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만주어

색인 만주어

중국 베이징의 자금성에 있는 건청문(乾淸門) 현판. 왼쪽에는 한자, 오른쪽에는 만주문자로 적혀 있다. 만주어(滿洲語)는 퉁구스어족에 속하는 언어이.

32 처지: 만주 문자, 만주족, 모음 조화, 몽골 문자, 몽골어, 백두산, 곡용, 대격, 교착어, 국제 음성 기호, 인도유럽어족, 일본어, 중국어, 중세 한국어, 차부차얼 시버 자치현, 청나라, 파울 게오르크 폰 묄렌도르프, 옌지 시, 헤이룽장 대학, 헤이룽장성, 여진, 여진어, 표준 중국어, 사할린섬, 성 (문법), 속격, 한국어, 퉁구스어족, 신장 위구르 자치구, 시버족, 시버어, 외래어.

만주 문자

만주 문자(滿洲文字)는 만주어 표기에 사용되는 문자로 1599년, 몽골 문자를 변형시킨 것이.

새로운!!: 만주어와 만주 문자 · 더보기 »

만주족

건륭제의 만주족 시위 (1760) 중국 베이징의 자금성에 있는 건청문(乾淸門) 현판. 왼쪽에는 한자, 오른쪽에는 만주문자로 적혀 있다. 만주족(滿洲族) 또는 만족()은 만주(중국 동북부; 랴오닝 성, 지린 성, 헤이룽장 성), 연해주에서 발상한 퉁구스계 민족으로 중국 내 55개 소수민족 중 하나이.

새로운!!: 만주어와 만주족 · 더보기 »

모음 조화

언어의 모음조화(母音調和) 또는 홀소리어울림은 여러 음절로 된 낱말에서 첫음절의 모음에 속한 모음군에 따라 뒷음절의 모음이 바뀌면서 낱말 전체의 모음이 모두 같은 모음군에 속하게 되는 현상을 말. 이런 언어는 적어도 두 개의 모음군을 가지고 있. 모음조화는 일종의 음운 동화 현상으로 볼 수 있으며, 우랄어족에 속하는 언어들과 알타이어족에 속한다고 주장되는 언어들에서.

새로운!!: 만주어와 모음 조화 · 더보기 »

몽골 문자

몽골 문자(монгол бичиг)는 몽골어를 위해 만들어진 여러 표기 체계들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만주어와 몽골 문자 · 더보기 »

몽골어

몽골어(Монгол хел)는 몽골의 공용어이.

새로운!!: 만주어와 몽골어 · 더보기 »

백두산

백두(白頭山)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남도 함경북도 혜산군 무산군 과 중화인민공화국 지린 성 연변 조선족 자치주에 걸쳐있는 화산이.

새로운!!: 만주어와 백두산 · 더보기 »

곡용

곡용(曲用)은 일반적으로 굴절어에서 명사, 대명사, 수사, 형용사가 문법적 기능에 따라 형태가 변하는 것을 말. 동사가 형태 변화하는 것은 활용이.

새로운!!: 만주어와 곡용 · 더보기 »

대격

격 (對格, accusative case, casus accusativus, 약어 ACC)는 명사가 취하는 격 중 하나로, 주격 및 대격이 형식적으로 표시되는 언어에서 타동사의 직접목적어를 표시할 때 사용되는 형태를 말. '목적격'이라고도 하며, 독일어 에서는 4격()이.

새로운!!: 만주어와 대격 · 더보기 »

교착어

착어(膠着語)는 언어의 유형론적 분류의 하나인 형태론적 관점에서의 분류에 따른 언어의 한 유형이.

새로운!!: 만주어와 교착어 · 더보기 »

국제 음성 기호

국제 음성 기호 (2015년 개정) 국제 음성 기호 (2015년 개정) 한국어판 국제 음성 기호(國際音聲記號,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IPA) 또는 만국 음성 기호(萬國音聲記號)는 언어학에서 주로 사용되는 음성 기록 체계를 말. 현존하는 모든 언어의 소리를 독자적이고 정확하면서 표준적인 방법으로 표시하기 위해 이 기호 체계가 고안되었으며, 언어학자외에도 언어장애 병리사나 발성 치료사, 외국어 교수자, 말뭉치 연구자, 번역가 등이 일상생활에서 이 기호체계를 활용하고 있. 2005년에 확장된 형태는 약 107개의 기본 문자와 55개의 구별기호로 구성되어 있. 국제 음성 기호의 기호는 크게 (기본) 문자, 구별기호, 초분절요소 등의 3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 이들은 또 다시 세부적으로 나눌 수 있는데 기본 문자의 경우 모음과 자음으로 나눌 수 있. 음성을 표시하는 방법에서 표준화를 염두에 두고 만들어졌기 때문에 이러한 기호들은 크게 바뀌지는 않으나 이를 관할하는 국제 음성 협회에 의해 기호가 덧붙여지거나 빠지거나 수정.

새로운!!: 만주어와 국제 음성 기호 · 더보기 »

인도유럽어족

인도유럽어족(印度-語族)은 유럽과 서아시아, 남아시아에 살고 있는 민족들의 언어가 속하는 어족이.

새로운!!: 만주어와 인도유럽어족 · 더보기 »

일본어

일본어(「にっぽんご」를 표제어로 세우고 있는 국어사전은 일본국어대사전 등 소수에 그친다.)는 주로 일본에서 사용되는 언어이.

새로운!!: 만주어와 일본어 · 더보기 »

중국어

중국어()는 중국티베트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16가지 정도의 언어변이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어(ㄏㄢˋㄩˇ), 화어(ㄏㄨㄚˊㄩˇ), 중문(ㄓㄨㄥㄨㄣˊ)이라고도 한다. 세계 사용자가 가장 많은(약 13억 명) 언어로, 전 세계 인구의 약 1/5이 사용하고 있는 언어이다.

새로운!!: 만주어와 중국어 · 더보기 »

중세 한국어

중세 한국어(中世韓國語, Middle Korean)는 고대 한국어 이후 중앙어가 경주말에서 개성말로 옮겨간 10세기에서 16세기 사이 한반도에서 쓰였던 한국어를 말.

새로운!!: 만주어와 중세 한국어 · 더보기 »

차부차얼 시버 자치현

시버 자치현의 위치 차부차얼 시버 자치현(시버어: (만주 문자) / Cabcal Sibe Zijysiyan(로마자))은 이리 카자흐 자치주에 있는 시버족의 자치현이.

새로운!!: 만주어와 차부차얼 시버 자치현 · 더보기 »

청나라

청국(大淸國)은 1618년에, 여진 열국을 돌보는의 현명한 한(英明汗)이었던 누르가치가 건국한 대금()을 근간으로, 아들 태종 숭덕제는 대금에서 대청()으로 국호를 바꾸어 중국 대륙을 대표적으로 지배하는 제국였.

새로운!!: 만주어와 청나라 · 더보기 »

파울 게오르크 폰 묄렌도르프

울 게오르크 폰 묄렌도르프(1848년 ~ 1901년) 혹은 한국이름 목인덕(穆麟德)은 독일 출신의 외교관 겸 언어학자로 조선에서 외교 고문으로 활동한 전력으로 널리 알려진 인물이.

새로운!!: 만주어와 파울 게오르크 폰 묄렌도르프 · 더보기 »

옌지 시

옌지 시(연길시) 는 중국 동북지역 지린 성 연변 조선족 자치주의 주정부가 위치하고 있는 현급시이자 주도이.

새로운!!: 만주어와 옌지 시 · 더보기 »

헤이룽장 대학

헤이룽장 대학(흑룡강대학)은 중화인민공화국 헤이룽장 성 하얼빈에 있는 국립 대학이.

새로운!!: 만주어와 헤이룽장 대학 · 더보기 »

헤이룽장성

헤이룽장 성(흑룡강성)은 중화인민공화국 동북부에 있는 성이.

새로운!!: 만주어와 헤이룽장성 · 더보기 »

여진

여진()은 중국의 랴오닝 성, 지린 성, 헤이룽장 성과 한반도의 함경도, 러시아의 연해주, 하바롭스크 지방, 아무르 주에서 거주했던 퉁구스계 민족이.

새로운!!: 만주어와 여진 · 더보기 »

여진어

여진어(女眞語)는 여진족들이 사용하던 언어로, 퉁구스어족 계열의 언어이.

새로운!!: 만주어와 여진어 · 더보기 »

표준 중국어

준 중국어 혹은 현대표준한어()는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의 단독 표준어 및 싱가포르의 네 공용어 중 하나로 사용되는 중국어를 말한다. 표준 중국어의 발음은 베이징 지방의 방언을 바탕으로 두고 있으며, 관화의 어휘를 사용한다. 다른 중국어 방언과 마찬가지로 표준 중국어는 성조를 가지고 있고, 주제 우선 언어의 특징을 띄며, 주어 - 동사 - 목적어 (SVO) 순의 어순을 취한다. 남방 방언과 비교하여 선두의 자음 수가 풍부하나 모음 및 종단 자음 수가 적다. 표준 중국어는 어형 변화가 없는 대신 접사를 통해 의미 부여를 하는 분석적 언어의 특성을 띄고 있으며, 많은 복합어를 갖는다. 표준 중국어는 중화인민공화국에서 푸퉁화('보통화')로 부르는 표준과, 중화민국에서 궈위('국어')라 부르는 표준이 존재한다. 싱가포르에서는 푸퉁화를 화위()라 지칭하며 공용어로 사용한다. 푸퉁화 및 싱가포르의 화위는 간체자로 표기를 하며 한어 병음 로마자 표기를 학습용으로 이용하나, 타이완 지역의 궈위는 정체자와 주음부호를 이용한다.

새로운!!: 만주어와 표준 중국어 · 더보기 »

사할린섬

사할린 섬의 위치 사할린 섬(아이누어(키릴): Крафто/Карафуто/Карафто)은 러시아의 섬이.

새로운!!: 만주어와 사할린섬 · 더보기 »

성 (문법)

일부 언어의 문법에서 성(性) 또는 문법성(文法性, grammatical gender)은 명사가 보편적으로 갖는 문법적 요소의 일종이.

새로운!!: 만주어와 성 (문법) · 더보기 »

속격

속격(屬格)은 언어의 격 중 하나로, 한 명사가 다른 명사를 수식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 일반적으로 소유, 소속의 의미를 나타내는 데 쓰이는 격이나, 소속이 아닌 명사 사이의 특수한 관계를 표기하는 데 쓰이.

새로운!!: 만주어와 속격 · 더보기 »

한국어

국어의 세계 분포를 나타낸 그림. 한국어(韓國語) 또는 조선말(朝鮮말)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공용어로, 대한민국에서는 한국어라고 부르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조선말, 중화인민공화국과 일본에서는 조선어(朝鮮語)라고 부르며, 러시아와 중앙아시아의 고려인들 사이에서는 고려말(高麗말)이라고 부른.

새로운!!: 만주어와 한국어 · 더보기 »

퉁구스어족

260px 퉁구스어족은 동부 시베리아, 만주 지역의 퉁구스 민족이 사용하는 언어 분류이.

새로운!!: 만주어와 퉁구스어족 · 더보기 »

신장 위구르 자치구

신장 위구르 자치구(신장 위구르 압토놈 라요니)는 중화인민공화국 북서쪽에 위치하는 자치구이.

새로운!!: 만주어와 신장 위구르 자치구 · 더보기 »

시버족

시버족()은 만주족의 일파로 현재 중국 신장 웨이우얼 자치구에 살고 있. 2000년 집계에 따르면 중국에 188,824명(약 19만명)이 살고 있.

새로운!!: 만주어와 시버족 · 더보기 »

시버어

시버어는 중국의 신장 웨이우얼 자치구의 북부에 있는 이리 카자흐 자치주에 속한 차부차얼 시버 자치현에 거주하는 시버족이 사용하는 퉁구스어계의 언어이.

새로운!!: 만주어와 시버어 · 더보기 »

외래어

외래어(外來語)란 고유어가 아닌 외국에서 들여와 자국어(自國語)처럼 사용하는 말을 일컫.

새로운!!: 만주어와 외래어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만주 기순.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