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절댓값

색인 절댓값

수학에서, 절댓값(絶對-)은 실수가 실수선의 원점과, 복소수가 복소평면의 원점과 떨어진 거리를 나타내는 음이 아닌 실수이.

30 처지: 덧셈 역원, 멱등법칙, 미분, 거리 공간, 거듭제곱, 벡터 공간, 복소평면, 복소수, 대수적 수론, 노름 공간, 회전대칭, 편각 (수학), 이차 형식, 제곱근, 절댓값 (대수학), 정칙 함수, 정역, 체 (수학), 추상대수학, 켤레 복소수, 수학, 연속 함수, 삼각 부등식, 피타고라스의 정리, 선형대수학, 함수, 해석 함수, 실수, 원점, 홀함수와 짝함수.

덧셈 역원

수학에서, 어떤 수의 덧셈 역원(-逆元) 또는 반수(反數)는 그 수에 더했을 때 0이 되는 수이.

새로운!!: 절댓값와 덧셈 역원 · 더보기 »

멱등법칙

멱등법칙(冪等法則) 또는 멱등성(冪等性)은 수학이나 전산학에서 연산의 한 성질을 나타내는 것으로, 연산을 여러 번 적용하더라도 결과가 달라지지 않는 성질을 의미.

새로운!!: 절댓값와 멱등법칙 · 더보기 »

미분

함수의 그래프와 그 접선. 함수의 점에서의 미분은 그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와 같다. 수학에서, 미분(微分) 또는 도함수(導函數)는 어떤 함수의 정의역 속 각 점에서의 함숫값의 변화량과 독립 변숫값의 변화량의 비의 극한 혹은 극한들로 치역이 구성되는 새로운 함수이.

새로운!!: 절댓값와 미분 · 더보기 »

거리 공간

수학에서, 거리 공간(距離空間)은 두 점 사이의 거리가 정의된 공간이.

새로운!!: 절댓값와 거리 공간 · 더보기 »

거듭제곱

위에서 아래로: ''x''1/8, ''x''1/4, ''x''1/2, ''x''1, ''x''2, ''x''4, ''x''8. 수학에서, 거듭제곱()은 주어진 수를 주어진 횟수만큼 곱하는 연산이.

새로운!!: 절댓값와 거듭제곱 · 더보기 »

벡터 공간

선형대수학에서, 벡터 공간(vector空間)은 원소를 서로 더하거나, 주어진 배수로 늘이거나 줄일 수 있는 공간이.

새로운!!: 절댓값와 벡터 공간 · 더보기 »

복소평면

복소평면에 나타낸 복소수 ''z''와 켤레복소수의 기하학적 표현. 원점에서 점 ''z''를 따라 그어진 파란색 선의 거리는 복소수 ''z''의 절댓값을 나타내고 각 ¢은 z의 argument를 나타낸다. 수학에서, 복소평면(複素平面)은 복소수를 기하학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개발된 좌표평면으로 서로 직교하는 실수축과 허수축으로 이루어져 있. 이것은 복소수의 실수부가 실수축에, 허수부가 허수축에 대응된 형태의 데카르트 좌표로 볼 수 있. 복소평면의 개념은 복소수의 기하학적 해석을 가능.

새로운!!: 절댓값와 복소평면 · 더보기 »

복소수

수학에서, 복소수(複素數)는 a+bi (a,b는 실수) 꼴의 수이.

새로운!!: 절댓값와 복소수 · 더보기 »

대수적 수론

수적 (정)수론(代數的(整)數論)은 수론의 한 분야로, 대수적 수(유리 계수 다항식의 근)의 성질을.

새로운!!: 절댓값와 대수적 수론 · 더보기 »

노름 공간

선형대수학 및 함수해석학에서, 노름 공간(norm空間)은 원소들에 일종의 ‘길이’ 또는 ‘크기’가 부여된 벡터 공간이.

새로운!!: 절댓값와 노름 공간 · 더보기 »

회전대칭

맨 섬의 기에 있는 트리스켈리온 회전대칭(回轉對稱)은 어떤 도형을 한 점 또는 축에 대해 일정 각도 회전시켰을 때 겹쳐지는 것을 말. 이때 최초로 겹쳐지는 각도가 360°/n이면 이 도형의 차수를 n이.

새로운!!: 절댓값와 회전대칭 · 더보기 »

편각 (수학)

위 복소수 ''z''.

새로운!!: 절댓값와 편각 (수학) · 더보기 »

이차 형식

수론과 선형대수학에서, 이차 형식(二次形式)은 다변수 2차 동차다항식이.

새로운!!: 절댓값와 이차 형식 · 더보기 »

제곱근

수학에서, 어떤 수의 제곱근(제곱根)은 제곱하여 그 수가 되는 수를 가리.

새로운!!: 절댓값와 제곱근 · 더보기 »

절댓값 (대수학)

수학 및 대수적 수론에서, 절댓값(絶對값)은 정역의 원소의 크기를 측정하는 실수 함수이.

새로운!!: 절댓값와 절댓값 (대수학) · 더보기 »

정칙 함수

복소해석학에서, 정칙 함수(正則函數)는 복소 함수에 대한, 미분 가능 함수와 해석 함수에 동시에 대응하는 개념이.

새로운!!: 절댓값와 정칙 함수 · 더보기 »

정역

환대수학에서, 정역(整域)은 영인자가 존재하지 않는, 자명환이 아닌 가환환이.

새로운!!: 절댓값와 정역 · 더보기 »

체 (수학)

상대수학에서, 체(體)는 사칙연산이 자유로이 시행될 수 있고, 산술의 잘 알려진 규칙들을 만족하는 대수 구조이.

새로운!!: 절댓값와 체 (수학) · 더보기 »

추상대수학

상대수학(抽象代數學)은 대수 구조를 다루는 여러 수학적 대상을 연구하는 분야이.

새로운!!: 절댓값와 추상대수학 · 더보기 »

켤레 복소수

''z'' 수학에서, 켤레 복소수(-複素數) 또는 공액 복소수(共軶複素數) 또는 복소 켤레 또는 공액 켤레는 복소수의 허수부에 덧셈 역원을 취하여 얻는 복소수이.

새로운!!: 절댓값와 켤레 복소수 · 더보기 »

수학

수학(數學)은 양, 구조, 공간, 변화 등의 개념을 다루는 학문이.

새로운!!: 절댓값와 수학 · 더보기 »

연속 함수

위상수학과 해석학에서, 연속 함수(連續函數)는 정의역의 점의 "작은 변화"에 대하여, 치역의 값 역시 작게 변화하는 함수이.

새로운!!: 절댓값와 연속 함수 · 더보기 »

삼각 부등식

삼각 부등식(三角不等式)은 삼각형의 세 변에 대한 부등식으로, 임의의 삼각형의 두 변의 길이의 합은 나머지 한 변의 길이보다 크다는 것이.

새로운!!: 절댓값와 삼각 부등식 · 더보기 »

피타고라스의 정리

'''피타고라스의 정리:''' 두 직각변에 얹힌 두 정사각형의 넓이의 합은 빗변에 얹힌 정사각형의 넓이와 같다. 기하학에서, 피타고라스의 정리()는 유클리드 기하학의 직각 삼각형의 세 변 사이에 성립하는 관계이.

새로운!!: 절댓값와 피타고라스의 정리 · 더보기 »

선형대수학

3차원 유클리드 공간 R³은 벡터 공간이고, 원점을 지나가는 직선과 평면들은 R³의 부분공간이다. 선형대수학(線型代數學)은 벡터 공간, 벡터, 선형 변환, 행렬, 연립 선형 방정식 등을 연구하는 대수학의 한 분야이.

새로운!!: 절댓값와 선형대수학 · 더보기 »

함수

수를 상자에 비유한 그림. 수학에서, 함수(函數) 또는 사상(寫像)은 첫 번째 집합의 임의의 한 원소를 두 번째 집합의 오직 한 원소에 대응시키는 대응 관계이.

새로운!!: 절댓값와 함수 · 더보기 »

해석 함수

수학에서 해석 함수(解析函數)란 국소적으로(locally) 수렴하는 멱급수로 나타낼 수 있는 함수를 말. 함수 f 가 한 점 x_0 에서 해석적이라는 것은 그 점 근방에서의 테일러 급수가 수렴하는 것과 같은 의미이고, 정의역 D 의 모든 점에서 해석적인 함수를 해석함수.

새로운!!: 절댓값와 해석 함수 · 더보기 »

실수

실수을 수직선으로 나타낸 것 수학에서, 실수(實數)는 주로 실직선 위의 점 또는 십진법 전개로 표현되는 수 체계이.

새로운!!: 절댓값와 실수 · 더보기 »

원점

직교 좌표계의 원점. 원점(原點)은 좌표계에서 좌표축이 교차하는 점을 말.

새로운!!: 절댓값와 원점 · 더보기 »

홀함수와 짝함수

사인 함수와 그 테일러 다항식들은 모두 홀함수이다. 그림은 사인 함수와 그 1, 3, 5, 7, 9, 11, 13차 테일러 다항식의 그래프. 코사인 함수와 그 테일러 다항식들은 모두 짝함수이다. 그림은 코사인 함수와 그 4차 테일러 다항식의 그래프. 수학에서, 홀함수() 또는 기함수(奇函數)는 서로 덧셈 역원의 상이 서로 덧셈 역원인 실수 함수이.

새로운!!: 절댓값와 홀함수와 짝함수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절대값.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