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식충목

색인 식충목

식충목(食蟲目)은 포유강에 속했던, 지금은 유효하지 않은 분류군이.

17 처지: 고슴도치, 고슴도치과, 분지학, 두더지, 두더지과, 뒤쥐, 날원숭이, 땃쥐, 땃쥐류, 땃쥐목, 포유류, 청서번티기, 코끼리땃쥐, 솔레노돈, 아프리카땃쥐목, 텐렉과, 황금두더지.

고슴도치

슴도치 또는 아무르고슴도치(학명: Erinaceus amurensis)는 고슴도치목 고슴도치과의 야행성 포유동물이.

새로운!!: 식충목와 고슴도치 · 더보기 »

고슴도치과

슴도치과(학명: Erinaceidae)는 포유 동물의 한 부류로, 고슴도치목의 유일한 분류군이.

새로운!!: 식충목와 고슴도치과 · 더보기 »

분지학

분지학(分枝學, cladistics)은 계통학의 한 방법이.

새로운!!: 식충목와 분지학 · 더보기 »

두더지

(Mogera robusta)는 두더지과 두더지속에 속하는 포유동물이.

새로운!!: 식충목와 두더지 · 더보기 »

두더지과

(Talpidae)는 땃쥐목에 속하는 두더지와 땃쥐류, 데스만류 그리고 기타 중간 크기의 작은 식충동물을 포함하고 있는 포유류 분류군이.

새로운!!: 식충목와 두더지과 · 더보기 »

뒤쥐

(학명:Sorex caecutiens d은 땃쥐과에 속하는 포유동물이다. 몸길이 6-7cm. 주둥이가 길어 뾰족하게 튀어나왔고 꼬리에 털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몸빛깔은 윗면은 회갈색이거나 밤색이며 몸 아랫면은 연한 올리브색을 띤 회색 또는 담황색이다. 몸 옆구리에 악취가 나는 분비선이 있고, 초여름에 4-7마리의 새끼를 여러 번 낳는다. 새끼는 태어날 때 눈이 감겨 있다. 삼림·초원·들에 서식하며 밤에 나와 곤충·거미·달팽이 등을 먹고 산다. 한국·일본·만주·북아프리카 등지에 분포한다.

새로운!!: 식충목와 뒤쥐 · 더보기 »

날원숭이

원숭이 또는 날여우원숭이는 날원숭이목(Dermoptera) 또는 피익목(皮翼目)에 속하는 포유류의 총칭이.

새로운!!: 식충목와 날원숭이 · 더보기 »

땃쥐

땃쥐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식충목와 땃쥐 · 더보기 »

땃쥐류

땃쥐류는 땃쥐목의 땃쥐과(또는 첨서과, Soricidae)를 이루는 포유동물을 두루 일컫는 말이.

새로운!!: 식충목와 땃쥐류 · 더보기 »

땃쥐목

땃쥐목(학명: Soricomorpha)은 포유강에 속하는 분류군이.

새로운!!: 식충목와 땃쥐목 · 더보기 »

포유류

유류(哺乳類) 또는 젖먹이 짐승은 척삭동물문의 한 강인 포유강(Mammalia)에 속하는 동물을 통틀어 부르는 말이.

새로운!!: 식충목와 포유류 · 더보기 »

청서번티기

청서번티기는 투파이아과 또는 투파이과(Tupaiidae)를 구성하는 포유류를 두루 일컫는 말이.

새로운!!: 식충목와 청서번티기 · 더보기 »

코끼리땃쥐

리땃쥐 또는 도약땃쥐는 코끼리땃쥐목(Macroscelidea)의 코끼리땃쥐과(Macroscelididae)에 속해 있는 아프리카에 원산지를 둔 주로 벌레를 잡아먹는 작은 포유류이.

새로운!!: 식충목와 코끼리땃쥐 · 더보기 »

솔레노돈

솔레노돈(solenodon)은 솔레노돈과 동물의 총칭이.

새로운!!: 식충목와 솔레노돈 · 더보기 »

아프리카땃쥐목

아프리카땃쥐목(Afrosoricida)은 아프리카 남부의 금빛두더지와 마다가스카르의 고슴도치붙이 등을 포함하고 있는 포유류 목으로 2개의 과로 구성되어 있고, 전통적으로는 식충목의 일부로 간주되어 왔.

새로운!!: 식충목와 아프리카땃쥐목 · 더보기 »

텐렉과

슴도치붙이과 또는 텐렉과(Tenrecidae)는 아프리카 대륙의 일부와 마다가스카르 섬에서 발견되는 포유류 분류군의 하나이.

새로운!!: 식충목와 텐렉과 · 더보기 »

황금두더지

황금두더지 또는 금빛두더지는 아프리카 남부 지역의 토착종으로 땅을 파고 들어가는 습성을 지닌 작은 식충 포유류이.

새로운!!: 식충목와 황금두더지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