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안·사의 난

색인 안·사의 난

안·사의 난(安史之亂, An Shi Rebellion)은 755년 12월 16일부터 763년 2월 17일에 걸쳐 당나라의 절도사인 안녹사와 그 부하인 사사명과 그 자녀들에 의해 일어난 대규모 반란이.

41 처지: 모병제, 개원의 치, 고선지, 곽자의, 부병제, 부장, 균전제, 당 대종, 당 숙종, 당 현종, 당나라, 장순 (당나라), 장안, 절도사, 조용조, 주전충, 중국, 측천무후, 카를루크, 율령격식, 양귀비, 양귀비 (당나라), 양국충, 연 (안사), 사조의, 사사명, 안녹산, 황소의 난, 환관, 12월 16일, 2월 17일, 753년, 755년, 756년, 757년, 759년, 761년, 762년, 763년, 764년, 875년.

모병제

없음 국가별 상비군 병력 군대가 없는 나라, 보라색 표시 모병제(募兵制)는 강제 징병하지 않고, 본인의 지원에 의한 직업군인들을 모병하여 군대를 유지하는 병역 제도를 말. 이와 반대되는 제도는 징병제이.

새로운!!: 안·사의 난와 모병제 · 더보기 »

개원의 치

당 현종이 다스렸던, 713년부터 741년까지 28년간을 가리켜 개원의 치(開元之治).

새로운!!: 안·사의 난와 개원의 치 · 더보기 »

고선지

선지(高仙芝, ? ~ 755년)는 고구려 유민 출신 당나라 장군이.

새로운!!: 안·사의 난와 고선지 · 더보기 »

곽자의

분양왕 곽자의 곽자의(郭子儀, 697년~781년)는, 중국 당(唐) 왕조를 섬긴 군인이자 정치가이.

새로운!!: 안·사의 난와 곽자의 · 더보기 »

부병제

부병제(府兵制)는, 중국 남북조 시대의 서위(西魏) 왕조에서 비롯되어 북주(北周) · 수(隋)를 거쳐 당(唐)대에 완성된 군사 제도이.

새로운!!: 안·사의 난와 부병제 · 더보기 »

부장

부장은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안·사의 난와 부장 · 더보기 »

균전제

전제(均田制)는 중국 고대의 중요한 토지 제도 중 하나이.

새로운!!: 안·사의 난와 균전제 · 더보기 »

당 대종

당 대종 이예(唐代宗 李豫, 726년: 개원(開元) 14년 ~ 779년: 대력(大歷) 14년)은 중국 당나라의 제8대 황제이.

새로운!!: 안·사의 난와 당 대종 · 더보기 »

당 숙종

당 숙종 이형(唐肅宗 李亨, 711년 ~ 762년 음력 5월 18일)은 중국 당나라의 제7대 황제이며, 아버지는 당 현종 이융기, 어머니는 추존된 원헌황후 양씨이.

새로운!!: 안·사의 난와 당 숙종 · 더보기 »

당 현종

당 현종 이융기(唐玄宗 李隆基, 685년 9월 8일 ~ 762년 5월 3일)는 중국 당나라의 제6대 황제이.

새로운!!: 안·사의 난와 당 현종 · 더보기 »

당나라

당(唐, 618년 ~ 907년)은 수나라 멸망 뒤 건국된 중국의 정통왕조이.

새로운!!: 안·사의 난와 당나라 · 더보기 »

장순 (당나라)

장순 장순(張巡, 709∼757)은 唐(당) 때의 사람이.

새로운!!: 안·사의 난와 장순 (당나라) · 더보기 »

장안

장안중심고루유적 장안의 위치 장안에서 발굴된 한나라 시기의 유물 주대부터 청대까지의 시안. 회색은 주의 풍경과 호경, 파란색은 진의 함양과 아방궁, 분홍색은 한대 장안, 빨간색은 당대 장안, 보라색은 송대 경조부, 노란색은 명대 이후의 시안이다. 장안()은 중국의 고도(古都)로 현재 산시 성(陝西省)의 성도(省都) 시안 시(西安市)에 해당.

새로운!!: 안·사의 난와 장안 · 더보기 »

절도사

절도사(節度使)는, 중국 당(唐) 왕조에서 북송(北宋) 왕조에 걸쳐 존재했던 지방 조직인 번진(藩鎭)을 통솔했던 수장을 말. 관찰사(觀察使) 등을 겸하는 수도 있었으며, 지방의 군사와 재정을 통괄하였.

새로운!!: 안·사의 난와 절도사 · 더보기 »

조용조

조용조(租庸調)는 북위에서 시작한 조조(租調) 세제가 발전하면서 수나라를 거쳐 당나라 시기에 정립된 조세 제도이.

새로운!!: 안·사의 난와 조용조 · 더보기 »

주전충

주전충(朱全忠, 852년 10월 21일 ~ 912년 7월 18일, 재위: 907년 ~ 912년)은 오대십국시대 후량의 창건자로서 초대 황제이.

새로운!!: 안·사의 난와 주전충 · 더보기 »

중국

중국()은 동아시아와 중앙아시아, 그리고 태평양 서부 연안의 도서 지방을 포괄하는 지명이.

새로운!!: 안·사의 난와 중국 · 더보기 »

측천무후

측천무후(則天武后, 624년 2월 17일 ~ 705년 12월 16일)는 당나라 고종 이치의 황후이자 무주(武周)의 황제(당나라 제 6대 황제)로, 중국의 여자 황제이.

새로운!!: 안·사의 난와 측천무후 · 더보기 »

카를루크

를루크(고대튀르크어:12px12px12px12px)는 7세기부터 12세기에 걸쳐 준가얼 분지나 중앙 아시아 지방에 존재한 튀르크계 유목민이.

새로운!!: 안·사의 난와 카를루크 · 더보기 »

율령격식

율령격식(律令格式)은 중국에서 수·당대에 완성한 국가적 성문법 체계이.

새로운!!: 안·사의 난와 율령격식 · 더보기 »

양귀비

양귀비(楊貴妃)는 다음 뜻으로 쓰인.

새로운!!: 안·사의 난와 양귀비 · 더보기 »

양귀비 (당나라)

양귀비(楊貴妃, 719년 6월 26일 ~ 756년 7월 15일)는 당 현종의 후궁이자 며느리이.

새로운!!: 안·사의 난와 양귀비 (당나라) · 더보기 »

양국충

양국충(楊國忠, 양궈중, ? ~ 756년 7월 15일)은 중국 당 왕조의 무관, 정치가로 양귀비의 사촌 오빠이.

새로운!!: 안·사의 난와 양국충 · 더보기 »

연 (안사)

연(燕)은 중국 당나라의 장군 안녹산이 755년에 당 현종의 치세에 반발하여 반란을 일으킨 이후, 그 이듬해인 756년에 세운 나라였.

새로운!!: 안·사의 난와 연 (안사) · 더보기 »

사조의

사조의(史朝義, Shi Chaoyi, ? ~ 763년)은 당나라 중기의 대규모 반란이었던 안사의 난으로 건국된 연나라 최후의 황제였.

새로운!!: 안·사의 난와 사조의 · 더보기 »

사사명

사사명(史思明, 스쓰밍, ? ~ 761년)은 당나라의 무장으로 755년에서 763년까지 당나라를 뒤흔든 안사의 난에서 안녹산의 부장으로 활약을.

새로운!!: 안·사의 난와 사사명 · 더보기 »

안녹산

안녹산(안록산, 안루산, ? ~ 757년 1월 29일)은 당나라의 무장으로 안녹산의 난을 일으.

새로운!!: 안·사의 난와 안녹산 · 더보기 »

황소의 난

황소의 난(黃巢-亂)은 당나라 희종 연간 말기에 일어난 농민 반란이.

새로운!!: 안·사의 난와 황소의 난 · 더보기 »

환관

청나라의 환관. 환관(宦官)은 관료 가운데 거세된 남자(환자; 宦者)이며, 주로 동아시아(특히 중국과 한국)에 존재.

새로운!!: 안·사의 난와 환관 · 더보기 »

12월 16일

12월 1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50번째(윤년일 경우 35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안·사의 난와 12월 16일 · 더보기 »

2월 17일

2월 1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48번째(윤년일 경우도 4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안·사의 난와 2월 17일 · 더보기 »

75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안·사의 난와 753년 · 더보기 »

75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안·사의 난와 755년 · 더보기 »

75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안·사의 난와 756년 · 더보기 »

75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안·사의 난와 757년 · 더보기 »

75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안·사의 난와 759년 · 더보기 »

76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안·사의 난와 761년 · 더보기 »

76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안·사의 난와 762년 · 더보기 »

76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안·사의 난와 763년 · 더보기 »

76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안·사의 난와 764년 · 더보기 »

87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안·사의 난와 875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천보의 난, 안ㆍ사의 난, 안록산의 난, 안녹산의 난, 안사의 난.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