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바부르

색인 바부르

자히르 알딘 무함마드 바부르는 안디잔(지금의 우즈베키스탄의 한 지방) 출신의 모험가로, 여러 차례 실패를 경험했으나, 1504년, 결국 아프가니스탄의 카불에서 왕국을 세우는데 성공.

26 처지: 델리 술탄조, 로디 술탄국, 무굴 바드샤, 무굴 제국, 부하라 칸국,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우르두어, 우즈베키스탄, 힌디어, 이슬람교, 칭기즈 칸, 카불, 수니파, 안디잔, 아그라, 아프가니스탄, 티무르, 티무르 제국, 티무르 왕조, 후마윤, 12월 26일, 1483년, 1526년, 1530년, 1531년, 4월 30일.

델리 술탄조

리 술탄조(دلی سلطنت)는 1206년부터 1526년까지 델리를 중심으로 인도를 지배하던 술탄조(朝)이.

새로운!!: 바부르와 델리 술탄조 · 더보기 »

로디 술탄국

왕조(Lodi dynasty)는 15세기 후반부터 16세기 초까지 갠지스 강 유역과 펀자브 지방을 중심으로 인도 북부를 지배한 델리 술탄 왕조의 5번째 아프간계 이슬람 왕조이.

새로운!!: 바부르와 로디 술탄국 · 더보기 »

무굴 바드샤

무굴 바드샤()는 16세기에서 18세기에 걸쳐 인도 아대륙을 지배한 무굴 제국의 군주.

새로운!!: 바부르와 무굴 바드샤 · 더보기 »

무굴 제국

무굴 제국()은 16세기 초부터 19세기 중반까지 오늘날의 인도 북부와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에 이르는 지역을 지배한 이슬람 왕조이.

새로운!!: 바부르와 무굴 제국 · 더보기 »

부하라 칸국

부하라 한국(~汗國)는 중앙아시아에 있었던 나라 중의 하나이.

새로운!!: 바부르와 부하라 칸국 · 더보기 »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은 지금까지도 발행되는 것 중에서는 가장 오래된 영어로 쓰인 백과사전이.

새로운!!: 바부르와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 더보기 »

우르두어

우르두어(اُردو)는 인도의 고대 언어인 산스크리트어에 이슬람의 진출로 인한 아랍어와 페르시아어의 영향을 받아 발달한 인도-셈족-아리안계의 독특한 언어이.

새로운!!: 바부르와 우르두어 · 더보기 »

우즈베키스탄

우즈베키스탄 공화국(), 약칭 우즈베키스탄()은 중앙아시아에 있는 내륙국이고, 수도는 타슈켄트이.

새로운!!: 바부르와 우즈베키스탄 · 더보기 »

힌디어

힌디어 방언의 분포 힌디어(हिन्दी)는 인도유럽어족의 인도이란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영어와 함께 1965년 1월 26일 이후로 인도의 공용어이.

새로운!!: 바부르와 힌디어 · 더보기 »

이슬람교

이슬람()또는 회교(回敎)는 무함마드를 예언자로, 알라를 단일신으로 삼는 종교이.

새로운!!: 바부르와 이슬람교 · 더보기 »

칭기즈 칸

칭기즈 칸(1155/62/67년? 4월 16일-1227년 8월 25일)은 몽골 제국의 창업자이자 초대 카간이.

새로운!!: 바부르와 칭기즈 칸 · 더보기 »

카불

불 구(舊)도시의 모습 카불()은 아프가니스탄의 수도이.

새로운!!: 바부르와 카불 · 더보기 »

수니파

수니파()는 이슬람의 한 파이.

새로운!!: 바부르와 수니파 · 더보기 »

안디잔

안디잔()은 우즈베키스탄 공화국의 제4의 도시이고 안디잔 주의 주도이.

새로운!!: 바부르와 안디잔 · 더보기 »

아그라

thumb 아그라(Agra)는 인도 야무나 강변에 위치한 고대 도시로 우타르프라데시 주에 있. 1526년부터 1658년까지 무굴 제국의 수도로 발달했는데, 당시 건설된 타지마할, 아그라 성 등은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어 있. 분류:인도의 도시 분류:무굴 제국.

새로운!!: 바부르와 아그라 · 더보기 »

아프가니스탄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줄여서 아프가니스탄(), 아프간은 남아시아와 중앙아시아에 걸쳐 있는 내륙국이.

새로운!!: 바부르와 아프가니스탄 · 더보기 »

티무르

무르 베그 구르카니(1336년 4월 9일~1405년 2월 18일)는 중앙아시아의 튀르크몽골인 군사 지도자이며, 티무르 제국의 창시자(재위: 1370년 ~ 1405년)이.

새로운!!: 바부르와 티무르 · 더보기 »

티무르 제국

무르 제국( (Tīmūriyān), 우즈베크어: Temuriylar)은 중앙아시아의 트란스옥시아나(현재의 우즈베키스탄 중앙부)에 발흥했던 몽골 제국의 계승 정권 중 하나로서, 중앙아시아부터 이란에 걸친 지역을 지배했던 이슬람 왕조(1370년~1507년)이다. 전성기의 판도로 북동쪽은 동투르키스탄, 남동쪽은 인더스 강, 북서쪽은 볼가 강, 남서쪽으로는 역사적 시리아・아나톨리아 방면까지 이르러, 과거 몽골제국의 서남부 지역을 제패했다. 창시자인 티무르 재위 중에 티무르 제국이라 불렸다. 왕조의 시조 티무르는 차가타이 칸국을 섬기는 발라스부의 출신으로 언어적으로 투르크화하고, 종교적으로는 이슬람화했던, 몽골군인(차가타이인)의 일원이었다. 티무르의 정복으로, 앞서 말한 대판도를 구가하지만, 그의 사후에 자손들에 의하여 제국은 분할되었기 때문에 급속하게 분열하고 축소되어, 15세기 후반에는 사마르칸트와 헤라트의 두 정권이 남았다. 결국 16세기 초에 우즈베크의 샤이반 왕조에 의해 중앙아시아의 영토를 빼앗겨 멸망했다.큰 영토를 가진 티무르 제국을 보고 구소련을 지배했던 스탈린이 이를 부러워해 티무르 유해를 찾아오도록 했다는 일화가 있다. '티무르 관을 열면 전쟁이 벌어진다'는 예언이 있었지만, 스탈린은 티무르 관을 열었다고 한다. 이후 독일이 소련을 침공했다. 예언을 두려워한 스탈린은 다시 관을 덮은 뒤 다시는 관을 공개하지 않았다.

새로운!!: 바부르와 티무르 제국 · 더보기 »

티무르 왕조

무르조()는 군벌 티무르를 시조로 하는 튀르크몽골인 씨족 출신의 수니파 무슬림 왕조.

새로운!!: 바부르와 티무르 왕조 · 더보기 »

후마윤

후마윤(Al-Sultan al-'Azam wal Khaqan al-Mukarram, Jam-i-Sultanat-i-haqiqi wa Majazi, Sayyid al-Salatin, Abu'l Muzaffar Nasir ud-din Muhammad Humayun Padshah Ghazi, Zillu'llah, 1508년 3월 17일 ~ 1556년 3월 4일)은 무굴 제국의 두 번째 황제로, 현재의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과 북인도를 1530년 ~ 1540년까지 다스.

새로운!!: 바부르와 후마윤 · 더보기 »

12월 26일

12월 2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60번째(윤년일 경우 36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바부르와 12월 26일 · 더보기 »

148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바부르와 1483년 · 더보기 »

152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바부르와 1526년 · 더보기 »

153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바부르와 1530년 · 더보기 »

153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바부르와 1531년 · 더보기 »

4월 30일

4월 3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20번째(윤년일 경우 121번째) 날에 해당하며, 4월의 마지막 날이.

새로운!!: 바부르와 4월 30일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