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조선 세조

색인 조선 세조

세조(世祖, 1417년 11월 2일 (음력 9월 24일) ~ 1468년 9월 23일 (음력 9월 8일), 재위 1455년~1468년)는 조선의 제7대 임금, 시인이.

647 처지: , 능지, 능엄경, 덕종, 덕수궁, 덕원군, 덕원군 (왕족), 독립협회, 동망봉, 동구 (인천광역시), 동국지도 (1463년), 동국역경원, 동국통감, 동두천 삼충단, 동작구, 동학사, 류자광, 류자환, 말티고개, 맹석흠, 마곡사, 마승 (1393년), 면리제, 목장지도, 몽유도원도, 명숙공주, 무안대군, 문평군, 문익점, 문정왕후 (조선), 문종실록, 문채원, 문천 공씨, 문양군, 묘법연화경언해, 묘호, 미추홀, 민신, 방 (성씨), 방강, 방귀원, 방구행, 방효유, 방윤, 갈현동 (서울), 반야바라밀다심경언해, 반야바라밀다심경약소, 반야사, 간경도감, 강맹경, ..., 강희맹, 강희안, 박중선, 박중손, 박진장군묘, 강윤성, 박팽년, 박상, 박상민 (배우), 강순, 강신성일, 박원종, 박원형, 가곡 (한국 음악), 밀성군, 거금도, 건봉사, 격구, 겸사복, 경릉, 경릉 (조선 덕종), 경복궁, 경국대전, 경국대전 권3, 경녕군, 경정공주, 경주 박씨, 경숙옹주 (문종), 경혜공주, 경안공주, 고명대신, 고추장, 고시언, 곡성 태안사 동종, 곤양 배씨, 보성군 (1416년), 보신각, 곽재우, 곽연성, 공 (성씨), 공빈 최씨, 공장공 변종인 신도비, 공주 마곡사 대광보전, 공주의 남자, 공혜왕후, 계유정난, 계양군, 변상복, 광릉, 광명시, 광평대군, 봉상시, 봉석주, 봉선사, 봉황정, 관곡지, 관상 (영화), 관상감, 관서 지방, 북정록, 북청군, 권람, 권절, 부부인, 부원군, 근빈 박씨, 규장각, 규원사화, 귀인, 귀인 권씨 (덕종), 귀인 윤씨, 귀성군, 귀후서, 기보법, 금강경언해, 금강경삼가해 권2, 금천 김씨 (경기도), 금성대군, 금서, 김문기, 김번, 김보지, 김병세, 김봉곤, 김국광, 김녕 김씨, 김담, 김승규 (조선 초기), 김승유 (조선), 김장생, 김포 공씨, 김흥기, 김일손, 김종직, 김종서, 김종서 (1383년), 김종서 장군 묘, 김증, 김질 (1422년), 김처선, 김영철 (배우), 김영유, 김영호 (배우), 김호진 (배우), 김성동 (1452년), 김서라, 김알음, 김신민, 김시습,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1, 대구 보성선원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복장전적, 대구광역시, 대구군, 대군 - 사랑을 그리다, 대제학, 대윤 소윤,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 대악후보, 대왕 세종, 대왕대비, 구리시, 구은사, 구치관, 구산동 (서울), 국립수목원, 국대부인, 국조보감, 군기시, 군자감, 떠구지머리, 남 (성씨), 남효온, 남이, 남이의 옥, 남양주 수종사 부도, 남양주 수종사 팔각오층석탑, 남양주시, 남성우, 남소문, 내의원, 내섬시, 내시원, 나주 쌍계정, 낙산사, 낙산사 칠층석탑, 노태우, 노사신, 논산 영사암, 단종과 사육신, 단종실록, 효령대군, 용문사 (예천군), 용문사 (양평군), 승평부부인, 회원군 (1464년), 장릉 (조선 단종), 장말손, 장단군, 장순왕후, 장영실 (드라마), 재궁동, 임동진, 임병기, 임진왜란, 임영대군, 임사홍, 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동자좌상, 평창군, 평원대군, 이량 (1519년), 이맹전, 이몽가, 이개, 이건 (조선 중기 왕족), 이번 (1463년), 이광수, 이광식 (1493년), 이극돈, 이극감, 이극균, 이교주, 이장, 이장경, 이인임, 이정재 (배우), 이조, 이즙 (1503년), 이징옥, 이징옥의 난, 이지방 (1466년), 이유, 이유 (1645년), 이유 (동음이의), 이육, 이윤인, 이태영 (1744년), 이수형 (1435년), 이예춘, 이현로, 이양 (왕족), 이행검 (조선), 이사명 (1404년), 이사철 (1411년), 이산해, 이씨 (정현조 후처), 이세희, 이시애, 이시애의 난, 이원 (여말선초), 이원익, 이화동 (서울), 인천 동구의 행정 구역,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의 역사, 인수대비 (드라마), 인성대군, 음력 6월 11일, 음력 9월 24일, 음력 9월 8일, 의림지, 의빈부, 의정부, 의창, 의창군 (이공), 의숙공주, 익현군, 제주향교, 제안대군, 절의파, 전균, 전인택, 전주 이씨, 전옥서, 전설사, 전함사, 정도전, 정몽주, 정미수, 정견 (1427년), 정보 (조선), 정관정요, 정분, 정난종, 정승수 (조선 사람), 정희왕후, 정인지, 정의공주, 정종 (영양위), 정진숙 (출판인), 정차온, 정창서, 정창손, 정축지변, 정숭조, 정순공주, 정순왕후 (조선 단종), 정현조, 정현옹주, 정현왕후, 정양군 (1442년), 정여창 (1450년), 정선공주, 정소공주, 정안옹주 (세종), 조려, 조방림, 조극관, 조의제문, 조석문, 조선, 조선 덕종, 조선 문종, 조선 단종, 조선 효종, 조선 정조, 조선 태종, 조선 숙종, 조선 예종, 조선 연산군, 조선 성종, 조선 세조, 조선 세종, 조선 왕 가계도, 조선 왕을 말하다, 조선경국전, 조선의 공신, 조선의 북진정책, 조선의 역대 국왕, 조선의 역대 왕비, 조선의 역대 왕대비, 조선의 역대 왕세자빈, 조선의 역사, 조선의 연호, 조선왕릉, 조선왕조실록, 좌의정, 좌익공신, 종로구, 종묘, 종묘 제례악, 중구 (인천광역시), 중구 (서울특별시), 중추원 (대한제국), 중추원 (조선), 집현전, 진관 체제, 진일유고, 진천 금성대군 사당, 지 (성씨), 지덕사, 지달하, 지정, 차 (음료), 창릉 (조선), 창절사, 창원군 (왕족), 청렴포, 청주 양씨, 청원군, 청화백자, 천안 광덕사 감역교지, 초 의제, 초정약수, 충익부, 충주 박씨, 충훈부, 추동궁 마마, 추노, 치호, 유동근, 유응부, 유점사, 육종영, 윤번, 윤곤, 윤기견, 윤자운, 윤임, 윤지임, 윤취지, 윤호 (1424년), 윤여필, 윤사로, 윤사분, 윤사흔, 윤사윤, 윤안인, 윤필상, 윤원량, 윤원형, 휴휴당 부조묘, 파평 윤씨, 파주시, 파천무, 파천무 (1980년 드라마), 팔도, 위리안치, 상원사 (평창군), 생육신, 태 (연극), 태인 박씨, 태상왕, 숭선군 (조선 전기), 순창 귀래정, 수국사, 수군, 수종사, 숙의 권씨 (단종), 숙의 김씨 (단종), 숙의 신씨 (덕종), 숙주나물, 영남루, 영희전, 영의정, 영응대군, 영천시, 영천시의 행정 구역, 영순군, 영풍군 (왕족), 영산회상 (음악), 영성대군, 영월 청령포, 영월군, 오가작통법, 오자경, 오음약보, 옥계서원 (전남), 옥포성, 온양군, 호성동, 혜민서, 혜빈 양씨, 혜순공주, 예천 용문사 감역교지, 현덕왕후, 현릉 (조선), 현숙공주, 옛 보신각 동종, 최남현, 최정원 (1971년), 최영손, 최호 (조선), 최항 (1409년), 최한, 최한기, 어 (성씨), 어보, 어보 목록, 어득해, 어효첨, 어진, 어유소, 어세공, 양녕대군, 양정 (조선), 양주시, 역대병요, 역사 연표, 역사스페셜, 역사저널 그날의 에피소드 목록, 연성동, 연안 단씨, 허균, 허자, 엄흥도, 풍저창, 풍천 노씨 대종가, 사도시, 사릉, 사방지, 사가독서, 사군, 사포서, 사천군, 사육신, 사육신 (드라마), 사육신묘, 사육신공원, 사옹원, 사화, 산가요록, 삼국사절요, 삼정승, 삼성사, 석보상절, 선위, 설계조, 설중매, 섭정, 성담수, 성승, 성희안, 성종실록, 성삼문, 세조, 세조찬위, 세조실록, 세종실록, 서거정, 서운관, 서울 관상감 관천대, 서울 수국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서울 원각사지 대원각사비, 서울 원각사지 십층석탑, 서인석 (배우), 서종제, 서준영, 서오릉, 서산 해미읍성, 속리산, 손윤생, 송희립, 송현수, 송시열, 소격서, 소용 박씨, 소혜왕후, 소헌왕후, 쇼타이큐 왕, 함 (성씨), 함부림, 합덕읍, 항우, 해동제국기, 핼리 혜성, 한량, 한명회, 한명회 (드라마), 한명진 (1426년), 한백륜, 한계희, 한계순, 한국 무용, 한국 백자, 한국 법제의 역사, 한국 불교의 역사, 한국음악, 한국의 반란 목록, 한국의 불교, 한국의 역사, 한국의 연극, 한국의 왕자와 왕녀 목록,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 한남군, 한용운, 한치인, 한치의, 한산후, 한확, 안동시의 역사, 안평대군, 안주 범씨, 안창호, 안순왕후, 안산시, 안성 부조묘, 안악 김씨, 하릉군 (조선 전기), 하위지, 압구정동, 학조, 신면, 신빈 김씨, 신용개, 신정 (1442년), 신종, 신증동국여지승람, 신채호, 신수근, 신숙주, 신숙주선생묘, 심 (성씨), 심덕부, 심결, 심귀령, 심회, 심응, 심순경, 심온, 심연원, 심통원, 시흥 김씨, 시흥군, 시조, 원각경언해, 원각사지, 원경왕후, 원균, 원천군 (1433년), 원호 (조선), 훈민정음 언해, 훈구파, 월인천강지곡, 월인석보, 월인석보 권17~18, 월인석보목판, 월산대군, 홍무정운역훈, 홍달손, 홍일동, 홍유손, 홍윤성, 황보인, 황효원, 황치신, 황수신, 외왕내제, 환곡, 환구단, 화의군, 완천군 (1373년), 왕과 비, 왕과 나 (드라마), 왕순례, 왕세숙, KBS 스페셜, 11월 2일, 1417년, 1418년, 1424년, 1455년, 1456년, 1457년, 1458년, 1459년, 1460년, 1461년, 1462년, 1463년, 1464년, 1465년, 1466년, 1467년, 1468년, 1483년, 6조직계제, 9월 24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597 더) »

ㆆ(여린히읗, 된이응)은 훈민정음의 자모 중 하나로 현대 한국어 표기에는 쓰이지 않. 훈민정음에 따르면 ㆆ은 청탁의 구별에서 전청이고 조음 위치로는 목구멍소리로 설명하고 있어서 성문 파열음 으로 그 음가를 추정하고 있. 주로 중국어 발음을 표기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글자로 세조 때까지만 쓰였.

새로운!!: 조선 세조와 ㆆ · 더보기 »

능지

랑스 선교사들이 중국에서 능지처참 당하는 1858년 삽화 능지(凌遲)란 고대 중국에서 청대까지 걸쳐 시행되었던 중국의 사형 방법의 하나로, 한국 등에서도 행해졌.

새로운!!: 조선 세조와 능지 · 더보기 »

능엄경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 K.0426, T.0945), 줄여서 《대불정수능엄경》 또는 《수능엄경》 또는 《능엄경》(楞嚴經)은 선(禪)을 닦아 인간의 감각작용에서 유발되기 쉬운 온갖 번뇌로부터 해탈의 경지에 이르는 요의(要義)를 설한 대승불교의 불경으로, 당나라 때 반랄밀제(般剌蜜帝)가 한역(漢譯)하였.

새로운!!: 조선 세조와 능엄경 · 더보기 »

덕종

덕종(德宗)은 동아시아 제왕의 묘호 중 하나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덕종 · 더보기 »

덕수궁

덕수궁(德壽宮)은 서울 중구 정동(貞洞)에 있는 조선과 대한제국의 궁궐로서, 대한민국의 사적 제124호이며 면적은 63,069m2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덕수궁 · 더보기 »

덕원군

덕원군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조선 세조와 덕원군 · 더보기 »

덕원군 (왕족)

덕원군(德源君, 1449년 3월 6일 ~ 1498년 7월 22일)은 조선 전기의 왕자, 왕족으로, 세조의 서자이며 근빈 박씨 소생이었.

새로운!!: 조선 세조와 덕원군 (왕족) · 더보기 »

독립협회

독립협회에 모인 민중들 독립협회(獨立協會)는 1896년 7월 2일 설립된 조선과 대한제국의 시민사회단체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독립협회 · 더보기 »

동망봉

동망봉(東望峰)은 서울특별시 성북구 보문동6가, 종로구 숭인동에 있는 산이다, 청룡사라는 절이 위치해 있. 1456년(조선 세조 2) 단종이 죽은 후, 단종의 비인 정순왕후(定順王后) 송(宋)씨가 청룡사에 머무르며 날마다 동망봉에 올라 단종이 귀양가서 죽은 영월 쪽을 바라보며 울었다고 전. 정순왕후 송씨는 노비로 격하되어 이곳 동대문 성밖 정혜원에서 비구니로 65년을 남편인 단종을 사모하며,82세까지 살았하여, 능호는 생각할사 사릉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동망봉 · 더보기 »

동구 (인천광역시)

청사 입구 청사 입구 동구(東區)는 인천광역시의 구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동구 (인천광역시) · 더보기 »

동국지도 (1463년)

〈동국지도〉(東國地圖)는 정척, 양성지가 만든 지도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동국지도 (1463년) · 더보기 »

동국역경원

동국역경원(東國譯經院)은 1964년에 해인사 고려대장경의 번역을 목적으로, 서울특별시 동국대학교에 부설된 기관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동국역경원 · 더보기 »

동국통감

동국통감(東國通鑑)은 단군조선에서 고려 말까지의 역사를 편년체로 기록한 사서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동국통감 · 더보기 »

동두천 삼충단

동두천 삼충단(東豆川 三忠壇)은 경기도 동두천시에 있는 삼충단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동두천 삼충단 · 더보기 »

동작구

동작구(銅雀區)는 서울특별시의 남부에 있는 구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동작구 · 더보기 »

동학사

동학사동학사(東鶴寺)는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에 있는 사찰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동학사 · 더보기 »

류자광

자광(柳子光, 1439년 ~ 1512년 6월)은 조선의 초기의 무신, 군인, 교육자, 유학자, 작가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류자광 · 더보기 »

류자환

자환(柳子煥, 1424년 ~ 1467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류자환 · 더보기 »

말티고개

말티고개 또는 말티재는 충청북도 보은군 장안면 속리산의 언덕으로 충북 보은군 장안면 장재리 산5-12번지에 해당.

새로운!!: 조선 세조와 말티고개 · 더보기 »

맹석흠

맹석흠(孟碩欽, 1429년 ~ ?)은 조선의 무신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맹석흠 · 더보기 »

마곡사

마곡사(麻谷寺)는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운암리 태화산 동쪽 산허리에 있는 절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마곡사 · 더보기 »

마승 (1393년)

마승(馬勝, 1393년 ~ 1463년)은 조선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마승 (1393년) · 더보기 »

면리제

면리제(面里制)는 조선시대에 제정된 행정구역 제도였.

새로운!!: 조선 세조와 면리제 · 더보기 »

목장지도

목장지도(牧場地圖)는 조선 현종 4년(1663년) 당시의 사복시(司僕寺) 제조(提調)였던 허목이 그 이전에 작성되었던 목장지도를 보완해 편찬한 목장에 관한 지도책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목장지도 · 더보기 »

몽유도원도

몽유도원도(夢遊桃源圖)는 조선 초기 세종에 조선의 화가 안견(安堅)이 세종의 셋째 왕자 안평대군의 꿈 이야기를 듣고 3일 만에 그린 산수화로서, 안견의 그림, 안평대군의 글씨, 그리고 집현전 문사들의 서예와 시, 문장이 세심히 어우러진 서화합벽(書畵合璧) 작품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몽유도원도 · 더보기 »

명숙공주

명숙공주(明淑公主, 1455년 ~ 1482년 음력 10월 4일)는 덕종과 소혜왕후 장녀로 성종의 친누나이자, 월산대군의 친동생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명숙공주 · 더보기 »

무안대군

무안대군 이방번(撫安大君 李芳蕃, 1381년 ~ 1398년 10월 6일(음력 8월 26일))은 조선 태조 이성계의 일곱째 왕자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무안대군 · 더보기 »

문평군

문평군 이종윤(文平君 李從胤, 1428년 ~ 1497년 12월)은 조선의 왕족 종실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문평군 · 더보기 »

문익점

문익점(文益漸, 1331-1400)은 고려 말의 학자, 문신, 외교관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문익점 · 더보기 »

문정왕후 (조선)

문정왕후 윤씨(文定王后 尹氏, 1501년 12월 2일(음력 10월 22일) ~ 1565년 5월 5일(음력 4월 6일))는 조선 중기의 왕후이자 섭정으로 중종(中宗)의 제2계비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문정왕후 (조선) · 더보기 »

문종실록

《문종공순대왕실록》(文宗恭順大王實錄) 또는 《문종실록》(文宗實錄)은 조선 문종이 즉위한 1450년 3월부터 승하한 1452년 5월까지 재위 2년 3개월 간의 일을 기록한 실록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문종실록 · 더보기 »

문채원

문채원(文彩元, 1986년 11월 13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문채원 · 더보기 »

문천 공씨

공씨(金浦公氏)는 함경남도 문천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문천 공씨 · 더보기 »

문양군

문양군 이계윤(文陽君 李季胤, 1431년 ~ 1489년)은 조선의 왕족 종실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문양군 · 더보기 »

묘법연화경언해

《묘법연화경언해(妙法蓮華經諺解)》는 조선 세조(재위 1455~1468) 때 황수신(黃守信)윤사로(尹師路) 등이 왕명을 받들어 《묘법연화경》을 한글로 번역한 것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묘법연화경언해 · 더보기 »

묘호

묘호(廟號)는 중국, 한국, 베트남 등 동양의 봉건 왕조 국가에서 황제 또는 국왕과 같은 군주에게만 붙인 칭호로 군주가 승하한 뒤 태묘(太廟, 또는 종묘)에서 군주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낼 때 사용되었.

새로운!!: 조선 세조와 묘호 · 더보기 »

미추홀

미추홀(彌鄒忽)은 현재의 인천광역시 일부를 일컫는 백제 시대의 지명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미추홀 · 더보기 »

민신

민신(閔伸, ? ~ 1453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文臣)이다며, 단종의 충신 중 삼중신의 한명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민신 · 더보기 »

방 (성씨)

방(方, 房, 龐, 邦)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방 (성씨) · 더보기 »

방강

방강(方綱, 1400년 ~ ?)은 조선 초기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방강 · 더보기 »

방귀원

방귀원(房貴元, 1445년? ∼ 1469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방귀원 · 더보기 »

방구행

방구행(房九行, 1381년 ~ ?)은 조선 초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방구행 · 더보기 »

방효유

방효유(方孝孺, 원 지정(至正) 17년 (1357년) ~ 명 건문(建文) 4년 (1402년))는 명나라 초기의 학자.

새로운!!: 조선 세조와 방효유 · 더보기 »

방윤

방륜(方輪, 1464년 ∼ 1534년)은 조선의 무신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방윤 · 더보기 »

갈현동 (서울)

현동(葛峴洞)은 서울특별시 은평구에 있는 동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갈현동 (서울) · 더보기 »

반야바라밀다심경언해

《반야바라밀다심경언해(般若波羅密多心經諺解)》는 조선 세조(재위 1455~1468) 때 한계희 등이 엮은 불경 언해서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반야바라밀다심경언해 · 더보기 »

반야바라밀다심경약소

《반야바라밀다심경약소》 또는 《반야심경약소》는 당나라 법장(法藏)이 대반야경(大般若經)의 근본 중심 사상인 공(空)과 유(有)의 상성론(相成論)을 골자로 한 《반야심경약소》에 송나라 중희(仲希)의 주해를 더하여 엮은 책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반야바라밀다심경약소 · 더보기 »

반야사

반야사(般若寺)는 충청북도 영동군 황간면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소속의 사찰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반야사 · 더보기 »

간경도감

경도감(刊經都監)은 조선 시대 초기에 불경을 한글로 번역출간하기 위해 세워진 국립 기관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간경도감 · 더보기 »

강맹경

강맹경(姜孟卿, 1410년 ~ 1461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강맹경 · 더보기 »

강희맹

강희맹(姜希孟, 1424년 ~ 1483년)은 조선 초기 문신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강희맹 · 더보기 »

강희안

강희안의 고사관수도 (高士觀水圖) 강희안(姜希顔, 1419년 ~ 1464년)은 조선의 명신이며 서예가, 화가, 시인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강희안 · 더보기 »

박중선

박중선(朴仲善), 1435년 ~ 1481년)은 조선 중기의 무신이다. 본관은 순천(順天). 자는 자숙(子淑), 시호는 소양(昭襄)이다. 소헌왕후의 조카로 세조의 사촌이다. 박원종의 아버지이자 장경왕후, 대윤의 영수 윤임의 외조부이다.

새로운!!: 조선 세조와 박중선 · 더보기 »

박중손

박중손(朴仲孫, 1412년 ~ 1466년 5월 26일)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박중손 · 더보기 »

박진장군묘

박진장군묘(朴晋將軍墓)는 조선 선조 때의 무신으로 임진왜란 때 왜군과의 전투에서 큰 업적을 세운 의열공 박진(?∼1597) 장군의 묘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박진장군묘 · 더보기 »

강윤성

강윤성(康允成, ? - 1358년 12월)은 고려 말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강윤성 · 더보기 »

박팽년

박팽년(朴彭年, 1417년 ~ 1456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 겸 학자로 사육신의 한 사람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박팽년 · 더보기 »

박상

박상(朴祥, 1474년 ~ 1530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박상 · 더보기 »

박상민 (배우)

박상민(朴尚民, 1970년 10월 19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박상민 (배우) · 더보기 »

강순

강순(康純, 1390년 ~ 1468년 10월 27일)은 조선 세종, 세조 때의 명장, 정치가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강순 · 더보기 »

강신성일

강신성일(姜申星一, 1937년 5월 8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며 前 국회의원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강신성일 · 더보기 »

박원종

박원종(朴元宗, 1467년 ~ 1510년)은 조선 전기의 무신(武臣) 겸 정치가(政治家)로 자는 백윤, 시호는 무열로 본관은 순천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박원종 · 더보기 »

박원형

박원형(朴元亨, 1411년 ∼ 1469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공신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박원형 · 더보기 »

가곡 (한국 음악)

곡(歌曲)은 조선 시대에 불린, 관현악 반주가 따르는 전통 성악곡으로 노랫말은 시조를 쓴. 1969년에 “시조에 곡을 붙여 관현악 반주에 맞추어 부르는 전통음악으로 변화없이 오랜 세월 동안 명맥을 유지하여 왔으며, 전문가들에 의해 전승되어온 예술적 가치가 높은 음악”이라는 사유로 대한민국 중요무형문화재 제30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조선 세조와 가곡 (한국 음악) · 더보기 »

밀성군

밀성군 이침(密城君 李琛, 1430년 ~ 1479년)은 조선 세종의 5남으로 생모는 신빈 김씨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밀성군 · 더보기 »

거금도

(居金島)는 행정구역 상 전라남도 고흥군 금산면에 속하는 섬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거금도 · 더보기 »

건봉사

봉사(乾鳳寺)는 강원도 고성군에 위치한 대한불교조계종 소속 사찰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건봉사 · 더보기 »

격구

격구(擊毬)는 전통 공놀이로서 통상적으로 편을 갈라 나무 채나 막대기 등을 이용해 달걀 크기 정도의 공을 쳐서 일정한 거리에 있는 구문(毬門)에 공을 넣어 경기장 밖으로 나가게 하거나, 구멍에 넣는 공놀이들을 가리.

새로운!!: 조선 세조와 격구 · 더보기 »

겸사복

사복(兼司僕)은 조선시대 정예 기병 중심의 친위군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겸사복 · 더보기 »

경릉

경릉은 중국과 한국의 왕릉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경릉 · 더보기 »

경릉 (조선 덕종)

경릉(敬陵)은 조선 세조의 아들로 요절한 의경세자(후에 덕종으로 추존)와 그의 비 소혜왕후의 능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경릉 (조선 덕종) · 더보기 »

경복궁

경복궁(景福宮)은 대한민국 서울 세종로에 있는 조선 왕조의 법궁(法宮, 정궁)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경복궁 · 더보기 »

경국대전

경국대전(經國大典)은 조선시대의 최고의 법전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경국대전 · 더보기 »

경국대전 권3

경국대전 권3(經國大典 卷三)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목판본 책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경국대전 권3 · 더보기 »

경녕군

경녕군 이비(敬寧君 李裶, 1395년 12월 13일 ~ 1458년)는 조선의 왕족 종실이며 태종의 서장자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경녕군 · 더보기 »

경정공주

경정공주(慶貞公主, 1387년 ~ 1455년 6월 6일)은 조선의 왕족으로, 태종과 원경왕후 민씨 사이에서 태어난 차녀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경정공주 · 더보기 »

경주 박씨

경주 박씨(慶州 朴氏)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경주 박씨 · 더보기 »

경숙옹주 (문종)

경숙옹주(敬淑翁主, 1439년 ~ 1482년 이전)는 조선 문종과 사칙 양씨 사이에서 태어난 서녀로, 단종의 이복 남매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경숙옹주 (문종) · 더보기 »

경혜공주

경혜공주(敬惠公主, 1436년 ~ 1473년 음력 12월 30일)는 문종과 현덕왕후 사이에서 태어난 딸로, 단종의 친누이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경혜공주 · 더보기 »

경안공주

경안공주(慶安公主, 1393년 ~ 1415년 5월 30일(음력 4월 22일))는 조선의 공주로, 제3대 태종(太宗, 1367~1422, 재위: 1400~1418)과 원경왕후 민씨(元敬王后 閔氏, 1365~1420)의 3녀이며, 세종(世宗, 1397~1450, 재위: 1418~1450)과 양녕대군(讓寧大君, 1394~1462)의 누나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경안공주 · 더보기 »

고명대신

명대신(顧命大臣)은 고명지신 이라고도 하며, 황제나 국왕의 임종시 임금의 유언을 받드는 대신으로 나라의 뒷일을 부탁받는 신하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고명대신 · 더보기 »

고추장

시판되는 고추장 고추장(-醬)은 고춧가루를 주원료로 하여 찹쌀과 메주등을 섞어 만드는 한국의 전통음식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고추장 · 더보기 »

고시언

시언(高時彦, 1671 ~ 1734)은 조선의 시인·역관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고시언 · 더보기 »

곡성 태안사 동종

곡성 태안사 동종(谷城 泰安寺 銅鐘)은 전라남도 곡성군 태안사에 있는, 조선 시대의 동종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곡성 태안사 동종 · 더보기 »

곤양 배씨

양 배씨(昆陽 裵氏)는 경상남도 사천시 곤양면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곤양 배씨 · 더보기 »

보성군 (1416년)

보성군(寶城君, 1416년 ~ 1499년 음력 9월 1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왕족, 무신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보성군 (1416년) · 더보기 »

보신각

보신각(普信閣)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사거리에 있는 전통 한옥 누각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보신각 · 더보기 »

곽재우

곽재우(郭再祐, 1552년 9월 16일(음력 8월 28일) ~ 1617년 5월 14일(음력 4월 10일))는 조선 중기의 무신, 정치인, 군인으로 임진왜란에서 크게 활약한 의병장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곽재우 · 더보기 »

곽연성

곽연성(郭連城, ? ~ 1464년)은 조선 전기의 무신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곽연성 · 더보기 »

공 (성씨)

공(孔, 公)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공 (성씨) · 더보기 »

공빈 최씨

공빈 최씨(恭嬪 崔氏, 생몰년 미상)는 조선 예종의 후궁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공빈 최씨 · 더보기 »

공장공 변종인 신도비

공장공 변종인 신도비(恭莊公 卞宗仁 神道碑)는 경기도 부천시 고강동 산 63-7에 있는 조선 전기의 무신인 변종인(1433~1500) 선생의 신도비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공장공 변종인 신도비 · 더보기 »

공주 마곡사 대광보전

공주 마곡사 대광보전(公州 麻谷寺 大光寶殿)은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마곡사로 966, 마곡사 (운암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목조건물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공주 마곡사 대광보전 · 더보기 »

공주의 남자

《공주의 남자》는 2011년 7월 20일부터 2011년 10월 6일까지 KBS 2TV에서 방송된 24부작 특별기획드라마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공주의 남자 · 더보기 »

공혜왕후

공혜왕후 한씨(恭惠王后 韓氏, 1456년 11월 8일(음력 10월 11일) ~ 1474년 4월 30일(음력 4월 15일))는 조선 성종의 원비(元妃)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공혜왕후 · 더보기 »

계유정난

유정난(癸酉靖難)은 1453년(단종 1) 11월 10일 (음력 10월 10일) 수양대군이 김종서와 황보인과 세종의 여러 대군들을 귀양보내거나 제가하며 마지막으로 단종을 제거하고 정권을 장악한 사건을 말. 이 정변이 계유년에 일어났으므로 계유정난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계유정난 · 더보기 »

계양군

양군 이증(桂陽君 李璔, 1427년 - 1464년 8월 16일)은 조선 전기의 왕족으로, 세종의 서자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계양군 · 더보기 »

변상복

변상복(邊尙服, ? ∼ 1455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변상복 · 더보기 »

광릉

광릉(光陵)은 조선 제7대왕 세조와 정희왕후 윤씨(貞熹王后尹氏)의 능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광릉 · 더보기 »

광명시

광명시(光明市)는 경기도 중서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광명시 · 더보기 »

광평대군

광평대군 이여(廣平大君 李璵, 1425년 5월 2일 ~ 1444년 12월 7일)는 조선의 왕족 종실로 세종대왕과 소헌왕후 심씨의 다섯째 아들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광평대군 · 더보기 »

봉상시

봉상시(奉常寺)는 조선의 행정기관으로 국가의 제사와 시호 등을 맡아보던 기관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봉상시 · 더보기 »

봉석주

봉석주(奉石柱, ? - 1465년 4월 19일)는 조선 전기의 무신이자 장군, 정치인이며, 계유정난과 세조 찬위에 공을 세운 공신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봉석주 · 더보기 »

봉선사

봉선사(奉先寺)는 경기도 남양주시 진전읍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소속 사찰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봉선사 · 더보기 »

봉황정

봉황정은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광탄리에 있. 1986년 5월 30일 양평군의 향토유적 제24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조선 세조와 봉황정 · 더보기 »

관곡지

곡지(官谷池)는 경기도 시흥시에 있는 연못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관곡지 · 더보기 »

관상 (영화)

《관상》(觀相)은 한재림 감독의 관상학을 소재로 한 2013년 대한민국 영화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관상 (영화) · 더보기 »

관상감

상감(觀象監)은 조선시대에 존재하였던 기구로, 천문학, 지리학(地理學)·역수(曆數: 책력)·측후(測候)·각루(刻漏) 등의 업무를 맡아보던 관청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관상감 · 더보기 »

관서 지방

서 지방(關西地方)은 현재의 평양직할시, 평안남도, 평안북도, 자강도 일대를 가리키는 조선의 지역 구분 용어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관서 지방 · 더보기 »

북정록

북정록(北征錄)은 다음과 같은 서적들을 가리.

새로운!!: 조선 세조와 북정록 · 더보기 »

북청군

북청군(北靑郡)은 함경남도 동부에 있는군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북청군 · 더보기 »

권람

(權擥, 1416년 ~ 1465년 2월 6일)은 조선 초의 문신, 역사학자, 작가, 문인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권람 · 더보기 »

권절

절(權節, 1422년 ~ 1494년)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권절 · 더보기 »

부부인

부부인(府夫人)은 조선시대 외명부 작위 중 하나로, 국왕(國王)의 적자(嫡子)인 대군(大君)의 정부인(正夫人)과 왕비(王妃)의 어머니에게 내린 정일품(正一品) 작위.

새로운!!: 조선 세조와 부부인 · 더보기 »

부원군

부원군(府院君)은 고려 충렬왕 이후 조선시대까지 사용한 작호(爵號)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부원군 · 더보기 »

근빈 박씨

빈 박씨(謹嬪 朴氏, 1425년《조선왕조실록》연산 55권, 10년(1504년 갑자 / 명 홍치(弘治) 17년) 9월 4일(신묘) 5번째기사. ~ ?)는 조선 제7대 왕 세조의 후궁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근빈 박씨 · 더보기 »

규장각

창덕궁 후원 부용지 주변에 세워진 규장각(2층 건물의 1층)과 서향각 규장각(奎章閣)은 조선 후기의 왕실 학문 연구 기관이자 왕실 도서관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규장각 · 더보기 »

규원사화

《규원사화(揆園史話)》는 1675년에 북애자(北崖子)가 저술하였다는 역사서 형식의 사화(史話)로, 상고시대와 단군조선의 임금에 대해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

새로운!!: 조선 세조와 규원사화 · 더보기 »

귀인

인의 의미는 다음과 같.

새로운!!: 조선 세조와 귀인 · 더보기 »

귀인 권씨 (덕종)

인 권씨(貴人 權氏, ? ~ 1494년 음력 4월 26일)는 조선의 추존왕 덕종(의경세자)의 후궁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귀인 권씨 (덕종) · 더보기 »

귀인 윤씨

인 윤씨(貴人 尹氏, 생몰년 미상)는 조선 덕종의 후궁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귀인 윤씨 · 더보기 »

귀성군

성군 이준(또는 구성군 이준, 龜城君 李浚, 1441년 1월 ~ 1479년 1월 28일)은 조선 전기의 왕족 종실(王族 宗室), 문신(文臣), 무신(武臣), 정치가(政治家)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귀성군 · 더보기 »

귀후서

후서(歸厚署)는 조선시대의 관청으로 예조의 속아문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귀후서 · 더보기 »

기보법

보법(記譜法)은 음악을 적는 방법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기보법 · 더보기 »

금강경언해

강경언해 제1장 《금강경언해(金剛經諺解)》는 조선 세조(재위 1455~1468) 때 간경도감에서 간행된 경서 번역서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금강경언해 · 더보기 »

금강경삼가해 권2

강경삼가해 권2(金剛經三家解 卷二)는 대구광역시 달서구, 동산도서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금속활자본 책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금강경삼가해 권2 · 더보기 »

금천 김씨 (경기도)

씨(衿川金氏)의 시조는 김한흥(金漢興)의 아들 김상렬(金商烈)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금천 김씨 (경기도) · 더보기 »

금성대군

성대군 이유(錦城大君 李瑜, 1426년 5월 5일/음력 3월 28일~1457년 11월 7일/음력 10월 21일)는 조선 전기의 왕족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금성대군 · 더보기 »

금서

금병매 금서(禁書)는 출판 및 판매, 독서, 소유를 금지한 책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금서 · 더보기 »

김문기

문기(金文起1399년 ~ 1456년)는 초명은 효기(孝基), 자는 여공(汝恭), 호는 백촌(白村) 혹은 마암(馬巖), 김녕 김씨(金寧 金氏) 충의공파(忠毅公派)의 파조(派祖)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김문기 · 더보기 »

김번

번(金璠, 1479년 ~ 1544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자(字)는 문서(文瑞)이며 본관은 (신)안동(安東)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김번 · 더보기 »

김보지

보지(金保之, ? - ?)는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김보지 · 더보기 »

김병세

병세(金秉世, 1962년 9월 26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김병세 · 더보기 »

김봉곤

봉곤(金鳳坤, 1967년 9월 28일 ~)은 대한민국의 한학 교육가 겸 시인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김봉곤 · 더보기 »

김국광

국광(金國光, 1415년 5월 12일 ~ 1480년 11월 11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김국광 · 더보기 »

김녕 김씨

녕 김씨(金寧 金氏)는 경상남도 김해시를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김녕 김씨 · 더보기 »

김담

(金淡, 1416년 ~ 1464년 7월 10일)은 조선 전기의 문신, 유학자, 수학자, 천문학자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김담 · 더보기 »

김승규 (조선 초기)

승규(金承珪, ? ~ 1453년 11월 10일)는 조선의 문신(文臣)이며 본관은 순천(順天)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김승규 (조선 초기) · 더보기 »

김승유 (조선)

승유(金承琉, 생몰년 미상)는 조선의 문신으로, 김종서(金宗瑞)의 3남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김승유 (조선) · 더보기 »

김장생

장생(金長生, 1548년 7월 8일 ~ 1631년 8월 3일)은 조선의 유학자, 정치인, 문신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김장생 · 더보기 »

김포 공씨

공씨(金浦 公氏)는 경기도 김포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김포 공씨 · 더보기 »

김흥기

흥기(金興基, 1946년 7월 28일 ~ 2009년 3월 6일)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김흥기 · 더보기 »

김일손

일손(金馹孫, 1464년 ~ 1498년 7월)은 조선 성종·연산군 때의 문신이며 학자, 사관, 시인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김일손 · 더보기 »

김종직

종직(金宗直, 1431년 6월 ~ 1492년 8월 19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이자 사상가이며, 성리학자, 정치가, 교육자, 시인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김종직 · 더보기 »

김종서

종서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조선 세조와 김종서 · 더보기 »

김종서 (1383년)

종서(金宗瑞, 1383년 ~ 1453년 11월 10일 (음력 10월 10일)는 조선 전기의 문신, 군인, 정치가이다. 본관은 순천(順天). 자는 국경(國卿), 호는 절재(節齋)이다. 도총제(都摠制) 김추(金錘)의 아들이다. 단종의 충신 3 상신(相臣) 중 한명이다. 시호는 충익(忠翼)이다.

새로운!!: 조선 세조와 김종서 (1383년) · 더보기 »

김종서 장군 묘

종서 장군 묘(金宗瑞 將軍 墓)는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에 있는 조선시대의 무덤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김종서 장군 묘 · 더보기 »

김증

증(金曾 또는金潧 1413년~1456년)은 집현전 교리(校理) 였. 그의 본관은 예안(禮安)으로 김담과 형제이며 그의 부친은 영유현령 소량공이였.

새로운!!: 조선 세조와 김증 · 더보기 »

김질 (1422년)

(金礩, 1422년 ~ 1478년 2월 24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무신,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김질 (1422년) · 더보기 »

김처선

선(金處善, ? ~1505년)은 세종부터 연산군까지 일곱 왕을 섬긴 최고위 내시인 판내시부사 겸 상선을 역임한 조선의 환관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김처선 · 더보기 »

김영철 (배우)

영철(1953년 2월 25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김영철 (배우) · 더보기 »

김영유

영유(金永濡)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김영유 · 더보기 »

김영호 (배우)

영호(金英浩, 1967년 5월 24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김영호 (배우) · 더보기 »

김호진 (배우)

호진(金鎬眞, 1970년 5월 5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요리 연구가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김호진 (배우) · 더보기 »

김성동 (1452년)

성동(金誠童, 1452년 ~ 1495년)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정치인으로 본관은 (구)안동.

새로운!!: 조선 세조와 김성동 (1452년) · 더보기 »

김서라

서라(金曙羅, 본명: 김영림, 1968년 1월 29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

새로운!!: 조선 세조와 김서라 · 더보기 »

김알음

알음(1972년 6월 27일 ~)은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연기자, 연극배우, 뮤지컬 배우, 가수, 작사가, 영화배우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김알음 · 더보기 »

김신민

신민(金新民)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김신민 · 더보기 »

김시습

시습(金時習, 1435년 ~ 1493년)은 조선 초기의 문인, 학자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김시습 · 더보기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1

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1(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 卷1)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목판본 책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1 · 더보기 »

대구 보성선원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복장전적

보성선원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복장전적(大邱 寶聖禪院 木造釋迦如來三尊坐像 腹藏典籍)은 대구광역시 달서구, 보성선원에 있는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에 들어있던 조선시대의 불경이다. 2013년 4월 29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802호로 지정되었다.

새로운!!: 조선 세조와 대구 보성선원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복장전적 · 더보기 »

대구광역시

광역시(大邱廣域市)는 대한민국의 동남부 내륙에 있는 광역시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대구광역시 · 더보기 »

대구군

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조선 세조와 대구군 · 더보기 »

대군 - 사랑을 그리다

《대군 - 사랑을 그리다》은 2018년 3월 3일부터 2018년 5월 6일까지 방영된 TV조선의 주말드라마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대군 - 사랑을 그리다 · 더보기 »

대제학

제학(大提學)은 고려와 조선의 관직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대제학 · 더보기 »

대윤 소윤

윤(大尹)과 소윤(小尹)은 조선 중기 중종의 친인척을 가리키는 용어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대윤 소윤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

이 문서는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 · 더보기 »

대악후보

악후보(大樂後譜)는 영조 35년(1759년)에 서명응이 세조 때의 음악을 편집한 7권 7책의 필사본 악보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대악후보 · 더보기 »

대왕 세종

《대왕 세종》(大王世宗)은 한국방송공사의 대하드라마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대왕 세종 · 더보기 »

대왕대비

왕대비(大王大妃)는 전왕의 어머니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대왕대비 · 더보기 »

구리시

리시청 청사 구리시(九里市)는 대한민국 경기도의 중동부에 위치하고 있는 시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구리시 · 더보기 »

구은사

은사(九隱祠)는 조선 단종의 복위를 도모하기 위해 은거한 구은사(九隱士, 생육신인 김시습 외 8인)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구은사 · 더보기 »

구치관

(具致寬, 1406년 ~ 1470년(성종 1년) 9월 13일)은 조선 초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구치관 · 더보기 »

구산동 (서울)

산동(龜山洞)은 서울특별시 은평구에 있는 동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구산동 (서울) · 더보기 »

국립수목원

국립수목원(國立樹木園) 은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직동리와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에 위치한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이자 수목원으로써 대한민국 산림청 산하의 정부 기관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국립수목원 · 더보기 »

국대부인

국대부인(國大夫人·國太夫人)은 중국과 한반도의 제·왕국에서 사용했던 외명부(外命婦) 관작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국대부인 · 더보기 »

국조보감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국조보감》 《국조보감》(國朝寶鑑)은 조선의 역대 임금들의 정치 활동 가운데서 모범이 될 만한 사실을 뽑아 적은 편년체의 역사책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국조보감 · 더보기 »

군기시

시(軍器寺)는 고려, 조선 시대에, 병기, 기치, 융장, 집물 따위의 제조를 맡아보던 관아로, 방위사업청과 비슷한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오늘날의 서울시청 자리에 있었.

새로운!!: 조선 세조와 군기시 · 더보기 »

군자감

자감은 군려(軍旅:군대의 수 또는 군세(軍勢))의 양향(糧餉:양식 또는 군량)에 관한 일을 맡아보는 관청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군자감 · 더보기 »

떠구지머리

머리, 큰머리, 거두미(巨頭味, 擧頭美)는 조선 시대 궁중에서 왕비와 왕세자빈 등이 예장할 때 이용하던 머리모양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떠구지머리 · 더보기 »

남 (성씨)

(南)씨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남 (성씨) · 더보기 »

남효온

효온의 글씨 남효온(南孝溫, 1454년~1492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고 생육신 중의 한 사람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남효온 · 더보기 »

남이

이(南怡, 1441년 ~ 1468년 10월 27일)는 조선시대 전기의 장군, 정치인, 시인, 척신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남이 · 더보기 »

남이의 옥

1468년 10월 24일 예종이 즉위한 지 한 달 보름만에 유자광이 남이(南怡)가 역모를 꾀하고 있다는 고변으로 시작되어 이시애의 난을 진압하는 데 공을 세웠던 남이(南怡)와 강순을 비롯해 민서, 문효량, 변영수, 변자의, 오치권 등이 역모죄로 죽음을 당한 사건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남이의 옥 · 더보기 »

남양주 수종사 부도

양주 수종사 부도(南楊州 水鍾寺 浮屠)는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송촌리, 수종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부도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남양주 수종사 부도 · 더보기 »

남양주 수종사 팔각오층석탑

양주 수종사 팔각오층석탑(南陽州 水鐘寺 八角五層石塔)은 경기도 남양주시 운길산 중턱에 위치한 수종사에 전해오는 조선시대의 석탑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남양주 수종사 팔각오층석탑 · 더보기 »

남양주시

양주시청 1청사(구 미금시청) 남양주시(南楊州市)는 대한민국 경기도의 중동부에 위치하고 있는 시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남양주시 · 더보기 »

남성우

성우(南聖祐, 출생1934. 사망2010) 1956년 서울중앙방송국의 제2기 성우로 데뷔하였으며, 2012년 현재는 KBS 2기로 분. 풍부한 성량 못지 않은 세련된 용모로 드라마나 영화에서 주연을 많이 담당하였으며, 특히 《현해탄은 알고 있다》에서 리노이에 역을 맡았을 때 경상도 사투리 붐까지 일으.

새로운!!: 조선 세조와 남성우 · 더보기 »

남소문

소문(南小門)은 조선 시대 사소문의 하나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남소문 · 더보기 »

내의원

의원(內醫院)은 조선 시대에 국왕 이하 왕족과 궁중에서 쓰이는 약을 조제하던 관청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내의원 · 더보기 »

내섬시

섬시(內贍寺)는 조선 시대 여러 궁전에 대한 공상과 2품 이상에게 주는 술과 안주, 왜인·여진인에게 주는 음식물과 직포등의 일을 맡는 관청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내섬시 · 더보기 »

내시원

시원(內侍院)은 고려 시대 근시문무관(近侍文武官)들이 소속된 관청을 일컫는 말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내시원 · 더보기 »

나주 쌍계정

주 쌍계정(羅州 雙溪亭)은 전라남도 나주시 노안면에 있는, 고려 충렬왕(재위 1274∼1308) 때에 문정공 정가신이 세웠다고 전하는 정자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나주 쌍계정 · 더보기 »

낙산사

낙산사 (洛山寺)는 대한민국 강원도 양양군 오봉산에 있는 사찰로 조계종 제3교구 신흥사의 말사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낙산사 · 더보기 »

낙산사 칠층석탑

낙산사 칠층석탑(洛産寺 七層石塔)은 강원도 낙산사에 있는 조선 시대의 석탑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낙산사 칠층석탑 · 더보기 »

노태우

우(盧泰愚, 1932년 12월 4일 ~)는 대한민국의 제13대 대통령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노태우 · 더보기 »

노사신

사신(盧思愼, 1427년 ∼ 1498년)은 조선 전기의 외척 출신 문신이자 학자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노사신 · 더보기 »

논산 영사암

산 영사암(論山 永思庵)은 충청남도 논산시에 있는, 조선 세조(재위 1455∼1468) 때 좌의정을 지낸 김국광과 김겸광 형제가 부모님이 돌아가신 후 3년간 무덤을 지키던 자리에 세운 암자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논산 영사암 · 더보기 »

단종과 사육신

종과 사육신은 대한민국의 창극 작품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단종과 사육신 · 더보기 »

단종실록

《단종대왕실록》(端宗大王實錄) 또는 《단종실록》(端宗實錄)은 1452년(단종 즉위년) 음력 5월부터 1455년(단종 3년) 윤6월 단종이 세조에게 선위하기까지의 단종 시기 국정 전반에 관한 사실을 편년체로 기록한 실록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단종실록 · 더보기 »

효령대군

효령대군(孝寧大君, 1396년 1월 6일 (음력 1395년 12월 11일) ~ 1486년 6월 12일(음력 5월 11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왕자, 왕족, 서예가, 정치가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효령대군 · 더보기 »

용문사 (예천군)

용문사(龍門寺)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내지리에 있는 사찰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용문사 (예천군) · 더보기 »

용문사 (양평군)

용문사(龍門寺)는 경기도 양평군에 위치한 대한불교조계종 소속의 사찰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용문사 (양평군) · 더보기 »

승평부부인

승평부대부인 박씨(昇平府大夫人 朴氏, 1455년 - 1506년 7월 20일)는 조선 전기의 왕족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승평부부인 · 더보기 »

회원군 (1464년)

회원군 이쟁(會原君 李錚, 1464년 ~ 1493년)은 조선의 왕족 종실 겸 시인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회원군 (1464년) · 더보기 »

장릉 (조선 단종)

장릉(莊陵)은 조선 단종의 무덤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장릉 (조선 단종) · 더보기 »

장말손

장말손(張末孫, 1431년 ~ 1486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장말손 · 더보기 »

장단군

장단군(長湍郡)은 경기도 북서부에 있었던 군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장단군 · 더보기 »

장순왕후

장순왕후 한씨(章順王后 韓氏, 1445년 2월 22일(음력 1월 16일) ~ 1462년 1월 5일(1461년 음력 12월 5일))는 조선 예종(睿宗)의 정비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장순왕후 · 더보기 »

장영실 (드라마)

《장영실》은 KBS 1TV에서 2016년 1월 2일부터 2016년 3월 26일까지 방송된 한국방송공사 대하드라마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장영실 (드라마) · 더보기 »

재궁동

재궁동(齋宮洞)은 대한민국 경기도 군포시에 있는 동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재궁동 · 더보기 »

임동진

임동진(林東眞, 1944년 4월 27일 ~)은 대한민국의 연극배우, 텔레비전 연기자, 영화배우, 극단 대표 겸 기업가이자 前 목회자이며, 前 서울 열린문교회 담임목사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임동진 · 더보기 »

임병기

임병기(任秉基, 1950년 1월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임병기 · 더보기 »

임진왜란

임진왜란(壬辰倭亂)은 1592년(선조 25) 일본이 조선을 침략하면서 시작되어 1598년(선조 31)까지 이어진 전쟁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임진왜란 · 더보기 »

임영대군

임영대군 이구(臨瀛大君 李璆, 1420년 1월 6일 ~ 1469년 1월 21일)은 조선시대 초기의 왕족, 정치인으로, 조선의 제4대 왕 세종대왕과 소헌왕후의 넷째 아들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임영대군 · 더보기 »

임사홍

임사홍(任士洪, 1445년 ~ 1506년 음력 9월 2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이자 외척, 사상가, 성리학자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임사홍 · 더보기 »

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동자좌상

상원사 목조문수동자좌상(上院寺木造文殊童子坐象)은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상원사에 있는 불상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동자좌상 · 더보기 »

평창군

평창군(平昌郡)은 대한민국 강원도 중남부의 군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평창군 · 더보기 »

평원대군

평원대군 이임(平原大君 李琳, 1427년 11월 18일 ~ 1445년 1월 16일)은 조선 세종대왕과 소헌왕후 심씨(昭憲王后 沈氏) 소생의 일곱째 아들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평원대군 · 더보기 »

이량 (1519년)

이량(李樑, 1519년 11월 17일 ~ 1563년 3월 8일)은 조선 중기의 왕족이자 문신, 외척이었.

새로운!!: 조선 세조와 이량 (1519년) · 더보기 »

이맹전

이맹전(李孟專, 1392년 ~ 1480년)은 조선 단종 때 문신, 생육신의 한 사람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이맹전 · 더보기 »

이몽가

이척은 조선 전기의 훈구파 문신으로 본관은 여주(驪州)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이몽가 · 더보기 »

이개

이개(李塏, 1417년 ~ 1456년)는 조선시대 전기의 학자이자 관리이며, 성삼문, 신숙주 등과 함께 훈민정음의 창제에 참여하였.

새로운!!: 조선 세조와 이개 · 더보기 »

이건 (조선 중기 왕족)

이건(李楗, 1505년 ~ 1571년은 조선 중기의 왕족, 문신으로 태종의 차남 효령대군 보의 5대손으로 전성군 이대(李對)의 아들이다. 권신 이량의 형이고, 명종비 인순왕후 심씨, 심의겸, 심충겸 등의 외삼촌이다. 본관은 전주이고 자는 국한(國閑), 경상남도 출신.

새로운!!: 조선 세조와 이건 (조선 중기 왕족) · 더보기 »

이번 (1463년)

이번(李蕃)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이번 (1463년) · 더보기 »

이광수

이광수(李光洙), 1892년 3월 4일 평안북도 정주군 ~ 1950년 10월 25일)는 조선,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소설가, 언론인, 시인, 문학평론가, 작가, 반민족행위자이다. 본관은 전주이며, 조선 목조의 장남 안원대군의 후손이다. 사상가, 기자, 번역가, 자유주의 운동가이기도 했다. 일제 강점기에 한민족 독립 운동에 참여, 신한청년당, 상하이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참여하였고, 임정 사료편찬위원회 그리고 신한청년당의 독립운동지 신한청년(新韓靑年)에도 주필로서 참여하였다. 그는 아시아 근대 문학과 지성의 태동기에서 대한의 재생과 광복을 꿈꾸고 기획하였으며, 여성 해방과 자유 연애론을 주장하기도 했다. 언론인 활동으로 일제 강점기에서 동아일보 편집국장과 조선일보 부사장을 지냈고 또한 문학 번역가로도 활동하며 영미권의 작품을 한글로 번안하여 국내에 소개하기도 했다. 1909년 첫 작품 사랑인가를 발표한 이후 일본 유학 중에 소설과 시, 논설 등을 발표하였고, 귀국 후 오산학교에서 교편을 잡다가 망명, 1919년 도쿄(東京)의 조선인 유학생의 2·8 독립 선언을 주도했으며, 2·8 독립 선언서를 기초한 후 3·1 운동 전후 상하이로 건너가 상하이 임시정부에 참가하고 그후 독립운동지 신한청년 등에서 주필을 역임하였다. 또한 임시정부의 일원으로 활동하며 대한제국의 독립의 정당성과 의지를 세계에 알리는데 노력했다. 또한 임시정부에서 발간하는 기관지인 《독립신문사》 사장을 맡아 활동했다. 하지만 허영숙이 상하이로 찾아와 귀국을 종용하자 상하이에서 독립운동을 접고 1921년 3월 귀국하여 허영숙과 결혼하였다. 종학원에서 철학, 윤리, 심리, 종교 등을 강의했고 경성학교와 경신학교에서 영어를 가르쳤다. 잡지《개벽》에 《소년에게》를 발표하여 출판법위반으로 입건되었다가 석방되었으며 1922년 5월 개벽지(誌)에 《민족개조론》을 발표하여 우리민족이 쇠퇴한 것은 도덕적 타락 때문이라고 했다. 1923년 《동아일보》에 입사하여 편집국장을 지내고, 1933년 《조선일보》 부사장을 거치는 등 언론계에서 활약하면서 《재생(再生)》, 《마의태자(麻衣太子)》, 《단종애사(端宗哀史)》, 《흙》 등 많은 작품을 쓰는 등 독립운동을 계속해서 전개하였다. 1937년 수양동우회(修養同友會) 사건으로 투옥되었다가 반 년 만에 병보석되었는데, 이때부터 본격적인 친일 행위로 기울어져 1939년에는 친일어용단체인 조선문인협회(朝鮮文人協會) 회장이 되었으며 같은 달 20일 조선문인협회 회장으로 협회 주체 전선(戰線) 병사 위문대·위문문 보내기 행사를 주도하였다. 1940년 2월 15일자 『매일신보』에 「국민문학의 의의」를 게재하고 황민화운동을 지지하였으며, 2월 20일자 『매일신보』의 「창씨(創氏)와 나」에서는 자신의 이름을 향산광랑(香山光郞)으로 바꾼 이유를 밝히고, 일제의 창씨개명 정책을 지지하기도 하였다. 3월부터 7월까지 『녹기(綠旗)』에 「진정 마음이 만나서야말로」를 연재하였으며, 9월 직접 작사한 노래 「지원병 장행가(壯行歌)」가 경성중앙방송국 제2방송에서 방송되었다. 12월에는 『국민총력』에 지원병훈련소 참관기인 「지원병훈련소의 하루」를 발표하였고, 황도학회 발기인으로 참여하였다. 1941년 일본어 산문집 『동포에 부침』이 박문서관(博文書館)에서 간행되었다. 8월 임전대책협의회의 발기인으로 참여하였고, 1941년 9월 3∼5일자 『매일신보』에 「반도민중의 애국운동」을 게재해 일본의 대동아공영권(大東亞共榮圈)을 지지하였다. 12월 조선임전보국단 전시생활부장으로, 영미타도대강연회에서 ‘사상 함께 영미를 격멸하라’라는 주제로 강연을 하기도 하였다. 1942년 5월 조선임전보국단이 주최한 징병제도 연설회에서는 ‘획기적 대선물’이라는 제목으로 연설하였으며, 『신시대』 1942년 4월호 「징병과 여성」을 게재해 징병제 실시를 환영하는 입장을 보였다. 6월 조선문인협회 주최의 ‘일본 군인이 되는 마음가짐’을 듣는 좌담회, 11월 도쿄에서 열린 제1회 대동아문학자대회에 참가하였다. 1943년 4월 조선문인보국회 이사로 선출되었고, 11월 임시특별지원병제도 경성익찬회 종로위원회 실행위원과 연사로 활동하였다. 같은 달 최남선 등과 함께 일본 내 한국인 유학생들의 입대를 권유하는 ‘선배 격려대’에 참여하였다. 1944년 6월 조선문인보국회 평의원, 결전태세즉응(決戰態勢卽應) 재선(在鮮) 문학자 총궐기대회 의장을 맡았다. 8월 적국항복 문인대강연회에서 ‘전쟁과 문학’이란 제목으로 강연을하였으며, 11월 제3회 대동아문학자대회에 참석하였다. 1945년 2월 대화동맹 준비위원 겸 이사, 6월 조선언론보국회 명예회원과 대의당(大義黨) 위원이 되었다. 해방 이후로 백범일지의 교정, 윤문과 안창호의 일대기 집필을 직접 맡아 주관하기도 했다. 1949년 반민특위에 기소가 제기됐으나 석방되었고, 1950년 6월 한국 전쟁때는 서울에 있다가 북한 인민군에게 납북되었다. 그간 생사불명이다가 1950년 만포(滿浦)에서 병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순한글체 소설을 쓰는 등 소설 문학의 새로운 역사를 개척하기도 하였다. 소설가로는 구한 말과 일제 강점기 시대 동안 '만인의 연인'이라는 별명과 함께 청소년 남녀 문인들의 우상이었고, 최남선, 홍명희와 더불어 조선의 3대 천재로 대표되었던 인물이었다. 자는 보경(寶鏡), 호는 춘원(春園)·고주(孤舟)·외배·올보리·장백산인(長白山人)이며, 필명으로 춘원생, 경서학인(京西學人), 노아자닷뫼당백, Y생, 장백, 장백산인 등을 썼다.

새로운!!: 조선 세조와 이광수 · 더보기 »

이광식 (1493년)

이광식(李光軾, 1493년(성종 23년) 11월 7일(음력 9월 29일) ~ 1563년(명종 18년) 12월 15일(음력 12월 1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무신, 군인, 정치인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이광식 (1493년) · 더보기 »

이극돈

이극돈(李克墩, 1435년 ∼ 1503년 2월 27일)은 조선 시대 전기의 문신, 정치인, 학자, 외교관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이극돈 · 더보기 »

이극감

이극감(李克堪, 1427년 ~ 1465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며 학자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이극감 · 더보기 »

이극균

이극균(李克均,1437년 ~ 1504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이극균 · 더보기 »

이교주

이교주(李咬住, 생몰년 미상)는 고려 말기 사람이자 조선의 왕족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이교주 · 더보기 »

이장

이장은 다음을 가리.

새로운!!: 조선 세조와 이장 · 더보기 »

이장경

이장경(李長庚, ? ~ ?)은 고려시대 중기의 호족으로 이백년, 이천년, 이만년, 이억년, 이조년 5형제의 아버지이자 이인기, 이승경의 할아버지였.

새로운!!: 조선 세조와 이장경 · 더보기 »

이인임

이인임(李仁任, ? ~ 1388년)은 고려 말기의 간신(奸臣), 권신(權臣)이자 시인(詩人)이었.

새로운!!: 조선 세조와 이인임 · 더보기 »

이정재 (배우)

이정재(李政宰, 1973년 3월 15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이정재 (배우) · 더보기 »

이조

이조(吏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이조 · 더보기 »

이즙 (1503년)

이즙(李楫, 1503년 - 1580년)은 조선시대 중기의 왕족 출신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이즙 (1503년) · 더보기 »

이징옥

이징옥(李澄玉, 1399년 ~ 1453년 음력 10월 20일)은 조선 시대 초기의 무신, 군인, 정치가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이징옥 · 더보기 »

이징옥의 난

이징옥의 난(李澄玉-亂)은 함길도 도절제사 이징옥이 수양대군 일파의 권력 장악과 자신의 파직에 대해 불만을 품고 여진족 등과 함께 일으킨 반란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이징옥의 난 · 더보기 »

이지방 (1466년)

이지방(李之芳, 1466년 10월 15일 - 1537년 12월 11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무신, 정치인, 군인이자 외교관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이지방 (1466년) · 더보기 »

이유

이유(理由)는 어떤 귀결 내지 결과를 낳기 위한 논거 또는 근거를 말. 충족이유율(充足理由律)에 의하면, 충분한 이유가 없으면 어떠한 사실도 생겨나지 않으며, 어떠한 판단도 참된 것(眞)이 못.

새로운!!: 조선 세조와 이유 · 더보기 »

이유 (1645년)

이유(李濡, 1645년 ~ 1721년)는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이유 (1645년) · 더보기 »

이유 (동음이의)

이유는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이유 (동음이의) · 더보기 »

이육

이육(李陸, 1438년~1498년)은 조선 초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이육 · 더보기 »

이윤인

이윤인(李尹仁)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이윤인 · 더보기 »

이태영 (1744년)

이태영(李泰永, 1744년 10월 9일 ~ 1803년 1월 24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정치인, 외교관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이태영 (1744년) · 더보기 »

이수형 (1435년)

이수형(李秀亨, 1435년 ~ 1528년 1월 24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시인, 학자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이수형 (1435년) · 더보기 »

이예춘

이예춘(1919년 7월 20일 ~ 1977년 11월 23일)은 대한민국의 영화 배우.

새로운!!: 조선 세조와 이예춘 · 더보기 »

이현로

이현로(李賢老, ? ~ 1453년 11월 10일)는 조선의 문신, 시인, 서예가, 서화가, 무예가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이현로 · 더보기 »

이양 (왕족)

령군 충민공 이양(河寧君 忠愍公 李穰, ? ~ 1453년 11월 10일)은 조선 초기의 왕족 종실, 무신, 문신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이양 (왕족) · 더보기 »

이행검 (조선)

이행검(李行儉, ? ~ ?)은 조선의 무신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이행검 (조선) · 더보기 »

이사명 (1404년)

이사명(李思明 1404년 ~ ?)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이사명 (1404년) · 더보기 »

이사철 (1411년)

이사철(李思哲, 1411년 ~ 1456년 12월 16일)은 조선 전기의 왕족 출신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이사철 (1411년) · 더보기 »

이산해

이산해(李山海, 1539년 7월 20일 ~ 1609년 음력 8월 23일)는 조선 중기의 문신, 정치인, 시인이며 성리학자, 교육자, 화가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이산해 · 더보기 »

이씨 (정현조 후처)

정경부인 우계이씨(생몰년 미상)는 조선 전기 사람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이씨 (정현조 후처) · 더보기 »

이세희

이세희(李世熺)는 조선 고종 때 서유영이 쓴 야사집 《금계필담》에 등장하는 인물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이세희 · 더보기 »

이시애

이시애(李施愛, ? ~ 1467년 8월 12일)는 조선 초기의 무신이자, 군인, 반란자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이시애 · 더보기 »

이시애의 난

이시애의 난(李施愛-亂)은 1467년(세조 13년) 5월부터 8월까지 함경도 길주의 호족 이시애 등이 세조의 집권 정책에 반대해 일으킨 반란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이시애의 난 · 더보기 »

이원 (여말선초)

이원(李原, 1368년 ~ 1429년)은 고려 말과 조선 초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이원 (여말선초) · 더보기 »

이원익

이원익(李元翼, 문화어: 리원익, 1547년 12월 5일 ~ 1634년 2월 26일)은 조선시대 중기, 후기의 왕족 종실 출신 문신, 시인, 학자, 정치인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이원익 · 더보기 »

이화동 (서울)

낙산에서 바라본 대학로 일대 이화동(梨花洞)은 서울특별시 종로구의 법정동이자 행정동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이화동 (서울) · 더보기 »

인천 동구의 행정 구역

인천 동구의 행정 구역은 11행정동 204통 980반으로 구성되어 있. 인천 동구의 면적은 7.19km2(시 전체의 0.7%)이며, 인구는 2015년 5월 말 주민등록을 기준으로 7만3642 명, 3만677 세대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인천 동구의 행정 구역 · 더보기 »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仁川廣域市)는 대한민국의 서해안에 있는 광역시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인천광역시 · 더보기 »

인천광역시의 역사

대동여지도에 그려진 인천 부근 인천광역시의 역사는 선사시대인 구석기 시대로 거슬러 올. 원삼국시대에 미추홀이 있었다고 추정되며, 삼국 시대에 고구려의 영토가 된 뒤로는 매소홀현(買召䑸䎱)으로 불리다가 다시 신라의 영토가 되었고 경덕왕이 소성(邵城)이라 이름지었.

새로운!!: 조선 세조와 인천광역시의 역사 · 더보기 »

인수대비 (드라마)

《인수대비》는 JTBC의 텔레비전 드라마로, 조선 문종 시대부터 연산군 시대까지의 인물인 소혜왕후의 삶을 다루었.

새로운!!: 조선 세조와 인수대비 (드라마) · 더보기 »

인성대군

인성대군 이분(仁城大君 李糞, 1461년 12월 31일/음력 11월 30일 ~ 1463년 12월 4일/음력 10월 24일)은 조선 전기의 왕족 종실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인성대군 · 더보기 »

음력 6월 11일

음력 6월 11일은 음력 6월의 11번째 날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음력 6월 11일 · 더보기 »

음력 9월 24일

음력 9월 24일은 음력 9월의 24번째 날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음력 9월 24일 · 더보기 »

음력 9월 8일

음력 9월 8일은 음력 9월의 8번째 날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음력 9월 8일 · 더보기 »

의림지

의림지(義林池)는 충청북도 제천시 모산동 일대에 있는 삼한시대의 인공 저수지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의림지 · 더보기 »

의빈부

의빈부(儀賓府)는 왕과 왕세자의 사위인 부마(駙馬)가 소속된 관청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의빈부 · 더보기 »

의정부

의정부(議政府)는 조선의 법제상 최고 정무기관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의정부 · 더보기 »

의창

의창(義倉)이란 고려 시대에 시행된 빈민 구제 제도이자 국립 구호기관으로, 가난한 백성에게 양곡을 대출하고 그것을 다시 회수하는 진휼곡창이었.

새로운!!: 조선 세조와 의창 · 더보기 »

의창군 (이공)

의창군 이강(또는 이공, 義昌君 李玒, 1428년 ~ 1460년)은 조선의 왕족으로, 조선 제4대 임금 세종의 서자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의창군 (이공) · 더보기 »

의숙공주

의숙공주(懿淑公主, 1442년 ~ 1477년 음력 12월 3일)는 조선의 왕족으로 조선 제7대 임금인 세조(世祖)와 정희왕후 윤씨(貞熹王后 尹氏, 1418~1483)의 딸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의숙공주 · 더보기 »

익현군

익현군 이련(翼峴君 李璉, 1431년 ~ 1463년)은 조선의 왕족으로, 조선 제4대 왕 세종의 서자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익현군 · 더보기 »

제주향교

제주향교(濟州鄕校)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용담1동에 있는 향교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제주향교 · 더보기 »

제안대군

제안대군 이현(齊安大君 李琄, 1466년 2월 13일 ~ 1525년 12월 14일)은 조선의 왕족 종실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제안대군 · 더보기 »

절의파

절의파(節義派)는 조선 전기 유학계(儒學界)의 4대학파 중 하나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절의파 · 더보기 »

전균

전균(田畇, 1409년 ~ 1470년)은 조선 초 환관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전균 · 더보기 »

전인택

전인택(전인)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전인택 · 더보기 »

전주 이씨

전주 이씨(全州 李氏)는 전라북도 전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전주 이씨 · 더보기 »

전옥서

전옥서는 수도(囚徒: 옥에 갇혀 있는 죄수)에 관한 일을 맡아보는 관청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전옥서 · 더보기 »

전설사

전설사(典設司)는 각종 의례나 행사에 사용되는 천막, 장막을 관리하던 조선의 관청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전설사 · 더보기 »

전함사

전함사(典艦司)는 조선에서 조운선(漕運船)과 함선(艦船)의 관리를 담당하는 관청으로 경국대전에 그 내용을 법제화하였.

새로운!!: 조선 세조와 전함사 · 더보기 »

정도전

정도전(鄭道傳, 1342년~ 1398년 10월 6일(음력 8월 26일))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자 유학자, 혁명가(革命家)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정도전 · 더보기 »

정몽주

정몽주(鄭夢周, 양력 1338년 1월 13일 (1337년 음력 12월 22일) ~ 1392년 4월 26일(음력 4월 4일))는 고려왕조의 충신(忠臣)으로 문신·외교관이자, 정치가·교육자·유학자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정몽주 · 더보기 »

정미수

정미수(鄭眉壽, 1456년 ~ 1512년 음력 4월 15일)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정미수 · 더보기 »

정견 (1427년)

정견(鄭堅, 1427년(세종 9년)~1514년(중종 9년))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학자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정견 (1427년) · 더보기 »

정보 (조선)

정보(鄭保, ? ~ ?)는 조선시대 초기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정보 (조선) · 더보기 »

정관정요

《정관정요》(貞觀政要)는 중국 당 때에 오긍이 편찬했다고 전하는 당 태종의 언행록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정관정요 · 더보기 »

정분

정분(鄭苯), (1394년 ~ 1454년)은 조선초기 세종.문종.단종때의 문신이며 3 상신(相臣:우의정1452.12.11~1453.10.11) 중 한명이고 문종의 고명대신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정분 · 더보기 »

정난종

정난종(鄭蘭宗, 1433 ~ 1489)은 조선의 문신·서예가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정난종 · 더보기 »

정승수 (조선 사람)

정승수(鄭承秀, ? - ?)는 조선 중기의 무신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정승수 (조선 사람) · 더보기 »

정희왕후

정희왕후 윤씨(貞熹王后 尹氏, 1418년 12월 8일 (음력 11월 11일) ~ 1483년 5월 6일 (음력 3월 30일))는 조선 세조의 왕비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정희왕후 · 더보기 »

정인지

정인지(鄭麟趾, 1396년 12월 28일 ~ 1478년 11월 26일)는 조선 초기의 문신·성리학자이며 한글학자, 역사가, 정치인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정인지 · 더보기 »

정의공주

정의공주(貞懿公主, 1415년 ~ 1477년 2월 11일)는 조선의 공주로, 세종대왕과 소헌왕후 심씨의 차녀이며, 문종의 누이동생이자 세조의 누나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정의공주 · 더보기 »

정종 (영양위)

정종(鄭悰, ? ~ 1461년)은 조선의 문신이며, 문종의 부마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정종 (영양위) · 더보기 »

정진숙 (출판인)

정진숙(鄭鎭肅, 1912년 11월 5일 ~ 2008년 8월 22일)은 일제 강점기의 금융인, 대한민국의 출판인, 기업인, 사회기관단체인이며, 을유문화사의 창립 멤버의 한 사람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정진숙 (출판인) · 더보기 »

정차온

정차온(鄭次溫, 1399년(정종 1) ~ ?)은 조선시대 전기의 학자, 문신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정차온 · 더보기 »

정창서

정창서(鄭昌瑞, 생몰년 미상)는 조선시대 문신, 정치인으로 덕흥대원군의 정비 하동부대부인의 형제간이며 조선 선조, 하릉군, 하원군의 외삼촌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정창서 · 더보기 »

정창손

정창손(鄭昌孫, 1402년 3월 11일 ~ 1487년 1월 27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언어학자, 유학자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정창손 · 더보기 »

정축지변

정축지변(丁丑之變)은1457년 금성대군, 이보흠의 단종 복위 운동 거사가 실패하면서 세조에 의해 순흥부 주민이 학살된 사건을 말. 내부 고변으로 단종의 복위 거사가 실패하자 세조는 영월 청령포에 유배중인 단종을 사사.

새로운!!: 조선 세조와 정축지변 · 더보기 »

정숭조

정숭조(鄭崇祖, 1442년 - 1503년 2월 13일)는 조선 초기의 문신으로 자는 효숙(孝叔), 호는 삼성재(三省齋)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정숭조 · 더보기 »

정순공주

정순공주(貞順公主, 1385년 ~ 1460년 음력 8월 25일)는 조선의 공주로, 태종(太祖)과 원경왕후 민씨(元敬王后 閔氏) 사이에서 태어난 장녀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정순공주 · 더보기 »

정순왕후 (조선 단종)

정순왕후 송씨(定順王后 宋氏, 1440년 ~ 1521년 7월 7일 (음력 6월 4일)) 는 조선 단종(端宗)의 정비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정순왕후 (조선 단종) · 더보기 »

정현조

정현조(鄭顯祖, 1440년 ~ 1504년 7월 13일)는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정치인이며 부마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정현조 · 더보기 »

정현옹주

정현옹주(貞顯翁主, 1425년 ~ 1480년 음력 11월)는 조선의 왕족으로, 세종(世宗)과 상침 송씨(尙寢 宋氏)와의 사이에서 태어난 서장녀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정현옹주 · 더보기 »

정현왕후

정현왕후 윤씨(貞顯王后 尹氏, 1462년 7월 21일 (음력 6월 25일)~1530년 9월 13일 (음력 8월 22일)는 조선 성종(成宗)의 둘째계비이다. 시호는 자순화혜소의흠숙정현왕후(慈順和惠昭懿欽淑貞顯王后)이다. 자순대비(慈順大妃)로도 잘 알려져 있다. 영원부원군 평정공 윤호(鈴原府院君 平靖公 尹壕)와 연안부부인 전씨(延安府夫人 田氏)의 딸로, 본관은 파평(坡平)이다. 중종반정 시 중종을 왕으로 세우는 것을 승낙한 인물로 유명하다. 능은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선정릉 내에 위치한 선릉(宣陵)으로, 남편 성종과 동원이강의 형태로 같이 묻혀 있다.

새로운!!: 조선 세조와 정현왕후 · 더보기 »

정양군 (1442년)

정양군 이순(定陽君 李淳, 1442년 ~ 1492년)은 조선의 왕족 종실이자 평원대군 이임(平原大君 李琳)의 양자(養子)이며 제안대군 이현(齊安大君 李琄)의 양부(養父)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정양군 (1442년) · 더보기 »

정여창 (1450년)

정여창(鄭汝昌, 1450년 음력 5월 5일 ∼ 1504년)은 조선전기의 문신, 성리학자, 작가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정여창 (1450년) · 더보기 »

정선공주

정선공주(貞善公主, 1404년 ~ 1424년 2월 25일(음력 1월 25일))는 조선 태종과 원경왕후 민씨의 넷째 딸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정선공주 · 더보기 »

정소공주

정소공주(貞昭公主, 1412년 ~ 1424년 음력 2월 25일)는 조선시대 초기의 공주로, 조선의 제4대 왕인 세종대왕과 소헌왕후 심씨의 장녀이며 문종과 세조의 누나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정소공주 · 더보기 »

정안옹주 (세종)

정안옹주(貞安翁主, 1438년 ~ 1461년 음력 10월 16일)는 조선의 옹주로, 제4대 임금 세종의 서차녀이며, 생모는 숙빈 이씨(淑嬪 李氏)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정안옹주 (세종) · 더보기 »

조려

원주 치악산의 삼공제명암 (오른쪽 첫 번째가 원호 (관란), 가운데는 조려 (어계), 왼쪽은 이수형 (도촌)) 조려(趙旅, 1420년 ~ 1489년)는 조선 세종, 문종, 단종 때의 문신이며 생육신의 한 사람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조려 · 더보기 »

조방림

조방림(趙邦霖, ? ~ 1473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조방림 · 더보기 »

조극관

조극관(趙克寬, ? ~ 1453년)의 조선의 문신(文臣), 무신(武臣)이며 단종의 충신 즉, 삼중신 중 한명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조극관 · 더보기 »

조의제문

조의제문(弔義帝文)은 조선 시대 성리학자 김종직(金宗直, 1431년 ~ 1492년)이 지은 제사문으로 항우에게 살해당하여 물에 던져진 회왕 즉, 초 의제를 추모하는 글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조의제문 · 더보기 »

조석문

조석문(曺錫文, 1413년 ~ 1477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조석문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덕종

덕종(德宗, 1438년 ~ 1457년 9월 20일 (음력 9월 2일)은 조선 초기의 왕족이자 왕세자(王世子), 작가이다. 세종의 첫 손자이자 세조의 장자이며 예종의 형이다. 월산대군, 성종 형제의 아버지이다. 어머니는 정희왕후 윤씨이다. 1455년 세자(世子)에 책봉되었으나 2년 만에 20세의 나이에 요절한다. 사후 차자 성종이 즉위하면서 왕(王)으로 추존되었다. 바로 의경왕(懿敬王)에 추존되었다가 회간왕(懷簡王)으로 추존되고 뒤에 덕종(德宗)의 묘호가 올려졌다. 정식 시호는 덕종회간선숙공현온문의경대왕(德宗懷簡宣肅恭顯溫文懿敬大王)이며 왕에 추존되기 전에는 의경세자(懿敬世子)로 불렸다. 성은 이(李), 휘는 장(暲), 초명은 숭(崇), 현동(賢同), 자는 원명(原明),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새로운!!: 조선 세조와 조선 덕종 · 더보기 »

조선 문종

문종(文宗, 1414년 11월 15일 (음력 10월 3일) ~ 1452년 6월 1일 (음력 5월 14일), 재위 1450년 ~ 1452년)은 조선의 제5대 임금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조선 문종 · 더보기 »

조선 단종

종(端宗, 1441년 8월 9일 (음력 7월 23일) ~ 1457년 11월 7일 (음력 10월 21일), 재위 1452년~1455년)은 조선의 제6대 왕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조선 단종 · 더보기 »

조선 효종

효종의 한글편지 효종(孝宗, 1619년 7월 3일 (음력 5월 22일) ~ 1659년 6월 23일 (음력 5월 4일), 재위: 1649년 ~ 1659년)은 조선의 제17대 임금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조선 효종 · 더보기 »

조선 정조

정조 (正祖, 1752년 10월 28일(음력 9월 22일) ~ 1800년 8월 18일(음력 6월 28일))는 조선의 제22대 왕이며, 대한제국의 추존 황제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조선 정조 · 더보기 »

조선 태종

종(太宗, 1367년 6월 13일 (음력 5월 16일) ~ 1422년 5월 30일 (음력 5월 10일) 재위 1400년 ~ 1418년)은 고려, 조선의 문신이자 조선의 제3대 임금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조선 태종 · 더보기 »

조선 숙종

숙종(肅宗, 1661년 10월 7일(음력 8월 15일) ~ 1720년 7월 12일(음력 6월 8일))은 조선의 제19대 왕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조선 숙종 · 더보기 »

조선 예종

예종(睿宗, 1450년 1월 14일(음력 1월 1일) ~ 1469년 12월 31일(음력 11월 28일), 재위 1468년~1469년)은 조선의 제8대 임금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조선 예종 · 더보기 »

조선 연산군

연산군(燕山君, 1476년 11월 23일 (음력 11월 7일) ~ 1506년 11월 20일 (음력 11월 6일), 재위 1494년 ~ 1506년)은 조선의 제10대 왕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조선 연산군 · 더보기 »

조선 성종

조선 성종(成宗, 1457년 8월 19일 (음력 7월 30일) ~ 1495년 1월 19일 (음력 1494년 12월 24일), 재위 1469년 ~ 1494년)은 조선의 제9대 왕이며 시인, 유학자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조선 성종 · 더보기 »

조선 세조

세조(世祖, 1417년 11월 2일 (음력 9월 24일) ~ 1468년 9월 23일 (음력 9월 8일), 재위 1455년~1468년)는 조선의 제7대 임금, 시인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조선 세조 · 더보기 »

조선 세종

조선 세종(朝鮮 世宗, 1397년 5월 15일 (음력 4월 10일) ~ 1450년 3월 30일 (음력 2월 17일), 재위 1418년 ~ 1450년)은 조선의 제4대 군주이며 언어학자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조선 세종 · 더보기 »

조선 왕 가계도

조선의 임금들은 전주 이씨의 조선 태조의 후손들로 1392년부터 1897년까지 혈통이 이어졌.

새로운!!: 조선 세조와 조선 왕 가계도 · 더보기 »

조선 왕을 말하다

조선 왕을 말하다는 이덕일의 역사평설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조선 왕을 말하다 · 더보기 »

조선경국전

《조선경국전》(朝鮮經國典)은 1394년(태조 3년) 음력 3월에 정도전이 저술한 조선 왕조의 건국이념과 정치·경제·사회·문화에 대한 기본 방향을 설정한 헌장 법전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조선경국전 · 더보기 »

조선의 공신

조선의 공신(朝鮮—功臣)은 조선시대 개국이나 반정, 반란 진압 등에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내려주는 칭호와 관직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조선의 공신 · 더보기 »

조선의 북진정책

조선의 영토 확장 북진정책(北進定策)은 1392년에 고려의 뒤를 이어 건국된 조선에서도 중시된 대(對)북방정책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조선의 북진정책 · 더보기 »

조선의 역대 국왕

조선의 국왕의 칭호는 대개 묘호로 불린.

새로운!!: 조선 세조와 조선의 역대 국왕 · 더보기 »

조선의 역대 왕비

조선의 왕비와 대한제국의 황후(朝鮮의 王妃와 大韓帝國의 皇后)는 조선 시대 국왕이나 대한제국 황제의 정실 부인(正宮)으로서 중궁(中宮)의 자리에 있던 사람을 말. 흔히 중전(中殿, 중궁전의 준말)이라고 하며 이외에도 국모(國母), 내전(內殿), 곤전(坤殿), 곤위(壼位), 곤극(壼極), 성녀(聖女) 등의 여러 이칭이 있. 왕비의 자리에 오르는 것에는 여러가지 경우가 있었는데, 일반적으로는 국가에서 금혼령(禁婚令)을 내리고 간택 절차를 거쳐 세자빈에 책봉되면 훗날 세자인 남편이 왕위에 올라 자신도 왕비가 되는 것이었.

새로운!!: 조선 세조와 조선의 역대 왕비 · 더보기 »

조선의 역대 왕대비

조선의 왕대비(朝鮮의 王大妃)는 조선 시대 왕비의 지위(地位) 중 하나로서 일반적으로 임금의 어머니를 말. 흔히 대비(大妃, 왕대비의 준말)라고 하며 이외에도 국모(國母), 모후(母后), 자성(慈聖), 자전(慈殿), 자위(慈闈) 등의 여러 이칭이 있.

새로운!!: 조선 세조와 조선의 역대 왕대비 · 더보기 »

조선의 역대 왕세자빈

왕세자빈(王世子嬪)은 조선에서 왕세자의 정배(正配, 嫡室)에게 내린 작위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조선의 역대 왕세자빈 · 더보기 »

조선의 역사

조선의 역사는 크게 전기와 후기로 나뉘며, 전기를 다시 둘로 나눠 전기와 중기로 보아 전기-중기-후기로 보. 이때 전기-후기를 나누는 기준은 임진왜란이며, 전기-중기-후기를 나누는 기준은 전기와 중기는 중종반정, 중기와 후기는 임진왜란 또는 병자호란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조선의 역사 · 더보기 »

조선의 연호

종 이전의 조선은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지 않고 명과 청의 연호를 사용하였.

새로운!!: 조선 세조와 조선의 연호 · 더보기 »

조선왕릉

조선왕릉(朝鮮王陵)은 조선의 역대 왕과 왕비, 추존왕들의 무덤을 총칭하는 말로, 일반적으로 1897년에 수립된 대한제국의 역대 황제와 황후의 무. 조선왕릉은 삼국 시대와 고려 시대의 왕릉 제도의 영향을 받았는데, 고구려의 호석(護石)제도는 신라와 고려를 거쳐 조선왕릉에 그대로 전해졌고, 조선왕릉의 전체적인 형태는 공민왕의 무덤인 현정릉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았.

새로운!!: 조선 세조와 조선왕릉 · 더보기 »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은 태조(1392년)부터 철종(1863년)까지 25대에 걸친 472년간 조선 왕조의 역사적 사실을 연월일순(年月日順)에 따라 편년체로 기술한 역사서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조선왕조실록 · 더보기 »

좌의정

좌의정(左議政)은 의정부 3의정의 하나인 정 1품 관직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좌의정 · 더보기 »

좌익공신

좌익공신(佐翼功臣)은 1455년 세조의 즉위에 공을 세운 사람에게 녹훈(錄勳)된 작위로, 그 해 9월 5일 처음 발표되었.

새로운!!: 조선 세조와 좌익공신 · 더보기 »

종로구

종로구(鐘路區)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의 중북부에 있는 자치구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종로구 · 더보기 »

종묘

종묘(宗廟)는 조선 왕조의 역대 국왕들과 왕후들의 신주를 모시고 제례를 봉행하는 유교 사당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종묘 · 더보기 »

종묘 제례악

종묘 제례악의 일무 종묘 제례악()은 조선왕조 역대 임금과 왕후의 신위(神位)를 모신 종묘에 제사드릴 때 연주하는 기악·노래·무용의 총칭으로 '종묘악'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종묘 제례악 · 더보기 »

중구 (인천광역시)

중구(中區)는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중부에 있는 구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중구 (인천광역시) · 더보기 »

중구 (서울특별시)

중구(中區)는 서울특별시의 중앙부에 있는 자치구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중구 (서울특별시) · 더보기 »

중추원 (대한제국)

중추원(中樞院)은 대한제국 시기에 근대적 형태의 입법 기관을 모방하여 설치한 기관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중추원 (대한제국) · 더보기 »

중추원 (조선)

중추원(中樞院) 또는 중추부(中樞府)는 조선 초기의 군사, 왕명 출납을 관장하던 중앙 관청의 하나로서, 출납·병기(兵機)·군정(軍政)·숙위(宿衛)·경비(警備)·차섭(差攝) 등의 일을 맡아 보았.

새로운!!: 조선 세조와 중추원 (조선) · 더보기 »

집현전

집현전(集賢殿)은 정이품아문으로, 고려 말 조선 초의 학문 연구 및 국왕의 자문 기관이자, 왕실 연구기관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집현전 · 더보기 »

진관 체제

제(鎭管體制)는 15세기 세조 이후 실시되었던, 지역 단위의 방위 체제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진관 체제 · 더보기 »

진일유고

일유고(眞逸遺稿)는 조선 초 좌정언(左正言)을 역임한 진일재(眞逸齋) 성간(成侃: 1427-1456)의 시문집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진일유고 · 더보기 »

진천 금성대군 사당

성대군 사당(鎭川 錦城大君 祠堂)은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용기리에 있는 사당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진천 금성대군 사당 · 더보기 »

지 (성씨)

(池, 智)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지 (성씨) · 더보기 »

지덕사

덕사(至德祠)는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4동에 있는 조선 태종의 장남이자 세종의 큰형인 양녕대군(讓寧大君) 제(禔)의 사당과 묘소로 정식 명칭은 지덕사부묘소(至德祠附墓所)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지덕사 · 더보기 »

지달하

(池達河)는 조선 전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지달하 · 더보기 »

지정

정(池淨, ? ~ 1453년)은 조선 전기의 무신, 정치인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지정 · 더보기 »

차 (음료)

(茶)는 차나무잎을 우려낸 음료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차 (음료) · 더보기 »

창릉 (조선)

창릉(昌陵)은 조선 제 8대 왕인 예종과 계비 안순왕후 한씨의 능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창릉 (조선) · 더보기 »

창절사

창절사(彰節祠)는 사육신을 포함한 충신의 위패를 모시기 위해 조선 시대에 건립된 사당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창절사 · 더보기 »

창원군 (왕족)

창원군 이성(昌原君 李晟, 1458년 ~ 1484년)은 조선의 왕족으로, 조선 제7대 임금 세조의 서자이자 4남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창원군 (왕족) · 더보기 »

청렴포

청령포는 단종이 수양대군에 의해 유배되어 갇힌 섬으로, 주변의 물살이 세어 배가 없이는 빠져나갈 수 없는 곳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청렴포 · 더보기 »

청주 양씨

청주 양씨(淸州 楊氏)는 충청북도 청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청주 양씨 · 더보기 »

청원군

옛 청원군의 지도 청원군(淸原郡)은 대한민국 충청북도 중서부에 있었던 군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청원군 · 더보기 »

청화백자

대한민국의 국보 제219호 백자 청화매죽문 항아리 청화백자(靑華白磁)는 조선시대 후기 청화백자 시대에 주류를 이루었던 백자기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청화백자 · 더보기 »

천안 광덕사 감역교지

안 광덕사 감역교지(天安廣德寺減役敎旨)는 조선 세조가 1457년에 충청남도 천안에 있는 광덕사와 개천사에 내린 교지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천안 광덕사 감역교지 · 더보기 »

초 의제

의제(楚 義帝, ? ~ 기원전 205년)는 진 시황제, 진 이세황제, 한 고제 유방 등과 아울러 전제 군주 시대 중국 황제 1세대 중 한 명이며 서초의 황제였.

새로운!!: 조선 세조와 초 의제 · 더보기 »

초정약수

정약수(椒井藥水)는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내수읍 초정리에 있는 약수터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초정약수 · 더보기 »

충익부

충익부(忠翊府)는 조선시대 원종공신(原從功臣)을 우대하기 위해 만든 관청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충익부 · 더보기 »

충주 박씨

충주 박씨(忠州 朴氏)는 충청북도 충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충주 박씨 · 더보기 »

충훈부

충훈부(忠勳府)는 나라에 공을 세운 신하에 포상 및 작우에 관한 일을 맡아보는 관청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충훈부 · 더보기 »

추동궁 마마

《추동궁 마마》는 MBC 정통 사극 조선왕조 오백년 시리즈의 첫 번째 작품으로, 1983년 3월 31일부터 1983년 7월 1일까지 방영되었.

새로운!!: 조선 세조와 추동궁 마마 · 더보기 »

추노

《추노》는 2010년 1월 6일부터 2010년 3월 25일까지 KBS 2TV에서 방영된 24부작 특별기획 드라마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추노 · 더보기 »

치호

호라는 타명 혹은 별호를 사용한 이에는 다음과 같은 이들이 있었.

새로운!!: 조선 세조와 치호 · 더보기 »

유동근

유동근(1956년 6월 18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유동근 · 더보기 »

유응부

유응부(兪應孚, ? ~ 1456년)는 조선의 무신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유응부 · 더보기 »

유점사

1912년 무렵 승탑들 유점사(楡岾寺)는 강원도 금강산의 내금강 지역에 있는 사찰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유점사 · 더보기 »

육종영

육종영(六宗英)은 단종을 위해 세조와 맞서다 죽임을 당한 6명의 종친을 가리.

새로운!!: 조선 세조와 육종영 · 더보기 »

윤번

윤번(尹璠, 1384년~1448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며 세조의 국구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윤번 · 더보기 »

윤곤

윤곤(尹坤, ? ∼ 1422년 3월 11일)은 고려 말기, 조선 전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윤곤 · 더보기 »

윤기견

윤기견(尹起畎, ? ~ ?)은 조선 시대의 문신이자 외척으로, 조선 제9대 임금 성종의 계비 폐비 윤씨, 병조참판 윤구의 아버지이자 10대 임금 연산군의 외할아버지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윤기견 · 더보기 »

윤자운

윤자운(尹子雲, 1416년 ~ 1478년)은 조선 초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윤자운 · 더보기 »

윤임

윤임(尹任, 1487년 ~ 1545년 8월 30일) 조선시대 중기의 무신이자 인척.

새로운!!: 조선 세조와 윤임 · 더보기 »

윤지임

윤지임(尹之任, 1475년? - 1534년 4월 14일)은 조선 시대 외척인 인물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윤지임 · 더보기 »

윤취지

윤취지(尹就之, 1583년 음력 윤 2월 24일 - 1644년 2월 18일)는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윤취지 · 더보기 »

윤호 (1424년)

윤호 묘비명 윤호(尹壕, 1424년 ~ 1496년 4월 9일)는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외척으로 성종의 장인이며 중종의 외할아버지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윤호 (1424년) · 더보기 »

윤여필

윤여필(尹汝弼, 1466년 ~ 1555년)은 조선 중기의 외척으로 중종의 두 번째 비 장경왕후와 윤임의 아버지이며 인종의 외할아버지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윤여필 · 더보기 »

윤사로

윤사로(尹師路, 1423년 ~ 1463년)는 조선전기의 문신, 외척으로, 세종의 서녀 정현옹주의 남편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윤사로 · 더보기 »

윤사분

윤사분(尹士昐, 1401년 ∼ 1471년)은 조선 초기의 외척으로 자는 계휘(繼輝), 시호는 이정(夷靖), 본관은 파평(坡平)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윤사분 · 더보기 »

윤사흔

윤사흔(尹士昕, 1422년 - 1485년)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이며 외척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윤사흔 · 더보기 »

윤사윤

윤사윤(尹士昀, 1409년 - 1461년)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이자 외척으로 세조와 중종의 외척이었.

새로운!!: 조선 세조와 윤사윤 · 더보기 »

윤안인

윤안인(尹安仁, 1440년 - 1538년)은 조선시대의 문신이자 외척으로 관찰사와 참판을.

새로운!!: 조선 세조와 윤안인 · 더보기 »

윤필상

윤필상(尹弼商, 1427년 ~ 1504년 윤 4월 19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이자 외척이며 훈구 공신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윤필상 · 더보기 »

윤원량

윤원량(尹元亮, 1495년 ~ 1569년)은 조선 중기의 척신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윤원량 · 더보기 »

윤원형

윤원형(尹元衡, 1503년 ∼ 1565년 11월 18일)은 조선 중기의 외척이자 문신으로, 파산부원군 윤지임과 전성부대부인 전의 이씨(全城府夫人 全義李氏)의 넷째 아들이자 문정왕후의 남동생이며, 윤원량·윤원로의 동생이며 소윤(小尹)의 영수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윤원형 · 더보기 »

휴휴당 부조묘

휴휴당 부조묘(休休堂 不祧廟)는 경상북도 구미시 도개면에 있는 조선시대의 부조묘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휴휴당 부조묘 · 더보기 »

파평 윤씨

평 윤씨(坡平尹氏)는 경기도 파주시 파평면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파평 윤씨 · 더보기 »

파주시

주시(坡州市)는 대한민국 경기도의 서북부에 위치하고 있는 시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파주시 · 더보기 »

파천무

《파천무》는 KBS 2TV에서 1990년 4월 2일부터 1990년 10월 30일까지 방영되었던 역사 드라마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파천무 · 더보기 »

파천무 (1980년 드라마)

《파천무》는 KBS 1TV에서 1980년 4월부터 7월까지 방영되었던 역사 드라마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파천무 (1980년 드라마) · 더보기 »

팔도

조선 팔도 팔도(八道)는 1895년까지의 조선의 광역 행정 구역을 이르는 명칭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팔도 · 더보기 »

위리안치

위리안치(圍籬安置)는 중죄인에 대한 유배형 중의 하나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위리안치 · 더보기 »

상원사 (평창군)

상원사(上院寺)는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동산리 오대산에 있는 절로, 대한불교조계종 소속 월정사의 말사(末寺)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상원사 (평창군) · 더보기 »

생육신

생육신(生六臣)은 세조가 단종의 왕위를 빼앗자 벼슬을 버리고 절개를 지킨 여섯 명의 신하를 말. 세조의 찬위 사건을 불의의 행위로 단정하고, 불사이군(不事二君)의 원칙에 따라 두문(杜門) 혹은 방랑으로 일생을 보. 이들은 벼슬을 버리고 단종을 추모하면서 절개를.

새로운!!: 조선 세조와 생육신 · 더보기 »

태 (연극)

1997년, 2007년에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에서 제작 상연된 대한민국의 연극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태 (연극) · 더보기 »

태인 박씨

인 박씨(泰仁 朴氏)는 전라북도 태인(泰仁)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태인 박씨 · 더보기 »

태상왕

상왕(太上王)은 태상국왕(太上國王)이라 부르기도 하며, 국왕에게 왕위를 물려준 전 국왕의 칭호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태상왕 · 더보기 »

숭선군 (조선 전기)

숭선군(嵩善君, 1488년~1544년)은 조선시대 전기의 왕족으로 조선 세조의 서손자이며 덕원군과 그의 넷째 부인 배창녕군부인 창녕 성씨 소생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숭선군 (조선 전기) · 더보기 »

순창 귀래정

정(歸來亭)은 전라북도 순창군에 있는, 조선 세조 2년(1456년) 신숙주의 아우인 신말주가 지은 정자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순창 귀래정 · 더보기 »

수국사

수국사(守國寺)는 서울특별시 은평구 갈현동 위치한 절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수국사 · 더보기 »

수군

수군(水軍)은, 동아시아 한자문화권에서 전통적으로 수상(水上) 무장력을 가리키던 단어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수군 · 더보기 »

수종사

수종사(水鍾寺)는 경기도 남양주시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소속의 사찰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수종사 · 더보기 »

숙의 권씨 (단종)

숙의 권씨(淑儀 權氏, ? ~ 1519년 이후)는 조선 단종의 후궁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숙의 권씨 (단종) · 더보기 »

숙의 김씨 (단종)

숙의 김씨(淑儀 金氏, 1440년 경 ~ 1525년 음력 2월)는 조선 단종의 후궁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숙의 김씨 (단종) · 더보기 »

숙의 신씨 (덕종)

숙의 신씨(淑儀 愼氏, ? ~ 1476년 음력 5월 16일)은 조선 덕종(의경세자)의 후궁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숙의 신씨 (덕종) · 더보기 »

숙주나물

숙주나물 숙주나물은 녹두를 시루 같은 그릇에 담아 물을 주어서 싹을 낸 나물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숙주나물 · 더보기 »

영남루

영남루(嶺南樓)는 경상남도 밀양시 내일동에 있는 누각으로 구 객사(舊客舍)의 부속건물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영남루 · 더보기 »

영희전

영희전(永禧殿)은 조선 시대에, 태조ㆍ세조ㆍ원종ㆍ숙종ㆍ영조ㆍ순조의 영정을 모셨던 전각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영희전 · 더보기 »

영의정

영의정(領議政)은 의정부 3정승 가운데 하나로 정1품에 해당하는 조선 최고의 중앙관직이었.

새로운!!: 조선 세조와 영의정 · 더보기 »

영응대군

영응대군 이염(永膺大君 李琰, 1434년 5월 23일/음력 4월 15일 ~ 1467년 2월 2일)은 조선의 왕족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영응대군 · 더보기 »

영천시

영천시(永川市)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남동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영천시 · 더보기 »

영천시의 행정 구역

영천시의 행정구역은 1읍 10면, 5동으로 구성되어 있. 영천시의 면적은 920.29km2로 경상북도의 4.8%를 차지하고 있으며, 인구는 2011년 6월 30일을 기준으로 44,789세대 102,302명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영천시의 행정 구역 · 더보기 »

영순군

영순군 이부(永順君 李溥, 1444년 6월 ~ 1470년 3월 28일)는 조선의 왕족 종실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영순군 · 더보기 »

영풍군 (왕족)

영풍군 이전(永豊君 李瑔, 1434년 9월 17일 (음력 8월 17일) ~ 1456년 7월 22일 (음력 6월 20일))은 조선의 왕족으로 세종대왕의 서자이며 본관은 전주(全州), 단종을 기른 혜빈 양씨의 셋째 아들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영풍군 (왕족) · 더보기 »

영산회상 (음악)

〈영산회상〉(靈山會相)은 주로 조선 후기에 연주하는 10여개의 곡으로 구성된 모음곡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영산회상 (음악) · 더보기 »

영성대군

영성대군(永城大君, 1333년 ~ 1392년)은 고려 말기의 무신이자, 조선 전기의 왕족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영성대군 · 더보기 »

영월 청령포

영월 청령포(寧越 淸泠浦)는 조선 단종의 유배지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영월 청령포 · 더보기 »

영월군

영월군(寧越郡)은 대한민국 강원도 남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영월군 · 더보기 »

오가작통법

오가작통법(五家作統法)은 조선에서 시행된 행정 구역 체계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오가작통법 · 더보기 »

오자경

오자경(吳子慶, 1414년 ~ 1478년)은 조선의 무신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오자경 · 더보기 »

오음약보

오음약보(五音略譜)는 한국에서 전통적으로 사용한 기보법의 하나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오음약보 · 더보기 »

옥계서원 (전남)

옥계서원(玉溪書院)은 전라남도 순천시에 있는 서원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옥계서원 (전남) · 더보기 »

옥포성

옥포성(玉浦城)은 경상남도 거제시 옥포동 남쪽 바닷가의 북쪽마을에 있는 돌로 쌓은 산성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옥포성 · 더보기 »

온양군

온양군(溫陽郡)은 한국의 옛 행정구역으로, 지금의 아산시 온양동을 중심으로 아산시 동남부의 배방읍·송악면·탕정면 지역을 관할했던 군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온양군 · 더보기 »

호성동

호성동(湖城洞)은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의 법정동이자 행정동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호성동 · 더보기 »

혜민서

혜민서(惠民署)는 조선시대에 의약과 일반 서민의 치료를 맡아본 관청으로, 오늘날의 국립중앙의료원에 해당.

새로운!!: 조선 세조와 혜민서 · 더보기 »

혜빈 양씨

혜빈 양씨(惠嬪 楊氏, 생년미상 ~ 1455년 음력 11월 9일)은 조선 제4대 왕 세종의 후궁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혜빈 양씨 · 더보기 »

혜순공주

혜순공주(惠順公主, 1468년 음력 9월 경 ~ 1469년 음력 8월 5일)는 조선의 공주로 예종과 안순왕후 한씨의 차녀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혜순공주 · 더보기 »

예천 용문사 감역교지

예천 용문사 감역교지(醴泉龍門寺 減役敎旨)는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사에 있는, 세조 3년(1457년) 용문사에 잡역을 면제할 것을 인정하는 사패교지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예천 용문사 감역교지 · 더보기 »

현덕왕후

현덕왕후 권씨(顯德王后 權氏, 1418년 4월 17일 (음력 3월 12일) ~ 1441년 8월 10일 (음력 7월 24일))는 조선 문종의 왕비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현덕왕후 · 더보기 »

현릉 (조선)

현릉(顯陵)은 조선 제5대 문종과 현덕왕후 권씨의 능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현릉 (조선) · 더보기 »

현숙공주

현숙공주(顯肅公主, 1464년 ~ 1502년 5월)는 예종과 안순왕후 한씨 사이에서 태어난 조선의 공주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현숙공주 · 더보기 »

옛 보신각 동종

옛 보신각 동종(舊普信閣 銅鍾)은 조선시대 만들어진 종으로, 1985년까지 서울 종로 보신각에서 제야(除夜)의 종을 칠 때 사용되었.

새로운!!: 조선 세조와 옛 보신각 동종 · 더보기 »

최남현

현(崔湳鉉, 1918년 1월 7일 ~ 1990년 2월 25일)은 대한민국의 연극배우 겸 영화배우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최남현 · 더보기 »

최정원 (1971년)

정원(崔貞苑, 1971년 2월 20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최정원 (1971년) · 더보기 »

최영손

영손(崔泳孫, ?~1455년)은 조선의 무신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최영손 · 더보기 »

최호 (조선)

호(崔灝)는 조선 전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최호 (조선) · 더보기 »

최항 (1409년)

항(崔恒, 1409년 ~ 1474년)은 조선의 문신이자 학자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최항 (1409년) · 더보기 »

최한

(1976년 8월 8일 ~)은 한국의 남자 성우.

새로운!!: 조선 세조와 최한 · 더보기 »

최한기

(崔漢綺, 1803년 10월 26일 ~ 1879년 6월 21일)는 조선 후기의 실학자이자 지리학자, 철학자, 사상가, 저술가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최한기 · 더보기 »

어 (성씨)

어(魚)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어 (성씨) · 더보기 »

어보

쪽.

새로운!!: 조선 세조와 어보 · 더보기 »

어보 목록

이 문서는 조선시대 왕과 왕비, 세자와 세자빈의 인장이었던 어보(御寶)의 목록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어보 목록 · 더보기 »

어득해

어득해(魚得海, ? ~ 1471년)는 조선 전기의 무신, 정치인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어득해 · 더보기 »

어효첨

어효첨(魚孝瞻, 1405년 ~ 1475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어효첨 · 더보기 »

어진

조선 태조의 어진 어진(御眞)은 왕의 초상화를 뜻. 어진 말고도 진용(眞容)·진(眞)·진영 (眞影)·수용(睢容)·성용(聖容)·영자(影子)·영정(影幀)·어용(御容)·왕상(王像)·어영(御影) 이라는 단어들로 불리었다가 1713년(숙종 39년) 숙종어진을 그릴 당시 어용도사도감도제조(御容圖寫都監都提調)였던 이이명의 건의에 따라 ‘어진’이라는 명칭으로 통일하였.

새로운!!: 조선 세조와 어진 · 더보기 »

어유소

어유소(1434년 ~ 1489년)는 조선 초기의 무신, 군인, 정치인으로 자(字)는 자유(子遊)이며, 본관은 충주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어유소 · 더보기 »

어세공

어세공(魚世恭, 1432년 ~ 1486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어세공 · 더보기 »

양녕대군

양녕대군(讓寧大君, 1394년 ~ 1462년 9월 7일)은 조선 시대 초기의 왕세자이자 왕족, 정치인, 화가, 시인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양녕대군 · 더보기 »

양정 (조선)

양정 (楊汀, ? ~ 1466년)은 조선 전기의 무신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양정 (조선) · 더보기 »

양주시

양주시(楊州市)는 대한민국 경기도 북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양주시 · 더보기 »

역대병요

역대병요(歷代兵要)는 수양대군이 세종의 명을 받아 총재하여 편찬된 동국 전쟁 사서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역대병요 · 더보기 »

역사 연표

역사 연표는 세계사를 적은 연표로 한국사도 포함되어 있.

새로운!!: 조선 세조와 역사 연표 · 더보기 »

역사스페셜

《역사스페셜》은 한국 역사에 관한 KBS의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역사스페셜 · 더보기 »

역사저널 그날의 에피소드 목록

아래는 KBS 1TV 《역사저널 그날》의 방영 목록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역사저널 그날의 에피소드 목록 · 더보기 »

연성동

연성동(蓮城洞)은 대한민국 경기도 시흥시의 행정동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연성동 · 더보기 »

연안 단씨

연안 단씨(延安 段氏)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연안 단씨 · 더보기 »

허균

(許筠, 1569년 12월 10일(음력 11월 3일) ~ 1618년 10월 12일(음력 8월 24일))은 조선 중기의 문인으로 학자이자 작가, 정치가, 시인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허균 · 더보기 »

허자

자의 글씨 허자(許磁, 1496년 음력 윤 3월 13일 ~ 1551년 3월 14일)는 조선 중기의 문신, 작가, 정치인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허자 · 더보기 »

엄흥도

엄흥도 영정 엄흥도 (嚴興道, ?~?) 는 조선 전기의 문신, 충신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엄흥도 · 더보기 »

풍저창

풍저창(豊儲窓)은 국가의 재용(財用: 재물의 씀씀이)을 수입·지출하는 일을 관장하는 관청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풍저창 · 더보기 »

풍천 노씨 대종가

풍천 노씨 대종가(豊川 盧氏 大宗家)는 경상남도 함양군 지곡면 개평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풍천 노씨 대종가 · 더보기 »

사도시

사도시는 조선시대에 내선(內膳: 대궐내의 음식)의 미곡(米穀: 쌀을 포함하는 다른 곡식)을 수입·지출하는 일을 관장하는 관청을 말.

새로운!!: 조선 세조와 사도시 · 더보기 »

사릉

사릉(思陵)은 조선 제6대 단종의 비 정순왕후 송씨의 능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사릉 · 더보기 »

사방지

사방지(舍方知, 謝方知, ? ~ ?)는 조선 초기의 인물로, 남녀한몸의 대표적인 예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사방지 · 더보기 »

사가독서

사가독서(賜暇讀書)는 조선 시대 젊은 문신들이 임금의 명으로 직무를 쉬면서 글을 읽고 학문을 닦던 제도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사가독서 · 더보기 »

사군

흰색 부분이 사군이다. 4군(四郡)은 조선 세종 때 서북 방면의 여진족을 막기 위해 압록강 상류에 설치한 국방상의 요지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사군 · 더보기 »

사포서

사포서(司圃署)는 왕실의 채소와 밭을 관리하던 조선의 관청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사포서 · 더보기 »

사천군

사천군(泗川郡)은 지금의 대한민국 경상남도 사천시 지역을 관할하던 옛 행정 구역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사천군 · 더보기 »

사육신

량진공원 의절사 사육신(死六臣)은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가 발각되어 세조에게 죽임을 당한 여섯 명의 신하를 이르는 말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사육신 · 더보기 »

사육신 (드라마)

《사육신》()은 한국방송공사가 기획하고, 조선중앙방송이 제작한 24부작 텔레비전 드라마인데 낯선 배우들, 이해하기 어려운 억양과 말투, 느린 진행 등이 남쪽의 시청자들과 맞지 않았던 점 외에도 정치적 이유에서 작품을 거부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있었던 탓인지 2~3%대의 애국가 시청률로 기대 이하의 성적에.

새로운!!: 조선 세조와 사육신 (드라마) · 더보기 »

사육신묘

사육신묘(死六臣墓)는 서울특별시 동작구 노량진동, 사육신묘지공원에 있는 조선시대의 사육신(死六臣)을 모신 곳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사육신묘 · 더보기 »

사육신공원

사육신 공원(死六臣公園)은 서울특별시 동작구 노량진동에 있는 사육신묘와 그 외 사육신비 등이 안장된 공원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사육신공원 · 더보기 »

사옹원

사옹원(司饔院)은 조선의 기관으로 이조의 속아문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사옹원 · 더보기 »

사화

사화(士禍)는 선비들이 정치적 반대파에게 화를 입는 일을 가리키며, 한국사에서는 특히 조선 중기에 사림 세력이 화를 당한 연산군 때부터 명종 즉위년까지 발생한 4차례의 옥사를 말. 이들 사화는 1498년(연산군 4년)의 무오사화, 1504년(연산군 10년)의 갑자사화, 1519년(중종 14년)의 기묘사화, 1545년(명종 즉위년)의 을사사화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를 ‘4대 사화’라고 부른.

새로운!!: 조선 세조와 사화 · 더보기 »

산가요록

산가요록(山家要錄)은 조선왕조 전기인 1459년 경에 어의 전순의가 지은 요리책이자 농업책으로, 현존하는 요리책 중에서 가장 오래되었.

새로운!!: 조선 세조와 산가요록 · 더보기 »

삼국사절요

《삼국사절요》(三國史節要)는 삼국 시대의 역사에서 요점을 간추려 연대별로 편찬한 조선시대의 책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삼국사절요 · 더보기 »

삼정승

삼정승(三政丞)은 의정부의 영의정, 좌의정, 우의정을 지칭하는 말로 조선시대에 쓰였으며, 의정부의 정승들을 지칭하는 말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삼정승 · 더보기 »

삼성사

삼성사(三聖祠)는, 황해도(黃海道) 문화현(文化縣, 지금의 북한 황해남도 안악군) 구월산에 위치한 사당으로, 고려, 조선 시대 국가와 민간에서 단군(檀君)의 제사를 지내던 곳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삼성사 · 더보기 »

석보상절

석보상절(釋譜詳節)은 1447년(세종29년)에 조선에서 만들어진 석가모니의 일대기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석보상절 · 더보기 »

선위

선위(禪位) 또는 양위(讓位)는 군주(군왕)가 살아 있으면서 다른 사람에게 군주의 지위를 물려주는 일을 가리.

새로운!!: 조선 세조와 선위 · 더보기 »

설계조

설계조(薛繼祖, 1418년 ~ 1467년)는 조선의 무신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설계조 · 더보기 »

설중매

《설중매》(雪中梅)는 MBC 정통 사극 조선왕조 오백년 시리즈의 세 번째 작품으로, 1984년 1월 9일부터 1985년 2월 26일까지 방영되었.

새로운!!: 조선 세조와 설중매 · 더보기 »

섭정

섭정(攝政)은 군주(군왕)가 통치하는 국가(군주국)에서 군주가 아직 어려서 정무를 수행할 능력이 없거나 병으로 정사를 돌보지 못할 때 국왕을 대신해서 통치권을 받아 국가를 다스리던 사람이나 그 일을 가리.

새로운!!: 조선 세조와 섭정 · 더보기 »

성담수

성담수(成聃壽, ? ~ ?)는 조선 전기의 문신, 학자, 은일사로, 세조 때 단종 폐위에 분개하여 벼슬을 사직한 생육신의 한 사람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성담수 · 더보기 »

성승

성승(成勝, ? ~ 1456년 6월 8일)은 조선 전기의 무신, 군인이며 단종 복위 운동의 가담자의 한사람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성승 · 더보기 »

성희안

성희안(成希顔, 1461년 1월 ~ 1513년 7월)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 작가, 외교관으로 자는 우옹(愚翁), 호는 인재(仁齋), 시호는 충정, 본관은 창녕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성희안 · 더보기 »

성종실록

《성종강정대왕실록》(成宗康靖大王實錄) 또는 《성종실록》(成宗實錄)은 1469년 음력 11월부터 1494년 음력 12월까지 조선 성종 시대의 사실을 기록한 실록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성종실록 · 더보기 »

성삼문

성삼문(成三問, 1418년 ~ 1456년 6월 8일)은 조선 전기의 문신·학자로서, 사육신의 한 사람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성삼문 · 더보기 »

세조

세조(世祖)는 동아시아 제왕의 묘호 중 하나로, 왕조의 창업자이거나, 왕조 성립 이전에 이미 창업의 기틀을 세운 제왕, 창업에 가까운 업적을 세운 제왕, 망한 왕조를 다시 세운 제왕, 또한 국가의 체계를 완성시킨 제왕에게 올리는 묘호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세조 · 더보기 »

세조찬위

세조찬위(世祖簒位) 또는 세조반정(世祖反正)은 조선의 첫 번째 반정으로 1455년(단종 3) 수양대군이 단종을 몰아내고 왕위를 빼앗은 일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세조찬위 · 더보기 »

세조실록

《세조혜장대왕실록》(世祖惠莊大王實錄) 또는 《세조실록》(世祖實錄)은 1455년 음력 6월부터 1468년 음력 9월까지의 조선 세조 시대의 사실을 편년체로 기록한 실록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세조실록 · 더보기 »

세종실록

《세종장헌대왕실록》(世宗莊憲大王實錄)은 세종의 즉위년(1418년) 8월부터 세종 32년(1450년) 2월에 승하하기 까지의 역사적 사실을 기록한 책으로, 조선왕조실록의 한 부분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세종실록 · 더보기 »

서거정

서거정(徐居正, 1420년~1488년)은 조선 문종, 세조, 성종 때의 문신이며 학자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서거정 · 더보기 »

서운관

서운관(書雲觀)은 고려시대부터 존재하였던 기구로, 천문학, 지리학(地理學)·역수(曆數: 책력)·측후(測候)·각루(刻漏) 등의 업무를 맡아보던 관청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서운관 · 더보기 »

서울 관상감 관천대

서울 관상감 관천대(서울 觀象監 觀天臺)는 조선시대 한성부 북부 광화방(廣化坊) 소재 관상감(觀象監)이 있던 자리에 설치된 관천대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서울 관상감 관천대 · 더보기 »

서울 수국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서울 수국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서울 守國寺 木造阿彌陀如來坐像 및 腹藏遺物)은 서울특별시 은평구 구산동, 수국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상과 복장유물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서울 수국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 더보기 »

서울 원각사지 대원각사비

서울 원각사지 대원각사비(서울 圓覺寺址 大圓覺寺碑)는 원각사의 창건 내력을 기록한 석비로 조선 성종 2년인 1471년에 세워졌.

새로운!!: 조선 세조와 서울 원각사지 대원각사비 · 더보기 »

서울 원각사지 십층석탑

서울 원각사지 십층석탑(首爾 圓覺寺址 十層石塔)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탑골 공원에 있는 조선시대의 석탑으로 대한민국의 국보 제2호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서울 원각사지 십층석탑 · 더보기 »

서인석 (배우)

서인석(徐仁錫, 1949년 2월 22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서인석 (배우) · 더보기 »

서종제

서종제(徐宗悌, 1656년 ~ 1719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서종제 · 더보기 »

서준영

서준영(1987년 4월 24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서준영 · 더보기 »

서오릉

서오릉(西五陵)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용두동에 있는 조선 왕실의 왕릉군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서오릉 · 더보기 »

서산 해미읍성

미읍성(海美邑城)은 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면에 있는 옛 읍성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서산 해미읍성 · 더보기 »

속리산

속리산 (俗離山)은 대한민국 충청북도 보은군과 괴산군, 경상북도 상주시에 걸쳐 있는 높이 1,058m의 산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속리산 · 더보기 »

손윤생

손윤생(孫潤生)의 본관은 밀양(密陽)으로, 휘는 윤생(潤生), 호는 명천공(明泉公)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손윤생 · 더보기 »

송희립

송희립(宋希立, 1553년~1623년 12월 20일)은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임진왜란 때 이순신 장군의 휘하에서 수군으로 활약하였.

새로운!!: 조선 세조와 송희립 · 더보기 »

송현수

송현수(宋玹壽, ? ~ 1457년 음력 10월 21일)는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국구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송현수 · 더보기 »

송시열

송시열(宋時烈, 1607년 12월 30일(음력 11월 12일) ~ 1689년 7월 19일(음력 6월 3일))은 조선의 문신·성리학자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송시열 · 더보기 »

소격서

소격서(昭格署)는 도교의 영향을 받아 하늘과 별에 제사를 지내던 조선의 관청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소격서 · 더보기 »

소용 박씨

소용 박씨(昭容 朴氏, ? ~ 1465년 음력 9월 5일)은 조선 세조의 후궁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소용 박씨 · 더보기 »

소혜왕후

소혜왕후 한씨(昭惠王后 韓氏, 1437년 10월 7일(음력 9월 8일) ~ 1504년 5월 11일(음력 4월 27일)는 조선 초기의 세자빈이자 덕종(德宗, 추존왕)의 왕비이며 시호는 인수자숙휘숙명의소혜왕후(仁粹慈淑徽肅明懿昭惠王后)이다. 1450년(문종 즉위년)에 수양대군의 큰아들인 도원군(의경세자, 덕종)과 혼인하여 군부인에 봉작되었으며, 1455년(세조 즉위년)에 시아버지 수양대군이 왕위로 즉위하여 자신은 맏며느리로서 세자빈이 되어 궁궐에 들어갔으나, 1457년(세조 3년)에 남편 의경세자가 20세의 나이로 갑자기 죽어 사가로 물러났다. 그러나 1469년에 자신의 둘째 아들인 자을산군(성종)이 왕위에 등극하고, 자신도 궁궐에 다시 들어가 곧 왕비로 진봉되었다가 1475년(성종 6년) 왕대비에 올라 인수대비(仁粹大妃)가 되었다. 의정부좌의정을 지낸 서원부원군 양절공 한확(西城府院君 襄節公 韓確)과 남양부부인 홍씨(南陽府夫人 洪氏) 여섯째 딸로, 본관은 청주(淸州)이다. 당시 여성으로서는 드물게 한문과 유교 경전에 능통하여 《열녀》,《여교》,《명감》,《소학》등에서 발췌하여 엮어 《내훈》(內訓)을 편찬하였다. 내훈은 조선시대 사대부 여인들의 수신서이자 당시 여성교육의 기본서가 되었다. 또한 그녀는 불교 옹호론자로 불교 억압 정책에 강력히 반발하였으며, 이 때문에 당시 조정의 신하들과 4차례의 격한 논쟁을 벌였는데 대표적인 것이 금승법(禁僧法) 과 그녀가 추진한 봉선사 금자경 간행 작업이다. 그녀는 연산군의 할머니로도 유명한데, 며느리이자 연산군의 생모가 되는 윤씨가 왕비 시절 성종의 얼굴을 할퀴는 사건으로 내쫓기고 사사되는 데에는 거의 전적으로 그녀의 의지로 단행되었기 때문이다. 1504년(연산군 10년) 봄에 연산군은 생모인 폐비 윤씨를 제헌왕후(齊獻王后)로 추숭했다. 이 과정에서 윤씨를 폐비하고 사사하는 데 개입한 수많은 사람들을 죽이고 추방했는데, 인수대비는 당사자가 되므로 손자인 연산군과 갈등을 빚었다. 능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용두동에 위치한 경릉(敬陵)이다.

새로운!!: 조선 세조와 소혜왕후 · 더보기 »

소헌왕후

소헌왕후 심씨(昭憲王后 沈氏, 1395년 10월 12일 (음력 9월 28일) ~ 1446년 4월 19일 (음력 3월 24일))는 조선 세종의 왕비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소헌왕후 · 더보기 »

쇼타이큐 왕

쇼타이쿄 왕(1415년 ~ 1460년)은 제1 쇼씨 왕조의 제6대 국왕이자, 제5대 류큐 국왕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쇼타이큐 왕 · 더보기 »

함 (성씨)

(咸)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함 (성씨) · 더보기 »

함부림

부림(咸傅霖, 1360년~1410년)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함부림 · 더보기 »

합덕읍

합덕읍(合德邑)은 충청남도 당진시의 읍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합덕읍 · 더보기 »

항우

항우(項羽, 기원전 232년 ~ 기원전 202년)는 중국 진나라 말기의 군인이자, 초한전쟁 때 초나라의 군주로, 우는 자이며, 이름은 적(籍)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항우 · 더보기 »

해동제국기

동제국전도 《해동제국기》(海東諸國紀)는 조선 초기의 학자 · 문신 · 정치가인 신숙주(申叔舟)가 성종(成宗)의 명을 받아 작성한 일본국과 유구국(琉球國)에 대한 정보를 기술한 한문 역사서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해동제국기 · 더보기 »

핼리 혜성

1986년의 핼리 혜성 핼리 혜성(공식 명칭은 1P/Halley)은 그 주기와 다음 접근 시기를 예측한 에드먼드 핼리의 이름을 딴 혜성으로, 약 75~76년을 주기로 지구에 접근하는 단주기 혜성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핼리 혜성 · 더보기 »

한량

량(閑良), 할냥 혹은 활량(弓~)은 원래 한국 고려 후기와 조선시대에 “과거에 급제하지 못한 무반”을 뜻하는 말이나, 보통 “일정한 직사없이 놀고먹는 양반 계층”으로 넓게 쓰였.

새로운!!: 조선 세조와 한량 · 더보기 »

한명회

명회(韓明澮, 1415년 11월 26일 (음력 10월 25일) ~ 1487년 11월 28일 (음력 11월 14일))는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군인, 정치인이며 외척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한명회 · 더보기 »

한명회 (드라마)

명회 (韓明澮)는 1994년에 KBS2에서 방영된 대하드라마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한명회 (드라마) · 더보기 »

한명진 (1426년)

명진(韓明溍, 1426년 ~ 1454년)은 조선 초기의 문신, 공신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한명진 (1426년) · 더보기 »

한백륜

백륜(韓伯倫, 1427년 ~ 1474년)은 조선의 문신이며 예종(睿宗)의 국구(國舅)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한백륜 · 더보기 »

한계희

희(韓繼禧, 1423년 ~ 1482년)는 조선의 문신이자 학자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한계희 · 더보기 »

한계순

순(韓繼純, 1431년 ~ 1486년)은 조선의 무신(武臣), 문신(文臣)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한계순 · 더보기 »

한국 무용

국 무용(韓國舞踊)은 한국의 전통 문화를 바탕으로 하여 만들어진 모든 종류의 무용을 말. 한국무용은 크게 궁중무용·민속무용·가면무용·의식무용·창작무용 등으로 나눌 수 있. 한국 가면무용중의 하나인 봉산탈춤 한국 민속무용의 하나인 진도북.

새로운!!: 조선 세조와 한국 무용 · 더보기 »

한국 백자

국 백자(韓國白磁)는 고려 말기에 송나라 정요(定窯)의 영향을 받아 시작되었고, 조선시대에 이르러 전성기를 이루었.

새로운!!: 조선 세조와 한국 백자 · 더보기 »

한국 법제의 역사

이 문서는 한국 법제의 역사(韓國 法制- 歷史)를 기술.

새로운!!: 조선 세조와 한국 법제의 역사 · 더보기 »

한국 불교의 역사

국 불교의 역사 또는 한국 불교사는 한국에서 전개된 불교의 역사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한국 불교의 역사 · 더보기 »

한국음악

조선시대『악학궤범』 향부악기도설에 나오는 향비파와 당비파 한국음악(韓國音樂)의 기반이 된 음계는 한반도 및 중국 동북부 등과 교류하여 고대시대부터 전래되어오는 것과 근대화와 산업화에 의한 빠른 문화유입에 의한 음악적 반응을 포함하여 한민족(韓民族)의 음악을 총칭.

새로운!!: 조선 세조와 한국음악 · 더보기 »

한국의 반란 목록

국사 반란 목록은 한국사에서 있었던 반란을 모아 편집한 것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한국의 반란 목록 · 더보기 »

한국의 불교

국의 불교는 기원후 4세기와 5세기경 삼국 시대(三國時代)에 동진 시대(317-420)와 남북조 시대(439-589)의 중국을 거쳐 들어온 종교로서 한국 민족과 더불어 자라온 중요한 종교 사상의 하나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한국의 불교 · 더보기 »

한국의 역사

국의 역사(韓國-歷史) 또는 한국사는 구석기 시대 이후 주로 한반도와 만주, 연해주, 넓게는 동아시아 지역을 바탕으로 발전되어 온 한민족의 역사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한국의 역사 · 더보기 »

한국의 연극

국 연극(韓國_演劇)의 장르는 가면극, 인형극, 판소리, 창극, 신파극, 신극의 여섯으로 크게 나눌 수 있.梁在淵, 문화·민속/한국의 연극/한국의 연극[서설], 《글로벌 세계 대백과》.

새로운!!: 조선 세조와 한국의 연극 · 더보기 »

한국의 왕자와 왕녀 목록

이 문서는 현재까지 알려진 한국의 왕자(황자)와 왕녀(공주, 궁주, 옹주)의 목록을 담고 있.

새로운!!: 조선 세조와 한국의 왕자와 왕녀 목록 · 더보기 »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韓國을 빛낸 百名의 偉人들)은 박인호(박문영)가 작사, 작곡하여 1991년에 최영준, 노사사(노래를 사랑하는 사람들)의 노래로 발표한 노래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 · 더보기 »

한남군

이어(漢南君 李𤥽, 1429년 10월 5일(음력 9월 8일) - 1459년 6월 29일(음력 5월 29일))은 조선의 왕족으로, 조선 제4대 세종의 서자(庶子)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한남군 · 더보기 »

한용운

용운(韓龍雲, 1879년 8월 29일 ~ 1944년 6월 29일)은 일제 강점기의 시인, 승려,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한용운 · 더보기 »

한치인

인(韓致仁, 1421년 ~ 1477년)은 조선의 문신, 정치가로 본관은 청주(淸州)이며 시호(諡號)는 공안(恭安)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한치인 · 더보기 »

한치의

의(韓致義, 1440년 ~ 1473년)은 조선의 문신(文臣)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한치의 · 더보기 »

한산후

산후 왕윤 또는 왕균(漢山侯 王昀, 생몰년 미상)은 고려의 왕족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한산후 · 더보기 »

한확

확(韓確, 1400년 ~ 1456년 음력 9월 11일)은 조선전기의 문신이자 외척, 외교관이며 명나라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한확 · 더보기 »

안동시의 역사

안동시의 역사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안동시의 역사에 대해서.

새로운!!: 조선 세조와 안동시의 역사 · 더보기 »

안평대군

안평대군 이용(安平大君 李瑢, 1418년 10월 18일(음력 9월 19일) ~ 1453년 11월 18일(음력 10월 18일))은 조선 전기의 왕족이자 서예가, 서화가, 시인, 작가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안평대군 · 더보기 »

안주 범씨

안주 범씨(安州 凡氏)씨는 평안남도 안주시를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안주 범씨 · 더보기 »

안창호

안창호(安昌浩, 1878년 11월 9일 ~ 1938년 3월 10일)는 대한제국의 교육개혁운동가 겸 애국계몽운동가이자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교육자, 정치가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안창호 · 더보기 »

안순왕후

안순왕후 한씨(安順王后 韓氏, 1445년? 음력 3월 12일 ~ 1499년 2월 3일(1498년 음력 12월 23일)는 조선 예종의 계비이다. 시호는 인혜명의소휘제숙안순왕후(仁惠明懿昭徽齊淑安順王后)이다. 청천부원군 양혜공 한백륜(淸川府院君 襄惠公 韓伯倫)과 서하부부인 임씨(西河府夫人 任氏)의 딸로, 본관은 청주(淸州)이다. 성종 즉위 초 그와 성종의 생모 소혜왕후와의 서열을 놓고 갈등이 있었다.

새로운!!: 조선 세조와 안순왕후 · 더보기 »

안산시

안산시(安山市)는 대한민국 경기도의 남서부에 위치하고 있는 서해안에 인접한 시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안산시 · 더보기 »

안성 부조묘

안성 부조묘(安城 不眺廟)는 경기도 안성시 대덕면에 있는 사당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안성 부조묘 · 더보기 »

안악 김씨

안악 김씨(安岳 金氏)는 한국의 성씨이며 경주 김씨(慶州 金氏)에서 분적한 성씨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안악 김씨 · 더보기 »

하릉군 (조선 전기)

릉군 이확(河陵君 李穫, 생몰년 미상)은 조선 전기의 왕족 종실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하릉군 (조선 전기) · 더보기 »

하위지

위지(河緯地, 1412년 ~ 1456년)는 조선 전기의 문신, 정치인, 학자이며 조선 단종 때 사육신의 한 사람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하위지 · 더보기 »

압구정동

압구정동(狎鷗亭洞)은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법정동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압구정동 · 더보기 »

학조

학조(學祖, 생몰년 미상)는 조선시대 전기의 불교 승려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학조 · 더보기 »

신면

신면(申㴐, 또는 申沔, 1438년 ~ 1467년 5월 22일)는 조선전기의 문신, 군인으로 신숙주의 차남이며 좌의정 신용개의 아버지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신면 · 더보기 »

신빈 김씨

신빈 김씨(愼嬪 金氏, 1406년 ~ 1464년 음력 9월 4일)는 조선의 제4대 왕 세종의 후궁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신빈 김씨 · 더보기 »

신용개

신용개(申用漑, 1463년 10월 5일 ~ 1519년 10월 3일)는 조선시대 전기, 중기의 문신, 정치인, 성리학자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신용개 · 더보기 »

신정 (1442년)

신정(申瀞, 1442년 ~ 1482년 4월 24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정치인이자 외척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신정 (1442년) · 더보기 »

신종

신종(神宗)은 동아시아 제왕의 묘호 중 하나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신종 · 더보기 »

신증동국여지승람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은 조선 성종 때의 지리서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신증동국여지승람 · 더보기 »

신채호

신채호(申采浩, 1880년 12월 8일 ~ 1936년 2월 21일)는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사회주의적 아나키스트, 사학자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신채호 · 더보기 »

신수근

신수근(愼守勤, 1450년 ~ 1506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외척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신수근 · 더보기 »

신숙주

신숙주(申叔舟, 1417년 8월 2일 (음력 6월 20일) ~ 1475년 7월 23일 (음력 6월 21일))는 조선 전기의 성리학자·문신·정치가이며 언어학자, 외교관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신숙주 · 더보기 »

신숙주선생묘

신숙주선생묘(申叔舟先生墓)는 조선 초기의 대학자이며 문신이었던 보한재(保閑齋) 신숙주의 묘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신숙주선생묘 · 더보기 »

심 (성씨)

심(沈)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심 (성씨) · 더보기 »

심덕부

심덕부(沈德符, 1328년 ~ 1401년)는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자 무신, 공신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심덕부 · 더보기 »

심결

심결(沈決, 1419년 ~ 1470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심결 · 더보기 »

심귀령

심귀령(沈龜齡, 1350년 ~ 1413년)은 조선 초기의 공신이자 무신으로, 자는 천석(天錫), 호는 병담(屛潭), 시호는 정양(靖襄)이고, 봉군호(封君號)는 풍천군(豐川君), 본관은 풍산(豊山)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심귀령 · 더보기 »

심회

심회(沈澮, 1418년 ~ 1493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심회 · 더보기 »

심응

심응(沈應, ? - ?)은 조선 전기의 무신이자, 공신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심응 · 더보기 »

심순경

심순경(沈順徑, 1462년 ~ 1542년)은 조선 전기의 무신이자 공신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심순경 · 더보기 »

심온

심온(沈溫, 1375년 ~ 1419년 1월 18일 (1418년 음력 12월 23일))은 고려 시대 말기와 조선 시대 초기의 문신이자, 세종의 국구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심온 · 더보기 »

심연원

심연원(沈連源, 1491년 ~ 1558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 정치인이자 외척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심연원 · 더보기 »

심통원

심통원(沈通源, 1499년 ~ 1572년 7월 8일)은 조선 중기의 권신, 척신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심통원 · 더보기 »

시흥 김씨

시흥 김씨(始興 金氏)는 경기도 시흥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시흥 김씨 · 더보기 »

시흥군

시흥군(始興郡)은 1895년부터 1988년까지 존재했던 경기도의 행정 구역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시흥군 · 더보기 »

시조

시조(時調)는 고려 중엽에 발생한 한국 전통 시 양식의 하나이며, 조선 시대에 유행한 시가 양식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시조 · 더보기 »

원각경언해

250px 《원각경언해》(圓覺經諺解)는 조선 세조 때 신미한계희 등이 《원각경(圓覺經)》을 한글로 번역한 것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원각경언해 · 더보기 »

원각사지

원각사지(圓覺寺址)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탑골공원 안에 있던 절의 터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원각사지 · 더보기 »

원경왕후

원경왕후 민씨(元敬王后 閔氏, 1365년 7월 29일 (음력 7월 11일) ~ 1420년 8월 18일 (음력 7월 10일))는 조선 태종(太宗)의 왕비이자 조선 세종대왕(世宗大王)의 모후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원경왕후 · 더보기 »

원균

원균(元均, 1540년 2월 12일 (음력 1월 5일) ~ 1597년 8월 27일 (음력 7월 15일))은 조선 중기의 무신, 군인으로 임진왜란 당시 조선의 장수들 중의 한사람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원균 · 더보기 »

원천군 (1433년)

원천군 이의(原川君 李宜, 1433년 ~ 1476년 3월)는 조선의 왕족 종실이며 성녕대군 이종의 양차자(養次子)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원천군 (1433년) · 더보기 »

원호 (조선)

원주 치악산의 삼공제명암 (오른쪽 첫 번째가 원호 (관란), 가운데는 조려 (어계), 왼쪽은 이수형 (도촌)) 원호(元昊, 1397년 ∼ 1463년)는 조선 단종 때의 문신·학자이며 생육신의 한 사람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원호 (조선) · 더보기 »

훈민정음 언해

훈민정음 언해 훈민정음 언해(訓民正音諺解)는 한문으로 된 《훈민정음》에서 어제 서문과 예의(例義) 부분만을 한글로 풀이하여 간행한 것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훈민정음 언해 · 더보기 »

훈구파

훈구파(勳舊派)는 혁명파 사대부를 계승한 세력으로서 세조의 왕위 찬탈에 협조하여 정치적 실권을 장악한 귀족적 관료학자들을 말. 훈구파라는 명칭은 본래 훈구공신(勳舊功臣), 훈구대신(勳舊大臣) 등 오랫동안 공로를 많이 세웠다는 의미를 지닌 일반 용어였으나, 성종 후반 이후 대두한 신진 정치 세력인 사림파(士林派)와 구별하기 위한 역사적 용어로 쓰이고 있.

새로운!!: 조선 세조와 훈구파 · 더보기 »

월인천강지곡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은 조선 세종이 지은 악장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월인천강지곡 · 더보기 »

월인석보

《월인석보》는 《월인천강지곡》과 《석보상절》을 합하여 1459년(조선 세조 5년)에 편찬한 조선의 불교 서적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월인석보 · 더보기 »

월인석보 권17~18

월인석보 권17~18(月印釋譜 卷 十七~十八)은 강원도 홍천군 동면, 수타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목판본 책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월인석보 권17~18 · 더보기 »

월인석보목판

월인석보목판(月印釋譜木板)은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갑사에 있는, 월인석보를 새겨 책으로 찍어내던 판각으로서 대한민국에 남아있는 것 중 유일한 판목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월인석보목판 · 더보기 »

월산대군

월산대군(月山大君, 1455년 1월 5일(음력 1454년 12월 18일) ~ 1489년 1월 22일(음력 1488년 12월 21일))은 조선 전기의 왕족, 시인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월산대군 · 더보기 »

홍무정운역훈

홍무정운역훈(洪武正韻譯訓)은 단종 3년에 한자의 중국음을 나타내기 위해 편찬한 중국음운에 대한 한글 주석서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홍무정운역훈 · 더보기 »

홍달손

홍달손(洪達孫, 1415년 ~ 1472년)은 조선 전기의 무신으로, 본관은 남양(南陽)이고, 자는 가칙(可則), 시호는 안무(安武)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홍달손 · 더보기 »

홍일동

홍일동(洪逸童, 1412(?) ∼ 1464년 3월 13일)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남양이고, 자(字)는 일휴(日休), 호는 마천(麻川)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홍일동 · 더보기 »

홍유손

홍유손(1431년 ~ 1529년, 향년 99세)은 조선의 문신 및 시인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홍유손 · 더보기 »

홍윤성

홍윤성(洪允成, 1425년 ~ 1475년 음력 9월 8일)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홍윤성 · 더보기 »

황보인

황보 인(皇甫仁, 1387년 ~ 1453년)은 조선 전기의 문관 겸 정치가이며, 단종의 충신 3 상신(相臣) 중 한명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황보인 · 더보기 »

황효원

황효원(黃孝源, 1414년 ~ 1481년)은 조선(朝鮮)의 문관(文官) 겸 정치가(政治家) 및 시인(詩人)이자 공신(功臣)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황효원 · 더보기 »

황치신

황치신(黃致身, 1397년 ~ 1484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황치신 · 더보기 »

황수신

황수신(黃守身, 1407년 ∼ 1467년)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정치인으로 자는 수효(秀孝) 또는 계효(季孝)이고 호 나부(懦夫)·췌부(侁夫), 시호는 열성(烈成).

새로운!!: 조선 세조와 황수신 · 더보기 »

외왕내제

외왕내제(外王內帝)는 외부적으로는 국왕을 칭하지만 내부적으로는 황제를 칭하는 이중 체제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외왕내제 · 더보기 »

환곡

환곡(還穀)은 조선 시대에 있었던 구휼(救恤) 제도 가운데 하나로서, 흉년 또는 춘궁기에 곡식을 빌려 주고 풍년·추수기에 되받는 진휼제도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환곡 · 더보기 »

환구단

환구단(圜丘壇)은 천자(天子)가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단(壇)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환구단 · 더보기 »

화의군

화의군 이영(和義君 李瓔, 1425년 ~ 1460년)은 조선 전기의 왕족, 문신으로, 세종과 영빈 강씨의 아들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화의군 · 더보기 »

완천군 (1373년)

완천군 이숙(完川君 李淑, 1373년 ~ 1406년 10월 17일)은 고려(高麗) 말기의 선비이자 조선(朝鮮) 초기의 왕족 종실(王族 宗室), 무신(武臣), 문신(文臣), 정치인(政治人), 좌명공신(佐命功臣)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완천군 (1373년) · 더보기 »

왕과 비

《왕과 비(王과 妃)》는 한국방송공사에서 방영한 드라마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왕과 비 · 더보기 »

왕과 나 (드라마)

《왕과 나》는 올리브나인과 SBS 프로덕션이 공동 제작하여 2007년 8월 27일부터 2008년 4월 1일까지 SBS에서 방영한 대하사극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왕과 나 (드라마) · 더보기 »

왕순례

왕순례(王循禮)는 조선의 숭의전 부사(崇義殿副使)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왕순례 · 더보기 »

왕세숙

왕세숙(王世叔)은 왕실 보위 계승자 칭호의 하나인데, 간칭으로 세숙이라 부르며 왕세자, 왕세손, 왕세제 등으.

새로운!!: 조선 세조와 왕세숙 · 더보기 »

KBS 스페셜

《KBS 스페셜》은 매주 목요일 밤 10시에 KBS 1TV로 방송되는 다큐멘터리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KBS 스페셜 · 더보기 »

11월 2일

11월 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06번째(윤년일 경우 30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조선 세조와 11월 2일 · 더보기 »

141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조선 세조와 1417년 · 더보기 »

141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조선 세조와 1418년 · 더보기 »

142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조선 세조와 1424년 · 더보기 »

145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조선 세조와 1455년 · 더보기 »

145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조선 세조와 1456년 · 더보기 »

145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조선 세조와 1457년 · 더보기 »

145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조선 세조와 1458년 · 더보기 »

145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조선 세조와 1459년 · 더보기 »

146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조선 세조와 1460년 · 더보기 »

146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조선 세조와 1461년 · 더보기 »

146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조선 세조와 1462년 · 더보기 »

146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조선 세조와 1463년 · 더보기 »

146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조선 세조와 1464년 · 더보기 »

146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조선 세조와 1465년 · 더보기 »

146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조선 세조와 1466년 · 더보기 »

146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조선 세조와 1467년 · 더보기 »

146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조선 세조와 1468년 · 더보기 »

148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조선 세조와 1483년 · 더보기 »

6조직계제

6조직계제(六曹直啓制)는 기존의 의정부서사제와는 달리 6조의 판서들이 국왕에게 직접 보고를 올리고 정책을 결정할 수 있게 한 제도이.

새로운!!: 조선 세조와 6조직계제 · 더보기 »

9월 24일

9월 2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67번째(윤년일 경우 26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조선 세조와 9월 24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진양대군, 진평대군, 진평대군 이유, 수양 대군, 수양대군, 수양대군 이유, 세조 이유, 혜장대왕, 함평대군, 함평대군 이유.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