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조선 숙종

색인 조선 숙종

숙종(肅宗, 1661년 10월 7일(음력 8월 15일) ~ 1720년 7월 12일(음력 6월 8일))은 조선의 제19대 왕이.

808 처지: 능창대군, 덕진진, 돈의문, 돈암서원, 도암면 (화순군), 동평군, 동이 (드라마), 동화사, 동화사 (순천시), 망상동, 망양돈대, 매음도, 매사냥, 만동묘, 마격, 마의 (드라마), 모 (성씨), 목창명, 목천성, 명량 해전, 명량대첩비, 명릉, 명릉 (조선), 명빈 박씨, 명의죄인, 명혜공주, 명엽지해, 명선공주, 명성황후, 명성왕후, 명안공주, 무고의 옥, 무전동, 무태돈대, 무사 백동수, 무악동, 문 (화폐), 문렬공 (동음이의), 문묘, 문정왕후 (조선), 문수산 (김포), 묘호, 민경혁, 민광훈, 민회빈 강씨, 민진후, 민유중, 감고당, 방효유, 배뱅이굿, ..., 백광현, 백두산, 백두산정계비, 개성 왕씨, 발해고, 갈 (성씨), 반복 부호, 반계수록, 반구동, 반윤기, 갑술환국, 간도, 강동구, 박두세, 강희제, 박지원 (1737년), 박팽년, 박태보, 박태보전, 박태한, 강현 초상, 박씨전, 강석우, 박세채, 강세황, 강한별, 강신성일, 강화 동종, 강화 정수사 법당, 강화 참성단, 강화 위씨, 강화도, 강화군, 강화산성, 강화학파 육대계승 (덕천군파), 가회동, 가평군, 밀양 박씨, 밀양 표충사 대광전, 밀양 표충사 소장유품, 밀양 소태리 오층석탑, 가사당암문, 가산산성, 거북선, 거제면, 경빈 박씨 (장조), 경흥 어씨, 경희궁, 경주 불국사 대웅전, 경주 김씨, 경주 숭덕전, 경주교동법주, 경주향교, 경상북도의 성 목록, 경성회, 경신 대기근, 경신환국, 검계, 고가도, 고흥 능가사 동종, 고창읍성, 고양 북한산 서암사지, 고양 흥국사 약사전, 고양향교, 고성 건봉사 능파교, 고성 옥천사 대종, 곤여만국전도, 보령 김씨, 보경사, 보광사 (경기도), 보국사, 보지화양동 불알송선생, 보성군, 과천향교, 복각 천상열차분야지도 각석, 복녕군, 복평군, 복창군, 복사매현, 복선군, 계룡돈대, 계백 장군 유적 전승지, 별자리, 계유정난, 괴산 만동묘정비, 괴산 애한정, 광희문, 광주시 (경기도), 광산 김씨, 봉은사 청동은입사향완, 봉산사, 봉성암, 봉암사, 관덕정, 관동팔경, 북벌, 북벌론, 북관대첩비, 궁녀, 북정동 (울산), 북정록, 궁호, 북한산성, 북한산성 행궁, 권절, 권상유, 권상하, 불목하니, 붕당, 부산 범어사 조계문, 부안 개암사 응진전 16나한상, 부원군, 귤림서원, 규장각, 규사, 규원사화, 귀인 조씨 (영조), 귀성군, 기로소, 기사계첩, 기사환국, 금강산, 금강산 해금강, 금남면 (하동군), 금정산, 금정산성, 금정산성 부설비, 금성대군, 빈 (지위), 비밀의 문: 의궤 살인 사건, 김만기 (1633년), 김만중, 김만증, 김광찬, 김구 (1649년), 김득신 (시인), 김우명, 김장생, 김재로, 김포 문수산성, 김일경 (1662년), 김익겸, 김익경, 김익희, 김익훈, 김제갑, 김주신, 김집 (1574년), 김진규 (조선), 김창집, 김창협, 김창업, 김천택, 김춘택, 김유 초상, 김유석, 김육, 김상용 (1561년), 김태일 (1637년), 김수장, 김수흥, 김수항, 김석문, 김석주, 김석연 (1648년), 김성행, 김한구 (1723년), 김시습, 김홍집 (1842년), 대동법, 대리청정, 대명천지, 대박 (드라마), 대빈묘, 대구광역시, 대현동 (울산), 대한민국의 대학,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 대원사 (산청군), 대왕대비, 누동궁, 구 영릉 석물 - 세종대왕신도비, 구수략, 구연서원, 국녕사, 국조보감, 국새, 군산 불주사 대웅전, 굴암돈대, 남 (성씨), 남구만, 남효온, 남인, 남지훈, 남연군, 남선면, 남소문, 남한산성, 남원 만인의총, 남후면, 난중일기, 나주 불회사 석장승, 낙천군, 낙산사, 낙선군, 농소동 (울산), 노론, 노적사, 다모 (드라마), 다솔사, 단의왕후, 달동 (울산), 달선군, 당하제명기, 횡천면, 효목동, 효문동, 효순왕후, 용문면 (양평군), 용남면, 용암사 (북한산성), 우평숙, 우정동, 운문사, 울산 김씨, 울산향교, 회원군 (1636년), 요화 장희빈, 자혜사, 장렬왕후, 장릉 (조선 단종), 장목면, 장길산, 장흥 임씨, 장희빈 (1971년 드라마), 장희빈 (1995년 드라마), 장희빈 (2002년 드라마), 장희빈 (동음이의), 장희빈 (영화), 장희재 (조선), 장옥정, 장옥정, 사랑에 살다, 장현, 장현 (조선), 장형 (조선), 임동면, 임경업, 임호 (배우), 임양군, 흥국사 (고양시), 흥완군, 희빈, 희빈 장씨, 이덕주 (1617년), 이맹휴, 이만운 (1736년), 이만유 장군 유물, 이명욱, 이문용 (1882년), 이발 (1544년), 이간 (1677년), 이건명 (조선), 이건창, 이복남, 이광정 (1552년), 이기용, 이기축, 이금서, 이굉, 이단하, 이담명, 이용 (1749년), 이우, 이우정 (1635년), 이재 (1680년), 이재원 (1831년), 이이명, 이의립, 이익 (1681년), 이정영, 이정한, 이조, 이종 (1940년), 이종성 (1692년), 이중군, 이중환, 이진익, 이채 (1700년), 이철승, 이상우 (1621년), 이순, 이순신, 이순신 (1553년), 이수장, 이영수 (1693년), 이옥 (1773년), 이현일, 이형종 (1706년), 이풍 (조선), 이산 (드라마), 이세백, 이세상, 이서구 (작가), 이서우 (1633년), 이해 (1496년), 이시명, 이원익, 이원정 (1622년), 이홍일, 이홍술, 이황, 이완용, 인동 장씨, 인경왕후, 인평대군, 인천광역시의 역사, 인현왕후, 인현왕후 (드라마), 인현왕후의 남자, 인현왕후전, 인선왕후, 인원왕후, 음력 10월 10일, 음력 10월 26일, 음력 6월 8일, 음력 8월 15일, 음력 9월 3일, 의안대군 (1382년), 의왕 청계사 동종, 익릉, 익평부수, 흑산도, 을밀대, 을지문덕, 은렬사, 은진 송씨, 은수사, 은신군, 제2차 진주성 전투, 제주 부씨, 제주마, 전계군 (동음이의), 전광렬, 전당시, 전주 경기전 정전, 전주 이씨, 정몽주, 정명공주, 정문부, 정발 (1553년), 정보 (조선), 정관읍, 정관정요, 정빈 이씨, 정구 (1543년), 정읍 피향정, 정제두, 정종실록, 정철, 정순왕후 (조선 단종), 정순왕후 (조선 영조), 정호 (1648년), 정혜옹주 (1584년), 정성왕후, 정안왕후, 조문명, 조관, 조정만, 조상경 (1681년), 조태채, 조태억, 조영석, 조사석, 조선, 조선 경종, 조선 단종, 조선 효종, 조선 장조, 조선 정조, 조선 정종, 조선 진종, 조선 태종, 조선 영조, 조선 현종, 조선 세조, 조선 통신사, 조선 후기의 문학, 조선 왕 가계도, 조선의 공신, 조선의 군사, 조선의 역대 국왕, 조선의 역대 왕비, 조선의 역대 왕대비, 조선의 역대 왕세자빈, 조선의 역사, 조선의 왕세자, 조선왕릉, 조선왕조 오백년, 조선왕조실록, 좌의정, 종묘, 주의식, 주산지, 중흥사 (북한산성), 중성문, 증평 율리 석조관음보살입상, 진재해, 진천 정철 신도비, 진안군, 지눌, 지진희, 지천석, 찬덕 주씨, 참성단 중수비, 창덕궁, 창경궁, 창경궁 관천대, 창계서원 (전북), 창빈 안씨 묘역, 창녕 관룡사 대웅전, 창절사, 채용신, 채상우, 책문후시, 청근옹주, 청국장, 청운효자동, 청주 상당산성, 청주 영조 태실, 청주 최명길 신도비, 청풍 김씨, 청성묘, 청암사, 천만리, 천보총, 천은사 (구례군), 천상열차분야지도, 천상열차분야지도 각석, 초지진, 충장사 (광주광역시), 충익부, 충주 박씨, 충주 평씨, 춘향뎐, 춘화, 칠궁, 칠원향교, 판소리, 유겸명, 유계 (1607년), 유인촌, 유응부, 유상, 유형원, 유아인, 유아인의 작품 목록, 육진팔광, 윤병현, 윤봉구, 윤봉조, 윤비경, 윤두서, 윤승길, 윤인미, 윤의제, 윤증, 윤지완, 윤휴, 윤순, 윤영 (1611년), 윤양래, 윤선도, 윤선거, 파주 소령원, 휘릉, 위봉사, 상도동 (서울), 상운사, 상평통보, 상산 김씨, 상산군부인 김씨, 상원군 (왕족), 탐라순력도, 생일도, 택지돈대, 생육신, 태고사 (경기도), 태상왕, 탕평책, 색경, 숭선군, 순천 선암사 승선교, 순천 선암사 팔상전, 수렴청정, 수봉, 수군, 수영사적공원, 수암동 (울산), 숙명공주 (조선), 숙경공주, 숙빈, 숙빈 최씨, 숙녕옹주 (효종), 숙의 문씨 (영조), 숙정공주, 숙종, 숙종실록, 숙휘공주, 숙안공주, 숙신공주, 영덕 장육사 대웅전, 영릉 (조선 진종), 영빈 김씨, 영빈 이씨, 영빈묘, 영평군 (1636년), 영희전, 영의정, 영양군, 영양군의 행정 구역, 오도일, 오가작통법, 오두인, 오재순, 오태주, 오시만, 오원 (조선), 옥동 (울산), 옥루몽, 온돌, 온양온천, 호국사 (진주시), 혜화문, 예송, 현덕왕후, 현절사, 현종실록, 현충사, 최명길 (1586년), 최민수, 최북, 최효원, 최승대, 최수강, 향일암, 어묵, 어보, 어진, 어유봉, 어유정도, 양녕대군, 양정동 (울산), 양천 허씨, 양산 통도사 동종, 양산단층, 행주 은씨, 여릉군, 여흥 민씨, 여흥부대부인, 여천군 (왕족), 여수 진남관, 여성제, 역사 연표, 역사저널 그날의 에피소드 목록, 연려실기술, 연령군, 연령군 이훤 신도비, 헌경왕후, 허목, 허균, 허욱, 허욱 (서예가), 허적, 허준, 허원 (조선), 엄집, 풍천 노씨 대종가, 사림파, 사릉, 사천 구계서원, 사천 선진리왜성, 사육신, 사육신묘, 사육신공원, 사씨남정기, 산림 (정치), 산림경제, 산양읍, 삼복의 옥, 삼국사기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79호), 삼척 죽서루, 삼산동 (울산), 삼산면 (여수시), 석모도, 선우재덕, 선의왕후 (조선), 성승, 성주 옥천서원, 성혼, 성삼문, 서북피아양계만리일람지도, 서우진, 서울 화계사 동종, 서울특별시의 성 목록, 서평군, 서인, 서오릉, 서얼, 서얼 금고령, 송림사 (칠곡군), 송가도, 송계연월옹, 송인명, 송정동 (울산), 송준길, 송창 (1633년), 송현수, 송시열, 소론, 소의 유씨, 통진군, 통영시, 통영시의 역사, 함평 모씨, 함안 생육신 조려 유적, 항아당의, 해동삼국도, 해주 오씨, 해주 최씨, 핼리 혜성, 야음장생포동, 약사동 (울산), 한 (성씨), 한경면, 한국 법제의 역사, 한국음악, 한국의 궁중무용, 한국의 유교, 한국의 연극, 한국의 왕자와 왕녀 목록, 한양도성, 한원진, 안경, 안빈 이씨, 안용복, 안평대군, 안성 칠장사 대웅전, 하동군, 하동읍, 하위지, 하양읍, 하한담, 아산시, 악양현, 학사루, 신 안동 김씨, 신법 지평일구 (보물 제840호), 신녕향교 대성전, 신임, 신의왕후, 신지면, 신사임당, 신성 (음악가), 신한첩 곤, 신안 주씨, 신후재 초상, 실상사, 심호, 심언광, 심사정, 십팔사략, 원각사 (북한산성), 원균, 원효암 (경기도), 원호 (조선), 홍만용, 홍만종, 홍승대, 홍익만, 홍지문 및 탕춘대성, 홍수의 변, 홍수주, 홍사익, 홍석보, 홍세태, 황보인, 황정, 환국, 화도면, 화평옹주, 화유옹주, 화순옹주 (영조), 화협옹주, 화억옹주, 화엄사, 화산산성, 화완옹주, 완도 묘당도 이충무공 유적, 완도 충무사, 완평군 (1634년), 완천군 (1373년), 완성군, 10월 7일, 1659년, 1661년, 1667년, 1670년, 1674년, 1675년, 1676년, 1677년, 1678년, 1679년, 1680년, 1680년대, 1681년, 1682년, 1683년, 1684년, 1685년, 1686년, 1687년, 1688년, 1689년, 1690년, 1691년, 1692년, 1693년, 1694년, 1695년, 1696년, 1697년, 1698년, 1699년, 1700년, 1701년, 1702년, 1703년, 1704년, 1705년, 1706년, 1707년, 1708년, 1709년, 1710년, 1711년, 1712년, 1713년, 1714년, 1715년, 1716년, 1717년, 1718년, 1719년, 1720년, 1757년, 17세기, 7월 12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758 더) »

능창대군

능창군 이전(綾昌君 李佺, 또는 증 능창대군 이전(贈 綾昌大君 李佺), 1599년 7월 16일 ~ 1615년 11월 17일)은 조선의 왕족 종실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능창대군 · 더보기 »

덕진진

강화 덕진진(江華 德津鎭)은 인천광역시 강화군 불은면에 있는 조선시대 강화 12진보(鎭堡)의 하나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덕진진 · 더보기 »

돈의문

의문 돈의문(敦義門)은 조선의 수도인 한양의 4대문(大門) 중의 하나로 서쪽의 대문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돈의문 · 더보기 »

돈암서원

암서원(遯巖書院)은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에 있는 서원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돈암서원 · 더보기 »

도암면 (화순군)

암면(道岩面)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화순군 남부에 위치한 면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도암면 (화순군) · 더보기 »

동평군

동평군 이항(東平君 李杭, 1660년 음력 4월 8일 ~ 1701년 음력 11월 8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겸 시인이자 서예가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동평군 · 더보기 »

동이 (드라마)

《동이》는 2010년 3월 22일부터 2010년 10월 12일까지 방송된 문화방송 월화드라마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동이 (드라마) · 더보기 »

동화사

동화사(桐華寺)는 대구광역시 동구 도학동에 있는 절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동화사 · 더보기 »

동화사 (순천시)

동화사(桐華寺)는 대한민국 전라남도 순천시 별량면 대룡리에 있는 절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동화사 (순천시) · 더보기 »

망상동

망상동(望祥洞)은 대한민국 강원도 동해시의 행정동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망상동 · 더보기 »

망양돈대

망양돈대(望洋墩臺)는 인천광역시 강화군 내가면 외포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돈대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망양돈대 · 더보기 »

매음도

매음도(煤音島)는 석모도와 어유정도 사이에 있던 섬으로, 매도(煤島), 구음도(仇音島), 구음섬, 그음섬, 글음섬 등으로도 불. 조선 숙종 때에 간척사업으로 석모도 및 어유정도와 합쳐졌으며, 현재의 인천광역시 강화군 삼산면 매음리 지역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매음도 · 더보기 »

매사냥

매사냥으로 가장 널리 쓰인 보라매. 다만 보라매는 매과 매속이 아니고 수리과 새매속의 새이다. 매사냥(falconry)이란 훈련된 맹금류를 부려서 짐승을 잡는 사냥법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매사냥 · 더보기 »

만동묘

만동묘(萬東廟)는 조선시대 때 지어진 사당으로, 임진왜란 때 조선을 돕기 위하여 조선에 원군을 파병한 명 신종을 기리기 위해서1704년 숙종 30년 오늘날의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 화양동 에 지었.

새로운!!: 조선 숙종와 만동묘 · 더보기 »

마격

마격(馬格, 1647년 ~ ?)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마격 · 더보기 »

마의 (드라마)

《마의》(馬醫)는 2012년 10월 1일부터 2013년 3월 25일까지 MBC에서 방송된 50부작 창사 51주년 특별기획 드라마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마의 (드라마) · 더보기 »

모 (성씨)

모(牟, 毛)는 중국 및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모 (성씨) · 더보기 »

목창명

목창명(睦昌明, 1645년 ~ 1695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목창명 · 더보기 »

목천성

목천성(睦天成, 1630년 ~ 1687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목천성 · 더보기 »

명량 해전

명량 해전(鳴梁海戰) 또는 명량 대첩(鳴梁大捷)은 1597년(선조 30) 음력 9월 16일(양력 10월 25일) 정유재란 때 이순신이 지휘하는 조선 수군 13척이 명량에서 일본 수군 300여 척을 격퇴한 해전이었.

새로운!!: 조선 숙종와 명량 해전 · 더보기 »

명량대첩비

명량대첩비는 충무공 이순신 장군이 정유재란 때인 1597년 10월 25일(음력 9월 16일) 울돌목에서 거둔 명량 대첩을 기록한 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명량대첩비 · 더보기 »

명릉

명릉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조선 숙종와 명릉 · 더보기 »

명릉 (조선)

명릉(明陵)은 조선 제19대 왕인 숙종과 계비 인현왕후, 인원왕후의 능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명릉 (조선) · 더보기 »

명빈 박씨

명빈 박씨(䄙嬪 朴氏, ? ~ 1703년 음력 7월 15일)는 조선 숙종의 후궁이며, 연령군의 어머니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명빈 박씨 · 더보기 »

명의죄인

명의죄인(名義罪人)은 조선 중기 이후에 탄생한 용어로, 고려시대부터 존재하던 사문난적, 사세난적, 삼대민취와 함께 양반 사대부 사이에서 상대방을 폄하, 멸시하는 용어로 쓰인 용어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명의죄인 · 더보기 »

명혜공주

명혜공주(明惠公主, 1665년 ~ 1673년 6월 11일(음력 4월 27일))는 조선의 공주로 조선의 제18대 현종(顯宗, 1641~1674, 재위 1660~1674)과 명성왕후 김씨(明聖王后 金氏, 1642~1684)의 차녀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명혜공주 · 더보기 »

명엽지해

《명엽지해》(蓂葉志諧)는 조선 숙종 때인 1678년에 홍만종이 지은 설화집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명엽지해 · 더보기 »

명선공주

명선공주(明善公主, 1660년 ~ 1673년 9월 12일(음력 8월 2일))는 조선의 왕족으로 현종의 장녀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명선공주 · 더보기 »

명성황후

쪽.

새로운!!: 조선 숙종와 명성황후 · 더보기 »

명성왕후

명성왕후 김씨(明聖王后 金氏, 1642년 6월 13일/음력 5월 17일 ~ 1684년 1월 21일/1683년 음력 12월 5일)는 조선의 제18대 국왕인 현종의 정비(正妃)이자 숙종의 어머니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명성왕후 · 더보기 »

명안공주

명안공주(明安公主, 1667년 ~ 1687년 5월 16일)는 조선의 왕족으로 현종(顯宗, 1641~1674, 재위 1660~1674)과 명성왕후 김씨(明聖王后 金氏, 1642~1684)의 3녀로 조선시대 공주들 중 유일하게 이름이 알려져 있으며 본명은 이온희(李溫姬)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명안공주 · 더보기 »

무고의 옥

무고의 옥(巫蠱-獄) 또는 신사옥사, 신사환국은 1701년(숙종 27) 희빈 장씨가 취선당에서 인현왕후를 저주했다고 알려진 사건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무고의 옥 · 더보기 »

무전동

무전동(霧田洞)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통영시의 행정동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무전동 · 더보기 »

무태돈대

무태돈대(無殆墩臺)는 인천광역시 강화군 화도면 창후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돈대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무태돈대 · 더보기 »

무사 백동수

《무사 백동수》는 2011년 7월 4일부터 2011년 10월 10일까지 SBS에서 방송된 월화드라마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무사 백동수 · 더보기 »

무악동

무악동(毋岳洞)은 서울특별시 종로구의 법정동이자 행정동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무악동 · 더보기 »

문 (화폐)

류큐국과 고려, 조선에서 쓰였던 다양한 동전들 1884년 조선에서 발행한 10문 우표 (문위 우표) 상평통보 앞면(선혜청 주조) 상평통보 뒷면 문(文)은 조선의 화폐 단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문 (화폐) · 더보기 »

문렬공 (동음이의)

문렬공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조선 숙종와 문렬공 (동음이의) · 더보기 »

문묘

문묘(文廟)는 문선왕묘(文宣王廟)의 약자로 공자묘(孔子廟)라고도 부른.

새로운!!: 조선 숙종와 문묘 · 더보기 »

문정왕후 (조선)

문정왕후 윤씨(文定王后 尹氏, 1501년 12월 2일(음력 10월 22일) ~ 1565년 5월 5일(음력 4월 6일))는 조선 중기의 왕후이자 섭정으로 중종(中宗)의 제2계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문정왕후 (조선) · 더보기 »

문수산 (김포)

문수산(文殊山)은 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성동리 산 35-1번지에 있는 해발 고도 376m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문수산 (김포) · 더보기 »

묘호

묘호(廟號)는 중국, 한국, 베트남 등 동양의 봉건 왕조 국가에서 황제 또는 국왕과 같은 군주에게만 붙인 칭호로 군주가 승하한 뒤 태묘(太廟, 또는 종묘)에서 군주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낼 때 사용되었.

새로운!!: 조선 숙종와 묘호 · 더보기 »

민경혁

민경혁(閔景爀, 1746년 ~ 1815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학자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민경혁 · 더보기 »

민광훈

민광훈(閔光勳, 1595년 ~ 1659년)은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이자 외척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민광훈 · 더보기 »

민회빈 강씨

민회빈 강씨(愍懷嬪 姜氏, 1611년 ~ 1646년 4월 30일/음력 3월 15일)는 조선 소현세자의 부인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민회빈 강씨 · 더보기 »

민진후

민진후(閔鎭厚, 1659년 ~ 1720년)는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이자 외척으로 인현왕후의 오빠이자 민진원과 민진영(閔鎭永)의 형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민진후 · 더보기 »

민유중

민유중(閔維重, 1630년~1687년)은 조선후기의 문신, 척신, 정치인으로 인현왕후의 친정아버지, 곧 숙종의 장인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민유중 · 더보기 »

감고당

당 감고당 현판 감고당(感古堂)은 조선 후기에 건축된 건물로, 조선 고종의 왕후 명성황후 민비의 생가이자 숙종비 인현왕후의 친정아버지 민유중의 묘소를 관리하면서 지키던 묘막이었.

새로운!!: 조선 숙종와 감고당 · 더보기 »

방효유

방효유(方孝孺, 원 지정(至正) 17년 (1357년) ~ 명 건문(建文) 4년 (1402년))는 명나라 초기의 학자.

새로운!!: 조선 숙종와 방효유 · 더보기 »

배뱅이굿

배뱅이굿은 한국에서 노래와 춤을 섞어서 하는 놀이이자 음악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배뱅이굿 · 더보기 »

백광현

백광현(白光炫, 1625년 ~ 1697년)은 조선 후기의 침의(鍼醫)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백광현 · 더보기 »

백두산

백두(白頭山)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남도 함경북도 혜산군 무산군 과 중화인민공화국 지린 성 연변 조선족 자치주에 걸쳐있는 화산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백두산 · 더보기 »

백두산정계비

백두산정계비(白頭山定界碑)는 1712년(숙종 38년)에 조선과 청나라 사이의 국경을 정하기 위하여 세워진 경계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백두산정계비 · 더보기 »

개성 왕씨

성 왕씨(開城 王氏)는 황해북도 개성특급시를 관향으로 삼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개성 왕씨 · 더보기 »

발해고

《발해고》(渤海考)는 조선 정조 8년(1784년)에 규장각검서로 일하던 실학자 류득공유득공(柳得恭)은 '유득공'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발해고 · 더보기 »

갈 (성씨)

(葛)씨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갈 (성씨) · 더보기 »

반복 부호

반복 부호(反復符號) 또는 첩자표(疊字標) 또는 오도리지()는 일본어에서 문자가 반복됨을 표시하는 부호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반복 부호 · 더보기 »

반계수록

반계수록 본문의 일부 《반계수록》(磻溪隨錄)은 1670년(현종 11년)에 완성되어 1769년(영조 45년)에 간행된 반계 유형원의 대표적인 저술로서 국가체제에 관한 책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반계수록 · 더보기 »

반구동

반구동(伴鷗洞)은 울산광역시 중구의 법정동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반구동 · 더보기 »

반윤기

반윤기(潘潤沂, 1617년 ~ ?)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반윤기 · 더보기 »

갑술환국

갑술환국(甲戌換局)은 1694년(숙종 20년) 4월 1일에 발생한 숙종 시대의 3차 환국으로, 기사환국이 발생한 1689년 2월 2일 이후로 정권을 집권해온 남인이 몰락하고, 기사환국 때 몰락했던 서인(노론·소론)이 재집권한 사건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갑술환국 · 더보기 »

간도

(間島)는 압록강 상류와 두만강 북쪽의 조선인 거주 지역을 일컫는 말로, 간도의 범위에 관하여는 여러 이견이 있. 일반적으로 간도라 하면 현재의 연변 조선족 자치주 지역을 가리키며, 두만강 북쪽인 연변 지역을 '북간도'(또는 '동간도'), 그 서쪽인 압록강 북쪽 지역을 '서간도'라 부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간도 · 더보기 »

강동구

강동구(江東區)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의 남동부에 있는 구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강동구 · 더보기 »

박두세

박두세(朴斗世, 1650년~1733년)은 조선 시대 문인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박두세 · 더보기 »

강희제

200px 강희제(康熙帝, 순치(順治) 11년 음력 3월 18일 (1654년 5월 4일) ~ 강희(康熙) 61년 음력 11월 13일 (1722년 12월 20일))는 청나라의 제4대 황제(재위 1661년 ~ 1722년)이자, 산해관 입관(入關)산해관을 넘어 중국 대륙에 들어가 지배하기 시작하였다는 뜻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강희제 · 더보기 »

박지원 (1737년)

박지원(朴趾源, 1737년 3월 5일(음력 2월 5일) ~ 1805년 12월 10일(음력 10월 20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실학자이자 사상가, 외교관, 소설가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박지원 (1737년) · 더보기 »

박팽년

박팽년(朴彭年, 1417년 ~ 1456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 겸 학자로 사육신의 한 사람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박팽년 · 더보기 »

박태보

박태보(朴泰輔, 1654년 ~ 1689년)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으로, 자는 사원(士元), 호는 정재(定齋), 본관은 반남(潘南)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박태보 · 더보기 »

박태보전

《박태보전(朴泰輔傳)》은 박태보의 생애와 숙종의 장희빈 책봉에 반대하여 상소하다가 숙종에게 친국을 당한 사건을 형상화한 소설이며, 《박응교전》 등으로 불린.

새로운!!: 조선 숙종와 박태보전 · 더보기 »

박태한

박태한(朴泰漢, 1664년 ~ 1698년)은 조선의 문신 겸 저술가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박태한 · 더보기 »

강현 초상

강현초상(姜鋧肖像)은 조선시대 문신이었던 강현을 그린 초상화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강현 초상 · 더보기 »

박씨전

박씨전(朴氏傳)은 작자 미상의 조선시대 소설로 대표적인 군담소설로 분. 숙종시대에 발간된 것으로 알려져 있. 병자호란을 역사적 배경으로 하고 여성을 주인공으로 청나라에 복수를 하는 호국적인 내용을 담고 있.

새로운!!: 조선 숙종와 박씨전 · 더보기 »

강석우

강석우(康石雨, (康萬興), 1957년 10월 1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강석우 · 더보기 »

박세채

박세채(朴世采, 1631년 ~ 1695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박세채 · 더보기 »

강세황

강세황(姜世晃, 음력 1713년 7월 13일(윤5월 21일정원용, 『경산집』 권19, 한성부 판윤 강공 시장) ~ 1791년 1월 25일(음력 1월 23일))은 조선의 문신, 서화가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강세황 · 더보기 »

강한별

강한별(2002년 6월 3일 ~)은 대한민국의 아역 배우 겸 모델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강한별 · 더보기 »

강신성일

강신성일(姜申星一, 1937년 5월 8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며 前 국회의원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강신성일 · 더보기 »

강화 동종

사인비구 제작 동종 - 강화동종(思印比丘 製作 銅鍾 - 江華銅鍾)은 인천광역시 강화군 하점면, 강화역사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종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강화 동종 · 더보기 »

강화 정수사 법당

강화 정수사 법당(江華 淨水寺 法堂)은 인천광역시 강화군 화도면 정수사에 있는 조선 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강화 정수사 법당 · 더보기 »

강화 참성단

강화 참성단(江華 塹星壇)은 인천광역시 강화군 화도면 흥왕리, 마리산(摩尼山) 꼭대기에 있는 제단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강화 참성단 · 더보기 »

강화 위씨

강화 위씨(江華 韋氏)는 강화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강화 위씨 · 더보기 »

강화도

강화도(江華島)는 대한민국 경기만에 있는 섬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강화도 · 더보기 »

강화군

강화군(江華郡)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서북부의 군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강화군 · 더보기 »

강화산성

강화산성(江華山城)는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에 있는 고려시대의 성곽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강화산성 · 더보기 »

강화학파 육대계승 (덕천군파)

강화학파(江華學派) 육대계승(六代繼承)이란 효민공 석문 이경직(李景稷)의 현손(4代孫)으로 이광명(李匡明)이 10세 때(숙종 36년, 1710년)에 부친상(진사 이진위(李眞偉))을 당하자 모친 은진송씨의 뜻에 따라 강화도 사기리(沙磯里)에 장사지내고 그 묘 밑에서 기거하면서 한말 영재 이건창(李建昌), 경재 이건승(李建昇), 난곡 이건방(李建芳) 형제의 대에 이르기까지 강화도 사기리는 강화학파의 근거지가 되었으며 6대 250 여 년간 가학(家學)으로 강화학파를 계승해온 학자 지식인들을 일컫.

새로운!!: 조선 숙종와 강화학파 육대계승 (덕천군파) · 더보기 »

가회동

회동(嘉會洞)은 서울특별시 종로구의 법정동이자 행정동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가회동 · 더보기 »

가평군

평군(加平郡)은 대한민국 경기도 동북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가평군 · 더보기 »

밀양 박씨

밀양 박씨(密陽 朴氏)는 경상남도 밀양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밀양 박씨 · 더보기 »

밀양 표충사 대광전

밀양 표충사 대광전(密陽 表忠寺 大光殿)은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표충사에 있는 불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밀양 표충사 대광전 · 더보기 »

밀양 표충사 소장유품

밀양 표충사 소장유품(密陽 表忠寺 所藏遺品)은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표충사에서 소장하고 있는 사명대사가 사용하던 유품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밀양 표충사 소장유품 · 더보기 »

밀양 소태리 오층석탑

밀양 소태리 오층석탑(密陽 小台里 五層石塔)은 경상남도 밀양시에 있는 고려시대의 탑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밀양 소태리 오층석탑 · 더보기 »

가사당암문

사당암문(袈裟堂暗門)은 북한산성의 의상봉과 용출봉 사이 고갯마루에 위치한 암문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가사당암문 · 더보기 »

가산산성

곡 가산산성(漆谷 架山山城)은 조선시대에 축조된 석축 산성으로, 경상북도 칠곡군 에 위치해 있. 1971년 3월 26일 사적 제216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조선 숙종와 가산산성 · 더보기 »

거북선

서울특별시의 전쟁기념관에 있는 거북선 모형 대한민국의 5원 주화 거북선 또는 귀선(龜船)은 조선 시대의 군함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거북선 · 더보기 »

거제면

제면(巨濟面)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거제시 서부의 면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거제면 · 더보기 »

경빈 박씨 (장조)

경빈 박씨(景嬪 朴氏, ? ~ 1761년 음력 1월) 또는 수칙 박씨(守則 朴氏)는 조선의 추존왕 장조(사도세자)의 후궁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경빈 박씨 (장조) · 더보기 »

경흥 어씨

경흥 어씨(慶興 魚氏)는 함경북도 경흥군을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경흥 어씨 · 더보기 »

경희궁

경희궁(慶熙宮)은 서울시에 있는 조선 시대 궁궐로 광해군 9년(1617년)에 건립한 이후, 10대에 걸쳐 임금이 정사를 보았던 궁궐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경희궁 · 더보기 »

경주 불국사 대웅전

경주 불국사 대웅전(慶州 佛國寺 大雄殿)은 경상북도 경주시, 불국사의 대웅전으로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경주 불국사 대웅전 · 더보기 »

경주 김씨

경주 김씨(慶州 金氏)는 경상북도 경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경주 김씨 · 더보기 »

경주 숭덕전

경주 숭덕전(慶州 崇德殿)은 경상북도 경주시 탑동에 있는 건축물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경주 숭덕전 · 더보기 »

경주교동법주

경주교동법주(慶州校洞法酒)는 경상북도 경주시 교동에 있는 최부자 집에서 대대로 빚어 온 전통있는 술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경주교동법주 · 더보기 »

경주향교

경주향교(慶州鄕校)은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는 향교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경주향교 · 더보기 »

경상북도의 성 목록

음은 경상북도에 있는 성들의 목록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경상북도의 성 목록 · 더보기 »

경성회

경성회(慶聖會, 1657년 ~ 1728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경성회 · 더보기 »

경신 대기근

경신 대기근(庚辛大飢饉)은 조선 현종 재위기간인 1670년(경술년)과 1671년(신해년)에 있었던 대기근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경신 대기근 · 더보기 »

경신환국

경신환국(庚申換局)은 1680년(숙종 6년) 남인 일파가 정치적으로 대거 실각한 일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경신환국 · 더보기 »

검계

(劍契)는 글자 그대로 ‘칼을 차고 다니는 모임’이라는 뜻으로 조선 후기의 폭력 조직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검계 · 더보기 »

고가도

(古加島)는 옛 강화도 서남쪽에 있었던 섬으로, 현재의 강화군 화도면 지역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고가도 · 더보기 »

고흥 능가사 동종

흥 능가사 동종(高興 楞伽寺 銅鍾)은 전라남도 고흥군 능가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동종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고흥 능가사 동종 · 더보기 »

고창읍성

창읍성(高敞邑城)은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에 있는 옛 읍성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고창읍성 · 더보기 »

고양 북한산 서암사지

양 북한산 서암사지(高揚 北漢山 西巖寺址)는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에 있는 옛 절터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고양 북한산 서암사지 · 더보기 »

고양 흥국사 약사전

양 흥국사 약사전(高陽 興國寺 藥師殿)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흥국사에 있는 약사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고양 흥국사 약사전 · 더보기 »

고양향교

양향교(高陽鄕校)는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고양동에 위치한 향교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고양향교 · 더보기 »

고성 건봉사 능파교

성 건봉사 능파교(高城 乾鳳寺 凌波橋)는 강원도 고성군 건봉사의 대웅전 지역과 극락전 지역을 연결하고 있는 무지개 모양의 다리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고성 건봉사 능파교 · 더보기 »

고성 옥천사 대종

옥천사대종(玉泉寺大鐘)은 경상남도 고성군 개천면에 있는 조선시대의 종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고성 옥천사 대종 · 더보기 »

곤여만국전도

500px 〈곤여만국전도〉(坤輿萬國全圖)는 1602년에 예수회 이탈리아인 신부 마테오 리치와 명나라 학자 이지조(李之澡)가 함께 만들어 목판으로 찍어 펴낸 지도로서, 가로 533센티미터, 세로 170센티미터이며, 〈리치 지도〉 라는 이름으로도 불린.

새로운!!: 조선 숙종와 곤여만국전도 · 더보기 »

보령 김씨

보령 김씨(保寧 金氏)는 충청남도 보령시(忠淸南道 保寧市)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보령 김씨 · 더보기 »

보경사

보경사(寶鏡寺)는 경상북도 포항시의 내연산에 위치한 대한불교조계종 소속의 사찰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보경사 · 더보기 »

보광사 (경기도)

보광사(普光寺)는 조선 숙종 37년(1711년)에 북한산성 축성 이후 산성의 수비를 위해 창건된 사찰 13개 중 하나로, 대성문 아래에 71칸 규모로 승려 설휘(雪輝)가 창. 현재는 절은 전하지 않으며 빈터만 남아 있. 분류:경기도의 지리 분류:한국의 없어진 건축물.

새로운!!: 조선 숙종와 보광사 (경기도) · 더보기 »

보국사

보국사(輔國寺)는 조선 숙종 37년(1711년) 때에 북한산성 축성 이후 산성의 수비를 위해 창건된 사찰 13개 중 하나로, 승려 탁심(琢心)과 명희(明凞) 등이 창건하였다고 전. 현재는 빈터만 남아 있. 분류:경기도의 지리 분류:한국의 없어진 건축물.

새로운!!: 조선 숙종와 보국사 · 더보기 »

보지화양동 불알송선생

보지화양동 불알송선생(步之華陽洞 不謁宋先生)은 조선 중기 이후 막강한 권력을 휘두르던 화양동 서원을 풍자한 유행어였.

새로운!!: 조선 숙종와 보지화양동 불알송선생 · 더보기 »

보성군

보성군청 보성군(寶城郡)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중남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보성군 · 더보기 »

과천향교

향교(果川鄕校)는 경기도 과천시 관악산 등산로 입구에 위치한, 조선 시대의 향교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과천향교 · 더보기 »

복각 천상열차분야지도 각석

복각 천상열차분야지도 각석(複刻 天象列次分野之圖 刻石)은 조선 태조 4년(1395년)에 만들어진 천상열차분야지도(天象列次分野之圖)를 숙종 때에 다시 새긴 석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복각 천상열차분야지도 각석 · 더보기 »

복녕군

복녕군(福寧君, 1639년 ~ 1670년 음력 10월 15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복녕군 · 더보기 »

복평군

복평군(福平君,, 아명은 李棩, 1648년 ~ 1682년)은 조선의 왕족 종실이며 본관은 전주(全州)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복평군 · 더보기 »

복창군

복창군 이정(福昌君 李楨, 1641년 11월 ~ 1680년 5월 24일)은 조선 중기의 왕족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복창군 · 더보기 »

복사매현

복사매현(伏斯買縣)또는 심천현(深川縣)은 고대의 지명으로 지금의 가평군 조종면 현리(縣里)를 치소로 조종면과 상면(上面)에 있던 지역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복사매현 · 더보기 »

복선군

복선군(福善君, 본명은 이남(李柟), 아명(兒名)은 李楠, 1647년 ~ 1680년 5월 10일)은 조선의 왕족 종실 겸 정치가이며 본관은 전주(全州)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복선군 · 더보기 »

계룡돈대

룡돈대(鷄龍墩臺)는 인천광역시 강화군 내가면 황청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돈대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계룡돈대 · 더보기 »

계백 장군 유적 전승지

백 장군 유적 전승지(階伯將軍遺蹟傳承地)는 백제의 장군 계백의 무덤으로 추정되는 곳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계백 장군 유적 전승지 · 더보기 »

별자리

17세기 네덜란드의 별자리판 별자리 또는 성좌(星座)는 천구(天球)의 별을 지구에서 보이는 모습에 따라 이어서 어떤 사물을 연상하도록 이름을 붙인 것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별자리 · 더보기 »

계유정난

유정난(癸酉靖難)은 1453년(단종 1) 11월 10일 (음력 10월 10일) 수양대군이 김종서와 황보인과 세종의 여러 대군들을 귀양보내거나 제가하며 마지막으로 단종을 제거하고 정권을 장악한 사건을 말. 이 정변이 계유년에 일어났으므로 계유정난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계유정난 · 더보기 »

괴산 만동묘정비

산 만동묘정비(槐山 萬東廟庭碑)는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 화양리에 있는 비석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괴산 만동묘정비 · 더보기 »

괴산 애한정

산 애한정(槐山 愛閑亭)은 충청북도 괴산군 괴산읍 검승리에 있는 건축물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괴산 애한정 · 더보기 »

광희문

복원된 광희문의 모습 광희문(光熙門)은 조선의 수도인 한양의 4소문(小門) 중의 하나로 남쪽의 소문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광희문 · 더보기 »

광주시 (경기도)

광주시(廣州市)는 대한민국 경기도 중동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광주시 (경기도) · 더보기 »

광산 김씨

광산 김씨(光山 金氏)는 광주광역시 및 전라남도 담양군 대전면을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광산 김씨 · 더보기 »

봉은사 청동은입사향완

봉은사 청동은입사향완(奉恩寺 靑銅銀入絲香垸)은 입사(入絲)기법을 써서 청동으로 만든 고려시대의 향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봉은사 청동은입사향완 · 더보기 »

봉산사

강이식 장군을 모신 봉산사 봉산사(鳳山祠)는 진주 강씨의 시조인 고구려 장군 강이식(姜以式)을 배향한 사당으로 경남 진주시 상봉동 885번지 대봉산 자락에 위치하고 있.

새로운!!: 조선 숙종와 봉산사 · 더보기 »

봉성암

봉성암(奉聖庵)은 조선 숙종 37년(1711년) 때에 북한산성 축성 이후 창건된 13개 사찰 중 하나로, 25칸의 암자로 승려 성능(聖能)이 창건하였다고 전. 6.25전쟁 때 소실되었으나 다시 중건되었.

새로운!!: 조선 숙종와 봉성암 · 더보기 »

봉암사

봉암사 전경(2015년 5월 25일 촬영) 봉암사는 대한민국의 경상북도 문경시에 위치한 사찰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봉암사 · 더보기 »

관덕정

제주 관덕정(濟州 觀德亭)은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삼도2동에 있는 조선 시대의 누정으로, 대한민국의 보물 제322호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관덕정 · 더보기 »

관동팔경

양양의 낙산사 관동팔경(關東八景)은 관동지방(현재의 영동 지방)의 특히 이름난 여덟 곳의 경승지를 말.

새로운!!: 조선 숙종와 관동팔경 · 더보기 »

북벌

북벌(北伐)은 단순히 그 의미를 풀면 "북쪽을 정벌한다"라는 뜻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북벌 · 더보기 »

북벌론

북벌론(北伐論)은 소중화사상에 입각하여 문화수준이 낮은 청나라의 오랑캐에게 당한 병자호란, 삼전도의 굴욕등의 수치를 씻고, 임진왜란 당시의 조선을 도와준 명나라에 대한 의리를 지켜 명을 대신하여 복수하자는 주장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북벌론 · 더보기 »

북관대첩비

북관대첩비(北關大捷碑)는 함경북도 북평사 직을 맡고 있던 정문부 장군이 임진왜란 중 의병을 모아 왜군을 격퇴한 공을 기려 조선 숙종 때 북평사 최창대가 함경북도 길주군 임명면 (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북도 김책시 임명동)에 세운 전공 기념 비석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북관대첩비 · 더보기 »

궁녀

궁녀 궁녀(宮女)는 궁의 일을 보는 여성을 말. 본래 의미는 궁에 거주하는 모든 여성의 통칭으로 동의어로 궁인(宮人)·궁첩(宮妾)·내인(內人) 등이 있. 현대 국어사전에선 궁에서 노동력을 제공한 시비(侍婢)로서 내명부 관작을 받은 여인의 호칭으로 정의하고 있.

새로운!!: 조선 숙종와 궁녀 · 더보기 »

북정동 (울산)

북정동(北亭洞)은 울산광역시 중구의 법정동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북정동 (울산) · 더보기 »

북정록

북정록(北征錄)은 다음과 같은 서적들을 가리.

새로운!!: 조선 숙종와 북정록 · 더보기 »

궁호

궁호(宮號)는 조선 왕실에서 여성에게 붙었던 칭호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궁호 · 더보기 »

북한산성

북한산성(北漢山城)은 북한산에 쌓은 산성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북한산성 · 더보기 »

북한산성 행궁

북한산성 행궁(北漢山城 行宮)은 북한산 상원봉 아래에 위치했던 행궁으로, 실제로 사용된 적은 없. 중성문을 지나 남쪽 골짜기로 진입해 동장대가 바라보이는 곳에 자리잡고 있.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고 난 후 도성의 방위 체제를 강화하기 위하여 북한산성을 축성하고 임금이 거처할 수 있는 행궁을 만들었.

새로운!!: 조선 숙종와 북한산성 행궁 · 더보기 »

권절

절(權節, 1422년 ~ 1494년)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권절 · 더보기 »

권상유

상유(權相游, 1656년 - 1724년)는 조선 시대 후기의 학자, 사상가, 문신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권상유 · 더보기 »

권상하

수암 권상하 권상하(權尙夏, 1641년 - 1721년 9월 2일)는 조선시대 후기의 학자, 교육자로 효종, 현종, 숙종 때의 성리학자였.

새로운!!: 조선 숙종와 권상하 · 더보기 »

불목하니

불목하니는 한국 고유의 불교 전통 성향 직업인데 지금은 사라진 직업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불목하니 · 더보기 »

붕당

붕당(朋黨)은 조선 중기 이후 특정한 학문적·정치적 입장을 공유하는 양반들이 모여 구성한 정치 집단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붕당 · 더보기 »

부산 범어사 조계문

부산 범어사 조계문(釜山 梵魚寺 曹溪門)은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부산 범어사 조계문 · 더보기 »

부안 개암사 응진전 16나한상

부안 개암사 응진전 16나한상(扶安 開巖寺 應眞殿 16羅漢像)은 전라북도 부안군 개암사 응진전에 있는 16구의 나한상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부안 개암사 응진전 16나한상 · 더보기 »

부원군

부원군(府院君)은 고려 충렬왕 이후 조선시대까지 사용한 작호(爵號)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부원군 · 더보기 »

귤림서원

림서원 (2004년 복원) 귤림서원(橘林書院)은 제주도에 있었던 서원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귤림서원 · 더보기 »

규장각

창덕궁 후원 부용지 주변에 세워진 규장각(2층 건물의 1층)과 서향각 규장각(奎章閣)은 조선 후기의 왕실 학문 연구 기관이자 왕실 도서관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규장각 · 더보기 »

규사

《규사》(葵史)는 우리 나라의 역대 서얼들의 행적 및 그들이 조정에 올린 장주(章奏)들을 모아 편찬한 책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규사 · 더보기 »

규원사화

《규원사화(揆園史話)》는 1675년에 북애자(北崖子)가 저술하였다는 역사서 형식의 사화(史話)로, 상고시대와 단군조선의 임금에 대해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

새로운!!: 조선 숙종와 규원사화 · 더보기 »

귀인 조씨 (영조)

인 조씨(貴人 趙氏, 1707년 음력 10월 16일 ~ 1780년)는 조선의 제21대 왕 영조의 후궁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귀인 조씨 (영조) · 더보기 »

귀성군

성군 이준(또는 구성군 이준, 龜城君 李浚, 1441년 1월 ~ 1479년 1월 28일)은 조선 전기의 왕족 종실(王族 宗室), 문신(文臣), 무신(武臣), 정치가(政治家)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귀성군 · 더보기 »

기로소

소(耆老所)는 조선시대에 연로한 문신(文臣)들을 예우하기 위해 설치한 명예기구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기로소 · 더보기 »

기사계첩

사계첩(耆社契帖)은 조선 숙종 45년에 열렸던 기로회의 행사장면과 임방의 서문, 왕의 시문, 전체 내용을 요약한 김유의 발문과 참석명단과 참석한 노신들의 초상 등으로 꾸민 화첩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기사계첩 · 더보기 »

기사환국

사환국(己巳換局)은 조선 숙종 15년(1689년) 때 소의(昭儀) 장씨 소생의 아들 윤(昀)을 원자로 삼으려는 숙종에 반대한 송시열 등 서인이 이를 지지한 남인에게 패배하고, 정권이 서인에서 남인으로 바뀐 일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기사환국 · 더보기 »

금강산

강산(金剛山)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강원도 금강군 · 고성군 · 통천군에 걸쳐있는 산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금강산 · 더보기 »

금강산 해금강

삼일포의 전경 금강산 해금강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금강산 삼일포 주변에 있는 바다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금강산 해금강 · 더보기 »

금남면 (하동군)

면(金南面)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하동군의 면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금남면 (하동군) · 더보기 »

금정산

정산(金井山)은 부산과 양산에 걸쳐 있는 산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금정산 · 더보기 »

금정산성

정산성(金井山城)은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성동에 있는 삼국시대의 성곽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금정산성 · 더보기 »

금정산성 부설비

정산성 부설비(金井山城 復說碑)는 금정산성을 보수한 뒤 산성의 면모를 새롭게 한 사실을 기념하기 위해 세운 비석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금정산성 부설비 · 더보기 »

금성대군

성대군 이유(錦城大君 李瑜, 1426년 5월 5일/음력 3월 28일~1457년 11월 7일/음력 10월 21일)는 조선 전기의 왕족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금성대군 · 더보기 »

빈 (지위)

빈(嬪)은 조선 왕조 내명부(內命婦)의 품계 중 하나로, 국왕의 정1품 후궁의 위호(位號)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빈 (지위) · 더보기 »

비밀의 문: 의궤 살인 사건

《비밀의 문: 의궤 살인 사건》은 2014년 9월 22일부터 2014년 12월 9일까지 SBS에서 방영된 대기획 드라마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비밀의 문: 의궤 살인 사건 · 더보기 »

김만기 (1633년)

만기(金萬基, 1633년 ~ 1687년 3월 15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문인·문신이자 척신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김만기 (1633년) · 더보기 »

김만중

만중(金萬重, 1637년 ~ 1692년)은 조선 문신이자, 소설가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김만중 · 더보기 »

김만증

만증 초상화 김만증(金萬增, 1635년 ~ 1720년)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학자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김만증 · 더보기 »

김광찬

광찬(金光燦, 1597년 ~ 1668년 2월 24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자는 사회(思晦), 호는 운수거사(雲水居士), 본관은 (신)안동(新 安東)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김광찬 · 더보기 »

김구 (1649년)

(金構, 1649년~1704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김구 (1649년) · 더보기 »

김득신 (시인)

득신(金得臣, 1604년 12월 8일(음력 10월 18일)~ 1684년 10월 8일(음력 8월 30일))은 조선 중기의 문인이자 시인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김득신 (시인) · 더보기 »

김우명

우명 김우명(金佑明, 1619년 ~ 1675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외척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김우명 · 더보기 »

김장생

장생(金長生, 1548년 7월 8일 ~ 1631년 8월 3일)은 조선의 유학자, 정치인, 문신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김장생 · 더보기 »

김재로

재로의 초상화, 1738년(57세) 주청사(奏請使)로 북경에 갔을 때 모습 김재로(金在魯, 1682년 ~ 1759년)는 조선의 정치가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김재로 · 더보기 »

김포 문수산성

문수산성(金浦 文殊山城)은 숙종 8년(1682)에 강화유수가 강화지역을 보호하기 위해 축성하여 12년이 지난 숙종 20년(1694) 끝낸 석축산성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김포 문수산성 · 더보기 »

김일경 (1662년)

일경(金一鏡, 1662년 ~ 1724년 12월 8일)은 조선후기의 문신, 성리학자 정치인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김일경 (1662년) · 더보기 »

김익겸

익겸(金益兼, 1614년 ~ 1636년 12월)은 조선의 문신(文臣) 겸 시인이자 정치운동가(政治運動家)이며 사회운동가(社會運動家)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김익겸 · 더보기 »

김익경

익경(金益炅, 1629년 ~ 1675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학자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김익경 · 더보기 »

김익희

익희(金益熙, 1610년 ~ 1656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김익희 · 더보기 »

김익훈

익훈(金益勳, 1619년 ~ 1689년 3월 11일)은 조선의 외척이며 문신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김익훈 · 더보기 »

김제갑

제갑(金悌甲, 1525년 ~ 1592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임진왜란 당시 원주 영원산성에서 성을 끝까지 지키다가 죽었.

새로운!!: 조선 숙종와 김제갑 · 더보기 »

김주신

주신(金柱臣, 1661년 음력 10월 4일 ~ 1721년 음력 7월 24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김주신 · 더보기 »

김집 (1574년)

집(金集, 1574년 음력 6월 6일 ~ 1656년 음력 윤 5월 13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유학자, 작가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김집 (1574년) · 더보기 »

김진규 (조선)

(金鎭圭, 1658년 ~ 1716년)는 조선의 문신(文臣) 겸 시인(詩人)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김진규 (조선) · 더보기 »

김창집

몽와 김창집 영정(영의정 재직 무렵) 김창집 (金昌集, 1648년(인조 26년) ∼ 1722년 5월 2일(경종 2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학자, 작가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김창집 · 더보기 »

김창협

창협(金昌協, 1651년(효종 2년) ~ 1708년(숙종 34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학자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김창협 · 더보기 »

김창업

연행록 김창업(金昌業, 1658 ~ 1722)은 조선 후기의 화가·학자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김창업 · 더보기 »

김천택

택(金天澤, 1680년대 말(추정) ~ ?) 조선 영조 때의 가인(歌人)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김천택 · 더보기 »

김춘택

택‎ 김춘택(金春澤, 1670년 ~ 1717년)은 조선후기의 문신, 외척, 작가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김춘택 · 더보기 »

김유 초상

유 초상(金楺 肖像)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경기도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초상화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김유 초상 · 더보기 »

김유석

유석(金庾石, 1966년 9월 22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김유석 · 더보기 »

김육

육(金堉, 1580년 8월 23일(음력 7월 14일)~1658년 10월 1일(음력 9월 5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유학자, 실학자, 사상가, 작가, 정치가, 철학자이며, 효종·현종 연간에 대동법의 시행을 주장, 추진하였으며 화폐의 보급에 힘썼.

새로운!!: 조선 숙종와 김육 · 더보기 »

김상용 (1561년)

선원 김상용 김상용(金尙容, 1561년 ~ 1637년 1월 22일)은 조선시대 중·후기의 문인, 시인, 정치가, 서예가로 선조 때 문과에 급제하여 관작은 보국숭록대부 의정부우의정, 판돈녕부사에 이르렀고, 병자호란 때 강화도가 함락되자 문루에 화약을 쌓고 불을 붙여 자폭하였.

새로운!!: 조선 숙종와 김상용 (1561년) · 더보기 »

김태일 (1637년)

일(金兌一, 1637년 ~ 1702년)은 조선시대 현종, 숙종 때의 문신이자 학자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김태일 (1637년) · 더보기 »

김수장

수장(金壽長, 1690~?)은 조선 후기의 가인(歌人)으로, 호는 노가재(老歌齋)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김수장 · 더보기 »

김수흥

수흥(金壽興, 1626년-1690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의정부우의정, 영의정을.

새로운!!: 조선 숙종와 김수흥 · 더보기 »

김수항

수항(金壽恒, 1629년(인조 7년) ∼ 1689년(숙종 15년) 4월 9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학자, 본관은 (신)안동(安東)으로 좌의정 청음 김상헌(金尙憲)의 손자이며 인목대비는 그의 이모할머니였고 영창대군과 정명공주는 이종숙과 외종이모였.

새로운!!: 조선 숙종와 김수항 · 더보기 »

김석문

석문(金錫文, 1658년(효종 9년) ~ 1735년(영조 11년))은 조선시대 후기의 학자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김석문 · 더보기 »

김석주

석주(金錫冑, 1634년 ~ 1684년 9월 20일)는 조선시대 후기의 외척, 권신, 작가이자 비상한 머리와 수완을 지닌 책사로서, 당시 명성왕후 김씨를 도와 정국을 주. 경신대출척이 그의 작품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김석주 · 더보기 »

김석연 (1648년)

석연(金錫衍, 1648년~1723년 8월 17일)은 조선후기의 문신이자 외척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김석연 (1648년) · 더보기 »

김성행

성행(金省行, 1696년 - 1722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정치인으로 경종 당시 연잉군을 추대하려 했다가 서덕수 등과 함께 사형당.

새로운!!: 조선 숙종와 김성행 · 더보기 »

김한구 (1723년)

(金漢耉, 1723년 2월 23일 ~ 1769년 11월 5일)는 조선 후기의 외척으로 김선경의 아들이자 정순왕후, 김귀주의 아버지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김한구 (1723년) · 더보기 »

김시습

시습(金時習, 1435년 ~ 1493년)은 조선 초기의 문인, 학자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김시습 · 더보기 »

김홍집 (1842년)

홍집(金弘集, 1842년 ~ 1896년 2월 11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사상가, 정치가이다. 자(字)는 경능(敬能), 호는 도원(道園)·이정학재(以政學齋), 시호는 충헌(忠獻), 본관은 경주이다. 1880년 수신사 일행으로 일본을 방문한 뒤, 신문물을 견학하고 돌아와 개화, 개항의 중요성을 역설하였다. 한편으로 위정척사파 계열 인사들도 중용하는 등의 정책을 펼쳤으나 급진 개화파로 몰렸고, 1884년 갑신정변(甲申政變) 진압 후 우의정, 좌의정 등으로 전권대신(全權大臣)이 되어 한성조약(漢城條約)을 체결하였다. 그 뒤 1896년 관제 개정 이후 동학 농민 운동을 진압하기 위해 끌어들인 일본측의 지원으로 총리대신이 되었으며, 총리대신 재직 중 신분제 폐지, 단발령 등을 강행하는 한편, 함께 일본의 도움으로 개혁, 개방을 단행한 뒤에는 친일파로 몰려 아관파천 때 친러파의 군인들에게 살해당하였다. 원래 이름은 김홍집(金弘集)이었으나, 청 고종(高宗) 건륭황제의 휘가 ‘홍력’(弘歷)이었기 때문에 이를 피하기 위해 김굉집(金宏集)으로 가운데 자(字)를 바꾸었다. 조선말기의 문신이자 독립운동가, 대한민국의 부통령을 지낸 이시영은 그의 사위였다. 박규수, 오경석, 강위의 문인이다.

새로운!!: 조선 숙종와 김홍집 (1842년) · 더보기 »

대동법

동법(大同法)은 조선 중기인 광해군-숙종 시기에 지방의 특산물로 바치던 공물을 쌀로 통일하여 바치게 한 세금 제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대동법 · 더보기 »

대리청정

리청정(代理聽政)은 동아시아의 전제군주제 국가, 특히 중국, 조선, 일본에서 임금의 재가(허락)를 받아 임금의 정치 등 여러 일을 대신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섭정).

새로운!!: 조선 숙종와 대리청정 · 더보기 »

대명천지

명천지(大明天地)는 "크게(大) 밝은(明) 하늘(天)과 땅(地)"이라는 뜻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대명천지 · 더보기 »

대박 (드라마)

《대박》은 SBS에서 2016년 3월 28일부터 2016년 6월 14일까지 방송된 월화 드라마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대박 (드라마) · 더보기 »

대빈묘

빈묘(大嬪墓)는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용두동의 서오릉 경내에 있는 조선의 제19대 왕 숙종의 후궁 희빈 장씨의 무덤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대빈묘 · 더보기 »

대구광역시

광역시(大邱廣域市)는 대한민국의 동남부 내륙에 있는 광역시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대구광역시 · 더보기 »

대현동 (울산)

현동(大峴洞)은 울산광역시 남구의 행정동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대현동 (울산) · 더보기 »

대한민국의 대학

이 문서는 대한민국의 대학에 관한 것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대한민국의 대학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

이 문서는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 · 더보기 »

대원사 (산청군)

원사(大源寺)는 경상남도 산청군 삼장면 대원리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소속 사찰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대원사 (산청군) · 더보기 »

대왕대비

왕대비(大王大妃)는 전왕의 어머니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대왕대비 · 더보기 »

누동궁

동궁(樓洞宮)은 한성 북부 안국방 즉 현재 종로구 익선동 166번지에 있던 궁으로 철종의 사친 전계대원군의 사손들의 사저이자 종택이기도 하며, 누동궁 내에는 불천지위 3위를 모신 전계궁이 있었던 곳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누동궁 · 더보기 »

구 영릉 석물 - 세종대왕신도비

세종대왕 신도비(世宗大王 神道碑)는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세종대왕기념관 경내에 있는 조선시대의 비석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구 영릉 석물 - 세종대왕신도비 · 더보기 »

구수략

수략(九數略)은 조선 숙종 때의 영의정이자 학자였던 최석정이 지은 수학책으로, 4권 2책의 목판본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구수략 · 더보기 »

구연서원

연서원 구연서원은 요수 신권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1694년(숙종 20년) 거창군 위천면 수승대에 세운 신권이 제자를 가르치던 구주서당을 개조하여 창건되었.

새로운!!: 조선 숙종와 구연서원 · 더보기 »

국녕사

국녕사(國寧寺)는 조선 숙종 37년(1711년)에 북한산성 축성 이후 산성의 수비를 위해 창건한 13개 사찰들 중 하나로, 86칸 규모로 승려 청휘(淸徽)와 철선(徹禪)이 창건하였다고 전. 6.25전쟁 때 소실되었으나 다시 중건되었.

새로운!!: 조선 숙종와 국녕사 · 더보기 »

국조보감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국조보감》 《국조보감》(國朝寶鑑)은 조선의 역대 임금들의 정치 활동 가운데서 모범이 될 만한 사실을 뽑아 적은 편년체의 역사책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국조보감 · 더보기 »

국새

국새(國璽)는 국가의 권리와 정통성을 상징하며, 왕위 계승 또는 국가 권력 이양의 징표로서 사용되는 도장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국새 · 더보기 »

군산 불주사 대웅전

산 불주사 대웅전(群山 佛住寺 大雄殿)은 전라북도 군산시에 있는 건축물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군산 불주사 대웅전 · 더보기 »

굴암돈대

암돈대(屈岩墩臺)는 인천광역시 강화군 양도면 하일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돈대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굴암돈대 · 더보기 »

남 (성씨)

(南)씨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남 (성씨) · 더보기 »

남구만

만 초상 남구만(南九萬, 1629년 ~ 1711년)은 조선의 문신이자 정치가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남구만 · 더보기 »

남효온

효온의 글씨 남효온(南孝溫, 1454년~1492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고 생육신 중의 한 사람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남효온 · 더보기 »

남인

인(南人)은 조선 붕당정치의 당파로, 조선 중기 이후 동인이 북인과 남인으로 분파되면서 발생.

새로운!!: 조선 숙종와 남인 · 더보기 »

남지훈

훈(南至薰)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남지훈 · 더보기 »

남연군

연군 이구(南延君 李球, 1788년 8월 22일 ~ 1836년 3월 19일)은 조선 시대 후기의 문신, 왕족으로 이름은 구(球), 자는 치수(稚受)이며 원래 이름은 채중(采重) 또는 채중(寀重)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남연군 · 더보기 »

남선면

선면(南先面)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안동시의 면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남선면 · 더보기 »

남소문

소문(南小門)은 조선 시대 사소문의 하나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남소문 · 더보기 »

남한산성

산성(南漢山城)은 대한민국 경기도 광주시, 성남시, 하남시에 걸쳐 있는 남한산을 중심으로 하는 산성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남한산성 · 더보기 »

남원 만인의총

원 만인의총(南原 萬人義塚)은 전라북도 남원시 향교동에 있. 조선 선조 30년 정유재란 때 남원성을 끝까지 지키다가 순절한 민·관·군의 합장유적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남원 만인의총 · 더보기 »

남후면

후면(南後面)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안동시의 면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남후면 · 더보기 »

난중일기

중일기(亂中日記)는 조선 중기의 무신(武臣) 이순신(李舜臣)이 임진왜란 7년(1592년 ~ 1598년) 동안 군중에서 쓴 일기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난중일기 · 더보기 »

나주 불회사 석장승

주 불회사 석장승(羅州 佛會寺 石長栍)은 전라남도 나주시 다도면 불회사 입구에 서 있는 2구의, 돌로 만든 장승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나주 불회사 석장승 · 더보기 »

낙천군

낙천군 이온(洛川君 李縕, 락천군 1720년 11월 26일(음력 10월 21일 - 1737년 9월 28일)은 조선 시대 후기의 왕족 종실이며 숙종의 서자(庶子)인 연령군의 양자이며 경종, 영조의 조카이다. 낙천군 이온의 경우 본래는 조선 선조의 서 6대손으로, 생부는 선조의 아홉째 서자였던 경창군 이주(慶昌君 李珘)의 5대손 이채(李埰)이다. 가계상 남연군의 할아버지뻘, 흥선대원군의 증조부뻘이 된다. 초명은 수신(守愼), 자는 온중(蘊仲)이다. 원래 조선 선조의 아홉번째 서자 경창군의 6대손이었으나, 아들 없이 사망한 연령군의 사후 양자가 되었다. 그러나 그도 아들이 없이 사망하였다. 일설에는 은신군(사도세자의 서2남)이 그의 제사 받들기를 꺼렸다는 풍문이 나돌았으나, 은신군은 죽은 뒤에 1777년 이복형 정조에 의해 연령군의 봉사손이 되었다. 관직은 수덕대부(綏德大夫) 에 이르렀고, 부인은 서종수(徐宗秀)의 딸이다. 호적상 흥선대원군의 증조부가 된다.

새로운!!: 조선 숙종와 낙천군 · 더보기 »

낙산사

낙산사 (洛山寺)는 대한민국 강원도 양양군 오봉산에 있는 사찰로 조계종 제3교구 신흥사의 말사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낙산사 · 더보기 »

낙선군

낙선군(樂善君, 1641년 음력 11월 7일(12월 9일) ~ 1695년 음력 3월 14일(4월 26일))은 조선의 왕족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낙선군 · 더보기 »

농소동 (울산)

농소동(農所洞)은 울산광역시 북구의 행정동 농소1동, 농소2동, 농소3동의 통칭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농소동 (울산) · 더보기 »

노론

(老論)은 서인과 같이 성리학적 명분론을 신봉하였지만 숙종 때 서인에서 노론과 소론으로 나뉜 붕당으로 알려져 있. 서인에서 송시열을 중심으로 하는 사람들은 노론, 윤증을 중심으로 하는 사람들은 소론이 되었으며 숙종 이후 조선의 주요 집권 세력이었.

새로운!!: 조선 숙종와 노론 · 더보기 »

노적사

적사(露積寺)는 조선 숙종 38년(1712년) 때에 북한산성 축성 이후 산성의 수비를 위해 창건된 13개 사찰들 중 하나인 진국사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노적사 · 더보기 »

다모 (드라마)

《조선 여형사 다모》(茶母)는 2003년 7월 28일부터 2003년 9월 9일까지 MBC에서 방영된 드라마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다모 (드라마) · 더보기 »

다솔사

솔사(多率寺)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사천시 곤명면의 봉명산에 있는 사찰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다솔사 · 더보기 »

단의왕후

의왕후 심씨(端懿王后, 1686년 7월 11일(음력 5월 21일) ~ 1718년 3월 8일(음력 2월 7일))는 조선의 제20대 왕인 경종(景宗)의 정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단의왕후 · 더보기 »

달동 (울산)

동(達洞)은 울산광역시 남구의 법정동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달동 (울산) · 더보기 »

달선군

선군 이영(達善君 李泳, 1731년 1월 22일 ~ 1748년 11월 28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종친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달선군 · 더보기 »

당하제명기

《당하제명기》(棠下題名記)는, 조선 초기의 문신 하연(河演)이 작성한 고려 문종(文宗) 32년(1078년) 이래의 경상도(慶尙道) 지역의 역대 관찰사(觀察使)의 명단을 기록한 문헌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당하제명기 · 더보기 »

횡천면

횡천면(橫川面)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하동군의 면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횡천면 · 더보기 »

효목동

효목동(孝睦洞)은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동구의 법정동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효목동 · 더보기 »

효문동

효문동(孝門洞)은 울산광역시 북구의 법정동 및 행정동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효문동 · 더보기 »

효순왕후

효순왕후 조씨(孝純王后 趙氏, 1716년 1월 8일/1715년 음력 12월 14일 ~ 1751년 12월 30일/음력 11월 14일)는 영조의 장남 진종(眞宗, 효장세자)의 비이자, 정조의 양어머니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효순왕후 · 더보기 »

용문면 (양평군)

용문면(龍門面)은 경기도 양평군의 면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용문면 (양평군) · 더보기 »

용남면

용남면(龍南面)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통영시의 면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용남면 · 더보기 »

용암사 (북한산성)

용암사(龍巖寺)는 조선 숙종 37년(1711년) 때에 북한산성 축성 이후 산성의 수비를 위해 창건한 13개 사찰들 중 하나로, 일출봉(日出峯) 아래에 87칸으로 창건하였.

새로운!!: 조선 숙종와 용암사 (북한산성) · 더보기 »

우평숙

우평숙(?~?)은 조선 숙종 때의 명창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우평숙 · 더보기 »

우정동

우정동(牛亭洞)은 울산광역시 중구의 행정동, 법정동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우정동 · 더보기 »

운문사

운문사 안내도 운문사 법당 운문사(雲門寺)는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 호거산(虎踞山, 운문산)에 있는 사찰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운문사 · 더보기 »

울산 김씨

울산 김씨(蔚山 金氏)는 울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울산 김씨 · 더보기 »

울산향교

울산향교(蔚山鄕校)는 울산광역시 중구 교동에 있는 조선시대의 향교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울산향교 · 더보기 »

회원군 (1636년)

회원군 이윤(檜原君 李倫, 1636년 ∼ 1731년)은 조선 후기의 왕족으로 선조 이연의 손자이며, 선조의 13남인 영성군(寧城君)의 장남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회원군 (1636년) · 더보기 »

요화 장희빈

《요화 장희빈》(妖花 張禧嬪)은 1968년 공개된 대한민국의 영화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요화 장희빈 · 더보기 »

자혜사

자혜사(慈惠寺)는 황해남도 신천읍 서원리에 위치한 오랜 절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자혜사 · 더보기 »

장렬왕후

장렬왕후 조씨(莊烈王后 趙氏, 1624년 12월 16일(음력 11월 7일) ~ 1688년 9월 20일(음력 8월 26일))는 조선의 제16대 국왕인 인조의 계비(繼妃)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장렬왕후 · 더보기 »

장릉 (조선 단종)

장릉(莊陵)은 조선 단종의 무덤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장릉 (조선 단종) · 더보기 »

장목면

장목면(長木面)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거제시의 면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장목면 · 더보기 »

장길산

장길산(張吉山, ?~?)은 조선 숙종 때의 도적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장길산 · 더보기 »

장흥 임씨

장흥 임씨(長興 任氏)는 전라남도 장흥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장흥 임씨 · 더보기 »

장희빈 (1971년 드라마)

《장희빈》은 MBC에서 1971년 7월 18일부터 1972년 1월 31일까지 일일 연속극으로 밤 21시 50분에 방영되었던 드라마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장희빈 (1971년 드라마) · 더보기 »

장희빈 (1995년 드라마)

《장희빈》은 SBS에서 1995년 2월 20일부터 9월 26일까지 매주 월, 화 밤에 방영한 드라마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장희빈 (1995년 드라마) · 더보기 »

장희빈 (2002년 드라마)

《장희빈》(張禧嬪)은 2002년 11월 6일부터 2003년 10월 23일까지 KBS 2TV에서 방영한 특별기획 드라마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장희빈 (2002년 드라마) · 더보기 »

장희빈 (동음이의)

장희빈(張禧嬪)은 조선 숙종의 후궁 중 한 사람인 희빈 장씨를 말. 그녀를 배경으로 한 작품은 다음과 같.

새로운!!: 조선 숙종와 장희빈 (동음이의) · 더보기 »

장희빈 (영화)

《장희빈》은 1961년 공개된 대한민국의 영화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장희빈 (영화) · 더보기 »

장희재 (조선)

장희재(張希載, 1651년승정원일기 숙종 27년(1701년) 11월 2일 기록에 장희재의 나이가 51세로 기록되어 있으므로 1651년 생임을 알 수 있다. ~ 1701년 10월 29일)는 조선 후기 무관이자 숙종의 척신으로 옥산부대빈 장씨의 동복 오빠이자 경종의 외삼촌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장희재 (조선) · 더보기 »

장옥정

장옥정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조선 숙종와 장옥정 · 더보기 »

장옥정, 사랑에 살다

《장옥정, 사랑에 살다》는 2013년 4월 8일부터 2013년 6월 25일까지 방송된 SBS 월화드라마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장옥정, 사랑에 살다 · 더보기 »

장현

장현은 다음 뜻으로 쓰인.

새로운!!: 조선 숙종와 장현 · 더보기 »

장현 (조선)

장현(張炫, 1613년 ~ ?)은 조선 인조-숙종때의 역관으로서 첩자와 교섭자로도 활약.

새로운!!: 조선 숙종와 장현 (조선) · 더보기 »

장형 (조선)

장형(張烱烱은 炯(빛날 형)의 속자로 "경"이라는 음이 없다. 2001년 대법원 인명용 한자를 정해서 시행할 때 이 한자의 음을 "경"으로 잡았기에 이러한 오류가 발생한 것이다., 1623년 2월 25일 ~ 1669년 1월 12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통역관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장형 (조선) · 더보기 »

임동면

임동면(臨東面)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안동시의 면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임동면 · 더보기 »

임경업

임경업(林慶業, 1594년 ~ 1646년 8월 1일(음력 6월 20일))은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친명배청파(親明排淸派) 무장이었.

새로운!!: 조선 숙종와 임경업 · 더보기 »

임호 (배우)

임호(1970년 1월 27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임호 (배우) · 더보기 »

임양군

임양군 이환(臨陽君 李桓, 1656년 ~ 1715년)은 조선의 왕족 종실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임양군 · 더보기 »

흥국사 (고양시)

흥국사(興國寺)는 경기도 고양시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소속 사찰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흥국사 (고양시) · 더보기 »

흥완군

흥완군 이정응(興完君 李晸應, 1814년 2월 16일 ~ 1848년 5월 18일)은 조선 시대의 문신, 왕족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흥완군 · 더보기 »

희빈

희빈은 다음의 인물들을 가리.

새로운!!: 조선 숙종와 희빈 · 더보기 »

희빈 장씨

희빈 장씨(禧嬪 張氏, 1659년 11월 3일 (음력 9월 19일) ~ 1701년 11월 7일 (음력 10월 8일)), 장희빈(張禧嬪) 또는 옥산부대빈 장씨(玉山府大嬪 張氏)는 조선의 제19대 왕 숙종의 빈(嬪)으로, 제20대 왕 경종(景宗)의 어머니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희빈 장씨 · 더보기 »

이덕주 (1617년)

이덕주(李德周, 1617년 ∼ 1682년)는 조선 2대왕 정종의 후손으로 덕천군의 8대손이며 이준(李準)의 손자이고 이방익(李邦益)의 아들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이덕주 (1617년) · 더보기 »

이맹휴

이맹휴(李孟休, 1713년~1750년)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학자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이맹휴 · 더보기 »

이만운 (1736년)

이만운(李萬運, 1736년 ~ 1820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학자로 자는 원춘(元春), 호는 묵헌(默軒), 본관은 광주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이만운 (1736년) · 더보기 »

이만유 장군 유물

이만유 장군 유물(李萬宥 將軍 遺物)은 충청남도 당진시 신평면에 있는 유물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이만유 장군 유물 · 더보기 »

이명욱

이명욱(李明郁)은 조선 숙종 때의 화가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이명욱 · 더보기 »

이문용 (1882년)

이문용(李鎔, 1882년 9월 4일 ~ 1901년 10월 8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문신이자, 대한제국의 황족으로, 숙종의 서3남 연령군의 6대손이자 장조의 서2남 은신군(恩信君)의 현손이며, 흥선 대원왕의 손자이자 흥친왕의 차남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이문용 (1882년) · 더보기 »

이발 (1544년)

이발(李潑, 1544년 ~ 1589년 음력 12월 1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자는 경함(景涵), 호는 동암(東菴), 본관은 광산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이발 (1544년) · 더보기 »

이간 (1677년)

이간(李柬, 1677년~1727년)은 조선의 학자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이간 (1677년) · 더보기 »

이건명 (조선)

이건명(李健命, 1663년~1722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이건명 (조선) · 더보기 »

이건창

영재 이건창(寧齋 李建昌, 1852년~1898년)의 아명은 송열(松悅), 자는 봉조(鳳朝·鳳藻), 호는 영재(寧齋)이고, 당호(堂號)는 명미당(明美堂)이며, 조선 제2대왕 정종대왕(定宗)의 열째 왕자인 덕천군(德泉君)의 15대 후손으로 병인양요(고종 3년, 1866) 때 순국한 전(前) 개성부유수·이조판서 충정공(忠貞公) 사기 이시원(沙磯 李是遠)의 손자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이건창 · 더보기 »

이복남

이복남(李福男, 1555년 6월 28일 ~ 1597년 8월 16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무신, 군인이며, 본관은 우계(羽溪)로 자(字)는 수보(綏甫), 시호는 충장(忠壯)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이복남 · 더보기 »

이광정 (1552년)

이광정(李光庭, 1552년 ~ 1629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이광정 (1552년) · 더보기 »

이기용

이기용(李埼鎔, 1889년 11월 1일 ~ 1961년 3월 4일)은 조선 후기의 종친으로 장조의 서자 은신군(恩信君)의 현손이며, 흥선대원왕의 백형(伯兄) 흥녕군 이창응의 손자이고, 계동궁(桂洞宮) 사손(嗣孫)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이기용 · 더보기 »

이기축

이기축(李起築, 1589년 10월 7일 ~ 1645년 6월 6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왕족 출신 무신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이기축 · 더보기 »

이금서

이금서(李金書)는 고려초 문신으로, 호는 남계(南溪), 본관은 경주(慶州)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이금서 · 더보기 »

이굉

이굉(李浤, 1746년 - 1803년)은 조선 후기의 유생이자 종친으로 도정궁(都正宮) 사손(嗣孫) 동돈녕(同敦寧) 증 좌찬성 이형종(李亨宗)의 3남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이굉 · 더보기 »

이단하

이단하(李端夏, 1625년 ∼ 1689년) 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이단하 · 더보기 »

이담명

이담명(李聃命, 1646년 ~ 1701년)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정치인, 성리학자, 실학자이자 시인이며 청백리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이담명 · 더보기 »

이용 (1749년)

이용(李溶, 1749년 - 1818년)은 조선 후기의 무신이자 종친으로 도정궁(都正宮) 사손(嗣孫) 동돈녕(同敦寧) 증 좌찬성 이형종(李亨宗)의 4남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이용 (1749년) · 더보기 »

이우

이우(李鍝, 1912년 11월 15일 ~ 1945년 8월 7일)는 일본 제국의 왕공족, 육군 군인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이우 · 더보기 »

이우정 (1635년)

이우정(李宇鼎, 1635년 ~ 1692년) 조선 후기의 문신, 정치인, 외교관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이우정 (1635년) · 더보기 »

이재 (1680년)

이재(李縡, 1680년~1746년)은 조선의 학자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이재 (1680년) · 더보기 »

이재원 (1831년)

완림군 이재원(完林君 李載元, 1831년 10월 13일 ~ 1891년 2월 19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왕족으로 자는 순팔(舜八), 시호는 효정(孝貞), 본관은 전주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이재원 (1831년) · 더보기 »

이이명

이이명(李頤命, 1658년 ~ 1722년 4월 30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출신 문신·정치인·학자로 노론 4대신의 한사람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이이명 · 더보기 »

이의립

이의립(李義立, 1621년 ~ 1694년)은 조선시대 인물로 유황 제조법을 발견하였.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이의립 · 더보기 »

이익 (1681년)

이익(李瀷, 1681년 10월 18일 ~ 1763년 12월 1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사상가, 철학자, 실학자, 역사가, 교육자로 조선 영조 때의 남인(南人) 실학자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이익 (1681년) · 더보기 »

이정영

이정영(李正英, 1616년 ~ 1686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서예가, 조각가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이정영 · 더보기 »

이정한

이정한(李挺漢, 1601년 9월 25일 - 1671년 8월 30일)은 조선후기의 문신이자 종친이며, 도정궁(都正宮)의 사손(嗣孫)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이정한 · 더보기 »

이조

이조(吏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이조 · 더보기 »

이종 (1940년)

이종(李淙, 1940년 11월 9일(음력 10월 10일) ~ 1966년 12월 25일)은 일본과 대한민국 사람으로, 대한제국의 황족 출신 인물로, 흥선대원군의 5대손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이종 (1940년) · 더보기 »

이종성 (1692년)

이종성 (李宗城, 1692년 ∼ 1759년) 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이종성 (1692년) · 더보기 »

이중군

산군 이중군(金山君 李仲窘, 1413년 2월 9일 ~ 1478년 9월 18일)은 조선 초기의 왕족으로 태조 이성계의 넷째 아들이자 정종과 태종의 동복형제인 회안대군과 그의 2계부인 금릉부부인 김포 금씨(金陵府夫人 金浦 琴氏)의 아들로 태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이중군 · 더보기 »

이중환

이중환(李重煥, 1691년 1월 23일(음력 1690년 12월 25일)~1756년 2월 1일(음력 1월 2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실학자, 사상가, 철학자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이중환 · 더보기 »

이진익

이진익(李鎭翼, 1728년 9월 25일 ~ 1796년 4월 26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종실이며 문신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이진익 · 더보기 »

이채 (1700년)

이채(李埰, 1700년 ~ 1738년 또는 1762년)는 조선 후기의 왕족 출신 문신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이채 (1700년) · 더보기 »

이철승

이철승(李哲承, 1922년 5월 15일 ~ 2016년 2월 27일)은 대한민국의 학생운동가, 정치인, 시민사회기관단체인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이철승 · 더보기 »

이상우 (1621년)

이상우(李商雨, 1621년(광해군 13) ∼ 1685년(숙종 11))는 조선 현종, 숙종 때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이상우 (1621년) · 더보기 »

이순

이순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이순 · 더보기 »

이순신

광화문 광장의 이순신 동상 이순신(李舜臣, 1545년 4월 28일 ~ 1598년 12월 16일 (음력 11월 19일))은 조선 중기의 무신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이순신 · 더보기 »

이순신 (1553년)

이순신(李純信, 1553년 12월 27일 ~ 1611년 9월 2일)은 조선 중기의 왕족, 무장, 유학자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이순신 (1553년) · 더보기 »

이수장

이수장(李壽長, 1661 ~ 1733)은 조선의 서예가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이수장 · 더보기 »

이영수 (1693년)

영수(永壽, 1693년 ~ 1693년)는 조선 19대 국왕 숙종의 3남이자 숙빈 최씨 사이에서 태어난 왕자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이영수 (1693년) · 더보기 »

이옥 (1773년)

이옥(李𪸛, 1773년 ~ 1820년 음력 2월 11일)은 조선후기의 문신, 종친으로 고종의 어머니이자 흥선대원군의 처 여흥대원비 민씨의 외조부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이옥 (1773년) · 더보기 »

이현일

이현일(李玄逸, 1627년 1월 11일 - 1704년 10월 3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남인 중신 문신, 정치인, 유학자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이현일 · 더보기 »

이형종 (1706년)

이형종(李亨宗, 1706년 - 1759년)은 조선후기의 문신이자 종친이며, 도정궁(都正宮) 사손(嗣孫)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이형종 (1706년) · 더보기 »

이풍 (조선)

이풍 또는 이례(李灃, 1727년 10월 23일 ~ 1795년 6월 30일)은 조선후기의 문신이자 종친이며, 도정궁(都正宮) 사손(嗣孫)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이풍 (조선) · 더보기 »

이산 (드라마)

《이산》(李祘)은 조중현 기획, 이병훈·김근홍 연출, 김이영 극본으로 문화방송에서 방영한 드라마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이산 (드라마) · 더보기 »

이세백

이세백(李世白, 1635년 ~ 1703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이세백 · 더보기 »

이세상

이세상(李世祥, 1671년 - 1719년)은 조선후기 무신으로 수사(水使)를 지냈으며, 도정궁 사손(嗣孫) 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 이홍일(李弘逸)의 3남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이세상 · 더보기 »

이서구 (작가)

이서구(李瑞求, 일본식 이름: 牧山瑞求 마키야마 쓰이모토무, 1899년 4월 5일 ~ 1981년 5월 25일)는 일제 강점기부터 활동한 극작가이며 대한민국의 방송작가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이서구 (작가) · 더보기 »

이서우 (1633년)

이서우(李瑞雨, 1633년 3월 1일 ~ 1709년 10월 14일)는 조선 후기의 문신, 시인, 작가, 서예가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이서우 (1633년) · 더보기 »

이해 (1496년)

이해(李瀣) 1496년 ~ 1550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다. 본관은 진보(眞寶). 자는 경명(景明), 호는 온계(溫溪)이다.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이해 (1496년) · 더보기 »

이시명

이시명(李時明, 1590년 - 1674년)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성리학자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이시명 · 더보기 »

이원익

이원익(李元翼, 문화어: 리원익, 1547년 12월 5일 ~ 1634년 2월 26일)은 조선시대 중기, 후기의 왕족 종실 출신 문신, 시인, 학자, 정치인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이원익 · 더보기 »

이원정 (1622년)

이원정(李元禎, 1622년 - 1680년 음력 8월 21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외교관이자 작가, 서예가, 시인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이원정 (1622년) · 더보기 »

이홍일

이홍일(李弘逸, 1640년 - 1718년)은 조선중기의 종친이자 문신이며, 도정궁(都正宮) 사손(嗣孫)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이홍일 · 더보기 »

이홍술

이홍술(李弘述, 1647년 - 1722년 5월 17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출신 무신, 정치인이며, 자는 사선(士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이홍술 · 더보기 »

이황

이황(李滉, 1502년 1월 3일(1501년 음력 11월 25일) ~ 1571년 1월 3일(1570년 음력 12월 8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학자이다. 본관은 진보(眞寶). 자는 경호(景浩), 호는 퇴계(退溪), 시호는 문순(文純)이다. 이언적, 이이, 송시열, 박세채, 김집과 함께 문묘 종사와 종묘 배향을 동시에 이룬 6현 중 한 사람이다. 이언적의 사상을 이어받아 영남학파의 중추적 학자가 되었으며 나아가 한국을 대표하는 성리학자가 되었다. 학맥은 동서 분당 뒤에 동인의 핵심을 이루고, 다시 동인이 남인-북인으로 갈릴 때, 이황 제자들은 남인, 조식 제자들은 북인을 이룬다. 한편 그의 저술 중 일부는 임진왜란 당시 일본군이 약탈해갔는데, 일본 성리학 발전에 영향을 주기도 하였다.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이황 · 더보기 »

이완용

이완용(李完用, 1858년 7월 17일(음력 6월 7일) ~ 1926년 양력 2월 12일)은 대한제국의 외교관, 정치가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이완용 · 더보기 »

인동 장씨

인동 장씨(仁同 張氏)는 경상북도 구미시 인동동(仁同洞)을 관향(貫鄕)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인동 장씨 · 더보기 »

인경왕후

인경왕후 김씨(仁敬王后 金氏, 1661년 10월 25일(음력 9월 3일) ~ 1680년 12월 16일(음력 10월 26일))는 조선의 왕 숙종의 정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인경왕후 · 더보기 »

인평대군

인평대군 이요(麟坪大君 李㴭, 1622년 12월 10일 ~ 1658년 5월 13일)은 조선 인조의 셋째 아들이자, 효종의 동생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인평대군 · 더보기 »

인천광역시의 역사

대동여지도에 그려진 인천 부근 인천광역시의 역사는 선사시대인 구석기 시대로 거슬러 올. 원삼국시대에 미추홀이 있었다고 추정되며, 삼국 시대에 고구려의 영토가 된 뒤로는 매소홀현(買召䑸䎱)으로 불리다가 다시 신라의 영토가 되었고 경덕왕이 소성(邵城)이라 이름지었.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인천광역시의 역사 · 더보기 »

인현왕후

인현왕후 민씨(仁顯王后 閔氏, 1667년 5월 15일(음력 4월 23일) ~ 1701년 9월 16일(음력 8월 14일))는 조선 제19대 임금인 숙종의 2번째 왕후(王后)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인현왕후 · 더보기 »

인현왕후 (드라마)

《인현왕후》는 MBC 정통 사극 조선왕조 오백년의 여덟 번째 작품으로, 1988년 1월 13일부터 10월 13일까지 방영되었.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인현왕후 (드라마) · 더보기 »

인현왕후의 남자

《인현왕후의 남자》는 2012년 4월 18일부터 2012년 6월 7일까지 tvN에서 방영한 드라마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인현왕후의 남자 · 더보기 »

인현왕후전

《인현왕후전(仁顯王后傳)》은 지은이와 연대 미상의 전기로, 원명은 《인현성모덕행록(仁顯聖母德行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인현왕후전 · 더보기 »

인선왕후

인선왕후 장씨(仁宣王后 張氏, 1619년 2월 9일(1618년 음력 12월 25일) ~ 1674년 3월 19일(음력 2월 23일))는 조선의 왕후로, 효종의 정비(正妃)이자 현종의 어머니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인선왕후 · 더보기 »

인원왕후

인원왕후 김씨(仁元王后, 1687년 11월 3일/음력 9월 29일 ~ 1757년 5월 13일/음력 3월 26일)은 조선 숙종의 두 번째 계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인원왕후 · 더보기 »

음력 10월 10일

음력 10월 10일은 음력 10월의 10번째 날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음력 10월 10일 · 더보기 »

음력 10월 26일

음력 10월 26일은 음력 10월의 26번째 날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음력 10월 26일 · 더보기 »

음력 6월 8일

음력 6월 8일은 음력 6월의 8번째 날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음력 6월 8일 · 더보기 »

음력 8월 15일

음력 8월 15일은 음력 8월의 15번째 날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음력 8월 15일 · 더보기 »

음력 9월 3일

음력 9월 3일은 음력 9월의 3번째 날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음력 9월 3일 · 더보기 »

의안대군 (1382년)

의안대군(宜安大君, 1382년 ~ 1398년 10월 6일(음력 8월 26일))은 조선 태조 이성계의 8왕자이며 조선의 첫 왕세자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의안대군 (1382년) · 더보기 »

의왕 청계사 동종

사인비구 제작 동종 - 의왕청계사동종(思印比丘 製作 銅鍾 - 儀旺淸溪寺銅鍾)은 경기도 의왕시, 청계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종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의왕 청계사 동종 · 더보기 »

익릉

익릉(翼陵)은 조선 제19대 왕인 숙종의 정비인 인경왕후의 능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익릉 · 더보기 »

익평부수

익평부수 이철(益平副守 李澈, 1659년 - ?년)은 조선 중기의 왕족으로 덕흥대원군의 증손이며, 종실 진양군 이담령(珍陽君 李聃齡)의 7남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익평부수 · 더보기 »

흑산도

흑산도(黑山島)는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에 있는 섬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흑산도 · 더보기 »

을밀대

을밀대(乙密臺)는 평양시 중구역 금수산 을밀봉 밑에 있는 6세기 중엽 고구려 평양성 내성의 북쪽장대로 세워진 정자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을밀대 · 더보기 »

을지문덕

을지문덕(乙支文德, ? ~ ?)은 고구려 영양왕(재위: 590년 ~ 618년) 때의 장군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을지문덕 · 더보기 »

은렬사

은렬사(殷烈祠)는 은렬공 강민첨을 배향한 사당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은렬사 · 더보기 »

은진 송씨

은진 송씨(恩津 宋氏)는 충청남도 논산시 은진면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은진 송씨 · 더보기 »

은수사

은수사(銀水寺)는 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 동촌리에 있는 조계종 소속 사찰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은수사 · 더보기 »

은신군

은신군 이진(恩信君 李禛, 1755년 음력 1월 11일 ~ 1771년 음력 3월 29일)은 조선시대의 왕자, 왕족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은신군 · 더보기 »

제2차 진주성 전투

제2차 진주성 전투(第二次晋州城戰鬪)는 1593년 7월 20일(음력 6월 22일)부터 같은 달 27일(음력 6월 29일)까지 진주성에서 벌어진 전투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제2차 진주성 전투 · 더보기 »

제주 부씨

제주 부씨(濟州夫氏)는 제주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제주 부씨 · 더보기 »

제주마

제주마(濟州馬, Equus caballus)는 제주특별자치도에 자생하는 조랑말의 총칭으로, 1986년 2월 8일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347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조선 숙종와 제주마 · 더보기 »

전계군 (동음이의)

전계군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조선 숙종와 전계군 (동음이의) · 더보기 »

전광렬

전광렬(田光烈, 1960년 2월 11일 ~)은 대한민국의 연기자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전광렬 · 더보기 »

전당시

《전당시》(全唐詩)는, 중국 청(淸) 강희제(康熙帝)의 칙명에 따라 팽정구(彭定求) 등이 당시(唐詩)를 모아 엮은 한시집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전당시 · 더보기 »

전주 경기전 정전

전주 경기전 정전(全州 慶基殿 正殿)은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풍남동, 전주 한옥마을 부근에 있는 조선 시대의 묘사(廟祠)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전주 경기전 정전 · 더보기 »

전주 이씨

전주 이씨(全州 李氏)는 전라북도 전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전주 이씨 · 더보기 »

정몽주

정몽주(鄭夢周, 양력 1338년 1월 13일 (1337년 음력 12월 22일) ~ 1392년 4월 26일(음력 4월 4일))는 고려왕조의 충신(忠臣)으로 문신·외교관이자, 정치가·교육자·유학자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정몽주 · 더보기 »

정명공주

정명공주(貞明公主, 1603년 6월 27일(음력 5월 19일) ~ 1685년 9월 8일(음력 8월 10일))는 조선 후기의 왕족으로, 선조와 인목왕후의 딸이며 영창대군의 누나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정명공주 · 더보기 »

정문부

정문부(鄭文孚, 1565년 ~ 1624년)는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임진란 일등 공신 좌찬성 대제학 의병장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정문부 · 더보기 »

정발 (1553년)

정발(鄭撥, 1553년 ~ 1592년 5월 23일(음력 4월 13일))은 조선 중기의 무신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정발 (1553년) · 더보기 »

정보 (조선)

정보(鄭保, ? ~ ?)는 조선시대 초기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정보 (조선) · 더보기 »

정관읍

정관읍(鼎冠邑)은 부산광역시 기장군의 북부에 위치한 읍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정관읍 · 더보기 »

정관정요

《정관정요》(貞觀政要)는 중국 당 때에 오긍이 편찬했다고 전하는 당 태종의 언행록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정관정요 · 더보기 »

정빈 이씨

정빈 이씨(靖嬪 李氏, 1694년? ~ 1721년 6월 / 11월)는 조선 제21대 왕 영조(英祖)의 후궁이자 빈(嬪)으로, 조선의 추존황제 진종의 어머니이며, 정조의 양 할머.

새로운!!: 조선 숙종와 정빈 이씨 · 더보기 »

정구 (1543년)

정구(鄭逑, 1543년 7월 9일 ~ 1620년 1월 5일)는 조선 중기의 문신, 성리학자, 철학자, 역사학자, 작가, 서예가, 의학자이자 임진왜란기의 의병장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정구 (1543년) · 더보기 »

정읍 피향정

정읍 피향정(井邑 披香亭)은 전라북도 정읍시 태인면 태창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누정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정읍 피향정 · 더보기 »

정제두

정제두(鄭齊斗, 1649년∼1736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정제두 · 더보기 »

정종실록

《정종실록》(定宗實錄) 또는 《공정왕실록》(恭靖王實錄)은 조선 정종 원년(1399년)부터 정종 2년(1400년)까지의 역사를 기록한 책으로, 조선왕조실록의 한 부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정종실록 · 더보기 »

정철

정철(鄭澈, 1536년 12월 18일(음력 12월 6일) ~ 1594년 2월 7일(1593년 음력 12월 18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시인이자 문신, 정치인, 학자, 작가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정철 · 더보기 »

정순왕후 (조선 단종)

정순왕후 송씨(定順王后 宋氏, 1440년 ~ 1521년 7월 7일 (음력 6월 4일)) 는 조선 단종(端宗)의 정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정순왕후 (조선 단종) · 더보기 »

정순왕후 (조선 영조)

정순왕후 김씨(貞純王后, 1745년 12월 2일 ~ 1805년 2월 11일)는 조선의 21대왕인 영조(英祖)의 계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정순왕후 (조선 영조) · 더보기 »

정호 (1648년)

정호(鄭澔, 1648년 ~ 1736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정호 (1648년) · 더보기 »

정혜옹주 (1584년)

정혜옹주(貞惠翁主, 1584년 음력 3월 22일 ~ 1638년)는 조선 시대의 왕족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정혜옹주 (1584년) · 더보기 »

정성왕후

정성왕후 서씨(貞聖王后 徐氏, 1693년 1월 12일 (1692년 음력 12월 7일) ~ 1757년 4월 3일 (음력 2월 15일)는 조선의 제21대 왕 영조의 정비(正妃)이며 조선의 역대 왕비 중 왕비재임기간이 가장 긴 왕비이다. 정식시호는 혜경장신강선공익인휘소헌원렬단목장화정성왕후(惠敬莊愼康宣恭翼仁徽昭獻元烈端穆章和貞聖王后)이다. 본관은 달성(達城). 달성부원군(達城府院君) 서종제와 잠성부부인(岑城府夫人) 이씨(李氏) 사이에서 태어났다.

새로운!!: 조선 숙종와 정성왕후 · 더보기 »

정안왕후

정안왕후 김씨(定安王后 金氏, 1355년 1월 22일/음력 1월 9일~ 1412년 8월 2일/음력 6월 25일)는 조선 정종의 왕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정안왕후 · 더보기 »

조문명

조문명의 초상화 조문명(趙文命, 1680년-1732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학자로 영조의 장남 효장세자의 장인이며 효순현빈 조씨(뒤에 왕후로 추존)의 친정아버지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조문명 · 더보기 »

조관

조관(1700 ~ 1762)은 조선의 승려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조관 · 더보기 »

조정만

조정만(趙正萬, 1654년 ~ 1739년 4월 13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학자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조정만 · 더보기 »

조상경 (1681년)

조상경(趙尙絅, 1681년 ~ 1746년)은 조선의 문신 겸 시인이며 정치가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조상경 (1681년) · 더보기 »

조태채

조태채(趙泰采, 1660년 ~ 1722년 11월 12일)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조태채 · 더보기 »

조태억

가노 츠네노부가 그린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태억 초상 조태억(趙泰億, 1675년 ~ 1728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조태억 · 더보기 »

조영석

조영석(趙榮祏, 1686년(숙종 12년) ~ 1761년(영조 37년))는 조선시대 후기의 화가, 시인, 서예가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조영석 · 더보기 »

조사석

조사석(趙師錫, 1632년 ∼ 1693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조사석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경종

경종(景宗, 1688년 11월 20일(음력 10월 28일) ~ 1724년 10월 11일(음력 8월 25일))은 조선의 제20대 임금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조선 경종 · 더보기 »

조선 단종

종(端宗, 1441년 8월 9일 (음력 7월 23일) ~ 1457년 11월 7일 (음력 10월 21일), 재위 1452년~1455년)은 조선의 제6대 왕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조선 단종 · 더보기 »

조선 효종

효종의 한글편지 효종(孝宗, 1619년 7월 3일 (음력 5월 22일) ~ 1659년 6월 23일 (음력 5월 4일), 재위: 1649년 ~ 1659년)은 조선의 제17대 임금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조선 효종 · 더보기 »

조선 장조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조선 숙종와 조선 장조 · 더보기 »

조선 정조

정조 (正祖, 1752년 10월 28일(음력 9월 22일) ~ 1800년 8월 18일(음력 6월 28일))는 조선의 제22대 왕이며, 대한제국의 추존 황제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조선 정조 · 더보기 »

조선 정종

정종(定宗, 1357년 7월 18일 (음력 7월 1일) ~ 1419년 10월 15일 (음력 9월 26일), 재위: 1398년 ~ 1400년)은 고려 말기의 문신이자 조선의 제2대 임금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조선 정종 · 더보기 »

조선 진종

종(眞宗, 1719년 4월 4일(음력 2월 15일) ~ 1728년 12월 16일(음력 11월 16일))은 조선의 왕세자이자 추존왕, 대한제국 추존황제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조선 진종 · 더보기 »

조선 태종

종(太宗, 1367년 6월 13일 (음력 5월 16일) ~ 1422년 5월 30일 (음력 5월 10일) 재위 1400년 ~ 1418년)은 고려, 조선의 문신이자 조선의 제3대 임금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조선 태종 · 더보기 »

조선 영조

영조(英祖, 1694년 10월 31일(음력 9월 13일) ~ 1776년 4월 22일(음력 3월 5일))는 조선의 제21대 왕(재위, 1724년 10월 16일 ~ 1776년 4월 22일)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조선 영조 · 더보기 »

조선 현종

현종(顯宗, 1641년 3월 14일 (음력 2월 4일) ~ 1674년 9월 17일 (음력 8월 18일), 재위: 1659년 ~ 1674년)은 조선의 제18대 임금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조선 현종 · 더보기 »

조선 세조

세조(世祖, 1417년 11월 2일 (음력 9월 24일) ~ 1468년 9월 23일 (음력 9월 8일), 재위 1455년~1468년)는 조선의 제7대 임금, 시인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조선 세조 · 더보기 »

조선 통신사

조선통신사 행렬도 (대영 박물관 소장) 조선 통신사(朝鮮通信使)는 일반적으로 개화기 이전까지 조선이 에도 막부에 파견한 대규모 사절단을 지칭하는 명칭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조선 통신사 · 더보기 »

조선 후기의 문학

조선 후기의 문학(朝鮮後期-文學) 문서에서는 조선시대 후기의 문학에 관해 설명.

새로운!!: 조선 숙종와 조선 후기의 문학 · 더보기 »

조선 왕 가계도

조선의 임금들은 전주 이씨의 조선 태조의 후손들로 1392년부터 1897년까지 혈통이 이어졌.

새로운!!: 조선 숙종와 조선 왕 가계도 · 더보기 »

조선의 공신

조선의 공신(朝鮮—功臣)은 조선시대 개국이나 반정, 반란 진압 등에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내려주는 칭호와 관직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조선의 공신 · 더보기 »

조선의 군사

이 글은 조선의 군사에 대한 문서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조선의 군사 · 더보기 »

조선의 역대 국왕

조선의 국왕의 칭호는 대개 묘호로 불린.

새로운!!: 조선 숙종와 조선의 역대 국왕 · 더보기 »

조선의 역대 왕비

조선의 왕비와 대한제국의 황후(朝鮮의 王妃와 大韓帝國의 皇后)는 조선 시대 국왕이나 대한제국 황제의 정실 부인(正宮)으로서 중궁(中宮)의 자리에 있던 사람을 말. 흔히 중전(中殿, 중궁전의 준말)이라고 하며 이외에도 국모(國母), 내전(內殿), 곤전(坤殿), 곤위(壼位), 곤극(壼極), 성녀(聖女) 등의 여러 이칭이 있. 왕비의 자리에 오르는 것에는 여러가지 경우가 있었는데, 일반적으로는 국가에서 금혼령(禁婚令)을 내리고 간택 절차를 거쳐 세자빈에 책봉되면 훗날 세자인 남편이 왕위에 올라 자신도 왕비가 되는 것이었.

새로운!!: 조선 숙종와 조선의 역대 왕비 · 더보기 »

조선의 역대 왕대비

조선의 왕대비(朝鮮의 王大妃)는 조선 시대 왕비의 지위(地位) 중 하나로서 일반적으로 임금의 어머니를 말. 흔히 대비(大妃, 왕대비의 준말)라고 하며 이외에도 국모(國母), 모후(母后), 자성(慈聖), 자전(慈殿), 자위(慈闈) 등의 여러 이칭이 있.

새로운!!: 조선 숙종와 조선의 역대 왕대비 · 더보기 »

조선의 역대 왕세자빈

왕세자빈(王世子嬪)은 조선에서 왕세자의 정배(正配, 嫡室)에게 내린 작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조선의 역대 왕세자빈 · 더보기 »

조선의 역사

조선의 역사는 크게 전기와 후기로 나뉘며, 전기를 다시 둘로 나눠 전기와 중기로 보아 전기-중기-후기로 보. 이때 전기-후기를 나누는 기준은 임진왜란이며, 전기-중기-후기를 나누는 기준은 전기와 중기는 중종반정, 중기와 후기는 임진왜란 또는 병자호란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조선의 역사 · 더보기 »

조선의 왕세자

조선의 왕세자 및 대한제국의 황태자는 조선의 국왕, 대한제국 황제의 잠재적 왕위 계승권자로, 신하들은 국왕 외에 그에게도 칭신을 하였.

새로운!!: 조선 숙종와 조선의 왕세자 · 더보기 »

조선왕릉

조선왕릉(朝鮮王陵)은 조선의 역대 왕과 왕비, 추존왕들의 무덤을 총칭하는 말로, 일반적으로 1897년에 수립된 대한제국의 역대 황제와 황후의 무. 조선왕릉은 삼국 시대와 고려 시대의 왕릉 제도의 영향을 받았는데, 고구려의 호석(護石)제도는 신라와 고려를 거쳐 조선왕릉에 그대로 전해졌고, 조선왕릉의 전체적인 형태는 공민왕의 무덤인 현정릉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았.

새로운!!: 조선 숙종와 조선왕릉 · 더보기 »

조선왕조 오백년

《조선왕조 오백년》은 MBC에서 1983년 3월부터 1990년 12월까지 방영한 장편 대하 드라마 시리즈물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조선왕조 오백년 · 더보기 »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은 태조(1392년)부터 철종(1863년)까지 25대에 걸친 472년간 조선 왕조의 역사적 사실을 연월일순(年月日順)에 따라 편년체로 기술한 역사서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조선왕조실록 · 더보기 »

좌의정

좌의정(左議政)은 의정부 3의정의 하나인 정 1품 관직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좌의정 · 더보기 »

종묘

종묘(宗廟)는 조선 왕조의 역대 국왕들과 왕후들의 신주를 모시고 제례를 봉행하는 유교 사당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종묘 · 더보기 »

주의식

주의식(朱義植, ? ~ ?)은 조선 중기의 가인이자 시조 작가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주의식 · 더보기 »

주산지

주산지(注山池)는 경상북도 청송군 부동면 이전리에 있는 저수지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주산지 · 더보기 »

중흥사 (북한산성)

중흥사(重興寺)는 고려 시대 초에 창건된 절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중흥사 (북한산성) · 더보기 »

중성문

중성문(中城門)은 북한산성의 중성에 위치한 홍예문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중성문 · 더보기 »

증평 율리 석조관음보살입상

증평 율리 석조관음보살입상(曾坪 栗里 石造觀音菩薩立像)은 충청북도 증평군 증평읍에 있는 고려시대의 보살상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증평 율리 석조관음보살입상 · 더보기 »

진재해

재해(秦再奚, 1691년(숙종 17년) ~ 1769년(영조 45년))는 조선시대 후기의 관화파(官畵派) 화가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진재해 · 더보기 »

진천 정철 신도비

정철 신도비(鎭川 鄭澈 神道碑)는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봉죽리에 있는 신도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진천 정철 신도비 · 더보기 »

진안군

안군(鎭安郡)은 대한민국 전라북도 동북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진안군 · 더보기 »

지눌

(知訥, 1158년~1210년 4월 22일(음력 3월 27일))은 고려의 승려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지눌 · 더보기 »

지진희

희(1971년 6월 24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지진희 · 더보기 »

지천석

석(池天錫, 1620년 ~ ?)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지천석 · 더보기 »

찬덕 주씨

덕 주씨(贊德 周氏, 생몰년 미상)는 조선 태조의 후궁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찬덕 주씨 · 더보기 »

참성단 중수비

성단 중수비(塹城壇 重修碑)는 인천광역시 강화군 화도면 흥왕리, 마니산 참성단 옆 바위에 새겨진 조선시대의 비문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참성단 중수비 · 더보기 »

창덕궁

창덕궁(昌德宮)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에 있는 조선 시대 궁궐로 동쪽으로 창경궁과 맞닿아 있. 경복궁의 동쪽에 있어서 조선 시대에는 창경궁과 더불어 동궐(東闕)이라 불. 창덕궁은 비교적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는 중요한 고궁이며, 특히 창덕궁 후원은 한국의 유일한 궁궐후원이라는 점과 한국의 정원을 대표한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높.《글로벌 세계대백과》〈창덕궁〉 1997년에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

새로운!!: 조선 숙종와 창덕궁 · 더보기 »

창경궁

창경궁(昌慶宮)은 서울시에 있는 조선 성종 때에 건축한 궁궐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창경궁 · 더보기 »

창경궁 관천대

창경궁 관천대(昌慶宮 觀天臺)는 창경궁에 있는 관천대로, 천체의 위치를 관측하는 천문기구인 소간의(小簡儀)를 놓았던 돌로 만든 대(臺)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창경궁 관천대 · 더보기 »

창계서원 (전북)

창계서원(創溪書院)은 전라북도 장수군 장수읍에 있는 서원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창계서원 (전북) · 더보기 »

창빈 안씨 묘역

창빈 안씨 묘역(昌嬪 安氏 墓域)은 조선 제11대 임금 중종(1488∼1544)의 후궁으로 선조(1552∼1608)의 할머니가 되는 창빈 안씨(昌嬪安氏, 1499∼1549)의 신도비와 묘소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창빈 안씨 묘역 · 더보기 »

창녕 관룡사 대웅전

창녕 관룡사 대웅전(昌寧 觀龍寺 大雄殿)은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관룡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창녕 관룡사 대웅전 · 더보기 »

창절사

창절사(彰節祠)는 사육신을 포함한 충신의 위패를 모시기 위해 조선 시대에 건립된 사당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창절사 · 더보기 »

채용신

용신(蔡龍臣, 1848년(헌종 14년) ~ 1941년)은 조선 후기의 초상화.

새로운!!: 조선 숙종와 채용신 · 더보기 »

채상우

상우(蔡相宇, 1999년 3월 31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채상우 · 더보기 »

책문후시

책문후시(柵門後市)는 조선 현종 초년부터 구련성(九連城)과 봉황성(鳳凰城) 중간의 책문에서 행해지던 청과의 통상을 말.책문후시, 《글로벌 세계 대백과》 조선의 교역으로는 청에 대한 조공무역, 사행(使行)에 의한 사무역, 기타 청구에 의한 교역이 행해졌.

새로운!!: 조선 숙종와 책문후시 · 더보기 »

청근옹주

청근옹주(淸瑾翁主, ~ 1835년 음력 9월 1일)는 조선의 왕족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청근옹주 · 더보기 »

청국장

청국장찌개 청국장(淸麴醬 또는 淸國醬)은 콩을 발효시켜 만든 한국 전통음식으로, 담북장이라고도 부른.

새로운!!: 조선 숙종와 청국장 · 더보기 »

청운효자동

청운효자동(淸雲孝子洞)은 서울특별시 종로구의 행정동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청운효자동 · 더보기 »

청주 상당산성

청주 상당산성(淸州 上黨山城)은 삼국시대 백제가 쌓은 산성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청주 상당산성 · 더보기 »

청주 영조 태실

청주 영조 태실(淸州 英祖 胎室)은 조선 영조의 태실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청주 영조 태실 · 더보기 »

청주 최명길 신도비

청주 최명길 신도비(淸州 崔鳴吉 神道碑)는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북이면 대율리에 있는, 조선 중기의 문신인 최명길(1586∼1647) 선생의 공적을 기리는 비석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청주 최명길 신도비 · 더보기 »

청풍 김씨

청풍 김씨(淸風 金氏)는 충청북도 제천시 청풍면을 본관을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청풍 김씨 · 더보기 »

청성묘

주 청성묘(海州 淸聖廟)는 황해남도 해주시 수양산 기슭 태백산성 내에 있던 옛 사우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청성묘 · 더보기 »

청암사

청암사(靑巖寺)는 경상북도 김천시 증산면 평촌리에 위치한 대한불교조계종 소속의 사찰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청암사 · 더보기 »

천만리

만리(千萬里, 1543년 ~ ?)는 명나라의 수위사 겸 총독장(守衛使兼總督將)으로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조선에서 전공을 세우고 귀화하여 한국 영양 천씨의 중시조가 된 장군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천만리 · 더보기 »

천보총

보총(千步銃)은 조선 숙종때 군기시 소속의 박영준(朴永準)이 개발한 총으로 일본의 조총보다 뛰어났던 화승총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천보총 · 더보기 »

천은사 (구례군)

은사(泉隱寺)는 지리산 서남쪽에 있는 사찰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천은사 (구례군) · 더보기 »

천상열차분야지도

370px 천상열차분야지도(天象列次分野之圖)는 조선 초기부터 석각본, 목판본, 필사본 등으로 제작·보급된 한국의 전천천문도(全天天文圖)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천상열차분야지도 · 더보기 »

천상열차분야지도 각석

상열차분야지도각석(天象列次分野之圖刻石)은 조선 태조 4년(1395년)에 왕명으로 제작된 별자리를 새긴 석판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천상열차분야지도 각석 · 더보기 »

초지진

(草芝鎭)은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초지리에 있는, 바다로 침입하는 외적을 막기 위하여 조선 효종 7년(1656년)에 구축하고 1679년 조선 숙종때 성으로 지은 요새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초지진 · 더보기 »

충장사 (광주광역시)

충장사(忠壯祠)는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 김덕령(金德齡) 장군을 모신 사당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충장사 (광주광역시) · 더보기 »

충익부

충익부(忠翊府)는 조선시대 원종공신(原從功臣)을 우대하기 위해 만든 관청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충익부 · 더보기 »

충주 박씨

충주 박씨(忠州 朴氏)는 충청북도 충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충주 박씨 · 더보기 »

충주 평씨

충주 평씨(忠州平氏)는 충청북도 충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충주 평씨 · 더보기 »

춘향뎐

《춘향뎐(春香傳)》은 2000년 1월 29일 개봉한 임권택 감독의 영화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춘향뎐 · 더보기 »

춘화

국의 춘화 (신윤복) 중국의 춘화 일본의 춘화 (기타가와 우타마로) 춘화(春畵)는 중국, 일본, 한국과 같은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남녀간의 성행위를 적나라하게 묘사한 풍속화를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춘화 · 더보기 »

칠궁

궁(七宮)은 대한민국 서울시 종로구 궁정동(청와대 내)에 위치한, 조선의 왕들을 낳은 친모이지만 왕비에 오르지 못한 후궁 7인의 신위를 모신 곳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칠궁 · 더보기 »

칠원향교

원향교(漆原鄕校)는 경상남도 함안군 칠원읍에 있는 조선시대의 향교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칠원향교 · 더보기 »

판소리

소리(또는 소리)는 한 명의 소리꾼이 고수(북치는 사람)의 장단에 맞추어 소리(창), 아니리(말), 너름새(몸짓)을 섞어가며 구연(口演)하는 일종의 솔로 오. ‘판소리’는 ‘판’과 ‘소리’의 합성어로 ‘소리’는 ‘음악’을 말하고 ‘판’은 ‘여러 사람이 모인 곳’ 또는 ‘상황과 장면’을 뜻하는 것으로 ‘많은 청중들이 모인 놀이판에서 부르는 노래’라는 뜻으로 구광대가 병풍을 두르고 돗자리를 펼친 마당이나 공연장에서 짧게는 세 시간, 길게는 여섯 시간 정도 걸리는 긴 이야기를 몸짓을 섞어가며 고수의 북 반주에 맞춰 노래하는 한국 전통음악의 하나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판소리 · 더보기 »

유겸명

유겸명(柳謙明, 1685년~1735년)은 조선 영조 때의 문신으로, 자는 익휘(益輝), 호는 만수(晩修),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참봉 유완(柳完)의 아들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유겸명 · 더보기 »

유계 (1607년)

유계(兪棨, 1607년 ~ 1664년)는 조선의 문신으로, 자는 무중, 호는 시남, 본관은 기계(杞溪)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유계 (1607년) · 더보기 »

유인촌

유인촌(1951년 3월 20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며, 이명박 정부에서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새로운!!: 조선 숙종와 유인촌 · 더보기 »

유응부

유응부(兪應孚, ? ~ 1456년)는 조선의 무신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유응부 · 더보기 »

유상

유상(柳瑺, 1643년(인조 21) ~ 1723년(경종 3))은 조선 후기의 의관으로서 숙종 때의 두과(痘科) 전문의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유상 · 더보기 »

유형원

유형원(柳馨遠, 1622년 3월 2일(음력 1월 21일) ~ 1673년 5월 5일(음력 3월 19일))은 조선 중기의 실학자, 성리학자, 작가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유형원 · 더보기 »

유아인

유아인(1986년 10월 6일 ~)은 대한민국의 남자 배우이며, 스튜디오 콘크리트의 갤러리스트이자 크리에이티브 디렉터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유아인 · 더보기 »

유아인의 작품 목록

thumb 다음은 대한민국의 배우 유아인의 작품 목록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유아인의 작품 목록 · 더보기 »

육진팔광

육진팔광(六眞八匡)은 효민공(孝敏公) 석문(石門) 이경직(李景稷)의 증손 북곡(北谷) 이진유(李眞儒)가 영조 6년(1730년) 고령의 나이에 문초(고문)로 옥사(사망)하자 일제히 벼슬을 버리고 강화도(江華島)로 들어가 살아갈 터를 잡은 후, 출사(出仕)를 단념하고 오로지 학문에만 힘썼던 그 후손들을 말.

새로운!!: 조선 숙종와 육진팔광 · 더보기 »

윤병현

윤병현(尹昞賢, 1920년 10월 5일 ∼ 2006년 12월 7일)은 대한민국의 육군참모차장과 육군 제2군사령관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군인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윤병현 · 더보기 »

윤봉구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윤봉구의 초상화 윤봉구(尹鳳九, 1681년∼1767년)는 조선의 학자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윤봉구 · 더보기 »

윤봉조

윤봉조(尹鳳朝, 1680년 ∼ 1761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윤봉조 · 더보기 »

윤비경

윤비경(尹飛卿, 1607년 ~ 1680년 12월 29일)은 조선후기의 문신, 학자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윤비경 · 더보기 »

윤두서

윤두서(尹斗緖, 1668년 6월 28일(음력 5월 20일) ∼ 1715년 12월 21일(음력 11월 26일))는 조선의 화가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윤두서 · 더보기 »

윤승길

윤승길(尹承吉, 1540년 10월 18일 - 1616년 11월 21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윤승길 · 더보기 »

윤인미

윤인미(尹仁美, 1607년 ~ 1675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윤인미 · 더보기 »

윤의제

윤의제(尹義濟, 1640년 ~ ?)는 조선 후기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윤의제 · 더보기 »

윤증

윤증 초상 윤증 윤증(尹拯, 1629년 ~ 1714년 1월 30일)은 조선 후기의 학자, 정치인, 사상가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윤증 · 더보기 »

윤지완

윤지완(尹趾完, 1635년~1718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윤지완 · 더보기 »

윤휴

윤휴(尹鑴, 1617년 10월 14일 ~ 1680년 5월 20일)는 조선의 문신, 성리학자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윤휴 · 더보기 »

윤순

윤순(尹淳, 1680년(숙종 6년) ~ 1741년(영조 17년))은 조선시대 후기의 서예가, 문신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윤순 · 더보기 »

윤영 (1611년)

윤영(尹鍈, 1611년 - 1691년)은 조선 후기의 학자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윤영 (1611년) · 더보기 »

윤양래

윤양래(尹陽來, 1673년 ~ 1751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윤양래 · 더보기 »

윤선도

윤선도(尹善道, 1587년 7월 27일(음력 6월 22일) ~ 1671년 7월 16일(음력 6월 11일))는 조선시대 중기, 후기의 시인·문신·작가·정치인이자 음악가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윤선도 · 더보기 »

윤선거

윤선거(尹宣擧, 1610년 ∼ 1669년 4월 21일)는 조선시대 후기의 유학자, 시인, 정치인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윤선거 · 더보기 »

파주 소령원

주 소령원(坡州 昭寧園)은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에 있는 조선 21대 영조(재위 1724∼1776)의 어머니인 숙빈 최씨의 무덤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파주 소령원 · 더보기 »

휘릉

휘릉(徽陵)은 조선 제16대 왕 인조의 계비 장렬왕후(莊烈王后)의 능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휘릉 · 더보기 »

위봉사

위봉사(威鳳寺)는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에 위치한 대한불교조계종 소속 사찰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위봉사 · 더보기 »

상도동 (서울)

상도동(上道洞)은 서울특별시 동작구의 동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상도동 (서울) · 더보기 »

상운사

상운사(祥雲寺)는 조선 숙종 37년(1711년) 북한산성 축성 이후 산성의 수비를 위해 창건된 13개 사찰들 중 하나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상운사 · 더보기 »

상평통보

상평통보 앞면(선혜청 주조) 상평통보 뒷면(선혜청 주조) 상평통보(常平通寶)는 조선시대에 주조된 화폐로 조선의 화폐 단위인 문(文)의 교환 수단 가운데 하나였.

새로운!!: 조선 숙종와 상평통보 · 더보기 »

상산 김씨

상산 김씨(商山 金氏)는 경상북도 상주시를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상산 김씨 · 더보기 »

상산군부인 김씨

상산군부인 상주김씨(商山郡夫人 商州金氏, 1698년 6월 26일 ~ 1725년 6월 12일)는 조선 후기의 왕족으로 조선 숙종의 서자 연령군 이훤(延齡君 李昍)의 부인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상산군부인 김씨 · 더보기 »

상원군 (왕족)

상원군 이공(商原君 李糿, 1715년 ~ 1733년 음력 6월 21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상원군 (왕족) · 더보기 »

탐라순력도

순력도(耽羅巡歷圖)는 1702년 (숙종 18년)에 당시 제주목사 겸 병마수군절제사였던 이형상이 제주도의 각 고을을 순회한 장면을 기록한 채색 화첩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탐라순력도 · 더보기 »

생일도

생일도(生日島)는 대한민국 남해안의 섬으로, 전라남도 완도군 생일면에 속하는 유인도(有人島)로 완도(莞島)에서 동쪽으로 21.6Km 지점에 있. 총면적은 약 13.8Km², 해안선 길이는 28Km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생일도 · 더보기 »

택지돈대

택지돈대(宅只墩臺)는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에 있는 조선시대의 돈대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택지돈대 · 더보기 »

생육신

생육신(生六臣)은 세조가 단종의 왕위를 빼앗자 벼슬을 버리고 절개를 지킨 여섯 명의 신하를 말. 세조의 찬위 사건을 불의의 행위로 단정하고, 불사이군(不事二君)의 원칙에 따라 두문(杜門) 혹은 방랑으로 일생을 보. 이들은 벼슬을 버리고 단종을 추모하면서 절개를.

새로운!!: 조선 숙종와 생육신 · 더보기 »

태고사 (경기도)

사(太古寺)는 북한산성 안에 위치하는 절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태고사 (경기도) · 더보기 »

태상왕

상왕(太上王)은 태상국왕(太上國王)이라 부르기도 하며, 국왕에게 왕위를 물려준 전 국왕의 칭호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태상왕 · 더보기 »

탕평책

탕평책(蕩平策)은 조선 영조가 당파 싸움을 막기 위해 당파간의 세력 균형을 위해 추진한 정책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탕평책 · 더보기 »

색경

색경(穡經)은 조선 숙종 때의 문신인 서계 박세당이 지은 농업책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색경 · 더보기 »

숭선군

숭선군 이징(崇善君 李澂, 1639년 음력 10월 17일 ~ 1690년 음력 1월 6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종실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숭선군 · 더보기 »

순천 선암사 승선교

순천 선암사 승선교(順天 仙岩寺 昇仙橋)는 전라남도 순천시 선암사)에 있는 조선 시대의 아치교이다. 1963년 9월 2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400호로 지정되었다. 길이 14m, 높이 4.7m, 폭 4m로 조선 숙종 39년(1713년) 호암화상이 6년 만에 완공한 다리이다. 기저부(基底部)에 별다른 가설이 없고 홍예(虹預)는 하단부부터 곡선을 그려 전체의 문양은 반원형을 이루고 한 개의 아치로 이루어졌다. 다리 중심석 아래의 조그맣게 돌출시킨 석재는 용의 머리 같기도 하다. 고통의 세계에서 부처의 세계로 건너는 중생들을 보호 수용하겠다는 의지가 담겨 있다.

새로운!!: 조선 숙종와 순천 선암사 승선교 · 더보기 »

순천 선암사 팔상전

순천 선암사 팔상전(順天 仙岩寺 八相殿)은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선암사에 있는 팔상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순천 선암사 팔상전 · 더보기 »

수렴청정

수렴청정(垂簾聽政)은 동아시아에서 나이 어린 왕이 즉위했을 때 왕의 어머니나 할머니, 또는 큰어머니(적모, 백모)나 작은어머니(숙모)가 대리로 정치를 맡는 일을 말한다(→섭정).

새로운!!: 조선 숙종와 수렴청정 · 더보기 »

수봉

수봉(守奉. ?-?)은 조선 후기의 노비 출신 지주로, 경상도 단성현의 심정량가의 외거노비였.

새로운!!: 조선 숙종와 수봉 · 더보기 »

수군

수군(水軍)은, 동아시아 한자문화권에서 전통적으로 수상(水上) 무장력을 가리키던 단어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수군 · 더보기 »

수영사적공원

수영사적공원은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동에 있는 역사 공원으로, 경상좌수영성지에 마련되어 있. 수영사적공원은 조선시대 동남해안을 관할했던 수군 군영인 경상좌도수군절도사영이 있던 자리로 현재는 수영동 수영교차로에서 북쪽으로 200m 거리에 위치해 있.

새로운!!: 조선 숙종와 수영사적공원 · 더보기 »

수암동 (울산)

수암동(峀岩洞)은 울산광역시 남구의 행정동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수암동 (울산) · 더보기 »

숙명공주 (조선)

숙명공주(淑明公主, 1640년 ~ 1699년 3월 17일)는 조선의 왕족으로 효종(孝宗, 1619~1659, 재위: 1649~1659)과 인선왕후 장씨(仁宣王后 張氏, 1618~1674)의 3녀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숙명공주 (조선) · 더보기 »

숙경공주

숙경공주(淑敬公主, 1648년 ~ 1671년 1월 9일)는 조선의 왕족으로 효종(孝宗, 1619~1659, 재위: 1649~1659)과 인선왕후 장씨(仁宣王后 張氏, 1618~1674)의 6녀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숙경공주 · 더보기 »

숙빈

숙빈은 다음의 인물들을 가리.

새로운!!: 조선 숙종와 숙빈 · 더보기 »

숙빈 최씨

숙빈 최씨(淑嬪 崔氏, 1670년 12월 17일(음력 11월 6일) ~ 1718년 4월 9일(음력 3월 9일))는 조선의 19대 왕 숙종(肅宗)의 총관후궁이자, 21대 왕 영조(英祖)의 생모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숙빈 최씨 · 더보기 »

숙녕옹주 (효종)

숙녕옹주(淑寧翁主, 1649년 ~ 1666년 음력 9월 17일 또는 1668년 음력 5월 20일)은 조선의 왕족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숙녕옹주 (효종) · 더보기 »

숙의 문씨 (영조)

숙의 문씨(淑儀 文氏, ? ~ 1776년 음력 8월 10일)는 조선의 제21대 왕 영조의 후궁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숙의 문씨 (영조) · 더보기 »

숙정공주

숙정공주(淑靜公主, 1645년 ~ 1668년 6월 13일(음력 5월 5일))는 조선 시대의 왕족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숙정공주 · 더보기 »

숙종

숙종(肅宗)은 동아시아 제왕의 묘호 중 하나로서, 분란을 끝낸 제왕이나 국가를 한층 발전시킨 제왕에게 올.

새로운!!: 조선 숙종와 숙종 · 더보기 »

숙종실록

《숙종현의광륜예성영렬장문헌무경명원효대왕실록》(肅宗顯義光倫睿聖英烈章文憲武敬明元孝大王實錄)은 숙종이 즉위한 해(1674년) 8월부터 세상을 떠난 1720년 6월까지의 역사적 사실을 기록한 책으로, 조선왕조실록의 한 부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숙종실록 · 더보기 »

숙휘공주

숙휘공주(淑徽公主, 1642년 ~ 1696년 10월 27일)는 조선의 공주로 제17대 왕 효종(孝宗, 1619~1659, 재위: 1649~1659)과 인선왕후 장씨(仁宣王后 張氏, 1618~1674)의 4녀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숙휘공주 · 더보기 »

숙안공주

숙안공주(淑安公主, 1636년 ~ 1697년 음력 12월 22일)는 조선의 공주로 제17대 왕 효종(孝宗, 1619~1659, 재위: 1649~1659)과 인선왕후 장씨(仁宣王后 張氏, 1618~1674) 사이의 차녀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숙안공주 · 더보기 »

숙신공주

숙신공주(淑愼公主, 1635년 ~ 1637년)는 조선 시대의 왕족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숙신공주 · 더보기 »

영덕 장육사 대웅전

영덕 장육사 대웅전(盈德 莊陸寺 大雄殿)은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갈천리, 장육사에 있는 대웅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영덕 장육사 대웅전 · 더보기 »

영릉 (조선 진종)

영릉(永陵)은 조선 추존왕 진종(眞宗)과 효순왕후(孝純王后)의 능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영릉 (조선 진종) · 더보기 »

영빈 김씨

영빈 김씨(寧嬪 金氏, 1669년 ~ 1735년 음력 1월 12일)는 조선 제19대 왕 숙종의 후궁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영빈 김씨 · 더보기 »

영빈 이씨

쪽.

새로운!!: 조선 숙종와 영빈 이씨 · 더보기 »

영빈묘

영빈묘(寧嬪墓)는 조선 숙종의 후궁 영빈 김씨의 무덤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영빈묘 · 더보기 »

영평군 (1636년)

영평군 이사(寧平君 李泗, 1636년(1631년) ∼ 1721년(1722년))은 조선후기의 왕족으로 덕흥대원군의 증손이며, 종실 진양군 이담령(珍陽君 李聃齡)의 2남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영평군 (1636년) · 더보기 »

영희전

영희전(永禧殿)은 조선 시대에, 태조ㆍ세조ㆍ원종ㆍ숙종ㆍ영조ㆍ순조의 영정을 모셨던 전각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영희전 · 더보기 »

영의정

영의정(領議政)은 의정부 3정승 가운데 하나로 정1품에 해당하는 조선 최고의 중앙관직이었.

새로운!!: 조선 숙종와 영의정 · 더보기 »

영양군

영양군(英陽郡)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동북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영양군 · 더보기 »

영양군의 행정 구역

영양군의 행정 구역은 1읍 5면으로 구성되어 있. 영양군의 면적은 815.10km2이며, 인구는 2009년 12월 31일을 기준으로 8,495세대, 18,666명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영양군의 행정 구역 · 더보기 »

오도일

오도일(吳道一, 1645년 ~ 1703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오도일 · 더보기 »

오가작통법

오가작통법(五家作統法)은 조선에서 시행된 행정 구역 체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오가작통법 · 더보기 »

오두인

오두인(吳斗寅, 1624년 ∼ 1689년)의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오두인 · 더보기 »

오재순

오재순(吳載純, 1727년 ~ 1792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오재순 · 더보기 »

오태주

오태주(吳泰周, 1668년 ∼ 1716년)는 조선의 문신이자 조선 제18대 왕 현종의 부마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오태주 · 더보기 »

오시만

오시만(吳始萬, 1647년 - 1700년)은 조선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오시만 · 더보기 »

오원 (조선)

오원(吳瑗, 1700년 ~ 1740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오원 (조선) · 더보기 »

옥동 (울산)

옥동(玉洞)은 울산광역시 남구의 법정동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옥동 (울산) · 더보기 »

옥루몽

《옥루몽》(玉樓夢)은 조선 숙종 때 옥련자(玉蓮子)가 지은 구소설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옥루몽 · 더보기 »

온돌

온돌(溫突) 또는 구들은 방 바닥을 따뜻하게 하는 한국의 전통적인 가옥 난방 방법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온돌 · 더보기 »

온양온천

온양온천(溫陽溫泉)은 충남 아산시 온천동 일원에 위치한,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온천으로 1,300여 년 전 백제 때에는 탕정군, 신라 때에는 탕정주, 고려시대 때에는 온수군으로 지칭되었.

새로운!!: 조선 숙종와 온양온천 · 더보기 »

호국사 (진주시)

호국사의 가을 호국사(護國寺)는 경상남도 진주시 남성동 214-5에 위치한 조계종 사찰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호국사 (진주시) · 더보기 »

혜화문

혜화문 헌판 혜화문(惠化門)은 조선의 수도인 한양의 4소문(小門) 중의 하나로 동쪽의 소문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혜화문 · 더보기 »

예송

예송(禮訟) 또는 예송논쟁(禮訟論爭)은 예절에 관한 논란으로, 효종과 효종비 인선왕후에 대한 계모 자의대비(慈懿大妃)의 복상기간을 둘러싸고 현종, 숙종대에 발생한 서인과 남인간의 논쟁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예송 · 더보기 »

현덕왕후

현덕왕후 권씨(顯德王后 權氏, 1418년 4월 17일 (음력 3월 12일) ~ 1441년 8월 10일 (음력 7월 24일))는 조선 문종의 왕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현덕왕후 · 더보기 »

현절사

현절사는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남한산성 내에 있는 사우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현절사 · 더보기 »

현종실록

《현종순문숙무경인창효대왕실록》(顯宗純文肅武敬仁彰孝大王實錄) 또는 《현종실록》(顯宗實錄)은 1659년 음력 5월부터 1674년 음력 8월까지 조선 현종 시대의 사실을 기록한 실록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현종실록 · 더보기 »

현충사

현충사 본전 현충사(顯忠祠)는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백암리에 있는 충무공(李忠武公) 이순신의 영정(影幀)을 갖춘 사당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현충사 · 더보기 »

최명길 (1586년)

명길(崔鳴吉, 1586년 10월 7일(음력 8월 25일)~ 1647년 6월 19일(음력 5월 17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성리학자, 양명학자, 외교관, 정치가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최명길 (1586년) · 더보기 »

최민수

민수(1962년 5월 1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최민수 · 더보기 »

최북

북(崔北, 1712년 ~ 1760년)은 조선 숙종, 영조 때의 화가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최북 · 더보기 »

최효원

효원(崔孝元, 1638년 2월 23일 ~ 1672년 8월 15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무신으로 숙빈 최씨의 친정아버지이자 영조의 외할아버지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최효원 · 더보기 »

최승대

승대(最勝臺)는 평양시 중구역 금수산의 최고봉인 모란봉에 있는 정자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최승대 · 더보기 »

최수강

수강(崔壽崗)은 조선 후기의 무신, 군인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최수강 · 더보기 »

향일암

향일암(向日庵)은 지방문화재 제40호로 낙산사의 홍연암, 남해 금산 보리암, 강화도 보문암과 함께 한국의 4대 관음기도처 중 하나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향일암 · 더보기 »

어묵

여러가지 어묵 가마보코 (일본식 어묵의 일종) 어묵()은 생선의 살을 으깨어 소금과 밀가루, 전분 등 부재료를 넣고 뭉친 뒤 익혀서 묵처럼 만든 음식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어묵 · 더보기 »

어보

쪽.

새로운!!: 조선 숙종와 어보 · 더보기 »

어진

조선 태조의 어진 어진(御眞)은 왕의 초상화를 뜻. 어진 말고도 진용(眞容)·진(眞)·진영 (眞影)·수용(睢容)·성용(聖容)·영자(影子)·영정(影幀)·어용(御容)·왕상(王像)·어영(御影) 이라는 단어들로 불리었다가 1713년(숙종 39년) 숙종어진을 그릴 당시 어용도사도감도제조(御容圖寫都監都提調)였던 이이명의 건의에 따라 ‘어진’이라는 명칭으로 통일하였.

새로운!!: 조선 숙종와 어진 · 더보기 »

어유봉

어유봉(魚有鳳, 1672년 ~ 1744년)은 조선의 문신이자 학자이며 조선 후기의 거유(巨儒)였.

새로운!!: 조선 숙종와 어유봉 · 더보기 »

어유정도

어유정도(魚遊井島) 또는 어리정도(魚里井島)는 석모도 남쪽에 있었던 섬으로, 현재의 강화군 삼산면 매음리 남부 지역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어유정도 · 더보기 »

양녕대군

양녕대군(讓寧大君, 1394년 ~ 1462년 9월 7일)은 조선 시대 초기의 왕세자이자 왕족, 정치인, 화가, 시인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양녕대군 · 더보기 »

양정동 (울산)

양정동(楊亭洞)은 울산광역시 북구의 법정동 및 행정동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양정동 (울산) · 더보기 »

양천 허씨

양천 허씨(陽川 許氏)는 서울특별시 강서구, 양천구를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양천 허씨 · 더보기 »

양산 통도사 동종

양산 통도사 동종(梁山 通度寺 銅鍾)은 경상남도 양산시, 통도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종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양산 통도사 동종 · 더보기 »

양산단층

1번이 양산단층이다. 양산단층(梁山斷層)은 대한민국의 단층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양산단층 · 더보기 »

행주 은씨

행주 은씨(幸州 殷氏)는 경기도 고양시 행주동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행주 은씨 · 더보기 »

여릉군

여릉군 이기(驪陵君 李圻, 1680년 6월 ∼ 1730년)는 조선의 왕족 종실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여릉군 · 더보기 »

여흥 민씨

여흥 민씨(驪興 閔氏)는 경기도 여주시를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여흥 민씨 · 더보기 »

여흥부대부인

여흥부대부인 민씨(驪興府大夫人 閔氏, 1818년 2월 3일 ~ 1898년 1월 8일/1897년 음력 12월 16일)는 조선의 왕족이며, 대한제국 고종황제의 어머니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여흥부대부인 · 더보기 »

여천군 (왕족)

여천군 이경(驪川君 李境, 1683년 ∼ 1730년)은 조선의 왕족 종실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여천군 (왕족) · 더보기 »

여수 진남관

여수 진남관(麗水 鎭南館)은 조선시대 사백여 년간 수군의 본거지(전라좌수영)로 혹은 구국의 성지로 이용되었고 전승의 사명을 다한 역사적 현장으로 여수를 상징하는 곳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여수 진남관 · 더보기 »

여성제

여성제(呂聖齊, 1625년 ~ 1691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여성제 · 더보기 »

역사 연표

역사 연표는 세계사를 적은 연표로 한국사도 포함되어 있.

새로운!!: 조선 숙종와 역사 연표 · 더보기 »

역사저널 그날의 에피소드 목록

아래는 KBS 1TV 《역사저널 그날》의 방영 목록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역사저널 그날의 에피소드 목록 · 더보기 »

연려실기술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은 조선 후기의 실학자 이긍익이, 그의 아버지 이광사가 유배되었던 곳인 신지도(薪智島)에서 42세 때부터 집필하기 시작해 세상을 떠날 때까지 약 30년에 걸쳐 편찬한 조선시대 야사(野史)의 총서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연려실기술 · 더보기 »

연령군

연령군 이훤(延齡君 李昍, 1699년 6월 13일 ~ 1719년 10월 2일 "연령군 이훤의 졸기")은 조선 시대 후기의 왕족 종실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연령군 · 더보기 »

연령군 이훤 신도비

연령군 이훤 신도비(延齡君 李昍 神道碑)는 조선 숙종의 아들로 오위도총부(五衛都摠府) 도총관(都摠管)을 지낸 연령군 이훤(李昍, 1699∼1719)의 신도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연령군 이훤 신도비 · 더보기 »

헌경왕후

경왕후 홍씨(獻敬王后 洪氏, 1735년 8월 6일(음력 6월 18일) ~ 1816년 1월 13일(1815년 음력 12월 15일))는 조선시대 후기의 왕세자빈, 추존왕비로, 대한제국의 추존황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헌경왕후 · 더보기 »

허목

목(許穆, 1595년 12월 11일 ~ 1682년 4월 2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및 유학자, 역사가이자 교육자, 정치인이며, 화가, 작가, 서예가, 사상가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허목 · 더보기 »

허균

(許筠, 1569년 12월 10일(음력 11월 3일) ~ 1618년 10월 12일(음력 8월 24일))은 조선 중기의 문인으로 학자이자 작가, 정치가, 시인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허균 · 더보기 »

허욱

욱은 다음과 같은 사람이 있.

새로운!!: 조선 숙종와 허욱 · 더보기 »

허욱 (서예가)

욱(許煜)은 조선 중기의 서예가로, 호는 취남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허욱 (서예가) · 더보기 »

허적

적(許積, 1610년 ~ 1680년 5월 11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학자, 정치인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허적 · 더보기 »

허준

준(許浚, 1539년~1615년)은 조선 중기의 의관·의학자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허준 · 더보기 »

허원 (조선)

원(許遠)은 조선 중기의 과학자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허원 (조선) · 더보기 »

엄집

엄집(嚴緝, 1635년 ∼ 1710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엄집 · 더보기 »

풍천 노씨 대종가

풍천 노씨 대종가(豊川 盧氏 大宗家)는 경상남도 함양군 지곡면 개평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풍천 노씨 대종가 · 더보기 »

사림파

사림파(士林派) 또는 사림(士林)은 전원의 산림(山林)에서 유학을 공부하던 문인·학자로서 15세기 이후 조선 중기 중앙 정계를 주도한 정치집단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사림파 · 더보기 »

사릉

사릉(思陵)은 조선 제6대 단종의 비 정순왕후 송씨의 능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사릉 · 더보기 »

사천 구계서원

서원(龜溪書院)은 경상남도 사천시 사천읍 구암리에 있는 서원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사천 구계서원 · 더보기 »

사천 선진리왜성

사천 선진리왜성(泗川船津里倭城)은 경상남도 사천시 용현면 선진리에 있는 일본식 성곽(왜성)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사천 선진리왜성 · 더보기 »

사육신

량진공원 의절사 사육신(死六臣)은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가 발각되어 세조에게 죽임을 당한 여섯 명의 신하를 이르는 말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사육신 · 더보기 »

사육신묘

사육신묘(死六臣墓)는 서울특별시 동작구 노량진동, 사육신묘지공원에 있는 조선시대의 사육신(死六臣)을 모신 곳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사육신묘 · 더보기 »

사육신공원

사육신 공원(死六臣公園)은 서울특별시 동작구 노량진동에 있는 사육신묘와 그 외 사육신비 등이 안장된 공원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사육신공원 · 더보기 »

사씨남정기

딱지본 《사씨남정기》(謝氏南征記)는 조선 시대의 문신이자 소설가인 김만중의 한글 소설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사씨남정기 · 더보기 »

산림 (정치)

산림(山林)은 학식과 덕이 높으나 벼슬을 하지 아니하고 숨어 지내는 선비로서 산림숙덕지사, 산림독서지인의 준말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산림 (정치) · 더보기 »

산림경제

산림경제 표지 《산림경제》(山林經濟)는 조선 후기의 실학자 유암 홍만선(流巖 洪萬選:1643년~1715년)이 지은 농업 책이자 가정생활 책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산림경제 · 더보기 »

산양읍

산양읍(山陽邑)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통영시의 읍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산양읍 · 더보기 »

삼복의 옥

삼복의 옥(三福-獄)은 조선 숙종때의 정승 허적(許積)의 서자 허견이 종실 복창군(福昌君), 복선군(福善君), 복평군(福平君)의 3형제와 역모를 꾸민다고 고변하면서 발생한 사건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삼복의 옥 · 더보기 »

삼국사기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79호)

삼국사기(三國史記)는 대구광역시 달서구,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책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삼국사기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79호) · 더보기 »

삼척 죽서루

삼척 죽서루(三陟 竹西樓)는 강원도 삼척시에 위치한 누각으로 보물 213호로 지정되었으며, 관동팔경 중의 하나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삼척 죽서루 · 더보기 »

삼산동 (울산)

삼산동(三山洞)은 울산광역시 남구의 법정동, 행정동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삼산동 (울산) · 더보기 »

삼산면 (여수시)

삼산면(三山面)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여수시의 면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삼산면 (여수시) · 더보기 »

석모도

석모도(席毛島)는 강화도 외포항에서 서쪽으로 1.2 km 떨어져 있는 섬으로, 행정구역상 인천광역시 강화군 삼산면에 속. 서울에서는 섬 관광지로 유명하고, 영화 《시월애》와 《취화선》의 촬영 장소였.

새로운!!: 조선 숙종와 석모도 · 더보기 »

선우재덕

선우재덕(鮮于在德, 1962년 7월 23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선우재덕 · 더보기 »

선의왕후 (조선)

선의왕후 어씨(宣懿王后, 1705년 12월 14일 (음력 10월 29일) ~ 1730년 8월 12일 (음력 6월 29일))는 조선 경종의 계비이며 정식 시호는 경순효인혜목선의왕후(敬純孝仁惠睦宣懿王后)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선의왕후 (조선) · 더보기 »

성승

성승(成勝, ? ~ 1456년 6월 8일)은 조선 전기의 무신, 군인이며 단종 복위 운동의 가담자의 한사람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성승 · 더보기 »

성주 옥천서원

성주 옥천서원(星州 玉川書院)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성주군 용암면에 소재한 서원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성주 옥천서원 · 더보기 »

성혼

성혼(成渾, 1535년 6월 25일 ~ 1598년 6월 6일)은 조선중기의 문신, 작가, 시인이며 성리학자, 철학자, 정치인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성혼 · 더보기 »

성삼문

성삼문(成三問, 1418년 ~ 1456년 6월 8일)은 조선 전기의 문신·학자로서, 사육신의 한 사람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성삼문 · 더보기 »

서북피아양계만리일람지도

〈서북피아양계만리일람지도〉(西北彼我兩界萬里一覽之圖)는 작자, 연대 미상의 한국 관북 관서 지방과 만주 지방, 러시아의 연해주를 포함하는 관방지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서북피아양계만리일람지도 · 더보기 »

서우진

서우진(본명: 변윤석, 1981년 1월 11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서우진 · 더보기 »

서울 화계사 동종

사인비구 제작 동종 - 서울화계사동종(思印比丘 製作 銅鍾 - 서울華溪寺銅鍾)은 조선 숙종 때 경기도와 경상도 지역에서 활동한 승려인 사인(思印) 비구가 만든 사인비구 제작 동종 중의 하나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서울 화계사 동종 · 더보기 »

서울특별시의 성 목록

음은 서울특별시에 있는 성들의 목록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서울특별시의 성 목록 · 더보기 »

서평군

서평군 이요(西平君 李橈, 1687년 ~ 1756년)는 조선의 왕족이자 문신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서평군 · 더보기 »

서인

서인(西人)은 조선 시대 붕당정치 초기의 당파로, 1575년(선조 8)의 동서분당(東西分黨)으로 생긴 당파의 하나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서인 · 더보기 »

서오릉

서오릉(西五陵)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용두동에 있는 조선 왕실의 왕릉군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서오릉 · 더보기 »

서얼

서얼(庶孼)은 양반의 자손 가운데 첩(妾)과의 사이에서 나온 자손을 말하는 것으로, 양인(良人)의 신분에 속하는 첩이 낳은 서자(庶子)와 천민(賤民)에 속하는 첩이 낳은 얼자(孼子)를 함께 이르는 말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서얼 · 더보기 »

서얼 금고령

서얼 금고령은 조선 시대 서자들에 대한 관직을 제한한 규정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서얼 금고령 · 더보기 »

송림사 (칠곡군)

송림사 송림사(松林寺)는, 한국의 불교 사찰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송림사 (칠곡군) · 더보기 »

송가도

송가도(松家島)는 석모도 북쪽에 있었던 섬으로, 현재의 강화군 삼산면 상리, 하리 지역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송가도 · 더보기 »

송계연월옹

송계연월옹(松桂烟月翁, ? ~ ?)은 조선의 가인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송계연월옹 · 더보기 »

송인명

송인명(宋寅明, 1689 ~ 1746)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송인명 · 더보기 »

송정동 (울산)

송정동(松亭洞)은 울산광역시 북구의 법정동 및 행정동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송정동 (울산) · 더보기 »

송준길

송준길(宋浚吉, 1606년 12월 28일 ~ 1672년 12월 2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성리학자·정치가로서 유교 주자학의 대가였.

새로운!!: 조선 숙종와 송준길 · 더보기 »

송창 (1633년)

송창(宋昌, 1633년 ~ 1706년 7월 5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관료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송창 (1633년) · 더보기 »

송현수

송현수(宋玹壽, ? ~ 1457년 음력 10월 21일)는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국구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송현수 · 더보기 »

송시열

송시열(宋時烈, 1607년 12월 30일(음력 11월 12일) ~ 1689년 7월 19일(음력 6월 3일))은 조선의 문신·성리학자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송시열 · 더보기 »

소론

소론(少論)은 조선 붕당정치의 한 당파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소론 · 더보기 »

소의 유씨

소의 유씨(昭儀 劉氏, ? ~ 1707년 음력 4월 8일《승정원일기》숙종 33년 4월 8일 (경인) 원본435책/탈초본23책 (7/8))는 조선 숙종의 후궁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소의 유씨 · 더보기 »

통진군

통진군(通津郡)은 경기도의 옛 행정구역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통진군 · 더보기 »

통영시

산도 충무사 통영시(統營市)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남해안에 있는 시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통영시 · 더보기 »

통영시의 역사

통영시는 구석기 시대 처음 사람이 자리를 잡으며, 진국과 변한을 거쳐, 가야시대에는 육가야 중 소가야에 속하였다가 신라로 흡수되었.

새로운!!: 조선 숙종와 통영시의 역사 · 더보기 »

함평 모씨

평 모씨(咸平 牟氏)는 전라남도 함평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함평 모씨 · 더보기 »

함안 생육신 조려 유적

안 생육신 조려 유적(咸安 生六臣 趙旅 遺蹟)은 경상남도 군북면 원북리에 있는, 생육신 조려와 관련된 서산서원과 채미정 그리고 원 서산서원 터인 원동재를 포함한 유적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함안 생육신 조려 유적 · 더보기 »

항아당의

항아당의(姮娥唐衣)란 궁중의 나인인 항아가 입었던 당의를 말. 깃너비 9.0cm의 당코깃이며 화장이 짧고 소매배래는 완만한 곡선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항아당의 · 더보기 »

해동삼국도

동삼국도」 채색필사 248.0×264.4cm,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해동삼국도(海東三國圖)는 연대·작자 미상의 동북아시아 지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해동삼국도 · 더보기 »

해주 오씨

주 오씨(海州 吳氏)는 황해도 해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해주 오씨 · 더보기 »

해주 최씨

주 최씨(海州 崔氏)는 황해도 해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해주 최씨 · 더보기 »

핼리 혜성

1986년의 핼리 혜성 핼리 혜성(공식 명칭은 1P/Halley)은 그 주기와 다음 접근 시기를 예측한 에드먼드 핼리의 이름을 딴 혜성으로, 약 75~76년을 주기로 지구에 접근하는 단주기 혜성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핼리 혜성 · 더보기 »

야음장생포동

야음장생포동(也音長生浦洞)은 울산광역시 남구의 행정동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야음장생포동 · 더보기 »

약사동 (울산)

약사동(藥泗洞)은 울산광역시 중구의 행정동, 법정동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약사동 (울산) · 더보기 »

한 (성씨)

(韓, 漢)씨는 중국 및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한 (성씨) · 더보기 »

한경면

경면(翰京面)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서부에 있는 면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한경면 · 더보기 »

한국 법제의 역사

이 문서는 한국 법제의 역사(韓國 法制- 歷史)를 기술.

새로운!!: 조선 숙종와 한국 법제의 역사 · 더보기 »

한국음악

조선시대『악학궤범』 향부악기도설에 나오는 향비파와 당비파 한국음악(韓國音樂)의 기반이 된 음계는 한반도 및 중국 동북부 등과 교류하여 고대시대부터 전래되어오는 것과 근대화와 산업화에 의한 빠른 문화유입에 의한 음악적 반응을 포함하여 한민족(韓民族)의 음악을 총칭.

새로운!!: 조선 숙종와 한국음악 · 더보기 »

한국의 궁중무용

앵전 한국의 궁중무용은 궁중 진연(進宴)과 의식에 쓰던 무용으로 정재(呈才).

새로운!!: 조선 숙종와 한국의 궁중무용 · 더보기 »

한국의 유교

동아시아의 사상의 흐름은 크게 유교와 불교 그리고 도교인데, 한국은 이러한 세 가지 사상적 요소를 모두 흡수·구비하여 발전시켜 왔. 그 가운데서도 중국과는 지역적으로 인접한 까닭에 고대로부터 유교사상이 한국에 들어와 민족정신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

새로운!!: 조선 숙종와 한국의 유교 · 더보기 »

한국의 연극

국 연극(韓國_演劇)의 장르는 가면극, 인형극, 판소리, 창극, 신파극, 신극의 여섯으로 크게 나눌 수 있.梁在淵, 문화·민속/한국의 연극/한국의 연극[서설], 《글로벌 세계 대백과》.

새로운!!: 조선 숙종와 한국의 연극 · 더보기 »

한국의 왕자와 왕녀 목록

이 문서는 현재까지 알려진 한국의 왕자(황자)와 왕녀(공주, 궁주, 옹주)의 목록을 담고 있.

새로운!!: 조선 숙종와 한국의 왕자와 왕녀 목록 · 더보기 »

한양도성

서울 한양도성(서울 漢陽都城, Fortress Wall of Seoul)은 조선 시대 한양을 둘러싼 도성(都城)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한양도성 · 더보기 »

한원진

원진의 초상화 한원진(韓元震, 1682년 ~ 1751년)은 조선후기의 문신, 성리학자, 철학자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한원진 · 더보기 »

안경

현대의 안경 안경(眼鏡, 👓)은 눈의 굴절 이상을 보정하거나 눈을 보호하거나 몸을 치장하기 위한 기구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안경 · 더보기 »

안빈 이씨

안빈 이씨(安嬪 李氏, 1622년 음력 9월 ~ 1693년 음력 10월)는 조선의 제17대 왕 효종의 후궁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안빈 이씨 · 더보기 »

안용복

안용복(安龍福, 생몰년 미상)은 조선 시대 17세기의 어부이자 능로군(能櫓軍)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안용복 · 더보기 »

안평대군

안평대군 이용(安平大君 李瑢, 1418년 10월 18일(음력 9월 19일) ~ 1453년 11월 18일(음력 10월 18일))은 조선 전기의 왕족이자 서예가, 서화가, 시인, 작가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안평대군 · 더보기 »

안성 칠장사 대웅전

안성 칠장사 대웅전(安城 七長寺 大雄殿)은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칠장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안성 칠장사 대웅전 · 더보기 »

하동군

동군(河東郡)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최서단에 있는 군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하동군 · 더보기 »

하동읍

동읍(河東邑)은 경상남도 하동군의 행정, 산업, 교통의 중심지로 섬진강 하구로부터 약 30km 상류 동안에 위치한 하항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하동읍 · 더보기 »

하위지

위지(河緯地, 1412년 ~ 1456년)는 조선 전기의 문신, 정치인, 학자이며 조선 단종 때 사육신의 한 사람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하위지 · 더보기 »

하양읍

양읍(河陽邑)은 경상북도 경산시의 행정 구역이며, 읍 소재지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하양읍 · 더보기 »

하한담

(河漢潭) 또는 하은담(河殷潭)은 조선왕조 숙종·영조 때의 판소리 명창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하한담 · 더보기 »

아산시

아산시(牙山市)는 대한민국 충청남도 북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아산시 · 더보기 »

악양현

악양현(嶽陽縣)은 신라시대에 하동군 악양면과 화개면에 있던 지역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악양현 · 더보기 »

학사루

양 학사루(咸陽 學士樓)는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운림리에 있는 누각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학사루 · 더보기 »

신 안동 김씨

신 안동 김씨(新 安東 金氏)는 신라 말 고창의 성주로 있다가 고려의 개국공신이 되어 고려 태조로부터 안동을 식읍으로 하사받고 태사공(太師公)에 봉해진 김선평(金宣平)을 시조.

새로운!!: 조선 숙종와 신 안동 김씨 · 더보기 »

신법 지평일구 (보물 제840호)

신법 지평일구(新法 地平日晷)란 새로운 서양의 역법에 의해 만들어진 평면 해시계란 뜻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신법 지평일구 (보물 제840호) · 더보기 »

신녕향교 대성전

신녕향교 대성전(新寧鄕校 大成殿)은 경상북도 영천시 신녕면 화성리, 신녕향교에 있는 건축물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신녕향교 대성전 · 더보기 »

신임

신임(申銋, 1642년 ~ 1725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신임 · 더보기 »

신의왕후

신의왕후 한씨(神懿王后 韓氏, 1337년 음력 9월 ~ 1391년 10월 21일(음력 9월 23일))는 조선 태조(太祖)의 첫 아내로 정종과 태종의 생모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신의왕후 · 더보기 »

신지면

명사십리 해수욕장 신지면(新智面)은 전라남도 완도군 동쪽에 위치한 면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신지면 · 더보기 »

신사임당

신사임당(申師任堂, 1504년 12월 5일(음력 10월 29일) ~ 1551년 6월 20일(음력 5월 17일)) 또는 신사임(申師任), 사임당 신씨(師任堂申氏)는 조선 시대 중기의 문인이자 유학자, 화가, 작가, 시인이었.

새로운!!: 조선 숙종와 신사임당 · 더보기 »

신성 (음악가)

신성(申晟)은 조선 숙종 때의 음악 이론가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신성 (음악가) · 더보기 »

신한첩 곤

신한첩 곤(宸翰帖 坤)은 조선시대 효종 등 왕실 사람들이 한글로 써서 양반가에 출가한 효종의 딸 숙휘공주와 공주의 남편 정제현에게 보낸 편지글들을 모은 것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신한첩 곤 · 더보기 »

신안 주씨

신안 주씨(新安 朱氏) 또는 능성 주씨(綾城 朱氏)는 중국에서 유래한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신안 주씨 · 더보기 »

신후재 초상

신후재 초상(申厚載 肖像)은 조선 초기의 문신 신후재를 그린 초상화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신후재 초상 · 더보기 »

실상사

실상사(實相寺)는 전라북도 남원시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소속의 사찰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실상사 · 더보기 »

심호

심호(沈浩, ? ~ 1704년)는 조선의 문신이자, 경종의 국구(장인)로, 봉군호(封君號)는 청은부원군(靑恩府院君)이고, 본관은 청송(靑松)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심호 · 더보기 »

심언광

심언광(沈彦光, 1487년 ~ 1540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심언광 · 더보기 »

심사정

심사정(沈師正, 1707년(숙종 33년) ~ 1769년(영조 45년))은 조선시대 후기의 화가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심사정 · 더보기 »

십팔사략

《십팔사략》(十八史略)은 원(元)의 한족 학자 증선지가 지은 중국 고대사를 담은 역사서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십팔사략 · 더보기 »

원각사 (북한산성)

원각사(元覺寺/圓覺寺)는 조선 숙종 37년(1711년) 때에 북한산성 축성 이후 산성의 수비를 위해 창건된 사찰 13개 중 하나로, 부왕동암문 아래 성 안쪽에 71칸 규모로 승려 신초(信楚)가 창건하였다고 전. 현재는 절은 전하지 않으며 석축만 약간 남아 있. 분류:경기도의 지리 분류:한국의 없어진 건축물.

새로운!!: 조선 숙종와 원각사 (북한산성) · 더보기 »

원균

원균(元均, 1540년 2월 12일 (음력 1월 5일) ~ 1597년 8월 27일 (음력 7월 15일))은 조선 중기의 무신, 군인으로 임진왜란 당시 조선의 장수들 중의 한사람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원균 · 더보기 »

원효암 (경기도)

원효암(元曉庵)은 조선 숙종 37년(1711년)에 북한산성 축성 이후 창건된 13개 사찰 중 하나로, 원효봉(元曉峰) 아래 10칸의 작은 암자로 승려 성능(聖能)이 창건하였.

새로운!!: 조선 숙종와 원효암 (경기도) · 더보기 »

원호 (조선)

원주 치악산의 삼공제명암 (오른쪽 첫 번째가 원호 (관란), 가운데는 조려 (어계), 왼쪽은 이수형 (도촌)) 원호(元昊, 1397년 ∼ 1463년)는 조선 단종 때의 문신·학자이며 생육신의 한 사람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원호 (조선) · 더보기 »

홍만용

홍만용(洪萬容, 1631년 ~ 1692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풍산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홍만용 · 더보기 »

홍만종

홍만종(洪萬宗, 1643년~1725년)은 조선 효종 때의 문신, 학자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홍만종 · 더보기 »

홍승대

홍승대(洪承大, 1860년 ~ 1940년)는 조선 말기와 대한제국, 일제 강점기의 유학자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홍승대 · 더보기 »

홍익만

홍익만(洪翼曼, ?~?)은 조선 후기의 의관으로, 숙종 때 비변사 서리였던 홍국신(洪國藎)의 아들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홍익만 · 더보기 »

홍지문 및 탕춘대성

홍지문 및 탕춘대성(弘智門 및 蕩春臺城)은 한양도성과 북한산성을 연결하기 위하여 만든 것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홍지문 및 탕춘대성 · 더보기 »

홍수의 변

홍수의 변(紅袖之變)은 조선 숙종 1년, 인조의 셋째 아들 인평대군의 아들인 종친 복창군과 복평군이 궁녀와 간통하여 자식을 보았다는 청풍부원군 김우명의 거짓 고발로 발발한 사건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홍수의 변 · 더보기 »

홍수주

홍수주(洪受疇, 1642년 ~ 1702년)는 조선의 화가 및 문신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홍수주 · 더보기 »

홍사익

홍사익과 그 가족 홍사익(洪思翊, 1887년 2월 2일 ~ 1946년 9월 26일)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 일본의 군인이며, 일제 강점기에 일본군 육군 중장을.

새로운!!: 조선 숙종와 홍사익 · 더보기 »

홍석보

홍석보(洪錫輔, 1672년 ~ 1729년)는 조선시대의 문신으로, 본관은 풍산.

새로운!!: 조선 숙종와 홍석보 · 더보기 »

홍세태

홍세태(洪世泰, 1654년 1월 25일(음력 1653년 12월 7일『유하집』, 부록, 묘지명)~1725년 2월 27일(음력 1월 15일))는 조선 후기의 시인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홍세태 · 더보기 »

황보인

황보 인(皇甫仁, 1387년 ~ 1453년)은 조선 전기의 문관 겸 정치가이며, 단종의 충신 3 상신(相臣) 중 한명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황보인 · 더보기 »

황정

황정(黃晸, 1689년 ~ 1752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황정 · 더보기 »

환국

환국(換局)은 시국이나 정국이 바뀌었다는 것을 뜻. 특히 한국사에서 조선 후기에 집권 세력이 급변하면서 이에 따라 정국이 바뀌는 것을 가리.

새로운!!: 조선 숙종와 환국 · 더보기 »

화도면

화도면(華道面)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강화군의 면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화도면 · 더보기 »

화평옹주

화평옹주(和平翁主, 1727년 4월 27일 ~ 1748년 6월 24일)는 조선의 왕족으로, 제21대 왕 영조의 서녀이며, 생모는 영빈 이씨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화평옹주 · 더보기 »

화유옹주

화유옹주(和柔翁主, 1740년 ~ 1777년)는 조선의 왕족으로, 영조의 10녀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화유옹주 · 더보기 »

화순옹주 (영조)

화순옹주(和順翁主, 1720년 ~ 1758년 1월 17일)는 조선 제21대 임금 영조(英祖, 1694~1776, 재위 1724~1776)의 차녀로 어머니는 정빈 이씨(靖嬪 李氏, 1694~1721)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화순옹주 (영조) · 더보기 »

화협옹주

화협옹주(和協翁主, 1733년 음력 3월 7일 ~ 1752년 음력 11월 27일)는 조선의 왕족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화협옹주 · 더보기 »

화억옹주

화억옹주(和億翁主, 1717년 4월 22일 ~ 1718년 4월 8일)는 조선의 옹주이자 제21대 영조의 장녀로 어머니는 정빈 이씨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화억옹주 · 더보기 »

화엄사

화엄사(華嚴寺)는 전라남도 구례군 마산면 황전리에 위치한 사찰로 대한불교 조계종 제19교구 본사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화엄사 · 더보기 »

화산산성

화산산성(華山山城)은 경상북도 군위군 고로면에 있는 산성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화산산성 · 더보기 »

화완옹주

화완옹주(和緩翁主, 1738년 3월 9일 (음력 1월 19일) ~ 1808년 5월)는 조선의 제 21대 왕 영조와 영빈 이씨의 딸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화완옹주 · 더보기 »

완도 묘당도 이충무공 유적

완도 묘당도 이충무공 유적(莞島 廟堂島 李忠武公 遺蹟)은 전라남도 완도군 고금면에 있는 조선시대 정유재란 때 충무공 이순신(1545∼1598) 장군과 명나라 장수 진린(陳璘)의 군사들이 힘을 합해 왜군을 물리쳤던 장소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완도 묘당도 이충무공 유적 · 더보기 »

완도 충무사

완도 충무사(莞島 忠武祠)는 전라남도 완도군에 있는, 충무공 이순신을 기리고자 건립된 사당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완도 충무사 · 더보기 »

완평군 (1634년)

완평군 이홍(完平君 李洪, 1634년 ∼ 1693년)은 조선중기의 왕족으로 덕흥대원군의 증손이며, 종실 진성군 이해령(珍城君 李海齡)의 5남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완평군 (1634년) · 더보기 »

완천군 (1373년)

완천군 이숙(完川君 李淑, 1373년 ~ 1406년 10월 17일)은 고려(高麗) 말기의 선비이자 조선(朝鮮) 초기의 왕족 종실(王族 宗室), 무신(武臣), 문신(文臣), 정치인(政治人), 좌명공신(佐命功臣)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완천군 (1373년) · 더보기 »

완성군

완성군 이희(完城君 李爔, 1771년 10월 9일 ~ 1830년 6월 6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문신이며, 도정궁(都正宮) 사손(嗣孫)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완성군 · 더보기 »

10월 7일

10월 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80번째(윤년일 경우 28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조선 숙종와 10월 7일 · 더보기 »

1659년

1659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1659년 · 더보기 »

1661년

1661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1661년 · 더보기 »

1667년

1667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1667년 · 더보기 »

1670년

1670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1670년 · 더보기 »

1674년

1674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1674년 · 더보기 »

1675년

1675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1675년 · 더보기 »

1676년

1676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1676년 · 더보기 »

1677년

1677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1677년 · 더보기 »

1678년

1678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1678년 · 더보기 »

1679년

1679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1679년 · 더보기 »

1680년

1680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1680년 · 더보기 »

1680년대

1680년대는 1680년부터 1689년까지를 가리.

새로운!!: 조선 숙종와 1680년대 · 더보기 »

1681년

1681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1681년 · 더보기 »

1682년

1682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1682년 · 더보기 »

1683년

1683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1683년 · 더보기 »

1684년

1684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1684년 · 더보기 »

1685년

1685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1685년 · 더보기 »

1686년

1686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1686년 · 더보기 »

1687년

1687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1687년 · 더보기 »

1688년

1688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1688년 · 더보기 »

1689년

1689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1689년 · 더보기 »

1690년

1690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1690년 · 더보기 »

1691년

1691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1691년 · 더보기 »

1692년

1692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1692년 · 더보기 »

1693년

1693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1693년 · 더보기 »

1694년

1694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1694년 · 더보기 »

1695년

1695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1695년 · 더보기 »

1696년

1696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1696년 · 더보기 »

1697년

1697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1697년 · 더보기 »

1698년

1698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1698년 · 더보기 »

1699년

1699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1699년 · 더보기 »

1700년

1700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1700년 · 더보기 »

1701년

1701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1701년 · 더보기 »

1702년

1702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1702년 · 더보기 »

1703년

1703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1703년 · 더보기 »

1704년

1704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1704년 · 더보기 »

1705년

1705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1705년 · 더보기 »

1706년

1706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1706년 · 더보기 »

1707년

1707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1707년 · 더보기 »

1708년

1708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1708년 · 더보기 »

1709년

1709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1709년 · 더보기 »

1710년

1710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1710년 · 더보기 »

1711년

1711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1711년 · 더보기 »

1712년

1712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1712년 · 더보기 »

1713년

1713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1713년 · 더보기 »

1714년

1714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1714년 · 더보기 »

1715년

1715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1715년 · 더보기 »

1716년

1716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1716년 · 더보기 »

1717년

1717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1717년 · 더보기 »

1718년

1718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1718년 · 더보기 »

1719년

1719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1719년 · 더보기 »

1720년

1720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1720년 · 더보기 »

1757년

1757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1757년 · 더보기 »

17세기

17세기는 1601년부터 1700년까지이.

새로운!!: 조선 숙종와 17세기 · 더보기 »

7월 12일

7월 1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93번째(윤년일 경우 19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조선 숙종와 7월 12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붕당과 왕권 강화, 숙종 이순.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