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티무르

색인 티무르

무르 베그 구르카니(1336년 4월 9일~1405년 2월 18일)는 중앙아시아의 튀르크몽골인 군사 지도자이며, 티무르 제국의 창시자(재위: 1370년 ~ 1405년)이.

58 처지: 델리 술탄조, 루시, 르네 그루세, 마흐무드 (티무르 왕조), 모굴리스탄 칸국, 몽골 제국, 무굴 제국, 미란 샤, 발흐, 바르바로사 작전, 바부르, 바디 알자만, 바예지드 1세, 볼가강, 우구데이 칸, 트란스옥시아나, 울루그 베그, 튀르크몽골인, 자한기르 미르자 1세, 이브라힘 (티무르 왕조), 이슬람교, 일 칸국, 조지아 (국가), 주치 칸, 차가타이 칸, 차가타이 칸국, 칭기즈 칸, , 칸 (칭호), 샤 루흐, 투글루크 티무르, 오스만 제국, 호라산, 사라이, 사마르칸트, 피르 무함마드 이븐 자한기르, 할릴 술탄 이븐 미란 샤, 야드가르 무함마드, 아르메니아, 아미르, 아불 카짐 바부르 이븐 바이순쿠르, 아부 사이드 미르자, 아프가니스탄, 앙카라 전투, 티무르 제국, 티무르 왕조, 후세인 이븐 만수르 이븐 바이카라, 화레즘, 1336년, 1360년, ..., 1369년, 1370년, 1380년, 1405년, 1941년, 2월 18일, 4월 9일, 6월 19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8 더) »

델리 술탄조

리 술탄조(دلی سلطنت)는 1206년부터 1526년까지 델리를 중심으로 인도를 지배하던 술탄조(朝)이.

새로운!!: 티무르와 델리 술탄조 · 더보기 »

루시

시(Lucy)는 여성의 이름으로, 라틴어 'Lux'에서 유래했고 '빛'을 뜻. 다른 뜻으로는 다음이 있.

새로운!!: 티무르와 루시 · 더보기 »

르네 그루세

르네 그루세 (René Grousset, 1885년 9월 5일 ~ 1952년 9월 12일)는 프랑스의 역사학자로, 파리의 세르뉘시 미술관과 기메 박물관의 큐레이터로 지내기도 했으며, 명망 있는 아카데미 프랑세즈의 회원이었.

새로운!!: 티무르와 르네 그루세 · 더보기 »

마흐무드 (티무르 왕조)

샤 마흐무드는 티무르 왕조의 일원으로, 1457년에 일주일간 헤라트를 다스.

새로운!!: 티무르와 마흐무드 (티무르 왕조) · 더보기 »

모굴리스탄 칸국

모굴리스탄 칸국 또는 모굴리스탄 한국은 1346년에 차가타이 칸국이 분열된 이후 차가타이 칸국의 동부에 성립된 정권을 이르는 말이.

새로운!!: 티무르와 모굴리스탄 칸국 · 더보기 »

몽골 제국

몽골 제국()는 칭기스칸이 1206년에 건국한 제국이.

새로운!!: 티무르와 몽골 제국 · 더보기 »

무굴 제국

무굴 제국()은 16세기 초부터 19세기 중반까지 오늘날의 인도 북부와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에 이르는 지역을 지배한 이슬람 왕조이.

새로운!!: 티무르와 무굴 제국 · 더보기 »

미란 샤

미란 샤 (1366년 - 1408년 4월 16일?, 페르시아어: میران شاہ) 은 티무르의 아들로, 티무르가 살아 있을 때 아제르바이잔과 이라크를 분봉받았.

새로운!!: 티무르와 미란 샤 · 더보기 »

발흐

박트라(Bactra)로 잘 알려져 있는 발흐(페르시아어: بلخ)는 한때 세계의 주요 도시였지만 몽골에 의해 완전히 파괴되었.

새로운!!: 티무르와 발흐 · 더보기 »

바르바로사 작전

바르바로사 작전()은 제2차 세계 대전의 동부 전선에서 나치 독일이 소비에트 연방을 침공한 작전명칭이.

새로운!!: 티무르와 바르바로사 작전 · 더보기 »

바부르

자히르 알딘 무함마드 바부르는 안디잔(지금의 우즈베키스탄의 한 지방) 출신의 모험가로, 여러 차례 실패를 경험했으나, 1504년, 결국 아프가니스탄의 카불에서 왕국을 세우는데 성공.

새로운!!: 티무르와 바부르 · 더보기 »

바디 알자만

바디 알자만 (? - 1517년; 페르시아어: بدیع الزمان) 는 티무르 왕조의 일원으로, 1506년부터 1507년까지 헤라트를 다스.

새로운!!: 티무르와 바디 알자만 · 더보기 »

바예지드 1세

바예지드 1세(1360년 ~ 1403년)는 오스만 제국의 제4대 술탄이다(재위: 1389년 ~ 1402년)이.

새로운!!: 티무르와 바예지드 1세 · 더보기 »

볼가강

볼가 강()은 러시아 서부의 강이.

새로운!!: 티무르와 볼가강 · 더보기 »

우구데이 칸

오고타이(窩闊台) 오고타이 칸(1186년 ~ 1241년)은 몽골 제국의 제2대 대칸이.

새로운!!: 티무르와 우구데이 칸 · 더보기 »

트란스옥시아나

스옥시아나 지역 트란스옥시아나는 시르다라 강과 아무다라 강(혹은 옥서스 강)의 사이에 위치한 지역으로 현재의 우즈베키스탄 대부분, 타지키스탄 대부분, 카자흐스탄 남서부를 포함하는 지역이.

새로운!!: 티무르와 트란스옥시아나 · 더보기 »

울루그 베그

미르자 무함마드 타라가이 빈 샤루흐 울루그 벡(1393년 3월 22일 술타니야에서 태어나 1449년 8월 27일 죽음. 재위 1447년~1449년), 속칭 울루그 벡 혹은 울루그 베그는 티무르 왕조의 군주였.

새로운!!: 티무르와 울루그 베그 · 더보기 »

튀르크몽골인

1335년의 아시아. 킵차크 칸국, 차가타이 칸국 등 튀르크몽골인 국가들이 보인다. 튀르크몽골인(Turco-Mongol)은 14세기 초에 몽골 제국, 특히 차가타이 칸국과 킵차크 칸국의 지배층 사이에서 발생한 문화적 융합으로 인해 발생한 전통으로 규정.

새로운!!: 티무르와 튀르크몽골인 · 더보기 »

자한기르 미르자 1세

자한기르(1356년 경 ~ 1376년 경)는 티무르의 아들이.

새로운!!: 티무르와 자한기르 미르자 1세 · 더보기 »

이브라힘 (티무르 왕조)

이브라힘 (1459년 죽음) 은 티무르 왕조의 일원으로, 1457년부터 1458년까지 헤라트를 다스.

새로운!!: 티무르와 이브라힘 (티무르 왕조) · 더보기 »

이슬람교

이슬람()또는 회교(回敎)는 무함마드를 예언자로, 알라를 단일신으로 삼는 종교이.

새로운!!: 티무르와 이슬람교 · 더보기 »

일 칸국

일 칸국()은 몽골 제국의 칸국 중 하나로 현재의 이란, 이라크에 걸쳐 있던 나라이.

새로운!!: 티무르와 일 칸국 · 더보기 »

조지아 (국가)

조지아()는 동유럽의 국가이.

새로운!!: 티무르와 조지아 (국가) · 더보기 »

주치 칸

보르지긴 주치(1181년 ~ 1227년)는 몽골 제국 초기의 군주이자 군인이며, 칭기즈 칸의 장남으로 알려졌으나, 평생 출생에 대한 의혹에 시. 칭기즈 칸에 의해 투르가이와 우랄스크를 물려받았으나, 실질적인 통치권을 행사하지는 않았.

새로운!!: 티무르와 주치 칸 · 더보기 »

차가타이 칸

보르지긴 차가타이(1183년 ~ 1242년)는 몽골 제국의 칸으로, 몽골 제국의 초대 황제 태조의 둘째 아들이.

새로운!!: 티무르와 차가타이 칸 · 더보기 »

차가타이 칸국

이 칸국, 13세기 후반 차가타이 칸국(Цагадайн Улс)은 칭기스 칸의 차남인 차가타이가 칭기스 칸에게 물려받은 영토를 바탕으로 세운 현재의 신장 웨이우얼 자치구 지역에서 중앙아시아에 걸쳐 있던 몽골계 유목민족 국가이.

새로운!!: 티무르와 차가타이 칸국 · 더보기 »

칭기즈 칸

칭기즈 칸(1155/62/67년? 4월 16일-1227년 8월 25일)은 몽골 제국의 창업자이자 초대 카간이.

새로운!!: 티무르와 칭기즈 칸 · 더보기 »

* 칸()은 다음을 뜻.

새로운!!: 티무르와 칸 · 더보기 »

칸 (칭호)

() 또는 한(汗)은 몽골족과 투르크족, 만주족, 티베트족에서 왕(王)이라는 뜻으로 쓰이는 칭호.

새로운!!: 티무르와 칸 (칭호) · 더보기 »

샤 루흐

샤 루흐 혹은 샤 로흐 (1377년 ~ 1447년)는 티무르 제국 제3대의 군주(재위: 1409년 ~ 1447년)이.

새로운!!: 티무르와 샤 루흐 · 더보기 »

투글루크 티무르

무르(Tughlugh Timur, 1329년 ~ 1363년)는 동차가타이 한국 모굴리스탄 한국의 초대 칸이.

새로운!!: 티무르와 투글루크 티무르 · 더보기 »

오스만 제국

오스만 제국()은 오스만 가문을 왕가로 하여, 현재 터키의 최대 도시인 이스탄불을 수도로 정하여 서쪽의 모로코부터 동쪽의 아제르바이잔에 이르러 북쪽의 우크라이나에서 남쪽의 예멘에 이르는 광대한 영역을 지배했던 제국이.

새로운!!: 티무르와 오스만 제국 · 더보기 »

호라산

호라산 호라산(Khorasan)은 이란 북동부의 역사적 지역이.

새로운!!: 티무르와 호라산 · 더보기 »

사라이

킵차크 칸국과 사라이 사라이(Sarai)는 킵차크 칸국의 옛 수도이.

새로운!!: 티무르와 사라이 · 더보기 »

사마르칸트

사마르칸트()는 중앙아시아 두번째로 큰 우즈베키스탄의 고도이며, 사마르칸트 주의 주도이.

새로운!!: 티무르와 사마르칸트 · 더보기 »

피르 무함마드 이븐 자한기르

르 무함마드 이븐 자한기르(1374년 - 1407년 2월 22일)은 테무르의 맏아들 자한기르의 둘째 아들로, 테무르는 그를 후계자로 지목.

새로운!!: 티무르와 피르 무함마드 이븐 자한기르 · 더보기 »

할릴 술탄 이븐 미란 샤

릴 술탄 (1384년 7월 14일 ~ 1411년 11월 3일, 우르두어: خلیل سلطان)은 티무르 왕조의 제2대 군주(재위: 1405년 ~ 1409년)이.

새로운!!: 티무르와 할릴 술탄 이븐 미란 샤 · 더보기 »

야드가르 무함마드

야드가르 무함마드 혹은 야디가르 무함마드 (? ~ 1470년) 은 티무르 왕조의 일원으로, 1469년부터 1470년까지 잠깐 동안 헤라트를 다스.

새로운!!: 티무르와 야드가르 무함마드 · 더보기 »

아르메니아

아르메니아 공화국(), 줄여서 아르메니아()는 캅카스 지방에 있는 내륙국이.

새로운!!: 티무르와 아르메니아 · 더보기 »

아미르

아미르(amīr, ãmir) 혹은 에미르(Emir)는 아라비아어로 ‘사령관’, ‘총독’이란 의미를 갖고 있으며, 이슬람 세계에서 왕족과 귀족의 칭호로 사용되는 말이.

새로운!!: 티무르와 아미르 · 더보기 »

아불 카짐 바부르 이븐 바이순쿠르

아불 카짐 바부르 이븐 바이순쿠르 (1422년 - 1457년) 은 티무르 왕조의 일원으로, 1449년부터 죽을 때까지 호라산을 다스.

새로운!!: 티무르와 아불 카짐 바부르 이븐 바이순쿠르 · 더보기 »

아부 사이드 미르자

아부 사이드 무함마드 미란샤 티무르 (1424 - 1469) 은 지금의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이란, 아프가니스탄을 지배했던 티무르 왕조의 일원이자 지배자였.

새로운!!: 티무르와 아부 사이드 미르자 · 더보기 »

아프가니스탄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줄여서 아프가니스탄(), 아프간은 남아시아와 중앙아시아에 걸쳐 있는 내륙국이.

새로운!!: 티무르와 아프가니스탄 · 더보기 »

앙카라 전투

앙카라 전투, 혹은 앙고라 전투라 불리는 이 전투는 1402년 7월 20일 쿠북(지금의 앙카라 근처)에 있는 벌판에서 오스만 투르크의 술탄 바예지드 1세와 티무르 제국의 지배자 티무르가 지휘하는 투르크-몽골계 군단간에 벌어진 싸움이.

새로운!!: 티무르와 앙카라 전투 · 더보기 »

티무르 제국

무르 제국( (Tīmūriyān), 우즈베크어: Temuriylar)은 중앙아시아의 트란스옥시아나(현재의 우즈베키스탄 중앙부)에 발흥했던 몽골 제국의 계승 정권 중 하나로서, 중앙아시아부터 이란에 걸친 지역을 지배했던 이슬람 왕조(1370년~1507년)이다. 전성기의 판도로 북동쪽은 동투르키스탄, 남동쪽은 인더스 강, 북서쪽은 볼가 강, 남서쪽으로는 역사적 시리아・아나톨리아 방면까지 이르러, 과거 몽골제국의 서남부 지역을 제패했다. 창시자인 티무르 재위 중에 티무르 제국이라 불렸다. 왕조의 시조 티무르는 차가타이 칸국을 섬기는 발라스부의 출신으로 언어적으로 투르크화하고, 종교적으로는 이슬람화했던, 몽골군인(차가타이인)의 일원이었다. 티무르의 정복으로, 앞서 말한 대판도를 구가하지만, 그의 사후에 자손들에 의하여 제국은 분할되었기 때문에 급속하게 분열하고 축소되어, 15세기 후반에는 사마르칸트와 헤라트의 두 정권이 남았다. 결국 16세기 초에 우즈베크의 샤이반 왕조에 의해 중앙아시아의 영토를 빼앗겨 멸망했다.큰 영토를 가진 티무르 제국을 보고 구소련을 지배했던 스탈린이 이를 부러워해 티무르 유해를 찾아오도록 했다는 일화가 있다. '티무르 관을 열면 전쟁이 벌어진다'는 예언이 있었지만, 스탈린은 티무르 관을 열었다고 한다. 이후 독일이 소련을 침공했다. 예언을 두려워한 스탈린은 다시 관을 덮은 뒤 다시는 관을 공개하지 않았다.

새로운!!: 티무르와 티무르 제국 · 더보기 »

티무르 왕조

무르조()는 군벌 티무르를 시조로 하는 튀르크몽골인 씨족 출신의 수니파 무슬림 왕조.

새로운!!: 티무르와 티무르 왕조 · 더보기 »

후세인 이븐 만수르 이븐 바이카라

후세인 이븐 만수르 이븐 바이카라, 일명 후세인 바이카라 (1438 - 1506년 5월 4일; 페르시아어: حسین بایقرا) 는 티무르 왕조의 일원으로, 1469년부터 1506년까지 헤라트를 다스.

새로운!!: 티무르와 후세인 이븐 만수르 이븐 바이카라 · 더보기 »

화레즘

화레즘의 위치 화레즘(Khwarezm) 은 중앙아시아 서부에 위치한 역사적 지역이.

새로운!!: 티무르와 화레즘 · 더보기 »

133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티무르와 1336년 · 더보기 »

136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티무르와 1360년 · 더보기 »

136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티무르와 1369년 · 더보기 »

137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티무르와 1370년 · 더보기 »

138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티무르와 1380년 · 더보기 »

140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티무르와 1405년 · 더보기 »

1941년

1941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티무르와 1941년 · 더보기 »

2월 18일

2월 1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49번째(윤년일 경우도 4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티무르와 2월 18일 · 더보기 »

4월 9일

4월 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99번째(윤년일 경우 10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티무르와 4월 9일 · 더보기 »

6월 19일

6월 1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70번째(윤년일 경우 17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티무르와 6월 19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타메를란, 테무르 (티무르 왕조).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