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칠요

색인 칠요

요(七曜)는 육안으로 보이는 행성을 오행과 대응시킨 화성·수성·목성·금성·토성과 태양·달(음양)을 합한 7개의 천체이.

21 처지: 목성, 금성, 구요성, , 달의 교점, 요일, 일식, 음양, 점성술, , 주 (시간), 천문학, 천구, 천체, 태양, 수성, 오행, 행성, 토성, 항성, 화성.

목성

목성(木星, 라틴어: Jupiter)은 태양계의 다섯번째 행성이자 가장 큰 행성이.

새로운!!: 칠요와 목성 · 더보기 »

금성

성(金星, 라틴어: Venus)은 태양계의 두 번째 행성이.

새로운!!: 칠요와 금성 · 더보기 »

구요성

요성(九曜星)란 인도 천문학과 인도 점성술에서 언급되는 9개의 천체와 그들을 신격화한 신을 가리.

새로운!!: 칠요와 구요성 · 더보기 »

(moon)은 지구의 유일한 영구한 자연위성으로, 태양계내의 위성 중 5번.

새로운!!: 칠요와 달 · 더보기 »

달의 교점

황도면과 백도면의 각도 차이는 약 5°인데 그것들의 교차점인 교점이 표현되어 있다. 달의 교점(月之 交点, lunar nodes)은 달의 궤도 교점으로, 달의 궤도가 황도와 교차하는 점이.

새로운!!: 칠요와 달의 교점 · 더보기 »

요일

요일(曜日)은 한 주의 각 날짜 별로 이름을 붙인 것을 말. 많은 언어권에서 쓰는 요일 이름은 고대 로마인들이 고대의 일곱 행성인 태양·달·화성·수성·목성·금성·토성에 따라 이름을 붙인 것이.

새로운!!: 칠요와 요일 · 더보기 »

일식

1999년 8월 프랑스에서 찍은 일식 모습 일식의 궤도 일식(日蝕/日食, solar eclipse)은 달이 태양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가리는 천문현상을 말. 지구 표면에서 볼 때의 태양과 달의 시직경이 비슷하고, 지구가 태양 주위를 도는 궤도면(황도)과 달이 지구 주위를 도는 궤도면(백도)이 거의 일치하여 달이 지구 주위를 돌면서 태양의 앞쪽으로 지나 태양을 가리는 경우가 생기는데, 이 때를 일식이.

새로운!!: 칠요와 일식 · 더보기 »

음양

음양(陰陽, "dark-bright" 또는 "negative-positive")은 동양의 철학적 사고의 틀이.

새로운!!: 칠요와 음양 · 더보기 »

점성술

점성술(占星術, astrology)은 인간 세계에서 천문학상의 현상과 사건이 관계가 있다고 믿는 신앙 체계로 이루어져 있. 서양에서 점성술은 태양과 달 그리고 다른 행성 객체들의 위치에 기반하여 개인의 성격을 설명하고 그들의 인생에서 미래의 사건을 예언한다고 주장되는 천궁도의 체계로 거의 대부분이 구성.

새로운!!: 칠요와 점성술 · 더보기 »

주에는 다음과 같은 동음이의어가 있.

새로운!!: 칠요와 주 · 더보기 »

주 (시간)

주(週)는 천문 현상과 관계가 없는 시간 단위로, 1주는 7일(日)이.(천문 현상과 전혀 관계 없다고 볼 수는 없다. 달이 차고 기울기를 반복하는 주기는 한달이며 그뭄에서 보름, 또는 보름에서 그뭄까지가 15일이다. 이 때 15일을 십진법 안에서 계산해 쉽게 단위로 쓰고자 하면 주 7.5일이 계산된다. 로마 제국 초기에는 8일이 일주일였다는 사실을 보면 인류는 일주일을 7일로 하는 것과 8일로 하는 것사이에서 고민했다는 것을 알수 있다.).

새로운!!: 칠요와 주 (시간) · 더보기 »

천문학

불규칙은하인 대마젤란 은하의 별 생성영역. 초신성 잔해의 하나인 게 성운 천문학(天文學)은 별이나 행성, 혜성, 은하와 같은 천체와, 지구 대기의 바깥쪽으로부터 비롯된 현상(예를 들면,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을 연구하는 자연과학의 한 분야이.

새로운!!: 칠요와 천문학 · 더보기 »

천구

천구 적도에 의해 남천과 북천으로 나뉜다. 천구(天球)는 천문학 및 항해에서 천체 관측에 이용되는, 관측자를 중심으로 한 반지름이 매우 큰 가상의 구체(球體)로, 하늘에 있는 모든 천체들은 이 천구의 안쪽 벽에 붙어 있는 것으로 간주.

새로운!!: 칠요와 천구 · 더보기 »

천체

양한 천체의 모습. 천체(天體)는 우주에 존재하여 천문학의 연구 대상이 되는 것으로, 암석·기체·먼지 등 여러 물질이 중력에 의해 묶여 있는 상태로 존재하는 것과 그 집합을 가리켜 부르는 말이.

새로운!!: 칠요와 천체 · 더보기 »

태양

1992년에 촬영한 태양 모습. 태양 표면에 있는 흑점이 보인다. 태양(太陽)은 태양계 중심에 있으며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항성(또는 별)이.

새로운!!: 칠요와 태양 · 더보기 »

수성

수성(水星, 라틴어: Mercurius)은 태양계에서 태양과 가장 가까운 궤도를 도는 행성이.

새로운!!: 칠요와 수성 · 더보기 »

오행

오행(五行)은 동양 철학에서 우주 만물의 변화양상을 5가지로 압축해서 설명하는 이론으로, 5행이라는 것은 인간 사회의 다섯 개 원소로 생각된 목(木)·화(火)·토(土)·금(金)·수(水)의 운행변전(運行變轉)을 말. 행(行)이라는 것은 운행의 뜻이.

새로운!!: 칠요와 오행 · 더보기 »

행성

639x639픽셀 행성(行星, planet)은 항성의 둘레를 도는 천체의 한 부류이.

새로운!!: 칠요와 행성 · 더보기 »

토성

성(土星,라틴어: Saturnus)은 태양으로부터 여섯 번째에 있는 태양계의 행성으로, 진성(鎭星)으로도 불. 토성은 태양계 내의 행성 중 목성에 이어 두 번째로 크며, 지름은 약 12만 킬로미터로, 지구의 9.1배이며 부피는 760배에.

새로운!!: 칠요와 토성 · 더보기 »

항성

이다. 항성(恒星) 또는 붙박이별은 막대한 양의 플라스마(전리된 기체)가 중력으로 뭉쳐서 밝게 빛나는 구(球)형 천체이.

새로운!!: 칠요와 항성 · 더보기 »

화성

화성(火星)은 태양계의 네 번째 행성이.

새로운!!: 칠요와 화성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