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5·15 사건

색인 5·15 사건

오사카 마이니치 신문에 실린 이누카이 총리 암살 사건 기사 5·15 사건(五・一五事件) 은 1932년 5월 15일에 일어난 일본제국 해군 내 극우 청년 장교를 중심으로 한 반란 사건이.

22 처지: 동아시아 근대사 연표, 무토 노부요시, 미카미 다쿠, 가타쿠라 다다시, 곤도 세이쿄, 긴노마코토무스비, 다카하시 고레키요, 다치바나 고자부로, 우쓰노미야 다로, 요시자와 겐키치, 이누카이 쓰요시, 일본의 군사사, 일본의 역대 내각총리대신, 제국의회 (일본), 중신회의, 총리대신 관저, 쓰지 마사노부, 선거숙정운동, 쇼와 천황, 쇼와 유신, 2·26 사건, 5·16 군사 정변.

동아시아 근대사 연표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5·15 사건와 동아시아 근대사 연표 · 더보기 »

무토 노부요시

무토 노부요시 (1868년 9월 1일 ~ 1933년 7월 27일) 는 일본제국 육군의 군인이.

새로운!!: 5·15 사건와 무토 노부요시 · 더보기 »

미카미 다쿠

미카미 다쿠 또는 미카미 다카시(1905년 3월 22일 ~ 1971년 10월 25일)은 일본 쇼와 시대에 걸쳐 활약했던 해군 군인이자 우익 활동가였.

새로운!!: 5·15 사건와 미카미 다쿠 · 더보기 »

가타쿠라 다다시

시(1898년 5월 18일 ~ 1991년 7월 23일)은 일본의 육군 군인, 기업인이.

새로운!!: 5·15 사건와 가타쿠라 다다시 · 더보기 »

곤도 세이쿄

세이쿄 곤도 세이쿄(1868년 4월 13일 ~ 1936년 7월 9일)는 일본의 우익 사상가, 민간 지도자, 교육자, 한학자, 제도학자이.

새로운!!: 5·15 사건와 곤도 세이쿄 · 더보기 »

긴노마코토무스비

《유신공론》 긴노마코토무스비()는 1939년 3월 20일부터 1943년 10월 21일까지 존재한 일본의 국가주의 단체이.

새로운!!: 5·15 사건와 긴노마코토무스비 · 더보기 »

다카하시 고레키요

시 고레키요(1854년 9월 19일 ~ 1936년 2월 26일)는 일본의 정치가로, 입헌 정우회 총재와 제20대 내각총리대신을.

새로운!!: 5·15 사건와 다카하시 고레키요 · 더보기 »

다치바나 고자부로

바나 고자부로 (1893년 3월 18일 ~ 1974년 3월 30일) 는 일본의 정치 운동가, 농본주의 (農本主義) 사상가로, 파시스트이자 초국가주의자였.

새로운!!: 5·15 사건와 다치바나 고자부로 · 더보기 »

우쓰노미야 다로

우쓰노미야 다로(宇都宮太郞, 1861년 4월 27일 ~ 1922년 2월 15일)는 일본 제국의 육군 군인이.

새로운!!: 5·15 사건와 우쓰노미야 다로 · 더보기 »

요시자와 겐키치

요시자와 겐키치 (1932년, 외무대신 시절) 요시자와 겐키치 (1874년 1월 24일 ~ 1965년 1월 5일) 는 일본의 외교관으로, 1932년 일본의 외무대신을.

새로운!!: 5·15 사건와 요시자와 겐키치 · 더보기 »

이누카이 쓰요시

이누카이 쓰요시(1855년 6월 4일 ~ 1932년 5월 15일)는 일본 제국의 정치가이자 총리로 1931년 와카쓰키 레이지로 수상이 사임하자 그 뒤를 이어 총리가 되었.

새로운!!: 5·15 사건와 이누카이 쓰요시 · 더보기 »

일본의 군사사

일본의 군사사(日本の軍事史)는 고대 율령제 조정의 징병제가 붕괴한 뒤 무가와 막부가 탄생한 순간, 그리고 이후 무로마치 막부가 붕괴하면서 센고쿠 시대를 거친 변화, 에도 막부의 문치 정치를 거쳐 메이지 유신 이후 현대 징병제에 근거한 국민군의 성립과 제국주의에 의한 대외 전쟁을 특징으.

새로운!!: 5·15 사건와 일본의 군사사 · 더보기 »

일본의 역대 내각총리대신

현임 내각총리대신 아베 신조 이 문서는 일본의 역대 내각총리대신()에 관한 내용이.

새로운!!: 5·15 사건와 일본의 역대 내각총리대신 · 더보기 »

제국의회 (일본)

제국의회(帝國議會)는 1889년에 발포한 일본 제국 헌법에 따라 설치한 일본의 국회이.

새로운!!: 5·15 사건와 제국의회 (일본) · 더보기 »

중신회의

중신회의()는 일본 쇼와 시대에 원로가 관장하던 업무를 계승하는 형태로 후임 내각총리대신의 선정이나 국가의 중요 사항에 관하여 천황의 자문에 답하는 형태로 열린 회의였.

새로운!!: 5·15 사건와 중신회의 · 더보기 »

총리대신 관저

수상 관저(首相官邸)는 일본 내각총리대신이 집무를 행하는 건물이.

새로운!!: 5·15 사건와 총리대신 관저 · 더보기 »

쓰지 마사노부

쓰지 마사노부(1902년 10월 11일 ~ 1968년?)는 일본의 육군 군인, 정치가이.

새로운!!: 5·15 사건와 쓰지 마사노부 · 더보기 »

선거숙정운동

선거숙정운동(센쿄슈쿠세이운도우)은 일본의 보통선거법이 제정된 이후 1920년대 ~ 1930년대에 공명정대한 선거 실시를 목표로 열린 선거 정화 운동이.

새로운!!: 5·15 사건와 선거숙정운동 · 더보기 »

쇼와 천황

쇼와 천황(1901년 4월 29일 ~ 1989년 1월 7일)은 일본의 제124대 천황이.

새로운!!: 5·15 사건와 쇼와 천황 · 더보기 »

쇼와 유신

쇼와 유신()은 1930년대 쇼와 전기 일본에서 일어난 혁명 사상을 가리키는 정치용어이.

새로운!!: 5·15 사건와 쇼와 유신 · 더보기 »

2·26 사건

정 일대를 점령한 장교들 2·26 사건(二・二六事件)은 1936년 2월 26일 일본 육군의 황도파 청년장교들이 1483명의 병력을 이끌고 일으킨 반란사건이.

새로운!!: 5·15 사건와 2·26 사건 · 더보기 »

5·16 군사 정변

5·16 군사 쿠데타(五一六軍事 coup d’État)는 1961년 5월 15일 저녁부터 1961년 5월 18일 정오 무렵까지 서울, 부산, 대전, 광주, 김포, 부평, 수색, 포천 등에서 쿠데타를 목적으로 일어난 유혈 군사반란을 말한다. 주동자는 서울을 관할하는 제6 관구의 전 사령관이었던 박정희로 밝혀졌으며 그는 미국에 의해 지방으로 좌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삼군의 참모총장 몰래 십수명의 장성 및 수십명의 핵심 영관급 장교들과의 사전모의를 통하여 무력으로 정권을 탈취하고자 하였다. 사전에 참여 병력으로는 김포 공수단 10000000여명, 해병 제1여단 1300여명, 6관구 사령부 소속 병력 1700여명, 김형욱 회고록 p.184 "혁명 장교들이 인솔하는 해병대 1300명, 공수단 1000여명 및 6관구 병력 등 도합 4000여명이었다."제6군단 포병단 5개대대 3000여명과 제5사단(사단장 채명신 준장이 이끌고 서울 진주), 제12사단(사단장 박춘신 준장과 부사단장 및 작전참모가 이끌고 춘천 진주), 제30사단(부사단장, 작전참모, 헌병부장이 사단 이끌고 서울 진주), 제33사단(작전참모, 연대장 등이 이끌고 서울 진주), 그리고 2군을 비롯한 지방에 있던 여러 장교들까지 수만명에 이르렀다. 제2공화국은 이를 진압하고자 했으나, 공병대를 제외하고, 서울 인근에 있는 모든 전투 군부대가 이미 반란군에게 장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평시작전 통제권을 쥐고 있던 주한미군 총사령관이 불개입 의사를 표시하고 2군단장 등이 사후동조를 하면서 휴전선 인근의 일선부대를 대거 차출해야 했던바 진압을 고의적으로 포기해버렸다. 이 사건의 결과로 한명의 민간인과 십여명 이상의 군인이 죽거나 다쳤으며 제2공화국은 와해되고 군인들이 세운 국가재건최고회의가 삼권을 장악해 3여년간의 군부독재를 실시하였다.

새로운!!: 5·15 사건와 5·16 군사 정변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5.15 사건, 5.15사건, 515 사건, 515사건, 5·15 쿠데타.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