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변행심소와 불교 용어 목록/수

바로 가기: 차이점, 유사점, Jaccard 유사성 계수, 참고 문헌.

변행심소와 불교 용어 목록/수의 차이

변행심소 vs. 불교 용어 목록/수

변행심소(遍行心所)는,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5위 100법의 법체계에서, 심소법(心所法: 51가지) 그룹의 6가지 세부 그룹인 변행심소(遍行心所: 5가지)별경심소(別境心所: 5가지)선심소(善心所: 11가지)번뇌심소(煩惱心所: 6가지)수번뇌심소(隨煩惱心所: 20가지)부정심소(不定心所: 4가지) 중의 하나이. 수(受)는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에서 심소법(心所法: 46가지) 중 대지법(大地法: 10가지) 가운데 하나이며,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5위 100법에서 심소법(心所法: 51가지) 중 변행심소(遍行心所: 5가지) 가운데 하나이.

변행심소와 불교 용어 목록/수의 유사점

변행심소와 불교 용어 목록/수는 공통적으로 34 가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유니온백과에서): 마음 (불교), 마음작용, 바수반두, 번뇌, 번뇌심소, 법 (불교), 법상종, 별경심소, 불교 용어 목록/ㄷ, 불교 용어 목록/ㅅ, 불교 용어 목록/무, 불교 용어 목록/구, 불교 용어 목록/수, 불교 용어 목록/삼, 부정심소, 욕계, 촉 (불교), 유가행파, 육식, 상응, 색 (불교), 수 (불교), 수온, 오위백법, 오온, 호법, , 삼수 (불교), 삼성 (불교), 석가모니, ..., 선심소, 성유식론, 아뢰야식, 심의식.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4 더) »

마음 (불교)

마음(心)은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 등에 따르면 안식이식비식설식신식의식의 6식(六識)을 말.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 등에 따르면 6식에 제7식의 말나식과 제8식의 아뢰야식을 더한 8식(八識)을 말. 마음을 주체(主體) 또는 주관(主觀)의 뜻에서 심왕(心王)이라고도 하며, 집기(集起)의 뜻에서 심법(心法)이.

마음 (불교)와 변행심소 · 마음 (불교)와 불교 용어 목록/수 · 더보기 »

마음작용

마음작용(caitasika,,, mental events, mental states)은 마음의 작용(마음의 作用)의 준말이며, 전통적인 불교 용어로는 심소유법(心所有法), 심소법(心所法) 또는 심소(心所).

마음작용와 변행심소 · 마음작용와 불교 용어 목록/수 · 더보기 »

바수반두

바수반두 바수반두(Vasubandhu, 世親, 세친)은 316 - 396년 경의 인도의 불교 사상가이.

바수반두와 변행심소 · 바수반두와 불교 용어 목록/수 · 더보기 »

번뇌

번뇌(煩惱,, ,)는 그 본질적 성질이 부적정(不寂靜: 고요하지 않음)인 마음작용들을 말. 번뇌의 본질적인 작용은 번뇌가 일어나게 되면, 그 번뇌를 대치(對治)하지 않는 한, 그 자체의 본질적인 성질에 근거하여 그 번뇌가 일으키는 부적정한 영향력 즉 부적정한 업이 몸과 마음에 상속되어 전전(展轉)하게 하는 것이.

번뇌와 변행심소 · 번뇌와 불교 용어 목록/수 · 더보기 »

번뇌심소

번뇌심소(煩惱心所)는,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5위 100법의 법체계에서, 심소법(心所法: 51가지) 그룹의 6가지 세부 그룹인 변행심소(遍行心所: 5가지)별경심소(別境心所: 5가지)선심소(善心所: 11가지)번뇌심소(煩惱心所: 6가지)수번뇌심소(隨煩惱心所: 20가지)부정심소(不定心所: 4가지) 중의 하나이.

번뇌심소와 변행심소 · 번뇌심소와 불교 용어 목록/수 · 더보기 »

법 (불교)

법(法)은 산스크리트어 다르마(Dharma)의 번역으로서, "지키는 것지지하는 것"이 원뜻이.

법 (불교)와 변행심소 · 법 (불교)와 불교 용어 목록/수 · 더보기 »

법상종

법상종(法相宗Dharma character schoolFa-Hsiang)이란 제법(諸法)의 성상(性相)을 분별하는 종(宗)이란 뜻으로 오위백법(五位百法)을 세워 아뢰야식(阿賴耶識)을 근본으로 하기 때문에 유식종(唯識宗)이.

법상종와 변행심소 · 법상종와 불교 용어 목록/수 · 더보기 »

별경심소

별경심소(別境心所)는,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5위 100법의 법체계에서, 심소법(心所法: 51가지) 그룹의 6가지 세부 그룹인 변행심소(遍行心所: 5가지)별경심소(別境心所: 5가지)선심소(善心所: 11가지)번뇌심소(煩惱心所: 6가지)수번뇌심소(隨煩惱心所: 20가지)부정심소(不定心所: 4가지) 중의 하나이.

변행심소와 별경심소 · 별경심소와 불교 용어 목록/수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ㄷ

(斷見)은 세간(世間)과 자아(自我)는 사후(死後)에 완전히 소멸된다는 견해로, 즉 인과의 상속, 업(業)의 상속 또는 심상속(心相續)을 부정하는 견해이.

변행심소와 불교 용어 목록/ㄷ · 불교 용어 목록/ㄷ와 불교 용어 목록/수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ㅅ

설명이 없습니다.

변행심소와 불교 용어 목록/ㅅ · 불교 용어 목록/ㅅ와 불교 용어 목록/수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무

1.

변행심소와 불교 용어 목록/무 · 불교 용어 목록/무와 불교 용어 목록/수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구

설명이 없습니다.

변행심소와 불교 용어 목록/구 · 불교 용어 목록/구와 불교 용어 목록/수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수

수(受)는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에서 심소법(心所法: 46가지) 중 대지법(大地法: 10가지) 가운데 하나이며,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5위 100법에서 심소법(心所法: 51가지) 중 변행심소(遍行心所: 5가지) 가운데 하나이.

변행심소와 불교 용어 목록/수 · 불교 용어 목록/수와 불교 용어 목록/수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삼

3계(三界)는 불교의 우주론 또는 세계관을 구성하는 존재계인 욕계(欲界)색계(色界)무색계(無色界)의 3가지 계(界)를 통칭하는 낱말이.

변행심소와 불교 용어 목록/삼 · 불교 용어 목록/삼와 불교 용어 목록/수 · 더보기 »

부정심소

부정심소(不定心所)는,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5위 100법의 법체계에서, 심소법(心所法: 51가지) 그룹의 6가지 세부 그룹인 변행심소(遍行心所: 5가지)별경심소(別境心所: 5가지)선심소(善心所: 11가지)번뇌심소(煩惱心所: 6가지)수번뇌심소(隨煩惱心所: 20가지)부정심소(不定心所: 4가지) 중의 하나이.

변행심소와 부정심소 · 부정심소와 불교 용어 목록/수 · 더보기 »

욕계

욕계(欲界)는 욕계(欲界)색계(色界)무색계(無色界)의 3계(三界) 가운데 하나로, 욕유(欲有)색유(色有)무색유(無色有)의 3유(三有) 가운데 욕유(欲有)와 동의어이.

변행심소와 욕계 · 불교 용어 목록/수와 욕계 · 더보기 »

촉 (불교)

촉(觸, 접촉, 3사화합분별변이)은 초기불교의 12연기설(十二緣起說)의 6번째 지분이며,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에서 심소법(心所法: 46가지) 중 대지법(大地法: 10가지) 가운데 하나이며,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5위 100법에서 심소법(心所法: 51가지) 중 변행심소(遍行心所: 5가지) 가운데 하나이.

변행심소와 촉 (불교) · 불교 용어 목록/수와 촉 (불교) · 더보기 »

유가행파

유가행파(瑜伽行派) 또는 요가차라()는 4세기 인도의 무착스님이 만든 대승불교 종파이.

변행심소와 유가행파 · 불교 용어 목록/수와 유가행파 · 더보기 »

육식

6식(六識,,, six consciousnesses)은 안식(眼識)이식(耳識)비식(鼻識)설식(舌識)신식(身識)의식(意識)을 말. 복수형 접미사 신(身)을 사용하여 6식신(六識身)이.

변행심소와 육식 · 불교 용어 목록/수와 육식 · 더보기 »

상응

상응(相應)의 원어로는 팔리어로는 상윳따(saṃyutta)가 있으며, 산스크리트어로는 삼프라육타(saṃprayukta)와 삼프라요가(saṃprayoga)의 2가지가 있. 첫 번째의, 팔리어의 상윳따(saṃyutta)의 번역어로서의 상응(相應)은 가르침을 주제에 따라 분류하여 배열한 것을 말하는데, 예를 들어, 팔리어 대장경의 5부(五部,, 니까야) 중 《상응부(相應部)》의 팔리어 원어명이 상윳따 니까야(Samyutta Nikāya)이.

변행심소와 상응 · 불교 용어 목록/수와 상응 · 더보기 »

색 (불교)

색(色)은 산스크리트어 루파(रुपा, Rūpa)의 역어이.

변행심소와 색 (불교) · 불교 용어 목록/수와 색 (불교) · 더보기 »

수 (불교)

수(受, 느낌지각정서영납(領納)감수(感受))는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변행심소와 수 (불교) · 불교 용어 목록/수와 수 (불교) · 더보기 »

수온

수온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변행심소와 수온 · 불교 용어 목록/수와 수온 · 더보기 »

오위백법

오위백법(五位百法)은 유식 계통의 불교 종파인 법상종에서 세친의 《대승백법명문론(大乘百法明門論)》에 근거하여 일체의 만유제법(萬有諸法)을 크게 다섯 종류의 총 100개의 법으로 나눈 것을 말. 대분류인 오위(五位: 다섯 종류)는 심법(心法)심소법(心所法)색법(色法)심불상응행법(心不相應行法)무위법(無爲法)이.

변행심소와 오위백법 · 불교 용어 목록/수와 오위백법 · 더보기 »

오온

5온(五蘊)은 불교에서 생멸변화하는 모든 것, 즉 모든 유위법(有爲法)을 구성하고 있다고 보는 색(色)수(受)상(想)행(行)식(識)의 다섯 요소를 말. 이들을 각각 색온(色蘊: 육체, 물질)수온(受蘊: 지각, 느낌)상온(想蘊: 표상, 생각)행온(行蘊: 욕구, 의지)식온(識蘊: 마음, 의식)이라고도 부른.

변행심소와 오온 · 불교 용어 목록/수와 오온 · 더보기 »

호법

호법(護法: 530~561), 다르마팔라(Dharmapāla) 또는 달마바라(達磨波羅)는 인도 대승불교 유가행파(瑜伽行派)의 승려이.

변행심소와 호법 · 불교 용어 목록/수와 호법 · 더보기 »

업(業)은 산스크리트어 낱말 카르마(Karma)의 번역어이.

변행심소와 업 · 불교 용어 목록/수와 업 · 더보기 »

삼수 (불교)

3수(三受)는 불교에서 느낌지각정서의 마음작용인 수(受) 또는 수온(受蘊)을 3가지로 세분한 고수(苦受)낙수(樂受)사수(捨受)를 말.

변행심소와 삼수 (불교) · 불교 용어 목록/수와 삼수 (불교) · 더보기 »

삼성 (불교)

불교에서 3성(三性)은 선(善)과 불선(不善)의 기준에 따라, 즉 도덕적윤리적 성질에 따라 일체법을 분류했을 때의 세 갈래인 선(善)불선(不善)무기(無記)를 가리.

변행심소와 삼성 (불교) · 불교 용어 목록/수와 삼성 (불교) · 더보기 »

석가모니

석가모니(釋迦牟尼Śākyamuni, 기원전 624년? ~ 544년? 생몰연대가 확실하지 않아 여러 설이 있지만, 세계불교도대회에서 이것(기원전 624년? ~ 544년)을 공식 채택하였다. 그 외 기원전 563년 ~ 483년, 기원전 565년 ~ 485년, 기원전 463년 ~ 383년설이 있다.)는 불교의 교조이.

변행심소와 석가모니 · 불교 용어 목록/수와 석가모니 · 더보기 »

선심소

선심소(善心所)는,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5위 100법의 법체계에서, 심소법(心所法: 51가지) 그룹의 6가지 세부 그룹인 변행심소(遍行心所: 5가지)별경심소(別境心所: 5가지)선심소(善心所: 11가지)번뇌심소(煩惱心所: 6가지)수번뇌심소(隨煩惱心所: 20가지)부정심소(不定心所: 4가지) 중의 하나이.

변행심소와 선심소 · 불교 용어 목록/수와 선심소 · 더보기 »

성유식론

《성유식론》(成唯識論,, 비즈냐프티마트라타싯디 샤스트라)은 인도 대승불교 유가유식파의 세친(世親: c. 320~400)이 저술한 《유식삼십송》(唯識三十頌)을 기반으로 한 논서이.

변행심소와 성유식론 · 불교 용어 목록/수와 성유식론 · 더보기 »

아뢰야식

아뢰야식(阿賴耶識)은 산스크리트어 알라야 비즈냐나(ālaya vijñāna)를 음을 따라 표기한 것으로 아리야식(阿梨耶識)이라고도 하며, 제8아뢰야식(第八阿賴耶識) 또는 간단히 제8식(第八識, eighth consciousness)이.

변행심소와 아뢰야식 · 불교 용어 목록/수와 아뢰야식 · 더보기 »

심의식

심의식(心意識)은 심(心)의(意)식(識)의 세 낱말을 합친 복합어이.

변행심소와 심의식 · 불교 용어 목록/수와 심의식 · 더보기 »

위의 목록은 다음 질문에 대한 대답입니다

변행심소와 불교 용어 목록/수의 비교.

변행심소에는 63 개의 관계가 있고 불교 용어 목록/수에는 134 개의 관계가 있습니다. 그들은 공통점 34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Jaccard 지수는 17.26%입니다 = 34 / (63 + 134).

참고 문헌

이 기사에서는 변행심소와 불교 용어 목록/수의 관계를 보여줍니다. 정보가 추출 된 각 기사에 액세스하려면 다음 사이트를 방문하십시오: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