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조선 영조

색인 조선 영조

영조(英祖, 1694년 10월 31일(음력 9월 13일) ~ 1776년 4월 22일(음력 3월 5일))는 조선의 제21대 왕(재위, 1724년 10월 16일 ~ 1776년 4월 22일)이.

822 처지: 능성 구씨, 덕수궁, 도로고, 도성삼군문분계지도, 도암면 (화순군), 독도 분쟁, 독립협회, 동래구, 동몽선습, 동구릉, 동국문헌비고, 동국대지도, 동이 (드라마), 동사강목, 만동묘, 마맹하, 마장동, 마의 (드라마), 마산어시장, 모 (성씨), 목호룡, 명릉 (조선), 명봉사, 명빈 박씨, 명혜공주, 명선공주, 명성황후, 명성왕후, 명안공주, 무을 풍물, 무예도보통지, 무사 백동수, 무학, 문묘, 문묘 제례악, 문혜정, 묘호, 미 (성씨), 미륵산 (경상남도), 미추홀, 미원현, 미황사, 민진원, 민진후, 밤을 걷는 선비, 방 (성씨), 백담사, 백자 청화운룡문 항아리, 백자청화영빈이씨 묘지·명기 및 석함, 백시구, ..., 개운사 (서울), 개성 내씨, 개성역사유적지구, 반계수록, 반구동, 갑술환국, 박문수, 박문수 초상 (보물 제1189-1호), 박근형, 강음 단씨, 박제가, 박지원 (1737년), 박태한, 강현 초상, 박연 (1378년), 박세채, 강세황, 강세황 초상, 강필리, 박필균, 가조도, 가파도, 밀풍군, 가산산성, 경모궁, 경복궁, 경기감영도, 경빈 박씨 (장조), 경빈 이씨, 경희궁, 경종실록, 경주 불국사 대웅전, 경주 김씨, 경주 숭덕전, 벽파, 경상북도의 성 목록, 경성회, 검무, 고령 신씨, 고금면, 고운사, 고창 상원사 대웅전, 고추, 고추장, 고양 흥국사 약사전, 고석정, 고성 건봉사 능파교, 고성향교, 고시언, 곤룡포, 골든 주빌리, 보광사 (파주시), 보은 법주사 선희궁 원당, 보성 벌교 홍교, 보성군, 곽정욱, 복각 천상열차분야지도 각석, 공근면, 공빈 최씨, 공주 갑사 표충원, 공산성 쌍수정, 계덕해, 별자리, 괴산 만동묘정비, 괴산 피씨, 광성군, 봉림사 (영천시), 봉영사, 봉성군, 봉원사, 관덕정, 관룡사, 북구 (부산광역시), 궁녀, 북정동 (울산), 궁호, 북한산성 행궁, 북학, 권복 (1769년), 권상하, 권삼득, 붕당, 부부인, 부창동, 부산 정공단, 부석사, 부원군, 균역법, 균역청, 균역청 사목, 귀인 조씨, 귀인 조씨 (영조), 기로소, 금강산, 금과면, 금등지사, 금주법, 금위영, 금호동 (서울), 금성 라씨, 빈 (지위), 비밀의 문: 의궤 살인 사건, 김명수 (배우), 김문기, 김문순 (1744년), 김범우, 김관주, 김귀주, 김득신 (화가), 김노경, 김재로, 김흥경 (조선), 김인겸, 김인후, 김일경 (1662년), 김익훈, 김정희, 김조순, 김종직, 김종수 (1728년), 김종후, 김진규 (소설가), 김창집, 김창업, 김천 직지사 대웅전 삼존불탱화, 김천택, 김처선, 김춘택, 김육, 김상로, 김상용 (1561년), 김수장, 김수태, 김석문, 김선경 (조선), 김성걸, 김성겸, 김성행, 김약련, 김한록, 김한기, 김한구, 김한구 (1723년), 김한신, 김신겸 (1693년), 김시묵, 김시원 (1947년), 김원행, 김홍도, 김홍욱, 빙고 (관청), 대덕산 (강원), 대리청정, 대박 (드라마), 대빈묘, 대구 선화당 측우대, 대구광역시, 대구읍성, 대구향교, 대현동 (울산),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정부표준영정,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 대악후보, 대왕대비, 대왕의 길, 누동궁, 교동향교, 구 (성씨), 구 영릉 석물 - 세종대왕신도비, 구례 천은사 극락전 아미타후불탱화, 국조보감, 국조오례의, 국새, 둔덕면, 남부면, 남인, 남종면, 남연군, 남한산성, 내명부, 내금위, 나경언, 나주괘서사건, 낙천군, 노론, 노곡면, 노상추, 논개, 논산 쌍계사 대웅전, 단경왕후, 단의왕후, 단술, 달동 (울산), 달문, 담양 오충정려, 답십리동, 효문동, 효의왕후, 효순왕후, 용강 팽씨, 우정동, 운니동, 회원군 (1636년), 장릉 (조선 단종), 장릉 (조선 인조), 장목면, 장흥 위씨, 장희빈 (2002년 드라마), 장의황후, 장조 (동음이의), 장태우, 장옥정, 사랑에 살다, 장성 필암서원 하서유묵목판일괄, 재령 미씨, 편싸움놀이, 임경업, 임술민란, 임오화변, 포항 오어사 대웅전, 흥국사 (고양시), 흥인지문, 흥선대원군 자적단령, 희빈 장씨, 희정당, 이덕주 (1617년), 이맹휴, 이만운 (1723년), 이만유 장군 유물, 이명회, 이명익, 이명좌, 이명현 (조선의 문신), 이건창, 이광려, 이근 (조선 후기), 이기용, 이우형 (산악인), 이승응, 이회영, 이재 (1680년), 이재각, 이재수 (1770년), 이재항 (1678년), 이이명, 이인좌, 이인좌의 난, 이인상, 이익 (1681년), 이정보 (조선), 이조, 이종찬 (1936년), 이종성 (1692년), 이중환, 이집 (1664년), 이진익, 이지란, 이철득, 이촌동, 이융준, 이상호 (1702년), 이태리 (배우), 이태망, 이순재, 이영수 (1693년), 이현일, 이형종 (1706년), 이형석 (2000년), 이헌길, 이풍 (조선), 이사질, 이산 (드라마), 이석한, 이선호 (배우), 이성득 (조선 왕족), 이세복, 이세춘, 이서구 (조선), 이해 (1496년), 이한 (전주 이씨), 이시영 (1868년), 이원경 (1827년), 이홍매, 이홍술, 이황, 인렬왕후, 인빈 김씨, 인현왕후, 인원왕후, 일산동구, 일성록, 음력 3월 5일, 음력 9월 13일, 의겸등필 수월관음도, 의빈 성씨, 의산문답, 의소, 의소세자, 의암, 흉배, 은전군, 은정화, 은언군, 은해사, 은신군, 제36회 청룡영화상, 전라도, 전계대원군, 전등사, 전의 이씨, 전주시, 전주시의 역사, 전옥서, 정도전, 정관정요, 정분, 정빈, 정빈 이씨, 정조 어제 채제공 뇌문비, 정조암살미스터리: 8일, 정종 (영양위), 정치달, 정휘량, 정상기, 정순왕후, 정순왕후 (조선 단종), 정순왕후 (조선 영조), 정순왕후 (조선), 정호 (1648년), 정선 필 육상묘도, 정선필 금강전도, 정선필 인왕제색도, 정성왕후, 정약전, 정후겸, 조동호, 조문명, 조민기, 조경 (1727년), 조경묘, 조극관, 조재호 (1702년), 조중회, 조상경 (1681년), 조태채, 조태억, 조영무, 조영석, 조선, 조선 경종, 조선 장조, 조선 정조, 조선 진종, 조선 순조, 조선 숙종, 조선 통신사, 조선 후기의 문학, 조선 왕 가계도, 조선 왕을 말하다, 조선의 과거 제도, 조선의 공신, 조선의 대외 관계, 조선의 역대 국왕, 조선의 역대 왕비, 조선의 역대 왕대비, 조선의 역대 왕세자빈, 조선의 역사, 조선의 연호, 조선의 왕세자, 조선의 왕세손, 조선왕릉, 조선왕조 오백년, 조웅전, 좌의정, 종묘, 주산지, 중앙동 (울산), 준천사실, 증보문헌비고, 증보산림경제, 진재해, 진주 의암사적비, 진천 금성대군 사당, 진천군, 진안 태고정, 진원면, 지행당, 창덕궁, 창경궁, 창녕 관룡사 대웅전, 창녕 석빙고, 창의문, 채용신, 채제공, 책문후시, 청구 (고조선), 청구영언, 청국장, 청운효자동, 청주 곽씨, 청주 구룡사 사적비, 청주 영조 태실, 청연공주, 청선공주, 청화백자, 체험 삶의 현장의 에피소드 목록, 천곡사 (통천군), 천보총, 천상열차분야지도 각석, 촉석루, 충장사 (광주광역시), 충주 박씨, 춘향전, 춘양면 (화순군), 칠궁, 칠천도, 칠원군, 판소리, 유발, 유겸명, 유병호, 유봉휘, 유득공, 유형원, 유연석, 유성원, 육진팔광, 윤공단, 윤봉구, 윤봉조, 윤관, 윤급, 윤득우, 윤은필, 윤순, 윤선도, 윤시동, 율촌면, 팽성읍 객사, 파주 삼릉, 파주 소령원, 팔공산, 위백규, 위천면, 상계군, 상의원 (영화), 상산군부인 김씨, 상산군부인 송씨, 택리지, 생황, 새끼 (줄), 탈춤, 탕평비, 탕평채, 탕평책, , 순창 객사, 순창군, 수덕사, 수군, 수표교, 수암동 (울산), 숙빈, 숙빈 임씨, 숙빈 최씨, 숙녕옹주 (효종), 숙의 문씨, 숙의 문씨 (영조), 숙종실록, 숙안공주, 영릉, 영명사 (평양), 영빈 김씨, 영빈 이씨, 영등포동, 영평군 (1828년), 영희전, 영의정, 영조 (동음이의), 영조 기로연·수작연도 병풍, 영조어진, 영조실록, 영조왕세제수책시 책례도감의궤, 영종, 영지사, 영성군, 오륙도, 오명항선생토적송공비, 오군영, 오재순, 오일장, 옥림항, 옥포동, 옥천 경율당, 옥천면 (양평군), 온양온천, 혜화문, 현빈 (동음이의), 최북, 최불암, 최효원, 최수강, 어 (성씨), 어보, 어진, 어유구, 어여머리, 어사 박문수, 양반, 양금, 양정동 (울산), 양서면, 행당동, 여릉군, 여진구, 여지도서, 여천군 (왕족), 여수호좌수영수성창설사적비, 역사 연표, 역사스페셜, 역사저널 그날의 에피소드 목록, 연령군, 연잉군 초상, 연희궁 묘터, 연조귀감, 연세대학교, 연세대학교 신촌캠퍼스, 열조통기, 열상방언, 헌경왕후, 허난설헌, 허준, 허윤, 표철주, 풍남문, 풍양 조씨, 사도 (영화), 사천 선진리왜성, 사육신, 사심충만 오!쾌남, 산경표, 산대나례, 산송, 삼국사기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79호), 삼척군, 삼산동 (울산), 삼성사, 삼해주, 피휘, 선본사, 선희궁터, 선의왕후 (조선), 설천면 (무주군), 성북동 (서울), 성균관대학교, 세검정 (서울), 세노 우마쿠마, 세종 기룡리 효교비, 서덕수, 서매수, 서명응, 서명선, 서광범, 서북피아양계만리일람지도, 서운관지, 서울 문묘, 서울 육상궁, 서재우 (1868년), 서재창, 서재필, 서평군, 서일보, 서종제, 서촌, 서상정, 서영순 (1793년), 서오릉, 서얼, 서얼 금고령, 속초 신흥사 청동시루, 송갑조, 송강호의 작품 목록, 송공단, 송인명, 송정동 (울산), 송천동 (전주시), 송상현 (1551년), 송현수, 송시열, 소론, 소의문, 통영 한산도 이충무공 유적, 통영시, 함백산, 해동 (별칭), 해동가요, 해동삼국도, 해주 오씨, 핼리 혜성, 야미도, 야음장생포동, 약사동 (울산), 한광근, 한국 법제의 역사, 한국 불교의 역사, 한국음악, 한국의 미술, 한국의 궁중무용, 한국의 천문학, 한국의 행정 구역, 한국의 역사, 한국의 연극, 한국의 선교, 한국의 왕자와 왕녀 목록,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 한국사 전, 한일도서협정으로 반환된 도서 목록, 한중록 (드라마), 한양도성, 한석규, 한원진, 안동 청성서원, 안동시의 역사, 안정복, 안양 삼막사 마애삼존불, 안성 칠장사 대웅전, 안성 최규서 어서각, 하동부대부인, 하동군, 하장면, 하청면, 하한담, 암행어사, 아주동, 아산시, 아시아의 역사, 학성동 (울산), 식민사관, 신무문, 신문고, 신경준, 신경준 고지도, 신병주, 신임, 신임사화, 신유박해, 신윤복, 신영동 (서울), 신사동 (은평구), 신안 주씨, 심달원, 심전, 심유현, 심순택, 심언광, 심풍지, 심사정, 심환지, 십팔기, 시조, 시파, 원덕읍, 원릉, 원릉 (조선), 원주 원씨, 원주시의 문화재, 훈련도감, 훈민정음 운해, 후암동, 홍릉, 홍릉 (정성왕후), 홍계희, 홍봉한, 홍국영, 홍국영 (드라마), 홍낙순, 홍이포, 홍인한, 홍제동 (강릉시), 홍석보, 홍세태, 황보인, 황인점, 황정, 황윤석, 황학동, 외명부, 외척, 환국, 화령옹주, 화길옹주, 왔다! 장보리, 화평옹주, 화유옹주, 화순옹주 (고려), 화순옹주 (영조), 화협옹주, 화억옹주, 화한삼재도회, 화완옹주, 완풍대군, 완산구, 완성군, 왕도 (드라마), 왕세자, 왕세제, 왕세손, 10월 31일, 1670년, 1694년, 1704년, 1718년, 1724년, 1725년, 1726년, 1727년, 1728년, 1729년, 1730년, 1731년, 1732년, 1733년, 1734년, 1735년, 1736년, 1737년, 1738년, 1739년, 1740년, 1741년, 1742년, 1743년, 1744년, 1745년, 1746년, 1747년, 1748년, 1749년, 1750년, 1751년, 1752년, 1753년, 1754년, 1755년, 1756년, 1757년, 1758년, 1759년, 1760년, 1761년, 1762년, 1763년, 1764년, 1765년, 1766년, 1767년, 1768년, 1769년, 1770년, 1771년, 1772년, 1773년, 1774년, 1775년, 1776년, 1800년, 1800년대, 1805년, 19세기, 2월 13일, 4월 22일, 7월 4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772 더) »

능성 구씨

능성 구씨(綾城 具氏)는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능성 구씨 · 더보기 »

덕수궁

덕수궁(德壽宮)은 서울 중구 정동(貞洞)에 있는 조선과 대한제국의 궁궐로서, 대한민국의 사적 제124호이며 면적은 63,069m2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덕수궁 · 더보기 »

도로고

(道路考)는 조선 영조 때의 실학자 신경준이 영조 46년(1770년)에 편찬한 저서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도로고 · 더보기 »

도성삼군문분계지도

성삼군문분계지도 〈도성삼군문분계지도〉(都城三軍門分界地圖)는 조선 영조(英祖) 27년(1751년) 제작된 수도 한성의 지도로서 영조가 도성의 수비에 관해 내린 윤음(綸音: 임금의 말씀)과 절목(節目: 법률 및 규정) 등을 기록한 책인 어제수성윤음(御製守城綸音) 가운데 수록되어 있. 책자에 인쇄된 최초의 서울 지도이며 가로는 42.8 cm, 세로는 29.2cm으로 목판본 지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도성삼군문분계지도 · 더보기 »

도암면 (화순군)

암면(道岩面)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화순군 남부에 위치한 면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도암면 (화순군) · 더보기 »

독도 분쟁

독도 분쟁이란, 독도를 실효 지배하고 있는 대한민국에 대해 그렇지 못한 일본이 그 영유권을 주장하면서 발생한 영토 분쟁을 말. 대한민국은 공식적으로 영토 분쟁은 없으며, 분쟁이란 단어는 적합하지 않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 독도는 한국과 일본 사이의 동해에 위치하고 있고, 동도(東島)와 서도(西島)를 중심으로 주변의 암초 등을 포함한 총면적은 0.188 km2이며, 현재 대한민국의 실효 지배 하에 있. 독도 분쟁은 20세기 이전, 독도에 대한 지배 및 관할을 어떻게 봐야하는지에 대한 역사 논쟁과 연결되어 있. 대한민국 측은 삼국사기, 조선왕조실록과 같은 역사적 문헌을 인용하거나 고지도에 기록된 우산도 등을 근거로 하여, 독도가 울릉도의 부속도서이며 20세기 이전부터 한국의 고유영토라고 주장하고 있. 일본 측은 우산도가 울릉도, 관음도, 죽도 또는 존재하지 않는 섬이라고 주장하며, 우산도가 독도라는 한국의 주장을 반박하고 있. 또한 20세기 이전의 한국의 독도 지배를 인정하지 않고 있. 역사 기록에 나오는 독도는 그 명칭이 여럿이었고, 변화해왔기 때문에 이러한 주장들을 확인하는 데에는 난해한 측면이 있. 이에 대한민국은 우산도를 독도, 일본은 독도가 아닌 섬으로 정의하면서 논쟁이 발생하고 있.

새로운!!: 조선 영조와 독도 분쟁 · 더보기 »

독립협회

독립협회에 모인 민중들 독립협회(獨立協會)는 1896년 7월 2일 설립된 조선과 대한제국의 시민사회단체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독립협회 · 더보기 »

동래구

동래구(東萊區)는 대한민국 부산광역시의 중북부에 있는 구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동래구 · 더보기 »

동몽선습

동몽선습(童蒙先習)은 조선시대 동몽교재(童蒙敎材) 중에서 가장 이른 시기에 저술되었고, 초학 아동들이 《천자문》 다음 단계에서 반드시 학습하였던 대표적인 아동교육교재였.

새로운!!: 조선 영조와 동몽선습 · 더보기 »

동구릉

동구릉(東九陵)은 경기도 구리시에 있는 조선 시대의 왕릉군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동구릉 · 더보기 »

동국문헌비고

《동국문헌비고》(東國文獻備考)는 조선 영조 때 홍봉한(洪鳳漢)이 조선의 문물제도 전반에 걸쳐 기록한 일종의 백과사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동국문헌비고 · 더보기 »

동국대지도

동국대지도(東國大地圖)는 조선 영조 때 정상기가 제작한 한국의 옛 지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동국대지도 · 더보기 »

동이 (드라마)

《동이》는 2010년 3월 22일부터 2010년 10월 12일까지 방송된 문화방송 월화드라마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동이 (드라마) · 더보기 »

동사강목

《동사강목》(東史綱目)은, 조선의 학자 안정복(安鼎福)이 저술한 강목체(綱目體) · 편년체(編年體) 역사서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동사강목 · 더보기 »

만동묘

만동묘(萬東廟)는 조선시대 때 지어진 사당으로, 임진왜란 때 조선을 돕기 위하여 조선에 원군을 파병한 명 신종을 기리기 위해서1704년 숙종 30년 오늘날의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 화양동 에 지었.

새로운!!: 조선 영조와 만동묘 · 더보기 »

마맹하

마맹하(馬孟河, 1701년 ~ ?)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마맹하 · 더보기 »

마장동

마장동(馬場洞)은 서울특별시 성동구의 행정동, 법정동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마장동 · 더보기 »

마의 (드라마)

《마의》(馬醫)는 2012년 10월 1일부터 2013년 3월 25일까지 MBC에서 방송된 50부작 창사 51주년 특별기획 드라마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마의 (드라마) · 더보기 »

마산어시장

마산어시장(馬山魚市場)은 창원시 마산합포구 동서동(동성동, 남성동, 신포동2가) 일원에 위치한 수산물 시장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마산어시장 · 더보기 »

모 (성씨)

모(牟, 毛)는 중국 및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모 (성씨) · 더보기 »

목호룡

목호룡(睦虎龍, 1684년~1724년)은 조선 경종 때의 지관(地官)으로, 신임옥사의 고변자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목호룡 · 더보기 »

명릉 (조선)

명릉(明陵)은 조선 제19대 왕인 숙종과 계비 인현왕후, 인원왕후의 능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명릉 (조선) · 더보기 »

명봉사

명봉사(鳴鳳寺)는 경상북도 예천군 효자면의 소백산 자락에 위치한 대한불교조계종 소속의 사찰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명봉사 · 더보기 »

명빈 박씨

명빈 박씨(䄙嬪 朴氏, ? ~ 1703년 음력 7월 15일)는 조선 숙종의 후궁이며, 연령군의 어머니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명빈 박씨 · 더보기 »

명혜공주

명혜공주(明惠公主, 1665년 ~ 1673년 6월 11일(음력 4월 27일))는 조선의 공주로 조선의 제18대 현종(顯宗, 1641~1674, 재위 1660~1674)과 명성왕후 김씨(明聖王后 金氏, 1642~1684)의 차녀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명혜공주 · 더보기 »

명선공주

명선공주(明善公主, 1660년 ~ 1673년 9월 12일(음력 8월 2일))는 조선의 왕족으로 현종의 장녀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명선공주 · 더보기 »

명성황후

쪽.

새로운!!: 조선 영조와 명성황후 · 더보기 »

명성왕후

명성왕후 김씨(明聖王后 金氏, 1642년 6월 13일/음력 5월 17일 ~ 1684년 1월 21일/1683년 음력 12월 5일)는 조선의 제18대 국왕인 현종의 정비(正妃)이자 숙종의 어머니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명성왕후 · 더보기 »

명안공주

명안공주(明安公主, 1667년 ~ 1687년 5월 16일)는 조선의 왕족으로 현종(顯宗, 1641~1674, 재위 1660~1674)과 명성왕후 김씨(明聖王后 金氏, 1642~1684)의 3녀로 조선시대 공주들 중 유일하게 이름이 알려져 있으며 본명은 이온희(李溫姬)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명안공주 · 더보기 »

무을 풍물

무을 풍물(舞乙風物)은 대한민국의 경상북도 구미시 무을면 무이리를 중심으로 상송리, 오가리 현재에 이르러 구미지역 전체를 바탕으로 전승·공연되는 전통 풍물놀이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무을 풍물 · 더보기 »

무예도보통지

무예도보통지의 한 장면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는 규장각 검서관인 이덕무, 박제가와 장용영 장교인 백동수 등이 정조의 명으로 1790년(정조 14년)에 편찬한 훈련용 병서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무예도보통지 · 더보기 »

무사 백동수

《무사 백동수》는 2011년 7월 4일부터 2011년 10월 10일까지 SBS에서 방송된 월화드라마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무사 백동수 · 더보기 »

무학

무학(無學: 1327~1405)은 고려(918~1392) 말, 조선(1392~1897) 초의 승려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무학 · 더보기 »

문묘

문묘(文廟)는 문선왕묘(文宣王廟)의 약자로 공자묘(孔子廟)라고도 부른.

새로운!!: 조선 영조와 문묘 · 더보기 »

문묘 제례악

문묘제례악(文廟祭禮樂)은 공자를 비롯하여 안자(顔子)·자사(子思)와 같은 중국의 성현과 설총·최치원과 같은 한국의 성현에게 제사하는 문묘제향에 쓰이는 음악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문묘 제례악 · 더보기 »

문혜정

문혜정(文惠貞, 1969년 ~)은 대한민국의 여성 연극배우 겸 뮤지컬 배우이며 방송MC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문혜정 · 더보기 »

묘호

묘호(廟號)는 중국, 한국, 베트남 등 동양의 봉건 왕조 국가에서 황제 또는 국왕과 같은 군주에게만 붙인 칭호로 군주가 승하한 뒤 태묘(太廟, 또는 종묘)에서 군주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낼 때 사용되었.

새로운!!: 조선 영조와 묘호 · 더보기 »

미 (성씨)

미(米)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미 (성씨) · 더보기 »

미륵산 (경상남도)

미륵산(彌勒山)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통영시 봉평동에 있는 해발 461m의 산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미륵산 (경상남도) · 더보기 »

미추홀

미추홀(彌鄒忽)은 현재의 인천광역시 일부를 일컫는 백제 시대의 지명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미추홀 · 더보기 »

미원현

미원현(迷原縣) 고려시대에 양평군 지역에 있던 행정구역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미원현 · 더보기 »

미황사

미황사(美黃寺)는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에 위치한 대한불교조계종의 사찰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미황사 · 더보기 »

민진원

민진원(閔鎭遠, 1664년 ~ 1736년)은 조선 후기의 척신으로 민유중의 아들이며, 민진후의 남동생, 인현왕후의 작은오빠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민진원 · 더보기 »

민진후

민진후(閔鎭厚, 1659년 ~ 1720년)는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이자 외척으로 인현왕후의 오빠이자 민진원과 민진영(閔鎭永)의 형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민진후 · 더보기 »

밤을 걷는 선비

《밤을 걷는 선비》는 2015년 7월 8일부터 2015년 9월 10일까지 MBC에서 방영된 수목드라마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밤을 걷는 선비 · 더보기 »

방 (성씨)

방(方, 房, 龐, 邦)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방 (성씨) · 더보기 »

백담사

백담사(百潭寺)는 강원도 인제군 북면 용대리 외가평에서 동남쪽 약 8 km 되는 내설악 쪽에 있는 절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백담사 · 더보기 »

백자 청화운룡문 항아리

백자 청화운룡문 항아리(白磁 靑畵雲龍文 立壺)는 청화로 운룡문을 그려넣은, 조선 후기의 백자 항아리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백자 청화운룡문 항아리 · 더보기 »

백자청화영빈이씨 묘지·명기 및 석함

백자청화영빈이씨묘지·명기 및 석함(白磁靑華暎嬪李氏 墓誌․明器 及 石函)은 연세대학교 경내에 있던 영빈이씨(暎嬪李氏: 1696 년~1764년)의 묘인 수경원(綏慶園)을 1970년 경기도 고양시의 서오릉(西五陵)으로 옮길 때 실시한 발굴조사시 출토된 유물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백자청화영빈이씨 묘지·명기 및 석함 · 더보기 »

백시구

백시구(白時耉, 1649년 ~ 1722년)는 조선 후기의 무신이자 충신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백시구 · 더보기 »

개운사 (서울)

운사(開運寺)는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동 5가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소속의 사찰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개운사 (서울) · 더보기 »

개성 내씨

성 내씨(開城 乃氏)는 개성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개성 내씨 · 더보기 »

개성역사유적지구

성 역사유적 지구(開城歷史遺蹟地區)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록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있는 개성 일대에 집중된 고려 시대 유적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개성역사유적지구 · 더보기 »

반계수록

반계수록 본문의 일부 《반계수록》(磻溪隨錄)은 1670년(현종 11년)에 완성되어 1769년(영조 45년)에 간행된 반계 유형원의 대표적인 저술로서 국가체제에 관한 책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반계수록 · 더보기 »

반구동

반구동(伴鷗洞)은 울산광역시 중구의 법정동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반구동 · 더보기 »

갑술환국

갑술환국(甲戌換局)은 1694년(숙종 20년) 4월 1일에 발생한 숙종 시대의 3차 환국으로, 기사환국이 발생한 1689년 2월 2일 이후로 정권을 집권해온 남인이 몰락하고, 기사환국 때 몰락했던 서인(노론·소론)이 재집권한 사건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갑술환국 · 더보기 »

박문수

박문수(朴文秀, 1691년 10월 28일(음력 9월 8일) ~ 1756년 5월 22일(음력 4월 24일))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정치가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박문수 · 더보기 »

박문수 초상 (보물 제1189-1호)

박문수초상(朴文秀 肖像)은 충청남도 천안시, 천안박물관에 있는 조선 영조 때 문신인 박문수를 그린 초상화 2점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박문수 초상 (보물 제1189-1호) · 더보기 »

박근형

박근형(1940년 6월 7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박근형 · 더보기 »

강음 단씨

강음 단씨(江陰 段氏)는 중국에서 유래한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강음 단씨 · 더보기 »

박제가

박제가 박제가(朴齊家, 1750년 11월 5일 ~ 1815년 4월 25일)는 조선 후기의 정치가, 외교관, 통역관, 실학자로 북학파의 거두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박제가 · 더보기 »

박지원 (1737년)

박지원(朴趾源, 1737년 3월 5일(음력 2월 5일) ~ 1805년 12월 10일(음력 10월 20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실학자이자 사상가, 외교관, 소설가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박지원 (1737년) · 더보기 »

박태한

박태한(朴泰漢, 1664년 ~ 1698년)은 조선의 문신 겸 저술가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박태한 · 더보기 »

강현 초상

강현초상(姜鋧肖像)은 조선시대 문신이었던 강현을 그린 초상화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강현 초상 · 더보기 »

박연 (1378년)

박연 (朴堧, 1378년 음력 8월 20일 ~ 1458년 3월 23일)은 조선 초기의 문신, 도학자, 경세가, 문장가, 천문학자, 음악가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박연 (1378년) · 더보기 »

박세채

박세채(朴世采, 1631년 ~ 1695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박세채 · 더보기 »

강세황

강세황(姜世晃, 음력 1713년 7월 13일(윤5월 21일정원용, 『경산집』 권19, 한성부 판윤 강공 시장) ~ 1791년 1월 25일(음력 1월 23일))은 조선의 문신, 서화가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강세황 · 더보기 »

강세황 초상

강세황 초상(姜世晃肖像)은 영조·정조 때의 문인서화가 강세황이 자신을 직접 그린 초상화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강세황 초상 · 더보기 »

강필리

강필리(姜必履, 1713년 ~1767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강필리 · 더보기 »

박필균

박필균(朴弼均, 1685년 1월 1일 ∼ 1760년 8월 2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정치인으로 영조의 탕평책에 반대하여 노론의 맹작으로 활동하였.

새로운!!: 조선 영조와 박필균 · 더보기 »

가조도

조도(加助島)는 경상남도 거제시의 섬으로 거제도의 서북쪽에 있고, 면적은 5.86 km2, 해안선의 길이는 17.5 km, 최고점은 332 m이며, 인구는 2015년 12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1,280 명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가조도 · 더보기 »

가파도

(加波島)는 제주도에서 2.2 km 남쪽에 있는 섬으로, 행정구역상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대정읍 가파리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가파도 · 더보기 »

밀풍군

밀풍군 이탄(密豊君 李坦, 아명(兒名)은 원(垣), 1698년 ~ 1729년)은 조선 후기의 왕족으로 인조의 장자인 소현세자(昭顯世子)의 증손이자 종실 임창군 이혼의 장남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밀풍군 · 더보기 »

가산산성

곡 가산산성(漆谷 架山山城)은 조선시대에 축조된 석축 산성으로, 경상북도 칠곡군 에 위치해 있. 1971년 3월 26일 사적 제216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조선 영조와 가산산성 · 더보기 »

경모궁

경모궁(景慕宮)은 조선 장조의 사당이 있던 곳으로, 지금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부근 일대에 있던 함춘원의 옛터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경모궁 · 더보기 »

경복궁

경복궁(景福宮)은 대한민국 서울 세종로에 있는 조선 왕조의 법궁(法宮, 정궁)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경복궁 · 더보기 »

경기감영도

〈경기감영도〉(京畿監營圖)는 조선의 지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경기감영도 · 더보기 »

경빈 박씨 (장조)

경빈 박씨(景嬪 朴氏, ? ~ 1761년 음력 1월) 또는 수칙 박씨(守則 朴氏)는 조선의 추존왕 장조(사도세자)의 후궁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경빈 박씨 (장조) · 더보기 »

경빈 이씨

경빈 이씨(慶嬪 李氏, 1541년 ~ 1595년 음력 6월)는 조선 명종의 후궁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경빈 이씨 · 더보기 »

경희궁

경희궁(慶熙宮)은 서울시에 있는 조선 시대 궁궐로 광해군 9년(1617년)에 건립한 이후, 10대에 걸쳐 임금이 정사를 보았던 궁궐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경희궁 · 더보기 »

경종실록

《경종덕문익무순인선효대왕실록》(景宗德文翼武純仁宣孝大王實錄) 또는 《경종실록》(景宗實錄)은 1720년 음력 6월부터 1724년 음력 9월까지 조선 경종 시대의 사실을 기록한 실록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경종실록 · 더보기 »

경주 불국사 대웅전

경주 불국사 대웅전(慶州 佛國寺 大雄殿)은 경상북도 경주시, 불국사의 대웅전으로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경주 불국사 대웅전 · 더보기 »

경주 김씨

경주 김씨(慶州 金氏)는 경상북도 경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경주 김씨 · 더보기 »

경주 숭덕전

경주 숭덕전(慶州 崇德殿)은 경상북도 경주시 탑동에 있는 건축물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경주 숭덕전 · 더보기 »

벽파

벽파(僻派)는 조선 정조 시기 정조의 탕평책을 반대한 세력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벽파 · 더보기 »

경상북도의 성 목록

음은 경상북도에 있는 성들의 목록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경상북도의 성 목록 · 더보기 »

경성회

경성회(慶聖會, 1657년 ~ 1728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경성회 · 더보기 »

검무

풍속도 화첩》 속 〈쌍검대무〉 검무(劍舞)는 검을 가지고 추는 춤으로 검기무(劍器舞).

새로운!!: 조선 영조와 검무 · 더보기 »

고령 신씨

령 신씨(高靈 申氏)는 경상북도 고령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고령 신씨 · 더보기 »

고금면

면(古今面)은 전라남도 완도군에 속하며, 고금도의 행정 명칭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고금면 · 더보기 »

고운사

운사(孤雲寺)는 경상북도 의성군의 등운산 자락에 위치한 대한불교 조계종 소속의 사찰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고운사 · 더보기 »

고창 상원사 대웅전

상원사대웅전(上院寺大雄殿)은 전라북도 고창군 상원사에 있는 대웅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고창 상원사 대웅전 · 더보기 »

고추

()는 가지과에 딸린 여러해살이 나무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고추 · 더보기 »

고추장

시판되는 고추장 고추장(-醬)은 고춧가루를 주원료로 하여 찹쌀과 메주등을 섞어 만드는 한국의 전통음식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고추장 · 더보기 »

고양 흥국사 약사전

양 흥국사 약사전(高陽 興國寺 藥師殿)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흥국사에 있는 약사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고양 흥국사 약사전 · 더보기 »

고석정

석정(孤石亭)은 철원읍 동송읍 장흥리에 위치하고 있는 신라 진평왕 때 한탄강 중류에 세워진 정자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고석정 · 더보기 »

고성 건봉사 능파교

성 건봉사 능파교(高城 乾鳳寺 凌波橋)는 강원도 고성군 건봉사의 대웅전 지역과 극락전 지역을 연결하고 있는 무지개 모양의 다리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고성 건봉사 능파교 · 더보기 »

고성향교

성향교(固城鄕校)는 경상남도 고성군 고성읍에 있는 향교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고성향교 · 더보기 »

고시언

시언(高時彦, 1671 ~ 1734)은 조선의 시인·역관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고시언 · 더보기 »

곤룡포

룡포(衮龍袍)는 중국 수나라 이후 황제·황태자·친왕·군왕, 고려 국왕·왕태자, 조선 국왕·왕세자, 대한제국 황제·황태자·친왕, 베트남 황제·황태자, 류큐국 국왕·왕세자가 입던 일상복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곤룡포 · 더보기 »

골든 주빌리

주빌리(Golden Jubilee)는 50년째 되는 해, 또는 그를 기념하여 거행되는 이벤트를 말.

새로운!!: 조선 영조와 골든 주빌리 · 더보기 »

보광사 (파주시)

보광사(普光寺)는 경기도 파주시 고령산 기슭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소속의 사찰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보광사 (파주시) · 더보기 »

보은 법주사 선희궁 원당

보은 법주사 선희궁 원당(報恩 法住寺 宣喜宮 願堂)은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사내리, 법주사에 있는 건축물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보은 법주사 선희궁 원당 · 더보기 »

보성 벌교 홍교

보성 벌교 홍교(寶城 筏橋 虹橋)는 전라남도 보성군 벌교읍에 있는 조선 시대의 아치교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보성 벌교 홍교 · 더보기 »

보성군

보성군청 보성군(寶城郡)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중남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보성군 · 더보기 »

곽정욱

곽정욱(郭正旭, 1990년 6월 12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곽정욱 · 더보기 »

복각 천상열차분야지도 각석

복각 천상열차분야지도 각석(複刻 天象列次分野之圖 刻石)은 조선 태조 4년(1395년)에 만들어진 천상열차분야지도(天象列次分野之圖)를 숙종 때에 다시 새긴 석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복각 천상열차분야지도 각석 · 더보기 »

공근면

공근면(公根面)은 강원도 횡성군 북서쪽에 위치한 면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공근면 · 더보기 »

공빈 최씨

공빈 최씨(恭嬪 崔氏, 생몰년 미상)는 조선 예종의 후궁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공빈 최씨 · 더보기 »

공주 갑사 표충원

공주 갑사 표충원(公州 甲寺 表忠院)은 충청남도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갑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공주 갑사 표충원 · 더보기 »

공산성 쌍수정

공산성 쌍수정(公山城 雙樹亭)은 충청남도 공주시 금성동, 공산성 진남루 북서쪽에 있으며, 1984년 5월 17일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49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조선 영조와 공산성 쌍수정 · 더보기 »

계덕해

덕해(桂德海, 1708년 ~ 1775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 시인, 학자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계덕해 · 더보기 »

별자리

17세기 네덜란드의 별자리판 별자리 또는 성좌(星座)는 천구(天球)의 별을 지구에서 보이는 모습에 따라 이어서 어떤 사물을 연상하도록 이름을 붙인 것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별자리 · 더보기 »

괴산 만동묘정비

산 만동묘정비(槐山 萬東廟庭碑)는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 화양리에 있는 비석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괴산 만동묘정비 · 더보기 »

괴산 피씨

산 피씨(槐山皮氏)는 충청북도 괴산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괴산 피씨 · 더보기 »

광성군

광성군 이제길(廣城君 李悌吉, 1604년 ~ 1637년 5월 20일)은 조선 중기의 왕족으로 병자호란 때 남한산성에 포위된 인조를 구하다 순절하였.

새로운!!: 조선 영조와 광성군 · 더보기 »

봉림사 (영천시)

봉림사(鳳林寺)는 경상북도 영천시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소속 사찰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봉림사 (영천시) · 더보기 »

봉영사

봉영사(奉永寺)는 경기도 남양주시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소속 사찰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봉영사 · 더보기 »

봉성군

봉성군(鳳城君, 1528년 ~ 1547년 음력 윤9월)은 조선의 왕족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봉성군 · 더보기 »

봉원사

봉원사 봉원사(奉元寺)는 한국불교태고종의 총본산 사찰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봉원사 · 더보기 »

관덕정

제주 관덕정(濟州 觀德亭)은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삼도2동에 있는 조선 시대의 누정으로, 대한민국의 보물 제322호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관덕정 · 더보기 »

관룡사

룡사(觀龍寺)는 경남 창녕군 창녕읍 옥천리에 있는 사찰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관룡사 · 더보기 »

북구 (부산광역시)

부산 북구청 대동화명대교 북구(北區)는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북서부에 있는 구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북구 (부산광역시) · 더보기 »

궁녀

궁녀 궁녀(宮女)는 궁의 일을 보는 여성을 말. 본래 의미는 궁에 거주하는 모든 여성의 통칭으로 동의어로 궁인(宮人)·궁첩(宮妾)·내인(內人) 등이 있. 현대 국어사전에선 궁에서 노동력을 제공한 시비(侍婢)로서 내명부 관작을 받은 여인의 호칭으로 정의하고 있.

새로운!!: 조선 영조와 궁녀 · 더보기 »

북정동 (울산)

북정동(北亭洞)은 울산광역시 중구의 법정동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북정동 (울산) · 더보기 »

궁호

궁호(宮號)는 조선 왕실에서 여성에게 붙었던 칭호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궁호 · 더보기 »

북한산성 행궁

북한산성 행궁(北漢山城 行宮)은 북한산 상원봉 아래에 위치했던 행궁으로, 실제로 사용된 적은 없. 중성문을 지나 남쪽 골짜기로 진입해 동장대가 바라보이는 곳에 자리잡고 있.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고 난 후 도성의 방위 체제를 강화하기 위하여 북한산성을 축성하고 임금이 거처할 수 있는 행궁을 만들었.

새로운!!: 조선 영조와 북한산성 행궁 · 더보기 »

북학

북학(北學)은 조선 후기 실학의 한 유파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북학 · 더보기 »

권복 (1769년)

복(權馥, 1769년 ~ ?)은 조선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권복 (1769년) · 더보기 »

권상하

수암 권상하 권상하(權尙夏, 1641년 - 1721년 9월 2일)는 조선시대 후기의 학자, 교육자로 효종, 현종, 숙종 때의 성리학자였.

새로운!!: 조선 영조와 권상하 · 더보기 »

권삼득

삼득(權三得, 1772년 ~ 1841년)은 조선의 영조·정조 때의 판소리 명창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권삼득 · 더보기 »

붕당

붕당(朋黨)은 조선 중기 이후 특정한 학문적·정치적 입장을 공유하는 양반들이 모여 구성한 정치 집단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붕당 · 더보기 »

부부인

부부인(府夫人)은 조선시대 외명부 작위 중 하나로, 국왕(國王)의 적자(嫡子)인 대군(大君)의 정부인(正夫人)과 왕비(王妃)의 어머니에게 내린 정일품(正一品) 작위.

새로운!!: 조선 영조와 부부인 · 더보기 »

부창동

부창동(富倉洞)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논산시의 동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부창동 · 더보기 »

부산 정공단

정공단(鄭公壇)는 부산광역시 동구 좌천1동에 있는 조선시대의 제단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부산 정공단 · 더보기 »

부석사

부석사(浮石寺)는 신라 문무왕 16년(676년)에 의상이 왕명을 받아 세운 화엄종 사찰로서,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 봉황산 중턱에 있.사회 I·문화재 > 문 화 재 > 중요 문화재 > 경상북도 > 부석사,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부석사는 특히 의상이 화엄의 큰 가르침을 베풀던 곳으로, 의상을 하고, 그가 창시한 화엄종을 "부석종"이라 하는 것도 여기에서 유. 1372년(공민왕 21)에 주지가 된 원응국사(圓應國師)에 의해 많은 건물들이 다시 세워졌.

새로운!!: 조선 영조와 부석사 · 더보기 »

부원군

부원군(府院君)은 고려 충렬왕 이후 조선시대까지 사용한 작호(爵號)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부원군 · 더보기 »

균역법

역법 (均役法) 은 조선 후기 군역을 대신하는 군포를 2필에서 1필로 줄인 군역세법 개혁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균역법 · 더보기 »

균역청

역청(均役廳)은 1751년(영조 27년) 균역법의 시행을 담당하기 위해 설치된 관청으로, 균청(均廳)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균역청 · 더보기 »

균역청 사목

역청 사목(均役廳事目)은 균역법의 시행 내용을 정돈 인령(印領)한 것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균역청 사목 · 더보기 »

귀인 조씨

인 조씨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조선 영조와 귀인 조씨 · 더보기 »

귀인 조씨 (영조)

인 조씨(貴人 趙氏, 1707년 음력 10월 16일 ~ 1780년)는 조선의 제21대 왕 영조의 후궁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귀인 조씨 (영조) · 더보기 »

기로소

소(耆老所)는 조선시대에 연로한 문신(文臣)들을 예우하기 위해 설치한 명예기구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기로소 · 더보기 »

금강산

강산(金剛山)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강원도 금강군 · 고성군 · 통천군에 걸쳐있는 산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금강산 · 더보기 »

금과면

면(金果面)은 대한민국 전라북도 순창군의 면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금과면 · 더보기 »

금등지사

등지사(金縢之詞)란 억울함이나 비밀스런 일이 있어 후세에 이를 밝혀 진실을 알게 하는 문서를 말. 금등문서, 금등문건, 금등이라고도 불린.

새로운!!: 조선 영조와 금등지사 · 더보기 »

금주법

의학용 알콜음료 사용을 허가하는 처방전 금주법(禁酒法, the prohibition law)은 술의 제조, 판매·운반·수출입을 금지하는 법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금주법 · 더보기 »

금위영

위영은 5군영 중 가장 마지막으로 설치된 것으로서, 숙종 때 설치되었.

새로운!!: 조선 영조와 금위영 · 더보기 »

금호동 (서울)

호동(金湖洞)은 서울특별시 성동구의 동 이름으로, 법정동군(금호동1가, 금호동2가, 금호동3가, 금호동4가)과 행정동군(금호1가동, 금호2·3가동, 금호4가동)의 통칭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금호동 (서울) · 더보기 »

금성 라씨

성 라씨(錦城 羅氏, 금성 나씨)는 전라남도 나주시를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금성 라씨 · 더보기 »

빈 (지위)

빈(嬪)은 조선 왕조 내명부(內命婦)의 품계 중 하나로, 국왕의 정1품 후궁의 위호(位號)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빈 (지위) · 더보기 »

비밀의 문: 의궤 살인 사건

《비밀의 문: 의궤 살인 사건》은 2014년 9월 22일부터 2014년 12월 9일까지 SBS에서 방영된 대기획 드라마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비밀의 문: 의궤 살인 사건 · 더보기 »

김명수 (배우)

명수(1966년 8월 27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김명수 (배우) · 더보기 »

김문기

문기(金文起1399년 ~ 1456년)는 초명은 효기(孝基), 자는 여공(汝恭), 호는 백촌(白村) 혹은 마암(馬巖), 김녕 김씨(金寧 金氏) 충의공파(忠毅公派)의 파조(派祖)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김문기 · 더보기 »

김문순 (1744년)

문순(金文淳, 1744년~1811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문과급제후, 선혜청제조, 판돈녕부사를 지냈으며 한성부판윤을 여러번 재임하였.

새로운!!: 조선 영조와 김문순 (1744년) · 더보기 »

김범우

범우(金範禹, 1751년 5월 22일 ~ 1787년 9월 14일)는 한국 천주교 첫 희생자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김범우 · 더보기 »

김관주

주(金觀柱, 1743년 ~ 1806년)는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정치인이자 척신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김관주 · 더보기 »

김귀주

주(金龜柱, 1740년~1786년)는 조선 후기의 정치가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김귀주 · 더보기 »

김득신 (화가)

득신(金得臣, 1754년(영조 30년) ~ 1822년(순조 22년))은 조선시대 후기의 화가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김득신 (화가) · 더보기 »

김노경

경(金魯敬, 1766년 ~ 1837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김노경 · 더보기 »

김재로

재로의 초상화, 1738년(57세) 주청사(奏請使)로 북경에 갔을 때 모습 김재로(金在魯, 1682년 ~ 1759년)는 조선의 정치가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김재로 · 더보기 »

김흥경 (조선)

흥경(金興慶, 1677년 ~ 1750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김흥경 (조선) · 더보기 »

김인겸

인겸(金仁謙, 1707년 ~ 1772년)은 조선의 문인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김인겸 · 더보기 »

김인후

인후(金麟厚, 1510년 ~ 1560년)는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김인후 · 더보기 »

김일경 (1662년)

일경(金一鏡, 1662년 ~ 1724년 12월 8일)은 조선후기의 문신, 성리학자 정치인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김일경 (1662년) · 더보기 »

김익훈

익훈(金益勳, 1619년 ~ 1689년 3월 11일)은 조선의 외척이며 문신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김익훈 · 더보기 »

김정희

정희가 그린 불이선란도(不二禪蘭圖) 김정희(金正喜, 정조 10년(1786년) 6월 3일(1786년 6월 28일) ~ 철종 7년(1856년) 10월 10일(1856년 11월 7일))는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서예가, 금석학자, 고증학자, 화가, 실학자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김정희 · 더보기 »

김조순

조순(金祖淳, 1765년 ~ 1832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정치가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김조순 · 더보기 »

김종직

종직(金宗直, 1431년 6월 ~ 1492년 8월 19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이자 사상가이며, 성리학자, 정치가, 교육자, 시인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김종직 · 더보기 »

김종수 (1728년)

종수(金鍾秀, 1728년 ~ 1799년 1월 7일)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김종수 (1728년) · 더보기 »

김종후

종후(金鍾厚, 1721년 ~ 1780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좌의정을 지낸 김종수의 형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김종후 · 더보기 »

김진규 (소설가)

(1969년-)는 소설 '달을 먹다'으로 등단한 대한민국의 소설가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김진규 (소설가) · 더보기 »

김창집

몽와 김창집 영정(영의정 재직 무렵) 김창집 (金昌集, 1648년(인조 26년) ∼ 1722년 5월 2일(경종 2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학자, 작가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김창집 · 더보기 »

김창업

연행록 김창업(金昌業, 1658 ~ 1722)은 조선 후기의 화가·학자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김창업 · 더보기 »

김천 직지사 대웅전 삼존불탱화

직지사 대웅전 삼존불탱화(直指寺大雄殿-三尊佛幀畵)는 경상북도 김천시 직지사 대웅전에 그려진 후불 탱화 3점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김천 직지사 대웅전 삼존불탱화 · 더보기 »

김천택

택(金天澤, 1680년대 말(추정) ~ ?) 조선 영조 때의 가인(歌人)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김천택 · 더보기 »

김처선

선(金處善, ? ~1505년)은 세종부터 연산군까지 일곱 왕을 섬긴 최고위 내시인 판내시부사 겸 상선을 역임한 조선의 환관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김처선 · 더보기 »

김춘택

택‎ 김춘택(金春澤, 1670년 ~ 1717년)은 조선후기의 문신, 외척, 작가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김춘택 · 더보기 »

김육

육(金堉, 1580년 8월 23일(음력 7월 14일)~1658년 10월 1일(음력 9월 5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유학자, 실학자, 사상가, 작가, 정치가, 철학자이며, 효종·현종 연간에 대동법의 시행을 주장, 추진하였으며 화폐의 보급에 힘썼.

새로운!!: 조선 영조와 김육 · 더보기 »

김상로

상로(金尙魯, 1702년 1월 3일 ~ 1766년 12월 29일)는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이며 당색으로는 노론 벽파의 지도자였.

새로운!!: 조선 영조와 김상로 · 더보기 »

김상용 (1561년)

선원 김상용 김상용(金尙容, 1561년 ~ 1637년 1월 22일)은 조선시대 중·후기의 문인, 시인, 정치가, 서예가로 선조 때 문과에 급제하여 관작은 보국숭록대부 의정부우의정, 판돈녕부사에 이르렀고, 병자호란 때 강화도가 함락되자 문루에 화약을 쌓고 불을 붙여 자폭하였.

새로운!!: 조선 영조와 김상용 (1561년) · 더보기 »

김수장

수장(金壽長, 1690~?)은 조선 후기의 가인(歌人)으로, 호는 노가재(老歌齋)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김수장 · 더보기 »

김수태

수태는 다음 사람을 가리.

새로운!!: 조선 영조와 김수태 · 더보기 »

김석문

석문(金錫文, 1658년(효종 9년) ~ 1735년(영조 11년))은 조선시대 후기의 학자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김석문 · 더보기 »

김선경 (조선)

선경(金選慶, 1699년 ~ 1760년 9월 19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외척으로 조선 영조의 계비 정순왕후 김씨의 친정 할아버지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김선경 (조선) · 더보기 »

김성걸

성걸(金成杰)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김성걸 · 더보기 »

김성겸

성겸(金成謙, 1941년 5월 13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김성겸 · 더보기 »

김성행

성행(金省行, 1696년 - 1722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정치인으로 경종 당시 연잉군을 추대하려 했다가 서덕수 등과 함께 사형당.

새로운!!: 조선 영조와 김성행 · 더보기 »

김약련

약련(金若鍊, 1730년~1802년)은 조선 정조 때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김약련 · 더보기 »

김한록

록(金漢祿, 1722년 ~ 1790년)는 조선의 문신 겸 외척이자 정치가이며 본관은 경주(慶州)이고 자는 여수(汝綏)이며 호는 한간(寒澗)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김한록 · 더보기 »

김한기

(金漢耆, 1728년 ~ 1792년)은 조선의 문신 겸 외척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김한기 · 더보기 »

김한구

음과 같은 사람이 있.

새로운!!: 조선 영조와 김한구 · 더보기 »

김한구 (1723년)

(金漢耉, 1723년 2월 23일 ~ 1769년 11월 5일)는 조선 후기의 외척으로 김선경의 아들이자 정순왕후, 김귀주의 아버지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김한구 (1723년) · 더보기 »

김한신

월성위 김한신(月城尉 金漢藎, 1720년 ~ 1758년 1월 2일)은 조선 영조 임금의 부마(駙馬)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김한신 · 더보기 »

김신겸 (1693년)

신겸(金信謙, 1693년 ~ 1738년)은 조선 후기의 문인, 학자, 화가, 시인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김신겸 (1693년) · 더보기 »

김시묵

시묵(金時默, 1722년 ~ 1772년 음력 7월 29일)은 조선의 문신이자 국구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김시묵 · 더보기 »

김시원 (1947년)

시원(金時源, 1947년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김시원 (1947년) · 더보기 »

김원행

원행의 초상화 김원행(金元行, 1702년 ~ 1772년)은 조선 후기의 학자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김원행 · 더보기 »

김홍도

홍도(金弘道, 1745년 ~ 1806년)는 조선 후기의 화가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김홍도 · 더보기 »

김홍욱

홍욱(金弘郁, 1602년 ~ 1654년)은 조선후기의 문신, 학자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김홍욱 · 더보기 »

빙고 (관청)

빙고(氷庫)는 조선시대 왕실 또는 관료들이 사용할 얼음의 관리를 맡던 관청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빙고 (관청) · 더보기 »

대덕산 (강원)

덕산(大德山)은 강원도 태백시 창죽동과 삼척시 하장면에 걸쳐있는 산으로 높이는 1,307m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대덕산 (강원) · 더보기 »

대리청정

리청정(代理聽政)은 동아시아의 전제군주제 국가, 특히 중국, 조선, 일본에서 임금의 재가(허락)를 받아 임금의 정치 등 여러 일을 대신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섭정).

새로운!!: 조선 영조와 대리청정 · 더보기 »

대박 (드라마)

《대박》은 SBS에서 2016년 3월 28일부터 2016년 6월 14일까지 방송된 월화 드라마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대박 (드라마) · 더보기 »

대빈묘

빈묘(大嬪墓)는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용두동의 서오릉 경내에 있는 조선의 제19대 왕 숙종의 후궁 희빈 장씨의 무덤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대빈묘 · 더보기 »

대구 선화당 측우대

선화당 측우대(大邱 宣化堂 測雨臺)는 대구 감영의 선화당에 있던 측우대를 말. 1985년 8월 9일 대한민국의 보물로 지정되었.

새로운!!: 조선 영조와 대구 선화당 측우대 · 더보기 »

대구광역시

광역시(大邱廣域市)는 대한민국의 동남부 내륙에 있는 광역시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대구광역시 · 더보기 »

대구읍성

조선시대의 대구부 전도 (1897년 이전) 대구읍성(大邱邑城)은 조선 경상도 대구도호부(大邱都護府)에 있었던 읍성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대구읍성 · 더보기 »

대구향교

향교(大邱鄕校)는 대구광역시 중구 명륜로 112(남산동)에 있는 향교(鄕校)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대구향교 · 더보기 »

대현동 (울산)

현동(大峴洞)은 울산광역시 남구의 행정동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대현동 (울산) · 더보기 »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대한민국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정부표준영정

정부표준영정(政府標準影幀)은 한국의 역사에 등장하는 인물 중에서 민족적으로 추앙받고 있는 선현들의 영정 난립을 방지하기 위해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지정한 영정을 말. 모든 정부표준영정은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훈령으로 지정된 《영정·동상 심의 규정》에 따른 심의 절차에 따라 지정되거나 해제.

새로운!!: 조선 영조와 대한민국의 정부표준영정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

이 문서는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 · 더보기 »

대악후보

악후보(大樂後譜)는 영조 35년(1759년)에 서명응이 세조 때의 음악을 편집한 7권 7책의 필사본 악보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대악후보 · 더보기 »

대왕대비

왕대비(大王大妃)는 전왕의 어머니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대왕대비 · 더보기 »

대왕의 길

《대왕의 길》은 MBC에서 1998년 4월 15일부터 1998년 8월 13일까지 매주 수, 목 밤 21시 55분에 방영되었던 드라마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대왕의 길 · 더보기 »

누동궁

동궁(樓洞宮)은 한성 북부 안국방 즉 현재 종로구 익선동 166번지에 있던 궁으로 철종의 사친 전계대원군의 사손들의 사저이자 종택이기도 하며, 누동궁 내에는 불천지위 3위를 모신 전계궁이 있었던 곳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누동궁 · 더보기 »

교동향교

동향교(喬桐鄕校)는 인천광역시 강화군 교동면에 있는 향교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교동향교 · 더보기 »

구 (성씨)

(具, 仇)씨는 한국의 성씨이고, 구(丘)씨는 한국과 중국 등 동아시아의 성씨.

새로운!!: 조선 영조와 구 (성씨) · 더보기 »

구 영릉 석물 - 세종대왕신도비

세종대왕 신도비(世宗大王 神道碑)는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세종대왕기념관 경내에 있는 조선시대의 비석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구 영릉 석물 - 세종대왕신도비 · 더보기 »

구례 천은사 극락전 아미타후불탱화

은사 극락전 아미타후불탱화(求禮 泉隱寺 極樂殿 阿彌陀後佛幀畵)는 전라남도 구례군 광의면, 천은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구례 천은사 극락전 아미타후불탱화 · 더보기 »

국조보감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국조보감》 《국조보감》(國朝寶鑑)은 조선의 역대 임금들의 정치 활동 가운데서 모범이 될 만한 사실을 뽑아 적은 편년체의 역사책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국조보감 · 더보기 »

국조오례의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는 조선시대 다섯 가지 의례에 대하여 규정한 책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국조오례의 · 더보기 »

국새

국새(國璽)는 국가의 권리와 정통성을 상징하며, 왕위 계승 또는 국가 권력 이양의 징표로서 사용되는 도장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국새 · 더보기 »

둔덕면

덕면(屯德面)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거제시의 면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둔덕면 · 더보기 »

남부면

부면(南部面)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거제시의 면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남부면 · 더보기 »

남인

인(南人)은 조선 붕당정치의 당파로, 조선 중기 이후 동인이 북인과 남인으로 분파되면서 발생.

새로운!!: 조선 영조와 남인 · 더보기 »

남종면

종면(南終面)은 대한민국 경기도 광주시에 있는 면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남종면 · 더보기 »

남연군

연군 이구(南延君 李球, 1788년 8월 22일 ~ 1836년 3월 19일)은 조선 시대 후기의 문신, 왕족으로 이름은 구(球), 자는 치수(稚受)이며 원래 이름은 채중(采重) 또는 채중(寀重)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남연군 · 더보기 »

남한산성

산성(南漢山城)은 대한민국 경기도 광주시, 성남시, 하남시에 걸쳐 있는 남한산을 중심으로 하는 산성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남한산성 · 더보기 »

내명부

명부(內命婦)는 조선시대 궁중에 있는 왕비와 후궁, 그리고 이들을 모시는 여자 관리(궁녀)를 통틀어 일컫는 말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내명부 · 더보기 »

내금위

right 내금위(內禁衛)는 조선 시대에 임금을 호위하던 군대였.

새로운!!: 조선 영조와 내금위 · 더보기 »

나경언

경언은 조선 영조 대의 인물로 1762년 당시 형조판서 윤급의 종이었.

새로운!!: 조선 영조와 나경언 · 더보기 »

나주괘서사건

주괘서사건(羅州掛書事件)은 조선 영조 31년(1755)에 윤지(尹志)가 나주 객사에 붙인 벽서와 관련하여 일어난 역모 사건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나주괘서사건 · 더보기 »

낙천군

낙천군 이온(洛川君 李縕, 락천군 1720년 11월 26일(음력 10월 21일 - 1737년 9월 28일)은 조선 시대 후기의 왕족 종실이며 숙종의 서자(庶子)인 연령군의 양자이며 경종, 영조의 조카이다. 낙천군 이온의 경우 본래는 조선 선조의 서 6대손으로, 생부는 선조의 아홉째 서자였던 경창군 이주(慶昌君 李珘)의 5대손 이채(李埰)이다. 가계상 남연군의 할아버지뻘, 흥선대원군의 증조부뻘이 된다. 초명은 수신(守愼), 자는 온중(蘊仲)이다. 원래 조선 선조의 아홉번째 서자 경창군의 6대손이었으나, 아들 없이 사망한 연령군의 사후 양자가 되었다. 그러나 그도 아들이 없이 사망하였다. 일설에는 은신군(사도세자의 서2남)이 그의 제사 받들기를 꺼렸다는 풍문이 나돌았으나, 은신군은 죽은 뒤에 1777년 이복형 정조에 의해 연령군의 봉사손이 되었다. 관직은 수덕대부(綏德大夫) 에 이르렀고, 부인은 서종수(徐宗秀)의 딸이다. 호적상 흥선대원군의 증조부가 된다.

새로운!!: 조선 영조와 낙천군 · 더보기 »

노론

(老論)은 서인과 같이 성리학적 명분론을 신봉하였지만 숙종 때 서인에서 노론과 소론으로 나뉜 붕당으로 알려져 있. 서인에서 송시열을 중심으로 하는 사람들은 노론, 윤증을 중심으로 하는 사람들은 소론이 되었으며 숙종 이후 조선의 주요 집권 세력이었.

새로운!!: 조선 영조와 노론 · 더보기 »

노곡면

곡면(盧谷面)은 대한민국 강원도 삼척시의 면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노곡면 · 더보기 »

노상추

상추(盧尙樞, 1746년~1829년)는, 조선(朝鮮) 후기의 무관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노상추 · 더보기 »

논개

(論介, 1574년 9월 3일 ~ 1593년) 또는 주논개(朱論介)는 조선 선조 시대의 열녀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논개 · 더보기 »

논산 쌍계사 대웅전

산 쌍계사 대웅전(論山 雙溪寺 大雄殿)는 충청남도 논산시 양촌면 중산리에 있는 쌍계사의 대웅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논산 쌍계사 대웅전 · 더보기 »

단경왕후

경왕후 신씨(端敬王后 愼氏, 1487년 2월 7일 (음력 1월 4일)~1557년 12월 27일(음력 12월 7일)는 조선 중종의 정비(正妃)이다. 시호는 공소순열단경왕후(恭昭順烈端敬王后)이다. 익창부원군 신도공 신수근(愼守勤)과 청원부부인 한씨(淸原府夫人 韓氏)의 딸로, 본관은 거창(居昌)이다. 조선의 역대 왕비 중 제일 짧은 7일의 재위 기간을 보유하고 있으며, 역적의 딸로 연좌되어 폐출된 후 영조 때에 부모와 함께 복위되었다. 능은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일영리에 위치한 온릉이다.

새로운!!: 조선 영조와 단경왕후 · 더보기 »

단의왕후

의왕후 심씨(端懿王后, 1686년 7월 11일(음력 5월 21일) ~ 1718년 3월 8일(음력 2월 7일))는 조선의 제20대 왕인 경종(景宗)의 정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단의왕후 · 더보기 »

단술

술은 감주(甘酒) 라고도 하며 쌀로 밥을 되직하게 지어 누룩을 부어 삭힌 음식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단술 · 더보기 »

달동 (울산)

동(達洞)은 울산광역시 남구의 법정동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달동 (울산) · 더보기 »

달문

문(達文, 1707년 ~ ?)은 조선시대 사람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달문 · 더보기 »

담양 오충정려

양 오충정려(潭陽 五忠旌閭)는 전라남도 담양군 대전면에 있는 조선시대의 정려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담양 오충정려 · 더보기 »

답십리동

답십리동(踏十里洞)은 서울특별시의 동대문구에 위치한 동의 명칭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답십리동 · 더보기 »

효문동

효문동(孝門洞)은 울산광역시 북구의 법정동 및 행정동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효문동 · 더보기 »

효의왕후

효의왕후 김씨(孝懿王后, 1754년 1월 5일(1753년 음력 12월 13일) ~ 1821년 4월 10일(음력 3월 9일))는 조선 정조의 왕비로 본관은 청풍(淸風)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효의왕후 · 더보기 »

효순왕후

효순왕후 조씨(孝純王后 趙氏, 1716년 1월 8일/1715년 음력 12월 14일 ~ 1751년 12월 30일/음력 11월 14일)는 영조의 장남 진종(眞宗, 효장세자)의 비이자, 정조의 양어머니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효순왕후 · 더보기 »

용강 팽씨

용강 팽씨(龍崗 彭氏)씨는 남포특별시 룡강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용강 팽씨 · 더보기 »

우정동

우정동(牛亭洞)은 울산광역시 중구의 행정동, 법정동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우정동 · 더보기 »

운니동

운니동(雲泥洞)은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동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운니동 · 더보기 »

회원군 (1636년)

회원군 이윤(檜原君 李倫, 1636년 ∼ 1731년)은 조선 후기의 왕족으로 선조 이연의 손자이며, 선조의 13남인 영성군(寧城君)의 장남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회원군 (1636년) · 더보기 »

장릉 (조선 단종)

장릉(莊陵)은 조선 단종의 무덤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장릉 (조선 단종) · 더보기 »

장릉 (조선 인조)

주 장릉(坡州 長陵)은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갈현리에 있는, 조선 제16대 왕인 인조와 인열왕후의 능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장릉 (조선 인조) · 더보기 »

장목면

장목면(長木面)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거제시의 면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장목면 · 더보기 »

장흥 위씨

장흥 위씨(長興 魏氏)는 전라남도 장흥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장흥 위씨 · 더보기 »

장희빈 (2002년 드라마)

《장희빈》(張禧嬪)은 2002년 11월 6일부터 2003년 10월 23일까지 KBS 2TV에서 방영한 특별기획 드라마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장희빈 (2002년 드라마) · 더보기 »

장의황후

장의황후 이씨(章懿皇后 李氏, 987년 ~ 1032년)는 북송 진종의 후궁으로 인종의 생모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장의황후 · 더보기 »

장조 (동음이의)

장조에는 다음 뜻이 있.

새로운!!: 조선 영조와 장조 (동음이의) · 더보기 »

장태우

장태우는 드라마 《이산》의 작가인 김이영이 만든 가공의 인물 캐릭터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장태우 · 더보기 »

장옥정, 사랑에 살다

《장옥정, 사랑에 살다》는 2013년 4월 8일부터 2013년 6월 25일까지 방송된 SBS 월화드라마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장옥정, 사랑에 살다 · 더보기 »

장성 필암서원 하서유묵목판일괄

장성 필암서원 하서유묵목판일괄(長城 筆岩書院 河西遺墨木板一括)은 전라남도 장성군 황룡면 필암리 소재 필암서원에 있는 조선 인종 때의 학자인 하서 김인후(1510∼1560)와 관련된 문서들을 새긴 목판으로, 모두 56판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장성 필암서원 하서유묵목판일괄 · 더보기 »

재령 미씨

재령 미씨(載寧 米氏)는 황해도 재령군을 본관(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재령 미씨 · 더보기 »

편싸움놀이

싸움놀이는 대한민국의 전통 민속놀이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편싸움놀이 · 더보기 »

임경업

임경업(林慶業, 1594년 ~ 1646년 8월 1일(음력 6월 20일))은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친명배청파(親明排淸派) 무장이었.

새로운!!: 조선 영조와 임경업 · 더보기 »

임술민란

임술민란(壬戌民亂), 또는 임술농민항쟁(壬戌農民抗爭)은 1862년, 조선 각지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난 농민 봉기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임술민란 · 더보기 »

임오화변

임오화변(壬午禍變),임오옥 또는 사도세자사건은 1762년 7월 4일 사도세자가 노론과 부왕 영조에 의해 뒤주에 갇혀 8일뒤 사망한 사건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임오화변 · 더보기 »

포항 오어사 대웅전

항 오어사 대웅전(浦項 吾魚寺 大雄殿)은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오어사에 있는 대웅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포항 오어사 대웅전 · 더보기 »

흥국사 (고양시)

흥국사(興國寺)는 경기도 고양시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소속 사찰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흥국사 (고양시) · 더보기 »

흥인지문

흥인지문(興仁之門)은 조선의 수도인 한양의 4대문(大門) 중의 하나로 동쪽의 대문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흥인지문 · 더보기 »

흥선대원군 자적단령

흥선대원군 자적단령(興宣大院君紫赤團領)이란, 흥선대원군 이하응이 입었던 자주색 단령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흥선대원군 자적단령 · 더보기 »

희빈 장씨

희빈 장씨(禧嬪 張氏, 1659년 11월 3일 (음력 9월 19일) ~ 1701년 11월 7일 (음력 10월 8일)), 장희빈(張禧嬪) 또는 옥산부대빈 장씨(玉山府大嬪 張氏)는 조선의 제19대 왕 숙종의 빈(嬪)으로, 제20대 왕 경종(景宗)의 어머니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희빈 장씨 · 더보기 »

희정당

창덕궁 희정당(昌德宮 熙政堂)은 원래 창덕궁의 내전에 속한 건물이었으나 조선 후기에 들어 편전으로 사용되었.

새로운!!: 조선 영조와 희정당 · 더보기 »

이덕주 (1617년)

이덕주(李德周, 1617년 ∼ 1682년)는 조선 2대왕 정종의 후손으로 덕천군의 8대손이며 이준(李準)의 손자이고 이방익(李邦益)의 아들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이덕주 (1617년) · 더보기 »

이맹휴

이맹휴(李孟休, 1713년~1750년)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학자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이맹휴 · 더보기 »

이만운 (1723년)

이만운(李萬運, 1723년 ~ 1797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학자로 자는 중심(仲心), 본관은 함평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이만운 (1723년) · 더보기 »

이만유 장군 유물

이만유 장군 유물(李萬宥 將軍 遺物)은 충청남도 당진시 신평면에 있는 유물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이만유 장군 유물 · 더보기 »

이명회

이명회(李明會, 1685년 - 1727년)은 조선후기의 문신이자 종친이며, 도정궁(都正宮) 사손(嗣孫)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이명회 · 더보기 »

이명익

이명익(李明翼, 1702년 - 1755년)은 조선후기의 문신이자 종친이며, 노론의 2문3사(二門三士) 중 한명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이명익 · 더보기 »

이명좌

이명좌(李明佐, 1681년 - 1722년)은 임인무옥(壬寅誣獄, 임인옥사)에 희생된 조선 후기의 종친이며, 도정궁(都正宮) 사손(嗣孫)이었.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이명좌 · 더보기 »

이명현 (조선의 문신)

 이명현(李命賢, 1706년 - 1772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영조 때 송인명(宋寅明) 등과 같이 신비(愼妃, 중종의 정비 단경왕후 신씨)를 복위 할 것을 주장하였.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이명현 (조선의 문신) · 더보기 »

이건창

영재 이건창(寧齋 李建昌, 1852년~1898년)의 아명은 송열(松悅), 자는 봉조(鳳朝·鳳藻), 호는 영재(寧齋)이고, 당호(堂號)는 명미당(明美堂)이며, 조선 제2대왕 정종대왕(定宗)의 열째 왕자인 덕천군(德泉君)의 15대 후손으로 병인양요(고종 3년, 1866) 때 순국한 전(前) 개성부유수·이조판서 충정공(忠貞公) 사기 이시원(沙磯 李是遠)의 손자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이건창 · 더보기 »

이광려

이광려(李匡呂, 1720년 ~ 1783년)는 조선 영조 때의 학자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이광려 · 더보기 »

이근 (조선 후기)

이근(李根)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이근 (조선 후기) · 더보기 »

이기용

이기용(李埼鎔, 1889년 11월 1일 ~ 1961년 3월 4일)은 조선 후기의 종친으로 장조의 서자 은신군(恩信君)의 현손이며, 흥선대원왕의 백형(伯兄) 흥녕군 이창응의 손자이고, 계동궁(桂洞宮) 사손(嗣孫)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이기용 · 더보기 »

이우형 (산악인)

이우형(? - 2001년 4월 29일)은 대한민국의 아마추어 고지도 연구가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이우형 (산악인) · 더보기 »

이승응

완평군 이승응(完平君 李昇應, 1836년 7월 21일 ~ 1909년 10월 3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및 문신, 대한제국 황족으로, 장조의 서5남 은전군 이찬(恩全君 李禶)의 양 손자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이승응 · 더보기 »

이회영

이회영(李會榮, 1867년 4월 21일 (음력 3월 17일) ~ 1932년 11월 17일)은 대한제국의 교육인, 사상가이자 일제 강점기의 한국의 아나키스트 계열의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이회영 · 더보기 »

이재 (1680년)

이재(李縡, 1680년~1746년)은 조선의 학자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이재 (1680년) · 더보기 »

이재각

의양군 이재각(義陽君 李載覺, 1874년 음력 2월 18일 ~ 1935년 양력 5월 11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왕족으로, 장조의 3남 은전군의 증손이며, 일제 강점기에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이재각 · 더보기 »

이재수 (1770년)

이재수(李在秀, 1770년~1822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이재수 (1770년) · 더보기 »

이재항 (1678년)

이재항(李載恒, 1678년 - 1731년)은 조선 후기의 무신으로 삼도수군통제사(三道水軍統制使)를 지냈으며, 친히 글자를 써 도활자(陶活字)를 만들었.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이재항 (1678년) · 더보기 »

이이명

이이명(李頤命, 1658년 ~ 1722년 4월 30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출신 문신·정치인·학자로 노론 4대신의 한사람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이이명 · 더보기 »

이인좌

이인좌(李麟佐, 1694 ~ 1728)는 조선 영조 때의 역신(逆臣)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이인좌 · 더보기 »

이인좌의 난

이인좌의 난(李麟佐亂)은 조선 영조(英祖) 4년(1728년) 소론 강경파와 남인 일부가 경종의 죽음에 영조와 노론이 관계되었다고 주장하면서 일으킨 반란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이인좌의 난 · 더보기 »

이인상

이인상(李麟祥, 1710년 ∼ 1760년)은 조선의 화가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이인상 · 더보기 »

이익 (1681년)

이익(李瀷, 1681년 10월 18일 ~ 1763년 12월 1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사상가, 철학자, 실학자, 역사가, 교육자로 조선 영조 때의 남인(南人) 실학자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이익 (1681년) · 더보기 »

이정보 (조선)

이정보(李鼎輔, 1693년~1766년)는 조선 영조 때 학자·문인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이정보 (조선) · 더보기 »

이조

이조(吏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이조 · 더보기 »

이종찬 (1936년)

이종찬(李鍾贊, 1936년 4월 29일 ~)은 대한민국 육군 장교 출신의 정치가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이종찬 (1936년) · 더보기 »

이종성 (1692년)

이종성 (李宗城, 1692년 ∼ 1759년) 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이종성 (1692년) · 더보기 »

이중환

이중환(李重煥, 1691년 1월 23일(음력 1690년 12월 25일)~1756년 2월 1일(음력 1월 2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실학자, 사상가, 철학자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이중환 · 더보기 »

이집 (1664년)

이집(李㙫, 1664년 ~ 1733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이집 (1664년) · 더보기 »

이진익

이진익(李鎭翼, 1728년 9월 25일 ~ 1796년 4월 26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종실이며 문신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이진익 · 더보기 »

이지란

이지란(李之蘭, 1331년 ~ 1402년 5월 10일(음력 4월 9일))은, 여진족 출신이며 고려 말 조선(朝鮮) 초의 무관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이지란 · 더보기 »

이철득

이철득(李鐵得, 1780년 ~ ?)은 조선 후기의 왕족이자 국사범으로 조선 장조의 서자인 은언군 이인의 서자였.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이철득 · 더보기 »

이촌동

이촌동(二村洞)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있는 법정동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이촌동 · 더보기 »

이융준

원자 이융준(李隆俊, 1858년 11월 22일(음력 10월 17일) ~ 1859년 5월 25일(음력 4월 23일))은 조선 후기의 왕자로, 철종의 유일한 적장자이자 영은부원군 김문근의 딸 철인왕후 김씨 소생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이융준 · 더보기 »

이상호 (1702년)

이상호(李尙虎, 1702년 4.23 - 1801년 12.20)는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이상호 (1702년) · 더보기 »

이태리 (배우)

이태리(李敏豪, 1993년 6월 28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이태리 (배우) · 더보기 »

이태망

이태망(李台望, 1653년 9월 9일 - 1728년 9월 7일)은 조선 후기의 무신, 군인으로 병마절도사 충장공 이복남의 증손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이태망 · 더보기 »

이순재

이순재(李順載, 1934년 11월 16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이순재 · 더보기 »

이영수 (1693년)

영수(永壽, 1693년 ~ 1693년)는 조선 19대 국왕 숙종의 3남이자 숙빈 최씨 사이에서 태어난 왕자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이영수 (1693년) · 더보기 »

이현일

이현일(李玄逸, 1627년 1월 11일 - 1704년 10월 3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남인 중신 문신, 정치인, 유학자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이현일 · 더보기 »

이형종 (1706년)

이형종(李亨宗, 1706년 - 1759년)은 조선후기의 문신이자 종친이며, 도정궁(都正宮) 사손(嗣孫)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이형종 (1706년) · 더보기 »

이형석 (2000년)

이형석(2000년 9월 9일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이형석 (2000년) · 더보기 »

이헌길

이헌길(李獻吉, 생몰년 미상)은 조선 후기 영조 때의 의학자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이헌길 · 더보기 »

이풍 (조선)

이풍 또는 이례(李灃, 1727년 10월 23일 ~ 1795년 6월 30일)은 조선후기의 문신이자 종친이며, 도정궁(都正宮) 사손(嗣孫)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이풍 (조선) · 더보기 »

이사질

이사질(李思質, 1705년~1776년)은 조선 후기의 학자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이사질 · 더보기 »

이산 (드라마)

《이산》(李祘)은 조중현 기획, 이병훈·김근홍 연출, 김이영 극본으로 문화방송에서 방영한 드라마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이산 (드라마) · 더보기 »

이석한

이석한(李錫漢, 1614년 - 1677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종친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이석한 · 더보기 »

이선호 (배우)

이선호(1981년 12월 14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이선호 (배우) · 더보기 »

이성득 (조선 왕족)

이성득(李成得, 1775년 ~ 1817년 11월 27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이자 국사범으로, 사도세자의 서손자이자, 은언군 인의 서자였.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이성득 (조선 왕족) · 더보기 »

이세복

이세복(李世福, 1695년-1786년)은 조선 후기의 종친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이세복 · 더보기 »

이세춘

이세춘(李世春)은 조선 영조 때의 가인(歌人)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이세춘 · 더보기 »

이서구 (조선)

이서구(李書九, 1754년∼1825년)는 조선의 문신·학자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이서구 (조선) · 더보기 »

이해 (1496년)

이해(李瀣) 1496년 ~ 1550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다. 본관은 진보(眞寶). 자는 경명(景明), 호는 온계(溫溪)이다.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이해 (1496년) · 더보기 »

이한 (전주 이씨)

이한(李翰, ? ~ ?)은 전주 이씨의 시조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이한 (전주 이씨) · 더보기 »

이시영 (1868년)

이시영(李始榮, 문화어: 리시영, 1868년 12월 3일 한성부 ~ 1953년 4월 17일)은 조선, 대한제국의 관료이자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며 교육자, 정치인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이시영 (1868년) · 더보기 »

이원경 (1827년)

증 회평군 이명(贈 懷平君 李明, 1827년 9월 11일 - 1844년 9월 6일)은 조선후기의 농민, 왕족으로 장조의 서장남 은언군(恩彦君)의 손자이자 철종의 이복형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이원경 (1827년) · 더보기 »

이홍매

이홍매(李弘邁, 1655년 - 1743년)은 조선후기의 무신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이홍매 · 더보기 »

이홍술

이홍술(李弘述, 1647년 - 1722년 5월 17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출신 무신, 정치인이며, 자는 사선(士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이홍술 · 더보기 »

이황

이황(李滉, 1502년 1월 3일(1501년 음력 11월 25일) ~ 1571년 1월 3일(1570년 음력 12월 8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학자이다. 본관은 진보(眞寶). 자는 경호(景浩), 호는 퇴계(退溪), 시호는 문순(文純)이다. 이언적, 이이, 송시열, 박세채, 김집과 함께 문묘 종사와 종묘 배향을 동시에 이룬 6현 중 한 사람이다. 이언적의 사상을 이어받아 영남학파의 중추적 학자가 되었으며 나아가 한국을 대표하는 성리학자가 되었다. 학맥은 동서 분당 뒤에 동인의 핵심을 이루고, 다시 동인이 남인-북인으로 갈릴 때, 이황 제자들은 남인, 조식 제자들은 북인을 이룬다. 한편 그의 저술 중 일부는 임진왜란 당시 일본군이 약탈해갔는데, 일본 성리학 발전에 영향을 주기도 하였다.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이황 · 더보기 »

인렬왕후

인렬왕후 한씨(仁烈王后 韓氏, 1594년 8월 16일(음력 7월 1일) ~ 1636년 1월 16일(1635년 음력 12월 9일))은 조선의 제16대 왕인 인조의 정비(正妃)로, 소현세자와 제17대 왕 효종의 모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인렬왕후 · 더보기 »

인빈 김씨

인빈 김씨(仁嬪 金氏, 1555년 ~ 1613년 음력 10월 29일)는 조선의 제14대 왕 선조의 후궁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인빈 김씨 · 더보기 »

인현왕후

인현왕후 민씨(仁顯王后 閔氏, 1667년 5월 15일(음력 4월 23일) ~ 1701년 9월 16일(음력 8월 14일))는 조선 제19대 임금인 숙종의 2번째 왕후(王后)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인현왕후 · 더보기 »

인원왕후

인원왕후 김씨(仁元王后, 1687년 11월 3일/음력 9월 29일 ~ 1757년 5월 13일/음력 3월 26일)은 조선 숙종의 두 번째 계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인원왕후 · 더보기 »

일산동구

일산동구(一山東區)는 대한민국 경기도 고양시의 구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일산동구 · 더보기 »

일성록

일성록(日省錄)은 1752년 조선 영조 28년부터 경술국치가 일어나는 1910년 순종 4년까지의 국왕의 동정과 국정의 제반사항을 기록한 일기체 연대기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일성록 · 더보기 »

음력 3월 5일

음력 3월 5일은 음력 3월의 5번째 날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음력 3월 5일 · 더보기 »

음력 9월 13일

음력 9월 13일은 음력 9월의 13번째 날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음력 9월 13일 · 더보기 »

의겸등필 수월관음도

의겸등필 수월관음도(義謙等筆 水月觀音圖)는 다양한 모습으로 중생 앞에 나타나 중생의 고통을 없애주고, 안락의 세계로 이끌어 주는 자비를 상징하는 관음보살을 묘사한 그림 가운데 하나로, 조선 영조 6년(1730년)에 제작된 것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의겸등필 수월관음도 · 더보기 »

의빈 성씨

의빈 성씨(宜嬪 成氏, 1753년 8월 6일 (음력 7월 8일정조, 「어제 의빈 묘표」, "嬪生于英宗二十九年癸酉七月八日") ~ 1786년 11월 4일 (음력 9월 14일))의 본관은 창녕(昌寧)이고 이름은 덕임(德任)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의빈 성씨 · 더보기 »

의산문답

《의산문답》(醫山問答)은 1766년(조선 영조 42년) 홍대용이 지은 책으로서, 《담헌서(湛軒書)》내집에 보유로 포함되어 있. 북학파 실학자인 홍대용의 통합과학적 사상을 종합적으로 보여 주었다는 평을 받고 있.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의산문답 · 더보기 »

의소

의소(義沼, 1746년 ~ 1796년)는 조선후기의 중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의소 · 더보기 »

의소세자

의소세자(懿昭世子, 1750년 9월 27일(음력 8월 27일) ~ 1752년 4월 17일(음력 3월 4일)) 또는 의소세손(懿昭世孫)은 조선의 왕세손이자 추존 왕세자로 조선의 21대 왕 영조(英祖)의 장손이자 장조(莊祖)의 적장자로 헌경왕후(獻敬王后) 소생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의소세자 · 더보기 »

의암

의암(義巖)은 경상남도 진주시 진주성내 촉석루 아래에 남강변에 있는 바위로, 제2차 진주성 전투 직후 1593년 7월 29일 논개가 왜장 게야무라 로쿠스케를 껴안고 남강에 빠져 죽은 바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의암 · 더보기 »

흉배

흉배(胸背) 또는 보(補)는 조선, 명나라, 청나라 등에서 특정 계급이 입는 의복의 가슴과 등에 붙이던 표장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흉배 · 더보기 »

은전군

은전군 이찬(恩全君 李禶, 1759년 8월 14일 ~ 1778년 8월 26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왕족으로, 영조의 서손이자 사도세자(장조로 추존)의 서자이며, 어머니는 경빈 박씨(景嬪朴氏)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은전군 · 더보기 »

은정화

은정화(殷鼎和, 1650년 ~ 1724년)은 조선 후기 유학자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은정화 · 더보기 »

은언군

은언군 이인(恩彦君 李䄄, 1754년 5월 29일 ~ 1801년 6월 30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으로, 조선 영조의 손자이자 장조의 서장자이며 정조의 이복동생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은언군 · 더보기 »

은해사

은해사(銀海寺)는 경상북도 영천시 청통면 치일리에 위치한 대한불교 조계종 소속의 사찰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은해사 · 더보기 »

은신군

은신군 이진(恩信君 李禛, 1755년 음력 1월 11일 ~ 1771년 음력 3월 29일)은 조선시대의 왕자, 왕족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은신군 · 더보기 »

제36회 청룡영화상

제36회 청룡영화상은 2015년 11월 26일 경희대학교 평화의 전당에서 열. 김혜수와 유준상의 사회로 진행됐으며, SBS에서 오후 8시 45분부터 1부와 2부로 나눠 생중.

새로운!!: 조선 영조와 제36회 청룡영화상 · 더보기 »

전라도

전라도(全羅道)는 전라북도와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제주특별자치도 일대를 관할했던 행정구역으로 호남 지방(湖南地方)에 해당.

새로운!!: 조선 영조와 전라도 · 더보기 »

전계대원군

전계대원군(全溪大院君, 1785년 4월 29일(음력 3월 21일) ~ 1841년 12월 14일(음력 11월 2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이자 농민이며, 철종의 생부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전계대원군 · 더보기 »

전등사

전등사(傳燈寺)는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의 정족산에 위치한 사찰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전등사 · 더보기 »

전의 이씨

전의 이씨(全義 李氏)는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전의 이씨 · 더보기 »

전주시

전주시(全州市)는 대한민국 전라북도의 중앙부에 위치한 시이자 전라북도청 소재지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전주시 · 더보기 »

전주시의 역사

전주시(全州市)는 대한민국 전라북도의 중앙부에 위치한 시이자 전라북도청 소재지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전주시의 역사 · 더보기 »

전옥서

전옥서는 수도(囚徒: 옥에 갇혀 있는 죄수)에 관한 일을 맡아보는 관청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전옥서 · 더보기 »

정도전

정도전(鄭道傳, 1342년~ 1398년 10월 6일(음력 8월 26일))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자 유학자, 혁명가(革命家)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정도전 · 더보기 »

정관정요

《정관정요》(貞觀政要)는 중국 당 때에 오긍이 편찬했다고 전하는 당 태종의 언행록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정관정요 · 더보기 »

정분

정분(鄭苯), (1394년 ~ 1454년)은 조선초기 세종.문종.단종때의 문신이며 3 상신(相臣:우의정1452.12.11~1453.10.11) 중 한명이고 문종의 고명대신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정분 · 더보기 »

정빈

정빈에는 다음의 뜻이 있.

새로운!!: 조선 영조와 정빈 · 더보기 »

정빈 이씨

정빈 이씨(靖嬪 李氏, 1694년? ~ 1721년 6월 / 11월)는 조선 제21대 왕 영조(英祖)의 후궁이자 빈(嬪)으로, 조선의 추존황제 진종의 어머니이며, 정조의 양 할머.

새로운!!: 조선 영조와 정빈 이씨 · 더보기 »

정조 어제 채제공 뇌문비

정조 어제 채제공 뇌문비(正祖 御製 蔡濟恭 誄文碑)는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역북동, 채제공선생묘에 있는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뇌문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정조 어제 채제공 뇌문비 · 더보기 »

정조암살미스터리: 8일

《정조암살미스터리 - 8일》은 채널CGV에서 2007년 11월 17일부터 2007년 12월 16일까지 방영한 미스터리 드라마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정조암살미스터리: 8일 · 더보기 »

정종 (영양위)

정종(鄭悰, ? ~ 1461년)은 조선의 문신이며, 문종의 부마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정종 (영양위) · 더보기 »

정치달

일성위 정치달(日城尉 鄭致達, 1732년 12월 14일 ~ 1757년 2월 15일)은 조선 영조 임금의 부마(駙馬)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정치달 · 더보기 »

정휘량

정휘량(鄭翬良, 1706년 ~ 1762년)은 조선의 문신(文臣)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정휘량 · 더보기 »

정상기

정상기(鄭尙驥, 1678년 - 1752년)는 조선 시대 후기의 지도 제작자이며 지리학자, 실학자, 만학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정상기 · 더보기 »

정순왕후

정순왕후는 다음의 인물을 가리.

새로운!!: 조선 영조와 정순왕후 · 더보기 »

정순왕후 (조선 단종)

정순왕후 송씨(定順王后 宋氏, 1440년 ~ 1521년 7월 7일 (음력 6월 4일)) 는 조선 단종(端宗)의 정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정순왕후 (조선 단종) · 더보기 »

정순왕후 (조선 영조)

정순왕후 김씨(貞純王后, 1745년 12월 2일 ~ 1805년 2월 11일)는 조선의 21대왕인 영조(英祖)의 계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정순왕후 (조선 영조) · 더보기 »

정순왕후 (조선)

조선 시대에서 정순왕후는 다음의 인물을 가리.

새로운!!: 조선 영조와 정순왕후 (조선) · 더보기 »

정호 (1648년)

정호(鄭澔, 1648년 ~ 1736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정호 (1648년) · 더보기 »

정선 필 육상묘도

정선 필 육상묘도(鄭敾 筆 毓祥廟圖)는 조선 후기 진경산수화의 거장 겸재 정선이 서울 궁정동에 있는 육상묘와 배경을 이루고 있는 백악산을 그린 것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정선 필 육상묘도 · 더보기 »

정선필 금강전도

정선필 금강전도(鄭敾筆 金剛全圖)는 조선 후기 실경산수화풍을 연 겸재 정선(1676∼1759)이 영조 10년(1734)에 내금강의 모습을 그린 작품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정선필 금강전도 · 더보기 »

정선필 인왕제색도

《인왕제색도》(仁王霽色圖)는 겸재 정선이 비 내린 뒤의 인왕산을 그린 산수화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정선필 인왕제색도 · 더보기 »

정성왕후

정성왕후 서씨(貞聖王后 徐氏, 1693년 1월 12일 (1692년 음력 12월 7일) ~ 1757년 4월 3일 (음력 2월 15일)는 조선의 제21대 왕 영조의 정비(正妃)이며 조선의 역대 왕비 중 왕비재임기간이 가장 긴 왕비이다. 정식시호는 혜경장신강선공익인휘소헌원렬단목장화정성왕후(惠敬莊愼康宣恭翼仁徽昭獻元烈端穆章和貞聖王后)이다. 본관은 달성(達城). 달성부원군(達城府院君) 서종제와 잠성부부인(岑城府夫人) 이씨(李氏) 사이에서 태어났다.

새로운!!: 조선 영조와 정성왕후 · 더보기 »

정약전

정약전(丁若銓, 1758년 4월 8일(음력 3월 1일)~1816년 6월 30일(음력 6월 6일))은 조선 영조에서 순조 연간에 살던 성리학자·생물학자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정약전 · 더보기 »

정후겸

정후겸(鄭厚謙, 1749년 ~ 1776년)은 조선 후기의 외척, 문신, 정치가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정후겸 · 더보기 »

조동호

조동호(趙東祜, 1892년 9월 24일(음력 8월 4일) ~ 1954년 9월 11일)는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언론인, 정치인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조동호 · 더보기 »

조문명

조문명의 초상화 조문명(趙文命, 1680년-1732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학자로 영조의 장남 효장세자의 장인이며 효순현빈 조씨(뒤에 왕후로 추존)의 친정아버지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조문명 · 더보기 »

조민기

조민기(趙珉基, 1965년 11월 5일 ~ 2018년 3월 9일)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조민기 · 더보기 »

조경 (1727년)

조경(趙璥, 1727년 ~ 1787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조경 (1727년) · 더보기 »

조경묘

조경묘(肇慶廟)는 전라북도 전주시에 있는, 전주 이씨의 시조인 이한(李翰)과 그 부인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조경묘 · 더보기 »

조극관

조극관(趙克寬, ? ~ 1453년)의 조선의 문신(文臣), 무신(武臣)이며 단종의 충신 즉, 삼중신 중 한명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조극관 · 더보기 »

조재호 (1702년)

조재호(趙載浩, 1702년 ~ 1762년)는 조선시대의 문신이자 외척으로, 효장세자의 비 현빈 조씨의 친오빠이며, 정조의 양 외삼촌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조재호 (1702년) · 더보기 »

조중회

조중회(趙重晦; 1711년 ~ 1782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조중회 · 더보기 »

조상경 (1681년)

조상경(趙尙絅, 1681년 ~ 1746년)은 조선의 문신 겸 시인이며 정치가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조상경 (1681년) · 더보기 »

조태채

조태채(趙泰采, 1660년 ~ 1722년 11월 12일)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조태채 · 더보기 »

조태억

가노 츠네노부가 그린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태억 초상 조태억(趙泰億, 1675년 ~ 1728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조태억 · 더보기 »

조영무

조영무(趙英茂, 1338년 ~ 1414년 7월 28일)는 고려 말 조선 초의 무신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조영무 · 더보기 »

조영석

조영석(趙榮祏, 1686년(숙종 12년) ~ 1761년(영조 37년))는 조선시대 후기의 화가, 시인, 서예가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조영석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경종

경종(景宗, 1688년 11월 20일(음력 10월 28일) ~ 1724년 10월 11일(음력 8월 25일))은 조선의 제20대 임금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조선 경종 · 더보기 »

조선 장조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조선 영조와 조선 장조 · 더보기 »

조선 정조

정조 (正祖, 1752년 10월 28일(음력 9월 22일) ~ 1800년 8월 18일(음력 6월 28일))는 조선의 제22대 왕이며, 대한제국의 추존 황제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조선 정조 · 더보기 »

조선 진종

종(眞宗, 1719년 4월 4일(음력 2월 15일) ~ 1728년 12월 16일(음력 11월 16일))은 조선의 왕세자이자 추존왕, 대한제국 추존황제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조선 진종 · 더보기 »

조선 순조

순조(純祖, 1790년 7월 29일 (음력 6월 18일) ~ 1834년 12월 13일 (음력 11월 13일))는 조선의 제23대 왕(재위 1800년-1834년)이며 대한제국의 추존황제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조선 순조 · 더보기 »

조선 숙종

숙종(肅宗, 1661년 10월 7일(음력 8월 15일) ~ 1720년 7월 12일(음력 6월 8일))은 조선의 제19대 왕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조선 숙종 · 더보기 »

조선 통신사

조선통신사 행렬도 (대영 박물관 소장) 조선 통신사(朝鮮通信使)는 일반적으로 개화기 이전까지 조선이 에도 막부에 파견한 대규모 사절단을 지칭하는 명칭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조선 통신사 · 더보기 »

조선 후기의 문학

조선 후기의 문학(朝鮮後期-文學) 문서에서는 조선시대 후기의 문학에 관해 설명.

새로운!!: 조선 영조와 조선 후기의 문학 · 더보기 »

조선 왕 가계도

조선의 임금들은 전주 이씨의 조선 태조의 후손들로 1392년부터 1897년까지 혈통이 이어졌.

새로운!!: 조선 영조와 조선 왕 가계도 · 더보기 »

조선 왕을 말하다

조선 왕을 말하다는 이덕일의 역사평설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조선 왕을 말하다 · 더보기 »

조선의 과거 제도

이 문서는 조선 시대(朝鮮時代)의 과거 제도(科擧制度)를.

새로운!!: 조선 영조와 조선의 과거 제도 · 더보기 »

조선의 공신

조선의 공신(朝鮮—功臣)은 조선시대 개국이나 반정, 반란 진압 등에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내려주는 칭호와 관직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조선의 공신 · 더보기 »

조선의 대외 관계

조선 시대의 대외 관계에서, 조선은 건국 초부터 대명(對明) 외교에서 사대적인 정책을 취함으로써 왕조의 권위를 보장받으려고 하였.

새로운!!: 조선 영조와 조선의 대외 관계 · 더보기 »

조선의 역대 국왕

조선의 국왕의 칭호는 대개 묘호로 불린.

새로운!!: 조선 영조와 조선의 역대 국왕 · 더보기 »

조선의 역대 왕비

조선의 왕비와 대한제국의 황후(朝鮮의 王妃와 大韓帝國의 皇后)는 조선 시대 국왕이나 대한제국 황제의 정실 부인(正宮)으로서 중궁(中宮)의 자리에 있던 사람을 말. 흔히 중전(中殿, 중궁전의 준말)이라고 하며 이외에도 국모(國母), 내전(內殿), 곤전(坤殿), 곤위(壼位), 곤극(壼極), 성녀(聖女) 등의 여러 이칭이 있. 왕비의 자리에 오르는 것에는 여러가지 경우가 있었는데, 일반적으로는 국가에서 금혼령(禁婚令)을 내리고 간택 절차를 거쳐 세자빈에 책봉되면 훗날 세자인 남편이 왕위에 올라 자신도 왕비가 되는 것이었.

새로운!!: 조선 영조와 조선의 역대 왕비 · 더보기 »

조선의 역대 왕대비

조선의 왕대비(朝鮮의 王大妃)는 조선 시대 왕비의 지위(地位) 중 하나로서 일반적으로 임금의 어머니를 말. 흔히 대비(大妃, 왕대비의 준말)라고 하며 이외에도 국모(國母), 모후(母后), 자성(慈聖), 자전(慈殿), 자위(慈闈) 등의 여러 이칭이 있.

새로운!!: 조선 영조와 조선의 역대 왕대비 · 더보기 »

조선의 역대 왕세자빈

왕세자빈(王世子嬪)은 조선에서 왕세자의 정배(正配, 嫡室)에게 내린 작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조선의 역대 왕세자빈 · 더보기 »

조선의 역사

조선의 역사는 크게 전기와 후기로 나뉘며, 전기를 다시 둘로 나눠 전기와 중기로 보아 전기-중기-후기로 보. 이때 전기-후기를 나누는 기준은 임진왜란이며, 전기-중기-후기를 나누는 기준은 전기와 중기는 중종반정, 중기와 후기는 임진왜란 또는 병자호란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조선의 역사 · 더보기 »

조선의 연호

종 이전의 조선은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지 않고 명과 청의 연호를 사용하였.

새로운!!: 조선 영조와 조선의 연호 · 더보기 »

조선의 왕세자

조선의 왕세자 및 대한제국의 황태자는 조선의 국왕, 대한제국 황제의 잠재적 왕위 계승권자로, 신하들은 국왕 외에 그에게도 칭신을 하였.

새로운!!: 조선 영조와 조선의 왕세자 · 더보기 »

조선의 왕세손

조선의 왕세손은 왕세손으로 조선의 국왕의 손자이자 현임 왕세자의 아들이었.

새로운!!: 조선 영조와 조선의 왕세손 · 더보기 »

조선왕릉

조선왕릉(朝鮮王陵)은 조선의 역대 왕과 왕비, 추존왕들의 무덤을 총칭하는 말로, 일반적으로 1897년에 수립된 대한제국의 역대 황제와 황후의 무. 조선왕릉은 삼국 시대와 고려 시대의 왕릉 제도의 영향을 받았는데, 고구려의 호석(護石)제도는 신라와 고려를 거쳐 조선왕릉에 그대로 전해졌고, 조선왕릉의 전체적인 형태는 공민왕의 무덤인 현정릉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았.

새로운!!: 조선 영조와 조선왕릉 · 더보기 »

조선왕조 오백년

《조선왕조 오백년》은 MBC에서 1983년 3월부터 1990년 12월까지 방영한 장편 대하 드라마 시리즈물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조선왕조 오백년 · 더보기 »

조웅전

《조웅전》(趙雄傳, 됴웅전)은 작자 미상의 한국 고전소설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조웅전 · 더보기 »

좌의정

좌의정(左議政)은 의정부 3의정의 하나인 정 1품 관직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좌의정 · 더보기 »

종묘

종묘(宗廟)는 조선 왕조의 역대 국왕들과 왕후들의 신주를 모시고 제례를 봉행하는 유교 사당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종묘 · 더보기 »

주산지

주산지(注山池)는 경상북도 청송군 부동면 이전리에 있는 저수지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주산지 · 더보기 »

중앙동 (울산)

중앙동(中央洞)은 울산광역시 중구의 행정동, 법정동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중앙동 (울산) · 더보기 »

준천사실

준천사실(濬川事實)은 경진년(영조 26년, 1760년)에 영조의 명으로 시행한 청계천 준설을 기록한 책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준천사실 · 더보기 »

증보문헌비고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는 동국문헌비고의 증보판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증보문헌비고 · 더보기 »

증보산림경제

증보산림경제 《증보산림경제》(增補山林經濟)는 영조 42년(1766년) 유학자 유중림이 홍만선의 《산림경제》를 늘리고 보충하여(증보) 간행한 농업책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증보산림경제 · 더보기 »

진재해

재해(秦再奚, 1691년(숙종 17년) ~ 1769년(영조 45년))는 조선시대 후기의 관화파(官畵派) 화가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진재해 · 더보기 »

진주 의암사적비

주 의암사적비(晉州 義巖事蹟碑)는 경상남도 진주시 본성동, 진주성에 있는 조선시대의 사적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진주 의암사적비 · 더보기 »

진천 금성대군 사당

성대군 사당(鎭川 錦城大君 祠堂)은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용기리에 있는 사당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진천 금성대군 사당 · 더보기 »

진천군

(鎭川郡)은 대한민국 충청북도 서북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진천군 · 더보기 »

진안 태고정

안 태고정(鎭安 太古亭)은 전라북도 진안군 용담면에 있는 건축물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진안 태고정 · 더보기 »

진원면

원면(珍原面)은 전라남도 장성군 남쪽에 위치한 면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진원면 · 더보기 »

지행당

행당(地行堂)은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에 있는 사당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지행당 · 더보기 »

창덕궁

창덕궁(昌德宮)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에 있는 조선 시대 궁궐로 동쪽으로 창경궁과 맞닿아 있. 경복궁의 동쪽에 있어서 조선 시대에는 창경궁과 더불어 동궐(東闕)이라 불. 창덕궁은 비교적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는 중요한 고궁이며, 특히 창덕궁 후원은 한국의 유일한 궁궐후원이라는 점과 한국의 정원을 대표한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높.《글로벌 세계대백과》〈창덕궁〉 1997년에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

새로운!!: 조선 영조와 창덕궁 · 더보기 »

창경궁

창경궁(昌慶宮)은 서울시에 있는 조선 성종 때에 건축한 궁궐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창경궁 · 더보기 »

창녕 관룡사 대웅전

창녕 관룡사 대웅전(昌寧 觀龍寺 大雄殿)은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관룡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창녕 관룡사 대웅전 · 더보기 »

창녕 석빙고

창녕 석빙고(昌寧 石氷庫)는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에 있는 석빙고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창녕 석빙고 · 더보기 »

창의문

창의문(彰義門)은 조선의 수도인 한양의 4소문(小門) 중의 하나로 서북쪽에 있는 문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창의문 · 더보기 »

채용신

용신(蔡龍臣, 1848년(헌종 14년) ~ 1941년)은 조선 후기의 초상화.

새로운!!: 조선 영조와 채용신 · 더보기 »

채제공

제공(蔡濟恭, 1720년 ~ 1799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채제공 · 더보기 »

책문후시

책문후시(柵門後市)는 조선 현종 초년부터 구련성(九連城)과 봉황성(鳳凰城) 중간의 책문에서 행해지던 청과의 통상을 말.책문후시, 《글로벌 세계 대백과》 조선의 교역으로는 청에 대한 조공무역, 사행(使行)에 의한 사무역, 기타 청구에 의한 교역이 행해졌.

새로운!!: 조선 영조와 책문후시 · 더보기 »

청구 (고조선)

청구(靑丘 혹은 靑邱) 는 삼국시대 이래 사용되었던 지역의 이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청구 (고조선) · 더보기 »

청구영언

250px 《청구영언》(靑丘永言)은 1728년(조선 영조 4년) 김천택이 엮은 시조집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청구영언 · 더보기 »

청국장

청국장찌개 청국장(淸麴醬 또는 淸國醬)은 콩을 발효시켜 만든 한국 전통음식으로, 담북장이라고도 부른.

새로운!!: 조선 영조와 청국장 · 더보기 »

청운효자동

청운효자동(淸雲孝子洞)은 서울특별시 종로구의 행정동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청운효자동 · 더보기 »

청주 곽씨

청주 곽씨(淸州 郭氏) 는 충청북도 청주시를 관향으로 삼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청주 곽씨 · 더보기 »

청주 구룡사 사적비

청주 구룡사 사적비(淸州 九龍寺 事蹟碑)은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청주 상당산성 남문 앞에 있는 조선시대의 석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청주 구룡사 사적비 · 더보기 »

청주 영조 태실

청주 영조 태실(淸州 英祖 胎室)은 조선 영조의 태실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청주 영조 태실 · 더보기 »

청연공주

청연공주(淸衍公主, 1754년 ~ 1821년 7월 7일(음력 6월 9일))는 조선의 왕족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청연공주 · 더보기 »

청선공주

청선공주(淸璿公主, 1756년 ~ 1802년 8월 17일(음력 7월 20일))는 조선의 왕족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청선공주 · 더보기 »

청화백자

대한민국의 국보 제219호 백자 청화매죽문 항아리 청화백자(靑華白磁)는 조선시대 후기 청화백자 시대에 주류를 이루었던 백자기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청화백자 · 더보기 »

체험 삶의 현장의 에피소드 목록

아래는 KBS 《체험 삶의 현장》 의 에피소드 목록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체험 삶의 현장의 에피소드 목록 · 더보기 »

천곡사 (통천군)

곡사(泉谷寺)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강원도 통천군에 있는 사찰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천곡사 (통천군) · 더보기 »

천보총

보총(千步銃)은 조선 숙종때 군기시 소속의 박영준(朴永準)이 개발한 총으로 일본의 조총보다 뛰어났던 화승총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천보총 · 더보기 »

천상열차분야지도 각석

상열차분야지도각석(天象列次分野之圖刻石)은 조선 태조 4년(1395년)에 왕명으로 제작된 별자리를 새긴 석판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천상열차분야지도 각석 · 더보기 »

촉석루

촉석루(矗石樓)는 경상남도 진주시 본성동, 진주성내에 위치해 있는 누각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촉석루 · 더보기 »

충장사 (광주광역시)

충장사(忠壯祠)는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 김덕령(金德齡) 장군을 모신 사당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충장사 (광주광역시) · 더보기 »

충주 박씨

충주 박씨(忠州 朴氏)는 충청북도 충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충주 박씨 · 더보기 »

춘향전

향전 한글판 영인본 표지 《춘향전》(春香傳)은 한국의 고소설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춘향전 · 더보기 »

춘양면 (화순군)

양면(春陽面)은 전라남도 화순군에 위치한 면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춘양면 (화순군) · 더보기 »

칠궁

궁(七宮)은 대한민국 서울시 종로구 궁정동(청와대 내)에 위치한, 조선의 왕들을 낳은 친모이지만 왕비에 오르지 못한 후궁 7인의 신위를 모신 곳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칠궁 · 더보기 »

칠천도

(七川島)는 경상남도 거제시의 섬으로 거제도의 북서쪽에 있고, 면적은 9.87 km2, 해안선의 길이는 25 km이며, 인구는 2015년 12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1,236 명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칠천도 · 더보기 »

칠원군

원군(漆原郡)은 함안군 동북의 칠원읍, 칠서면, 칠북면과 월경지였던 창원시 마산합포구 구산면의 옛 행정구역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칠원군 · 더보기 »

판소리

소리(또는 소리)는 한 명의 소리꾼이 고수(북치는 사람)의 장단에 맞추어 소리(창), 아니리(말), 너름새(몸짓)을 섞어가며 구연(口演)하는 일종의 솔로 오. ‘판소리’는 ‘판’과 ‘소리’의 합성어로 ‘소리’는 ‘음악’을 말하고 ‘판’은 ‘여러 사람이 모인 곳’ 또는 ‘상황과 장면’을 뜻하는 것으로 ‘많은 청중들이 모인 놀이판에서 부르는 노래’라는 뜻으로 구광대가 병풍을 두르고 돗자리를 펼친 마당이나 공연장에서 짧게는 세 시간, 길게는 여섯 시간 정도 걸리는 긴 이야기를 몸짓을 섞어가며 고수의 북 반주에 맞춰 노래하는 한국 전통음악의 하나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판소리 · 더보기 »

유발

유발(柳發, 1683년∼1775년 8월 6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학자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유발 · 더보기 »

유겸명

유겸명(柳謙明, 1685년~1735년)은 조선 영조 때의 문신으로, 자는 익휘(益輝), 호는 만수(晩修),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참봉 유완(柳完)의 아들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유겸명 · 더보기 »

유병호

유병호(劉炳虎, 1967년 5월 26일, 경상남도 산청군 ~)는 대한민국의 기술사이고 시민사회활동가, 건설분쟁 조정전문가, 정치인이며, 2007년 한국소비자원 소비자분쟁조정위원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국가기술자격정책 심의위원회 전문위원과 경기도건설기술심의 위원, 남양주시의정감시단 단장을 맡고 있.

새로운!!: 조선 영조와 유병호 · 더보기 »

유봉휘

유봉휘(柳鳳輝, 1659년 ~ 1727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유봉휘 · 더보기 »

유득공

유득공(柳得恭, 류득공, 1748년 12월 24일(음력 11월 5일) ~ 1807년 10월 1일(음력 9월 1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실학자, 문신, 시인이며 조선 정조 당시의 실학자, 시인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유득공 · 더보기 »

유형원

유형원(柳馨遠, 1622년 3월 2일(음력 1월 21일) ~ 1673년 5월 5일(음력 3월 19일))은 조선 중기의 실학자, 성리학자, 작가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유형원 · 더보기 »

유연석

유연석(柳演錫,, 1984년 4월 11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유연석 · 더보기 »

유성원

유성원(柳誠源, ?~ 1456년)은 조선의 문신이자 사육신의 한 사람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유성원 · 더보기 »

육진팔광

육진팔광(六眞八匡)은 효민공(孝敏公) 석문(石門) 이경직(李景稷)의 증손 북곡(北谷) 이진유(李眞儒)가 영조 6년(1730년) 고령의 나이에 문초(고문)로 옥사(사망)하자 일제히 벼슬을 버리고 강화도(江華島)로 들어가 살아갈 터를 잡은 후, 출사(出仕)를 단념하고 오로지 학문에만 힘썼던 그 후손들을 말.

새로운!!: 조선 영조와 육진팔광 · 더보기 »

윤공단

윤공단(尹公壇)은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에 있는, 임진왜란 때 순절한 다대첨사 윤흥신 장군의 충절을 기리고자 높이 마련한 단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윤공단 · 더보기 »

윤봉구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윤봉구의 초상화 윤봉구(尹鳳九, 1681년∼1767년)는 조선의 학자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윤봉구 · 더보기 »

윤봉조

윤봉조(尹鳳朝, 1680년 ∼ 1761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윤봉조 · 더보기 »

윤관

윤관(尹瓘, 미상 ~ 1111년 6월 15일 (음력 5월 8일))은 고려 중기의 문신·군인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윤관 · 더보기 »

윤급

상화 윤급(尹汲, 1697년 음력 2월 30일 ~ 1770년 음력 5월 19일)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윤급 · 더보기 »

윤득우

윤득우(尹得雨, 1719년 2월 9일 - 1774년 8월 7일)는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윤득우 · 더보기 »

윤은필

윤은필(尹殷弼)은 조선의 문신으로 기묘 명현(己卯名賢)의 한 사람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윤은필 · 더보기 »

윤순

윤순(尹淳, 1680년(숙종 6년) ~ 1741년(영조 17년))은 조선시대 후기의 서예가, 문신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윤순 · 더보기 »

윤선도

윤선도(尹善道, 1587년 7월 27일(음력 6월 22일) ~ 1671년 7월 16일(음력 6월 11일))는 조선시대 중기, 후기의 시인·문신·작가·정치인이자 음악가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윤선도 · 더보기 »

윤시동

윤시동(尹蓍東, 1729~1797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윤시동 · 더보기 »

율촌면

율촌면(栗村面)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여수시의 면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율촌면 · 더보기 »

팽성읍 객사

팽성읍 객사(彭城邑 客舍)는 조선시대 팽성현의 객사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팽성읍 객사 · 더보기 »

파주 삼릉

주 삼릉(坡州三陵)은 경기도 파주시 조리읍에 위치한 조선시대 왕릉군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파주 삼릉 · 더보기 »

파주 소령원

주 소령원(坡州 昭寧園)은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에 있는 조선 21대 영조(재위 1724∼1776)의 어머니인 숙빈 최씨의 무덤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파주 소령원 · 더보기 »

팔공산

공산(八公山)은 대구광역시 동구와 경상북도 영천시, 군위군, 칠곡군, 경산시에 걸쳐 있는 산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팔공산 · 더보기 »

위백규

위백규(魏伯珪, 1727년~1798년)는 호남파 실학의 대가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위백규 · 더보기 »

위천면

위천면(渭川面)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거창군의 면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위천면 · 더보기 »

상계군

상계군 이담(常溪君 李湛, 1769년 1월 21일 ~ 1786년 11월 20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으로 초명(初名)은 이준(李濬)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상계군 · 더보기 »

상의원 (영화)

《상의원》은 2014년에 개봉한 이원석 감독의 영화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상의원 (영화) · 더보기 »

상산군부인 김씨

상산군부인 상주김씨(商山郡夫人 商州金氏, 1698년 6월 26일 ~ 1725년 6월 12일)는 조선 후기의 왕족으로 조선 숙종의 서자 연령군 이훤(延齡君 李昍)의 부인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상산군부인 김씨 · 더보기 »

상산군부인 송씨

은언군과 상산군부인의 묘비 상산군부인 송씨(常山郡夫人 宋氏, 1753년 10월 15일 ~ 1801년 4월 4일)은 조선후기의 왕족이자 천주교 순교자로, 사도세자의 서자 은언군 이인(恩彦君 李姻)의 정실 부인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상산군부인 송씨 · 더보기 »

택리지

400px 《택리지》(擇里志)는 조선 후기의 실학자 이중환이 1751년(영조 27년) 에 저술한 인문 지리서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택리지 · 더보기 »

생황

여자가 생황을 연주하고있다. 생황(笙簧)은 한국의 관악기 중의 하나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생황 · 더보기 »

새끼 (줄)

새끼 새끼 새끼는 짚으로 꼬아 줄처럼 만든 것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새끼 (줄) · 더보기 »

탈춤

은 한국의 각 지방에서 전해지는 탈을 쓰고 벌이는 전통 가면극을 말.

새로운!!: 조선 영조와 탈춤 · 더보기 »

탕평비

탕평비(蕩平碑)는 조선 영조 때 유학생(儒學生)들로 하여금 불편부당(不偏不黨)하는 군자의 도를 닦게 하기 위하여 세운 비석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탕평비 · 더보기 »

탕평채

탕평채 탕평채(蕩平菜) 또는 묵청포(-淸泡)는 한국의 궁중요리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탕평채 · 더보기 »

탕평책

탕평책(蕩平策)은 조선 영조가 당파 싸움을 막기 위해 당파간의 세력 균형을 위해 추진한 정책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탕평책 · 더보기 »

술(酒)은 에탄올을 1% 이상 함유한 음료의 총칭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술 · 더보기 »

순창 객사

순창 객사(淳昌客舍)는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48호로 지정된 문화재로, 순창군 순창읍 순화리에 있. 순창초등학교 교문에서 약 50m쯤 떨어진 운동장과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 창건(創建) 연대는 1759년 7월(조선 영조 35년)에 건축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원래 이곳에는 정당(正堂) 동대청(東大廳), 서대청(西大廳)이 있었으며, 전면에 중문(中門)과 외문(外門), 그리고 옆에 무곽이 있었다고 하는데, 지금은 정당과 동대청만 남아 있. 건물은 원래 정면 13칸, 측면 2칸이었던 것으로 보이며 지붕은 팔자솟을지붕이었으나, 서대청이 없어진 뒤 동대청만이 팔작지붕으로 남아 있고, 정당 3칸 서쪽은 맞배지붕 형태로 처리한 것으로 보인.

새로운!!: 조선 영조와 순창 객사 · 더보기 »

순창군

순창군(淳昌郡)은 대한민국 전라북도 남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순창군 · 더보기 »

수덕사

수덕사(修德寺)는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사천리 덕숭산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소속 사찰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수덕사 · 더보기 »

수군

수군(水軍)은, 동아시아 한자문화권에서 전통적으로 수상(水上) 무장력을 가리키던 단어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수군 · 더보기 »

수표교

수표교(水標橋)는 청계천의 다리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수표교 · 더보기 »

수암동 (울산)

수암동(峀岩洞)은 울산광역시 남구의 행정동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수암동 (울산) · 더보기 »

숙빈

숙빈은 다음의 인물들을 가리.

새로운!!: 조선 영조와 숙빈 · 더보기 »

숙빈 임씨

숙빈 임씨(肅嬪 林氏, ? ~ 1773년)는 조선의 추존왕 장조(사도세자)의 후궁으로, 철종의 증조모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숙빈 임씨 · 더보기 »

숙빈 최씨

숙빈 최씨(淑嬪 崔氏, 1670년 12월 17일(음력 11월 6일) ~ 1718년 4월 9일(음력 3월 9일))는 조선의 19대 왕 숙종(肅宗)의 총관후궁이자, 21대 왕 영조(英祖)의 생모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숙빈 최씨 · 더보기 »

숙녕옹주 (효종)

숙녕옹주(淑寧翁主, 1649년 ~ 1666년 음력 9월 17일 또는 1668년 음력 5월 20일)은 조선의 왕족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숙녕옹주 (효종) · 더보기 »

숙의 문씨

숙의 문씨는 다음의 인물을 가리.

새로운!!: 조선 영조와 숙의 문씨 · 더보기 »

숙의 문씨 (영조)

숙의 문씨(淑儀 文氏, ? ~ 1776년 음력 8월 10일)는 조선의 제21대 왕 영조의 후궁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숙의 문씨 (영조) · 더보기 »

숙종실록

《숙종현의광륜예성영렬장문헌무경명원효대왕실록》(肅宗顯義光倫睿聖英烈章文憲武敬明元孝大王實錄)은 숙종이 즉위한 해(1674년) 8월부터 세상을 떠난 1720년 6월까지의 역사적 사실을 기록한 책으로, 조선왕조실록의 한 부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숙종실록 · 더보기 »

숙안공주

숙안공주(淑安公主, 1636년 ~ 1697년 음력 12월 22일)는 조선의 공주로 제17대 왕 효종(孝宗, 1619~1659, 재위: 1649~1659)과 인선왕후 장씨(仁宣王后 張氏, 1618~1674) 사이의 차녀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숙안공주 · 더보기 »

영릉

영릉에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조선 영조와 영릉 · 더보기 »

영명사 (평양)

일제시대때 찍은 영명사. 영명사는 유서깊은 사찰이었다. 영명사(永明寺)는 평양 금수산에 있던 불교 사찰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영명사 (평양) · 더보기 »

영빈 김씨

영빈 김씨(寧嬪 金氏, 1669년 ~ 1735년 음력 1월 12일)는 조선 제19대 왕 숙종의 후궁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영빈 김씨 · 더보기 »

영빈 이씨

쪽.

새로운!!: 조선 영조와 영빈 이씨 · 더보기 »

영등포동

영등포동(永登浦洞)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의 법정동·행정동 명칭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영등포동 · 더보기 »

영평군 (1828년)

영평군 이경응(永平君 李景應, 1828년 7월 20일 ~ 1902년 2월 1일/1901년 음력 12월 23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종실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영평군 (1828년) · 더보기 »

영희전

영희전(永禧殿)은 조선 시대에, 태조ㆍ세조ㆍ원종ㆍ숙종ㆍ영조ㆍ순조의 영정을 모셨던 전각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영희전 · 더보기 »

영의정

영의정(領議政)은 의정부 3정승 가운데 하나로 정1품에 해당하는 조선 최고의 중앙관직이었.

새로운!!: 조선 영조와 영의정 · 더보기 »

영조 (동음이의)

영조는 다음을 가리.

새로운!!: 조선 영조와 영조 (동음이의) · 더보기 »

영조 기로연·수작연도 병풍

영조 기로연·수작연도 병풍(英祖 耆老宴·受爵宴圖 屛風)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서울역사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 두 개의 행사장면이 실려 있는 병풍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영조 기로연·수작연도 병풍 · 더보기 »

영조어진

영조어진(英祖御眞)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효자로 12, 국립고궁박물관 (세종로,국립고궁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초상화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영조어진 · 더보기 »

영조실록

《영종대왕실록》(英宗大王實錄)은 영조 재위 기간의 실록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영조실록 · 더보기 »

영조왕세제수책시 책례도감의궤

영조왕세제수책시 책례도감의궤(英祖王世第受冊時 冊禮都監儀軌)는 1721년(경종 1년) 영인군과 달성군부인(達城郡夫人) 서씨를 각각 조선 경종의 왕세제와 세제빈(世弟嬪)으로 책봉한 과정을 적은 의궤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영조왕세제수책시 책례도감의궤 · 더보기 »

영종

영종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조선 영조와 영종 · 더보기 »

영지사

영지사(靈芝寺)는 경상북도 영천시 대창면 용호리에 있는 사찰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영지사 · 더보기 »

영성군

영성군(寧城君, 1606년 음력 12월 24일 ~ 1649년)은 조선의 왕족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영성군 · 더보기 »

오륙도

오륙도(五六島)는 부산광역시 우암반도 남동단에서 동남 방향으로 600m 지점 해상에 있는 군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오륙도 · 더보기 »

오명항선생토적송공비

오명항선생토적송공비(吳命恒先生討賊頌功碑)는 경기도 안성시 낙원동에 있는 기념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오명항선생토적송공비 · 더보기 »

오군영

오군영(五軍營)은 임진왜란을 계기로 설치된 조선의 수도와 그 일대를 방어하기 위해 조직된 훈련도감(訓鍊都監), 어영청(御營廳), 금위영(禁衛營), 총융청(摠戎廳), 수어청(守禦廳)의 5개 군영(軍營)을 말. 1881년(고종 18년) 신식 군대로 개편되면서 무위영(武衛營)과 장어영(壯禦營)으로 합쳐졌.

새로운!!: 조선 영조와 오군영 · 더보기 »

오재순

오재순(吳載純, 1727년 ~ 1792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오재순 · 더보기 »

오일장

제주오일장 어물전 오일장(五日場)은 닷새마다 서는 시장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오일장 · 더보기 »

옥림항

옥림항은 경상남도 거제시 일운면 옥림리, 거제도 섬에 있는 어항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옥림항 · 더보기 »

옥포동

옥포동(玉浦洞)은 경상남도 거제시의 법정동이자 행정동의 통칭으로, 2개의 행정동(옥포1동·2동)이 설치되어 있. 대우조선해양의 배후도시로 상업, 업무, 유통, 위락시설 밀집 지역이며, 2천명이 넘는 외국인이 거주하고 있어서 외국인과 함께하는 다문화 공동체 중심 지역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옥포동 · 더보기 »

옥천 경율당

옥천 경율당(沃川 景栗堂)은 충청북도 옥천군 안남면 종미리에 있는, 조선 영조 12년(1736)에 용궁 전씨의 시조인 전섭의 47대손인 전후회가 세운 건축물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옥천 경율당 · 더보기 »

옥천면 (양평군)

옥천면(玉泉面)은 경기도 양평군의 면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옥천면 (양평군) · 더보기 »

온양온천

온양온천(溫陽溫泉)은 충남 아산시 온천동 일원에 위치한,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온천으로 1,300여 년 전 백제 때에는 탕정군, 신라 때에는 탕정주, 고려시대 때에는 온수군으로 지칭되었.

새로운!!: 조선 영조와 온양온천 · 더보기 »

혜화문

혜화문 헌판 혜화문(惠化門)은 조선의 수도인 한양의 4소문(小門) 중의 하나로 동쪽의 소문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혜화문 · 더보기 »

현빈 (동음이의)

현빈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조선 영조와 현빈 (동음이의) · 더보기 »

최북

북(崔北, 1712년 ~ 1760년)은 조선 숙종, 영조 때의 화가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최북 · 더보기 »

최불암

불암(崔佛岩, 1940년 6월 15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 방송진행자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최불암 · 더보기 »

최효원

효원(崔孝元, 1638년 2월 23일 ~ 1672년 8월 15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무신으로 숙빈 최씨의 친정아버지이자 영조의 외할아버지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최효원 · 더보기 »

최수강

수강(崔壽崗)은 조선 후기의 무신, 군인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최수강 · 더보기 »

어 (성씨)

어(魚)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어 (성씨) · 더보기 »

어보

쪽.

새로운!!: 조선 영조와 어보 · 더보기 »

어진

조선 태조의 어진 어진(御眞)은 왕의 초상화를 뜻. 어진 말고도 진용(眞容)·진(眞)·진영 (眞影)·수용(睢容)·성용(聖容)·영자(影子)·영정(影幀)·어용(御容)·왕상(王像)·어영(御影) 이라는 단어들로 불리었다가 1713년(숙종 39년) 숙종어진을 그릴 당시 어용도사도감도제조(御容圖寫都監都提調)였던 이이명의 건의에 따라 ‘어진’이라는 명칭으로 통일하였.

새로운!!: 조선 영조와 어진 · 더보기 »

어유구

어유구(魚有龜, 1675 ~ 1740)는 조선시대 후기의 외척으로 경종의 비 선의왕후의 친정아버지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어유구 · 더보기 »

어여머리

어여머리는 조선 시대에 궁중에서나 양반집의 아녀자들이 예장할 때 머리에 얹은 큰 머리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어여머리 · 더보기 »

어사 박문수

《어사 박문수》는 MBC에서 2002년 12월 9일부터 2003년 2월 4일까지 방영된 월화 드라마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어사 박문수 · 더보기 »

양반

양반 양반(兩班)은 조선 시대 최상급의 사회계급으로 사(士)·농(農)·공(工)·상(商) 중 사족(士族)에 해당.

새로운!!: 조선 영조와 양반 · 더보기 »

양금

양금(洋琴, 揚琴)은 한국의 전통 현악기 중의 하나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양금 · 더보기 »

양정동 (울산)

양정동(楊亭洞)은 울산광역시 북구의 법정동 및 행정동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양정동 (울산) · 더보기 »

양서면

양서면(楊西面)은 경기도 양평군의 면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양서면 · 더보기 »

행당동

행당동(杏堂洞)은 서울특별시 성동구의 법정동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행당동 · 더보기 »

여릉군

여릉군 이기(驪陵君 李圻, 1680년 6월 ∼ 1730년)는 조선의 왕족 종실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여릉군 · 더보기 »

여진구

여진구(呂珍九, 1997년 8월 13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여진구 · 더보기 »

여지도서

《여지도서(輿地圖書)》는 1757년(영조 33) ~ 1765년 전국 각 군현에서 편찬한 읍지를 모아 엮은 전국 지리지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여지도서 · 더보기 »

여천군 (왕족)

여천군 이경(驪川君 李境, 1683년 ∼ 1730년)은 조선의 왕족 종실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여천군 (왕족) · 더보기 »

여수호좌수영수성창설사적비

여수호좌수영수성창설사적비(麗水湖左水營守城創設事蹟碑)는 전라남도 여수시에 있는 조선시대의 사적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여수호좌수영수성창설사적비 · 더보기 »

역사 연표

역사 연표는 세계사를 적은 연표로 한국사도 포함되어 있.

새로운!!: 조선 영조와 역사 연표 · 더보기 »

역사스페셜

《역사스페셜》은 한국 역사에 관한 KBS의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역사스페셜 · 더보기 »

역사저널 그날의 에피소드 목록

아래는 KBS 1TV 《역사저널 그날》의 방영 목록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역사저널 그날의 에피소드 목록 · 더보기 »

연령군

연령군 이훤(延齡君 李昍, 1699년 6월 13일 ~ 1719년 10월 2일 "연령군 이훤의 졸기")은 조선 시대 후기의 왕족 종실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연령군 · 더보기 »

연잉군 초상

연잉군 초상(延礽君 肖像)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초상화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연잉군 초상 · 더보기 »

연희궁 묘터

연희궁 묘터는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희동, 과거 한성부 연희면 일대에 있었던 연희궁터와 안산(鞍山) 주변으로, 연희궁 주변과 안산 일대에 왕족의 묘역이 조성되었.

새로운!!: 조선 영조와 연희궁 묘터 · 더보기 »

연조귀감

《연조귀감》(掾曹龜鑑)은 조선의 관인 이진흥(李震興)이 향리(鄕吏)에 관계된 기록 및 그들 가운데서 뛰어난 인물의 전기를 모아 엮은 책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연조귀감 · 더보기 »

연세대학교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Yonsei University)는 1885년에 설립된 대한민국의 개신교 계통 사립 종합 대학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연세대학교 · 더보기 »

연세대학교 신촌캠퍼스

연세대학교 신촌캠퍼스(延世大學校 新村-, Yonsei University Sinchon Campus)는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신촌동 134번지(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세로 50)에 위치한 연세대학교의 캠퍼스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연세대학교 신촌캠퍼스 · 더보기 »

열조통기

열조통기(列朝通記)는 조선 후기 실학자인 순암 안정복이 조선 태조부터 영조 때까지 역사를 각 왕별로 편찬한 역사책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열조통기 · 더보기 »

열상방언

열상방언洌上方言)은 조선 영조~정조 때의 학자 이덕무(李德懋)가 속담을 수집하여 한역한 글이다.

새로운!!: 조선 영조와 열상방언 · 더보기 »

헌경왕후

경왕후 홍씨(獻敬王后 洪氏, 1735년 8월 6일(음력 6월 18일) ~ 1816년 1월 13일(1815년 음력 12월 15일))는 조선시대 후기의 왕세자빈, 추존왕비로, 대한제국의 추존황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헌경왕후 · 더보기 »

허난설헌

설헌(許蘭雪軒, 1563년 ~ 1589년 3월 19일)은 조선 중기의 시인, 작가, 화가,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허난설헌 · 더보기 »

허준

준(許浚, 1539년~1615년)은 조선 중기의 의관·의학자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허준 · 더보기 »

허윤

윤(許玧, 1645년 ~ 1729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허윤 · 더보기 »

표철주

주(表鐵柱, ? ~ ?)는 조선시대의 범죄자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표철주 · 더보기 »

풍남문

전주 풍남문(全州 豊南門)은 조선 시대 전라감영의 소재지였던 전주를 둘러싼 성곽의 남쪽 출입문으로 성벽이 헐린 후에 유일하게 남아 있는 문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풍남문 · 더보기 »

풍양 조씨

풍양 조씨(豐壤 趙氏)는 경기도 남양주시를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풍양 조씨 · 더보기 »

사도 (영화)

《사도》는 2015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사도 (영화) · 더보기 »

사천 선진리왜성

사천 선진리왜성(泗川船津里倭城)은 경상남도 사천시 용현면 선진리에 있는 일본식 성곽(왜성)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사천 선진리왜성 · 더보기 »

사육신

량진공원 의절사 사육신(死六臣)은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가 발각되어 세조에게 죽임을 당한 여섯 명의 신하를 이르는 말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사육신 · 더보기 »

사심충만 오!쾌남

《사심충만 오!쾌남》은 2017년 4월 1일부터 2017년 7월 9일까지 채널A에서 방영되었던 역사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사심충만 오!쾌남 · 더보기 »

산경표

산경표(山經表)는 조선 영조 때의 실학자인 신경준이 쓴 도표로 한반도 멧줄기의 발원지와 분포를 강물의 수계를 따져 가계도처럼 그림으로 표시한 것이 특징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산경표 · 더보기 »

산대나례

산대나례(山臺儺禮)는 조선조에 이루어지던 유희의.

새로운!!: 조선 영조와 산대나례 · 더보기 »

산송

산송(山訟)은 조선 시대 산소(山所)와 관련된 사송(詞訟)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산송 · 더보기 »

삼국사기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79호)

삼국사기(三國史記)는 대구광역시 달서구,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책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삼국사기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79호) · 더보기 »

삼척군

삼척군(三陟郡)은 1895년 6월 23일부터 1994년 12월 31일까지 존재했던 강원도 동해안의 군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삼척군 · 더보기 »

삼산동 (울산)

삼산동(三山洞)은 울산광역시 남구의 법정동, 행정동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삼산동 (울산) · 더보기 »

삼성사

삼성사(三聖祠)는, 황해도(黃海道) 문화현(文化縣, 지금의 북한 황해남도 안악군) 구월산에 위치한 사당으로, 고려, 조선 시대 국가와 민간에서 단군(檀君)의 제사를 지내던 곳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삼성사 · 더보기 »

삼해주

삼해주(三亥酒)란 찹쌀을 발효시켜 두 번 덧술하여 빚는 약주(藥酒)를 말. 정월 첫 해일(亥日, 돼지날)에 시작하여 매월 해일마다 세 번에 걸쳐 빚는다고 해서 삼해주라고 하며, 정월 첫 해일에 담가 버들가지가 날릴 때쯤 먹는다고 해서 유서주(柳絮酒).

새로운!!: 조선 영조와 삼해주 · 더보기 »

피휘

청나라 강희제의 피휘. 강희제의 이름 현엽(玄燁)에서 마지막 획을 긋지 않았다. 이런 피휘법을 결획(缺劃)이라 한다. 피휘(避諱)는 군주나 자신의 조상의 이름에 쓰인 글자를 사용하지 않는 관습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피휘 · 더보기 »

선본사

선본사(禪本寺)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경산시 와촌면 대한리에 있는 사찰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선본사 · 더보기 »

선희궁터

선희궁터(宣禧宮터)는 조선 영조(재위 1724∼1776)의 후궁이자 사도세자의 어머니인 영빈 이씨의 신주를 모시고 제사지내던 왕실의 사묘인 선희궁이 있던 자리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선희궁터 · 더보기 »

선의왕후 (조선)

선의왕후 어씨(宣懿王后, 1705년 12월 14일 (음력 10월 29일) ~ 1730년 8월 12일 (음력 6월 29일))는 조선 경종의 계비이며 정식 시호는 경순효인혜목선의왕후(敬純孝仁惠睦宣懿王后)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선의왕후 (조선) · 더보기 »

설천면 (무주군)

설천면(雪川面)은 전라북도 무주군의 면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설천면 (무주군) · 더보기 »

성북동 (서울)

성북동(城北洞)은 서울특별시 성북구에 속한 행정동 및 법정동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성북동 (서울) · 더보기 »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成均館大學校, Sungkyunkwan University)는 대한민국의 사립 종합 대학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성균관대학교 · 더보기 »

세검정 (서울)

세검정(洗劍亭)은 서울 창의문(彰義門) 밖에 있던 정자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세검정 (서울) · 더보기 »

세노 우마쿠마

세노 우마쿠마(1874년 5월 25일 ~ 1935년 5월 20일)는 일본의 역사가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세노 우마쿠마 · 더보기 »

세종 기룡리 효교비

세종 기룡리 효교비(世宗 起龍里 孝橋碑)는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기룡리에 있는 비(碑)로, 효성이 지극했던 홍씨 집안을 기리기 위해 후손들이 세운 것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세종 기룡리 효교비 · 더보기 »

서덕수

서덕수(徐德修, 1694년 - ?)는 조선 후기의 정치인으로, 영조의 정비 정성왕후 서씨의 조카이자, 그의 오빠 서명백의 아들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서덕수 · 더보기 »

서매수

서매수(徐邁修, 1731년 ~ 1818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서매수 · 더보기 »

서명응

서명응(徐命膺, 1716년∼1787년)은 조선의 문신, 학자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서명응 · 더보기 »

서명선

서명선(徐命善, 1728년 ~ 1791년)은 조선의 문신 겸 정치가 및 시인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서명선 · 더보기 »

서광범

서광범(徐光範, 1859년 11월 8일 ~ 1897년 7월 17일 또는 8월)은 조선 말기의 문신, 정치가이며 개화파 사상가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서광범 · 더보기 »

서북피아양계만리일람지도

〈서북피아양계만리일람지도〉(西北彼我兩界萬里一覽之圖)는 작자, 연대 미상의 한국 관북 관서 지방과 만주 지방, 러시아의 연해주를 포함하는 관방지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서북피아양계만리일람지도 · 더보기 »

서운관지

서운관지(書雲觀志)는 조선 영조~조선 정조 때의 천문학자 성주덕(成周悳)이 짓고, 이경로,이의봉에 의해 교정 받은 천문학책으로 조선 순조 18년인 1818년에 간행되었.

새로운!!: 조선 영조와 서운관지 · 더보기 »

서울 문묘

서울 문묘(文廟)는 유교를 집대성한 문성왕(文聖王)인 공자와 그의 제자 및 한국와 중국의 대유(大儒)의 위패를 모시고 봉향하는 사당 건물이다. 문묘(文廟)는 정전인 대성전(大成殿)과 그 앞 마당 좌·우의 동무(東廡)와 서무(西廡), 그리고 삼문(三門, 神門)으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 문묘 대성전에는 공자(公子)를 정위(正位)로 하여 대 성인(四大 聖人)인 안자·증자·자사·맹자를 배향하고, 공문 10철(孔門 十哲) 및 송조 6현(宋朝 六賢)과 우리나라 18현인(東方 十八賢)의 위패를 종사하고 있다. 문묘와 함께 있는 성균관(成均館)은 조선시대에 인재 양성을 위해 현 위치에 설치된 국가 최고 교육기관으로 국자감(國子監)·국학(國學)·태학(太學)·반궁(泮宮) 등으로도 불렸다. 성균관은 명륜당(明倫堂)과 동재(東齋)·서재(西齋)로 구성되었다. 성균관·문묘는 태조 7년(1398)에 창건되었으나 정종 2년(1400)에 화재로 소실되었다. 그 후 태종(1407)에 다시 지은 것이 임진왜란의 병화로 거의 대부분 소실되고 말았다. 전쟁이 끝난 후 성균관의 유생들이 전국적으로 자금을 모아 선조 34∼35년(1601∼1602)에 대성전을 중건하고, 36∼37년(1603∼1604)에 동무·서무·신문·중문을, 39년(1606)에는 명륜당과 동재·서재를 중건 확충하였다. 인조 4년(1626)에는 정록청(正錄廳)·존경각(尊經閣)·양현고(養賢庫) 등을 재건하였으며, 고종6년(1869)의 한 차례 보수를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성균관·문묘를 구성하는 건물 중에서 보물로 지정된 건물은 대성전·명륜당·동무·서무·삼문 등 모두 5동이다. 서울 문묘 일원은 성균관대학교 교문을 들어서면 오른쪽에 일곽을 이루며 위치하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한성부 숭교방(崇敎坊)이었던 곳이다. 원래 입구에 반교(伴橋)가 있었으나 현존하지 않는다. 문묘 일원은 크게 남쪽의 대성전 일곽과 그 후편의 명륜당 일곽으로 나뉘었다. 대성전 일곽에는 공간제향(祭享)을 이루는 문묘시설의 건물군이 있고, 명륜당 일곽에는 시설교학(敎學)의 건물군들이 배치되어 있다. 문묘 일원에는 보물로 지정된 대성전(大成殿)·명륜당(明倫堂)·동무(東廡)·서무(西廡)·삼문(三門) 등 5동 건물을 제외하고, 서무 서북쪽으로 제기고와 제학당, 전사청과 숙수청이 각각 일곽을 형성하고 있고, 명륜당 남쪽 앞 마당 좌·우로 남북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있는 동재(東齋)·서재(西齋), 동재 동편에 있는 진사식당, 그 북쪽의 창고, 명륜당 북동쪽으로 존경각(尊經閣)·육일각(六一閣)·정록청·서리청·향관청(享官廳) 등의 건물들이 있다. 명륜당의 서북쪽 담 밖으로는 비천당(丕闡堂)이 있으며, 그 뒤쪽에 계성사(啓聖祠)가 별도로 있었으나 지금은 없다.

새로운!!: 조선 영조와 서울 문묘 · 더보기 »

서울 육상궁

서울 육상궁(서울 毓祥宮)은 조선 영조의 생모인 숙빈 최씨의 신위를 모신 사당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서울 육상궁 · 더보기 »

서재우 (1868년)

서재우(徐載雨, 1868년 9월 5일 ~ 1929년 1월 24일)는 조선 시대 후기의 문신이며 대한제국의 관료 겸 정치가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서재우 (1868년) · 더보기 »

서재창

서재창(徐載昌, 1866년 10월 29일 ~ 1884년 12월 13일)은 조선 말기의 군인, 정치인, 개화사상가로 서재필의 동생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서재창 · 더보기 »

서재필

서재필(徐載弼, 1864년 1월 7일 ~ 1951년 1월 5일, 미국 귀화명은 필립 제이슨(Philip Jaisohn))은 조선의 무신, 대한제국의 정치인, 언론인이자 미국 국적의 한국 독립운동가, 의사였.

새로운!!: 조선 영조와 서재필 · 더보기 »

서평군

서평군 이요(西平君 李橈, 1687년 ~ 1756년)는 조선의 왕족이자 문신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서평군 · 더보기 »

서일보

서일보(徐日輔, 1734년 5월 4일 - 1804년 1월 3일)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서일보 · 더보기 »

서종제

서종제(徐宗悌, 1656년 ~ 1719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서종제 · 더보기 »

서촌

서촌(西村)은 대한민국 서울의 경복궁과 서울의 내사산 가운데 서쪽 산인 인왕산 사이에 있는 지역을 뜻. 조선 시대에는 흔히 '장의동'(藏義洞, 壯義洞)이나 '장동'(壯洞)으로 불. 서촌은 창덕궁 남쪽의 교동이나 경복궁과 창덕궁 사이 북촌과 함께 서울에서 가장 오래된 동. 조선 시대엔 왕족과 사대부, 중인들의 거주지로 유명했으며, 일제 시대 이후엔 문인과 예술인들이 많이 자리잡았.

새로운!!: 조선 영조와 서촌 · 더보기 »

서상정

서상정(徐相鼎, 1813년 8월 23일 ~ 1876년 7월 13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서상정 · 더보기 »

서영순 (1793년)

서영순(徐英淳, 1793년 ~ 1854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관료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서영순 (1793년) · 더보기 »

서오릉

서오릉(西五陵)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용두동에 있는 조선 왕실의 왕릉군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서오릉 · 더보기 »

서얼

서얼(庶孼)은 양반의 자손 가운데 첩(妾)과의 사이에서 나온 자손을 말하는 것으로, 양인(良人)의 신분에 속하는 첩이 낳은 서자(庶子)와 천민(賤民)에 속하는 첩이 낳은 얼자(孼子)를 함께 이르는 말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서얼 · 더보기 »

서얼 금고령

서얼 금고령은 조선 시대 서자들에 대한 관직을 제한한 규정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서얼 금고령 · 더보기 »

속초 신흥사 청동시루

속초 신흥사 청동시루(束草 新興寺 靑銅甑)는 강원도 속초시, 신흥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청동시루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속초 신흥사 청동시루 · 더보기 »

송갑조

송갑조 영정 송갑조(宋甲祚, 1574년 ∼ 1628년)는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 성리학자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송갑조 · 더보기 »

송강호의 작품 목록

thumb 다음은 대한민국의 배우 송강호의 작품 목록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송강호의 작품 목록 · 더보기 »

송공단

송공단(宋公壇)은 1742년(영조 18년) 조선 동래부사 김석일(金錫一)이 임진왜란 때 동래부사 송상현(宋象賢) 장군이 순절한 정원루(靖遠樓)가 있던 곳에 설치한 단으로서, 송상현공을 비롯하여 동래성 전투에서 전사한 사람들을 기념하여 만든 제단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송공단 · 더보기 »

송인명

송인명(宋寅明, 1689 ~ 1746)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송인명 · 더보기 »

송정동 (울산)

송정동(松亭洞)은 울산광역시 북구의 법정동 및 행정동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송정동 (울산) · 더보기 »

송천동 (전주시)

송천동(松川洞)은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에 있는 법정동과 행정동의 통칭으로, 2개의 행정동(송천1동·2동)이 설치되어 있.

새로운!!: 조선 영조와 송천동 (전주시) · 더보기 »

송상현 (1551년)

송상현 문집 송상현(宋象賢, 1551년 ~ 1592년 5월 25일(음력 4월 15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작가이며 임진왜란 때의 장수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송상현 (1551년) · 더보기 »

송현수

송현수(宋玹壽, ? ~ 1457년 음력 10월 21일)는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국구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송현수 · 더보기 »

송시열

송시열(宋時烈, 1607년 12월 30일(음력 11월 12일) ~ 1689년 7월 19일(음력 6월 3일))은 조선의 문신·성리학자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송시열 · 더보기 »

소론

소론(少論)은 조선 붕당정치의 한 당파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소론 · 더보기 »

소의문

소의문 소의문(昭義門)은 조선의 수도인 한양의 4소문(小門) 중의 하나로 서쪽의 소문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소의문 · 더보기 »

통영 한산도 이충무공 유적

통영 한산도 이충무공 유적(統營 閑山島 李忠武公 遺蹟)은 임진왜란 때 왜군을 물리치고 나라를 구한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자취가 남아 있는 곳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통영 한산도 이충무공 유적 · 더보기 »

통영시

산도 충무사 통영시(統營市)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남해안에 있는 시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통영시 · 더보기 »

함백산

백산(咸白山)은 강원도 태백시 소도동과 정선군 고한읍에 걸쳐 있는 산으로 높이는 1,573m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함백산 · 더보기 »

해동 (별칭)

동(海東)은 한국에 대한 별칭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해동 (별칭) · 더보기 »

해동가요

《해동가요》(海東歌謠)는 1762년(영조 38년)에 김수장이 엮은 가곡집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해동가요 · 더보기 »

해동삼국도

동삼국도」 채색필사 248.0×264.4cm,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해동삼국도(海東三國圖)는 연대·작자 미상의 동북아시아 지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해동삼국도 · 더보기 »

해주 오씨

주 오씨(海州 吳氏)는 황해도 해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해주 오씨 · 더보기 »

핼리 혜성

1986년의 핼리 혜성 핼리 혜성(공식 명칭은 1P/Halley)은 그 주기와 다음 접근 시기를 예측한 에드먼드 핼리의 이름을 딴 혜성으로, 약 75~76년을 주기로 지구에 접근하는 단주기 혜성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핼리 혜성 · 더보기 »

야미도

야미도(夜味島) 또는 배미섬은 전라북도 군산시 옥도면 야미도리에 속하는 면적 0.5 km²의 섬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야미도 · 더보기 »

야음장생포동

야음장생포동(也音長生浦洞)은 울산광역시 남구의 행정동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야음장생포동 · 더보기 »

약사동 (울산)

약사동(藥泗洞)은 울산광역시 중구의 행정동, 법정동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약사동 (울산) · 더보기 »

한광근

광근(韓光近, 1735년 ~ ?)은 조선 영조 때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한광근 · 더보기 »

한국 법제의 역사

이 문서는 한국 법제의 역사(韓國 法制- 歷史)를 기술.

새로운!!: 조선 영조와 한국 법제의 역사 · 더보기 »

한국 불교의 역사

국 불교의 역사 또는 한국 불교사는 한국에서 전개된 불교의 역사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한국 불교의 역사 · 더보기 »

한국음악

조선시대『악학궤범』 향부악기도설에 나오는 향비파와 당비파 한국음악(韓國音樂)의 기반이 된 음계는 한반도 및 중국 동북부 등과 교류하여 고대시대부터 전래되어오는 것과 근대화와 산업화에 의한 빠른 문화유입에 의한 음악적 반응을 포함하여 한민족(韓民族)의 음악을 총칭.

새로운!!: 조선 영조와 한국음악 · 더보기 »

한국의 미술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국보 제83호). 한국의 미술은 한반도 및 주변 지역에서 발생했던 미술을 말. 고분벽화, 불화, 문인화, 산수화 같은 평면 시각매체 예술과, 불상, 석탑, 도자기 같은 입체 시각매체 예술을.

새로운!!: 조선 영조와 한국의 미술 · 더보기 »

한국의 궁중무용

앵전 한국의 궁중무용은 궁중 진연(進宴)과 의식에 쓰던 무용으로 정재(呈才).

새로운!!: 조선 영조와 한국의 궁중무용 · 더보기 »

한국의 천문학

국의 천문학(韓國-天文學)은 삼국시대 이전부터 시작되었.

새로운!!: 조선 영조와 한국의 천문학 · 더보기 »

한국의 행정 구역

국은 현재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두 정치체로 나뉘어 있.

새로운!!: 조선 영조와 한국의 행정 구역 · 더보기 »

한국의 역사

국의 역사(韓國-歷史) 또는 한국사는 구석기 시대 이후 주로 한반도와 만주, 연해주, 넓게는 동아시아 지역을 바탕으로 발전되어 온 한민족의 역사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한국의 역사 · 더보기 »

한국의 연극

국 연극(韓國_演劇)의 장르는 가면극, 인형극, 판소리, 창극, 신파극, 신극의 여섯으로 크게 나눌 수 있.梁在淵, 문화·민속/한국의 연극/한국의 연극[서설], 《글로벌 세계 대백과》.

새로운!!: 조선 영조와 한국의 연극 · 더보기 »

한국의 선교

국의 선교(仙敎)는 한반도의 고유 종교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한국의 선교 · 더보기 »

한국의 왕자와 왕녀 목록

이 문서는 현재까지 알려진 한국의 왕자(황자)와 왕녀(공주, 궁주, 옹주)의 목록을 담고 있.

새로운!!: 조선 영조와 한국의 왕자와 왕녀 목록 · 더보기 »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韓國을 빛낸 百名의 偉人들)은 박인호(박문영)가 작사, 작곡하여 1991년에 최영준, 노사사(노래를 사랑하는 사람들)의 노래로 발표한 노래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 · 더보기 »

한국사 전

《한국사 전》(한국사 傳)은 《역사기행》 종영 후 2007년 6월 16일부터 2008년 10월 25일까지 매주 토요일 밤 8시 10분부터 9시까지 KBS 1TV에서 방송된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한국사 전 · 더보기 »

한일도서협정으로 반환된 도서 목록

2011년 12월 6일 도서에 관한 대한민국 정부와 일본국 정부 간의 협정 발효에 따라 일본에서 대한민국으로 반환이 완료된 1205권의 도서 목록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한일도서협정으로 반환된 도서 목록 · 더보기 »

한중록 (드라마)

《한중록》은 MBC 정통 사극 조선왕조 오백년 시리즈의 아홉 번째 작품으로, 1988년 10월 19일부터 1989년 6월 1일까지 방영되었.

새로운!!: 조선 영조와 한중록 (드라마) · 더보기 »

한양도성

서울 한양도성(서울 漢陽都城, Fortress Wall of Seoul)은 조선 시대 한양을 둘러싼 도성(都城)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한양도성 · 더보기 »

한석규

석규(韓石圭, 1964년 11월 3일 ~)는 대한민국의 전직 성우이자, 배우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한석규 · 더보기 »

한원진

원진의 초상화 한원진(韓元震, 1682년 ~ 1751년)은 조선후기의 문신, 성리학자, 철학자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한원진 · 더보기 »

안동 청성서원

안동 청성서원(安東 靑城書院)은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막곡리에 있는 서원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안동 청성서원 · 더보기 »

안동시의 역사

안동시의 역사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안동시의 역사에 대해서.

새로운!!: 조선 영조와 안동시의 역사 · 더보기 »

안정복

안정복(安鼎福, 1712년 ~ 1791년 7월 20일)은 조선 후기의 실학자, 성리학자, 작가, 역사가, 수필가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안정복 · 더보기 »

안양 삼막사 마애삼존불

안양 삼막사 마애삼존불(安養 三幕寺 磨崖三尊佛)은 경기도 안양시 삼막사에 있으며 조선 후기에 만들어진 마애 삼존불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안양 삼막사 마애삼존불 · 더보기 »

안성 칠장사 대웅전

안성 칠장사 대웅전(安城 七長寺 大雄殿)은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칠장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안성 칠장사 대웅전 · 더보기 »

안성 최규서 어서각

안성 최규서 어서각(安城 崔奎瑞 御書閣)은 경기도 안성시 원덕면에 있는 어서각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안성 최규서 어서각 · 더보기 »

하동부대부인

동부대부인 정씨(河東府大夫人 鄭氏, 1522년 9월 23일 - 1567년 6월 24일)는 조선 중기의 왕족으로 정인지의 후손이며 조선 제14대 선조의 사친이자 덕흥대원군의 부인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하동부대부인 · 더보기 »

하동군

동군(河東郡)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최서단에 있는 군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하동군 · 더보기 »

하장면

장면(下長面)은 대한민국 강원도 삼척시의 면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하장면 · 더보기 »

하청면

청면(河淸面)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거제시의 면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하청면 · 더보기 »

하한담

(河漢潭) 또는 하은담(河殷潭)은 조선왕조 숙종·영조 때의 판소리 명창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하한담 · 더보기 »

암행어사

암행어사는 조선 시대에 지방에 파견되어 지방관의 감찰과 백성의 사정을 조사하는 일을 비밀리에 수행했던 국왕 직속의 임시 관리로 부사의 일종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암행어사 · 더보기 »

아주동

아주동(鵝州洞)은 경상남도 거제시의 행정동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아주동 · 더보기 »

아산시

아산시(牙山市)는 대한민국 충청남도 북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아산시 · 더보기 »

아시아의 역사

아시아의 문명을 잇는 실크로드 몽골제국 이전의 아시아 아시아의 역사는 동아시아와 남아시아, 중동등의 해안 지역과 이를 잇는 유라시아 스텝 지역의 역사 등으로 이루어져 있. 해안 지역에서는 메소포타미아와 인더스 강, 황하 등의 큰 강 유역에서 주요 고대 문명이 발생하였.

새로운!!: 조선 영조와 아시아의 역사 · 더보기 »

학성동 (울산)

학성동(鶴城洞)은 울산광역시 중구의 행정동, 법정동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학성동 (울산) · 더보기 »

식민사관

식민사관(植民史觀)은 일제강점기 일제의 한국 식민 지배를 정당화하고 한국인에 대한 통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일제에 의해 정책적 · 조직적으로 조작된 역사관을 말. 대체로, 한민족을 역사적으로 다른 나라에 지배되어 왔고 자립 능력이 없는 정체된 민족으로 부각시켜 일본의 한국 병탄을 정당화하였.

새로운!!: 조선 영조와 식민사관 · 더보기 »

신무문

신무문 신무문(神武門)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에 있는 경복궁의 북문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신무문 · 더보기 »

신문고

신문고(申聞鼓)는 1402년(태종 2년) 특수청원(特殊請願)·상소(上訴)를 위하여 대궐 밖 문루(門樓)에 달았던 북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신문고 · 더보기 »

신경준

신경준(申景濬, 1712년~1781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실학자로서, 자는 순민(舜民), 호는 여암(旅庵), 본관은 고령(高靈)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신경준 · 더보기 »

신경준 고지도

신경준 고지도(申景濬 古地圖)는 조선 시대 신경준이 제작한 지도 2매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신경준 고지도 · 더보기 »

신병주

신병주(申炳周, 1963년 5월 6일 ~)는 대한민국의 한국사학자이며 건국대학교 사학과 교수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신병주 · 더보기 »

신임

신임(申銋, 1642년 ~ 1725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신임 · 더보기 »

신임사화

신임사화(辛壬士禍) 또는 신임옥사(辛壬獄事)는 조선 경종 즉위 1년 후인 1721년부터 다음 해 1722년까지 당파인 노론과 소론 이 연잉군 왕세제 책봉문제로 충돌한 사건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신임사화 · 더보기 »

신유박해

신유박해(辛酉迫害)는 1801년(순조 1년)에 발생한 조선의 가톨릭 박해 사건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신유박해 · 더보기 »

신윤복

신윤복(申潤福, 1758년 ~ 1814년경)은 조선 후기의 관료이자 화가로서, 산수화와 풍속화를 잘. 또한 양반 관료들의 이중성과 위선을 풍자한 그림, 여성들의 생활상을 그린 그림을.

새로운!!: 조선 영조와 신윤복 · 더보기 »

신영동 (서울)

신영동(新營洞)은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동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신영동 (서울) · 더보기 »

신사동 (은평구)

신사동(新寺洞)은 서울특별시 은평구의 법정동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신사동 (은평구) · 더보기 »

신안 주씨

신안 주씨(新安 朱氏) 또는 능성 주씨(綾城 朱氏)는 중국에서 유래한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신안 주씨 · 더보기 »

심달원

심달원(沈達源, 1494년 ~ 1535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청송(靑松), 자는 자용(子容)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심달원 · 더보기 »

심전

심전(沈銓, 1496년∼1589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외척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심전 · 더보기 »

심유현

심유현(沈維賢, ? ~ 1728년)은 조선의 외척이자, 역신(逆臣)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심유현 · 더보기 »

심순택

심순택(沈舜澤, 1824년 ~ 1906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심순택 · 더보기 »

심언광

심언광(沈彦光, 1487년 ~ 1540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심언광 · 더보기 »

심풍지

심풍지(沈豊之, 1738년 ~ 1793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심풍지 · 더보기 »

심사정

심사정(沈師正, 1707년(숙종 33년) ~ 1769년(영조 45년))은 조선시대 후기의 화가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심사정 · 더보기 »

심환지

심환지 영정, 보물 1480호 심환지(沈煥之, 1730년 - 1802년 10월 18일)는 조선 영조·정조 시대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심환지 · 더보기 »

십팔기

십팔기(十八技, 18기)는 조선 영조 25년(1749년), 사도세자가 정리해 《무예신보》(武藝新譜)에 수록한 18가지 보병무예의 총칭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십팔기 · 더보기 »

시조

시조(時調)는 고려 중엽에 발생한 한국 전통 시 양식의 하나이며, 조선 시대에 유행한 시가 양식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시조 · 더보기 »

시파

시파(時派)는 조선 정조 시기 정조의 탕평책을 지지한 세력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시파 · 더보기 »

원덕읍

원덕읍(遠德邑)은 강원도 삼척시의 읍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원덕읍 · 더보기 »

원릉

원릉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조선 영조와 원릉 · 더보기 »

원릉 (조선)

원릉(元陵)은 영조와 정순왕후 김씨의 묘로 1776년 7월 27일에 조성되었으며,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에 있. 동구릉 중의 하나로 사적 제193호로 지정되어 있.

새로운!!: 조선 영조와 원릉 (조선) · 더보기 »

원주 원씨

원주 원씨(原州 元氏)는 강원도 원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원주 원씨 · 더보기 »

원주시의 문화재

민국 강원도 원주시의 문화재 목록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원주시의 문화재 · 더보기 »

훈련도감

훈련도감(訓鍊都監)은 1593년(선조 26년) 임진왜란 중 임금의 수도 환궁 직후 명나라 전략가 척계광의 저서인 기효신서를 참고로 창설된 수도방위군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훈련도감 · 더보기 »

훈민정음 운해

《훈민정음 운해》(訓民正音韻解)는 조선 영조 26년(1750년) 여암 신경준이 운도(韻圖)를 작성해서 한자로 음운(音韻)을 나타낸 책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훈민정음 운해 · 더보기 »

후암동

후암동(厚岩洞)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있는 행정동 및 법정동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후암동 · 더보기 »

홍릉

홍릉은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홍릉 · 더보기 »

홍릉 (정성왕후)

홍릉(弘陵)은 조선 제21대 왕 영조의 원비 정성왕후 서씨의 능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홍릉 (정성왕후) · 더보기 »

홍계희

《조선인래조기(朝鮮人來朝記)》. 1748년 통신사가 파견되었을 당시 일본에서 기록한 책이다. “조선국왕 이금(영조) 朝鮮國王 李衿, 정사 홍계희(洪啓禧), 부사 남태기(南泰耆), 종사 조명채(曺命采)”의 이름이 보인다. 또한 부산에서 대마도를 거쳐 에도江戶에 이르는 통신사 노정을 보여주는 「사로승구도」를 그린 화원 이성린(李聖麟)의 이름도 찾아볼 수 있다. 홍계희(洪啓禧, 1703년 ~ 1771년)는 조선의 문신(文臣)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홍계희 · 더보기 »

홍봉한

홍봉한(洪鳳漢, 1713년 ~ 1778년)은 조선 말기의 대신으로, 혜경궁 홍씨의 아버지이며 장헌세자(사도세자)의 장인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홍봉한 · 더보기 »

홍국영

홍국영(洪國榮, 1748년 ~ 1781년 4월 28일(음력 4월 5일))은 조선 영조,정조대의 세도 정. 본관은 풍산(豊山)이며, 자는 덕로(德老)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홍국영 · 더보기 »

홍국영 (드라마)

《홍국영》은 MBC에서 2001년 3월 26일부터 2001년 8월 7일까지 방영된 월화 드라마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홍국영 (드라마) · 더보기 »

홍낙순

홍낙순(洪樂純, 1723년 ~ ?)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홍낙순 · 더보기 »

홍이포

남양주 실학박물관 야외에 전시된 홍이포 복원품. 실제 발사가 가능한 물건이다. 홍이포(紅夷砲)는 네덜란드에서 중국 청나라를 거쳐 유. 그 당시 네덜란드를 홍이(紅夷)라고 불렀기 때문에 홍이포라고 이름이 지어졌.

새로운!!: 조선 영조와 홍이포 · 더보기 »

홍인한

홍인한(洪麟漢, 1722년 ~ 1776년 7월 5일)은 조선 후기의 문인이자 정치가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홍인한 · 더보기 »

홍제동 (강릉시)

홍제동(弘濟洞)은 대한민국 강원도 강릉시의 행정동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홍제동 (강릉시) · 더보기 »

홍석보

홍석보(洪錫輔, 1672년 ~ 1729년)는 조선시대의 문신으로, 본관은 풍산.

새로운!!: 조선 영조와 홍석보 · 더보기 »

홍세태

홍세태(洪世泰, 1654년 1월 25일(음력 1653년 12월 7일『유하집』, 부록, 묘지명)~1725년 2월 27일(음력 1월 15일))는 조선 후기의 시인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홍세태 · 더보기 »

황보인

황보 인(皇甫仁, 1387년 ~ 1453년)은 조선 전기의 문관 겸 정치가이며, 단종의 충신 3 상신(相臣) 중 한명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황보인 · 더보기 »

황인점

황인점(黃仁點, 1732년 ~ 1802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화유옹주의 남편이며, 영조의 사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황인점 · 더보기 »

황정

황정(黃晸, 1689년 ~ 1752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황정 · 더보기 »

황윤석

황윤석(黃胤錫, 1729년 5월 25일(음력 4월 28일) ~ 1791년 5월 19일(음력 4월 17일))은 조선 영·정조 시대의 학자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황윤석 · 더보기 »

황학동

황학동(黃鶴洞)은 서울특별시 중구의 동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황학동 · 더보기 »

외명부

외명부(外命婦)는 황·왕실의 여성이나 공신의 어머니 혹은 처, 그리고 문무대신의 어머니 혹은 처로서 봉호(封號)된 여성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외명부 · 더보기 »

외척

외척(外戚)은 어머니 쪽의 친척을 이르는 말로 동양에서는 역사적으로 왕후, 황후 혹은 후궁의 친정사람들을 이르는 말로 쓰였.

새로운!!: 조선 영조와 외척 · 더보기 »

환국

환국(換局)은 시국이나 정국이 바뀌었다는 것을 뜻. 특히 한국사에서 조선 후기에 집권 세력이 급변하면서 이에 따라 정국이 바뀌는 것을 가리.

새로운!!: 조선 영조와 환국 · 더보기 »

화령옹주

화령옹주(和寧翁主, 1752년 ~ 1821년 음력 9월 3일)은 조선의 왕족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화령옹주 · 더보기 »

화길옹주

화길옹주(和吉翁主, 1754년 ~ 1772년 음력 12월 18일)는 조선의 왕족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화길옹주 · 더보기 »

왔다! 장보리

《왔다! 장보리》는 2014년 4월 5일부터 2014년 10월 12일까지 MBC에서 매주 주말 밤 8시 45분에 방영된 문화방송 주말연속극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왔다! 장보리 · 더보기 »

화평옹주

화평옹주(和平翁主, 1727년 4월 27일 ~ 1748년 6월 24일)는 조선의 왕족으로, 제21대 왕 영조의 서녀이며, 생모는 영빈 이씨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화평옹주 · 더보기 »

화유옹주

화유옹주(和柔翁主, 1740년 ~ 1777년)는 조선의 왕족으로, 영조의 10녀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화유옹주 · 더보기 »

화순옹주 (고려)

화순옹주(和順翁主, 생몰년 미상)는 고려의 제32대 왕 우왕의 후궁으로, 이름은 소매향(小梅香)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화순옹주 (고려) · 더보기 »

화순옹주 (영조)

화순옹주(和順翁主, 1720년 ~ 1758년 1월 17일)는 조선 제21대 임금 영조(英祖, 1694~1776, 재위 1724~1776)의 차녀로 어머니는 정빈 이씨(靖嬪 李氏, 1694~1721)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화순옹주 (영조) · 더보기 »

화협옹주

화협옹주(和協翁主, 1733년 음력 3월 7일 ~ 1752년 음력 11월 27일)는 조선의 왕족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화협옹주 · 더보기 »

화억옹주

화억옹주(和億翁主, 1717년 4월 22일 ~ 1718년 4월 8일)는 조선의 옹주이자 제21대 영조의 장녀로 어머니는 정빈 이씨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화억옹주 · 더보기 »

화한삼재도회

섬네일 《화한삼재도회》(和漢三才圖會)는, 쇼토쿠(正德) 2년(1712년)경 출판된 일본의 백과사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화한삼재도회 · 더보기 »

화완옹주

화완옹주(和緩翁主, 1738년 3월 9일 (음력 1월 19일) ~ 1808년 5월)는 조선의 제 21대 왕 영조와 영빈 이씨의 딸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화완옹주 · 더보기 »

완풍대군

완풍대군(完豊大君, 1330년 ~ 1388년 10월 23일) 또는 완산군(完山君)은 고려 시대 후기의 무신·군인·관료·시인 이며 환조 이자춘의 아들이자 조선 태조 이성계의 이복 형으로 이름은 이원계(李元桂), 호(號)는 불사재(不思齋)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완풍대군 · 더보기 »

완산구

완산구(完山區)는 대한민국 전라북도 전주시 남부에 있는 구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완산구 · 더보기 »

완성군

완성군 이희(完城君 李爔, 1771년 10월 9일 ~ 1830년 6월 6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문신이며, 도정궁(都正宮) 사손(嗣孫)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완성군 · 더보기 »

왕도 (드라마)

《왕도》(王道)는 1991년 대한민국의 방송사 KBS에서 방영된 드라마이며 조선 정조시대 때 절대권력을 누린 홍국영의 일생을 중심으로 한 사극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왕도 (드라마) · 더보기 »

왕세자

왕세자(王世子)는 왕위 계승의 제1순위에 있는 왕자를 일컫는 말이며, 부인은 왕세자빈(王世子嬪)이라 부른.

새로운!!: 조선 영조와 왕세자 · 더보기 »

왕세제

왕세제(王世弟)는 칭호의 하나로, 간칭으로 세제라 부르며 왕세자, 왕세손, 왕세숙 등으.

새로운!!: 조선 영조와 왕세제 · 더보기 »

왕세손

왕세손(皇太孫)은 국왕의 적장손이자, 왕세자의 적장자로 왕위계승 서열 2위에 해당.

새로운!!: 조선 영조와 왕세손 · 더보기 »

10월 31일

10월 3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04번째(윤년일 경우 30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조선 영조와 10월 31일 · 더보기 »

1670년

1670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1670년 · 더보기 »

1694년

1694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1694년 · 더보기 »

1704년

1704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1704년 · 더보기 »

1718년

1718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1718년 · 더보기 »

1724년

1724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1724년 · 더보기 »

1725년

1725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1725년 · 더보기 »

1726년

1726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1726년 · 더보기 »

1727년

1727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1727년 · 더보기 »

1728년

1728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1728년 · 더보기 »

1729년

1729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1729년 · 더보기 »

1730년

1730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1730년 · 더보기 »

1731년

1731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1731년 · 더보기 »

1732년

1732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1732년 · 더보기 »

1733년

1733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1733년 · 더보기 »

1734년

1734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1734년 · 더보기 »

1735년

1735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1735년 · 더보기 »

1736년

1736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1736년 · 더보기 »

1737년

1737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1737년 · 더보기 »

1738년

1738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1738년 · 더보기 »

1739년

1739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1739년 · 더보기 »

1740년

1740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1740년 · 더보기 »

1741년

1741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1741년 · 더보기 »

1742년

1742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1742년 · 더보기 »

1743년

1743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1743년 · 더보기 »

1744년

1744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1744년 · 더보기 »

1745년

1745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1745년 · 더보기 »

1746년

1746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1746년 · 더보기 »

1747년

1747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1747년 · 더보기 »

1748년

1748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1748년 · 더보기 »

1749년

1749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1749년 · 더보기 »

1750년

1750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1750년 · 더보기 »

1751년

1751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1751년 · 더보기 »

1752년

1752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1752년 · 더보기 »

1753년

1753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1753년 · 더보기 »

1754년

1754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1754년 · 더보기 »

1755년

1755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1755년 · 더보기 »

1756년

1756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1756년 · 더보기 »

1757년

1757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1757년 · 더보기 »

1758년

1758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1758년 · 더보기 »

1759년

1759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1759년 · 더보기 »

1760년

1760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1760년 · 더보기 »

1761년

1761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1761년 · 더보기 »

1762년

1762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1762년 · 더보기 »

1763년

1763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1763년 · 더보기 »

1764년

1764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1764년 · 더보기 »

1765년

1765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1765년 · 더보기 »

1766년

1766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1766년 · 더보기 »

1767년

1767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1767년 · 더보기 »

1768년

1768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1768년 · 더보기 »

1769년

1769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1769년 · 더보기 »

1770년

1770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1770년 · 더보기 »

1771년

1771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1771년 · 더보기 »

1772년

1772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1772년 · 더보기 »

1773년

1773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1773년 · 더보기 »

1774년

1774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1774년 · 더보기 »

1775년

1775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1775년 · 더보기 »

1776년

1776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1776년 · 더보기 »

1800년

1800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1800년 · 더보기 »

1800년대

1800년대는 1800년부터 1809년까지를 가리.

새로운!!: 조선 영조와 1800년대 · 더보기 »

1805년

1805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1805년 · 더보기 »

19세기

세실 존 로드의 케이프-카이로 철도 계획을 풍자한 그림. 영국의 아프리카 남북 분할의 상징이다. 제1차 아편 전쟁의 전투기록화 19세기(- 世紀)는 1801년부터 1900년까지의 기간이.

새로운!!: 조선 영조와 19세기 · 더보기 »

2월 13일

2월 1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44번째(윤년일 경우도 4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조선 영조와 2월 13일 · 더보기 »

4월 22일

4월 2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12번째(윤년일 경우 11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조선 영조와 4월 22일 · 더보기 »

7월 4일

7월 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85번째(윤년일 경우 18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조선 영조와 7월 4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이금, 조선 영종, 영조, 영조대왕, 영조지행순덕영모의열장의홍륜광인돈희체천건극성공신화대성광운개태기영요명순철건건곤녕배명수통경력홍휴중화융도숙장창훈정문선무희경현효대왕, 양성헌 이금, 연잉군.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