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 Play 스토어에서 Unionpedia 앱을 복원하기 위해 작업 중입니다
나가는들어오는
🌟더 나은 탐색을 위해 디자인을 단순화했습니다!
Instagram Facebook X LinkedIn

유한 집합

색인 유한 집합

수학에서, 유한 집합(有限集合)이란 집합의 원소의 개수가 한정되어 원소의 개수가 무한개가 아닌 집합을 의미.

목차

  1. 18 처지: 동치, 멱집합, 무한 집합, 격자 (순서론), 공집합, 부분집합, 단사 함수, 자연수, 전단사 함수, 전사 함수, 존 폰 노이만, 집합, 집합의 크기, 체르멜로-프렝켈 집합론, 수학, 사슬 조건, 선택 공리, 원소 (수학).

  2. 기수
  3. 집합론의 기본 개념

동치

수학과 논리학에서 동치(同値)란 두 문장이 논리적으로 같다는 것을 의미.

보다 유한 집합와 동치

멱집합

하세 도표로 표현한 \x, y, z\의 멱집합 원소들 집합론에서, 어떤 집합의 멱집합(冪集合)은 그 집합의 모든 부분 집합을 모은 집합이.

보다 유한 집합와 멱집합

무한 집합

수학에서, 무한 집합(無限集合)은 원소의 개수가 무한히 많은 집합으로, 원소의 개수가 유한한 유한 집합이 아닌 모든 집합이.

보다 유한 집합와 무한 집합

격자 (순서론)

순서론에서, 격자(格子)는 두 원소 부분집합의 상한(이음)과 하한(만남)이 항상 존재하는 부분 순서 집합이.

보다 유한 집합와 격자 (순서론)

공집합

공집합의 기호 수학에서, 공집합(空集合)은 원소가 하나도 없는 집합이.

보다 유한 집합와 공집합

부분집합

부분집합 관계를 표현한 벤 다이어그램. ''A''는 ''B''의 부분집합이다. 집합론에서 집합 B의 부분집합(部分集合) A는, 모든 원소가 B에도 속하는 집합이.

보다 유한 집합와 부분집합

단사 함수

사 함수의 예 단사 함수가 아닌 예 (이는 전사 함수이기는 하다). 수학에서, 단사 함수(單射函數) 또는 일대일 함수(一對一函數)는 정의역의 서로 다른 원소를 공역의 서로 다른 원소로 대응시키는 함수이.

보다 유한 집합와 단사 함수

자연수

수학에서, 자연수(自然數)는 수를 셀 때나 순서를 매길 때 사용되는 수이.

보다 유한 집합와 자연수

전단사 함수

전단사 함수의 예 수학에서, 전단사 함수(全單射函數,, bijective function)는 두 집합 사이를 중복 없이 모두 일대일로 대응시키는 함수이.

보다 유한 집합와 전단사 함수

전사 함수

전사 함수의 예 수학에서, 전사 함수(全射函數) 또는 위로의 함수()는 공역과 치역이 같은 함수이.

보다 유한 집합와 전사 함수

존 폰 노이만

존 폰 노이만(1903년 12월 28일 - 1957년 2월 8일)은 헝가리 출신 미국인 수학자이.

보다 유한 집합와 존 폰 노이만

집합

9개의 다각형의 집합을 나타낸 오일러 다이어그램 수학에서, 집합(集合)은 명확한 기준에 의하여 주어진 서로 다른 대상들이 모여 이루는 새로운 대상이.

보다 유한 집합와 집합

집합의 크기

집합론에서, 집합의 크기() 또는 농도(濃度)는 집합의 "원소 개수"에 대한 척도이.

보다 유한 집합와 집합의 크기

체르멜로-프렝켈 집합론

수학에서, 체르멜로-프렝켈 집합론(Zermelo-Fraenkel集合論,, 약자 ZF)은 공리적 집합론의 하나이.

보다 유한 집합와 체르멜로-프렝켈 집합론

수학

수학(數學)은 양, 구조, 공간, 변화 등의 개념을 다루는 학문이.

보다 유한 집합와 수학

사슬 조건

순서론에서, 오름 사슬 조건(-條件,, 약자 ACC)과 내림 사슬 조건(-條件,, 약자 DCC)은 부분 순서 집합이 만족시킬 수 있는 두 개의 유한성 조건이.

보다 유한 집합와 사슬 조건

선택 공리

선택 공리의 형상화. 선택 함수는 각 집합 S_i를 그 속의 원소 x_i\in S_i로 대응시킨다. 집합론에서, 선택 공리(選擇公理,, 약자 AC)는 공집합이 아닌 집합에서 한 원소를 고를 수 있으며, 또한 이를 무한 번 반복할 수 있다는 공리이.

보다 유한 집합와 선택 공리

원소 (수학)

수학에서, 원소(元素 element)는 집합을 이루는 개체들이.

보다 유한 집합와 원소 (수학)

참고하세요

기수

집합론의 기본 개념

또한 유한집합로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