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46 처지: 도기 녹유 탁잔, 무령왕, 무령왕 발받침, 무령왕 금귀걸이, 무령왕 금제 뒤꽂이, 무령왕 금제관식, 무령왕릉 지석, 무령왕릉 청동거울 일괄, 무령왕릉 석수, 무령왕비 베개, 무령왕비 금목걸이, 무령왕비 금귀걸이, 무령왕비 금제관식, 무령왕비 은팔찌, 백제, 백제기, 백제의 고분, 백제역사유적지구, 백제신찬, 공주 10경, 공주 고마나루, 공주 정지산 유적, 공주 송산리 고분군, 공주고등학교, 공주시, 공주시립웅진도서관, 공주시의 시내버스, 관 (쓰개), 부여 능산리 고분군, 금송, 김원룡, 국립공주박물관,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충청남도 산림자원연구소, 유성온천, 태음태양력, 예산 화전리 석조사면불상, 에다후나야마 고분, 한국의 미술, 한국의 수도, 웅진, 웅진동, 왕릉, 1박 2일의 에피소드 목록, 6세기, 7월 7일.
도기 녹유 탁잔
녹유 탁잔 (陶器 綠釉 托盞)은 황녹색 유약을 발라 만든, 도기 잔과 그 받침이.
무령왕
무령왕(武寧王, 462년~523년 6월 5일(음력 5월 7일), 재위: 501년~523년)은 백제의 제25대 국왕으로 성은 부여(扶餘)이.
보다 무령왕릉와 무령왕
무령왕 발받침
무령왕 발받침(武寧王 足座)은 충청남도 공주시 무령왕릉 목관 안에서 발견된 장의용 나무 발 받침으로 왕의 발 받침대이.
무령왕 금귀걸이
무령왕 금귀걸이(武寧王 金製耳飾)는 충청남도 공주시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백제시대의 금 귀고리 한 쌍으로 국립공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 1974년 7월 9일 대한민국의 국보 제156호로 지정되었.
무령왕 금제 뒤꽂이
무령왕 금제 뒤꽂이(武寧王 金製釵)는 공주시 무령왕릉에서 발견된 백제 때 금으로 만든 뒤꽂이 일종의 머리 장신구이.
무령왕 금제관식
무령왕 금제관식(武寧王 金製冠飾)은 공주시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백제 시대의 금으로 만든 왕관(王冠) 꾸미개(장식) 한쌍이.
무령왕릉 지석
무령왕릉 지석(武寧王陵 誌石)은 백제 25대 왕인 무령왕과 왕비의 지석으로 2매이.
무령왕릉 청동거울 일괄
무령왕릉 청동거울 일괄 (武寧王陵 銅鏡一括)은 충청남도 공주시 무령왕릉에서 발견된 청동거울로 청동신수경, 의자손명수대경, 수대경 3점이.
무령왕릉 석수
무령왕릉 석수(武寧王陵 石獸)는 충청남도 공주시 무령왕릉에서 발견된 백제 때 만들어진 석수로, 국립공주박물관에 소장 전시되고 있. 1974년 7월 9일 대한민국의 국보 제162호로 지정되었.
무령왕비 베개
무령왕비 베개(武寧王妃 頭枕)는 충청남도 공주시 무령왕릉 목관 안에서 발견된 장의용 나무 머리 받침으로 왕비의 머리 받침대이.
무령왕비 금목걸이
무령왕비 금목걸이(武寧王妃 金製頸飾)는 충청남도 공주시 무령왕릉에서 발견된 백제 무령왕비의 목걸이로, 길이는 각각 14cm, 16cm이.
무령왕비 금귀걸이
무령왕비 금귀걸이 (武寧王妃 金製耳飾)는 충청남도 공주시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백제 때 귀고리 2쌍으로 길이는 각각 11.8cm, 8.8cm이.
무령왕비 금제관식
무령왕비 금제관식(武寧王妃 金製冠飾)은 공주시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백제의 금으로 만든 관(冠) 장식으로, 모양과 크기가 같은 한 쌍으로 되어 있는 장신구이.
무령왕비 은팔찌
무령왕비 은팔찌(武寧王妃 銀製釧)는 충청남도 공주시 무령왕릉 왕비의 나무널(목관)내 왼쪽 팔 부근에서 발견된 한 쌍의 은제 팔찌로 바깥지름 8cm, 고리지름 1.1cm이.
백제
백제(百濟, 기원전 18년 ~ 660년 8월 29일)는 한국의 고대 국가 중 하나로, 고구려, 신라와 함께 삼국 시대를 구성하였.
보다 무령왕릉와 백제
백제기
《백제기》(百濟記)는 백제의 사서이.
보다 무령왕릉와 백제기
백제의 고분
백제의 고분(百濟—古墳)은 백제 시대의 무덤으로 백제의 옛 서울이던 지금의 경기도 광주·고양·여주 등지에 산재해 있. 돌무지무덤·흙무덤·돌무지 덧널무덤·횡혈식 고분 등이 있. 특히 횡혈식 고분은 현실·연도까지 만들어져 있.
보다 무령왕릉와 백제의 고분
백제역사유적지구
백제역사유적지구(Baekje Historic Areas)는 공주시, 부여군, 익산시에 있는 백제 관련 역사유적지구이.
백제신찬
《백제신찬(百濟新撰)》은 백제의 사서이.
보다 무령왕릉와 백제신찬
공주 10경
공주 10경은 공주에서 볼 만한 곳 10곳을 선정한 곳이.
보다 무령왕릉와 공주 10경
공주 고마나루
공주 고마나루는 충청남도 공주시 웅진동 지역에 있는 공주의 태동지이자 곰과 인간에 얽힌 전설이 내려오는 유서 깊은 명승지이.
공주 정지산 유적
공주 정지산 유적(公州 艇止山 遺蹟)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공주시 금성동에 자리하고 있는 백제시대 제사 유적이.
공주 송산리 고분군
송산리 고분군은 충청남도 공주시 송산리(현재 행정구역명은 웅진동)에 위치한 백제의 왕릉들로 추정되는 고분들로 현재 1, 2, 3, 4, 5, 6, 7호 분이 복원이 되어 있. 이중 7호분은 무령왕릉으로 더 널리 알려져있.
공주고등학교
공주고등학교는 충청남도 공주시 중학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이.
보다 무령왕릉와 공주고등학교
공주시
공주시(公州市)는 대한민국 충청남도 중앙부에 있는 시이.
보다 무령왕릉와 공주시
공주시립웅진도서관
공주시립웅진도서관은 충청남도 공주시 소재의 시립 도서관이.
공주시의 시내버스
공주시의 시내버스는 충청남도 공주시를 중심으로 운행하는 버스를 이용한 대중교통 수단으로, 운수업체로는 시민교통이 유일.
관 (쓰개)
앙굴렘 공작부인의 티아라(1814년) - 루브르 박물관 소장. 관(冠, crown)은 특정한 신분, 지위를 나타내기 위해 착용하는 쓰개를 말. 군주의 관은 왕관, 제관이.
보다 무령왕릉와 관 (쓰개)
부여 능산리 고분군
능산리 고분군은 부여군 부여읍 능산리 산 15번지 일대에 위치한 백제의 후기 고분들로 사비의 외곽성인 나성 밖에 자리하고 있. 1963년 1월 21일 대한민국의 사적 제14호로 지정되었.
금송
송(金松)은 구과목에 속하는 늘푸른 바늘잎나무이.
보다 무령왕릉와 금송
김원룡
원룡(金元龍, 1922년 8월 24일 ~ 1993년 11월 14일)은 대한민국의 문인화가이자 고고미술사학자로, 한국에서 처음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한 고고학자들 중 한 명이었.
보다 무령왕릉와 김원룡
국립공주박물관
국립공주박물관(國立公州博物館)은 국립중앙박물관의 소속기관이.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의 문화유산답사기는 대한민국의 미술평론가이자 미술사학자 유홍준이 대한민국과 일본의 문화유산을 답사하며 관련된 다양한 인문학적 지식을 소개하고 현대적인 의의를 설명한 기행문이.
충청남도 산림자원연구소
충청남도 산림자원연구소(忠淸南道 山林資源硏究所)는 충청남도의 임업발전, 산림관리 등의 사무를 관장하기 위하여 충청남도청 산하에 설치된 사업소이.
유성온천
유성온천 족욕체험장 유성온천(儒城溫泉)은 대전광역시 유성구 온천동에 있는 온천이.
보다 무령왕릉와 유성온천
태음태양력
음태양력(太陰太陽曆)은 달과 태양의 움직임을 모두 고려하여 만든 역법으로 날짜의 계산은 달의 차고 기욺을 기준으로 하고, 계절의 변화는 태양의 움직임을 기준으.
보다 무령왕릉와 태음태양력
예산 화전리 석조사면불상
예산 화전리 석조사면불상(禮山 花田里 石造四面佛像)은 충청남도 예산군 봉산면 화전리에 있는, 삼국 시대 백제의 석조사면불상이.
에다후나야마 고분
후나야마 고분 에다후나야마 고분()은 일본 구마모토현 다마나 시에 있는 고분으로 1873년 1월 4일 발굴된 전방 후원분이.
한국의 미술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국보 제83호). 한국의 미술은 한반도 및 주변 지역에서 발생했던 미술을 말. 고분벽화, 불화, 문인화, 산수화 같은 평면 시각매체 예술과, 불상, 석탑, 도자기 같은 입체 시각매체 예술을.
보다 무령왕릉와 한국의 미술
한국의 수도
음은 한국사에 존재했던 여러 나라들의 수도이.
보다 무령왕릉와 한국의 수도
웅진
웅진(熊津)은 곰나루, 고마나루 또는 고마나리로도 불리며 475년부터 538년까지 백제의 수도였.
보다 무령왕릉와 웅진
웅진동
웅진동(熊津洞)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공주시의 동이.
보다 무령왕릉와 웅진동
왕릉
왕릉(王陵)은 군주·왕이 묻혀 있는 무덤이.
보다 무령왕릉와 왕릉
1박 2일의 에피소드 목록
음은 KBS 2TV 《해피선데이》의 코너 〈1박 2일〉의 방영 목록이.
6세기
6세기는 501년부터 600년까지이.
보다 무령왕릉와 6세기
7월 7일
7월 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88번째(윤년일 경우 189번째) 날에 해당.
보다 무령왕릉와 7월 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