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심전

색인 심전

심전(沈銓, 1496년∼1589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외척이.

35 처지: 경기도, 병조, 관찰사, 장악서, 이감, 이기, 이조, 인순왕후, 조선 명종, 조선 영조, 조선 선조, 진사, 추증, 생원, 영의정, 호성공신, 예조, 허균, 사헌부, 성균관, 심강, 심뇌, 심달원, 심우승, 심회, 심희수, 심의겸, 심충겸, 심온, 심연원, 심통원, 1546년, 1559년, 1588년, 6월.

경기도

경기도(京畿道)는 대한민국의 북서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심전와 경기도 · 더보기 »

병조

병조(兵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심전와 병조 · 더보기 »

관찰사

사(觀察使)는, 중국 당대(唐代)에서 비롯하여 훗날 한국의 조선(朝鮮), 나아가 헤이안 시대(平安時代) 초기 일본에도 설치되었던 지방행정 감찰을 맡은 관직이.

새로운!!: 심전와 관찰사 · 더보기 »

장악서

장악원(掌樂院) 터. 서울 중구 명동, 외환은행 본점 앞에 있다. 장악서(掌樂署)는 고려와 조선 시대 음악에 관한 일을 맡아 보던 관청이.

새로운!!: 심전와 장악서 · 더보기 »

이감

이감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심전와 이감 · 더보기 »

이기

이기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심전와 이기 · 더보기 »

이조

이조(吏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심전와 이조 · 더보기 »

인순왕후

인순왕후 심씨(仁順王后 沈氏, 1532년 6월 27일/음력 5월 25일 ~ 1575년 2월 12일/음력 1월 2일)는 조선의 제13대 국왕인 명종의 정비(正妃)이.

새로운!!: 심전와 인순왕후 · 더보기 »

조선 명종

명종(明宗, 1534년 7월 3일 (음력 5월 22일)~ 1567년 8월 2일 (음력 6월 28일))은 조선의 제13대 임금이.

새로운!!: 심전와 조선 명종 · 더보기 »

조선 영조

영조(英祖, 1694년 10월 31일(음력 9월 13일) ~ 1776년 4월 22일(음력 3월 5일))는 조선의 제21대 왕(재위, 1724년 10월 16일 ~ 1776년 4월 22일)이.

새로운!!: 심전와 조선 영조 · 더보기 »

조선 선조

선조(宣祖, 1552년 11월 26일 (음력 11월 11일) ~ 1608년 3월 16일 (음력 2월 1일))는 조선의 제14대 임금 (재위 1567년~1608년)이.

새로운!!: 심전와 조선 선조 · 더보기 »

진사

사에는 다음 뜻이 있.

새로운!!: 심전와 진사 · 더보기 »

추증

증(追贈)이란 관료의 사후에 직급을 높이는 일, 또는 관직 없이 죽은 사람에게 사후 관직을 내리는 일을 말.

새로운!!: 심전와 추증 · 더보기 »

생원

생원(生員).

새로운!!: 심전와 생원 · 더보기 »

영의정

영의정(領議政)은 의정부 3정승 가운데 하나로 정1품에 해당하는 조선 최고의 중앙관직이었.

새로운!!: 심전와 영의정 · 더보기 »

호성공신

호성공신(扈聖功臣)은 1592년 임진왜란 때 선조를 의주로 모시고 피난한 공신들의 공로에 대한 공신록이.

새로운!!: 심전와 호성공신 · 더보기 »

예조

예조(禮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심전와 예조 · 더보기 »

허균

(許筠, 1569년 12월 10일(음력 11월 3일) ~ 1618년 10월 12일(음력 8월 24일))은 조선 중기의 문인으로 학자이자 작가, 정치가, 시인이.

새로운!!: 심전와 허균 · 더보기 »

사헌부

사헌부는 고려와 조선의 종이품아문 S 조선 최대의 거리, '육조거리' 행정기관이.

새로운!!: 심전와 사헌부 · 더보기 »

성균관

성균관(成均館)은 한국의 옛 대학(大學)으로 그 명칭은 고려 충선왕 때 국학(國學)을 성균관으로 개명한 데서 비롯하였.

새로운!!: 심전와 성균관 · 더보기 »

심강

심강(沈鋼, 1514년 ~ 1567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명종의 국구(장인)로, 인순왕후의 아버지이.

새로운!!: 심전와 심강 · 더보기 »

심뇌

심뇌(沈鐳, ? - ?)는 조선 중기의 척신이자 무신이.

새로운!!: 심전와 심뇌 · 더보기 »

심달원

심달원(沈達源, 1494년 ~ 1535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청송(靑松), 자는 자용(子容)이.

새로운!!: 심전와 심달원 · 더보기 »

심우승

심우승(沈友勝, 1551년 ~ 1602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공신이.

새로운!!: 심전와 심우승 · 더보기 »

심회

심회(沈澮, 1418년 ~ 1493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심전와 심회 · 더보기 »

심희수

심희수(沈喜壽, 1548년 ~ 1622년)는 조선의 문신으로 자는 백구(伯懼), 호는 일송(一松) 또는 수뢰루인(水雷累人), 시호는 문정(文貞)이.

새로운!!: 심전와 심희수 · 더보기 »

심의겸

심의겸(沈義謙, 1535년 ~ 1587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척신이.

새로운!!: 심전와 심의겸 · 더보기 »

심충겸

심충겸(沈忠謙, 1545년 ∼ 1594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외척으로, 인순왕후의 동생이.

새로운!!: 심전와 심충겸 · 더보기 »

심온

심온(沈溫, 1375년 ~ 1419년 1월 18일 (1418년 음력 12월 23일))은 고려 시대 말기와 조선 시대 초기의 문신이자, 세종의 국구이.

새로운!!: 심전와 심온 · 더보기 »

심연원

심연원(沈連源, 1491년 ~ 1558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 정치인이자 외척이.

새로운!!: 심전와 심연원 · 더보기 »

심통원

심통원(沈通源, 1499년 ~ 1572년 7월 8일)은 조선 중기의 권신, 척신이.

새로운!!: 심전와 심통원 · 더보기 »

154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심전와 1546년 · 더보기 »

155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심전와 1559년 · 더보기 »

1588년

1588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심전와 1588년 · 더보기 »

6월

6월(六月)은 에서 한 해의 여섯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는 네개의 달중 하나이.

새로운!!: 심전와 6월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