: 근대철학와 존 스튜어트 밀 · 더보기 »

찰스 샌더스 퍼스

스 샌더스 퍼스(1839년~1914년)는 미국의 철학자이다. 현대 분석철학 및 기호논리학의 뛰어난 선구자 중 한 사람이다.

새로운!!: 근대철학와 찰스 샌더스 퍼스 · 더보기 »

철학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소크라테스가 독배를 마시는 모습 철학(哲學, 고대 그리스어: φιλοσοφία)은 존재, 지식, 가치, 이성, 인식 그리고 언어 등의 일반적이며 기본적인 대상의 실체를 연구하는 학문이.

새로운!!: 근대철학와 철학 · 더보기 »

카를 마르크스

를 하인리히 마르크스(1818년 5월 5일~1883년 3월 14일)는 후대에 큰 영향을 끼친 독일 라인란트 출신의 공산주의 혁명가, 역사학자, 경제학자, 철학자, 사회학자, 마르크스주의의 창시자이.

새로운!!: 근대철학와 카를 마르크스 · 더보기 »

카를 야스퍼스

를 야스퍼스(Karl Jaspers, 1883년 2월 23일~1969년 2월 26일)는 독일의 철학자이.

새로운!!: 근대철학와 카를 야스퍼스 · 더보기 »

캐나다

()는 북아메리카 북부의 연방 국가이.

새로운!!: 근대철학와 캐나다 · 더보기 »

코기토 에르고 숨

에르고 숨(해석: 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나는 존재한다.)은 데카르트가 방법적 회의 끝에 도달한 철학의 출발점이 되는 라틴어 명제이.

새로운!!: 근대철학와 코기토 에르고 숨 · 더보기 »

유사주의

유사주의 (有史主義)는 가장 일반적인 용어로서는 인간 생활의 모든 현상을 물리적인 시간 공간 개념과는 따로 있는 역사적인 흐름 가운데 있고, 그 생성과 발전을 파악해야 한다는 주장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근대철학와 유사주의 · 더보기 »

유아론

유아론(唯我論/Solipsism) 또는 독아론(獨我論)은 주관적 관념론의 일종이.

새로운!!: 근대철학와 유아론 · 더보기 »

윤리학

윤리학(倫理學)은 도덕의 원리, 기원, 발달, 본질과 같은 인간의 올바른 행동과 선한 삶을 사회 전반에 걸쳐 근원적이고 총괄적으로 규명하는 철학의 주요 분야이.

새로운!!: 근대철학와 윤리학 · 더보기 »

윌리엄 제임스

윌리엄 제임스 윌리엄 제임스(William James, 1842년 1월 11일 뉴욕 주 뉴욕 ~ 1910년 8월 26일 뉴햄프셔 주 탬워스)는 미국의 철학자, 심리학자이.

새로운!!: 근대철학와 윌리엄 제임스 · 더보기 »

영국

이트 브리튼 북아일랜드 연합왕국(-聯合王國), 약칭 브리튼() 또는 연합왕국(聯合王國,, UK) 혹은 영국(英國)은 유럽 북서부 해안의 브리튼 제도에 위치한 주권국이자 섬나라로, 북해, 영국 해협, 아일랜드 해 및 대서양에 접하여 있으며 그레이트 브리튼 섬의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 및 아일랜드 섬 북부의 북아일랜드로 네 개의 구성국으로 이루어져 있는 연합국가이.

새로운!!: 근대철학와 영국 · 더보기 »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레일리아 연방(), 줄여서 오스트레일리아() 또는 호주는 오세아니아에 속하는 나라로, 오스트레일리아 대륙 본토와 태즈메이니아 섬, 그리고 인도양과 태평양의 많은 섬으로 이루어져 있. 세계에서 6번째로 면적이 넓은 나라이.

새로운!!: 근대철학와 오스트레일리아 · 더보기 »

현상학

현상학(現象學, phenomenology)은 에드문트 후설에 의해서 창시된 철학이.

새로운!!: 근대철학와 현상학 · 더보기 »

형이상학

형이상학(形而上學Metaphysics)으로 번역되는 영어 낱말 "메타피직스(Metaphysics)"는 그리스어의 메타(meta: 뒤)와 피지카(physika: 자연학)의 결합으로 아리스토텔레스에서 유래하였.

새로운!!: 근대철학와 형이상학 · 더보기 »

언어

언어(言語)에 대한 정의는 여러가지 시도가 있었.

새로운!!: 근대철학와 언어 · 더보기 »

에드문트 후설

에드문트 후설(독일어: Edmund Husserl, 1859년 4월 8일 - 1938년 4월 27일)은 현대철학의 주요 사상 가운데 하나인 현상학의 체계를 놓은 철학자이.

새로운!!: 근대철학와 에드문트 후설 · 더보기 »

역사철학

역사철학(歷史哲學)은 역사학의 본연의 자세, 목표 등에 대해 고찰을 하는 철학의 한 분야이.

새로운!!: 근대철학와 역사철학 · 더보기 »

염세주의

염세주의(厭世主義)는 비관주의(悲觀主義) 또는 페시미즘(pessimism)이라고도 하며, 세계는 원래 불합리하여 비애로 가득찬 것으로서 행복이나 희열도 덧없는 일시적인 것에 불과하다고 보는 세계관이.

새로운!!: 근대철학와 염세주의 · 더보기 »

플라톤

(Plátōn, "넓은, 어깨 폭이 넓은";,; 기원전 428년/기원전 427년 또는 기원전 424년/기원전 424년 ~ 기원전 348년/기원전 347년)은 서양의 다양한 학문에 영향력을 가진 그리스의 철학자이며 사상가였.

새로운!!: 근대철학와 플라톤 · 더보기 »

프랜시스 허버트 브래들리

시스 허버트 브래들리 프랜시스 허버트 브래들리(Francis Herbert Bradley, OM, 1846년 1월 30일~1924년 9월 18일)는 영국의 관념론 철학자이.

새로운!!: 근대철학와 프랜시스 허버트 브래들리 · 더보기 »

프리드리히 빌헬름 요제프 셸링

right 프리드리히 빌헬름 요제프 폰 셸링(Friedrich Wilhelm Joseph von Schelling, 1775년 1월 27일, 독일의 뷔르템베르크 지역의 레온베르크 ~ 1854년 8월 20일, 스위스 바드라가츠)은 독일의 철학자이.

새로운!!: 근대철학와 프리드리히 빌헬름 요제프 셸링 · 더보기 »

프리드리히 니체

리드리히 니체 프리드리히 빌헬름 니체(Friedrich Wilhelm Nietzsche, 1844년 10월 15일 ~ 1900년 8월 25일)는 독일의 문헌학자이자 철학자이.

새로운!!: 근대철학와 프리드리히 니체 · 더보기 »

프리드리히 엥겔스

엥겔스 프리드리히 엥겔스(1820년 11월 28일 - 1895년 8월 5일)는 독일의 사회주의 철학자·경제학자로 카를 마르크스와 함께 마르크스주의의 창시자 중 한 사람이.

새로운!!: 근대철학와 프리드리히 엥겔스 · 더보기 »

서유럽

200px 200px 서유럽(西 -)은 유럽의 서부를 지칭하는 말이.

새로운!!: 근대철학와 서유럽 · 더보기 »

토머스 홉스

머스 홉스(Thomas Hobbes, 1588년 4월 5일 ~ 1679년 12월 4일)는 잉글랜드 왕국의 정치철학자이자 최초의 민주적 사회계약론자이.

새로운!!: 근대철학와 토머스 홉스 · 더보기 »

쇠렌 키르케고르

쇠렌 오뷔에 키르케고르(1813년 5월 5일 ~ 1855년 11월 11일)는 19세기 덴마크 철학자이자, 신학자, 시인, 그리고 사회비평가이.

새로운!!: 근대철학와 쇠렌 키르케고르 · 더보기 »

합리론

인식론에서 합리론(合理論), 합리주의(合理主義) 또는 이성주의(理性主義)는 이성을 지식의 제일의 근원으로 보는 견해를 말. 합리론에서의 진리의 기준은 감각적인 것이 아니라 이성적이고 연역적인 방법론이나 이론으로 정의.

새로운!!: 근대철학와 합리론 · 더보기 »

아르투어 쇼펜하우어

아르투어 쇼펜하우어() 1788년 2월 22일 ~ 1860년 9월 21일)는 독일의 철학자다. 쇼펜하우어는 자신이 칸트의 사상을 비판적으로 받아들였으며 칸트의 사상을 올바르게 계승했다고 확신했다. 당대의 인기 학자였던 헤겔, 피히테, 셸링 등에 대해서는 칸트의 사상을 왜곡하여 사이비이론을 펼친다며 강력히 비판했다. 쇼펜하우어가 박사학위 논문으로 쓴 는 철학(인식론)의 고전이 되었다. 20대의 젊은 나이 때부터 수년 간 를 쓰기 시작하여 1818년에 출간하였다. 대학강의에서 헤겔과 충돌한 후 대학교수들의 파벌을 경멸하여 아무런 단체에도 얽매이지 않고 대학교 밖에서 줄곧 독자적인 연구활동을 지속하였다. 이후 자신의 철학이 자연과학의 증명과도 맞닿아 있음을 라는 책에서 주장했다. 그 뒤에 윤리학에 대한 두 논문을 묶어 출판하였다. 가 출판된 지 26년이 지난 1844년에 개정판을 출간하였다. 이후 라는 인생 전반에 관한 수필이 담긴 책을 출간했고 이 책은 쇼펜하우어를 유명 인사로 만들었다. 쇼펜하우어는 1820년 대에 동양학자 프리드리히 마이어를 통해 힌두교와 불교에 관해 알게 되었다. 이 종교들의 핵심교리 속에 자신과 칸트가 도달한 결론과 같은 것이 있음을 깨닫게 되었다. 먼 과거의 동양 사상가들이 서양과는 전혀 다른 환경, 언어, 문화 속에서 근대적인 서양철학의 과제에 대해서 같은 결론을 말하고 있다고 생각했다. 이 발견을 쇼펜하우어는 글로 써서 남겼고 서양에서 최초로 동양철학의 세련된 점을 독자들에게 알려주었다. 쇼펜하우어는 서양철학과 동양철학 간의 유사성을 말한 철학자이자 자신이 무신론자임을 노골적으로 표명한 독창적인 철학자로 손꼽힌다. 19세기 말에 유행하여 수많은 사상가들에게 영향을 끼쳤다.

새로운!!: 근대철학와 아르투어 쇼펜하우어 · 더보기 »

아리스토텔레스

아리스토텔레스(기원전 384년 ~ 322년)는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로, 플라톤의 제자이며, 알렉산더 대왕의 스승이.

새로운!!: 근대철학와 아리스토텔레스 · 더보기 »

신은 죽었다

신은 죽었다(독: Gott ist tot, 영: God is dead)는 독일의 철학자 프리드리히 니체의 말로서, 허무주의를 나타내는 말로 넓게 인용되는 말이.

새로운!!: 근대철학와 신은 죽었다 · 더보기 »

실용주의

미드. 실용주의(實用主義) 또는 프래그머티즘(Pragmatism)은 1870년 무렵 미국에서 시작된 철학적 전통이.

새로운!!: 근대철학와 실용주의 · 더보기 »

실존주의

스토에프스키, 장 폴 샤르트르, 니체 실존주의(實存主義)는 개인의 자유, 책임, 주관성을 중요하게 여기는 철학적, 문학적 흐름이.

새로운!!: 근대철학와 실존주의 · 더보기 »

심리철학

마음의 지도 심리철학 또는 정신 철학(Philosophy of mind)은 마음 또는 정신 현상, 정신적 기능 내지는 성질, 의식, 또 그것들과 물리적인 몸과의 관계를 다루는 철학의 한 분과이.

새로운!!: 근대철학와 심리철학 · 더보기 »

시몬 드 보부아르

시몬 드 보부아르와 장 폴 사르트르, 체 게바라의 1960년 쿠바에서의 만남 시몬 드 보부아르(1908년 1월 9일 - 1986년 4월 14일)는 프랑스의 작가이자 철학자이.

새로운!!: 근대철학와 시몬 드 보부아르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근대 철학.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