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용골자리 에타

색인 용골자리 에타

용골자리 에타(η Carinae, η Car)는 용골자리에 있는 매우 밝은 극대거성이.

62 처지: 목성질량, 무정형성운, 감마선, 밝은 청색변광성, 가시광선, 베헤모스, 볼프–레이에별, 복사압, 광년, 극대거성, 극초신성, 대기, 스펙트럼, 용골자리, 용골자리 성운, 우리은하, 우주비행사, 우주선, 우주선 (물리), 자기장, 장축단, 인공위성, 적경, 적위, 중력, 질량, 찬드라 엑스선 관측선, 천체물리학, 초대형 망원경, 초신성, 켈빈, 쌍성, 태양, 태양질량, 호문쿨루스 성운, 에드먼드 핼리, 에딩턴 한계, 허블 우주망원경, 엑스선, 산개성단, 살쾡이자리, 피스톨별, 항성계, 항성진화, 시리우스, 활모양충격파, LBV 1806-20, NGC 1260, SN 2006gy, 10월 20일, ..., 1677년, 1730년, 1782년, 1820년, 1827년, 1841년, 1843년, 1998년, 1999년, 2003년, 2004년, 2007년.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2 더) »

목성질량

목성질량은 태양계의 행성인 목성 1개의 질량을 나타낸 값이.

새로운!!: 용골자리 에타와 목성질량 · 더보기 »

무정형성운

오리온 대성운은 대표적인 무정형성운이다. 무정형성운(無定形星雲, diffuse nebula) 은 천문학에서 빛을 반사하는 성운들을 통틀어서 부르는 일반적인 용어이.

새로운!!: 용골자리 에타와 무정형성운 · 더보기 »

감마선

마선(γ선)은 전자기 복사의 강력한 형태로, 방사능 및 전자-양전자 소멸과 같은 핵과정 등에 의해 생성.

새로운!!: 용골자리 에타와 감마선 · 더보기 »

밝은 청색변광성

LBV의 대표적 예인 용골자리 AG. 허블 우주 망원경 촬영. 태양의 150배에 육박한다. 밝은 청색변광성(LBV, Luminous blue variables)은 밝기와 스펙트럼의 변화가 변덕스럽고 그 폭이 크며, 질량이 크고 항성 진화 단계의 후반부를 지나고 있는 항성이.

새로운!!: 용골자리 에타와 밝은 청색변광성 · 더보기 »

가시광선

시광선(可視光線)은 사람의 눈에 보이는 전자기파의 영역이.

새로운!!: 용골자리 에타와 가시광선 · 더보기 »

베헤모스

베헤모스, 윌리엄 블레이크. 베헤모스는 구약성서에 등장하는 거대한 수륙양서 괴수의 이름이.

새로운!!: 용골자리 에타와 베헤모스 · 더보기 »

볼프–레이에별

볼프-레이에별 WR 124와 그 주위의 M1-67 성운을 촬영한 허블우주망원경 사진. 볼프-레이에별(약칭 WR)은 주계열성이었을 때 질량이 약 20 이상인 별들이 나이를 먹고 진화한 별으로, 초속 2천 킬로미터 이상의 강력한 항성풍을 통해 질량을 상실하고 있는 별이.

새로운!!: 용골자리 에타와 볼프–레이에별 · 더보기 »

복사압

복사압(輻射壓)은 전자기파에 노출된 물체의 표면에 가해지는 압력을 뜻. 만약 전자기파가 물체에 모두 흡수될 경우, 복사압은 복사 에너지 플럭스의 밀도를 빛의 속도로 나눈 값이.

새로운!!: 용골자리 에타와 복사압 · 더보기 »

광년

광년(光年, light-year)은 천문학에서 사용하는 거리의 단위이.

새로운!!: 용골자리 에타와 광년 · 더보기 »

극대거성

청색극대거성, 황색극대거성, 적색초거성, 적색극대거성의 비교. 적색극대거성은 우리 태양계 바깥에 놓여져 있다. 파란색 고리는 해왕성의 궤도를 의미한다. 극대거성(極大巨星)은 매우 큰 질량손실률을 보이는 아주 밝은 별이.

새로운!!: 용골자리 에타와 극대거성 · 더보기 »

극초신성

NASA의 예술가가 그린 SN 2006gy의 모습. SN 2006gy는 여태껏 관측된 극초신성 중 가장 밝은 것 중 하나이다. 극초신성()은 일반적인 초신성보다 훨씬 많은 에너지를 방출하는 별의 폭발로 우주에서 가장 격렬한 현상 중 하나이.

새로운!!: 용골자리 에타와 극초신성 · 더보기 »

대기

의 모습, 아래에 구름이 보인다 화성의 옅은 대기 대기(大氣, Atmosphere)는 천체의 주위를 대체로 일정하게 둘러싸고 있는 기체층을 말. 별다른 조건없이 '대기'라고 표현할 때에는 일반적으로 지구 대기권을 가리키는 말로 쓰인.

새로운!!: 용골자리 에타와 대기 · 더보기 »

스펙트럼

무지개에서 발생하는 스펙트럼 현상. 스펙트럼(spectrum)은 흔히 빛을 프리즘 등의 도구로 색깔에 따라 분해해서 살펴보는 것을 일컫.

새로운!!: 용골자리 에타와 스펙트럼 · 더보기 »

용골자리

용골자리(龍骨-, Carina)는 천구의 남쪽에 있는 별자리이.

새로운!!: 용골자리 에타와 용골자리 · 더보기 »

용골자리 성운

용골자리 성운(Carina Nebula), 또는 NGC 3372로 불리는 이 성운은 용골자리에 있는 발광 성운이.

새로운!!: 용골자리 에타와 용골자리 성운 · 더보기 »

우리은하

우리 은하의 중심 모습. 우리은하(―銀河) 는 태양계가 속해 있는 은하이.

새로운!!: 용골자리 에타와 우리은하 · 더보기 »

우주비행사

챌린저 우주왕복선 바깥에서 선외 활동 중인 브루스 맥캔들리스 2세 우주비행사(宇宙飛行士, 영어: astronaut/cosmonaut, 러시아어: космона́вт)는 우주 비행을 하는 사람을 말. 우주 비행을 정의하는 기준은 크게 두 가지가 있는데, 미국의 경우 50 마일 (80 km) 이상의 고도를 비행했을 때 우주 비행으로 인정하는 한편, 국제항공연맹(FAI)은 100 km를 기준으.

새로운!!: 용골자리 에타와 우주비행사 · 더보기 »

우주선

국제 우주정거장에서 바라본 디스커버리 우주왕복선 우주선(宇宙船)은 우주를 다니도록 만들어진 탈것 또는 장치이.

새로운!!: 용골자리 에타와 우주선 · 더보기 »

우주선 (물리)

우주방사선 에너지 스펙트럼 우주방사선 (宇宙線, cosmic rays)이란 우주에서 지구로 쏟아지는 높은 에너지를 지닌 각종 입자와 방사선 등을 총칭.

새로운!!: 용골자리 에타와 우주선 (물리) · 더보기 »

자기장

자기장(磁氣場, magnetic field)이란 자기력을 매개하는 벡터장이.

새로운!!: 용골자리 에타와 자기장 · 더보기 »

장축단

점 케플러 궤도 요소: ''F''점은 근점이다. ''H''점은 원점이다. 빨간 선은 장축단의 선이다. 천문학에서 장축단(長軸端, apsis)은 타원 궤도에서 초점에서의 거리가 가장 먼 원점(遠點, apoapsis)과 가장 가까운 근점(近點, periapsis)을 함께 부르는 말이.

새로운!!: 용골자리 에타와 장축단 · 더보기 »

인공위성

중궤도 GPS 위성의 궤도를 보여주는 애니메이션. 지구 관측 위성 ERS 2의 실제 크기 모델 인공위성(人工衛星)은 로켓을 사용하여 대기권 밖으로 쏘아 올려진 주로 지구 둘레의 원 또는 타원 궤도를 위성처럼 비행하는 인공의 물체이.

새로운!!: 용골자리 에타와 인공위성 · 더보기 »

적경

적경(赤經)은 천문학 용어로, 적도 좌표계에서 천구상의 한 점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는 두 개의 좌표 중의 하나이.

새로운!!: 용골자리 에타와 적경 · 더보기 »

적위

적도 좌표계. 파란색은 적경을 나타내고, 녹색이 적위를 나타낸다. 적위(赤緯)는 천문학 용어의 하나로, 적도 좌표계에서 천구상의 한 점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는 두 개의 좌표 중의 하나이.

새로운!!: 용골자리 에타와 적위 · 더보기 »

중력

중력(重力)은 질량을 가진 두 물체 사이에 작용하는 힘이.

새로운!!: 용골자리 에타와 중력 · 더보기 »

질량

픽으로 재현한 질량의 단위를 나타내는 킬로그램 국제 원기. 질량(質量, mass)은 물리학에서 물질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양을 일컫는 말이.

새로운!!: 용골자리 에타와 질량 · 더보기 »

찬드라 엑스선 관측선

엑스선 관측선은 1999년 7월 23일 미국 항공우주국이 STS-93으로 쏘아 올린 인공위성이.

새로운!!: 용골자리 에타와 찬드라 엑스선 관측선 · 더보기 »

천체물리학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용골자리 에타와 천체물리학 · 더보기 »

초대형 망원경

형 망원경(extremely large telescope, ELT)은 자외선, 가시성 근적외선 파장을 포함하는 광 파장의 반사망원경을 논할 때 20미터에서 최대 100미터에 이르는 주경을 위한 조리개가 있는 망원경 기능을 갖춘 천문대이.

새로운!!: 용골자리 에타와 초대형 망원경 · 더보기 »

초신성

잔해 초신성(超新星, supernova)은 신성(nova)보다 에너지가 큰 항성 폭발을 의미.

새로운!!: 용골자리 에타와 초신성 · 더보기 »

켈빈

빈(kelvin)은 온도의 국제 단위이.

새로운!!: 용골자리 에타와 켈빈 · 더보기 »

쌍성

허블 우주망원경의 시리우스 사진. 시리우스 B(아래 왼쪽)를 구분할 수 있다. 뜨겁고 질량 큰 쌍성계의 진화 과정을 보여주는 동영상 쌍성(雙星) 또는 연성(連星)은 두 항성이 공통의 질량중심 주위로 공전하는 항성계이.

새로운!!: 용골자리 에타와 쌍성 · 더보기 »

태양

1992년에 촬영한 태양 모습. 태양 표면에 있는 흑점이 보인다. 태양(太陽)은 태양계 중심에 있으며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항성(또는 별)이.

새로운!!: 용골자리 에타와 태양 · 더보기 »

태양질량

1)은 가장 좌측에 있지만, 화면을 확대해도 제대로 보기가 힘들 정도로 작다.(참고:이 그림은 현 수치의 비와 맞지 않음.이 글이 현 수치이다.) 태양질량()은 천문학에서 항성이나 은하의 질량을 표시할 때 기본이 되는 단위이.

새로운!!: 용골자리 에타와 태양질량 · 더보기 »

호문쿨루스 성운

호문쿨루스 성운(Homunculus Nebula)은 극대거성인 용골자리 에타를 둘러싸고 있으며 더욱 큰 성운인 용골자리 성운 에 포함되어 있고 그중 전리수소영역(電離水素領域), 또는 H Ⅱ 영역이라 불리는 곳에 자리 잡고 있. 호문클루스라는 명칭은 라틴어의 작은 사람이라는 뜻에서 온 말이.

새로운!!: 용골자리 에타와 호문쿨루스 성운 · 더보기 »

에드먼드 핼리

에드먼드 핼리(Edmond Halley, Edmund라 적기도 함, 1656년 11월 8일 ~ 1742년 1월 14일)는 영국의 천문학자, 기상학자, 물리학자, 수학자이.

새로운!!: 용골자리 에타와 에드먼드 핼리 · 더보기 »

에딩턴 한계

에딩턴 한계()라고도 표현되는 에딩턴 광도()는 (항성 같은)물체가 외부로 작용하는 복사력과 안쪽으로 작용하는 중력이 평형을 이루는 상태에 있을 때 도달할 수 있는 최대 광도이.

새로운!!: 용골자리 에타와 에딩턴 한계 · 더보기 »

허블 우주망원경

블우주망원경(Hubble space telescope; HST)은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서 쏘아 올려 지구 대기권 밖에서 지구 궤도를 돌고 있는 천문 관측용 망원경이.

새로운!!: 용골자리 에타와 허블 우주망원경 · 더보기 »

엑스선

이 찍은 그의 부인 손의 엑스선 사진 (반지 포함) 엑스선(-線)는 파장이 10 ~ 0.01 나노미터이며, 주파수는 30 × 1015헤르츠에서 30 × 1018헤르츠 사이인 전자.

새로운!!: 용골자리 에타와 엑스선 · 더보기 »

산개성단

쌍둥이 성단 산개성단(散開星團, open cluster)은 같은 분자구름에서 태어났으며 나이가 거의 같은 수천개의 항성이 모인 집단이.

새로운!!: 용골자리 에타와 산개성단 · 더보기 »

살쾡이자리

살쾡이자리(Lynx)는 북반구에 있는 별자리로, 요하네스 헤벨리우스가 제안했다. 그는 스라소니의 눈을 가진 사람만이 볼 수 있다고 해서 '링크스(Lynx)'라는 이름을 붙였고, 이것이 번역되면서 '살쾡이자리'로 바뀌었다. 동아시아의 별자리에서는 별자리의 일부가 성수의 '헌원' 별자리의 일부에 해당된다.

새로운!!: 용골자리 에타와 살쾡이자리 · 더보기 »

피스톨별

스톨별(Pistol Star)은 우리 은하에서 가장 밝은 별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용골자리 에타와 피스톨별 · 더보기 »

항성계

항성계(star system, stellar system, 恒星系)는 서로의 중력에 묶여서 질량중심을 기준으로 공전을 하는 항성들을 일컫는 말이.

새로운!!: 용골자리 에타와 항성계 · 더보기 »

항성진화

양의 일생. 태양은 주계열 상태로 약 100억 년을 유지할 수 있다. 항성진화(恒星進化) 또는 별의 진화(stellar evolution)는 항성의 일생에 걸쳐 일어나는 변화과정을 일컫는 말이.

새로운!!: 용골자리 에타와 항성진화 · 더보기 »

시리우스

큰개자리. 화살표가 시리우스. 시리우스(Sirius)는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로, 천랑성(天狼星), 낭성(狼星), 큰개자리 알파라 부르.

새로운!!: 용골자리 에타와 시리우스 · 더보기 »

활모양충격파

2005년 기준 보이저 1호와 보이저 2호의 위치. 태양이 성간매질 내부를 움직이면서 이루는 활모양충격파가 나타나 있다. 충격파의 밀도는 과장되어 표시되었다. 활모양충격파(Bow Shock)는 태양풍이 행성간 공간에서 행성의 자기권이나 이온층과 부딪힐 때 발생하는 충격파의 일종으로, 초음속으로 비행하는 비행기의 앞부분에 생기는 충격파와 비슷한 원리로 발생.

새로운!!: 용골자리 에타와 활모양충격파 · 더보기 »

LBV 1806-20

LBV 1806-20은 '밝은 청색변광성'이자 극대거성이며 지구에서 은하 중심방향으로 30,000~49,000광년 떨어져 있.

새로운!!: 용골자리 에타와 LBV 1806-20 · 더보기 »

NGC 1260

NGC 1260은 페르세우스자리에 있는 은하이며, 초신성 2006gy가 발견된 은하이.

새로운!!: 용골자리 에타와 NGC 1260 · 더보기 »

SN 2006gy

SN 2006gy의 폭발의 상상도. SN 2006gy의 밝기 곡선과 Ia, II, SN 1987A의 밝기 곡선. SN 2006gy는 2006년 9월 18일 페르세우스자리에서 발견된 매우 강력한 거대 초신성이.

새로운!!: 용골자리 에타와 SN 2006gy · 더보기 »

10월 20일

10월 2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93번째(윤년일 경우 29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용골자리 에타와 10월 20일 · 더보기 »

1677년

1677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용골자리 에타와 1677년 · 더보기 »

1730년

1730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용골자리 에타와 1730년 · 더보기 »

1782년

1783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용골자리 에타와 1782년 · 더보기 »

1820년

1820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용골자리 에타와 1820년 · 더보기 »

1827년

1827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용골자리 에타와 1827년 · 더보기 »

1841년

1841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용골자리 에타와 1841년 · 더보기 »

1843년

1843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용골자리 에타와 1843년 · 더보기 »

1998년

1998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용골자리 에타와 1998년 · 더보기 »

1999년

1999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용골자리 에타와 1999년 · 더보기 »

2003년

2003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용골자리 에타와 2003년 · 더보기 »

2004년

2004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용골자리 에타와 2004년 · 더보기 »

2007년

2007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용골자리 에타와 2007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용골자리 η, 에타 카리나, 에타 카리네, 에타카리나.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