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셀레우코스 제국

색인 셀레우코스 제국

셀레우코스 제국()은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영토 가운데 헬레니즘의 계승 왕국중 하나이.

49 처지: 데메트리오스 1세 소테르, 데메트리오스 2세, 레반트, 로마 공화정, 마우리아 왕조, 마카베오, 메소포타미아, 바실레우스, 고대 페르시아어, 그리스-박트리아 왕국, 그리스어, 기원전 323년, 기원전 60년, 군주제, 디오도토스 트리폰, 디아도코이, 이란, 인더스강, 인도-그리스 왕국, 코이네 그리스어, 파르티아, 파르티아 제국, 파미르고원, 투르크메니스탄, 수사 (엘람), 현대 그리스어, 헬레니즘 문명, 헬레니즘 시대의 그리스, 프톨레마이오스 왕국, 알렉산드로스 3세 메가스, 안티오케이아, 안티오코스 12세 디오뉘소스, 안티오코스 13세 아시아티코스, 안티오코스 1세 소테르, 안티오코스 2세, 안티오코스 3세 메가스, 안티오코스 4세 에피파네스, 안티오코스 5세 에우파토르, 안티오코스 6세 디오뉘소스, 안티오코스 7세 시데테스, 안티오코스 9세 퀴지케노스, 아람어, 필리포스 1세 필라델포스, 필리포스 2세 필로로마이오스, 아나톨리아, 아케메네스 제국,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 셀레우코스 3세 케라우노스, 셀레우코스 7세 퀴비오사크테스.

데메트리오스 1세 소테르

메트리오스 1세 소테르(? ~ 기원전 150년, 제위 기원전 162년 ~ 기원전 150년)는 셀레우코스 제국의 지배자였.

새로운!!: 셀레우코스 제국와 데메트리오스 1세 소테르 · 더보기 »

데메트리오스 2세

메트리오스 2세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셀레우코스 제국와 데메트리오스 2세 · 더보기 »

레반트

반트 지역 기원전 2000년경의 고대 근동과 지중해: 지도에서 시리아 도시 국가(Syrian City-States) 지역과 가나안(Canaan) 지역이 레반트에 해당한다. 레반트 지역 레반트(Levant)는 역사적으로 근동의 팔레스타인(고대의 가나안)과 시리아, 요르단, 레바논 등이 있는 지역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셀레우코스 제국와 레반트 · 더보기 »

로마 공화정

마 공화국(-共和國)은 고대 로마 시대에서 기원전 510년경 왕정을 폐지하고 이후 450여 년간 로마 정치를 이끌었던 공화정 정체(政體)와 그 정부를 일컫.

새로운!!: 셀레우코스 제국와 로마 공화정 · 더보기 »

마우리아 왕조

마우리아 왕조(기원전 322년~기원전 185년)는 인도의 고대 제국이.

새로운!!: 셀레우코스 제국와 마우리아 왕조 · 더보기 »

마카베오

마카베오(또는 마카빔)는 반유대주의정책을 실시하던 안티오쿠스 에피파네스 치하에서 독립전쟁을 일으켜 3대에 걸쳐 독립을 하였던 고대 이스라엘의 마지막 독립 왕조의 이름이자, 그 일가의 이름이.

새로운!!: 셀레우코스 제국와 마카베오 · 더보기 »

메소포타미아

메소포타미아(Mesopotamia)는 고대 그리스어 'Μεσοποταμία'에서 온 말로서 '메소'는 중간이라는 뜻을, '포타미아'는 강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기원전 4세기 후반 알렉산드로스 대왕 시대 이래로 역사, 지리학 및 고고학적 명칭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

새로운!!: 셀레우코스 제국와 메소포타미아 · 더보기 »

바실레우스

바실레우스()는 이집트어 어근인 파세르(Paser)/파시로(Pasir)에서 유래한 용어로 처음에는 고관 또는 군대의 사령관을.

새로운!!: 셀레우코스 제국와 바실레우스 · 더보기 »

고대 페르시아어

페르세폴리스에 적인 고대 페르시아어 점토판 고대 페르시아어는 고대 페르시아에서 사용되던 언어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셀레우코스 제국와 고대 페르시아어 · 더보기 »

그리스-박트리아 왕국

오도토스의 금화, 기원전 245년 그리스-박트리아 왕국은 기원전 250년에서 125년까지 중앙아시아의 박트리아와 소그디아나를 지배했던 고대 왕국이.

새로운!!: 셀레우코스 제국와 그리스-박트리아 왕국 · 더보기 »

그리스어

리스어(엘리니카)는 (사멸한 아나톨리아어파를 제외하면) 인도유럽어족 중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언어이.

새로운!!: 셀레우코스 제국와 그리스어 · 더보기 »

기원전 32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셀레우코스 제국와 기원전 323년 · 더보기 »

기원전 6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셀레우코스 제국와 기원전 60년 · 더보기 »

군주제

주제(君主制)는 소수자의 지배인 귀족제나 다수자의 지배인 민주제와 대비되는 세습적 단독수장에 의해서 통치되는 정치체제를 말. 노예제 사회 때부터 존재했었는데 그 내용은 시대에 따라 다르.

새로운!!: 셀레우코스 제국와 군주제 · 더보기 »

디오도토스 트리폰

오도토스 트리폰의 동전 디오도토스 트리폰(? ~ 기원전 138년)은 헬레니스틱 셀레우코스 제국의 왕이었.

새로운!!: 셀레우코스 제국와 디오도토스 트리폰 · 더보기 »

디아도코이

아도코이라고 하며 ‘계승자’ 또는 ‘후계자’ 라는 뜻의 일반 명사이지만 흔히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사후 알렉산드로스 제국의 계승자들을 가리.

새로운!!: 셀레우코스 제국와 디아도코이 · 더보기 »

이란

이란()은 서남아시아에 있는 이슬람 공화국이.

새로운!!: 셀레우코스 제국와 이란 · 더보기 »

인더스강

인더스 강()은 파키스탄 중앙을 관통하는 강으로 상류인 인더스 계곡에서는 인류 초기문명인 인더스 문명이 발생하였.

새로운!!: 셀레우코스 제국와 인더스강 · 더보기 »

인도-그리스 왕국

인도-그리스 왕국(기원전 180년 ~ 10년)은 인도 북서부에 존속하였던 왕국이.

새로운!!: 셀레우코스 제국와 인도-그리스 왕국 · 더보기 »

코이네 그리스어

이네 그리스어(또는 공통 그리스어("공통의 방언")또는 간단히 코이네는 헬레니즘 시대와 고대 로마 시기에 사용되었던 고대 그리스어이다.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고대 그리스와 지중해 연안을 정복한 기원전 4세기 무렵 태동하여 고전 시대 지중해 지역의 링구아 프랑카로서 사용되었다. 코이네 그리스어는 고대 그리스어의 여러 방언 가운데 아티케 그리스어를 기반으로 하고 이오니아 그리스어가 관여하여 형성된 언어로, 지중해 각 지역의 언어와 섞여 쓰였기 때문에 여러 방언 형태가 있었다.Bubenik, V. (2007). "The rise of Koiné". In A. F. Christidis. A history of Ancient Greek: from the beginnings to late antiqu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342–345. 코이네 그리스어는 오랜 기간 사용되면서 지역과 장소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로 변화하였다. 훗날 코이네 그리스어는 4세기 콘스탄티노플로 천도한 로마제국, 비잔티움 제국의 공용어로 사용되어 중세 그리스어와 현대 그리스어의 바탕이 되었다. 코이네 그리스어는 현대 그리스어와 단어의 어근은 유사한 부분이 있으나, 어미 변화, 동사의 변화, 문법, 자음과 모음 발음 차이가 있다. 단어에 사용되는 방점의 방식도 다르며, 코이네 그리스어 모음의 장음, 복모음 음가는 현대 그리스어에서 약화되었거나, 단음화하였다. 현재 대부분의 컴퓨터 문헌작성과 전산문헌작성에서는 현대 그리스어와 고대 그리스어를 구분하는 입력방식을 제공한다. 고전 시대 이후 많은 부문에서 코이네 그리스어로 문헌이 남았다, 서로마제국이 붕괴된 이후에도 동로마제국인 비잔틴 제국을 중심으로 코이네 그리스어가 문화, 경제, 법학, 종교 언어로 쓰였다. 대표적 작품으로는 플루타르코스와 폴리비오스 같은 역사가들의 저작이 있다. 기독교의 신약 성서도 코이네 그리스어로 쓰였으며, 고대 히브리어로 된 종래의 타나크(구약성경)를 코이네 그리스어로 옮긴 70인역, 그리고 초기 기독교 신학자들인 교부들부터 이후 신학사상 및 교회 관련 주요 문헌은 코이네 그리스어로 기록되었고 고대 기독교의 중요 언어로 사용되었다. 서로마제국 붕괴 이후 로마교회를 중심으로 하는 서방 기독교 신학계에서도 주요 사상은 코이네 그리스어를 번역한 라틴어 용어나 음차한 용어를 사용하였다. 이 때문에 코이네 그리스어는 성서 그리스어, 신약 그리스어, 또는 교부 그리스어로 불리며, 한국 신학계에서는 흔히 '헬라어'라고 칭하기도 한다.

새로운!!: 셀레우코스 제국와 코이네 그리스어 · 더보기 »

파르티아

 파르티아(페르시아어: اشکانیان Ashkâniân)는 오늘날의 이란 북동부에 해당하는 고대의 지역이.

새로운!!: 셀레우코스 제국와 파르티아 · 더보기 »

파르티아 제국

르티아(Parthian) 또는 아르사크(Arsacid) 또는 아쉬카니아 제국(Ashkanian Empire)는 고대 이란과 메소포타미아 지역의 주요 이란계 정치적 문화적 체제였.

새로운!!: 셀레우코스 제국와 파르티아 제국 · 더보기 »

파미르고원

미르 고원(Pamir Mountains, 帕米爾高原)은 '세계의 지붕'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으며, 평균 높이 6,100m 이상으로 중앙아시아의 톈산 산맥(天山)이나 카라코람 산맥, 쿤룬 산맥(崑崙), 티베트 고원, 히말라야 등의 산맥에서 힌두쿠시까지의 산줄기들이 모여서 이루어.

새로운!!: 셀레우코스 제국와 파미르고원 · 더보기 »

투르크메니스탄

르크메니스탄()은 중앙아시아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셀레우코스 제국와 투르크메니스탄 · 더보기 »

수사 (엘람)

수사에 있는 다리우스 대왕 궁의 날개달린 스핑크스 수사 (슈샨,그리스어: Σοῦσα)는 엘람의 고대도시였.

새로운!!: 셀레우코스 제국와 수사 (엘람) · 더보기 »

현대 그리스어

현대 그리스어(Νέα Ελληνικά 또는 Νεοελληνική)는 오늘날 쓰이는 여러 그리스어를 이르는 말이.

새로운!!: 셀레우코스 제국와 현대 그리스어 · 더보기 »

헬레니즘 문명

주요 헬레니즘 왕국: 프톨레마이오스 왕국(파랑), 셀레우코스 왕국(노랑), 마케도니아(녹색), 에페이로스(분홍). 주황색 지역은 기원전 281년 이후 종종 분쟁지역이었다. 페르가몬 왕국도 이 지역에 있었다. 헬레니즘 문명은 기원전 323년에서 146년 사이(혹은 기원전 30년까지 주장하는 경우도 있다)의 고대 세계에서 그리스의 영향력이 절정에 달한 시대를 일컫.

새로운!!: 셀레우코스 제국와 헬레니즘 문명 · 더보기 »

헬레니즘 시대의 그리스

원전 200년경의 그리스. 고대 그리스의 예술, 건축, 문화면에서 헬레니즘 시대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사망한 기원전 323년에서 고전기 그리스의 심장부가 로마에 병합된 기원전 146년까지의 기간을 이른.

새로운!!: 셀레우코스 제국와 헬레니즘 시대의 그리스 · 더보기 »

프톨레마이오스 왕국

마이오스 왕국은 이집트를 기반으로 한 헬레니즘 왕국이.

새로운!!: 셀레우코스 제국와 프톨레마이오스 왕국 · 더보기 »

알렉산드로스 3세 메가스

알렉산드로스 3세 메가스(기원전 356년 7월 20일 ~ 기원전 323년 6월 10일)는 고대 그리스 북부의 왕국 마케돈의 아르게아다이 왕조 제26대 군주이.

새로운!!: 셀레우코스 제국와 알렉산드로스 3세 메가스 · 더보기 »

안티오케이아

오론테스 강의 안티오케이아(그리스어: Ἀντιόχεια ἡ ἐπὶ Δάφνῃ, Ἀντιόχεια ἡ ἐπὶ Ὀρόντου or Ἀντιόχεια ἡ Μεγάλη; 라틴어 Antiochia ad Orontem; 아랍어:انطاکیه)는 오론테스 강 동쪽 유역에 있던 고대 도시이.

새로운!!: 셀레우코스 제국와 안티오케이아 · 더보기 »

안티오코스 12세 디오뉘소스

안티오코스 12세(안티오코스 디오니수스, 에피파네스, 필로파토르, 칼리니쿠스)는 그리스 셀레우코스 왕국의 지배자(제위 기원전 87년 ~ 기원전 84년)이자 안티오코스 8세 그리푸스의 다섯 번째 아들로 왕관을 차지하였.

새로운!!: 셀레우코스 제국와 안티오코스 12세 디오뉘소스 · 더보기 »

안티오코스 13세 아시아티코스

안티오코스 13세 디오니수스 필로파토르 칼리니코스는 아시아티쿠스라 알려져 있으며 그리스 셀레우코스 왕국의 최후의 지배자 중. 그는 안티오코스 10세 유세베스와 프톨레마이오스 공주 클레오파트라 셀렌의 아들인데 그녀는 기원전 92년에서 85년 사이 안티오코스 13세의 부왕의 요절로 아이를 위해 섭정으로 활동하였.

새로운!!: 셀레우코스 제국와 안티오코스 13세 아시아티코스 · 더보기 »

안티오코스 1세 소테르

안티오코스 1세 소테르(그리스어: Ἀντίοχος Α΄ ὁ Σωτήρ 기원전 324년경 ~ 기원전 261년, 재위 기원전 281년 ~ 기원전 261년)은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의 아들이며, 셀레우코스 제국의 2번째 임금이.

새로운!!: 셀레우코스 제국와 안티오코스 1세 소테르 · 더보기 »

안티오코스 2세

안티오코스 2세 테오스(기원전 286년 – 기원전 246년)는 시리아 셀레우코스 왕조의 왕(재위: 기원전 261년 – 기원전 246년)이.

새로운!!: 셀레우코스 제국와 안티오코스 2세 · 더보기 »

안티오코스 3세 메가스

안티오코스 3세 은화. 뒷면에는 아폴론이 옴팔로스에 앉아있다. 그리스어 'ΒΑΣΙΛΕΩΣ ΑΝΤΙΟΧΟΥ'(안티오코스 임금)이라고 새겨져 있다. 안티오코스 3세 대왕(그리스어: Ἀντίoχoς Μέγας, 기원전 241년경 ~ 기원전 187년, 재위 기원전 222년 ~ 기원전 187년)은 셀레우코스 2세의 차남로 기원전 223년에 약 18세의 나이로 셀레우코스 제국의 6번째 임금이 되었.

새로운!!: 셀레우코스 제국와 안티오코스 3세 메가스 · 더보기 »

안티오코스 4세 에피파네스

안티오코스 4세 안티오코스 4세 에피파네스(기원전 215년 ~ 기원전 164년, 제위 기원전 175년 ~ 기원전 164년)는 ‘빛나는’이라는 뜻으로 셀레우코스 제국을 기원전 175년에서 죽을 때까지 다스.

새로운!!: 셀레우코스 제국와 안티오코스 4세 에피파네스 · 더보기 »

안티오코스 5세 에우파토르

안티오코스 5세 에우파토르(기원전 173년~기원전 162년, 재위 기원전 164년~기원전 162년)는 셀레우코스 제국의 지배자였.

새로운!!: 셀레우코스 제국와 안티오코스 5세 에우파토르 · 더보기 »

안티오코스 6세 디오뉘소스

안티오코스 6세 디오뉘소스(기원전 148년 ~ 기원전 138년)는 셀레우코스 왕국의 왕으로 알렉산드로스 발라스와 이집트 프톨레미 8세의 딸 클레오파트라 테아의 아들이었.

새로운!!: 셀레우코스 제국와 안티오코스 6세 디오뉘소스 · 더보기 »

안티오코스 7세 시데테스

안티오코스 7세 에우르게테스(? ~ 기원전 129년) 별칭 시데테스(시돈)은 헬레니스틱 셀레우코스 제국의 지배자(제위 기원전 138~129)였.

새로운!!: 셀레우코스 제국와 안티오코스 7세 시데테스 · 더보기 »

안티오코스 9세 퀴지케노스

안티오코스 9세 에우세베스(? ~ 기원전 96년, 제위 기원전 114년 ~ 기원전 69년)는 그리스 셀레우코스 왕국의 지배자로 안티오코스 7세 시데테스와 클레오파트라 테아의 왕자였.

새로운!!: 셀레우코스 제국와 안티오코스 9세 퀴지케노스 · 더보기 »

아람어

아람어(아라마야 / 아라미트)는 한때 시리아 지방, 메소포타미아에서 기원전 500년경부터 기원후 600년 무렵까지 고대 오리엔트 지방의 국제어로 사용되었으며, 아프로아시아어족의 셈어파의 북서셈어군에 속하는 언어이.

새로운!!: 셀레우코스 제국와 아람어 · 더보기 »

필리포스 1세 필라델포스

리포스 1세(제위 기원전 95년 ~ 기원전 83년)는 헬레니스틱 셀레우코스 왕국의 지배자로 안티오쿠스 8세 그리푸스의 넷째 아들이었.

새로운!!: 셀레우코스 제국와 필리포스 1세 필라델포스 · 더보기 »

필리포스 2세 필로로마이오스

립 2세 필로로마이오스는 셀레우코스 제국의 마지막 지배자였.

새로운!!: 셀레우코스 제국와 필리포스 2세 필로로마이오스 · 더보기 »

아나톨리아

아나톨리아의 지형도 고대 아나톨리아의 지방들 아나톨리아(Anatolia)는 서남아시아의 한 지역으로, 오늘날 터키 영토에 해당하는 반도(半島)를 말. 아나톨리아는 이전에는 소아시아(Asia Minor)라고 불. 한글성서에서는 소아시아를 아시아라고 번역.

새로운!!: 셀레우코스 제국와 아나톨리아 · 더보기 »

아케메네스 제국

아케메네스 제국(Achaemenid Empire)은 아케메네스를 시조로 하는 페르시아 제국이.

새로운!!: 셀레우코스 제국와 아케메네스 제국 · 더보기 »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기원전 358년 ~ 기원전 281년)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사후 분열된 제국의 승계권을 두고 싸웠던 디아도코이들 중 한명이.

새로운!!: 셀레우코스 제국와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 · 더보기 »

셀레우코스 3세 케라우노스

셀레우코스 3세 소테르(그리스어: Σέλευκος Γ' Σωτὴρ, 기원전 243년경 ~ 기원전 223년)는 셀레우코스 케라우노스(Σέλευκος Κεραυνός)라고도 불리며 셀레우코스 제국의 지배자이며 셀레우코스 2세 칼리니코스의 장남이었.

새로운!!: 셀레우코스 제국와 셀레우코스 3세 케라우노스 · 더보기 »

셀레우코스 7세 퀴비오사크테스

셀레우코스 7세 필로메토르는 그리스 셀레우코스 왕국의 지배자였.

새로운!!: 셀레우코스 제국와 셀레우코스 7세 퀴비오사크테스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셀레우코스 왕국, 셀레우코스 왕조, 셀레우코스조, 셀레우스코스 왕조, 셀레우시드.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