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배타적 경제 수역

색인 배타적 경제 수역

국제법 UNCLOS에 따른 바다의 구분 배타적 경제 수역(排他的經濟水域)은 해양법에 관한 국제 연합 협약(UNCLOS)에 근거해서 설정되는 경제적인 주권이 미치는 수역을 가리.

8 처지: 바다, 격외영토, 공해 (바다), 나라, 접속수역, 영해, 해리 (단위), 해양법에 관한 국제연합 협약.

바다

북해, 덴마크 연안 바다 또는 해양()은 지구 표면에서 전체 또는 일부가 육지로 둘러싸인 거대한 소금물이.

새로운!!: 배타적 경제 수역와 바다 · 더보기 »

격외영토

격외영토(隔外領土, outlaying territory)란 어떤 주권국가의 중핵이 위치한 본 영토와 떨어져 외부에 존재하면서 본 영토의 배타적 경제 수역의 범위에서 벗어나 있는 영토를 말. 지리적인 개념이며 따라서 영토의 지위는 다양.

새로운!!: 배타적 경제 수역와 격외영토 · 더보기 »

공해 (바다)

UNCLOS에 따른 수역 구분 개념도. 공해(公海)는 공공의(公) 바다(海)라는 뜻으로 영유권이나 배타권이 특정 국가에 속하지 않는 바다를 말. 기선으로부터 200해리에 이르는 구간은 영해(12해리)와 배타적 경제 수역(188해리)로 지정되어 연안 국가에게 각각 영유권과 배타권이 인정되나 200해리 밖으로는 그러한 귀속권이 존재하지 않. 이를 규정하는 근거는 UN의 국제 해양법이.

새로운!!: 배타적 경제 수역와 공해 (바다) · 더보기 »

나라

정치지리학에서 나라() 또는 국가(國家)는 일정한 영토와 거기에 사는 사람들로 구성된 단위를 일컫.

새로운!!: 배타적 경제 수역와 나라 · 더보기 »

접속수역

공해이며 따라서 그 어떤 나라에도 속하지 않지만, 국토 밖으로 달아난 범죄 선박의 추격 및 나포, 밀수 및 밀항 검문, 환경 오염 방제 등의 제한적인 사안에 한해 연안국의 통제가 인정되는 곳이다. 접속수역(接續水域)은 영해에 접속해 있는 수역으로서, 영해기준선으로부터 24해리를 넘지 않는 범위에서 그 영토 및 영해상의 관세·재정·출입국관리·보건·위생관계 규칙위반을 예방하거나 처벌하기 위하여 필요한 국가통제권을 행사하는 수역이.

새로운!!: 배타적 경제 수역와 접속수역 · 더보기 »

영해

국제법 UNCLOS에 따른 바다의 구분. 영해와 영토, 영공을 가리켜 한 나라의 국토라 한다. 영해(領海)는 한 나라의 주권이 미치는 바다로서, 기점이 되는 기선으로부터 12해리의 범위까지 설정.

새로운!!: 배타적 경제 수역와 영해 · 더보기 »

해리 (단위)

리의 정의 해리(海里, nautical mile)는 길이의 단위로, 국제단위계에는 속하지 않지만 함께 사용할 수 있. 이 단위는 해양 및 항공 분야에서 사용되며, 국제법과 조약, 특히 영해를 정하는 데 자주 사용.

새로운!!: 배타적 경제 수역와 해리 (단위) · 더보기 »

해양법에 관한 국제연합 협약

양법에 관한 국제연합 협약()은 제3차 해양법에 관한 유엔 회의(UNCLOS-III, 1973년~1982년)의 결과 1982년 채택된 국제 협약이.

새로운!!: 배타적 경제 수역와 해양법에 관한 국제연합 협약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EEZ, 배타적 경제수역, 배타적경제수역.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