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메토디우스

색인 메토디우스

성 키릴루스와 성 메토디우스 형제 메토디우스 또는 메토디오스(826년 ~ 885년 4월 6일)는 비잔티움 제국의 기독교 신학자이자 선교사이며 대모라바 왕국의 대주교였.

55 처지: 동방 정교회, 라스티슬라프, 로마, 로마 가톨릭교회, 루도비쿠스 2세 게르마니쿠스, 미하일 3세, 보르지보이 1세, 보리스 1세, 그리스, 기독교, 글라골 문자, 비잔티움 제국, 비티니아, 대모라바 왕국, 대주교, 교황 니콜라오 1세, 교황 스테파노 5세, 교황 요한 8세,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교황 하드리아노 2세, 슬라브족, 슬라브어파, 슈바벤, 잘츠부르크, 이단, 종교 개혁, 주교, 체코, 콘스탄티노폴리스,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포티오스 1세,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 유럽, 파사우, 키릴 문자, 키릴로스, 삼위일체, 성경, 성공회, 성인 (종교), 성직자, 테살로니키, 1880년, 1985년, 2월 14일, 4월 6일, 4월 8일, 5월 11일, 826년, 862년, 864년, ..., 867년, 869년, 870년, 880년, 885년.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5 더) »

동방 정교회

이콘 동방 정교회(東方正敎會,)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교세가 큰 기독교로 약 2억 5천만 명 이상의 인구가 믿고 있.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종교 중의 하나로 (아나톨리아를 포함한) 그리스와 동유럽, 캅카스, 근동의 역사와 문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 왔. 정교회(正敎會) 또는 보편 정교회라고도 불린.

새로운!!: 메토디우스와 동방 정교회 · 더보기 »

라스티슬라프

스티슬라프 라스티슬라프(생년 미상 ~ 870년)는 대모라바 왕국의 제2대 국왕(재위: 846년 ~ 870년)이.

새로운!!: 메토디우스와 라스티슬라프 · 더보기 »

로마

마()는 이탈리아의 수도이자 라치오 주의 주도로, 테베레 강 연안에 있. 로마시의 행정구역 면적은 1,285km2로 서울시의 2배정도이고, 2014년 인구는 290여만명이.

새로운!!: 메토디우스와 로마 · 더보기 »

로마 가톨릭교회

마 가톨릭교회(), 천주교(天主敎) 또는 가톨릭교회()는 전 세계적으로 약 12억 명의 신자를 가진 세계 최대 규모의 기독교 교파이.

새로운!!: 메토디우스와 로마 가톨릭교회 · 더보기 »

루도비쿠스 2세 게르마니쿠스

비쿠스 2세 게르마니쿠스(802년 – 876년 8월 28일)은 루도비쿠스 1세 피우스의 셋째 아들이.

새로운!!: 메토디우스와 루도비쿠스 2세 게르마니쿠스 · 더보기 »

미하일 3세

미하일 3세 메시소스(840년 1월 19일 - 867년 9월 24일)는 842년부터 867년까지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였.

새로운!!: 메토디우스와 미하일 3세 · 더보기 »

보르지보이 1세

보르지보이 1세가 세례를 받는 모습을 묘사한 19세기의 그림 보르지보이 1세(852년경 ~ 889년경)는 보헤미아의 공작(재위: 867년 ~ 889년)이.

새로운!!: 메토디우스와 보르지보이 1세 · 더보기 »

보리스 1세

보리스 1세 성 보리스 1세(? ~ 907년 5월 2일, 재위 852~889)는 제1차 불가리아 제국의 군주이.

새로운!!: 메토디우스와 보리스 1세 · 더보기 »

그리스

리스()는 남유럽 발칸 반도 남쪽 끝에 있는 나라이.

새로운!!: 메토디우스와 그리스 · 더보기 »

기독교

독교(基督敎)From Ancient Greek Khristós (Latinized as Christus), translating Hebrew מָשִׁיחַ, Māšîăḥ, meaning "the anointed one", with the Latin suffixes -ian and -itas.

새로운!!: 메토디우스와 기독교 · 더보기 »

글라골 문자

문자로 쓴 문서 글라골 문자는 옛 교회 슬라브어를 표기하는 데 쓰였으며, 러시아어와 발음이 조금 비슷한 글자들이 많. 9세기 후반 슬라브어를 쓰는 발칸 제국에 도입된 문자이며 옛 교회 슬라브어를 표기하는데 썼던 글라골 문자.

새로운!!: 메토디우스와 글라골 문자 · 더보기 »

비잔티움 제국

마 제국 또는 동로마 제국, 중세 로마 제국, 비잔티움 제국, 비잔틴 제국()은 중세 시대에 콘스탄티노폴리스 천도 이후의 로마 제국을 일컫는 명칭으로, 수도는 콘스탄티노폴리스(현재의 이스탄불)였고 로마 황제가 다스.

새로운!!: 메토디우스와 비잔티움 제국 · 더보기 »

비티니아

아나톨리아의 지방들: 비티니아(Bithynia, Βιθυνία)는 왼쪽 위에 위치한다 로마 제국의 비티니아 속주, (120년 경) 비티니아(그리스어:Βιθυνία, 라틴어: Bithynia)는 소아시아 북부 흑해에 접한 지역을 부르던 고대의 지명으로, 같은 이름의 왕국이 있었으며, 로마 제국 시대에는 일개 속주였.

새로운!!: 메토디우스와 비티니아 · 더보기 »

대모라바 왕국

thumb 대모라바 왕국()은 9세기에 70년 가까이 지속되었던 중앙유럽에 존재한 슬라브족의 국가이.

새로운!!: 메토디우스와 대모라바 왕국 · 더보기 »

대주교

른 대주교 페르디난트 아우구스트 폰 슈피겔. 대주교(大主敎,,, 또는)는 기독교에서 대교구라고 불리는 교구를 관리하는 직위에 있는 고위 성직자이.

새로운!!: 메토디우스와 대주교 · 더보기 »

교황 니콜라오 1세

황 니콜라오 1세(라틴어: Nicolaus PP. I, 이탈리아어: Papa Niccolò I)는 제105대 교황(재위: 858년 4월 24일 - 867년 11월 13일)이.

새로운!!: 메토디우스와 교황 니콜라오 1세 · 더보기 »

교황 스테파노 5세

황 스테파노 5세()는 제110대 교황(재위: 885년 9월 ~ 891년 9월 14일)이.

새로운!!: 메토디우스와 교황 스테파노 5세 · 더보기 »

교황 요한 8세

황 요한 8세()는 제107대 교황(재위: 872년 12월 13일 ~ 882년 12월 16일)이.

새로운!!: 메토디우스와 교황 요한 8세 · 더보기 »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황 요한 바오로 2세(라틴어: Ioannes Paulus PP. II, 이탈리아어: Papa Giovanni Paolo II)는 제264대 교황(재위: 1978년 10월 16일 ~ 2005년 4월 2일)으로 본명은 카롤 유제프 보이티와(폴란드어: Karol Józef Wojtyła)이.

새로운!!: 메토디우스와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 더보기 »

교황 하드리아노 2세

황 하드리아노 2세(라틴어: Hadrianus PP. II, 이탈리아어: Papa Adriano II)는 제106대 교황(재위: 867년 12월 14일 - 872년 12월 14일)이.

새로운!!: 메토디우스와 교황 하드리아노 2세 · 더보기 »

슬라브족

슬라브족(-族)은 인도유럽어족의 슬라브어파 언어를 쓰는 인도유럽 민족들 중 하나로, 대부분 동유럽과 중앙아시아에 거주하며 일부는 서반구와 서유럽 등 전 세계로 퍼졌.

새로운!!: 메토디우스와 슬라브족 · 더보기 »

슬라브어파

슬라브어파(-語派)는 슬라브인들이 사용하는 일련의 언어들의 무리를 지칭하며 이 언어들은 더 크게는 인도유럽어족에 속. 동유럽, 중앙유럽, 발칸 반도에 위치한 대부분의 국가들에서 사용되며 북아시아 지역에서도 사용.

새로운!!: 메토디우스와 슬라브어파 · 더보기 »

슈바벤

270px 슈바벤()은 독일 남부의 역사적인 지역명이.

새로운!!: 메토디우스와 슈바벤 · 더보기 »

잘츠부르크

잘츠부르크()는 오스트리아 서부에 있는 도시로 잘츠부르크 주의 주도이.

새로운!!: 메토디우스와 잘츠부르크 · 더보기 »

이단

이단(異端)은 보편적으로 정통 이론에서 많이 벗어난 교리, 주의, 주장 등을 총칭.

새로운!!: 메토디우스와 이단 · 더보기 »

종교 개혁

95개조 반박문 종교 개혁(宗敎 改革)은 1517년 10월 31일 종교 개혁가 마르틴 루터가 당시 로마 가톨릭 교회의 대사부(면벌부) 판매, 연옥에 대한 교황권 주장, 그리고 공로사상을 비판한 내용의 95개조 반박문을 발표로 시작된 사건으로, 부패한 교회를 오직 성경의 권위와 오직 은혜(sola gratia)와 오직 믿음(sola fide)을 강조함으로써 교회와 교회의 제도를 새롭게 개혁시키고자 했던 교회 개혁 운동이.

새로운!!: 메토디우스와 종교 개혁 · 더보기 »

주교

카를로 세레사. 주교(主敎)는 교구나 관구의 사목 책임을 지고 감독하는 기독교의 성직자를 말. 사교(司敎)라고도 하며, 영어로는 Bishop, Right Rev..

새로운!!: 메토디우스와 주교 · 더보기 »

체코

공화국(), 줄여서 체코()는 중앙유럽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메토디우스와 체코 · 더보기 »

콘스탄티노폴리스

스탄티노플의 지도 콘스탄티노플 조감 복원 상상도(그래픽 재현) 콘스탄티노폴리스()는 터키의 도시 이스탄불의 옛 이름으로, 로마 제국의 황제 콘스탄티누스 대제가 바꾸기 전의 원명은 비잔티움()이었.

새로운!!: 메토디우스와 콘스탄티노폴리스 · 더보기 »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포티오스 1세

우스 또는 포티오스(820년경 – 893년 2월 6일)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첫 번째: 858년-867년 / 두 번째: 877년-886년)이었고 요한네스 크리소스토무스 이래로 가장 강력하고 영향력 있는 총대주교로 손꼽힌.

새로운!!: 메토디우스와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포티오스 1세 · 더보기 »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

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의 휘장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世界總大主敎)는 새 로마 콘스탄티노폴리스의 관구 대주교로 동방 정교회의 주교들 가운데 동등한 가운데 첫 번째(primus inter pares) 주교이.

새로운!!: 메토디우스와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 · 더보기 »

유럽

리 받아들여지는 '''유럽'''의 정의:- 녹색은 지리적 유럽- 진한 파랑색은 문화적 유럽 (옅은 파랑색은 유럽 국가의 아시아 부분) 유럽() 또는 구주(한자: 歐洲), 구라파(한자: 歐羅巴)는 대륙 중 하나로, 우랄 산맥과 캅카스 산맥, 우랄 강, 카스피 해, 흑해와 에게 해의 물길을 분수령으로 하여 아시아와 구분한 지역을 일컫.

새로운!!: 메토디우스와 유럽 · 더보기 »

파사우

사우 파사우()는 독일 남부 바이에른 주에 있는 도시이.

새로운!!: 메토디우스와 파사우 · 더보기 »

키릴 문자

릴 문자()는 동유럽(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와 몰도바,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일부 지역, 크로아티아 일부 지역, 루마니아 일부 지역, 불가리아, 마케도니아 공화국)과 중앙아시아, 북아시아와 아제르바이잔, 조지아 일부 지역(압하지야, 남오세티야), 몽골 등 슬라브권의 영향을 받은 나라에서 쓰이는 문자이.

새로운!!: 메토디우스와 키릴 문자 · 더보기 »

키릴로스

릴로스().

새로운!!: 메토디우스와 키릴로스 · 더보기 »

삼위일체

삼위일체(三位一體)란 기독교의 성경적 신학적 중요한 교리이.

새로운!!: 메토디우스와 삼위일체 · 더보기 »

성경

성경 또는 성서 (聖經, 聖書, Bible)은 유대교 및 기독교에서 가장 중요한 경전이.

새로운!!: 메토디우스와 성경 · 더보기 »

성공회

성공회(聖公會,,Episcopal Church) 또는 세계성공회공동체(Anglican Communion)는 전 세계 165여 개국, 38개의 독립적이고 자치적인 성공회(관구)로 이루어진 기독교 교파이며, 신자는 약 1억명으로 추산.

새로운!!: 메토디우스와 성공회 · 더보기 »

성인 (종교)

성인(聖人, saint)은 종교에서 성인됨(聖, holiness)의 상태를 선천적으로건 후천적으로건 가졌거나 보인 사람들로서 타 신도들에게 모범이 되는 사람을 말. (이 문서에서는 각 종교들을 가나다순으로 나열한다.) 한편, 종교 외적으로도, 윤리적으로 특히 훌륭한 삶을 산 사람을 높여 부를 때 성인이.

새로운!!: 메토디우스와 성인 (종교) · 더보기 »

성직자

성직자 성직자(聖職者)는 신학교육 등을 통해 종교에 대한 전문지식을 갖고 있는 종교지도자를 말. 이들은 종교를 믿는 신도들을 종교집회나 교리교육을 통해 지도할 의무와 책임을 갖고 있.

새로운!!: 메토디우스와 성직자 · 더보기 »

테살로니키

살로니키(또는 테살로니카, 살로니카)는 아테네 다음으로 큰 그리스 제2의 도시이자 그리스령 마케도니아 지방의 중심 도시이.

새로운!!: 메토디우스와 테살로니키 · 더보기 »

1880년

1880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메토디우스와 1880년 · 더보기 »

1985년

1985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메토디우스와 1985년 · 더보기 »

2월 14일

2월 1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45번째(윤년일 경우도 4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메토디우스와 2월 14일 · 더보기 »

4월 6일

4월 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96번째(윤년일 경우 9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메토디우스와 4월 6일 · 더보기 »

4월 8일

4월 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98번째(윤년일 경우 9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메토디우스와 4월 8일 · 더보기 »

5월 11일

5월 1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31번째(윤년일 경우 13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메토디우스와 5월 11일 · 더보기 »

82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메토디우스와 826년 · 더보기 »

86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메토디우스와 862년 · 더보기 »

86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메토디우스와 864년 · 더보기 »

86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메토디우스와 867년 · 더보기 »

86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메토디우스와 869년 · 더보기 »

87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메토디우스와 870년 · 더보기 »

88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메토디우스와 880년 · 더보기 »

88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메토디우스와 885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메토디오스, 성 메토디우스.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