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포말하우트

색인 포말하우트

말하우트 또는 남쪽물고기자리 알파는 남쪽물고기자리 방향에 위치한 항성이.

86 처지: A형 주계열성, 데메테르, 데네브 카이토스, 도 (각도), 동아시아의 별자리, 라틴어, 먼지 원반, 목성, 목성질량, 물병자리, 미행성, 반지름, 반지의 제왕, 바이어 명명법, 베가, 겉보기등급, 겉보기등급 순 항성 목록, 고대 그리스, 공전 주기, 복사압, 별주위원반, 광구, 북반구, 북위 40도, 궤도 경사, 긴반지름, 금속함량, , 남반구, 남쪽물고기자리, 남쪽물고기자리 TW, 내부열, 나노미터, 스칸디나비아, 스피처 우주망원경, 용자리 BY형 변광성, 히파르코스 (인공위성), 페르시아인, 잉글랜드, 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 포말하우트 b, 이심률, 적위, 적색왜성, 적외선, 존 플램스티드, 질량, 지평선, 천문단위, 천구의 극, ..., 천구적도, 카노푸스, 카스토르, 카펠라, 카이퍼 대, 켈빈, 코카투, 태양, 탈출 속도, 탄소, 혜성, 허블 우주망원경, 엘레프시나, 사이언스, 삼각측량법, 피터 잭슨, 플램스티드 명명법, 섬광성, 센타우루스자리 알파, 항성, 항성계, 해왕성, 알래스카주, 한반도, 한어 병음, 안타레스, 아랍어, 아크룩스, 아타카마 대형 밀리미터 집합체, 시리우스, 시차 (천문학), 시선속도, 원시 행성계 원반, 외계 행성, K형 주계열성, RECONS.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36 더) »

A형 주계열성

시리우스A는 전형적인 A V형 항성이다. A V형 항성은 분광형 상으로 A이며, 주계열성 상태 V에 있는 항성의 통칭이.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A형 주계열성 · 더보기 »

데메테르

메테르()는 그리스 신화의 곡물과 수확의 여신이며 올림포스의 12신의 하나이.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데메테르 · 더보기 »

데네브 카이토스

브 카이토스(Deneb Kaitos)는 고래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로, 지구에서 약 96광년 떨어져 있. 바이어 명명법에 의하면 고래자리 베타이.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데네브 카이토스 · 더보기 »

도 (각도)

빨간색은 1도, 파란색은 89도를 나타낸다. 도(), 또는 각도()는 평면 각도의 단위로, 1회전의 360등분으로 정의.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도 (각도) · 더보기 »

동아시아의 별자리

3원 28수의 체계로 대표되는 동아시아의 별자리는 한국을 비롯하여 중국, 일본에서 현대 천문학이 보급되기 전까지 수천 년 간 관측 기록에 쓰였.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동아시아의 별자리 · 더보기 »

라틴어

어(Lingua Latīna)는 이탈리아 반도의 중부에 있는 고대 로마와 그 주변 지역 라티움(Latium)에 정착하여 살던 라티움 사람들이 쓰던 언어이.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라틴어 · 더보기 »

먼지 원반

현미경자리 AU 주위에 있는 먼지 원반. 허블 우주 망원경이 오컬터를 사용해 찍은 사진이다. 먼지 원반은 먼지와 파편 등으로 이루어진, 항성 주위에 형성되어 있는 고리 모양의 별주위 원반이.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먼지 원반 · 더보기 »

목성

목성(木星, 라틴어: Jupiter)은 태양계의 다섯번째 행성이자 가장 큰 행성이.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목성 · 더보기 »

목성질량

목성질량은 태양계의 행성인 목성 1개의 질량을 나타낸 값이.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목성질량 · 더보기 »

물병자리

물병자리(Aquarius, 기호:♒)는 염소자리와 물고기자리 사이에 놓여 있는 별자리이며, 황도 12궁의 11번째에 해당.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물병자리 · 더보기 »

미행성

미행성(planetesimal)은 태양계가 생겨날 때 존재했던 것으로 생각되는 작은 천체이.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미행성 · 더보기 »

반지름

원의 둘레 기하학에서, 원 또는 구의 반지름은 그 중심으로부터 경계에 이르는 선분이.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반지름 · 더보기 »

반지의 제왕

《반지의 제왕》(약자 LotR)은 존 로널드 루엘 톨킨이 지은 3부작 판타지 소설이.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반지의 제왕 · 더보기 »

바이어 명명법

바이어 명명법(Bayer designation)은 독일의 천문학자 요한 바이어가 1603년에 우라노메트리아에서 발표한 항성을 부르는 방법이.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바이어 명명법 · 더보기 »

베가

베가(Vega, α Lyrae)는 거문고자리 방향으로 지구로부터 약 25.3 광년 떨어져 있는 항성이.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베가 · 더보기 »

겉보기등급

소행성 Cybele와 (절대등급 11.6)과 HD 217121 (절대등급 8.7)과 HD 216932 (절대등급 9.1)의 절대등급을 비교했다.두 항성은 50mm이상의 쌍안경으로 보인다. 이 사진 오른쪽 위 HD216932 주위에 은하 PGC 194570과 PGC 101645가 보인다. 겉보기등급 또는 실시등급(實視等級), 안시등급(眼視等級)은 별의 밝기를 측정하는 단위이.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겉보기등급 · 더보기 »

겉보기등급 순 항성 목록

시리우스는 밤하늘에서 가장 밝게 보이는 항성이다. 아래 목록은 겉보기 등급이 낮은 100개의 항성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이.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겉보기등급 순 항성 목록 · 더보기 »

고대 그리스

아크로폴리스에 있다. 고대 그리스의 정교함과 문화를 대표하는 상징이기도 하다. 고대 그리스(Ancient Greece)란 그리스의 역사 가운데 기원전 1100년경부터 기원전 146년까지의 시대를 일컫.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고대 그리스 · 더보기 »

공전 주기

공전 주기(公轉週期)는 행성 등이 궤도를 한 바퀴 도는 시간을 말.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공전 주기 · 더보기 »

복사압

복사압(輻射壓)은 전자기파에 노출된 물체의 표면에 가해지는 압력을 뜻. 만약 전자기파가 물체에 모두 흡수될 경우, 복사압은 복사 에너지 플럭스의 밀도를 빛의 속도로 나눈 값이.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복사압 · 더보기 »

별주위원반

황소자리 UX 주위의 원반을 상상해서 그린 것. 별주위원반(circumstellar disk) 은 항성 주위에 원환체 또는 고리 모양으로 가스, 먼지, 미행성, 소행성 또는 충돌 잔해 등의 물질이 존재하는 것을 말. 별주위 원반은 항성 진화의 여러 단계에서 모두 존재할 수 있. 별주위 원반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별주위원반 · 더보기 »

광구

광구(光球)란 천체에서 광학적 깊이(광심)가 1이 되는 영역이.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광구 · 더보기 »

북반구

색 부분이 북반구이다 북반구 북반구(北半球)는 적도 이북의 반구를 말. 6월부터 8월까지가 여름이고, 12월부터 2월까지가 겨울이.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북반구 · 더보기 »

북위 40도

북위 40도는 적도에서 40도 북쪽을 지나는 위선이.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북위 40도 · 더보기 »

궤도 경사

경사 '''''i'''''(초록색)와 다른 궤도 요소들을 그린 그림. 궤도 경사(軌道 傾斜)는 궤도의 모양과 방향을 설명하는 여섯 개의 궤도 요소중 하나로, 궤도가 중심 천체에 대하여 기울어진 정도를 말하며, 기준면과 궤도면 사이의 각도, 또는 기준면과 자전축 사이의 각도로 정의.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궤도 경사 · 더보기 »

긴반지름

원의 긴반지름 긴반지름은 타원과 쌍곡선의 변수이.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긴반지름 · 더보기 »

금속함량

M80. 구상성단에 있는 별들은 대부분 금속함량이 적은, 항성종족 II이다. 금속함량(金屬含量) 또는 금속함량비(金屬含量比), 금속함유량(金屬含有量), 중원소함량(重元素含量)은 천문학과 우주론에서, 한 천체를 구성하는 수소와 헬륨을 제외한 화학 원소로 만들어진 물질의 비율을 뜻. 이 용어는 보통 화학에서 사용하는 금속과는 다른 의미이.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금속함량 · 더보기 »

자 ‘날 일’ 일(日, 기호: d), 날 또는 하루는 시간의 단위이.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날 · 더보기 »

남반구

색부분이 남반구이다 250px 남반구(南半球)는 적도 남쪽의 반구를 말. 남반구는 행성(대개 지구)의 남쪽 절반을 말. 즉, 적도를 기준으로 그 남쪽 부분이.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남반구 · 더보기 »

남쪽물고기자리

쪽물고기자리(Piscis Austrinus)는 남천에 자리잡은 작은 별자리이.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남쪽물고기자리 · 더보기 »

남쪽물고기자리 TW

쪽물고기자리 TW는 남쪽물고기자리에 있는 오렌지색 주계열성으로, 지구에서 24.9광년 떨어져 있. 이름에 붙어 있는 TW 기호는 변광성을 의미하는 학술 용어이.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남쪽물고기자리 TW · 더보기 »

내부열

부열은 중력과 방사성 물질 붕괴로 인하여, 행성, 갈색 왜성, 항성 등 천체의 내부에서 나오는 열원을 말. 내부열의 정도는 질량에 달려 있는데, 천체의 질량이 클수록 내부열의 강도도 올. 내부열은 천체를 데우고 활동하도록 만. 내부열은 천체들이 처음 생겨났을 때 발생한 열이 남은 것이.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내부열 · 더보기 »

나노미터

미터(단위: nm)는 미터의 십억분의 일에 해당하는 길이의 단위이.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나노미터 · 더보기 »

스칸디나비아

붉은색: 엄격한 의미에서의 스칸디나비아.주황색: 확장된 영역. 노랑색: 노르딕 국가 영역 스칸디나비아 (Scandinavia)는 북유럽의 스칸디나비아 반도를 중심으로 한 문화·역사적 지역을 일컫.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스칸디나비아 · 더보기 »

스피처 우주망원경

스피처 우주 망원경(Spitzer Space Telescope)은 적외선 우주 망원경이며, 미국 항공우주국의 대형 망원경 프로그램(Great Observatories program)의 네 번째이자 마지막 망원경이.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스피처 우주망원경 · 더보기 »

용자리 BY형 변광성

용자리 BY형 변광성(BY Draconis variable)은 분광형 K 또는 M의 주계열 변광성이.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용자리 BY형 변광성 · 더보기 »

히파르코스 (인공위성)

히파르코스(Hipparcos, "High precision parallax collecting satellite", 고정밀 시차 수집 위성)는 유럽 우주국이 주관한 천체관측 임무와, 그 관측을 수행한 인공 위성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히파르코스 (인공위성) · 더보기 »

페르시아인

르시아인(پارسیان)은 이란에 거주하는 민족으로 페르시아어를 사용.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페르시아인 · 더보기 »

잉글랜드

영국 내에서의 잉글랜드 위치. 잉글랜드의 지역 (Region). 잉글랜드()는 영국의 구성국 중 하나이.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잉글랜드 · 더보기 »

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

'''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 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AD 83년경 ~ 168년경)는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 천문학자, 지리학자, 점성학자이.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 · 더보기 »

포말하우트 b

말하우트 b는 남쪽물고기자리 방향으로 지구에서 25광년 떨어진 곳에 있는 외계 행성이.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포말하우트 b · 더보기 »

이심률

이심률이 증가하는 순서대로 늘어놓은 원뿔 곡선. 이심률이 늘어나면 곡률은 줄어든다는 점과 겹치는 곡선이 없다는 점을 주목하라. 기하학에서 이심률(離心率)은 원뿔 곡선의 특성을 나타내는 값이.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이심률 · 더보기 »

적위

적도 좌표계. 파란색은 적경을 나타내고, 녹색이 적위를 나타낸다. 적위(赤緯)는 천문학 용어의 하나로, 적도 좌표계에서 천구상의 한 점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는 두 개의 좌표 중의 하나이.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적위 · 더보기 »

적색왜성

적색왜성과 그 주변을 돌고 있는 갈색왜성의 상상도. 적색왜성(赤色矮星, red dwarf)은 작고 상대적으로 차가우며 태양의 0.075-0.5배 정도의 질량(갈색왜성의 한계질량보다 크다; 갈색왜성은 엄밀히 말하자면 별이 아니다.)을 지닌 주계열성을 부르는 말이.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적색왜성 · 더보기 »

적외선

적외선(赤外線, infrared) 또는 넘빨강살은 전자기파중의 하나로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길고 전자레인지에 사용하는 마이크로파보다는 파장이 짧. 일상적으로 어둠 속에서 열을 내는 물체를 가까이 하면 피부로 온도를 느낄 수 있는데 이것이 바로 적외선이.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적외선 · 더보기 »

존 플램스티드

존 플램스티드 존 플램스티드(John Flamsteed, 1646년 10월 19일 ~ 1719년 12월 31일)는 영국의 천문학자이.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존 플램스티드 · 더보기 »

질량

픽으로 재현한 질량의 단위를 나타내는 킬로그램 국제 원기. 질량(質量, mass)은 물리학에서 물질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양을 일컫는 말이.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질량 · 더보기 »

지평선

수평선을 보여주는 그림. 장애물이 많은 지평선과 달리 바다에서는 쉽게 수평선을 볼 수 있다. 지평선(地平線, 지평면(地平面))은 땅의 끝과 하늘이 만나는 선을 말. 수평선(水平線, 수평면(水平面))은 물과 하늘이 만나는 선을 말. 천정과 직각을 이. 이들은 그렇게 보일 뿐, 실제로 하늘과 만나는 것은 아. 지평선은 보통 산이나 건물 등 보다 관찰자와 가까이 있는 물체에 가로막혀 보이지 않으며 평야 지대 등 넓은 영역에 걸쳐 장애물이 없는 곳에서 볼 수 있. 반면 바다나 거대한 호수 등지에서는 수평선을 쉽게 볼 수 있. 지평선의 영미권 단어 '허라이즌'(horizon)은 그리스어 "ὁρίζων κύκλος"(오리존 뀌끄로스, '원을 나누다')에서 온 말이.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지평선 · 더보기 »

천문단위

문단위(天文單位, astronomical unit)는 천문학에서 사용되는 길이의 단위로 지구와 태양과의 평균 거리이.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천문단위 · 더보기 »

천구의 극

의 극은 지구의 자전축이 끝 없이 연장하여, 천구와 만나는 점이.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천구의 극 · 더보기 »

천구적도

적도(天球赤道, celestial equator)는 가상의 천구상에 존재하는 대원 들 중 하나로, 지구의 적도와 같은 위치에 있. 다르게 말하자면, 천구적도는 지구적도를 우주에 전사시킨 것이.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천구적도 · 더보기 »

카노푸스

스(Canopus), 또는 용골자리 알파(α Car / α Carinae)는 용골자리에서 가장 밝은 항성이.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카노푸스 · 더보기 »

카스토르

스토르(α Gem / α Geminorum / Alpha Geminorum) 또는 쌍둥이자리 알파는 쌍둥이자리에서 두 번째로 밝은 별이.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카스토르 · 더보기 »

카펠라

마차부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이.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카펠라 · 더보기 »

카이퍼 대

왕성과 명왕성 궤도를 둘러싸고 있는 카이퍼 대. 카이퍼 대(Kuiper Belt) 또는 에지워스 카이퍼 대(Edgeworth-Kuiper belt)는 태양계의 해왕성 궤도(태양으로부터 약 30 AU)보다 바깥쪽의 황도면 부근에 있는, 천체가 밀집한, 구멍이 뚫린 원반형의 영역이.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카이퍼 대 · 더보기 »

켈빈

빈(kelvin)은 온도의 국제 단위이.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켈빈 · 더보기 »

코카투

(Cockatoo)는 관앵무상과(Cacatuoidea)의 유일한 과인 관앵무과(Cacatuidae)에 속하는 21개 종을 두루 가리.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코카투 · 더보기 »

태양

1992년에 촬영한 태양 모습. 태양 표면에 있는 흑점이 보인다. 태양(太陽)은 태양계 중심에 있으며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항성(또는 별)이.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태양 · 더보기 »

탈출 속도

아이작 뉴턴의 탈출 속도 분석. A, B는 지구로 다시 떨어지고, C, D는 고정된 높이에서 궤도를 형성한다. E는 탈출 속도를 지닌 경우이다. 탈출 속도(脫出速度)는 물체의 운동 에너지가 중력 위치 에너지와 같아지는 속도를 의미.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탈출 속도 · 더보기 »

탄소

소(炭素←)는 주기율표에서 기호는 C(←)이고 원자번호는 6인 화학 원소이.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탄소 · 더보기 »

혜성

헤일-밥 혜성. 1997년 3월 촬영 혜성(彗星) 또는 살별은 태양계를 구성하는 천체 중의 하나로, 태양 복사에 의해 핵으로부터 발생한 코마(핵을 둘러싼 구름층)와 꼬리를 갖. 혜성은 홍수, 기근, 전염병 등을 불러 일으키는 불길한 징조로 여겨졌으나, 영국의 에드먼드 핼리가 핼리 혜성의 주기를 계산, 다음 출현을 예견함으로써 태양계의 천체임을 입증하였.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혜성 · 더보기 »

허블 우주망원경

블우주망원경(Hubble space telescope; HST)은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서 쏘아 올려 지구 대기권 밖에서 지구 궤도를 돌고 있는 천문 관측용 망원경이.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허블 우주망원경 · 더보기 »

엘레프시나

엘레프시나 엘레프시나(현대 그리스어: Ελευσίνα) 또는 엘레우시스(고대 그리스어/카타레부사: Ἐλευσίς)는 아테네에서 북서쪽으로 20km 떨어진 곳에 있는 도시이.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엘레프시나 · 더보기 »

사이언스

《사이언스》(Science)는 미국과학진흥회(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에서 발간하는 과학 학술지이.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사이언스 · 더보기 »

삼각측량법

삼각측량법은 해변에서 배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관측자 A가 해변과 배 사이의 각도 α를 측정하고 관측자 B가 같은 식으로 각도 β를 구한다. A와 B사이의 거리 l이 주어지거나, A, B 각각의 좌표가 주어진다면, 사인 법칙 등을 이용하여 C에 위치한 배의 좌표를 알 수 있으며, 바닷가에서 배까지의 거리 d도 알아낼 수 있다. 삼각측량법은 측량 구역을 삼각형으로 분할하여 각 지점의 수평위치를 결정하는 측량법의 하나이.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삼각측량법 · 더보기 »

피터 잭슨

잭슨 경(Sir Peter Jackson, ONZ, KNZM, 1961년 10월 31일~)은 뉴질랜드의 영화 감독이자 각본가, 영화 프로듀서이.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피터 잭슨 · 더보기 »

플램스티드 명명법

스티드 명명법(Flamsteed designation)은 바이어 명명법과 비슷하나, 그리스 문자 대신 아라비아 숫자를 사용.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플램스티드 명명법 · 더보기 »

섬광성

섬광성(閃光星; flare star)은 갑작스럽게 수 분 혹은 수 시간 동안 광도에 급격한 변화가 일어나는 항성을 의미.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섬광성 · 더보기 »

센타우루스자리 알파

리길 센타우루스 또는 센타우루스자리 알파 (Rigil Centaurus 또는 α Cen)는 센타우루스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로, 주계열성이.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센타우루스자리 알파 · 더보기 »

항성

이다. 항성(恒星) 또는 붙박이별은 막대한 양의 플라스마(전리된 기체)가 중력으로 뭉쳐서 밝게 빛나는 구(球)형 천체이.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항성 · 더보기 »

항성계

항성계(star system, stellar system, 恒星系)는 서로의 중력에 묶여서 질량중심을 기준으로 공전을 하는 항성들을 일컫는 말이.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항성계 · 더보기 »

해왕성

왕성(海王星, 라틴어: Neptunus)은 태양계의 8개 행성 중 8번째 행성이.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해왕성 · 더보기 »

알래스카주

알래스카 주(State of Alaska)는 북아메리카의 북서부에 있는 미국의 역외(域外) 주. 알래스카의 어원은 알류트족의 "Alyeshka, 섬이 아닌 땅"이.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알래스카주 · 더보기 »

한반도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한반도의 모양 한반도(韓半島)는 정치지리학적으로 동아시아에 위치해 있으며, 지형학적으로 유라시아 대륙의 동북쪽 끝에 있는 반도이.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한반도 · 더보기 »

한어 병음

어 병음()은 중국어 한자음을 로마자로 표기하는 발음부호이.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한어 병음 · 더보기 »

안타레스

안타레스(Antares, α Scorpii)는 전갈자리 알파 별로, 겉보기 등급으로 16 번째로 밝은 별이.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안타레스 · 더보기 »

아랍어

아랍어(اللغة العربية, 유엔 지명 표준화 회의 식 표기: al-lughatu l-ʻarabīyah, 알루가툴 아라비야, العَرَبِيَّة, al-ʻarabiyyah, 알아라비야, عَرَبِيّ ʻarabī, 아라비)는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의 셈어파에 속하는 언어 중 하나이다. 주로 서아시아 및 북아프리카의 아랍권에서 사용된다. 표기로 아랍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하며 굴절어에 속한다.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아랍어 · 더보기 »

아크룩스

아크룩스(남십자자리 알파 / α Cru / α Crucis / Alpha Crucis)는 남십자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로 실시등급은 0.77이며 밤하늘에서 23번째로 밝은 별이.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아크룩스 · 더보기 »

아타카마 대형 밀리미터 집합체

아타카마 대형 밀리미터 집합체(Atacama Large Millimeter Array; ALMA)는 칠레 북부의 아타카마 사막에 있는 전파 망원경의 배열 (array)이.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아타카마 대형 밀리미터 집합체 · 더보기 »

시리우스

큰개자리. 화살표가 시리우스. 시리우스(Sirius)는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로, 천랑성(天狼星), 낭성(狼星), 큰개자리 알파라 부르.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시리우스 · 더보기 »

시차 (천문학)

시차에 대한 간단한 개념도. 관측자는 같은 물체를 보지만 충분히 멀어 고정된 배경에 대해 A에서의 관측자는 물체가 청색 영역 위에 존재하는 것처럼 관측될 것이지만, B에서의 관측자는 물체가 적색 영역 위에 존재하는 것처럼 보이게 된다. 시차(Parallax)는 고정된 먼 배경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한 물체를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두 관측자가 관측했을 때 발생하는 겉보기 위치의 차이 또는 변위이.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시차 (천문학) · 더보기 »

시선속도

시선속도(視線速度)란 어떤 물체의 시선방향으로의 속도를 말. 즉, 관측자 쪽으로 일직선방향으로 다가오거나 멀어지는 속도이.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시선속도 · 더보기 »

원시 행성계 원반

예술가가 그린 원시 행성계 원반의 상상도. 원시 행성계 원반(protoplanetary disk, 줄여서 proplyd라고도 쓴다)은 갓 태어난 젊은 별(황소자리 T나 허빅 별) 주위를 회전하면서 둘러싸고 있는 짙은 가스 원반을 말. 가스 물질들이 행성계원반 안쪽에서 항성 표면으로 떨어지기 때문에 원시 행성계 원반을 강착 원반으로 부르.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원시 행성계 원반 · 더보기 »

외계 행성

HR 8799을 도는 행성 셋을 헤일 망원경이 찍은 사진. 별에서 나오는 빛은 벡터 소용돌이 코로나그래프를 사용해서 가렸다. 2MASS J044144은 갈색 왜성으로 목성 질량 5~10배의 동반 천체를 거느리고 있다. 동반 천체가 준갈색왜성인지 행성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화가자리 AB와 동반천체(좌하단). 동반천체는 갈색 왜성이거나 무거운 행성일 것이다. 2003년 3월 16일 VLT로 촬영. 항성 위에 1.4초각 크기의 오컬팅 마스크를 위치시켰다. 외계 행성(外界行星) 또는 계외 행성(系外行星)은 태양계 밖의 행성으로, 태양이 아닌 다른 항성 주위를 공전하고 있는 행성이.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외계 행성 · 더보기 »

K형 주계열성

센타우루스자리 알파B가 있다. 셀레스티아에서 작성 K V형 항성은 분광형 K에 광도분류 V인 항성들의 통칭이.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K형 주계열성 · 더보기 »

RECONS

RECONS(인접항성 연구협회, Research Consortium on Nearby Stars)는 지구에서 32.6광년(10파섹) 이내에 있는 태양계 근처의 별들을 연구하기 위해 결성된 프로젝트이.

새로운!!: 포말하우트와 RECONS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Gl 881, HIP 113368, SAO 191524, 남쪽 물고기자리 알파, 남쪽물고기자리 알파.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