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어니스트 러더퍼드

색인 어니스트 러더퍼드

어니스트 러더퍼드 남작(FRS, 1871년 8월 30일 ~ 1937년 10월 19일)은 뉴질랜드에서 태어난 영국의 핵물리학자로서 핵물리학의 아버지로 불린.

123 처지: 러더퍼드 (단위), 러더퍼드 원자 모형, 러더포듐, 럭비, 동위 원소, 라돈, 라듐, 라틴어, 레이저, 로스앨러모스 국립 연구소, 맥길 대학교, 맨체스터 대학교, 맨해튼 계획, 마테우치 메달, 메리트 훈장, 몬트리올, 물리학, 방전, 방사선, 방사화학, 반감기, 가이거 계수기, 가이거-뮐러 계수관, 베를린 공과대학교, 베크렐, 베타 입자, 보일, 빌헬름 콘라트 뢴트겐, 대응원리, 남작, , 나치 독일, 네빌 프랜시스 모트, 넬슨 (뉴질랜드), 노벨 물리학상, 노벨 화학상, 노벨상, 뉴질랜드, 뉴질랜드 달러, 닐스 보어, 스코틀랜드, 우라늄, 트리니티 칼리지 (케임브리지), 요하네스 케플러, 튀빙겐 대학교, 자기, 페르디난드 마젤란, 입자, 잉글랜드, 크라이스트처치, ..., 폴로늄, 이온화, 음극선, 응용수학, 제1대 켈빈 남작 윌리엄 톰슨, 제3대 레일리 남작 존 윌리엄 스트럿,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 제임스 채드윅, 전도성, 전자, 전자기학, 전하, 조지 패짓 톰슨, 조지프 존 톰슨, 존 돌턴, 존 콕크로프트, 주기율표, 중성자, 질량 분석, 질소, 진공관, 지질학, , 캐번디시 연구소, 캔터베리 대학교, 케임브리지, 케임브리지 대학교, 코플리 메달, 유리 가가린, 윌리엄 로런스 브래그, 상보성 (물리학), 타라나키 지방, 수리물리학, 수학, 영국, 영어, 오스트레일리아, 오토 한, 최하위 훈작사, 최외각전자, 양자역학, 양성자, 에드워드 빅터 애플턴, 헨리 모즐리 (물리학자), 헬륨, 엑스선, 킬 대학교, 산란, 프랜시스 윌리엄 애스턴, 프랑스어, 프레더릭 소디, 세실 프랭크 파월, 토륨, 애빙던온템스, 한스 가이거, 알파 입자, , 핵물리학, 아이작 뉴턴, 앙리 베크렐, 실험물리학, 원자, 원자 모형, 원자 번호, 원자론, 웨스트민스터 사원, 화학, 왕립학회, 10월 19일, 1871년, 1919년, 1937년, 8월 30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73 더) »

러더퍼드 (단위)

(rutherford, 기호 rd)는 방사성 물질의 붕괴속도를 나타내는 방사선 단위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러더퍼드 (단위) · 더보기 »

러더퍼드 원자 모형

원자모형으로 나타낸 리튬 러더퍼드 원자 모형은 어니스트 러더퍼드가 1911년 제시한 원자 모형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러더퍼드 원자 모형 · 더보기 »

러더포듐

(←) 또는 쿠르차토븀(←)은 화학 원소로 기호는 Rf(←), 원자 번호는 104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러더포듐 · 더보기 »

럭비

럭비 경기 모습 럭비() 또는 '''럭비 풋볼'''(rugby football)은 손과 발을 이용한 구기 스포츠이며, 풋볼의 일종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럭비 · 더보기 »

동위 원소

동위 원소(同位元素, Isotope)는 원자 번호가 같지만 원자량이 다른 원소를 말. 어떤 원소의 동위원소는 그 원소와 같은 수의 양성자와 전자를 가지지만, 다른 수의 중성자를.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동위 원소 · 더보기 »

라돈

(←)은 화학 원소로 기호는 Rn(←), 원자 번호는 86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라돈 · 더보기 »

라듐

(←, ←)은 화학 원소로 원소기호는 Ra(←), 원자번호는 88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라듐 · 더보기 »

라틴어

어(Lingua Latīna)는 이탈리아 반도의 중부에 있는 고대 로마와 그 주변 지역 라티움(Latium)에 정착하여 살던 라티움 사람들이 쓰던 언어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라틴어 · 더보기 »

레이저

이저 포인터(적색635 nm, 녹색520 nm, 청색445 nm) 레이저(laser)는 유도 방출 에 의한 빛의 증폭(Light Amplification by the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의 머릿글자만을 따온 것을 한글화한 것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레이저 · 더보기 »

로스앨러모스 국립 연구소

스앨러모스 국립 연구소 로스앨러모스 국립 연구소()는 미국의 국립 연구소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로스앨러모스 국립 연구소 · 더보기 »

맥길 대학교

맥길 대학교()는 캐나다 퀘벡 주 몬트리올에 위치한 연구 중심 공립 대학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맥길 대학교 · 더보기 »

맨체스터 대학교

맨체스터 대학교(The University of Manchester)는 영국 잉글랜드 랭커셔 주 맨체스터에 위치한 종합대학교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맨체스터 대학교 · 더보기 »

맨해튼 계획

맨해튼 계획 또는 맨해튼 프로젝트()는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미국이 주도하고 영국과 캐나다가 공동으로 참여한 핵폭탄 개발 프로그램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맨해튼 계획 · 더보기 »

마테우치 메달

마테우치 메달()은 이탈리아 국립 과학 아카데미()에서 주관하는 물리학상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마테우치 메달 · 더보기 »

메리트 훈장

도러시 호지킨이 받은 메리트 훈장 메리트 훈장()은 영국 및 영국 연방 왕국의 훈장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메리트 훈장 · 더보기 »

몬트리올

몬트리올() 혹은 몽레알 (.)은 퀘벡 주 남쪽에 있는 캐나다에서 토론토 다음으로 가장 큰 도시이며, 전세계에서 가장 큰 불어권 도시 중 하나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몬트리올 · 더보기 »

물리학

물리학(物理學)은 물질과,리처드 파인만은 원자론을 다루는 《파이만의 물리학 강의》(The Feynman Lectures on Physics)에서 "대격변이 일어나 모든 과학 지식이 없어진다고 해도, 다음의 단 한 문장만 다음 세대에 전달되면 다시 모든 과학 지식이 구축될 수 있다고 믿습.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물리학 · 더보기 »

방전

방전(放電)은 일반적으로는 충전되어 있는 전지로부터 전류가 흐르는 현상을 말. 쉽게 말해 전지가 닳는 것을 말. 하지만 기체 등 전기가 거의 통하지 않는 것들이 강한 전기장 속에 있을 때, 절연성을 잃고 전류가 흐르는 현상을 말하는 경우가 많. 방전 현상의 종류로는 기체 방전, 진공 방전, 글로 방전, 아크 방전, 코로나 방전등이 있.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방전 · 더보기 »

방사선

이온화된 방사선의 상대적인 투과력을 보여준다. 알파선(α)은 종이 한장도 통과 못하는 반면에, 베타선(β)은 알루미늄 판으로 막을 수 있고, 감마선(γ)은 두꺼운 납판이라야 막을 수 있다. 방사선(放射線)은 방사성 원소의 붕괴에서 방출되는 입자 또는 에. 몸을 투과하면 분자와 공명하여 세포를 파괴시키거나, DNA 혹은 RNA의 수소결합을 절단하여 유전자를 파괴하거나 변형시.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방사선 · 더보기 »

방사화학

방사화학(放射化學 영어: Radio Chemistry)은 방사성 동위 원소나 방사성 핵종과 같은 방사성 물질을 대상으로 화학적 및 물리화학적인 성질을 연구하는 화학의 한 분야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방사화학 · 더보기 »

반감기

수함수적 붕괴의 반감기(半減期, half-life)란 어떤 양이 초기 값의 절반이 되는데 걸리는 시간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반감기 · 더보기 »

가이거 계수기

이거 계수기 가이거 계수기(Geiger 計數器)는 이온화 방사선을 측정하는 장치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가이거 계수기 · 더보기 »

가이거-뮐러 계수관

300px 가이거-뮐러 계수관(GM tube)는 가이거 계수기의 검출기로서, 이온 방사(ionizing radiation)에서 나오는 원소를.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가이거-뮐러 계수관 · 더보기 »

베를린 공과대학교

베를린 공과대학교(Technische Universität Berlin)는 독일 베를린에 위치한 네 대학교의 중 하나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베를린 공과대학교 · 더보기 »

베크렐

베크렐 (Becquerel, 기호 ㏃)은 방사능 활동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로서, 국제 표준 단위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베크렐 · 더보기 »

베타 입자

알파선은 헬륨 원자핵으로 생성되어 있으므로 종이 한 장으로 쉽게 막을 수 있다. 베타선은 전자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알루미늄 판으로 막을 수 있다. 고에너지 광자로 구성된 감마선은 조밀한 물질(물이나 철근 콘크리트)을 통과하며 점차 흡수된다. 베타 입자(beta particle)는 칼륨-40과 같은 몇몇 방사능 핵종에서 방출되는 고에너지, 고속의 전자나 양전자 입자를 말. 전리 방사선의 형태로 방출되는 베타 입자를 베타 광선이라 하며, 베타 입자의 방출 과정은 베타 붕괴라 부른.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베타 입자 · 더보기 »

보일

보일은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보일 · 더보기 »

빌헬름 콘라트 뢴트겐

빌헬름 콘라트 뢴트겐(Wilhelm Conrad Röntgen, 1845년 3월 27일 ~ 1923년 2월 10일)은 독일의 물리학자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빌헬름 콘라트 뢴트겐 · 더보기 »

대응원리

물리학에서 대응원리(correspondence principle)는 양자수가 극한으로 증가할 때 양자역학에 의하여 기술되는 계(system)의 성질은 고전역학에서의 결과와 대응한다는 원리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대응원리 · 더보기 »

남작

작(男爵, Baron, 여성형: 남작 부인(男爵 夫人, Baroness), 여남작(女男爵))은 자작의 하위로, 오등작 귀족의 마지막에 해당하는 작위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남작 · 더보기 »

납() 또는 연(鉛)은 화학 원소로, 기호는 Pb(←)이고 원자 번호는 82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납 · 더보기 »

나치 독일

독일은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나치당)과 아돌프 히틀러 치하의 1933년부터 1945년까지의 독일을 가리.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나치 독일 · 더보기 »

네빌 프랜시스 모트

빌 프랜시스 모트 경(Sir Nevill Francis Mott, CH, FRS, 1905년 9월 30일 ~ 1996년 8월 8일)은 영국의 물리학자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네빌 프랜시스 모트 · 더보기 »

넬슨 (뉴질랜드)

슨 시(Nelson City)는 뉴질랜드 남섬의 최북단에 위치한 넬슨 지방의 주도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넬슨 (뉴질랜드) · 더보기 »

노벨 물리학상

벨 물리학상(- 物理學賞)은 6개 분야의 노벨상 중 하나로, 1년에 한 번 스웨덴 왕립 과학원에 의해 수여.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노벨 물리학상 · 더보기 »

노벨 화학상

야코뷔스 반트 호프는 1901년에 화학동역학 법칙 및 삼투압을 발견하여 최초로 노벨 화학상을 받은 사람이 됐다. 노벨 화학상(- 化學賞)은 알프레드 노벨의 기일인 매년 12월 10일에 스웨덴 왕립 과학원에서 주는 것으로 다른 노벨상들과 마찬가지로 스웨덴의 스톡홀름에서 주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노벨 화학상 · 더보기 »

노벨상

알프레드 노벨 노벨상()은 다이너마이트의 발명가인 스웨덴의 알프레드 노벨이 1895년 작성한 유언에 따라 매년 인류의 문명 발달에 학문적으로 기여한 사람에게 주어지는 상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노벨상 · 더보기 »

뉴질랜드

(), 아오테아로아()는 태평양 남서부에 위치한 섬나라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뉴질랜드 · 더보기 »

뉴질랜드 달러

(dollar, ISO 4217: NZD)는 뉴질랜드의 통화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뉴질랜드 달러 · 더보기 »

닐스 보어

헨리크 다비드 보어(1885년 10월 7일 ~ 1962년 11월 18일)는 원자 구조의 이해와 양자역학의 성립에 기여한 덴마크의 물리학자로서, 훗날 이 업적으로 1922년에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닐스 보어 · 더보기 »

스코틀랜드

스코틀랜드()는 유럽의 북서쪽에 위치하며 영국을 이루는 네 구성국(스코틀랜드, 잉글랜드, 북아일랜드, 웨일스) 가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스코틀랜드 · 더보기 »

우라늄

육플루오린화우라늄의 분자 구조. 우라늄 광석(피치블렌드)의 모습 우라늄(←)은 화학 원소로 원소 기호는 U(←), 원자 번호는 92인 은회색의 방사성 금속 원소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우라늄 · 더보기 »

트리니티 칼리지 (케임브리지)

리니티 칼리지 트리니티 칼리지(Trinity College)는 케임브리지 대학교를 구성하는 칼리지 중 하나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트리니티 칼리지 (케임브리지) · 더보기 »

요하네스 케플러

요하네스 케플러(1571년 12월 27일 - 1630년 11월 15일)는 독일의 수학자, 천문학자, 점성술사이자 17세기 천문학 혁명의 핵심 인물이었.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요하네스 케플러 · 더보기 »

튀빙겐 대학교

에버하르트 카를 튀빙겐 대학교(Eberhard Karls Universität Tübingen)는 독일 바덴뷔르템베르크 주 튀빙겐에 위치한 대학교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튀빙겐 대학교 · 더보기 »

자기

자기(magnetism, 磁氣)는 자석(magnet)이 주위 물체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말. 여기서 말하는 영향이란, '자석이 갖고있는 힘'을 주위에게 행사함으로써 나타나는 현상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자기 · 더보기 »

페르디난드 마젤란

르낭 드 마갈량이스(1480년 봄 ~ 1521년 4월 27일)는 포르투갈 출신의 항해가, 탐험가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페르디난드 마젤란 · 더보기 »

입자

입자(particle, corpuscule, 粒子)는 물리적 성질과 화학적 성질을 가진 작은 물체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입자 · 더보기 »

잉글랜드

영국 내에서의 잉글랜드 위치. 잉글랜드의 지역 (Region). 잉글랜드()는 영국의 구성국 중 하나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잉글랜드 · 더보기 »

크라이스트처치

이스트처치()는 뉴질랜드의 남섬 동쪽에 있는 캔터버리 지방의 주요 도시로, 남섬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도시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크라이스트처치 · 더보기 »

폴로늄

(←, ←)은 화학 원소로 기호는 Po(←), 원자 번호는 84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폴로늄 · 더보기 »

이온화

이온화(-化, ionization)는 전하적으로 중성인 분자를 양 또는 음의 전하를 가진 이온으로 만드는 조작, 또는 현상으로, 전리(電離)라고도 불린.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이온화 · 더보기 »

음극선

음극선 (陰極線,또는 전자빔)은 두 금속 전극 (음극(Cathode) 또는 음극 단자와 양극(Anode) 또는 양극 단자)가 진공의 유리관 안에 떨어져 있고, 두 단자 사이에 전위차가 있을 때, 진공관안에서 관찰되는 전자들의 흐름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음극선 · 더보기 »

응용수학

응용수학(應用數學)는 순수수학의 수학적인 기교를 이용하여 다른 학문의 문제를 해결하는 수학의 분과학문을 일컫.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응용수학 · 더보기 »

제1대 켈빈 남작 윌리엄 톰슨

제1대 켈빈 남작 윌리엄 톰슨(PRS, 1824년 6월 26일 ~ 1907년 12월 7일)은 아일랜드에서 태어난 영국의 수리물리학자이며 공학자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제1대 켈빈 남작 윌리엄 톰슨 · 더보기 »

제3대 레일리 남작 존 윌리엄 스트럿

제3대 레일리 남작 존 윌리엄 스트럿(PRS, 1842년 11월 12일 ~ 1919년 6월 30일)은 영국의 물리학자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제3대 레일리 남작 존 윌리엄 스트럿 · 더보기 »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James Clerk Maxwell, FRS, 1831년 6월 13일 ~ 1879년 11월 5일)은 스코틀랜드의 에든버러에서 태어난 영국의 이론물리학자이자 수학자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 · 더보기 »

제임스 채드윅

제임스 채드윅 경(CH, FRS, 1891년 10월 20일 ~ 1974년 7월 24일)은 중성자를 발견한 공로로 노벨 물리학상을 받은 영국의 물리학자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제임스 채드윅 · 더보기 »

전도성

전도성(全道成, 천안, 1864년 12월 9일 ~ 1944년 8월 18일)은 조선시대의 판소리 명창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전도성 · 더보기 »

전자

전자 (電子, electron) 는 음(-)의 전하를 띠고 있는 기본 입자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전자 · 더보기 »

전자기학

전자기학(電磁氣學)은 전기와 자기 현상을 탐구하는 학문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전자기학 · 더보기 »

전하

섬네일 전하(電荷, electric charge)는 전기현상을 일으키는 주체적인 원인으로, 어떤 물질이 갖고 있는 전기의 양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전하 · 더보기 »

조지 패짓 톰슨

조지 패짓 톰슨 경(Sir George Paget Thomson, FRS, 1892년 5월 3일~1975년 9월 10일)은 영국의 물리학자로서 전자에 의해 굴절된 결정내에서의 상호간섭 현상을 실험적으로 증명하여 1937년에 클린턴 조지프 데이비슨과 함께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조지 패짓 톰슨 · 더보기 »

조지프 존 톰슨

조지프 존 톰슨 경(OM, FRS, 1856년 12월 18일~1940년 8월 30일)은 영국의 물리학자이며, 전자와 동위원소를 발견하였고 질량 분석계를 발명하였.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조지프 존 톰슨 · 더보기 »

존 돌턴

존 돌턴(John Dalton, FRS, 1766년 9월 6일~1844년 7월 27일)은 영국의 화학자이자 물리학자, 기상학자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존 돌턴 · 더보기 »

존 콕크로프트

존 콕크로프트 경(Sir John Douglas Cockcroft, OM, KCB, CBE, FRS, 1897년 5월 27일~1967년 9월 18일)은 영국의 물리학자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존 콕크로프트 · 더보기 »

주기율표

준 주기율표 주기율표(週期律表) 또는 주기표(週期表)는 원소를 구분하기 쉽게 성질에 따라 배열한 표로, 러시아의 드미트리 멘델레예프가 처음 제안.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주기율표 · 더보기 »

중성자

중성자(中性子, neutron)는 원자핵을 구성하는 것 중 전하가 없는, 양성자보다 약간 무거운 핵자.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중성자 · 더보기 »

질량 분석

량 분석(質量分析)은 시료의 화학적 조성을 분석하는 방법의 하나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질량 분석 · 더보기 »

질소

소(窒素←)는 비금속 화학 원소로, 기호는 N(←)이고 원자 번호는 7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질소 · 더보기 »

진공관

공관 전자공학에서 진공관(眞空管)은 일반적으로 진공의 공간에서 전자의 운동을 조종함으로써 신호를 증폭하거나 변경하는 데 사용하는 장치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진공관 · 더보기 »

지질학

학(地質學)은 지구를 이루고 있는 물질들과 이들 물질들의 형성 과정 및 지구의 역사, 그리고 지구에 생존하였던 생물들의 화석 따위를 연구하는 자연과학의 한 분야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지질학 · 더보기 »

(鐵) 또는 쇠는 화학 원소로 기호는 Fe(←)이고 원자 번호는 26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철 · 더보기 »

캐번디시 연구소

버디시 연구소(Cavendish Laboratory)는 헨리 캐번디시의 이름을 딴 케임브리지 대학의 연구소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캐번디시 연구소 · 더보기 »

캔터베리 대학교

베리 대학교(마오리어: Te Whare Wānanga o Waitaha, 약칭: UC)는 뉴질랜드 남섬 크라이스트처치 아이람 지역에 있는 대학교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캔터베리 대학교 · 더보기 »

케임브리지

임브리지의 위치 케임브리지 케임브리지(Cambridge)는 영국 런던의 북쪽 케임브리지셔 주의 중심 도시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케임브리지 · 더보기 »

케임브리지 대학교

임브리지 대학교(University of Cambridge)는 영국 잉글랜드 케임브리지에 위치한 영어권에서 가장 오래된 전통을 가진 대학 중 하나이며, 공립 연구중심 대학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케임브리지 대학교 · 더보기 »

코플리 메달

리 메달()은 과학 업적에 대해 수여되는 가장 오래된 상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코플리 메달 · 더보기 »

유리 가가린

유리 알렉세예비치 가가린(1934년 3월 9일 - 1968년 3월 27일)은 소비에트 연방의 우주비행사, 군인으로, 1961년 4월 12일에 인류로서는 최초로 지구 궤도를 도는 우주 비행을 하였으며, 6번이나 우주 비행에 성공하였.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유리 가가린 · 더보기 »

윌리엄 로런스 브래그

윌리엄 로런스 브래그 경(Sir William Lawrence Bragg, CH, OBE, FRS, 1890년 3월 31일~1971년 7월 1일)은 1915년 아버지 윌리엄 헨리 브래그와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한 영국의 물리학자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윌리엄 로런스 브래그 · 더보기 »

상보성 (물리학)

양자역학에서, 상보성 원리(相補性原理, complementarity principle)는 양자역학적 물체가 어떤 실험을 하느냐에 따라 파동 또는 고전적 입자의 성질을 보인다는 원리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상보성 (물리학) · 더보기 »

타라나키 지방

방의 위치(초록색) 타라나키 지방(Taranaki Region)는 뉴질랜드 북섬에 있는 지방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타라나키 지방 · 더보기 »

수리물리학

right 수리물리학(數理物理學)은 물리학에서 다루는 여러 가지 구체적인 문제들에 대해서 수학적인 해석을 하는 분야로, 통계역학과 양자장이론의 개념을 활용하지만 이론물리학과 같은 것은 아. 수리물리학은 좀 더 추상적이고, 엄밀한 수준에서 물리학을 연. 이론물리학은 수리물리학에 비해서 수학을 그다지 많이 필요로 하지 않으며, 오히려 실험물리학과 더 많이 관련되어 있. 그러나 수리물리학을 정의하는 것이, 다른 많은 과학 분야들처럼 간단한 것은 아. 현대 수리물리학의 또 다른 정의에서는 고전 수리물리학과는 달리, 모든 수학 분야를 다루게 되어있.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수리물리학 · 더보기 »

수학

수학(數學)은 양, 구조, 공간, 변화 등의 개념을 다루는 학문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수학 · 더보기 »

영국

이트 브리튼 북아일랜드 연합왕국(-聯合王國), 약칭 브리튼() 또는 연합왕국(聯合王國,, UK) 혹은 영국(英國)은 유럽 북서부 해안의 브리튼 제도에 위치한 주권국이자 섬나라로, 북해, 영국 해협, 아일랜드 해 및 대서양에 접하여 있으며 그레이트 브리튼 섬의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 및 아일랜드 섬 북부의 북아일랜드로 네 개의 구성국으로 이루어져 있는 연합국가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영국 · 더보기 »

영어

영어(英語)는 영국의 잉글랜드에서 기원한 서게르만어군 언어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영어 · 더보기 »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레일리아 연방(), 줄여서 오스트레일리아() 또는 호주는 오세아니아에 속하는 나라로, 오스트레일리아 대륙 본토와 태즈메이니아 섬, 그리고 인도양과 태평양의 많은 섬으로 이루어져 있. 세계에서 6번째로 면적이 넓은 나라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오스트레일리아 · 더보기 »

오토 한

오토 한노벨상 딱지 오토 한(Otto Hahn, 1879년 3월 8일~1968년 7월 28일)은 독일의 화학자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오토 한 · 더보기 »

최하위 훈작사

insignia) ribbon) 최하위 훈작사(最下位勳爵士, Knight Bachelor)는 영국에서 11세기부터 부여하는 서훈으로, 중세부터 이어온 기사 서임의 전통이 이어진 것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최하위 훈작사 · 더보기 »

최외각전자

외각전자(最外殼電子)는 원자를 구성하는 전자 중 가장 바깥 쪽에 있는 궤도전자를 의미.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최외각전자 · 더보기 »

양자역학

양자역학(量子力學)은 분자, 원자, 전자, 소립자와 미시적인 계의 현상을 다루는 즉, 작은 크기를 갖는 계의 현상을 연구하는 물리학의 분야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양자역학 · 더보기 »

양성자

양성자(陽性子, proton)는 +1e의 전하를 가지는 원자의 구성입자로 중성자와 함께 원자핵을 이루며, 이 둘을 “핵자”라고도 부른.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양성자 · 더보기 »

에드워드 빅터 애플턴

에드워드 빅터 애플턴 경(FRS, 1892년 9월 6일 ~ 1965년 4월 21일)은 영국의 물리학자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에드워드 빅터 애플턴 · 더보기 »

헨리 모즐리 (물리학자)

헨리 귄 제프리스 모즐리(Henry Gwyn Jeffreys Moseley, 1887년 11월 23일~1915년 8월 10일)는 영국의 물리학자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헨리 모즐리 (물리학자) · 더보기 »

헬륨

헬륨(←)은 화학 원소로, He(←)이고 원자번호는 2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헬륨 · 더보기 »

엑스선

이 찍은 그의 부인 손의 엑스선 사진 (반지 포함) 엑스선(-線)는 파장이 10 ~ 0.01 나노미터이며, 주파수는 30 × 1015헤르츠에서 30 × 1018헤르츠 사이인 전자.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엑스선 · 더보기 »

킬 대학교

학교()는 독일 킬에 위치한 대학교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킬 대학교 · 더보기 »

산란

산란(散亂) 또는 흩뜨림은 어떤 매질을 직선 경로로 통과하는 빛, 소리, 움직이는 입자 등의 복사(輻射)가 하나 이상의 국부적 불균일성에 의해 경로를 벗어나는 현상을 가리키는 일반적인 물리적인 과정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산란 · 더보기 »

프랜시스 윌리엄 애스턴

시스 윌리엄 애스턴노벨상 딱지 프랜시스 윌리엄 애스턴 FRS (Francis William Aston, 1877년 9월 1일 ~ 1945년 11월 20일)은 영국의 물리학자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프랜시스 윌리엄 애스턴 · 더보기 »

프랑스어

랑스어(le français 또는 la langue française)는 로망스어군에 속하는 언어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프랑스어 · 더보기 »

프레더릭 소디

릭 소디노벨상 딱지 프레더릭 소디(Frederick Soddy, 1877년 9월 2일 ~ 1956년 9월 22일)는 영국의 물리학자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프레더릭 소디 · 더보기 »

세실 프랭크 파월

세실 프랭크 파월(Cecil Frank Powell, FRS, 1903년 12월 5일~1969년 8월 9일)은 영국의 실험물리학자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세실 프랭크 파월 · 더보기 »

토륨

륨(←, ←)은 화학 원소로 기호는 Th(←), 원자 번호는 90이.*악티늄족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토륨 · 더보기 »

애빙던온템스

애빙던온템스 애빙던온템스(Abingdon-on-Thames)는 잉글랜드 옥스퍼드셔 주의 도시로, 인구는 36,626명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애빙던온템스 · 더보기 »

한스 가이거

스 가이거 (1928) 요한네스 "한스" 빌헬름 가이거(Johannes "Hans" Wilhelm Geiger, 1882년 9월 30일 ~ 1945년 9월 24일)는 독일 포츠담 에서 태어난 물리학자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한스 가이거 · 더보기 »

알파 입자

알파선은 헬륨 원자핵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종이 한 장으로 쉽게 막을 수 있다. 베타선은 전자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알루미늄 판으로 막을 수 있다. 고에너지 광자로 구성된 감마선은 조밀한 물질(물이나 철근 콘크리트)을 통과하며 점차 흡수된다. 알파 입자(alpha particle) 혹은 알파선(alpha ray)은 높은 이온화 특성을 지니는 입자 복사의 하나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알파 입자 · 더보기 »

핵(核)은 어떤 것의 중심을 말.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핵 · 더보기 »

핵물리학

핵물리학(核物理學)은 원자핵을 연구하는 물리학의 분. 이름에 ‘핵’이 들어가기 때문에 원자물리학(atomic physics)과 혼동되기도 하지만, 다른 분야.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핵물리학 · 더보기 »

아이작 뉴턴

아이작 뉴턴 경(그레고리력 1643년 1월 4일~1727년 3월 31일, 율리우스력 1642년 12월 25일~1727년 3월 20일)은 잉글랜드의 물리학자, 수학자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아이작 뉴턴 · 더보기 »

앙리 베크렐

앙투안 앙리 베크렐 (1852년 12월 15일 –1908년 8월 25일)은 프랑스의 물리학자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앙리 베크렐 · 더보기 »

실험물리학

정한 의미에서의 자연과학에는 실험을 통한 검증이 반드시 필요.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실험물리학 · 더보기 »

원자

원자(原子, atom)는 화학 반응을 통해 더 쪼갤 수 없는 단위를 말. 현대 물리학의 관점에서 볼 때 원자는 원자핵과 전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원자핵은 중성자와 양성자로 구성.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원자 · 더보기 »

원자 모형

원자 모형은 원자를 쉽게 이해하기 위해 눈으로 볼 수 없는 원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원자 모형 · 더보기 »

원자 번호

원소 기호 표기법에서의 위 첨자와 아래 첨자에 대한 설명. 원자 번호는 양성자의 수이자, 원자핵의 양전하 값이다. ''Z''.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원자 번호 · 더보기 »

원자론

원자론(原子論)은 모든 물질이 원자로 구성되어 있다는 이론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원자론 · 더보기 »

웨스트민스터 사원

정식으로는 웨스트민스터 세인트 피터 성당 참사회(Collegiate Church of St.), 간략하게 웨스트민스터 사원(Westminster Abbey)은 런던 웨스트민스터에 있는 영국고딕 양식의 거대한 성공회 성당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웨스트민스터 사원 · 더보기 »

화학

화학은 물질에 대해서 연구하는 자연과학의 한 분야이다. 화학(化學)은 물질의 성질, 조성, 구조, 변화 및 그에 수반하는 에너지의 변화를 연구하는 자연과학의 한 분야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화학 · 더보기 »

왕립학회

자연 지식의 향상을 위한 런던 왕립학회(The Royal Society of London for the Improvement of Natural Knowledge)는 1660년 창립된 지식인 및 학자들의 모임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왕립학회 · 더보기 »

10월 19일

10월 1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92번째(윤년일 경우 29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10월 19일 · 더보기 »

1871년

1871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1871년 · 더보기 »

1919년

1919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1919년 · 더보기 »

1937년

1937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1937년 · 더보기 »

8월 30일

8월 3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42번째(윤년일 경우 24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8월 30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E. 러더퍼드, 어니스트 러더포드.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