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비합리주의

색인 비합리주의

비합리주의(非合理主義)는 세계를 이성의 힘으로는 인식할 수 없다고 하는 입장이.

15 처지: 독일 관념론, 마르틴 하이데거, 빌헬름 딜타이, 낭만주의, 장폴 사르트르, 이성, 인식, 생의 철학, 프리드리히 빌헬름 요제프 셸링, 프리드리히 니체, 세계, 쇠렌 키르케고르, 합리론, 아르투어 쇼펜하우어, 실존주의.

독일 관념론

독일 관념론(Deutscher Idealismus)은 18세기 말부터 19세기 중반까지 독일의 주로 루터파 지역에서 전개했던 철학 사상이.

새로운!!: 비합리주의와 독일 관념론 · 더보기 »

마르틴 하이데거

마르틴 하이데거(1889년 9월 26일 ~ 1976년 5월 26일)는 메스키르히에서 출생한 독일의 철학자이.

새로운!!: 비합리주의와 마르틴 하이데거 · 더보기 »

빌헬름 딜타이

빌헬름 딜타이 빌헬름 딜타이(Wilhelm Dilthey, 1833년 11월 19일 ~ 1911년 10월 1일)는 독일의 배르닌 대학에서 헤겔 직(chair)의 교수이며, 역사학자이자 심리학자이고, 해석과 의미에 대한 연구를 하는 해석학 연구자이고 철학자이.

새로운!!: 비합리주의와 빌헬름 딜타이 · 더보기 »

낭만주의

들라크루아의 《알제리의 여인들》1834년, 루브르박물관 소장 낭만주의(浪漫主義)는 서유럽에서 발생한 미술적, 문학적, 지적 사조(思潮)이.

새로운!!: 비합리주의와 낭만주의 · 더보기 »

장폴 사르트르

장폴 사르트르(1905년 6월 21일 ~ 1980년 4월 15일)는 프랑스 실존주의 철학자, 대표적인 실존주의 사상가이며 작가이.

새로운!!: 비합리주의와 장폴 사르트르 · 더보기 »

이성

프란시스코 고야, 〈이성이 잠들면 괴물이 눈뜬다〉 이성(理性)은 일반적으로 인간을 동물과 구별시키는 인간 특유의 뛰어난 능력으로 간주되어 왔으며, 여러 가지 뜻을 갖.

새로운!!: 비합리주의와 이성 · 더보기 »

인식

인식(認識, Cognition)은 대상을 아는 일이.

새로운!!: 비합리주의와 인식 · 더보기 »

생의 철학

생의 철학(生─哲學, philosophy of life)이란 합리주의에 반기를 들고 그것에 불신 내지 반항하여, 생의 응결(凝結), 생의 경화(硬化)에서 벗어나 어디까지나 싱싱하게 살아 있는 생 자체만을 파악하려는 것이 바로 이 '생의 철학'이라고 할 수 있. 어떤 의미에서는 모든 철학을 그저 한마디로 '생의 철학'이라 부를 수도 있. 따라서 '생의 철학'이란 매우 다의적인 의미를 지닌 철학이라 할 수 있. 그러나 여기서는 다만 협의적인 의미로서의 '생의 철학', 즉 19세기 이후 현대철학의 한 사조로서의 '생의 철학'에 관해서만 언급하고자.

새로운!!: 비합리주의와 생의 철학 · 더보기 »

프리드리히 빌헬름 요제프 셸링

right 프리드리히 빌헬름 요제프 폰 셸링(Friedrich Wilhelm Joseph von Schelling, 1775년 1월 27일, 독일의 뷔르템베르크 지역의 레온베르크 ~ 1854년 8월 20일, 스위스 바드라가츠)은 독일의 철학자이.

새로운!!: 비합리주의와 프리드리히 빌헬름 요제프 셸링 · 더보기 »

프리드리히 니체

리드리히 니체 프리드리히 빌헬름 니체(Friedrich Wilhelm Nietzsche, 1844년 10월 15일 ~ 1900년 8월 25일)는 독일의 문헌학자이자 철학자이.

새로운!!: 비합리주의와 프리드리히 니체 · 더보기 »

세계

인공위성 합성사진 (낮) 인공위성 합성사진 (밤) 세계 지도 세계(世界,World) 또는 누리는 우리가 사는 지구, 또는 세계의 모든 나라, 또는 인류 사회 전체를 일컫는 명칭이.

새로운!!: 비합리주의와 세계 · 더보기 »

쇠렌 키르케고르

쇠렌 오뷔에 키르케고르(1813년 5월 5일 ~ 1855년 11월 11일)는 19세기 덴마크 철학자이자, 신학자, 시인, 그리고 사회비평가이.

새로운!!: 비합리주의와 쇠렌 키르케고르 · 더보기 »

합리론

인식론에서 합리론(合理論), 합리주의(合理主義) 또는 이성주의(理性主義)는 이성을 지식의 제일의 근원으로 보는 견해를 말. 합리론에서의 진리의 기준은 감각적인 것이 아니라 이성적이고 연역적인 방법론이나 이론으로 정의.

새로운!!: 비합리주의와 합리론 · 더보기 »

아르투어 쇼펜하우어

아르투어 쇼펜하우어() 1788년 2월 22일 ~ 1860년 9월 21일)는 독일의 철학자다. 쇼펜하우어는 자신이 칸트의 사상을 비판적으로 받아들였으며 칸트의 사상을 올바르게 계승했다고 확신했다. 당대의 인기 학자였던 헤겔, 피히테, 셸링 등에 대해서는 칸트의 사상을 왜곡하여 사이비이론을 펼친다며 강력히 비판했다. 쇼펜하우어가 박사학위 논문으로 쓴 는 철학(인식론)의 고전이 되었다. 20대의 젊은 나이 때부터 수년 간 를 쓰기 시작하여 1818년에 출간하였다. 대학강의에서 헤겔과 충돌한 후 대학교수들의 파벌을 경멸하여 아무런 단체에도 얽매이지 않고 대학교 밖에서 줄곧 독자적인 연구활동을 지속하였다. 이후 자신의 철학이 자연과학의 증명과도 맞닿아 있음을 라는 책에서 주장했다. 그 뒤에 윤리학에 대한 두 논문을 묶어 출판하였다. 가 출판된 지 26년이 지난 1844년에 개정판을 출간하였다. 이후 라는 인생 전반에 관한 수필이 담긴 책을 출간했고 이 책은 쇼펜하우어를 유명 인사로 만들었다. 쇼펜하우어는 1820년 대에 동양학자 프리드리히 마이어를 통해 힌두교와 불교에 관해 알게 되었다. 이 종교들의 핵심교리 속에 자신과 칸트가 도달한 결론과 같은 것이 있음을 깨닫게 되었다. 먼 과거의 동양 사상가들이 서양과는 전혀 다른 환경, 언어, 문화 속에서 근대적인 서양철학의 과제에 대해서 같은 결론을 말하고 있다고 생각했다. 이 발견을 쇼펜하우어는 글로 써서 남겼고 서양에서 최초로 동양철학의 세련된 점을 독자들에게 알려주었다. 쇼펜하우어는 서양철학과 동양철학 간의 유사성을 말한 철학자이자 자신이 무신론자임을 노골적으로 표명한 독창적인 철학자로 손꼽힌다. 19세기 말에 유행하여 수많은 사상가들에게 영향을 끼쳤다.

새로운!!: 비합리주의와 아르투어 쇼펜하우어 · 더보기 »

실존주의

스토에프스키, 장 폴 샤르트르, 니체 실존주의(實存主義)는 개인의 자유, 책임, 주관성을 중요하게 여기는 철학적, 문학적 흐름이.

새로운!!: 비합리주의와 실존주의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