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중국 철학

색인 중국 철학

중국 철학(中國哲學Chinese philosophies) 또는 중국의 사상(中國의 思想Chinese thoughts)은 중국에서 전개된 철학 또는 사상을 가리.

192 처지: 도덕, 도덕경, 도가, 도참, 도연명, 도안 (동진), 동중서, 동진, 맹자, 만주족, 명가 (제자백가), 명교, 명나라, 무위, 묘법연화경, 묵가, 묵자, 미신, 백가, 밀교 (불교), 격의불교, 경서, 법가, 법장 (당나라), 법상종, 법안종, 고증학, 고염무, 보리달마, 곽상, 공 (성씨), 공자, 병가, 봉건제, 북량, 북조, 북종, 북위 (북조), 북송, 불교, 불교의 사상, 분서갱유, 금강정경,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김명국 (조선), 대일경, 대진 (청나라), 남북조 시대, 남조, 남종, ..., 남송, 농가, 노자, 논어, 당 헌종, 당나라, 요흥, 잡가 (제자백가), 장자, 장자 (책), 장재, 장안, 재이, 임제종, 이상, 이학, 인도주의, 인생관, 음양가, 제 (남조), 제도, 제자백가, 전한, 전한 무제, 정이 (학자), 정호, 정토교, 정토삼부경, 조동종, 조선, 종교, 종횡가, 주돈이, 주나라, 주희, 죽림칠현, 중론, 중국의 불교, 진 (남조), 진 시황제, 진언종, 지론종, 지의, 철학, 청나라, 천지, 천태종, 춘추, 춘추 전국 시대, 축법호, 쿠마라지바, 쿠처, 유가, 유가사지론, 유교, 유학, 육구연, 육조 시대, 윤리학, 율종, 파라마르타, 위 (삼국), 위진, 위진남북조 시대, 위앙종, 상수 (서진), 수나라, 오 (삼국), 오경박사, 오대, 오호 십육국 시대, 혜능, 혜원 (동진), 예기, 현장, 현학, 양 (남조), 양명학, 역경, 열반경, 열반종, 염약거, 사리, 삼론종, 삼국 시대 (중국), 석가모니, 선 (불교), 선무외, 섭론종, 섭대승론, 성리학, 성유식론, 성선설, 성실론, 성실종, 세계관, 서경 (책), 서진, 서양, 서역, 송 (남조), 송나라, 소옹, 소설가 (제자백가), 애제, 해심밀경, 한나라, 한유, 한서, 안원, 하안, 아비달마구사론, 학문, 신수, 실학, 십삼경, 시경, 원나라, 훈고학, 후진 (오호 십육국), 후한, 화엄경, 화엄종, 왕수인, 왕필, 373년, 404년, 405년, 409년, 411년, 412년, 421년, 468년, 520년, 537년, 563년, 594년, 654년, 659년, 699년, 716년, 819년.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42 더) »

도덕

덕(道德, 영어 "Morality"는 라틴어moralitas에서 유래했다.), 곧 "예의범절, 성품, 예의바른 행동"(manner, character, proper behavior")은 덕과 악덕을 분간하는 것을 배우는 과정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도덕 · 더보기 »

도덕경

《도덕경》()은 노자(老子)가 지은 것으로 알려진 도가의 대표적인 경전으로 《노자(老子)》로도 불린.

새로운!!: 중국 철학와 도덕경 · 더보기 »

도가

노자상 도가(道家) 또는 노장사상(老莊思想)은 중국사상(中國思想)의 여명기인 춘추전국시대 이래 유가(儒家)와 함께 중국 철학의 두 주류를 이루었던 학파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도가 · 더보기 »

도참

(圖讖) 또는 참위(讖緯)는 내용형식에 관계 없이 미래에 일어날 일에 대한 예언 혹은 징조를 통칭하는 낱말로, 특히 인간 생활의 길흉화복 또는 성쇠득실(盛衰得失)에 대한 예언 혹은 징조를 가리키는 낱말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도참 · 더보기 »

도연명

연명 도연명(陶淵明, 365년 ~ 427년)은 중국 동진 후기에서 남조 송대 초기까지 살았던 전원시인(田園詩人)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도연명 · 더보기 »

도안 (동진)

안(道安: 312-385) 또는 석도안(釋道安)은 초기 중국불교를 대표하는 동진(東晉: 317-420) 시대의 고승(高僧)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도안 (동진) · 더보기 »

동중서

동중서(董仲舒, 기원전 176년? ~ 기원전 104년)는 중국 전한 중기의 대표적 유학자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동중서 · 더보기 »

동진

동진(東晉, 317년 ~ 420년)은 중국의 서진(西晉) 왕조가 유연(劉淵)의 전조(前趙)에게 멸망한 후, 사마예(司馬睿)에 의해 강남(江南)에 세워진 진(晉)의 망명 왕조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동진 · 더보기 »

맹자

맹자(기원전 372년?~기원전 289년?)는 공자의 사상을 이어 발전시킨 유학자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맹자 · 더보기 »

만주족

건륭제의 만주족 시위 (1760) 중국 베이징의 자금성에 있는 건청문(乾淸門) 현판. 왼쪽에는 한자, 오른쪽에는 만주문자로 적혀 있다. 만주족(滿洲族) 또는 만족()은 만주(중국 동북부; 랴오닝 성, 지린 성, 헤이룽장 성), 연해주에서 발상한 퉁구스계 민족으로 중국 내 55개 소수민족 중 하나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만주족 · 더보기 »

명가 (제자백가)

명가(名家)는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제자백가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명가 (제자백가) · 더보기 »

명교

주시에 소재한 초암. 명교(明敎)는 중국에 전래된 마니교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명교 · 더보기 »

명나라

명나라(明朝, 1368년 ~ 1644년)는 중국 역대 왕조 중 하나로 주원장(朱元璋)이 원나라를 몰아내고 세운 한족 왕조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명나라 · 더보기 »

무위

무위(無爲)는 도교에서 가장 중요시되는 행동 원리로 일체의 부자연스러운 행위, 인위적 행위가 없음을 뜻. 분류:도교 분류:도교 사상.

새로운!!: 중국 철학와 무위 · 더보기 »

묘법연화경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소장 《묘법연화경》 2권 변상도(1340년 고려(高麗)에서 간행)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또는 《법화경》(法華經)은 대승경전의 하나로, 예로부터 모든 경전의 왕으로 생각되었으며, 초기 대승경전(大乘經典)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경전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묘법연화경 · 더보기 »

묵가

묵가(墨家)는 춘추전국시대에 존재하였던 제자백가의 한 학파로, 묵자(墨子, 기원전 470~391?)를 시조로 하며, 전국시대에 활약하다가, 진시황의 통일 이후 홀연히 사라졌.

새로운!!: 중국 철학와 묵가 · 더보기 »

묵자

묵자(기원전 470?~391?)는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송 허난 성에서 탄생한 사상가이자 철학자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묵자 · 더보기 »

미신

미신(迷信)이란 종교적·과학적 관점에서 헛된 것으로 여겨지는 믿음이나 신앙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미신 · 더보기 »

백가

백가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중국 철학와 백가 · 더보기 »

밀교 (불교)

밀교(密敎)는 비밀의 가르침이란 뜻으로 문자 언어로 표현된 현교(顯敎)를 초월한 최고심원(最高深遠)한 가르침을 말.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분파 > 밀교,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일본에서는 진언종의 구카이(空海)가 불교를 현밀이교(顯密二敎)로 판별하여 금강승, 즉 밀교의 우위를 주장.

새로운!!: 중국 철학와 밀교 (불교) · 더보기 »

격의불교

격의불교(格義佛敎) 또는 격의(格義)는 불교의 중국 전래 초기인 위진시대(魏晋時代: 220-420)에 나타났던 불교 교리 이해 방법 또는 불교 연구 방법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격의불교 · 더보기 »

경서

경서는 다음 뜻으로 쓰인.

새로운!!: 중국 철학와 경서 · 더보기 »

법가

법가(法家)는 중국의 역사에서 춘추전국시대(770~221 BC)의 제자백가 가운데에서도 주요 유파 넷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법가 · 더보기 »

법장 (당나라)

법장(法藏: 643~712)은 중국 당나라 시대의 승려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법장 (당나라) · 더보기 »

법상종

법상종(法相宗Dharma character schoolFa-Hsiang)이란 제법(諸法)의 성상(性相)을 분별하는 종(宗)이란 뜻으로 오위백법(五位百法)을 세워 아뢰야식(阿賴耶識)을 근본으로 하기 때문에 유식종(唯識宗)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법상종 · 더보기 »

법안종

법안종은 선종오가의 한 종파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법안종 · 더보기 »

고증학

증학(考證學)은 중국 명말 청초에 문헌학, 언어학을 중심으로 객관적·실증적 태도를 견지하며 발전한 유학의 한 분파를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고증학 · 더보기 »

고염무

염무 고염무(顧炎武, 1613년 ~ 1682년)는 중국 명말(明末)청초의 사상가·학자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고염무 · 더보기 »

보리달마

명국의 달마도 보리달마(생몰년 미상)는 인도 파사국 황실 남부 지방의 천축향지국 팔라바 왕가의 왕자로 출생하였으나, 왕족의 허울을 벗어던져버리고 북위 제국의 평범하기 짝없는 불제자로 귀화한 중국 북위의 불교 승려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보리달마 · 더보기 »

곽상

곽상은 다음 사람을 가리.

새로운!!: 중국 철학와 곽상 · 더보기 »

공 (성씨)

공(孔, 公)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공 (성씨) · 더보기 »

공자

공자() 또는 공부자(기원전 551년 ~ 기원전 479년)는 유교의 시조(始祖)인 고대 중국 춘추시대의 정치가사상가교육자이고동양사상 > 동양의 사상 > 인도의 사상 > 불교 > 원시유교 > 공자,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노나라의 문신이자 작가이면서, 시인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공자 · 더보기 »

병가

병가(兵家)는 제자백가의 하나로, 《손자(孫子)》에서 "싸우지 않고 타국의 병사를 압도하는 것이 최선이다"라고 가르친 손자에 의. 《손자》에는 적정(敵情)과 자기 나라의 정세의 파악, 지리적 조건이나 계절에 따라서 고려해야 할 점, 지휘관의 적격성, 전략과 군비, 부대의 편성법 등이 씌어져 있.

새로운!!: 중국 철학와 병가 · 더보기 »

봉건제

봉건제(封建制)는 정치·사회 체제의 한 형태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봉건제 · 더보기 »

북량

북량(北涼, 397년 ~ 439년)은 중국 오호십육국시대 간쑤성(甘肅省)에서 건국된 나라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북량 · 더보기 »

북조

북조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중국 철학와 북조 · 더보기 »

북종

북종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중국 철학와 북종 · 더보기 »

북위 (북조)

위진 남북조 왕조들의 계통도 479년 당시의 북위. 북위(北魏, 386년~534년)는 중국 오호 십육국 시대에 선비족 탁발부에 의해 화북에 건국되어 남북조 시대까지 이어진 왕조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북위 (북조) · 더보기 »

북송

북송(北宋, 960년 ~ 1127년)은 중국의 왕조 중 하나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북송 · 더보기 »

불교

불교 만자. 한반도에서도 사용된다. 불교(佛敎)는 기원전 6세기경 인도의 고타마 붓다(석가모니) 에 의해 시작된 종교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불교 · 더보기 »

불교의 사상

불교는 기원전 6세기경 인도에서 고타마 붓다에 의해 창시된 종교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불교의 사상 · 더보기 »

분서갱유

분서갱유(焚書坑儒: BC 213~206?) 또는 진화(秦火), 《네이버 지식사전》.

새로운!!: 중국 철학와 분서갱유 · 더보기 »

금강정경

강계 만다라(Vajradhatu Mandala)가 그려져 있는 티베트 불교의 탕카 《금강정경》(金剛頂經)은 밀교(密敎)의 경전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금강정경 · 더보기 »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世界大百科事典)은 2004년 도서출판 범한에서 출판한 백과사전으로, 다음(지금의 카카오)이 라이선스를 사들여 2008년 11월 한국어 위키백과에 기증.

새로운!!: 중국 철학와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 더보기 »

김명국 (조선)

《노엽달마도(蘆葉達摩圖)》 김명국(金明國, 1600년~1662 이후)은 조선 중기의 화가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김명국 (조선) · 더보기 »

대일경

태장계 만다라: 가운데에 여덟 개의 연꽃 잎이 있는 원이 있는데 이 원의 중심부에 대일여래가 있으며 각 연꽃 잎에도 한 명의 부처 또는 보살이 있다 《대일경(大日經)》은 불교의 밀교의 경전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대일경 · 더보기 »

대진 (청나라)

(戴震, 1724년~1777년)은 중국 청나라 중기의 학자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대진 (청나라) · 더보기 »

남북조 시대

위진 남북조 왕조들의 계통도 남북조 시대(南北朝時代: 420~589)는 한족이 세운 남조와 유목민족이 세운 북조가 대립하다, 수나라가 통일할 때까지의 시기를 말. 이 시기 강남에는 송(宋), 제(齊), 양(梁), 진(陳)의 4개 왕조가 차례로 흥망했는데, 이것을 가리켜 남조(南朝)라고 불. 또한 같은 건강(建康; 건업(建業)의 새 이름)을 수도로 삼았던 삼국시대의 오나라와 동진을 합쳐 육조(六朝)라고 불러 이 시대를 육조 시대라고 부르기도 하나, 이는 주로 문화사를 다룰 때 쓰이는 시대 구분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남북조 시대 · 더보기 »

남조

조는 다음의 여러가지가 있.

새로운!!: 중국 철학와 남조 · 더보기 »

남종

종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중국 철학와 남종 · 더보기 »

남송

송(南宋: 1127년-1279년)은 중국의 왕조 중 하나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남송 · 더보기 »

농가

농가(農家)는 중국의 춘추전국시대(기원전 770~221)의 제자백가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농가 · 더보기 »

노자

Renard, (2002), p.16 노자(老子)는 춘추시대 초나라의 철학자로 전해지고 있. 성은 이(李), 이름은 이(耳), 시호는 담(聃)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노자 · 더보기 »

논어

《논어》(論語)는 공자와 그 제자들의 대화를 기록한 책으로 사서의 하나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논어 · 더보기 »

당 헌종

당 헌종(唐 憲宗, 대력 13년(778년) 음력 2월 14일 ~ 820년)은 중국 당(唐)의 제11대 황제(재위 805년 ~ 820년)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당 헌종 · 더보기 »

당나라

당(唐, 618년 ~ 907년)은 수나라 멸망 뒤 건국된 중국의 정통왕조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당나라 · 더보기 »

요흥

조 문환황제 요흥(秦 高祖 文桓皇帝 姚興, 366년 ~ 416년, 재위:394년 ~ 416년)은 중국 오호 십육국 시대 후진의 제2대 황제로, 자는 자략(子略)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요흥 · 더보기 »

잡가 (제자백가)

잡가(雜家)는 춘추전국 시대의 제자백가의 하나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잡가 (제자백가) · 더보기 »

장자

장자 장자(莊子, 병음 Zhuāngzǐ, 기원전 369년?-기원전 286년)는 중국 전국 시대 송(宋)나라 몽(蒙; 현재의 안휘성 몽성 또는 하남성 상구 추정) 출신의 저명한 중국 철학자로 제자백가 중 도가(道家)의 대표적인 인물이며 노자(老子) 사상을 계승, 발전시.

새로운!!: 중국 철학와 장자 · 더보기 »

장자 (책)

《장자》는 도가 계열의 책으로 여러 사람의 글들을 편집한 것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장자 (책) · 더보기 »

장재

장재(張載: 1020년 ~ 1077년)는 중국 송나라 시대의 사상가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장재 · 더보기 »

장안

장안중심고루유적 장안의 위치 장안에서 발굴된 한나라 시기의 유물 주대부터 청대까지의 시안. 회색은 주의 풍경과 호경, 파란색은 진의 함양과 아방궁, 분홍색은 한대 장안, 빨간색은 당대 장안, 보라색은 송대 경조부, 노란색은 명대 이후의 시안이다. 장안()은 중국의 고도(古都)로 현재 산시 성(陝西省)의 성도(省都) 시안 시(西安市)에 해당.

새로운!!: 중국 철학와 장안 · 더보기 »

재이

재이(Jei, 본명: 김진희(金珍希); 1989년 9월 5일 ~)는 대한민국의 가수이자 배우로, 과거 피에스타의 일원이였.

새로운!!: 중국 철학와 재이 · 더보기 »

임제종

임제종(臨濟宗)은 9세기 중국 당나라의 임제의현(臨濟義玄) 스님에 의해 창시된 중국 불교 선종 5가(家)의 한 종파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임제종 · 더보기 »

이상

이상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중국 철학와 이상 · 더보기 »

이학

이학(理學)은 다음을 이르는 말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이학 · 더보기 »

인도주의

인도주의(人道主義)는 모든 인간이 평등한 인격과 존엄성을 지닌 동등한 인간이라는 입장에서, 인류에게 있어 바람직한 일(예컨대 행복·평화·우애 등)을 인종·민족·국적·체제·종교 여하를 초월하여 타인에게 실천하는 사고 방식 내지 운동을 말. 차별없는 우애를 실천하는 박애주의, 서로 돕는 운동, 자선운동, 사해동포(四海同胞)주의, 평화주의 등으로 나타나 있.

새로운!!: 중국 철학와 인도주의 · 더보기 »

인생관

인생관(人生觀)은 '인생이란 무엇이냐' '사람은 어떻게 살아야 하느냐' 등에 관한 사고나 자세를 뜻. 뚜렷이 의식한 형태이건 아니건 간에 사람은 누구나 인생에 관해서 어떤 생각이나 자세를 지닌다고 할 수 있. 그것은 그 사람의 과거 체험·경험·교양·사회적인 지위·성격 등으로 형성되며, 그 사람의 판단이나 행동을 좌우.

새로운!!: 중국 철학와 인생관 · 더보기 »

음양가

음양가(陰陽家)는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제자백가 중 한 파로, 음양이원(陰陽二元)과 5행(五行)을 조합하여 신비적인 종교철학을 주창한 학파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음양가 · 더보기 »

제 (남조)

위진 남북조 왕조들의 계통도 제(齊, 479년 ~ 502년)는 중국 남북조 시대 강남 지방에서 건국된 남조의 2번째 왕조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제 (남조) · 더보기 »

제도

제도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중국 철학와 제도 · 더보기 »

제자백가

제자백가(諸子百家) 또는 현상적 표현인 백가쟁명(百家爭鳴)는 춘추전국시대(기원전 770~221)의 여러 사상가와 그 학파들을 말. 주나라(周)가 동으로 천도한 후의 동주(東周: 기원전 771~256) 시대에서는 종주권이 쇠약해짐에 따라 제후들이 세력을 추구하면서 거리낌이 없어져서 약육강식이 잇달아 일어나자 중국 천하는 소란하게 되었.

새로운!!: 중국 철학와 제자백가 · 더보기 »

전한

전한(前漢: 기원전 206년~기원후 8년)은 고조 유방(劉邦)이 항우(項羽)와 대륙 쟁탈 뒤에 세운 왕조로서 진(秦)에 이어서 중국을 두 번째로 통일한 왕조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전한 · 더보기 »

전한 무제

세종 효무황제 유철(漢 世宗 孝武皇帝 劉徹, 기원전 156년 7월 30일 ~ 기원전 87년 3월 29일)은 전한의 제7대 황제(재위 기원전 141년 ~ 기원전 87년)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전한 무제 · 더보기 »

정이 (학자)

정이(程頤, 1033년~1107년)는 중국 송나라 도학의 대표적인 학자의 한 사람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정이 (학자) · 더보기 »

정호

정호(程顥, 1032년~1085년)는 중국 송나라 도학의 대표적인 학자의 한 사람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정호 · 더보기 »

정토교

정토교(淨土敎)는 정토종(淨土宗) 또는 정토문(淨土門)으로 불리.

새로운!!: 중국 철학와 정토교 · 더보기 »

정토삼부경

《정토삼부경(淨土三部經)》은 정토교의 근본 성전인 《대무량수경(大無量壽經)》 2권, 《관무량수경(觀無量t壽經)》 1권, 《아미타경(阿彌陀經)》 1권으로 된 3종의 대승경전(經典)의 총칭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정토삼부경 · 더보기 »

조동종

조동종(曹洞宗)은 중국의 조동종과 일본의 조동종이 있. 중국 불교에서 조동종은 임제종위앙종운문종법안종과 더불어 선종 5가의 하나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조동종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조선 · 더보기 »

종교

슬라브 신이교의 상징. 종교(宗敎)란 규정된 믿음을 공유하는 이들로 이루어진 신앙 공동체와 그들이 가진 신앙 체계나 문화적 체계(cultural system)를 말. 종교는 인간과 관련된 존재의 우주적 질서(a cosmic order of existence)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종교 · 더보기 »

종횡가

기원전 260년의 전국 칠웅 (중국어) 기원전 260년의 전국 칠웅 (영어) 종횡가(縱橫家)는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제자백가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종횡가 · 더보기 »

주돈이

주돈이(周敦頤: 1017년 ~ 1073년) 또는 주염계(周濂溪)는 중국 북송(960-1127)의 유교 사상가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주돈이 · 더보기 »

주나라

주(周, 기원전 1046년 ~ 기원전 256년)나라는 상나라를 이어 중국에 존재했던 나라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주나라 · 더보기 »

주희

주자 주희(朱熹, 1130년 ~ 1200년)는 중국 남송의 유학자로, 주자(朱子), 주부자(朱夫子), 주문공(朱文公) 송태사휘국문공(宋太師徽國文公)이라는 존칭이나 봉호로도 불린.

새로운!!: 중국 철학와 주희 · 더보기 »

죽림칠현

죽림칠현도 죽림칠현(竹林七賢)은 중국 위(魏)·진(晉) 왕조 시절 완적(阮籍), 혜강(嵆康), 산도(山濤), 상수(向秀), 유령(劉伶), 완함(阮咸), 왕융(王戎)을 가리.

새로운!!: 중국 철학와 죽림칠현 · 더보기 »

중론

《중론(中論)》()은 용수가 만든 449구의 간결한 게송인 《중송(中頌)》()—《중관론송(中觀論頌)》이라고도 한다—에 청목(靑目: 4세기 전반)이 주석을 단 인도 불교의 논서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중론 · 더보기 »

중국의 불교

중국의 불교(中國의 佛敎, Chinese Buddhism), 중국불교(中國佛敎) 또는 한전불교(漢傳佛敎)는 중국에서 전개된 불교를 가리.

새로운!!: 중국 철학와 중국의 불교 · 더보기 »

진 (남조)

위진 남북조 왕조들의 계통도 진(陳, 557년 ~ 589년)은 중국 남북조 시대 강남 지방에 건국된 남조 최후의 왕조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진 (남조) · 더보기 »

진 시황제

시황제(기원전 259년 1월 ~ 기원전 210년 음력 7월 22일)는 전국 칠웅 진나라의 제31대 왕이자, 중국 최초의 황제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진 시황제 · 더보기 »

진언종

언종(眞言宗)은 불교의 종파로, 신라의 승려인 혜통(惠通: fl. 7세기)을 종조로 하는 해동 진언종과 일본의 승려인 구카이(홍법 대사)에 의해서 9세기 초에 열린 일본의 진언종이 있.동양사상 > 한국의 사상 > 통일신라시대의 사상 > 통일신라시대의 불교사상 > 혜통,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종교·철학 > 한국의 종교 > 한국의 불교 > 한국불교의 역사 > 삼국시대의 불교 > 밀교의 전래,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동양사상 > 동양의 사상 > 일본의 사상 > 불교사상 > 진언종,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신라의 승려인 명랑(明朗: fl. 668)은 진언종의 별파인 해동 신인종(神印宗)의 종조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진언종 · 더보기 »

지론종

종(地論宗)은 고대 중국불교의 13종 가운데 하나로, 《화엄경》 · 《능가경》 · 《십지경론》 · 《금강선론》 등을 소의 경론으로 하는 종파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지론종 · 더보기 »

지의

사 지의(智顗: 538~597)는 수나라(581~618) 시대의 승려로, 천태종의 개조(開祖)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지의 · 더보기 »

철학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소크라테스가 독배를 마시는 모습 철학(哲學, 고대 그리스어: φιλοσοφία)은 존재, 지식, 가치, 이성, 인식 그리고 언어 등의 일반적이며 기본적인 대상의 실체를 연구하는 학문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철학 · 더보기 »

청나라

청국(大淸國)은 1618년에, 여진 열국을 돌보는의 현명한 한(英明汗)이었던 누르가치가 건국한 대금()을 근간으로, 아들 태종 숭덕제는 대금에서 대청()으로 국호를 바꾸어 중국 대륙을 대표적으로 지배하는 제국였.

새로운!!: 중국 철학와 청나라 · 더보기 »

천지

(天池)는 백두산 정상에 있는 화산호로, 쑹화 강(松花江)의 발원지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천지 · 더보기 »

천태종

종(天台宗TiantaiTendaiLotus School)은 《법화경》(法華經Lotus Sūtra)을 소의경전으로 하는 불교 종파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천태종 · 더보기 »

춘추

《춘추》(春秋)는 공자가 노나라 사관이 저작한 역사서에 자신의 글을 적어서 다시 편찬한 노나라의 역사서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춘추 · 더보기 »

춘추 전국 시대

전국 시대(春秋戰國時代, 기원전 770년 ~ 기원전 221년)는 춘추 시대와 전국 시대를 아울러 부르는 말로, 기원전 770년 주(周)왕조의 천도 후부터 기원전 221년 시황제(始皇帝)의 통일까지에 해당.

새로운!!: 중국 철학와 춘추 전국 시대 · 더보기 »

축법호

축법호(竺法護: fl. 266년 ~ 313년)는 서진 시대에 활약한 역경승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축법호 · 더보기 »

쿠마라지바

마라지바() 구마라습, 구마라십, 구마라집,: 344~413)은, 구자국(龜玆國: 현재의 신장 쿠차에 속함) 출신의 불교 사상가이다. 한자로 이름을 적을 때는 구마라시바(鳩摩羅時婆), 구마라기바(拘摩羅耆婆)라고 적기도 하며, 줄여서 나습(羅什), 습(什), 의역하여 동수(童壽)라고도 한다. 중국 후진(後秦) 시대의 장안(長安)에 와서 약 300권의 불교 경전을 한자로 번역한 것으로 유명하며, 그의 불경 번역은 불교 보급에 공헌했을 뿐 아니라 삼론종(三論宗)・성실종(成実宗)의 기초가 되었다. 최초의 삼장법사(三蔵法師)로 불리며, 훗날의 현장(玄奘) 등 많은 삼장이 등장하였다. 쿠마라지바는 현장과 함께 2대 대역성(大訳聖)으로 불리며, 또한 진제(真諦), 불공금강(不空金剛)와 함께 4대 역경가(訳経家)로 꼽기도 한다.

새로운!!: 중국 철학와 쿠마라지바 · 더보기 »

쿠처

(屈支,屈茨, 丘玆)는 고대 불교 왕국 구자국(龜玆國)의 현지명으로 비단길에 위치하며 타클라마칸 사막의 북쪽 가장자리 무자트 강의 남쪽에 위. 현재의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아커쑤 지구에 속하며 쿠처 현의 중심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쿠처 · 더보기 »

유가

름값, 2005-2007 (인플레이션 고려하지 않음). 장기 기름값, 1861-2006 (주황색 선은 인플레이션을 고려하여 보정한 것. 유가(油價)는 석유가 매매되는 가격을 말. 유가의 기준은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미국 오클라호마 주 쿠싱(Cushing)으로 팔려가는 WTI의 순간 가격으로 정하거나, 인터컨티넨탈 익스체인지(ICE, 여기에 국제 석유 거래소가 병합되었다)에서 영국 술롬보(Sullom Voe)로 팔려가는 브렌트유의 값으로 정. 석유의 배럴(약 159 리터)당 가격은 석유의 품질(비중과 API, 황의 함량 등)과 산지에 크게 의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유가 · 더보기 »

유가사지론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K.0570, T.1579)은 불교 전통에 따르면 미륵보살이 강설한 것을 무착이 기록하여 성립된 논서로, 유식유가행파의 근본 논서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유가사지론 · 더보기 »

유교

유교(儒敎)는 중국 춘추시대(기원전 770~403) 말기에 공자(孔子)가 체계화한 사상인 유학(儒學)의 학문을 이르는 말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유교 · 더보기 »

유학

유학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중국 철학와 유학 · 더보기 »

육구연

육구연 육구연(陸九淵, 1139년~1192년)은 중국 남송의 사상가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육구연 · 더보기 »

육조 시대

육조 시대(六朝時代, 229년 ~ 589년)는 중국 삼국 시대의 오나라, 동진 및 남조의 유송, 남제, 양나라와 진나라가 존속했던 기간을 모두 합한 시대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육조 시대 · 더보기 »

윤리학

윤리학(倫理學)은 도덕의 원리, 기원, 발달, 본질과 같은 인간의 올바른 행동과 선한 삶을 사회 전반에 걸쳐 근원적이고 총괄적으로 규명하는 철학의 주요 분야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윤리학 · 더보기 »

율종

율종(律宗)은 계율을 종(宗)으로 하는 종파이며 북제(北齊: 550~577)의 혜광(慧光)이 시작한 《사분율(四分律)》 연구 학파가 발전하여 한 종이 된 것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율종 · 더보기 »

파라마르타

마르타(499-569)는 인도의 승려로 구마라습(鳩摩羅什: 344-413)현장(玄奘: 602-664)불공(不空: 705-774)과 함께 중국 불교의 4대 역경사 중의 한 명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파라마르타 · 더보기 »

위 (삼국)

위(魏, 220년 ~ 265년)는 후한이 멸망한 후 삼국 중 하나로 삼국 중 가장 강대했던 나라였.

새로운!!: 중국 철학와 위 (삼국) · 더보기 »

위진

위진(衛臻, ? ~ ?)은 후한 말 ~ 삼국 시대 위나라의 정치가로 자는 공진(公振)이며 연주 진류군 양읍현(襄邑縣) 사람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위진 · 더보기 »

위진남북조 시대

위진 남북조 시대 왕조들의 계통도 유송 위진 남북조 시대(魏晉南北朝時代, 220년 ~ 589년)는 중국의 역사에서 위진 시대와 남북조 시대를 통틀어 일컫는 단어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위진남북조 시대 · 더보기 »

위앙종

위앙종은 당나라 때 만들어진 중국 선불교의 선종오가 중에 하나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위앙종 · 더보기 »

상수 (서진)

상수(向秀, ? ~ ?)는 중국 삼국 시대 위나라와 서진의 문인으로, 자는 자기(子期)이며, 하내군(河內郡) 회현(懷縣) 사람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상수 (서진) · 더보기 »

수나라

수나라와 그 외 국가 형세 수(隋, 581년 3월 4일 ~ 619년 5월 23일)는 중국 남북조 시대의 혼란을 진정시키고, 서진이 멸망한 후 분열되었던 중국을 약 300년 만에 재통일한 국. 그러나 제2대 황제인 양제 때 폭정으로 인해 약간의 혼란기를 거친 후 멸망하였고, 그 후 당나라가 중국을 재통일하였.

새로운!!: 중국 철학와 수나라 · 더보기 »

오 (삼국)

오(吳, 229년 ~ 280년) 또는 동오(東吳), 손오(孫吳)는 후한이 멸망한 후, 삼국 중의 하나로 친자 3대에 걸쳐 구축되었.

새로운!!: 중국 철학와 오 (삼국) · 더보기 »

오경박사

오경박사(五經博士)는 중국 한나라 때 《시(詩)》·《서(書)》·《주역(周易)》·《예기(禮記)》·《춘추(春秋)》의 오경(經)마다 박사관(博士官)을 두어 제자를 양성시켜서 유학의 보급 발달을 도모하는 제도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오경박사 · 더보기 »

오대

오대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중국 철학와 오대 · 더보기 »

오호 십육국 시대

오호 십육국 시대(五胡十六國時代: 304년 ~ 439년)는 삼국을 통일한 서진(西晉)이 멸망한 후, 5개의 비한족을 비롯한 16개의 국가가 회수(淮水) 북부에 여러 나라를 세우며 난립하던 시대를 말. 구체적으로는 전조(前趙: 304 ~ 329)가 건국된 304년부터 북위(北魏: 386 ~ 534)가 화북을 통일한 439년까지를 가리키는 것이 보통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오호 십육국 시대 · 더보기 »

혜능

혜능(慧能: 638~713)은 당나라(618~907) 시대의 선승이며 선종(禪宗)의 제6조이자 남종선(南宗禪)의 시조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혜능 · 더보기 »

혜원 (동진)

1921년에 간행된 《만소당죽장화전》(晩笑堂竹莊畫傳)에 실린 혜원의 초상. 혜원(慧遠, 334년 ~ 416년)은, 중국 동진(東晉)의 여산(廬山)에 주석했던 고승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혜원 (동진) · 더보기 »

예기

《예기》(禮記)는 중국 고대 고유가(儒家)의 경전인 오경(五經)의 하나로, 예법(禮法)의 이론과 실제를 풀이한 책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예기 · 더보기 »

현장

현장 현장(玄奘, 602년 4월 6일 ~ 664년 3월 7일)은 당나라 초기의 고승이자 번역가로 흔히 현장삼장(玄奘三藏)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현장 · 더보기 »

현학

현학(玄學)은 기원후 3세기에서 6세기에 성행한 중국철학의 한 학파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현학 · 더보기 »

양 (남조)

위진 남북조 왕조들의 계통도 양(梁, 502년 ~ 557년)은 중국 남북조 시대 강남에 건국된 남조의 3번째 왕조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양 (남조) · 더보기 »

양명학

왕수인 양명학(陽明學)은 중국 명나라의 철학자 왕수인(王守仁)의 호인 양명(陽明)에서 이름을 따서 붙인 유가 철학(儒家哲學)의 한 학파로 주관적 실천 철학에 속. 양명학이라는 명칭은 메이지 유신 이후에 퍼진 것으로, 그 이전에는 육왕학(陸王學) 또는 왕학(王學)이라 불. 육왕학(陸王學)은 육구연(陸九淵)의 학풍을 이어 왕수인이 대성한 유학(儒學)을 뜻하고, 왕학(王學)은 왕수인의 유학을 뜻. 심즉리(心卽理)치양지(致良知)지행합일(知行合一)은 양명학의 3강령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양명학 · 더보기 »

역경

《역경(易經)》은 유학(儒學)의 삼경 중 하나로, 세계의 변화에 관한 원리를 기술한 책이라 일컬어지고 있. 《주역(周易)》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역경 · 더보기 »

열반경

《열반경》(涅槃經)은 불교의 경전으로, 소승 불교의 열반경(소승열반경)과 대승 불교의 열반경(대승열반경) 두 가지가 있.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성전 > 열반경,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소승 불교의 열반경은 붓다의 열반 전후의 이야기를 기록한 《마하빠리닙바나 숫따》(Mahāparinibbāna Sutta, D16)이며, 대승 불교의 열반경은 《대반열반경》(大般涅槃經)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열반경 · 더보기 »

열반종

열반종(涅槃宗)은 대승 불교 경전인 《대반열반경(大般涅槃經)》을 강구하는 불교 학파 또는 종파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열반종 · 더보기 »

염약거

염약거(閻若璩, 1636년~1704년)는 중국 청초의 고증학자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염약거 · 더보기 »

사리

사리(舍利)는 불교 용어로서, 원래는 신체 또는 석가모니나 성자의 유골을 지칭하는 용어이나, 오랜 수행을 한 스님을 화장한 결과 나오는 구슬을 이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사리 · 더보기 »

삼론종

삼론종(三論宗)은 《중론》《십이문론》《백론》의 삼론(三論)에 의거한 중국 불교의 논종(論宗)이다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분파 > 논종,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분파 > 중국불교의 종파 > 삼론종,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삼론(三論)은 도안(道安: 312-385)의 권유로 쿠차국에서 초빙된 구마라습(鳩摩羅什: 344-413)이 한역한 《대품반야》《소품반야》 등의 초기 대승경전과 이에 입각한 용수(龍樹: c.150-c.250) 계통의 중관파 논서들 가운에, 용수의 《중론(中論)》 4권(409년에 한역)과 《십이문론(十二門論)》1권(409년에 한역) 그리고 용수의 제자인 제바(提婆Aryadeva: 170-270)의 《백론(百論)》 2권(404년에 한역)을 가리.

새로운!!: 중국 철학와 삼론종 · 더보기 »

삼국 시대 (중국)

삼국 시대(三國時代)는 후한이 몰락하기 시작했던 2세기 말부터 위, 촉, 오가 세워져 서로 다투다가 서진이 중국을 통일하는 3세기 후반까지를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삼국 시대 (중국) · 더보기 »

석가모니

석가모니(釋迦牟尼Śākyamuni, 기원전 624년? ~ 544년? 생몰연대가 확실하지 않아 여러 설이 있지만, 세계불교도대회에서 이것(기원전 624년? ~ 544년)을 공식 채택하였다. 그 외 기원전 563년 ~ 483년, 기원전 565년 ~ 485년, 기원전 463년 ~ 383년설이 있다.)는 불교의 교조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석가모니 · 더보기 »

선 (불교)

선정(禪定)에 든 고타마 붓다 (석굴암) 선(禪)이란, 중국 대륙에서 5세기에 발전하기 시작한 대승불교의 한 조류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선 (불교) · 더보기 »

선무외

선무외(善無畏: 637~735)은 당나라(唐) 시대의 불교승이자 인도로부터 중국에 밀교를 전한 역경승(譯經僧)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선무외 · 더보기 »

섭론종

섭론종(攝論宗)은 중국 불교의 논종(論宗) 중 하나로, 무착(無着)의 《섭대승론(攝代乘論)》을 연구강술하는 학파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섭론종 · 더보기 »

섭대승론

《섭대승론(攝大乘論,, 또는 Discourse on the Perfection of Consciousness-only)》은 "대승(大乘)을 포섭(包攝)한 논"이라는 뜻으로 무착(無着: c. 310~390)이 저술한 대승불교의 논서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섭대승론 · 더보기 »

성리학

성리학(性理學) 12세기에 남송의 주희(朱熹)가 집대성한 유교의 주류 학파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성리학 · 더보기 »

성유식론

《성유식론》(成唯識論,, 비즈냐프티마트라타싯디 샤스트라)은 인도 대승불교 유가유식파의 세친(世親: c. 320~400)이 저술한 《유식삼십송》(唯識三十頌)을 기반으로 한 논서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성유식론 · 더보기 »

성선설

성선설(性善說)은 공자(孔子)와 더불어 유가(儒家)의 대표적 사상가인 맹자(孟子)가 주장한 인간의 심성(心性)에 대한 학설로, "인간의 본성(本性)은 선(善)하다"는 학설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성선설 · 더보기 »

성실론

《성실론(成實論Satyasiddhiśāstra)》16권(K-966, T-1646)은 4세기 경에 인도의 승려 하리발마(訶梨跋摩Harivarman)가 소승 아비달마의 교의에 만족하지 못하고, 부파 불교의 일파인 경량부(經量部)의 입장에서 저술한 체계적 불교 교의 강요서(綱要書)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성실론 · 더보기 »

성실종

성실종(成實宗Satyasiddhi)은 4세기 경에 하리발마(訶梨跋摩Harivarman)가 소승 아비달마의 교의에 만족하지 못하고, 부파 불교의 일파인 경량부(經量部)의 입장에서 저술한 체계적 강요서(綱要書)인 《성실론Satyasiddhi-Shastra》의 연구강술을 중심으로 한 중국 불교의 학파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성실종 · 더보기 »

세계관

세계관(世界觀, worldview)이란 어떤 지식이나 관점을 가지고 세계를 근본적으로 인식하는 방식이나 틀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세계관 · 더보기 »

서경 (책)

《서경(書經)》은 중국 유교의 5경(五經) 가운데 하나로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서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서경 (책) · 더보기 »

서진

서진(西晉, 265년 ~ 317년)은 중국의 왕조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서진 · 더보기 »

서양

서양(西洋)은 대체로 유럽과 북아메리카 등의 영미 문화권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서양 · 더보기 »

서역

투르케스탄 서역 관련 지도: 타클라마칸 사막은 타림 분지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서역(西域)은 중국에 인접한 서방 지역을 총칭하는 것으로 보통 톈산 산맥(天山山脈)쿤룬 산맥(崑崙山脈)에 둘러싸인 타림분지의 일대와 파미르 고원을 중심으로 하여 이에 연속된 투르케스탄(Turkestan) 지역을 포함하여 가리.

새로운!!: 중국 철학와 서역 · 더보기 »

송 (남조)

위진 남북조 시대(220~589) 왕조들의 계통도: 위진 시대는 220~420, 남북조 시대는 439~589 송(宋, 420년 ~ 479년)은 중국 남북조 시대(439년 ~ 589년) 강남 지방에서 유유(劉裕)에 의해 건국된 남조 첫 번째 왕조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송 (남조) · 더보기 »

송나라

송(宋, 960년 ~ 1279년)은 중국의 옛 왕조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송나라 · 더보기 »

소옹

소옹(邵雍, 1011년~1077년)은 중국 송나라의 사상가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소옹 · 더보기 »

소설가 (제자백가)

소설가(小説家)는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제자백가 학파 중 하나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소설가 (제자백가) · 더보기 »

애제

애제(哀帝)는 중국 황제의 시호의 하나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애제 · 더보기 »

해심밀경

《해심밀경》(解深密經)은 인도의 중기 대승불교의 경전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해심밀경 · 더보기 »

한나라

(漢, 기원전 206년 ~ 220년)은 진 이후의 중국의 통일 왕조로서 후에 삼국으로 갈라졌다(220년 ~ 280년).

새로운!!: 중국 철학와 한나라 · 더보기 »

한유

유 한유(韓愈, 대력 3년(768년)~장경 4년(824년))는, 중국 당(唐)을 대표하는 문장가 · 정치가 · 사상가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한유 · 더보기 »

한서

《한서》(漢書)는 반고가 편찬한 전한의 역사를 서술한 역사서로, 중국 이십사사에.

새로운!!: 중국 철학와 한서 · 더보기 »

안원

안원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중국 철학와 안원 · 더보기 »

하안

안이 작성한 공자의 논어의 주해석. 하안(何晏, 193년? ~ 249년)은 중국 삼국 시대 위나라의 정치가이자 사상가였.

새로운!!: 중국 철학와 하안 · 더보기 »

아비달마구사론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은 4세기 인도의 세친 스님이 지은 불전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아비달마구사론 · 더보기 »

학문

학문(學問, Academia)은 배우고 익히는 것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학문 · 더보기 »

신수

신수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중국 철학와 신수 · 더보기 »

실학

실학(實學)은 17세기 후반에서 19세기 전반에 걸쳐 대두된 일련의 현실개혁적 조선 유학의 학풍을 말. 한편 실학에 반해 기존의 유학을 “성명의리지학”이라고도 부른.

새로운!!: 중국 철학와 실학 · 더보기 »

십삼경

십삼경(十三經)은 유가(儒家)에서 중시하는 13종의 경서(經書)를 총칭하는 말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십삼경 · 더보기 »

시경

《시경(詩經)》은 중국 최초의 시가집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시경 · 더보기 »

원나라

원나라(元朝)은 13세기 몽골 제국이 세운 국가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원나라 · 더보기 »

훈고학

훈고학(訓詁學)은 한나라(BC 206 ~ AD 220) 시대부터 당나라(618-907) 시대까지 성행한 유학으로 경전의 자구 해석에 치중하였.

새로운!!: 중국 철학와 훈고학 · 더보기 »

후진 (오호 십육국)

위진 남북조(220~589) 왕조들의 계통도 후진(後秦, 384년 ~ 417년)은 오호 십육국 시대 강족 요장(姚萇)이 건국한 나라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후진 (오호 십육국) · 더보기 »

후한

후한(後漢, 25년~220년)은 전한이 신나라의 왕망에 의하여 멸망한 이후, 한 왕조의 일족인 광무제 유수가 한 왕조를 부흥시킨 나라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후한 · 더보기 »

화엄경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 줄여서 《화엄경(華嚴經)》() 또는 《잡화경(雜華經)》()은 초기 대승불교의 가장 중요한 경전 중 하나로,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성전 > 6001 > 화엄경,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화엄경: 華嚴經 원명은 부다아바탐사카 나마 마하바이풀랴 수트라(Buddha­avatamsaka­nama­mahavaipulya­sutra)이고 자세하게 말해서 이라 부른.

새로운!!: 중국 철학와 화엄경 · 더보기 »

화엄종

화엄종(華嚴宗)은 《화엄경(華嚴經)》을 소의 경전으로 하는 불교 종파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화엄종 · 더보기 »

왕수인

양명 왕수인 왕수인(王守仁, 성화(成化) 8년(1472년) ~ 가정 7년(1528년))은 중국 명나라의 정치인·교육자·사상가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왕수인 · 더보기 »

왕필

왕필(王弼, 226년 ~ 249년)은 중국 삼국 시대 위나라의 관리이자 사상가이.

새로운!!: 중국 철학와 왕필 · 더보기 »

37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중국 철학와 373년 · 더보기 »

40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중국 철학와 404년 · 더보기 »

40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중국 철학와 405년 · 더보기 »

40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중국 철학와 409년 · 더보기 »

41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중국 철학와 411년 · 더보기 »

41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중국 철학와 412년 · 더보기 »

42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중국 철학와 421년 · 더보기 »

46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중국 철학와 468년 · 더보기 »

52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중국 철학와 520년 · 더보기 »

53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중국 철학와 537년 · 더보기 »

56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중국 철학와 563년 · 더보기 »

59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중국 철학와 594년 · 더보기 »

65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중국 철학와 654년 · 더보기 »

65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중국 철학와 659년 · 더보기 »

69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중국 철학와 699년 · 더보기 »

71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중국 철학와 716년 · 더보기 »

81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중국 철학와 819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중국 철학사, 중국 사상, 중국 사상계, 중국의 철학, 중국의 사상, 중국의 사상계, 중국철학, 중국사상.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