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서재필

색인 서재필

서재필(徐載弼, 1864년 1월 7일 ~ 1951년 1월 5일, 미국 귀화명은 필립 제이슨(Philip Jaisohn))은 조선의 무신, 대한제국의 정치인, 언론인이자 미국 국적의 한국 독립운동가, 의사였.

249 처지: 도서출판 기파랑, 독립문, 독립문 (1984년 드라마), 독립공채표, 독립협회, 독립협회와 청년 이승만, 독립신문, 만민공동회, 명성황후, 명성황후 (드라마), 민겸호, 민병석, 민응식 (1844년), 민족 개조론, 민영목, 민영기 (정치인), 민영익, 배재학당, 백낙환, 백인제, 개화당, 갑오개혁, 갑신정변, 박문웅 (1890년), 박규수, 박용만 (1881년), 박제가, 박정양, 박중양, 박중양 선생 문서, 강위, 박영교, 박영효, 박서양 (1885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수훈자 목록, 고영근, 보성군, 변수 (1861년), 권동진, 급진개화파, 김동주 (1966년), 김동성 (1890년), 김규식, 김두봉, 김재순 (대한제국 문신), 김인전, 김익훈, 김윤정 (1869년), 김윤식 (1835년), 김옥균, ..., 김옥균 암살 사건, 김온순 (1812년), 김호규, 김성근 (1835년), 김성수 (1891년), 김홍집 (1842년), 김활란, 대구 서씨, 대구읍성, 대한민국 독립유공자,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각료,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 선거, 대한민국임시정부 구미외교위원부, 대한인국민회, 대한적십자사, 대한제국, 대한제국 고종, 대한제국 중추원 의장, 대원군 (드라마), 군수삭발령, 남궁억, 남조선과도정부, 노백린, 노예제, 장덕수, 장면, 장기영 (1903년), 장택상,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임오군란, 흥친왕, 이 달의 독립운동가, 이 달의 문화 인물, 이동인, 이경희 (1880년), 이범석 (1900년), 이광수, 이극로, 이규완, 이기동 (1856년), 이기대 (1792년), 이교문, 이노우에 가오루, 이용익, 이용순 (대한제국), 이승만, 이승학 (1857년), 이재원 (1831년), 이재완, 이인종, 이은돌, 이은종, 이종일 (1858년), 이준 (1859년), 이준용 (1870년), 이창규, 이유원, 이유원 (1763년), 이상재, 이수정 (1842년), 이호성, 이호성 (대한제국), 이최선, 이석이, 이선길, 이한기, 이시영 (1868년), 이완용, 일소대, 의친왕, 제이슨 하우스, 제중원 (드라마), 정독도서관, 정동제일교회, 정난교, 정진숙 (출판인), 정채기 (1962년), 정성왕후, 정한론, 조병옥, 조병호 (1847년), 조선, 조선의 과거 제도, 주 미국 대한민국 대사, 주시경, 중추원 (대한제국), 차미리사, 찬란한 여명, 청년학우회, 천세헌, 유길준, 유재현, 유일한, 유혁로, 유홍기 (1831년), 육용정, 윤덕주 (농구인), 윤경, 윤경순 (1855년), 윤경완, 윤보선, 윤광선, 윤기선, 윤효정, 윤일선, 윤치영, 윤치호, 윤치성, 윤탁구, 윤태준 (1839년), 윤필오, 윤웅렬, 수구당, 영은문, 영은문 주초, 영한사전, 오경석, 오긍선, 오세창, 호머 헐버트, 협성회, 현봉학, 현순, 최능진, 최동, 최수종, 어윤중, 양기탁, 양홍묵, 여운형, 여운홍, 허정, 사도 파울로스, 사회 운동, 사회진화론, 삼일신보, 서 (성씨), 서명원, 서병두 (1807년), 서광범, 서광규, 서광하, 서대문구, 서대순 (1805년), 서울 구 경기고등학교, 서재우, 서재우 (1868년), 서재창, 서재영, 서재영 (1867년), 서재필 의학상, 서재필 진료가운, 서재필박사 본가지, 서재필기념회, 서재필언론문화상, 서희원, 서희원 (1924년), 서종제, 서상우 (1831년), 서상정, 서영순 (1793년), 서영석, 서영석 (1879년), 손탁 호텔 (오페라), 손탁호텔, 함태영, 한규직, 한국독립당, 한국민주당, 한국친우회, 한수의 여행, 한성조약, 한성순보, 안경수 (1853년), 안창호, 하응선, 아파나시 세레딘사바틴, 신복모, 신흥우, 신응희, 신중모, 신석린, 후쿠자와 유키치, 홍순목, 홍순형, 홍영식, 11월 1일, 11월 20일, 1864년, 1896년, 1918년, 1921년, 1951년, 1951년 대한민국, 1월 5일, 1월 7일, 20세기, 4월 7일, 7월 2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99 더) »

도서출판 기파랑

서출판 기파랑(耆婆郞)은 대한민국의 출판사이.

새로운!!: 서재필와 도서출판 기파랑 · 더보기 »

독립문

서울 독립문(서울 獨立門)은 조선 후기의 건축물로 1896년 11월에 준공되어 1897년에 완공되었.

새로운!!: 서재필와 독립문 · 더보기 »

독립문 (1984년 드라마)

독립문(獨立門)은 KBS1TV에서 1984년 1월 1일부터 1984년 12월 30일까지 방영되었던 대하드라마이.

새로운!!: 서재필와 독립문 (1984년 드라마) · 더보기 »

독립공채표

윤치영이 소장하고 있던 액면가 50달러권 독립공채 채권윤치영은 해당 공채표를 한국일보에 공개한 뒤, 금액을 받지 않고 기증하였다. 독립공채표 또는 대한독립공채표는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발행한 최초의 채권이.

새로운!!: 서재필와 독립공채표 · 더보기 »

독립협회

독립협회에 모인 민중들 독립협회(獨立協會)는 1896년 7월 2일 설립된 조선과 대한제국의 시민사회단체이.

새로운!!: 서재필와 독립협회 · 더보기 »

독립협회와 청년 이승만

독립협회와 청년이승만(獨立協會와 靑年 李承晩 Independence Association and young Rhee Syng-Man)은 1959년 서울에서 상영된 대한민국의 영화로, 대통령 이승만의 청년기 개화, 계몽운동사를 다루었.

새로운!!: 서재필와 독립협회와 청년 이승만 · 더보기 »

독립신문

독립신문 초판 독립신문(獨立新聞)은 1896년 4월 7일에 한국에서 최초로 발간된 민간 신문이자 한글, 영문판 신문이었.

새로운!!: 서재필와 독립신문 · 더보기 »

만민공동회

만민공동회(萬民共同會) 또는 관민공동회(官民共同會)는 조선말, 대한제국의 대토론회, 시민운동이자 시민사회단체로 독립협회에서 처음 주관하였다가 1898년 4월을 기점으로 독립협회의 영향력에서 독자적인 민중대회, 단체로 성장.

새로운!!: 서재필와 만민공동회 · 더보기 »

명성황후

쪽.

새로운!!: 서재필와 명성황후 · 더보기 »

명성황후 (드라마)

《명성황후》(明成皇后)는 2001년 5월 9일부터 2002년 7월 18일까지 한국방송공사에서 방영한 특별기획 드라마.

새로운!!: 서재필와 명성황후 (드라마) · 더보기 »

민겸호

민겸호(閔謙鎬, 1838년 ~ 1882년 6월 10일)는 조선 시대의 문신이자 외척이.

새로운!!: 서재필와 민겸호 · 더보기 »

민병석

민병석(閔丙奭, 1858년 ~ 1940년)은 조선 말기의 정치인으로 일제 강점기에 일제 통치에 적극 협조.

새로운!!: 서재필와 민병석 · 더보기 »

민응식 (1844년)

민응식(閔應植, 1844년 ~ 1903년 3월 22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정치인, 외척이.

새로운!!: 서재필와 민응식 (1844년) · 더보기 »

민족 개조론

벽에 실린 이광수의 '민족개조론' 민족 개조론은 이광수가 잡지 에 1922년 기고한 글이.

새로운!!: 서재필와 민족 개조론 · 더보기 »

민영목

민영목(閔泳穆, 1826년~ 1884년 10월 18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정치인으로, 민씨 척족세력의 거두의 한사람이었.

새로운!!: 서재필와 민영목 · 더보기 »

민영기 (정치인)

민영기(閔泳綺, 1858년 음력 8월 1일 ~ 1927년 양력 1월 6일)는 조선 말기의 정치인으로 일제 강점기에 한일합방에 협조한 대가로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

새로운!!: 서재필와 민영기 (정치인) · 더보기 »

민영익

민영익 민영익(閔泳翊, 1860년~1914년 중국 상하이)은 조선의 정치인이.

새로운!!: 서재필와 민영익 · 더보기 »

배재학당

배재학당의 모습 배재학당(培材學堂)은 1885년 8월 3일, 미국의 감리교 선교사인 헨리 아펜젤러가 서울에 세운 한국 최초의 근대식 중등교육기관이며, 배재중학교, 배재고등학교, 배재대학교의 전신이.

새로운!!: 서재필와 배재학당 · 더보기 »

백낙환

백낙환(白樂晥, 1926년 9월 27일 ~)은 대한민국의 의사이며 백병원 전직 이사장이.

새로운!!: 서재필와 백낙환 · 더보기 »

백인제

백인제(白麟濟, 1898년 1월 28일 ~ ?)는 대한민국의 외과의사이며, 백병원의 설립자이.

새로운!!: 서재필와 백인제 · 더보기 »

개화당

화당(開化黨)은 1874년(고종 11년) 경 김옥균(金玉均), 박영교(朴泳敎), 박영효(朴泳孝), 서광범(徐光範) 등이 중심이 되어 만들어졌.

새로운!!: 서재필와 개화당 · 더보기 »

갑오개혁

군국기무처 갑오개혁(甲午改革)은 1894년 7월 27일(음력 6월 25일)부터 1895년 7월 6일(음력 윤5월 14일)까지 조선 정부에서 전개한 제도 개혁을 말. 10년 전 갑신정변의 실패 후 망명했던 개화파들이 청일전쟁에 승리한 일본의 위세를 업고 돌아와 추진한 일본식 개혁으로서 갑오경장(甲午更張)이라고도 불. 내각의 변화에 따라 제1차 갑오개혁과 제2차 갑오개혁으로 세분하며, 이후 을미개혁(제3차 갑오개혁)으로 이어.

새로운!!: 서재필와 갑오개혁 · 더보기 »

갑신정변

김옥균 홍영식 갑신정변(甲申政變) 또는 갑신혁명(甲申革命)은 1884년 12월 4일(음력 10월 17일) 김옥균·박영효·서재필·서광범·홍영식 등 개화당이 청나라에 의존하려는 척족 중심의 수구당을 몰아내고 개화정권을 수립하려 한 무력 정변(쿠데타)이.

새로운!!: 서재필와 갑신정변 · 더보기 »

박문웅 (1890년)

박문웅 박문웅(朴文雄, 일본명:朴忠文雄 호추 후미오, 1890년 12월 7일 ~ 1959년 8월 14일)은 일제 강점기 조선총독부의 관료이.

새로운!!: 서재필와 박문웅 (1890년) · 더보기 »

박규수

박규수(朴珪壽, 1807년 10월 27일 ~ 1877년 2월 9일)는 조선 말기의 문신이.

새로운!!: 서재필와 박규수 · 더보기 »

박용만 (1881년)

박용만(朴容萬, 1881년 8월 26일(음력 윤7월 2일) ~ 1928년 10월 16일)은 대한제국의 계몽운동가이자 언론인, 한국의 독립운동가, 군인, 언론인이.

새로운!!: 서재필와 박용만 (1881년) · 더보기 »

박제가

박제가 박제가(朴齊家, 1750년 11월 5일 ~ 1815년 4월 25일)는 조선 후기의 정치가, 외교관, 통역관, 실학자로 북학파의 거두이.

새로운!!: 서재필와 박제가 · 더보기 »

박정양

박정양, 1888년 박정양(朴定陽, 1842년 2월 4일(1841년 음력 12월 24일) ~ 1905년 12월 15일(음력 11월 19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외교관, 내각총리대신, 대한제국의 정치가이.

새로운!!: 서재필와 박정양 · 더보기 »

박중양

박중양(朴重陽, 일본식 이름: 朴忠重陽 호추 시게요, 1872년 5월 3일 ~ 1959년 4월 23일)은 일본과 대한제국의 관료, 외교관이며, 일제시대의 관료, 사상가이.

새로운!!: 서재필와 박중양 · 더보기 »

박중양 선생 문서

박중양 선생 문서(朴重陽先生文書)는 조선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 박중양(朴重陽, 1872 ~ 1959)의 각종 메모, 약간의 기행문과 사이토 마코토 외 조선총독부 관료들, 윤치호, 윤필오, 서재필, 허억 등과 주고 받은 편지 몇 장, 해방 이후 박중양이 자신의 소신을 피력한 〈조선 통치의 화근〉, 〈나의 소신〉 등을 묶은 모음집이.

새로운!!: 서재필와 박중양 선생 문서 · 더보기 »

강위

강위(姜瑋, 1820년 5월 2일 ~ 1884년 4월 5일)는 조선 말기의 한학자, 개화 사상가, 시인이자 금석학자.

새로운!!: 서재필와 강위 · 더보기 »

박영교

박영교(朴泳敎, 1849년 ~ 1884년 12월 7일(1884년 음력 10월 20일)은 조선 후기 혁신파 정객으로 자는 자명(子明), 본관은 반남, 시호는 충목이다. 박원양의 아들이자, 박영효의 형이다. 관직은 통정대부 승정원도승지에 이르렀다. 박규수, 유대치의 문인이다. 일찍부터 먼 친척이자 개화사상가인 재동 박규수의 문하에 출입하며 수학했고 이어 유대치의 문하에도 출입했다. 이어 동생인 박영효 역시 박규수와 유대치의 문하에 출입하게 하여 수학케 했다. 1881년 정시문과에 급제하여 1884년 동생 박영효, 김옥균, 홍영식 등과 모의하여 갑신정변을 일으키는데 가담, 승정원도승지가 되었으나 3일만에 왕비 민씨의 청나라 군대 요청으로 거사가 좌절되자 북관동묘까지 고종을 끝까지 호위하다가 청나라 군사들에게 홍영식과 함께 살해당했다. 사후 규장각제학에 추증되었다.

새로운!!: 서재필와 박영교 · 더보기 »

박영효

박영효(朴泳孝, 1861년 ~ 1939년 양력 9월 21일)는 조선 말기의 문신, 정치인, 사상가로 급진개화파이.

새로운!!: 서재필와 박영효 · 더보기 »

박서양 (1885년)

박서양, 1908년 박서양(朴瑞陽, 1885년 9월 30일 ~ 1940년 2월 15일 황해도 연안 출생)은 대한제국의 외과 의사, 화학자, 교육자이자 일제 강점기의 외과 의사, 교육자,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서재필와 박서양 (1885년) · 더보기 »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수훈자 목록

민국의 독립에 끼친 공로를 인정받아 건국훈장 중 최고등급인 대한민국장(大韓民國章)을 받은 독립유공자들을 다룬 문서이.

새로운!!: 서재필와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수훈자 목록 · 더보기 »

고영근

영근(高永根, 1853년 ~ 1923년)은 대한제국의 군인이자, 개화파 정치인이며 종2품 경상좌도병마절도사를 역임한 관료였.

새로운!!: 서재필와 고영근 · 더보기 »

보성군

보성군청 보성군(寶城郡)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중남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서재필와 보성군 · 더보기 »

변수 (1861년)

1883년 9월 미국에 파견된 조선의 보빙사절단원, 앞줄 왼쪽부터 부사 홍영식, 정사 민영익, 종사관 서광범, 미국인 로웰, 뒷줄 왼쪽부터 무관 현흥택 최경석, 수행원 유길준, 고영철, 변수 변수(邉燧, Byun Soo, 1861년 ~ 1891년 10월 22일)는 조선 말의 개화파 관료, 정치가, 개화운동가이자 외교관이며 미국의 공무원이.

새로운!!: 서재필와 변수 (1861년) · 더보기 »

권동진

이승만 귀국환영식에 참석(맨 오른쪽 테이블에 선 이가 권동진) 권동진(權東鎭, 1861년 12월 15일 ~ 1947년 3월 9일)는 조선 말기의 무신, 군인이며 한국의 독립운동가이며 정치인이.

새로운!!: 서재필와 권동진 · 더보기 »

급진개화파

급진개화파는 김옥균을 중심으로 1874년 경 형성된 개화당(開化黨)에서 비롯.

새로운!!: 서재필와 급진개화파 · 더보기 »

김동주 (1966년)

동주(金東周, 1966년 ~ 2013년 12월 17일)는 대한민국의 시민운동가, 언론인이자 작가이.

새로운!!: 서재필와 김동주 (1966년) · 더보기 »

김동성 (1890년)

동성(金東成, 1890년 4월 25일 개성 ~ 1969년 8월 18일)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언론인·만화가이.

새로운!!: 서재필와 김동성 (1890년) · 더보기 »

김규식

식(金奎植, 1881년 2월 28일 ~ 1950년 12월 10일)은 대한제국의 종교가, 교육자이자 일제 강점기의 독립 운동가, 통일운동가, 정치가, 학자, 시인, 사회운동가, 교육자였다 언더우드 선교사의 비서, 경신학교의 교수와 학감 등을 지내고 미국에 유학하였.

새로운!!: 서재필와 김규식 · 더보기 »

김두봉

봉(金枓奉, 1889년 2월 16일 ~ 1961년?)은 공산주의 독립운동가이자 언론인, 한글학자이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서재필와 김두봉 · 더보기 »

김재순 (대한제국 문신)

재순(金在珣, ? ~ ?)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대한제국의 문신, 정치인, 법관이었.

새로운!!: 서재필와 김재순 (대한제국 문신) · 더보기 »

김인전

인전(1876년 10월 7일 ~ 1923년 5월 12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자 목사이.

새로운!!: 서재필와 김인전 · 더보기 »

김익훈

익훈(金益勳, 1619년 ~ 1689년 3월 11일)은 조선의 외척이며 문신이.

새로운!!: 서재필와 김익훈 · 더보기 »

김윤정 (1869년)

윤정, 1925년 김윤정(金潤晶, 일본식 이름: 淸道金次郞, 1869년 6월 25일 ~ 1949년 10월 23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외교관이자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새로운!!: 서재필와 김윤정 (1869년) · 더보기 »

김윤식 (1835년)

윤식(金允植, 1835년 ~ 1922년 1월 22일)은 문장가로 이름이 높던 조선 말기와 대한제국의 문신, 문인, 학자이.

새로운!!: 서재필와 김윤식 (1835년) · 더보기 »

김옥균

옥균(金玉均, 1851년 2월 23일 ~ 1894년 3월 28일)은 조선 말기의 정치가, 사상가, 급진개화파이.

새로운!!: 서재필와 김옥균 · 더보기 »

김옥균 암살 사건

옥균 암살 당시 일본의 어느 신문사에 실린 기사와 삽화 김옥균 암살 사건(金玉均 暗殺 事件)은 1894년(고종 31년) 3월 28일 조선 개화파 거물 김옥균이 청나라 상하이(上海)에서 홍종우(洪鍾宇)에 의해 저격, 피살된 사건이.

새로운!!: 서재필와 김옥균 암살 사건 · 더보기 »

김온순 (1812년)

온순(金蘊淳, 1812년 ~ ?)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서재필와 김온순 (1812년) · 더보기 »

김호규

호규(金虎圭, 1911년 11월 22일 ~ 1961년 8월 5일)는 일제 강점기의 조선귀족 출신 관료, 사회운동가로, 해방 후 반민특위에 기소.

새로운!!: 서재필와 김호규 · 더보기 »

김성근 (1835년)

성근(金聲根, 1835년 양력 3월 19일 ~ 1919년 양력 11월 27일)은 조선 말기의 문신, 서예가, 정치인이자 성리학자이며 대한제국의 정치인, 일제 강점기의 관료, 조선귀족, 친일반민족행위자이.

새로운!!: 서재필와 김성근 (1835년) · 더보기 »

김성수 (1891년)

성수(金性洙, 1891년 10월 11일 ~ 1955년 2월 18일)는 대한제국의 교육인 겸 언론인·기업인·근대주의 운동가였으며, 일제 강점기 말기에 친일 행적 논란이 있. 대한민국 초기 정치인, 언론인, 교육인, 서예가였.

새로운!!: 서재필와 김성수 (1891년) · 더보기 »

김홍집 (1842년)

홍집(金弘集, 1842년 ~ 1896년 2월 11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사상가, 정치가이다. 자(字)는 경능(敬能), 호는 도원(道園)·이정학재(以政學齋), 시호는 충헌(忠獻), 본관은 경주이다. 1880년 수신사 일행으로 일본을 방문한 뒤, 신문물을 견학하고 돌아와 개화, 개항의 중요성을 역설하였다. 한편으로 위정척사파 계열 인사들도 중용하는 등의 정책을 펼쳤으나 급진 개화파로 몰렸고, 1884년 갑신정변(甲申政變) 진압 후 우의정, 좌의정 등으로 전권대신(全權大臣)이 되어 한성조약(漢城條約)을 체결하였다. 그 뒤 1896년 관제 개정 이후 동학 농민 운동을 진압하기 위해 끌어들인 일본측의 지원으로 총리대신이 되었으며, 총리대신 재직 중 신분제 폐지, 단발령 등을 강행하는 한편, 함께 일본의 도움으로 개혁, 개방을 단행한 뒤에는 친일파로 몰려 아관파천 때 친러파의 군인들에게 살해당하였다. 원래 이름은 김홍집(金弘集)이었으나, 청 고종(高宗) 건륭황제의 휘가 ‘홍력’(弘歷)이었기 때문에 이를 피하기 위해 김굉집(金宏集)으로 가운데 자(字)를 바꾸었다. 조선말기의 문신이자 독립운동가, 대한민국의 부통령을 지낸 이시영은 그의 사위였다. 박규수, 오경석, 강위의 문인이다.

새로운!!: 서재필와 김홍집 (1842년) · 더보기 »

김활란

활란(金活蘭, 일본식 이름: 天城活蘭(아마기 가쓰란), 1899년 1월 18일 ~ 1970년 2월 10일)은 일제 강점기 친일파이며 아호는 '우월'(又月)이.

새로운!!: 서재필와 김활란 · 더보기 »

대구 서씨

서씨(大丘 徐氏)는 대구(大邱)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서재필와 대구 서씨 · 더보기 »

대구읍성

조선시대의 대구부 전도 (1897년 이전) 대구읍성(大邱邑城)은 조선 경상도 대구도호부(大邱都護府)에 있었던 읍성이.

새로운!!: 서재필와 대구읍성 · 더보기 »

대한민국 독립유공자

독립유공자(獨立有功者)는 '독립유공자예우에관한법률'에 따른 순국선열과 애국지사를 말. 이러한 순국선열과 애국지사의 숭고한 독립정신을 계승, 선양하고 민족정기와 민족단결을 고취하며 조국의 평화통일과 민족중흥의 역사적 대업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1982년 1월 29일, 한국독립유공자협회(韓國獨立有功者協會)가 설립되었.

새로운!!: 서재필와 대한민국 독립유공자 · 더보기 »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각료

민국 임시정부의 각료는 1919년 4월부터 1948년 7월 22일까지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복무하였던 각료들의 명단이.

새로운!!: 서재필와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각료 · 더보기 »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 선거

민국 초대 대통령 선거 또는 대한민국 초대 정·부통령 선거는 1948년 7월 20일 제헌국회 국회의원들의 간접선거에 의한 제1대 정·부통령 선거로 이승만 후보를 초대 대통령으로, 이시영 후보를 초대 부통령으로 각각 선. 대통령선거는 오전 10시에 시작되었고, 부통령 선거는 오후 2시에 시작되었.

새로운!!: 서재필와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 선거 · 더보기 »

대한민국임시정부 구미외교위원부

1920년 3월1일 미국 워싱턴에서 3·1절 1주년 기념식을 마치고 기념촬영을 한 임정 구미위원부 간부들.(앞줄 가운데가 이승만 박사, 그 오른쪽이 김규식 박사) 대한민국임시정부 구미외교위원부(구미외교위원회)는 1919년 8월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미국 워싱턴 D.C.에 설치한 미국, 유럽 각국을 대상으로 한 외교행정업무를 주관하는 부서였.

새로운!!: 서재필와 대한민국임시정부 구미외교위원부 · 더보기 »

대한인국민회

성문이 1909년에 고안한 대한인국민회 깃발 1915년 대한인국민회 하와이 지방총회(오른쪽 열한번째는 이승만, 가운데 단상에 선 이는 안창호) 국민회(國民會, 1909. 2.)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박용만, 안창호 등에 의해 창설된 미국 내 독립운동단체였.

새로운!!: 서재필와 대한인국민회 · 더보기 »

대한적십자사

적십자사(大韓赤十字社, Korean Red Cross)는 대한민국의 비영리 특수법인이.

새로운!!: 서재필와 대한적십자사 · 더보기 »

대한제국

제국()은 1897년(광무 원년) 10월 12일부터 1910년 8월 29일까지 한반도와 그 부속 도서를 통치하였던 전제군주제 국가이.

새로운!!: 서재필와 대한제국 · 더보기 »

대한제국 고종

종(高宗, 1852년 9월 8일 ~ 1919년 1월 21일)은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 (재위: 1897년 ~ 1907년)이자, 조선의 제26대 마지막 왕(재위: 1863년 ~ 1897년)이.

새로운!!: 서재필와 대한제국 고종 · 더보기 »

대한제국 중추원 의장

중추원 의장(中樞院 議長, Speaker of National Assembly)은 대한제국의 입법부인 중추원의 장이.

새로운!!: 서재필와 대한제국 중추원 의장 · 더보기 »

대원군 (드라마)

《대원군(大院君)》은 MBC 정통 사극 조선왕조 오백년 시리즈의 열한 번째이자 마지막 작품으로, 1990년 5월 6일부터 1990년 12월 23일까지 방영되었.

새로운!!: 서재필와 대원군 (드라마) · 더보기 »

군수삭발령

수삭발령(郡守削髮令)은 대한제국에서 1902년(광무 7년) 8월부터 1910년(융희 4년) 10월까지 대한제국에 존재했던 법령의 하나였.

새로운!!: 서재필와 군수삭발령 · 더보기 »

남궁억

서 남궁억 선생상(속초초등학교) 남궁 억(南宮 檍, 1863년 12월 27일 ~ 1939년 4월 5일)은 대한제국 조선 왕조 말기의 교육자, 계몽운동가이며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자 교육가, 사회운동가, 시인, 작사가, 작곡가, 언론인이.

새로운!!: 서재필와 남궁억 · 더보기 »

남조선과도정부

조선과도정부(南朝鮮過渡政府)는, 대한민국의 정부 수립 전에 존재한 임시 정부로, 1947년 2월 5일 서울에서 발족하여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 수립 및 정권이양기까지의 과도정부를 말. 과도정부의 수반은 안재홍이었고, 과도정부의 의회는 남조선과도입법의원이었.

새로운!!: 서재필와 남조선과도정부 · 더보기 »

노백린

백린 노백린(盧伯麟, 1875년 양력 2월 15일(음력 1월 10일)~1926년 양력 1월 22일)은 대한제국의 군인, 계몽사상가이자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비행사이.

새로운!!: 서재필와 노백린 · 더보기 »

노예제

오늘날의 탄자니아와 모잠비크에서 노예를 끌고가는 아랍인 노예주들 노예제(奴隷制)란 선사시대 이후 인간이 다른 인간을 재산, 가축처럼 취급하는 것을 말하며, 그렇게 재산, 가축처럼 취급되는 인간을 노예(奴隷, slave).

새로운!!: 서재필와 노예제 · 더보기 »

장덕수

장덕수(張德秀, 1894년 12월 10일 ~ 1947년 12월 2일)는 한국의 친일파, 정치인, 교육자, 학자, 언론인이.

새로운!!: 서재필와 장덕수 · 더보기 »

장면

장면(張勉 1899년 8월 28일 ~ 1966년 6월 4일)은 일제 강점기의 교육자·종교가·번역가·출판인·문인·저술가이자 대한민국의 종교가·외교관·교육자·정치인이.

새로운!!: 서재필와 장면 · 더보기 »

장기영 (1903년)

장기영(張基永, 1903년 10월 20일 영월 - 1981년 5월 17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외교관, 정치인이.

새로운!!: 서재필와 장기영 (1903년) · 더보기 »

장택상

장택상(張澤相, 1893년 10월 22일 ~ 1969년 8월 1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겸 정치인, 작가이.

새로운!!: 서재필와 장택상 · 더보기 »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실베이니아 대학교 캠퍼스 210px 펜실베이니아 대학교(University of Pennsylvania)는 흔히 유펜(UPenn) 혹은 펜 Penn으로도 불리며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 필라델피아에 있는 아이비 리그 사립 대학이.

새로운!!: 서재필와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 더보기 »

임오군란

임오군란(壬午軍亂)은 1882년 훈련도감에서 해고된 구식 군인들의 13개월 동안 연체된 봉급에 대해 정부가 불량쌀을 지급해 일어난 난이.

새로운!!: 서재필와 임오군란 · 더보기 »

흥친왕

흥친왕 이재면(興親王 李載冕, 완흥군(完興君), 1845년 8월 22일(음력 7월 20일) ~ 1912년 9월 9일)은 조선 말기의 왕족·군인·정치인이자 대한제국의 황족·군인으로, 흥선대원군의 적장자(嫡長子)이자 고종의 친형이며 영선군 이준의 아버지이.

새로운!!: 서재필와 흥친왕 · 더보기 »

이 달의 독립운동가

이 달의 독립운동가는 대한민국 국가보훈처가 선정하여 발표하는 한국의 독립운동가 명단이.

새로운!!: 서재필와 이 달의 독립운동가 · 더보기 »

이 달의 문화 인물

이 달의 문화 인물은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가 1990년 7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재발굴하는 기회로 만들기 위해 선정했던 인물들이.

새로운!!: 서재필와 이 달의 문화 인물 · 더보기 »

이동인

이동인(李東仁, 1849년? ~ 1881년 5월)은 조선 후기의 불교 승려이자 외교관, 개화 사상가이.

새로운!!: 서재필와 이동인 · 더보기 »

이경희 (1880년)

이경희(李慶熙, 1880년 6월 11일 ~ 1949년 12월 4일)는 대한제국의 교육자이자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구한 말 신민회의 회원이자, 일제 강점기 당시 의열단과 신간회의 주요 멤버의 한 사람이.

새로운!!: 서재필와 이경희 (1880년) · 더보기 »

이범석 (1900년)

이범석(李範奭, 1900년 10월 20일 ~ 1972년 5월 11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겸 군인이자 대한민국의 정치가 겸 저술가이.

새로운!!: 서재필와 이범석 (1900년) · 더보기 »

이광수

이광수(李光洙), 1892년 3월 4일 평안북도 정주군 ~ 1950년 10월 25일)는 조선,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소설가, 언론인, 시인, 문학평론가, 작가, 반민족행위자이다. 본관은 전주이며, 조선 목조의 장남 안원대군의 후손이다. 사상가, 기자, 번역가, 자유주의 운동가이기도 했다. 일제 강점기에 한민족 독립 운동에 참여, 신한청년당, 상하이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참여하였고, 임정 사료편찬위원회 그리고 신한청년당의 독립운동지 신한청년(新韓靑年)에도 주필로서 참여하였다. 그는 아시아 근대 문학과 지성의 태동기에서 대한의 재생과 광복을 꿈꾸고 기획하였으며, 여성 해방과 자유 연애론을 주장하기도 했다. 언론인 활동으로 일제 강점기에서 동아일보 편집국장과 조선일보 부사장을 지냈고 또한 문학 번역가로도 활동하며 영미권의 작품을 한글로 번안하여 국내에 소개하기도 했다. 1909년 첫 작품 사랑인가를 발표한 이후 일본 유학 중에 소설과 시, 논설 등을 발표하였고, 귀국 후 오산학교에서 교편을 잡다가 망명, 1919년 도쿄(東京)의 조선인 유학생의 2·8 독립 선언을 주도했으며, 2·8 독립 선언서를 기초한 후 3·1 운동 전후 상하이로 건너가 상하이 임시정부에 참가하고 그후 독립운동지 신한청년 등에서 주필을 역임하였다. 또한 임시정부의 일원으로 활동하며 대한제국의 독립의 정당성과 의지를 세계에 알리는데 노력했다. 또한 임시정부에서 발간하는 기관지인 《독립신문사》 사장을 맡아 활동했다. 하지만 허영숙이 상하이로 찾아와 귀국을 종용하자 상하이에서 독립운동을 접고 1921년 3월 귀국하여 허영숙과 결혼하였다. 종학원에서 철학, 윤리, 심리, 종교 등을 강의했고 경성학교와 경신학교에서 영어를 가르쳤다. 잡지《개벽》에 《소년에게》를 발표하여 출판법위반으로 입건되었다가 석방되었으며 1922년 5월 개벽지(誌)에 《민족개조론》을 발표하여 우리민족이 쇠퇴한 것은 도덕적 타락 때문이라고 했다. 1923년 《동아일보》에 입사하여 편집국장을 지내고, 1933년 《조선일보》 부사장을 거치는 등 언론계에서 활약하면서 《재생(再生)》, 《마의태자(麻衣太子)》, 《단종애사(端宗哀史)》, 《흙》 등 많은 작품을 쓰는 등 독립운동을 계속해서 전개하였다. 1937년 수양동우회(修養同友會) 사건으로 투옥되었다가 반 년 만에 병보석되었는데, 이때부터 본격적인 친일 행위로 기울어져 1939년에는 친일어용단체인 조선문인협회(朝鮮文人協會) 회장이 되었으며 같은 달 20일 조선문인협회 회장으로 협회 주체 전선(戰線) 병사 위문대·위문문 보내기 행사를 주도하였다. 1940년 2월 15일자 『매일신보』에 「국민문학의 의의」를 게재하고 황민화운동을 지지하였으며, 2월 20일자 『매일신보』의 「창씨(創氏)와 나」에서는 자신의 이름을 향산광랑(香山光郞)으로 바꾼 이유를 밝히고, 일제의 창씨개명 정책을 지지하기도 하였다. 3월부터 7월까지 『녹기(綠旗)』에 「진정 마음이 만나서야말로」를 연재하였으며, 9월 직접 작사한 노래 「지원병 장행가(壯行歌)」가 경성중앙방송국 제2방송에서 방송되었다. 12월에는 『국민총력』에 지원병훈련소 참관기인 「지원병훈련소의 하루」를 발표하였고, 황도학회 발기인으로 참여하였다. 1941년 일본어 산문집 『동포에 부침』이 박문서관(博文書館)에서 간행되었다. 8월 임전대책협의회의 발기인으로 참여하였고, 1941년 9월 3∼5일자 『매일신보』에 「반도민중의 애국운동」을 게재해 일본의 대동아공영권(大東亞共榮圈)을 지지하였다. 12월 조선임전보국단 전시생활부장으로, 영미타도대강연회에서 ‘사상 함께 영미를 격멸하라’라는 주제로 강연을 하기도 하였다. 1942년 5월 조선임전보국단이 주최한 징병제도 연설회에서는 ‘획기적 대선물’이라는 제목으로 연설하였으며, 『신시대』 1942년 4월호 「징병과 여성」을 게재해 징병제 실시를 환영하는 입장을 보였다. 6월 조선문인협회 주최의 ‘일본 군인이 되는 마음가짐’을 듣는 좌담회, 11월 도쿄에서 열린 제1회 대동아문학자대회에 참가하였다. 1943년 4월 조선문인보국회 이사로 선출되었고, 11월 임시특별지원병제도 경성익찬회 종로위원회 실행위원과 연사로 활동하였다. 같은 달 최남선 등과 함께 일본 내 한국인 유학생들의 입대를 권유하는 ‘선배 격려대’에 참여하였다. 1944년 6월 조선문인보국회 평의원, 결전태세즉응(決戰態勢卽應) 재선(在鮮) 문학자 총궐기대회 의장을 맡았다. 8월 적국항복 문인대강연회에서 ‘전쟁과 문학’이란 제목으로 강연을하였으며, 11월 제3회 대동아문학자대회에 참석하였다. 1945년 2월 대화동맹 준비위원 겸 이사, 6월 조선언론보국회 명예회원과 대의당(大義黨) 위원이 되었다. 해방 이후로 백범일지의 교정, 윤문과 안창호의 일대기 집필을 직접 맡아 주관하기도 했다. 1949년 반민특위에 기소가 제기됐으나 석방되었고, 1950년 6월 한국 전쟁때는 서울에 있다가 북한 인민군에게 납북되었다. 그간 생사불명이다가 1950년 만포(滿浦)에서 병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순한글체 소설을 쓰는 등 소설 문학의 새로운 역사를 개척하기도 하였다. 소설가로는 구한 말과 일제 강점기 시대 동안 '만인의 연인'이라는 별명과 함께 청소년 남녀 문인들의 우상이었고, 최남선, 홍명희와 더불어 조선의 3대 천재로 대표되었던 인물이었다. 자는 보경(寶鏡), 호는 춘원(春園)·고주(孤舟)·외배·올보리·장백산인(長白山人)이며, 필명으로 춘원생, 경서학인(京西學人), 노아자닷뫼당백, Y생, 장백, 장백산인 등을 썼다.

새로운!!: 서재필와 이광수 · 더보기 »

이극로

이극로(李克魯, 문화어: 리극로, 1893년 8월 28일 ~ 1978년)는 전의예안이씨 대종중 전서공파 28대세손 울산 화수회 문중 예조참판 함장파 15대세 후손으로 경상남도 의령(宜寧) 출생, 호는 "고루"이며, 일제강점기 때 활동한 독립운동가 조선어학회 회장이자 한글학자로, 복역하다 해방과 함께 출소하셨고 당 간사자격으로 백범 김구 선생을 대동한 바 있으며 전란속에 잔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서재필와 이극로 · 더보기 »

이규완

이규완(李圭完, 1862년 11월 15일 ~ 1946년 12월 15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출신 무신, 군인이자 일제 강점기의 관료, 사상가였.

새로운!!: 서재필와 이규완 · 더보기 »

이기동 (1856년)

이기동(李基東, 1856년 ~ 1922년) 조선 말기의 무신이.

새로운!!: 서재필와 이기동 (1856년) · 더보기 »

이기대 (1792년)

이기대(李箕大, 1792년 10월 4일 ~ 1858년 3월 18일)는 조선 후기의 성리학자이.

새로운!!: 서재필와 이기대 (1792년) · 더보기 »

이교문

이교문 (李敎文, 1846년 4월 21일 ~ 1914년 2월 12일)은 조선시대 말기의 성리학자이자 대한제국기의 항일 의병장이.

새로운!!: 서재필와 이교문 · 더보기 »

이노우에 가오루

이노우에 가오루(1836년 1월 16일 ~ 1915년 9월 1일) 는 일본 메이지 유신의 활동가로 근대 일본의 교육자, 정치가, 외교관, 사상가, 기업인이.

새로운!!: 서재필와 이노우에 가오루 · 더보기 »

이용익

이용익(李容翊, 1854년 ~ 1907년 2월)은 조선 말기, 대한제국의 정치인·관료·외교관이며 고려대학교의 전신인 보성학교의 설립자이.

새로운!!: 서재필와 이용익 · 더보기 »

이용순 (대한제국)

이용순(李龍淳, ? - ?)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자 교육인, 사회사업가이.

새로운!!: 서재필와 이용순 (대한제국) · 더보기 »

이승만

이승만(李承晩, 1875년 5월 1일(음력 3월 26일) ~ 1965년 7월 19일) 또는 리승만은 조선과 대한제국 및 대한민국의 개화파, 언론인, 정치인이며,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대통령, 대한민국의 제1·2·3대 대통령이.

새로운!!: 서재필와 이승만 · 더보기 »

이승학 (1857년)

이승학(李承鶴, 1857년 ~ 1928년)은 조선 말기의 유학자, 을미사변 때의 의병장이.

새로운!!: 서재필와 이승학 (1857년) · 더보기 »

이재원 (1831년)

완림군 이재원(完林君 李載元, 1831년 10월 13일 ~ 1891년 2월 19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왕족으로 자는 순팔(舜八), 시호는 효정(孝貞), 본관은 전주이.

새로운!!: 서재필와 이재원 (1831년) · 더보기 »

이재완

이재완(李載完, 1855년 음력 12월 5일 ~ 1922년 양력 8월 11일)은 조선 말기의 문신이자 왕족이며 대한제국의 황족, 관료이.

새로운!!: 서재필와 이재완 · 더보기 »

이인종

이인종(李寅鍾, ? ~ ?)은 조선 시대 말기 무관이며 독립당의 일원이었.

새로운!!: 서재필와 이인종 · 더보기 »

이은돌

이은돌(?~?)은 조선의 음악가로, 미국의 개신교 선교사들이 들어오기 전인 1881년에 일본에 유학한 최초의 양악 전공자이.

새로운!!: 서재필와 이은돌 · 더보기 »

이은종

이은종 (李殷鍾, ? ~ ?)은 조선 말기의 문신으로 갑신정변의 행동대원이.

새로운!!: 서재필와 이은종 · 더보기 »

이종일 (1858년)

이종일(李種一, 1858년 12월 10일(음력 11월 6일) ~ 1925년 8월 31일)은 조선 말의 문신, 개혁운동가이자 한국의 언론인이며 독립운동가, 국문학자이.

새로운!!: 서재필와 이종일 (1858년) · 더보기 »

이준 (1859년)

이준(李儁, 1859년 12월 18일 ~ 1907년 7월 14일)은 구한말의 검사이자 외교관이.

새로운!!: 서재필와 이준 (1859년) · 더보기 »

이준용 (1870년)

영선군 이준용 신도비 영선군 이준용(永宣君 李埈鎔, 1870년 7월 23일(음력 6월 25일) ~ 1917년 3월 22일 (양력))은 조선의 왕족, 문신, 군인, 친일파이자, 대한제국의 황족, 군인, 교육인으로, 고종황제의 형 흥친왕 이재면의 아들이자, 흥선대원군의 적장손이.

새로운!!: 서재필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이창규

이창규(李昌奎, 1842년 ~ 1884년) 조선 말기의 보부상 통령, 무신이.

새로운!!: 서재필와 이창규 · 더보기 »

이유원

이유원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서재필와 이유원 · 더보기 »

이유원 (1763년)

이유원(李有源, 1763년 4월 14일 - 1835년 2월 16일)은 조선 후기의 학자, 효자로 서재필, 서재창의 외증조부이.

새로운!!: 서재필와 이유원 (1763년) · 더보기 »

이상재

이상재(李商在, 1850년 10월 26일 ~ 1927년 3월 29일)는 조선후기, 대한제국의 정치인으로 개화파 운동가였으며, 일제 강점기 조선 시대의 교육자, 청년운동가,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 언론인이.

새로운!!: 서재필와 이상재 · 더보기 »

이수정 (1842년)

이수정(李樹廷, 1842년 출생 ~ 1886년 사망)은 조선 말기의 개신교 신자이자 성서번역가이.

새로운!!: 서재필와 이수정 (1842년) · 더보기 »

이호성

이호성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서재필와 이호성 · 더보기 »

이호성 (대한제국)

이호성(李鎬性, 1842년/1843년 - ?)은 조선 말기와 대한제국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서재필와 이호성 (대한제국) · 더보기 »

이최선

이최선(李最善, 1825년 - 1883년)은 조선 후기의 사상가, 성리학자, 교육자였.

새로운!!: 서재필와 이최선 · 더보기 »

이석이

이석이(李錫伊,?~?)는 조선 말기의 정객으로 개화당원이.

새로운!!: 서재필와 이석이 · 더보기 »

이선길

이선길 (1927년) 이선길(李鮮吉, 1898년 6월 25일 ~ 1971년 1월 2일"유도인 李鮮吉씨 별세" 경향신문 1971년 01월 05일자 6면, 스포츠면)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유도 선수였.

새로운!!: 서재필와 이선길 · 더보기 »

이한기

이한기(李漢基,1917년 9월 5일 ~ 1995년 2월 2일, 전남 담양)는 대한민국의 법조인, 관료, 법학자, 정치인이.

새로운!!: 서재필와 이한기 · 더보기 »

이시영 (1868년)

이시영(李始榮, 문화어: 리시영, 1868년 12월 3일 한성부 ~ 1953년 4월 17일)은 조선, 대한제국의 관료이자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며 교육자, 정치인이.

새로운!!: 서재필와 이시영 (1868년) · 더보기 »

이완용

이완용(李完用, 1858년 7월 17일(음력 6월 7일) ~ 1926년 양력 2월 12일)은 대한제국의 외교관, 정치가이.

새로운!!: 서재필와 이완용 · 더보기 »

일소대

일소대(一笑臺) 또는 일소정(一笑亭)은 대구광역시 북구 침산 1동 1381-1번지 오봉산에 있던 구한말과 일제 강점기의 친일파 관료 겸 정치인 박중양(朴重陽, 1872 ~ 1959)의 별장과 그가 세워놓은 정자였.

새로운!!: 서재필와 일소대 · 더보기 »

의친왕

의친왕 이강(義親王 李堈, 1877년 3월 30일 ~ 1955년 8월 16일)은 조선의 왕족이고 대한제국 황족 종실이며 고종의 다섯째 아들(서자)이자 대한민국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서재필와 의친왕 · 더보기 »

제이슨 하우스

제이슨 하우스 제이슨 하우스(Jaisohn house) 또는 필립 제이슨 하우스는 미국 펜실베니아 주 필라델피아 시 메디아에 있는 건물로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미국 시민권자였던 서재필이 1898년부터 1951년까지 여생을 보낸 곳이.

새로운!!: 서재필와 제이슨 하우스 · 더보기 »

제중원 (드라마)

《제중원》은 SBS에서 2010년 1월 4일부터 2010년 5월 4일까지 방송된《제중원》을 소재로 한 의학 사극이.

새로운!!: 서재필와 제중원 (드라마) · 더보기 »

정독도서관

정독도서관(正讀圖書館)은 1977년 1월 4일 개관한 서울시립도서관이.

새로운!!: 서재필와 정독도서관 · 더보기 »

정동제일교회

정동제일교회(貞洞第一敎會)는 대한민국에 최초로 세워진 감리교 교회 중에 하나이.

새로운!!: 서재필와 정동제일교회 · 더보기 »

정난교

정난교(鄭蘭敎, 1863년 1월 23일 ~ 1944년 12월 28일)는 조선 후기, 대한제국의 무신, 군인이자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새로운!!: 서재필와 정난교 · 더보기 »

정진숙 (출판인)

정진숙(鄭鎭肅, 1912년 11월 5일 ~ 2008년 8월 22일)은 일제 강점기의 금융인, 대한민국의 출판인, 기업인, 사회기관단체인이며, 을유문화사의 창립 멤버의 한 사람이.

새로운!!: 서재필와 정진숙 (출판인) · 더보기 »

정채기 (1962년)

정채기(鄭菜基, 1962년 - 2013년)는 대한민국의 교육학자이자 남성학자, 심리학자, 대학교수이며 시민사회운동가, 남성주의 운동가, 언론인, 번역가이.

새로운!!: 서재필와 정채기 (1962년) · 더보기 »

정성왕후

정성왕후 서씨(貞聖王后 徐氏, 1693년 1월 12일 (1692년 음력 12월 7일) ~ 1757년 4월 3일 (음력 2월 15일)는 조선의 제21대 왕 영조의 정비(正妃)이며 조선의 역대 왕비 중 왕비재임기간이 가장 긴 왕비이다. 정식시호는 혜경장신강선공익인휘소헌원렬단목장화정성왕후(惠敬莊愼康宣恭翼仁徽昭獻元烈端穆章和貞聖王后)이다. 본관은 달성(達城). 달성부원군(達城府院君) 서종제와 잠성부부인(岑城府夫人) 이씨(李氏) 사이에서 태어났다.

새로운!!: 서재필와 정성왕후 · 더보기 »

정한론

정한론() 또는 정조론(征朝論)은 19세기 말 당시, 일본이 조선을 정벌해야 한다는 사상 또는 신념이.

새로운!!: 서재필와 정한론 · 더보기 »

조병옥

조병옥(趙炳玉, 1894년 5월 21일 충청남도 천안 ~ 1960년 2월 15일 미국)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교육자, 경찰관, 정치가이.

새로운!!: 서재필와 조병옥 · 더보기 »

조병호 (1847년)

조병호(趙秉鎬, 1847년 ~ 1910년)은 조선의 문신이자 대한제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서재필와 조병호 (1847년)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서재필와 조선 · 더보기 »

조선의 과거 제도

이 문서는 조선 시대(朝鮮時代)의 과거 제도(科擧制度)를.

새로운!!: 서재필와 조선의 과거 제도 · 더보기 »

주 미국 대한민국 대사

주 미국 대한민국 대사는 대한민국 외교부 산하에 주 미국 대한민국 대사관의 수장이.

새로운!!: 서재필와 주 미국 대한민국 대사 · 더보기 »

주시경

주시경(周時經, 1876년 12월 22일 ~ 1914년 7월 27일)은 조선의 언어학자이자 국문학자이.

새로운!!: 서재필와 주시경 · 더보기 »

중추원 (대한제국)

중추원(中樞院)은 대한제국 시기에 근대적 형태의 입법 기관을 모방하여 설치한 기관이.

새로운!!: 서재필와 중추원 (대한제국) · 더보기 »

차미리사

미리사 (1940년경) 차미리사(車美理士, 1878년 8월 21일 ~ 1955년 6월 1일)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교육자, 기독교 운동가, 여성운동가 및 사회사업가이.

새로운!!: 서재필와 차미리사 · 더보기 »

찬란한 여명

《찬란한 여명》(燦爛한 黎明)은 KBS1에서 1995년 10월 28일부터 1996년 11월 23일까지 방영한 대하 드라마이.

새로운!!: 서재필와 찬란한 여명 · 더보기 »

청년학우회

청년학우회(靑年學友會)는 1909년 2월부터 1910년 11월까지 활동한 청년 계몽운동 목적의 시민단체이자 신민회의 측면 조직 단체였.

새로운!!: 서재필와 청년학우회 · 더보기 »

천세헌

세헌(千世憲, 1879년 ∼ 1945년)은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서재필와 천세헌 · 더보기 »

유길준

유길준(兪吉濬, 1856년 양력 11월 21일(음력 10월 24일) ~ 1914년 양력 9월 30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외교관, 작가이며 대한제국의 정치가·개화 사상가·계몽운동가이.

새로운!!: 서재필와 유길준 · 더보기 »

유재현

유재현(柳在賢, ? ~ 1884년 12월 5일(음력 10월 18일))은 조선 말기의 내시(환관)이.

새로운!!: 서재필와 유재현 · 더보기 »

유일한

유일한(柳一韓, 1895년 1월 15일 ~ 1971년 3월 11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기업인으로 자는 천여(天汝), 본관은 진주이.

새로운!!: 서재필와 유일한 · 더보기 »

유혁로

유혁로(柳赫魯 / 柳赫老, 1851년 3월 9일 ~ 1945년 5월 15일)는 조선 후기와 대한제국의 무신이자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새로운!!: 서재필와 유혁로 · 더보기 »

유홍기 (1831년)

유홍기(劉鴻基, 1831년 ~ 1884년?)는 조선 말기의 개화사상가이자 학자이자 정치인이였.

새로운!!: 서재필와 유홍기 (1831년) · 더보기 »

육용정

육용정(陸用鼎, 1842년 ~ 1917년)은 조선 말기의 유학자, 소설가이.

새로운!!: 서재필와 육용정 · 더보기 »

윤덕주 (농구인)

윤덕주(尹德珠, 1921년 6월 23일 - 2005년 7월 8일)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이자, 대한체육협회 부회장, 명예회장을 역임.

새로운!!: 서재필와 윤덕주 (농구인) · 더보기 »

윤경

윤경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서재필와 윤경 · 더보기 »

윤경순 (1855년)

윤경순(尹景純, 1855년 ~ 1885년 12월 23일)은 조선 말기의 상인, 무신, 혁명가이.

새로운!!: 서재필와 윤경순 (1855년) · 더보기 »

윤경완

윤경완(尹景完, 1860년 ~ 1885년 12월 23일)은 조선 후기의 상인, 무신으로 갑신정변의 행동대원이었.

새로운!!: 서재필와 윤경완 · 더보기 »

윤보선

윤보선(尹潽善, 1897년 8월 26일 ~ 1990년 7월 18일)은 대한민국의 제4대 대통령을 역임한 정치인이.

새로운!!: 서재필와 윤보선 · 더보기 »

윤광선

윤광선, 1935년 윤광선(尹光善, 1898년 11월 17일 ~ 1950년)은 일제 강점기의 낙농, 경영인이자, 미군정기의 통역관이었.

새로운!!: 서재필와 윤광선 · 더보기 »

윤기선

윤기선(尹琦善, 영문명 Kee-Suhn Yoon, 1921년 10월 22일 ~ 2013년 7월 27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음악가이자 피아니스트이며 대한민국, 미국의 음악가 겸 대학 교수이.

새로운!!: 서재필와 윤기선 · 더보기 »

윤효정

윤효정(尹孝定, 1858년 ~ 1939년)은 구한말의 문신, 학자, 애국지사로 경기도 양주출신으로 본관은 파평(坡平)이고 운정이.

새로운!!: 서재필와 윤효정 · 더보기 »

윤일선

윤일선(尹日善, 1896년 10월 5일 ~ 1987년 6월 22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의사, 대학교수, 대학총장, 사회 운동가이.

새로운!!: 서재필와 윤일선 · 더보기 »

윤치영

윤치영(尹致暎, 1898년 2월 10일 ~ 1996년 2월 9일)은 대한민국의 친일파겸 사상가, 정치인, 언론인이.

새로운!!: 서재필와 윤치영 · 더보기 »

윤치호

윤치호(尹致昊, 일본식 이름:, 1865년 1월 23일 ~ 1945년 12월 9일)는 조선, 대한제국의 개혁, 민권운동가·문신이자 외교관·언론인·교육자, 한국의 정치가·교육자·사상가·언론인·종교가이며 기독교운동가였.

새로운!!: 서재필와 윤치호 · 더보기 »

윤치성

윤치성(尹致晟, 1875년 음력 3월 2일 - 1936년 양력 8월 11일)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군인, 관료,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서재필와 윤치성 · 더보기 »

윤탁구

윤탁구(尹鐸求, 1932년 6월 15일 -)는 대한민국의 의사이.

새로운!!: 서재필와 윤탁구 · 더보기 »

윤태준 (1839년)

윤태준(尹泰駿, 1839년 ~ 1884년 12월 5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군인이자 유학자, 작가, 외교관이.

새로운!!: 서재필와 윤태준 (1839년) · 더보기 »

윤필오

윤필오(尹弼五, 1860년 음력 9월 10일 ~ 1924년 양력 3월 30일)는 대한제국의 교육인, 관료이자 일제 강점기 초기의 관료, 시민운동가였.

새로운!!: 서재필와 윤필오 · 더보기 »

윤웅렬

윤웅렬(尹雄烈, 1840년 5월 18일(음력 4월 17일) ~ 1911년 양력 9월 22일)은 조선 말기의 무신, 군인이며 개화파 정치인, 대한제국의 계몽운동가이.

새로운!!: 서재필와 윤웅렬 · 더보기 »

수구당

사대당(事大黨)은 사대주의를 받들고 따르는 무리나 당파라는 뜻으로, 조선 후기에 청나라의 지도와 원조를 받아 급진개화파 운동에 반대 의사로 가로막는 온건개화 당. 《글로벌세계대백과》, 〈개화파의 개혁운동〉, 개화파의 개혁 운동〔槪說〕.

새로운!!: 서재필와 수구당 · 더보기 »

영은문

영은문 영은문에서 청나라의 책봉사 아극돈(阿克敦)을 영접하는 조선 국왕을 묘사한 그림 영은문(迎恩門)은 중국 명나라 사신을 맞이하는 모화관(慕華館) 앞에 세웠던 문이.

새로운!!: 서재필와 영은문 · 더보기 »

영은문 주초

서울 영은문 주초(영은문주초 → 서울 영은문 주초)로 명칭변경 되었습.(문화재청고시제2011-116호, 《국가지정문화재(사적) 지정명칭 변경 및 지정·해제 고시》, 문화재청장, 대한민국 관보 제17560호, 392면, 2011-07-28)(서울 迎恩門 柱礎)는 조선시대에 중국의 사신을 맞아들이던 모화관(慕華館) 앞에 있던 일각문(一脚門)의 주춧돌로, 화강암으로 만들어져 있.

새로운!!: 서재필와 영은문 주초 · 더보기 »

영한사전

영한사전(英韓辭典)은 영어를 한국어로 풀이한 사전이.hermit.

새로운!!: 서재필와 영한사전 · 더보기 »

오경석

오경석(吳慶錫, 1831년(순조 31년) 3월 5일(음력 1월 21일) ~ 1879년(고종 16년) 10월 7일(음력 8월 22일))은 조선 후기의 역관, 외교관이자 정치인, 사상가이.

새로운!!: 서재필와 오경석 · 더보기 »

오긍선

오긍선(吳兢善, 일본식 이름: 吳兢善, 1878년 10월 4일 ~ 1963년 5월 18일)은 구한 말의 계몽사상가이자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의학자, 사회사업가이.

새로운!!: 서재필와 오긍선 · 더보기 »

오세창

청년 시절 오세창 오세창(吳世昌, 1864년 8월 6일(음력 7월 5일) ~ 1953년 4월 16일)은 조선 말기와 대한제국의 문신, 정치인이자 계몽 운동가이자, 일제 강점기 한국의 언론인, 독립운동가, 서화가, 대한민국의 정치인, 서화가이.

새로운!!: 서재필와 오세창 · 더보기 »

호머 헐버트

호머 베절릴 헐버트(Homer Bezaleel Hulbert, 1863년 1월 26일 ~ 1949년 8월 5일)는 미국의 감리교회 선교사이자, 육영공원 교수로 근무하여 영어를 가르쳤던 교육인으로 대한제국의 항일운동을 적극 지원하였.

새로운!!: 서재필와 호머 헐버트 · 더보기 »

협성회

협성회(協成會)는 조선 말기인 1896년에 한성부에서 조직된 계몽운동 단체이.

새로운!!: 서재필와 협성회 · 더보기 »

현봉학

현봉학(玄鳳學, 1922년 6월 23일 ~ 2007년 11월 25일)은 대한민국의 의사이자 교수이.

새로운!!: 서재필와 현봉학 · 더보기 »

현순

현순(玄楯, 1880년 2월 28일 ~ 1968년 7월 11일)은 일제 강점기 감리교회의 목사이며 한국의 독립운동가, 목회자이.

새로운!!: 서재필와 현순 · 더보기 »

최능진

능진(崔能鎭, 1899년 ~ 1951년)은 일제강점기 친일 청산을 위해 일생을바친 한국의 독립운동가, 통일운동가,민족주의자이자 대한민국의 경찰이.

새로운!!: 서재필와 최능진 · 더보기 »

최동

동(崔棟, 일본식 이름: 山佳棟, 1896년 2월 16일 ~ 1973년 7월 30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의학자이.

새로운!!: 서재필와 최동 · 더보기 »

최수종

수종(崔秀宗, 1962년 12월 18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서재필와 최수종 · 더보기 »

어윤중

어윤중의 편지 서찰 어윤중(魚允中, 1848년 ~ 1896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학자이.

새로운!!: 서재필와 어윤중 · 더보기 »

양기탁

양기탁(梁起鐸, 문화어:량기탁, 1871년 4월 2일 ~ 1938년 4월 19일)은 한국의 독립 운동가이.

새로운!!: 서재필와 양기탁 · 더보기 »

양홍묵

양홍묵(梁弘默, 1866년 ~ ?)은 대한제국 시기의 개화파 지식인이며, 일제 강점기 초기의 관료이.

새로운!!: 서재필와 양홍묵 · 더보기 »

여운형

여운형(呂運亨, 1886년 5월 25일 ~ 1947년 7월 19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겸 저술가이.

새로운!!: 서재필와 여운형 · 더보기 »

여운홍

여운홍(呂運弘, 1891년 9월 1일 ~ 1973년 2월 3일)은 대한민국의 정치가이며 아호는 근농(勤農)이.

새로운!!: 서재필와 여운홍 · 더보기 »

허정

정(許政, 1896년 4월 8일 ~ 1988년 9월 18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며 정치인이.

새로운!!: 서재필와 허정 · 더보기 »

사도 파울로스

울로(가톨릭: 바오로 공동번역: 바울로 개역성경: 바울)는 초기 기독교의 전파와 신학에 주춧돌을 놓은 사도이며, 신약성서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파울로스 서신을 저술했다고 전해지는 인물이.

새로운!!: 서재필와 사도 파울로스 · 더보기 »

사회 운동

사회 운동(社會運動) 또는 시민 운동(市民運動)은 기존의 사회 구조와 제도를 변화·개선시키기 위하여 대중과 시민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조직적이고 집합적이며 연속적인 다양한 행동을 의미.

새로운!!: 서재필와 사회 운동 · 더보기 »

사회진화론

버트 스펜서 사회진화론(社會進化論)은 19세기 찰스 다윈이 발표한 생물진화론에 입각하여, 사회의 변화와 모습을 해석하려는 견해로 허버트 스펜서가 처음 사용한 개념이.

새로운!!: 서재필와 사회진화론 · 더보기 »

삼일신보

삼일신보란, 1928년 미국 뉴욕에서 한국어로 창간된 주간 신문을 말.

새로운!!: 서재필와 삼일신보 · 더보기 »

서 (성씨)

서(徐)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서재필와 서 (성씨) · 더보기 »

서명원

서명원(徐明源, 1919년 10월 27일 충남 논산 ~ 2006년 4월 14일)은 대한민국의 관료, 교육인, 정치인이.

새로운!!: 서재필와 서명원 · 더보기 »

서병두 (1807년)

서병두(徐丙斗, 1807년 ~ ?)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서재필와 서병두 (1807년) · 더보기 »

서광범

서광범(徐光範, 1859년 11월 8일 ~ 1897년 7월 17일 또는 8월)은 조선 말기의 문신, 정치가이며 개화파 사상가이.

새로운!!: 서재필와 서광범 · 더보기 »

서광규

서광규(徐光奎, 1802년 ~ ?)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서재필와 서광규 · 더보기 »

서광하

서광하(徐光夏)는 조선 후기의 인물로, 독립운동가 겸 정치인 서재필의 양아버지이자 7촌 재당숙이며, 서재창, 서재우, 서재춘, 서재형의 7촌 재당숙이.

새로운!!: 서재필와 서광하 · 더보기 »

서대문구

서대문구(西大門區)는 서울특별시의 중서부에 있는 자치구이.

새로운!!: 서재필와 서대문구 · 더보기 »

서대순 (1805년)

서대순(徐戴淳, 1805년 ~ 1871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정치인으로 과거에 급제한 후 이조참의, 검교홍문관부제학, 황해도관찰사, 홍문관부제학, 이조참판 등을 역임하였.

새로운!!: 서재필와 서대순 (1805년) · 더보기 »

서울 구 경기고등학교

서울 구 경기고교(서울 舊 京畿高等學校)는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옛 경기고등학교의 건물로 현재 정독도서관으로 사용되고 있. 2002년 2월 28일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2호 화동 구 경기고교로 지정되었으나, 2013년 10월 30일 서울 구 경기고등학교로 문화재 명칭이 변경되었.

새로운!!: 서재필와 서울 구 경기고등학교 · 더보기 »

서재우

서재우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서재필와 서재우 · 더보기 »

서재우 (1868년)

서재우(徐載雨, 1868년 9월 5일 ~ 1929년 1월 24일)는 조선 시대 후기의 문신이며 대한제국의 관료 겸 정치가이.

새로운!!: 서재필와 서재우 (1868년) · 더보기 »

서재창

서재창(徐載昌, 1866년 10월 29일 ~ 1884년 12월 13일)은 조선 말기의 군인, 정치인, 개화사상가로 서재필의 동생이.

새로운!!: 서재필와 서재창 · 더보기 »

서재영

서재영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서재필와 서재영 · 더보기 »

서재영 (1867년)

서재영(徐載榮, 1867년 10월 15일 ~ 1922년 2월 24일)은 대한제국 말기의 관료이.

새로운!!: 서재필와 서재영 (1867년) · 더보기 »

서재필 의학상

서재필의학상은 한민족 최초의 서양의사이자 개화독립 민주정신을 일깨운 독립운동가 송재 서재필 선생의 업적과 사상을 기리기 위해 2004년 재단법인 서재필기념회에서 제정한 의학상으로 의학 교육, 진료, 연구 또는 봉사를 통하여 국내외 의학계에 큰 업적을 남긴 의료인에게 매년 수여되고 있.

새로운!!: 서재필와 서재필 의학상 · 더보기 »

서재필 진료가운

서재필 진료가운은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독립기념관에 있는 일제강점기의 의복이.

새로운!!: 서재필와 서재필 진료가운 · 더보기 »

서재필박사 본가지

서재필박사 본가지는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에 있. 2007년 12월 18일 논산시의 향토유적 제36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서재필와 서재필박사 본가지 · 더보기 »

서재필기념회

서재필기념회는 민족선양사업의 일환으로 송재 서재필 관련 각종 문화사업을 통해 그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설립된 문화체육관광부 소관의 재단법인이.

새로운!!: 서재필와 서재필기념회 · 더보기 »

서재필언론문화상

서재필언론문화상은 우리나라 최초의 민간지인 독립신문을 창간한 언론인 서재필 선생을 기리기 위해 2011년 4월 재단법인 서재필기념회와 한국언론진흥재단에 의해 제정,수여되는 상이.

새로운!!: 서재필와 서재필언론문화상 · 더보기 »

서희원

서희원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서재필와 서희원 · 더보기 »

서희원 (1924년)

서희원(徐希源, 1924년 2월 21일 ~ 2004년 4월 7일)은 대한민국의 법학자, 교육자, 대학 교수이.

새로운!!: 서재필와 서희원 (1924년) · 더보기 »

서종제

서종제(徐宗悌, 1656년 ~ 1719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서재필와 서종제 · 더보기 »

서상우 (1831년)

서상우(徐相雨, 1831년 ~ 1903년)은 조선 말기의 문신이며 개화파이.

새로운!!: 서재필와 서상우 (1831년) · 더보기 »

서상정

서상정(徐相鼎, 1813년 8월 23일 ~ 1876년 7월 13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서재필와 서상정 · 더보기 »

서영순 (1793년)

서영순(徐英淳, 1793년 ~ 1854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관료이.

새로운!!: 서재필와 서영순 (1793년) · 더보기 »

서영석

서영석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서재필와 서영석 · 더보기 »

서영석 (1879년)

서영석(徐英錫, 1879년 2월 5일 ~ 1966년 2월 29일)은 대한제국의 군인, 무신이.

새로운!!: 서재필와 서영석 (1879년) · 더보기 »

손탁 호텔 (오페라)

손탁 호텔은 2005년 11월 23일 처음 상연된 대한민국의 희극작가 차범석 대본에 작곡가 이영조 작곡의 대한민국 오페라이.

새로운!!: 서재필와 손탁 호텔 (오페라) · 더보기 »

손탁호텔

손탁호텔()은 대한제국 한성부 정동(오늘날의 서울의 정동)에 1902년에 세워진 서양식 호텔이.

새로운!!: 서재필와 손탁호텔 · 더보기 »

함태영

영(咸台永, 1873년 10월 22일 ~ 1964년 10월 24일)은 대한제국의 법관이자,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종교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서재필와 함태영 · 더보기 »

한규직

직(韓圭稷, 1845년 ~ 1884년)은 조선 말기의 무관이.

새로운!!: 서재필와 한규직 · 더보기 »

한국독립당

국독립당(韓國獨立黨)은 1930년 1월 25일 중화민국 장쑤성 상하이에서 결성된 대한민국의 보수정당,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여당이며, 대한의 독립을 위하여 일본과 맞써 싸운 단체로 조소앙, 홍진, 조시원이 중심이 되어 창립되었.

새로운!!: 서재필와 한국독립당 · 더보기 »

한국민주당

국민주당(韓國民主黨, Korea Democratic Party, 영문약칭 KDP)은 미군정기와 대한민국의 보수주의적, 부르주아적 자유주의 정치 정당의 하나이.

새로운!!: 서재필와 한국민주당 · 더보기 »

한국친우회

국친우회(The League of Friends of Korea)는 1919년 4월 서재필 등에 의해 대한민국 임시정부 구미외교위원부의 측면 지원 기관이자, 친한파, 지한파 미국인 포섭 및 확산, 한미 관계 우호의 목적으로 조직된 단체였.

새로운!!: 서재필와 한국친우회 · 더보기 »

한수의 여행

수의 여행은 한국의 독립운동가 서재필이 쓴 소설로, 1922년 출간되었.

새로운!!: 서재필와 한수의 여행 · 더보기 »

한성조약

성조약(漢城條約)은 1885년(고종 22년) 1월 9일 조선의 한성부에서 조선측 대표 의정부좌의정 김홍집 외 조선측 대표단과 일본 제국 외무부대신 이노우에 가오루(井上馨) 외 일본측 대표단이 조선과 일본의 갑신정변의 사후 처리 및 보상에 대해 체결한 조약이.

새로운!!: 서재필와 한성조약 · 더보기 »

한성순보

창간자 박영효 《한성순보》(漢城旬報)는 조선 말기인 1883년 10월 31일(고종 20년 음력 10월 1일) 창설된 순간(旬刊) 신문으로, 한국인이 발행한 한국 최초의 근대적 신문이라하나 일종의 관보이.

새로운!!: 서재필와 한성순보 · 더보기 »

안경수 (1853년)

안경수(安駉壽, 1853년 ~ 1900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 개화파 정치인으로 독립협회의 초대 회장이.

새로운!!: 서재필와 안경수 (1853년) · 더보기 »

안창호

안창호(安昌浩, 1878년 11월 9일 ~ 1938년 3월 10일)는 대한제국의 교육개혁운동가 겸 애국계몽운동가이자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교육자, 정치가이.

새로운!!: 서재필와 안창호 · 더보기 »

하응선

응선(河應善, ? ∼ 1884년 12월)은 조선 말기의 무신, 군인으로 갑신정변에 참여하였다가 정변 실패 후 홍영식, 박영교, 사관생도 7명과 함께 처형당.

새로운!!: 서재필와 하응선 · 더보기 »

아파나시 세레딘사바틴

아파나시 이바노비치 세레딘사바틴(Afanasy Ivanovich Seredin-Sabatin, 1860년 ~ 1921년)은 1890년부터 1904년까지 조선과 대한제국에서 일했던 러시아 출신의 건축 기사이.

새로운!!: 서재필와 아파나시 세레딘사바틴 · 더보기 »

신복모

신복모(申福模, 1832년 ~ 1886년 12월 7일)는 조선 후기의 무신, 군인이자 개화당원이.

새로운!!: 서재필와 신복모 · 더보기 »

신흥우

신흥우(申興雨, 일본식 이름: 高霊興雨, 1883년 3월 26일(음력 2월 18일) ~ 1959년 3월 15일)는 한국의 개화 운동가이자 감리교 목회자이.

새로운!!: 서재필와 신흥우 · 더보기 »

신응희

신응희(申應熙, 1858년/1859년 11월 2일 ~ 1928년 2월 12일)는 조선 후기·대한제국의 무신,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며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새로운!!: 서재필와 신응희 · 더보기 »

신중모

신중모(1833년 ~ 1884년)은 조선 후기의 무신이.

새로운!!: 서재필와 신중모 · 더보기 »

신석린

신석린(申錫麟, 일본식 이름: 平林麟四朗, 1865년 1월 9일 ~ 1948년 2월 14일)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며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새로운!!: 서재필와 신석린 · 더보기 »

후쿠자와 유키치

후쿠자와 유키치(1835년 1월 10일 ~ 1901년 2월 3일) 는 일본 개화기의 계몽사상가, 교육가, 저술가이.

새로운!!: 서재필와 후쿠자와 유키치 · 더보기 »

홍순목

홍순목 홍순목(洪淳穆, 1816 - 1884)은 조선 순조·고종 시대의 문신, 정치인이며 개화파 지도자 홍영식의 아버지이.

새로운!!: 서재필와 홍순목 · 더보기 »

홍순형

홍순형(洪淳馨, 1858년 ~ ?)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자는 여문(汝聞), 본관은 남양이.

새로운!!: 서재필와 홍순형 · 더보기 »

홍영식

홍영식 홍영식(洪英植, 1856년 2월 5일(1855년 음력 12월 29일) ~ 1884년 12월 7일(1884년 음력 10월 20일))은 조선 말기의 문신, 외교관, 시인이.

새로운!!: 서재필와 홍영식 · 더보기 »

11월 1일

11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05번째(윤년일 경우 30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서재필와 11월 1일 · 더보기 »

11월 20일

11월 2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24번째(윤년일 경우 32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서재필와 11월 20일 · 더보기 »

1864년

1864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서재필와 1864년 · 더보기 »

1896년

1896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서재필와 1896년 · 더보기 »

1918년

1918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서재필와 1918년 · 더보기 »

1921년

1921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서재필와 1921년 · 더보기 »

1951년

1951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서재필와 1951년 · 더보기 »

1951년 대한민국

이 문서는 1951년 대한민국에서 일어난 사건을.

새로운!!: 서재필와 1951년 대한민국 · 더보기 »

1월 5일

1월 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서재필와 1월 5일 · 더보기 »

1월 7일

1월 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7번째(윤년일 경우도 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서재필와 1월 7일 · 더보기 »

20세기

200px 200px 200px 200px 200px 200px 200px 20세기는 1901년 1월 1일부터 2000년 12월 31일까지의 기간이.

새로운!!: 서재필와 20세기 · 더보기 »

4월 7일

4월 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97번째(윤년일 경우 9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서재필와 4월 7일 · 더보기 »

7월 2일

7월 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83번째(윤년일 경우 18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서재필와 7월 2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쌍경 서재필, 윤경 서재필, 송재, 송재 서재필, 피제선, 피제손, 필립 제이슨, 필립 제이손.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