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변분법

색인 변분법

변분법(變分法)이란 미적분학의 한 분야로, 일반 미적분학과는 달리 범함수를.

15 처지: 미적분학, 범함수, 변수, 부분적분, 부호, 스넬의 법칙, 운동 에너지, 페르마의 원리, 평균값 정리, 전미분, 위치 에너지,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 함수, 해밀턴 역학, 해밀턴의 원리.

미적분학

right 미적분학(微積分學, calculus)은 수학의 한 분야로 극한, 함수, 미분, 적분, 무한급수를 다루는 학문이.

새로운!!: 변분법와 미적분학 · 더보기 »

범함수

수학에서 범함수(functional)는 함수들의 집합을 정의역으로 갖는 함수이.

새로운!!: 변분법와 범함수 · 더보기 »

변수

변수(變數)는 수학에서 쓰이는 수식에 따라서 변하는 값을 뜻. (예: x + 1.

새로운!!: 변분법와 변수 · 더보기 »

부분적분

미적분학에서 부분적분(部分積分)은 함수의 곱의 적분을 구하는 방법이.

새로운!!: 변분법와 부분적분 · 더보기 »

부호

부호에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변분법와 부호 · 더보기 »

스넬의 법칙

공기(''n''1)에서 물(''n''2)로 진행하는 빛의 굴절 매질에 따른 빛의 속도와 굴절 현상 스넬의 법칙(Snell's law), 굴절의 법칙(the laws of refraction)은 굴절에 관한 물리 법칙이.

새로운!!: 변분법와 스넬의 법칙 · 더보기 »

운동 에너지

운동 에너지 (運動-, kinetic energy)는 운동하고 있는 물체 또는 입자가 갖는 에너지이.

새로운!!: 변분법와 운동 에너지 · 더보기 »

페르마의 원리

르마의 원리(Fermat's principle)는 빛의 진행 경로에 대한 설명으로, 빛은 최단 시간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택한다는 것이.

새로운!!: 변분법와 페르마의 원리 · 더보기 »

평균값 정리

(''a'', ''f''(''a''))와 (''b'', ''f''(''b''))의 연결선을 아래로 평행 이동하여 어떤 점 ''c''에서의 접선을 얻을 수 있다. 미적분학에서, 평균값 정리(平均-定理)는 대략 구간에 정의된 함수는 평균 변화율과 같은 순간 변화율을 갖는다는 정리이.

새로운!!: 변분법와 평균값 정리 · 더보기 »

전미분

벡터 미적분학에서, 전미분()은 다변수 함수의 모든 변수의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행태를 근사하는 양이.

새로운!!: 변분법와 전미분 · 더보기 »

위치 에너지

위치 에너지(퍼텐셜 에너지)는 물리학에서, 물체나 계에 저장되는 에너지로, 보존력에 대한 그 물체의 상대적인 위치에 의해 결정.

새로운!!: 변분법와 위치 에너지 · 더보기 »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Euler-Lagrange方程式, Euler–Lagrange equation)은, 어떤 함수와 그 도함수에 의존하는 범함수의 극대화 및 정류화 문제를 다루는 미분 방정식이.

새로운!!: 변분법와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 · 더보기 »

함수

수를 상자에 비유한 그림. 수학에서, 함수(函數) 또는 사상(寫像)은 첫 번째 집합의 임의의 한 원소를 두 번째 집합의 오직 한 원소에 대응시키는 대응 관계이.

새로운!!: 변분법와 함수 · 더보기 »

해밀턴 역학

밀턴 역학의 창시자, 윌리엄 로언 해밀턴 해밀턴 역학(Hamilton力學, Hamiltonian mechanics)은 고전역학적 계를 좌표와 이에 대응하는 운동량으로 이루어진 위상 공간으로 나타내어 다루는 해석 역학 이론이.

새로운!!: 변분법와 해밀턴 역학 · 더보기 »

해밀턴의 원리

밀턴의 원리(Hamilton's principle)란 미분방정식을 사용한 고전역학의 기술방식과는 달리 변분법을 사용해 적분방정식으로 고전역학을 기술하는 원리이.

새로운!!: 변분법와 해밀턴의 원리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변분학.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