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당나라

색인 당나라

당(唐, 618년 ~ 907년)은 수나라 멸망 뒤 건국된 중국의 정통왕조이.

1767 처지: 능가경, 능연각, 러산 대불, 랴오둥반도, 랴오양 시, 랴오시, 란저우 시, 덴지 천황, 덴표쇼호, 덕무왕, 덕적도, 덕종, 돌궐, 돌궐 제1카간국, 도 (중국), 도 (행정 구역), 도라에몽의 연표, 도관, 도교, 도장 (책), 도의, 도참, 도첩제, 도침, 도윤, 도연명, 도쇼다이지, 도시 계획, 독고, 독안룡, 동돌궐, 동습, 동이, 동이교위, 동중서문하평장사, 동창 (군벌), 동천 (도교), 동산양개, 동성애, 동성애와 종교, 동아시아, 동아시아의 별자리, 동아시아의 교통, 동아시아의 역사, 라이시 시, 라성염, 라싸 시, 롄장 현 (중화인민공화국), 루가오 시, 루저우 시 (핑딩산 시), ..., 룽먼 석굴, 룽옌 시, 뤄양 시, 류 (성씨), 류저우 시, , 리 태종, 리장 고성, 리치 (식물), 리수이 시, 링우 시, 말법 사상, 매국노, 매사냥, 매소성, 매소성 전투, 맹방립, 맹지상, 맹호연, 만리장성, 만다라, 만천과해, 마단림, 마니교, 마조도일, 마애불, 맘루크, 메이저우 시, 모용선비, 모후산, 목종, 몽골의 대외 관계, 몽구 (책), 명랑, 명광개, 명교, 명나라, 무덕, 무종, 무주 (당나라), 무상 (신라의 승려), 무염, 무왕 (백제), 문덕황후, 문덕황후 (당나라), 문명 (동음이의), 문명 (당), 문무왕, 문묘, 문관사림, 문두루법회, 문종, 문성공주, 문하시중, 문원영화, 묘호, 미란, 미술, 미역, 민욱 (당나라), 민애왕, 밍간, 감로의 변, 방 (성씨), 방효태, 방중술, 방술, 방현령, 방훈의 난, 배구 (547년), 백 (성씨), 백마사, 백목련, 백문보, 백문색, 백강 전투, 백거이, 백빙산 전투, 백장회해, 백제, 백제 부흥운동, 백제의 멸망, 백제의 관직, 백탁, 백암성, 백화문, 개부의동삼사, 개요 (당), 개평 (후량), 개성 왕씨, 발해, 발해 무왕, 발해 문왕, 발해 고왕, 발해 선왕, 발해-당 전쟁, 발해-요 전쟁, 발해고, 발해의 문화, 발해의 중앙 관제, 개원, 반치음, 반산보적, 반설음, 반야바라밀다심경약소, 반야경, 반야심경, 바쿠 (요괴), 바오지 시, 바오산 시, 간쑤성, 간표, 강희제, 강수 (신라), 강하군, 가도 (당나라), 가레산스이, 가르궁린, 가르통짼 율숭, 가방, 밀교 (불교), 가네다성, 가전문학, 가탐, 가오창 구, 가실왕, 거란, 거대 제국 목록, 거타지, 건강 (지명), 건봉, 건봉사, 건녕, 건원, 건원중보, 걸걸중상, 걸사비우, 겐겐, 겐나, 베이징 시, 베이촨 창족 자치현, 격구, 격황소서, 견발해사, 견당사, 견탐라사, 겸익, 벼루, 경덕왕, 경동서로, 경룡, 경문왕, 경종, 경주 망덕사지, 경주 감산사 석조미륵보살입상,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좌상, 경상남도, 경행기, 경연, 벽사회, 번 (행정 구역), 번시 시, 법장 (당나라), 법융, 법상종, 법안문익, 검모잠, 검안군, 고려, 고려 광종, 고려 의조, 고려 태조, 고려의 중앙 관제, 고려의 행정 구역, 고마 신사, 고마노 오야마, 고간, 고간 (당나라), 고복덕, 고계흥, 고부군, 고구려, 고구려 부흥운동, 고구려-당 전쟁, 고구려-수 전쟁, 고구려-수·당 전쟁, 고구려인의 강제 이주, 고구려의 대외 관계, 고운사, 고승전 (혜교), 고인승, 고전후 시대, 고정의, 고조, 고종, 고질, 고창 (역사), 고체시, 고쿠후 문화, 고순 (신라), 고혜진, 고현 (642년), 고언랑, 고연무, 고연수, 고사전, 고선지, 고토 시, 고토쿠 천황, 고한월어, 고황후, 고환권, 곡산 노씨, 곤룡포, 보량궁주, 보덕, 보덕국, 보덕왕, 보라궁주,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보장왕, 보저우 시, 보얼타라 몽골 자치주, 보양, 보원왕, 본관, 과거제, 과학사, 곽자의, 공무역, 공작 (작위), 공주, 공영달, 공성계, 계림대도독부, 계백, 계율종, 계원필경, 변 (성씨), 광둥어, 광펑 구, 광저우 시, 광택 (당), 광화, 봉선, 관정, 관중 (지명), 관창, 관서 지방, 북제서, 북송, 북송 태종, 권선재, 불미국, 불공, 불교의 역사, 분메이, 부병제, 부부인, 부절, 부여 당 유인원 기공비,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부여문사, 부여경, 부여효, 부여용, 부여융, 부여태, 부여연, 부여성, 부석사, 부석사 (서산시), 균전제, 그네, 극 (무기), 근 (단위), 근초고왕, 규기, 규암면, 규암면의 역사, 귀의군, 귀실복신, 기 (오대 십국), 기도위, 기독교, 기독교의 역사, 기마민족설, 기모노, 기벌포, 기벌포 해전, 기노성, 기년아람, 기토라 고분, 기하학사, 길 (성씨), 길장, 금강 (쓰촨 성), 금강정경, 금강지, 금붕어, 금구 온씨, 금군, 금나라, 글필하력, 비간 (상나라), 비단길, 비담종, 비전 (화폐), 김 (성씨), 김문영 (신라), 김가기, 김고타소, 김교각, 김용 (1924년), 김흠순, 김인문, 김인문묘, 김질 (1422년), 김충공, 김유신, 김양 (신라), 김양도, 김품일, 김삼광, 김원술, 대동강, 대력, 대모달, 대문예,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대부 (칭호), 대비천 전투, 대구 보성선원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복장전적, 대당고김씨부인묘명, 대당창업기거주, 대운하, 대승광오온론, 대승기신론, 대승오온론, 대승아비달마잡집론, 대승아비달마집론, 대자은사, 대장군, 대인선, 대일경, 대조영 (드라마), 대종, 대중 전달, 대진사, 대위해, 대한민국-몽골 관계, 대한민국의 조세, 대한제국, 대안탑, 대하돌라, 대하마회, 대하굴가, 대하씨, 대하아복고, 대왕의 꿈, 누란의 미녀, 교자 (지폐), 교상판석, 교하 노씨, 구 (성씨), 구다라노코니키시씨, 구당서, 구장산술, 구이저우성, 구이양 시, 구주춘추, 구카이, 구영, 구양순, 구톈 현, 구와노미데라, 국대부인, 국자감, 국자감 (고려), 국아군제, 군주 (칭호), 군위 아미타여래삼존 석굴, 군산은침, 두막루, 두건덕, 두보, 두우, 두순학, 두여회, 둥후 구, 둔황 시, 남 (성씨), 남도육종, 남당, 남제서, 남조 (왕국), 남양 방씨, 남한 (십국), 낭야군, 내몽골 자치구, 내항, 난충 시, 난양 시, 난안 구, 난핑 시, 난퉁 시, 나라 시, 나라 시대, 나라현, 나르시에, 나당 전쟁, 나은 (당), 나주 정씨 (丁), 나시족, 낙 (성씨), 낙화암, 등처눌, 등신불, 등왕각, 네스토리우스, 네이장 시, 노 (성씨), 노가쿠, 노광조, 노블레스 오블리주, 노언위, 노연창, 녹안홍, 닝보 시, 닝화 현, 다롄 시, 다롄의 역사, 다운동, 다이카 개신, 다이호 율령, 다테 마사무네, 다완, 단둥 시, 단언모, 단양 피씨, 단속사지, 담전파, , 당 덕종, 당 목종, 당 무종, 당 문종, 당 경종, 당 고조, 당 고종, 당 대종, 당 희종, 당 의종, 당 중종, 당 상제, 당 태종, 당 순종, 당 숙종, 당 예종, 당 현종, 당 헌종, 당 선종, 당 소종, 당 애제, 당률, 당나라의 동돌궐 정벌, 당나라의 관제, 당회요, 당의, 당삼채, 당성 서씨, 당송팔대가, 당악, 스리위자야 제국, 스팡 시, 스핑 현, 효령 사공씨, 용삭, 우륵의 12곡, 우문사급, 우문화급, 우당산, 우저우 시, 우지녕, 우창 시, 우유겸, 우타이산, 우세남, 울림군, 울지공, 울지을승, 승상, 승탑, 회계군, 회창, 회창의 폐불, 요 태조, 요동 정벌, 요동군, 요동성, 요나라, , 자치통감, 자치통감강목, 자오허 고성, 장문휴, 장간회, 장건, 장경, 장공소, 장괴, 장기, 장전의, 장준, 장직방, 장유 시, 장윤신, 장순 (당나라), 장영, 장옌 구, 장언, 장언원, 장쑤성, 장사 (관직), 장손무기, 장손씨, 장항읍, 장한가, 장안, 장안 (무주), 재초, 재초 (당), 재아, 편년체, 편전, 펑저우 시, 작위, 펑샹 현, 펑화 시, 임제록, 임제종, 임조칭제, 임해군 (행정 구역), 입당구법순례행기, 입술소리, 폐후 위씨, 포광사, 포산시, 평로치청절도사, 평양직할시, 평해 구씨, 흠화군 절도사, 흥덕왕, 흥경궁, 흥수, 희종, 이 (성씨), 이량, 이도종, 이리 카자흐 자치주, 이무훈, 이무훈 (노룡군 절도사), 이백, 이백약, 이밀, 이밀 (754년), 이밀 (동음이의), 이가거, 이거, 이경업, 이고, 이고 (당나라), 이고 (서량), 이계천, 이변 (남당), 이광필, 이극용, 이근행 (당나라), 이누야마성, 이납, 이담명, 이효, 이승굉, 이인한, 이전충, 이정 (571년), 이정 (당 숙종), 이정 (당나라 왕족), 이정 (은나라), 이정 (중국 신화), 이정기 (732년), 이저우 구 (하미 시), 이존욱, 이진충, 이창 시, 이창부, 이창언, 이충 (당), 이치, 이유 (당나라), 이위공문대, 이상은 (당나라), 이옹, 이예, 이언로, 이연수, 이헌, 이엄 (고려), 이사훈, 이세적, 이해고, 이하 (당나라), 이신 (전국), 이실활, 이원길, 이원영, 이원영 (당), 이홍 (당), 인덕 (당), 인저우 구 (닝보 시), 인천 경서동 녹청자 요지, 인삼, 인쇄, 인왕경, 일릭 카간, 일목장군, 일반적인 오해 목록, 일본, 일본 국왕, 일본 천황, 일본 한자음, 일본-중국 관계, 일본의 불교, 일본의 군사사, 일본의 율령제, 일본의 역사, 일본의원복, 일기, 일길찬, 일남군, 음력 7월 18일, 음양사, 음서, 의령 옥씨, 의령 여씨, 의봉, 의녕, 의자의 역사, 의자왕, 의정 (승려), 의종, 의직, 의상 (신라), 의현, 의양공주, 익산 어래산성, 흑치상지, 흑수말갈, 응오 왕조, 응오꾸옌, 은 (성씨), 은고, 적청, 적산법화원, 적산선원, 적성군, 점복, 제1차 고구려-당 전쟁, 제1천년기, 제2차 고구려-당 전쟁, 제3차 고구려-당 전쟁, 제나라, 제자백가, 제음군, 절도사, 절강 편씨, 전라도, 전기 (당나라), 전당문, 전당시, 전촉, 전원관, 정 (성씨), 정 (시호), 정명진, 정강군, 정관 (당), 정관의 치, 정관정요, 정년 (신라), 정효공주묘, 정전법, 정전제, 정저우 시, 정창, 정사 (역사학), 정토교, 정원 (동음이의), 정화왕후, 저장성, 저수량, 조 (오대 십국), 조덕인, 조로 (당), 조갑제, 조용조, 조주, 조주종심, 조캉 사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의 행정 구역, 조황 (당나라), 조확, 종경록, 종광시, , 주 (성씨), 주례, 주류성, 주마뎬 시, 주경매, 주근 (당나라), 주우규, 주저우 시, 주천, 주침, 주선, 주서, 주하이 시, 주필산 전투, 주악, 죽지, 중경도, 중기병, 중국, 중국 문학, 중국 불교의 종파 목록, 중국 요리, 중국 음악, 중국 철학, 중국 연극, 중국의 불교, 중국의 기독교, 중국의 교통, 중국의 재상, 중국의 천문학, 중국의 옛 수도, 중국의 역사, 중국의 연호 목록, 중국의 황제 목록, 중국의 황태후 목록, 중국어, 중국어 음운론, 중의학, 중종, 중세, 중서문하성, 중서성, 중화인민공화국, 중화절, 중화연방, 집현전, 진 (군사), 진 (오대 십국), 진덕여왕, 진류군, 진자앙, 진평왕, 진이왕, 진저우 시 (랴오닝 성), 진중 시, 진패선, 진언 (당나라), 진언종, 진표, 진사 (칭호), 진서, 진서 (남조), 진화 햄, 징먼 시, 징안쓰, 지덕 (진), 지론종, 지린성, 지난 시, 지나, 지장, 지장보살, 지조개정, 지수신, 지역패권에 의한 평화 목록, 지토 천황, 지안 시 (퉁화 시), 차나무, 차이쌍 구, 차오양 시, 참깨볼, 참파, 창러 구, 창두 시, 창사 시, 책부원귀, 청두 시, 청나라, 청하 최씨, 첸 현, 첸장 구, 천랑열전, 천리장성 (고구려), 천문령 전투, 천방지축마골피, 천보, 천보 (당), 천복사, 천부경, 천우, 천자문, 천저우 시, 천존상, 천태종, 천성산, 총장 (당), 초계 주씨, 초기 무슬림 정복전쟁, 초나라,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13, 초조본 아비달마식신족론 권12, 충밍 구, 충밍섬, 충주 최씨, 충상, 취저우 시, 취안저우 시, 츠저우 시, 측천무후, 측천문자, 칠덕무, 침중기, 칫솔, 카를루크, 카이펑유대인, 카파간 카간, 치먼 현, 치음 (음운학), 칵테일, 쿠마라지바, 쿠처, 쿠얼러 시, 쌍봉사, 쌍기, 팍스 시니카, 판진 시, 판소리, 유 (성씨), 유백영, 유가사지론, 유건봉, 유귀국, 유교, 유우석, 유우석 (당나라), 유은, 유정회, 유종원, 유연 (전조), 유사정, 유한굉, 육우, 육조단경, 육진의 난, 윤 (성씨), 윤휴, 윤호 (여말선초), 율령격식, 패방, 율장, 율집해, 팽이, 파주 칠중성, 파천황, 윈난 성, 윈청 시, 융안, 융화 (동진), 팔개, 팔선, 위 선공, 위린 시 (광시 좡족 자치구), 위구르 카간국, 위구르족, 위군, 위장, 위진남북조 시대, 위징, 상 (시호), 상경도, 상분, 상당군, 상제, 상서복야, 상하이 시, 상원 (당 고종), 탐라, 샤오간 시, 태평공주, 태평어람, 태정관, 태조, 태종, 태종무열왕, 태상노군, 태사 (관직), 태원군, 태황태후, 태화 (신라), 탈라스 전투, 탈라스강, , 탕구트, 타스쿠얼간 타지크 자치현, 타클라마칸 사막, 타이저우 시 (저장 성), 타이완 공화국, 술회, 투루판 분지, 숴저우 시, 순자, 순자 (책), 순흠황후, 순종, 순창 현, 순천 송광사 목조삼존불감, 수 양제, 수러 현, 수말당초, 수묵화, 수공 (당), 수군, 수나라, 수서 (역사서), 수안공주, 숙비, 숙비 소씨, 숙달, 숙종, 숙신, 영락제, 영륭 (당), 영류왕, 영광 정씨, 영국공, 영국공주 (당 경종), 영주 (동음이의), 영창, 영창 (동진), 영창 (당), 영휘, 영태, 영태 (제), 영순 (당), 영호덕분, 영호징, 영양 김씨, 영양왕, 영안군 (중국), 오 (십국), 오도현 (화가), 오례, 오경정의, 오긍, 오대 (오대 십국), 오대 십국 시대, 오교 구산, 오노 성, 오승은 (명나라), 오자서, 오천항 (보령시), 오타니 고즈이, 오수전, 오석산, 오월, 옥 (성씨), 온 (성씨), 온정균, 온양 방씨, 온사문, 옷의 역사, 호 (민족), 호레키, 호로하 전투, 호뢰 전투, 호뢰관, 호분 (제도), 호족, 호서 지방, 혜능, 혜철, 혜초, 혜현, 혜소 (신라), 혜통, 예종, 예식진, 현무문의 변, 현경 (연호), 현장, 현종, 현양성교론, 형도, 형부, 형산군 (수), 옛 나라 목록, 최 (성씨), 최광유, 최승, 최승우, 최치원, 최현위, 최언위, 향교, 향신료 무역, 언월도, 양 (시호), 양만춘, 양민황후, 양귀비 (당나라), 양국충, 양저우 시, 양형, 양형 (당나라), 양행밀, 양사언 초서, 양산 내원사, 양산시, 행 (역사), 행대 (중국), 행주 은씨, 에프탈, 헝양 시, 헤이조쿄, 헤이안 시대, 헤이안쿄, 여 (성씨), 여대남, 여엄, 여산군, 역사 연표, 연 (오대 십국), 연 (안사), 연개소문, 연경, 연극의 역사, 연남건, 연남생, 연남산, 연정토, 연현은, 연헌성, 연성공, 연화 (북위), 염입본, 헌덕왕, 헌강왕, 헌종, 허강 시, 허베이성, 허난성, 허원, 허원 (당나라), 엔랴쿠, 엔닌, 엄 (성씨), 엄진삼, 쑤이닝 시, 쑤저우 시, 쑤저우 시 (안후이 성), 푸젠성, 푸양 시 (안후이 성), 푸퉈산, 쑹판 현, 풍도 (정치가), 풍속화, 풍왕, 키르기스스탄, 사 (문학), 사 (성씨), 사마르칸트, 사마정, 사문불경왕자론, 사고전서, 사공 (성씨), 사기 (역사서), 사기정의, 사대부, 사누키 우동, 사이초, 사조의, 사상구, 사타상여, 사수 전투, 사오양 시, 사사명, 사성 (당), 사토, 사악, 산둥반도, 산둥성, 산삼, 산시 역사박물관, 산시성 (산서성), 산시성 (섬서성), 삼무일종의 법난, 삼교, 삼교합일, 삼국 시대, 삼국 시대의 문학, 삼청, 삼십육자모, 삽량주, 쓰촨어, 쓰시마 국, 피 (성씨), 피라각, 피휘, 프리모르스키 지방, 석호 (후조), 선 (불교), 선덕왕, 선무외, 선우도호부, 선종영가집, 선종영가집언해, 선지 (종이), 선생, 선사, 선시, 설랑, 설란, 설도 (중국), 설계두, 설인귀, 설음, 설탕, 설연타, 섭론종, 터키의 역사, 성덕왕, 성라피, 성수침 필적, 성실종, 성황묘, 세계의 역사, 세노라, 세이 신세이, 세조, 세시, 서 (성씨), 서명사, 서경 압록부, 서북공정, 서우 현, 서재필, 서유기, 서융, 서호, 서혜, 서얼, 서하, 서원, 속말말갈, 손만영, 손자병법, 손오공, 토욕혼, 송·명 시대의 사상, 송나라, 송짼감뽀, 톤유쿡, 소 (시호), 소가노 이루카, 소고구려, 소그드인, 소국공주, 소정방, 소종, 소중화사상, 소숭망, 소호 (오제), 소성왕, 소송 (북송), 소안탑, 통도사, 통일적 다민족국가론, 통일신라, 통일신라의 불교, 통일신라의 교육, 통지 (책), 톄링 시, 퇴고, 쇼토쿠 (연호), 쇼소인, 쇄자갑, 애 (시호), 함형, 함양 여씨, 함열군, 함통, 해족, 해심밀경소, 야마시로 국, 야광배, 야율균덕식, 야율누리사, 야율살랄덕, 야율살랄적, 한·당 시대의 사상, 알리오스, 한림원, 한반도, 한강 (광둥 성), 한복, 한국, 한국 고대의 교육, 한국 불교의 역사, 한국 철학, 한국 한자음, 한국음악, 한국의 도교, 한국의 도교 사상, 한국의 명절, 한국의 문화, 한국의 궁중무용, 한국의 불교 사상, 한국의 기독교, 한국의 교육, 한국의 역사, 한국의 역사에 대한 오해 목록, 한국의 연극, 한국의 연호, 한국의 사라진 성씨, 한나라, 한자, 한일 관계, 한진포구, 한청 시, 한유, 한윤중, 한역대장경, 한푸, 한산사 (쑤저우), 한약, 한시, 안 (성씨), 안·사의 난, 안동도호부, 안락공주, 안락집, 안북도호부, 안남, 안남 (동음이의), 안남도호부, 안녹산, 안정공주, 안진경, 안진경 (709년), 안사고, 안서도호부, 안시성, 안시성 전투, 안후이성, 하동군 (중국), 하남군, 하내군, 하노이, 하이수 구, 하이양 시, 하쿠치, 앵앵전, 핑샹 시 (장시 성), 핑후 시, 아뢰야식, 아베노 히라후, 아스카 시대, 아우렐 스타인, 아음, 아커쑤 시, 필사탁, 아프라시압 궁전 벽화, 아악, 아시리아 동방교회, 아시리아인, 압해 정씨, 악부, 악언정, 악양루 (중국), 텅충 시, 퉁관 현, 신라, 신라 와당, 신라도, 신라방, 신라구, 신라국기, 신라의 불교, 신라의 대외 관계, 신라의 조각, 신라의 삼국통일, 신라정토계획, 신라악, 신룡, 신룡 (당), 신무왕, 신당서, 신장 위구르 자치구, 신정 시, 신저우 시, 신창 맹씨, 신수 (당나라), 실록, 실차난타, 실위, 실상사, 실상산문, 심군량, 심의식, 십국 (오대 십국), 십통, 티베트, 티베트의 역사, 시라무룬허, 시박사, 시경, 시부, 시비 카간, 시디춘, 시닝 시, 시중 (신라의 관직), 시토쿠, 시안 시, 시안성벽, 시후 구 (난창 시), 원 (성씨), 원나라, 원효,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원주 원씨, 원진, 원창왕후, 원측, 원산 좡족 먀오족 자치주, 원시천존, 원화, 원화 (후한), 웡곡, 웡다이신 구, 훈고학, 훈요십조, 월지, 후량 (오대), 후베이성, 후궁 (중국), 후군집, 후당, 후이족, 후음, 후저우 시, 후주, 후지와라노 가마타리, 후지와라쿄, 웅진도독부, 웅천주, 홍도 (당), 홍려정비, 홍명집, 홍대용, 홍농, 홍농군, 홍인, 홍천 피씨, 홍척, 홍콩, 홍콩의 역사, 황보 (성씨), 황제, 황태 (수), 황산벌 전투, 황소 (당나라), 황소의 난, 황해, 황해도, 황후화, 왜도, 환관, 화관, 화기, 화폐사, 화청지,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비, 화엄경, 화엄경탐현기, 화엄종, 화엄오교장, 화엄사, 화씨벽, 완적, 완산주, 완함, 왕 (한국 성씨), 왕모중, 왕문도, 왕발, 왕건 (전촉), 왕건조, 왕경무, 왕경숭, 왕고 (당나라), 왕용, 왕중영, 왕중영 (형), 왕위 계승 방식, 왕오천축국전, 왕언장, 왕연균, 왕사범, 왕세충, 왕한, 왕심지, 홀 (물건), 와카, 와키자카 야스하루, 홀한주도독부, 095형 잠수함, 2월 22일, 599년, 5기, 618년, 619년, 620년, 621년, 622년, 623년, 624년, 625년, 626년, 627년, 628년, 629년, 630년, 631년, 632년, 633년, 634년, 635년, 636년, 637년, 638년, 639년, 640년, 641년, 642년, 643년, 644년, 645년, 646년, 647년, 648년, 649년, 650년, 651년, 652년, 653년, 654년, 655년, 656년, 657년, 658년, 659년, 660년, 661년, 662년, 663년, 664년, 665년, 666년, 667년, 668년, 669년, 670년, 671년, 672년, 673년, 674년, 675년, 676년, 677년, 678년, 679년, 680년, 681년, 682년, 683년, 684년, 685년, 686년, 687년, 688년, 689년, 690년, 6월 18일, 6월 25일, 705년, 706년, 707년, 708년, 709년, 710년, 711년, 712년, 713년, 714년, 715년, 716년, 717년, 718년, 719년, 720년, 721년, 722년, 723년, 724년, 725년, 726년, 727년, 728년, 729년, 730년, 731년, 732년, 733년, 734년, 735년, 736년, 737년, 738년, 739년, 740년, 741년, 742년, 743년, 744년, 745년, 746년, 747년, 748년, 749년, 750년, 751년, 752년, 753년, 754년, 755년, 756년, 757년, 758년, 759년, 760년, 761년, 762년, 763년, 764년, 765년, 766년, 767년, 768년, 769년, 770년, 771년, 772년, 773년, 774년, 775년, 776년, 777년, 778년, 779년, 780년, 781년, 782년, 783년, 784년, 785년, 786년, 787년, 788년, 789년, 790년, 791년, 792년, 793년, 794년, 795년, 796년, 797년, 798년, 799년, 7세기, 800년, 801년, 802년, 803년, 804년, 805년, 806년, 807년, 808년, 809년, 810년, 811년, 812년, 813년, 814년, 815년, 816년, 817년, 818년, 819년, 820년, 821년, 822년, 823년, 824년, 825년, 826년, 827년, 828년, 829년, 830년, 831년, 832년, 833년, 834년, 835년, 836년, 837년, 838년, 839년, 840년, 841년, 842년, 843년, 844년, 845년, 846년, 847년, 848년, 849년, 850년, 851년, 852년, 853년, 854년, 855년, 856년, 857년, 858년, 859년, 860년, 861년, 862년, 863년, 864년, 865년, 866년, 867년, 868년, 869년, 870년, 871년, 872년, 873년, 874년, 875년, 876년, 877년, 878년, 879년, 880년, 881년, 882년, 883년, 884년, 885년, 886년, 887년, 888년, 889년, 890년, 891년, 892년, 893년, 894년, 895년, 896년, 897년, 898년, 899년, 8세기, 900년, 901년, 902년, 903년, 904년, 905년, 906년, 907년, 908년, 9세기.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717 더) »

능가경

《능가경(楞伽經)》()은 후기 대승불교의 경전이.

새로운!!: 당나라와 능가경 · 더보기 »

능연각

능연각(凌煙閣)은 중국 당나라의 태종 이세민 때에, 당나라 개국공신 24명의 초상을 걸어두었던 누각을 말. 능연각의 공신들을 '능연각공신'이라고 부른.

새로운!!: 당나라와 능연각 · 더보기 »

러산 대불

산 대불()은 중국 쓰촨 성 러산 시에 있는 대불로 세계 최대의 석각대불이.

새로운!!: 당나라와 러산 대불 · 더보기 »

랴오둥반도

오둥 반도의 위치 랴오둥 반도() 또는 요동 반도(문화어,: 료동 반도)는 중화인민공화국 랴오닝 성(遼寧省) 남부의 반도이.

새로운!!: 당나라와 랴오둥반도 · 더보기 »

랴오양 시

오양(요양시)은 랴오닝 성에 위치하며 고대부터 요동의 중심지였으며, 군사상 중요도시이며 신흥 공업도시이.

새로운!!: 당나라와 랴오양 시 · 더보기 »

랴오시

오시() 또는 요서(문화어, 중국조선말: 료서)는 중화인민공화국 랴오닝 성 북부의 해안 지대이자 랴오둥 반도 북서부와 접해있는 회랑 (지정학)이.

새로운!!: 당나라와 랴오시 · 더보기 »

란저우 시

저우(난주/란주)는 서북지방 최대의 공업도시이자 간쑤 성의 성도(省都)이며 면적은 13,271km2이고 인구는 321만 명에 그중 도시인구가 약 140만 명 정도이.

새로운!!: 당나라와 란저우 시 · 더보기 »

덴지 천황

황(626년 ~ 672년 1월 7일)는 일본의 38대 천황이.

새로운!!: 당나라와 덴지 천황 · 더보기 »

덴표쇼호

쇼호()는 일본의 연호 중 하나이.

새로운!!: 당나라와 덴표쇼호 · 더보기 »

덕무왕

덕무왕(德武王), 고덕무(高德武, ? - ?)는 고구려의 마지막 국왕인 보장왕의 후손으로, 당나라에 끌려간 뒤 안동도독부도독에 임명.

새로운!!: 당나라와 덕무왕 · 더보기 »

덕적도

덕적도(德積島)는 인천광역시 옹진군 덕적면에 속하는 섬이.

새로운!!: 당나라와 덕적도 · 더보기 »

덕종

덕종(德宗)은 동아시아 제왕의 묘호 중 하나이.

새로운!!: 당나라와 덕종 · 더보기 »

돌궐

돌궐 제1제국의 강역 서돌궐의 강역 동돌궐 및 이후 돌궐 제2제국 최전성기의 강역 돌궐(突厥,,, 551년-657년) 또는 괵튀르크(𐰜𐰇𐰚 𐱅𐰇𐰼𐰜, Göktürk)는 천산 산맥에서 발원한 철륵의 하위 부족이.

새로운!!: 당나라와 돌궐 · 더보기 »

돌궐 제1카간국

국()은 몽골 고원 일대에서 돌궐 민족이 수립한 유목제국이.

새로운!!: 당나라와 돌궐 제1카간국 · 더보기 »

도 (중국)

중국 곡마단에서 쓰는 도. 도(刀)는 중국의 외날도검이.

새로운!!: 당나라와 도 (중국) · 더보기 »

도 (행정 구역)

(道)는 행정 구역의 이름이.

새로운!!: 당나라와 도 (행정 구역) · 더보기 »

도라에몽의 연표

에몽의 연표()는 후지코 F. 후지오의 만화 《도라에몽》 및 《대장편 도라에몽》에서 일어난 사건을 연도별로 정리한 연표이.

새로운!!: 당나라와 도라에몽의 연표 · 더보기 »

도관

(道觀)은 궁관(宮觀)이라고도 불리는 도교의 사원(寺院)이.

새로운!!: 당나라와 도관 · 더보기 »

도교

(道敎)는 고대 중국에서 발생한 종교로서, 신선사상을 근본으로 하여 음양오행복서무축참위 등을 더하고, 거기에 도가(道家)의 철학을 도입하고, 다시 불교의 영향을 받아 성립.

새로운!!: 당나라와 도교 · 더보기 »

도장 (책)

장(道藏)은 도교의 경전류를 모은 것으로 불교의 대장경과 같은 것이.

새로운!!: 당나라와 도장 (책) · 더보기 »

도의

승려 도의 도의(道義: fl. 821)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승려이.

새로운!!: 당나라와 도의 · 더보기 »

도참

(圖讖) 또는 참위(讖緯)는 내용형식에 관계 없이 미래에 일어날 일에 대한 예언 혹은 징조를 통칭하는 낱말로, 특히 인간 생활의 길흉화복 또는 성쇠득실(盛衰得失)에 대한 예언 혹은 징조를 가리키는 낱말이.

새로운!!: 당나라와 도참 · 더보기 »

도첩제

첩제(度牒制) 또는 도승제(度僧制)는 승려에게 의무적으로 승려들만의 신분증명서인 도첩(도패(度牌)라고도 불린다)을 지니도록 한 신분 증명 제도이.

새로운!!: 당나라와 도첩제 · 더보기 »

도침

(道琛, ? ~ 661년)은 백제 말기의 승려이.

새로운!!: 당나라와 도침 · 더보기 »

도윤

윤(道允, 798년 ~ 868년)은 신라의 승려이.

새로운!!: 당나라와 도윤 · 더보기 »

도연명

연명 도연명(陶淵明, 365년 ~ 427년)은 중국 동진 후기에서 남조 송대 초기까지 살았던 전원시인(田園詩人)이.

새로운!!: 당나라와 도연명 · 더보기 »

도쇼다이지

당 강당(안쪽)과 고루(오른쪽), 앞의 것은 금당 도쇼다이지(唐招提寺)는 일본 나라현 나라 시에 있는 불교 사원으로 남도 6종의 하나인 율종의 총본산이.

새로운!!: 당나라와 도쇼다이지 · 더보기 »

도시 계획

밤, 도시의 분포를 알 수있다. 퍼스시의 교외지역인 소렌토. 난개발 중에서도 자연 보존과 도시의 심미화가 슬럼화, 도시 재개발, 초고층화, 교외화와 함께 공존하는 도시이다. 호주의 캔버라 시. 1868년의 스웨덴 스톡홀름 전경. 1758년의 오스트리아 빈 전경. 도시 계획(都市計劃)은 도시의 바람직한 미래상을 정립해 가며 이를 시행하려는 일련의 과정을 말. 또한 도시계획은 도시의 장래 발전 수준을 예측하여 사전에 바람직한 형태를 미리 상정해두고 이에 필요한 규제나 유도정책, 혹은 정비수단 등을 통하여 도시를 건전하고 적정하게 관리해 나가는 도구이.

새로운!!: 당나라와 도시 계획 · 더보기 »

독고

독고(獨孤)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당나라와 독고 · 더보기 »

독안룡

독안룡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당나라와 독안룡 · 더보기 »

동돌궐

동돌궐과 돌궐 제2제국에 최전성기의 강역. 동돌궐(東突厥) (583년~644년) 은 583년에 수나라의 이간책으로 분리된 돌궐의 한 세력이.

새로운!!: 당나라와 동돌궐 · 더보기 »

동습

동습(董襲, ? ~ ?)은 중국 후한 말기의 군인으로, 자는 원세(元世) 또는 원대(元代)이며 회계군 여요현(餘姚縣) 사람이.

새로운!!: 당나라와 동습 · 더보기 »

동이

사이의 명칭 동이(東夷)는 중국 역사에서 동쪽에 사는 이민족을 일컬어 부르는 말이.

새로운!!: 당나라와 동이 · 더보기 »

동이교위

동이교위(東夷校尉)는 중국 위진남북조 시기에 요동 지방에 설치되었던 관직이.

새로운!!: 당나라와 동이교위 · 더보기 »

동중서문하평장사

동중서문하평장사(同中書門下平章事)는, 중국 당(唐)대부터 원(元)대까지 존재했던 관직이.

새로운!!: 당나라와 동중서문하평장사 · 더보기 »

동창 (군벌)

동창(董昌, ? ~ 896년 7월 3일)은 중국 당나라 말기에 활약했던 군벌이었.

새로운!!: 당나라와 동창 (군벌) · 더보기 »

동천 (도교)

300px 동천()은 도교에서 성스럽게 여기는 장소의 유형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당나라와 동천 (도교) · 더보기 »

동산양개

동산양개 스님 동산양개(洞山良价, 807년 ~ 869년)는 9세기 중국 당나라의 승려이.

새로운!!: 당나라와 동산양개 · 더보기 »

동성애

동성애(同性愛)는 생물학적 또는 사회적으로 같은 성별을 지닌 사람들 간의 감정적, 성적 끌림을 뜻. 일반적으로 게이는 남성 동성애자, 레즈비언은 여성 동성애자를 일컫.

새로운!!: 당나라와 동성애 · 더보기 »

동성애와 종교

동성애와 종교간의 관계는 시대와 장소에 따라 크게 변화하였으며 종교와 종교내 교단마다, 동성애와 양성애에 따라 다양한 입장이 존재해왔.

새로운!!: 당나라와 동성애와 종교 · 더보기 »

동아시아

동아시아(東아시아) 또는 동북아시아(東北아시아, Northeast Asia) 아시아의 동부 지역을 지칭하는 지리적, 문화적 "The East Asian cultural sphere evolves when Japan, Korea, and what is today Vietnam all share adapted elements of Chinese civilization of this period (that of the Tang dynasty), in particular Buddhism, Confucian social and political values, and literary Chinese and its writing system." 명칭이.

새로운!!: 당나라와 동아시아 · 더보기 »

동아시아의 별자리

3원 28수의 체계로 대표되는 동아시아의 별자리는 한국을 비롯하여 중국, 일본에서 현대 천문학이 보급되기 전까지 수천 년 간 관측 기록에 쓰였.

새로운!!: 당나라와 동아시아의 별자리 · 더보기 »

동아시아의 교통

민국에는 대한민국의 고속국도 제1호선인 경부고속도로를 비롯하여 4,000km에 달하는 31개의 고속도로 등의 도로가 있. 도로에 관해서는 도로법에 규율.

새로운!!: 당나라와 동아시아의 교통 · 더보기 »

동아시아의 역사

동아시아 지역 동아시아의 역사는 한국과 일본, 중국 등을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의 역사이.

새로운!!: 당나라와 동아시아의 역사 · 더보기 »

라이시 시

이시 시() 는 중화 인민 공화국 산둥 성 칭다오 시의 현급 행정구역이.

새로운!!: 당나라와 라이시 시 · 더보기 »

라성염

성염(羅盛炎, 634년 ~ 712년) 또는 라성(羅盛)은 대몽국의 제 2대 국왕이.

새로운!!: 당나라와 라성염 · 더보기 »

라싸 시

싸 시() 또는 라사는 티베트 자치구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도시이.

새로운!!: 당나라와 라싸 시 · 더보기 »

롄장 현 (중화인민공화국)

장 현의 수산물 채취 현장 롄장 현()은 중화인민공화국 푸젠 성 푸저우 시의 현급 행정 구역이.

새로운!!: 당나라와 롄장 현 (중화인민공화국) · 더보기 »

루가오 시

오 시() 는 중화 인민 공화국 장쑤 성 난퉁 시의 행정구역이.

새로운!!: 당나라와 루가오 시 · 더보기 »

루저우 시 (핑딩산 시)

저우 시() 는 중화 인민 공화국 허난 성 핑딩산 시의 현급 행정구역이.

새로운!!: 당나라와 루저우 시 (핑딩산 시) · 더보기 »

룽먼 석굴

룽먼석굴()은 중국 허난 성 뤄양 시의 남쪽 13 km 아래의 양쪽 언덕에 있는 동굴 사원이.

새로운!!: 당나라와 룽먼 석굴 · 더보기 »

룽옌 시

룽옌() 은 푸젠 성 남서쪽에 위치한 지급시이.

새로운!!: 당나라와 룽옌 시 · 더보기 »

뤄양 시

양(낙양)은 허난 성의 도시로, 동주와 후한 그리고 육조 시대의 옛 수도이.

새로운!!: 당나라와 뤄양 시 · 더보기 »

류 (성씨)

(柳, 劉)씨는 동아시아의 성씨이.

새로운!!: 당나라와 류 (성씨) · 더보기 »

류저우 시

저우(유주,, 좡어:Liujcouh)는 중국 광시 좡족 자치구의 중북부에 위치한 지급시이.

새로운!!: 당나라와 류저우 시 · 더보기 »

자의 마을 리 리(里)는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에서 사용하는 길이를 나타내는 단위이.

새로운!!: 당나라와 리 · 더보기 »

리 태종

250px 리 태종(1000년 - 1054년)은 베트남(대월국) 리 왕조의 제2대 황제이.

새로운!!: 당나라와 리 태종 · 더보기 »

리장 고성

리장 고성(丽江古城)은 중화인민공화국 윈난 성, 리장 시의 구시가지로 1997년 12월 3일 세계유산으로 등록되었.

새로운!!: 당나라와 리장 고성 · 더보기 »

리치 (식물)

리치(Litchi chinensis) 또는 라이치(Lychee)는 무환자나무과의 상록수 과일나무이.

새로운!!: 당나라와 리치 (식물) · 더보기 »

리수이 시

리수이 시()는 중화인민공화국 저장성에 위치하는 지급시이.

새로운!!: 당나라와 리수이 시 · 더보기 »

링우 시

링우 시() 는 중국 닝샤 후이족 자치구 인촨 시의 현급시로 중요한 공업 도시이.

새로운!!: 당나라와 링우 시 · 더보기 »

말법 사상

말법 사상(末法思想)은 불교의 역사관 중의 하나로, 정법시(正法時)상법시(像法時)말법시(末法時)의 3시(三時) 중 마지막 1만년간의 말법 시대에 대한 사상이.

새로운!!: 당나라와 말법 사상 · 더보기 »

매국노

매국노(賣國奴)는 승식 행위를 한 자를 비하하기 위해 쓰이는 용어이.

새로운!!: 당나라와 매국노 · 더보기 »

매사냥

매사냥으로 가장 널리 쓰인 보라매. 다만 보라매는 매과 매속이 아니고 수리과 새매속의 새이다. 매사냥(falconry)이란 훈련된 맹금류를 부려서 짐승을 잡는 사냥법이.

새로운!!: 당나라와 매사냥 · 더보기 »

매소성

매소성(買肖城) 또는 매초성은 675년(문무왕 15년) 신라와 당나라 사이에 격전이 벌어진 성으로, 경기도 연천군 청산면 대전리에 있. 대전리산성이라고도 부른.

새로운!!: 당나라와 매소성 · 더보기 »

매소성 전투

매소성 전투는 나당 전쟁 당시 675년 신라와 당나라가 매소성에서 벌인 전투로, 신라는 이 전투에서 당나라 20만 대군을 격파하여 그 간의 패배를 만회하고 나당 전쟁의 전세를 역전시.

새로운!!: 당나라와 매소성 전투 · 더보기 »

맹방립

맹방립(孟方立, ? ~ 889년)은 중국 당나라 말기에 활약했던 군벌로, 소의군(昭義軍) 번진(藩鎭)의 전체 또는 일부를 그곳의 절도사로서 881년부터 889년까지 지배하였.

새로운!!: 당나라와 맹방립 · 더보기 »

맹지상

후촉 고조 맹지상(後蜀高祖 孟知祥, 874년 5월 10일 ~ 934년 5월 24일)은 오대십국 시대 후촉의 창건자이자 초대 황제였다. 그는 당초 후당의 장군이었으며, 후당의 개국 황제 장종 이존욱의 큰누나 또는 사촌《신오대사》・《자치통감》・《십국춘추》등과 같은 많은 역사 기록에서는 맹지상의 아내가 이극용의 동생 이극양의 딸로 나타나 있는 반면, 그녀의 묘지에는 이극용과 정간황태후 조씨 소생의 딸로 나타나 있다.과 결혼하였고, 장종의 전촉 원정 이후에는 서천절도사(西川節度使, 본부는 지금의 쓰촨 성 청두 시)를 지냈으나, 장종 사후 장종의 의형이자 후계자인 명종 이사원과 소원해졌다. 나중에는 명종의 추밀사(樞密使) 안중회의 비난이 두려워서, 동천절도사(東川節度使, 본부는 지금의 쓰촨 성 몐양 시) 동장과 결탁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이후 맹・동 연합군은 그들을 진압하려는 후당의 시도를 물리칠 수 있었고, 맹지상은 나중에 동장을 격파하고 동장의 영토까지 자신의 지배하에 편입시켰다. 명종 연간의 남은 기간에 명종의 명목상의 신하가 된 후, 그는 934년 후촉을 세우고 자신의 영지를 독립국으로 선포하였다. 자는 보윤(保胤).

새로운!!: 당나라와 맹지상 · 더보기 »

맹호연

맹호연 맹호연(孟浩然, 689년 ~ 740년)은 중국 당나라의 시인이.

새로운!!: 당나라와 맹호연 · 더보기 »

만리장성

만리장성()은 흉노족 등의 유목 민족의 침입을 막기 위해 중국의 고대 진나라(시황제) 때 기존의 성곽을 잇고 부족한 부분은 새롭게 축조하여 만든 거대한 성곽이.

새로운!!: 당나라와 만리장성 · 더보기 »

만다라

금강계 만다라(Vajradhatu Mandala)가 그려져 있는 티베트 불교의 탕카 힌두교의 스리 얀트라(Sri Yantra) 만다라(曼茶羅, 曼陀羅)는 다양한 개체를 지칭하는 용어이.

새로운!!: 당나라와 만다라 · 더보기 »

만천과해

만천과해(瞞天過海)는 “하늘을 속이고 바다를 건너다”라는 뜻이.

새로운!!: 당나라와 만천과해 · 더보기 »

마단림

마단림(馬端臨, 1254년 ~ 1323년)은 중국 남송 말 원초의 유학자로, 『문헌통고』의 편찬자이.

새로운!!: 당나라와 마단림 · 더보기 »

마니교

마니교()는 사산 왕조(226~651) 시대에 성립된 주요한 페르시아 영지주의 종교 가운데 하나로, 현존하지 않는 고대 및 중세의 종교이.

새로운!!: 당나라와 마니교 · 더보기 »

마조도일

마조도일(馬祖導一, 709~788)은 8세기 중국 당나라 스님이.

새로운!!: 당나라와 마조도일 · 더보기 »

마애불

마애석불(磨崖石佛) 또는 마애불(磨崖佛)은 바위에 새긴 불상이.

새로운!!: 당나라와 마애불 · 더보기 »

맘루크

맘루크 기병, 1810년 작 맘루크()는 무슬림 노예 군인이나 노예 출신 지배자를 일컫는 말로, 9세기부터 19세기까지 존재.

새로운!!: 당나라와 맘루크 · 더보기 »

메이저우 시

메이저우(매주)는 중화인민공화국 광둥성 동부에 위치한 지급시이.

새로운!!: 당나라와 메이저우 시 · 더보기 »

모용선비

모용선비(慕容鲜卑)는 고대 북아시아의 유목 민족 중 하나인 선비족의 일파이.

새로운!!: 당나라와 모용선비 · 더보기 »

모후산

모후산(母後山)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화순군과 순천시의 경계를 이루는 높이 919m의 산이.

새로운!!: 당나라와 모후산 · 더보기 »

목종

목종(穆宗)은 동아시아 제왕의 묘호 중 하나이.

새로운!!: 당나라와 목종 · 더보기 »

몽골의 대외 관계

아래는 몽골의 대외 관계에 대한 설명이.

새로운!!: 당나라와 몽골의 대외 관계 · 더보기 »

몽구 (책)

몽구(蒙求)는 중국 당나라 이한(李翰)이 저작한 어린이들의 문자교육을 위한 아동용 교재이.

새로운!!: 당나라와 몽구 (책) · 더보기 »

명랑

명랑(明朗: fl. 668)은 7세기 경 신라의 승려로 자(字)는 국육(國育)이.

새로운!!: 당나라와 명랑 · 더보기 »

명광개

명광개(明光鎧)는 중국의 갑옷이.

새로운!!: 당나라와 명광개 · 더보기 »

명교

주시에 소재한 초암. 명교(明敎)는 중국에 전래된 마니교이.

새로운!!: 당나라와 명교 · 더보기 »

명나라

명나라(明朝, 1368년 ~ 1644년)는 중국 역대 왕조 중 하나로 주원장(朱元璋)이 원나라를 몰아내고 세운 한족 왕조이.

새로운!!: 당나라와 명나라 · 더보기 »

무덕

무덕(武德)은 중국 당 고조의 연호로 당나라 최초의 연호이.

새로운!!: 당나라와 무덕 · 더보기 »

무종

무종(武宗)은 동아시아 제왕의 묘호 중 하나이.

새로운!!: 당나라와 무종 · 더보기 »

무주 (당나라)

무주(武周, 690년 ~ 705년)는 690년 9월 9일, 중양절을 기해 당의 측천무후가 선포한 국호이.

새로운!!: 당나라와 무주 (당나라) · 더보기 »

무상 (신라의 승려)

무상(無相, 680년~756년)은 신라 후기의 선승이.

새로운!!: 당나라와 무상 (신라의 승려) · 더보기 »

무염

무염(無染, 800년~888년 12월 23일(음력 11월 17일))은 신라 후기의 승려이.

새로운!!: 당나라와 무염 · 더보기 »

무왕 (백제)

무왕(武王, ? ~ 641년, 재위: 600년 ~ 641년 음력 3월) 은 백제의 제30대 국왕이.

새로운!!: 당나라와 무왕 (백제) · 더보기 »

문덕황후

문덕황후에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당나라와 문덕황후 · 더보기 »

문덕황후 (당나라)

문덕순성황후 장손씨(文德順聖皇后 長孫氏, 601년 ~ 636년)는 당 태종의 황후이자 당 고종의 어머니이.

새로운!!: 당나라와 문덕황후 (당나라) · 더보기 »

문명 (동음이의)

문명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당나라와 문명 (동음이의) · 더보기 »

문명 (당)

문명(文明)은 중국 당(唐) 예종(睿宗)의 첫 번째 연호이.

새로운!!: 당나라와 문명 (당) · 더보기 »

문무왕

문무왕(文武王, 626년~681년 7월 21일 (음력 7월 1일))은 신라 제30대 왕(재위: 661년 음력 6월 ~ 681년 음력 7월 1일)이.

새로운!!: 당나라와 문무왕 · 더보기 »

문묘

문묘(文廟)는 문선왕묘(文宣王廟)의 약자로 공자묘(孔子廟)라고도 부른.

새로운!!: 당나라와 문묘 · 더보기 »

문관사림

《문관사림》(文館詞林)은, 중국 당(唐) 초기에 허경종(許敬宗), 유백장(劉伯莊) 등이 황명을 받들어 편찬한 칙찬(勅撰) 한시문집으로, 고종(高宗) 현경(顯慶) 3년(658년)에 편찬되었.

새로운!!: 당나라와 문관사림 · 더보기 »

문두루법회

신라의 문두루법회(文豆婁法會: 만트라 법회)는 명랑(明朗)법사에 의해서 비롯되었.

새로운!!: 당나라와 문두루법회 · 더보기 »

문종

문종에는 다음과 같은 동음이의어가 있.

새로운!!: 당나라와 문종 · 더보기 »

문성공주

브리쿠티(좌)-송첸캄포(中)-문성공주(우) 문성공주(623년경 ~ 680년)는 당나라의 공주로 토번이라 일컫는 티베트 손챈감포 왕의 제2왕비이.

새로운!!: 당나라와 문성공주 · 더보기 »

문하시중

문하시중(門下侍中)은 고려시대의 중서문하성의 최고 관리로 품계는 종1품이.

새로운!!: 당나라와 문하시중 · 더보기 »

문원영화

《문원영화》(文苑英華)는 중국 북송(北宋) 시대에 성립된 시문집이.

새로운!!: 당나라와 문원영화 · 더보기 »

묘호

묘호(廟號)는 중국, 한국, 베트남 등 동양의 봉건 왕조 국가에서 황제 또는 국왕과 같은 군주에게만 붙인 칭호로 군주가 승하한 뒤 태묘(太廟, 또는 종묘)에서 군주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낼 때 사용되었.

새로운!!: 당나라와 묘호 · 더보기 »

미란

스코, 미란 미란은 타클라마칸 사막의 남부 주변에 있는 실크로드 위의 고대의 오아시스 도시이.

새로운!!: 당나라와 미란 · 더보기 »

미술

미술(美術)은 시각적(視覺的) 방법 또는 조형적(造形的)인 방법으로 사람의 감정이나 뜻을 나타내는 예술의 한 종류라고 말할 수가 있. 미술이라는 용어는 미(美)를 재현 또는 표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여러 재주, 또는 기예를 뜻. 미술은 주로 사용하는 도구와 표현하는 방법에 따라 장르를.

새로운!!: 당나라와 미술 · 더보기 »

미역

미역은 바다에서 서식하는 미역과의 갈조류이.

새로운!!: 당나라와 미역 · 더보기 »

민욱 (당나라)

민욱(閔勗, Min Xu, ? ~ 886년)은 중국 당나라 말기에 활약했던 군벌로, 882년부터 886년까지 호남관찰사(湖南觀察使. 재위 882년 ~ 883년)・흠화군 절도사(재위 883년 ~ 886년)로서 그 본거지였던 담주(潭州. 현 후난 성 창사 시)를 비롯한 지금의 후난 성 일대의 대부분 지역을 지배하였으나, 886년에 암살당하였.

새로운!!: 당나라와 민욱 (당나라) · 더보기 »

민애왕

민애왕(閔哀王,817년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 ~839년 음력 1월 23일, 재위: 838년~839년)은 신라의 제44대 왕이.

새로운!!: 당나라와 민애왕 · 더보기 »

밍간

밍간() 또는 천호제(千户制)는, 몽골 제국의 군사 제도로써 칭기즈 칸 시대에 완성된 군정일치(軍政一致)의 사회 조직 형식을 가리.

새로운!!: 당나라와 밍간 · 더보기 »

감로의 변

의 변(甘露-變)은 당나라 문종 때인 835년에 일어난 변란이.

새로운!!: 당나라와 감로의 변 · 더보기 »

방 (성씨)

방(方, 房, 龐, 邦)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당나라와 방 (성씨) · 더보기 »

방효태

방효태(龐孝泰) 혹은 방효공(龐孝恭, ? ~ 662년)은 중국 당나라 초의 무장으로 백주(白州) 사람이.

새로운!!: 당나라와 방효태 · 더보기 »

방중술

방중술(房中術) 또는 방중(房中)은 도교의 수행법 중의 하나로 보정(寶精)이.

새로운!!: 당나라와 방중술 · 더보기 »

방술

시귀(蓍龜)에 사용되던 갑골문자방술(方術)이란 자연현상에서 규칙성을 이끌어내고 그러한 규칙에 의해 길흉을 점치거나 불로장생을 추구하는 학문들의 통칭이.

새로운!!: 당나라와 방술 · 더보기 »

방현령

방현령 방현령(房玄齡, 578년 ~ 648년)은 당(唐)나라의 재상, 정치가로 능연각 24공신이며, 18학사의 일원이.

새로운!!: 당나라와 방현령 · 더보기 »

방훈의 난

방훈의 난(龐勛之亂)은 중국 당나라 말기 의종 때 서주 무녕군(武寧軍. 본거지는 현 장쑤 성 쉬저우 시) 번진(藩鎭)의 군인인 방훈(龐勛)이 일으킨 대형 반란으로, 868년부터 869년까지 지속되었.

새로운!!: 당나라와 방훈의 난 · 더보기 »

배구 (547년)

배구(裴矩, 547년 ~ 627년)는 중국 수나라의 정치가로, 자(字)는 홍대(弘大)이며 하동군(河東郡) 문희현(聞喜縣) 사람이.

새로운!!: 당나라와 배구 (547년) · 더보기 »

백 (성씨)

백(白)씨는 한국의 성씨, 중국의 성씨이.

새로운!!: 당나라와 백 (성씨) · 더보기 »

백마사

백마사 백마사(白馬寺)는, 고대 중국 후한(後漢) 명제(明帝) 때의 불교의 중국 전래와 관련된 감몽구법(感夢求法) 설화를 토대로 낙양(洛陽) 교외에 지어진 절이.

새로운!!: 당나라와 백마사 · 더보기 »

백목련

백목련(白木蓮, Magnolia denudata)은 목련과에 딸린 큰키나무이.

새로운!!: 당나라와 백목련 · 더보기 »

백문보

백문보(白文寶, 1303년 ~ 1374년)는 고려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당나라와 백문보 · 더보기 »

백문색

백문색(白文色, ? ~ ?) 고려 초의 문신.관료이.

새로운!!: 당나라와 백문색 · 더보기 »

백강 전투

백강 전투(白江戰鬪)는 663년 8월에 한반도의 백강(현재의 금강 하구 및 그 부근)에서 벌어진 백제·왜의 연합군과 당·신라의 연합군 사이의 전투이.

새로운!!: 당나라와 백강 전투 · 더보기 »

백거이

백거이(白居易, 772년 ~ 846년) 자(字)는 낙천(樂天)이고, 호는 취음선생(醉吟先生), 향산거사(香山居士) 등으로 불리었.

새로운!!: 당나라와 백거이 · 더보기 »

백빙산 전투

백빙산 전투는 672년 신라와 고구려 부흥군이 백빙산에서 당나라군과 벌인 전투이.

새로운!!: 당나라와 백빙산 전투 · 더보기 »

백장회해

백장회해(百丈懷海: 749~814)는 당나라의 선승이.

새로운!!: 당나라와 백장회해 · 더보기 »

백제

백제(百濟, 기원전 18년 ~ 660년 8월 29일)는 한국의 고대 국가 중 하나로, 고구려, 신라와 함께 삼국 시대를 구성하였.

새로운!!: 당나라와 백제 · 더보기 »

백제 부흥운동

백제 부흥운동(百濟復興運動)은 백제가 660년에 멸망된 뒤에 백제 유민이 전개한 국가 부흥 운동이.

새로운!!: 당나라와 백제 부흥운동 · 더보기 »

백제의 멸망

백제의 멸망(百濟 ― 滅亡)은 660년에 신라와 당나라 연합군이 백제를 정벌한 전쟁을 가리.

새로운!!: 당나라와 백제의 멸망 · 더보기 »

백제의 관직

백제의 관직 및 관료 체제에는 정무(政務)의 분담과 문무관의 분화가 나타나고 있어, 중국의 관제를 수용한 것을 보여준.

새로운!!: 당나라와 백제의 관직 · 더보기 »

백탁

백탁(白卓, ? ~ ?)은 후고구려(태봉)와 고려 초의 문인.학자이자 문신이.

새로운!!: 당나라와 백탁 · 더보기 »

백암성

백암성(白巖城)은 현재의 중화인민공화국 랴오닝 성에 있었던 고구려의 성이.

새로운!!: 당나라와 백암성 · 더보기 »

백화문

백화(白話)는 당나라 대에 발생하여, 송, 원, 명, 청 시대를 거치면서 확립된 중국어의 구어체를 말하며, 이를 글로 표기한 것을 백화문(白話文)이.

새로운!!: 당나라와 백화문 · 더보기 »

개부의동삼사

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는, 고대 중국의 관직의 이름이.

새로운!!: 당나라와 개부의동삼사 · 더보기 »

개요 (당)

요(開耀)은 중국 당(唐) 고종(高宗)의 12번째 연호이.

새로운!!: 당나라와 개요 (당) · 더보기 »

개평 (후량)

평(開平)은 후량(後梁)의 태조(太祖)인 주전충(朱全忠)의 치세에 쓰였던 오대(五代) 최초의 연호(年號)이.

새로운!!: 당나라와 개평 (후량) · 더보기 »

개성 왕씨

성 왕씨(開城 王氏)는 황해북도 개성특급시를 관향으로 삼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당나라와 개성 왕씨 · 더보기 »

발해

발해(渤海, 698년 ~ 926년)는 고구려 멸망 이후 고구려를 계승하여 대조영이 건국한 국가이.

새로운!!: 당나라와 발해 · 더보기 »

발해 무왕

발해 무왕 대무예(渤海 武王 大武藝, ? ~ 737년, 재위: 719년 6월 ~ 737년)는 발해의 제2대 왕이.

새로운!!: 당나라와 발해 무왕 · 더보기 »

발해 문왕

발해 문왕 대흠무(渤海 文王 大欽茂, ? ~ 793년, 재위: 737년 ~ 793년)는 발해의 제3대 왕으로, 연호는 대흥(大興)이.

새로운!!: 당나라와 발해 문왕 · 더보기 »

발해 고왕

발해 고왕 대조영(渤海 高王 大祚榮, ? ~719년 6월 재위: 698년~719년 6월)은 남북국 시대(南北國時代)는 발해(渤海)의 초대 왕으로, 걸걸중상(乞乞仲象)의 아들이.

새로운!!: 당나라와 발해 고왕 · 더보기 »

발해 선왕

발해 선왕 대인수(渤海 宣王 大仁秀, ? ~ 830년, 재위: 818년 ~ 830년)는 발해의 제10대 왕으로, 대야발 계통의 첫 왕이.

새로운!!: 당나라와 발해 선왕 · 더보기 »

발해-당 전쟁

발해-당 전쟁은 732년 발해가 당나라의 등주를 선제 공격하면서 시작되었.

새로운!!: 당나라와 발해-당 전쟁 · 더보기 »

발해-요 전쟁

발해-요 전쟁 (渤海國-遼國 戰爭)은 9세기 선왕 이후 해동성국 발해가 쇠퇴하던 10세기 이후부터 세력을 팽창하던 거란과 발해와의 일련의 전쟁이.

새로운!!: 당나라와 발해-요 전쟁 · 더보기 »

발해고

《발해고》(渤海考)는 조선 정조 8년(1784년)에 규장각검서로 일하던 실학자 류득공유득공(柳得恭)은 '유득공'이.

새로운!!: 당나라와 발해고 · 더보기 »

발해의 문화

발해의 문화는 고도의 당 문화를 수용하고, 고구려 문화의 전통을 계승함으로써 독특한 문화로 창조되었.

새로운!!: 당나라와 발해의 문화 · 더보기 »

발해의 중앙 관제

발해의 중앙 관제는 3성과 6부를 근간으로 편성하였.

새로운!!: 당나라와 발해의 중앙 관제 · 더보기 »

개원

원(開元)은, 중국 당현종(唐玄宗)의 연호로 29년 간(713년 12월 ~ 741년 12월) 사용되었.

새로운!!: 당나라와 개원 · 더보기 »

반치음

반치음(半齒音) 또는 반잇소리(반니쏘리)는 전통적 음운학에서 치음과 조음 위치나 조음 방법이 비슷하지만 오음(五音) 기준에 속하지 않는 닿소리를 분류한 것이.

새로운!!: 당나라와 반치음 · 더보기 »

반산보적

반산보적(720년–814년, Panshan Baoji, 盤山寶積)은 당나라 승려이.

새로운!!: 당나라와 반산보적 · 더보기 »

반설음

반설음(半舌音) 또는 반혓소리(반혀쏘리)는 전통적 음운학에서 설음과 조음 위치가 같지만 조음방법이 오음(五音)에 기준이 속하지 않는 닿소리를 분류한 것이.

새로운!!: 당나라와 반설음 · 더보기 »

반야바라밀다심경약소

《반야바라밀다심경약소》 또는 《반야심경약소》는 당나라 법장(法藏)이 대반야경(大般若經)의 근본 중심 사상인 공(空)과 유(有)의 상성론(相成論)을 골자로 한 《반야심경약소》에 송나라 중희(仲希)의 주해를 더하여 엮은 책이.

새로운!!: 당나라와 반야바라밀다심경약소 · 더보기 »

반야경

Prajñāpāramitā 자와 섬, 인도네시아 공화국. 《반야경(般若經)》은 원제가 프라즈냐파라미타 수트라()이며, 한역의 원제는 《반야바라밀다경(般若波羅蜜多經)》이.

새로운!!: 당나라와 반야경 · 더보기 »

반야심경

《반야심경》(般若心經)은 《대반야바라밀다경》의 요점을 간략하게 설명한 짧은 경전으로, 당나라 삼장법사인 현장(玄裝)이 번역한 것이.

새로운!!: 당나라와 반야심경 · 더보기 »

바쿠 (요괴)

가쓰시카 호쿠사이가 그린 바쿠 바쿠()은 중국으로부터 일본에 전해진 전설의 요괴이.

새로운!!: 당나라와 바쿠 (요괴) · 더보기 »

바오지 시

바오지(보계)는 중화인민공화국 산시 성 (섬서성)에 위치하는 지급시이.

새로운!!: 당나라와 바오지 시 · 더보기 »

바오산 시

바오산(보산)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윈난 성에 있는 지급시이.

새로운!!: 당나라와 바오산 시 · 더보기 »

간쑤성

쑤 성(감숙성)은 중화인민공화국 서북부에 있는 성이.

새로운!!: 당나라와 간쑤성 · 더보기 »

간표

()는 일본의 연호 중 하나이.

새로운!!: 당나라와 간표 · 더보기 »

강희제

200px 강희제(康熙帝, 순치(順治) 11년 음력 3월 18일 (1654년 5월 4일) ~ 강희(康熙) 61년 음력 11월 13일 (1722년 12월 20일))는 청나라의 제4대 황제(재위 1661년 ~ 1722년)이자, 산해관 입관(入關)산해관을 넘어 중국 대륙에 들어가 지배하기 시작하였다는 뜻이.

새로운!!: 당나라와 강희제 · 더보기 »

강수 (신라)

강수(强首,? ~ 692년)는 신라의 유학자·문장가이.

새로운!!: 당나라와 강수 (신라) · 더보기 »

강하군

강하군(江夏郡)은 중국의 옛 군현제의 군이.

새로운!!: 당나라와 강하군 · 더보기 »

가도 (당나라)

(賈島, 779년-843년)는 당나라의 시인이.

새로운!!: 당나라와 가도 (당나라) · 더보기 »

가레산스이

료안지의 가레산스이 가레산스이()는 일본정원이나 일본화의 양식 또는 방식의 하나이.

새로운!!: 당나라와 가레산스이 · 더보기 »

가르궁린

르궁린(喝(爾)弓仁 또는 논궁인(論弓仁, 663년 ~ 723년)은 과거 티베트 고원, 서역, 동남아시아 등지에서 세력을 떨치던 토번(吐番)의 명장이자 재상이기도 하였던 가르친링(喝(爾)欽陵, 論欽陵, ?~699)의 아들이다. 그는 티베트 사람으로써는 최초로 중원 왕조에 들어와 고위의 장군직에 있던 사람이었다. 그는 663년 위우(位于, 현재 산남지구(山南地區)의 궁결현(窮結縣))에서 태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그의 할아버지인 가르통첸은 토번의 찬보중 가장 위대하다고 여겨지는 송첸캄포(松贊干布, 581~649)를 도와 외적인 일을 하였던 최고의 재상 중 한 명이었다. 가르통첸과 가르친링 대를 거치면서, 가르(Mgar) 가문은 토번에서 막강한 지위를 갖게 되었다.

새로운!!: 당나라와 가르궁린 · 더보기 »

가르통짼 율숭

르통첸 율숭(? ~ 667년)은 티베트 전역을 통일하여 토번의 전성기를 연 33대 감포 손챈감포 시대의 재상이.

새로운!!: 당나라와 가르통짼 율숭 · 더보기 »

가방

세면백 독일의 가방. 가방은 주로 어떤 물건을 포장하여 옮기기 좋게 하거나, 또는 잡다한 여러 물건들을 한 곳에 모아 운반하는 용도로 쓰이는 용기이.

새로운!!: 당나라와 가방 · 더보기 »

밀교 (불교)

밀교(密敎)는 비밀의 가르침이란 뜻으로 문자 언어로 표현된 현교(顯敎)를 초월한 최고심원(最高深遠)한 가르침을 말.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분파 > 밀교,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일본에서는 진언종의 구카이(空海)가 불교를 현밀이교(顯密二敎)로 판별하여 금강승, 즉 밀교의 우위를 주장.

새로운!!: 당나라와 밀교 (불교) · 더보기 »

가네다성

성(金田城)은 일본 나가사키현(長崎県) 쓰시마 시(対馬市) 미쓰시마 정(美津島町) 구로세(黒瀬)의 조산(城山)에 위치한 일본의 고대 산성(古代山城, 조선식 산성)이.

새로운!!: 당나라와 가네다성 · 더보기 »

가전문학

전문학(假傳文學)은 사람이 아닌 사물을 바탕으로 꾸며낸 문학의 형태이.

새로운!!: 당나라와 가전문학 · 더보기 »

가탐

(賈耽, 730년 ~ 805년)은 중국 당나라의 정치가이.

새로운!!: 당나라와 가탐 · 더보기 »

가오창 구

오창 구()는 신장 위구르 자치구 투루판 시의 시할구이.

새로운!!: 당나라와 가오창 구 · 더보기 »

가실왕

실왕(嘉悉王 혹은 嘉實王, ?~?) 또는 가보왕(嘉寶王)은 6세기경의 군주로서 어느 가야의 왕인지는 확실하지 않. 당나라의 악기를 보고 우륵으로 하여금 12현으로 된 가야금을 만들게 하였.

새로운!!: 당나라와 가실왕 · 더보기 »

거란

1000년경 거란의 영향권. 유목민의 생활 거란(契丹(글안▽)) 또는 키탄(Khitan)은 4세기 중엽부터 내몽골의 시라무렌 강 유역에 나타나 거주하던 몽골계와 퉁구스계의 혼혈족이.

새로운!!: 당나라와 거란 · 더보기 »

거대 제국 목록

제국은 외부 영토와 다양한 소수의 이민족을 포함함으로써 영향력을 확장.

새로운!!: 당나라와 거대 제국 목록 · 더보기 »

거타지

(居陀知)는 9세기 경 신라의 무신, 외교관, 궁사이.

새로운!!: 당나라와 거타지 · 더보기 »

건강 (지명)

강(建康)은 육조 시대의 수도이며, 현재의 중화인민공화국 장쑤 성 난징 시의 옛 이름이.

새로운!!: 당나라와 건강 (지명) · 더보기 »

건봉

봉(乾封)은 중국 당(唐) 고종(高宗)의 6번째 연호이.

새로운!!: 당나라와 건봉 · 더보기 »

건봉사

봉사(乾鳳寺)는 강원도 고성군에 위치한 대한불교조계종 소속 사찰이.

새로운!!: 당나라와 건봉사 · 더보기 »

건녕

녕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당나라와 건녕 · 더보기 »

건원

원에는 다음과 같은 동음이의어가 있.

새로운!!: 당나라와 건원 · 더보기 »

건원중보

원중보(乾元重寶)란 고려 초기에 만들어진 한반도 최초의 화폐를 말. 996년(성종 15년) 처음 발행되어 이듬해인 997년에 유통되었.

새로운!!: 당나라와 건원중보 · 더보기 »

걸걸중상

중상(乞乞仲象)은 고구려의 장수이자 고구려의 부흥을 이끈 지도자이.

새로운!!: 당나라와 걸걸중상 · 더보기 »

걸사비우

사비우(乞四比羽, ? ~ 698년)는 7세기에 대조영의 아버지 걸걸중상과 함께 발해의 건국을 주도한 말갈족 출신이.

새로운!!: 당나라와 걸사비우 · 더보기 »

겐겐

(乾元, けんげん)은, 일본의 연호(元号) 중 하나이.

새로운!!: 당나라와 겐겐 · 더보기 »

겐나

(元和, げんな)는, 일본의 연호(元号) 중 하나이.

새로운!!: 당나라와 겐나 · 더보기 »

베이징 시

베이징(북경)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수도이.

새로운!!: 당나라와 베이징 시 · 더보기 »

베이촨 창족 자치현

베이촨 창족 자치현의 위치 베이촨 창족 자치현()은 중화인민공화국 쓰촨 성 몐양 시에 위치한 자치현이.

새로운!!: 당나라와 베이촨 창족 자치현 · 더보기 »

격구

격구(擊毬)는 전통 공놀이로서 통상적으로 편을 갈라 나무 채나 막대기 등을 이용해 달걀 크기 정도의 공을 쳐서 일정한 거리에 있는 구문(毬門)에 공을 넣어 경기장 밖으로 나가게 하거나, 구멍에 넣는 공놀이들을 가리.

새로운!!: 당나라와 격구 · 더보기 »

격황소서

〈격황소서〉(檄黃巢書)는 신라의 최치원이 당나라에서 지은 편지 형식의 격문이.

새로운!!: 당나라와 격황소서 · 더보기 »

견발해사

발해사()는, 율령국가 일본이 발해(渤海)에 파견했던 사절로 728년부터 811년까지 모두 14회(13회 또는 15회 설도 있다. 후술) 파견 기록이 남아 있.

새로운!!: 당나라와 견발해사 · 더보기 »

견당사

당사()는, 일본 야마토 정권과 나라 시대(710년~794년)와 헤이안 시대(794년~1185년)에 일본 조정에서 당(唐, 618년~907년)《당서》에는 왜국이 당에 파견한 조공 사절로 되어 있. 일본에서 견당사를 파견하기 이전에도 쇼토쿠 태자는 수(隋)에 견수사()와 유학승(留學僧)을 보. 619년 중국에서는 수가 멸망하고 새로 당이 개창하였는데, 그때까지는 왜에서 중국으로 파견되던 사신을 견수사라 불렀었.

새로운!!: 당나라와 견당사 · 더보기 »

견탐라사

사()는, 일본(왜국)에서 탐라(耽羅)에 파견한 사절이.

새로운!!: 당나라와 견탐라사 · 더보기 »

겸익

익(謙益: fl. 526)은 백제의 이름난 승려이.

새로운!!: 당나라와 겸익 · 더보기 »

벼루

벼루 벼루는 먹을 가는 데 쓰는, 돌로 만든 문방구를 가리.

새로운!!: 당나라와 벼루 · 더보기 »

경덕왕

경덕왕(景德王, 723년 ~ 765년, 재위: 742년 ~ 765년)은 신라의 제35대 왕이.

새로운!!: 당나라와 경덕왕 · 더보기 »

경동서로

경동서로(京東西路)는 송나라가 설치한 로중의 하나로 지금의 산동성서부 내륙 평야지역을 통. 총 4부 5주 43현을 두었.

새로운!!: 당나라와 경동서로 · 더보기 »

경룡

경룡(景龍, 707년 9월 ~ 710년 6월)은 당나라 중종의 연호로, 약 4년간 사용되었.

새로운!!: 당나라와 경룡 · 더보기 »

경문왕

경문왕(景文王, 846년 ~ 875년, 재위: 861년 ~ 875년)은 신라의 제48대 왕이.

새로운!!: 당나라와 경문왕 · 더보기 »

경종

경종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당나라와 경종 · 더보기 »

경주 망덕사지

경주 망덕사지(慶州 望德寺址)는, 경상북도 경주시 낭산의 기슭에 있는 절터이.

새로운!!: 당나라와 경주 망덕사지 · 더보기 »

경주 감산사 석조미륵보살입상

경주 감산사 석조미륵보살입상(慶州甘山寺石造彌勒菩薩立像)은 경상북도 월성군 내동면 신계리(현재 경주시)에 있는 감산사 절터에서 석조아미타여래입상(국보 제82호)과 함께 발견된 불상이.

새로운!!: 당나라와 경주 감산사 석조미륵보살입상 · 더보기 »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좌상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좌상(慶州 九黃洞 金製如來坐像)은 1934년 경주시 구황동 낭산의 황복사로 알려진 절터의 삼층석탑(경주 구황리 삼층석탑, 국보 제37호)에서 출토된 금동사리함 안에서 금제여래입상(국보 제80호)과 함께 발견된 불상이.

새로운!!: 당나라와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좌상 · 더보기 »

경상남도

경상남도(慶尙南道)는 대한민국 남동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당나라와 경상남도 · 더보기 »

경행기

《경행기》(經行記)는 중국 당(唐)나라의 두환(杜環)이 지은 견문 기록이.

새로운!!: 당나라와 경행기 · 더보기 »

경연

명 신종 경연 경연(經筵)은 왕에게 유학의 경서(經書)와 사서(史書)를 진강(進講)해 드리고 논의(論議)를 받는 학술제도이.

새로운!!: 당나라와 경연 · 더보기 »

벽사회

《벽사회》는 역귀 (병을 불러오는 귀신)를 징벌해 물리치는 선신 다섯 명을 그린 작품이.

새로운!!: 당나라와 벽사회 · 더보기 »

번 (행정 구역)

번()은 제후가 맡아 다스리는 영지를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당나라와 번 (행정 구역) · 더보기 »

번시 시

번시(本溪市)는 중국 랴오닝성에 위치하는 지급시이.

새로운!!: 당나라와 번시 시 · 더보기 »

법장 (당나라)

법장(法藏: 643~712)은 중국 당나라 시대의 승려이.

새로운!!: 당나라와 법장 (당나라) · 더보기 »

법융

법융(法融: 594~658)은 당나라 시대의 선승(禪僧)이며 우두선(牛頭禪)의 개조(開祖)이.

새로운!!: 당나라와 법융 · 더보기 »

법상종

법상종(法相宗Dharma character schoolFa-Hsiang)이란 제법(諸法)의 성상(性相)을 분별하는 종(宗)이란 뜻으로 오위백법(五位百法)을 세워 아뢰야식(阿賴耶識)을 근본으로 하기 때문에 유식종(唯識宗)이.

새로운!!: 당나라와 법상종 · 더보기 »

법안문익

법안문익(885-958)은 중국 당나라의 스님이.

새로운!!: 당나라와 법안문익 · 더보기 »

검모잠

모잠(劍牟岑, ? ~ 670년)은 고구려의 부흥운동 지도자로 벼슬은 대형(大兄)이었.

새로운!!: 당나라와 검모잠 · 더보기 »

검안군

안군(黔安郡)은 수나라에서 설치한 중국의 옛 군이.

새로운!!: 당나라와 검안군 · 더보기 »

고려

(高麗, 918년~1392년)는 918년 태봉의 궁예를 축출하고 왕건이 즉위한 이후, 이성계에 의해 멸망하기까지 한반도 대부분을 지배하였던 국가이.

새로운!!: 당나라와 고려 · 더보기 »

고려 광종

광종(光宗, 925년~975년 7월 4일 (음력 5월 23일)은 고려 제4대 황제(재위: 949년~975년)이다. 휘는 소(昭), 자는 일화(日華), 묘호는 광종, 시호는 홍도선열평세숙헌의효강혜대성황제(弘道宣烈平世肅憲懿孝康惠大成皇帝)이다. 태조의 넷째 아들, 신명순성왕후의 셋째 아들로서 요절한 왕태, 정종의 동생이다. 비는 대목왕후 황보씨(皇甫氏)로 태조와 신정왕후의 딸로 이복누이이며, 후궁인 경화궁부인 임씨(慶和宮夫人)는 배다른 형 혜종의 딸이다. 949년 3월 동복 형 정종의 선위를 받아 즉위하였다. 중국의 연호를 사용하지 않고 949년 광덕(光德), 960년 준풍(峻豊) 등의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였고, 중국 후주로부터 과거제도를 받아들여 처음 과거를 실시하였다. 노비안검법으로 부당하게 노비가 된 양민들을 석방하였고, 민생안정과 백성구휼에 힘을 썼다. 그러나 960년 평농서사(評農書史) 권신Daum 지식 http://durl.kr/5fyrth 이 대상(大相) 준홍(俊弘) 등의 역모를 고변한 이후 이를 빌미로 호족들을 대량으로 숙청하였고, 이복형 혜종의 아들 흥화궁군, 동복형 정종의 아들 경춘원군, 태조의 서자인 이복동생 효은태자 등을 처형하였고 자신의 장남인 태자 주(胄) 역시 의심하였다. 과거 시험으로 선발된 관료들과 후주에서 귀화한 관료들을 통해 호족 세력을 견제하고 왕권을 강화하는 한편 관복 제도를 새로 제정하여 조정의 기강을 바로 잡았다. 불교 장려에도 관심을 갖고 사찰의 중건과 중수를 지원하였다.

새로운!!: 당나라와 고려 광종 · 더보기 »

고려 의조

의조(懿祖, 생몰년 미상)는 신라 말기 인물로, 고려의 추존왕이.

새로운!!: 당나라와 고려 의조 · 더보기 »

고려 태조

조(高麗 太祖, 877년 1월 31일 (음력 1월 14일)《고려사절요》 제1권 태조 신성대왕〈고려사절요/제1권/태조 신성대왕〉"신라 헌강왕(憲康王) 3년 정유(877) 정월 14일 병술에 태조를 송악 남쪽 사제(私第)에서 낳으니" ~ 943년 7월 4일 (음력 5월 29일))는 후삼국 시대(後三國 時代) 후고구려(後高句麗)의 장군(將軍)이자 고려(高麗)의 초대 황제(재위:918년 7월 25일~943년 7월 4일)이.

새로운!!: 당나라와 고려 태조 · 더보기 »

고려의 중앙 관제

행정조직 고려의 중앙 관제는 성종 때 마련한 2성 6부제를.

새로운!!: 당나라와 고려의 중앙 관제 · 더보기 »

고려의 행정 구역

의 행정 구역은 성종 초부터 정비되었으며, 전국을 5도 양계와 경기로 크게 나뉘었.

새로운!!: 당나라와 고려의 행정 구역 · 더보기 »

고마 신사

마 신사의 장승 고마 신사()는 일본의 사이타마현 히다카 시에 있는 신사로, 고구려 유민들과 함께 고마 군을 개척한 고마 군의 초대 군사였던 고약광(왕약광, 고마노고키시(高麗王) 쟛코(若光))을 기리기 위해 세워졌.

새로운!!: 당나라와 고마 신사 · 더보기 »

고마노 오야마

마노 오야마(생년 미상 ~ 762년)는 나라 시대의 관리였.

새로운!!: 당나라와 고마노 오야마 · 더보기 »

고간

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당나라와 고간 · 더보기 »

고간 (당나라)

(高侃, 高偘, ? ~ ?)은 당나라의 장군이.

새로운!!: 당나라와 고간 (당나라) · 더보기 »

고복덕

배내왕 고복덕(背奈王 高福德, ? ~ ?)은 고구려 평원왕의 손자이자 영류왕의 아들로, 영류왕의 태자 고환권의 동생이.

새로운!!: 당나라와 고복덕 · 더보기 »

고계흥

흥(高季興, 858년 ~ 928년)은 오대십국시대의 형남의 초대 군주(재위:907년 ~ 928년)이.

새로운!!: 당나라와 고계흥 · 더보기 »

고부군

부군(古阜郡)은 정읍시 고부면, 덕천면, 소성면, 영원면, 이평면, 정우면과 부안군 백산면 일대에 있었던 옛 고을이.

새로운!!: 당나라와 고부군 · 더보기 »

고구려

(高句麗, 기원전 37년 ~ 668년)는 한국의 고대 국가 중 하나로, 백제 및 신라와 함께 삼국 시대를 구성한 주요 국가이.

새로운!!: 당나라와 고구려 · 더보기 »

고구려 부흥운동

부흥운동(高句麗復興運動)은 일반적으로 고구려의 후예인 안승 등이 668년 나당연합군에 의해 고구려가 멸망된 뒤 고구려의 유민을 모아 부흥운동을 일으킨 것을 말. 또한 고구려의 왕이었던 보장왕도 부흥운동을 일으킨 바 있.

새로운!!: 당나라와 고구려 부흥운동 · 더보기 »

고구려-당 전쟁

-당 전쟁은 645년에서 668년까지 고구려와 당나라 사이에서 벌어졌던 전쟁이.

새로운!!: 당나라와 고구려-당 전쟁 · 더보기 »

고구려-수 전쟁

-수 전쟁(高句麗-隋 戰爭) 또는 여수전쟁(麗隋戰爭)은 598년, 612년, 613년, 614년에 고구려와 수나라 사이에 벌어진 전쟁이.

새로운!!: 당나라와 고구려-수 전쟁 · 더보기 »

고구려-수·당 전쟁

수나라 및 당나라를 맞아 싸운 일련의 전쟁을 고구려-수·당 전쟁이라 총칭.

새로운!!: 당나라와 고구려-수·당 전쟁 · 더보기 »

고구려인의 강제 이주

인의 강제 이주는 고구려 부흥 운동을 막기 위한 당나라 내의 고구려인 이주로, 669년부터 당 고종에 의해 시행되어 많은 고구려인이 양쯔 강 이남으로 쫓. 669년 4월에 2만8천3백 호가 강제 이주당.

새로운!!: 당나라와 고구려인의 강제 이주 · 더보기 »

고구려의 대외 관계

이글은 고구려의 대외 관계를 나라별로 서술한 글이.

새로운!!: 당나라와 고구려의 대외 관계 · 더보기 »

고운사

운사(孤雲寺)는 경상북도 의성군의 등운산 자락에 위치한 대한불교 조계종 소속의 사찰이.

새로운!!: 당나라와 고운사 · 더보기 »

고승전 (혜교)

《고승전》(高僧傳)은 중국 남북조 시대 양나라(梁: 502-557) 때 승려 혜교(慧皎: 497-554)가 저술한, 고승들의 전기를 집성한 문헌("고승전")이.

새로운!!: 당나라와 고승전 (혜교) · 더보기 »

고인승

인승(高仁承, ? ~ ?)은 고구려의 왕자이며, 보장왕의 아들이.

새로운!!: 당나라와 고인승 · 더보기 »

고전후 시대

전근대(Pre-Modern Era) 또는 고전후 시대(post-classical era), 고대후 시대(Post-Ancient Era)는 고대와 근세 사이의 시대를 일컫는 말이.

새로운!!: 당나라와 고전후 시대 · 더보기 »

고정의

정의(高正義, ? ~ ?)는 고구려 말의 대신이.

새로운!!: 당나라와 고정의 · 더보기 »

고조

조에는 다음과 같은 동음이의어가 있.

새로운!!: 당나라와 고조 · 더보기 »

고종

종(高宗)은 동아시아 제왕의 묘호 중 하나로, 오랫동안 재위하며 나라를 수성한 제왕에게 올려지는 묘호이.

새로운!!: 당나라와 고종 · 더보기 »

고질

(高質, 626년~697년)은 당나라에 투항한 고구려 귀족이자 장수이며 당나라에서 활약하였.

새로운!!: 당나라와 고질 · 더보기 »

고창 (역사)

비단길위의 위치 고창(高昌)은 고대 실크로드 도시로 중국의 신장 웨이우얼 자치구의 황량한 타클라마칸 사막의 북쪽 주변에 건설되었.

새로운!!: 당나라와 고창 (역사) · 더보기 »

고체시

시(古體詩)는 중국 성당(盛唐) 이전에 널리 쓰인 시의 형태로, 형식에 제약이 없는 자유로운 시의 형태를 말하며, 고시(古詩) 혹은 고풍(古風)이.

새로운!!: 당나라와 고체시 · 더보기 »

고쿠후 문화

후 문화 ("국풍 문화")는 일본(日本)에서 10세기 초부터 11세기 셋칸 정치(摂関政治) 시기를 중심으로 발달한 문화로, 12세기 인세이(院政) 시기의 헤이안 말기 문화로 이어졌.

새로운!!: 당나라와 고쿠후 문화 · 더보기 »

고순 (신라)

순(高純, ? ~ ?)은 신라 문무왕 때의 장군이.

새로운!!: 당나라와 고순 (신라) · 더보기 »

고혜진

혜진(高惠眞, ? ~ ?)은 고구려 말의 무장이.

새로운!!: 당나라와 고혜진 · 더보기 »

고현 (642년)

현(高玄, 642년 ~ 690년)은 삼국 시대와 당나라의 장수이.

새로운!!: 당나라와 고현 (642년) · 더보기 »

고언랑

언랑(顧彦朗, ? ~ 891년)은 중국 당나라 말기에 활약했던 군벌로, 887년부터 891년 사망할 때까지 절도사(節度使)의 신분으로써 동천(東川, 본거지는 지금의 쓰촨 성 몐양 시) 번진(藩鎭)을 지배하였.

새로운!!: 당나라와 고언랑 · 더보기 »

고연무

연무(高延武, ? ~ ?)는 고구려의 부흥운동 지도자이.

새로운!!: 당나라와 고연무 · 더보기 »

고연수

연수(高延壽, ? ~ 645년)는 고구려 말의 무장이.

새로운!!: 당나라와 고연수 · 더보기 »

고사전

《고사전》은 진(晉)나라 황보밀(皇甫謐)이 지은 중국 고대 필기류 인물전기집 가운데 하나로 상·중·하 3권에 총 91조(96名)의 짤막한 고사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내용은 요(堯) 시대의 피의(被衣)로부터 위말(魏末)의 초선(焦先)까지 청고(淸高)한 고사들의 언행과 일화를 수록하고 있.

새로운!!: 당나라와 고사전 · 더보기 »

고선지

선지(高仙芝, ? ~ 755년)는 고구려 유민 출신 당나라 장군이.

새로운!!: 당나라와 고선지 · 더보기 »

고토 시

시()는 일본 나가사키현의 서부, 고토 열도의 남서부에 위치하는 시이.

새로운!!: 당나라와 고토 시 · 더보기 »

고토쿠 천황

황(596년 - 654년 11월 24일)은 일본의 36대 천황(재위:645년 ~ 654년)이었.

새로운!!: 당나라와 고토쿠 천황 · 더보기 »

고한월어

월어(古漢越語), 혹은 고한월음(古漢越音)은 한자가 월남에 대량으로 들어오기 이전에 안남에 스며든 한자음을 이른.

새로운!!: 당나라와 고한월어 · 더보기 »

고황후

후 여씨(廢后 呂氏, 기원전 241년 ~ 기원전 180년)는 전한 고조의 황후이며 전한 혜제의 어머니로, 휘는 치(雉)이며 자는 아후(娥姁)이.

새로운!!: 당나라와 고황후 · 더보기 »

고환권

환권(高桓權, ? ~ ?)은 고구려 영류왕(榮留王)의 아들이자, 고구려의 태자이.

새로운!!: 당나라와 고환권 · 더보기 »

곡산 노씨

곡산 노씨(谷山 盧氏)는 황해도 곡산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당나라와 곡산 노씨 · 더보기 »

곤룡포

룡포(衮龍袍)는 중국 수나라 이후 황제·황태자·친왕·군왕, 고려 국왕·왕태자, 조선 국왕·왕세자, 대한제국 황제·황태자·친왕, 베트남 황제·황태자, 류큐국 국왕·왕세자가 입던 일상복이.

새로운!!: 당나라와 곤룡포 · 더보기 »

보량궁주

보량궁주 설씨(寶良宮主 薛氏, 604년~670년)는 신라의 제16대 풍월주 보종전군의 딸로, 김춘추의 아내 보라궁주와는 자매지간이.

새로운!!: 당나라와 보량궁주 · 더보기 »

보덕

보덕(普德: fl. 650)은 고구려 보장왕(寶藏王: 재위 642-668) 때의 승려이.

새로운!!: 당나라와 보덕 · 더보기 »

보덕국

보덕국(報德國, 674∼683)은 고구려 멸망 뒤, 674년(신라 문무왕 14)에 고구려의 마지막 왕인 보장왕의 아들(외손 또는 연개소문의 동생 연정토의 아들로도 추정)인 안승(安勝)이 고구려 유민들을 모아 전라북도 익산 지역에 세운 나라이.

새로운!!: 당나라와 보덕국 · 더보기 »

보덕왕

보덕왕(報德王) 또는 보덕국왕(報德國王) 고안승(高安勝, ? ~ 683년 이후, 재위: 670년 ~ 683년) 또는 고안순(高安舜)은 고구려의 유민으로 고구려 부흥운동 지도자이.

새로운!!: 당나라와 보덕왕 · 더보기 »

보라궁주

보라궁주 설씨(寶羅宮主 薛氏, ? ~ ?)는 《화랑세기》에서 태종무열왕의 첫 번째 정궁부인(正宮夫人)이라고 기록된 인물이.

새로운!!: 당나라와 보라궁주 · 더보기 »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保寧 聖住寺址 郎慧和尙塔碑)는 충청남도 보령시 성주사지에 있는 비석이.

새로운!!: 당나라와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 더보기 »

보장왕

보장왕(寶臧王, ? ~ 682년)은 고구려의 제28대 국왕(재위: 642년 11월 ~ 668년 9월)이.

새로운!!: 당나라와 보장왕 · 더보기 »

보저우 시

보저우() 은 안후이 성 북쪽에 위치한 지급시이.

새로운!!: 당나라와 보저우 시 · 더보기 »

보얼타라 몽골 자치주

보얼타라 몽골 자치주()는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 위치한 자치주이.

새로운!!: 당나라와 보얼타라 몽골 자치주 · 더보기 »

보양

보양(寶壤, ?~?)은 신라 말, 고려 초의 승려이며, 지식(智識)이.

새로운!!: 당나라와 보양 · 더보기 »

보원왕

보원왕(寶元王) 또는 고보원(高寶元, ? ~ ?)은 고구려의 왕족으로, 소고구려의 초대 국왕이.

새로운!!: 당나라와 보원왕 · 더보기 »

본관

본관(本貫)은 시조(始祖)의 관향, 곧 고향을 뜻하며, 본적(本籍), 본(本), 관향(貫鄕)이라고도 부른.

새로운!!: 당나라와 본관 · 더보기 »

과거제

북송의 과거 과거(科擧)는 중국과 한국 등에서 시험을 치러서 관리를 뽑는 제도이.

새로운!!: 당나라와 과거제 · 더보기 »

과학사

학사(History of science)는 자연세계에서 인류의 역사적 발전을 연구하는 학문이.

새로운!!: 당나라와 과학사 · 더보기 »

곽자의

분양왕 곽자의 곽자의(郭子儀, 697년~781년)는, 중국 당(唐) 왕조를 섬긴 군인이자 정치가이.

새로운!!: 당나라와 곽자의 · 더보기 »

공무역

공무역(公貿易)은 무역의 주체가 공공기관이 되는 경우로서 정부가 출자하거나 또는 직접 무역공사를 설립하여 무역을 수행하는 형태를 말. 주로, 신라와 당나라, 고려와 송나라,요나라 그리고 조선과 명나라,청나라 사이에서 조공의 형식으로 정부와 정부 사이에 행하던 물물교환을 말.

새로운!!: 당나라와 공무역 · 더보기 »

공작 (작위)

공작(公爵, Duke, 여성형: 여공작(女公爵, Duchess))은 귀족의 작위 중 하나로 오등작 중 최고위 작위이.

새로운!!: 당나라와 공작 (작위) · 더보기 »

공주

공주(公主, Princess)는 한자 문화권 국가에서 제왕(帝王)의 딸, 즉 왕녀에게 주어진 작위 내지 칭호.

새로운!!: 당나라와 공주 · 더보기 »

공영달

공영달(孔穎達: 574~648, 허베이 성 출생)은 당나라의 유학자이.

새로운!!: 당나라와 공영달 · 더보기 »

공성계

공성계(空城計)는 “성을 비운다”는 뜻으로, 삼십육계 중 제32계이.

새로운!!: 당나라와 공성계 · 더보기 »

계림대도독부

림주도독부(鷄林州都督府)는 당나라의 기미정책 일환으로서 신라에 설치한 통치기관이.

새로운!!: 당나라와 계림대도독부 · 더보기 »

계백

백(階伯, 미상~ 660년 8월 20일(음력 7월 9일), 일명은 堦伯(계백), 階升(계승))은 백제 말기의 장군이.

새로운!!: 당나라와 계백 · 더보기 »

계율종

율종(戒律宗)은 신라의 자장율사에 의해 643년 선덕여왕 12년에 창시된 불교 종파이.

새로운!!: 당나라와 계율종 · 더보기 »

계원필경

원필경(桂苑筆耕) 또는 계원필경집(桂苑筆耕集)은, 남북국 시대 신라 말의 고운(孤雲) 최치원(崔致遠)이 지은 한시문집으로, 879년에 완성되었.

새로운!!: 당나라와 계원필경 · 더보기 »

변 (성씨)

변(卞, 邉)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당나라와 변 (성씨) · 더보기 »

광둥어

광둥어() 또는 월어()는 중국어 방언 의. 중국 남부의 언어이며, 중국 내 8천만 명과 동남아시아(특히 말레이시아), 미국 등 해외 화교 1천만 명, 현재 약 1억 명이 사용하는 것으로 추정.

새로운!!: 당나라와 광둥어 · 더보기 »

광펑 구

광펑 구() 는 중화 인민 공화국 장시 성 상라오 시의 시할구이.

새로운!!: 당나라와 광펑 구 · 더보기 »

광저우 시

광저우(광저우 시)는 중화인민공화국 남부 광동성의 성도이자, 화남 전체의 행정 중심지이.

새로운!!: 당나라와 광저우 시 · 더보기 »

광택 (당)

광택(光宅)은 중국 당(唐) 예종(睿宗)의 2번째 연호이.

새로운!!: 당나라와 광택 (당) · 더보기 »

광화

광화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당나라와 광화 · 더보기 »

봉선

봉선(封禪)은, 제왕이 하늘과 땅에 왕의 즉위를 고하고, 천하의 태평함에 감사하는 의식이.

새로운!!: 당나라와 봉선 · 더보기 »

관정

정은 다음을 일컫는 말이.

새로운!!: 당나라와 관정 · 더보기 »

관중 (지명)

중(관의 가운데) 또는 관중 분지(關中盆地), 관중 평원(關中平原)은 역사적으로 북쪽의 소관(), 동쪽의 함곡관(), 남쪽의 무관(), 서쪽의 대산관() 사이를 가리키는 지명으로, 현재의 중국 산시 성 중부와 허난 성 서단을.

새로운!!: 당나라와 관중 (지명) · 더보기 »

관창

창(金官昌, 645년~660년)은 신라 중기의 화랑이.

새로운!!: 당나라와 관창 · 더보기 »

관서 지방

서 지방(關西地方)은 현재의 평양직할시, 평안남도, 평안북도, 자강도 일대를 가리키는 조선의 지역 구분 용어이.

새로운!!: 당나라와 관서 지방 · 더보기 »

북제서

《북제서》(北齊書)는 당나라 이백약이 쓴 기전체 역사서로 이십사사 중의 하나이.

새로운!!: 당나라와 북제서 · 더보기 »

북송

북송(北宋, 960년 ~ 1127년)은 중국의 왕조 중 하나이.

새로운!!: 당나라와 북송 · 더보기 »

북송 태종

송태종 조경(宋太宗 趙炅, 939년 6월 7일 ~ 997년 5월 8일)는 중국의 오대 십국 후주의 무관이자, 송 황조의 제2대 황제(재위: 976년 ~ 997년)이.

새로운!!: 당나라와 북송 태종 · 더보기 »

권선재

선재(權善才, 676년 - ?)는 당나라 고종 때 좌위위대장군(左威衛大將軍)이.

새로운!!: 당나라와 권선재 · 더보기 »

불미국

불미국은 마한 54소국 중의 하나이.

새로운!!: 당나라와 불미국 · 더보기 »

불공

불공(不空: 705~774)은 당나라 시대의 불교승이자 밀교 경전의 역경자이.

새로운!!: 당나라와 불공 · 더보기 »

불교의 역사

이 문서는 인도에서 전개된 불교의 역사인 인도 불교의 역사, 즉 인도 불교사에 대해 특히.

새로운!!: 당나라와 불교의 역사 · 더보기 »

분메이

분메이(文明, ぶんめい)는, 일본의 연호(元号) 중 하나이.

새로운!!: 당나라와 분메이 · 더보기 »

부병제

부병제(府兵制)는, 중국 남북조 시대의 서위(西魏) 왕조에서 비롯되어 북주(北周) · 수(隋)를 거쳐 당(唐)대에 완성된 군사 제도이.

새로운!!: 당나라와 부병제 · 더보기 »

부부인

부부인(府夫人)은 조선시대 외명부 작위 중 하나로, 국왕(國王)의 적자(嫡子)인 대군(大君)의 정부인(正夫人)과 왕비(王妃)의 어머니에게 내린 정일품(正一品) 작위.

새로운!!: 당나라와 부부인 · 더보기 »

부절

부절(符節) 또는 절월(節鉞)은, 고대 중국에서 중앙 정권이 관원에게 어떠한 권한을 수여할 때, 그 관원에게 천자의 군정(軍政) 직권을 대행(혹은 천자를 대신해 지방을 순수)하는 것을 윤허한다는 상징물로써, 그 형태나 양식은 어떤 권력을 대표하느냐에 따라서 제각.

새로운!!: 당나라와 부절 · 더보기 »

부여 당 유인원 기공비

부여 당 유인원 기공비(扶餘 唐 劉仁願 紀功碑)는 충청남도 부여군 국립부여박물관에 있는 신라시대의 비석이.

새로운!!: 당나라와 부여 당 유인원 기공비 · 더보기 »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扶餘定林寺址五層石塔)은 백제시대의 대표적 석탑으로서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에 소재하고 있. 화강암으로 이루어졌고 높이는 8.33m이.

새로운!!: 당나라와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 더보기 »

부여문사

부여문사(扶餘文思) 생몰년 미상 백제의 왕족이.

새로운!!: 당나라와 부여문사 · 더보기 »

부여경

부여경(扶餘敬, ? ~ ?)은 당나라로 간 백제 유민 부여융의 손자이.

새로운!!: 당나라와 부여경 · 더보기 »

부여효

부여효(扶餘孝, ? ~ ?)는 의자왕의 아들이.

새로운!!: 당나라와 부여효 · 더보기 »

부여용

부여용 (扶餘勇)은 백제의 왕자이며, 마지막 왕인 의자왕의 아들이.

새로운!!: 당나라와 부여용 · 더보기 »

부여융

부여융(扶餘隆, 615년 ~ 682년)은 백제 의자왕의 아들로 삼국 말기의 대표적인 경계인이.

새로운!!: 당나라와 부여융 · 더보기 »

부여태

부여태(扶餘泰, 생몰년 미상)는 백제 의자왕의 차남이.

새로운!!: 당나라와 부여태 · 더보기 »

부여연

부여연 (扶餘演) 백제의 왕족이며, 백제 마지막 왕인 의자왕(義慈王)의 아들이.

새로운!!: 당나라와 부여연 · 더보기 »

부여성

부여성(扶餘城)은 부여와 고구려의 성으로 현재의 중화인민공화국 지린 성 눙안(농안)으로 비정.

새로운!!: 당나라와 부여성 · 더보기 »

부석사

부석사(浮石寺)는 신라 문무왕 16년(676년)에 의상이 왕명을 받아 세운 화엄종 사찰로서,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 봉황산 중턱에 있.사회 I·문화재 > 문 화 재 > 중요 문화재 > 경상북도 > 부석사,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부석사는 특히 의상이 화엄의 큰 가르침을 베풀던 곳으로, 의상을 하고, 그가 창시한 화엄종을 "부석종"이라 하는 것도 여기에서 유. 1372년(공민왕 21)에 주지가 된 원응국사(圓應國師)에 의해 많은 건물들이 다시 세워졌.

새로운!!: 당나라와 부석사 · 더보기 »

부석사 (서산시)

부석사(浮石寺)는 충청남도 서산시 부석면 취평리 도비산 기슭에 있는 사찰이.

새로운!!: 당나라와 부석사 (서산시) · 더보기 »

균전제

전제(均田制)는 중국 고대의 중요한 토지 제도 중 하나이.

새로운!!: 당나라와 균전제 · 더보기 »

그네

조선시대 그네 신윤복필 풍속도 화첩 단오풍정 (端午風情) 안동민속박물관 쇠사슬로 연결된 그네를 타고 있는 소녀. 그네를 타고 있는 아이들. 타이어로 만든 그네. 그네는 발판에 끈을 매어 앞뒤로 흔드는 놀이기구이.

새로운!!: 당나라와 그네 · 더보기 »

극 (무기)

고금도서집성에 실린 극의 그림 극(戟)은 고대 중국에 있던, 과와 창의 기능을 갖춘 무기이.

새로운!!: 당나라와 극 (무기) · 더보기 »

근 (단위)

(斤)은 질량과 무게의 단위이며, 1근은 16냥 또는 160돈이며, 미터법으로는 약 600g 이. 한(漢) 때에는 약 233g이고, 당(唐) 때에는 이것의 약 3배였.

새로운!!: 당나라와 근 (단위) · 더보기 »

근초고왕

왕(近肖古王, ? ~375년, 11월 재위: 346년 9월~375년 11월)은 백제의 제13대 국왕이.

새로운!!: 당나라와 근초고왕 · 더보기 »

규기

(窺基, 632년 ~ 682년) 또는 기(基)는 중국의 당나라 초기의 승려이.

새로운!!: 당나라와 규기 · 더보기 »

규암면

암면(窺岩面)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부여군에 속한 면이다.

새로운!!: 당나라와 규암면 · 더보기 »

규암면의 역사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은 백제의 고도 사비성이 접하여 있는 백마강의 건너편 지역으로 삼국시대부터 역사적인 기록이 전해져 내려오고 있.

새로운!!: 당나라와 규암면의 역사 · 더보기 »

귀의군

의군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당나라와 귀의군 · 더보기 »

귀실복신

실복신(鬼室福信, 원래 이름은 부여복신(扶餘福信), ? ~ 663년)은 백제의 왕족·무장·관리이.

새로운!!: 당나라와 귀실복신 · 더보기 »

기 (오대 십국)

(岐 901년 - 924년 또는, 946년)은 오대 십국 시대에 봉상을 중심으로 현재 산시, 간쑤, 사천 일부 지역을 지배한 나라이.

새로운!!: 당나라와 기 (오대 십국) · 더보기 »

기도위

위(騎都尉)는 전한 이후 중국에 생긴 관직이.

새로운!!: 당나라와 기도위 · 더보기 »

기독교

독교(基督敎)From Ancient Greek Khristós (Latinized as Christus), translating Hebrew מָשִׁיחַ, Māšîăḥ, meaning "the anointed one", with the Latin suffixes -ian and -itas.

새로운!!: 당나라와 기독교 · 더보기 »

기독교의 역사

독교의 역사(history of Christianity)에는 예수 시대에서부터 오늘날까지 기독교의 형성과 전파, 발전 과정에서 나타난 사건들과 여러 교파로 나뉘어 있는 교회의 역사 등이.

새로운!!: 당나라와 기독교의 역사 · 더보기 »

기마민족설

마민족 정복왕조설(騎馬民族征服王朝説), 또는 기마민족설(騎馬民族說)이라 불리는 이 학설은, 동북유라시아계 기마민족이 한반도 남부를 지배했고 변한(弁韓) 땅을 기반으로 일본 열도에 진출해 들어와, 4세기 후반부터 5세기에 걸쳐 야마토 지방의 재래의 왕조와 합작 지배했거나 또는 야마토 조정을 세웠다는 설. 기마민족 일본정복론(騎馬民族日本征服論)이.

새로운!!: 당나라와 기마민족설 · 더보기 »

기모노

후리소데와 몬츠키하카마 기모노()는 일본의 전통 의상이.

새로운!!: 당나라와 기모노 · 더보기 »

기벌포

벌포(伎伐浦)는 백제 시대에 현재의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長項邑) 일대를 일컫던 명칭이.

새로운!!: 당나라와 기벌포 · 더보기 »

기벌포 해전

벌포 해전(伎伐浦海戰)은 나당 전쟁 중인 676년 신라와 당나라가 금강 하구인 기벌포(현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 앞바다에서 벌인 전투로, 신라는 이 전투에서 당나라 20만 대군을 격파하여 나당 전쟁에서 최종 승리하였.

새로운!!: 당나라와 기벌포 해전 · 더보기 »

기노성

성 서문 복원중 기노 성()은 일본 오카야마현 소자 시에 있는 신농석식(神籠石) 산성이.

새로운!!: 당나라와 기노성 · 더보기 »

기년아람

《기년아람(紀年兒覽)》은 조선 후기의 학자인 이만운이 지은 역사서이.

새로운!!: 당나라와 기년아람 · 더보기 »

기토라 고분

분 기토라 고분(キトラ古墳)은 나라현 다카이치 군 아스카 촌에 있는 고분이.

새로운!!: 당나라와 기토라 고분 · 더보기 »

기하학사

학(幾何學)의 역사는 고대 문명의 발전과 함께 시작되었.

새로운!!: 당나라와 기하학사 · 더보기 »

길 (성씨)

씨는 중국 및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당나라와 길 (성씨) · 더보기 »

길장

장(吉藏: 549~623)은 수나라(隋: 581~618) 시대의 불교인 삼론종(三論宗)의 조사(祖師)이.

새로운!!: 당나라와 길장 · 더보기 »

금강 (쓰촨 성)

강() 또는 진수이(錦水)는 중화인민공화국 쓰촨성의 성도 청두 시 중심부를 흐르는 강으로 민강의 지류이.

새로운!!: 당나라와 금강 (쓰촨 성) · 더보기 »

금강정경

강계 만다라(Vajradhatu Mandala)가 그려져 있는 티베트 불교의 탕카 《금강정경》(金剛頂經)은 밀교(密敎)의 경전이.

새로운!!: 당나라와 금강정경 · 더보기 »

금강지

강지(金剛智, 671년~741년)는 당나라 시대의 불교승이자 밀교 경전의 역경자이.

새로운!!: 당나라와 금강지 · 더보기 »

금붕어

붕어(학명: Carassius auratus)는 잉어목 잉어과에 속하는 담수어로 관상용으로 개량한 붕어이.

새로운!!: 당나라와 금붕어 · 더보기 »

금구 온씨

온씨(金溝溫氏)는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당나라와 금구 온씨 · 더보기 »

금군

(禁軍)은 7세기 당나라의 황제 친위군이.

새로운!!: 당나라와 금군 · 더보기 »

금나라

(大金, 1115년~1234년) 또는 암반 안취운 구룬(여진어: Amban Anʧu-un Gurun)은 여진족이 중국 동북지방, 몽골, 화베이 일대에 세운 왕조이자 동진국, 청나라와 더불어 만주의 제족 중 대표적인 퉁구스계 국가였.

새로운!!: 당나라와 금나라 · 더보기 »

글필하력

력(契苾何力, ? ~ 677년)은 중국 당나라의 무장으로, 고구려와의 전쟁에서 활약하였.

새로운!!: 당나라와 글필하력 · 더보기 »

비간 (상나라)

봉신연의의 비간(왼쪽 그림) 비간(比干)은 상나라 후기의 현인이.

새로운!!: 당나라와 비간 (상나라) · 더보기 »

비단길

비단길(緋緞路) 또는 실크로드(Silk Road)는 육상, 또는 해상을 통한 근대 이전의 동서 교역로를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당나라와 비단길 · 더보기 »

비담종

비담종(毘曇宗)은 중국 불교의 논종으로 설일체유부의 《6족발지(六足發智)》 등 소승불교의 여러 논서들을 연구강술하는 것을 중심으로 한 학파적인 종파이.

새로운!!: 당나라와 비담종 · 더보기 »

비전 (화폐)

비전(飛銭), 또는 편전(便銭) ・ 편환(便換)은, 중국 당(唐), 송(宋) 시기의 송금 어음 제도를 가리.

새로운!!: 당나라와 비전 (화폐) · 더보기 »

김 (성씨)

외 김(金)씨는 성씨의 하나이.

새로운!!: 당나라와 김 (성씨) · 더보기 »

김문영 (신라)

문영(金文穎, 생몰년 미상)은 7세기 신라의 장군이자 관인이었.

새로운!!: 당나라와 김문영 (신라) · 더보기 »

김가기

(金可紀, ?~859년)는 신라의 학자·도사이.

새로운!!: 당나라와 김가기 · 더보기 »

김고타소

소랑(古陀炤娘, 627년 이후 ~ 642년)은 대야성주 김품석의 부인으로, 김춘추(태종 무열왕)의 딸이며 김법민(문무왕)의 여동생이.

새로운!!: 당나라와 김고타소 · 더보기 »

김교각

각(金喬覺, 697년~794년)은 신라의 승려이.

새로운!!: 당나라와 김교각 · 더보기 »

김용 (1924년)

융(1924년 2월 6일 ~)은 중화인민공화국 홍콩 특별행정구의 무협 소설 작가이며 언론인이.

새로운!!: 당나라와 김용 (1924년) · 더보기 »

김흠순

흠순(金欽殉, 598년 ~ 680년)은 가야의 왕족 출신으로 신라의 군인 겸 정치가이자 외척이었.

새로운!!: 당나라와 김흠순 · 더보기 »

김인문

인문(金仁問, 629년~694년)은 신라의 왕족이자 문무왕 때의 장군 겸 정치가이고, 태종무열왕의 둘째 아들이며 문무왕의 친동생이.

새로운!!: 당나라와 김인문 · 더보기 »

김인문묘

인문묘(金仁問墓)는 신라 문무대왕의 친동생 김인문의 묘로, 경상북도 경주시 서악동에 있. 1982년 8월 4일 경상북도의 기념물 제32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당나라와 김인문묘 · 더보기 »

김질 (1422년)

(金礩, 1422년 ~ 1478년 2월 24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무신,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당나라와 김질 (1422년) · 더보기 »

김충공

충공(金忠恭, ? - 835년)은 통일 신라 하대의 왕손 출신 문신, 정치인, 왕태자로, 원성왕의 손자이자, 혜충태자 인겸의 아들이.

새로운!!: 당나라와 김충공 · 더보기 »

김유신

유신(金庾信, 595년 ~ 673년 8월 18일 (음력 7월 1일))은 신라의 군인 겸 정치가이자, 외척이었.

새로운!!: 당나라와 김유신 · 더보기 »

김양 (신라)

양(金陽, 808년~857년)은 신라의 왕족·공신으로, 자는 위흔(魏昕)이.

새로운!!: 당나라와 김양 (신라) · 더보기 »

김양도

양도(金良圖, ? ~ 670년)는 신라 중기의 귀족ㆍ장군ㆍ관인이.

새로운!!: 당나라와 김양도 · 더보기 »

김품일

일(金品日)은 신라 태종 무열왕 때의 장군이.

새로운!!: 당나라와 김품일 · 더보기 »

김삼광

삼광(金三光, 655년~ ?)은 통일 신라(統一新羅)의 귀족이며, 가야(伽倻)의 왕족이었.

새로운!!: 당나라와 김삼광 · 더보기 »

김원술

원술(金元述, ? ~ ?)은 신라의 화랑이.

새로운!!: 당나라와 김원술 · 더보기 »

대동강

동강(大同江)은 한반도에서 다섯 번째로 큰 강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남도 대흥군의 랑림산맥의 한태령(1,356m)에서 발원하여 평양직할시·남포특별시·황해북도·황해남도를 지나 황해로 흐른.

새로운!!: 당나라와 대동강 · 더보기 »

대력

력(大曆)는 중국 당(唐) 대종(代宗)의 네 번째 연호이.

새로운!!: 당나라와 대력 · 더보기 »

대모달

모달(大模達)은 고구려 무관직(武官職)의 하나이.

새로운!!: 당나라와 대모달 · 더보기 »

대문예

문예(大門藝)는 발해의 왕족, 군인이자, 당나라의 군인이며, 대조영의 아들,발해 무왕의 동생이.

새로운!!: 당나라와 대문예 · 더보기 »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 K.0400, T.0842) 줄여서 《원각경》(圓覺經)은 대승불교의 불경이.

새로운!!: 당나라와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 더보기 »

대부 (칭호)

부(大夫)는 고대 중국에서 사용했던 신분 호칭의 하나로서 한국과 일본, 베트남 왕조에서도 사용되었.

새로운!!: 당나라와 대부 (칭호) · 더보기 »

대비천 전투

비천 전투(大非川戰鬪)는 670년 7월 대비천에서 일어난 토번과 당나라 사이에 일어난 전투이.

새로운!!: 당나라와 대비천 전투 · 더보기 »

대구 보성선원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복장전적

보성선원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복장전적(大邱 寶聖禪院 木造釋迦如來三尊坐像 腹藏典籍)은 대구광역시 달서구, 보성선원에 있는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에 들어있던 조선시대의 불경이다. 2013년 4월 29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802호로 지정되었다.

새로운!!: 당나라와 대구 보성선원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복장전적 · 더보기 »

대당고김씨부인묘명

당고김씨부인묘명(大唐故金氏夫人墓銘)은 중국 당나라에 살았던 신라인 김씨 부인의 묘지명이.

새로운!!: 당나라와 대당고김씨부인묘명 · 더보기 »

대당창업기거주

《대당창업기거주》(大唐創業起居注)는, 중국 당대(唐代)의 온대아(温大雅)가 찬한 편년체 역사서이.

새로운!!: 당나라와 대당창업기거주 · 더보기 »

대운하

운하 경로 대운하()는 중국의 베이징과 항저우를 잇는 운하이.

새로운!!: 당나라와 대운하 · 더보기 »

대승광오온론

《대승광오온론》(大乘廣五蘊論)()은 인도불교의 유식학(唯識學) 총 3기 중 제3기의 논사인 안혜(安慧: 475~555)가 지은 유식학 논서로, 세친(世親: 316?~369?)의 《대승오온론》(大乘五蘊論)에 대한 주석서이.

새로운!!: 당나라와 대승광오온론 · 더보기 »

대승기신론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은 대승불교의 논서이.

새로운!!: 당나라와 대승기신론 · 더보기 »

대승오온론

《대승오온론(大乘五蘊論)》()은 인도불교의 유식학(唯識學) 총 3기 중 제2기의 논사인 세친(世親: 316?~369?)이 지은 논서이.

새로운!!: 당나라와 대승오온론 · 더보기 »

대승아비달마잡집론

《대승아비달마잡집론(大乘阿毗達磨雜集論)》()는 인도불교의 유식학(唯識學) 총 3기 중 제3기의 논사인 안혜(安慧: 475~555)가 제1기의 논사 무착(無着: 300?~390?)이 지은 《대승아비달마집론》과 무착의 제자이자 동생인 사자각(師子覺)이 지은 《대승아비달마집론》에 대한 주석서를 합하여 편찬한 유식학 논서이.

새로운!!: 당나라와 대승아비달마잡집론 · 더보기 »

대승아비달마집론

《대승아비달마집론(大乘阿毗達磨集論)》()는 미륵보살과 함께 인도불교의 유식학(唯識學) 총 3기 중 제1기의 논사인 무착(無着: 300?~390?)이 지은 논서로, 당(唐)의 현장(玄奘: 602~664)의 한역본이 있. 총 7권 2분(分) 8품(品) 구성되어 있다. 별칭으로 《대법론(對法論)》 또는 《아비담집론(阿毗曇集論)》이라고도 하며, 약칭하여 《아비달마집론(阿毘達磨集論)》 또는 《집론(集論)》이라고도 한다. 《집론》은 유식유가행파의 교의를 아비달마적으로 분류해서 해설하고 있으며, 아비달마의 특징을 이루는 제법분별(諸法分別) 즉 법상(法相)에 관한 학설을 거의 모두 망라하고 있다. 그리고 《집론》에서 설해진 많은 부분은 《유가사지론》과 《현양성교론》에도 들어 있다. 법상을 이루는 개별 요소들인 갖가지 법들의 명칭정의체계 등이 잘 나타나 있고 설명되어 있어서 《집론》의 주석서에 해당하는 《대승아비달마잡집론(大乘阿毗達磨雜集論)》과 함께 여러 다른 논서들에서 옛날부터 널리 인용되었다. 《집론》의 주석서에 해당하는 《대승아비달마잡집론》은 법상종(法相宗)의 소의 논서인 11론(十一論) 가운데 하나인데, 무착의 동생이자 제자인 사자각(師子覺)이 《집론》에 대해 붙인 주석 또는 해석을 안혜가 《집론》의 내용과 합하여 편찬한 것이.

새로운!!: 당나라와 대승아비달마집론 · 더보기 »

대자은사

자은사의 대안탑 대자은사(大慈恩寺)는 중국 산시성의 고도, 시안 시 남동쪽 교외에 있는 불교사원이며, 삼장법사 현장, 신라의 승려 원측과의 연고가 있는 사찰로 알려져 있. 그 옛 땅은 당나라의 수도 장안성 왼쪽 거리의 진창방에 해당되는 장소이.

새로운!!: 당나라와 대자은사 · 더보기 »

대장군

장군(大將軍)은 동아시아 국가들의 역사상 자주 나타나는 무관 관직이.

새로운!!: 당나라와 대장군 · 더보기 »

대인선

인선(大諲譔, 생몰년 미상, 재위: 906년? ~ 926년) 은 발해 최후의 국왕이.

새로운!!: 당나라와 대인선 · 더보기 »

대일경

태장계 만다라: 가운데에 여덟 개의 연꽃 잎이 있는 원이 있는데 이 원의 중심부에 대일여래가 있으며 각 연꽃 잎에도 한 명의 부처 또는 보살이 있다 《대일경(大日經)》은 불교의 밀교의 경전이.

새로운!!: 당나라와 대일경 · 더보기 »

대조영 (드라마)

《대조영》(大祚榮)은 KBS가 2006년 9월 16일부터 2007년 12월 23일까지 방영한 고구려·발해사 대하드라마이.

새로운!!: 당나라와 대조영 (드라마) · 더보기 »

대종

종에는 다음과 같은 동음이의어가 있.

새로운!!: 당나라와 대종 · 더보기 »

대중 전달

중 전달(大衆傳達) 또는 매스 커뮤니케이션(mass communication)은 신문·라디오·텔레비전·잡지 등의 매체들을 통해서 행해지는 대중에의 대량적인 전달을 말하는 사회현상이.

새로운!!: 당나라와 대중 전달 · 더보기 »

대진사

탑(大秦塔) 대진사(大秦寺)는, 중국에 전래된 경교(중국에 전해진 네스토리우스파 기독교)의 사원(교회)의 일반적 명칭이.

새로운!!: 당나라와 대진사 · 더보기 »

대위해

위해(大瑋瑎, ? ~ 906년?, 재위: 894년? ~ 906년?)는 발해의 제14대 국왕으로 추정되는 인물이.

새로운!!: 당나라와 대위해 · 더보기 »

대한민국-몽골 관계

몽골은 현재 남북한 동시수교국이.

새로운!!: 당나라와 대한민국-몽골 관계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조세

이 문서는 대한민국의 조세(大韓民國의 租稅)에 대해서 설명.

새로운!!: 당나라와 대한민국의 조세 · 더보기 »

대한제국

제국()은 1897년(광무 원년) 10월 12일부터 1910년 8월 29일까지 한반도와 그 부속 도서를 통치하였던 전제군주제 국가이.

새로운!!: 당나라와 대한제국 · 더보기 »

대안탑

자은사 대안탑 대안탑(大雁塔)이란 652년에 당나라의 고승 삼장법사 현장이 인도에서 귀국할 때 가지고 온 경전이나 불상 등을 보존하기 위해서 고종에게 요청하여 건립한 탑이.

새로운!!: 당나라와 대안탑 · 더보기 »

대하돌라

(大賀咄羅, ? ~ ?)는 거란(契丹)의 추장이.

새로운!!: 당나라와 대하돌라 · 더보기 »

대하마회

마회(大賀摩會, ? ~ ?)는 거란(契丹)의 추장이.

새로운!!: 당나라와 대하마회 · 더보기 »

대하굴가

(大賀窟哥, 590년 ~ 669년, 재위 649년 ~ 669년) 또는 이굴가(李窟哥)는 거란(契丹)의 추장이.

새로운!!: 당나라와 대하굴가 · 더보기 »

대하씨

씨()는 거란의 성씨 중 하나이며 8개 부족이 연맹을 맺을 당시 연맹장(聯盟長)을 맡았.

새로운!!: 당나라와 대하씨 · 더보기 »

대하아복고

아복고(大賀阿卜固, ? ~ ?)는 거란(契丹)의 추장이며, 송막도독부(松漠都督府)의 도독이.

새로운!!: 당나라와 대하아복고 · 더보기 »

대왕의 꿈

《대왕의 꿈》 은 KBS 1TV에서 기획한 삼국시대 영웅전의 세 번째 작품으로, 신라 제26대 진평왕, 제27대 선덕여왕, 제28대 진덕여왕, 제29대 태종무열왕, 제30대 문무왕까지의 치세와 흥무대왕 김유신, 그리고 삼국 말기의 고구려, 백제의 영웅들의 일대기를 재조명한 대하드라마이.

새로운!!: 당나라와 대왕의 꿈 · 더보기 »

누란의 미녀

미녀(楼兰美女, Louran Beauty)는 1980년 4월 1일 중국 신장웨이우얼 자치구의 러우란 고성 북쪽의 철판하(铁板河) 강변 판허묘지(板河墓地) 터 사막에서 무순잉(穆舜英) 등 위구르 사회과학원 고고학연구소 연구팀에 의해 발견된 여성 미이라로, 전신 신체가 완벽하게 보존되어 있었.

새로운!!: 당나라와 누란의 미녀 · 더보기 »

교자 (지폐)

자 교자(jiāozǐ)는 쓰촨 성(四川省) 청두 시(成都市)에서 10세기 사용되던 지폐이.

새로운!!: 당나라와 교자 (지폐) · 더보기 »

교상판석

상판석(敎相判釋)은 중국 불교에서 유래한 불교 용어로, 수천 권에 달하는 불교 경전은 고타마 붓다가 일생 동안 행한 설법의 집대성이라고 보고 불교 경전을 설법의 형식방법순서내용교리에 따라 분류 및 체계화하고 가치판단을 행하는 것을 말.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역사 > 교학연구의 발달 > 교상판석,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교상판석은 교상(敎相)교판(敎判) 또는 판교(判敎).

새로운!!: 당나라와 교상판석 · 더보기 »

교하 노씨

씨(交河 盧氏)는 경기도 파주시 교하동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당나라와 교하 노씨 · 더보기 »

구 (성씨)

(具, 仇)씨는 한국의 성씨이고, 구(丘)씨는 한국과 중국 등 동아시아의 성씨.

새로운!!: 당나라와 구 (성씨) · 더보기 »

구다라노코니키시씨

시 씨()는 백제 마지막 왕인 의자왕의 직계손 선광(善光, 禅広)을 선조로 하는 씨족이.

새로운!!: 당나라와 구다라노코니키시씨 · 더보기 »

구당서

당서(舊唐書)는 당나라(唐)의 정사(正史)로 이십사사(二十四史)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당나라와 구당서 · 더보기 »

구장산술

장산술 구장산술()은 고대 중국의 수학서로, 산수서 다음으로 오래된 수학서이.

새로운!!: 당나라와 구장산술 · 더보기 »

구이저우성

이저우 성(귀주성)은 중화인민공화국 남서부에 있는 성이.

새로운!!: 당나라와 구이저우성 · 더보기 »

구이양 시

이양(귀양))은 중화인민공화국 구이저우성의 성도이다. 시내에 숲이 무성하여 임성이라는 별명이 있다. 시의 이름은 구이양이 구이산의 남쪽에 있다는 것에서 유래하였다. 윈구이 고원의 동쪽에 위치하고 오강의 지류인 난밍강의 북안에 위치한다. 도시의 해발고도는 1100m이다.

새로운!!: 당나라와 구이양 시 · 더보기 »

구주춘추

《구주춘추》(九州春秋)는 서진(西晉)의 사마표(司馬彪)가 저술한 사서이.

새로운!!: 당나라와 구주춘추 · 더보기 »

구카이

이(774년 7월 27일~835년 4월 22일)는 일본 헤이안 시대의 승려이.

새로운!!: 당나라와 구카이 · 더보기 »

구영

영(仇英, 1494년? ~ 1552년)은 중국 명나라 중기의 화가이.

새로운!!: 당나라와 구영 · 더보기 »

구양순

양순의 구성궁예천명 구양순(歐陽詢, 557년~641년)은 중국 당나라의 서예가이.

새로운!!: 당나라와 구양순 · 더보기 »

구톈 현

200px 구톈 현() 은 중화 인민 공화국 푸젠 성 닝더 시의 남서쪽에 위치한 현급 행정구역이.

새로운!!: 당나라와 구톈 현 · 더보기 »

구와노미데라

와노미데라 구와노미데라는 시가현 오미하치만 시 아즈치 정에 있는 천태종 사찰이.

새로운!!: 당나라와 구와노미데라 · 더보기 »

국대부인

국대부인(國大夫人·國太夫人)은 중국과 한반도의 제·왕국에서 사용했던 외명부(外命婦) 관작이.

새로운!!: 당나라와 국대부인 · 더보기 »

국자감

국자감(國子監)은 선거제가 최초로 시행된 수나라에서 처음으로 생겨난 중앙 학문 기관이.

새로운!!: 당나라와 국자감 · 더보기 »

국자감 (고려)

국자감(國子監)은 992년(고려 성종 11)에 설립된 고려 시대 국립 고등 교육 기관으로 수도 개경에 위치하였.

새로운!!: 당나라와 국자감 (고려) · 더보기 »

국아군제

국아군제()는 일본의 고대 말기에서 중세 초기(10세기-12세기)에 성립한 국가군사제도를 가리키는 역사 개념이.

새로운!!: 당나라와 국아군제 · 더보기 »

군주 (칭호)

주(郡主)는 중국 진나라(晉) 때 황녀를 공주(公主)에 봉할 때, 군(郡)을 봉호(封號)의 이름으로 삼아 군공주(郡公主) 또는 간단히 군주(郡主)라고 칭한 것에서 유래되었.

새로운!!: 당나라와 군주 (칭호) · 더보기 »

군위 아미타여래삼존 석굴

위 아미타여래삼존 석굴(軍威 阿彌陀如來三尊 石窟)은 경상북도 군위군 부계면 남산리, 팔공산 연봉 북쪽 기슭에 있는 석굴이.

새로운!!: 당나라와 군위 아미타여래삼존 석굴 · 더보기 »

군산은침

산은침(君山銀針)은 중국 후난 성(湖南省) 악양현의 둥팅 호(洞庭湖) 가운데 있는 섬인 군산(君山)에서 생산되는 차이.

새로운!!: 당나라와 군산은침 · 더보기 »

두막루

막루(豆莫婁, 서기 410년? ~ 726년)는 부여의 유민들이 나하를 건너가 건국한 나라이.

새로운!!: 당나라와 두막루 · 더보기 »

두건덕

덕(573년 ~ 621년타이완 중앙연구원 《자치통감》, 권 189)은 중국 수나라 말기에서 당나라 초기에 걸쳐 활약했던 군웅의 한 사람으로, 수나라 말기 무렵에 수 양제의 치세에 반기를 들고 일어난 농민 봉기군의 수령이었.

새로운!!: 당나라와 두건덕 · 더보기 »

두보

보(712년 ~ 770년)는 중국 당나라 때의 시인이.

새로운!!: 당나라와 두보 · 더보기 »

두우

우(杜佑, 735년 ~ 812년)는 중국 당나라의 역사가이.

새로운!!: 당나라와 두우 · 더보기 »

두순학

순학(杜荀鶴, 846년 - 904년(907년?))은, 중국 당나라 후기의 시인이.

새로운!!: 당나라와 두순학 · 더보기 »

두여회

여회 두여회(杜如晦, 585년 ~ 630년)는 당 초기의 명재상이.

새로운!!: 당나라와 두여회 · 더보기 »

둥후 구

둥후 구()는 중화 인민 공화국 장시 성 난창 시의 현급 행정구역이.

새로운!!: 당나라와 둥후 구 · 더보기 »

둔황 시

황 (돈황)은 중화인민공화국 간쑤 성 주취안 시에 있는 오아시스 도시이.

새로운!!: 당나라와 둔황 시 · 더보기 »

남 (성씨)

(南)씨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당나라와 남 (성씨) · 더보기 »

남도육종

육종(南都六宗)은 일본 나라 시대(奈良時代: 710~794)에 헤이조쿄를 중심으로 번창한 다음의 6개의 불교 종파의 총칭으로 나라 불교(奈良仏教).

새로운!!: 당나라와 남도육종 · 더보기 »

남당

당(南唐, 937년 ~ 975년)은 중국 오대십국 시대 10국 중 하나로 오의 실권자였던 서지고가 제위를 찬탈하여 세운 국가이.

새로운!!: 당나라와 남당 · 더보기 »

남제서

제서(南齊書)는 남조 양나라 때인 537년에 소자현이 편찬한 것으로, 남조 제나라(479년~502년)의 역사를 담았.

새로운!!: 당나라와 남제서 · 더보기 »

남조 (왕국)

조(南詔)는 당나라 때 티베트 버마족이 지금의 윈난(雲南) 지방에 세운 왕국이.

새로운!!: 당나라와 남조 (왕국) · 더보기 »

남양 방씨

양 방씨(南陽 房氏)는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당나라와 남양 방씨 · 더보기 »

남한 (십국)

(南漢, 909년 ~ 971년)은 중국 오대십국 시대 10국 중 하나로, 당나라 멸망 후 지금의 광둥 성과 광시 지역을 지배한 나라이.

새로운!!: 당나라와 남한 (십국) · 더보기 »

낭야군

낭야군(琅邪郡)은 진나라부터 당나라까지 존속한 중국의 옛 군급 행정 구역이.

새로운!!: 당나라와 낭야군 · 더보기 »

내몽골 자치구

몽골 자치구(몽골어:, Öbür Mongghul-un Öbertegen Jasaqu Orun))는 중화인민공화국 북부에 위치한 자치구이.

새로운!!: 당나라와 내몽골 자치구 · 더보기 »

내항

항(來恒, Lai Heng, ? ~ 678년 11월 18일《자치통감》 제202권)은 중국 당나라 전기에 활동했던 관료로, 당 고종 연간에 재상을 지냈던 인물이.

새로운!!: 당나라와 내항 · 더보기 »

난충 시

충(남충)은 쓰촨 성 북동쪽의 지급시이.

새로운!!: 당나라와 난충 시 · 더보기 »

난양 시

양(남양)은 허난 성의 남서쪽에 있는 도시이.

새로운!!: 당나라와 난양 시 · 더보기 »

난안 구

안 구의 위치 난안 구()는 중화 인민 공화국 충칭 시의 행정구역이.

새로운!!: 당나라와 난안 구 · 더보기 »

난핑 시

핑() 은 푸젠 성 북서쪽에 위치한 지급시이.

새로운!!: 당나라와 난핑 시 · 더보기 »

난퉁 시

퉁 시(남통시)는 중화인민공화국 장쑤 성에 위치하는 지급시이.

새로운!!: 당나라와 난퉁 시 · 더보기 »

나라 시

시()는 일본 긴키 지방 나라현 북쪽에 위치하는 시이며, 현청 소재지이.

새로운!!: 당나라와 나라 시 · 더보기 »

나라 시대

시대(710년 ~ 794년)는 넓은 의미로는 710년 겐메이 천황이 헤이조쿄(平城京)로 천도한 때부터 794년 간무 천황이 헤이안쿄(平安京)로 천도할 때까지의 84년의 기간을 말하고, 좁은 의미로는 710년에서 784년에 간무 천황이 나가오카쿄(長岡京)로 천도할 때 까지이 74년의 기간을 가리키는 일본역사의 시대구분의 하나이.

새로운!!: 당나라와 나라 시대 · 더보기 »

나라현

현()은 일본 긴키 지방의 내륙에 있는 현이며 현청 소재지는 나라 시()이.

새로운!!: 당나라와 나라현 · 더보기 »

나르시에

르시에(Narsieh) (泥涅师)는 당나라 군대의 페르시아계 중국인 장군이었.

새로운!!: 당나라와 나르시에 · 더보기 »

나당 전쟁

당 전쟁(羅唐戰爭)은 670년부터 676년까지 신라와 당나라 사이에 벌어진 전쟁이.

새로운!!: 당나라와 나당 전쟁 · 더보기 »

나은 (당)

은(羅隱, 833년 ~ 910년 1월 26일(음력 909년 12월 13일))은, 중국 당나라 말기부터 오대십국 초기를 살았던 시인이.

새로운!!: 당나라와 나은 (당) · 더보기 »

나주 정씨 (丁)

주 정씨(羅州 丁氏)는 전라남도 나주시 및 전라남도 신안군 압해읍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당나라와 나주 정씨 (丁) · 더보기 »

나시족

시족(납서족)은 중국 남방의 소수민족 중의 하나로 고대 강족의 한 가지이며, 모계 중심의 부족으로 일처다부제의 전통을 가지고 있었.

새로운!!: 당나라와 나시족 · 더보기 »

낙 (성씨)

낙씨(諾氏)는 한국의 사라진 성씨이.

새로운!!: 당나라와 낙 (성씨) · 더보기 »

낙화암

낙화암(落花岩)은 충청남도 부여군 부소산에 있는 바위이.

새로운!!: 당나라와 낙화암 · 더보기 »

등처눌

등처눌(鄧處訥, ? ~ 894년)은 중국 당나라 말기에 활약했던 군벌로, 893년부터 894년까지 절도사의 신분으로서 무안군(武安軍, 본거지는 지금의 후난 성 창사 시) 번진(藩鎭)을 지배하였.

새로운!!: 당나라와 등처눌 · 더보기 »

등신불

〈등신불(等身佛)〉은 작가 김동리(金東里)가 1961년 11월 《사상계(思想界)》 101호에 발표한 단편소설이.

새로운!!: 당나라와 등신불 · 더보기 »

등왕각

등왕각 등왕각(滕王閣)은 중화인민공화국 장시 성 난창에 있는 누각이.

새로운!!: 당나라와 등왕각 · 더보기 »

네스토리우스

스토리우스(386년? ~ 451년)는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대주교이며, 재직기간은 428년 4월 10일에서부터 431년 6월 22일까지이.

새로운!!: 당나라와 네스토리우스 · 더보기 »

네이장 시

이장(내강)은 쓰촨성 남동쪽의 지급시이.

새로운!!: 당나라와 네이장 시 · 더보기 »

노 (성씨)

(盧, 魯, 路)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당나라와 노 (성씨) · 더보기 »

노가쿠

(能楽)는 일본의 전통 예능으로, 노(能)와 교겐(狂言), 시키산반(式三番)를 함께 이르는 말이.

새로운!!: 당나라와 노가쿠 · 더보기 »

노광조

광조(盧光稠, Lu Guangchou, ? ~ 910년)은 중국 당나라 말기에서 오대십국 시대 초기에 걸쳐 활약했던 군벌로, 885년부터 910년에 사망할 때까지 건주(虔州, 현 장시 성 간저우 시) 지방을 지배하였.

새로운!!: 당나라와 노광조 · 더보기 »

노블레스 오블리주

블레스 오블리주(IPA)란 프랑스어로 "귀족성은 의무를 갖는다"를 의미.

새로운!!: 당나라와 노블레스 오블리주 · 더보기 »

노언위

언위(盧彦威, Lu Yanwei, 생몰년 미상)는 중국 당나라 말기에 활약했던 군벌로, 의창군 절도사(義昌軍節度使. 본거지는 현 허베이 성 창저우 시)로서, 885년부터 898년까지 그 대부분의 재임 기간 동안 의창군 번진(藩鎭)을 지배하였.

새로운!!: 당나라와 노언위 · 더보기 »

노연창

연창(盧延昌, Lu Yanchang, ? ~ 911년)은 오대십국 시대 초기 건주(虔州, 현 장시 성 간저우 시) 일대를 지배했던 군인이.

새로운!!: 당나라와 노연창 · 더보기 »

녹안홍

녹안홍(鹿晏弘, Lu Yanhong, ? ~ 886년)은 중국 당나라 말기에 활약했던 군벌로, 883년부터 884년까지 산남서도(山南西道, 본거지는 현 산시 성 한중 시) 번진(藩鎭)을, 884년부터 886년까지 절도사(節度使)의 신분으로서 충무군(忠武軍, 본거지는 현 허난 성 쉬창 시) 번진을 각각 지배하였.

새로운!!: 당나라와 녹안홍 · 더보기 »

닝보 시

닝보()는 저장 성해 안에 있는 항구 도시이.

새로운!!: 당나라와 닝보 시 · 더보기 »

닝화 현

닝화 현() 은 중화 인민 공화국 푸젠 성 싼밍 시의 현급 행정구역이.

새로운!!: 당나라와 닝화 현 · 더보기 »

다롄 시

(대련,, 영어: Dalniy/Dairen/Dalian)은 랴오닝 성의 도시로, 랴오둥 반도 끝에 자리잡은 부동항이.

새로운!!: 당나라와 다롄 시 · 더보기 »

다롄의 역사

의 역사(大連-歷史)는 대련과 요동 반도의 역사를 말.

새로운!!: 당나라와 다롄의 역사 · 더보기 »

다운동

운동(茶雲洞)은 울산광역시 중구의 행정동, 법정동이.

새로운!!: 당나라와 다운동 · 더보기 »

다이카 개신

이카 개신(たいかのかいしん, 大化改新)은, 일본 아스카 시대의 고토쿠 오키미 2년, 일본 연호로 다이카(大化) 2년(646년) 봄 정월 갑자 초하루(1일)에 발호된 「개신(改新)의 조(詔)」를 토대로 한 정치개혁 운동이.

새로운!!: 당나라와 다이카 개신 · 더보기 »

다이호 율령

이호 율령()은 701년 반포된 일본의 율령.

새로운!!: 당나라와 다이호 율령 · 더보기 »

다테 마사무네

마사무네(1567년 9월 5일 ~ 1636년 6월 27일)는 센고쿠 시대 데와(出羽)와 무쓰(陸奧)의 센고쿠 다이묘(戰國大名)이며 제17대 다테 가의 당주이자 에도 시대 무쓰 센다이(仙台) 번의 초대 번주다. 본성은 후지와라 씨(藤原氏)로 다테 도모무네(伊達朝宗)를 시조로 한다. 다테 데루무네(輝宗)의 적장자로, 어머니는 모가미 요시모리(最上義守)의 딸 요시히메(義姬)다. 휘(諱)인 '마사무네'는 다테가 중흥의 선조라고 알려진 무로마치 시대(室町) 초기의 제9대 당주 다이센다이부(大膳大夫) 마사무네와 같기 때문에 구별하기 위해 도지로 마사무네라고 부르기도 한다. 관직도 그는 선대와 달리 사쿄다이부(左京大夫)였다. 세 살 때 천연두로 오른쪽 눈을 잃어 독안룡(獨眼龍)이란 별명도 있으며, '도호쿠왕'(東北王) 또는 '오슈의 용'이라고도 불렸다. 아명은 본덴마루(梵天丸), 자(字)는 도지로(藤次郞)다. 호는 데이잔(貞山), 사후(死後) 신호(神號)는 다케루히코노미코토(武振彦命)로써 아오바(靑葉) 신사에서 모시고 있다.

새로운!!: 당나라와 다테 마사무네 · 더보기 »

다완

완 다완(茶碗, tea bowl)은 차를 마실 때 사용하는 잔 또는 사발을 일컫.

새로운!!: 당나라와 다완 · 더보기 »

단둥 시

둥 시()은 중화인민공화국 랴오닝 성에 있는 도시로, 면적 1만 5030km2이.

새로운!!: 당나라와 단둥 시 · 더보기 »

단언모

언모(段彦謨, Duan Yanmo, 882년 7월 17일《자치통감》제255권)는 중국 당나라 말기에 활약했던 군벌로, 880년부터 882년까지 환관 주경매와 연합하여 형남(荊南, 본거지는 현 후베이 성 징저우 시) 번진(藩鎭)을 지배하였으나, 후에 주경매와 사이가 틀어져 최후에는 주경매에게 살해되었.

새로운!!: 당나라와 단언모 · 더보기 »

단양 피씨

양 피씨(丹陽 皮氏)는 충청북도 단양군을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당나라와 단양 피씨 · 더보기 »

단속사지

속사지(斷俗寺址)는 경상남도 산청군 단성면 운리 333번지 마을 한가운데 단속사터를 말.

새로운!!: 당나라와 단속사지 · 더보기 »

담전파

전파(譚全播, Tan Quanbo, 834년? ~ 918년?《십국춘추(十國春秋)》《자치통감》제270권)는 중국 당나라 말기부터 오대십국 시대 전기에 걸쳐 활약했던 군벌로, 백승군 절도사(百勝軍節度使, 본거지는 현 장시 성 간저우 시)로서 913년부터 918년까지 건주(虔州, 현 장시 성 간저우 시)를 지배하였.

새로운!!: 당나라와 담전파 · 더보기 »

당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당나라와 당 · 더보기 »

당 덕종

당 덕종 당 덕종 이괄(唐德宗 李适, 742년 5월 27일~ 805년 2월 25일)은 중국 당나라의 제9대 황제이며, 당 대종 이예의 장남이.

새로운!!: 당나라와 당 덕종 · 더보기 »

당 목종

당 목종 이항(唐 穆宗 李恒, 795년 ~ 824년)은 당나라의 제12대 황제이.

새로운!!: 당나라와 당 목종 · 더보기 »

당 무종

당 무종(唐武宗, 814년 - 846년)은 당나라의 제15대 황제(재위: 841년 - 846년)이.

새로운!!: 당나라와 당 무종 · 더보기 »

당 문종

당 문종(唐文宗, 809년 - 840년)은 이름은 이앙(李昻).

새로운!!: 당나라와 당 문종 · 더보기 »

당 경종

당 경종 이담(唐 敬宗 李湛, 809년 ~ 826년)은 당나라의 제13대 황제(재위: 824년 ~ 826년)이.

새로운!!: 당나라와 당 경종 · 더보기 »

당 고조

당 고조 이연(唐 高祖 李淵, 566년 ~ 635년 6월 25일)은 중국 당나라의 초대 황제이.

새로운!!: 당나라와 당 고조 · 더보기 »

당 고종

당 고종(唐 高宗, 628년 7월 21일 ~ 683년 12월 27일)은 중국 당나라의 제3대 황제이.

새로운!!: 당나라와 당 고종 · 더보기 »

당 대종

당 대종 이예(唐代宗 李豫, 726년: 개원(開元) 14년 ~ 779년: 대력(大歷) 14년)은 중국 당나라의 제8대 황제이.

새로운!!: 당나라와 당 대종 · 더보기 »

당 희종

당 희종(唐僖宗, 862년 6월 8일 (음력 5월 8일) - 888년 4월 20일 (음력 3월 6일))은 중국 당나라의 제18대 황제(재위: 873년 - 888년)이며 이름은 이현(李儇)이.

새로운!!: 당나라와 당 희종 · 더보기 »

당 의종

당 의종(唐懿宗, 833년 12월 28일 - 873년 8월 15일)은 당나라의 제17대 황제(859년 - 873년)이.

새로운!!: 당나라와 당 의종 · 더보기 »

당 중종

당 중종 이현(唐中宗 李顯, 656년: 현경(顯慶) 원년 11월 26일 ~ 710년: 경룡(景龍) 4년 7월 3일)은 당의 제4대 황제이.

새로운!!: 당나라와 당 중종 · 더보기 »

당 상제

당 상제 이중무(唐殤帝 李重茂, 695년: 증성(證聖) 원년 ~ 714년: 개원(開元) 2년)는 당나라의 임시 황제(재위 710년)이.

새로운!!: 당나라와 당 상제 · 더보기 »

당 태종

당 태종 이세민(唐 太宗 李世民, 598년: 개황(開皇) 19년 1월 23일 ~ 649년: 정관(貞觀) 23년 7월 10일)은 중국 당나라의 제2대 황제이며 당 고조 이연의 두 번째 아들이.

새로운!!: 당나라와 당 태종 · 더보기 »

당 순종

당 순종 이송(唐順宗 李誦, 761년 ~ 806년)은 중국 당나라 제10대 황제(재위 805년)이.

새로운!!: 당나라와 당 순종 · 더보기 »

당 숙종

당 숙종 이형(唐肅宗 李亨, 711년 ~ 762년 음력 5월 18일)은 중국 당나라의 제7대 황제이며, 아버지는 당 현종 이융기, 어머니는 추존된 원헌황후 양씨이.

새로운!!: 당나라와 당 숙종 · 더보기 »

당 예종

당 예종 이단(唐睿宗 李旦, 662년: 용삭(龍朔) 2년 6월 22일 ~ 716년:개원(開元) 4년 7월 13일)은 중국 당나라의 제5대 황제이며, 아버지는 당 고종 이치, 어머니는 측천무후이.

새로운!!: 당나라와 당 예종 · 더보기 »

당 현종

당 현종 이융기(唐玄宗 李隆基, 685년 9월 8일 ~ 762년 5월 3일)는 중국 당나라의 제6대 황제이.

새로운!!: 당나라와 당 현종 · 더보기 »

당 헌종

당 헌종(唐 憲宗, 대력 13년(778년) 음력 2월 14일 ~ 820년)은 중국 당(唐)의 제11대 황제(재위 805년 ~ 820년)이.

새로운!!: 당나라와 당 헌종 · 더보기 »

당 선종

당 선종(唐宣宗, 810년 ~ 859년)은 당(唐)의 제16대 황제(재위: 847년 ~ 859년)이.

새로운!!: 당나라와 당 선종 · 더보기 »

당 소종

당 소종 이엽(昭宗 李曄, 867년-904년)은 중국 당나라의 제19대 황제(재위 888년-900년, 901년 ~ 904년)이.

새로운!!: 당나라와 당 소종 · 더보기 »

당 애제

당 애제(唐 哀帝, 892년 ~ 908년 2월 21일)는 중국 당나라의 제20대 황제(재위: 904년 ~ 907년)이.

새로운!!: 당나라와 당 애제 · 더보기 »

당률

당률(唐律)은 형법으로 중국 당나라 시대에 세워졌.

새로운!!: 당나라와 당률 · 더보기 »

당나라의 동돌궐 정벌

당나라의 동돌궐 정벌이란 당나라가 630년에 동돌궐을 침공하여 멸망시킨 사건이.

새로운!!: 당나라와 당나라의 동돌궐 정벌 · 더보기 »

당나라의 관제

당나라의 중앙 관제는 한마디로 3성 6부(三省六部)·1대 5감 9시(一臺五監九寺)라고 말. 3성이란 중서성(中書省)·문하성(門下省)·상서성(尙書省)으로서, 한대(漢代) 천자(天子)의 비서역에서 비롯되었고, 위진남북조(魏晋南北朝) 사이에 발. 중서성은 천자를 대신하여 정책을 입안하고 조칙을.

새로운!!: 당나라와 당나라의 관제 · 더보기 »

당회요

당회요(唐會要)는, 중국의 북송(北宋)대에 성립된, 오대(五代)의 왕부(王溥, 922년 - 982년)가 저술하여 태조(太祖) 건륭(建隆) 2년(961년)에 완성한 책이.

새로운!!: 당나라와 당회요 · 더보기 »

당의

당의(唐衣)는 조선 시대 때 신분이 높은 사람들이 입었던 소례복의 한 가지이.

새로운!!: 당나라와 당의 · 더보기 »

당삼채

당삼채마상 당삼채(唐三彩)는 중국 당대의 도기로 삼채 유약을 사용한 것을 말. 주로 장안·낙양 귀족들의 장례용으로 제작되었고, 묘릉에 부장되었.

새로운!!: 당나라와 당삼채 · 더보기 »

당성 서씨

당성 서씨(唐城 徐氏)는 남양 서씨(南陽徐氏)에서 분적한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당나라와 당성 서씨 · 더보기 »

당송팔대가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는 중국 당(唐)나라와 송(宋)나라의 뛰어난 문장가 여덟 명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당나라와 당송팔대가 · 더보기 »

당악

당악(唐樂)은 당나라 음악이란 뜻이나, 당나라에서 유래한 당악은 전하지 않. 현재 송나라 사악(詞樂)에서 유래된 보허자(步虛子)·낙양춘(洛陽春)만이 당악으로 전하고 있. 참고로 아악이 중국 고대 궁중 음악이라면, 당악은 중국 당대·송대의 민속 음악이.

새로운!!: 당나라와 당악 · 더보기 »

스리위자야 제국

스리위자야()는 말레이 지역에서 강력한 제해권을 가졌던 도시 국가였.

새로운!!: 당나라와 스리위자야 제국 · 더보기 »

스팡 시

스팡 시의 위치 스팡 시() 는 중화 인민 공화국 쓰촨 성 더양 시의 현급시이.

새로운!!: 당나라와 스팡 시 · 더보기 »

스핑 현

스핑 현() 은 중화 인민 공화국 윈난 성 훙허 하니족 이족 자치주의 현급 행정구역이.

새로운!!: 당나라와 스핑 현 · 더보기 »

효령 사공씨

효령 사공씨(孝令 司空氏)는 경상북도 군위군 효령면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당나라와 효령 사공씨 · 더보기 »

용삭

용삭(龍朔)은 중국 당(唐) 고종(高宗)의 3번째 연호이.

새로운!!: 당나라와 용삭 · 더보기 »

우륵의 12곡

우륵의 12곡은 대가야의 가실왕이 악사(樂師) 우륵에게 명하여 가야금으로 연주할 수 있도록 작곡한 12개의 곡이.

새로운!!: 당나라와 우륵의 12곡 · 더보기 »

우문사급

우문사급(宇文士及, ? ~ 642년)은 당나라(唐)의 정치가이자 무장이며, 자는 인인(仁人)이.

새로운!!: 당나라와 우문사급 · 더보기 »

우문화급

우문화급(宇文化及, ? ~ 619년)은 중국 수나라의 관리로, 무천(武川) 사람이.

새로운!!: 당나라와 우문화급 · 더보기 »

우당산

우당 산(무당산)은 중화인민공화국 후베이 성 서북부에 위치한 산으로 높이는 1,612m이.

새로운!!: 당나라와 우당산 · 더보기 »

우저우 시

우저우(오주,, 좡어:Ngouzcouh)는 중화인민공화국 광시 좡족 자치구의 지급시이.

새로운!!: 당나라와 우저우 시 · 더보기 »

우지녕

우지녕(于志寧, 588년 ~ 665년)은 당나라의 대신이.

새로운!!: 당나라와 우지녕 · 더보기 »

우창 시

우창(오상)은 중화인민공화국 헤이룽장 성 하얼빈 시에 속해있는 현급시이.

새로운!!: 당나라와 우창 시 · 더보기 »

우유겸

우유겸(于惟謙, Yu Weiqian, 생몰년 미상)은 중국 당나라 중기에 활동했던 관료로, 당 중종 연간(두 번째 치세)에 짧은 기간 동안 재상을 지냈던 인물이.

새로운!!: 당나라와 우유겸 · 더보기 »

우타이산

우타이 산(오대산)은 중국 산시 성의 북동쪽에 있는 산으로, 높이는 3,058m이.

새로운!!: 당나라와 우타이산 · 더보기 »

우세남

우세남(虞世南, 558년~638년)은 중국 당나라 초기의 서예가이.

새로운!!: 당나라와 우세남 · 더보기 »

울림군

울림군(鬱林郡, 郁林郡)은 중국의 옛 군이.

새로운!!: 당나라와 울림군 · 더보기 »

울지공

울지공 울지공(尉遲恭, 585년 ~ 658년) 또는 위지공은 중국의 당나라 초기의 무장이.

새로운!!: 당나라와 울지공 · 더보기 »

울지을승

울지을승(尉遲乙僧, ? ~ ?) 또는 위지을승은 중국의 당나라 정관(貞觀) 시기의 화가이며, 호탄 왕국 사람이.

새로운!!: 당나라와 울지을승 · 더보기 »

승상

승상(丞相)은 중국의 고대 관직으로 삼공(三公) 중 가장 위이며 황제를 보좌하는 수석 보좌관이자 조정의 영수로 오늘날 국무총리에 해당.

새로운!!: 당나라와 승상 · 더보기 »

승탑

승탑(僧塔) 또는 부도(浮屠/浮圖)는 불교에서 승려의 사리를 안치한 탑이.

새로운!!: 당나라와 승탑 · 더보기 »

회계군

회계군(會稽郡)은 진한시대에 설치한 중국의 옛 군이.

새로운!!: 당나라와 회계군 · 더보기 »

회창

회창(會昌)은 중국 당대의 무종의 재위기간 동안 사용된 연호이. 841년 정월부터 846년 12월.

새로운!!: 당나라와 회창 · 더보기 »

회창의 폐불

회창의 폐불(會昌-廢佛)이란 중국 당조의 무종 때 이루어진 폐불 사건을 말. 또 불교와 함께, 장안을 중심으로 번성했던 삼이교(마니교·조로아스터교·네스토리우스파 기독교)도 배척당.

새로운!!: 당나라와 회창의 폐불 · 더보기 »

요 태조

요 태조(遼 太祖, 872년~926년, 재위: 907년~926년)는 요나라의 초대 황제이.

새로운!!: 당나라와 요 태조 · 더보기 »

요동 정벌

요동 정벌(遼東 征伐)은 명나라가 철령 이북 지역에 철령위를 설치하려는 것에 반발하여 고려가 요동을 경략(經略)하기 위해 일으킨 전쟁이.

새로운!!: 당나라와 요동 정벌 · 더보기 »

요동군

요동군(遼東郡)은 고대 중국의 왕조들이 랴오닝 성 동부에 설치한 행정구역이.

새로운!!: 당나라와 요동군 · 더보기 »

요동성

요동성(遼東城)은 옛 고구려의 성이.

새로운!!: 당나라와 요동성 · 더보기 »

요나라

요(大遼, 916년 ~ 1125년)는 거란족이 중국 북부와 몽골 지역에 세운 왕조이.

새로운!!: 당나라와 요나라 · 더보기 »

현대의 쟁. 쟁(箏) 또는 고쟁(古箏)은 중국 전통 현악기의 이름으로, 목재로 된 긴 장방형의 현악기이.

새로운!!: 당나라와 쟁 · 더보기 »

자치통감

《자치통감》(資治通鑑) 《자치통감》(資治通鑑)은 북송의 사마광이 지은 중국의 역사책이.

새로운!!: 당나라와 자치통감 · 더보기 »

자치통감강목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은 은 송나라 때 주희가 쓴 중국의 역사서이.

새로운!!: 당나라와 자치통감강목 · 더보기 »

자오허 고성

자오허 고성(교하고성)은 신장 투루판의 10 km 서쪽의 야르나즈 계곡에서 발견된 고대 중국의 국가였던 차사전국의 수도 유적이.

새로운!!: 당나라와 자오허 고성 · 더보기 »

장문휴

장문휴(張文休, ? ~ ?)는 발해(渤海)의 장군이.

새로운!!: 당나라와 장문휴 · 더보기 »

장간회

장간회(張簡會, Zhang Jianhui, 생몰년 미상)는 중국 당나라 후기 의종 때의 무장이.

새로운!!: 당나라와 장간회 · 더보기 »

장건

장건의 원정(BC 138~BC126) 장건(張騫, ? ~ 기원전 114년)은 자는 자문(子文)이며 지금의 산시 성 성고현(城固縣) 사람으로 기원 전 2세기 중국 한나라 때 여행가이자, 외교관이었으며 탁월한 탐험으로 실크로드의 개척에 중대한 공헌을 하였.

새로운!!: 당나라와 장건 · 더보기 »

장경

장경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당나라와 장경 · 더보기 »

장공소

장공소(張公素, Zhang Gongsu, 생몰년 미상)는 중국 당나라 후기의 무장으로, 노룡군 절도사(盧龍軍節度使, 본거지는 현 허베이 성 베이징 시)로서 당시 사실상 독립 상태나 다름없었던 노룡군 번진(藩鎭)을 872년부터 875년까지 지배하였.

새로운!!: 당나라와 장공소 · 더보기 »

장괴

장괴(張瓌, Zhang Gui, ? ~ 888년 2월 10일《자치통감》제257권)는 중국 당나라 말기에 활약했던 군벌로, 885년부터 888년까지 형남(荊南, 본거지는 현 후베이 성 징저우 시) 번진(藩鎭)을 지배하였.

새로운!!: 당나라와 장괴 · 더보기 »

장기

장기 기물을 차릴 때 나올 수 있는 초반의 기물의 차림. 초는 바깥상 차림이고 한은 안상 차림이다. 장기를 두는 모습 장기(將棋)는 청과 홍(또는 초와 한) 두 편으로 나뉘어 각 16개의 기물을 가지고 군대를 지휘하는 총사령관의 입장에서 작전을 구상, 수행하여 상대편의 왕을 잡는 추상 전략 보드 게임이.

새로운!!: 당나라와 장기 · 더보기 »

장전의

장전의(852년《구오대사》, 권63. ~ 926년 4월 29일《자치통감》, 권274.)는 중국 당나라 말기에 활약했던 군벌로, 후에 당나라를 계승한 오대십국 시대 후량과 후당에서 고관을 지냈던 인물이.

새로운!!: 당나라와 장전의 · 더보기 »

장준

장준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당나라와 장준 · 더보기 »

장직방

장직방(張直方, Zhang Zhifang, ? ~ 881년 1월 23일?타이완 중앙연구원 《자치통감》, 권 254)은 중국 당나라 후기의 무장이.

새로운!!: 당나라와 장직방 · 더보기 »

장유 시

장유 시의 위치 장유 시() 는 중화 인민 공화국 쓰촨 성 몐양 시의 현급시이.

새로운!!: 당나라와 장유 시 · 더보기 »

장윤신

장윤신(張允伸, Zhang Yunshen, 785년《구당서》, 권 180 - 열전(列傳) 제130 ~ 872년 3월 8일타이완 중앙연구원 《자치통감》, 권 252)은 중국 당나라 후기에 활약했던 무장으로, 노룡군 절도사(盧龍軍節度使. 본거지는 현 허베이 성 베이징 시)로서 당시 조정으로부터 사실상 독립 상태나 다름없었던 노룡군 번진(藩鎭)을 지배하였.

새로운!!: 당나라와 장윤신 · 더보기 »

장순 (당나라)

장순 장순(張巡, 709∼757)은 唐(당) 때의 사람이.

새로운!!: 당나라와 장순 (당나라) · 더보기 »

장영

장영에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당나라와 장영 · 더보기 »

장옌 구

thumb 장옌 구() 는 중화 인민 공화국 장쑤 성 타이저우 시의 시할구이.

새로운!!: 당나라와 장옌 구 · 더보기 »

장언

장언(張偃, ? ~ 기원전 175년)은 중국 전한의 제후왕으로, 노왕(魯王)을.

새로운!!: 당나라와 장언 · 더보기 »

장언원

장언원(張彥遠, 815년 ~ 879년)은 중국 당나라 때의 미술사가이.

새로운!!: 당나라와 장언원 · 더보기 »

장쑤성

장쑤 성()은 중화인민공화국 동부의 성으로 화이허와 창 강의 하류 지역에 위치하고 있.

새로운!!: 당나라와 장쑤성 · 더보기 »

장사 (관직)

장사(長史)는 고대 중국의 관직 이름이.

새로운!!: 당나라와 장사 (관직) · 더보기 »

장손무기

장손무기 장손무기(長孫無忌, 594년 ~ 659년)는 중국 당나라의 명재상이며 자는 기보(機輔)이.

새로운!!: 당나라와 장손무기 · 더보기 »

장손씨

장손씨()는 삼국 시대와 진나라 시기의 선비족 지파인 탁발선비의 성씨로서, 이들은 후에 북위(北魏) · 서위(西魏) · 북주(北周) · 당나라를 거치며 많은 군인과 정치인을 배출하며 유력 가문으로 성장하였.

새로운!!: 당나라와 장손씨 · 더보기 »

장항읍

장항읍(長項邑)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서천군의 읍이.

새로운!!: 당나라와 장항읍 · 더보기 »

장한가

백거이 장한가(長恨歌)는 당나라 때 백거이가 지은 장편 서사시이.

새로운!!: 당나라와 장한가 · 더보기 »

장안

장안중심고루유적 장안의 위치 장안에서 발굴된 한나라 시기의 유물 주대부터 청대까지의 시안. 회색은 주의 풍경과 호경, 파란색은 진의 함양과 아방궁, 분홍색은 한대 장안, 빨간색은 당대 장안, 보라색은 송대 경조부, 노란색은 명대 이후의 시안이다. 장안()은 중국의 고도(古都)로 현재 산시 성(陝西省)의 성도(省都) 시안 시(西安市)에 해당.

새로운!!: 당나라와 장안 · 더보기 »

장안 (무주)

장안(長安)는 중국 무주(武周) 측천무후의 13번째 연호이.

새로운!!: 당나라와 장안 (무주) · 더보기 »

재초

재초(齋醮) 또는 초재(醮齋)는 도교의 제례 또는 기도 의식이.

새로운!!: 당나라와 재초 · 더보기 »

재초 (당)

재초(載初)은 중국 당(唐) 예종(睿宗)의 5번째 연호이.

새로운!!: 당나라와 재초 (당) · 더보기 »

재아

재아(宰我)는, 공자(孔子)의 문인이.

새로운!!: 당나라와 재아 · 더보기 »

편년체

(編年體)는 한자 문화권에서 역사책을 쓸 때 사용되는 체제이.

새로운!!: 당나라와 편년체 · 더보기 »

편전

전(片箭) 또는 애기살은 조선의 주요 무기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당나라와 편전 · 더보기 »

펑저우 시

펑저우 시의 위치 펑저우 시() 는 중화 인민 공화국 쓰촨 성 청두 시의 현급시이.

새로운!!: 당나라와 펑저우 시 · 더보기 »

작위

작위(爵位)는 왕족이나 공적이 뛰어난 귀족에게 수여하던 명예의 칭호 또는 그 계급을 가리.

새로운!!: 당나라와 작위 · 더보기 »

펑샹 현

펑샹 현() 는 중화 인민 공화국 산시 성 바오지 시의 현급 행정구역이.

새로운!!: 당나라와 펑샹 현 · 더보기 »

펑화 시

펑화 시() 는 중화 인민 공화국 저장 성 닝보 시의 현급 행정구역이.

새로운!!: 당나라와 펑화 시 · 더보기 »

임제록

《임제록(臨濟錄)》은 당나라의 선승(禪僧) 임제의현(臨濟義玄: ?~867)의 가르침을 그가 죽은 후 제자인 삼성혜연(三聖慧然)이 편집한 것으로서, 현존하는 것은 의현이 죽은 후 254년이 지난 1120년(북송의 선화 2년)에 원각종연(圓覺宗演)이 중각(重刻)한 것이.

새로운!!: 당나라와 임제록 · 더보기 »

임제종

임제종(臨濟宗)은 9세기 중국 당나라의 임제의현(臨濟義玄) 스님에 의해 창시된 중국 불교 선종 5가(家)의 한 종파이.

새로운!!: 당나라와 임제종 · 더보기 »

임조칭제

임조칭제(臨朝稱制)는 황제(皇帝)의 예법 상 혹은 혈연 상 어머니인 황태후(皇太后)가 황제가 정무를 주관할 수 없는 유고시에 황제를 대신하여 정치를 주관하는 행위를 가리.

새로운!!: 당나라와 임조칭제 · 더보기 »

임해군 (행정 구역)

손오대에 신설된 행정구역.

새로운!!: 당나라와 임해군 (행정 구역) · 더보기 »

입당구법순례행기

입당구법순례행기(入唐求法巡禮行記)는 9세기 일본 교토 연력사(延曆寺, 엔랴쿠지)의 승려 엔닌의 일기로, 일본 큐슈(九州) 하카타를 출발하여 9년간(838∼847) 당나라에 머무는 동안의 행적을 기록한 것이.

새로운!!: 당나라와 입당구법순례행기 · 더보기 »

입술소리

입술소리(입시울쏘리) 또는 순음(脣音)은 입술에서 만들어지는 닿소리라는 뜻으로 현대 음성학과 전통적 음운학에서 쓰인.

새로운!!: 당나라와 입술소리 · 더보기 »

폐후 위씨

후 위씨(皇后 韋氏, 660년경 ~ 710년)는 당나라 제4대 황제 당 중종 이현의 계비이.

새로운!!: 당나라와 폐후 위씨 · 더보기 »

포광사

광사(佛光寺)는 중국 산시 성 우타이 현 더우컨(Doucun)에서 5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있는 사찰이.

새로운!!: 당나라와 포광사 · 더보기 »

포산시

산()은 중화인민공화국의 광둥 성 중부 주강 삼각주에 위치한 지급시로, 성도인 광저우 시에서 남서쪽으로 20 km 떨어진 곳에 위. 관할 면적은 약 3,840 km², 인구는 약 354만(2005)이.

새로운!!: 당나라와 포산시 · 더보기 »

평로치청절도사

청평로절도사(淄靑平盧節度使)는 당나라의 절도사 직위 중 하나로 산둥 반도 일대를 거점으로 하였.

새로운!!: 당나라와 평로치청절도사 · 더보기 »

평양직할시

평양직할시(平壤直轄市)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당나라와 평양직할시 · 더보기 »

평해 구씨

평해 구씨(平海 丘氏)는 경상북도 울진군 평해읍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당나라와 평해 구씨 · 더보기 »

흠화군 절도사

흠화군 절도사(欽化軍節度使)는 중국 당나라 말기 희종 때 존재한 번진(藩鎭)으로, 그 지배 영역은 지금의 후난 성 일대 대부분의 행정 구역에 속해 있었.

새로운!!: 당나라와 흠화군 절도사 · 더보기 »

흥덕왕

흥덕왕(興德王, 777년~836년, 재위: 826년~836년)은 신라의 제42대 왕이.

새로운!!: 당나라와 흥덕왕 · 더보기 »

흥경궁

흥경궁(興慶宮)은, 중국 당(唐) 시대의 궁전이.

새로운!!: 당나라와 흥경궁 · 더보기 »

흥수

흥수(興首, ? ~ ?)는 백제 말기의 대신(大臣), 정치가(政治家), 충신(忠臣)이.

새로운!!: 당나라와 흥수 · 더보기 »

희종

희종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당나라와 희종 · 더보기 »

이 (성씨)

외 이(李, 異, 伊)씨는 동아시아의 성씨이.

새로운!!: 당나라와 이 (성씨) · 더보기 »

이량

이량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당나라와 이량 · 더보기 »

이도종

강하왕 이도종(江夏王 李道宗, 600년 ~ 653년)은 당나라 초기의 제후왕이.

새로운!!: 당나라와 이도종 · 더보기 »

이리 카자흐 자치주

이리 카자흐 자치주()) 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신장 위구르 자치구 북부의 카자흐족 자치주이다.

새로운!!: 당나라와 이리 카자흐 자치주 · 더보기 »

이무훈

이무훈은 다음을 가리.

새로운!!: 당나라와 이무훈 · 더보기 »

이무훈 (노룡군 절도사)

이무훈(李茂勳/李茂勛, Li Maoxun, 생몰년 미상)은 중국 당나라 말기의 군벌로, 875년부터 876년까지의 짧은 기간 동안 노룡군 절도사(盧龍軍節度使. 본거지는 현 허베이 성 베이징 시)로서 노룡군 번진(藩鎭)을 지배하였.

새로운!!: 당나라와 이무훈 (노룡군 절도사) · 더보기 »

이백

이백(701년 ~ 762년)은 중국의 시인이.

새로운!!: 당나라와 이백 · 더보기 »

이백약

이백약(李百藥, Li Baiyao, 564년 ~ 647년)은 중국 수나라 때부터 당나라 때에 걸쳐 활약했던 관료이자 역사가로, 그의 뛰어난 문학적 재능으로 많은 사람들에게서 존경받았으며, 아버지 이덕림이 편찬을 시작했던 남북조시대 북제의 공식 역사서 중의 하나인 북제서를 완성한 것으로 유명.

새로운!!: 당나라와 이백약 · 더보기 »

이밀

이밀(582년 ~ 619년)은 수나라 말기에서 당나라 초기에 걸쳐 활약했던 정치가이자 유력 군웅의 한 사람으로, 수 양제의 지배에 반기를 들고 일어난 반란군의 수령이었.

새로운!!: 당나라와 이밀 · 더보기 »

이밀 (754년)

이밀(李密, 병음: Li Mi, 생몰년: ?~754)은 당나라 현종 때 무장이.

새로운!!: 당나라와 이밀 (754년) · 더보기 »

이밀 (동음이의)

이밀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당나라와 이밀 (동음이의) · 더보기 »

이가거

이가거(李可擧, ? ~ 885년)는 중국 당나라의 군벌이.

새로운!!: 당나라와 이가거 · 더보기 »

이거

이거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당나라와 이거 · 더보기 »

이경업

이경업(李敬業, 636년-684년) 또는 서경업(徐敬業)은, 중국 당(唐) 왕조 초기의 무장 이적(李勣)의 손자이.

새로운!!: 당나라와 이경업 · 더보기 »

이고

이고는 다음 인물들을 가리.

새로운!!: 당나라와 이고 · 더보기 »

이고 (당나라)

이고(李翺, 774년~836년)는 중국 당나라의 사상가이.

새로운!!: 당나라와 이고 (당나라) · 더보기 »

이고 (서량)

이고(李暠, 351년 ~ 417년, 재위:400년 ~ 417년)는 중국 오호 십육국 시대의 서량의 시조.

새로운!!: 당나라와 이고 (서량) · 더보기 »

이계천

조 이계천(夏太祖 李繼遷, 963년 ~ 1004년 1월 26일)은 탕구트족의 지도자이자 서하의 초대 군주(재위:983 ~ 1004)이.

새로운!!: 당나라와 이계천 · 더보기 »

이변 (남당)

이변(李昪, 889년 ~ 943년, 재위: 937년 ~ 943년)은 오대십국시대의 남당의 초대 황제였.

새로운!!: 당나라와 이변 (남당) · 더보기 »

이광필

이광필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당나라와 이광필 · 더보기 »

이극용

이극용(李克用, 856년~908년)은 설연타 지도자 이국창 (李國昌)의 아들로서 중국 당나라말기 돌궐계 사타족(沙陀族) 출신의 최대 군벌이자 군사지도자이.

새로운!!: 당나라와 이극용 · 더보기 »

이근행 (당나라)

이근행(李謹行, ? ~ 682년)은 당나라의 장수로 고구려, 신라와의 전쟁 기록에 자주 등장하며 그 외의 북방 유목 민족을 격파하는 데 공을 세웠.

새로운!!: 당나라와 이근행 (당나라) · 더보기 »

이누야마성

수 이누야마 성 이누야마 마쓰리 이누야마 성()는 아이치현 이누야마 시에 있는 소규모 성곽이.

새로운!!: 당나라와 이누야마성 · 더보기 »

이납

이납(李納, 758년 ~ 792년)은 고구려 유민 출신의 제나라의 2대 국왕이.

새로운!!: 당나라와 이납 · 더보기 »

이담명

이담명(李聃命, 1646년 ~ 1701년)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정치인, 성리학자, 실학자이자 시인이며 청백리이.

새로운!!: 당나라와 이담명 · 더보기 »

이효

이효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당나라와 이효 · 더보기 »

이승굉

이승굉(李承宏, ?~?)은 당나라의 황족이자 당 고종의 6남인 장회태자 이현의 손자이.

새로운!!: 당나라와 이승굉 · 더보기 »

이인한

이인한(李仁罕, 872년 ~ 934년)은 중국 오대십국 시대 후촉의 대장이었.

새로운!!: 당나라와 이인한 · 더보기 »

이전충

이전충(李全忠, Li Quanzhong, ? ~ 886년)은 중국 당나라 말기에 활약했던 군벌로, 전임 노룡군 절도사(盧龍軍節度使, 본거지는 지금의 베이징) 이가거를 멸망시킨 885년부터 886년 사망할 때까지 노룡군 번진(藩鎭)을 지배하였.

새로운!!: 당나라와 이전충 · 더보기 »

이정 (571년)

이정(李靖, 571년~649년)은 중국 당나라의 명장으로, 중국 섬서성 장안(長安)에서 출생하였.

새로운!!: 당나라와 이정 (571년) · 더보기 »

이정 (당 숙종)

이정(李侹, ? ~ 784년)은 중국 당나라의 황족으로, 당 숙종의 7번째 아들이.

새로운!!: 당나라와 이정 (당 숙종) · 더보기 »

이정 (당나라 왕족)

이정(李貞, ? ~ 688)은 당나라의 태종의 8번째 아들이.

새로운!!: 당나라와 이정 (당나라 왕족) · 더보기 »

이정 (은나라)

이정(利貞)은 상나라 말기 현인 이징(利徵)의 아들이.

새로운!!: 당나라와 이정 (은나라) · 더보기 »

이정 (중국 신화)

탁탑이천왕 이정(李靖)은 도교에서 추앙하는 신으로, 원래는 불교의 사천왕 중 하나인 비사문천(毘沙門天)이.

새로운!!: 당나라와 이정 (중국 신화) · 더보기 »

이정기 (732년)

이정기(李正己, 732년 ~ 781년)는 당나라 산둥반도 일대 15개 주를 다스린 고구려 출신의 장군이며, 번진 평로치청의 절도사이.

새로운!!: 당나라와 이정기 (732년) · 더보기 »

이저우 구 (하미 시)

이저우 구의 위치 이저우 구는 신장 위구르 자치구 하미 시의 시할구이.

새로운!!: 당나라와 이저우 구 (하미 시) · 더보기 »

이존욱

이존욱(李存勗, 885년 ~ 926년, 재위: 909년 ~ 926년)은 오대십국시대 후당의 창건자로서 초대 황제이.

새로운!!: 당나라와 이존욱 · 더보기 »

이진충

이진충(李盡忠, ? ~ 696년, 재위: 660년 ~ 696년)은 거란의 추장이.

새로운!!: 당나라와 이진충 · 더보기 »

이창 시

이창(의창)은 중화인민공화국 후베이 성 서부에 위치한 지급시이.

새로운!!: 당나라와 이창 시 · 더보기 »

이창부

이창부(李昌符, Li Changfu, ? ~ 887년 8월 23일?《자치통감》제257권)는 중국 당나라 말기에 활약했던 군벌로, 884년부터 887년까지 절도사(節度使)로서 봉상(鳳翔, 본거지는 현 산시 성 바오지 시) 번진(藩鎭)을 지배하였.

새로운!!: 당나라와 이창부 · 더보기 »

이창언

이창언(李昌言, Li Changyan, ? ~ 884년)은 중국 당나라 말기에 활약했던 군벌로, 전임 봉상절도사(鳳翔節度使, 본거지는 현 산시 성 바오지 시)였던 전직 재상 정전을 전복시킨 이후, 881년부터 884년까지 절도사로서 봉상 번진(藩鎭)을 지배하였.

새로운!!: 당나라와 이창언 · 더보기 »

이충 (당)

이충(李沖, ? ~ 688년)은 당 고종과 궁인 유씨 사이에서 태어난 당나라의 황자이.

새로운!!: 당나라와 이충 (당) · 더보기 »

이치

이치는 다음을 뜻.

새로운!!: 당나라와 이치 · 더보기 »

이유 (당나라)

이유(李𥙿, ? - 905년 2월)는 당 소종의 장남이자 당나라의 비정통 황제(재위 900년 ~ 901년)이.

새로운!!: 당나라와 이유 (당나라) · 더보기 »

이위공문대

이위공문대(李衞公問對)는 중국 당나라(唐)의 이정(李靖)이 저작한 병법서이.

새로운!!: 당나라와 이위공문대 · 더보기 »

이상은 (당나라)

이상은 이상은(李商隱, 원화 7년(812년) 또는 원화 8년(813년)~대중 12년(858년))은, 중국 당나라의 관료 정치가로 두목(杜牧)과 함께 만당(晩唐)을 대표하는 한시인이.

새로운!!: 당나라와 이상은 (당나라) · 더보기 »

이옹

이옹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당나라와 이옹 · 더보기 »

이예

이예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당나라와 이예 · 더보기 »

이언로

이언로(李彦魯, Li Yanlu, ? ~ 915년)는 중국 당나라 말기에서 오대십국 시대 전기 기나라 때에 걸쳐 활약했던 군벌인 정난군 절도사(靜難軍節度使, 본거지는 지금의 산시 성 셴양 시) 이계휘의 아들로, 아버지를 독살한 후 잠시나마 정난군 번진(藩鎭)을 지배하였.

새로운!!: 당나라와 이언로 · 더보기 »

이연수

이연수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당나라와 이연수 · 더보기 »

이헌

이헌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당나라와 이헌 · 더보기 »

이엄 (고려)

이엄(利嚴: 870-936)은 신라 말기와 고려 초기의 고승이.

새로운!!: 당나라와 이엄 (고려) · 더보기 »

이사훈

이사훈(李思訓, 리쓰쉰, 651년 ~ 716년)은 중국 당(唐)나라 황족 종실(皇族 宗室) 출신의 화가이며 자(字)는 견룡(建見)이.

새로운!!: 당나라와 이사훈 · 더보기 »

이세적

청전(清殿)에 소장된 이적의 초상화 이세적(李世勣, 594년 ~ 669년 12월 31일)은 당나라의 장수이.

새로운!!: 당나라와 이세적 · 더보기 »

이해고

이해고(Li Kaigu, 李楷固)는 거란족 무상가한 이진충의 양자였다가 당나라 장수가 된 거란족 출신 인물이.

새로운!!: 당나라와 이해고 · 더보기 »

이하 (당나라)

이하 이하(李賀, 791년 ~ 817년)는 중국 당나라의 시인이.

새로운!!: 당나라와 이하 (당나라) · 더보기 »

이신 (전국)

이신(李信)은 중국 전국 시대 진나라의 무장이.

새로운!!: 당나라와 이신 (전국) · 더보기 »

이실활

이실활(李失活, 640년경 ~ 718년)은 거란의 수령으로 대하굴가의 손자이며 이진충의 사촌 동생이.

새로운!!: 당나라와 이실활 · 더보기 »

이원길

이원길은 다음을 가리.

새로운!!: 당나라와 이원길 · 더보기 »

이원영

이원영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당나라와 이원영 · 더보기 »

이원영 (당)

이원영(李元嬰, ? ~ 684년)은 중국 당나라의 황족으로, 등왕(滕王)에 봉해졌.

새로운!!: 당나라와 이원영 (당) · 더보기 »

이홍 (당)

이홍(李弘, 652년 ~ 675년)은 당나라의 황태자로 당 고종과 측천무후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며 당 중종, 당 예종의 친형이.

새로운!!: 당나라와 이홍 (당) · 더보기 »

인덕 (당)

인덕(麟德)은 중국 당(唐) 고종(高宗)의 4번째 연호이.

새로운!!: 당나라와 인덕 (당) · 더보기 »

인저우 구 (닝보 시)

인저우 구() 는 중화 인민 공화국 저장 성 닝보 시의 현급 행정구역이.

새로운!!: 당나라와 인저우 구 (닝보 시) · 더보기 »

인천 경서동 녹청자 요지

인천 경서동 녹청자 요지(仁川 景西洞 綠靑瓷 窯址)는 인천광역시 서구 경서동 일대의 언덕에 있는 고려시대 녹청자 가마터이.

새로운!!: 당나라와 인천 경서동 녹청자 요지 · 더보기 »

인삼

인삼(人蔘, Panax ginseng)은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

새로운!!: 당나라와 인삼 · 더보기 »

인쇄

인쇄(印刷)는 글과 그림을 찍어내는 과정이며, 대개 프레스기를 이용하여 잉크를 사용해서 종이에 찍는 것을 이야.

새로운!!: 당나라와 인쇄 · 더보기 »

인왕경

《인왕경(仁王經)》은 동일한 원본의 두 가지 한역 경전인 《불설인왕반야바라밀경(佛說仁王般若波羅蜜經)》(K.19, T.245)와 《인왕호국반야바라밀다경(仁王護國般若波羅蜜多經)》(K.1340, T.246)의 약칭이.

새로운!!: 당나라와 인왕경 · 더보기 »

일릭 카간

일릭 카간(고대 투르크어: Illig qaγan, ? ~ 634년)은 동돌궐의 마지막 카간이.

새로운!!: 당나라와 일릭 카간 · 더보기 »

일목장군

일목장군(一目將軍)은 1939년 동일창극단에서 상연한 창극 작품이.

새로운!!: 당나라와 일목장군 · 더보기 »

일반적인 오해 목록

일반적인 오해 목록은 그동안 잘못 알려진 것들을 모아놓은 문서.

새로운!!: 당나라와 일반적인 오해 목록 · 더보기 »

일본

일본국(닛폰코쿠), 약칭 일본(日本,, 닛폰)은 동아시아에 있는 국. 국토는 태평양에 있는 일본 열도의 네 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홋카이도, 혼슈, 시코쿠, 규슈를 중심으로 주변에 산재한 작은 섬으로 구성되어 있. 총 면적은 37만 7835 km2인데 이는 노르웨이(스발바르 제도와 얀마옌을 포함한 경우)보다 작으며 독일보.

새로운!!: 당나라와 일본 · 더보기 »

일본 국왕

일본 국왕(日本國王) 또는 왜왕(倭王)은 역사적으로 중국과의 책봉 관계로 성립되는 국제적인 조공 체제에서 일본의 실질적인 지배자인 막부의 정이대장군을 지칭하는 호칭이었.

새로운!!: 당나라와 일본 국왕 · 더보기 »

일본 천황

국화문장은 공식 국장은 아니지만 일본 천황의 상징이며, 국장처럼 쓰이기도 한다 일본 천황() 또는 일왕(日王)은 일본의 군주로 일본 황실의 대표이.

새로운!!: 당나라와 일본 천황 · 더보기 »

일본 한자음

일본 한자음(日本漢字音)은 일본어에서의 한자의 소리를 뜻. 대부분 한 글자가 하나의 소리만을 가지고 있는 한국 한자음과 달리, 일본의 한자음은 시대에 따른 중국어의 음운의 변화를 반영했기 때문에, 하나의 한자가 중국에서 유입된 시기에 따라 여러 음을 가질 수 있. 예를 들면, 밝을 명(明)이라는 글자는 한국에서는 '명'이라고만 읽지만, 일본에서는 ミヤウ, メイ, ミン이라는 세 가지 소리가 날 수 있. 이와 같이 한자를 읽을 때 그 글자의 뜻에 해당하는 훈독과 음으로 읽는 음독이 있.

새로운!!: 당나라와 일본 한자음 · 더보기 »

일본-중국 관계

일본과 중화인민공화국은 동아시아에 자리잡은 국가이며 역사적으로 중국은 일본과 문화 교류를 해 왔.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명나라를 침략할 계획으로 조선을 침략.

새로운!!: 당나라와 일본-중국 관계 · 더보기 »

일본의 불교

일본의 불교는 6세기부터 현대까지 내려오는 일본의 불교 역사이.

새로운!!: 당나라와 일본의 불교 · 더보기 »

일본의 군사사

일본의 군사사(日本の軍事史)는 고대 율령제 조정의 징병제가 붕괴한 뒤 무가와 막부가 탄생한 순간, 그리고 이후 무로마치 막부가 붕괴하면서 센고쿠 시대를 거친 변화, 에도 막부의 문치 정치를 거쳐 메이지 유신 이후 현대 징병제에 근거한 국민군의 성립과 제국주의에 의한 대외 전쟁을 특징으.

새로운!!: 당나라와 일본의 군사사 · 더보기 »

일본의 율령제

율령제()는 율령을 기초로 하는 제도를 말. 주로 고대 동아시아에서 보이는 중앙집권적인 통치 체제를 일컫기도 하지만, 실질적으로 당나라의 제도를 모방해 체계적인 법전을 편찬하고 시행한 국가는 일본뿐이.

새로운!!: 당나라와 일본의 율령제 · 더보기 »

일본의 역사

일본의 역사(日本-歷史)는 일본과 일본인이 현재까지 걸어온 모든 역사적 과정을 이르는 말이.

새로운!!: 당나라와 일본의 역사 · 더보기 »

일본의원복

원복()는 일본의 성인식 즉, 일종의 성인이 되기위한 과정이.

새로운!!: 당나라와 일본의원복 · 더보기 »

일기

일기(日記)란 개인이 일상에서 체험하는 경험, 생각, 감상 등의 제반사항을 하루 단위로 기록하는 비공식적, 사적 기록이.

새로운!!: 당나라와 일기 · 더보기 »

일길찬

일길찬(一吉飡)은 520년(법흥왕 7년)에 시행한 신라의 관등이.

새로운!!: 당나라와 일길찬 · 더보기 »

일남군

일남군(日南郡)은 중국의 옛 군이.

새로운!!: 당나라와 일남군 · 더보기 »

음력 7월 18일

음력 7월 18일은 음력 7월의 18번째 날이.

새로운!!: 당나라와 음력 7월 18일 · 더보기 »

음양사

에도 시대 초기 나라에본 《타마모노마에》에서 산가지 운세를 보는 음양사. 교토 대학교 부속 도서관 소장. 음양사(おんみょうじ, 온묘지)란 고대 일본의 율령 제도 하에서 음양료(천문, 점술, 역(曆) 등을 맡아 보던 기관)에 속해 있던 관직 중 하나이.

새로운!!: 당나라와 음양사 · 더보기 »

음서

음서(蔭敍) 또는 음서제(蔭敍制)는 고려와 조선 시대에 중신 및 양반의 신분을 우대하여 친족 및 처족을 과거와 같은 선발 기준이 아닌 출신을 고려하여 관리로 사용하는 제도이.

새로운!!: 당나라와 음서 · 더보기 »

의령 옥씨

의령 옥씨(宜寧 玉氏)는 경상남도 의령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당나라와 의령 옥씨 · 더보기 »

의령 여씨

의령 여씨(宜寧 余氏)는 백제에서 유래한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당나라와 의령 여씨 · 더보기 »

의봉

의봉(儀鳳)은 중국 당(唐) 고종(高宗)의 9번째 연호이.

새로운!!: 당나라와 의봉 · 더보기 »

의녕

의녕(義寧)은 중국 수(隋) 공제(恭帝)의 연호이자 수나라의 마지막 연호이.

새로운!!: 당나라와 의녕 · 더보기 »

의자의 역사

4750-4600BC 경의 진흙으로 만든 유럽식 의자 의자(椅子)는 아주 오랜 역사를 갖고 있. 수천년동안 이것은 실용적인 목적으로 사용되기보다는 존엄과 위엄을 보여주기 위해 사용되었.

새로운!!: 당나라와 의자의 역사 · 더보기 »

의자왕

의자왕(義慈王, ?자식 중 하나인 부여융은 615년생이다. 이것으로 보아 595년경에 태어났을 것이다. ~ 660년, 재위: 641년 ~ 660년)은 백제의 마지막 국왕(혹은 31대 국왕)이.

새로운!!: 당나라와 의자왕 · 더보기 »

의정 (승려)

의정 의정(義淨, 635~713)은 중국 당대(唐代)의 학승(學僧)이.

새로운!!: 당나라와 의정 (승려) · 더보기 »

의종

의종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당나라와 의종 · 더보기 »

의직

의직(義直, 590년에서 600년 사이~660년)은 백제 의자왕 때의 장군이.

새로운!!: 당나라와 의직 · 더보기 »

의상 (신라)

의상(義湘, 625년 ~ 702년)은 고대 통일신라시대 중기의 왕족 출신, 고승이.

새로운!!: 당나라와 의상 (신라) · 더보기 »

의현

임제의현(臨濟義玄: ?~867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성전 > 임제록,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임제(臨濟) 또는 의현(義玄)은 당나라의 선승(禪僧)으로 속성(俗性)은 형(邢), 산동성 조현(曺縣) 사람이.

새로운!!: 당나라와 의현 · 더보기 »

의양공주

의양공주(義陽公主, ?~691년)는 당나라의 황녀이며, 당 고종과 숙비 소씨의 첫째 딸이.

새로운!!: 당나라와 의양공주 · 더보기 »

익산 어래산성

익산 어래산성(御來山城)은 전라북도 익산시 웅포면 입점리에 있는 삼국시대의 산성이.

새로운!!: 당나라와 익산 어래산성 · 더보기 »

흑치상지

흑치상지(黑齒常之, 630년 ~ 689년)는 백제의 의자왕 때 달솔을 지낸 백제 · 당나라의 무장이.

새로운!!: 당나라와 흑치상지 · 더보기 »

흑수말갈

흑수말갈(黑水靺鞨)은 말갈족의 한 부족이.

새로운!!: 당나라와 흑수말갈 · 더보기 »

응오 왕조

응오 왕조 또는 오왕조(吳朝, 오조)는 당나라 멸망 후의 혼란스런 오대십국의 상황에서 오랜 중국 통치에서 벗어나 응오 꾸옌()이 베트남 최초의 왕조를 세운 나라이.

새로운!!: 당나라와 응오 왕조 · 더보기 »

응오꾸옌

응오꾸옌(897년 3월 12일 ~ 944년 1월 18일)은 베트남 응오 왕조(吳)를 세운 왕으로 중국의 오랜 식민 지배에서 벗어나 나라를 세운 건국자로 응오브엉(Ngô Vương, 吳王 오왕)으로 칭해졌.

새로운!!: 당나라와 응오꾸옌 · 더보기 »

은 (성씨)

은(殷, 恩)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

새로운!!: 당나라와 은 (성씨) · 더보기 »

은고

목왕후 은고(穆王后,恩古)는 의자왕(義慈王)의 왕비이.

새로운!!: 당나라와 은고 · 더보기 »

적청

적청(狄靑, 1008년 ~ 1057년)은, 중국 북송(北宋)의 군인이.

새로운!!: 당나라와 적청 · 더보기 »

적산법화원

적산법화원(赤山法華院)은 중화인민공화국 산둥 성 웨이하이 시의 행정 구역인 룽청 시(榮成) 스다오(石島鎭)진 적산(赤山) 기슭에 자리잡고 있.

새로운!!: 당나라와 적산법화원 · 더보기 »

적산선원

적산선원()은 교토 시(京都市) 사쿄 구(左京區) 슈가쿠인(修學院)에 있는 천태종(天台宗) 사원이.

새로운!!: 당나라와 적산선원 · 더보기 »

적성군

적성군(積城郡)은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지금의 파주시 적성면과 양주시 남면, 연천군 백학면, 연천군 전곡읍의 간파리, 늘목리 일대에 있던 경기도 서북부의 옛 행정구역의 명칭이.

새로운!!: 당나라와 적성군 · 더보기 »

점복

점복(占卜)은 미래의 일이나 감추어진 일을 알기 위해 점을 치는 것을 말. 무당이나 판수가 치는 점을 무꾸리.

새로운!!: 당나라와 점복 · 더보기 »

제1차 고구려-당 전쟁

제1차 고구려-당전쟁(第一次高句麗-唐戰爭)은 서기 645년 당 태종이 고구려를 침공하여 일어난 전쟁이.

새로운!!: 당나라와 제1차 고구려-당 전쟁 · 더보기 »

제1천년기

제1천년기(第一千年期, 1st millennium)는 율리우스력으로 기원후 1년부터 1000년까지 이어지는 천 년의 기간이.

새로운!!: 당나라와 제1천년기 · 더보기 »

제2차 고구려-당 전쟁

제2차 고구려-당 전쟁(第二次高句麗-唐戰爭)은 서기 660년 당 고종이 고구려를 침공하여 662년까지 지속된 전쟁이.

새로운!!: 당나라와 제2차 고구려-당 전쟁 · 더보기 »

제3차 고구려-당 전쟁

665년 연개소문이 죽고 그의 맏아들 연남생이 부친을 대신하여 막리지가 되었.

새로운!!: 당나라와 제3차 고구려-당 전쟁 · 더보기 »

제나라

제나라는 제(齊)란 국호를 가진 나라를 의미.

새로운!!: 당나라와 제나라 · 더보기 »

제자백가

제자백가(諸子百家) 또는 현상적 표현인 백가쟁명(百家爭鳴)는 춘추전국시대(기원전 770~221)의 여러 사상가와 그 학파들을 말. 주나라(周)가 동으로 천도한 후의 동주(東周: 기원전 771~256) 시대에서는 종주권이 쇠약해짐에 따라 제후들이 세력을 추구하면서 거리낌이 없어져서 약육강식이 잇달아 일어나자 중국 천하는 소란하게 되었.

새로운!!: 당나라와 제자백가 · 더보기 »

제음군

제음군(濟陰郡)은 전한부터 당나라까지 존속한 중국의 옛 군급 행정 구역이.

새로운!!: 당나라와 제음군 · 더보기 »

절도사

절도사(節度使)는, 중국 당(唐) 왕조에서 북송(北宋) 왕조에 걸쳐 존재했던 지방 조직인 번진(藩鎭)을 통솔했던 수장을 말. 관찰사(觀察使) 등을 겸하는 수도 있었으며, 지방의 군사와 재정을 통괄하였.

새로운!!: 당나라와 절도사 · 더보기 »

절강 편씨

절강 편씨(浙江 片氏)는 중국 절강에서 유래한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당나라와 절강 편씨 · 더보기 »

전라도

전라도(全羅道)는 전라북도와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제주특별자치도 일대를 관할했던 행정구역으로 호남 지방(湖南地方)에 해당.

새로운!!: 당나라와 전라도 · 더보기 »

전기 (당나라)

전기(錢起, 710년 ~ 782년)는 중국 당나라의 시인이.

새로운!!: 당나라와 전기 (당나라) · 더보기 »

전당문

가경제(嘉慶帝)가 지은 《전당문》의 서문. 《전당문》편찬자 일람 《전당문》(全唐文)은, 중국 당(唐)에서 오대(五代)의 문장(주로 산문)을 모아 엮은 것이.

새로운!!: 당나라와 전당문 · 더보기 »

전당시

《전당시》(全唐詩)는, 중국 청(淸) 강희제(康熙帝)의 칙명에 따라 팽정구(彭定求) 등이 당시(唐詩)를 모아 엮은 한시집이.

새로운!!: 당나라와 전당시 · 더보기 »

전촉

전촉(前蜀, 907년 ~ 925년)은 중국의 오대십국 시대 10국 중 하나로 성도를 중심으로 한 사천성을 지배하던 나라로 절도사였던 왕건이 건국하였.

새로운!!: 당나라와 전촉 · 더보기 »

전원관

전원관(錢元瓘, 887년 ~ 941년)은 중국 오대 십국 시대 지금의 절강 일대를 지배했던 오월의 제2대 국왕으로, 그의 아버지 무숙왕 전류가 그의 손에서 나라를 맡긴 932년부터 941년 사망할 때까지 왕위에 있었.

새로운!!: 당나라와 전원관 · 더보기 »

정 (성씨)

정(鄭, 丁, 程, 井)씨는 성씨의 하나이.

새로운!!: 당나라와 정 (성씨) · 더보기 »

정 (시호)

정은 동아시아 군주의 칭호에 쓰이는 글자.

새로운!!: 당나라와 정 (시호) · 더보기 »

정명진

정명진(程名振, ? ~ 662년)은 당나라의 장군으로 명주(洺州) 평은현(平恩縣) 사람이.

새로운!!: 당나라와 정명진 · 더보기 »

정강군

정강군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당나라와 정강군 · 더보기 »

정관 (당)

정관(貞觀)은 중국 당(唐) 태종(太宗)의 연호이.

새로운!!: 당나라와 정관 (당) · 더보기 »

정관의 치

정관의 치(貞觀之治, 627년~649년) 중국 당나라의 2대 황제 태종 이세민의 치세를 일컫는 말. 중국 역사상 가장 번영했던 시대 가운데 하나로써, 이때 태종을 보좌했던 재상으로는 위징, 방현령, 장손무기 등이 있. 태종은 이들의 보좌를 받으며 밖으로는 돌궐을 제압하는 한편 토번을 회유했으며, 안으로는 조용조 제도와 부병제, 균전제 등의 제도를 마련하고 과거제를 정비.

새로운!!: 당나라와 정관의 치 · 더보기 »

정관정요

《정관정요》(貞觀政要)는 중국 당 때에 오긍이 편찬했다고 전하는 당 태종의 언행록이.

새로운!!: 당나라와 정관정요 · 더보기 »

정년 (신라)

정년(鄭年)은 신라 말기의 무신이.

새로운!!: 당나라와 정년 (신라) · 더보기 »

정효공주묘

정효공주묘(貞孝公主墓)는 지린 성 옌볜 조선족 자치주 허룽시 룽터우 산 고분군 가운데 하나로, 793년에 만들어진 발해 초기 고분이.

새로운!!: 당나라와 정효공주묘 · 더보기 »

정전법

정전법(井田法)은 중국 최초의 토지 제도로, 주나라 때에 실시되었다고 전. 정방형의 토지를 우물 정(井)자형(1정.

새로운!!: 당나라와 정전법 · 더보기 »

정전제

정전제(丁田制)는 722년(신라 성덕왕 21)에 시작된 신라의 토지제도이.

새로운!!: 당나라와 정전제 · 더보기 »

정저우 시

정저우 시(정주)는 중화인민공화국 허난성에 위치하는 지급시로 허남성의 성도 소재지이.

새로운!!: 당나라와 정저우 시 · 더보기 »

정창

정창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당나라와 정창 · 더보기 »

정사 (역사학)

정사(正史)는 동아시아의 국가들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편찬한 역사서 또는 역사적 사실을 말. 중국·한국·일본 등에서 주로 등장한 개념으로 특정한 왕조 또는 시대의 역사를 주로 기전체(紀傳體) 형식으로 편찬한 국가 공인 역사서이.

새로운!!: 당나라와 정사 (역사학) · 더보기 »

정토교

정토교(淨土敎)는 정토종(淨土宗) 또는 정토문(淨土門)으로 불리.

새로운!!: 당나라와 정토교 · 더보기 »

정원 (동음이의)

정원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당나라와 정원 (동음이의) · 더보기 »

정화왕후

정화왕후 강씨(貞和王后 康氏)는 고려의 추존왕비이며 태조 왕건의 증조할머니이.

새로운!!: 당나라와 정화왕후 · 더보기 »

저장성

저장 성(절강성)은 중화인민공화국 동남부의 성이.

새로운!!: 당나라와 저장성 · 더보기 »

저수량

저수량(褚遂良, 596년~658년)은 중국 당나라의 서예가이.

새로운!!: 당나라와 저수량 · 더보기 »

조 (오대 십국)

조(趙)는 중국 오대 십국 시대 초기 지금의 하북성 중부에 있었던 나라였.

새로운!!: 당나라와 조 (오대 십국) · 더보기 »

조덕인

조덕인(趙德諲, Zhao Deyin, ? ~ 892년)은 중국 당나라 말기에 활약했던 군벌로, 당초에는 황제를 자칭한 진종권 휘하의 무장으로 있었으나, 진종권의 패망이 가까워지자 당나라에 충성을 맹세하였고, 충의군 절도사(忠義軍節度使, 본거지는 현 후베이 성 샹양 시)로서 해당 번진(藩鎭)의 지배를 계속 유지할 수 있었.

새로운!!: 당나라와 조덕인 · 더보기 »

조로 (당)

조로(調露)은 중국 당(唐) 고종(高宗)의 10번째 연호이.

새로운!!: 당나라와 조로 (당) · 더보기 »

조갑제

조갑제(趙甲濟, 1945년 10월 24일 ~)는 대한민국의 언론인이.

새로운!!: 당나라와 조갑제 · 더보기 »

조용조

조용조(租庸調)는 북위에서 시작한 조조(租調) 세제가 발전하면서 수나라를 거쳐 당나라 시기에 정립된 조세 제도이.

새로운!!: 당나라와 조용조 · 더보기 »

조주

조주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당나라와 조주 · 더보기 »

조주종심

조주종심 조주종심(趙州從諗, Zhaozhou Congshen, 778년 - 897년)은 당나라 말기의 승려이.

새로운!!: 당나라와 조주종심 · 더보기 »

조캉 사원

조캉사원 조캉 사원(大昭寺, Jokhang)은 중화인민공화국 티베트 자치구의 라싸에 있는 티베트 불교 사원이.

새로운!!: 당나라와 조캉 사원 · 더보기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북부에 위치한 국가이.

새로운!!: 당나라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더보기 »

조선의 행정 구역

조선의 지방 행정 구역은 전국을 팔도로 나누어 고을의 크기에 따라 지방관의 등급을 조정하고, 작은 군현을 통합하여 전국에 약 330여 개의 군현을 두어 이루어졌.

새로운!!: 당나라와 조선의 행정 구역 · 더보기 »

조황 (당나라)

조황(趙鍠, ? ~ 889년)은 중국 당나라 말기에 활약했던 군벌로, 887년부터 889년 그가 라이벌 양행밀의 손에 죽을 때까지 관찰사로서 선흡(宣歙, 본부는 지금의 안후이 성 쉬안청 시에 있었다) 번진(藩鎭)을 지배하였.

새로운!!: 당나라와 조황 (당나라) · 더보기 »

조확

조확(曹確, Cao Que, 생몰년 미상)은 중국 당나라 후기에 활동했던 관료로, 당 의종 연간에 재상을 지냈던 인물이.

새로운!!: 당나라와 조확 · 더보기 »

종경록

《종경록(宗鏡錄)》은 오대(五代)로부터 북송(北宋)에 걸친 선승(禪僧) 영명연수(永明延壽: 904~975)의 저작으로, 100권으로 되어 있.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성전 > 종경록,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영명연수는 선종5가(禪宗五家)의 일파인 법안종(法眼宗)에 속하며, 천태(天台)화엄(華嚴)법상(法相) 등의 교종(敎宗)과 선종(禪宗)을 융화회통(融和會通)케 하려는 교선일치(敎禪一致)를 주장한 선승이.

새로운!!: 당나라와 종경록 · 더보기 »

종광시

종광시(鍾匡時, Zhong Kuangshi, 생몰년 미상)는 중국 당나라 말기에 활약했던 군벌로, 20여 년간 진남군(鎭南軍, 본거지는 지금의 장시 성 난창 시) 번진(藩鎭)을 지배해 왔던 아버지 종전의 사후 잠시나마 해당 번진을 지배해 왔. 종광시가 진남군 번진을 점령한 직후, 그의 라이벌이었던 군벌 회남절도사(淮南節度使, 본거지는 지금의 장쑤 성 양저우 시) 양악은 종광시를 격파하여 그를 사로잡았고, 진남군 번진을 자신의 지배하에 편입시.

새로운!!: 당나라와 종광시 · 더보기 »

주에는 다음과 같은 동음이의어가 있.

새로운!!: 당나라와 주 · 더보기 »

주 (성씨)

주(朱, 周)씨는 중국 및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당나라와 주 (성씨) · 더보기 »

주례

주례(周禮)는 유가가 중시하는 경서이자 13경의 하나로 《의례》, 《예기》와 함께 삼례(三禮)의 하나이.

새로운!!: 당나라와 주례 · 더보기 »

주류성

주류성(周留城)은 백제의 성이.

새로운!!: 당나라와 주류성 · 더보기 »

주마뎬 시

주마뎬(주마점)은 중국 허난 성의 남쪽에 있는 도시이.

새로운!!: 당나라와 주마뎬 시 · 더보기 »

주경매

주경매(朱敬玫, Zhu Jingmei, ? ~ 885년)는 중국 당나라 말기의 환관으로, 형남절도사(荊南節度使, 본거지는 현 후베이 성 징저우 시) 단언모를 살해한 후, 수하의 정예 친위부대인 충용군(忠勇軍)을 기반으로 삼아 사실상 형남 번진(藩鎭)의 지배자가 되었.

새로운!!: 당나라와 주경매 · 더보기 »

주근 (당나라)

주근(朱瑾, 867년 ~ 918년)은 중국 당나라 말기에 활약했던 군벌로, 후에 오대십국 시대 동안 오나라(또한 홍농국으로도 알려져 있다)의 대장으로 활약했던 군인이었.

새로운!!: 당나라와 주근 (당나라) · 더보기 »

주우규

주우규(朱友珪, 888년? ~ 913년)는 오대십국시대 후량의 제2대 황제이.

새로운!!: 당나라와 주우규 · 더보기 »

주저우 시

주저우(주주)는 중화인민공화국 후난 성의 지급시로 예전에는 젠닝으로도 알려져있었.

새로운!!: 당나라와 주저우 시 · 더보기 »

주천

주천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당나라와 주천 · 더보기 »

주침

주침(周綝, ? ~ 850년)은 중국 당나라 후기 선종 때의 무장으로, 노룡군 절도사(盧龍軍節度使, 재위 849년 ~ 850년)로서 당시 사실상 독립 상태나 다름없었던 노룡군(본거지는 현 허베이 성 베이징 시) 번진(藩鎭)을 짧은 기간 동안 지배하였.

새로운!!: 당나라와 주침 · 더보기 »

주선

주선(朱瑄《구당서》권182.《구오대사》권13.《자치통감》권255./朱宣《신당서》권188.《신오대사》권42., Zhu Xuan, ? ~ 897년)은 중국 당나라 말기에 활약했던 군벌로, 882년부터 897년까지 절도사(節度使)로서 천평군(天平軍, 본거지는 지금의 산둥 성 타이안 시) 번진(藩鎭)을 지배하였.

새로운!!: 당나라와 주선 · 더보기 »

주서

주서(周書)는 당나라의 영호덕분 등이 당나라 당 태종의 칙명에 의해서 저술한 기전체의 단대사로, 이십사사 중 하나이.

새로운!!: 당나라와 주서 · 더보기 »

주하이 시

주하이(주해)는 중화인민공화국 광둥 성 남부의 지급시로 마카오 특별행정구에 인접하는 경제 특구이.

새로운!!: 당나라와 주하이 시 · 더보기 »

주필산 전투

주필산 전투(駐蹕山 戰鬪)는 고구려-당 전쟁 중에 645년(보장왕 4)에 당나라 태종이 지휘하는 당의 대군과 이에 반격하려는 고구려의 15만 대군이 동원되어 안시성 부근에서 교전하였던 중국 한족과-한국 한민족 간에 벌어진 고대의 대규모 전투이.

새로운!!: 당나라와 주필산 전투 · 더보기 »

주악

주악(周岳, ? ~ 893년)은 중국 당나라 말기에 활약했던 군벌로, 무안군 절도사(武安軍節度使. 본거지는 현 후난 성 창사 시)로서 886년부터 893년까지 무안군 번진(藩鎭)을 지배하였.

새로운!!: 당나라와 주악 · 더보기 »

죽지

죽지(竹旨, ?–?)는 신라시대의 대신, 화랑 출신 장군으로 다른 이름은 죽만(竹曼), 지관(智官), 죽만랑(竹曼郞), 죽지랑(竹旨郞)이.

새로운!!: 당나라와 죽지 · 더보기 »

중경도

중경도(中京道)는 요나라가 세운 5도 중 하나였.

새로운!!: 당나라와 중경도 · 더보기 »

중기병

오스만 제국의 맘루크 중기병 중기병(重騎兵, Heavy Cavalry)은 적부대와 서로 맞붇어 싸우는 기병의 한 종류로, 일명 충격기병이.

새로운!!: 당나라와 중기병 · 더보기 »

중국

중국()은 동아시아와 중앙아시아, 그리고 태평양 서부 연안의 도서 지방을 포괄하는 지명이.

새로운!!: 당나라와 중국 · 더보기 »

중국 문학

중국 문학(中國文學)은 황하 유역의 북방과 장강 이남의 남방을 포괄하는 지역에서, 한자로 기록된, 고대 신화에서 현대 문학에 이르는, 산문, 시, 희곡, 수필 등등의 글을 총칭하는 용어이.

새로운!!: 당나라와 중국 문학 · 더보기 »

중국 불교의 종파 목록

이 문서는 중국의 역대 불교 종파를 성립 연대순으로 나열한 목록 문서이.

새로운!!: 당나라와 중국 불교의 종파 목록 · 더보기 »

중국 요리

중국 요리(中國料理), 중화요리(中華料理), 또는 청요리(淸料理)는 흔히 중국의 음식을 말. 중국의 화교들이 세계 곳곳에 퍼져나가 세계 지역의 특성에 맞게 바꾼 요리를 말. 중국에서는 "중궈차이()"라고 부른.

새로운!!: 당나라와 중국 요리 · 더보기 »

중국 음악

중국음악(中國音樂, Chinese Music)은 중국 대륙 본토, 특히 한족(漢族) 중심으로 계승되고, 또 오늘날 이를 바탕으로 새로이 창작되는 음악을 말. 중국음악은 그 이론과 악기 면에서 주변의 여러 나라, 즉 한국·일본·베트남·타이 등의 음악에 큰 영향을 주었.

새로운!!: 당나라와 중국 음악 · 더보기 »

중국 철학

중국 철학(中國哲學Chinese philosophies) 또는 중국의 사상(中國의 思想Chinese thoughts)은 중국에서 전개된 철학 또는 사상을 가리.

새로운!!: 당나라와 중국 철학 · 더보기 »

중국 연극

중국 연극은 크게 나누어 고전극과 현대극으로 구별.

새로운!!: 당나라와 중국 연극 · 더보기 »

중국의 불교

중국의 불교(中國의 佛敎, Chinese Buddhism), 중국불교(中國佛敎) 또는 한전불교(漢傳佛敎)는 중국에서 전개된 불교를 가리.

새로운!!: 당나라와 중국의 불교 · 더보기 »

중국의 기독교

중국의 기독교는 중국의 기독교 역사를 말.

새로운!!: 당나라와 중국의 기독교 · 더보기 »

중국의 교통

중화인민공화국의 교통은 1949년부터, 특히 1980년대 초반부터 크게 발전하였.

새로운!!: 당나라와 중국의 교통 · 더보기 »

중국의 재상

중국은 오래전부터 재상급 관료제가 시작되었고 청나라 말엽까지 계속 유지되었.

새로운!!: 당나라와 중국의 재상 · 더보기 »

중국의 천문학

중국의 천문학(中國-天文學)은 역서(曆書)의 제작으로 시작.

새로운!!: 당나라와 중국의 천문학 · 더보기 »

중국의 옛 수도

중국의 4대 옛 수도()라고 하면 전통적으로 베이징(북경), 난징(남경), 뤄양(낙양), 시안(서안)을 말. 여기에 카이펑(1920년대에 추가됨), 항저우(1930년대에 추가됨), 안양(1988년에 추가됨), 정저우(2004년 추가됨)등을 차례로 추가해서 8대 옛 수도라고 부르고 있.

새로운!!: 당나라와 중국의 옛 수도 · 더보기 »

중국의 역사

중국의 역사 황하 황하 문명 탄생 이래 중국 본토에서는 하나라, 은나라, 주나라 이래 약 5000년 동안 수많은 왕조가 흥망을 반복해 왔. 한나라 때 중화민족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한족의 기틀을 세웠고, 당나라는 서방의 페르시아, 이슬람 제국, 동로마 제국과의 교류도 성하였.

새로운!!: 당나라와 중국의 역사 · 더보기 »

중국의 연호 목록

중국의 연호는 전한(前漢) 무제(武帝)가 최초로 사용한 이래, 중국 대륙에서는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건국되기 전까지 계속 사용되었.

새로운!!: 당나라와 중국의 연호 목록 · 더보기 »

중국의 황제 목록

중국에서 황제란 명칭은 기원전 221년 진시황제에 의해 최초로 쓰였으며, "황제"의 어원으론 삼황오제에서 따왔다는 것이 정설이.

새로운!!: 당나라와 중국의 황제 목록 · 더보기 »

중국의 황태후 목록

중국의 황태후는 기록상의 중국 최초의 태후가 진(秦)나라의 진 혜문왕(惠文王)의 서후인 선태후(宣太后) 미팔자(芈八子)이나, 진 시황이 황제를 칭제하고나서 후에 최초로 황태후라고 칭한 태후는 한나라의 초대황제 유방(劉邦)의 황후인 고황후(高皇后) 여치(呂雉)이.

새로운!!: 당나라와 중국의 황태후 목록 · 더보기 »

중국어

중국어()는 중국티베트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16가지 정도의 언어변이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어(ㄏㄢˋㄩˇ), 화어(ㄏㄨㄚˊㄩˇ), 중문(ㄓㄨㄥㄨㄣˊ)이라고도 한다. 세계 사용자가 가장 많은(약 13억 명) 언어로, 전 세계 인구의 약 1/5이 사용하고 있는 언어이다.

새로운!!: 당나라와 중국어 · 더보기 »

중국어 음운론

음운학(音韻學; 성음학)은 중국에서 일어난 언어의 소리를 연구하는 전통적인 학문.

새로운!!: 당나라와 중국어 음운론 · 더보기 »

중의학

홍콩 젠사쥐 중국 전통 약재상 중의학()은 수천년 동안 전해내려오는 중국의 고유 의학이.

새로운!!: 당나라와 중의학 · 더보기 »

중종

중종(中宗)은 동아시아 제왕의 묘호 중 하나로, 흔히 국가적 위기에서 나라를 바로 세운 제왕이나 이미 망한 나라를 다시 중흥한 제왕에게 쓰인.

새로운!!: 당나라와 중종 · 더보기 »

중세

서튼후에서 발굴된 앵글로색슨 지도자의 투구(서튼후 투구) 레플리카. 중세(中世, Middle Ages)는 유럽 역사에서 서로마 제국이 멸망(476년)하고 게르만 민족의 대이동(4세기-6세기)이 있었던 5세기부터 르네상스(14세기-16세기)와 더불어 근세(1500년-1800년)가 시작되기까지의 5세기부터 15세기까지의 시기이나 이 개념은 동양사에는 적용하기 어렵고 유럽 이외 지역에 '중세'가 있었는지도 학자에 따라 의견이 상충하지만 유럽 이외 지역에 '중세'가 없었다는 지극히 유럽 중심주의적인 의견도 존재.

새로운!!: 당나라와 중세 · 더보기 »

중서문하성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은 고려 때 국가의 행정을 총괄하던 관청으로, 장관은 문하시중이.

새로운!!: 당나라와 중서문하성 · 더보기 »

중서성

중서성(中書省)은, 중국 위(魏)대부터 명(明)대 초기까지 존재했던 중앙 관청의 하나이.

새로운!!: 당나라와 중서성 · 더보기 »

중화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은 동아시아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당나라와 중화인민공화국 · 더보기 »

중화절

중화절(中和節)은 음력 2월 1일에 농사철이 시작되는 것을 기념하는 중국과 조선에 세시 풍속으로, 민간에서는 머슴들에게 송편 등을 나누어 주고, 궁중에서는 임금이 재상과 시종들에게 잔치를 베풀고 중화척을 나누어 주.

새로운!!: 당나라와 중화절 · 더보기 »

중화연방

중화연방()은 코드기어스 반역의 를르슈 세계관 설정에 등장하는 가상 국가이며 작중 핵심국가로 등장하는 신성 브리타니아 제국과 사쿠라다이트를 비롯한 자원과 각종 영토에 관해 영유권 분쟁을 벌이는 국가이.

새로운!!: 당나라와 중화연방 · 더보기 »

집현전

집현전(集賢殿)은 정이품아문으로, 고려 말 조선 초의 학문 연구 및 국왕의 자문 기관이자, 왕실 연구기관이.

새로운!!: 당나라와 집현전 · 더보기 »

진 (군사)

(鎭)은 옛날에 있었던 특수목적 행정구역이.

새로운!!: 당나라와 진 (군사) · 더보기 »

진 (오대 십국)

(晉)은 중국 오대 십국 시대의 나라로, 후당의 전신이었.

새로운!!: 당나라와 진 (오대 십국) · 더보기 »

진덕여왕

경주 진덕여왕릉 (사적 24호)진덕여왕(眞德女王, ? ~ 654년, 재위: 647년 ~ 654년) 또는 진덕왕(眞德王) 은 신라 제28대 왕이며 두번째 여왕이.

새로운!!: 당나라와 진덕여왕 · 더보기 »

진류군

(陳留郡)은 전한부터 수나라까지 존속한 중국의 옛 군급 행정 구역이.

새로운!!: 당나라와 진류군 · 더보기 »

진자앙

자앙(陳子昂, 661년 - 702년)은 당나라의 시인이.

새로운!!: 당나라와 진자앙 · 더보기 »

진평왕

평왕(眞平王, ? ~ 632년, 재위 579년 ~ 632년)은 신라의 제26대 왕이.

새로운!!: 당나라와 진평왕 · 더보기 »

진이왕

이왕(辰爾王: ? ~ ?)은 7세기 초의 백제의 왕족으로, 무왕을 법왕의 친생자로 보지 않는 견해에서 무왕의 생부로 거론되는 인물 중 하나이.

새로운!!: 당나라와 진이왕 · 더보기 »

진저우 시 (랴오닝 성)

저우(锦州市 / 錦州市)는 중화인민공화국 랴오닝 성의 지급시이.

새로운!!: 당나라와 진저우 시 (랴오닝 성) · 더보기 »

진중 시

중(진중)은 중국 산시 성의 중부에 있. 산시 성 직하에 지급시중 하나이고 면적은 16408km², 총 인구는 306만 명이.

새로운!!: 당나라와 진중 시 · 더보기 »

진패선

조 무황제 진패선(陳 高祖 武皇帝 陳霸先, 503년 ~ 559년)은 중국 남북조 시대 진나라의 초대 황제이.

새로운!!: 당나라와 진패선 · 더보기 »

진언 (당나라)

언(秦彦, ? ~ 888년 3월 2일《자치통감》, 권257)은 중국 당나라 말기에 활약했던 군벌로, 882년부터 관찰사로서 선흡(宣歙, 본부는 지금의 안후이 성 쉬안청 시) 번진(藩鎭)을 지배하였으며, 이후 양행밀에게 패하기 전까지 잠시나마 회남(淮南) 번진의 본부인 양주(揚州, 지금의 장쑤 성 양저우 시)의 지배권을 장악하였.

새로운!!: 당나라와 진언 (당나라) · 더보기 »

진언종

언종(眞言宗)은 불교의 종파로, 신라의 승려인 혜통(惠通: fl. 7세기)을 종조로 하는 해동 진언종과 일본의 승려인 구카이(홍법 대사)에 의해서 9세기 초에 열린 일본의 진언종이 있.동양사상 > 한국의 사상 > 통일신라시대의 사상 > 통일신라시대의 불교사상 > 혜통,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종교·철학 > 한국의 종교 > 한국의 불교 > 한국불교의 역사 > 삼국시대의 불교 > 밀교의 전래,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동양사상 > 동양의 사상 > 일본의 사상 > 불교사상 > 진언종,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신라의 승려인 명랑(明朗: fl. 668)은 진언종의 별파인 해동 신인종(神印宗)의 종조이.

새로운!!: 당나라와 진언종 · 더보기 »

진표

(眞表: fl. 752)는 신라 중기의 고승(高僧)이.

새로운!!: 당나라와 진표 · 더보기 »

진사 (칭호)

사(進士)는 과거 단계 중의 하나이.

새로운!!: 당나라와 진사 (칭호) · 더보기 »

진서

서(晉書)는 중국 진나라(晉)의 기록을 담은 역사서이.

새로운!!: 당나라와 진서 · 더보기 »

진서 (남조)

서(陳書)는 당나라의 사학가인 요사렴이 636년에 편찬한 사서이며, 이십사사 중 하나이.

새로운!!: 당나라와 진서 (남조) · 더보기 »

진화 햄

화 햄()는 중국의 햄이.

새로운!!: 당나라와 진화 햄 · 더보기 »

징먼 시

징먼(형문)은 중화인민공화국 후베이 성의 지급시이.

새로운!!: 당나라와 징먼 시 · 더보기 »

징안쓰

징안쓰 (정안사) 정안사()는 중국 상하이 징안 구 난징시루 1686번지에 있는 불교 사원이.

새로운!!: 당나라와 징안쓰 · 더보기 »

지덕 (진)

덕(至德)은 중국 진(陳) 후주(後主) 진숙보(陳叔寶)의 첫 번째 연호이.

새로운!!: 당나라와 지덕 (진) · 더보기 »

지론종

종(地論宗)은 고대 중국불교의 13종 가운데 하나로, 《화엄경》 · 《능가경》 · 《십지경론》 · 《금강선론》 등을 소의 경론으로 하는 종파이.

새로운!!: 당나라와 지론종 · 더보기 »

지린성

림성()은 중화인민공화국 동북부의 성이.

새로운!!: 당나라와 지린성 · 더보기 »

지난 시

(제남)은 중화인민공화국 산둥 성의 성도로 부성급시이.

새로운!!: 당나라와 지난 시 · 더보기 »

지나

1921년 대만 유학생들의 졸업 사진, 본 사진에서는 대만에 유학하는 중국본토인을 '지나유학생'이라고 불렀다. 사진 출처는 국립 타이완 박물관. 1939년 도쿄 依林서점 출판,〈장중북지 몽강상도(掌中北支‧蒙疆詳圖)〉 지나(支那)란 중국을 가리키는 호칭 중 하나이.

새로운!!: 당나라와 지나 · 더보기 »

지장

장은 다음 여러가지를 뜻.

새로운!!: 당나라와 지장 · 더보기 »

지장보살

장보살(地藏菩薩, 산스크리트어: क्षितिगर्भ, 크시티가르바)은 석가모니불의 열반 후 세상에 내려올 때까지의 무불 시대(말법 시대)에 육도 중생(六道衆生)을 교화하겠다는 큰 서원을 세운 보살(대비보살)이.

새로운!!: 당나라와 지장보살 · 더보기 »

지조개정

조개정()은 1873년(메이지 6년)에 메이지 정부가 시행한 조세제도의 개혁이.

새로운!!: 당나라와 지조개정 · 더보기 »

지수신

수신(遲受信, ? ~ ?)은 백제의 무장이.

새로운!!: 당나라와 지수신 · 더보기 »

지역패권에 의한 평화 목록

역패권에 의한 평화는 "팍스"(- 평화)와 제국의 라틴어 이름을 합성하여 그 시대의 제국이나 국가의 패권에 의한 안정, 평화적이었던 시대를 일컫는 용어로 표현하는데 이러한 지역패권에 의한 평화 목록은 다음과 같.

새로운!!: 당나라와 지역패권에 의한 평화 목록 · 더보기 »

지토 천황

황(다이카 원년(645년) ~ 다이호 2년 음력 12월 22일(703년 1월 13일))은, 일본의 제41대 천황이자, 실제로 그 치세를 수행했던 여제이다(칭제의 형태로 정무를 살피기 시작한 것은 슈초 원년(686년) 음력 9월 9일)이나, 재위는 지토 천황 4년(690년) 1월 1일(2월 14일) ~ 지토 천황 11년(697년) 8월 1일(8월 22일)). 이름은 우노노사라라 또는 우노노사사라()이며, 일본식 시호는 《속일본기》 다이호 3년(703년) 12월 17일의 화장(火葬)할 무렵의 오호야마토네코아메노히로노히메노미코토(大倭根子天之廣野日女尊)와 《일본서기》의 요로 4년(720년)의 대대의 천황에게 시호를 올리면서 함께 올려진 다카마노하라히로노히메노스메라미코토(高天原廣野姫天皇)가 있다(단 《일본서기》에서 다카마노하라가 기술되는 것은 모두의 제4의 1서뿐). ‘지토’라는 시호는 762년 경에 오우미노 미후네(淡海三船)가 '계체지통(継体持統)'이라는 숙어에서 따서 올린 시호이다.

새로운!!: 당나라와 지토 천황 · 더보기 »

지안 시 (퉁화 시)

안 또는 집안()은 중화인민공화국 지린 성(吉林省) 퉁화 시(通化市)의 현급시이.

새로운!!: 당나라와 지안 시 (퉁화 시) · 더보기 »

차나무

''Camellia sinensis'' 차나무(茶-)는 상록의 활엽관목으로서, 학명은 Camellia sinensis이다 Camellia 동백나무속을 뜻. 한국에서는 주로 녹차로 이용되는 Camellia sinensis var. sinensis이 전라도, 경상도, 제주도에서 재배되고 있. 홍차용으로 주로 이용되는 Camellia sinensis var. assamica은 인도, 스리랑카 등지에서 재배.

새로운!!: 당나라와 차나무 · 더보기 »

차이쌍 구

이쌍 구()는 중화인민공화국 장시 성 주장 시의 현급 행정 구역이.

새로운!!: 당나라와 차이쌍 구 · 더보기 »

차오양 시

오양(조양)은 중화인민공화국 랴오닝 성에 있는 도시이.

새로운!!: 당나라와 차오양 시 · 더보기 »

참깨볼

볼은 찹쌀가루로 빚은 다음 참깨 고물을 묻혀 튀긴 중국식 경단이.

새로운!!: 당나라와 참깨볼 · 더보기 »

참파

1100년경 참파의 영역. 연녹색이 참파, 노란색은 대월, 연파랑은 크메르 제국이다 참파 왕국(192년 - 1832년)은 베트남 중부 지방에 위치해 있던, 인도네시아계의 옛 참 족이 세운 왕국이.

새로운!!: 당나라와 참파 · 더보기 »

창러 구

창러 구()는 중화인민공화국 푸젠 성 푸저우 시의 현급 행정 구역이.

새로운!!: 당나라와 창러 구 · 더보기 »

창두 시

창두 시 (창도시)는 중화인민공화국 티베트 자치구 동부에 위치한 지급시이.

새로운!!: 당나라와 창두 시 · 더보기 »

창사 시

창사(장사)는 중화인민공화국 후난 성의 성도이.

새로운!!: 당나라와 창사 시 · 더보기 »

책부원귀

《책부원귀》(册府元龜)는, 중국 북송(北宋) 시대에 편찬된 유서(類書)의 하나로, 《태평광기》(太平廣記), 《태평어람》(太平御覽), 《문원영화》(文苑英華)와 함께 사대서(四大書)로 꼽힌.

새로운!!: 당나라와 책부원귀 · 더보기 »

청두 시

청두(성도)는 중화인민공화국 서남부 사천 성의 청사 소재지이.

새로운!!: 당나라와 청두 시 · 더보기 »

청나라

청국(大淸國)은 1618년에, 여진 열국을 돌보는의 현명한 한(英明汗)이었던 누르가치가 건국한 대금()을 근간으로, 아들 태종 숭덕제는 대금에서 대청()으로 국호를 바꾸어 중국 대륙을 대표적으로 지배하는 제국였.

새로운!!: 당나라와 청나라 · 더보기 »

청하 최씨

청하 최씨(淸河 崔氏)는 주나라 건국공신 강태공의 자손 중 하나가 산동성 청하 최읍(崔邑)에 살면서 그 땅 이름에서 씨를 따다 씀으로써 시작되었으며, 이후 본관을 청하로 하였.

새로운!!: 당나라와 청하 최씨 · 더보기 »

첸 현

현() 은 중화 인민 공화국 산시 성 셴양 시의 현급 행정구역이.

새로운!!: 당나라와 첸 현 · 더보기 »

첸장 구

장 구의 위치 첸장 구() 는 중화 인민 공화국 충칭 시의 행정구역이.

새로운!!: 당나라와 첸장 구 · 더보기 »

천랑열전

《천랑열전》(天狼熱戰)은 박성우가 그린 만화로, 1997년부터 2000년 4월까지 서울문화사의 만화잡지인 《아이큐점프》에 연재되었으며, 만화를 원작으로 한 같은 이름의 PC용 롤플레잉 게임이 2003년 봄에 발매되었.

새로운!!: 당나라와 천랑열전 · 더보기 »

천리장성 (고구려)

리장성(千里長城)은 고구려가 당나라의 침입을 막기 위해 서쪽 변경(오늘날의 요동 지방)에 쌓은 장성이.

새로운!!: 당나라와 천리장성 (고구려) · 더보기 »

천문령 전투

전쟁기념관 소장 천문령 전투(天門嶺戰鬪) 또는 천문령 대첩(天門嶺大捷)은 698년, 고왕 대조영(大祚榮)과 당(唐) 왕조 하의 거란족(契丹) 출신 옥검위대장군(玉鈐衛大將軍) 이해고(李楷固) 간에 벌어진 전투이.

새로운!!: 당나라와 천문령 전투 · 더보기 »

천방지축마골피

방지축마골피 혹은 천방지추마골피는 역사 문헌 기록이 없어 출처와 유래를 알 수 없는 대한민국의 도시전설이.

새로운!!: 당나라와 천방지축마골피 · 더보기 »

천보

보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당나라와 천보 · 더보기 »

천보 (당)

보(天寶)는, 중국 당현종(唐玄宗)의 연호로 15년 간(742년 정월 ~ 756년 7월) 사용되었.

새로운!!: 당나라와 천보 (당) · 더보기 »

천복사

젠푸사(천복사, 荐福寺)는 중국 섬서성의 고도, 서안 시 남쪽 교외에 있는 불교사원이.

새로운!!: 당나라와 천복사 · 더보기 »

천부경

《천부경(天符經)》은 대종교의 경전 중 하나로, 1975년 교무회의에서 채택되었.

새로운!!: 당나라와 천부경 · 더보기 »

천우

우는 다음을 가리.

새로운!!: 당나라와 천우 · 더보기 »

천자문

자문의 시작 부분.천지현황(天地玄黃)우주홍황(宇宙洪荒) 천자문(千字文)은 중국 남조 양(502~549)의 주흥사가 양 무제의 명을 받아 지은 책으로, 모두 다른 한자 1000자로 1구 4자의 사언 고시 250구로 되어 있. 동진 왕희지의 필적에서 해당되는 글자를 모았다고 하는데, 더 오래전에 중국 위나라 종요의 필적을 모은 것이라는 설도 있고 천자문을 종요가 손수 만들었다는 설도 있. '천지현황(天地玄黃)'으로 시작해서 '언재호야(焉哉乎也)'의 어조사로 끝나는데, 자연 현상부터 인륜 도덕에 이르는 넓은 범위의 글귀를 수록하여 한문의 입문서로 널리 쓰였.

새로운!!: 당나라와 천자문 · 더보기 »

천저우 시

저우(침주)는 중화인민공화국 후난 성 남부에 위치한 지급시이.

새로운!!: 당나라와 천저우 시 · 더보기 »

천존상

존상(天尊像)은 도교의 최고신인 천존 또는 원시천존의 상이.

새로운!!: 당나라와 천존상 · 더보기 »

천태종

종(天台宗TiantaiTendaiLotus School)은 《법화경》(法華經Lotus Sūtra)을 소의경전으로 하는 불교 종파이.

새로운!!: 당나라와 천태종 · 더보기 »

천성산

성산(千聖山)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양산시에 있는 높이 920.17m의 산이.

새로운!!: 당나라와 천성산 · 더보기 »

총장 (당)

총장(總章)은 중국 당(唐) 고종(高宗)의 6번째 연호이.

새로운!!: 당나라와 총장 (당) · 더보기 »

초계 주씨

주씨(草溪 周氏)는 경상남도 합천군 초계면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당나라와 초계 주씨 · 더보기 »

초기 무슬림 정복전쟁

이슬람의 초기 정복 전쟁(الفتوحات الإسلامية, al-Futūḥāt al-Islāmiyya)은 아랍 원정이나 초기 이슬람 정복전쟁 등으로 불린.

새로운!!: 당나라와 초기 무슬림 정복전쟁 · 더보기 »

초나라

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당나라와 초나라 · 더보기 »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13

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13(初雕本 大方廣佛華嚴經 周本 卷十三)은 당나라 실차난타(實叉難陀)가 번역한 《대방광불화엄경》을 고려 현종 때 판각 제작한 《초조대장경》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당나라와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13 · 더보기 »

초조본 아비달마식신족론 권12

조본 아비달마식신족론 권12(初雕本 阿毘達磨識身足論 卷十二)는 불교 논장의 하나인 《아비달마식신족론》의 한역본을 고려 현종 때 판각 제작한 《초조대장경》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당나라와 초조본 아비달마식신족론 권12 · 더보기 »

충밍 구

충밍 구의 위치 충밍 구()는 중화인민공화국 상하이 시의 시할구로, 장강 입구 해구의 충밍 섬에 위치하고 있. 전체 인구는 70.1만 명(2005년 기준), 외래 인구는 8.3만 명이.

새로운!!: 당나라와 충밍 구 · 더보기 »

충밍섬

중국 본토에서 두 번째로 큰 섬 충밍 섬 남문항 충밍 섬()은 중화인민공화국 상하이 시 충밍 구와 장쑤 성 일부에 걸쳐 있는 장강 하구에 있는 섬이.

새로운!!: 당나라와 충밍섬 · 더보기 »

충주 최씨

충주 최씨(忠州崔氏)는 충청북도 충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당나라와 충주 최씨 · 더보기 »

충상

충상(忠常)은 백제(百濟) 말기의 대신이.

새로운!!: 당나라와 충상 · 더보기 »

취저우 시

저우 시()는 중화인민공화국 저장 성에 위치하는 지급시이.

새로운!!: 당나라와 취저우 시 · 더보기 »

취안저우 시

안저우 시(민남어: Chôan-chiu)는 중화인민공화국 푸젠 성에 위치하는 지급시이.

새로운!!: 당나라와 취안저우 시 · 더보기 »

츠저우 시

저우() 은 안후이 성 남서쪽에 위치한 지급시이.

새로운!!: 당나라와 츠저우 시 · 더보기 »

측천무후

측천무후(則天武后, 624년 2월 17일 ~ 705년 12월 16일)는 당나라 고종 이치의 황후이자 무주(武周)의 황제(당나라 제 6대 황제)로, 중국의 여자 황제이.

새로운!!: 당나라와 측천무후 · 더보기 »

측천문자

측천문자(則天文字)는 중국 당나라의 측천무후가 제정한 문자이.

새로운!!: 당나라와 측천문자 · 더보기 »

칠덕무

덕무(七德舞)는 당나라의 궁정 무용이며 파진씨무(破陳氏舞).

새로운!!: 당나라와 칠덕무 · 더보기 »

침중기

《침중기(枕中記)》는 중국 당대의 풍자소설로 작자는 심기제(沈旣濟)이.

새로운!!: 당나라와 침중기 · 더보기 »

칫솔

칫솔 칫솔(齒ㅅ솔), 또는 잇솔은 손잡이와 작은 솔로 이루어져 있는 도구로, 솔 위에 치약을 묻혀 이와 잇몸을 깨끗하게 닦기 위해 사용.

새로운!!: 당나라와 칫솔 · 더보기 »

카를루크

를루크(고대튀르크어:12px12px12px12px)는 7세기부터 12세기에 걸쳐 준가얼 분지나 중앙 아시아 지방에 존재한 튀르크계 유목민이.

새로운!!: 당나라와 카를루크 · 더보기 »

카이펑유대인

이펑 유대인()은 중화인민공화국 허난 성 카이펑 시에 거주해 온 유대인 사회를 뜻. 남모회회(蓝帽回回)라고도 불.

새로운!!: 당나라와 카이펑유대인 · 더보기 »

카파간 카간

(? ~ 716년)은 돌궐 제2제국 제2대 카간으로, 휘는 아쉬나 쿠이(阿史那 懷)이.

새로운!!: 당나라와 카파간 카간 · 더보기 »

치먼 현

먼 홍차 치먼 현() 은 중화 인민 공화국 안후이 성 황산 시의 현급 행정구역이.

새로운!!: 당나라와 치먼 현 · 더보기 »

치음 (음운학)

음(齒音), 잇소리는 이에서 나는 소리라는 뜻으로, 조선 시대 훈민정음과 중국의 전통적인 음성학인 음운학에서 쓰였.

새로운!!: 당나라와 치음 (음운학) · 더보기 »

칵테일

300px 칵테일(Cocktail)은 술과 여러 종류의 음료, 첨가물 등을 섞어 만든 혼합주로 정의하나, 무알콜 칵테일도 만들어.

새로운!!: 당나라와 칵테일 · 더보기 »

쿠마라지바

마라지바() 구마라습, 구마라십, 구마라집,: 344~413)은, 구자국(龜玆國: 현재의 신장 쿠차에 속함) 출신의 불교 사상가이다. 한자로 이름을 적을 때는 구마라시바(鳩摩羅時婆), 구마라기바(拘摩羅耆婆)라고 적기도 하며, 줄여서 나습(羅什), 습(什), 의역하여 동수(童壽)라고도 한다. 중국 후진(後秦) 시대의 장안(長安)에 와서 약 300권의 불교 경전을 한자로 번역한 것으로 유명하며, 그의 불경 번역은 불교 보급에 공헌했을 뿐 아니라 삼론종(三論宗)・성실종(成実宗)의 기초가 되었다. 최초의 삼장법사(三蔵法師)로 불리며, 훗날의 현장(玄奘) 등 많은 삼장이 등장하였다. 쿠마라지바는 현장과 함께 2대 대역성(大訳聖)으로 불리며, 또한 진제(真諦), 불공금강(不空金剛)와 함께 4대 역경가(訳経家)로 꼽기도 한다.

새로운!!: 당나라와 쿠마라지바 · 더보기 »

쿠처

(屈支,屈茨, 丘玆)는 고대 불교 왕국 구자국(龜玆國)의 현지명으로 비단길에 위치하며 타클라마칸 사막의 북쪽 가장자리 무자트 강의 남쪽에 위. 현재의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아커쑤 지구에 속하며 쿠처 현의 중심이.

새로운!!: 당나라와 쿠처 · 더보기 »

쿠얼러 시

얼러 또는 코를라는 중화인민공화국 신장 웨이우얼 자치구에 위치한 중소 도시이.

새로운!!: 당나라와 쿠얼러 시 · 더보기 »

쌍봉사

쌍봉사(雙峰寺)는 대한민국 화순군 이양면 증리 사동마을에 있는 절이.

새로운!!: 당나라와 쌍봉사 · 더보기 »

쌍기

쌍기(雙冀)는 후주 출신의 고려의 학자이.

새로운!!: 당나라와 쌍기 · 더보기 »

팍스 시니카

팍스 시니카()는 중국에 의한 평화라는 라틴어의 뜻으로 중국의 패권에 의해 동아시아에 평화가 오는 것을 의미.

새로운!!: 당나라와 팍스 시니카 · 더보기 »

판진 시

(盘锦市 / 盤錦市)은 중국 랴오닝 성에 위치하는 지급시이.

새로운!!: 당나라와 판진 시 · 더보기 »

판소리

소리(또는 소리)는 한 명의 소리꾼이 고수(북치는 사람)의 장단에 맞추어 소리(창), 아니리(말), 너름새(몸짓)을 섞어가며 구연(口演)하는 일종의 솔로 오. ‘판소리’는 ‘판’과 ‘소리’의 합성어로 ‘소리’는 ‘음악’을 말하고 ‘판’은 ‘여러 사람이 모인 곳’ 또는 ‘상황과 장면’을 뜻하는 것으로 ‘많은 청중들이 모인 놀이판에서 부르는 노래’라는 뜻으로 구광대가 병풍을 두르고 돗자리를 펼친 마당이나 공연장에서 짧게는 세 시간, 길게는 여섯 시간 정도 걸리는 긴 이야기를 몸짓을 섞어가며 고수의 북 반주에 맞춰 노래하는 한국 전통음악의 하나이.

새로운!!: 당나라와 판소리 · 더보기 »

유 (성씨)

(柳, 劉) 또는 유(兪, 庾)씨는 중국 및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당나라와 유 (성씨) · 더보기 »

유백영

유백영(劉伯英, ? ~ ?)은 중국 당나라 초의 무장이.

새로운!!: 당나라와 유백영 · 더보기 »

유가사지론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K.0570, T.1579)은 불교 전통에 따르면 미륵보살이 강설한 것을 무착이 기록하여 성립된 논서로, 유식유가행파의 근본 논서이.

새로운!!: 당나라와 유가사지론 · 더보기 »

유건봉

유건봉(劉建鋒, ? ~ 896년)은 중국 당나라 말기에 활약했던 군벌로, 894년부터 896년 사망할 때까지 무안군(武安軍, 본거지는 지금의 후난 성 창사 시) 번진(藩鎭)을 지배하였.

새로운!!: 당나라와 유건봉 · 더보기 »

유귀국

유귀국(流鬼國)은 7세기경 오늘날의 사할린 섬 남부에 존재했던 국가이.

새로운!!: 당나라와 유귀국 · 더보기 »

유교

유교(儒敎)는 중국 춘추시대(기원전 770~403) 말기에 공자(孔子)가 체계화한 사상인 유학(儒學)의 학문을 이르는 말이.

새로운!!: 당나라와 유교 · 더보기 »

유우석

유우석에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당나라와 유우석 · 더보기 »

유우석 (당나라)

유우석 유우석(劉禹錫, 772~842)은 중국 당나라의 시인이.

새로운!!: 당나라와 유우석 (당나라) · 더보기 »

유은

유은(874년《신오대사》, 권 65 ~ 911년 4월 4일《자치통감》, 권 268)은 중국 당나라 말기부터 당나라를 계승한 오대 후량 초에 걸쳐 활약했던 군벌로, 절도사(節度使)로서 청해군(淸海軍, 본거지는 현 광둥 성 광저우 시) 번진(藩鎭)을 지배하였.

새로운!!: 당나라와 유은 · 더보기 »

유정회

유정회(569년 ~ 635년)는 중국 당나라 때 군인이.

새로운!!: 당나라와 유정회 · 더보기 »

유종원

유종원 유종원(柳宗元, 773년~819년 10월 27일(음력 10월 5일))은 중국 당나라의 문장가·시인이.

새로운!!: 당나라와 유종원 · 더보기 »

유연 (전조)

유연(劉淵, 252년? ~ 310년)은 중국 오호 십육국 시대 한(漢, 훗날 전조)의 초대 황제(재위: 304년 ~ 310년)이.

새로운!!: 당나라와 유연 (전조) · 더보기 »

유사정

유사정(劉士政, Liu Shizheng, 생몰년 미상)은 중국 당나라 말기에 활약했던 군벌로, 895년부터 900년 마은에게 패망하여 투항할 때까지 계관경략사(桂管經略使) 및 그 후신인 정강군 절도사(靜江軍節度使)로서 그 본거지였던 계주(桂州, 지금의 광시 좡족 자치구 구이린 시)를 포함한 지금의 광서성 북동부 일대에 속해 있던 해당 번진(藩鎭)을 지배하였.

새로운!!: 당나라와 유사정 · 더보기 »

유한굉

유한굉(劉漢宏, Liu Hanhong, ? ~ 887년?《자치통감》권256.)은 중국 당나라 말기에 활약했던 군벌로, 당초에는 당나라에 반기를 들었으나, 후에 당나라의 관직을 받고 의승군 절도사(義勝軍節度使, 본거지는 지금의 저장 성 사오싱 시)로서 절강 동부 일대를 지배하였.

새로운!!: 당나라와 유한굉 · 더보기 »

육우

시안 시에 있는 육우의 조각상 육우(陸羽, 733년 ~ 804년)는 중국 당나라의 문인이며, 자는 홍점(鴻漸), 호는 상저옹(桑苧翁)이.

새로운!!: 당나라와 육우 · 더보기 »

육조단경

육조단경은 육조혜능의 설법을 제자인 하택신회(荷澤神會: 685~760)가 책으로 편찬한 것이.

새로운!!: 당나라와 육조단경 · 더보기 »

육진의 난

육진의 난(六鎭之亂)은 중국 남북조 시대 북위말기 523년에 발생한 반란을 말. 6진은 북위의 북쪽 국경지대에 설치된 여섯 기지인 회삭진(懷朔鎭) · 무천진(武川鎭) · 무명진(撫冥鎭) · 유현진(柔玄鎭) · 옥야진(沃野鎭) · 회황진(懷荒鎭)을 말.

새로운!!: 당나라와 육진의 난 · 더보기 »

윤 (성씨)

윤(尹)씨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당나라와 윤 (성씨) · 더보기 »

윤휴

윤휴(尹鑴, 1617년 10월 14일 ~ 1680년 5월 20일)는 조선의 문신, 성리학자이.

새로운!!: 당나라와 윤휴 · 더보기 »

윤호 (여말선초)

윤호(尹虎, ? ~ 1393년)는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

새로운!!: 당나라와 윤호 (여말선초) · 더보기 »

율령격식

율령격식(律令格式)은 중국에서 수·당대에 완성한 국가적 성문법 체계이.

새로운!!: 당나라와 율령격식 · 더보기 »

패방

인천 차이나타운 입구의 패방 패방(牌坊, 병음 paifāng) 또는 패루(牌楼)는 중국의 전통적 건축양식의 하나로, 문(門)의 일종이.

새로운!!: 당나라와 패방 · 더보기 »

율장

율장(律藏)은 불교 교단의 계율을 집대성한 것이.

새로운!!: 당나라와 율장 · 더보기 »

율집해

《율집해》()는 일본 헤이안 시대(平安時代) 전기에 성립된 율(律)의 주석서이.

새로운!!: 당나라와 율집해 · 더보기 »

팽이

일본식 팽이 팽이는 어린이를 위한 장난감 중 하나로서, 하나의 고정된 축으로 균형을 잡고 회전.

새로운!!: 당나라와 팽이 · 더보기 »

파주 칠중성

중성(七重城)은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구읍리에 위치한 산성(山城)으로, 2002년 1월 29일에 사적 제437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당나라와 파주 칠중성 · 더보기 »

파천황

황(破天荒)은 고사성어의 하나이.

새로운!!: 당나라와 파천황 · 더보기 »

윈난 성

윈난 성(운남성)은 중화인민공화국 남부의 성이.

새로운!!: 당나라와 윈난 성 · 더보기 »

윈청 시

윈청()은 중국 산시 성의 지급시이.

새로운!!: 당나라와 윈청 시 · 더보기 »

융안

융안(隆安)은 중국 동진(東晉) 안제(安帝)의 첫 번째 연호이.

새로운!!: 당나라와 융안 · 더보기 »

융화 (동진)

융화(隆和)는 중국 동진(東晉) 애제(哀帝)의 첫 번째 연호이.

새로운!!: 당나라와 융화 (동진) · 더보기 »

팔개

(八愷)란 고양씨(高陽氏)의 자손으로 재덕을 갖춘 여덟 명을 말하는 것으로 당(唐)의 학자인 공영달(孔潁達)에 따르면 제(齊), 성(聖), 광(廣), 연(淵), 명(明), 윤(允), 독(篤), 성(誠)을 뜻.

새로운!!: 당나라와 팔개 · 더보기 »

팔선

바다를 건너고 있는 중국의 팔선: 고려의 팔선은 중국의 팔선과는 달리 불교의 부처.cw보살.cw우바이 등이 도교의 선인이 되었다 팔선(八仙)은 주로 중국 신화의 전설적인 도교 선인을 가리.

새로운!!: 당나라와 팔선 · 더보기 »

위 선공

위 선공(衛宣公, ? ~ 기원전 700년 11월 18일)은 중국 춘추 시대 위나라의 제15대 군주(재위: 기원전 718년 ~ 기원전 700년)였.

새로운!!: 당나라와 위 선공 · 더보기 »

위린 시 (광시 좡족 자치구)

위린(옥림,, 좡어:Yoglinz)은 중국 광시 좡족 자치구의 14개의 지급시 중 하나이.

새로운!!: 당나라와 위린 시 (광시 좡족 자치구) · 더보기 »

위구르 카간국

위구르 카간국(회흘(回纥/回鶻))은 위구르족이 세운 제국이.

새로운!!: 당나라와 위구르 카간국 · 더보기 »

위구르족

위구르족()은 중앙아시아의 투르크계 민족으로 현재 중국의 신장 위구르 자치구와 중앙아시아에 살고 있는 민족이.

새로운!!: 당나라와 위구르족 · 더보기 »

위군

위군(魏郡)은 전한부터 당나라까지 존속한 중국의 옛 군급 행정 구역이.

새로운!!: 당나라와 위군 · 더보기 »

위장

위장은 다음을 가리.

새로운!!: 당나라와 위장 · 더보기 »

위진남북조 시대

위진 남북조 시대 왕조들의 계통도 유송 위진 남북조 시대(魏晉南北朝時代, 220년 ~ 589년)는 중국의 역사에서 위진 시대와 남북조 시대를 통틀어 일컫는 단어이.

새로운!!: 당나라와 위진남북조 시대 · 더보기 »

위징

위징 위징(魏徵, 580년 - 643년)은 당나라의 정치가이.

새로운!!: 당나라와 위징 · 더보기 »

상 (시호)

상은 시호에 쓰이는 글자.

새로운!!: 당나라와 상 (시호) · 더보기 »

상경도

상경도(上京道)는 요나라가 설치한 5도 중의 하나였.

새로운!!: 당나라와 상경도 · 더보기 »

상분

상분(嘗糞)이란 사람의 대변의 맛을 보아 그 건강한 정도를 살펴보는 의학적 행위를 말. 중국의 고사성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지극한 효성 또는 도가 지나친 아첨을 가리키는 용법으로 쓰인.

새로운!!: 당나라와 상분 · 더보기 »

상당군

상당군(上黨郡)은 중국의 옛 행정구역으로, 전국 시대부터 당나라까지 존속한 군이.

새로운!!: 당나라와 상당군 · 더보기 »

상제

상제는 하나님, 혹은 하느님의 한자식 표기이.

새로운!!: 당나라와 상제 · 더보기 »

상서복야

상서복야(尙書僕射)는 상서성에 딸린 정2품급 직책으로 당나라, 송나라, 신라, 고려에 있던 직책이.

새로운!!: 당나라와 상서복야 · 더보기 »

상하이 시

상하이()는 중국 본토 동부의 창강() 하구에 있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직할시이.

새로운!!: 당나라와 상하이 시 · 더보기 »

상원 (당 고종)

상원(上元)은 중국 당(唐) 고종(高宗)의 8번째 연호이.

새로운!!: 당나라와 상원 (당 고종) · 더보기 »

탐라

국(耽羅國, 기원전 2337년 ~ 1402년)은 제주도의 왕국이었.

새로운!!: 당나라와 탐라 · 더보기 »

샤오간 시

샤오간(효감)은 중화인민공화국 후베이 성에 있는 지급시이.

새로운!!: 당나라와 샤오간 시 · 더보기 »

태평공주

평공주(太平公主, 665년 ~ 713년)는 당나라의 황족으로, 고종과 측천무후의 딸이.

새로운!!: 당나라와 태평공주 · 더보기 »

태평어람

《태평어람》 한태화(韓泰華) 교정본 《태평어람》(太平御覽)은 중국 북송 초기의 학자 이방(李昉) 등이 태평흥국 2년 ~ 8년(977년 ~ 983년) 사이에 편찬한 유서(類書)의 일종으로, 본래 이름은 《태평총류》(太平總類)였으나 태종이 매일 밤마다 3권씩 읽은 사실에 유래하여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

새로운!!: 당나라와 태평어람 · 더보기 »

태정관

정관()은 일본 율령제에서 사법·행정·입법을 관장하는 최고국가기관이.

새로운!!: 당나라와 태정관 · 더보기 »

태조

조(太祖)는 동아시아 제왕의 묘호 중 하나로서, 보통 나라를 세운 개국 군주나 개국 군주 이전 터전을 잡은 조상에게 붙는 묘호이.

새로운!!: 당나라와 태조 · 더보기 »

태종

종(太宗)은 동아시아 제왕의 묘호 중 하나로, 흔히 국가의 기틀을 다지거나 국가의 제2대 제왕에게 붙이는 묘호이.

새로운!!: 당나라와 태종 · 더보기 »

태종무열왕

종무열왕(太宗武烈王, 603년~661년 음력 6월)은 신라(新羅)의 제29대 임금(재위: 654년~661년)이.

새로운!!: 당나라와 태종무열왕 · 더보기 »

태상노군

상노군(太上老君)은 노자(老子)를 신격화한 것이.

새로운!!: 당나라와 태상노군 · 더보기 »

태사 (관직)

사(太師)는, 고대 중국에서 사용된 관직명으로, 천자(황제)의 스승을 가리.

새로운!!: 당나라와 태사 (관직) · 더보기 »

태원군

원군(太原郡)은 중국 전국 시대 진나라에서부터 당나라까지 존속한 군이.

새로운!!: 당나라와 태원군 · 더보기 »

태황태후

황태후(太皇太后)는 현 황제의 조모뻘로, 주로 선선대 황제의 정실 부인이.

새로운!!: 당나라와 태황태후 · 더보기 »

태화 (신라)

화(太和)는 신라 진덕여왕(眞德女王)의 연호이자 신라가 독자적으로 사용한 마지막 연호이.

새로운!!: 당나라와 태화 (신라) · 더보기 »

탈라스 전투

스 전투(Battle of Talas)는 751년 7월 ~ 8월 사이에 고구려 출신 당나라 장수 고선지 장군이 지휘하는 당나라군과 동맹군 카를루크가 압바스 왕조, 티베트 연합군을 상대로 지금의 카자흐스탄 영토인 탈라스 강 유역에서 중앙아시아의 패권을 두고 싸운 전투였.

새로운!!: 당나라와 탈라스 전투 · 더보기 »

탈라스강

스 강 탈라스 강은 키르기스스탄과 카자흐스탄의 국경 지역을 흐르는 강이.

새로운!!: 당나라와 탈라스강 · 더보기 »

석공의 슬픈 사랑 이야기가 담긴 불국사의 다보탑도 종교적인 목적(불교)으로 건축된 것이다. 탑(塔) 또는 타워()는 뾰족하게 높이 세운 건축물을 뜻하며 단층 또는 여러 층으로 되어 있.

새로운!!: 당나라와 탑 · 더보기 »

탕구트

탕구트(Tangut)는, 7세기에서 13세기 사이에 중국 북서쪽의 쓰촨 성(四川省)의 북부, 칭하이 성(靑海省)의 북부, 간쑤 성(甘肃省) 등에 존재했던 티베트의 분파이.

새로운!!: 당나라와 탕구트 · 더보기 »

타스쿠얼간 타지크 자치현

스쿠얼간 타지크 자치현의 위치 타스쿠얼간 타지크 자치현()은 파미르 고원 동쪽에 위치한 신장 위구르 자치구 서쪽의 카스 지구에 위치해 있. 타스쿠얼간 타지크 자치현은 쿤룬 산맥, 카라쿤룬, 힌두쿠시 산맥과 톈산 산맥, 아프가니스탄, 타지키스탄과 파키스탄령 카슈미르에 접해 있. 중심지는 타스쿠얼간이.

새로운!!: 당나라와 타스쿠얼간 타지크 자치현 · 더보기 »

타클라마칸 사막

마칸 사막 타클라마칸 사막(지도에서 "Taklamakan Desert")과 타림 분지(지도에서 "Tarim") 타클라마칸 사막(تەكلىماكان قۇملۇقى)또는 타커라마간 사막(塔克拉玛干沙漠)은 중앙아시아의 사막으로 중화인민공화국의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 있며, 이 사막 이름은 위구르어로 "들어가면 나올 수 없다"를 뜻. 남쪽으로는 쿤룬 산맥(곤륜산 또는 곤륜산맥), 남서쪽으로는 파미르 고원, 서쪽과 북쪽으로는 톈산 산맥(천산 또는 천산 산맥)에 의해 경계가 정. 타클라마칸 사막은 극이 아닌 사막 중에서 15번째의 크기이.

새로운!!: 당나라와 타클라마칸 사막 · 더보기 »

타이저우 시 (저장 성)

이저우 시()는 중화인민공화국 저장성에 위치하는 지급시이.

새로운!!: 당나라와 타이저우 시 (저장 성) · 더보기 »

타이완 공화국

이완 공화국 국기의 예 타이완의 독립()은 타이완의 완전 독립 지지자들이 추구하는 목표로, 중화민국의 실효 지배 하에 있는 타이완이 중국의 프레임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국가를 세우려는 운동을 뜻. 타이완 공화국() 또는 타이완국()은 이들에 의해 주로 제시되고 있는 가상의 국가 개념이다.

새로운!!: 당나라와 타이완 공화국 · 더보기 »

술회

술회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당나라와 술회 · 더보기 »

투루판 분지

분지는 중국 신강 웨유르 자치구에 속한 오아시스지역으로, 웨유르의 수도인 우루무치의 남동쪽 150Km에 위치하고 있. 이 곳의 고도는 사해에 이어 세계에서 2번째로 낮.

새로운!!: 당나라와 투루판 분지 · 더보기 »

숴저우 시

숴저우(삭주)은 중국 산시 성의 서북부에 위치 있. 산시 성 직하에 지급시중 하나이고 면적은 10662평방킬로미터, 총인구는 154만명이.

새로운!!: 당나라와 숴저우 시 · 더보기 »

순자

순자(荀子, 기원전 298년? ~ 기원전 238년?)는 고대 중국의 전국시대(戰國時代, 기원전 403년 ~ 기원전 221년) 말기의 유가 사상가이자 학자로,동양사상 > 동양의 사상 > 중국의 사상 > 제자백가의 사상 > 순자,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이름은 순황(荀況)이.

새로운!!: 당나라와 순자 · 더보기 »

순자 (책)

《순자(筍子)》는 중국 전국시대(戰國時代: BC 403~221) 말기의 유가 사상가 순자(荀子: BC 298?~238?)의 말과 글을 모은 것이.

새로운!!: 당나라와 순자 (책) · 더보기 »

순흠황후

순흠황후(淳欽皇后, 879년 ~ 953년)은 요나라 태조(太祖) 야율아보기(耶律阿保機)의 황후이며 술율파고(述律婆姑)의 딸이.

새로운!!: 당나라와 순흠황후 · 더보기 »

순종

순종은 다음을 가리.

새로운!!: 당나라와 순종 · 더보기 »

순창 현

순창 현() 은 중화 인민 공화국 푸젠 성 난핑 시의 현급 행정구역이.

새로운!!: 당나라와 순창 현 · 더보기 »

순천 송광사 목조삼존불감

순천 송광사 목조삼존불감(順天 松廣寺 木造三尊佛龕)은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사에 있는, 나무로 만든 불감(佛龕)이.

새로운!!: 당나라와 순천 송광사 목조삼존불감 · 더보기 »

수 양제

수 세조 명황제 양광(隋 世祖 明皇帝 楊廣, 569년 ~ 618년 3월 11일)은 중국 수나라의 제2대 황제이.

새로운!!: 당나라와 수 양제 · 더보기 »

수러 현

슈가르옝기사하르 현의 위치 수러 현() 은 신장 위구르 자치구 카스 지구의 현급 행정구역이.

새로운!!: 당나라와 수러 현 · 더보기 »

수말당초

수말당초(隋末唐初) 또는 수당교체기(隋唐交替期)는 수나라에 망조가 들고 당나라가 건국될 때까지의 군벌 난립기를 말. 수 양제의 세 번째 고구려 원정 이 실패한 613년에서 당 고조의 아들 이세민이 양사도의 세력을 멸망시킨 628년까지 약 15년간으로 비정.

새로운!!: 당나라와 수말당초 · 더보기 »

수묵화

소나무를 나타내고 있는 수묵화 수묵화(水墨畫)는 동아시아의 그림 그리기 기법으로, 채색을 쓰지 않고, 수묵으로 짙고 옅은 효과를 내어 그린 그림을 가리.

새로운!!: 당나라와 수묵화 · 더보기 »

수공 (당)

수공(垂拱)은 중국 당(唐) 예종(睿宗)의 3번째 연호이.

새로운!!: 당나라와 수공 (당) · 더보기 »

수군

수군(水軍)은, 동아시아 한자문화권에서 전통적으로 수상(水上) 무장력을 가리키던 단어이.

새로운!!: 당나라와 수군 · 더보기 »

수나라

수나라와 그 외 국가 형세 수(隋, 581년 3월 4일 ~ 619년 5월 23일)는 중국 남북조 시대의 혼란을 진정시키고, 서진이 멸망한 후 분열되었던 중국을 약 300년 만에 재통일한 국. 그러나 제2대 황제인 양제 때 폭정으로 인해 약간의 혼란기를 거친 후 멸망하였고, 그 후 당나라가 중국을 재통일하였.

새로운!!: 당나라와 수나라 · 더보기 »

수서 (역사서)

《수서》(隋書)는 수나라의 역사서로, 당 고조 이연 때부터 시작하여, 당 태종, 당 고종에 이르기까지 3대에 걸쳐 완성된 총 85권의 수나라 역사 통사이.

새로운!!: 당나라와 수서 (역사서) · 더보기 »

수안공주

수안공주는 다음의 인물을 가리.

새로운!!: 당나라와 수안공주 · 더보기 »

숙비

숙비는 다음을 가리.

새로운!!: 당나라와 숙비 · 더보기 »

숙비 소씨

숙비 소씨(淑妃 蕭氏, ?~655년)는 당나라 고종의 후궁이.

새로운!!: 당나라와 숙비 소씨 · 더보기 »

숙달

숙달(叔達)은 당나라에서 고구려에 온 도사(道士)이.

새로운!!: 당나라와 숙달 · 더보기 »

숙종

숙종(肅宗)은 동아시아 제왕의 묘호 중 하나로서, 분란을 끝낸 제왕이나 국가를 한층 발전시킨 제왕에게 올.

새로운!!: 당나라와 숙종 · 더보기 »

숙신

숙신(肅愼 영어: Sushen, 중국어: 肃慎, 병음: Sùshèn)은 주대(周代)에 중국의 동북 지방에 살던 동이인 퉁구스계 민족을 일컫던 말이.

새로운!!: 당나라와 숙신 · 더보기 »

영락제

명 성조 영락제(明成祖 永樂帝, 1360년 5월 2일 ~ 1424년 8월 12일)는 명 왕조의 제3대 황제(재위 1402년~1424년)이.

새로운!!: 당나라와 영락제 · 더보기 »

영륭 (당)

영륭(永隆)은 중국 당(唐) 고종(高宗)의 11번째 연호이.

새로운!!: 당나라와 영륭 (당) · 더보기 »

영류왕

영류왕(榮留王, ? ~ 642년)은 고구려의 제27대 국왕(재위: 618년 ~ 642년)이.

새로운!!: 당나라와 영류왕 · 더보기 »

영광 정씨

영광 정씨(靈光 丁氏)는 전라남도 영광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당나라와 영광 정씨 · 더보기 »

영국공

중국의 역사, 또는 소설에서 한글로 영국공, 약칭 영공으로 표기 가능한 작위가 여럿 있었.

새로운!!: 당나라와 영국공 · 더보기 »

영국공주 (당 경종)

영국공주 이씨(寧國公主 李氏, ? ~ ?)는 중국 당나라의 제13대 황제인 당 경종 이담의 셋째 서녀(庶女)이.

새로운!!: 당나라와 영국공주 (당 경종) · 더보기 »

영주 (동음이의)

영주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당나라와 영주 (동음이의) · 더보기 »

영창

영창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당나라와 영창 · 더보기 »

영창 (동진)

영창(永昌)은 중국 동진(東晉) 원제(元帝)의 두 번째 연호이.

새로운!!: 당나라와 영창 (동진) · 더보기 »

영창 (당)

영창(永昌)은 중국 당(唐) 예종(睿宗)의 4번째 연호이.

새로운!!: 당나라와 영창 (당) · 더보기 »

영휘

영휘(永徽)는 중국 당(唐) 고종(高宗)의 첫 번째 연호이.

새로운!!: 당나라와 영휘 · 더보기 »

영태

영태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당나라와 영태 · 더보기 »

영태 (제)

영태(永泰)는 중국 제(齊) 명제(明帝)의 두 번째 연호이.

새로운!!: 당나라와 영태 (제) · 더보기 »

영순 (당)

영순(永淳)은 중국 당(唐) 고종(高宗)의 13번째 연호이.

새로운!!: 당나라와 영순 (당) · 더보기 »

영호덕분

영호덕분() (583년 ~ 666년)은 중국 당나라의 역사가였.

새로운!!: 당나라와 영호덕분 · 더보기 »

영호징

영호징(令狐澄, 생몰년 미상)은 중국 당나라의 문인이.

새로운!!: 당나라와 영호징 · 더보기 »

영양 김씨

영양 김씨(英陽 金氏)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당나라와 영양 김씨 · 더보기 »

영양왕

영양왕(嬰陽王, ?~618년)은 고구려의 제26대 국왕(재위: 590년~618년)으로 일명 평양왕(平陽王), 대흥왕(大興王)이.

새로운!!: 당나라와 영양왕 · 더보기 »

영안군 (중국)

영안군(永安郡)은 수나라에서 설치한 중국의 옛 군이.

새로운!!: 당나라와 영안군 (중국) · 더보기 »

오 (십국)

오(吳, 902년 ~ 937년)는 중국 오대십국 시대 10국 중 하나로써 당나라 절도사 양행밀(楊行密)이 양쯔 강 하류 금릉(金陵; 현재의 난징)을 중심으로 강소성, 안휘성, 강서성을 지배했던 나라이.

새로운!!: 당나라와 오 (십국) · 더보기 »

오도현 (화가)

오도현(吳道玄, 685년 ~ 758년) 은 중국 당나라 현종 때의 화가이.

새로운!!: 당나라와 오도현 (화가) · 더보기 »

오례

오례(五禮)는 세종실록에 수록된 국가의례를 집대성한 것이.

새로운!!: 당나라와 오례 · 더보기 »

오경정의

오경정의(五經正義)는, 중국 당(唐) 태종(太宗)의 칙으로 공영달(孔潁達) 등이 편찬한 5경의 소(疏)이.

새로운!!: 당나라와 오경정의 · 더보기 »

오긍

오긍(吳兢, 670 ~ 749)은 중국 당나라의 역사가이.

새로운!!: 당나라와 오긍 · 더보기 »

오대 (오대 십국)

오대(五代)는 당나라가 멸망하고 송나라가 건국되기 이전까지의 과도기에 중원에서 흥망한 다섯 왕조이.

새로운!!: 당나라와 오대 (오대 십국) · 더보기 »

오대 십국 시대

오대 십국 시대(五代十國時代, 907년~960년)는 중국의 역사에서 당나라가 멸망한 907년부터, 송나라가 건립된 960년까지, 황하 유역을 중심으로 화북을 통치했던 5개의 왕조(오대)와 화중·화남과 화북의 일부를 지배했던 여러 지방정권(십국)이 흥망을 거듭한 정치적 격변기를 가리.

새로운!!: 당나라와 오대 십국 시대 · 더보기 »

오교 구산

오교 구산(五敎九山)은 신라 중기에 성립된 교종의 5교와 신라 말기와 고려 초에 성립된 선종의 9산을 통칭하여 부르는 낱말이.

새로운!!: 당나라와 오교 구산 · 더보기 »

오노 성

오노 성은 일본의 성의 이름이.

새로운!!: 당나라와 오노 성 · 더보기 »

오승은 (명나라)

오승은(吳承恩,, 1500년 ~ 1582년)은 중국 명나라의 문인이.

새로운!!: 당나라와 오승은 (명나라) · 더보기 »

오자서

오자서 조각상 오자서 조각상 오자서(伍子胥, ? ~ 기원전 485년)는 중국 춘추 시대 오나라의 정치가로, 자서(子胥)는 자이며, 이름은 운(員)이.

새로운!!: 당나라와 오자서 · 더보기 »

오천항 (보령시)

오천항(鰲川港)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보령시 오천면 소성리에 있는 어항이.

새로운!!: 당나라와 오천항 (보령시) · 더보기 »

오타니 고즈이

오타니 고즈이 오타니 고즈이(1876년 12월 27일 ~ 1948년 10월 5일)는 일본의 종교가이.

새로운!!: 당나라와 오타니 고즈이 · 더보기 »

오수전

오수전 오수전(五銖錢)은 고대 중국에서 유통된 화폐로, 전한 무제 때인 원수 5년(기원전 118년)에 처음으로 주조되었.

새로운!!: 당나라와 오수전 · 더보기 »

오석산

오석산(五石散)은 고대 중국에서 후한 ~ 당나라 시대에 걸쳐 유통된 마약이.

새로운!!: 당나라와 오석산 · 더보기 »

오월

오월(907년 - 978년)은 중국 오대십국 시대 10국 중 하나로, 당나라 절도사 전류(錢鏐)가 현재의 항주(杭州)을 중심으로 저장 지역을 지배했던 나라이.

새로운!!: 당나라와 오월 · 더보기 »

옥 (성씨)

옥(玉)씨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당나라와 옥 (성씨) · 더보기 »

온 (성씨)

온(溫)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당나라와 온 (성씨) · 더보기 »

온정균

온정균 온정균(溫庭筠, 812년∼870년)은 중국 당나라 시기의 시인이.

새로운!!: 당나라와 온정균 · 더보기 »

온양 방씨

온양 방씨(溫陽 方氏)는 충청남도 아산시를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당나라와 온양 방씨 · 더보기 »

온사문

온사문(溫沙門, ? - ?)은 고구려 보장왕 때의 장군으로 여당 전쟁에 참전하였.

새로운!!: 당나라와 온사문 · 더보기 »

옷의 역사

옷의 역사는 신석기 시대로 거슬러 올. 신석기시대의 유물로 뼈바늘과 돌로된 방추가 발견되어 그 시대에 이미 옷을 만들어 입었음을 알 수 있. 인류는 시대에 따라 다양한 옷들을 입었다고 여.

새로운!!: 당나라와 옷의 역사 · 더보기 »

호 (민족)

호(胡)는 한족이 중국의 북부와 서부의 이민족 특히 유목민족을 비하하여 부르는 말이.

새로운!!: 당나라와 호 (민족) · 더보기 »

호레키

호레키/호랴쿠(宝暦/寶曆, ほうれき/ほうりゃく)는, 일본의 연호(元号) 중 하나이.

새로운!!: 당나라와 호레키 · 더보기 »

호로하 전투

호로하 전투는 673년 5월 고구려 부흥군이 신라 호로하(칠중성)에서 당나라와 벌인 전투이.

새로운!!: 당나라와 호로하 전투 · 더보기 »

호뢰 전투

호뢰 전투(虎牢戰鬪)는 수말당초 내전기 중인 621년 5월 28일 하남성 호뢰곡에서 벌어진 전. 당 황자 진왕 이세민이 이끄는 당군이 두건덕의 하군과 왕세충의 정군과 맞서 싸웠.

새로운!!: 당나라와 호뢰 전투 · 더보기 »

호뢰관

호뢰관(虎牢關) 또는 사수관(汜水關)은 중화인민공화국 허난 성 싱양 시 북서부에 있. 삼국지연의에서는 서기 190년, 후한의 조정을 장악한 권신 동탁을 제거하기 위해 결성된 반동탁 연합군이 처음으로 동탁의 군대와 싸운 곳으로 알려져 있. 연의에서는 사수관(汜水關) 싸움과 호뢰관(虎牢關) 싸움으로 나뉘는데, 사실 이 두 싸움에서 나타난 지명은 같은 곳이며, 후한 때에는 호뢰관, 당나라 때부터는 사수관이라 불. 하지만, 사수관에 당대까지 성이 지어지지 않았다는 점, 유비·관우·장비가 당시에는 황건적을 토벌하고 있었다는 정사의 기록이 연의와 배. 분류:정저우 시의 건축물 분류:삼국지.

새로운!!: 당나라와 호뢰관 · 더보기 »

호분 (제도)

호분(虎賁)이란 중국의 옛 관제로, 황제의 직속 부대를 일컫는 말이.

새로운!!: 당나라와 호분 (제도) · 더보기 »

호족

호족(豪族)은 동아시아에서 있었던 중앙 귀족 또는 세력과 대비되는 지방의 세력을 가리.

새로운!!: 당나라와 호족 · 더보기 »

호서 지방

호서 지방 호서 지방(湖西地方)은 대전광역시, 충청남도, 충청북도, 세종특별자치시 일대를 가리키는 한국의 지역 구분 용어이.

새로운!!: 당나라와 호서 지방 · 더보기 »

혜능

혜능(慧能: 638~713)은 당나라(618~907) 시대의 선승이며 선종(禪宗)의 제6조이자 남종선(南宗禪)의 시조이.

새로운!!: 당나라와 혜능 · 더보기 »

혜철

혜철(惠哲: 785년~861년)은 신라의 승려이.

새로운!!: 당나라와 혜철 · 더보기 »

혜초

혜초(慧超 또는 惠超, 704년~787년)는 신라 성덕왕(또는 경덕왕) 때의 고승으로, 787년에 중국의 오대산(五臺山) 건원보리사(乾元菩提寺)에서 입적하였.

새로운!!: 당나라와 혜초 · 더보기 »

혜현

혜현(慧現 또는 慧顯: 570~627)은 백제의 승려이.

새로운!!: 당나라와 혜현 · 더보기 »

혜소 (신라)

혜소(慧昭, 774년 ~ 850년 2월 24일(음력 1월 9일))는 신라의 승려이.

새로운!!: 당나라와 혜소 (신라) · 더보기 »

혜통

혜통(惠通)은 7세기 경 신라의 승려로, 해동진언종(海東眞言宗)의 개조(開祖)이.

새로운!!: 당나라와 혜통 · 더보기 »

예종

예종은 동아시아 제왕의 묘호 중 하나이.

새로운!!: 당나라와 예종 · 더보기 »

예식진

예식진(禰寔進, 615년 ~ 672년)은 백제 웅진唐)의 군인이며 백제 의자왕 때의 역신이.

새로운!!: 당나라와 예식진 · 더보기 »

현무문의 변

현무문의 변(玄武門之變)은 626년 7월 2일에 발생한 당 고조 이연의 후계자를 두고 장남 이건성(李建成)과 차남 이세민의 다툼이.

새로운!!: 당나라와 현무문의 변 · 더보기 »

현경 (연호)

현경(顯慶)은 중국 당(唐) 고종(高宗)의 두 번째 연호이.

새로운!!: 당나라와 현경 (연호) · 더보기 »

현장

현장 현장(玄奘, 602년 4월 6일 ~ 664년 3월 7일)은 당나라 초기의 고승이자 번역가로 흔히 현장삼장(玄奘三藏)이.

새로운!!: 당나라와 현장 · 더보기 »

현종

현종은 동아시아 제왕의 묘호 중 하나이.

새로운!!: 당나라와 현종 · 더보기 »

현양성교론

《현양성교론(顯揚聖敎論)》(T.1602)는 미륵보살과 함께 인도불교의 유식학(唯識學) 총 3기 중 제1기의 논사인 무착(無着: 300?~390?)이 지은 논서로, 당(唐)의 현장(玄奘: 602~664)의 한역본이 있. 별칭으로 《광포중의론(廣苞衆義論)》 또는 《총포중의론(總苞衆義論)》이라고도 하며, 약칭하여 《현양론(顯揚論)》 또는 《성교론(聖敎論)》이라고도 한다. 《현양성교론》 제1권의 귀경게에 따르면, 무착은 미륵보살에게서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을 듣고 그 성스러운 가르침을 보다 알기 쉽게 함으로써 그것을 현양(顯揚)하고자 《유가사지론》의 요점을 간추려서 논서를 지었다고 말하고 있다. 이와 같이 논의 서두에서 무착이 밝힌 바대로, 현대의 학자들은 《현양성교론》이 《유가사지론》의 요점을 간추린 유식학의 개론서 또는 개요서에 해당한다고 보고 있다. 현장의 《유가사지론》 한역본은 총 100권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비해 현장의 《현양성교론》 한역본은 총 20권 11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유식의 법상(法相)아뢰야식설3성설(三性說) 등을 해설하고 있다. 한편, 《현양성교론》은 법상종(法相宗)의 소의 논서인 11론(十一論) 가운데 하나이다.

새로운!!: 당나라와 현양성교론 · 더보기 »

형도

형도(刑璹)는 8세기 경 신라 효성왕(孝成王) 때 온 당나라의 사신이.

새로운!!: 당나라와 형도 · 더보기 »

형부

형부(刑部)는 동아시아에서 주로 법을 집행하는 실무 기관이었.

새로운!!: 당나라와 형부 · 더보기 »

형산군 (수)

형산군(衡山郡)은 수나라에서 설치한 중국의 옛 군이.

새로운!!: 당나라와 형산군 (수) · 더보기 »

옛 나라 목록

옛 나라 목록에서는 인류 역사상 과거에 존재했던 국가, 국제 기구 또는 영토를 점유한 게릴라, 정부, 정권, 테러 조직, 망명 정부, 부대 그리고 무장단체 등을 기술하였습.

새로운!!: 당나라와 옛 나라 목록 · 더보기 »

최 (성씨)

외 최(崔)씨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당나라와 최 (성씨) · 더보기 »

최광유

광유(崔匡裕, ? ~ ?)는 신라의 학자이.

새로운!!: 당나라와 최광유 · 더보기 »

최승

승(崔陞)은 당나라 중종 (705-710) 때 당나라 병마사이.

새로운!!: 당나라와 최승 · 더보기 »

최승우

승우(崔承祐, ? ~ ?)은 신라 말기의 문인이자, 후삼국의 하나인 후백제의 관료, 정치가, 문인이.

새로운!!: 당나라와 최승우 · 더보기 »

최치원

원(崔致遠, 857년 ~ 908년 이후)은 신라 말기의 문신, 유학자, 문장가이.

새로운!!: 당나라와 최치원 · 더보기 »

최현위

현위(崔玄暐, 638 - 706)는 당나라 측천무후 때 관리이.

새로운!!: 당나라와 최현위 · 더보기 »

최언위

언위(崔彦撝, 868년 ~ 944년)는 신라 말기와 고려 초기의 유학자이고 문신(文臣) 겸 향가 작가이자 한시 시인이며 서예가이.

새로운!!: 당나라와 최언위 · 더보기 »

향교

경주향교 향교(鄕校)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있었던 국립 지방 교육기관이.

새로운!!: 당나라와 향교 · 더보기 »

향신료 무역

경제적으로 중요한 비단길(빨간색)과 향신료 무역로(파란색)는 1453년 경에 비잔틴 제국의 멸망과 함께 오스만 제국에 의해 봉쇄됐으며, 이는 아프리카 해상 무역로 개척을 위한 탐험의 자극제가 됐고 대항해시대를 열었다. 카라반. 루이 아그, 1839년 향신료 무역(香辛料貿易)은 아시아와 동북 아프리카, 유럽의 문명 사이에서의 무역을 말. 일찍이 동양에서는 계피와 카다멈, 생강, 울금 등이 무역의 대상이었.

새로운!!: 당나라와 향신료 무역 · 더보기 »

언월도

언월도(偃月刀)는 대도(大刀)의 일종으로, 다른 이름으로는 관도(關刀)가 있는데, 중국 삼국 시대의 명장 관우(關羽)가 이 무기를 사용한 것에서 유. 당나라 이후부터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전한 시대의 무기인 참마검(斬馬劍)에서 파생되었.

새로운!!: 당나라와 언월도 · 더보기 »

양 (시호)

양은 시호에 쓰이는 글자.

새로운!!: 당나라와 양 (시호) · 더보기 »

양만춘

양만춘(梁萬春/楊萬春, ? ~ ?)은 고구려 말의 군인이.

새로운!!: 당나라와 양만춘 · 더보기 »

양민황후

양민황후 소씨(煬愍皇后 蕭氏, 566년 ~ 648년)는 중국 수나라의 두 번째 황후이며, 수 양제 양광의 정실 부인이.

새로운!!: 당나라와 양민황후 · 더보기 »

양귀비 (당나라)

양귀비(楊貴妃, 719년 6월 26일 ~ 756년 7월 15일)는 당 현종의 후궁이자 며느리이.

새로운!!: 당나라와 양귀비 (당나라) · 더보기 »

양국충

양국충(楊國忠, 양궈중, ? ~ 756년 7월 15일)은 중국 당 왕조의 무관, 정치가로 양귀비의 사촌 오빠이.

새로운!!: 당나라와 양국충 · 더보기 »

양저우 시

양저우 시(양주)는 중화인민공화국 장쑤 성에 위치하는 지급시이.

새로운!!: 당나라와 양저우 시 · 더보기 »

양형

양형에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당나라와 양형 · 더보기 »

양형 (당나라)

양형 양형(楊炯, 650년 ~ 695년)은 당나라의 시인이.

새로운!!: 당나라와 양형 (당나라) · 더보기 »

양행밀

양행밀(楊行密, Yang Xingmi, 852년《십국춘추(十國春秋)》, ~ 905년 12월 24일《자치통감》, 권 265)은 중국 당나라 말기에 활약했던 군벌이자 회남절도사(淮南節度使, 본거지는 지금의 장쑤 성 양저우 시)로, 5대 10국 시대의 오나라의 창건자이.

새로운!!: 당나라와 양행밀 · 더보기 »

양사언 초서

양사언 초서 (楊士彦 草書)는 서울특별시 마포구 백범로 35, 서강대학교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축(軸)이.

새로운!!: 당나라와 양사언 초서 · 더보기 »

양산 내원사

원사(內院寺)는 경상남도 양산시에 위치한 대한불교조계종 소속의 사찰이.

새로운!!: 당나라와 양산 내원사 · 더보기 »

양산시

양산시청 양산시(梁山市)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동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당나라와 양산시 · 더보기 »

행 (역사)

행(行)은 당나라부터 형성된 상인의 동업조합(同業組合)이.

새로운!!: 당나라와 행 (역사) · 더보기 »

행대 (중국)

행대(行臺)는, 고대 중국 위(魏), 진(晉) 시대에서 금(金) 시대에 걸쳐 중앙 조정의 관부인 상서성(尚書省)의 분사(分司) 기관으로써 중앙 외의 지방에 설치, 상서를 관장했던 임시기구이.

새로운!!: 당나라와 행대 (중국) · 더보기 »

행주 은씨

행주 은씨(幸州 殷氏)는 경기도 고양시 행주동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당나라와 행주 은씨 · 더보기 »

에프탈

에프탈(Ephthalites 또는 Hephthalites)은 5세기 중엽부터 약 1세기 동안 투하리스탄을 중심으로 투르키스탄과 서북 인도에 세력을 떨친 페르시아계(系) 유목 민족이.

새로운!!: 당나라와 에프탈 · 더보기 »

헝양 시

헝양(형양)은 중화인민공화국 후난성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

새로운!!: 당나라와 헝양 시 · 더보기 »

헤이조쿄

헤이조쿄 유적. 헤이조쿄()는 나라 시대(710년 ~ 794년)의 대부분 기간(710년 ~ 740년, 745년 ~ 784년) 때 일본의 수도였던 곳이.

새로운!!: 당나라와 헤이조쿄 · 더보기 »

헤이안 시대

헤이안 시대(794년~1185년)는 794년 간무 천황이 헤이안쿄(平安京)로 천도한 것으로부터, 가마쿠라 막부의 설립까지의 약 390년간을 지칭하는 일본역사의 시대구분의 하나이.

새로운!!: 당나라와 헤이안 시대 · 더보기 »

헤이안쿄

헤이안쿄의 전경 헤이안쿄(平安京)는 현재의 교토 시의 몇몇 예전 이름 중 하나이.

새로운!!: 당나라와 헤이안쿄 · 더보기 »

여 (성씨)

(呂) 또는 여(余, 汝)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당나라와 여 (성씨) · 더보기 »

여대남

여대남(余大男, 1580년 - 1659년 12월 16일)은 조선 출신 일본의 승려이.

새로운!!: 당나라와 여대남 · 더보기 »

여엄

여엄(麗嚴, 862년~930년)은 신라 말기와 고려 초기의 선승(禪僧)이.

새로운!!: 당나라와 여엄 · 더보기 »

여산군

여산군(礪山郡)은 1914년까지 지금의 익산시 북부 3면(面)에 있던 지역이.

새로운!!: 당나라와 여산군 · 더보기 »

역사 연표

역사 연표는 세계사를 적은 연표로 한국사도 포함되어 있.

새로운!!: 당나라와 역사 연표 · 더보기 »

연 (오대 십국)

연(燕)은 중국 오대 십국 시대 초기의 군벌 유수광이 지금의 북경 부근에 세운 최단명 왕국이었.

새로운!!: 당나라와 연 (오대 십국) · 더보기 »

연 (안사)

연(燕)은 중국 당나라의 장군 안녹산이 755년에 당 현종의 치세에 반발하여 반란을 일으킨 이후, 그 이듬해인 756년에 세운 나라였.

새로운!!: 당나라와 연 (안사) · 더보기 »

연개소문

연개소문(淵蓋蘇文, 617년 ~ 666년 5월)은 고구려 말기의 장군이자 정치가이.

새로운!!: 당나라와 연개소문 · 더보기 »

연경

연경(燕京)은 중국의 옛 지명이며, 춘추 전국 시대 당시 연나라의 수도였.

새로운!!: 당나라와 연경 · 더보기 »

연극의 역사

연극의 역사에서는 동양 및 서양 연극의 흐름을.

새로운!!: 당나라와 연극의 역사 · 더보기 »

연남건

연남건(淵男建, 635년~638년 ~ ?)은 연개소문의 2남이며, 고구려-당 전쟁 때 대막리지로 고구려군을 총지휘를 하였으며, 정확한 생몰연대는 미상이.

새로운!!: 당나라와 연남건 · 더보기 »

연남생

연남생(淵男生, 634년~679년)은 연개소문의 맏아들이며, 제2대 대막리지이.

새로운!!: 당나라와 연남생 · 더보기 »

연남산

연남산(淵男産, 639년~701년)은 고구려의 귀족으로 연개소문(617-666)의 셋째 아들이.

새로운!!: 당나라와 연남산 · 더보기 »

연정토

연정토(淵淨土)는 고구려 대막리지 연개소문의 동생이.

새로운!!: 당나라와 연정토 · 더보기 »

연현은

연현은(淵玄隱, ?~?)은 당나라에서 활동한 고구려 출신 장군이.

새로운!!: 당나라와 연현은 · 더보기 »

연헌성

연헌성(淵獻誠, 651년 ~ 692년)은 연남생의 아들이자 연개소문의 손자이.

새로운!!: 당나라와 연헌성 · 더보기 »

연성공

연성공(衍聖公)은, 중국의 봉작(封爵)의 이름으로, 공자(孔子)의 적손(嫡孫)이 대대로 세습하였던 작위이.

새로운!!: 당나라와 연성공 · 더보기 »

연화 (북위)

연화(延和)는 중국 북위(北魏) 태무제(太武帝)의 세 번째 연호이.

새로운!!: 당나라와 연화 (북위) · 더보기 »

염입본

염입본(閻立本, ? ~ 673년)은 당나라 초기의 화가이.

새로운!!: 당나라와 염입본 · 더보기 »

헌덕왕

경주시 동천동의 헌덕왕릉 (사적 29호) 헌덕왕(憲德王, ? ~ 826년, 재위: 809년 ~ 826년)은 신라의 제41대 왕이.

새로운!!: 당나라와 헌덕왕 · 더보기 »

헌강왕

경주 남산 기슭의 헌강왕릉 (사적 187호) 헌강왕(憲康王, ? ~ 886년, 재위: 875년 ~ 886년)은 신라의 제49대 왕이.

새로운!!: 당나라와 헌강왕 · 더보기 »

헌종

종은 동아시아 제왕의 묘호 중 하나이.

새로운!!: 당나라와 헌종 · 더보기 »

허강 시

강 시(학강시, 중국어 간체:鹤岗市, 정체:鶴崗市, 병음:Hègāng shì)는 중화인민공화국 헤이룽장 성에 위치한 지급시이.

새로운!!: 당나라와 허강 시 · 더보기 »

허베이성

베이 성()은 중화인민공화국 북부의 성이.

새로운!!: 당나라와 허베이성 · 더보기 »

허난성

성()은 중화인민공화국 중앙부의 성이.

새로운!!: 당나라와 허난성 · 더보기 »

허원

원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당나라와 허원 · 더보기 »

허원 (당나라)

원(許遠, 709~757)은 당나라 현종 때 무장이.

새로운!!: 당나라와 허원 (당나라) · 더보기 »

엔랴쿠

엔랴쿠()는 일본의 연호 중 하나이.

새로운!!: 당나라와 엔랴쿠 · 더보기 »

엔닌

엔닌 동상 자각대사 엔닌(円仁, 794년 ~ 864년)은 일본의 교토 시 인근 엔랴쿠지의 승려로 9세기 당나라와 당나라의 신라인의 생활을 잘 소개한 엔닌의 일기인 입당구법순례행기(入唐求法巡禮行記)를 썼.

새로운!!: 당나라와 엔닌 · 더보기 »

엄 (성씨)

엄(嚴)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당나라와 엄 (성씨) · 더보기 »

엄진삼

엄진삼(嚴鎭三, 1812년 10월 9일 ~ 1879년 7월 28일)은 조선 말기의 무신이자 상인, 대한제국의 외척이며, 고종의 계비 순헌황귀비 엄씨의 친정 아버지, 엄준원의 삼촌이자 양아버지이며, 영친왕의 외할아버지이.

새로운!!: 당나라와 엄진삼 · 더보기 »

쑤이닝 시

쑤이닝(수녕)은 쓰촨성의 산지에 위치한 지급시이.

새로운!!: 당나라와 쑤이닝 시 · 더보기 »

쑤저우 시

쑤저우 시(소주)는 중화인민공화국 장쑤 성 남동쪽의 타이후 동쪽에 있는 운하 도시이.

새로운!!: 당나라와 쑤저우 시 · 더보기 »

쑤저우 시 (안후이 성)

쑤저우()는 안후이 성 동쪽에 위치한 지급시이.

새로운!!: 당나라와 쑤저우 시 (안후이 성) · 더보기 »

푸젠성

젠 성(복건성,, 민난어: Hok-kiàn, 민동어 Hók-gióng)은 중화인민공화국 남동부의 성이.

새로운!!: 당나라와 푸젠성 · 더보기 »

푸양 시 (안후이 성)

양() 은 안후이 성의 지급시이.

새로운!!: 당나라와 푸양 시 (안후이 성) · 더보기 »

푸퉈산

보타산 관음상 보타산()은 중국 저장 성 항저우 만 끝자락에서 동쪽으로 약 100해리 밖의 저우산 군도에 있.

새로운!!: 당나라와 푸퉈산 · 더보기 »

쑹판 현

쑹추 현의 위치 쑹판 현() 은 중화 인민 공화국 쓰촨 성 아바 티베트족 창족 자치주의 현급 행정구역이다. 북위 32°06′—33°09′, 동경 102°38′—104°15′ 사이에 위치한다. 넓이는 8486km2이고, 인구는 2007년 기준으로 70,000명이다.

새로운!!: 당나라와 쑹판 현 · 더보기 »

풍도 (정치가)

풍도(馮道, 882년《구오대사》, 권126. ~ 954년 5월 21일(음력 4월 17일))는 중국 당나라 말기부터 오대십국 시대에 걸쳐 활약했던 중국의 정치가이자 고급 관료이.

새로운!!: 당나라와 풍도 (정치가) · 더보기 »

풍속화

풍속화(風俗畵)란 그림의 내용을 일상생활에서 취재하여 그린 회화를 말. 다루어진 계층의 차이에 따라 농민, 시민, 귀족 등으로 종별.

새로운!!: 당나라와 풍속화 · 더보기 »

풍왕

풍왕 부여풍(豊王 扶餘豊, 623년?~668년?)은 백제(百濟)의 제32대 국왕이.

새로운!!: 당나라와 풍왕 · 더보기 »

키르기스스탄

르기스 공화국(), 약칭 키르기스스탄()은 중앙아시아 내륙의 공화국으로 소련의 구성 공화국이었다가 1991년에 독립한 국가이.

새로운!!: 당나라와 키르기스스탄 · 더보기 »

사 (문학)

사(詞)는 중국의 당 대에 만들어져 송 대에 융성한, 속곡(俗曲)에 맞추는 가사 문학이.

새로운!!: 당나라와 사 (문학) · 더보기 »

사 (성씨)

사(謝, 史, 舍)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당나라와 사 (성씨) · 더보기 »

사마르칸트

사마르칸트()는 중앙아시아 두번째로 큰 우즈베키스탄의 고도이며, 사마르칸트 주의 주도이.

새로운!!: 당나라와 사마르칸트 · 더보기 »

사마정

사마정(司馬貞, 679년 ~ 732년)은 당나라의 사학자로 하내군(현재 하남성 초작시 심양시) 출신이.

새로운!!: 당나라와 사마정 · 더보기 »

사문불경왕자론

사문불경왕자론(沙門不敬王者論)은, 중국 동진(東晋)의 승려 여산혜원(廬山慧遠)이 당시의 권력자였던 환현(桓玄)에 맞서 지은 불교 의론서이.

새로운!!: 당나라와 사문불경왕자론 · 더보기 »

사고전서

《사고전서》(四庫全書)는 1773년 (건륭 38년) 중국 청나라 건륭제의 명으로 1781년 (건륭 46년)에 편찬 및 완성된 중국 최대의 총서이.

새로운!!: 당나라와 사고전서 · 더보기 »

사공 (성씨)

사공(司空)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당나라와 사공 (성씨) · 더보기 »

사기 (역사서)

《사기》(史記)는, 중국 전한 왕조 무제 시대에 사마천이 저술한 중국의 역사서이며, 중국 이십사사의 하나이자 정사의 으뜸으로 꼽힌.

새로운!!: 당나라와 사기 (역사서) · 더보기 »

사기정의

사기정의(史記正義)는 사기의 주석서로 당나라의 장수절(張守節)이 저술하였.

새로운!!: 당나라와 사기정의 · 더보기 »

사대부

명나라의 사대부 한국의 사대부 사대부(士大夫)는 동아시아 한자 문화권의 사회지도층이.

새로운!!: 당나라와 사대부 · 더보기 »

사누키 우동

마아게식 사누키 우동 사누키 우동()은 일본 사누키 국(가가와현) 일대에서 생산되는 우동의 일종이.

새로운!!: 당나라와 사누키 우동 · 더보기 »

사이초

사이초(진고게이운 원년(767년) ~ 고닌 13년(822년))는 일본 헤이안 시대(平安時代)의 승려이.

새로운!!: 당나라와 사이초 · 더보기 »

사조의

사조의(史朝義, Shi Chaoyi, ? ~ 763년)은 당나라 중기의 대규모 반란이었던 안사의 난으로 건국된 연나라 최후의 황제였.

새로운!!: 당나라와 사조의 · 더보기 »

사상구

사상구(沙上區)는 대한민국 부산광역시의 서부에 있는 구이.

새로운!!: 당나라와 사상구 · 더보기 »

사타상여

사타상여(沙咤相如, ? ~ ?)는 백제 부흥운동에 참여한 유민이자, 대성팔족(大姓八族)중의 하나인 사(沙)씨 출신 귀족이.

새로운!!: 당나라와 사타상여 · 더보기 »

사수 전투

사수 전투(蛇水戰鬪)는, 제2차 고당전쟁 중이던 고구려 보장왕 21년(662년) 고구려의 대막리지 연개소문이 이끄는 고구려군이 당의 임아상, 방효태가 지휘하는 패강도행군, 옥저도행군을 몰살시킨 싸움이.

새로운!!: 당나라와 사수 전투 · 더보기 »

사오양 시

사오양(소양)은 중화인민공화국 후난 성의 지급시이.

새로운!!: 당나라와 사오양 시 · 더보기 »

사사명

사사명(史思明, 스쓰밍, ? ~ 761년)은 당나라의 무장으로 755년에서 763년까지 당나라를 뒤흔든 안사의 난에서 안녹산의 부장으로 활약을.

새로운!!: 당나라와 사사명 · 더보기 »

사성 (당)

사성(嗣聖)은 중국 당(唐) 중종(中宗)의 연호이.

새로운!!: 당나라와 사성 (당) · 더보기 »

사토

사타, 사토(沙陀), 또는 사토 투지에(沙陀突厥, 산스크리트어: 살트)는 투르크계 유목민 부족이.

새로운!!: 당나라와 사토 · 더보기 »

사악

사악(詞樂) 및 송사악은 송나라의 음악이.

새로운!!: 당나라와 사악 · 더보기 »

산둥반도

산둥 반도의 위치 산둥 반도(산동반도.)는 중국 산둥 성 동쪽에 있는 반도이.

새로운!!: 당나라와 산둥반도 · 더보기 »

산둥성

산둥 성(산동성)은 중화인민공화국 동부의 성이.

새로운!!: 당나라와 산둥성 · 더보기 »

산삼

산삼(山蔘)은 한반도, 만주 남부, 연해주 일부 지역에 자생하는 여러해살이풀이.

새로운!!: 당나라와 산삼 · 더보기 »

산시 역사박물관

산시 역사박물관 산시 역사박물관()은 산시 성 시안 시 남부의 샤오자이동루(小寨东路), 대안탑의 서북쪽에 위치한 박물관으로 1983년 시공하여, 1991년 6월 20일 개관한 중국 제일의 현대식 대형 국가급 박물관이.

새로운!!: 당나라와 산시 역사박물관 · 더보기 »

산시성 (산서성)

산시 성()은 중화인민공화국 서북부에 있는 성이.

새로운!!: 당나라와 산시성 (산서성) · 더보기 »

산시성 (섬서성)

산시 성(섬서성)은 중화인민공화국 중부에 위치한 성이.

새로운!!: 당나라와 산시성 (섬서성) · 더보기 »

삼무일종의 법난

삼무일종의 법난(三武一宗-法難, 삼무일종법난)은 중세 중국에서 발생한 네 차례의 대규모 불교탄압이.

새로운!!: 당나라와 삼무일종의 법난 · 더보기 »

삼교

어린 석가모니를 노자에게 건네는 공자 그림 삼교(三敎)는, 고대 중국에서 유교, 불교, 도교의 세 종교를 아울러 가리키던 용어로, 유불도(儒佛道) 또는 유불선(儒佛仙)이.

새로운!!: 당나라와 삼교 · 더보기 »

삼교합일

삼교합일(三敎合一)은 유교, 불교, 도교를 융합하는 것을 말.

새로운!!: 당나라와 삼교합일 · 더보기 »

삼국 시대

삼국 시대(三國時代)는 기원전 1세기부터 중앙집권적 국가로 발전한 고구려, 백제, 신라의 삼국과 그 판도에 영향을 끼친 가야 연맹을 포함한 4개 국가가 한반도와 만주 일대에 세워지면서부터 7세기에 신라에 의해 통일되기까지의 시대를 가리.

새로운!!: 당나라와 삼국 시대 · 더보기 »

삼국 시대의 문학

삼국 시대의 문학은 고구려, 백제, 신라의 삼국이 성립된 시기와 후삼국 시대까지 대개 서기 1세기부터 10세기에 이르는 기간에 형성되었.

새로운!!: 당나라와 삼국 시대의 문학 · 더보기 »

삼청

삼청(三清)은 하나인 도(道)의 다른 모습인 옥청(玉清), 상청(上清), 태청(太清)을 가리.

새로운!!: 당나라와 삼청 · 더보기 »

삼십육자모

삼십육자모(三十六字母)는 중국 음운학에서 중국어 중고음(수나라, 당나라의 발음)의 성모(聲母, 두자음)를 나타내기 위해 쓰인 36가지의 한자이.

새로운!!: 당나라와 삼십육자모 · 더보기 »

삽량주

남북국 시대 신라의 9주 5소경 삽량주(歃良州) 또는 양주(良州)는 신라의 광역 행정구역인 9주 5소경의 한 주(州)이.

새로운!!: 당나라와 삽량주 · 더보기 »

쓰촨어

쓰촨어()는 주로 중국의 쓰촨성(四川省)과 충칭시(重慶市)에서 쓰이는 중국어이.

새로운!!: 당나라와 쓰촨어 · 더보기 »

쓰시마 국

쓰시마 국 쓰시마 국()은 일찍이 일본의 지방 행정 구분이었던 구니의 하나이.

새로운!!: 당나라와 쓰시마 국 · 더보기 »

피 (성씨)

(皮)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당나라와 피 (성씨) · 더보기 »

피라각

각(皮羅閤, 698년 ~ 748년)은 남조의 제 5대 국왕(재위: 728년 ~ 748년)이.

새로운!!: 당나라와 피라각 · 더보기 »

피휘

청나라 강희제의 피휘. 강희제의 이름 현엽(玄燁)에서 마지막 획을 긋지 않았다. 이런 피휘법을 결획(缺劃)이라 한다. 피휘(避諱)는 군주나 자신의 조상의 이름에 쓰인 글자를 사용하지 않는 관습이.

새로운!!: 당나라와 피휘 · 더보기 »

프리모르스키 지방

리모르스키 지방 프리모르스키 지방()은 러시아 극동에 위치한 러시아의 지방이.

새로운!!: 당나라와 프리모르스키 지방 · 더보기 »

석호 (후조)

후조 태조 무황제 석호(後趙 太祖 武皇帝 石虎, 295년 ~ 349년, 재위:334년 - 349년)는 중국 오호 십육국 시대 후조(後趙)의 제3대의 황제이.

새로운!!: 당나라와 석호 (후조) · 더보기 »

선 (불교)

선정(禪定)에 든 고타마 붓다 (석굴암) 선(禪)이란, 중국 대륙에서 5세기에 발전하기 시작한 대승불교의 한 조류이.

새로운!!: 당나라와 선 (불교) · 더보기 »

선덕왕

선덕왕(宣德王, ? ~ 785년, 재위: 780년 ~ 785년)은 신라의 제37대 왕이.

새로운!!: 당나라와 선덕왕 · 더보기 »

선무외

선무외(善無畏: 637~735)은 당나라(唐) 시대의 불교승이자 인도로부터 중국에 밀교를 전한 역경승(譯經僧)이.

새로운!!: 당나라와 선무외 · 더보기 »

선우도호부

선우도호부(單于都護府)는 당나라가 현재 네이멍구 지역에 두어 돌궐제부족을 관할한 당나라의 도호부 중의 하나이.

새로운!!: 당나라와 선우도호부 · 더보기 »

선종영가집

선종영가집(禪宗永嘉集)은 당나라 현각선사가 선관을 닦아 일숙각한 선종의 요결과 심득사항을 찬술한 것으로서, 그가 죽은 뒤 당나라 경주자사인 위정이 모아 10문으로 나누어 엮고 또한 이에 송나라 행정이 주석하여 2권으로 성편한 것이.

새로운!!: 당나라와 선종영가집 · 더보기 »

선종영가집언해

《선종영가집언해(禪宗永嘉集諺解)》는 조선 세조 10년 (1464) 신미대사, 효령대군등이 엮은 불서 언해서이.

새로운!!: 당나라와 선종영가집언해 · 더보기 »

선지 (종이)

선지(宣紙)는 고대 중국이 기원인 종이의 일종으로, 글을 쓰거나 그림을 그리는 데 쓰인.

새로운!!: 당나라와 선지 (종이) · 더보기 »

선생

선생(先生)이란 학문적으로나 덕망이 높은 사람, 혹은 사회적으로 존경받을 만한 위치의 사람,학예가 뛰어난 사람, 각 관청과 관아(官衙)의 전임자를 가리키던 일종의 존칭 또는 경칭으로 고대사회부터 근대사회의 호칭이었.

새로운!!: 당나라와 선생 · 더보기 »

선사

선사(禪師)는 일반적으로 선정(禪定)에 통달한 승려를 부르는 호칭이.

새로운!!: 당나라와 선사 · 더보기 »

선시

선시(禪詩)는 선수행을 통한 깨달음의 경지를 짤막한 율문으로 나타낸 시를 말. 선시(禪詩)는 시(詩)와 선(禪)의 만남이.

새로운!!: 당나라와 선시 · 더보기 »

설랑

설랑(薛朗, Xue Lang, ? ~ 888년 3월 14일타이완 중앙연구원 《자치통감》제257권)은 중국 당나라 말기 희종 때 활약했던 군인으로, 진해군 절도사(鎭海軍節度使, 본거지는 현 장쑤 성 전장 시) 주보가 장병들에 의해 타도된 후, 887년의 대부분 기간 동안 진해군 번진(藩鎭)의 일부를 지배하였.

새로운!!: 당나라와 설랑 · 더보기 »

설란

설란(薛蘭, ? ~ 195년)은 중국 후한 말의 정치가로, 연주(兗州) 사람이.

새로운!!: 당나라와 설란 · 더보기 »

설도 (중국)

명(明)의 구영(仇英)이 그린 《열녀전도》(列女傳圖) 중 설도의 그림. 설도(薛濤, 768년? ~ 832년)는 당나라의 시인이.

새로운!!: 당나라와 설도 (중국) · 더보기 »

설계두

설계두(薛罽頭, ? ~ 645년)는 신라 귀족 출신의 당나라 장수로 고구려-당 전쟁에서 활약.

새로운!!: 당나라와 설계두 · 더보기 »

설인귀

설인귀(薛仁貴, 613년 ~ 683년)은 당나라 초기의 명장 중의 하나이.

새로운!!: 당나라와 설인귀 · 더보기 »

설음

설음(舌音) 또는 혓소리(혀쏘리)는 혀에서 나는 소리라는 뜻으로 전통적 음운학에서 두자음들을 분류하였던 말. 오음의.

새로운!!: 당나라와 설음 · 더보기 »

설탕

장 흔한 설탕인 수크로스 결정의 확대사진 설탕(sugar, 屑糖·雪糖)은 사탕수수나 사탕무에서 얻은 원당을 정제공장에 투입하여 만든 천연 감미료로, 수크로스(자당)를 주성분으로 하고 있. 다양한 종류의 음식에 널리 쓰이며 특히 과자나 빵에는 반드시 쓰인.

새로운!!: 당나라와 설탕 · 더보기 »

설연타

설연타(薛延陀)는 6세기에서 7세기에 걸쳐, 중앙 아시아(현재의 몽골 중가리아(Jungaria) 북부)에 분포해 있었던 투르크계 유목 민족 철륵의 유력 부족 중 하나로 그 중심 씨족은 일리질씨(一利咥氏)였으며, 철륵 부족 중에서도 가장 세력이 강한 부족이었.

새로운!!: 당나라와 설연타 · 더보기 »

섭론종

섭론종(攝論宗)은 중국 불교의 논종(論宗) 중 하나로, 무착(無着)의 《섭대승론(攝代乘論)》을 연구강술하는 학파이.

새로운!!: 당나라와 섭론종 · 더보기 »

터키의 역사

이 문서는 기원전 6,500년부터 현재까지 이어진 터키의 역사에 대해 서술.

새로운!!: 당나라와 터키의 역사 · 더보기 »

성덕왕

성덕왕(聖德王, ? ~ 737년)은 신라의 제33대 왕(재위: 702년 ~ 737년)이.

새로운!!: 당나라와 성덕왕 · 더보기 »

성라피

성라피(盛羅皮, 673년 ~ 728년)는 대몽국의 제4대 국왕이.

새로운!!: 당나라와 성라피 · 더보기 »

성수침 필적

성수침 필적 (成守琛 筆蹟)은 대전광역시 유성구 노은동길 100, 대전선사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서첩이.

새로운!!: 당나라와 성수침 필적 · 더보기 »

성실종

성실종(成實宗Satyasiddhi)은 4세기 경에 하리발마(訶梨跋摩Harivarman)가 소승 아비달마의 교의에 만족하지 못하고, 부파 불교의 일파인 경량부(經量部)의 입장에서 저술한 체계적 강요서(綱要書)인 《성실론Satyasiddhi-Shastra》의 연구강술을 중심으로 한 중국 불교의 학파이.

새로운!!: 당나라와 성실종 · 더보기 »

성황묘

성황묘(城隍廟)는, 성황신(城隍神)을 제사지내기 위한 공간으로써의 사당이.

새로운!!: 당나라와 성황묘 · 더보기 »

세계의 역사

세계의 역사, 혹은 세계사(世界史)는 선사 시대부터 이어져 온 지구상 모든 인류의 경험과 활동을 기록한 역사이.

새로운!!: 당나라와 세계의 역사 · 더보기 »

세노라

세노라(細奴羅, ? ~ 674년)는 대몽국(대몽국이라는 국명은 제4대 왕 귀의왕 피라각이 육조를 통일할 때까지 계속되었다.) 의 제 1대 국왕이.

새로운!!: 당나라와 세노라 · 더보기 »

세이 신세이

세이 신세이/이노 마나리(井真成, 699년-734년)는, 나라 시대 일본의 유학생이자 당나라의 관리였.

새로운!!: 당나라와 세이 신세이 · 더보기 »

세조

세조(世祖)는 동아시아 제왕의 묘호 중 하나로, 왕조의 창업자이거나, 왕조 성립 이전에 이미 창업의 기틀을 세운 제왕, 창업에 가까운 업적을 세운 제왕, 망한 왕조를 다시 세운 제왕, 또한 국가의 체계를 완성시킨 제왕에게 올리는 묘호이.

새로운!!: 당나라와 세조 · 더보기 »

세시

세시(歲時)는 일 년 중 절기 또는 계절에 따른 때를 일컫.

새로운!!: 당나라와 세시 · 더보기 »

서 (성씨)

서(徐)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당나라와 서 (성씨) · 더보기 »

서명사

서명사(西明寺)는, 중국 당대(唐代)에 수도 장안(長安)에 세워진 사찰이.

새로운!!: 당나라와 서명사 · 더보기 »

서경 압록부

서경 압록부(西京鴨綠府)는 발해의 중요 도시인 5경 가운데 하나였.

새로운!!: 당나라와 서경 압록부 · 더보기 »

서북공정

서북공정(西北工程)은 현재 중국의 소수 민족인 위구르족을 중화인민공화국의 역사화하려는 통일적 다민족 국가론에 입각한 공정연구이.

새로운!!: 당나라와 서북공정 · 더보기 »

서우 현

서우 현() 은 중화 인민 공화국 안후이 성 화이난 시의 현급 행정구역이.

새로운!!: 당나라와 서우 현 · 더보기 »

서재필

서재필(徐載弼, 1864년 1월 7일 ~ 1951년 1월 5일, 미국 귀화명은 필립 제이슨(Philip Jaisohn))은 조선의 무신, 대한제국의 정치인, 언론인이자 미국 국적의 한국 독립운동가, 의사였.

새로운!!: 당나라와 서재필 · 더보기 »

서유기

16세기 중국 목판본 서유기 right 《서유기》(西遊記)는 중국 명대의 장편소설이.

새로운!!: 당나라와 서유기 · 더보기 »

서융

사이의 명칭 서융(西戎)은 중국 역사에서 서쪽에 사는 이민족(한족 이외의 민족)을 일컬어 부르는 말이.

새로운!!: 당나라와 서융 · 더보기 »

서호

서호(시후)는 중국 저장 성 항저우 시 시가구역 서쪽에 면한 호수로 중국국가단위풍경구명승구와 세계적인 명성을 가진 담수호이.

새로운!!: 당나라와 서호 · 더보기 »

서혜

현비 서씨(賢妃 徐氏, 627년~650년)는 당나라 태종의 후궁이며,이름은 서혜(徐慧)이.

새로운!!: 당나라와 서혜 · 더보기 »

서얼

서얼(庶孼)은 양반의 자손 가운데 첩(妾)과의 사이에서 나온 자손을 말하는 것으로, 양인(良人)의 신분에 속하는 첩이 낳은 서자(庶子)와 천민(賤民)에 속하는 첩이 낳은 얼자(孼子)를 함께 이르는 말이.

새로운!!: 당나라와 서얼 · 더보기 »

서하

서하(중국어: 西夏 병음: Xī Xià, 티베트어: 미냐크(Minyak))는 1032년에서 1227년까지 중국 북서부의 간쑤 성(甘肅省), 산시 성(陝西省)에 위치했던 티베트의 분파인 탕구트족의 왕조이.

새로운!!: 당나라와 서하 · 더보기 »

서원

예림서원에 있는 구영당 서원(書院)는 동아시아에서 일종의 학교이.

새로운!!: 당나라와 서원 · 더보기 »

속말말갈

속말말갈(粟末靺鞨)은 말갈의 한 부족이.

새로운!!: 당나라와 속말말갈 · 더보기 »

손만영

손만영(孫萬榮, ? ~ 697년, 재위: 696년~697년)은 거란(契丹)의 추장이.

새로운!!: 당나라와 손만영 · 더보기 »

손자병법

손자의 병법서 《손자병법》()은 고대 중국의 병법서(兵法書)이.

새로운!!: 당나라와 손자병법 · 더보기 »

손오공

손오공 손오공(孫悟空)은 중국의 4대 기서 가운데 하나인 《서유기》의 주인공인 원숭이로, 오공, 제천대성(齊天大聖, 하늘(제왕)과 같이 높은 성자(신선), 하늘나라 옥황상제와 동등한 위대한 신선을 이름), 혹은 미후왕(美猴王, 잘생긴 원숭이 왕)이라고도 불린.

새로운!!: 당나라와 손오공 · 더보기 »

토욕혼

욕혼(영어: Tuyuhun, 한자: 吐谷渾)은 4세기 경부터 663년 토번의 침공으로 완전히 멸망하기 전까지 존속한 유목 민족이며, 또한 그들이 세운 국가명(토욕혼국)이.

새로운!!: 당나라와 토욕혼 · 더보기 »

송·명 시대의 사상

중국 송·명 시대의 사상의 특징은 한나라(漢)6조(六朝)수나라(隋)당나라(唐) 시대의 유가(儒家)도가(道家)불가(佛家)의 3교 정립의 상태를 지양하고 종합함으로써 유가를 중심한 3교 합일의 사상을 전개한 것이.

새로운!!: 당나라와 송·명 시대의 사상 · 더보기 »

송나라

송(宋, 960년 ~ 1279년)은 중국의 옛 왕조이.

새로운!!: 당나라와 송나라 · 더보기 »

송짼감뽀

송짼감뽀(생년 미상 ~ 650년)는 토번의 제33대 짼뽀이.

새로운!!: 당나라와 송짼감뽀 · 더보기 »

톤유쿡

유쿡(돌궐어:𐱃𐰆𐰪𐰸𐰸,, 646년경 ~ 726년경)은 돌궐 제2제국의 바가타르칸(군사 지도자)로, 네 명의 카간을 섬겼으며 그 중 빌게 카간이 유명.

새로운!!: 당나라와 톤유쿡 · 더보기 »

소 (시호)

소는 시호에 쓰이는 글자.

새로운!!: 당나라와 소 (시호) · 더보기 »

소가노 이루카

소가노 이루카(스이코 천황 18년(610년)? ~ 고교쿠 천황 4년(645년) 6월 12일)는 아스카 시대의 호족이.

새로운!!: 당나라와 소가노 이루카 · 더보기 »

소고구려

소고구려(小高句麗, 존속 기간: 686년 ~ 820년)는 고구려 유민들이 랴오둥 반도에 설립한 한국의 고대 왕국이.

새로운!!: 당나라와 소고구려 · 더보기 »

소그드인

thumb 소그드인(Sogd人, 속특 粟特)은 중앙아시아 소그디아나를 근거지로 하는 이란계(系)의 주민이.

새로운!!: 당나라와 소그드인 · 더보기 »

소국공주

소국공주 이씨(蕭國公主 李氏, 728년 2월 ~ 759년 3월)는 중국 당나라의 제7대 황제인 당 숙종 이형의 둘째 서녀(庶女)이.

새로운!!: 당나라와 소국공주 · 더보기 »

소정방

소정방(蘇定方, 592년 ~ 667년)은 당나라의 장군이.

새로운!!: 당나라와 소정방 · 더보기 »

소종

소종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당나라와 소종 · 더보기 »

소중화사상

소중화사상의 화이질서 소중화사상(小中華思想)은 중국 이외의 나라에서 중화사상의 영향을 받아 발달한 자민족 중심주의 사상이.

새로운!!: 당나라와 소중화사상 · 더보기 »

소숭망

소숭망(蕭崇望, ? ~ ?)은 중국 당나라 때 사람이.

새로운!!: 당나라와 소숭망 · 더보기 »

소호 (오제)

소호 금천씨(少昊金天氏)는 중국 고대의 신화상에 등장하는 전설적 군주인 삼황오제 중 오제(五帝)의 한 명이.

새로운!!: 당나라와 소호 (오제) · 더보기 »

소성왕

소성왕(昭聖王, ? ~ 800년, 재위: 798년 ~ 800년)은 신라의 제39대 왕이.

새로운!!: 당나라와 소성왕 · 더보기 »

소송 (북송)

소송의 초상화 소송(蘇頌, 1020년(천희(天禧) 4년) ~ 1101년(건중정국(建中靖國) 원년))은 북송의 재상, 과학자, 수학자, 정치인, 천문학자, 지리학자, 의학자, 동물학자, 식물학자, 시인으로 자는 자용(子容)이.

새로운!!: 당나라와 소송 (북송) · 더보기 »

소안탑

소안탑 소안탑(小雁塔)이란 중국 당나라 때 장안성 내의 젠푸사(천복사) 경내에 경용(707년 - 710년) 년간에 건립된 벽돌탑이.

새로운!!: 당나라와 소안탑 · 더보기 »

통도사

통도사(通度寺)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양산시에 있는 사찰이.

새로운!!: 당나라와 통도사 · 더보기 »

통일적 다민족국가론

통일적 다민족국가론은 중화인민공화국이 동북공정, 서남공정, 서북공정 등의 역사공정에서 기본으로 삼는 논리로서, 현재 중국 땅에 있는(혹은 과거에 지금의 중국 땅에 있었던) 모든 민족은 광의의 중국인에 속하며, 그들의 역사 또한 중국의 역사와 직결된다는 것이.

새로운!!: 당나라와 통일적 다민족국가론 · 더보기 »

통일신라

통일신라(統一新羅)란 백제와 고구려가 멸망한 이후인 668년부터 후삼국 시대 직전의 신라이.

새로운!!: 당나라와 통일신라 · 더보기 »

통일신라의 불교

통일신라의 불교를 크게 3등분하면 다음과 같.

새로운!!: 당나라와 통일신라의 불교 · 더보기 »

통일신라의 교육

통일신라의 교육은 통일신라 시기의 교육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시점부터 고려 성립 이전.

새로운!!: 당나라와 통일신라의 교육 · 더보기 »

통지 (책)

통지(通志)는 중국 남송의 정초가 소흥 31년(1161년)에 편찬한 책이.

새로운!!: 당나라와 통지 (책) · 더보기 »

톄링 시

링(철령)은 중화인민공화국 랴오닝 성의 지급시이.

새로운!!: 당나라와 톄링 시 · 더보기 »

퇴고

(推敲)는 초고를 바탕으로 수정·보완하고 정리하는 작업을 뜻. 주로 시, 소설 등의 문학에서 편집을 하는 과정 속에.

새로운!!: 당나라와 퇴고 · 더보기 »

쇼토쿠 (연호)

쇼토쿠(正徳, しょうとく)는, 일본의 연호(元号) 중 하나이.

새로운!!: 당나라와 쇼토쿠 (연호) · 더보기 »

쇼소인

쇼소인 쇼소인()은 일본 나라현 나라 시 도다이지(東大寺)의 대불전 북서쪽에 위치한 창고이.

새로운!!: 당나라와 쇼소인 · 더보기 »

쇄자갑

이탈리아의 사슬 갑옷. 쇄자갑(鎖子甲, maile/chain armor)https://en.m.wikipedia.org/wiki/Mail_(armour))은 철사를 고리 모양으로 만들어 엮은 갑옷이다. 여기서 "mail"이란 단어는 http://alldic.daum.net/search.do?q.

새로운!!: 당나라와 쇄자갑 · 더보기 »

애 (시호)

애는 시호에 쓰이는 글자.

새로운!!: 당나라와 애 (시호) · 더보기 »

함형

형(咸亨)은 중국 당(唐) 고종(高宗)의 7번째 연호이.

새로운!!: 당나라와 함형 · 더보기 »

함양 여씨

양 여씨(咸陽 呂氏)는 경상남도 함양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당나라와 함양 여씨 · 더보기 »

함열군

열군(咸悅郡)은 전라북도 익산시 함라면을 중심으로 익산서북 1읍 5개면에 있었던 옛 행정구역이.

새로운!!: 당나라와 함열군 · 더보기 »

함통

통(咸通 또는 鹹通)은, 중국 당(唐)의 의종(懿宗)의 치세에 사용되었던 연호이.

새로운!!: 당나라와 함통 · 더보기 »

해족

족(奚族)은 북방 민족인 동호에서 발원한 민족이며, 선비 우문부의 한 지파이.

새로운!!: 당나라와 해족 · 더보기 »

해심밀경소

《해심밀경소》(解深密經疏)는 신라의 고승 원측의 저서이.

새로운!!: 당나라와 해심밀경소 · 더보기 »

야마시로 국

야마시로 국 야마시로 국()은 기나이에 설치되었던 일본의 옛 구니이.

새로운!!: 당나라와 야마시로 국 · 더보기 »

야광배

야광배(夜光杯)는, 옥(玉)으로 만든 잔으로 중국 간쑤 성(甘粛省) 주취안(酒泉)의 특산품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당나라와 야광배 · 더보기 »

야율균덕식

야율균덕식(耶律勻德寔, ? ~ ?)은 당나라 시대 거란 질랄부(迭剌部)의 족장(夷离)이었.

새로운!!: 당나라와 야율균덕식 · 더보기 »

야율누리사

야율누리사(耶律耨里思, ? ~ ?)는 당나라 시대 거란 질랄부(迭剌部) 족장(夷离)이었.

새로운!!: 당나라와 야율누리사 · 더보기 »

야율살랄덕

야율살랄덕(耶律薩剌德, ? ~ ?)은 당나라 시대 거란 질랄부(迭剌部)의 족장(夷离)이었.

새로운!!: 당나라와 야율살랄덕 · 더보기 »

야율살랄적

야율살랄적(耶律撒剌的, ? ~ ?)은 당나라 시대 거란 질랄부(迭剌部)의 족장(夷离)이었.

새로운!!: 당나라와 야율살랄적 · 더보기 »

한·당 시대의 사상

이 문서 한·당 시대의 사상(漢唐時代의 思想)은, 한나라(漢: 기원전 206~기원후 220) 시대로부터 위진남북조 시대(魏晉南北朝時代: 220~589)를 지나 수나라(隋: 581~618)당나라(唐: 618~907)오대십국 시대(五代十國時代: 907~960)에 이르기까지 약 1천년 동안의 중국의 중세(中世) 시대에서 전개된 사상을 설명.

새로운!!: 당나라와 한·당 시대의 사상 · 더보기 »

알리오스

알리오스(Alioth) 또는 큰곰자리 엡실론은 큰곰자리 방향에 있는 항성이.

새로운!!: 당나라와 알리오스 · 더보기 »

한림원

림원(翰林院)은 당나라 때 처음 생긴 이후, 주로 황실과 나라의 문화·예술 사업과 황실의 실록 등 학술 활동을 총괄하는 기관이.

새로운!!: 당나라와 한림원 · 더보기 »

한반도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한반도의 모양 한반도(韓半島)는 정치지리학적으로 동아시아에 위치해 있으며, 지형학적으로 유라시아 대륙의 동북쪽 끝에 있는 반도이.

새로운!!: 당나라와 한반도 · 더보기 »

한강 (광둥 성)

강()은 중화인민공화국의 광둥성 동부를 흘러 남중국해로 흘러 들어가는 큰 강이.

새로운!!: 당나라와 한강 (광둥 성) · 더보기 »

한복

원삼 당의 다양한 종류의 한복을 입은 행렬 한복(韓服)은 한민족 고유의 옷이.

새로운!!: 당나라와 한복 · 더보기 »

한국

국(韓國) 또는 조선(朝鮮)은 한민족의 나라를 말. 현대사에서 한국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

새로운!!: 당나라와 한국 · 더보기 »

한국 고대의 교육

국 고대의 교육은 한민족이 살던 지역의 원시사회의 교육 활동과 고조선 및 원삼국 시대의 교육 활동, 삼국 시대의 교육, 통일신라의 교육을.

새로운!!: 당나라와 한국 고대의 교육 · 더보기 »

한국 불교의 역사

국 불교의 역사 또는 한국 불교사는 한국에서 전개된 불교의 역사이.

새로운!!: 당나라와 한국 불교의 역사 · 더보기 »

한국 철학

국 철학은 신라와 고려의 불교 사상, 조선의 성리학, 실학 등 유교 사상을.

새로운!!: 당나라와 한국 철학 · 더보기 »

한국 한자음

국 한자음(韓國漢字音)은 한국어에서의 한자 소리를 이른.

새로운!!: 당나라와 한국 한자음 · 더보기 »

한국음악

조선시대『악학궤범』 향부악기도설에 나오는 향비파와 당비파 한국음악(韓國音樂)의 기반이 된 음계는 한반도 및 중국 동북부 등과 교류하여 고대시대부터 전래되어오는 것과 근대화와 산업화에 의한 빠른 문화유입에 의한 음악적 반응을 포함하여 한민족(韓民族)의 음악을 총칭.

새로운!!: 당나라와 한국음악 · 더보기 »

한국의 도교

국의 도교는 한국에서 전개된 도교이.

새로운!!: 당나라와 한국의 도교 · 더보기 »

한국의 도교 사상

국의 도교(道敎)를 다루는 관점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뉘어 있. 하나는 한국의 도교가 한국 고래의 민족 고유 신앙에 원류를 두고 있다는 관점에서 한국의 도교를 설명하는 경우이고, 다른 하나는 한국의 도교가 중국에서의 도교, 즉 중국 민족의 민간 신앙을 바탕으로 하여 황로사상(黃老思想)을 중심으로 정립된 후한(後漢: 25~220) 말기의 기원후 2세기 전반기에 장각(張角: ?~184)이 개창한 태평도(太平道)와 장릉(張陵: 34~156)이 개창한 오두미도(五斗米道)를 도교의 원류로 보는 관점에서 한국의 도교를 설명하는 경우이.

새로운!!: 당나라와 한국의 도교 사상 · 더보기 »

한국의 명절

국의 명절은, 같은 한자 문화권에 속하는 중국·베트남·일본의 명절과 겹치는 날이 많.

새로운!!: 당나라와 한국의 명절 · 더보기 »

한국의 문화

국의 문화(韓國의 文化)는 한국의 전통 예술, 의식주 및 생활 양식을 포함해 다양한 범위를 가리.

새로운!!: 당나라와 한국의 문화 · 더보기 »

한국의 궁중무용

앵전 한국의 궁중무용은 궁중 진연(進宴)과 의식에 쓰던 무용으로 정재(呈才).

새로운!!: 당나라와 한국의 궁중무용 · 더보기 »

한국의 불교 사상

본 문서 한국의 불교 사상은, 한국에 전래된 불교에서 전개된 사상을 설명.

새로운!!: 당나라와 한국의 불교 사상 · 더보기 »

한국의 기독교

국의 기독교()는 크게 보면 두 집단으로 나뉘는데, 대한민국 통계청 자료 2015년 기준 약 980만 명의 개신교와 약 380만 명의 천주교로 구성.

새로운!!: 당나라와 한국의 기독교 · 더보기 »

한국의 교육

국의 교육은 고대사회에서부터 있어 왔. 여기에서는 이러한 한국의 교육을 시대순으로 설명.

새로운!!: 당나라와 한국의 교육 · 더보기 »

한국의 역사

국의 역사(韓國-歷史) 또는 한국사는 구석기 시대 이후 주로 한반도와 만주, 연해주, 넓게는 동아시아 지역을 바탕으로 발전되어 온 한민족의 역사이.

새로운!!: 당나라와 한국의 역사 · 더보기 »

한국의 역사에 대한 오해 목록

국사 상식의 오류와 진실은 한국사에서 그동안 잘못 알려진 상식을 모아놓은 문서이.

새로운!!: 당나라와 한국의 역사에 대한 오해 목록 · 더보기 »

한국의 연극

국 연극(韓國_演劇)의 장르는 가면극, 인형극, 판소리, 창극, 신파극, 신극의 여섯으로 크게 나눌 수 있.梁在淵, 문화·민속/한국의 연극/한국의 연극[서설], 《글로벌 세계 대백과》.

새로운!!: 당나라와 한국의 연극 · 더보기 »

한국의 연호

국의 연호는 고구려 광개토왕이 최초로 사용한 이래 몇 차례 사용되었.

새로운!!: 당나라와 한국의 연호 · 더보기 »

한국의 사라진 성씨

국의 사라진 성씨는 문헌에는 기록이 있으나, 현재까지 이어져 내려오지 않는 성씨를 말.

새로운!!: 당나라와 한국의 사라진 성씨 · 더보기 »

한나라

(漢, 기원전 206년 ~ 220년)은 진 이후의 중국의 통일 왕조로서 후에 삼국으로 갈라졌다(220년 ~ 280년).

새로운!!: 당나라와 한나라 · 더보기 »

한자

자(漢字)는 표어 문자이며, 현재 한국, 중국, 일본등 동아시아 국가에서 쓰이고 있.

새로운!!: 당나라와 한자 · 더보기 »

한일 관계

일 관계(韓日關係)는 현재의 대한민국을 포함하여, 고대부터 있었던 한국과 일본 사이의 외교, 문화, 경제 등의 교류와 접촉을 말. 양쪽 지역에 중앙집권적인 정치체제가 생긴 삼국 시대(일본의 경우 아스카 시대) 이래로 한국과 일본은 정치적·군사적·사회적·문화적·경제적 교류를 주고받았고 모든 분야에 있어 상호 지대한 영향을 미쳐왔.

새로운!!: 당나라와 한일 관계 · 더보기 »

한진포구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한진리에 있. 삼국시대에는 당나라와 해상 무역을 한 항구였.

새로운!!: 당나라와 한진포구 · 더보기 »

한청 시

성 당가촌 한청 시()는 중화인민공화국 산시 성 웨이난 시의 현급시이.

새로운!!: 당나라와 한청 시 · 더보기 »

한유

유 한유(韓愈, 대력 3년(768년)~장경 4년(824년))는, 중국 당(唐)을 대표하는 문장가 · 정치가 · 사상가이.

새로운!!: 당나라와 한유 · 더보기 »

한윤중

윤중(韓允中, Han Yunzhong, 814년 ~ 874년)은 중국 당나라 후기에 활약했던 무장으로, 한 차례 있었던 반란을 통해 당시 사실상 조정으로부터 독립 상태였던 위박(魏博. 본거지는 현 허베이 성 한단 시) 번진(藩鎭)의 지배권을 탈취하였고, 이후 절도사(節度使)로서 870년부터 874년 사망할 때까지 위박 번진을 지배하였.

새로운!!: 당나라와 한윤중 · 더보기 »

한역대장경

역대장경(漢譯大藏經)은 후한(後漢)에서 원대(元代)에 이르는 약 1천년 동안에 걸쳐 산스크리트 원전(原典)으로부터, 때로는 서역(西域)의 여러 지방에서 번역된 경전이나 논서(論書)를 중심으로, 혹은 중국 불교인의 손으로 이루어진 주석서나 연구서 및 위경류(僞經類)를 포함해서 편집한 것으로서 대소승의 경률론(經律論)이 모두 포함되어 있고 분량도 가장 많으며 불교 연구에 있어서 불가결의 자료일 뿐만 아니라 인도불교와는 다른 독자적인 발전을 한 중국불교 연구의 근본자료이.

새로운!!: 당나라와 한역대장경 · 더보기 »

한푸

(한복)는 중국 한족고유의 옷이.

새로운!!: 당나라와 한푸 · 더보기 »

한산사 (쑤저우)

산사 풍교의 나룻배 장계의 동상 종 한산사의 불상 한산사(寒山寺)는 장쑤 성 쑤저우 시 성 서쪽 창먼(閶門) 밖으로 5km 풍교진에 있는 임제종의 불교 사찰이.

새로운!!: 당나라와 한산사 (쑤저우) · 더보기 »

한약

약(韓藥/漢藥)은 동물, 식물 또는 광물에서 채취된 것으로, 주로 원형대로 건조, 절단 또는 정제된 생약(生藥)이.

새로운!!: 당나라와 한약 · 더보기 »

한시

시(漢詩)는 한자(漢字)로 쓰인 근대 이전에 만들어진 시를 일컫는 말로서, 주로 중국과 그 주변 한자 문화권인 한국, 일본, 베트남에서 만들어졌.

새로운!!: 당나라와 한시 · 더보기 »

안 (성씨)

안(安, 顔)씨는 한국의 성씨 및 중국의 성씨.

새로운!!: 당나라와 안 (성씨) · 더보기 »

안·사의 난

안·사의 난(安史之亂, An Shi Rebellion)은 755년 12월 16일부터 763년 2월 17일에 걸쳐 당나라의 절도사인 안녹사와 그 부하인 사사명과 그 자녀들에 의해 일어난 대규모 반란이.

새로운!!: 당나라와 안·사의 난 · 더보기 »

안동도호부

안동도호부(安東都護府)는 당나라가 고구려를 멸망시키고 668년 평양에 설치한 군정 기관이.

새로운!!: 당나라와 안동도호부 · 더보기 »

안락공주

안락공주(安楽公主, 684년 ~ 710년)는 중국 당나라의 황족이.

새로운!!: 당나라와 안락공주 · 더보기 »

안락집

《안락집(安樂集)》은 북주(北周: 557~581)에서 당나라(唐: 618~907) 초기에 걸친 정토교의 개척자 도작(道綽: 563~645)의 저서로서, 609~645년 사이에 성립된 것으로 알려져 있.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성전 > 안락집,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2권 12장으로 되어 있으며, "모두 경론(經論)을 찾아 증명하고, 믿음을 권하여 왕생(往生)을 구하게 함"이라고 한 것과 같이 50여 부에 걸치는 대승의 여러 경론을 구사하여 오로지 서방아미타불에 귀의(歸依)하여 안락정토에 왕생할 것을 권하고 있. 당시는 북주 무제(北周武帝: 재위 560~578)의 폐불정책(廢佛政策)으로 말법사상(末法思想)이 보편화하고, 《대집경》의 5오백년설(五五百年說)에 의해 지금의 제4의 5백년이 참회(懺悔)와 수선(修善)을 행하고 불명(佛名)을 칭해야 할 불교시대임을 인정하고, 말법악세(末法惡世)의 범부(凡夫)에게 실행가능한 염불의 법문(法門)을 확립하고, 염불문(念佛門)이야말로 대승불교의 교의, 즉 부처의 가르침의 본의(本義)에 합당한 것이라고 주장하였.

새로운!!: 당나라와 안락집 · 더보기 »

안북도호부

안북 도호부(安北都護府)는 당나라 때의 몽골 고원과 바이칼 호 일대의 거주하던 투르크 계 유목민 돌궐을 다스리기 위한 당 6 도호부 중 하나이.

새로운!!: 당나라와 안북도호부 · 더보기 »

안남

안남(安南)은 당나라가 하노이에 설치한 안남도호부에 유래하여 현재의 베트남 북부에서 중부를 가리키는 지리적 명칭이.

새로운!!: 당나라와 안남 · 더보기 »

안남 (동음이의)

안남(安南)은 아래와 같은 뜻을 내포하고있.

새로운!!: 당나라와 안남 (동음이의) · 더보기 »

안남도호부

안남도호부(安南都護府)는 당나라 때 설치되었던 6도호부의 하나로 인도차이나 반도에 있는 중국의 남쪽 변방을 안정시키기 위해 당 고종 679년에 설치되었.

새로운!!: 당나라와 안남도호부 · 더보기 »

안녹산

안녹산(안록산, 안루산, ? ~ 757년 1월 29일)은 당나라의 무장으로 안녹산의 난을 일으.

새로운!!: 당나라와 안녹산 · 더보기 »

안정공주

안정공주(安定公主)는 당나라 황제 고종과 측천무후의 4남 2녀 중 장녀로 태어난 인물이.

새로운!!: 당나라와 안정공주 · 더보기 »

안진경

안진경에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당나라와 안진경 · 더보기 »

안진경 (709년)

안진경(顔眞卿, 옌전칭, 709년 ~ 785년)은 중국 당나라(唐) 때의 대신이자 명필가이.

새로운!!: 당나라와 안진경 (709년) · 더보기 »

안사고

안사고(顔師古, 581년 ~ 645년)는 중국 당나라 초기의 학자이.

새로운!!: 당나라와 안사고 · 더보기 »

안서도호부

안서도호부(安西都護府) 또는 안서대도호부(安西大都護府)는 당나라 때 타림 분지를 장악하기 위해 설치된 군정 기구였다(640–790).

새로운!!: 당나라와 안서도호부 · 더보기 »

안시성

안시성(安市城)은 고구려의 토성(土城)으로 안시성 전투가 일어난 곳이.

새로운!!: 당나라와 안시성 · 더보기 »

안시성 전투

안시성 전투(645년, 보장왕 4년)는 고구려-당 전쟁 중에 당나라 태종이 지휘하는 군대가 대규모로 고구려를 침공하여 3개월 가량 안시성을 포위하고 공격했으나 끈질긴 항전으로 이를 물리치고 고구려가 승리한 싸움이.

새로운!!: 당나라와 안시성 전투 · 더보기 »

안후이성

안후이 성(안휘성)은 중화인민공화국 동부 창 강과 화이허 유역의 성이.

새로운!!: 당나라와 안후이성 · 더보기 »

하동군 (중국)

동군(河東郡)은 중국 전국 시대 진나라에서부터 당나라까지 존속한 군이.

새로운!!: 당나라와 하동군 (중국) · 더보기 »

하남군

(河南郡)은 중국 한나라에서부터 당나라까지 존속한 군이.

새로운!!: 당나라와 하남군 · 더보기 »

하내군

(河內郡)은 중국 한나라에서부터 당나라까지 존속한 군이.

새로운!!: 당나라와 하내군 · 더보기 »

하노이

이 (河內)는 베트남의 수도이며 역대 왕조가 왕도를 정했던 도시로, 홍 강 삼각주, 송코이 강 오른쪽 편에 위. 베트남 최대의 도시인 호찌민 시에서는 북쪽으로 1,760km 떨어져 있. 오랜 역사를 지닌 도시로 6세기경부터 홍 강 삼각주의 중심 도시로 성장.

새로운!!: 당나라와 하노이 · 더보기 »

하이수 구

이수 구() 는 중화 인민 공화국 저장 성 닝보 시의 현급 행정구역이.

새로운!!: 당나라와 하이수 구 · 더보기 »

하이양 시

이양 시() 는 중화 인민 공화국 산둥 성 옌타이 시의 현급 행정구역이.

새로운!!: 당나라와 하이양 시 · 더보기 »

하쿠치

()는 일본의 연호 중 하나이.

새로운!!: 당나라와 하쿠치 · 더보기 »

앵앵전

《앵앵전》(鶯鶯傳)은 중국 당대(唐代) 원진(元稹)이 지은 연애소설이.

새로운!!: 당나라와 앵앵전 · 더보기 »

핑샹 시 (장시 성)

핑샹 시(평향시)는 중화인민공화국 장시 성 서부에 있는 중간 규모의 지급시이.

새로운!!: 당나라와 핑샹 시 (장시 성) · 더보기 »

핑후 시

핑후 시() 는 중화 인민 공화국 저장 성 저장 성의 북동쪽에 위치하고 동중국해 및 항저우 만 북쪽 해안과 접. 명나라 이전에 핑후는 하이옌 현의 일부였.

새로운!!: 당나라와 핑후 시 · 더보기 »

아뢰야식

아뢰야식(阿賴耶識)은 산스크리트어 알라야 비즈냐나(ālaya vijñāna)를 음을 따라 표기한 것으로 아리야식(阿梨耶識)이라고도 하며, 제8아뢰야식(第八阿賴耶識) 또는 간단히 제8식(第八識, eighth consciousness)이.

새로운!!: 당나라와 아뢰야식 · 더보기 »

아베노 히라후

아베노 히라후 아베노 히라후()는 7세기 중기의 일본의 장군이.

새로운!!: 당나라와 아베노 히라후 · 더보기 »

아스카 시대

아스카 시대()는 고훈 시대의 종말기와 겹치기도 하지만, 6세기 후반부터 8세기 초반에 걸쳐 아스카에 궁전, 도시가 세워진 시대를 가리키는 일본 역사의 시대 구분의 하나이.

새로운!!: 당나라와 아스카 시대 · 더보기 »

아우렐 스타인

아우렐 스타인 아우렐 스타인 경(Sir Marc Aurel Stein, KCIE, 1862년 11월 26일~1943년 10월 26일)은 헝가리에서 태어난 영국의 탐험가이.

새로운!!: 당나라와 아우렐 스타인 · 더보기 »

아음

아음(牙音) 또는 어금닛소리(엄쏘리)는 어금니에서 나는 소리라는 뜻으로 전통적 음운학에서 두자음들을 분류하였던 말. 오음의.

새로운!!: 당나라와 아음 · 더보기 »

아커쑤 시

아커쑤 시()는 중국 신장의 현급시이며 아커쑤 지구의 수도이.

새로운!!: 당나라와 아커쑤 시 · 더보기 »

필사탁

사탁(畢師鐸, ? ~ 888년 3월 2일《자치통감》, 권257.)은 중국 당나라 말기에 활약했던 장령(將領)이었.

새로운!!: 당나라와 필사탁 · 더보기 »

아프라시압 궁전 벽화

아프라시압 궁전 벽화(Afrasiab Painting)는 1965년에 우즈베키스탄의 옛 사마르칸트 지역에서 발굴된 소그드인의 대표적인 예술 유적이.

새로운!!: 당나라와 아프라시압 궁전 벽화 · 더보기 »

아악

아악 (雅樂)은 당시 민간 음악인 향악과 당악과 구별되는 제례악·궁중 연례악·정악을 통틀어 말하며, 좁은 의미로는 문묘 제례악을 가리.

새로운!!: 당나라와 아악 · 더보기 »

아시리아 동방교회

아시리아 동방교회(~東方敎會)는 네스토리우스파 기독교 또는 경교의 이념을 계승하는 기독교 교파이.

새로운!!: 당나라와 아시리아 동방교회 · 더보기 »

아시리아인

l10,000 명 이하 아시리아인()은 아시리아에 거주하는 나라 없는 민족이.

새로운!!: 당나라와 아시리아인 · 더보기 »

압해 정씨

압해 정씨(押海丁氏)는 전라남도 신안군 압해읍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당나라와 압해 정씨 · 더보기 »

악부

악부(樂府)은 한시의 하나 형식으로 고체시의 일종.

새로운!!: 당나라와 악부 · 더보기 »

악언정

악언정(樂彦禎, ? ~ 888년)은 중국 당나라 말기에 활약했던 군벌로, 위박(魏博, 본부는 지금의 허베이 성 한단 시) 번진(藩鎭)을 그곳의 절도사(節度使)로서 883년부터 888년까지 지배하였.

새로운!!: 당나라와 악언정 · 더보기 »

악양루 (중국)

악양루 악양루()는 중국 후난 성 웨양 시의 고적 웨양고성 서문의 윗쪽에 있. 아래 쪽으로는 둥팅 호가 보이며, 앞으로는 군산을 북쪽으로는 장강에 접. 악양루는 강남사대명루의 하나로 손꼽힌.

새로운!!: 당나라와 악양루 (중국) · 더보기 »

텅충 시

텅충 시의 위치 텅충 시() 는 중화 인민 공화국 윈난 성 바오산 시의 현급시이.

새로운!!: 당나라와 텅충 시 · 더보기 »

퉁관 현

퉁관 현() 은 중화 인민 공화국 산시 성 웨이난 시의 현급 행정구역이.

새로운!!: 당나라와 퉁관 현 · 더보기 »

신라

신라(新羅, 기원전 57년 ~ 935년)는 고구려, 백제와 함께 고대 한반도의 삼국 시대를 구성하였던 국가로, 세계적으로 오래 존속한 왕조들 중 하나로 꼽힌.

새로운!!: 당나라와 신라 · 더보기 »

신라 와당

신라 와당(新羅瓦當)은 유적에서 발견되는 신라 시대의 와당을 총칭하는 말이.

새로운!!: 당나라와 신라 와당 · 더보기 »

신라도

신라도(新羅道, Silla-Do)는 남북국 시대때 신라와 발해가 서로 오가던 대외교통로서 현재 국도 제1호선에 해당.

새로운!!: 당나라와 신라도 · 더보기 »

신라방

신라방(新羅坊)은 신라 시대 당나라에 있던 신라 사람들이 주로 모여 살던 집단 거주지이.

새로운!!: 당나라와 신라방 · 더보기 »

신라구

신라구(新羅寇) 또는 신라 해적(新羅海賊)은, 고대 일본의 사서에 등장하는, 쓰시마 및 규슈 등지에 출몰하여 견면과 같은 현지 공물을 교토로 운반하던 배를 약탈하거나 바닷가에 상륙해 일본 관군과 교전을 벌이기도 했던 일군의 신라인 해적 집단을 가리키는 단어이.

새로운!!: 당나라와 신라구 · 더보기 »

신라국기

《신라국기(新羅國記)》는 신라를 다녀온 중국 당나라 사람의 견문기이.

새로운!!: 당나라와 신라국기 · 더보기 »

신라의 불교

신라의 불교에 대한 전래 기록으로는, 제13대 미추왕(味鄒王) 2년(263)에 고구려의 승려아도(阿道)가 와서 불교를 전했다는 설, 19대 눌지왕(訥祗王: 재위 417∼458) 때 고구려의 승려 묵호자(墨胡子)가 모례(毛禮)의 집에 머물러 불교를 선양했다는 설, 21대 소지왕(炤知王: 재위 479∼500) 때 승려 아도(我道)가 시자(侍者) 3인과 같이 모례(毛禮)의 집에 있다가 아도는 먼저 가고 시자들은 포교했다는 설 등이 있으나 어느 것이 맞는지 알 수 없. 이와 같이 불교의 전래에 대한 여러 가지 설이 있지만, 민승(民僧)이 들어와 공식외교를 통하지 않고 포교를 한 것이 고구려와 백제의 불교 와의 차이점이.

새로운!!: 당나라와 신라의 불교 · 더보기 »

신라의 대외 관계

아래는 신라의 대외 관계에 대한 설명이.

새로운!!: 당나라와 신라의 대외 관계 · 더보기 »

신라의 조각

신라의 조각은 크게 삼국 시대의 조각과 남북국 시대의 조각으로 나눌 수 있.

새로운!!: 당나라와 신라의 조각 · 더보기 »

신라의 삼국통일

신라의 삼국통일(新羅-三國統一)은 한민족의 역사에서 최초의 민족 통일로 간주되는 사건으로, 676년 신라가 한반도의 제국가(諸國家)를 통일한 것을 말. 신라는 가야, 백제, 고구려 등 한반도에 있던 나라들을 차례로 멸망시켜 병합하였고, 676년에 당나라 군대를 대동강 북쪽으로 축출하여 통일을 달성하였.

새로운!!: 당나라와 신라의 삼국통일 · 더보기 »

신라정토계획

신라정토계획(新羅征討計劃)은 753년 경덕왕 12년에 일본에서 사신이 파견되었다가 무례함을 이유로 추방당하자 일본의 권력자 후지와라노 나카마로가 이를 기화로 신라를 대대적으로 침공하기 위해 계획한 계획이.

새로운!!: 당나라와 신라정토계획 · 더보기 »

신라악

신라악(新羅樂)은 신라시대의 음악이.

새로운!!: 당나라와 신라악 · 더보기 »

신룡

신룡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당나라와 신룡 · 더보기 »

신룡 (당)

신룡(神龍. 705년 1월 ~ 707년 9월)은 무주, 당나라의 연호이.

새로운!!: 당나라와 신룡 (당) · 더보기 »

신무왕

신무왕(神武王, ? ~ 839년, 재위: 839년)은 신라 제45대 왕이.

새로운!!: 당나라와 신무왕 · 더보기 »

신당서

《신당서》(新唐書)는 북송 인종이 《구당서》(舊唐書)의 내용이 왜곡된 것이 많고 너무 부실하다고 하여 구양수 등에 명하여 1044년 ~ 1060년에 걸쳐 완성한 당나라의 역사를 서술한 책이.

새로운!!: 당나라와 신당서 · 더보기 »

신장 위구르 자치구

신장 위구르 자치구(신장 위구르 압토놈 라요니)는 중화인민공화국 북서쪽에 위치하는 자치구이.

새로운!!: 당나라와 신장 위구르 자치구 · 더보기 »

신정 시

신정 시() 는 중화 인민 공화국 허난 성 정저우 시의 현급 행정구역이.

새로운!!: 당나라와 신정 시 · 더보기 »

신저우 시

신저우()은 중국 산시 성의 북부에 있는 행정구역이.

새로운!!: 당나라와 신저우 시 · 더보기 »

신창 맹씨

신창 맹씨(新昌 孟氏)는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당나라와 신창 맹씨 · 더보기 »

신수 (당나라)

신수(神秀: ?~706)는 당나라(618~907) 의 선승이며 북종선(北宗禪)의 시조이.

새로운!!: 당나라와 신수 (당나라) · 더보기 »

실록

실록(實錄)은 주로 동아시아의 왕조 국가에서 편찬한 역사서이.

새로운!!: 당나라와 실록 · 더보기 »

실차난타

실차난타(實叉難陀, 652~710)는 당나라 때의 승려로 '신역화엄경', '대승입능가경' 등을 한역하였.

새로운!!: 당나라와 실차난타 · 더보기 »

실위

실위(室韋, 병음:Shìwéi)는 6세기에서 10세기까지 중국 동북부의 넌장 강, 아르군 강, 흑룡강 유역에 존재했던 민족이.

새로운!!: 당나라와 실위 · 더보기 »

실상사

실상사(實相寺)는 전라북도 남원시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소속의 사찰이.

새로운!!: 당나라와 실상사 · 더보기 »

실상산문

실상산문(實相山門) 또는 실상산파(實相山派)는 신라 말기와 고려 초기에 성립된 선종 구산의 하나이.

새로운!!: 당나라와 실상산문 · 더보기 »

심군량

심군량(沈君諒, Shen Junliang, 생몰년 미상)은 중국 당나라 전기에 활동했던 관료로, 당 예종 연간(첫 번째 치세)에 짧은 기간 동안 재상을 지냈던 인물이.

새로운!!: 당나라와 심군량 · 더보기 »

심의식

심의식(心意識)은 심(心)의(意)식(識)의 세 낱말을 합친 복합어이.

새로운!!: 당나라와 심의식 · 더보기 »

십국 (오대 십국)

십국(十國)은 당나라가 멸망하고 송나라가 건국되기 이전까지의 과도기에 강남과 쓰촨 일대에 흥망한 10개의 정권을 말.

새로운!!: 당나라와 십국 (오대 십국) · 더보기 »

십통

십통(十通)은 당의 통전, 남송의 통지, 원의 문헌통고, 청의 속통전, 속통지, 속문헌통고, 청조통전, 청조통지, 청조문헌통고, 청조속문헌통고 등 10부의 정서(政書)의 총칭이.

새로운!!: 당나라와 십통 · 더보기 »

티베트

중국에서는 사용이 금지되어 있다. 티베트()는 중앙아시아에 있는 티베트 고원의 지역으로, 토착 티베트인들의 고향이.

새로운!!: 당나라와 티베트 · 더보기 »

티베트의 역사

(漢代)에는 산시陝西·간쑤·쓰촨 지방에서 살았으며 저·강이라 불리었던 유목민족은 티베트족으로 추정되는데, 그 당시부터 중국 서부 일대에 티베트족이 살고 있었던 것은 틀림없.

새로운!!: 당나라와 티베트의 역사 · 더보기 »

시라무룬허

시라무룬허의 위치 시라무룬허()는 내몽골 자치구 동부를 흐르는 하천이.

새로운!!: 당나라와 시라무룬허 · 더보기 »

시박사

시박(市舶)은 호시박(互市舶), 또는 번박(蕃舶)이라고도 하여, 당대(唐代) 해마다 교역 등의 목적으로 중국 포구를 찾아왔던 외국 상선들의 총칭이.

새로운!!: 당나라와 시박사 · 더보기 »

시경

《시경(詩經)》은 중국 최초의 시가집이.

새로운!!: 당나라와 시경 · 더보기 »

시부

시부(Sibu)는 말레이시아 동부 사라왁 주와 보르네오 섬 북서부에 위치한 타운으로, 면적은 8,278.3km2, 인구는 209,616명(2009년 기준)이.

새로운!!: 당나라와 시부 · 더보기 »

시비 카간

시비 카간(?-619년)은 동돌궐의 제9대 카간이.

새로운!!: 당나라와 시비 카간 · 더보기 »

시디춘

시디춘(서체촌)은 중화인민공화국 안후이 성 남부 이 현에 있는 촌락이.

새로운!!: 당나라와 시디춘 · 더보기 »

시닝 시

시닝(서녕)은 중국 칭하이 성의 성도이.

새로운!!: 당나라와 시닝 시 · 더보기 »

시중 (신라의 관직)

시중은 신라의 관직으로, 당나라의 문하시중을 본따 만든 직책이며 원래 651년 진덕여왕 시절에 처음 시행된 관직이.

새로운!!: 당나라와 시중 (신라의 관직) · 더보기 »

시토쿠

시토쿠(至徳, しとく)는, 일본 남북조 시대의 연호(元号) 중 하나이.

새로운!!: 당나라와 시토쿠 · 더보기 »

시안 시

시안()은 중국의 산시 성(陝西省)의 주요 도시이자 산시 성의 성도이.

새로운!!: 당나라와 시안 시 · 더보기 »

시안성벽

서안성벽 서안 성벽의 옹성 시안성벽()은 산시 성 시안시 성구에 위치해 있. 명나라 초기에 당나라 장안황성의 기초 위에 건조한 것이.

새로운!!: 당나라와 시안성벽 · 더보기 »

시후 구 (난창 시)

시후 구() 는 중화 인민 공화국 장시 성 난창 시의 현급 행정구역이.

새로운!!: 당나라와 시후 구 (난창 시) · 더보기 »

원 (성씨)

원(元, 袁, 苑, 薳, 源)씨는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의 성씨이.

새로운!!: 당나라와 원 (성씨) · 더보기 »

원나라

원나라(元朝)은 13세기 몽골 제국이 세운 국가이.

새로운!!: 당나라와 원나라 · 더보기 »

원효

원효(元曉, 617년 ~ 686년 4월 28일(음력 3월 30일), 경상북도 경산시)는 삼국시대와 신라의 고승이자 철학자, 작가, 시인, 정치가이.

새로운!!: 당나라와 원효 · 더보기 »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原州 興法寺址 眞空大師塔碑)는 강원도 원주시 지정면 안창리 흥법사지에 있는 진공대사를 기리기 위해 세운 비로 대한민국의 보물 제463호이.

새로운!!: 당나라와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 더보기 »

원주 원씨

원주 원씨(原州 元氏)는 강원도 원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당나라와 원주 원씨 · 더보기 »

원진

원진 원진(元稹, 779년 ~ 831년)은 중국 당대 중기의 문인, 시인, 재상이.

새로운!!: 당나라와 원진 · 더보기 »

원창왕후

원창왕후(元昌王后, 생몰년 미상)는 고려의 추존 왕후로, 추존왕 의조(작제건)의 부인이자 태조 왕건과 왕식렴의 할머니이.

새로운!!: 당나라와 원창왕후 · 더보기 »

원측

원측(圓測, 613년~696년)은 신라의 승려이.

새로운!!: 당나라와 원측 · 더보기 »

원산 좡족 먀오족 자치주

원산 좡족 먀오족 자치주(문산장족묘족자치주)는 중화인민공화국 윈난 성의 민족 자치주이.

새로운!!: 당나라와 원산 좡족 먀오족 자치주 · 더보기 »

원시천존

원시천존 원시천존(元始天尊)은 도교의 최고신이.

새로운!!: 당나라와 원시천존 · 더보기 »

원화

원화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당나라와 원화 · 더보기 »

원화 (후한)

원화(元和)는 중국 후한(後漢) 장제(章帝)의 두 번째 연호이.

새로운!!: 당나라와 원화 (후한) · 더보기 »

웡곡

아가일 가(亞皆老街) 퉁초이 가(通菜街) (여인 거리) 파윈 가(花園街) 몽콕의 전경 몽콕()는 홍콩의 가우룽 북부의 야우짐웡 구에 있는 번화가를 가리.

새로운!!: 당나라와 웡곡 · 더보기 »

웡다이신 구

웡다이신 구의 위치 웡다이신 사의 패루 웡다이신 구(웡타이씬 구)는 홍콩의 18개 구의 하나로, 홍콩 섬의 유일한 내륙구이.

새로운!!: 당나라와 웡다이신 구 · 더보기 »

훈고학

훈고학(訓詁學)은 한나라(BC 206 ~ AD 220) 시대부터 당나라(618-907) 시대까지 성행한 유학으로 경전의 자구 해석에 치중하였.

새로운!!: 당나라와 훈고학 · 더보기 »

훈요십조

훈요 십조(訓要十條)는 《고려사》에 수록된, 고려 태조가 후손에게 남겼다는 열 가지 가르침이.

새로운!!: 당나라와 훈요십조 · 더보기 »

월지

월지(月氏, 月支) 또는 대월지(大月氏, 大月支) 월지(月氏, 月支) 또는 대월지(大月氏, 大月支)는 고대 중앙 아시아의 국가이.

새로운!!: 당나라와 월지 · 더보기 »

후량 (오대)

후량(後梁, 907년 ~ 923년)은 오대십국 시대 오대(五代)의 첫 번째 왕조이.

새로운!!: 당나라와 후량 (오대) · 더보기 »

후베이성

후베이 성(호북성)은 중화인민공화국 중부의 성이.

새로운!!: 당나라와 후베이성 · 더보기 »

후궁 (중국)

중국의 후궁은 중화민국 이전 중국 대륙에 존재했던 옛 국가의 역대 중국 제왕(帝王)의 측실(側室·妾室)을 가리.

새로운!!: 당나라와 후궁 (중국) · 더보기 »

후군집

후군집(생년 미상 - 643년 4월 29일)은 중국 당나라의 장군으로 본관은 유주 삼수현(현재의 섬서성 순읍현)이.

새로운!!: 당나라와 후군집 · 더보기 »

후당

후당(後唐, 923년~936년)은 오대십국 시대 중 오대(五代)의 두 번째 왕조로 이국창(李國昌)의 손자이며, 진왕(晉王) 이극용의 아들 이존욱이 건국한 나라이.

새로운!!: 당나라와 후당 · 더보기 »

후이족

후이족(샤오얼징: حُوِ ذَو/حواريون)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소수 민족으로, 중화인민공화국 최대의 무슬림 민족 집단이.

새로운!!: 당나라와 후이족 · 더보기 »

후음

후음(喉音) 또는 목구멍소리(목소리)는 목구멍에서 나오는 소리의 뜻으로 두자음들을 분류하였던 전통적 음운학에서 쓰인 말이.

새로운!!: 당나라와 후음 · 더보기 »

후저우 시

후저우 시()는 중화인민공화국 저장 성에 위치하는 지급시이.

새로운!!: 당나라와 후저우 시 · 더보기 »

후주

후주(後周, 951년 ~ 960년)는 오대십국 시대 중 오대(五代) 최후의 왕조로서 후한(後漢)의 실력자였던 곽위(郭威)가 건국한 나라이.

새로운!!: 당나라와 후주 · 더보기 »

후지와라노 가마타리

후지와라노 가마타리(藤原鎌足, 614년 – 669년)는 아스카 시대(飛鳥時代)의 중신이자 후지와라 씨(藤原氏)의 선조이.

새로운!!: 당나라와 후지와라노 가마타리 · 더보기 »

후지와라쿄

후지와라쿄 후지와라쿄의 도시 구획 후지와라쿄()는 아스카쿄(飛鳥京)의 서북쪽, 야마토 국(大和國)에 위치해 있었던 고대 일본의 수도이.

새로운!!: 당나라와 후지와라쿄 · 더보기 »

웅진도독부

웅진도독부(熊津都督府)는 660년(의자왕 20년) 백제가 멸망한 뒤 당나라가 그 고지(故地)에 설치한 행정 관청으로, 5도독부의 하나이.

새로운!!: 당나라와 웅진도독부 · 더보기 »

웅천주

남북국 시대 신라의 9주 5소경 웅천주(熊川州),또는 웅주(熊州)는 신라의 광역 행정구역인 9주 5소경의 한 주(州)이.

새로운!!: 당나라와 웅천주 · 더보기 »

홍도 (당)

홍도(弘道)은 중국 당(唐) 고종(高宗)의 14번째 연호이.

새로운!!: 당나라와 홍도 (당) · 더보기 »

홍려정비

홍려정비 홍려정비(鴻臚井碑)는, 선천(先天) 2년/개원(開元) 원년(713년) 진국왕 대조영을 발해군왕(渤海郡王)으로 책봉하기 위해 당에서 파견되었던 대홍려(大鴻臚) 최흔(崔忻)이 지금의 중국 랴오닝 성 뤼순에 우물을 파면서 그 우물 옆에 세웠던 기념비이.

새로운!!: 당나라와 홍려정비 · 더보기 »

홍명집

《홍명집(弘明集)》은 양나라(梁)의 승려 승우(僧祐: 445~518)가 502년에서 518년 사이에 건초사(建初寺)에서 엮은 것으로, 주로 동진(東晋)제나라(齊)양나라(梁)에 걸친 호교론집(護敎論集)이.

새로운!!: 당나라와 홍명집 · 더보기 »

홍대용

홍대용(洪大容, 1731년 5월 12일 ~ 1783년 11월 17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실학자이자 과학 사상가이.

새로운!!: 당나라와 홍대용 · 더보기 »

홍농

홍농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당나라와 홍농 · 더보기 »

홍농군

홍농군(弘農郡)은 중국 한나라에서부터 당나라까지 존속한 군이.

새로운!!: 당나라와 홍농군 · 더보기 »

홍인

홍인(弘忍: 601~674)은 당나라의 선승이며 선종(禪宗)의 제5대조이.

새로운!!: 당나라와 홍인 · 더보기 »

홍천 피씨

홍천 피씨(洪川 皮氏)는 강원도 홍천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당나라와 홍천 피씨 · 더보기 »

홍척

홍척(洪陟, ? ~ ?)은 신라 말기의 승려이.

새로운!!: 당나라와 홍척 · 더보기 »

홍콩

홍콩()은 중화인민공화국의 남동부에 있는 특별행정구이.

새로운!!: 당나라와 홍콩 · 더보기 »

홍콩의 역사

홍콩의 역사는 구석기 시대까지 그 기원이 올. 이 지역은 진시황제 시절에 첫 번째로 병합되었으며, 당나라와 송나라 당시 무역항과 해군 기지로써 활용되었.

새로운!!: 당나라와 홍콩의 역사 · 더보기 »

황보 (성씨)

황보(皇甫)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당나라와 황보 (성씨) · 더보기 »

황제

황제(皇帝)는 제국(帝國)의 세습 군주의 존호이.

새로운!!: 당나라와 황제 · 더보기 »

황태 (수)

황태(皇泰)는 중국 수(隋) 애제(哀帝) 양동(楊侗)의 연호로 수나라의 마지막 연호(비공식 연호)이.

새로운!!: 당나라와 황태 (수) · 더보기 »

황산벌 전투

황산벌 전투(黃山벌 戰鬪)는 660년 8월 20일 (음력 7월 9일) 황산벌(오늘날의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신양리 및 신암리 일대)에서 백제군과 신라군 사이에 일어났던 전투이.

새로운!!: 당나라와 황산벌 전투 · 더보기 »

황소 (당나라)

황소(黃巢, 820년~884년)는 중국 당나라 말기의 농민 반란 주모자이.

새로운!!: 당나라와 황소 (당나라) · 더보기 »

황소의 난

황소의 난(黃巢-亂)은 당나라 희종 연간 말기에 일어난 농민 반란이.

새로운!!: 당나라와 황소의 난 · 더보기 »

황해

반도 주변 바다의 이름 황해(黃海) 또는 서해(西海))는 태평양의 일부로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 연안의 바다이다. 황하의 토사가 유입되어 바다의 색깔이 누런 빛을 띠기 때문에 황해(서해)라는 이름이 붙었다. 대한민국에서는 한반도 서쪽에 있는 바다라고 해서 서해라고도 부르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조선서해(朝鮮西海)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프랑스 지도 제작자 당빌이 만든 신중국지도첩(1737년)에 표기된 황해()가 국제 표준으로 쓰인다. 대한민국에서도 교과서나 지도 등에 황해라고 기술하는 경우가 있다.

새로운!!: 당나라와 황해 · 더보기 »

황해도

조선후기 황해도 황해도(黃海道)는 1417년부터 1954년까지 존속한 한반도의 중서부에 있는 도(道)로, 1954년 이후로는 황해남도와 황해북도로 분리되었.

새로운!!: 당나라와 황해도 · 더보기 »

황후화

《황후花》(중국어: 满城尽带黄金甲 영어: Curse of the Golden Flower)는 중국 후당(後唐) 시대를 배경으로 한 장이머우 감독의 영화이다. 주윤발, 공리, 주걸륜이 주연을 맡았으며 원작은 중국의 극작가 차오위(曹禺)의 《뇌우(雷雨》이다.

새로운!!: 당나라와 황후화 · 더보기 »

왜도

왜도(倭刀)는 명나라 왕조 시기에 만들어진 검으로, 가늘고 길지만 무겁다는 특징이 있. 전체적으로 곡선 모양을 하고 있는 날카로운 날을 갖고 있. 당나라 왕조 시기에 만들어진 참마도나 일본의 다치와 유사한 형태를 하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약간 더 기다란 형태로 변형되었.

새로운!!: 당나라와 왜도 · 더보기 »

환관

청나라의 환관. 환관(宦官)은 관료 가운데 거세된 남자(환자; 宦者)이며, 주로 동아시아(특히 중국과 한국)에 존재.

새로운!!: 당나라와 환관 · 더보기 »

화관

화관은 예장을 할 때 머리 위에 쓰는 관이다. 화관은 한복에서 머리에 장식하는 쓰개의 일종으로 족두리와 유사한 형태를 띤 머리쓰개를 일컫.

새로운!!: 당나라와 화관 · 더보기 »

화기

섬네일 섬네일 화기(火器)는 화약을 이용하여 총탄 등을 발사하는 무기를 말.

새로운!!: 당나라와 화기 · 더보기 »

화폐사

화폐사(貨幣史)는 화폐의 역사 혹은 역사상 화폐의 기능 및 제도의 연구를 일컫.

새로운!!: 당나라와 화폐사 · 더보기 »

화청지

화청지(華淸池)는 중화인민공화국 산시성 시안 시의 동쪽 35km 떨어진 '여산' 아래에 위치한 곳으로, 북으로는 위수를 마주하고 있. 이 지역에서는 보기 드문 온천이 있어서, 43도의 온천수가 샘 솟. 온천이 드문 지역이다 보니 3,000년 전인 주나라 때부터 그 역사가 거슬러 올. 주나라 때는 '여궁', 진나라 때는 '여산탕', 한나라 때는 '이궁'으로 당나라 때는 '화청궁'으로 불. 당 현종이 양귀비에게 지어준 '해당탕'이 있는 곳이며 이때 전성기를 맞. 그러나 당 현종 말기 안녹산의 난이 일어나 화청지는 대부분 불타고 후에 청나라와 중국 정부에서 30%만 복원.

새로운!!: 당나라와 화청지 · 더보기 »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비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비(和順 雙峯寺 澈鑒禪師塔碑)는 전라남도 화순군 쌍봉사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비석이.

새로운!!: 당나라와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비 · 더보기 »

화엄경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 줄여서 《화엄경(華嚴經)》() 또는 《잡화경(雜華經)》()은 초기 대승불교의 가장 중요한 경전 중 하나로,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성전 > 6001 > 화엄경,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화엄경: 華嚴經 원명은 부다아바탐사카 나마 마하바이풀랴 수트라(Buddha­avatamsaka­nama­mahavaipulya­sutra)이고 자세하게 말해서 이라 부른.

새로운!!: 당나라와 화엄경 · 더보기 »

화엄경탐현기

《화엄경탐현기(華嚴經探玄記)》(K.1513, T.1733)는 당나라 시대 때, 화엄종을 크게 일으킨 법장(法藏: 643~712)이 687년에서 695년 사이에 저술한 《화엄경》에 대한 주석서로, 불타발타라가 번역한 《60권 화엄경》에 대한 주석서이.

새로운!!: 당나라와 화엄경탐현기 · 더보기 »

화엄종

화엄종(華嚴宗)은 《화엄경(華嚴經)》을 소의 경전으로 하는 불교 종파이.

새로운!!: 당나라와 화엄종 · 더보기 »

화엄오교장

《화엄오교장(華嚴五敎章)》은 화엄종의 대성자(大成者)인 당나라의 승려 현수대사 법장(賢首大師 法藏: 643~712)의 저서로서, 자세한 책명은 《화엄일승교의분제장(華嚴一乘敎義分齊章)》 또는 《화엄일승교의분제의(華嚴一乘敎義分齊義)》이.

새로운!!: 당나라와 화엄오교장 · 더보기 »

화엄사

화엄사(華嚴寺)는 전라남도 구례군 마산면 황전리에 위치한 사찰로 대한불교 조계종 제19교구 본사이.

새로운!!: 당나라와 화엄사 · 더보기 »

화씨벽

화씨벽()은 고대 중국에서 여기저기를 돌아다니며 역사적 중요성을 발휘한 벽(둥근돌 모양으로 비취 원석)이.

새로운!!: 당나라와 화씨벽 · 더보기 »

완적

완적 완적(阮籍, 210년 ~ 263년)은 중국 삼국 시대 위나라 말의 시인이며, 자는 사종(嗣宗)이고, 진류(陳留) 사람이.

새로운!!: 당나라와 완적 · 더보기 »

완산주

남북국 시대 신라의 9주 5소경 완산주(完山州) 또는 전주(全州)는 신라의 광역 행정구역인 9주 5소경의 한 주(州)이.

새로운!!: 당나라와 완산주 · 더보기 »

완함

완함 (사진의 오른쪽) 완함(阮咸)은 중국 삼국 시대 위나라와 서진의 문인으로, 자는 중용(仲容)이.

새로운!!: 당나라와 완함 · 더보기 »

왕 (한국 성씨)

왕(王)씨는 한국 성씨 순위는 82위로 2만명이.

새로운!!: 당나라와 왕 (한국 성씨) · 더보기 »

왕모중

왕모중(王毛仲, ?-731년)은, 중국 당 현종(唐玄宗) 시대의 무장이.

새로운!!: 당나라와 왕모중 · 더보기 »

왕문도

왕문도(王文度, ? ~ 660년)는 당나라의 무장이.

새로운!!: 당나라와 왕문도 · 더보기 »

왕발

왕발(王勃, 647년 ~ 674년)은 당나라의 시인으로, 자는 자안(字安)이.

새로운!!: 당나라와 왕발 · 더보기 »

왕건 (전촉)

청두 시에 있는 왕건의 무덤 왕건(王建, 847년 ~ 918년, 재위: 907년 ~ 918년)은 오대십국 시대 전촉(前蜀)을 창건한 군주이.

새로운!!: 당나라와 왕건 (전촉) · 더보기 »

왕건조

왕건조(王建肇, Wang Jianzhao, 생몰년 미상)는 중국 당나라 말기에 활약했던 군벌로, 887년부터 888년까지 형남 번진(荊南藩鎭, 본거지는 현 후베이 성 징저우 시)을 지배하였고, 이후 무태군 절도사(武泰軍節度使, 본거지는 지금의 충칭)로서 888년부터 896년 왕건에게로 투항할 때까지 무태군 번진을 지배하였.

새로운!!: 당나라와 왕건조 · 더보기 »

왕경무

왕경무(王敬武, Wang Jingwu, ? ~ 889년)는 중국 당나라 말기에 활약했던 군벌로, 절도사(節度使)로서 882년부터 889년까지 평로군(平盧軍, 본거지는 지금의 산둥 성 웨이팡 시) 번진(藩鎭)을 지배하였.

새로운!!: 당나라와 왕경무 · 더보기 »

왕경숭

왕경숭은 다음을 가리.

새로운!!: 당나라와 왕경숭 · 더보기 »

왕고 (당나라)

왕고(王郜, Wang Gao, 생몰년 미상)는 중국 당나라 말기에 활약했던 군벌로, 895년 아버지 왕처존의 지위를 상속한 이후 900년 패망할 때까지 의무군(義武軍, 본거지는 현 허베이 성 바오딩 시) 번진(藩鎭)을 지배하였.

새로운!!: 당나라와 왕고 (당나라) · 더보기 »

왕용

왕용(王鎔, 873년 ~ 921년)은 중국 당나라 말기, 오대 십국 시대의 인물로, 조나라의 왕이.

새로운!!: 당나라와 왕용 · 더보기 »

왕중영

왕중영은 다음을 가리.

새로운!!: 당나라와 왕중영 · 더보기 »

왕중영 (형)

왕중영(王重盈, Wang Chongying, ? ~ 895년 2월 12일타이완 중앙연구원 《자치통감》, 권 260)은 중국 당나라 말기에 활약했던 군벌로, 섬괵절도사(陝虢節度使. 본거지는 현 허난 성 싼먼샤 시, 재위 883년 ~ 887년)・호국군 절도사(護國軍節度使. 본거지는 현 산시 성 윈청 시, 재위 887년 ~ 895년) 등을 역임하였으며, 절도사로서 이들 해당 번진(藩鎭)을 세습 지배했던 것으로 유명.

새로운!!: 당나라와 왕중영 (형) · 더보기 »

왕위 계승 방식

유럽의 왕위 계승 방식에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가 있.

새로운!!: 당나라와 왕위 계승 방식 · 더보기 »

왕오천축국전

《왕오천축국전》(往五天竺國傳)은 신라 성덕왕 때, 승려 혜초가 인도 5국(五國) 부근의 여러 나라를 순례하고 그 행적을 적은 여행기이.

새로운!!: 당나라와 왕오천축국전 · 더보기 »

왕언장

왕언장(王彦章, 863년《구오대사》, 권21. ~ 923년 11월 15일《자치통감》, 권272.)은 중국 오대십국 시대 후량의 대장이었.

새로운!!: 당나라와 왕언장 · 더보기 »

왕연균

민 혜종 왕연균(閩惠宗 王延鈞, ? ~ 935년 11월 17일)은 중국 오대 십국 시대 민나라의 제3대 군주로, 황제를 칭한 민나라 최초의 군주이기도 하였.

새로운!!: 당나라와 왕연균 · 더보기 »

왕사범

왕사범(王師範, 874년《자치통감》권258. ~ 908년 7월 10일?《자치통감》권266.)은 중국 당나라 말기에 활약했던 군벌로, 889년부터 805년까지(공식적으로 절도사(節度使)로서는 891년부터 903년까지) 평로군(平盧軍, 본거지는 지금의 산둥 성 웨이팡 시) 번진(藩鎭)을 지배하였.

새로운!!: 당나라와 왕사범 · 더보기 »

왕세충

왕세충(王世充, Wang Shichong, ? ~ 621년)은 수나라 말기부터 당나라 초기에 걸쳐 활약했던 군웅이자 수나라 최후의 황제인 양동(楊侗. 수 애제)을 섬겼던 수나라의 장수 중 한 사람으로, 후에 정나라의 황제를 자칭하여 짧은 기간 동안 하남 일대를 지배하였.

새로운!!: 당나라와 왕세충 · 더보기 »

왕한

왕한(王翰, 생몰년 미상)은, 중국 당(唐)의 시인이.

새로운!!: 당나라와 왕한 · 더보기 »

왕심지

왕심지(王審知, 862년 ~ 925년, 재위:909년 ~ 925년)는, 중국 오대십국시대의 민의 초대 국왕.

새로운!!: 당나라와 왕심지 · 더보기 »

홀 (물건)

송(宋) 왕조의 재상 범중엄(范仲淹)의 초상화. 홀을 들고 있다. 홀(笏)은, 고대 중국에서 대신이 입조할 때 조복에 갖추어 손에 하나씩 갖추어 들었던 조금 휘어진 형태의 판자이.

새로운!!: 당나라와 홀 (물건) · 더보기 »

와카

와카()는 일본의 전통적인 정형시이.

새로운!!: 당나라와 와카 · 더보기 »

와키자카 야스하루

와키자카 야스하루(1554년 ~ 1626년 9월 26일)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까지의 무장, 다이묘이.

새로운!!: 당나라와 와키자카 야스하루 · 더보기 »

홀한주도독부

홀한주도독부(忽汗州都督府)는 당나라가 주변국에 설치했었던 기관 제도이.

새로운!!: 당나라와 홀한주도독부 · 더보기 »

095형 잠수함

095형 잠수함은 중국 해군의 최신형 공격형 핵잠수함(SSN)이.

새로운!!: 당나라와 095형 잠수함 · 더보기 »

2월 22일

2월 2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53번째(윤년일 경우도 5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당나라와 2월 22일 · 더보기 »

59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599년 · 더보기 »

5기

5기(五伎)는 신라 말 최치원이 5수(五首)에서 읊은 5종의 놀이, 즉 금환·월전·대면·속독·산예희를 말. 최치원은 이 놀이들을 신라 고유의 향악이라고 읊었는데, 그 내용으로 보아 중국과 서역에서 전래한 산악 등에서 영향받은 삼국악을 종합한 놀이라는 것을 알 수 있.

새로운!!: 당나라와 5기 · 더보기 »

61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618년 · 더보기 »

61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619년 · 더보기 »

62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620년 · 더보기 »

62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621년 · 더보기 »

62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622년 · 더보기 »

62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623년 · 더보기 »

62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624년 · 더보기 »

62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625년 · 더보기 »

62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626년 · 더보기 »

62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627년 · 더보기 »

62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628년 · 더보기 »

62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629년 · 더보기 »

63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630년 · 더보기 »

63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631년 · 더보기 »

63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632년 · 더보기 »

63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633년 · 더보기 »

63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634년 · 더보기 »

63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635년 · 더보기 »

63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636년 · 더보기 »

63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637년 · 더보기 »

63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638년 · 더보기 »

63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639년 · 더보기 »

64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640년 · 더보기 »

64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641년 · 더보기 »

64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642년 · 더보기 »

64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643년 · 더보기 »

64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644년 · 더보기 »

64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645년 · 더보기 »

64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646년 · 더보기 »

64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647년 · 더보기 »

64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648년 · 더보기 »

64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649년 · 더보기 »

65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650년 · 더보기 »

65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651년 · 더보기 »

65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652년 · 더보기 »

65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653년 · 더보기 »

65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654년 · 더보기 »

65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655년 · 더보기 »

65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656년 · 더보기 »

65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657년 · 더보기 »

65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658년 · 더보기 »

65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659년 · 더보기 »

66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660년 · 더보기 »

66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661년 · 더보기 »

66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662년 · 더보기 »

66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663년 · 더보기 »

66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664년 · 더보기 »

66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665년 · 더보기 »

66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666년 · 더보기 »

66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667년 · 더보기 »

66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668년 · 더보기 »

66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669년 · 더보기 »

67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670년 · 더보기 »

67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671년 · 더보기 »

67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672년 · 더보기 »

67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673년 · 더보기 »

67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674년 · 더보기 »

67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675년 · 더보기 »

67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676년 · 더보기 »

67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677년 · 더보기 »

67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678년 · 더보기 »

67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679년 · 더보기 »

68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680년 · 더보기 »

68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681년 · 더보기 »

68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682년 · 더보기 »

68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683년 · 더보기 »

68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684년 · 더보기 »

68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685년 · 더보기 »

68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686년 · 더보기 »

68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687년 · 더보기 »

68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688년 · 더보기 »

68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689년 · 더보기 »

69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690년 · 더보기 »

6월 18일

6월 1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69번째(윤년일 경우 17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당나라와 6월 18일 · 더보기 »

6월 25일

6월 2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76번째(윤년일 경우 17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당나라와 6월 25일 · 더보기 »

70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05년 · 더보기 »

70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06년 · 더보기 »

70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07년 · 더보기 »

70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08년 · 더보기 »

70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09년 · 더보기 »

71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10년 · 더보기 »

71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11년 · 더보기 »

71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12년 · 더보기 »

71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13년 · 더보기 »

71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14년 · 더보기 »

71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15년 · 더보기 »

71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16년 · 더보기 »

71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17년 · 더보기 »

71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18년 · 더보기 »

71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19년 · 더보기 »

72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20년 · 더보기 »

72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21년 · 더보기 »

72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22년 · 더보기 »

72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23년 · 더보기 »

72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24년 · 더보기 »

72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25년 · 더보기 »

72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26년 · 더보기 »

72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27년 · 더보기 »

72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28년 · 더보기 »

72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29년 · 더보기 »

73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30년 · 더보기 »

73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31년 · 더보기 »

73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32년 · 더보기 »

73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33년 · 더보기 »

73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34년 · 더보기 »

73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35년 · 더보기 »

73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36년 · 더보기 »

73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37년 · 더보기 »

73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38년 · 더보기 »

73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39년 · 더보기 »

74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40년 · 더보기 »

74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41년 · 더보기 »

74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42년 · 더보기 »

74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43년 · 더보기 »

74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44년 · 더보기 »

74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45년 · 더보기 »

74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46년 · 더보기 »

74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47년 · 더보기 »

74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48년 · 더보기 »

74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49년 · 더보기 »

75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50년 · 더보기 »

75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51년 · 더보기 »

75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52년 · 더보기 »

75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53년 · 더보기 »

75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54년 · 더보기 »

75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55년 · 더보기 »

75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56년 · 더보기 »

75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57년 · 더보기 »

75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58년 · 더보기 »

75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59년 · 더보기 »

76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60년 · 더보기 »

76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61년 · 더보기 »

76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62년 · 더보기 »

76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63년 · 더보기 »

76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64년 · 더보기 »

76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65년 · 더보기 »

76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66년 · 더보기 »

76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67년 · 더보기 »

76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68년 · 더보기 »

76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69년 · 더보기 »

77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70년 · 더보기 »

77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71년 · 더보기 »

77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72년 · 더보기 »

77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73년 · 더보기 »

77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74년 · 더보기 »

77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75년 · 더보기 »

77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76년 · 더보기 »

77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77년 · 더보기 »

77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78년 · 더보기 »

77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79년 · 더보기 »

78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80년 · 더보기 »

78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81년 · 더보기 »

78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82년 · 더보기 »

78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83년 · 더보기 »

78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84년 · 더보기 »

78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85년 · 더보기 »

78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86년 · 더보기 »

78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87년 · 더보기 »

78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88년 · 더보기 »

78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89년 · 더보기 »

79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90년 · 더보기 »

79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91년 · 더보기 »

79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92년 · 더보기 »

79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93년 · 더보기 »

79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94년 · 더보기 »

79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95년 · 더보기 »

79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96년 · 더보기 »

79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97년 · 더보기 »

79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98년 · 더보기 »

79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799년 · 더보기 »

7세기

7세기는 601년부터 700년까지이.

새로운!!: 당나라와 7세기 · 더보기 »

80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00년 · 더보기 »

80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01년 · 더보기 »

80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02년 · 더보기 »

80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03년 · 더보기 »

80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04년 · 더보기 »

80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05년 · 더보기 »

80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06년 · 더보기 »

80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07년 · 더보기 »

80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08년 · 더보기 »

80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09년 · 더보기 »

81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10년 · 더보기 »

81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11년 · 더보기 »

81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12년 · 더보기 »

81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13년 · 더보기 »

81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14년 · 더보기 »

81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15년 · 더보기 »

81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16년 · 더보기 »

81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17년 · 더보기 »

81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18년 · 더보기 »

81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19년 · 더보기 »

820년

이것은 820년때의 세계를 알려주는 지도이다.

새로운!!: 당나라와 820년 · 더보기 »

82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21년 · 더보기 »

82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22년 · 더보기 »

82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23년 · 더보기 »

82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24년 · 더보기 »

82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25년 · 더보기 »

82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26년 · 더보기 »

82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27년 · 더보기 »

82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28년 · 더보기 »

82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29년 · 더보기 »

83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30년 · 더보기 »

83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31년 · 더보기 »

83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32년 · 더보기 »

83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33년 · 더보기 »

83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34년 · 더보기 »

83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35년 · 더보기 »

83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36년 · 더보기 »

83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37년 · 더보기 »

83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38년 · 더보기 »

83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39년 · 더보기 »

84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40년 · 더보기 »

84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41년 · 더보기 »

84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42년 · 더보기 »

84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43년 · 더보기 »

84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44년 · 더보기 »

84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45년 · 더보기 »

84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46년 · 더보기 »

84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47년 · 더보기 »

84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48년 · 더보기 »

84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49년 · 더보기 »

85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50년 · 더보기 »

85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51년 · 더보기 »

85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52년 · 더보기 »

85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53년 · 더보기 »

85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54년 · 더보기 »

85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55년 · 더보기 »

85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56년 · 더보기 »

85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57년 · 더보기 »

85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58년 · 더보기 »

85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59년 · 더보기 »

86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60년 · 더보기 »

86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61년 · 더보기 »

86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62년 · 더보기 »

86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63년 · 더보기 »

86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64년 · 더보기 »

86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65년 · 더보기 »

86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66년 · 더보기 »

86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67년 · 더보기 »

86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68년 · 더보기 »

86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69년 · 더보기 »

87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70년 · 더보기 »

87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71년 · 더보기 »

87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72년 · 더보기 »

87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73년 · 더보기 »

87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74년 · 더보기 »

87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75년 · 더보기 »

87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76년 · 더보기 »

87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77년 · 더보기 »

87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78년 · 더보기 »

87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79년 · 더보기 »

88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80년 · 더보기 »

88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81년 · 더보기 »

88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82년 · 더보기 »

88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83년 · 더보기 »

88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84년 · 더보기 »

88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85년 · 더보기 »

88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86년 · 더보기 »

88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87년 · 더보기 »

88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88년 · 더보기 »

88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89년 · 더보기 »

89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90년 · 더보기 »

89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91년 · 더보기 »

89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92년 · 더보기 »

89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93년 · 더보기 »

89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94년 · 더보기 »

89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95년 · 더보기 »

89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96년 · 더보기 »

89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97년 · 더보기 »

89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98년 · 더보기 »

89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899년 · 더보기 »

8세기

8세기는 701년부터 800년까지이.

새로운!!: 당나라와 8세기 · 더보기 »

90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900년 · 더보기 »

90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901년 · 더보기 »

90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902년 · 더보기 »

90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903년 · 더보기 »

90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904년 · 더보기 »

90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905년 · 더보기 »

90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906년 · 더보기 »

90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907년 · 더보기 »

90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나라와 908년 · 더보기 »

9세기

9세기는 801년부터 900년까지이.

새로운!!: 당나라와 9세기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대당제국, 당제국, 당조.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