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불교 용어 목록/불

색인 불교 용어 목록/불

불가견무대(不可見無對)는 무견무대색의 다른 말이.

46 처지: 마음작용 (대승오온론·광오온론), 마음작용 (대승아비달마집론·잡집론), 마음작용 (아비달마구사론), 마음작용 (아비달마장현종론), 마음작용 (아비달마품류족론), 견소단, 경량부, 번뇌, 번뇌 분류법, 번뇌의 작용, 보살, 불교 용어 목록, 불교 용어 목록/ㅊ, 불교 용어 목록/ㅎ, 불교 용어 목록/ㅈ, 불교 용어 목록/ㅂ, 불교 용어 목록/ㅇ, 불교 용어 목록/ㅅ, 불교 용어 목록/무, 불교 용어 목록/경, 불교 용어 목록/불, 불교 용어 목록/구, 불교 용어 목록/지, 불교 용어 목록/유, 불교 용어 목록/육, 불교 용어 목록/수, 불교 용어 목록/온, 불교 용어 목록/삼, 불교 용어 목록/삽, 부정견, 근본번뇌, 일승, 전 (불교), 정화 (명나라), 유위와 무위, 육욕천, 상수멸무위, 색 (불교), 색계, 삼박, 성문 (불교), 아비달마, 심불상응행법, 심불상응행법 (대승아비달마집론·잡집론), 심불상응행법 (유가사지론), 십지.

마음작용 (대승오온론·광오온론)

이 문서는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주요 논서인 세친의 《대승오온론》과 그 주석서인 안혜의 《대승광오온론》에서 설명하고 있는 마음작용 즉 심소법(心所法)에.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불와 마음작용 (대승오온론·광오온론) · 더보기 »

마음작용 (대승아비달마집론·잡집론)

이 문서는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주요 논서인 무착이 저술한 《대승아비달마집론》과, 이 책의 주석서라고 할 수 있는, 안혜가 《대승아비달마집론》의 내용에 사자각의 주석을 더하여 편찬한 《대승아비달마잡집론》에서 설명하고 있는 마음작용 즉 심소법(心所法)에.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불와 마음작용 (대승아비달마집론·잡집론) · 더보기 »

마음작용 (아비달마구사론)

이 문서는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주요 논서인 세친의 《아비달마구사론》에서 설명하고 있는 마음작용 즉 심소법(心所法)에.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불와 마음작용 (아비달마구사론) · 더보기 »

마음작용 (아비달마장현종론)

이 문서는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주요 논서인 중현의 《아비달마장현종론》에서 설명하고 있는 마음작용 즉 심소법(心所法)에.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불와 마음작용 (아비달마장현종론) · 더보기 »

마음작용 (아비달마품류족론)

이 문서는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주요 논서인 《아비달마품류족론》에서 설명하고 있는 마음작용 즉 심소법(心所法)에.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불와 마음작용 (아비달마품류족론) · 더보기 »

견소단

《구사론》의 설일체유부의 교학에 따르면, 견소단(見所斷)은 무루혜(無漏慧)에 의한 4제(諦)의 관찰인 견도(見道)에 의해 끊어지는 법(法)들을 말. 여기서의 법은 번뇌(煩惱)인 유루법(有漏法)들과 이것들과 상응하여 함께 발생하는 불상응행법(不相應行法)들을 말. 견도소단(見道所斷), 견단(見斷) 또는 견혹(見惑)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불와 견소단 · 더보기 »

경량부

경량부(經量部,, 숫타바다)는 인도의 부파불교의 한 부파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불와 경량부 · 더보기 »

번뇌

번뇌(煩惱,, ,)는 그 본질적 성질이 부적정(不寂靜: 고요하지 않음)인 마음작용들을 말. 번뇌의 본질적인 작용은 번뇌가 일어나게 되면, 그 번뇌를 대치(對治)하지 않는 한, 그 자체의 본질적인 성질에 근거하여 그 번뇌가 일으키는 부적정한 영향력 즉 부적정한 업이 몸과 마음에 상속되어 전전(展轉)하게 하는 것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불와 번뇌 · 더보기 »

번뇌 분류법

불교의 번뇌 분류법은 한두 가지가 아니며 많은 분류법이 있. 가장 널리 쓰이는 대표적인 분류법으로 다음을 들 수 있.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불와 번뇌 분류법 · 더보기 »

번뇌의 작용

번뇌(煩惱)는 마음에 동요를 일으켜 몸과 마음을 뇌란(惱亂: 요동시킴, 고요하지 못하게 함, 괴롭히고 혼란스럽게 함)시키는 마음작용이라고 정의.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불와 번뇌의 작용 · 더보기 »

보살

거란의 요나라시기 제작된 관세음보살상: 유희좌 자세를 취하고 있다 보살(菩薩)은 부처(깨달은 사람 또는 존재)가 되기 위해 수행하는 사람(초기불교 경전-니까야에서의 정의), 또는 여러 생을 거치며 선업을 닦아 높은 깨달음의 경지에 다다른 위대한 사람을 뜻. 특히 대승불교에서 강조되었.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불와 보살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

이 문서는 불교 용어 중 한국어 위키백과에 독립된 문서가 있거나 혹은 될 만한 용어들은 해당 문서의 링크와 간단한 정의를 제공하고, 독립된 문서로 발전할 가능성이 없다고 여겨지는 용어들은 그 정의를 제공하기 위한 문서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불와 불교 용어 목록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ㅊ

1.차별(差別) 또는 차별상(差別相)은 사물과 다른 사물 간의 상(相,: 모양형상상태성격성질본질, mark, token, sign, characteristic, attribute)의 차이 또는 차별을 말. 사물 간에 서로 상(相)의 차이 또는 차별이 있기 때문에 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은 각각의 사물을 다른 사물과 다른 것으로 표상(요별, 식별)할 수 있. 한편, 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의 이러한 표상작용과 그 세력(적집, 집합)을 상(想) 또는 상온(想蘊)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불와 불교 용어 목록/ㅊ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ㅎ

1.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불와 불교 용어 목록/ㅎ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ㅈ

자구(自具)는 자기 자신이 있을 수 있게 원인 또는 자기 자신이 자랄 수 있게 자량(資糧: 자재와 식량)이라는 뜻으로, 예를 들어, '번뇌의 자구(自具)'는 번뇌 자신이 있게 하는 원인 또는 번뇌 자신이 자랄 수 있게 하는 자량(資糧: 자재와 식량)을 말. '번뇌의 자구(自具)'는 비리작의(非理作意) 즉 참답지 못한 사유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불와 불교 용어 목록/ㅈ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ㅂ

바깥은 내적인 것에 대해 외적인 것을 뜻. 예를 들어, 근(根)경(境)식(識)에서 가설적 존재로서의 나를 기준으로 할 때 근과 식은 내적인 것이며 경은 외적인 것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불와 불교 용어 목록/ㅂ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ㅇ

아가사(阿迦舍)는 허공(虛空)의 다른 말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불와 불교 용어 목록/ㅇ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ㅅ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불와 불교 용어 목록/ㅅ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무

1.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불와 불교 용어 목록/무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경

경각(警覺)의 일반 사전적인 의미는 '잘못을 하지 않도록 정신을 차리고 깨어 있음' 으로, 불교 용어로는 심경각성(心警覺性) 또는 경각성(警覺性)의 줄임말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불와 불교 용어 목록/경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불

불가견무대(不可見無對)는 무견무대색의 다른 말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불와 불교 용어 목록/불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구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불와 불교 용어 목록/구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지

경(至境)은 근(根)과 직접 접촉한 대상을 말. 지(至), 즉 "직접 접촉"은 무간(無間)이 생겨나는 것을 말하는데, 무간(無間)은 근(根)과 경(境)이 이들 사이에 어떠한 간격도 없이 서로 근접한다는 뜻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불와 불교 용어 목록/지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유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불와 불교 용어 목록/유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육

6계(六界)는 지계(地界, prthivī)수계(水界, ap)화계(火界, tejas)풍계(風界, vāyu)공계(空界, ākāśa)식계(識界, vijñśna)를 말. 6대(六大)와 동의어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불와 불교 용어 목록/육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수

수(受)는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에서 심소법(心所法: 46가지) 중 대지법(大地法: 10가지) 가운데 하나이며,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5위 100법에서 심소법(心所法: 51가지) 중 변행심소(遍行心所: 5가지)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불와 불교 용어 목록/수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온

올타남(嗢拕南, 嗢拖南)은 우타나(優陀那,, uddāna)의 다른 말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불와 불교 용어 목록/온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삼

3계(三界)는 불교의 우주론 또는 세계관을 구성하는 존재계인 욕계(欲界)색계(色界)무색계(無色界)의 3가지 계(界)를 통칭하는 낱말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불와 불교 용어 목록/삼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삽

삽가야견(颯迦耶見)은 유신견(有身見)의 다른 말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불와 불교 용어 목록/삽 · 더보기 »

부정견

부정견(不正見) 또는 악견(惡見)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불와 부정견 · 더보기 »

근본번뇌

본번뇌(根本煩惱)는 탐(貪)진(瞋)만(慢)무명(無明)견(見)의(疑)의 6가지 번뇌성의 마음작용들을 말. 이들 중 무명(無明)은 치(癡)라고도 하며, 견(見)은 모든 견해를 말하는 것이 아니며 악견(惡見) 즉 부정견(不正見), 즉 유신견변집견사견견취계금취의 5견(五見)을 말한다. 이들 6가지 번뇌성의 마음작용들, 즉 6가지 번뇌(煩惱)들은 모든 번뇌의 근본이 된다는 뜻에서 근본번뇌(根本煩惱) 또는 수면(隨眠)이라고 하며, 이들 6가지를 6근본번뇌(六根本煩惱) 또는 6수면(六隨眠)이라고 한다. 또한 6근본번뇌외에 유식유가행파의 소의 논서인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제66권에서는 탐(貪)진(瞋)치(癡)를 3근본번뇌 또는 3종근본번뇌(三種根本煩惱)라고 칭하고 있다. 근본번뇌는 본번뇌(本煩惱), 근본혹(根本惑) 또는 본혹(本惑)이라고도 하며, '근본번뇌'라는 말을 줄여서 그냥 번뇌(煩惱)라고도 한다. 그리고, 근본번뇌로부터 일어나는 2차적인 번뇌를 수번뇌(隨煩惱)라고 한다. 예를 들어,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와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에 따르면 질(嫉: 시기, 질투)은 근본번뇌 가운데 진(瞋: 미워함, 손상시키고 싶어함, 성냄)으로부터 생겨나는 수번뇌이다.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불와 근본번뇌 · 더보기 »

일승

1승(一乘) 또는 1불승(一佛乘)은 소승(小乘) 즉 성문승(聲聞乘)연각승(緣覺乘)의 2승(二乘)에 대해서 대승 불교가 스스로의 입장을 나타낸 것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불와 일승 · 더보기 »

전 (불교)

전(纏)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불와 전 (불교) · 더보기 »

정화 (명나라)

정화(1371년~ 1434년, 본명: 마삼보(馬三寶))는 중국 명나라 왕조 시대의 장군(將軍)이자 환관, 무관(武官), 제독(提督), 전략가, 탐험가, 외교관, 정치가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불와 정화 (명나라) · 더보기 »

유위와 무위

불교에는 일체법(一切法) 또는 제법(諸法)을 분류하는 여러 방식이 있는데, 그 중에는 크게 유위법(有爲法)과 무위법(無爲法)의 두 가지로 분류하는 방식이 있. 이 분류 방식은 일체법을 크게 유루법(有漏法)과 무루법(無漏法)의 두 가지로 분류하는 방식과 더불어 불교 전반에서 널리 사용되는 분류법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불와 유위와 무위 · 더보기 »

육욕천

6욕천(六欲天)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불와 육욕천 · 더보기 »

상수멸무위

상수멸무위(想受滅無爲)는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교학에서 설하는 6무위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불와 상수멸무위 · 더보기 »

색 (불교)

색(色)은 산스크리트어 루파(रुपा, Rūpa)의 역어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불와 색 (불교) · 더보기 »

색계

색계(色界)는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불와 색계 · 더보기 »

삼박

3박(三縛)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불와 삼박 · 더보기 »

성문 (불교)

성문(聲聞, 스라바카, 사바카)의 팔리어의 원어 사바카(sāvaka)의 뜻은 단순히 '듣는 자 (hearer)' 또는 '제자 (disciple)'이며, 한자어 성문(聲聞)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직접적인 가르침을 듣는다'로, 낱말의 뜻 그 자체로는 고타마 붓다의 가르침을 듣고 깨달음을 구하는 수행자, 즉 불제자(佛弟子) 즉 '불교에 귀의한 사람'을 뜻. 이후 불교교단이 확립된 부파불교 시대에서 성문은 출가자만을 뜻하게 되었고, 대승불교에서 성문승(聲聞乘)연각승(緣覺乘)보살승(菩薩乘)의 3승(三乘)의 교의를 주장하면서 성문은 보살승 즉 보살의 길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열한 탈것 즉 저열한 교법(敎法) 또는 저열한 길인 성문승(聲聞乘) 즉 성문의 길 즉 4제현관(四諦現觀: 4성제의 현관, 4성제를 현전에서 관찰함)을 의지하여 성도(聖道)를 나아가는 부파불교의 수행자로, 자리(自利) 즉 자신만의 깨달음 즉 자신의 열반의 증득에만 치중하는 수행자이며, 그 최고의 깨달음의 지위가 '아공(我空)을 깨친 아라한'에서 그치고 마는 수행자를 뜻하게 되었.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불와 성문 (불교) · 더보기 »

아비달마

아비달마(阿毘達磨,, 논論) 또는 아비담마()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대법(對法: abhi + dharma.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불와 아비달마 · 더보기 »

심불상응행법

심불상응행법(心不相應行法) 또는 불상응행법(不相應行法)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불와 심불상응행법 · 더보기 »

심불상응행법 (대승아비달마집론·잡집론)

이 문서는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주요 논서인 《대승아비달마집론(大乘阿毘達磨集論)》과 그 주석서인 《대승아비달마잡집론(大乘阿毘達磨雜集論)》에서 설명하고 있는 심불상응행법(心不相應行法)에.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불와 심불상응행법 (대승아비달마집론·잡집론) · 더보기 »

심불상응행법 (유가사지론)

이 문서는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근본 논서인 《유가사지론》에서 설명하고 있는 심불상응행법(心不相應行法)에.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불와 심불상응행법 (유가사지론) · 더보기 »

십지

10지(十地,,, ten stages)는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불교 용어 목록/불와 십지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불가라, 불가애과, 불교 용어/불, 불비루, 불난심, 불응작, 불승, 불여리소인, 불선사, 불항현행, 불항행, 비근의 인식, 비리작의, 비바사사, 비지경, 비소단, 비신, 비학비무학작의, 여래승, 염오작의.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