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반야와 불교 용어 목록/ㅎ

바로 가기: 차이점, 유사점, Jaccard 유사성 계수, 참고 문헌.

반야와 불교 용어 목록/ㅎ의 차이

반야 vs. 불교 용어 목록/ㅎ

반야(般若)는 산스크리트어 프라즈냐(प्रज्ञा prajñā) 또는 팔리어 빤냐(paññā)를 음에 따라 번역한 낱말로, 뜻에 따라 번역하여 지혜(智慧)라고도 하며 간단히 지(智) 또는 혜(慧). 1.

반야와 불교 용어 목록/ㅎ의 유사점

반야와 불교 용어 목록/ㅎ는 공통적으로 65 가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유니온백과에서): 도 (불교), 도제, 말나식, 마음작용, 명신, 무루, 무명 (불교), 무생지, 무색계, 반야, 견 (불교), 번뇌, 법 (불교), 법상종, 고과와 낙과, 계 (불교), 별경심소, 광 (불교), 불교 용어 목록, 불교 용어 목록/ㅊ, 불교 용어 목록/ㅎ, 불교 용어 목록/ㅈ, 불교 용어 목록/묵, 불교 용어 목록/정, 불교 용어 목록/수, 불교 용어 목록/삼, 불교 용어 목록/선, 부파불교, 대승불교, 대지법, ..., 구경각, 득 (불교), 욕계, 자성 (불교), 인 (불교), 인위와 과위, 정서, 진지 (불교), 지 (불교), 지관 (불교), 지혜, 천 (불교), 유루와 무루, 유가행파, 육식, 팔식, 위파사나, 택법, 색계, 오위백법, 오위칠십오법, 사 (불교), 사성제, 삼도, 삼계, 삼성 (불교), 석가모니, 설일체유부, 성인 (불교), 세간, 해 (불교), 아라한, 아비달마구사론, 심의식, 십지.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35 더) »

도 (불교)

불교 용어로서의 도(道)는 대표적인 뜻으로는 길 또는 진리를 뜻하는데, 구체적으로는 다음의 여러 가지 뜻이 있.

도 (불교)와 반야 · 도 (불교)와 불교 용어 목록/ㅎ · 더보기 »

도제

제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

도제와 반야 · 도제와 불교 용어 목록/ㅎ · 더보기 »

말나식

말나식(末那識, 의 意, manas-vijñāna 의식 意識)은 유식유가행파를 비롯한 대승불교에서 마음을 이루고 있다고 보는 8식(八識: 8가지의 식) 가운데 하나로 제7식(第七識), 제7말나식(第七末那識) 또는 말나(末那).

말나식와 반야 · 말나식와 불교 용어 목록/ㅎ · 더보기 »

마음작용

마음작용(caitasika,,, mental events, mental states)은 마음의 작용(마음의 作用)의 준말이며, 전통적인 불교 용어로는 심소유법(心所有法), 심소법(心所法) 또는 심소(心所).

마음작용와 반야 · 마음작용와 불교 용어 목록/ㅎ · 더보기 »

명신

명신(名身)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명신와 반야 · 명신와 불교 용어 목록/ㅎ · 더보기 »

무루

무루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무루와 반야 · 무루와 불교 용어 목록/ㅎ · 더보기 »

무명 (불교)

무명(無明) 또는 치(癡,, moha, mūdha,,, delusion)는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무명 (불교)와 반야 · 무명 (불교)와 불교 용어 목록/ㅎ · 더보기 »

무생지

무생지(無生智)는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무생지와 반야 · 무생지와 불교 용어 목록/ㅎ · 더보기 »

무색계

무색계(無色界)는 욕계(欲界)색계(色界)무색계(無色界)의 3계(三界) 가운데 하나로, 욕유(欲有)색유(色有)무색유(無色有)의 3유(三有) 가운데 무색유(無色有)와 동의어이.

무색계와 반야 · 무색계와 불교 용어 목록/ㅎ · 더보기 »

반야

반야(般若)는 산스크리트어 프라즈냐(प्रज्ञा prajñā) 또는 팔리어 빤냐(paññā)를 음에 따라 번역한 낱말로, 뜻에 따라 번역하여 지혜(智慧)라고도 하며 간단히 지(智) 또는 혜(慧).

반야와 반야 · 반야와 불교 용어 목록/ㅎ · 더보기 »

견 (불교)

(見)은 심려(審慮: 심사숙고)하고 결탁(決度: 확인 판단)하는 것, 또는 심려와 결탁을 통해 형성된 견해(見解: 일반 사전적인 뜻은 어떤 사물이나 현상에 대한 자기의 의견이나 생각), 의견(意見), 주장(主張)을 말. 즉, 견(見)의 본질적 성질은 심려(審慮: 심사숙고)와 결탁(決度: 확인 판단)이.

견 (불교)와 반야 · 견 (불교)와 불교 용어 목록/ㅎ · 더보기 »

번뇌

번뇌(煩惱,, ,)는 그 본질적 성질이 부적정(不寂靜: 고요하지 않음)인 마음작용들을 말. 번뇌의 본질적인 작용은 번뇌가 일어나게 되면, 그 번뇌를 대치(對治)하지 않는 한, 그 자체의 본질적인 성질에 근거하여 그 번뇌가 일으키는 부적정한 영향력 즉 부적정한 업이 몸과 마음에 상속되어 전전(展轉)하게 하는 것이.

반야와 번뇌 · 번뇌와 불교 용어 목록/ㅎ · 더보기 »

법 (불교)

법(法)은 산스크리트어 다르마(Dharma)의 번역으로서, "지키는 것지지하는 것"이 원뜻이.

반야와 법 (불교) · 법 (불교)와 불교 용어 목록/ㅎ · 더보기 »

법상종

법상종(法相宗Dharma character schoolFa-Hsiang)이란 제법(諸法)의 성상(性相)을 분별하는 종(宗)이란 뜻으로 오위백법(五位百法)을 세워 아뢰야식(阿賴耶識)을 근본으로 하기 때문에 유식종(唯識宗)이.

반야와 법상종 · 법상종와 불교 용어 목록/ㅎ · 더보기 »

고과와 낙과

(苦果)와 낙과(樂果), 즉 괴로운 과보와 즐거운 과보는 서로 상대되는 낱말이.

고과와 낙과와 반야 · 고과와 낙과와 불교 용어 목록/ㅎ · 더보기 »

계 (불교)

불교에서 계(戒)는 덕, 바른 행동, 도덕, 도덕의 규율, 계율을 말하며, 그것을 위해 노력하는 것. 계는 정(定), 혜(慧)와 함께 삼학(三學)에 속하며, 바라밀의 두 번째 행인 지계(持戒)이.

계 (불교)와 반야 · 계 (불교)와 불교 용어 목록/ㅎ · 더보기 »

별경심소

별경심소(別境心所)는,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5위 100법의 법체계에서, 심소법(心所法: 51가지) 그룹의 6가지 세부 그룹인 변행심소(遍行心所: 5가지)별경심소(別境心所: 5가지)선심소(善心所: 11가지)번뇌심소(煩惱心所: 6가지)수번뇌심소(隨煩惱心所: 20가지)부정심소(不定心所: 4가지) 중의 하나이.

반야와 별경심소 · 별경심소와 불교 용어 목록/ㅎ · 더보기 »

광 (불교)

불교 용어로서의 광에는 다음의 것들이 있.

광 (불교)와 반야 · 광 (불교)와 불교 용어 목록/ㅎ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

이 문서는 불교 용어 중 한국어 위키백과에 독립된 문서가 있거나 혹은 될 만한 용어들은 해당 문서의 링크와 간단한 정의를 제공하고, 독립된 문서로 발전할 가능성이 없다고 여겨지는 용어들은 그 정의를 제공하기 위한 문서이.

반야와 불교 용어 목록 · 불교 용어 목록와 불교 용어 목록/ㅎ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ㅊ

1.차별(差別) 또는 차별상(差別相)은 사물과 다른 사물 간의 상(相,: 모양형상상태성격성질본질, mark, token, sign, characteristic, attribute)의 차이 또는 차별을 말. 사물 간에 서로 상(相)의 차이 또는 차별이 있기 때문에 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은 각각의 사물을 다른 사물과 다른 것으로 표상(요별, 식별)할 수 있. 한편, 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의 이러한 표상작용과 그 세력(적집, 집합)을 상(想) 또는 상온(想蘊)이.

반야와 불교 용어 목록/ㅊ · 불교 용어 목록/ㅊ와 불교 용어 목록/ㅎ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ㅎ

1.

반야와 불교 용어 목록/ㅎ · 불교 용어 목록/ㅎ와 불교 용어 목록/ㅎ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ㅈ

자구(自具)는 자기 자신이 있을 수 있게 원인 또는 자기 자신이 자랄 수 있게 자량(資糧: 자재와 식량)이라는 뜻으로, 예를 들어, '번뇌의 자구(自具)'는 번뇌 자신이 있게 하는 원인 또는 번뇌 자신이 자랄 수 있게 하는 자량(資糧: 자재와 식량)을 말. '번뇌의 자구(自具)'는 비리작의(非理作意) 즉 참답지 못한 사유이.

반야와 불교 용어 목록/ㅈ · 불교 용어 목록/ㅈ와 불교 용어 목록/ㅎ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묵

문소성혜(聞所成慧)는 문혜(聞慧)의 다른 말이.

반야와 불교 용어 목록/묵 · 불교 용어 목록/ㅎ와 불교 용어 목록/묵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정

불교 용어로서의 정에는 다음의 용어들이 있.

반야와 불교 용어 목록/정 · 불교 용어 목록/ㅎ와 불교 용어 목록/정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수

수(受)는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에서 심소법(心所法: 46가지) 중 대지법(大地法: 10가지) 가운데 하나이며,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5위 100법에서 심소법(心所法: 51가지) 중 변행심소(遍行心所: 5가지) 가운데 하나이.

반야와 불교 용어 목록/수 · 불교 용어 목록/ㅎ와 불교 용어 목록/수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삼

3계(三界)는 불교의 우주론 또는 세계관을 구성하는 존재계인 욕계(欲界)색계(色界)무색계(無色界)의 3가지 계(界)를 통칭하는 낱말이.

반야와 불교 용어 목록/삼 · 불교 용어 목록/ㅎ와 불교 용어 목록/삼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선

선(善)이란, 《보살영락본업경》 하권의 〈7.

반야와 불교 용어 목록/선 · 불교 용어 목록/ㅎ와 불교 용어 목록/선 · 더보기 »

부파불교

부파불교(部派佛敎)는 고타마 붓다가 반열반에 든 후 제자들 사이에 견해의 차이가 생겨 불멸후 100년 경에 보수적인 상좌부(上座部)와 진보적인 대중부(大衆部)로 분열되고, 이어서 이 두 부파(部派: 종파)로부터 여러 갈래의 분열이 일어나 불교가 여러 부파로 나뉘면서 전개되었던 시대의 불교이.

반야와 부파불교 · 부파불교와 불교 용어 목록/ㅎ · 더보기 »

대승불교

승불교(大乘佛敎) 또는 마하야나()는 "대승(大乘)"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큰 탈것"(great vehicle) 또는 "뛰어난 탈 것"이라는 뜻이며, '탈 것'이란 '가르침'을 비유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가르침에 의해 사람들을 미혹의 세계로부터 깨달음의 세계로 실어간다는 것이.

대승불교와 반야 · 대승불교와 불교 용어 목록/ㅎ · 더보기 »

대지법

법(大地法)은,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의 법체계에서, 심소법(心所法: 46가지) 그룹의 6가지 세부 그룹인 대지법(大地法: 10가지)대선지법(大善地法: 10가지)대번뇌지법(大煩惱地法: 6가지)대불선지법(大不善地法: 2가지)소번뇌지법(小煩惱地法: 10가지)부정지법(不定地法: 8가지) 중의 하나이.

대지법와 반야 · 대지법와 불교 용어 목록/ㅎ · 더보기 »

구경각

삼매에 든 고타마 붓다 (석굴암) 구경각(究竟覺, ultimate enlightenment, final enlightenment, supreme enlightenment)은 불교의 수행이 완성되어 증득(證得)하게 된 완전한 깨달음을 가리키는데 곧 부처의 상태를 이룬 것이나 부처가 되는 자리를 뜻. 구경각을 가리키는 다른 낱말로는 다음의 것들이 있.

구경각와 반야 · 구경각와 불교 용어 목록/ㅎ · 더보기 »

득 (불교)

득(得,, prāpta)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득 (불교)와 반야 · 득 (불교)와 불교 용어 목록/ㅎ · 더보기 »

욕계

욕계(欲界)는 욕계(欲界)색계(色界)무색계(無色界)의 3계(三界) 가운데 하나로, 욕유(欲有)색유(色有)무색유(無色有)의 3유(三有) 가운데 욕유(欲有)와 동의어이.

반야와 욕계 · 불교 용어 목록/ㅎ와 욕계 · 더보기 »

자성 (불교)

자성(自性,, sva-laksana, svalakṣaṇa)은 다른 어떤 것과도 관계하지 않는 자기만의 특성이.

반야와 자성 (불교) · 불교 용어 목록/ㅎ와 자성 (불교) · 더보기 »

인 (불교)

불교 용어인 인(因)은 다음을 뜻.

반야와 인 (불교) · 불교 용어 목록/ㅎ와 인 (불교) · 더보기 »

인위와 과위

인위(因位)와 과위(果位)는 불교의 수행과 수행에 의해 증득되는 결과 또는 도달하는 경지에 관련된 용어이.

반야와 인위와 과위 · 불교 용어 목록/ㅎ와 인위와 과위 · 더보기 »

정서

정서(情緖, emotion) 또는 정념(情念)은 다양한 감정, 생각, 행동과 관련된 정신적ㆍ생리적 상태이.

반야와 정서 · 불교 용어 목록/ㅎ와 정서 · 더보기 »

진지 (불교)

(盡智)는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반야와 진지 (불교) · 불교 용어 목록/ㅎ와 진지 (불교) · 더보기 »

지 (불교)

불교에서 지(地)는 다음의 뜻이 있.

반야와 지 (불교) · 불교 용어 목록/ㅎ와 지 (불교) · 더보기 »

지관 (불교)

(止觀, śamatha-vipaśyanā)은 불교의 수행법인 지(止)와 관(觀)을 통틀어 말하는 것으로, 지(止)는 산스크리트어 사마타(śamatha)를 뜻에 따라 번역한 것이고, 관(觀)은 산스크리트어 비파사나(vipaśyanā 비파스야나)를 뜻에 따라 번역한 것이.

반야와 지관 (불교) · 불교 용어 목록/ㅎ와 지관 (불교) · 더보기 »

지혜

혜(智慧/知慧)는 이치를 빨리 깨우치고 사물을 정확하게 처리하는 정신적 능력이.

반야와 지혜 · 불교 용어 목록/ㅎ와 지혜 · 더보기 »

천 (불교)

(天)은 산스크리트어 데바(deva)의 번역어이기도 하지만 또한 데바로카(deva-loka)의 번역어이.

반야와 천 (불교) · 불교 용어 목록/ㅎ와 천 (불교) · 더보기 »

유루와 무루

불교에는 일체법(一切法) 또는 제법(諸法)을 분류하는 여러 방식이 있는데, 그 중에는 크게 유루법(有漏法)과 무루법(無漏法)의 두 가지로 분류하는 방식이 있. 이 분류 방식은 일체법을 크게 유위법(有爲法)과 무위법(無爲法)의 두 가지로 분류하는 방식과 더불어 불교 전반에서 널리 사용되는 분류법이.

반야와 유루와 무루 · 불교 용어 목록/ㅎ와 유루와 무루 · 더보기 »

유가행파

유가행파(瑜伽行派) 또는 요가차라()는 4세기 인도의 무착스님이 만든 대승불교 종파이.

반야와 유가행파 · 불교 용어 목록/ㅎ와 유가행파 · 더보기 »

육식

6식(六識,,, six consciousnesses)은 안식(眼識)이식(耳識)비식(鼻識)설식(舌識)신식(身識)의식(意識)을 말. 복수형 접미사 신(身)을 사용하여 6식신(六識身)이.

반야와 육식 · 불교 용어 목록/ㅎ와 육식 · 더보기 »

팔식

8식(八識,, astau vijñānāni) 또는 8식신(八識身)은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에서 마음(즉 심왕, 즉 심법)을 구성하고 있다고 보는 안식이식비식설식신식의식말나식아뢰야식의 8가지의 식(識)을 말. 8식은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5위 100법의 법체계에서 5위, 즉 심법(心法: 8가지)심소법(心所法: 51가지)색법(色法: 11가지)심불상응행법(心不相應行法: 24가지)무위법(無爲法: 6가지)의 5가지의 그룹들 가운데 첫 번째 그룹인 심법을 이. 마음(즉 심왕, 즉 심법)이 8식으로 나뉜다는 견해는, 8식을 그대로 인정하거나 8식에 암마라식(菴摩羅識) 또는 무구식(無垢識)을 더한 9식(九識)을 세우는 등 다소간의 차이가 있지만 8식을 받아들인다는 면에서 보면,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뿐만 아니라 화엄종천태종선종 등 대승불교 전반에서 받아들이고 있는 견해이.

반야와 팔식 · 불교 용어 목록/ㅎ와 팔식 · 더보기 »

위파사나

위파사나(위빠사나, 위빠싸나, Vipassanā, विपश्यना, 觀, Vipaśyanā) 또는 관(觀)은 불교의 명상법이.

반야와 위파사나 · 불교 용어 목록/ㅎ와 위파사나 · 더보기 »

택법

택법(擇法)은 모든 법(法)을 살펴서 참된 것과 거짓된 것, 선한 것과 악한 것을 판별하여, 참된 것과 선한 것을 취하고 거짓된 것과 악한 것을 버리는 것이.

반야와 택법 · 불교 용어 목록/ㅎ와 택법 · 더보기 »

색계

색계(色界)는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반야와 색계 · 불교 용어 목록/ㅎ와 색계 · 더보기 »

오위백법

오위백법(五位百法)은 유식 계통의 불교 종파인 법상종에서 세친의 《대승백법명문론(大乘百法明門論)》에 근거하여 일체의 만유제법(萬有諸法)을 크게 다섯 종류의 총 100개의 법으로 나눈 것을 말. 대분류인 오위(五位: 다섯 종류)는 심법(心法)심소법(心所法)색법(色法)심불상응행법(心不相應行法)무위법(無爲法)이.

반야와 오위백법 · 불교 용어 목록/ㅎ와 오위백법 · 더보기 »

오위칠십오법

오위칠십오법(五位七十五法)은 부파불교 시대의 설일체유부의 교학에서 모든 존재(일체법)를 다섯 그룹(位)의 75가지 법(法)으로 나눈 것을 가리.

반야와 오위칠십오법 · 불교 용어 목록/ㅎ와 오위칠십오법 · 더보기 »

사 (불교)

사는 불교 용어 다양한 뜻을 가지고 있. 보통 사리(事理)를 이해하는 능력을 의미.

반야와 사 (불교) · 불교 용어 목록/ㅎ와 사 (불교) · 더보기 »

사성제

사성제(四聖諦) 또는 사제(四諦)는 《아함경(阿含經)》에 나오는 원시 불교 가르침으로 불교 기본 교의 가운데 하나이.

반야와 사성제 · 불교 용어 목록/ㅎ와 사성제 · 더보기 »

삼도

3도(三道,, mārga-traya,, three paths)는 부파불교와 대승불교에서 공통적으로 인정하고 있는 수행(修行)의 3단계인 견도(見道)수도(修道)무학도(無學道)를 말. 즉, 3도는 성문과 보살 모두에게 해당하는 수행의 3단계이.

반야와 삼도 · 불교 용어 목록/ㅎ와 삼도 · 더보기 »

삼계

삼계(三界, 운허 & 동국역경원., 《불교 사전》. 2011년 2월 19일에 확인. 또는 trayo dhātavaḥ,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2011년 2월 19일에 확인., 또는 tisso dhātuyo, William Edward Soothill, Lewis Hodous.,《A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p.70. 2011년 2월 23일에 확인.)는 불교 용어로, 부처의 지위에 도달하지 못한 사람이 거주하는 욕계(欲界)색계(色界)무색계(無色界)를 통칭하는 낱말이.

반야와 삼계 · 불교 용어 목록/ㅎ와 삼계 · 더보기 »

삼성 (불교)

불교에서 3성(三性)은 선(善)과 불선(不善)의 기준에 따라, 즉 도덕적윤리적 성질에 따라 일체법을 분류했을 때의 세 갈래인 선(善)불선(不善)무기(無記)를 가리.

반야와 삼성 (불교) · 불교 용어 목록/ㅎ와 삼성 (불교) · 더보기 »

석가모니

석가모니(釋迦牟尼Śākyamuni, 기원전 624년? ~ 544년? 생몰연대가 확실하지 않아 여러 설이 있지만, 세계불교도대회에서 이것(기원전 624년? ~ 544년)을 공식 채택하였다. 그 외 기원전 563년 ~ 483년, 기원전 565년 ~ 485년, 기원전 463년 ~ 383년설이 있다.)는 불교의 교조이.

반야와 석가모니 · 불교 용어 목록/ㅎ와 석가모니 · 더보기 »

설일체유부

설일체유부(說一切有部)는 부파불교 시대의 종파 또는 부파들 중에서 가장 유력한 부파이며, 부파불교의 사상적 특징을 가장 잘 보여주는 부파이.

반야와 설일체유부 · 불교 용어 목록/ㅎ와 설일체유부 · 더보기 »

성인 (불교)

불교에서 성인(聖人)은 성자(聖者)라고도 하는데, 다음의 3가지 뜻이 있. 이 가운데 세 번째의 것이 범부(凡夫)에 대하여 성인(聖人) 또는 성자(聖者)라고 할 때의 성인 또는 성자의 본래의 의미이.

반야와 성인 (불교) · 불교 용어 목록/ㅎ와 성인 (불교) · 더보기 »

세간

세간(世間)의 산스크리트어로는 '로카(loka)'와 '라우키카(laukika)'가 있. 로카(loka)는 세상 또는 세계를 뜻하며 영어로는 'world (세상)'를 뜻. 이 때의 세계는 불생불멸의 무위의 세계가 아니라 생멸하고 천류하고 파괴되는 유위의 세계를 의미.

반야와 세간 · 불교 용어 목록/ㅎ와 세간 · 더보기 »

해 (불교)

(害,,, cruelty, intention to harm)는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에서 심소법(心所法: 46가지) 중 소번뇌지법(小煩惱地法: 10가지) 가운데 하나이며,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5위 100법에서 심소법(心所法: 51가지)의 수번뇌심소(隨煩惱心所: 20가지) 중 소수번뇌심소(小隨煩惱心所: 10가지) 가운데 하나이.

반야와 해 (불교) · 불교 용어 목록/ㅎ와 해 (불교) · 더보기 »

아라한

아라한(阿羅漢,,, (who has attained nirvana), enlightened, worthy, venerable, saintly one)은 줄여서 나한(羅漢)이라고 하는데, 산스크리트어 아르하트(arhat)의 음역어로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반야와 아라한 · 불교 용어 목록/ㅎ와 아라한 · 더보기 »

아비달마구사론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은 4세기 인도의 세친 스님이 지은 불전이.

반야와 아비달마구사론 · 불교 용어 목록/ㅎ와 아비달마구사론 · 더보기 »

심의식

심의식(心意識)은 심(心)의(意)식(識)의 세 낱말을 합친 복합어이.

반야와 심의식 · 불교 용어 목록/ㅎ와 심의식 · 더보기 »

십지

10지(十地,,, ten stages)는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반야와 십지 · 불교 용어 목록/ㅎ와 십지 · 더보기 »

위의 목록은 다음 질문에 대한 대답입니다

반야와 불교 용어 목록/ㅎ의 비교.

반야에는 142 개의 관계가 있고 불교 용어 목록/ㅎ에는 167 개의 관계가 있습니다. 그들은 공통점 65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Jaccard 지수는 21.04%입니다 = 65 / (142 + 167).

참고 문헌

이 기사에서는 반야와 불교 용어 목록/ㅎ의 관계를 보여줍니다. 정보가 추출 된 각 기사에 액세스하려면 다음 사이트를 방문하십시오: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