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용어 목록/ㅊ와 조림 (불교)의 유사점
불교 용어 목록/ㅊ와 조림 (불교)는 공통적으로 36 가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유니온백과에서): 마음 (불교), 무명 (불교), 개 (불교), 박 (불교), 견 (불교), 결 (불교), 번뇌, 번뇌의 다른 이름, 계 (번뇌), 궤, 불선근, 부정견, 대승불교, 누 (불교), 구애 (불교), 뇌 (불교), 폭류, 전 (번뇌), 전 (불교), 주올, 중생, 진 (불교), 취 (불교), 치연, 유가행파, 유가사지론, 유쟁, 상해 (불교), 탐, 수면 (불교), ..., 수번뇌, 소 (불교), 소유 (불교), 액 (불교), 악행, 화 (불교).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6 더) »
마음 (불교)
마음(心)은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 등에 따르면 안식이식비식설식신식의식의 6식(六識)을 말.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 등에 따르면 6식에 제7식의 말나식과 제8식의 아뢰야식을 더한 8식(八識)을 말. 마음을 주체(主體) 또는 주관(主觀)의 뜻에서 심왕(心王)이라고도 하며, 집기(集起)의 뜻에서 심법(心法)이.
마음 (불교)와 불교 용어 목록/ㅊ · 마음 (불교)와 조림 (불교) ·
무명 (불교)
무명(無明) 또는 치(癡,, moha, mūdha,,, delusion)는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무명 (불교)와 불교 용어 목록/ㅊ · 무명 (불교)와 조림 (불교) ·
개 (불교)
(蓋)는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개 (불교)와 불교 용어 목록/ㅊ · 개 (불교)와 조림 (불교) ·
박 (불교)
박(縛)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박 (불교)와 불교 용어 목록/ㅊ · 박 (불교)와 조림 (불교) ·
견 (불교)
(見)은 심려(審慮: 심사숙고)하고 결탁(決度: 확인 판단)하는 것, 또는 심려와 결탁을 통해 형성된 견해(見解: 일반 사전적인 뜻은 어떤 사물이나 현상에 대한 자기의 의견이나 생각), 의견(意見), 주장(主張)을 말. 즉, 견(見)의 본질적 성질은 심려(審慮: 심사숙고)와 결탁(決度: 확인 판단)이.
견 (불교)와 불교 용어 목록/ㅊ · 견 (불교)와 조림 (불교) ·
결 (불교)
(結,, bandhana)은 사(使) 등과 함께 번뇌의 여러 다른 이름 가운데 하나이.
결 (불교)와 불교 용어 목록/ㅊ · 결 (불교)와 조림 (불교) ·
번뇌
번뇌(煩惱,, ,)는 그 본질적 성질이 부적정(不寂靜: 고요하지 않음)인 마음작용들을 말. 번뇌의 본질적인 작용은 번뇌가 일어나게 되면, 그 번뇌를 대치(對治)하지 않는 한, 그 자체의 본질적인 성질에 근거하여 그 번뇌가 일으키는 부적정한 영향력 즉 부적정한 업이 몸과 마음에 상속되어 전전(展轉)하게 하는 것이.
번뇌와 불교 용어 목록/ㅊ · 번뇌와 조림 (불교) ·
번뇌의 다른 이름
번뇌(煩惱)는 그것의 특정한 의미 즉 특정 측면을 부각시켜 말하는 여러 다른 이름들 즉 번뇌의 동의어가 존재.
번뇌의 다른 이름와 불교 용어 목록/ㅊ · 번뇌의 다른 이름와 조림 (불교) ·
계 (번뇌)
(繫)는 계박(繫縛) 또는 계속(繫屬)이라고도 하며, 어떤 것에 얽히어 속박된다는 뜻이.
계 (번뇌)와 불교 용어 목록/ㅊ · 계 (번뇌)와 조림 (불교) ·
궤
300px 궤(櫃, chest)는 물건 수납을 위해 만든 상자형의 가구의 일종이.
불선근
음을 나타낸다. 달을 가리키고 있는 붓다는 6도윤회로부터 벗어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불선근(不善根)은 3계 중 욕계의 탐(貪)진(瞋)치(癡)의 3가지 번뇌 또는 번뇌성의 마음작용(심소법)을 말. 불선근을 3불선근(三不善根)이.
불교 용어 목록/ㅊ와 불선근 · 불선근와 조림 (불교) ·
부정견
부정견(不正見) 또는 악견(惡見)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부정견와 불교 용어 목록/ㅊ · 부정견와 조림 (불교) ·
대승불교
승불교(大乘佛敎) 또는 마하야나()는 "대승(大乘)"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큰 탈것"(great vehicle) 또는 "뛰어난 탈 것"이라는 뜻이며, '탈 것'이란 '가르침'을 비유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가르침에 의해 사람들을 미혹의 세계로부터 깨달음의 세계로 실어간다는 것이.
대승불교와 불교 용어 목록/ㅊ · 대승불교와 조림 (불교) ·
누 (불교)
(漏) 또는 루(漏)는 번뇌를 뜻하며,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사상 > 근본불교의 사상 > 무루,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단어의 처음에서 두음법칙에 의해 누로 발음되고 표기되며, 단어의 처음이 아닌 경우에는 루로 발음.
누 (불교)와 불교 용어 목록/ㅊ · 누 (불교)와 조림 (불교) ·
구애 (불교)
애(拘礙)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붙잡고(拘) 장애하다(礙)로, 번뇌의 여러 다른 이름들 가운데 하나이.
구애 (불교)와 불교 용어 목록/ㅊ · 구애 (불교)와 조림 (불교) ·
뇌 (불교)
(惱)는 변괴(變壞: 변하여 허물어짐) 또는 뇌괴(惱壞: 허물어짐에 괴로워하게 되는 것)의 뜻이 있는데, 이러한 뜻에서 뇌(惱)는 번뇌의 동의어로 사용.
뇌 (불교)와 불교 용어 목록/ㅊ · 뇌 (불교)와 조림 (불교) ·
폭류
폭류(暴流, 瀑流)는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불교 용어 목록/ㅊ와 폭류 · 조림 (불교)와 폭류 ·
전 (번뇌)
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논서 《유가사지론》 제8권에 따르면, 전(箭)은 번뇌의 다른 이름인 결(結)박(縛)수면(隨眠)수번뇌(隨煩惱)전(纏)폭류(暴流)액(軛)취(取)계(繫)개(蓋)주올(株杌)구(垢)상해(常害)전(箭)소유(所有)근(根)악행(惡行)누(漏)궤(匱)소(燒)뇌(惱)유쟁(有諍)화(火)치연(熾然)조림(稠林)구애(拘礙) 가운데 하나이.
불교 용어 목록/ㅊ와 전 (번뇌) · 전 (번뇌)와 조림 (불교) ·
전 (불교)
전(纏)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불교 용어 목록/ㅊ와 전 (불교) · 전 (불교)와 조림 (불교) ·
주올
주올(株杌)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불교 용어 목록/ㅊ와 주올 · 조림 (불교)와 주올 ·
중생
중생(衆生)은 산스크리트어 사트바(sattva)의 번역어로 유정(有情)이.
불교 용어 목록/ㅊ와 중생 · 조림 (불교)와 중생 ·
진 (불교)
(瞋,, dvesa,,, anger, repugnance)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불교 용어 목록/ㅊ와 진 (불교) · 조림 (불교)와 진 (불교) ·
취 (불교)
(取)는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불교 용어 목록/ㅊ와 취 (불교) · 조림 (불교)와 취 (불교) ·
치연
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논서 《유가사지론》 제8권에 따르면, 치연(熾然)은 번뇌의 다른 이름인 결(結)박(縛)수면(隨眠)수번뇌(隨煩惱)전(纏)폭류(暴流)액(軛)취(取)계(繫)개(蓋)주올(株杌)구(垢)상해(常害)전(箭)소유(所有)근(根)악행(惡行)누(漏)궤(匱)소(燒)뇌(惱)유쟁(有諍)화(火)치연(熾然)조림(稠林)구애(拘礙) 가운데 하나이.
불교 용어 목록/ㅊ와 치연 · 조림 (불교)와 치연 ·
유가행파
유가행파(瑜伽行派) 또는 요가차라()는 4세기 인도의 무착스님이 만든 대승불교 종파이.
불교 용어 목록/ㅊ와 유가행파 · 유가행파와 조림 (불교) ·
유가사지론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K.0570, T.1579)은 불교 전통에 따르면 미륵보살이 강설한 것을 무착이 기록하여 성립된 논서로, 유식유가행파의 근본 논서이.
불교 용어 목록/ㅊ와 유가사지론 · 유가사지론와 조림 (불교) ·
유쟁
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논서 《유가사지론》 제8권에 따르면, 유쟁(有諍)은 번뇌의 다른 이름인 결(結)박(縛)수면(隨眠)수번뇌(隨煩惱)전(纏)폭류(暴流)액(軛)취(取)계(繫)개(蓋)주올(株杌)구(垢)상해(常害)전(箭)소유(所有)근(根)악행(惡行)누(漏)궤(匱)소(燒)뇌(惱)유쟁(有諍)화(火)치연(熾然)조림(稠林)구애(拘礙) 가운데 하나이.
불교 용어 목록/ㅊ와 유쟁 · 유쟁와 조림 (불교) ·
상해 (불교)
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논서 《유가사지론》 제8권에 따르면, 상해(常害)는 번뇌의 다른 이름인 결(結)박(縛)수면(隨眠)수번뇌(隨煩惱)전(纏)폭류(暴流)액(軛)취(取)계(繫)개(蓋)주올(株杌)구(垢)상해(常害)전(箭)소유(所有)근(根)악행(惡行)누(漏)궤(匱)소(燒)뇌(惱)유쟁(有諍)화(火)치연(熾然)조림(稠林)구애(拘礙) 가운데 하나이.
불교 용어 목록/ㅊ와 상해 (불교) · 상해 (불교)와 조림 (불교) ·
탐
(貪,,,, attachment) 또는 집착(執著) 즉 무언가에 들러붙어서 떠나지 못함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수면 (불교)
수면(隨眠,,,, rgyas par 'gyur ba)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불교 용어 목록/ㅊ와 수면 (불교) · 수면 (불교)와 조림 (불교) ·
수번뇌
수번뇌(隨煩惱)는 수혹(隨惑)이라고도 하는데 세 가지 뜻이 있. 첫 번째는 근본번뇌(根本煩惱)를 따라 일어난 2차적인 번뇌라는 뜻으로, 이 경우의 수번뇌를 근본번뇌와 구분하여 지말번뇌(枝末煩惱) 또는 지말혹(枝末惑)이.
불교 용어 목록/ㅊ와 수번뇌 · 수번뇌와 조림 (불교) ·
소 (불교)
소(燒)의 한자어 문자 그대로의 뜻에는 '사르다, 불사르다, 불태우다'의 보다 일반적인 뜻 뿐만 아니라 '안달하다, 애태우다'의 뜻이 있는데, 궤핍(匱乏) 즉 결핍(缺乏) 또는 부족함의 뜻에서 소(燒)가 번뇌의 동의어로 사용.
불교 용어 목록/ㅊ와 소 (불교) · 소 (불교)와 조림 (불교) ·
소유 (불교)
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논서 《유가사지론》 제8권에 따르면, 소유(所有)는 번뇌의 다른 이름인 결(結)박(縛)수면(隨眠)수번뇌(隨煩惱)전(纏)폭류(暴流)액(軛)취(取)계(繫)개(蓋)주올(株杌)구(垢)상해(常害)전(箭)소유(所有)근(根)악행(惡行)누(漏)궤(匱)소(燒)뇌(惱)유쟁(有諍)화(火)치연(熾然)조림(稠林)구애(拘礙) 가운데 하나이.
불교 용어 목록/ㅊ와 소유 (불교) · 소유 (불교)와 조림 (불교) ·
액 (불교)
액(軛)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불교 용어 목록/ㅊ와 액 (불교) · 액 (불교)와 조림 (불교) ·
악행
악행(惡行) 또는 나쁜 행위의 일반 사전적인 뜻은 '악독(惡毒)한 행위', 즉 '마음이 흉악하고 독한 를 말하는데, 불교에서는 말과 행동과 뜻으로 지은 일체(一切)의 불선(不善)의 행위를 말. 즉, 일체의 불선의 3업(三業), 즉 일체의 불선의 신업(身業)어업(語業)의업(意業)을 말하며, 이들을 신악행(身惡行)어악행(語惡行)의악행(意惡行) 3악행(三惡行)이.
불교 용어 목록/ㅊ와 악행 · 악행와 조림 (불교) ·
화 (불교)
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논서 《유가사지론》 제8권에 따르면, 화(火)는 번뇌의 다른 이름인 결(結)박(縛)수면(隨眠)수번뇌(隨煩惱)전(纏)폭류(暴流)액(軛)취(取)계(繫)개(蓋)주올(株杌)구(垢)상해(常害)전(箭)소유(所有)근(根)악행(惡行)누(漏)궤(匱)소(燒)뇌(惱)유쟁(有諍)화(火)치연(熾然)조림(稠林)구애(拘礙) 가운데 하나이.
위의 목록은 다음 질문에 대한 대답입니다
- 불교 용어 목록/ㅊ와 조림 (불교)에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 불교 용어 목록/ㅊ와 조림 (불교)의 유사점은 무엇입니까
불교 용어 목록/ㅊ와 조림 (불교)의 비교.
불교 용어 목록/ㅊ에는 208 개의 관계가 있고 조림 (불교)에는 39 개의 관계가 있습니다. 그들은 공통점 36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Jaccard 지수는 14.57%입니다 = 36 / (208 + 39).
참고 문헌
이 기사에서는 불교 용어 목록/ㅊ와 조림 (불교)의 관계를 보여줍니다. 정보가 추출 된 각 기사에 액세스하려면 다음 사이트를 방문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