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

색인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

마 가톨릭교회와 동방 가톨릭교회에서, 교계제도()는 교회의 우두머리인 교황을 중심으로 하는 기독교 성직자들의 제도적인 질서이며, 더 나아가서는 평신도까지 포함하는 교회 조직의 위계이.

92 처지: 독서자, 동방 가톨릭교회, 라테라노 조약, 라틴 교회, 레지오 마리애, 로마, 로마 가톨릭교회, 로마 교구, 로마 교황청, 마론파, 마태오의 복음서, 미사, 감목대리구, 개신교, 바티칸 시국, 가톨리코스, 가톨릭교회 교리서, 베드로, 견진성사, 고아 주, 본당, 병자성사, 관구, 권력 분립, 부제 (기독교), 그리스도, 기독교, 대목구, 대주교, 대한민국, 교구 (기독교), 교회법, 교회회의, 교황, 교황 무류성, 교황 바오로 6세, 교황 그레고리오 12세, 교황 대사, 교황 니콜라오 2세, 교황 요한 23세, 교황 첼레스티노 5세, 군종교구, 나폴리, 노바시아노파, 우크라이나 그리스 가톨릭교회, 트리엔트 공의회, 이슬람교, 이탈리아, 제1차 니케아 공의회, 제2차 바티칸 공의회, ..., 주교, 주교회의, 차부제, 천사, 총대주교, 카푸아, 칼데아 가톨릭교회, 콥트 가톨릭교회, 콘스탄티노폴리스, 콘클라베, 유대인, 수도회, 오푸스 데이, 혼인성사, 예루살렘, 예루살렘 라틴 총대주교, 사도, 사도 행전, 사목구, 사제, 삭발례, 성령, 성공회, 성좌 (가톨릭), 성찬, 성품성사, 성사, 세례, 세계 공의회, 야훼, 알렉산드리아,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안티오케이아, 안티오키아 총대주교, 아테네, 아시시의 프란치스코, 시종직, 1059년, 1928년, 1962년, 1963년.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42 더) »

독서자

러시아 정교회 독서자의 초상화(1878). 독서자(讀書者)는 기독교의 전례에서 읽기를 담당하는 봉사자를 말. 로마 가톨릭교회의 미사와 시간 전례에서 독서자의 가장 중요한 임무는 복음을 제외한 성경을 봉독하는 임무이.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독서자 · 더보기 »

동방 가톨릭교회

동방 가톨릭교회()또는 우니아트 교회(Uniate Church)는 1596년 브레스트 회의(1596년 폴란드가 지배하는 우크라이나 지역에서 정교회와 가톨릭교회가 일치를 선언한 회의)에서 공식 출범.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동방 가톨릭교회 · 더보기 »

라테라노 조약

조약에 따라 결정된 바티칸 시국의 영토 라테라노 조약()은 1929년 2월 11일 이탈리아 왕국과 바티칸 시국 양국이 라테라노 궁전에서 체결한 조약으로, 교황 비오 11세가 파견한 로마 교황청 대표 피에트로 가스피리와 이탈리아 수상 베니토 무솔리니가 교섭에 나선 이후에 맺은 조약이.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라테라노 조약 · 더보기 »

라틴 교회

회()는 사전적으로 라틴 전례를 따르는 기독교를 의미하나, 사실상 로마 가톨릭교회를 상징적으로 가리키던 말이.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라틴 교회 · 더보기 »

레지오 마리애

오 마리애() 또는 통칭 레지오는, 가톨릭교회의 평신도 신앙 공동체이며, 가톨릭교회에서 평신도들이 사도직 행위를 수행하기 위한 단체로 자리매김하고 있. 명칭의 의미는 '마리아의 군단'(The Legion of Mary)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으며, 성모 마리아의 지휘 밑에서, 선행과 봉사 등으로 현세에서의 로마 가톨릭교회의 활동에 참가하기 위한 '영적인 군대'의 역할을 수행.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레지오 마리애 · 더보기 »

로마

마()는 이탈리아의 수도이자 라치오 주의 주도로, 테베레 강 연안에 있. 로마시의 행정구역 면적은 1,285km2로 서울시의 2배정도이고, 2014년 인구는 290여만명이.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로마 · 더보기 »

로마 가톨릭교회

마 가톨릭교회(), 천주교(天主敎) 또는 가톨릭교회()는 전 세계적으로 약 12억 명의 신자를 가진 세계 최대 규모의 기독교 교파이.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로마 가톨릭교회 · 더보기 »

로마 교구

마 교구의 문장 로마 교구()는 성좌 또는 사도좌, 거룩한 로마 교회, 로마 교회, 베드로좌 등으로도 알려진 이탈리아의 로마 가톨릭교회 교구이.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로마 교구 · 더보기 »

로마 교황청

마 교황청(~敎皇廳)은 기독교에서 성좌의 행정기관이며 교황과 더불어 로마 가톨릭교회 전체를 통솔하는 중앙통제기구를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로마 교황청 · 더보기 »

마론파

마론파의 경전 마로나이트(Maronites,, 시리아어: ܡܪܘܢܝܐ) 또는 마론파는 시리아에서 태동한 기독교의 한 교파이.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마론파 · 더보기 »

마태오의 복음서

맛타이의 기쁜 소식은 기독교 신약성서의 처음에 나오는 복음서이.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마태오의 복음서 · 더보기 »

미사

미사()는 가톨릭에서 하느님을 찬양하는 대표적인 종교 의식이며, 특히 로마 가톨릭교회의 일곱 가지 성사 가운데 하나인 성체성사가 중심을 이루는 라틴 전례 양식이 일반적인 미사의 개념이.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미사 · 더보기 »

감목대리구

목대리구는 로마 가톨릭 교구의 감목이 자기가 직접 관할하기 어려운 지역에 대신 사목을 할 사람을 감목대리(vicar forane)로 지정하여 관리하는 구역이.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감목대리구 · 더보기 »

개신교

신교(改新敎) 또는 프로테스탄트(Protestantism)는 16세기 교회의 개혁가들의 종교개혁을 통해 생겨난 기독교의 한 전통이.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개신교 · 더보기 »

바티칸 시국

바티칸 시국(Vatican 市國), 약칭 바티칸()은 이탈리아의 로마 시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국경 역할을 하는 장벽으로 둘러싸인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는 내륙국이자 도시국가이.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바티칸 시국 · 더보기 »

가톨리코스

리코스(Catholicos, 2명 이상을 지칭 할 때는 가톨리코이(Catholicoi))는 일부 기독교 전통에서 특정한 교회의 수장을 일컫는 칭호이.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가톨리코스 · 더보기 »

가톨릭교회 교리서

릭교회 교리서()는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발간하는 기독교 교리서로, 1992년에 프랑스어와 라틴어로 처음 발행되고 1997년에 라틴어 표준판이 공포되었.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가톨릭교회 교리서 · 더보기 »

베드로

코라 성당에 중세 모자이크화로 그려진 성 베드로 베드로(1년경? ~ 66년 6월 29일)는 기독교의 사도로서, 예수의 열두 제자 가운데 한 사람이.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베드로 · 더보기 »

견진성사

성사를 묘사한 15세기 그림. 견진성사(堅振聖事)는 교구를 감독하는 주교 또는 주교로부터 권한을 위임받은 사제가 그리스도인에게 거룩한 기름을 바르며 성령이 임하시기를 기도하는 안수기도를 함으로써, 그리스도인의 마음속에 성령이 임하게 하며, 믿음을 굳건히 하는 가톨릭, 성공회, 정교회, 일부 개신교 교회들의 성사이.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견진성사 · 더보기 »

고아 주

아 주()는 인도 서부 연안에 위치한 주이.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고아 주 · 더보기 »

본당

본당은 다음을 가리.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본당 · 더보기 »

병자성사

병자 성사(病者聖事)는 기독교에서 몸이 불편한 교우를 사제가 성유를 바르면서 회복을 기원하는 성사를 말. 정교회에서는 성유성사라고 부르며, 성공회에서는 조병예식으로 성사적 예식으로 취급.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병자성사 · 더보기 »

관구

(管區)는 기독교의 자치적이고 독립적인 지역교회들의 연합이며, 관구를 구성하는 지역교회를 교구(Diocess).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관구 · 더보기 »

권력 분립

아 비밀헌법회의에서 세계최초의 삼권분립을 명시한 미국 헌법이 제정되었다. 의장 조지 워싱턴이 초대 대통령이 되었다. 한국도 1948년 제헌의회 의장 이승만이 초대 대통령이 되었다.이승만의 다른 점은 연임과 선거부정과 부정헌법개정을 하며 권력분립을 무너뜨린 점이었다. 권력분립(權力分立)이란 권력이 한 개인이나 집단에 집중하지 않게 분립하는 제도를 가리.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권력 분립 · 더보기 »

부제 (기독교)

부제(副祭)는 기독교에서 사제를 보좌하는 성직자를 말. 단, 동방 정교회에서는 보제(補祭)라고 하는데, 부제와 어원은 같. 개신교에서는 집사로 번역하는데 보통 평신도직으로 되어 있.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부제 (기독교) · 더보기 »

그리스도

리스도, 크리스트, 크라이스트 또는 기독(基督)은 에서 온 말로 70인역에서 히브리어의 메시아()를 옮기는 데 처음 사용되었.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그리스도 · 더보기 »

기독교

독교(基督敎)From Ancient Greek Khristós (Latinized as Christus), translating Hebrew מָשִׁיחַ, Māšîăḥ, meaning "the anointed one", with the Latin suffixes -ian and -itas.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기독교 · 더보기 »

대목구

목구(代牧區)는 교계제도(敎階制度), 즉 자립교구제도가 설정이 안된 지역에 자립교구에 준하는 역할의 가능을 부여한 준교구이.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대목구 · 더보기 »

대주교

른 대주교 페르디난트 아우구스트 폰 슈피겔. 대주교(大主敎,,, 또는)는 기독교에서 대교구라고 불리는 교구를 관리하는 직위에 있는 고위 성직자이.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대주교 · 더보기 »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대한민국 · 더보기 »

교구 (기독교)

(敎區, diocese)는 기독교에서 신자의 효율적인 관리 등을 위해서 지역적으로 편의상 분할한 구역을 일컫.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교구 (기독교) · 더보기 »

교회법

회법(敎會法)은 신앙 공동체에 의하여 자체적으로 정립된 기독교 내부의 법 체계를 말. 기독교인의 신앙과 행위의 기준(카노네스)에서 유래하였으며, 후에는 교황령 그 밖의 교회입법·관행을 포함하는 교회의 법규를 의미하였.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교회법 · 더보기 »

교회회의

회회의(敎會會議) 또는 시노드(Synod)는 주교 대표(대의원)들이 교황과 함께 모여 세계 교회 또는 특정 교회와 관련된 문제를 논의하는 회의체이.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교회회의 · 더보기 »

교황

황(敎皇)은 《교황청 연감》에 따르면 로마의 주교이자 가톨릭교회 전체의 영적 지도자이며 바티칸 시국의 국가원수이.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교황 · 더보기 »

교황 무류성

황무류성(敎皇無謬性)은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교황이 전 기독교의 우두머리로서 신앙이나 도덕에 관하여 교황좌에서 장엄하게 결정을 내릴 경우(ex cathedra), 그 결정은 성령의 특은으로 보증되기 때문에 결단코 오류가 있을 수 없다고 하는 교리이.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교황 무류성 · 더보기 »

교황 바오로 6세

황 바오로 6세(라틴어: Paulus PP. VI, 이탈리아어: Papa Paolo VI)는 제262대 교황(재위: 1963년 6월 21일 - 1978년 8월 6일)이.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교황 바오로 6세 · 더보기 »

교황 그레고리오 12세

황 그레고리오 12세(라틴어: Gregorius PP. XII, 이탈리아어: Papa Gregorio XII)는 제205대 교황(재위: 1406년 11월 30일 - 1415년 7월 4일)이.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교황 그레고리오 12세 · 더보기 »

교황 대사

황 대사(敎皇大使)는 바티칸 시국(로마 교황청)에서 세계 각국과 국제기구에 파견한 대사를 일컫.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교황 대사 · 더보기 »

교황 니콜라오 2세

황 니콜라오 2세(라틴어: Nicolaus PP. II, 이탈리아어: Papa Niccolò II)는 제155대 교황(재위: 1058년 12월 6일 - 1061년 7월 27일)이.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교황 니콜라오 2세 · 더보기 »

교황 요한 23세

황 요한 23세()는 제261대 교황(재위: 1958년 10월 28일 - 1963년 6월 3일)이.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교황 요한 23세 · 더보기 »

교황 첼레스티노 5세

황 첼레스티노 5세(라틴어: Caelestinus PP. V, 이탈리아어: Papa Celestino V)는 제192대 교황(재위: 1294년 7월 5일 - 1294년 12월 13일)이.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교황 첼레스티노 5세 · 더보기 »

군종교구

종교구(軍宗敎區, Military Ordinariate)는 군에 복무하는 가톨릭신자 장병의 관리를 위하여 설정된 특수 교구의 하나이.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군종교구 · 더보기 »

나폴리

리(Napoli)는 이탈리아 남부에 있는 도시로, 캄파니아 주의 주도이.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나폴리 · 더보기 »

노바시아노파

바시아노파는 3세기 중기 이후 초기 기독교 중 노바시아노를 추종한 무리로서, 서기 250년 로마 황제 데키우스의 압박 내지는 박해 때문에 기독교 신앙을 부인하거나 이교 신들에게 제물을 바치고 절한 기독교도들은 충분한 회개 후에 다시 세례를 받아야만 교회 공동체에 되돌아올 수 있다는 매우 엄격한 사상을.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노바시아노파 · 더보기 »

우크라이나 그리스 가톨릭교회

우크라이나 그리스 가톨릭교회(UGCC) (~敎會,, Ukrains'ka Hreko-Katolyts'ka Tserkva)는 교황 성좌와 완전한 일치를 이루고 있으며 자치권이 있는() 개별 교회(particular Churches) 동방 가톨릭교회 중에서 가장 큰 교회이.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우크라이나 그리스 가톨릭교회 · 더보기 »

트리엔트 공의회

당시 트렌토(트리엔트)의 산타 마리아 마조레 성당에 소집된 트리엔트 공의회를 묘사한 17세기 그림. 트리엔트 공의회()는 1545년부터 1563년까지 이탈리아 북부 트렌토(트리엔트)와 볼로냐에 소집된 로마 가톨릭교회의 세계 공의회이.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트리엔트 공의회 · 더보기 »

이슬람교

이슬람()또는 회교(回敎)는 무함마드를 예언자로, 알라를 단일신으로 삼는 종교이.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이슬람교 · 더보기 »

이탈리아

이탈리아 공화국(음역어: 이태리(伊太利))은 남유럽의 이탈리아 반도와 지중해의 두 섬 시칠리아 및 사르데냐로 이루어진 단일 의회 공화국이.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이탈리아 · 더보기 »

제1차 니케아 공의회

아 공의회(Concilium Nicaenum Primum)는 325년 6월 19일 니케아(Nicaea, 현재 터키의 이즈니크) 황제의 별궁에서 열린 기독교의 공의회이.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제1차 니케아 공의회 · 더보기 »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제2차 바티칸 공의회()는 1962년부터 1965년까지 열린 로마 가톨릭교회의 공의회이.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제2차 바티칸 공의회 · 더보기 »

주교

카를로 세레사. 주교(主敎)는 교구나 관구의 사목 책임을 지고 감독하는 기독교의 성직자를 말. 사교(司敎)라고도 하며, 영어로는 Bishop, Right Rev..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주교 · 더보기 »

주교회의

주교회의(主敎會議)는 로마 가톨릭 교회에서 특정한 지역 내에 있는 주교들의 공식적인 회합을 의미.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주교회의 · 더보기 »

차부제

부제(次副祭)는 기독교의 성직 중 하나이.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차부제 · 더보기 »

천사

1400년대 월튼 두폭화 천사(天使)는 성경에 등장하는, 야훼가 자신을 보좌하고 섬기도록 불(이슬람교에서는 빛)에서 창조했다는 투영적인 존재들을 가리.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천사 · 더보기 »

총대주교

총대주교(總大主敎, Patriarch)는 유대인들의 가부장(家父長), 씨족장, 부족장을 의미하는 말에서 나와 4세기부터 기독교에서 쓰이기 시작하였으며 동로마 제국의 황제 유스티니아누스 1세 이후로는 로마, 콘스탄티노폴리스, 알렉산드리아, 안티오키아, 예루살렘 등 5개 주요 교구들의 최고권자를 가리키는 말이 되었.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총대주교 · 더보기 »

카푸아

아()는 이탈리아 캄파니아 주 카세르타 지방에 위치한 도시이.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카푸아 · 더보기 »

칼데아 가톨릭교회

바빌론 총대주교의 문장 칼데아 가톨릭교회(ʿītha kaldetha qāthuliqetha)는 동방 가톨릭교회에 속한 가톨릭교회의 지체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칼데아 가톨릭교회 · 더보기 »

콥트 가톨릭교회

콥트 가톨릭교회는 동방 가톨릭교회 중의 하나이.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콥트 가톨릭교회 · 더보기 »

콘스탄티노폴리스

스탄티노플의 지도 콘스탄티노플 조감 복원 상상도(그래픽 재현) 콘스탄티노폴리스()는 터키의 도시 이스탄불의 옛 이름으로, 로마 제국의 황제 콘스탄티누스 대제가 바꾸기 전의 원명은 비잔티움()이었.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콘스탄티노폴리스 · 더보기 »

콘클라베

베가 행해지는 장소인 시스티나 성당. 콘클라베()는 ‘열쇠가 있어야 들어갈 수 있는 방’, ‘걸쇠로 문을 잠근 방’을 의미하는 단어로,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교황을 선출하는 선거 시스템이.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콘클라베 · 더보기 »

유대인

유대인(Yehudim) 또는 유태인(猶太人), 유다인은 고대 근동의 이스라엘 민족에게서 기원한 민족적, 종교적, 문화적 집단이.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유대인 · 더보기 »

수도회

수도회(修道會)는, 종교에서 관찰되는 조직으로, 각 종교 정신을 바탕으로 공동생활을 하는, 서원에 의해 관계를 맺은 신자들의 조직이.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수도회 · 더보기 »

오푸스 데이

성 십자가와 오푸스 데이()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속인교구이.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오푸스 데이 · 더보기 »

혼인성사

혼인성사(婚姻聖事)는 기독교의 성사 중 하나로, 결혼을 의미.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혼인성사 · 더보기 »

예루살렘

Dome In Jerusalem, The Capital City Of State Of Palestine Dome in Jerusalem The Capital City Of Palestine PALESTINE POUND 예루살렘()은 예로부터 종교 분쟁에서 불씨가 되어온 중동에 있는 도시.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예루살렘 · 더보기 »

예루살렘 라틴 총대주교

예루살렘 라틴 총대주교()는 예루살렘의 라틴 교회 가톨릭 대주교의 칭호이.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예루살렘 라틴 총대주교 · 더보기 »

사도

사도(使徒)라는 말은 신약성경의 그리스어인 코이네 그리스어(이하 헬라어)의 '사신', '사절'을 의미하는 호 아포스톨로스()에서 유래하였.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사도 · 더보기 »

사도 행전

사도행전(使徒行傳, Acts of the Apostles)은 예수가 승천한 이후 사도들의 행적을 기록한 책이.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사도 행전 · 더보기 »

사목구

사목구(司牧區)는 역사적으로 기독교에서 지역 교회로 봉사하는 지방 단위이.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사목구 · 더보기 »

사제

신부(神父) 또는 사제(司祭)는 흔히 로마 카톨릭교회의 성직자를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사제 · 더보기 »

삭발례

마식 삭발 삭발례(削髮禮)는 종교적 신념이나 겸손을 나타내는 표시로서 두피의 머리카락 전체 또는 일부를 자르거나 미는 예절이.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삭발례 · 더보기 »

성령

성령(聖靈)은 기독교의 성삼위 또는 삼위일체 교리에서 하나님을 이루는 세 위격(페르소나,Hypostasis) 중 하나를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성령 · 더보기 »

성공회

성공회(聖公會,,Episcopal Church) 또는 세계성공회공동체(Anglican Communion)는 전 세계 165여 개국, 38개의 독립적이고 자치적인 성공회(관구)로 이루어진 기독교 교파이며, 신자는 약 1억명으로 추산.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성공회 · 더보기 »

성좌 (가톨릭)

성좌의 문장 성좌(聖座)는 로마의 주교인 교황의 착좌식에서 유래한 기독교 용어로 로마의 주교좌, 즉 성 베드로가 처음으로 앉았다고 전해지는 의자를 뜻. 로마 가톨릭교회에서는 새로운 교황이 즉위할 때마다 베드로의 권한을 이어받는다는 의미로 착좌식을 거행.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성좌 (가톨릭) · 더보기 »

성찬

성찬() 또는 성만찬(The Holy Communion), "주님의 만찬"은 기독교의 성례전(Sacrament, 또는 성사)중 하나이며, 최후의 만찬 때 그리스도가 자신의 죽음을 기념하여 빵과 포도주를 나누라고 하셨다는 복음서 말씀을 따르는 성례전 또는 성사이.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성찬 · 더보기 »

성품성사

성품성사(聖品聖事)는 기독교에서 사제와 부제에게 교회가 사목(목회)을 맡기는 성사를 말. 성품성사는 주교가 집전할 수 있으며, 주교의 임명의 경우, 로마 가톨릭교회에서는 교황이, 동방 정교회에서는 총대주교가 임명하며, 사제는 해당 교구의 주교가 임명.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성품성사 · 더보기 »

성사

성사() 또는 성례전은 눈에 보이지 않는 하느님의 은혜가 눈에 보이는 방법으로 전달되는,쉽게 말해서 하느님의 은혜를 받는 기독교의 예식이.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성사 · 더보기 »

세례

독교 예술에서의 침례. 대한민국 개신교회에서 이루어진 세례식의 예 세례(洗禮) 또는 세례 성사(洗禮聖事)는 물을 이용하는 정화의식이.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세례 · 더보기 »

세계 공의회

세계 공의회(世界公議會, 영어: ecumenical councils, 라틴어: Concilium Ecumenicum)는 교리와 의식에 관한 문제를 논의하고 규정하기 위하여 “전체 교회”의 주교와 대표자들을 소집하여 진행하는 기독교의 종교회의인데, “전체 교회”의 의미는 교파마다 차이가 있. 예를 들어 로마 가톨릭의 경우 로마의 주교와 상통관계(full communion)가 있는 신자들을 일컫.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세계 공의회 · 더보기 »

야훼

야훼, 또는 야웨()는 유대교의 유일신의 고유한 이름이.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야훼 · 더보기 »

알렉산드리아

알렉산드리아()는 이집트 북부 알렉산드리아 주의 지중해에 면한 항구도시로 이집트에서는 수도인 카이로 다음으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가장 큰 항구도시이.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알렉산드리아 · 더보기 »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Patriarch of Alexandria)는 알렉산드리아를 중심으로 이집트, 리비아 를 비롯하여 전 아프리카 교회를 관할하는 고대 5대 총대주교중 한 명이.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 · 더보기 »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국 천주교 주교회의(韓國天主敎主敎會議)는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전체의 공동선이 증진되도록 사목 임무를 공동으로 조정하여 수행하기 위하여 사도좌의 승인 아래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라는 명칭으로 국가에 등록된 기독교 법인으로 설립된 주교회의이.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 더보기 »

안티오케이아

오론테스 강의 안티오케이아(그리스어: Ἀντιόχεια ἡ ἐπὶ Δάφνῃ, Ἀντιόχεια ἡ ἐπὶ Ὀρόντου or Ἀντιόχεια ἡ Μεγάλη; 라틴어 Antiochia ad Orontem; 아랍어:انطاکیه)는 오론테스 강 동쪽 유역에 있던 고대 도시이.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안티오케이아 · 더보기 »

안티오키아 총대주교

안티오키아 총대주교는 안티오키아를 중심으로 성지 예루살렘과 팔레스타인 그리고 시나이 반도를 제외한 전 동방(중근동 지역)을 관장하는 총대주교를 말하며, 역사상 6개의 교회가 이 명칭을 써왔으며 현재는 5개의 교회에서 이 명칭을 사용하고 있. 이 명칭을 사용하는 교회와 인물들은 다음과 같.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안티오키아 총대주교 · 더보기 »

아테네

아테네()는 그리스의 수도이자 최대의 도시이며, 아티키 주의 중심 도시이.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아테네 · 더보기 »

아시시의 프란치스코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1181년 또는 1182년 ~ 1226년 10월 3일)는 이탈리아의 로마 가톨릭교회 수사이자 저명한 설교가이.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아시시의 프란치스코 · 더보기 »

시종직

미사 중에 제대에서 예물 봉헌을 하는 사제를 보조하는 시종직 시종직(侍從職)은 로마 가톨릭교회와 동방 정교회 등의 기독교에서 제대초를 밝히는 등 사제의 전례 행위를 보조하는 직위를 가리키는 용어이.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시종직 · 더보기 »

105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1059년 · 더보기 »

1928년

1928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1928년 · 더보기 »

1962년

1962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1962년 · 더보기 »

1963년

1963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와 1963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