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닿소리

색인 닿소리

닿소리(자음(子音), Consonant)는 성문을 벗어나 조음된 소리가 목, 입, 혀 따위의 발음 기관에 의하여 방해를 받으면서 나는 소리이.

221 처지: た행, な행, , は행, , ま행, あ행, さ행, か행, Ĝ, ハ행전호, わ행, や행, ら행, , , , , , , , , , , , , , , , , , ㅋㅋ, 러시아어 음운론, 데바나가리 문자, 동남 방언, 동사 (품사), 로지반 문법, 링구아프랑카노바, 마찰음, 무기음, 무성 경구개 마찰음, 무성 경구개 파열음, 무성 권설 마찰음, 무성 권설 파열음, 무성 구개수 마찰음, 무성 구개수 파열음, 무성 인두 마찰음, 무성 치 마찰음, 무성 치경 마찰음, 무성 치경 파열음, ..., 무성 순치 마찰음, 무성 순치 파열음, 무성 양순 마찰음, 무성 양순 파열음, 무성 연구개 마찰음, 무성 연구개 파찰음, 무성 연구개 파열음, 무성 후두개 마찰음, 무성 후치경 마찰음, 무성음, 방출음, 반치음, 반설음, 경구개 비음, 경구개 접근음, 경구개 설측 접근음, 경구개음, 버마 문자, 버마어, 권설 비음, 권설 접근음, 권설 설측 접근음, 권설음, 그리스 문자, 빈도분석, 비탁음, 꾸옥응으, 구개음화, 구개수 비음, 구개수 전동음, 구개수음, 구자라트 문자, 구신, 국제 음성 기호, 두벌식 자판, 내파음, 나마어, 나비어, 다롄어, 스테가나, 우비흐어, 재일 한국어, 페르시아어, 페니키아 문자, 흡착음, 이집트어, 이탈리아어, 인두음, , 음운론, 음절, 음성, 음성학, 음소문자, 접근음, 전설 비원순 저모음, 전설 원순 저모음, 조음 방법, 조음 위치, 조음음성학, 좡어, 중국어 음운론, 중설 비원순 저모음, 중설음, 청음 (일본어), 청음과 탁음, 카바르디어, 치경 비음, 치경 접근음, 치경 전동음, 치경 탄음, 치경 설측 접근음, 치경구개음, 치경음, 치찰음, 치순음, 콤 문자, 유음, 유성 경구개 마찰음, 유성 경구개 파열음, 유성 권설 마찰음, 유성 권설 파열음, 유성 구개수 마찰음, 유성 구개수 파열음, 유성 인두 마찰음, 유성 치 마찰음, 유성 치경 마찰음, 유성 치경 파열음, 유성 치경 설측 마찰음, 유성 순치 마찰음, 유성 순치 파열음, 유성 양순 마찰음, 유성 양순 파열음, 유성 연구개 마찰음, 유성 연구개 파열음, 유성 후두개 마찰음, 유성 후치경 마찰음, 유성음, 파찰음, 파열음, 팔라비어, 탁음 (일본어), 샤오얼징, 태국어, 새나루 한글 입력기, 타밀 문자, 타밀어, 술자리 게임, 순치 비음, 순치 접근음, 순치음, 수코타이 문자, 영어, 오음 (음운학), 오십음, 옴니글롯, 혓바닥소리, 혀끝소리, 언어 입력 키, 양순 경구개 접근음, 양순 비음, 양순 전동음, 양순 연구개 접근음, 양순음, 에트루리아 문자, 연구개 비음, 연구개 접근음, 연구개 설측 접근음, 연구개음, 연용형, 연음 법칙, 연체형, 풀어쓰기, 삼십육자모, 설음, 설순음, 성문 마찰음, 성문 반찰음, 성문 파열음, 성문음, 세픽라무어족, 야미어, 한글, 한글 낱자, 한글 자판, 한국어, 한국어 운동의 역사, 한국어식 영어, 한어 병음, 아랍 문자, 아랍어, 필리핀어, 아부기다, 아브자드, 아일랜드어 음운론, 아음, 압하지야어, 핀란드어, 티베트 문자, 후두개 파열음, 후두개음, 후음, 후치경음, 후설 비원순 저모음, 후설 원순 저모음, 활용, 홀소리, MS 한글 IME, 14, 24, 5단활용.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71 더) »

た행

た행이란, 오십음도의 4번째 행이.

새로운!!: 닿소리와 た행 · 더보기 »

な행

な행은 오십음도에 있어 제5번째의 행이.

새로운!!: 닿소리와 な행 · 더보기 »

は, ハ는 일본어 음절의 하나이며, 가나의 하나이.

새로운!!: 닿소리와 は · 더보기 »

は행

は행이란, 오십음의 6번째 행을 가리.

새로운!!: 닿소리와 は행 · 더보기 »

ひ, ヒ는 일본어 음절의 하나이며, 가나의 하나이.

새로운!!: 닿소리와 ひ · 더보기 »

ま행

ま행이란, 오십음도에 있어서, 제7번째이.

새로운!!: 닿소리와 ま행 · 더보기 »

あ행

あ행이란, 오십음의 첫 행이.

새로운!!: 닿소리와 あ행 · 더보기 »

さ행

さ행이란, 오십음도에서 3번째행이.

새로운!!: 닿소리와 さ행 · 더보기 »

か행

か행이란, 오십음의 2번째 행이.

새로운!!: 닿소리와 か행 · 더보기 »

Ĝ

Ĝ, 소문자로 ĝ는 로마자 G에 곡절 부호를 올린 글자이.

새로운!!: 닿소리와 Ĝ · 더보기 »

ハ행전호

ハ행 전호란,일본어사에 있어서의 큰 음운변화의 하나이고, 어중・어말의 ハ행음이 ワ행음으로 변화한 현상을 말. 헤이안 시대에 일어나 일반화.

새로운!!: 닿소리와 ハ행전호 · 더보기 »

わ행

わ행이란, 일본어의 오십음도에 있어서 제10번째 행이.

새로운!!: 닿소리와 わ행 · 더보기 »

や행

や행이란, 오십음도의 8번째 행을 말. や행은 가나, や, (い), ゆ, (え), よ로 구성되고, 각각 일본어의 1음절 또는 1모라를 나타내지만, 「い」와 「え」는, あ행과 중복되기에, 공란으로 하는 것이 많지만 10세기 이전에는 ヤ행 エ에 독자 발음이 존재하고 히라가나도 만들어져있.

새로운!!: 닿소리와 や행 · 더보기 »

ら행

ら행이란, 오십음도에서, 9번째 행이.

새로운!!: 닿소리와 ら행 · 더보기 »

ㄱ()은 한글의 닿소리 중 첫째 글자이.

새로운!!: 닿소리와 ㄱ · 더보기 »

ㄲ()은 한글 낱자의 ㄱ을 어울러 쓴 것이.

새로운!!: 닿소리와 ㄲ · 더보기 »

ㄴ(니은)은 한글의 닿소리 중 둘째 글자이.

새로운!!: 닿소리와 ㄴ · 더보기 »

ㄷ()은 한글의 닿소리 중 셋째 글자.

새로운!!: 닿소리와 ㄷ · 더보기 »

ㄹ(리을)은 한글의 닿소리 중 넷째 글자이.

새로운!!: 닿소리와 ㄹ · 더보기 »

(치읓)은 한글 닿소리 중 열째 글자이.

새로운!!: 닿소리와 ㅊ · 더보기 »

(히읗)은 한글 낱자의 열넷째 글자이.

새로운!!: 닿소리와 ㅎ · 더보기 »

ㅁ(미음)은 한글 닿소리 중 다섯째 글자이.

새로운!!: 닿소리와 ㅁ · 더보기 »

(피읖)은 한글 낱자의 열셋째 글자이.

새로운!!: 닿소리와 ㅍ · 더보기 »

와 ㅣ가 합쳐진 것이.

새로운!!: 닿소리와 ㅢ · 더보기 »

ㅸ(가벼운비읍, 경비읍, 여린비읍, 순경음 비읍)은 한글 낱자 ㅂ과 ㅇ을 쌓아 놓은 것이.

새로운!!: 닿소리와 ㅸ · 더보기 »

읕의 두 가지 모양 ㅌ(티읕)은 한글 낱자의 열두째 글자이.

새로운!!: 닿소리와 ㅌ · 더보기 »

(지읒)은 한글 닿소리 중 아홉째 글자이.

새로운!!: 닿소리와 ㅈ · 더보기 »

ㅂ(비읍)은 한글 닿소리 중 여섯째 글자이.

새로운!!: 닿소리와 ㅂ · 더보기 »

(이응)은 한글 닿소리 중 여덟 번째 글자이.

새로운!!: 닿소리와 ㅇ · 더보기 »

()은 한글 닿소리 중 일곱 번째 글자이.

새로운!!: 닿소리와 ㅅ · 더보기 »

(키읔)은 한글 닿소리 중 열한째 글자이.

새로운!!: 닿소리와 ㅋ · 더보기 »

ㅋㅋ

민국의 인터넷 신조어로, 한글 자음 중 하나인 'ㅋ'를 이용해 웃음소리를 표현한 것이.

새로운!!: 닿소리와 ㅋㅋ · 더보기 »

러시아어 음운론

이 문서는 모스크바 방언에 기초한 표준 러시아어의 음운 체계를.

새로운!!: 닿소리와 러시아어 음운론 · 더보기 »

데바나가리 문자

바나가리 데바나가리 문자(देवनागरी)는 고대 인도에서 생겨나 발달한 문자이.

새로운!!: 닿소리와 데바나가리 문자 · 더보기 »

동남 방언

동남 방언(東南方言)은 영남 지방에서 사용되는 한국어의 방언이.

새로운!!: 닿소리와 동남 방언 · 더보기 »

동사 (품사)

동사(動詞, Verb) 또는 움직이는 사람이나 사물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품사이.

새로운!!: 닿소리와 동사 (품사) · 더보기 »

로지반 문법

반은 술어논리를 토대로 한 인공어이.

새로운!!: 닿소리와 로지반 문법 · 더보기 »

링구아프랑카노바

링구아프랑카노바의 기 링구아프랑카노바(Lingua Franca Nova)는 펜실베이니아 주의 조지 보레 박사가 만든 국제보조어이.

새로운!!: 닿소리와 링구아프랑카노바 · 더보기 »

마찰음

마찰음(摩擦音, Fricative)은 닿소리를 발음할 때 공기가 좁은 틈을 통과되면서 발생하는 마찰을 이용해서 내는 소리이.

새로운!!: 닿소리와 마찰음 · 더보기 »

무기음

무기음(無氣音)은 언어음을 발음할 때 수반한 공기가 거세게 나지 않는 닿소리이.

새로운!!: 닿소리와 무기음 · 더보기 »

무성 경구개 마찰음

무성 경구개 마찰음(無聲硬口蓋摩擦音)은 자음의 하나로 경구개에서 조음되는 무성 마찰음이.

새로운!!: 닿소리와 무성 경구개 마찰음 · 더보기 »

무성 경구개 파열음

무성 경구개 파열음(無聲硬口蓋破裂音)은 자음의 하나로 경구개에서 조음되는 무성 파열음이.

새로운!!: 닿소리와 무성 경구개 파열음 · 더보기 »

무성 권설 마찰음

무성 권설 마찰음(無聲捲舌摩擦音)은 자음의 하나로 치조후에서 혀끝을 말아 만드는 무성 마찰음이.

새로운!!: 닿소리와 무성 권설 마찰음 · 더보기 »

무성 권설 파열음

무성 권설 파열음(無聲捲舌破裂音)은 자음의 하나로 치조후에서 혀끝을 말아 만드는 무성 파열음이.

새로운!!: 닿소리와 무성 권설 파열음 · 더보기 »

무성 구개수 마찰음

무성 구개수 마찰음(無聲口蓋垂摩擦音)은 자음의 하나로 목젖에서 조음되는 무성 마찰음이.

새로운!!: 닿소리와 무성 구개수 마찰음 · 더보기 »

무성 구개수 파열음

무성 구개수 파열음(無聲口蓋垂破裂音)은 자음의 하나로 목젖에서 조음하는 무성 파열음이.

새로운!!: 닿소리와 무성 구개수 파열음 · 더보기 »

무성 인두 마찰음

무성 인두 마찰음(無聲咽頭摩擦音)은 자음의 하나로 인두에서 조음되는 무성 마찰음이.

새로운!!: 닿소리와 무성 인두 마찰음 · 더보기 »

무성 치 마찰음

무성 치 마찰음(無聲齒摩擦音)은 자음의 하나로 이에서 조음되는 무성 마찰음이.

새로운!!: 닿소리와 무성 치 마찰음 · 더보기 »

무성 치경 마찰음

무성 치경 마찰음(無聲齒莖摩擦音)은 자음의 하나로 잇몸에서 조음되는 무성 마찰음이.

새로운!!: 닿소리와 무성 치경 마찰음 · 더보기 »

무성 치경 파열음

무성 치경 파열음(無聲齒莖破裂音)은 자음의 하나로 이나 잇몸에서 조음되는 무성 파열음이.

새로운!!: 닿소리와 무성 치경 파열음 · 더보기 »

무성 순치 마찰음

무성 순치 마찰음(無聲脣齒摩擦音)은 자음의 하나로 이와 입술을 사용하여 조음하는 무성 마찰음이.

새로운!!: 닿소리와 무성 순치 마찰음 · 더보기 »

무성 순치 파열음

무성 순치 파열음(無聲脣齒破裂音)은 자음의 하나로 이와 입술을 사용하여 조음하는 무성 파열음이.

새로운!!: 닿소리와 무성 순치 파열음 · 더보기 »

무성 양순 마찰음

무성 양순 마찰음(無聲兩脣摩擦音)은 자음의 하나로 위아래 입술을 사용하여 조음하는 무성 마찰음이.

새로운!!: 닿소리와 무성 양순 마찰음 · 더보기 »

무성 양순 파열음

무성 양순 파열음(無聲兩脣破裂音)은 자음의 하나로 위아래 입술을 사용하여 조음하는 무성 파열음이.

새로운!!: 닿소리와 무성 양순 파열음 · 더보기 »

무성 연구개 마찰음

무성 연구개 마찰음(無聲軟口蓋摩擦音)은 자음의 하나로 연구개에서 조음되는 무성 마찰음이.

새로운!!: 닿소리와 무성 연구개 마찰음 · 더보기 »

무성 연구개 파찰음

무성 연구개 파찰음은 혀의 뒷부분으로 연구개를 막은 다음 기류를 천천히 터트리면서 마찰하면서 나오는 닿소리이다 국제음성기호로 kx.

새로운!!: 닿소리와 무성 연구개 파찰음 · 더보기 »

무성 연구개 파열음

무성 연구개 파열음(無聲軟口蓋破裂音)은 자음의 하나로 연구개에서 조음되는 무성 파열음이.

새로운!!: 닿소리와 무성 연구개 파열음 · 더보기 »

무성 후두개 마찰음

무성 후두개 마찰음(無聲喉頭蓋摩擦音)은 자음의 하나로 후두개에서 조음되는 무성 마찰음이.

새로운!!: 닿소리와 무성 후두개 마찰음 · 더보기 »

무성 후치경 마찰음

무성 후치경 마찰음(無聲後齒莖摩擦音)은 자음의 하나로 후치경에서 조음되는 무성 마찰음이.

새로운!!: 닿소리와 무성 후치경 마찰음 · 더보기 »

무성음

무성음(無聲音,, voiceless consonant)은 조음할 때 성대(목청)의 울림을 수반하지 않거나 유성음보다 덜 울리는 소리이며 안울림소리.

새로운!!: 닿소리와 무성음 · 더보기 »

방출음

방출음(放出音)은 폐에서 나온 호기를 쓰지 않고 조음하는 닿소리의 하나이.

새로운!!: 닿소리와 방출음 · 더보기 »

반치음

반치음(半齒音) 또는 반잇소리(반니쏘리)는 전통적 음운학에서 치음과 조음 위치나 조음 방법이 비슷하지만 오음(五音) 기준에 속하지 않는 닿소리를 분류한 것이.

새로운!!: 닿소리와 반치음 · 더보기 »

반설음

반설음(半舌音) 또는 반혓소리(반혀쏘리)는 전통적 음운학에서 설음과 조음 위치가 같지만 조음방법이 오음(五音)에 기준이 속하지 않는 닿소리를 분류한 것이.

새로운!!: 닿소리와 반설음 · 더보기 »

경구개 비음

경구개 비음(硬口蓋 鼻音)은 자음의 하나로 경구개에서 조음되는 비음이.

새로운!!: 닿소리와 경구개 비음 · 더보기 »

경구개 접근음

경구개 접근음(硬口蓋接近音)은 자음중 하나로, 경구개에서 조음하는 접근음이.

새로운!!: 닿소리와 경구개 접근음 · 더보기 »

경구개 설측 접근음

경구개 설측 접근음은 자음의 종류 중. 앞혀와 경구개로 혀의 중앙을 막고, 혀의 양 옆으로 공기를 통과시켜 내는 소리.

새로운!!: 닿소리와 경구개 설측 접근음 · 더보기 »

경구개음

경구개음(硬口蓋音) 또는 센입천장소리는 전설과 경구개 사이에서 조음해서 내는 자음이.

새로운!!: 닿소리와 경구개음 · 더보기 »

버마 문자

버마 문자()는 아부기다로, 브라흐미계 문자에 속하며, 버마족들이 사용.

새로운!!: 닿소리와 버마 문자 · 더보기 »

버마어

버마어(မြန်မာဘာသာ, IPA)는 미얀마의 공용어이.

새로운!!: 닿소리와 버마어 · 더보기 »

권설 비음

설 비음(捲舌鼻音)은 자음의 하나로 치조후에서 혀끝을 말아 만드는 비음이.

새로운!!: 닿소리와 권설 비음 · 더보기 »

권설 접근음

설 접근음(卷舌接近音)은 닿소리의 하나이.

새로운!!: 닿소리와 권설 접근음 · 더보기 »

권설 설측 접근음

설 설측 접근음은 자음의 종류 중. 국제 음성 기호에서는 이 소리를.

새로운!!: 닿소리와 권설 설측 접근음 · 더보기 »

권설음

설음(捲舌音, retro-flex consonant) 또는 혀말이소리는 후치경음과 조음점이 같지만 경구개를 향하여 혀끝을 말아 올려 설첨이나 설단과, 후치경 사이에서 조음해서 내는 자음이.

새로운!!: 닿소리와 권설음 · 더보기 »

그리스 문자

리스 문자() 또는 희랍 문자(希臘文字)는 그리스어를 쓰는 데 사용되는 자모 문자이.

새로운!!: 닿소리와 그리스 문자 · 더보기 »

빈도분석

빈도분석(頻度分析)이란 문장이나 대화 속에서 각각의 문자의 빈출 경향의 정도를 분석하는 것이.

새로운!!: 닿소리와 빈도분석 · 더보기 »

비탁음

비탁음()은 일본어에서 탁음() 자음(子音)으로 시작하는 が행(즉 が·ぎ·ぐ·げ·ご)을 특정한 환경에서 비음화(鼻音化)하여 발음하는 것을 가리.

새로운!!: 닿소리와 비탁음 · 더보기 »

꾸옥응으

옥응으() 또는 쯔 꾸옥 응으()는 베트남어를 라틴 문자로 표기하는 베트남어의 로마자 표기법이.

새로운!!: 닿소리와 꾸옥응으 · 더보기 »

구개음화

음화(口蓋音化)는 경구개음이 아닌 자음이 경구개음으로 변하는 현상이.

새로운!!: 닿소리와 구개음화 · 더보기 »

구개수 비음

수 비음(口蓋垂鼻音)은 자음의 하나로 목젖에서 조음하는 비음이.

새로운!!: 닿소리와 구개수 비음 · 더보기 »

구개수 전동음

수 전동음(口蓋垂顫動音) 또는 목젖 떨림소리는 자음의 종류 중. 국제 음성 기호에서는 이 소리를.

새로운!!: 닿소리와 구개수 전동음 · 더보기 »

구개수음

수음(口蓋垂音) 또는 목젖소리는 후설과 목젖 사이에서 조음해서 내는 자음이.

새로운!!: 닿소리와 구개수음 · 더보기 »

구자라트 문자

자라트 문자는 구자라트어와 쿠치어를 기록하는 데 쓰이는 브라흐미 문자계열의 아부기다이.

새로운!!: 닿소리와 구자라트 문자 · 더보기 »

구신

신(句身)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닿소리와 구신 · 더보기 »

국제 음성 기호

국제 음성 기호 (2015년 개정) 국제 음성 기호 (2015년 개정) 한국어판 국제 음성 기호(國際音聲記號,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IPA) 또는 만국 음성 기호(萬國音聲記號)는 언어학에서 주로 사용되는 음성 기록 체계를 말. 현존하는 모든 언어의 소리를 독자적이고 정확하면서 표준적인 방법으로 표시하기 위해 이 기호 체계가 고안되었으며, 언어학자외에도 언어장애 병리사나 발성 치료사, 외국어 교수자, 말뭉치 연구자, 번역가 등이 일상생활에서 이 기호체계를 활용하고 있. 2005년에 확장된 형태는 약 107개의 기본 문자와 55개의 구별기호로 구성되어 있. 국제 음성 기호의 기호는 크게 (기본) 문자, 구별기호, 초분절요소 등의 3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 이들은 또 다시 세부적으로 나눌 수 있는데 기본 문자의 경우 모음과 자음으로 나눌 수 있. 음성을 표시하는 방법에서 표준화를 염두에 두고 만들어졌기 때문에 이러한 기호들은 크게 바뀌지는 않으나 이를 관할하는 국제 음성 협회에 의해 기호가 덧붙여지거나 빠지거나 수정.

새로운!!: 닿소리와 국제 음성 기호 · 더보기 »

두벌식 자판

벌식 자판은 닿소리와 홀소리가 서로 다른 글쇠에 배치된 한글 자판이.

새로운!!: 닿소리와 두벌식 자판 · 더보기 »

내파음

음(內破音)은 폐에서 나온 호기를 쓰지 않고 조음하는 닿소리 중 하나이.

새로운!!: 닿소리와 내파음 · 더보기 »

나마어

마어는 코이산어족 언어의 하나로, 나미비아 · 보츠와나 ·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사는, 한때 유럽인들이 호텐토트라고 불렀던 사람들이 쓰는 언어이.

새로운!!: 닿소리와 나마어 · 더보기 »

나비어

비어(Na'vi 語)는 2009년에 개봉한 영화 《아바타》에 등장하는 가공의 언어(즉, 인공어)로서, 판도라 위성에 사는 인간형 종족인 나비족이 사용하는 언어이.

새로운!!: 닿소리와 나비어 · 더보기 »

다롄어

어()는 중국어의 방언 중 하나이며, 연어()의 한 갈래이.

새로운!!: 닿소리와 다롄어 · 더보기 »

스테가나

스테가나(捨て仮名, すてがな)는 일본에서 가나의 표기를 'ぁ'와 같이 작은 글자로 표하는 것을 지칭하는 인쇄 용어이.

새로운!!: 닿소리와 스테가나 · 더보기 »

우비흐어

우비흐어(Ubykh)는 1990년대까지 우비흐인에 의하여 쓰였던 북서캅카스어파의 언어이.

새로운!!: 닿소리와 우비흐어 · 더보기 »

재일 한국어

재일 한국어(在日韓國語) 혹은 재일조선어()는 일본의 재일 한국인들 사이에서 쓰이는 한국어의 방언이.

새로운!!: 닿소리와 재일 한국어 · 더보기 »

페르시아어

르시아어(فارسی 혹은 پارسی) 간칭 파사어(波斯語)는 이란을 중심으로 한 중동 지역에서 사용되는, 인도이란어파에 속하는 언어이며, 아랍어와 마찬가지로 표기에는 아랍 문자가 사용되나, 아랍어와는 전혀 다른 언어이며, 힌디어, 싱할라어, 영어, 러시아어와 같은 인도유럽어족의 언어이.

새로운!!: 닿소리와 페르시아어 · 더보기 »

페니키아 문자

왼쪽부터 로마자, 그리스 문자, 페니키아 문자, 히브리 문자, 아랍 문자. 페니키아(腓尼基) 문자(文字)는 기원전 10세기경에 만들어진, 원시 가나안 문자에서 비롯된 음소 문자이.

새로운!!: 닿소리와 페니키아 문자 · 더보기 »

흡착음

흡착음(吸着音)은 폐에서 나온 호기를 쓰지 않고 조음하는 닿소리의 하나로 설타음(舌打音)이.

새로운!!: 닿소리와 흡착음 · 더보기 »

이집트어

이집트어는 고대 이집트 시대부터 이슬람 정복으로 이집트가 아랍 문화로 바뀌기 전까지 이집트 지역에서 쓰인던 공용 언어이.

새로운!!: 닿소리와 이집트어 · 더보기 »

이탈리아어

이탈리아어()는 주로 이탈리아에서 약 6천만 명 정도의 인구가 사용하는 로망스어군의 언어이.

새로운!!: 닿소리와 이탈리아어 · 더보기 »

인두음

인두음(咽頭音) 또는 목구멍소리는 설근을 인두벽에 접근시켜서 조음하는 자음이.

새로운!!: 닿소리와 인두음 · 더보기 »

음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닿소리와 음 · 더보기 »

음운론

음운론(音韻論)은 언어학의 하위 분야의 하나로 특정 개별 언어 또는 여러 언어의 소리 체계를 연구하는 분야이.

새로운!!: 닿소리와 음운론 · 더보기 »

음절

음절(音節, syllable)은 화자와 청자가 한 뭉치로 생각하는 발화의 단위.

새로운!!: 닿소리와 음절 · 더보기 »

음성

성대의 구조 음성(音聲)은 사람이 발성 기관을 통해서 내는 소리를 뜻. 목소리.

새로운!!: 닿소리와 음성 · 더보기 »

음성학

음성학(音聲學)은 사람의 말소리(와 수어에서 이와 관련 있는 요소)를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

새로운!!: 닿소리와 음성학 · 더보기 »

음소문자

음소문자(音素文字, alphabet)는 하나하나의 문자가 원칙적으로 하나의 자음 또는 모음의 음소(音素)를 나타내는 문자 체계이.

새로운!!: 닿소리와 음소문자 · 더보기 »

접근음

접근음(接近音, Approximant)은 닿소리를 발음할 때 아랫턱의 조음 기관을 위턱의 조음 기관에 접촉하여 공기가 약간 좁은 틈을 통과되면서 나는 소리.

새로운!!: 닿소리와 접근음 · 더보기 »

전설 비원순 저모음

전설 비원순 저모음(前舌 非圓脣 低母音) 또는 전설 평순 개모음(前舌 平脣 開母音)은 모음의 하나이.

새로운!!: 닿소리와 전설 비원순 저모음 · 더보기 »

전설 원순 저모음

전설 원순 저모음(前舌 圓脣 低母音) 또는 전설 원순 개모음(前舌 圓脣 開母音)은 모음의 하나이.

새로운!!: 닿소리와 전설 원순 저모음 · 더보기 »

조음 방법

조음 방법은 닿소리를 발음할 때 소리를 만드는 방법이.

새로운!!: 닿소리와 조음 방법 · 더보기 »

조음 위치

전설(앞혀), 16. 설단(혓날), 17. 설첨(혀끝), 18. 혀 밑 조음 위치(調音位置)는 자음을 조음할 때 공기의 흐름이 장애를 받고 소리가 만들이지는 부분이.

새로운!!: 닿소리와 조음 위치 · 더보기 »

조음음성학

조음음성학은 음성학의 하위 분야로 어떻게 인간이 말소리를 만들어 내는가를 연구하는 분야이.

새로운!!: 닿소리와 조음음성학 · 더보기 »

좡어

좡어(Cuengh, Cueŋь; 壯語)는 중국 광시 좡족 자치구(廣西壯族自治區)의 좡족(壯族)이 쓰는 말이.

새로운!!: 닿소리와 좡어 · 더보기 »

중국어 음운론

음운학(音韻學; 성음학)은 중국에서 일어난 언어의 소리를 연구하는 전통적인 학문.

새로운!!: 닿소리와 중국어 음운론 · 더보기 »

중설 비원순 저모음

중설 비원순 저모음(中舌 非圓脣 低母音) 또는 중설 평순 개모음(中舌 平脣 開母音)은 모음의 하나이.

새로운!!: 닿소리와 중설 비원순 저모음 · 더보기 »

중설음

중설음(中舌音, central consonant)은 닿소리를 발음할 때 혀의 가운데 부분으로 공기가 나가면서 나는 소리.

새로운!!: 닿소리와 중설음 · 더보기 »

청음 (일본어)

청음()은 폭넓게는 일본어의 음절 중에 발음과 촉음을 제외하고 탁점도 반탁점도 붙이지 않은 가나로 나타낸 것이며, 좁은 의미로는 탁음과 대립하는 무성자음을 가지는 음절만을 가리.

새로운!!: 닿소리와 청음 (일본어) · 더보기 »

청음과 탁음

청음(淸音)과 탁음(濁音)은 중국의 음운학에서 무성음과 유성음의 대립 구조를 가리.

새로운!!: 닿소리와 청음과 탁음 · 더보기 »

카바르디어

바르디어 혹은 아디게어(Адыгэбзэ)는 러시아 남부, 북캅카스에 위치하는 카바르디노발카르 공화국과 카라차예보체르케스카야 공화국에서 카바르딘인이 사용하는 언어이.

새로운!!: 닿소리와 카바르디어 · 더보기 »

치경 비음

경 비음(齒莖鼻音)은 자음의 하나로 이나 잇몸에서 조음되는 비음이.

새로운!!: 닿소리와 치경 비음 · 더보기 »

치경 접근음

경 접근음(齒莖接近音)은 닿소리의 하나이.

새로운!!: 닿소리와 치경 접근음 · 더보기 »

치경 전동음

경 전동음(齒莖顫動音) 또는 혀끝떨림소리는 닿소리의 종류 중. 국제 음성 기호에서는 이 소리를.

새로운!!: 닿소리와 치경 전동음 · 더보기 »

치경 탄음

경 탄음(齒莖彈音)은 닿소리의 하나이.

새로운!!: 닿소리와 치경 탄음 · 더보기 »

치경 설측 접근음

경 설측 접근음은 자음의 종류 중. 국제 음성 기호에서는 이 소리를.

새로운!!: 닿소리와 치경 설측 접근음 · 더보기 »

치경구개음

경구개음(齒莖輕口蓋音) 또는 치경경구개음(齒莖莖輕口蓋音)또는잇몸센입천장소리는 설단을 잇몸에 가까이 하면서 나머지 혀 전체를 경구개를 향해 올린 후 넓은 범위에서 조음하는 자음이.

새로운!!: 닿소리와 치경구개음 · 더보기 »

치경음

경음(齒莖音, alveolar consonant) 또는 잇몸소리()는 설단과 치경으로 조음하는 닿소리이.

새로운!!: 닿소리와 치경음 · 더보기 »

치찰음

음(齒擦音, sibilant)은 닿소리를 발음할 때 공기가 좁은 틈을 이빨 쪽으로 통과되면서 발생하는 마찰을 이용해서 내는 소리이.

새로운!!: 닿소리와 치찰음 · 더보기 »

치순음

순음(齒脣音, dentolabial consonant) 또는 입술이소리는 윗입술과 아랫니 사이에서 조음하는 자음이.

새로운!!: 닿소리와 치순음 · 더보기 »

콤 문자

thumb 콤 문자(Khom script)은 라오스 지역에서 쓰이던 인공 문자의 일종으로, 잘 알려져 있지 않았으나 최근 시드웰(2008)과 자크(2001)는 '콤 문자(Khom script)'라는 이름 하에 이에 관해 기술하였.

새로운!!: 닿소리와 콤 문자 · 더보기 »

유음

유음(流音,liquid)은 조음할 때 공기의 흐름을 적게 막아서 내는 닿소리이.

새로운!!: 닿소리와 유음 · 더보기 »

유성 경구개 마찰음

유성 경구개 마찰음(有聲硬口蓋摩擦音)은 자음의 하나로 경구개에서 조음되는 유성 마찰음이.

새로운!!: 닿소리와 유성 경구개 마찰음 · 더보기 »

유성 경구개 파열음

유성 경구개 파열음(有聲硬口破裂音)은 자음의 하나로 경구개에서 조음되는 유성 파열음이.

새로운!!: 닿소리와 유성 경구개 파열음 · 더보기 »

유성 권설 마찰음

유성 권설 마찰음(有聲捲舌摩擦音)은 자음의 하나로 치조후에서 혀끝을 말아 만드는 유성 마찰음이.

새로운!!: 닿소리와 유성 권설 마찰음 · 더보기 »

유성 권설 파열음

유성 권설 파열음(有聲捲舌破裂音)은 자음의 하나로 치조후에서 혀끝을 말아 만드는 유성 파열음이.

새로운!!: 닿소리와 유성 권설 파열음 · 더보기 »

유성 구개수 마찰음

유성 구개수 마찰음(有聲口蓋垂摩擦音)은 자음의 하나로 목젖에서 조음되는 유성 마찰음이.

새로운!!: 닿소리와 유성 구개수 마찰음 · 더보기 »

유성 구개수 파열음

유성 구개수 파열음(有聲口蓋垂破裂音)은 자음의 하나로 목젖에서 조음하는 유성 파열음이.

새로운!!: 닿소리와 유성 구개수 파열음 · 더보기 »

유성 인두 마찰음

유성 인두 마찰음(有聲咽頭摩擦音)은 자음의 하나로 인두에서 조음되는 유성 마찰음이.

새로운!!: 닿소리와 유성 인두 마찰음 · 더보기 »

유성 치 마찰음

유성 치 마찰음(有聲齒摩擦音)은 자음의 하나로 이에서 조음되는 유성 마찰음이.

새로운!!: 닿소리와 유성 치 마찰음 · 더보기 »

유성 치경 마찰음

유성 치경 마찰음(有聲齒莖摩擦音)은 자음의 하나로 잇몸에서 조음되는 유성 마찰음이.

새로운!!: 닿소리와 유성 치경 마찰음 · 더보기 »

유성 치경 파열음

유성 치경 파열음(有聲齒莖破裂音)은 자음의 하나로 이나 잇몸에서 조음되는 유성 파열음이.

새로운!!: 닿소리와 유성 치경 파열음 · 더보기 »

유성 치경 설측 마찰음

유성 치경 설측 마찰음(有聲 齒莖 舌側 摩擦音)은 자음의 종류 중. 국제 음성 기호에서는 이 소리를.

새로운!!: 닿소리와 유성 치경 설측 마찰음 · 더보기 »

유성 순치 마찰음

유성 순치 마찰음(有聲脣齒摩擦音)은 자음의 하나로 이와 입술을 사용하여 조음하는 유성 마찰음이.

새로운!!: 닿소리와 유성 순치 마찰음 · 더보기 »

유성 순치 파열음

유성 순치 파열음(有聲脣齒破裂音)은 자음의 하나로 이와 입술을 사용하여 조음하는 유성 파열음이.

새로운!!: 닿소리와 유성 순치 파열음 · 더보기 »

유성 양순 마찰음

유성 양순 마찰음(有聲兩脣摩擦音)은 자음의 하나로 위아래 입술을 사용하여 조음하는 유성 마찰음이.

새로운!!: 닿소리와 유성 양순 마찰음 · 더보기 »

유성 양순 파열음

유성 양순 파열음(有聲兩脣破裂音)은 자음의 하나로 위아래 입술을 사용하여 조음하는 유성 파열음이.

새로운!!: 닿소리와 유성 양순 파열음 · 더보기 »

유성 연구개 마찰음

유성 연구개 마찰음(有聲軟口蓋摩擦音)은 자음의 하나로 연구개에서 조음되는 유성 마찰음이.

새로운!!: 닿소리와 유성 연구개 마찰음 · 더보기 »

유성 연구개 파열음

유성 연구개 파열음(有聲軟口蓋破裂音)은 자음의 하나로 연구개에서 조음되는 유성 파열음이.

새로운!!: 닿소리와 유성 연구개 파열음 · 더보기 »

유성 후두개 마찰음

유성 후두개 마찰음(有聲喉頭蓋摩擦音)은 자음의 하나로 후두개에서 조음되는 유성 마찰음이.

새로운!!: 닿소리와 유성 후두개 마찰음 · 더보기 »

유성 후치경 마찰음

유성 후치경 마찰음(有聲後齒莖摩擦音)은 자음의 하나로 후치경에서 조음되는 유성 마찰음이.

새로운!!: 닿소리와 유성 후치경 마찰음 · 더보기 »

유성음

유성음(有聲音,, voiced consonant)은 조음할 때 성대(목청)의 울림을 수반하는 소리.

새로운!!: 닿소리와 유성음 · 더보기 »

파찰음

음(破擦音, Affricate)은 닿소리를 발음할 때 폐쇄를 형성해서 공기의 흐름을 막았다가 완전히 파열하지 않고 조금씩 개방해서 좁은 틈 사이로 공기를 통과시키면서 내는 소리.

새로운!!: 닿소리와 파찰음 · 더보기 »

파열음

열음(破裂音, plosive)은 닿소리를 발음할 때 허파로부터 성대를 통해 나오던 공기가 완전한 폐쇄를 당했다 터져 나오면서 나는 소리이.

새로운!!: 닿소리와 파열음 · 더보기 »

팔라비어

비어(또는) 는 중세 페르시아어의 일종이.

새로운!!: 닿소리와 팔라비어 · 더보기 »

탁음 (일본어)

탁음()은 일본어 음절 내의 가나에 탁점(゛)을 붙인 표기를 맞춤법으로 하는 것을 말.

새로운!!: 닿소리와 탁음 (일본어) · 더보기 »

샤오얼징

샤오얼징 (شِيَوْ عَر دٍ)은 아랍 문자로 중국어(주로 란인어, 중위안어 및 둥베이어)의 발음을 나타내는 비공식 표음문자이.

새로운!!: 닿소리와 샤오얼징 · 더보기 »

태국어

국어(泰國語), 타이어 또는 중부 태국어 (남부 태국어: ภาษาไทยถิ่นกลาง) 또는 시암어 는 따이까다이어족에 속하는 언어의 하나로, 태국의 다수 종족인 타이족의 언어이자 태국의 공용어이.

새로운!!: 닿소리와 태국어 · 더보기 »

새나루 한글 입력기

새나루는 를 진행하고 있는 장혜식, 박원규, 최환진이 공동 개발한 소프트웨어로, 현존하는 윈도 기반 한글 IME 중에서는 유일하게 소스까지 공개인 오픈소스 프로그램이.

새로운!!: 닿소리와 새나루 한글 입력기 · 더보기 »

타밀 문자

밀 문자는 12개의 홀소리와 18개의 닿소리로 이루어진 브라흐미 문자계열의 아부기다이.

새로운!!: 닿소리와 타밀 문자 · 더보기 »

타밀어

밀어(தமிழ்)는 드라비다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가장 오랫동안 살아남은 고전 언어 중 하나이며 현대에도 활발히 쓰이는 언어이.

새로운!!: 닿소리와 타밀어 · 더보기 »

술자리 게임

술 게임(Beer pong)을 하는 모습. 술자리 게임은 술을 먹을 때 하는 오락이.

새로운!!: 닿소리와 술자리 게임 · 더보기 »

순치 비음

순치 비음(脣齒鼻音)은 자음의 하나로 이와 입술을 사용하여 조음하는 비음이.

새로운!!: 닿소리와 순치 비음 · 더보기 »

순치 접근음

순치 접근음은 자음의 종류 중. 국제 음성 기호에서는 이 소리를.

새로운!!: 닿소리와 순치 접근음 · 더보기 »

순치음

순치음(脣齒音, labiodental consonant) 또는 이입술소리는 아랫입술과 윗니 사이에서 조음하는 자음이.

새로운!!: 닿소리와 순치음 · 더보기 »

수코타이 문자

수코타이 문자는 태국의 수코타이 왕국의 제 3대왕인 람캄행 대왕이 창제한 표음문자이.

새로운!!: 닿소리와 수코타이 문자 · 더보기 »

영어

영어(英語)는 영국의 잉글랜드에서 기원한 서게르만어군 언어이.

새로운!!: 닿소리와 영어 · 더보기 »

오음 (음운학)

오음(五音)은 한국이나 중국에서 전통적으로 음절 초의 닿소리를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에 따라 분류한 것이며, 아음(牙音, 어금닛소리), 설음(舌音, 혓소리), 순음(脣音, 입술소리), 치음(齒音, 잇소리), 후음(喉音, 목구멍소리)을 가리.

새로운!!: 닿소리와 오음 (음운학) · 더보기 »

오십음

오십음(五十音) 또는 오십음도(五十音圖)는 일본어의 가나 문자를 모음은 세로(때에 따라서는 가로)로 5자, 자음은 가로(때에 따라서는 세로)로 10자씩 나란히 세워 그린 표를 말. 원래 한자의 음(音)을 표시하는 수단이었던 반절(反切)을 설명하는 것으로 고안된 것이었다(묘가쿠(明覚), 《반절작법(反切作法)》, 1093년).

새로운!!: 닿소리와 오십음 · 더보기 »

옴니글롯

옴니글롯(Omniglot)은 1998년부터 영국인 사이먼 에이거(Simon Ager)가 개인적으로 운영하는 세계의 문자에 대한 개략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웹사이트이.

새로운!!: 닿소리와 옴니글롯 · 더보기 »

혓바닥소리

혓바닥소리 또는 설배음(舌背音), 설면음(舌面音), 구개음(口蓋音)()는 혓바닥에서 만들어지는 닿소리이.

새로운!!: 닿소리와 혓바닥소리 · 더보기 »

혀끝소리

혀끝소리는 혀끝에서 만들어진 닿소리이.

새로운!!: 닿소리와 혀끝소리 · 더보기 »

언어 입력 키

언어 입력 키(言語入力 key)는 컴퓨터 자판, 주로 한국어·일본어 키보드에서 언어의 전환과 문자의 변환을 위해 사용되는 키이.

새로운!!: 닿소리와 언어 입력 키 · 더보기 »

양순 경구개 접근음

양순 경구개 접근음(兩脣硬口蓋接近音)은 자음중 하나로, 양순과 경구개로 조음하는 접근음이.

새로운!!: 닿소리와 양순 경구개 접근음 · 더보기 »

양순 비음

양순 비음(兩脣鼻音)은 자음의 하나로 위아래 입술을 사용하여 조음하는 비음이.

새로운!!: 닿소리와 양순 비음 · 더보기 »

양순 전동음

양순 전동음 또는 두입술떨림소리는 자음의 종류 중. 국제 음성 기호에서는 이 소리를.

새로운!!: 닿소리와 양순 전동음 · 더보기 »

양순 연구개 접근음

양순 연구개 접근음(兩脣 軟口蓋 接近音)은 자음중의 하나로, 연구개와 양순으로 조음하는 접근음이.

새로운!!: 닿소리와 양순 연구개 접근음 · 더보기 »

양순음

양순음(兩脣音, bilabial consonant) 또는 두입술소리()는 위아래 입술로 조음하는 자음이.

새로운!!: 닿소리와 양순음 · 더보기 »

에트루리아 문자

에트루리아 문자는 이탈리아의 비(非) 인도유럽어 민족에 속하는 에트루리아인이 기원전 8세기경에 그리스 문자(그중에서도 아마 칼키스 형태)를 바탕으로 만든 표기체계이.

새로운!!: 닿소리와 에트루리아 문자 · 더보기 »

연구개 비음

연구개 비음(軟口蓋鼻音)은 자음의 하나로 연구개에서 조음되는 비음이.

새로운!!: 닿소리와 연구개 비음 · 더보기 »

연구개 접근음

연구개 접근음(軟口蓋接近音)은 자음의 하나로 연구개에서 조음하는 접근음이.

새로운!!: 닿소리와 연구개 접근음 · 더보기 »

연구개 설측 접근음

연구개 설측 접근음은 자음의 종류 중. 극소수의 언어에서만 쓰인.

새로운!!: 닿소리와 연구개 설측 접근음 · 더보기 »

연구개음

연구개음(軟口蓋音) 또는 여린입천장소리는 후설과 연구개 사이에서 조음하는 자음이.

새로운!!: 닿소리와 연구개음 · 더보기 »

연용형

연용형()이란, 일본어의 용언의 활용형의 하나이.

새로운!!: 닿소리와 연용형 · 더보기 »

연음 법칙

연음 법칙(連音法則 Linking)은 자음으로 끝나는 음절에 모음으로 시작되는 형식형태소가 이어질 때 앞 음절의 끝소리가 뒷 음절의 첫소리가 되는 음운 현상을 말. 음절의 경.

새로운!!: 닿소리와 연음 법칙 · 더보기 »

연체형

연체형이란, 일본어의 용언에 둔 활용형의 하나이.

새로운!!: 닿소리와 연체형 · 더보기 »

풀어쓰기

어쓰기는 한국어를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 가운데 하나로, 닿소리와 홀소리를 음절 단위로 한 덩어리씩 모아 적는 모아쓰기와 달리, 낱소리를 모두 풀어 헤쳐서 따로 나열해 쓰는 방식을 통틀어 일컫.

새로운!!: 닿소리와 풀어쓰기 · 더보기 »

삼십육자모

삼십육자모(三十六字母)는 중국 음운학에서 중국어 중고음(수나라, 당나라의 발음)의 성모(聲母, 두자음)를 나타내기 위해 쓰인 36가지의 한자이.

새로운!!: 닿소리와 삼십육자모 · 더보기 »

설음

설음(舌音) 또는 혓소리(혀쏘리)는 혀에서 나는 소리라는 뜻으로 전통적 음운학에서 두자음들을 분류하였던 말. 오음의.

새로운!!: 닿소리와 설음 · 더보기 »

설순음

설순음(舌脣音) 또는 혓날윗잇몸소리는 설단과 윗입술 사이에서 조음하는 자음이.

새로운!!: 닿소리와 설순음 · 더보기 »

성문 마찰음

성문 마찰음(聲門摩擦音)은 자음의 하나로 성문에서 조음되는 무성 마찰음이.

새로운!!: 닿소리와 성문 마찰음 · 더보기 »

성문 반찰음

성문 반찰음(聲門半擦音)은 자음의 하나로 성문에서 조음되는 마찰음이.

새로운!!: 닿소리와 성문 반찰음 · 더보기 »

성문 파열음

성문 파열음(聲門破裂音, glottal stop)은 자음의 하나로 성문에서 조음하는 파열음이.

새로운!!: 닿소리와 성문 파열음 · 더보기 »

성문음

성문음(聲門音) 또는 울대문소리는 성문에서 조음하는 자음이.

새로운!!: 닿소리와 성문음 · 더보기 »

세픽라무어족

세픽라무어족은 세픽어족, 라무어족, 노르폰도어족, 레온하르트슐츠어족, 유아트어족을 포함하는 가설상의 어족으로, 1973년 고립어 타이아프어(Taiap)와 함께 언어학자 레이코크가 제안하였.

새로운!!: 닿소리와 세픽라무어족 · 더보기 »

야미어

야미어(또는 타오어()라고도 함)란, 타이완(중화민국) 타이중 현의 앞바다에 있는 란위 섬에 사는 선주민인 야미족의 언어이.

새로운!!: 닿소리와 야미어 · 더보기 »

한글

은 조선 제 4대 임금 세종이 훈민정음(訓民正音)이라는 이름으로 창제하여 1446년에 반포한 문자로, 한국어를 표기하기 위해 만들어졌.

새로운!!: 닿소리와 한글 · 더보기 »

한글 낱자

낱자 또는 자모(子母, 字母)는 한글의 닿소리와 홀소리를 같이 이르는 말이.

새로운!!: 닿소리와 한글 낱자 · 더보기 »

한글 자판

아래는 컴퓨터 한글 자판에 대한 설명이.

새로운!!: 닿소리와 한글 자판 · 더보기 »

한국어

국어의 세계 분포를 나타낸 그림. 한국어(韓國語) 또는 조선말(朝鮮말)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공용어로, 대한민국에서는 한국어라고 부르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조선말, 중화인민공화국과 일본에서는 조선어(朝鮮語)라고 부르며, 러시아와 중앙아시아의 고려인들 사이에서는 고려말(高麗말)이라고 부른.

새로운!!: 닿소리와 한국어 · 더보기 »

한국어 운동의 역사

국어 운동(국어 운동)의 역사는 1886년 에서 처음으로 국한문 혼용체가 이루어진 후부터라고 볼 수 있. 이 새로운 문체가 단행본에 사용된 것은 1895년 유길준(兪吉濬)의 이 처음이었.

새로운!!: 닿소리와 한국어 운동의 역사 · 더보기 »

한국어식 영어

국어식 영어(韓國語式英語)는 한국 안의 영어 어휘 중에서 한국어의 기준을 적용하였거나 영어 문장을 표현할 때 한국어의 문법적인 것들이 사용되어 원어민이 알아들을 수 없는 것을 말. 콩글리시(Konglish.

새로운!!: 닿소리와 한국어식 영어 · 더보기 »

한어 병음

어 병음()은 중국어 한자음을 로마자로 표기하는 발음부호이.

새로운!!: 닿소리와 한어 병음 · 더보기 »

아랍 문자

공용 문자 아랍 문자 타자기 right 아랍 문자(al-abjadīyah al-ʻarabīyah, 알 압자디얄 아라비야)는 아랍어를 표기하는데 사용되는 문자로, 세계에서 로마자와 더불어 많이 사용되는 문자이.

새로운!!: 닿소리와 아랍 문자 · 더보기 »

아랍어

아랍어(اللغة العربية, 유엔 지명 표준화 회의 식 표기: al-lughatu l-ʻarabīyah, 알루가툴 아라비야, العَرَبِيَّة, al-ʻarabiyyah, 알아라비야, عَرَبِيّ ʻarabī, 아라비)는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의 셈어파에 속하는 언어 중 하나이다. 주로 서아시아 및 북아프리카의 아랍권에서 사용된다. 표기로 아랍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하며 굴절어에 속한다.

새로운!!: 닿소리와 아랍어 · 더보기 »

필리핀어

리핀어(필리피노, Filipino)는 필리핀의 국어이며 1987년 필리핀 헌법으로 필리핀의 국가언어 및 공용어로 지정된 언어이다(또 하나의 공용어는 영어이다).

새로운!!: 닿소리와 필리핀어 · 더보기 »

아부기다

착 캐나다어를 위해 기독교 전도자들이 개발한 아부기다, "캐나다 토착 음절 문자"를 사용한 스웸피 크리어의 비문 아부기다(abugida)는 음절 문자와 자모 문자의 특성을 모두 지닌 표기 체계이.

새로운!!: 닿소리와 아부기다 · 더보기 »

아브자드

아 자음 문자의 첫 다섯 글자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자음문자(子音文字, consonantary) 또는 아브자드(abjad)는 음소 문자로 구성된 문자 시스템의 하나로, 자음(子音)의 음소마다 한개의 문자(음소문자)를 갖. 각 기호가 일반적으로나 늘 닿소리를 표현하는 데 쓰인.

새로운!!: 닿소리와 아브자드 · 더보기 »

아일랜드어 음운론

아일랜드어가 사용되는 지역을 표시한 지도. 아일랜드어 음운론()은 아일랜드 각지 방언마다 제각각이.

새로운!!: 닿소리와 아일랜드어 음운론 · 더보기 »

아음

아음(牙音) 또는 어금닛소리(엄쏘리)는 어금니에서 나는 소리라는 뜻으로 전통적 음운학에서 두자음들을 분류하였던 말. 오음의.

새로운!!: 닿소리와 아음 · 더보기 »

압하지야어

압하지야어는 조지아의 압하지야에서 사용하고 있는 언어이.

새로운!!: 닿소리와 압하지야어 · 더보기 »

핀란드어

어는 핀란드의 공용어 중 하나로 스웨덴, 러시아, 에스토니아, 우크라이나, 카자흐스탄, 노르웨이에서도 쓰인.

새로운!!: 닿소리와 핀란드어 · 더보기 »

티베트 문자

베트 문자(藏文字母, Tibetan script)는 티베트어의 표기에 이용하는 문자이.

새로운!!: 닿소리와 티베트 문자 · 더보기 »

후두개 파열음

후두개 파열음(喉頭蓋破裂音)은 자음의 하나로 후두개에서 조음하는 파열음이.

새로운!!: 닿소리와 후두개 파열음 · 더보기 »

후두개음

후두개음(喉頭蓋音) 또는 울대머리마개소리는 후두개와 인두벽 사이에서 조음하는 자음이.

새로운!!: 닿소리와 후두개음 · 더보기 »

후음

후음(喉音) 또는 목구멍소리(목소리)는 목구멍에서 나오는 소리의 뜻으로 두자음들을 분류하였던 전통적 음운학에서 쓰인 말이.

새로운!!: 닿소리와 후음 · 더보기 »

후치경음

후치경음(後齒莖音, post-alveolar consonant) 또는 뒷잇몸소리는 설단과 후치경으로 조음하는 자음이.

새로운!!: 닿소리와 후치경음 · 더보기 »

후설 비원순 저모음

후설 비원순 저모음(後舌 非圓脣 低母音) 또는 후설 평순 개모음(後舌 平脣 開母音)은 홀소리의 하나이.

새로운!!: 닿소리와 후설 비원순 저모음 · 더보기 »

후설 원순 저모음

후설 원순 저모음(後舌 圓脣 低母音) 또는 후설 원순 개모음(後舌 圓脣 開母音)은 홀소리의 하나이.

새로운!!: 닿소리와 후설 원순 저모음 · 더보기 »

활용

활용(活用, conjugation)은 자연어에서 서술어 계통 품사의 단어가 실제로 서술어로 쓰일 때 문장에서의 의미에 따라 형태소가 대체되거나 추가되는 것을 뜻. 구체적으로는, 영어나 기타 유럽어에서는 동사가 활용을 하며, 한국어의 경우 형용사와 동사 및 서술격 조사가 활용을.

새로운!!: 닿소리와 활용 · 더보기 »

홀소리

홀소리(모음(母音), Vowel)는 음성학에서 자음과 차별되는 음운이.

새로운!!: 닿소리와 홀소리 · 더보기 »

MS 한글 IME

MS 한글 IME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에서 지원하는 한글 입력기 요소로, 윈도의 일부로 제공되기 때문에 한글 IME의 사실상 표준이.

새로운!!: 닿소리와 MS 한글 IME · 더보기 »

14

14(십사)는 13보다 크고 15보다 작은 자연수이.

새로운!!: 닿소리와 14 · 더보기 »

24

24(이십사)는 23보다 크고 25보다 작은 자연수이.

새로운!!: 닿소리와 24 · 더보기 »

5단활용

5단 활용()란, 일본어의 구어 문법의 동사활용의 하나이며, 현대 가나 표기법에 있어서 활용어미가 오십음도의 “ア,イ,ウ,エ,オ”의 5개 단 전부에 걸쳐서 변화하는 것을 말. 역사적 가나 사용법의 4단 활용에 해당되며, 미연형(ア단)이 의사·추측의 어미(혹은 조동사)의 “う”에 접속할 때에 オ단이 되며, 실질적으로 5개의 단 전부에 걸쳐서 활용이.

새로운!!: 닿소리와 5단활용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자음.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