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대동맥

색인 대동맥

동맥(영어: Aorta, 大動脈)은 심장의 좌심실에서 시작되는 동맥의 본 줄기이.

17 처지: 동맥, 머리, , 배 (해부학), 가슴, 골반, 다리, 횡격막, 자율신경계통, 좌심실, , 숨뇌, 순환계통, 영어, 섬유아세포, 세포외기질, 심장.

동맥

인체의 주요 동맥 동맥(動脈)은 심장에서 온 몸으로 혈액을 나르는 혈관이.

새로운!!: 대동맥와 동맥 · 더보기 »

머리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그린 인간의 머리 머리는 사람이나 동물의 목 위의 부분을 가리.

새로운!!: 대동맥와 머리 · 더보기 »

사람의 목 목은 척추동물의 머리와 몸통을 연결하는 부위이.

새로운!!: 대동맥와 목 · 더보기 »

배 (해부학)

배(腹,, 스토머크) 또는 복부는 인간이나 동물의 몸통 앞 부분을 뜻하는 말로, 포유류에 있어서는 가슴 아래에서부터 골반 위까지의 부위이.

새로운!!: 대동맥와 배 (해부학) · 더보기 »

가슴

슴 부위의 해부학적 그림 가슴 또는 흉부(胸部)는 인간이나 여러 동물의 흉곽 부위를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대동맥와 가슴 · 더보기 »

골반

여성의 골반 남성의 골반 골반(骨盤, Pelvis)은 인체 해부학에서 복부 하단부에 위치하여 몸통과 하지를 연결하며, 배 속의 장기를 싸고 있는 뼈이.

새로운!!: 대동맥와 골반 · 더보기 »

다리

리에는 다음 뜻이 있.

새로운!!: 대동맥와 다리 · 더보기 »

횡격막

호흡기 횡격막(橫隔膜)은 가로무늬근을 말. 그 기시는 상위 요추(腰椎)·제12늑골·늑연골 하연(下緣)·흉골 하단·검상돌기이며, 정지는 횡격막 중앙에 있는 힘줄 중심이.

새로운!!: 대동맥와 횡격막 · 더보기 »

자율신경계통

자율신경계 모식도. 붉은 선이 교감신경, 푸른 선이 부교감신경을 나타낸다. 자율신경계(autonomic nervous system, ANS)는 말초신경계통에 속하는 신경계로 평활근과 심근, 외분비샘과 일부 내분비샘을 통제하여 동물 내부의 환경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새로운!!: 대동맥와 자율신경계통 · 더보기 »

좌심실

심장의 구조 좌심실 (영어:Left ventricle) 은 심장 왼쪽 아래에 있으며 기능은 좌심방에서 들어오는 피를 대동맥으로 보내는 일을.

새로운!!: 대동맥와 좌심실 · 더보기 »

(Arm)은 인체의 부위 중 하나로, 어깨와 손목 사이를 말. 팔꿈치로 나눠서 어깨 쪽을 위팔(upper arm) 또는 상완(上腕), 손목 쪽을 아래팔 또는 전완(前腕)으로 부른.

새로운!!: 대동맥와 팔 · 더보기 »

숨뇌

숨뇌의 위치 숨뇌(medulla oblongata) 또는 연수(延髓)는 뇌의 일부분이.

새로운!!: 대동맥와 숨뇌 · 더보기 »

순환계통

인간의 순환계붉은색은 동맥, 푸른색은 정맥이다. 순환계(循環系)는 몸 안의 각 기관에 영양과 산소, 에너지 등을 공급하고, 생명 활동으로 생기는 이산화탄소, 노폐물 등을 호흡계나 배설계로 전달하여 몸 밖으로 배출하도록 하는 혈액이나 림프액 같은 체액의 흐름을 담당하는 계통이.

새로운!!: 대동맥와 순환계통 · 더보기 »

영어

영어(英語)는 영국의 잉글랜드에서 기원한 서게르만어군 언어이.

새로운!!: 대동맥와 영어 · 더보기 »

섬유아세포

NIH/3T3 섬유아세포. 섬유아세포(纖維芽細胞, fibroblast)는 동물 조직을 위한 스트로마인 세포외기질과 콜라겐을 합성하는 세포의 일종으로, 상처 치유에 중요한 역할을.

새로운!!: 대동맥와 섬유아세포 · 더보기 »

세포외기질

세포외기질의 위치 (분홍색:기저막) 생물학에서 세포외기질(細胞外基質, extracellular matrix)은 주로 동물의 구조적 지지등을 담당하는 조직이.

새로운!!: 대동맥와 세포외기질 · 더보기 »

심장

심장(心臟) 또는 염통은 가슴의 왼쪽에 자리 잡고 있는 근육질로 둘러싸인 혈액을 들리고 보내는 역할을 하는 인체 순환 기관이.

새로운!!: 대동맥와 심장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