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

색인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기원전 358년 ~ 기원전 281년)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사후 분열된 제국의 승계권을 두고 싸웠던 디아도코이들 중 한명이.

77 처지: 데메트리오스 1세 폴리오르케테스, 동탁, 라미아 전쟁, 레온나토스, 록사네, 로도스섬, 리시마코스, 마우리아 왕조, 마케도니아, 마케도니아 왕국, 멜레아그로스, 메소포타미아, 바빌론, 바빌론 회의, 바실레우스, 박트리아, 가우가멜라 전투, 가자 전투, 고대 그리스 종교, 기원전 281년, 기원전 301년, 기원전 303년, 기원전 306년, 기원전 307년, 기원전 308년, 기원전 311년, 기원전 312년, 기원전 314년, 기원전 315년, 기원전 319년, 기원전 320년, 기원전 323년, 기원전 358년, 드란기아나, 디아도코이, 디아도코이 전쟁, 트라키아, 트리파라디소스 협의, 펠로폰네소스반도, 페르디카스, 페우케스타스, 크라테로스, 폴리페르콘, 이란, 이집트, 이피로스, 이프소스 전투, 이소스 전투, 찬드라굽타, 카르디아의 에우메네스, ..., 카파도키아, 카산드로스, 태수 (페르시아), 수사, 올림피아스, 에우리디케 2세, 헤라클레스, 헤르쿨라네움, 키프로스, 프톨레마이오스, 프톨레마이오스 1세 소테르, 프톨레마이오스 케라우노스, 섭정, 알렉산드로스 3세 메가스, 알렉산드로스 4세, 안티고노스, 안티파트로스, 안티오코스, 안티오코스 1세 소테르, 아라코시아, 필리포스 2세, 필리포스 3세, 아나톨리아, 아케메네스 제국, 셀레우코스, 셀레우코스 제국, 시리아.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27 더) »

데메트리오스 1세 폴리오르케테스

메트리오스 1세(기원전 337년 ~ 283년)의 동전. 동전에는 그리스어로 ΒΑΣΙΛΕΩΣ ΔΗΜΗΤΡΙΟΥ('데메트리오스 왕')이라고 새겨져 있다. 데메트리오스 1세 폴리오르케테스(그리스어: Δημήτριος Πολιορκητής, 기원전 337년~283년)는 안티고노스 1세 모노프탈모스와 스트라토니케의 아들로 마케도니아의 왕(제위:기원전 294년~288년)이었.

새로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데메트리오스 1세 폴리오르케테스 · 더보기 »

동탁

동탁(董卓, 생년 미상 ~ 192년 5월 22일(음력 4월 23일))은 중국 후한 말의 장군 겸 정치가로 자는 중영(仲穎)이며 양주(凉州) 농서군 임조현(臨洮縣) 사람이.

새로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동탁 · 더보기 »

라미아 전쟁

미아 전쟁(Lamian War), 또는 그리스 전쟁(Hellenic War, 기원전 323년-322년)은 아테네와 아이톨리아 동맹을 포함한 그리스 도시 국가 연합이 마케도니아와 그 동맹국 보이오티아와 맞서 싸운 전쟁이.

새로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라미아 전쟁 · 더보기 »

레온나토스

온나토스(기원전 356년 – 기원전 322년)는 마케도니아 왕국 알렉산더 3세를 보좌한 마케도니아 왕국의 무장으로 디아도코이 중 한 사람이.

새로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레온나토스 · 더보기 »

록사네

알렉산더 대왕과 록사네 록사나는 박트리아인으로 빛나는 미모의 뜻을 지닌 로사.

새로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록사네 · 더보기 »

로도스섬

스()는 그리스 도데카니사 제도에서 가장 큰 섬으로 그 중심지이.

새로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로도스섬 · 더보기 »

리시마코스

리시마코스(그리스어: Λυσίμαχος, 기원전 360년 - 기원전 281년)는 마케도니아 왕국의 장수로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후계자였.

새로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리시마코스 · 더보기 »

마우리아 왕조

마우리아 왕조(기원전 322년~기원전 185년)는 인도의 고대 제국이.

새로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마우리아 왕조 · 더보기 »

마케도니아

마케도니아 왕국의 수도 마케도니아(Macedonia)는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마케도니아 · 더보기 »

마케도니아 왕국

마케도니아 왕국과 관련이 있는 상징인 베르기나의 태양. 마케도니아 는 그리스 반도의 최북방에 있던 고대 왕국으로, 서쪽으로는 에페이로스, 북쪽으로는 파이오니아, 동쪽으로는 트라케(트라키아), 남쪽으로는 테살리아 지방과 접하였.

새로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마케도니아 왕국 · 더보기 »

멜레아그로스

''멜레아그로스와 아탈란테'' 17세기. 멜레아그로스는 그리스 신화에서 칼리돈의 왕 오이네우스와 알타이아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

새로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멜레아그로스 · 더보기 »

메소포타미아

메소포타미아(Mesopotamia)는 고대 그리스어 'Μεσοποταμία'에서 온 말로서 '메소'는 중간이라는 뜻을, '포타미아'는 강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기원전 4세기 후반 알렉산드로스 대왕 시대 이래로 역사, 지리학 및 고고학적 명칭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

새로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메소포타미아 · 더보기 »

바빌론

바빌론의 공중 정원. 바빌론()은 고대 메소포타미아에 있는 고대 도시이.

새로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바빌론 · 더보기 »

바빌론 회의

오늘 날의 바빌로니아 유적 사트라프의 핵심 통치 지역, 디오도로스와 아리아노스 바빌론 회의(Partition of Babylon)는 기원전 323년에 알렉산더 대왕의 사후 곧 개최된 대왕의 장군들(디아도코이)에 의한 영토 분할을 결정한 회의이.

새로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바빌론 회의 · 더보기 »

바실레우스

바실레우스()는 이집트어 어근인 파세르(Paser)/파시로(Pasir)에서 유래한 용어로 처음에는 고관 또는 군대의 사령관을.

새로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바실레우스 · 더보기 »

박트리아

박트리아의 고대 도시 박트리아(Bactriana)는 힌두쿠시 산맥과 아무다리야 강(옥서스) 사이에 있는 나라이.

새로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박트리아 · 더보기 »

가우가멜라 전투

우가멜라 전투는 기원전 331년 마케도니아 왕국의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페르시아 제국 아케메네스 왕조의 다리우스 3세를 물리친 전투이.

새로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가우가멜라 전투 · 더보기 »

가자 전투

자 전투(Battle of Gaza)는 기원전 312년에 시리아의 가자에서 일어난 디아도코이 전쟁의 회전이.

새로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가자 전투 · 더보기 »

고대 그리스 종교

고대 그리스의 주요 성지 그리스(파랑)와 페니키아(빨강)의 식민지 그리스의 도시는 빨강, 페니키아의 도시는 노랑, 다른 도시들은 회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고대 그리스 종교(Ancient Greek religion)는 고대 그리스(기원전 1100년경~기원전 146년)에서 신앙되고 실천되었던 믿음들과 의식들을 통칭하는데, 여기에는 대중적인 공공의 종교들과 이들과는 차이가 있는 컬트 종교들이 모. 비록 이들 종교들의 대다수에 공통되는 유사점들이 있기는 하지만, 이들은 서로 간에 뚜렷이 구분되기 때문에 "고대 그리스 종교들" 또는 "고대 그리스 컬트 종교들"이라고 복수형을 사용하여 표현하는 것이 더 적합한 표현일 수도 있. 또한 고대 그리스 종교는 그리스 외부의 다른 지역과 섬들로 확산되어 믿어지고 실천되었.

새로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고대 그리스 종교 · 더보기 »

기원전 28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기원전 281년 · 더보기 »

기원전 30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기원전 301년 · 더보기 »

기원전 30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기원전 303년 · 더보기 »

기원전 30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기원전 306년 · 더보기 »

기원전 30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기원전 307년 · 더보기 »

기원전 30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기원전 308년 · 더보기 »

기원전 31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기원전 311년 · 더보기 »

기원전 31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기원전 312년 · 더보기 »

기원전 31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기원전 314년 · 더보기 »

기원전 31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기원전 315년 · 더보기 »

기원전 31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기원전 319년 · 더보기 »

기원전 32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기원전 320년 · 더보기 »

기원전 32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기원전 323년 · 더보기 »

기원전 35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기원전 358년 · 더보기 »

드란기아나

아나()는 아케메네스 제국의 역사적인 지역이었.

새로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드란기아나 · 더보기 »

디아도코이

아도코이라고 하며 ‘계승자’ 또는 ‘후계자’ 라는 뜻의 일반 명사이지만 흔히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사후 알렉산드로스 제국의 계승자들을 가리.

새로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디아도코이 · 더보기 »

디아도코이 전쟁

아도코이 전쟁(Wars of the Diadochi) 또는 후계자 전쟁(Wars of Alexander's Successors)은 알렉산더 대왕 급서 이후 그 부하 장군들이 대왕의 후계자(디아도코이) 자리를 놓고 벌인 전쟁이.

새로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디아도코이 전쟁 · 더보기 »

트라키아

아와 현재의 국경 고대의 트라키아와 그 주변 트라키아(또는 트라키(고대 그리스어로는 트라케), 트라키야()는 역사적, 지리적으로 발칸반도의 남동쪽을 부르는 지명이다. 전통적으로 흑해, 에게 해, 마르마라 해의 3면이 바다로 둘러싸여져 있는 지역을 말한다. 터키에서는 루멜리(Rumeli)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오늘날 트라키아는 불가리아 남부(북부 트라키야), 그리스 북동부(서부 트라키), 터키의 유럽 영토(동부 트라크야)를 일컫는다. 트라키아의 경계는 시대마다 변화가 있었다. 고대 트라키아(인종상 트라키아인이 살던 곳)는 오늘날 불가리아, 터키령 유럽, 그리스 북동부, 세르비아 동부 일부 지방, 마케도니아 공화국 동부 등지를 포괄하였다. 그 경계선은 북쪽으로는 도나우 강이고, 남쪽으로는 에게 해, 동쪽으로는 흑해와 마르마라 해, 서쪽으로는 바르다르 강, 대 모라바 강이었다. 로마 시대 트라키아 속주는 이보다 작아서, 동쪽으로는 바다를 경계로 삼지만, 북쪽으로는 발칸 산맥까지였으며, 서쪽으로는 메스타 강에 국한되었다.

새로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트라키아 · 더보기 »

트리파라디소스 협의

리파라디소스 협의 또는 트리파라디소스의 분할(Partition of Triparadisus)로 불리며, 기원전 321년에 시리아의 오론테스 강 근처의 도시 트리파라디소스에서 열린 알렉산더 대왕의 디아도코이(후계 장군)의 권력 분할 협정이.

새로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트리파라디소스 협의 · 더보기 »

펠로폰네소스반도

소스 반도 지도 위성 사진 펠로폰네소스 반도()는 중세에는 모레아 반도(그리스어: Μωρέας 또는 Μωριάς, 알바니아어: More, 프랑스어: Morée, 이탈리아어: Morea, 터키어: Mora)라고 불. 펠로폰네소스 반도는 그리스 남부의 반도로 면적은 21,549 km^2이며, 동서.남북에 길이는 다같이 250 km이.

새로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펠로폰네소스반도 · 더보기 »

페르디카스

르디카스(? - 기원전 321년 또는 기원전 320년)는 알렉산더 3세를 모신 마케도니아 왕국의 장군이며, 디아도코이 중 한 사람이.

새로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페르디카스 · 더보기 »

페우케스타스

우케스타스(기원전 4세기)는 알렉산더 3세 대왕을 섬긴 마케도니아의 장군이.

새로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페우케스타스 · 더보기 »

크라테로스

사자를 사냥하는 알렉사더 3세와 크라테로스 크라테로스(기원전 370년 경 – 기원전 321년)는 알렉산더 3세를 보좌한 마케도니아 왕국의 장군이.

새로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크라테로스 · 더보기 »

폴리페르콘

리페르콘(기원전 394년 – 기원전 303년)은 필리포스 2세와 알렉산더 3세를 보좌한 마케도니아 왕국의 장군이.

새로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폴리페르콘 · 더보기 »

이란

이란()은 서남아시아에 있는 이슬람 공화국이.

새로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이란 · 더보기 »

이집트

이집트 아랍 공화국(-共和國), 줄여서 이집트() 또는 애급 (Egypt, 埃及)은 아프리카의 북동쪽에 자리 잡고 있는 나라로, 시나이 반도를 통해 서아시아와 이어져 있. 영토 면적은 100만1450 km²로, 북쪽에는 지중해, 북동쪽으로는 가자 지구와 이스라엘과 접하고 있고, 동쪽에는 홍해, 남쪽에는 수단, 서쪽에는 리비아가 있. 약 9천만 명의 인구 중 90% 이상이 이집트 전체 면적의 약 5%를 차지하는 나일 강변에 거주하는데, 나일 강변의 약 3만6천 km²는 이집트에서 거의 유일하게 농사를 지을 수 있는 땅이.

새로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이집트 · 더보기 »

이피로스

오늘날 이피로스는 알바니아와 그리스 국경 지대에 있다. 회색: 고대 에페이로스 왕국의 대략적인 영역. 주황색: 현대 그리스 행정 구역상의 이피로스 주. 녹색: 20세기 초 북부 이피로스에서 그리스인이 많이 분포되어 있던 대략적인 영역. 붉은 점선: 북부 이피로스 자치 공화국의 영토.Following G. Soteriadis: “An Ethnological Map Illustrating Hellenism In The Balkan Peninsula And Asia Minor” London: Edward Stanford, 1918.:Image:Hellenism in the Near East 1918.jpg 이피로스(Ήπειρος), 또는 고대 그리스어 표기인 에페이로스는 다음을 일컫.

새로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이피로스 · 더보기 »

이프소스 전투

이프소스 전투(Battle of Ipsus)는 기원전 301년에 프리기아 지방 이프소스(현재의 터키 중서부 지역)에서 일어난 대규모 작전이.

새로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이프소스 전투 · 더보기 »

이소스 전투

이소스 전투(Battle of Issus)는 기원전 333년 남부 아나톨리아의 이소스 평원에서 벌어진 전투로 마케도니아 왕국의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페르시아 제국으로 침입해 약 4:1의 수적 열세에도 불구하고 아케메네스 왕조의 다리우스 3세를 물리친 전투이.

새로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이소스 전투 · 더보기 »

찬드라굽타

굽타의 동상 찬드라굽타 마우리야()은 마우리아 제국의 창건자이.

새로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찬드라굽타 · 더보기 »

카르디아의 에우메네스

르디아의 에우메네스(기원전 362년 ~ 기원전 316년)는 고대 그리스의 장군이자 학자이.

새로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카르디아의 에우메네스 · 더보기 »

카파도키아

아(Cappadocia)는 예전의 소아시아의 중앙에 위치한 지역 이름으로서 오늘날 터키의 카파도캬(Kapadokya)에 해당.

새로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카파도키아 · 더보기 »

카산드로스

리스 식민도시들 카산드로스(그리스어: Κάσσανδρος, 기원전 350년~297년) 는 마케도니아 왕국의 섭정이었던 안티파트로스의 장남이었고 단명한 안티파트로스 왕조의 설립자(제위 기원전 305년~기원전 297년)였.

새로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카산드로스 · 더보기 »

태수 (페르시아)

수(太守, 페르시아어: ساتراپ, 사트라프)는 페르시아 제국 주(州) 태수의 칭호이.

새로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태수 (페르시아) · 더보기 »

수사

수사는 다음을 가리.

새로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수사 · 더보기 »

올림피아스

quote.

새로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올림피아스 · 더보기 »

에우리디케 2세

에우리디케(? - 기원전 317년)는 마케도니아 왕국 아민타스 4세와 키나네(필리포스 2세와 첫 부인인 아우다타의 딸)의 딸로 필리포스 2세의 아들 필리포스 3세의 왕비이.

새로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에우리디케 2세 · 더보기 »

헤라클레스

헤라클레스(Heracles)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영웅이.

새로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헤라클레스 · 더보기 »

헤르쿨라네움

헤르쿨라네움(Herculaneum)은 고대 로마의 도시로, 현재 이탈리아 캄파니아 주 에르콜라노에 위. 현재는 유적의 일부가 유료로 공개되고 있. 폼페이, 스타비아에​​, 오플론티스와 함께 서기 79년 8월 24일에 시작된 베수비오 화산의 분화에 의해 없어진 것으로 유명.

새로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헤르쿨라네움 · 더보기 »

키프로스

스 공화국(), 줄여서 키프로스()는 지중해 동부에 있는 섬나라로, 북쪽에는 터키, 동쪽에는 시리아 · 레바논 및 이스라엘, 서쪽에는 그리스, 남쪽에는 이집트가 있. 키프로스는 지중해에서 세 번째로 큰 섬이며, 해마다 240만여 명의 관광객이 찾는 인기 관광지이.

새로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키프로스 · 더보기 »

프톨레마이오스

마이오스(Ptolemaios)는 다음을 가리.

새로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프톨레마이오스 · 더보기 »

프톨레마이오스 1세 소테르

마이오스 1세의 동전. 프톨레마이오스 1세 소테르 (기원전 367년 — 기원전 283년) 는 알렉산드로스 대왕 시대의 마케도니아 왕국의 부하 장군으로 알렉산드로스의 사후 그의 뒤를 이은 이른바 디아도코이 중의 한사람으로 기원전 323년부터 이집트의 총독이 되었고 기원전 305년 통치자가 되었.

새로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프톨레마이오스 1세 소테르 · 더보기 »

프톨레마이오스 케라우노스

마이오스 케라우노스(기원전 279년 사망)는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창시자인 프톨레마이오스 1세의 아들이.

새로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프톨레마이오스 케라우노스 · 더보기 »

섭정

섭정(攝政)은 군주(군왕)가 통치하는 국가(군주국)에서 군주가 아직 어려서 정무를 수행할 능력이 없거나 병으로 정사를 돌보지 못할 때 국왕을 대신해서 통치권을 받아 국가를 다스리던 사람이나 그 일을 가리.

새로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섭정 · 더보기 »

알렉산드로스 3세 메가스

알렉산드로스 3세 메가스(기원전 356년 7월 20일 ~ 기원전 323년 6월 10일)는 고대 그리스 북부의 왕국 마케돈의 아르게아다이 왕조 제26대 군주이.

새로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알렉산드로스 3세 메가스 · 더보기 »

알렉산드로스 4세

알렉산드로스 4세(기원전 323년 - 기원전 309년, 재위 동일)은 마케도니아 왕국 아르게아스 왕조의 왕으로 알렉산드로스 3세(대왕)와 왕비 록사네의 적자로 아르게아스 왕조의 마지막의 마케도니아 왕이.

새로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알렉산드로스 4세 · 더보기 »

안티고노스

안티고노스()는 그리스어로 "아버지에 필적할만한", "아버지만큼 훌륭한"이란 뜻으로, 다음과 같은 고대 인물들의 이름이.

새로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안티고노스 · 더보기 »

안티파트로스

안티파트로스(Antipater, 기원전 397년 – 기원전 319년)는 필리포스 2세와 알렉산더 3세를 보좌한 마케도니아의 장군이.

새로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안티파트로스 · 더보기 »

안티오코스

안티오코스는 다음을 이른.

새로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안티오코스 · 더보기 »

안티오코스 1세 소테르

안티오코스 1세 소테르(그리스어: Ἀντίοχος Α΄ ὁ Σωτήρ 기원전 324년경 ~ 기원전 261년, 재위 기원전 281년 ~ 기원전 261년)은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의 아들이며, 셀레우코스 제국의 2번째 임금이.

새로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안티오코스 1세 소테르 · 더보기 »

아라코시아

원전 300년 경의 아라코시아 아라코시아는 아케메네스 제국, 셀레우코스 제국, 마우리아와 파르티아의 속주의 하나로 아프가니스탄 남동부와 파키스탄 중북부에 걸쳐 있. 북쪽으로 힌두쿠시 산맥을 경계로 하여 박트리아와 접하고 있. 또 헬만드 강(fa)이 아라코시아를 가로질러 흐르며 남 아프가니스탄에 비옥한 땅을 제공.

새로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아라코시아 · 더보기 »

필리포스 2세

리포스 2세의 메달 기원전 2세기 필리포스 2세(기원전 382년 - 기원전 336년)는 기원전 359년부터 기원전 336년 암살당할 때까지 마케도니아 왕국의 왕이었.

새로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필리포스 2세 · 더보기 »

필리포스 3세

리포스 3세(기원전 359년 - 기원전 317년 12월 25일)는 마케도니아 왕국 아르게아스 왕조의 왕(재위: 기원전 323년 - 기원전 317년)이.

새로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필리포스 3세 · 더보기 »

아나톨리아

아나톨리아의 지형도 고대 아나톨리아의 지방들 아나톨리아(Anatolia)는 서남아시아의 한 지역으로, 오늘날 터키 영토에 해당하는 반도(半島)를 말. 아나톨리아는 이전에는 소아시아(Asia Minor)라고 불. 한글성서에서는 소아시아를 아시아라고 번역.

새로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아나톨리아 · 더보기 »

아케메네스 제국

아케메네스 제국(Achaemenid Empire)은 아케메네스를 시조로 하는 페르시아 제국이.

새로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아케메네스 제국 · 더보기 »

셀레우코스

셀레우코스(Σέλευκος)는 고대 그리스의 남성 이름으로 다음의 인물을 일컫.

새로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셀레우코스 · 더보기 »

셀레우코스 제국

셀레우코스 제국()은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영토 가운데 헬레니즘의 계승 왕국중 하나이.

새로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셀레우코스 제국 · 더보기 »

시리아

시리아 아랍 공화국(), 약칭 시리아()는 중동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시리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셀레우코스 1세.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