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수학적 귀납법

색인 수학적 귀납법

수학적 귀납법(數學的歸納法)은 모든 자연수가 어떤 주어진 성질을 만족시킨다는 명제를 증명하는 방법의 하나이.

24 처지: 무한 공리, 무한강하법, 공리, 부등식, 귀류법, 기하학, 블레즈 파스칼, 구조 (논리학), 논리곱, 자연수, 페아노 공리계, 이항 정리, 정초 관계, 정수, 집합, 초한귀납법, 추론 규칙, 에우클레이데스, 연산, 피에르 드 페르마, 항등식, 야코프 베르누이, 홀수와 짝수, 2차 논리.

무한 공리

무한 공리는 집합론에서 집합계를 정의할 때에 사용되는 공리로, 무한 집합이 존재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 이 공리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 이것은 \mathbf이라는 집합이 존재하여, 이 집합에는 공집합 \, 그리고 공집합을 원소로 갖는 집합 \, 그리고 그 다음으로 \,...와 같은 식으로 무한히 많은 원소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

새로운!!: 수학적 귀납법와 무한 공리 · 더보기 »

무한강하법

무한강하법은 귀류법의 일종으로, 자연수의 정렬성, 즉 공집합이 아닌 모든 자연수의 부분집합에는 항상 최솟값이 존재한다는 성질을 이용한 증명이.

새로운!!: 수학적 귀납법와 무한강하법 · 더보기 »

공리

공리(公理)는 어떤 이론체계에서 가장 기초적인 근거가 되는 명제(命題)이.

새로운!!: 수학적 귀납법와 공리 · 더보기 »

부등식

수학에서, 부등식(不等式)은 두 수에 대한 크기 비교를 나타내는 식이.

새로운!!: 수학적 귀납법와 부등식 · 더보기 »

귀류법

법(歸謬法)은 어떤 주장에 대해 그 함의하는 내용을 따라가다보면 이치에 닿지 않는 내용 또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는 것을 보여서 그 주장이 잘못된 것임을 보이는 것이.

새로운!!: 수학적 귀납법와 귀류법 · 더보기 »

기하학

학(幾何學)은 공간에 있는 도형이나 대상들의 치수, 모양, 상대적 위치 등을 연구하는 수학의 한 분야이.

새로운!!: 수학적 귀납법와 기하학 · 더보기 »

블레즈 파스칼

블레즈 파스칼(1623년 6월 19일~1662년 8월 19일)은 프랑스의 심리학자, 수학자, 과학자, 신학자, 발명가 및 작가이.

새로운!!: 수학적 귀납법와 블레즈 파스칼 · 더보기 »

구조 (논리학)

모형 이론에서, 구조(構造)는 어떤 주어진 1차 논리 언어의 해석을 갖춘 집합이.

새로운!!: 수학적 귀납법와 구조 (논리학) · 더보기 »

논리곱

AND 논리 게이트 논리곱(기호: AND)이란 수리 논리학에서, 주어진 복수 명제 모두가 참인지를 나타내는 논리 연산이.

새로운!!: 수학적 귀납법와 논리곱 · 더보기 »

자연수

수학에서, 자연수(自然數)는 수를 셀 때나 순서를 매길 때 사용되는 수이.

새로운!!: 수학적 귀납법와 자연수 · 더보기 »

페아노 공리계

수리논리학에서.

새로운!!: 수학적 귀납법와 페아노 공리계 · 더보기 »

이항 정리

등대수학에서, 이항 정리(二項定理)는 이항식의 거듭제곱을 이항 계수를 계수로 하는 일련의 단항식들의 합으로 전개하는 정리이.

새로운!!: 수학적 귀납법와 이항 정리 · 더보기 »

정초 관계

집합론에서, 정초 관계(整礎關係)는 (무한히 재귀적이지 않은) 집합의 원소 관계로서 나타낼 수 있는 이항 관계이.

새로운!!: 수학적 귀납법와 정초 관계 · 더보기 »

정수

정수들의 집합은 순서에 따라 직선 위에 나타낼 수 있다. 수학에서, 정수(整數)는 양의 정수(1, 2, 3,...) 및 음의 정수(-1, -2, -3,...) 및 0으로 이루어진 수 체계이.

새로운!!: 수학적 귀납법와 정수 · 더보기 »

집합

9개의 다각형의 집합을 나타낸 오일러 다이어그램 수학에서, 집합(集合)은 명확한 기준에 의하여 주어진 서로 다른 대상들이 모여 이루는 새로운 대상이.

새로운!!: 수학적 귀납법와 집합 · 더보기 »

초한귀납법

집합론에서, 초한 귀납법(超限歸納法)은 수학적 귀납법을 순서수나 기수를 비롯한 정렬 집합으로 확장한 것이.

새로운!!: 수학적 귀납법와 초한귀납법 · 더보기 »

추론 규칙

칙(推論規則)은 논리학에서 논리식으로부터 다른 논리식을 이끄는 규칙을 말. 공리, 대입 규칙, 추론 규칙에 의해서 이론을 형식화한 것이 공리.

새로운!!: 수학적 귀납법와 추론 규칙 · 더보기 »

에우클레이데스

에우클레이데스(기원전 300년경) 또는 영어식 이름으로 유클리드(또는 Euclid of Alexandria)는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이자 소설가이.

새로운!!: 수학적 귀납법와 에우클레이데스 · 더보기 »

연산

연산은 다음과 같은 뜻을 갖.

새로운!!: 수학적 귀납법와 연산 · 더보기 »

피에르 드 페르마

에르 드 페르마(1601년 8월 17일~1665년 1월 12일)는 프랑스의 변호사이자 수학자이.

새로운!!: 수학적 귀납법와 피에르 드 페르마 · 더보기 »

항등식

수학에서 항등식(恒等式)은 등식의 일종으로, 항등식에는 크게 두가지의 정의가 있. 첫번째의 정의는 등식 내부의 특정한 변수가 복소수의 범위에서 어떤 값으로 변하든 항상 참을 만족하는 등식이.

새로운!!: 수학적 귀납법와 항등식 · 더보기 »

야코프 베르누이

야코프 베르누이(1654년 12월 27일 ~ 1705년 8월 16일)는 스위스의 수학자이자 화학자이.

새로운!!: 수학적 귀납법와 야코프 베르누이 · 더보기 »

홀수와 짝수

수론에서, 짝수(-數)는 2로 나누어떨어지는 정수이.

새로운!!: 수학적 귀납법와 홀수와 짝수 · 더보기 »

2차 논리

수리논리학에서, 2차 논리(二次論理)는 임의의 다항 관계 및 다항 연산에 대한 변수 및 이에 대한 전칭·존재 기호를 사용할 수 있는 논리이.

새로운!!: 수학적 귀납법와 2차 논리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수학적 귀납법의 원리, 수학적귀납법, 수학적귀납법의원리.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