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얼음 위성

색인 얼음 위성

얼음 위성()은 표면 대부분이 얼음으로 뒤덮인 자연위성을 말. 얼음 위성은 표면 아래에 바다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으며, 핵의 구성 성분은 철질 또는 규산염질이.

26 처지: 동질이상, 메테인, 목성형 행성, 명왕성, , 미란다 (위성), 미마스 (위성), 갈릴레이 위성, 바다 행성, 가니메데 (위성), 거대 가스 행성, 국제천문연맹, 디스노미아 (위성), 트리톤 (위성), 조석력, 카론 (위성), 칼리스토 (위성), 유로파 (위성), 위성, 타이탄 (위성), 얼음, 에리스 (왜행성), 엔셀라두스, 토성, 움브리엘 (위성), 외계생명.

동질이상

동질이상은 화학 조성이 같은 물질이지만 다른 결정 구조를 갖는 것을 말. 예를 들면, 방해석(CaCO₃:육방정계)과 아라고나이트(CaCO₃:사방정계), 다이아몬드(C:등축정계)와 흑연(9C:육방정계) 등이 있. 분류:화학 분류:물질.

새로운!!: 얼음 위성와 동질이상 · 더보기 »

메테인

메테인() 또는 메탄()은 가장 간단한 탄소 화합물로, 탄소 하나에 수소 4개가 붙어 있. 분자량은 16이.

새로운!!: 얼음 위성와 메테인 · 더보기 »

목성형 행성

우리 태양계의 목성형 행성들. 아래에서 위로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이다. 목성형 행성(木星型行星)은 태양계에서 수소나 헬륨 따위의 유체(fluid) 형태를 주성분으로 하는 행성을 말.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이 해당.

새로운!!: 얼음 위성와 목성형 행성 · 더보기 »

명왕성

섬네일 명왕성(冥王星, Pluto) 또는 왜소행성 134340 명왕성(소행성명 134340 Pluto)은 카이퍼 대에 있는 왜행성이며, 현재 카이퍼 대에서 가장 큰 천체로 파악되었.

새로운!!: 얼음 위성와 명왕성 · 더보기 »

물()은 산소와 수소가 결합된 것으로, 생명을 유지하는 데에 없어서는 안 되는 화학 물질이.

새로운!!: 얼음 위성와 물 · 더보기 »

미란다 (위성)

미란다() 또는 천왕성 V()는 천왕성의 둥근 다섯 개의 위성 중 가장 작고 가장 안쪽에 위치한 위성이.

새로운!!: 얼음 위성와 미란다 (위성) · 더보기 »

미마스 (위성)

미마스(Mimas)는 토성의 위성으로, 이름은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가이아의 아들 미마스에서 따왔.

새로운!!: 얼음 위성와 미마스 (위성) · 더보기 »

갈릴레이 위성

리스토이다. 갈릴레이 위성(Galilean moons) 또는 갈릴레오 위성은 1610년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목성 주변에서 발견한 4개의 위성을 뜻. 이들은 목성의 위성 중 크기가 큰 천체이며, 이들 위성의 이름은 이오, 에우로페, 가니메데스, 칼리스토 등 제우스(주피터; 즉 목성의 이름)의 연인의 이름을 따서 지었.

새로운!!: 얼음 위성와 갈릴레이 위성 · 더보기 »

바다 행성

물의 바다로 완전히 덮인, 어느 바다 행성의 상상도. 바다 행성(Ocean planet)은 표면 전체가 물의 바다로 뒤덮여 있는, 가상의 외계 행성을 말. 행성체는 항성계의 바깥쪽에서 약 50:50의 질량비로 물과 암석이 섞여서 탄생.

새로운!!: 얼음 위성와 바다 행성 · 더보기 »

가니메데 (위성)

메데(Ganymede, 목성 III)는 목성의 위성으로, 태양계의 위성들 중 가장.

새로운!!: 얼음 위성와 가니메데 (위성) · 더보기 »

거대 가스 행성

스 행성(gas giant)은수소와 헬륨이 질량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행성을 말. 태양계의 거대 가스 행성으로 목성과 토성이 있.

새로운!!: 얼음 위성와 거대 가스 행성 · 더보기 »

국제천문연맹

국제천문연맹(國際天文聯盟)은 천문학계의 국제적인.

새로운!!: 얼음 위성와 국제천문연맹 · 더보기 »

디스노미아 (위성)

스노미아와 에리스의 상상도 디스노미아(Dysnomia)는 왜행성 에리스의 위성이.

새로운!!: 얼음 위성와 디스노미아 (위성) · 더보기 »

트리톤 (위성)

리톤(Triton 또는 Neptune I)은 해왕성의 가장 큰 위성이고, 태양계에서 가장 차가운 천체에 속. 직경은 2706km 이며 태양계 위성 중에서 7번.

새로운!!: 얼음 위성와 트리톤 (위성) · 더보기 »

조석력

목성의 조석력에 의해 찢어져 여러 조각으로 박살난 슈메이커-레비 혜성. 조석력(潮汐力, tidal force) 혹은 기조력(起潮力)은 중력의 2차적인 효과 중 하나이.

새로운!!: 얼음 위성와 조석력 · 더보기 »

카론 (위성)

(Charon) 혹은 134340 명왕성 I(소행성명 134340 Pluto I)는 왜소행성 명왕성의 발견된 위성 중에서 가장 큰 위성으로 1978년에 워싱턴 DC에 위치한 미군 해군 천문대에서 발견되었.

새로운!!: 얼음 위성와 카론 (위성) · 더보기 »

칼리스토 (위성)

리스토() 또는 목성 IV는 목성의 위성으로, 1610년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발. 칼리스토는 태양계에서 세 번째로 큰 위성이고, 목성의 위성 중에서는 가니메데 다음으로 크며, 행성 분화율은 태양계에서 제일 낮. 칼리스토의 지름은 4,821 km이며 수성의 99%에 달하는 크기를 가졌지만 질량은 3분의 1밖에 되지 않. 궤도 반경은 1,880,000 km이고 갈릴레이 위성 중에서는 목성으로부터 제일 멀리 있. 칼리스토는 내부 갈릴레이 위성들(이오, 유로파, 가니메데)과 궤도 공명을 일으키지 않고, 따라서 조석 가열의 정도가 약. 칼리스토는 목성에 조석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항상 같은 면만 목성을 바라보.

새로운!!: 얼음 위성와 칼리스토 (위성) · 더보기 »

유로파 (위성)

유로파()는 목성의 위성 중 하나로, 갈릴레이 위성에 속하는 위성이며, 에우로파() 또는 목성 II()라고도 불린.

새로운!!: 얼음 위성와 유로파 (위성) · 더보기 »

위성

양계 위성 자연위성(自然衛星) 또는 단순히 위성(衛星)은 행성 따위의 둘레를 도는 천체를 말. 사람이 만든 위성은 인공위성이.

새로운!!: 얼음 위성와 위성 · 더보기 »

타이탄 (위성)

이탄 타이탄을 발견한 사람인 크리스티안 하위헌스 타이탄 또는 티탄(Titan)은 토성의 위성이다. 토성의 위성 중에서 가장 큰 천체로, 태양계 내에서는 목성의 가니메데에 이어 두 번째로 크다. 토성 VI라고 부르기도 한다. 짙은 대기를 가진 유일한 위성이며, 지구처럼 표면에 안정된 상태로 존재하는 액체가 확인된 최초의 천체이다. 대기 구성이 원시지구와 유사하여 다양한 관심을 받고 있다. 타이탄은 토성에서 20번째로 먼 위성이자 구형 외관을 지니는 일정 질량 이상 되는 위성들 중에서는 여섯 번째로 떨어져 있기도 하다. 행성과 비슷한 특징을 지닌 위성으로 자주 기술되는 것처럼 타이탄은 반지름이 달의 약 1.5배이고 질량은 1.8배나 된다. 목성의 가니메데에 이어 태양계에서 두 번째로 큰 위성이며, 크기만으로 따진다면 수성보다 더 크다. (그러나 질량은 수성의 반 정도이.) 천문학자 크리스티안 하위헌스가 1655년 3월 25일 최초로 발견했다. 당시 타이탄은 토성의 위성들 중 첫 번째로 존재가 증명된 존재였다. 태양계의 위성 중 갈릴레이 위성 다음으로 발견된 첫 천체다. 명칭은 그리스 신화의 타이탄 신족에서 이름을 따왔다. 타이탄 신족은 가이아와 우라노스 사이의 12남매를 지칭한다. 타이탄의 표면은 주로 얼음과 암석으로 이루어져 있다. 타이탄은 짙은 대기로 둘려싸여 있기 때문에, 2004년, 카시니-하위헌스 호가 도착하기 전까지 인류는 타이탄의 표면에 대하여 거의 알지 못했다. 카시니-하위헌스 호의 탐사로부터 탄화 수소로 채워진 호수들이 타이탄의 극지에 존재함을 확인하게 되었다. 표면은 지질학적으로 젊었으며, 산과 얼음 화산으로 보여지는 지형들이 몇몇 관찰되었다. 타이탄의 표면은 전체적으로 평평했으며, 충돌구는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 타이탄의 대기는 대부분 질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소량의 메테인과 에테인이 섞여 있다. 타이탄 표면에는 바람과 비 등의 기상 현상이 발생하며, 지구 해변과 비슷한 물결 모양의 지형도 형성되어 있다. 표면 및 지하에 있는 액체 물질 및 질소로 충만한 대기 때문에 타이탄은 온도가 훨씬 더 낮다는 점만 제외하면 마치 원시 지구의 모습과 유사해 보였다. 이 때문에 타이탄은 예전부터 미생물 혹은 적어도 복잡한 유기 화합물 형태의 생명체가 태동할 환경이 형성되어 있을 것으로 믿어져 왔다. 과학자들은 타이탄의 지하에 있는 액체 바다가 생명체가 생겨날 환경을 제공할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해 왔다.

새로운!!: 얼음 위성와 타이탄 (위성) · 더보기 »

얼음

름이 엉긴 나뭇가지. 얼어붙은 폭포 아이슬란드 해변에 밀려온 얼음덩어리 얼음은 물이 얼어 고체가 된 상태를 말. 수빙(水氷)이라고도 하며, 또 눈에서 생긴 얼음은 설빙(雪氷)이.

새로운!!: 얼음 위성와 얼음 · 더보기 »

에리스 (왜행성)

스노미아의 상상도 에리스(임시 명칭 2003 UB313)는 산란 분포대에서 발견된 왜행성으로 캘리포니아 주 팔로마 천문대의 천문학자 마이클 E. 브라운이 발견하였.

새로운!!: 얼음 위성와 에리스 (왜행성) · 더보기 »

엔셀라두스

엔셀라두스() 혹은 토성 II는 토성의 위성 중 6번째 로 큰 위성으로 1789년 윌리엄 허셜이 발견하였.

새로운!!: 얼음 위성와 엔셀라두스 · 더보기 »

토성

성(土星,라틴어: Saturnus)은 태양으로부터 여섯 번째에 있는 태양계의 행성으로, 진성(鎭星)으로도 불. 토성은 태양계 내의 행성 중 목성에 이어 두 번째로 크며, 지름은 약 12만 킬로미터로, 지구의 9.1배이며 부피는 760배에.

새로운!!: 얼음 위성와 토성 · 더보기 »

움브리엘 (위성)

움브리엘 움브리엘(Umbriel)은 천왕성의 5대 위성 중 하나로 1851년 윌리엄 러셀이 발견하였.

새로운!!: 얼음 위성와 움브리엘 (위성) · 더보기 »

외계생명

은하계의 모습. 외계생명(外界生命, extraterrestrial life)은 지구가 아닌 공간에 사는 생명(生命)을 지닌 존재를 가리.

새로운!!: 얼음 위성와 외계생명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