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조선 정조

색인 조선 정조

정조 (正祖, 1752년 10월 28일(음력 9월 22일) ~ 1800년 8월 18일(음력 6월 28일))는 조선의 제22대 왕이며, 대한제국의 추존 황제이.

702 처지: 덕릉 (조선), 덕산동 (창원시), 도검, 도곡면, 도암면 (화순군), 동방 (성씨), 동경관, 동국세시기, 동작구, 동사강목, 동해 추암, 라페루즈 백작 장프랑수아 드 갈롭, 류림, 리원군, 매산동 (수원시), 만안교, 만안구, 마곡사, 마지휘, 마유 (조선), 마사인, 목내선, 목상동 (대전), 명량대첩비, 명촌동, 명온공주, 명성황후, 무거동, 무기, 무주 김씨, 무예, 무예도보통지, 무사 백동수, 문효세자, 문익점, 문체반정, 묘호, 미인도 (영화), 미원현, 미황사, 민기현, 민진원, 민신, 밤을 걷는 선비, 방 (성씨), 방우정, 방중현, 방어동, 방역, 배봉산, ..., 배수빈, 백동수, 백광두, 백자청화영빈이씨 묘지·명기 및 석함, 백시구, 개운사 (서울), 발해고, 반계수록, 반기독교운동, 반남 박씨, 갑술환국, 바람의 화원 (드라마), 간도, 간평일구·혼개일구, 박 여인 사건, 강민첨 초상, 박건태, 박달동, 박제가, 박정양, 박지원 (1737년), 강위, 박영효, 강현종, 박형원 (조선), 강석우, 강세황, 강세황 초상, 강화도, 가체, 거상 김만덕, 건릉, 격구, 경기도의 축제 목록, 경기감영도, 경희궁, 경종실록, 벽파, 경상감영, 경암루, 법동 (대전), 고기 (역사서), 고금면, 고우림, 보은의 백송, 과농소초, 공 (성씨), 복건 (복식), 공빈 최씨, 광한루, 봉원사, 봉황정, 관덕정, 관서 지방, 관악산, 북면 (화순군), 북정동 (울산), 궁호, 북학, 북학의, 권일신, 권절, 권전, 권철신, 권상연, 권삼득, 불설대보부모은중경판, 붕당, 부교, 부창동, 부원군, 규장각, 귀인 조씨 (영조), 귀후서, 금난전권, 금등지사, 금정동, 금성대군, 금암기적비, 깍두기, 빈 (지위), 비밀의 문: 의궤 살인 사건, 김덕령, 김만덕, 김문기, 김문순 (1744년), 김경중 (1863년), 김관주, 김귀주, 김단율, 김용건, 김용겸, 김우명, 김우석 (배우), 김흥기, 김이영, 김인후, 김일경 (1662년), 김일엽 (승려), 김응환, 김제 (고려), 김정희, 김조순, 김좌근, 김종직, 김종수, 김종수 (1728년), 김종후, 김진규 (소설가), 김창업, 김창하 (조선), 김육, 김상로, 김상중, 김석환 (성우), 김성걸, 김약련, 김한록, 김한기, 김하영 (1979년), 김시묵, 김홍도, 김완 (1546년), 대동운부군옥, 대리청정, 대박 (드라마), 대박산 (평양), 대빈묘, 대구광역시, 대흥 필씨, 대전통편, 대현동 (울산), 대송동,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국기, 대한민국의 정부표준영정,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 대한의원, 대한제국의 역대 황제, 대왕의 길, 교서관, 구 (성씨), 구승현, 국도 제1호선, 국조보감, 군부인 신씨, 군포 동래정씨 동래군파 종택, 군포동, 두문동칠십이인, 남목동, 남효온, 남인, 남태령, 남양주 흥국사 대웅보전, 남연군, 남성진, 남한산성, 남원 윤씨, 낭 (성씨), 내시부, 난중일기, 나은 (당), 나주 무열사, 나주 불회사 대웅전, 나주 정씨 (丁), 나혜석, 낙천군, 낙산사, 노론, 노블레스 오블리주, 노상추, 노상추일기, 다운동, 달성 하씨, 효령대군, 효문동, 효의황후, 효의왕후, 효창동, 효창공원, 효순왕후, 효현왕후, 용주사, 용양봉저정, 용산구, 우만동, 우정동, 울산향교, 울산왜성, 장릉 (조선 단종), 장릉배식록, 장기향교, 장용영, 장승배기역, 장흥 임씨, 장흥 위씨, 장태우, 장현광, 장성 김인후 신도비, 장성 필암서원, 임경업, 임경업 초상, 임구 풍씨, 임오화변, 평산군부인 신씨 (상계군), 흥국사 (고양시), 흥선대원군, 이도현, 이만운 (1723년), 이무 선생 묘 및 신도비, 이민우 (배우), 이강원 (1863년), 이가환, 이벽, 이곤수, 이광려, 이광헌, 이기축, 이우, 이승훈 (1756년), 이요헌, 이재각, 이재관 (화가), 이재선 추대 사건, 이이, 이인화, 이익 (1681년), 이정용, 이조, 이조헌, 이종상, 이징옥, 이징옥의 난, 이철득, 이철승, 이상호 (1702년), 이태영 (1744년), 이순신, 이현일, 이현상 (1770년), 이형복, 이형규 (조선), 이양선, 이풍 (조선), 이산, 이산 (드라마), 이성득 (조선 왕족), 이서구 (조선), 이서우 (1633년), 이서진, 이해 (1496년), 이해랑, 이안묵, 이하전, 이시희, 이원정 (1622년), 이황, 이화동 (서울), 이완 (1791년), 인계동, 인천광역시의 역사, 인어대방, 일기, 음력 6월 28일, 음력 7월 8일, 음력 9월 22일, 의기사, 의빈 성씨, 의소, 의소세자, 은전군, 은언군, 은신군, 적서 차별, 제릉, 제주 부씨, 제주성지, 전고종갓, 전계대원군, 전극항, 전주시의 역사, 전호진 (배우), 정 (시호), 정도전, 정보 (조선), 정관정요, 정빈 이씨, 정재곤, 정조 (동음이의), 정조 어제 채제공 뇌문비, 정조 어찰첩, 정조 선황제, 정조로, 정조암살미스터리: 8일, 정조필 국화도, 정조실록, 정종, 정유역변, 정순왕후 (조선 영조), 정성왕후, 정약용, 정약전, 정약종, 정약현, 정후겸, 조문명, 조경 (1727년), 조경묘, 조경환 (배우), 조재호 (1702년), 조영 통상 조약, 조엄 (조선), 조선, 조선 문조, 조선 장조, 조선 정종, 조선 정종 (22대), 조선 정종(22대), 조선 진종, 조선 철종, 조선 순조, 조선 숙종, 조선 영조, 조선 헌종, 조선 후기의 문학, 조선 왕 가계도, 조선명탐정: 각시투구꽃의 비밀, 조선의 과거 제도, 조선의 대외 관계, 조선의 역대 국왕, 조선의 역대 왕비, 조선의 역대 왕대비, 조선의 역대 왕세자빈, 조선의 역사, 조선의 연호, 조선의 왕세자, 조선의 왕세손, 조선왕릉, 조선왕조 오백년, 조성하 (배우), 좌의정, 종묘, 중앙동 (울산), 중화절, 증보문헌비고, 집경전, 진북학의소, 진주성, 진안대군, 진안군 (왕족), 지용기, 지지대 고개, 지지대비, 차천로, 창덕궁, 창덕궁 측우대, 창경궁, 창녕 성씨, 창원 구씨, 채 (성씨), 채용신, 채제공, 책문후시, 첩지머리, 청계천, 청계산 (경기/서울), 청근옹주, 청연공주, 청풍 김씨, 청풍면 (화순군), 청선공주, 청암사, 천방지축마골피, 천곡사 (통천군), 천주교 전주교구, 처영, 초계문신, 초요기, 충무공이순신전서, 춘향전, 추관지, 측우기, 칠궁, 칠성동, 판문동, 판소리, 유득공, 유형원, 유언호, 유연지, 육진팔광, 윤급, 윤의제, 윤제동, 윤증, 윤지충, 윤치호, 윤휴, 윤선도, 윤시동, 파문 (드라마), 파장동, 휘경원, 융건릉, 팔달문, 상계군, 탁지지, 상산군부인 김씨, 상산군부인 송씨, 택견, 태교신기, 태장고등학교, 탕평책, 투전, 순원왕후, 순화군, 수빈 박씨, 수암동 (울산), 수원 백씨, 수원 화성, 수원군, 수원시, 숙빈 임씨, 숙의 문씨 (영조), 숙의 박씨 (순조), 숙선옹주, 숙안공주, 영빈 이씨, 영남 만인소, 영등포동, 영등포구, 영평군 (1828년), 영의정, 영온옹주, 영원한 제국, 옥동 (울산), 온온사, 온양 방씨, 온양온천, 예천 명봉리 경모궁 태실 감역 각석문, 예천 문효세자 태실, 현빈, 최수한, 최영손, 어진, 어유봉, 언양군, 양반, 양반전, 양정동 (울산), 양주 낭씨, 양산 남강서원 소장 어정두륙천선, 양산 남강서원 소장 어정사부수권, 여수절도사안숙사적비, 여수호좌수영수성창설사적비, 역린 (영화), 역사 연표, 역사저널 그날의 에피소드 목록, 역사채널e, 연조귀감, 열상방언, 열하일기, 헌경왕후, 허목, 허균, 허난설헌, 허적, 허정숙, 표훈사, 풍계군, 풍양 조씨, 풍산 홍씨, 사도 (영화), 사르후 전투, 사육신, 사육신묘, 사심충만 오!쾌남, 산림 (정치), 산대나례, 삼척 죽서루, 삼산동 (울산), 삼성사, 삼학사전, 피휘, 피서산장, 선 (시호), 선운사, 성균관 스캔들, 성주 옥천서원, 세도정치, 서매수, 서명선, 서광범, 서북피아양계만리일람지도, 서운관지, 서재창, 서재영 (1867년), 서재필, 서일보, 서유구, 서유녕, 서호공원, 서호수, 서얼, 서얼 금고령, 서산 해미읍성, 서삼릉, 송자대전, 송현수, 송시열, 소론, 소의 유씨, 소지섭, 소설 목민심서, 소안도, 통명전, 합덕제, 항주 황씨, 해동 (별칭), 해동농서, 해동삼국도, 해미면, 해남 대흥사 서산대사유물, 해주 오씨, 해안군, 해암정, 야미도, 야음장생포동, 약천정, 약사동 (울산), 한복, 한국 법제의 역사,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한국의 미술, 한국의 민속놀이, 한국의 천문학, 한국의 역사, 한국의 연극, 한국의 왕자와 왕녀 목록,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 한국사 전, 한일도서협정으로 반환된 도서 목록, 한중록, 한중록 (드라마), 한치윤, 한상진 (배우), 한성별곡, 안동시의 역사, 안경, 안내상, 안정복, 안양시, 안성기, 하회마을, 아산시, 필성뢰, 아시아의 역사, 신미양요, 신경준 고지도, 신정왕후 (조선), 신천 (대구), 신유박해, 신위, 신해박해, 신해통공, 신한평, 실학파 문학, 심능악, 심의면, 심풍지, 심환지, 십팔기, 시대 배경순 영화 목록, 시흥동 (서울), 시파, 원빈 홍씨, 월봉서원, 홍릉 (정성왕후), 홍명희, 홍봉한, 홍국영, 홍국영 (드라마), 홍낙순, 홍낙성, 홍우원, 홍희 (1884년), 홍인한, 홍익만, 홍종현 (배우), 홍현주, 홍양호, 황사영, 황사영 백서, 황선신, 외규장각, 화령전, 화령옹주, 화길옹주, 화빈 윤씨, 화평옹주, 화순읍, 화순옹주 (영조), 화협옹주, 화억옹주, 화성 용주사 회양목, 화성행궁, 화성행행도 병풍, 화성시, 화완옹주, 완도 묘당도 이충무공 유적, 완도 충무사, 완성군, 왕 (한국 성씨), 왕도 (드라마), 왕세손, KBS 스페셜, 10월 28일, 1752년, 1753년, 1762년, 1776년, 1777년, 1778년, 1779년, 1780년, 1781년, 1782년, 1783년, 1784년, 1785년, 1786년, 1787년, 1788년, 1789년, 1790년, 1791년, 1792년, 1793년, 1794년, 1795년, 1796년, 1797년, 1798년, 1799년, 1800년, 1800년 주권국의 지도자 목록, 1800년대, 19세기, 2009년 2월, 2월 9일, 8월 18일, 8월 5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652 더) »

덕릉 (조선)

덕릉(德陵)은 조선의 추존왕 목조의 능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덕릉 (조선) · 더보기 »

덕산동 (창원시)

덕산동(德山洞)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의 행정동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덕산동 (창원시) · 더보기 »

도검

일:Hallstatt culture swords ramsauer.jpg|고대 켈트족 할슈타트 문명의 무쇠장검 파일:Sword 7-IMG 4419-white.jpg|동주 시대 중국의 청동검 파일:Докэн.png|야요이 시대 일본의 청동검 파일:Roman gladius-transparent.png|고대 로마의 글라디우스 파일:Sword mounting-MAO 423-IMG 0335-white.jpg|사산 제국의 검 파일:ClaymoreHighlanderReplica.jpg|중세 하일랜드의 클레이모어 파일:Katana-Dresden.jpg|중근세 일본의 타도 파일:Dresden-Zwinger-Armoury-Sword.04.JPG|중근세 유럽의 츠바이헨더 파일:Epée de justice IMG 3471.jpg|중근세 유럽의 리히트슈비에트 파일:Rapiere-Morges-kitsch.jpg|근세 유럽의 레이피어 파일:Tanto-seconde-guerre-mondiale.jpg|일본의 단도 파일:Sabre mg 7029.jpg|프랑스 제1제국의 군용 세이버 파일:English heavy cavalry sword.jpg|18세기 잉글랜드의 중기병검 파일:Claymore2-Morges.jpg|18세기 스코틀랜드의 브로드소드 파일:Training cutlass-IMG 1112-a-white.jpg|대항해시대 프랑스의 커틀라스 파일:Colichemarde IMG 5570b.jpg|18세기 프랑스의 궁정검 파일:01 ak47.jpg|소련 칼라시니코프 자동소총용 총검 파일:Epee-IMG 1088-c-white.jpg|펜싱용 에페 도검(刀劍)은 찌르거나 베는 방식으로 인마살상을 하기 위한 날붙이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도검 · 더보기 »

도곡면

곡면(道谷面)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화순군 남부에 위치한 면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도곡면 · 더보기 »

도암면 (화순군)

암면(道岩面)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화순군 남부에 위치한 면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도암면 (화순군) · 더보기 »

동방 (성씨)

동방(東方)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동방 (성씨) · 더보기 »

동경관

동경관(東京館)은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는 건축물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동경관 · 더보기 »

동국세시기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는 정조 때의 학자 홍석모가 한국의 열두 달 행사와 그 풍속을 설명한 책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동국세시기 · 더보기 »

동작구

동작구(銅雀區)는 서울특별시의 남부에 있는 구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동작구 · 더보기 »

동사강목

《동사강목》(東史綱目)은, 조선의 학자 안정복(安鼎福)이 저술한 강목체(綱目體) · 편년체(編年體) 역사서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동사강목 · 더보기 »

동해 추암

동해 추암(東海 湫岩)은 강원도 동해시 추암동에 있는 바위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동해 추암 · 더보기 »

라페루즈 백작 장프랑수아 드 갈롭

백작 장프랑수아 드 갈롭 라페루즈 백작 장프랑수아 드 갈롭(1741년 8월 23일~1788년 ?~? 실종)는 프랑스의 해군 장교이자 탐험가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라페루즈 백작 장프랑수아 드 갈롭 · 더보기 »

류림

림(柳琳, 1581년 2월 6일 ~ 1643년)은 조선의 무신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류림 · 더보기 »

리원군

리원군(利原郡)은 함경남도 동북부에 위치한 군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리원군 · 더보기 »

매산동 (수원시)

매산동(梅山洞)은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의 행정동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매산동 (수원시) · 더보기 »

만안교

만안교(萬安橋)는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에 있는 조선 시대의 다리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만안교 · 더보기 »

만안구

만안구(萬安區)는 경기도 안양시 서부에 있는 구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만안구 · 더보기 »

마곡사

마곡사(麻谷寺)는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운암리 태화산 동쪽 산허리에 있는 절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마곡사 · 더보기 »

마지휘

마지휘(馬之徽, 1725년 ~ ?)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마지휘 · 더보기 »

마유 (조선)

마유(馬游, 1759년 ~ ?)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마유 (조선) · 더보기 »

마사인

마사인(馬思人, 1755년 ~ ?)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마사인 · 더보기 »

목내선

목내선(睦來善, 1617년 ~ 1704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목내선 · 더보기 »

목상동 (대전)

목상동(木上洞)은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대덕구의 행정동, 법정동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목상동 (대전) · 더보기 »

명량대첩비

명량대첩비는 충무공 이순신 장군이 정유재란 때인 1597년 10월 25일(음력 9월 16일) 울돌목에서 거둔 명량 대첩을 기록한 비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명량대첩비 · 더보기 »

명촌동

명촌문화회관 명촌동(明村洞)은 대한민국 울산광역시 북구의 법정동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명촌동 · 더보기 »

명온공주

명온공주(明溫公主, 1810년 음력 10월 13일 ~ 1832년 음력 6월 13일)는 조선의 왕족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명온공주 · 더보기 »

명성황후

쪽.

새로운!!: 조선 정조와 명성황후 · 더보기 »

무거동

무거동(無去洞)은 울산광역시 남구의 법정동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무거동 · 더보기 »

무기

무기(武器)는 인류가 군집 생활을 하면서 야생 동물로부터 신변을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발명되었을 뿐만 아니라 삶을 꾸려가기 위한 수단인 사냥에 필요한 도구로 사용되었.

새로운!!: 조선 정조와 무기 · 더보기 »

무주 김씨

무주 김씨(茂朱金氏)는 전라북도 무주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무주 김씨 · 더보기 »

무예

무예(武藝)는 근대 이전의 전통적인 전투 기술에서 발전한, 심신 (心身)의 단련을 위한 체계적인 수련 방법을 말. 무술(武術), 무도(武道), 격투기(格鬪技) 등으로 부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무예 · 더보기 »

무예도보통지

무예도보통지의 한 장면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는 규장각 검서관인 이덕무, 박제가와 장용영 장교인 백동수 등이 정조의 명으로 1790년(정조 14년)에 편찬한 훈련용 병서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무예도보통지 · 더보기 »

무사 백동수

《무사 백동수》는 2011년 7월 4일부터 2011년 10월 10일까지 SBS에서 방송된 월화드라마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무사 백동수 · 더보기 »

문효세자

문효세자(文孝世子, 1782년 10월 13일(음력 9월 7일) ~ 1786년 6월 6일(음력 5월 11일))는 조선의 왕세자(王世子)이자 제22대 정조의 장자이며, 의빈 성씨에게서 얻은 첫아들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문효세자 · 더보기 »

문익점

문익점(文益漸, 1331-1400)은 고려 말의 학자, 문신, 외교관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문익점 · 더보기 »

문체반정

문체반정(文體反正)은 조선 정조가 당대에 연암 박지원의 《열하일기》와 같이 참신한 문장들을 패관소품이라 규정하고, 기존 고문(古文)들을 모범으로 삼아야 한다고 하여 일으킨 사건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문체반정 · 더보기 »

묘호

묘호(廟號)는 중국, 한국, 베트남 등 동양의 봉건 왕조 국가에서 황제 또는 국왕과 같은 군주에게만 붙인 칭호로 군주가 승하한 뒤 태묘(太廟, 또는 종묘)에서 군주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낼 때 사용되었.

새로운!!: 조선 정조와 묘호 · 더보기 »

미인도 (영화)

《미인도》는 2008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미인도 (영화) · 더보기 »

미원현

미원현(迷原縣) 고려시대에 양평군 지역에 있던 행정구역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미원현 · 더보기 »

미황사

미황사(美黃寺)는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에 위치한 대한불교조계종의 사찰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미황사 · 더보기 »

민기현

민기현(閔耆顯, 1751년 ~ 1811년)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이자 외척으로 여양부원군 민유중의 아들 민진후의 증손이며 이조판서를 지낸 민익수의 손자였.

새로운!!: 조선 정조와 민기현 · 더보기 »

민진원

민진원(閔鎭遠, 1664년 ~ 1736년)은 조선 후기의 척신으로 민유중의 아들이며, 민진후의 남동생, 인현왕후의 작은오빠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민진원 · 더보기 »

민신

민신(閔伸, ? ~ 1453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文臣)이다며, 단종의 충신 중 삼중신의 한명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민신 · 더보기 »

밤을 걷는 선비

《밤을 걷는 선비》는 2015년 7월 8일부터 2015년 9월 10일까지 MBC에서 방영된 수목드라마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밤을 걷는 선비 · 더보기 »

방 (성씨)

방(方, 房, 龐, 邦)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방 (성씨) · 더보기 »

방우정

방우정(方禹鼎, 1772년 ~ 1820년)은 조선의 무신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방우정 · 더보기 »

방중현

방중현《본명: 방문수, 1974년 4월 8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방중현 · 더보기 »

방어동

방어동(方魚洞)은 울산광역시 동구의 하위 행정구역으로, 법정동이자 행정동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방어동 · 더보기 »

방역

방역(方易, 1729년 ~ ?)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방역 · 더보기 »

배봉산

배봉산(拜峰山)은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전농동에 있는 산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배봉산 · 더보기 »

배수빈

2014년 9월 22일의 배수빈. 배수빈(1976년 12월 9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배수빈 · 더보기 »

백동수

백동수(白東脩, 1743년 ~ 1816년)은 조선 후기의 무신으로 이덕무, 박제가와 함께 《무예도보통지》의 편찬에 참여하였.

새로운!!: 조선 정조와 백동수 · 더보기 »

백광두

백광두(1980년 1월 21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백광두 · 더보기 »

백자청화영빈이씨 묘지·명기 및 석함

백자청화영빈이씨묘지·명기 및 석함(白磁靑華暎嬪李氏 墓誌․明器 及 石函)은 연세대학교 경내에 있던 영빈이씨(暎嬪李氏: 1696 년~1764년)의 묘인 수경원(綏慶園)을 1970년 경기도 고양시의 서오릉(西五陵)으로 옮길 때 실시한 발굴조사시 출토된 유물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백자청화영빈이씨 묘지·명기 및 석함 · 더보기 »

백시구

백시구(白時耉, 1649년 ~ 1722년)는 조선 후기의 무신이자 충신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백시구 · 더보기 »

개운사 (서울)

운사(開運寺)는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동 5가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소속의 사찰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개운사 (서울) · 더보기 »

발해고

《발해고》(渤海考)는 조선 정조 8년(1784년)에 규장각검서로 일하던 실학자 류득공유득공(柳得恭)은 '유득공'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발해고 · 더보기 »

반계수록

반계수록 본문의 일부 《반계수록》(磻溪隨錄)은 1670년(현종 11년)에 완성되어 1769년(영조 45년)에 간행된 반계 유형원의 대표적인 저술로서 국가체제에 관한 책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반계수록 · 더보기 »

반기독교운동

반기독교운동(反基督敎運動) 또는 안티 기독교 운동은 시민운동의 하나로, 기독교에 반대하는 시민사회운동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반기독교운동 · 더보기 »

반남 박씨

반남 박씨(潘南 朴氏)는 전라남도 나주시 반남면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반남 박씨 · 더보기 »

갑술환국

갑술환국(甲戌換局)은 1694년(숙종 20년) 4월 1일에 발생한 숙종 시대의 3차 환국으로, 기사환국이 발생한 1689년 2월 2일 이후로 정권을 집권해온 남인이 몰락하고, 기사환국 때 몰락했던 서인(노론·소론)이 재집권한 사건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갑술환국 · 더보기 »

바람의 화원 (드라마)

《바람의 화원》은 SBS가 2008년 9월 24일부터 2008년 12월 4일까지 방영한 신윤복이 여자라는 설정의 드라마로, 이정명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하였.

새로운!!: 조선 정조와 바람의 화원 (드라마) · 더보기 »

간도

(間島)는 압록강 상류와 두만강 북쪽의 조선인 거주 지역을 일컫는 말로, 간도의 범위에 관하여는 여러 이견이 있. 일반적으로 간도라 하면 현재의 연변 조선족 자치주 지역을 가리키며, 두만강 북쪽인 연변 지역을 '북간도'(또는 '동간도'), 그 서쪽인 압록강 북쪽 지역을 '서간도'라 부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간도 · 더보기 »

간평일구·혼개일구

평일구혼개일구(簡平日晷渾蓋日晷)는 간평일구와 혼개일구를 한 개의 돌에 새긴 특이한 해시계로, 간평일구가 위에 새겨져 있고 그 아래에 혼개일구를 약간 크게 새. 1985년 8월 9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841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조선 정조와 간평일구·혼개일구 · 더보기 »

박 여인 사건

박 여인 사건은 황해도 암행어사 수재 이곤수가 처리한 사건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박 여인 사건 · 더보기 »

강민첨 초상

강민첨 초상(姜民瞻 肖像)은 보물 제588호로 고려의 명장이었던 강민첨(姜民瞻)을 그린 초상화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강민첨 초상 · 더보기 »

박건태

박건태(1996년 2월 5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박건태 · 더보기 »

박달동

박달동(博達洞)은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의 법정동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박달동 · 더보기 »

박제가

박제가 박제가(朴齊家, 1750년 11월 5일 ~ 1815년 4월 25일)는 조선 후기의 정치가, 외교관, 통역관, 실학자로 북학파의 거두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박제가 · 더보기 »

박정양

박정양, 1888년 박정양(朴定陽, 1842년 2월 4일(1841년 음력 12월 24일) ~ 1905년 12월 15일(음력 11월 19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외교관, 내각총리대신, 대한제국의 정치가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박정양 · 더보기 »

박지원 (1737년)

박지원(朴趾源, 1737년 3월 5일(음력 2월 5일) ~ 1805년 12월 10일(음력 10월 20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실학자이자 사상가, 외교관, 소설가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박지원 (1737년) · 더보기 »

강위

강위(姜瑋, 1820년 5월 2일 ~ 1884년 4월 5일)는 조선 말기의 한학자, 개화 사상가, 시인이자 금석학자.

새로운!!: 조선 정조와 강위 · 더보기 »

박영효

박영효(朴泳孝, 1861년 ~ 1939년 양력 9월 21일)는 조선 말기의 문신, 정치인, 사상가로 급진개화파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박영효 · 더보기 »

강현종

강현종(1980년 9월 14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 출신 방송인이며,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 감독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강현종 · 더보기 »

박형원 (조선)

박형원(朴逈源, 생몰년 미상)은 조선 후기 정조 임금 치세 시대의 효자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박형원 (조선) · 더보기 »

강석우

강석우(康石雨, (康萬興), 1957년 10월 1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강석우 · 더보기 »

강세황

강세황(姜世晃, 음력 1713년 7월 13일(윤5월 21일정원용, 『경산집』 권19, 한성부 판윤 강공 시장) ~ 1791년 1월 25일(음력 1월 23일))은 조선의 문신, 서화가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강세황 · 더보기 »

강세황 초상

강세황 초상(姜世晃肖像)은 영조·정조 때의 문인서화가 강세황이 자신을 직접 그린 초상화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강세황 초상 · 더보기 »

강화도

강화도(江華島)는 대한민국 경기만에 있는 섬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강화도 · 더보기 »

가체

(加髢) 혹은 다리, 다래는 일종의 가발로, 근대 이전 한국의 여성들이 사용하였.

새로운!!: 조선 정조와 가체 · 더보기 »

거상 김만덕

《거상 김만덕》(巨商 金萬德)은 김만덕의 일대기를 그린 드라마로 2010년 3월 6일부터 2010년 6월 13일까지 KBS 1TV에서 방송되었던 특별기획 역사드라마인데 2TV에서 현대물로 10시 15분에 방영된 열혈 장사꾼 후속이었던 전작 명가와 마찬가지로 1TV에서 9시 40분에 방영.

새로운!!: 조선 정조와 거상 김만덕 · 더보기 »

건릉

릉은 다음을 가리.

새로운!!: 조선 정조와 건릉 · 더보기 »

격구

격구(擊毬)는 전통 공놀이로서 통상적으로 편을 갈라 나무 채나 막대기 등을 이용해 달걀 크기 정도의 공을 쳐서 일정한 거리에 있는 구문(毬門)에 공을 넣어 경기장 밖으로 나가게 하거나, 구멍에 넣는 공놀이들을 가리.

새로운!!: 조선 정조와 격구 · 더보기 »

경기도의 축제 목록

2004년 기준 경기도에서 열리는 축제는 총 59.

새로운!!: 조선 정조와 경기도의 축제 목록 · 더보기 »

경기감영도

〈경기감영도〉(京畿監營圖)는 조선의 지도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경기감영도 · 더보기 »

경희궁

경희궁(慶熙宮)은 서울시에 있는 조선 시대 궁궐로 광해군 9년(1617년)에 건립한 이후, 10대에 걸쳐 임금이 정사를 보았던 궁궐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경희궁 · 더보기 »

경종실록

《경종덕문익무순인선효대왕실록》(景宗德文翼武純仁宣孝大王實錄) 또는 《경종실록》(景宗實錄)은 1720년 음력 6월부터 1724년 음력 9월까지 조선 경종 시대의 사실을 기록한 실록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경종실록 · 더보기 »

벽파

벽파(僻派)는 조선 정조 시기 정조의 탕평책을 반대한 세력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벽파 · 더보기 »

경상감영

경상감영(慶尙監營)은 조선의 지방 행정의 8도제하에 경상도(慶尙道)를 관할하던 감영(監營)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경상감영 · 더보기 »

경암루

경암루(景岩樓)는 황해북도 사리원시 경암동에 있는 조선시대 누정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경암루 · 더보기 »

법동 (대전)

법동(法洞)은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대덕구의 법정동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법동 (대전) · 더보기 »

고기 (역사서)

《고기》(古記)는 현재 전해지지 않는 한국의 고대 역사서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고기 (역사서) · 더보기 »

고금면

면(古今面)은 전라남도 완도군에 속하며, 고금도의 행정 명칭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고금면 · 더보기 »

고우림

우림(2007년 9월 15일 ~)은 대한민국의 아역 배우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고우림 · 더보기 »

보은의 백송

보은의 백송은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이었던 백송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보은의 백송 · 더보기 »

과농소초

《과농소초》(課農小抄)는 조선 후기의 농서(農書)로서, 연암 박지원이 정조의 윤음을 받들어 1798년(정조 22년) 음력 11월에 펴낸 책이며, 그 체계가 여러 농서 가운데 가장 완벽하게 세워져 있었.

새로운!!: 조선 정조와 과농소초 · 더보기 »

공 (성씨)

공(孔, 公)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공 (성씨) · 더보기 »

복건 (복식)

300px 복건(幅巾)은 어린 아이들이 입는 한복 머리 쓰개 일종으로서 어린 아이들이 머리에 쓰는 것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복건 (복식) · 더보기 »

공빈 최씨

공빈 최씨(恭嬪 崔氏, 생몰년 미상)는 조선 예종의 후궁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공빈 최씨 · 더보기 »

광한루

광한루(廣寒樓)는 전라북도 남원시에 있는 누각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광한루 · 더보기 »

봉원사

봉원사 봉원사(奉元寺)는 한국불교태고종의 총본산 사찰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봉원사 · 더보기 »

봉황정

봉황정은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광탄리에 있. 1986년 5월 30일 양평군의 향토유적 제24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조선 정조와 봉황정 · 더보기 »

관덕정

제주 관덕정(濟州 觀德亭)은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삼도2동에 있는 조선 시대의 누정으로, 대한민국의 보물 제322호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관덕정 · 더보기 »

관서 지방

서 지방(關西地方)은 현재의 평양직할시, 평안남도, 평안북도, 자강도 일대를 가리키는 조선의 지역 구분 용어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관서 지방 · 더보기 »

관악산

악산(冠岳山)《글로벌 세계대백과》〈관악산〉 은 서울특별시 관악구와 금천구, 경기도 안양시와 과천시에 걸쳐 있는 높이 632m 의 산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관악산 · 더보기 »

북면 (화순군)

북면(北面)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화순군의 면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북면 (화순군) · 더보기 »

북정동 (울산)

북정동(北亭洞)은 울산광역시 중구의 법정동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북정동 (울산) · 더보기 »

궁호

궁호(宮號)는 조선 왕실에서 여성에게 붙었던 칭호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궁호 · 더보기 »

북학

북학(北學)은 조선 후기 실학의 한 유파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북학 · 더보기 »

북학의

《북학의》(北學議)는 조선 정조 때 북학파인 박제가가 쓴 책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북학의 · 더보기 »

권일신

일신(權日身, ?~1791)은 조선의 천주교 지도자로서, 호는 이암(移庵), 세례명은 프란시스 자비에르(Francis Xavier)이며, 순암(順菴) 안정복의 사위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권일신 · 더보기 »

권절

절(權節, 1422년 ~ 1494년)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권절 · 더보기 »

권전

전(權專, 1371년 ~ 1441년 음력 윤11월 18일)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권전 · 더보기 »

권철신

신(權哲身, 1736년 ~ 1801년)은 조선의 학자, 순교한 기독교인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권철신 · 더보기 »

권상연

상연(權尙然, 1751년 ~ 1791년 12월 8일)은 조선의 천주교 순교자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권상연 · 더보기 »

권삼득

삼득(權三得, 1772년 ~ 1841년)은 조선의 영조·정조 때의 판소리 명창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권삼득 · 더보기 »

불설대보부모은중경판

불설대보부모은중경판(佛說大報父母恩重經版)은 경기도 화성시 용주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책판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불설대보부모은중경판 · 더보기 »

붕당

붕당(朋黨)은 조선 중기 이후 특정한 학문적·정치적 입장을 공유하는 양반들이 모여 구성한 정치 집단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붕당 · 더보기 »

부교

배다리 중국 간저우의 배다리. 부교(浮橋)는 임시 교량을 뜻. 특히 배를 이용하여 만든 부교를 주교(舟橋) 또는 배다리.

새로운!!: 조선 정조와 부교 · 더보기 »

부창동

부창동(富倉洞)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논산시의 동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부창동 · 더보기 »

부원군

부원군(府院君)은 고려 충렬왕 이후 조선시대까지 사용한 작호(爵號)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부원군 · 더보기 »

규장각

창덕궁 후원 부용지 주변에 세워진 규장각(2층 건물의 1층)과 서향각 규장각(奎章閣)은 조선 후기의 왕실 학문 연구 기관이자 왕실 도서관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규장각 · 더보기 »

귀인 조씨 (영조)

인 조씨(貴人 趙氏, 1707년 음력 10월 16일 ~ 1780년)는 조선의 제21대 왕 영조의 후궁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귀인 조씨 (영조) · 더보기 »

귀후서

후서(歸厚署)는 조선시대의 관청으로 예조의 속아문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귀후서 · 더보기 »

금난전권

전권(禁亂廛權)은 육의전을 비롯한 한성 내의 37개 시전들이 도성 안팎 10리(약 4km) 이내에서 난전을 금지시킬 수 있는 권리를 말.

새로운!!: 조선 정조와 금난전권 · 더보기 »

금등지사

등지사(金縢之詞)란 억울함이나 비밀스런 일이 있어 후세에 이를 밝혀 진실을 알게 하는 문서를 말. 금등문서, 금등문건, 금등이라고도 불린.

새로운!!: 조선 정조와 금등지사 · 더보기 »

금정동

정동(衿井洞)은 대한민국 경기도 군포시 동북쪽에 있는 동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금정동 · 더보기 »

금성대군

성대군 이유(錦城大君 李瑜, 1426년 5월 5일/음력 3월 28일~1457년 11월 7일/음력 10월 21일)는 조선 전기의 왕족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금성대군 · 더보기 »

금암기적비

암기적비(黔巖紀蹟碑)는 조선 정조가 1781년 8월 증조할아버지 숙종의 명릉(明陵, 사적 제98호)을 참배하고 돌아오는 길에 할아버지 영조(재위 1725~1776)의 옛 일을 회상하면서 친히 글을 짓고 써서 건립한 비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금암기적비 · 더보기 »

깍두기

깍두기 깍두기는 한국 요리에서 무로 담근 김치의 일종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깍두기 · 더보기 »

빈 (지위)

빈(嬪)은 조선 왕조 내명부(內命婦)의 품계 중 하나로, 국왕의 정1품 후궁의 위호(位號)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빈 (지위) · 더보기 »

비밀의 문: 의궤 살인 사건

《비밀의 문: 의궤 살인 사건》은 2014년 9월 22일부터 2014년 12월 9일까지 SBS에서 방영된 대기획 드라마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비밀의 문: 의궤 살인 사건 · 더보기 »

김덕령

덕령(金德齡, 1567년~1596년 8월)은 임진왜란 시기의 의병장이자 성리학자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김덕령 · 더보기 »

김만덕

만덕(金萬德, 1739년 ~ 1812년)은 조선의 여자 상인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김만덕 · 더보기 »

김문기

문기(金文起1399년 ~ 1456년)는 초명은 효기(孝基), 자는 여공(汝恭), 호는 백촌(白村) 혹은 마암(馬巖), 김녕 김씨(金寧 金氏) 충의공파(忠毅公派)의 파조(派祖)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김문기 · 더보기 »

김문순 (1744년)

문순(金文淳, 1744년~1811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문과급제후, 선혜청제조, 판돈녕부사를 지냈으며 한성부판윤을 여러번 재임하였.

새로운!!: 조선 정조와 김문순 (1744년) · 더보기 »

김경중 (1863년)

경중(金暻中, 1863년 ~ 1945년 4월 27일)은 조선의 문신, 학자이며 일제강점기의 역사가, 작가, 교육인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김경중 (1863년) · 더보기 »

김관주

주(金觀柱, 1743년 ~ 1806년)는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정치인이자 척신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김관주 · 더보기 »

김귀주

주(金龜柱, 1740년~1786년)는 조선 후기의 정치가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김귀주 · 더보기 »

김단율

율(2003년 3월 23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김단율 · 더보기 »

김용건

용건(金容建, 1946년 5월 8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김용건 · 더보기 »

김용겸

용겸(金用謙, 1702년 ~ 1789년)은 조선 후기의 학자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김용겸 · 더보기 »

김우명

우명 김우명(金佑明, 1619년 ~ 1675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외척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김우명 · 더보기 »

김우석 (배우)

우석(1996년 6월 25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김우석 (배우) · 더보기 »

김흥기

흥기(金興基, 1946년 7월 28일 ~ 2009년 3월 6일)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김흥기 · 더보기 »

김이영

이영(1974년 ~)은 대한민국의 작가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김이영 · 더보기 »

김인후

인후(金麟厚, 1510년 ~ 1560년)는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김인후 · 더보기 »

김일경 (1662년)

일경(金一鏡, 1662년 ~ 1724년 12월 8일)은 조선후기의 문신, 성리학자 정치인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김일경 (1662년) · 더보기 »

김일엽 (승려)

일엽(金一葉, 1896년 4월 28일 ~ 1971년 2월 1일)은 일제 강점기의 여성운동가, 언론인, 시인이자, 대한민국의 불교 승려이며 시인 겸 수필가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김일엽 (승려) · 더보기 »

김응환

응환(金應煥, 1742년 ~ 1789년)은 조선의 화가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김응환 · 더보기 »

김제 (고려)

제는 고려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김제 (고려) · 더보기 »

김정희

정희가 그린 불이선란도(不二禪蘭圖) 김정희(金正喜, 정조 10년(1786년) 6월 3일(1786년 6월 28일) ~ 철종 7년(1856년) 10월 10일(1856년 11월 7일))는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서예가, 금석학자, 고증학자, 화가, 실학자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김정희 · 더보기 »

김조순

조순(金祖淳, 1765년 ~ 1832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정치가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김조순 · 더보기 »

김좌근

좌근(金左根, 1797년~1869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외척으로 안동김씨 세도기 후반의 중심인물이었.

새로운!!: 조선 정조와 김좌근 · 더보기 »

김종직

종직(金宗直, 1431년 6월 ~ 1492년 8월 19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이자 사상가이며, 성리학자, 정치가, 교육자, 시인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김종직 · 더보기 »

김종수

종수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조선 정조와 김종수 · 더보기 »

김종수 (1728년)

종수(金鍾秀, 1728년 ~ 1799년 1월 7일)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김종수 (1728년) · 더보기 »

김종후

종후(金鍾厚, 1721년 ~ 1780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좌의정을 지낸 김종수의 형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김종후 · 더보기 »

김진규 (소설가)

(1969년-)는 소설 '달을 먹다'으로 등단한 대한민국의 소설가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김진규 (소설가) · 더보기 »

김창업

연행록 김창업(金昌業, 1658 ~ 1722)은 조선 후기의 화가·학자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김창업 · 더보기 »

김창하 (조선)

창하(金昌河, 생몰년 미상)는 조선 말기의 국악사로, 자는 의선(義善), 본관은 경주이며, 서울 출신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김창하 (조선) · 더보기 »

김육

육(金堉, 1580년 8월 23일(음력 7월 14일)~1658년 10월 1일(음력 9월 5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유학자, 실학자, 사상가, 작가, 정치가, 철학자이며, 효종·현종 연간에 대동법의 시행을 주장, 추진하였으며 화폐의 보급에 힘썼.

새로운!!: 조선 정조와 김육 · 더보기 »

김상로

상로(金尙魯, 1702년 1월 3일 ~ 1766년 12월 29일)는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이며 당색으로는 노론 벽파의 지도자였.

새로운!!: 조선 정조와 김상로 · 더보기 »

김상중

상중(1965년 8월 6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 겸 방송MC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김상중 · 더보기 »

김석환 (성우)

석환(1973년 3월 19일 ~)은 대한민국의 성우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김석환 (성우) · 더보기 »

김성걸

성걸(金成杰)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김성걸 · 더보기 »

김약련

약련(金若鍊, 1730년~1802년)은 조선 정조 때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김약련 · 더보기 »

김한록

록(金漢祿, 1722년 ~ 1790년)는 조선의 문신 겸 외척이자 정치가이며 본관은 경주(慶州)이고 자는 여수(汝綏)이며 호는 한간(寒澗)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김한록 · 더보기 »

김한기

(金漢耆, 1728년 ~ 1792년)은 조선의 문신 겸 외척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김한기 · 더보기 »

김하영 (1979년)

영(1979년 7월 23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김하영 (1979년) · 더보기 »

김시묵

시묵(金時默, 1722년 ~ 1772년 음력 7월 29일)은 조선의 문신이자 국구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김시묵 · 더보기 »

김홍도

홍도(金弘道, 1745년 ~ 1806년)는 조선 후기의 화가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김홍도 · 더보기 »

김완 (1546년)

완(金浣, 1546년 ~ 1607년)은 조선 중기의 무신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김완 (1546년) · 더보기 »

대동운부군옥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은 조선 선조 때의 학자 권문해(權文海)가 편찬한 백과사전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대동운부군옥 · 더보기 »

대리청정

리청정(代理聽政)은 동아시아의 전제군주제 국가, 특히 중국, 조선, 일본에서 임금의 재가(허락)를 받아 임금의 정치 등 여러 일을 대신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섭정).

새로운!!: 조선 정조와 대리청정 · 더보기 »

대박 (드라마)

《대박》은 SBS에서 2016년 3월 28일부터 2016년 6월 14일까지 방송된 월화 드라마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대박 (드라마) · 더보기 »

대박산 (평양)

박산(大朴山)은 평양시 강동군 문흥리에 있는 산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대박산 (평양) · 더보기 »

대빈묘

빈묘(大嬪墓)는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용두동의 서오릉 경내에 있는 조선의 제19대 왕 숙종의 후궁 희빈 장씨의 무덤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대빈묘 · 더보기 »

대구광역시

광역시(大邱廣域市)는 대한민국의 동남부 내륙에 있는 광역시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대구광역시 · 더보기 »

대흥 필씨

흥 필씨(大興 弼氏)의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대흥 필씨 · 더보기 »

대전통편

《대전통편》(大典通編)은 《경국대전》과 《속대전》 및 그 이후에 임금이 내린 교명과 현행 법령을 증보하여 편찬한 조선의 법전으로, 현존하는 책은 6권 5책으로 된 인쇄본.

새로운!!: 조선 정조와 대전통편 · 더보기 »

대현동 (울산)

현동(大峴洞)은 울산광역시 남구의 행정동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대현동 (울산) · 더보기 »

대송동

송동(大松洞)은 울산광역시 동구의 행정동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대송동 · 더보기 »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대한민국 · 더보기 »

대한민국의 국기

민국의 국기는 태극기(太極旗)라 불린.

새로운!!: 조선 정조와 대한민국의 국기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정부표준영정

정부표준영정(政府標準影幀)은 한국의 역사에 등장하는 인물 중에서 민족적으로 추앙받고 있는 선현들의 영정 난립을 방지하기 위해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지정한 영정을 말. 모든 정부표준영정은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훈령으로 지정된 《영정·동상 심의 규정》에 따른 심의 절차에 따라 지정되거나 해제.

새로운!!: 조선 정조와 대한민국의 정부표준영정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

이 문서는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 · 더보기 »

대한의원

의원(大韓醫院)은 1907년에 대한제국 내부 소관의 서양식 병원인 광제원, 학부 소관인 의학교부속병원, 그리고 궁내부 소관인 대한국적십자병원을 통합,설립되었으며, 의정부 직속으로 운영된 국내 최고의 의료기관이었.

새로운!!: 조선 정조와 대한의원 · 더보기 »

대한제국의 역대 황제

음은 대한제국의 역대 황제 목록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대한제국의 역대 황제 · 더보기 »

대왕의 길

《대왕의 길》은 MBC에서 1998년 4월 15일부터 1998년 8월 13일까지 매주 수, 목 밤 21시 55분에 방영되었던 드라마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대왕의 길 · 더보기 »

교서관

서감(校書監) 또는 교서관(校書館)은 조선 태조 1년에 만들어져 당시 책을 만들고 관리하며 제사를 관장하고, 축하전문을 보내는 것을 관장하는 기관으로 설립 당시에는 교서감이었.

새로운!!: 조선 정조와 교서관 · 더보기 »

구 (성씨)

(具, 仇)씨는 한국의 성씨이고, 구(丘)씨는 한국과 중국 등 동아시아의 성씨.

새로운!!: 조선 정조와 구 (성씨) · 더보기 »

구승현

승현(2004년 9월 22일 ~)은 대한민국의 아역배우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구승현 · 더보기 »

국도 제1호선

국도 제1호선 (목포 ~ 신의주선)은 전라남도 목포시 신항 교차로에서 판문점을 거쳐 평안북도 신의주시를 잇는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국도 제1호선 · 더보기 »

국조보감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국조보감》 《국조보감》(國朝寶鑑)은 조선의 역대 임금들의 정치 활동 가운데서 모범이 될 만한 사실을 뽑아 적은 편년체의 역사책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국조보감 · 더보기 »

군부인 신씨

부인 신씨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조선 정조와 군부인 신씨 · 더보기 »

군포 동래정씨 동래군파 종택

동래정씨 동래군파 종택(軍浦 東來鄭氏 東來君派 宗宅)은 경기도 군포시 속달동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군포 동래정씨 동래군파 종택 · 더보기 »

군포동

동(軍浦洞)은 대한민국 경기도 군포시 동부에 있는 2개 행정동(군포1동, 군포2동)의 통칭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군포동 · 더보기 »

두문동칠십이인

문동칠십이인(杜門洞七十二人) 또는 두문동칠십이현(杜門洞七十二賢)은 고려 멸망 직후 고려에 충성을 다하고 절개를 지켰다고 전하는 72인의 유신(遺臣)들을 가리.

새로운!!: 조선 정조와 두문동칠십이인 · 더보기 »

남목동

목동(南牧洞)은 울산광역시 동구의 행정동인 남목1동·남목2동·남목3동의 통칭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남목동 · 더보기 »

남효온

효온의 글씨 남효온(南孝溫, 1454년~1492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고 생육신 중의 한 사람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남효온 · 더보기 »

남인

인(南人)은 조선 붕당정치의 당파로, 조선 중기 이후 동인이 북인과 남인으로 분파되면서 발생.

새로운!!: 조선 정조와 남인 · 더보기 »

남태령

시의 남태령비 남태령(南泰嶺)은 서울특별시 관악구, 서초구와 경기도 과천시 사이에 위치한 고개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남태령 · 더보기 »

남양주 흥국사 대웅보전

양주 흥국사 대웅보전(興國寺 大雄寶殿)은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면, 흥국사에 있는 대웅전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남양주 흥국사 대웅보전 · 더보기 »

남연군

연군 이구(南延君 李球, 1788년 8월 22일 ~ 1836년 3월 19일)은 조선 시대 후기의 문신, 왕족으로 이름은 구(球), 자는 치수(稚受)이며 원래 이름은 채중(采重) 또는 채중(寀重)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남연군 · 더보기 »

남성진

성진(南誠軫, 본명: 남지헌, 1970년 12월 31일 ~)은 한국의 남자 배우.

새로운!!: 조선 정조와 남성진 · 더보기 »

남한산성

산성(南漢山城)은 대한민국 경기도 광주시, 성남시, 하남시에 걸쳐 있는 남한산을 중심으로 하는 산성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남한산성 · 더보기 »

남원 윤씨

원 윤씨(南原 尹氏)는 전라북도 남원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남원 윤씨 · 더보기 »

낭 (성씨)

낭(浪)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낭 (성씨) · 더보기 »

내시부

시부(內侍府)는 조선시대의 관청으로 이조의 속아문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내시부 · 더보기 »

난중일기

중일기(亂中日記)는 조선 중기의 무신(武臣) 이순신(李舜臣)이 임진왜란 7년(1592년 ~ 1598년) 동안 군중에서 쓴 일기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난중일기 · 더보기 »

나은 (당)

은(羅隱, 833년 ~ 910년 1월 26일(음력 909년 12월 13일))은, 중국 당나라 말기부터 오대십국 초기를 살았던 시인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나은 (당) · 더보기 »

나주 무열사

주 무열사(羅州 武烈祠)는 전라남도 나주시 다시면 영동리에 있는 사당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나주 무열사 · 더보기 »

나주 불회사 대웅전

주 불회사 대웅전(羅州 佛會寺 大雄殿)은 전라남도 나주시 불회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전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나주 불회사 대웅전 · 더보기 »

나주 정씨 (丁)

주 정씨(羅州 丁氏)는 전라남도 나주시 및 전라남도 신안군 압해읍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나주 정씨 (丁) · 더보기 »

나혜석

혜석(羅蕙錫, 1896년 4월 28일 ~ 1948년 12월 10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화가이자 작가, 시인, 조각가, 여성운동가, 사회운동가, 언론인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나혜석 · 더보기 »

낙천군

낙천군 이온(洛川君 李縕, 락천군 1720년 11월 26일(음력 10월 21일 - 1737년 9월 28일)은 조선 시대 후기의 왕족 종실이며 숙종의 서자(庶子)인 연령군의 양자이며 경종, 영조의 조카이다. 낙천군 이온의 경우 본래는 조선 선조의 서 6대손으로, 생부는 선조의 아홉째 서자였던 경창군 이주(慶昌君 李珘)의 5대손 이채(李埰)이다. 가계상 남연군의 할아버지뻘, 흥선대원군의 증조부뻘이 된다. 초명은 수신(守愼), 자는 온중(蘊仲)이다. 원래 조선 선조의 아홉번째 서자 경창군의 6대손이었으나, 아들 없이 사망한 연령군의 사후 양자가 되었다. 그러나 그도 아들이 없이 사망하였다. 일설에는 은신군(사도세자의 서2남)이 그의 제사 받들기를 꺼렸다는 풍문이 나돌았으나, 은신군은 죽은 뒤에 1777년 이복형 정조에 의해 연령군의 봉사손이 되었다. 관직은 수덕대부(綏德大夫) 에 이르렀고, 부인은 서종수(徐宗秀)의 딸이다. 호적상 흥선대원군의 증조부가 된다.

새로운!!: 조선 정조와 낙천군 · 더보기 »

낙산사

낙산사 (洛山寺)는 대한민국 강원도 양양군 오봉산에 있는 사찰로 조계종 제3교구 신흥사의 말사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낙산사 · 더보기 »

노론

(老論)은 서인과 같이 성리학적 명분론을 신봉하였지만 숙종 때 서인에서 노론과 소론으로 나뉜 붕당으로 알려져 있. 서인에서 송시열을 중심으로 하는 사람들은 노론, 윤증을 중심으로 하는 사람들은 소론이 되었으며 숙종 이후 조선의 주요 집권 세력이었.

새로운!!: 조선 정조와 노론 · 더보기 »

노블레스 오블리주

블레스 오블리주(IPA)란 프랑스어로 "귀족성은 의무를 갖는다"를 의미.

새로운!!: 조선 정조와 노블레스 오블리주 · 더보기 »

노상추

상추(盧尙樞, 1746년~1829년)는, 조선(朝鮮) 후기의 무관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노상추 · 더보기 »

노상추일기

상추일기(盧尙樞日記)는, 조선(朝鮮) 후기의 무관(武官) 노상추(盧尙樞)가 남긴 일기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노상추일기 · 더보기 »

다운동

운동(茶雲洞)은 울산광역시 중구의 행정동, 법정동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다운동 · 더보기 »

달성 하씨

성 하씨(達城 夏氏)는 한국의 성씨 중 하나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달성 하씨 · 더보기 »

효령대군

효령대군(孝寧大君, 1396년 1월 6일 (음력 1395년 12월 11일) ~ 1486년 6월 12일(음력 5월 11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왕자, 왕족, 서예가, 정치가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효령대군 · 더보기 »

효문동

효문동(孝門洞)은 울산광역시 북구의 법정동 및 행정동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효문동 · 더보기 »

효의황후

효의황후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효의황후(孝懿皇后).

새로운!!: 조선 정조와 효의황후 · 더보기 »

효의왕후

효의왕후 김씨(孝懿王后, 1754년 1월 5일(1753년 음력 12월 13일) ~ 1821년 4월 10일(음력 3월 9일))는 조선 정조의 왕비로 본관은 청풍(淸風)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효의왕후 · 더보기 »

효창동

효창동(孝昌洞)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있는 행정동 및 법정동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효창동 · 더보기 »

효창공원

효창 공원(孝昌公園)은 원래 5살 어린 나이에 죽은 정조의 첫째 아들 문효세자와 몇달 후 죽은 그의 어머니 의빈 성씨의 무덤으로 효창원(孝昌園)이었으나, 두 무덤은 서삼릉으로 강제 이장 당하고, 이름도 효창공원이 되었.

새로운!!: 조선 정조와 효창공원 · 더보기 »

효순왕후

효순왕후 조씨(孝純王后 趙氏, 1716년 1월 8일/1715년 음력 12월 14일 ~ 1751년 12월 30일/음력 11월 14일)는 영조의 장남 진종(眞宗, 효장세자)의 비이자, 정조의 양어머니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효순왕후 · 더보기 »

효현왕후

효현왕후(孝顯王后, 1828년 4월 27일(음력 3월 14일) ~ 1843년 10월 18일(음력 8월 25일))는 조선 헌종의 정비(正妃)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효현왕후 · 더보기 »

용주사

용주사(龍珠寺)는 조계종의 절로 경기도 화성시 송산동 화산에 위치해 있. 이 절은 신라 말기인 854년에 廉巨和尙(염거화상)이 지었고, 원래 이름은 갈양사(葛陽寺)였.

새로운!!: 조선 정조와 용주사 · 더보기 »

용양봉저정

용양봉저정(龍驤鳳翥亭)은 1791년(조선 정조 15년)에 세워진 건물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용양봉저정 · 더보기 »

용산구

용산구(龍山區)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한강 위쪽 중간에 있는 자치구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용산구 · 더보기 »

우만동

우만동(牛滿洞)은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의 법정동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우만동 · 더보기 »

우정동

우정동(牛亭洞)은 울산광역시 중구의 행정동, 법정동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우정동 · 더보기 »

울산향교

울산향교(蔚山鄕校)는 울산광역시 중구 교동에 있는 조선시대의 향교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울산향교 · 더보기 »

울산왜성

울산왜성(蔚山倭城)은 울산광역시 중구 학성동에 남아있는 일본식 성곽(왜성)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울산왜성 · 더보기 »

장릉 (조선 단종)

장릉(莊陵)은 조선 단종의 무덤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장릉 (조선 단종) · 더보기 »

장릉배식록

장릉배식록(莊陵配食錄)은 1791년 당시 조선(朝鮮)의 제22대 왕 정조(正祖)가 1457년에 훙서한 단종(端宗)을 위하여 기개 어린 절의를 지키었던 옛 충신들을 추제 및 추념하고 배향을 하여 그 명단을 기록한 저서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장릉배식록 · 더보기 »

장기향교

장기향교(長鬐鄕校)는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장기면에 있는 향교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장기향교 · 더보기 »

장용영

장용영(壯勇營)은 1785년 조선 정조가 만든 호위 군대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장용영 · 더보기 »

장승배기역

장승배기역(장승배기驛)은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로에 위치한 서울 지하철 7호선의 지하철역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장승배기역 · 더보기 »

장흥 임씨

장흥 임씨(長興 任氏)는 전라남도 장흥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장흥 임씨 · 더보기 »

장흥 위씨

장흥 위씨(長興 魏氏)는 전라남도 장흥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장흥 위씨 · 더보기 »

장태우

장태우는 드라마 《이산》의 작가인 김이영이 만든 가공의 인물 캐릭터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장태우 · 더보기 »

장현광

여헌 장현광 영정 (18세기 이모본) 여헌 장현광 영정 (1633년작) 장현광(張顯光, 1554년 ~ 1637년 9월 7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학자, 문신, 정치인, 철학자, 작가, 시인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장현광 · 더보기 »

장성 김인후 신도비

장성 김인후 신도비(長城 金麟厚 神道碑)는 조선시대 문신이자 성리학자인 하서 김인후의 생애와 행적을 기록한 신도비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장성 김인후 신도비 · 더보기 »

장성 필암서원

장성 필암서원(長城 筆巖書院)은 동방의 대학자 하서 김인후의 학덕을 추모하기 위해 건립된 전라남도 장성군 황룡면 필암리에 있는 서원으로 사적 제242호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장성 필암서원 · 더보기 »

임경업

임경업(林慶業, 1594년 ~ 1646년 8월 1일(음력 6월 20일))은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친명배청파(親明排淸派) 무장이었.

새로운!!: 조선 정조와 임경업 · 더보기 »

임경업 초상

임경업 초상(林慶業 肖像)은 충청북도 충주시 살미면 세성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조선 중기의 무신인 충민공 임경업(1594∼1646) 장군의 초상화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임경업 초상 · 더보기 »

임구 풍씨

임구 풍씨(臨朐 馮氏)는 중국에서 유래한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임구 풍씨 · 더보기 »

임오화변

임오화변(壬午禍變),임오옥 또는 사도세자사건은 1762년 7월 4일 사도세자가 노론과 부왕 영조에 의해 뒤주에 갇혀 8일뒤 사망한 사건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임오화변 · 더보기 »

평산군부인 신씨 (상계군)

평산군부인 평산신씨(平山郡夫人 平山申氏, 1770년 6월 13일 ~ 1801년 3월 17일)는 조선의 왕족으로 은언군의 장남이자 조선 정조의 양자인 상계군의 부인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평산군부인 신씨 (상계군) · 더보기 »

흥국사 (고양시)

흥국사(興國寺)는 경기도 고양시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소속 사찰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흥국사 (고양시) · 더보기 »

흥선대원군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1820년 12월 21일(음력 11월 16일) ~ 1898년 2월 22일(음력 2월 2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이자 정치가, 화가이며 조선의 추존왕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흥선대원군 · 더보기 »

이도현

이도현(2005년 9월 5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이도현 · 더보기 »

이만운 (1723년)

이만운(李萬運, 1723년 ~ 1797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학자로 자는 중심(仲心), 본관은 함평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이만운 (1723년) · 더보기 »

이무 선생 묘 및 신도비

이무 선생 묘 및 신도비는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주교동에 있는 무덤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이무 선생 묘 및 신도비 · 더보기 »

이민우 (배우)

이민우(1976년 3월 15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이민우 (배우) · 더보기 »

이강원 (1863년)

이강원(李康元, 일본식 이름: 東園康元, 1863년 10월 4일 ~ 1944년 5월 16일)은 일제 강점기의 전라북도 지역 유지이며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새로운!!: 조선 정조와 이강원 (1863년) · 더보기 »

이가환

이가환(李家煥, 1742년 ∼ 1801년 4월 8일)은 조선 말기의 학자이자 천주교 순교자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이가환 · 더보기 »

이벽

이벽(李蘗, 1754년~1786년)은 조선 후기의 천주교 신자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이벽 · 더보기 »

이곤수

이곤수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이곤수 · 더보기 »

이광려

이광려(李匡呂, 1720년 ~ 1783년)는 조선 영조 때의 학자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이광려 · 더보기 »

이광헌

이광헌(李光獻, 1787년 ~ 1839년 5월 24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이광헌 · 더보기 »

이기축

이기축(李起築, 1589년 10월 7일 ~ 1645년 6월 6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왕족 출신 무신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이기축 · 더보기 »

이우

이우(李鍝, 1912년 11월 15일 ~ 1945년 8월 7일)는 일본 제국의 왕공족, 육군 군인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이우 · 더보기 »

이승훈 (1756년)

이승훈(李承薰, 1756년 ~ 1801년 4월 8일)은 조선 말기의 천주교 순교자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이승훈 (1756년) · 더보기 »

이요헌

이요헌(李堯憲, 1766년-1815년)은 조선 후기의 무신으로 홍경래의 난을 진압하는데 공을 세웠.

새로운!!: 조선 정조와 이요헌 · 더보기 »

이재각

의양군 이재각(義陽君 李載覺, 1874년 음력 2월 18일 ~ 1935년 양력 5월 11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왕족으로, 장조의 3남 은전군의 증손이며, 일제 강점기에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

새로운!!: 조선 정조와 이재각 · 더보기 »

이재관 (화가)

이재관(李在寬, 1783년(정조 7년) ~ 1837년(헌종 3년))은 조선 후기의 화가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이재관 (화가) · 더보기 »

이재선 추대 사건

이재선 역모 사건 또는 이재선 모역 사건, 이재선 쿠데타 사건은 조선 말기의 군사 쿠데타로, 쿠데타 기도 10일 전에 사전 적발되었.

새로운!!: 조선 정조와 이재선 추대 사건 · 더보기 »

이이

이이(李珥, 1537년 1월 7일(1536년 음력 12월 26일) ~ 1584년 2월 27일(음력 1월 16일))는 조선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이이 · 더보기 »

이인화

이인화(二人化, 1966년 1월 5일 ~) 또는 본명 류철균(柳哲鈞)은 대한민국의 작가, 소설가, 국문학자, 평론가이자 이화여자대학교 교수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이인화 · 더보기 »

이익 (1681년)

이익(李瀷, 1681년 10월 18일 ~ 1763년 12월 1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사상가, 철학자, 실학자, 역사가, 교육자로 조선 영조 때의 남인(南人) 실학자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이익 (1681년) · 더보기 »

이정용

이정용(李政用, 1969년 8월 8일 ~)은 대한민국의 희극인 겸 배우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이정용 · 더보기 »

이조

이조(吏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이조 · 더보기 »

이조헌

이조헌(李祖憲, 1796년(정조 20년) ~ ?)은 조선 후기의 학자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이조헌 · 더보기 »

이종상

이종상(李鍾祥, 1799년-1870년)은 조선 후기의 성리학자, 문신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이종상 · 더보기 »

이징옥

이징옥(李澄玉, 1399년 ~ 1453년 음력 10월 20일)은 조선 시대 초기의 무신, 군인, 정치가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이징옥 · 더보기 »

이징옥의 난

이징옥의 난(李澄玉-亂)은 함길도 도절제사 이징옥이 수양대군 일파의 권력 장악과 자신의 파직에 대해 불만을 품고 여진족 등과 함께 일으킨 반란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이징옥의 난 · 더보기 »

이철득

이철득(李鐵得, 1780년 ~ ?)은 조선 후기의 왕족이자 국사범으로 조선 장조의 서자인 은언군 이인의 서자였.

새로운!!: 조선 정조와 이철득 · 더보기 »

이철승

이철승(李哲承, 1922년 5월 15일 ~ 2016년 2월 27일)은 대한민국의 학생운동가, 정치인, 시민사회기관단체인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이철승 · 더보기 »

이상호 (1702년)

이상호(李尙虎, 1702년 4.23 - 1801년 12.20)는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이상호 (1702년) · 더보기 »

이태영 (1744년)

이태영(李泰永, 1744년 10월 9일 ~ 1803년 1월 24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정치인, 외교관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이태영 (1744년) · 더보기 »

이순신

광화문 광장의 이순신 동상 이순신(李舜臣, 1545년 4월 28일 ~ 1598년 12월 16일 (음력 11월 19일))은 조선 중기의 무신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이순신 · 더보기 »

이현일

이현일(李玄逸, 1627년 1월 11일 - 1704년 10월 3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남인 중신 문신, 정치인, 유학자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이현일 · 더보기 »

이현상 (1770년)

이현상(李顯相, 1770년 6월 14일 - 1822년 7월 14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시인, 통역관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이현상 (1770년) · 더보기 »

이형복

이형복(李亨復, 1753년-1798년)은 조선 후기의 무신으로 통덕랑(通德郞) 이득현(李得賢)의 장남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이형복 · 더보기 »

이형규 (조선)

이형규(李亨逵, 1733년 - 1789년)은 조선후기의 문신으로 도승지(都承旨)를.

새로운!!: 조선 정조와 이형규 (조선) · 더보기 »

이양선

19세기 서양의 범선인 프리깃 이양선(異樣船)이란 조선 후기에 조선 연안 지역에 출몰했던 정체불명의 배들을 가리키는 표현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이양선 · 더보기 »

이풍 (조선)

이풍 또는 이례(李灃, 1727년 10월 23일 ~ 1795년 6월 30일)은 조선후기의 문신이자 종친이며, 도정궁(都正宮) 사손(嗣孫)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이풍 (조선) · 더보기 »

이산

이산은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조선 정조와 이산 · 더보기 »

이산 (드라마)

《이산》(李祘)은 조중현 기획, 이병훈·김근홍 연출, 김이영 극본으로 문화방송에서 방영한 드라마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이산 (드라마) · 더보기 »

이성득 (조선 왕족)

이성득(李成得, 1775년 ~ 1817년 11월 27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이자 국사범으로, 사도세자의 서손자이자, 은언군 인의 서자였.

새로운!!: 조선 정조와 이성득 (조선 왕족) · 더보기 »

이서구 (조선)

이서구(李書九, 1754년∼1825년)는 조선의 문신·학자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이서구 (조선) · 더보기 »

이서우 (1633년)

이서우(李瑞雨, 1633년 3월 1일 ~ 1709년 10월 14일)는 조선 후기의 문신, 시인, 작가, 서예가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이서우 (1633년) · 더보기 »

이서진

이서진(李瑞鎭, 1971년 1월 30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이서진 · 더보기 »

이해 (1496년)

이해(李瀣) 1496년 ~ 1550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다. 본관은 진보(眞寶). 자는 경명(景明), 호는 온계(溫溪)이다.

새로운!!: 조선 정조와 이해 (1496년) · 더보기 »

이해랑

이해랑(李海浪, 1916년 7월 22일 ~ 1989년 4월 8일)은 대한민국의 연극인, 연극배우, 연극연출가, 영화배우, 영화감독, 정치가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이해랑 · 더보기 »

이안묵

이안묵(李安默, 1756년 ~ 1804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벽파(僻派)의 핵심인물로 덕흥대원군의 7대손이며, 종실 금평군 이제(錦平君 李濟)의 현손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이안묵 · 더보기 »

이하전

정궁 경원군 이하전(都正宮 慶原君 李夏銓, 1842년 2월 15일 ~ 1862년 8월 20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종실, 문신, 정치가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이하전 · 더보기 »

이시희

이시희(李時熙, 1694년 ∼ 1755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이시희 · 더보기 »

이원정 (1622년)

이원정(李元禎, 1622년 - 1680년 음력 8월 21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외교관이자 작가, 서예가, 시인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이원정 (1622년) · 더보기 »

이황

이황(李滉, 1502년 1월 3일(1501년 음력 11월 25일) ~ 1571년 1월 3일(1570년 음력 12월 8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학자이다. 본관은 진보(眞寶). 자는 경호(景浩), 호는 퇴계(退溪), 시호는 문순(文純)이다. 이언적, 이이, 송시열, 박세채, 김집과 함께 문묘 종사와 종묘 배향을 동시에 이룬 6현 중 한 사람이다. 이언적의 사상을 이어받아 영남학파의 중추적 학자가 되었으며 나아가 한국을 대표하는 성리학자가 되었다. 학맥은 동서 분당 뒤에 동인의 핵심을 이루고, 다시 동인이 남인-북인으로 갈릴 때, 이황 제자들은 남인, 조식 제자들은 북인을 이룬다. 한편 그의 저술 중 일부는 임진왜란 당시 일본군이 약탈해갔는데, 일본 성리학 발전에 영향을 주기도 하였다.

새로운!!: 조선 정조와 이황 · 더보기 »

이화동 (서울)

낙산에서 바라본 대학로 일대 이화동(梨花洞)은 서울특별시 종로구의 법정동이자 행정동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이화동 (서울) · 더보기 »

이완 (1791년)

이완(李烷, 1791년 - ?년)는 조선후기의 문신이자 종친으로, 조선후기 왕족 도정궁(都正宮) 진안군(晋安君) 이언식(李彦植)의 차남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이완 (1791년) · 더보기 »

인계동

인계동(仁溪洞)은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의 행정동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인계동 · 더보기 »

인천광역시의 역사

대동여지도에 그려진 인천 부근 인천광역시의 역사는 선사시대인 구석기 시대로 거슬러 올. 원삼국시대에 미추홀이 있었다고 추정되며, 삼국 시대에 고구려의 영토가 된 뒤로는 매소홀현(買召䑸䎱)으로 불리다가 다시 신라의 영토가 되었고 경덕왕이 소성(邵城)이라 이름지었.

새로운!!: 조선 정조와 인천광역시의 역사 · 더보기 »

인어대방

인어대방(隣語大方)은 18~19세기에 조선과 일본에서 사용된 조선어-일본어 학습서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인어대방 · 더보기 »

일기

일기(日記)란 개인이 일상에서 체험하는 경험, 생각, 감상 등의 제반사항을 하루 단위로 기록하는 비공식적, 사적 기록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일기 · 더보기 »

음력 6월 28일

음력 6월 28일은 음력 6월의 28번째 날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음력 6월 28일 · 더보기 »

음력 7월 8일

음력 7월 8일은 음력 7월의 8번째 날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음력 7월 8일 · 더보기 »

음력 9월 22일

음력 9월 22일은 음력 9월의 22번째 날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음력 9월 22일 · 더보기 »

의기사

의기사(義妓祠)는 경상남도 진주시에 있는, 논개의 영정과 위패를 모신 사당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의기사 · 더보기 »

의빈 성씨

의빈 성씨(宜嬪 成氏, 1753년 8월 6일 (음력 7월 8일정조, 「어제 의빈 묘표」, "嬪生于英宗二十九年癸酉七月八日") ~ 1786년 11월 4일 (음력 9월 14일))의 본관은 창녕(昌寧)이고 이름은 덕임(德任)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의빈 성씨 · 더보기 »

의소

의소(義沼, 1746년 ~ 1796년)는 조선후기의 중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의소 · 더보기 »

의소세자

의소세자(懿昭世子, 1750년 9월 27일(음력 8월 27일) ~ 1752년 4월 17일(음력 3월 4일)) 또는 의소세손(懿昭世孫)은 조선의 왕세손이자 추존 왕세자로 조선의 21대 왕 영조(英祖)의 장손이자 장조(莊祖)의 적장자로 헌경왕후(獻敬王后) 소생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의소세자 · 더보기 »

은전군

은전군 이찬(恩全君 李禶, 1759년 8월 14일 ~ 1778년 8월 26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왕족으로, 영조의 서손이자 사도세자(장조로 추존)의 서자이며, 어머니는 경빈 박씨(景嬪朴氏)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은전군 · 더보기 »

은언군

은언군 이인(恩彦君 李䄄, 1754년 5월 29일 ~ 1801년 6월 30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으로, 조선 영조의 손자이자 장조의 서장자이며 정조의 이복동생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은언군 · 더보기 »

은신군

은신군 이진(恩信君 李禛, 1755년 음력 1월 11일 ~ 1771년 음력 3월 29일)은 조선시대의 왕자, 왕족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은신군 · 더보기 »

적서 차별

적서 차별은 조선시대 적자와 서자를 차별하는 체제, 제도였.

새로운!!: 조선 정조와 적서 차별 · 더보기 »

제릉

제릉(齊陵)은 태조 이성계의 원비인 신의왕후 한씨의 능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제릉 · 더보기 »

제주 부씨

제주 부씨(濟州夫氏)는 제주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제주 부씨 · 더보기 »

제주성지

제주성지(濟州城址)는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이도1동에 있는 제주성의 잔존 터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제주성지 · 더보기 »

전고종갓

전고종갓(傳高宗-)은 대한제국 고종이 쓰던 것으로 전해지는 갓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전고종갓 · 더보기 »

전계대원군

전계대원군(全溪大院君, 1785년 4월 29일(음력 3월 21일) ~ 1841년 12월 14일(음력 11월 2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이자 농민이며, 철종의 생부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전계대원군 · 더보기 »

전극항

전극항 (全克恒, 1590년 ~ 1636년)은 조선 인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전극항 · 더보기 »

전주시의 역사

전주시(全州市)는 대한민국 전라북도의 중앙부에 위치한 시이자 전라북도청 소재지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전주시의 역사 · 더보기 »

전호진 (배우)

전호진(全浩鎭, 아명(兒名)은 전효진(全孝珍), 1965년 5월 23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전호진 (배우) · 더보기 »

정 (시호)

정은 동아시아 군주의 칭호에 쓰이는 글자.

새로운!!: 조선 정조와 정 (시호) · 더보기 »

정도전

정도전(鄭道傳, 1342년~ 1398년 10월 6일(음력 8월 26일))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자 유학자, 혁명가(革命家)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정도전 · 더보기 »

정보 (조선)

정보(鄭保, ? ~ ?)는 조선시대 초기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정보 (조선) · 더보기 »

정관정요

《정관정요》(貞觀政要)는 중국 당 때에 오긍이 편찬했다고 전하는 당 태종의 언행록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정관정요 · 더보기 »

정빈 이씨

정빈 이씨(靖嬪 李氏, 1694년? ~ 1721년 6월 / 11월)는 조선 제21대 왕 영조(英祖)의 후궁이자 빈(嬪)으로, 조선의 추존황제 진종의 어머니이며, 정조의 양 할머.

새로운!!: 조선 정조와 정빈 이씨 · 더보기 »

정재곤

정재곤(1969년 1월 8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정재곤 · 더보기 »

정조 (동음이의)

정조는 다음을 가리.

새로운!!: 조선 정조와 정조 (동음이의) · 더보기 »

정조 어제 채제공 뇌문비

정조 어제 채제공 뇌문비(正祖 御製 蔡濟恭 誄文碑)는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역북동, 채제공선생묘에 있는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뇌문비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정조 어제 채제공 뇌문비 · 더보기 »

정조 어찰첩

정조 어찰첩(正祖 御札牒)은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조선시대의 기록유산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정조 어찰첩 · 더보기 »

정조 선황제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조선 정조와 정조 선황제 · 더보기 »

정조로

정조로(正祖路)는 경기도 화성시 진안동 병점지하차도 북단과 수원시 장안구 송죽동 일왕삼거리를 잇는 경기도의 도로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정조로 · 더보기 »

정조암살미스터리: 8일

《정조암살미스터리 - 8일》은 채널CGV에서 2007년 11월 17일부터 2007년 12월 16일까지 방영한 미스터리 드라마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정조암살미스터리: 8일 · 더보기 »

정조필 국화도

정조필 국화도(正祖筆 菊花圖)는 서울특별시 중구, 동국대학교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 정조(재위 1776∼1800)가 그린 국화그림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정조필 국화도 · 더보기 »

정조실록

《정종대왕실록》(正宗大王實錄)은 정조 재위 기간의 실록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정조실록 · 더보기 »

정종

정종에는 다음과 같은 동음이의어가 있.

새로운!!: 조선 정조와 정종 · 더보기 »

정유역변

정유역변은 1777년 정유년에 있었던 반역 사건을 일컫.

새로운!!: 조선 정조와 정유역변 · 더보기 »

정순왕후 (조선 영조)

정순왕후 김씨(貞純王后, 1745년 12월 2일 ~ 1805년 2월 11일)는 조선의 21대왕인 영조(英祖)의 계비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정순왕후 (조선 영조) · 더보기 »

정성왕후

정성왕후 서씨(貞聖王后 徐氏, 1693년 1월 12일 (1692년 음력 12월 7일) ~ 1757년 4월 3일 (음력 2월 15일)는 조선의 제21대 왕 영조의 정비(正妃)이며 조선의 역대 왕비 중 왕비재임기간이 가장 긴 왕비이다. 정식시호는 혜경장신강선공익인휘소헌원렬단목장화정성왕후(惠敬莊愼康宣恭翼仁徽昭獻元烈端穆章和貞聖王后)이다. 본관은 달성(達城). 달성부원군(達城府院君) 서종제와 잠성부부인(岑城府夫人) 이씨(李氏) 사이에서 태어났다.

새로운!!: 조선 정조와 정성왕후 · 더보기 »

정약용

화성성역의궤에 실린 거중기 정약용(丁若鏞, 1762년 8월 5일(음력 6월 16일) ~ 1836년 4월 7일(음력 2월 22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실학자·저술가·시인·철학자·과학자·공학자이다. 본관은 나주, 자는 미용(美庸), 호는 다산(茶山)·사암(俟菴)·탁옹(籜翁)·태수(苔叟)·자하도인(紫霞道人)·철마산인(鐵馬山人)·문암일인(門巖逸人), 당호는 여유당(與猶堂)이다. 시호는 문도(文度)이다.

새로운!!: 조선 정조와 정약용 · 더보기 »

정약전

정약전(丁若銓, 1758년 4월 8일(음력 3월 1일)~1816년 6월 30일(음력 6월 6일))은 조선 영조에서 순조 연간에 살던 성리학자·생물학자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정약전 · 더보기 »

정약종

정약종(丁若鍾, 1760년 ~ 1801년 4월 8일)은 조선 정조 때의 학자이며, 천주교 순교자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정약종 · 더보기 »

정약현

정약현(丁若鉉, 1751년 ~ 1821년)은 조선 후기의 인물로, 자는 태현(太玄), 호는 부연(鬴淵)이며 본관은 나주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정약현 · 더보기 »

정후겸

정후겸(鄭厚謙, 1749년 ~ 1776년)은 조선 후기의 외척, 문신, 정치가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정후겸 · 더보기 »

조문명

조문명의 초상화 조문명(趙文命, 1680년-1732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학자로 영조의 장남 효장세자의 장인이며 효순현빈 조씨(뒤에 왕후로 추존)의 친정아버지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조문명 · 더보기 »

조경 (1727년)

조경(趙璥, 1727년 ~ 1787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조경 (1727년) · 더보기 »

조경묘

조경묘(肇慶廟)는 전라북도 전주시에 있는, 전주 이씨의 시조인 이한(李翰)과 그 부인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조경묘 · 더보기 »

조경환 (배우)

조경환(趙卿煥, 1945년 3월 21일 ~ 2012년 10월 13일)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조경환 (배우) · 더보기 »

조재호 (1702년)

조재호(趙載浩, 1702년 ~ 1762년)는 조선시대의 문신이자 외척으로, 효장세자의 비 현빈 조씨의 친오빠이며, 정조의 양 외삼촌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조재호 (1702년) · 더보기 »

조영 통상 조약

조영통상조약(Treaty of friendship and Commerce Between Great Britain and Corea)은 1883년 11월 26일 조선과 영국 사이에 전문 13조의 조영수호통상조약(朝英修好通商條約), 부속통상장정(附續通商章程), 세칙장정(稅則章程), 선후속약(善後續約)의 영문 조약 필사본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조영 통상 조약 · 더보기 »

조엄 (조선)

조엄(趙曮, 1719년 ~ 1777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조엄 (조선)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문조

조선 문조(文祖)(1809년 9월 18일 (순조 9년 음력 8월 9일) ~ 1830년 6월 25일 (순조 30년 음력 5월 6일))는 헌종의 아버지로서 조선의 추존왕이자 왕세자, 문인, 시인이며 대한제국의 추존황제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조선 문조 · 더보기 »

조선 장조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조선 정조와 조선 장조 · 더보기 »

조선 정종

정종(定宗, 1357년 7월 18일 (음력 7월 1일) ~ 1419년 10월 15일 (음력 9월 26일), 재위: 1398년 ~ 1400년)은 고려 말기의 문신이자 조선의 제2대 임금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조선 정종 · 더보기 »

조선 정종 (22대)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조선 정조와 조선 정종 (22대) · 더보기 »

조선 정종(22대)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조선 정조와 조선 정종(22대) · 더보기 »

조선 진종

종(眞宗, 1719년 4월 4일(음력 2월 15일) ~ 1728년 12월 16일(음력 11월 16일))은 조선의 왕세자이자 추존왕, 대한제국 추존황제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조선 진종 · 더보기 »

조선 철종

종(哲宗, 1831년 7월 25일(음력 6월 17일) ~ 1864년 1월 16일(1863년 음력 12월 8일))은 조선의 제25대 왕(재위 1849년 7월 28일 ~ 1864년 1월 16일)이자 대한제국 추존황제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조선 철종 · 더보기 »

조선 순조

순조(純祖, 1790년 7월 29일 (음력 6월 18일) ~ 1834년 12월 13일 (음력 11월 13일))는 조선의 제23대 왕(재위 1800년-1834년)이며 대한제국의 추존황제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조선 순조 · 더보기 »

조선 숙종

숙종(肅宗, 1661년 10월 7일(음력 8월 15일) ~ 1720년 7월 12일(음력 6월 8일))은 조선의 제19대 왕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조선 숙종 · 더보기 »

조선 영조

영조(英祖, 1694년 10월 31일(음력 9월 13일) ~ 1776년 4월 22일(음력 3월 5일))는 조선의 제21대 왕(재위, 1724년 10월 16일 ~ 1776년 4월 22일)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조선 영조 · 더보기 »

조선 헌종

종(憲宗, 1827년 9월 8일(음력 7월 18일) ~ 1849년 7월 25일(음력 6월 6일))은 조선의 제24대 왕(재위: 1834년 ~ 1849년)이며 대한제국의 추존황제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조선 헌종 · 더보기 »

조선 후기의 문학

조선 후기의 문학(朝鮮後期-文學) 문서에서는 조선시대 후기의 문학에 관해 설명.

새로운!!: 조선 정조와 조선 후기의 문학 · 더보기 »

조선 왕 가계도

조선의 임금들은 전주 이씨의 조선 태조의 후손들로 1392년부터 1897년까지 혈통이 이어졌.

새로운!!: 조선 정조와 조선 왕 가계도 · 더보기 »

조선명탐정: 각시투구꽃의 비밀

《조선명탐정: 각시투구꽃의 비밀》은 2011년 개봉된 김석윤 감독, 김명민, 오달수, 한지민 주연의 영화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조선명탐정: 각시투구꽃의 비밀 · 더보기 »

조선의 과거 제도

이 문서는 조선 시대(朝鮮時代)의 과거 제도(科擧制度)를.

새로운!!: 조선 정조와 조선의 과거 제도 · 더보기 »

조선의 대외 관계

조선 시대의 대외 관계에서, 조선은 건국 초부터 대명(對明) 외교에서 사대적인 정책을 취함으로써 왕조의 권위를 보장받으려고 하였.

새로운!!: 조선 정조와 조선의 대외 관계 · 더보기 »

조선의 역대 국왕

조선의 국왕의 칭호는 대개 묘호로 불린.

새로운!!: 조선 정조와 조선의 역대 국왕 · 더보기 »

조선의 역대 왕비

조선의 왕비와 대한제국의 황후(朝鮮의 王妃와 大韓帝國의 皇后)는 조선 시대 국왕이나 대한제국 황제의 정실 부인(正宮)으로서 중궁(中宮)의 자리에 있던 사람을 말. 흔히 중전(中殿, 중궁전의 준말)이라고 하며 이외에도 국모(國母), 내전(內殿), 곤전(坤殿), 곤위(壼位), 곤극(壼極), 성녀(聖女) 등의 여러 이칭이 있. 왕비의 자리에 오르는 것에는 여러가지 경우가 있었는데, 일반적으로는 국가에서 금혼령(禁婚令)을 내리고 간택 절차를 거쳐 세자빈에 책봉되면 훗날 세자인 남편이 왕위에 올라 자신도 왕비가 되는 것이었.

새로운!!: 조선 정조와 조선의 역대 왕비 · 더보기 »

조선의 역대 왕대비

조선의 왕대비(朝鮮의 王大妃)는 조선 시대 왕비의 지위(地位) 중 하나로서 일반적으로 임금의 어머니를 말. 흔히 대비(大妃, 왕대비의 준말)라고 하며 이외에도 국모(國母), 모후(母后), 자성(慈聖), 자전(慈殿), 자위(慈闈) 등의 여러 이칭이 있.

새로운!!: 조선 정조와 조선의 역대 왕대비 · 더보기 »

조선의 역대 왕세자빈

왕세자빈(王世子嬪)은 조선에서 왕세자의 정배(正配, 嫡室)에게 내린 작위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조선의 역대 왕세자빈 · 더보기 »

조선의 역사

조선의 역사는 크게 전기와 후기로 나뉘며, 전기를 다시 둘로 나눠 전기와 중기로 보아 전기-중기-후기로 보. 이때 전기-후기를 나누는 기준은 임진왜란이며, 전기-중기-후기를 나누는 기준은 전기와 중기는 중종반정, 중기와 후기는 임진왜란 또는 병자호란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조선의 역사 · 더보기 »

조선의 연호

종 이전의 조선은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지 않고 명과 청의 연호를 사용하였.

새로운!!: 조선 정조와 조선의 연호 · 더보기 »

조선의 왕세자

조선의 왕세자 및 대한제국의 황태자는 조선의 국왕, 대한제국 황제의 잠재적 왕위 계승권자로, 신하들은 국왕 외에 그에게도 칭신을 하였.

새로운!!: 조선 정조와 조선의 왕세자 · 더보기 »

조선의 왕세손

조선의 왕세손은 왕세손으로 조선의 국왕의 손자이자 현임 왕세자의 아들이었.

새로운!!: 조선 정조와 조선의 왕세손 · 더보기 »

조선왕릉

조선왕릉(朝鮮王陵)은 조선의 역대 왕과 왕비, 추존왕들의 무덤을 총칭하는 말로, 일반적으로 1897년에 수립된 대한제국의 역대 황제와 황후의 무. 조선왕릉은 삼국 시대와 고려 시대의 왕릉 제도의 영향을 받았는데, 고구려의 호석(護石)제도는 신라와 고려를 거쳐 조선왕릉에 그대로 전해졌고, 조선왕릉의 전체적인 형태는 공민왕의 무덤인 현정릉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았.

새로운!!: 조선 정조와 조선왕릉 · 더보기 »

조선왕조 오백년

《조선왕조 오백년》은 MBC에서 1983년 3월부터 1990년 12월까지 방영한 장편 대하 드라마 시리즈물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조선왕조 오백년 · 더보기 »

조성하 (배우)

조성하(趙城何, 1966년 8월 8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조성하 (배우) · 더보기 »

좌의정

좌의정(左議政)은 의정부 3의정의 하나인 정 1품 관직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좌의정 · 더보기 »

종묘

종묘(宗廟)는 조선 왕조의 역대 국왕들과 왕후들의 신주를 모시고 제례를 봉행하는 유교 사당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종묘 · 더보기 »

중앙동 (울산)

중앙동(中央洞)은 울산광역시 중구의 행정동, 법정동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중앙동 (울산) · 더보기 »

중화절

중화절(中和節)은 음력 2월 1일에 농사철이 시작되는 것을 기념하는 중국과 조선에 세시 풍속으로, 민간에서는 머슴들에게 송편 등을 나누어 주고, 궁중에서는 임금이 재상과 시종들에게 잔치를 베풀고 중화척을 나누어 주.

새로운!!: 조선 정조와 중화절 · 더보기 »

증보문헌비고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는 동국문헌비고의 증보판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증보문헌비고 · 더보기 »

집경전

집경전(集慶殿)은, 지금의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었던 조선 태조의 진전(眞殿)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집경전 · 더보기 »

진북학의소

북학의소(進北學議疏) 또는 진소본북학의(進疏本北學議)는 1799년에 박제가가 정조에게 올린 상소문 형태의 저술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진북학의소 · 더보기 »

진주성

주성(晉州城)은 경상남도 진주시 남성동에서 본성동에 걸쳐 있는 석성으로, 삼국시대 백제에 의해 건립되었.

새로운!!: 조선 정조와 진주성 · 더보기 »

진안대군

안대군(鎭安大君, 1354년 ~ 1394년 1월 15일(1393년 음력 12월 13일))은 고려 말기의 문신이자 조선 초기의 왕자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진안대군 · 더보기 »

진안군 (왕족)

안군 이언식(晋安君 李彦植, 1752년 ~ 1819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왕족으로 덕흥대원군의 후손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진안군 (왕족) · 더보기 »

지용기

용기(池湧奇, 1330년 ~ 1392년 4월)는 고려 말기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지용기 · 더보기 »

지지대 고개

(遲遲臺―)는 경기도 의왕시 왕곡동과 수원시 장안구 파장동 사이에 위치한 고개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지지대 고개 · 더보기 »

지지대비

비(遲遲臺碑)는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에 있는, 조선 정조의 지극한 효성을 추모하기 위해 순조 7년(1807) 화성 어사 신현의 건의로 세워진 비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지지대비 · 더보기 »

차천로

(車天輅, 1556년 ~ 1615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차천로 · 더보기 »

창덕궁

창덕궁(昌德宮)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에 있는 조선 시대 궁궐로 동쪽으로 창경궁과 맞닿아 있. 경복궁의 동쪽에 있어서 조선 시대에는 창경궁과 더불어 동궐(東闕)이라 불. 창덕궁은 비교적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는 중요한 고궁이며, 특히 창덕궁 후원은 한국의 유일한 궁궐후원이라는 점과 한국의 정원을 대표한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높.《글로벌 세계대백과》〈창덕궁〉 1997년에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

새로운!!: 조선 정조와 창덕궁 · 더보기 »

창덕궁 측우대

창덕궁 측우대(昌德宮測雨臺)는 본래 창덕궁 금문원(檎文院)에 설치되었던 측우대로, 직경 16.2cm, 길이 4.3cm의 구멍이 파여 그 안에 측우기를 앉혀 놓게 되어 있는 대(臺)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창덕궁 측우대 · 더보기 »

창경궁

창경궁(昌慶宮)은 서울시에 있는 조선 성종 때에 건축한 궁궐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창경궁 · 더보기 »

창녕 성씨

창녕 성씨(昌寧 成氏)는 경상남도 창녕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창녕 성씨 · 더보기 »

창원 구씨

창원 구씨(昌原 仇氏)는 경상남도 창원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창원 구씨 · 더보기 »

채 (성씨)

(蔡, 菜, 采)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채 (성씨) · 더보기 »

채용신

용신(蔡龍臣, 1848년(헌종 14년) ~ 1941년)은 조선 후기의 초상화.

새로운!!: 조선 정조와 채용신 · 더보기 »

채제공

제공(蔡濟恭, 1720년 ~ 1799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채제공 · 더보기 »

책문후시

책문후시(柵門後市)는 조선 현종 초년부터 구련성(九連城)과 봉황성(鳳凰城) 중간의 책문에서 행해지던 청과의 통상을 말.책문후시, 《글로벌 세계 대백과》 조선의 교역으로는 청에 대한 조공무역, 사행(使行)에 의한 사무역, 기타 청구에 의한 교역이 행해졌.

새로운!!: 조선 정조와 책문후시 · 더보기 »

첩지머리

첩지머리 첩지는 한복에서 족두리나 아얌 등 머리장식을 할 때 머리를 고정하기 위해 착용하던 머리 장식을 말. 첩지는 머리를 단정하게 하기 위해 머리 정 가운데에 꽂았.

새로운!!: 조선 정조와 첩지머리 · 더보기 »

청계천

청계천(淸溪川)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내부에 있는 지방하천으로, 한강 수계에 속하며 중랑천의 지류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청계천 · 더보기 »

청계산 (경기/서울)

청계산(淸溪山)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와 경기도 과천시, 성남시, 의왕시의 경계에 걸쳐있는 산으로 대표적인 흙산으로 알려져 있는데 최고 높이의 좌표는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상적동 산 73-14번지에서 220m 남서쪽으로 위치해 있. 모암은 호상 흑운모 편마암과 세립질 편마암이 각각 약45%씩 차지하여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우백질 편마암, 화강암질 편마암, 산성암맥 및 석회암이 국지적으로 출현하였으며, 저지대의 경작지 인접지역에는 충적층을 볼 수 있. 모암의 특성상 풍화가 빠르게 진행되어 깊이가 깊고 입자가 고운 갈색 산림 토양이 형성되고 있.

새로운!!: 조선 정조와 청계산 (경기/서울) · 더보기 »

청근옹주

청근옹주(淸瑾翁主, ~ 1835년 음력 9월 1일)는 조선의 왕족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청근옹주 · 더보기 »

청연공주

청연공주(淸衍公主, 1754년 ~ 1821년 7월 7일(음력 6월 9일))는 조선의 왕족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청연공주 · 더보기 »

청풍 김씨

청풍 김씨(淸風 金氏)는 충청북도 제천시 청풍면을 본관을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청풍 김씨 · 더보기 »

청풍면 (화순군)

청풍면(淸豊面)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화순군 남부에 위치한 면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청풍면 (화순군) · 더보기 »

청선공주

청선공주(淸璿公主, 1756년 ~ 1802년 8월 17일(음력 7월 20일))는 조선의 왕족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청선공주 · 더보기 »

청암사

청암사(靑巖寺)는 경상북도 김천시 증산면 평촌리에 위치한 대한불교조계종 소속의 사찰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청암사 · 더보기 »

천방지축마골피

방지축마골피 혹은 천방지추마골피는 역사 문헌 기록이 없어 출처와 유래를 알 수 없는 대한민국의 도시전설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천방지축마골피 · 더보기 »

천곡사 (통천군)

곡사(泉谷寺)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강원도 통천군에 있는 사찰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천곡사 (통천군) · 더보기 »

천주교 전주교구

주교 전주교구(天主敎全州敎區,)는 대한민국 가톨릭의 교구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천주교 전주교구 · 더보기 »

처영

영(處英, ? ~ ?)은 조선 중기의 승려로 임진왜란 당시 승병을 이끌고 여러 전투에 참여해 공을 세웠.

새로운!!: 조선 정조와 처영 · 더보기 »

초계문신

(文臣)들을 칭하는 용어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초계문신 · 더보기 »

초요기

섯 초요기 중 하나로, 후위군을 부를 때 사용한 적색 칠성기 초요기(招搖旗)는 조선시대 군기의 일종으로, 전장에서 대장이 장수들을 부를 때 사용한 깃발들을 통칭하는 이름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초요기 · 더보기 »

충무공이순신전서

충무공이순신전서(忠武公李舜臣全書)는 정조 19년 (1795년)에 발간된 충무공 이순신(忠武公 李舜臣)의 유고 전집으로 14권 8책의 활자본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충무공이순신전서 · 더보기 »

춘향전

향전 한글판 영인본 표지 《춘향전》(春香傳)은 한국의 고소설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춘향전 · 더보기 »

추관지

《추관지》(秋官志)는 형조의 소관 사무를 모아 정리 편찬한 책으로, 1781년(정조 5년)에 형조판서 김노진(金魯鎭)이 형조의 원외(員外) 박일원(朴一源)에게 위탁하여 편성.

새로운!!: 조선 정조와 추관지 · 더보기 »

측우기

측우기 측우기(測雨器)는 조선 시대에 강우량 분포를 측정하던 기구로서, 세계 최초의 강우량 측정기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측우기 · 더보기 »

칠궁

궁(七宮)은 대한민국 서울시 종로구 궁정동(청와대 내)에 위치한, 조선의 왕들을 낳은 친모이지만 왕비에 오르지 못한 후궁 7인의 신위를 모신 곳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칠궁 · 더보기 »

칠성동

성동(七星洞)은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북구의 행정동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칠성동 · 더보기 »

판문동

문동(板門洞)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진주시의 동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판문동 · 더보기 »

판소리

소리(또는 소리)는 한 명의 소리꾼이 고수(북치는 사람)의 장단에 맞추어 소리(창), 아니리(말), 너름새(몸짓)을 섞어가며 구연(口演)하는 일종의 솔로 오. ‘판소리’는 ‘판’과 ‘소리’의 합성어로 ‘소리’는 ‘음악’을 말하고 ‘판’은 ‘여러 사람이 모인 곳’ 또는 ‘상황과 장면’을 뜻하는 것으로 ‘많은 청중들이 모인 놀이판에서 부르는 노래’라는 뜻으로 구광대가 병풍을 두르고 돗자리를 펼친 마당이나 공연장에서 짧게는 세 시간, 길게는 여섯 시간 정도 걸리는 긴 이야기를 몸짓을 섞어가며 고수의 북 반주에 맞춰 노래하는 한국 전통음악의 하나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판소리 · 더보기 »

유득공

유득공(柳得恭, 류득공, 1748년 12월 24일(음력 11월 5일) ~ 1807년 10월 1일(음력 9월 1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실학자, 문신, 시인이며 조선 정조 당시의 실학자, 시인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유득공 · 더보기 »

유형원

유형원(柳馨遠, 1622년 3월 2일(음력 1월 21일) ~ 1673년 5월 5일(음력 3월 19일))은 조선 중기의 실학자, 성리학자, 작가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유형원 · 더보기 »

유언호

유언호(兪彦鎬, 1730년 ~ 1796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유언호 · 더보기 »

유연지

유연지(1983년 7월 22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유연지 · 더보기 »

육진팔광

육진팔광(六眞八匡)은 효민공(孝敏公) 석문(石門) 이경직(李景稷)의 증손 북곡(北谷) 이진유(李眞儒)가 영조 6년(1730년) 고령의 나이에 문초(고문)로 옥사(사망)하자 일제히 벼슬을 버리고 강화도(江華島)로 들어가 살아갈 터를 잡은 후, 출사(出仕)를 단념하고 오로지 학문에만 힘썼던 그 후손들을 말.

새로운!!: 조선 정조와 육진팔광 · 더보기 »

윤급

상화 윤급(尹汲, 1697년 음력 2월 30일 ~ 1770년 음력 5월 19일)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윤급 · 더보기 »

윤의제

윤의제(尹義濟, 1640년 ~ ?)는 조선 후기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윤의제 · 더보기 »

윤제동

윤제동(尹悌東, 1761년 2월 1일 - 1803년 3월 30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윤제동 · 더보기 »

윤증

윤증 초상 윤증 윤증(尹拯, 1629년 ~ 1714년 1월 30일)은 조선 후기의 학자, 정치인, 사상가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윤증 · 더보기 »

윤지충

윤지충(尹持忠, 1759년 ~ 1791년 12월 8일)은 조선 후기의 로마 가톨릭 교도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윤지충 · 더보기 »

윤치호

윤치호(尹致昊, 일본식 이름:, 1865년 1월 23일 ~ 1945년 12월 9일)는 조선, 대한제국의 개혁, 민권운동가·문신이자 외교관·언론인·교육자, 한국의 정치가·교육자·사상가·언론인·종교가이며 기독교운동가였.

새로운!!: 조선 정조와 윤치호 · 더보기 »

윤휴

윤휴(尹鑴, 1617년 10월 14일 ~ 1680년 5월 20일)는 조선의 문신, 성리학자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윤휴 · 더보기 »

윤선도

윤선도(尹善道, 1587년 7월 27일(음력 6월 22일) ~ 1671년 7월 16일(음력 6월 11일))는 조선시대 중기, 후기의 시인·문신·작가·정치인이자 음악가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윤선도 · 더보기 »

윤시동

윤시동(尹蓍東, 1729~1797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윤시동 · 더보기 »

파문 (드라마)

《파문》은 MBC 정통 사극 조선왕조 오백년 시리즈의 열 번째 작품으로, 1989년 6월 7일부터 9월 13일까지 방영되었.

새로운!!: 조선 정조와 파문 (드라마) · 더보기 »

파장동

장동(芭長洞)은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의 북쪽에 위치한 행정동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파장동 · 더보기 »

휘경원

휘경원(徽慶園)은 조선 정조의 후궁이자 조선 순조의 사친인 수비 박씨의 무덤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휘경원 · 더보기 »

융건릉

융건릉(隆健陵)은 사적 제206호로 지정된 문화재로 장조(사도세자)와 그의 비 헌경왕후(혜경궁 홍씨)를 합장한 융릉(隆陵)과 그의 아들 정조와 효의왕후를 합장한 건릉(健陵)을 합쳐 부르는 이름으로 경기도 화성시 안녕동에 있.

새로운!!: 조선 정조와 융건릉 · 더보기 »

팔달문

문(八達門)은 수원 화성의 남문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팔달문 · 더보기 »

상계군

상계군 이담(常溪君 李湛, 1769년 1월 21일 ~ 1786년 11월 20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으로 초명(初名)은 이준(李濬)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상계군 · 더보기 »

탁지지

《탁지지》(度支志)는 조선 호조의 옛 사례를 모은 책으로 1788년(정조 12년) 박일원(朴一源)이 왕명을 받들어 편찬하였.

새로운!!: 조선 정조와 탁지지 · 더보기 »

상산군부인 김씨

상산군부인 상주김씨(商山郡夫人 商州金氏, 1698년 6월 26일 ~ 1725년 6월 12일)는 조선 후기의 왕족으로 조선 숙종의 서자 연령군 이훤(延齡君 李昍)의 부인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상산군부인 김씨 · 더보기 »

상산군부인 송씨

은언군과 상산군부인의 묘비 상산군부인 송씨(常山郡夫人 宋氏, 1753년 10월 15일 ~ 1801년 4월 4일)은 조선후기의 왕족이자 천주교 순교자로, 사도세자의 서자 은언군 이인(恩彦君 李姻)의 정실 부인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상산군부인 송씨 · 더보기 »

택견

택견 또는 태껸은 한국의 전통의 민속놀이, 무술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택견 · 더보기 »

태교신기

신기(胎敎新記)는 조선 정조 때(1800년경) 사주당 이씨가 지은 책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태교신기 · 더보기 »

태장고등학교

장고등학교(台章高等學校)는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영통동에 위치한 공립 고등학교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태장고등학교 · 더보기 »

탕평책

탕평책(蕩平策)은 조선 영조가 당파 싸움을 막기 위해 당파간의 세력 균형을 위해 추진한 정책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탕평책 · 더보기 »

투전

전(鬪牋)은 한국의 민속놀이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투전 · 더보기 »

순원왕후

순원왕후 김씨(純元王后, 1789년 6월 8일 (음력 5월 15일) ~ 1857년 9월 21일 (음력 8월 4일))는 조선 제23대 왕인 순조의 정비(正妃)이자 문조(효명세자, 文祖)의 어머니이며 헌종의 할머니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순원왕후 · 더보기 »

순화군

순화군(順和君, 1580년 음력 10월 10일 ~ 1607년 음력 3월 18일)은 조선 중기의 왕족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순화군 · 더보기 »

수빈 박씨

수빈 박씨 또는 유빈 박씨(綏嬪 朴氏, 1770년 음력 5월 8일 ~ 1823년 2월 5일(1822년 음력 12월 26일))는 조선의 제22대 왕 정조의 네 번째 후궁이자 마지막 간택후궁이고, 제23대 왕 순조의 생모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수빈 박씨 · 더보기 »

수암동 (울산)

수암동(峀岩洞)은 울산광역시 남구의 행정동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수암동 (울산) · 더보기 »

수원 백씨

수원 백씨(水原 白氏)는 경기도 수원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

새로운!!: 조선 정조와 수원 백씨 · 더보기 »

수원 화성

화성의 지도 수원 화성(水原 華城)은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와 장안구에 걸쳐 있는 길이 5.52킬로미터의 성곽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수원 화성 · 더보기 »

수원군

수원군(水原郡)은 경기도의 옛 행정 구역으로, 경기도 화성군의 이전 행정구역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수원군 · 더보기 »

수원시

수원시(水原市)는 대한민국 경기도 중남부에 있는 시이자 경기도청 소재지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수원시 · 더보기 »

숙빈 임씨

숙빈 임씨(肅嬪 林氏, ? ~ 1773년)는 조선의 추존왕 장조(사도세자)의 후궁으로, 철종의 증조모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숙빈 임씨 · 더보기 »

숙의 문씨 (영조)

숙의 문씨(淑儀 文氏, ? ~ 1776년 음력 8월 10일)는 조선의 제21대 왕 영조의 후궁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숙의 문씨 (영조) · 더보기 »

숙의 박씨 (순조)

숙의 박씨(淑儀 朴氏, ? ~ 1854년 음력 6월 30일)는 조선의 제23대 왕 순조의 후궁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숙의 박씨 (순조) · 더보기 »

숙선옹주

숙선옹주(淑善翁主, 1793년 4월 11일(음력 3월 1일) ~ 1836년 6월 7일)는 조선의 왕족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숙선옹주 · 더보기 »

숙안공주

숙안공주(淑安公主, 1636년 ~ 1697년 음력 12월 22일)는 조선의 공주로 제17대 왕 효종(孝宗, 1619~1659, 재위: 1649~1659)과 인선왕후 장씨(仁宣王后 張氏, 1618~1674) 사이의 차녀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숙안공주 · 더보기 »

영빈 이씨

쪽.

새로운!!: 조선 정조와 영빈 이씨 · 더보기 »

영남 만인소

영남 만인소(嶺南萬人疏)는 1881년 고종 16년에 유생 이만손을 중심으로 하는 경상도 지역 유생들이 정부의 개화정책에 반대해서 올린 상소문으로 유생들이 전개한 위정척사 운동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영남 만인소 · 더보기 »

영등포동

영등포동(永登浦洞)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의 법정동·행정동 명칭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영등포동 · 더보기 »

영등포구

영등포구(永登浦區)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남서부에 있는 구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영등포구 · 더보기 »

영평군 (1828년)

영평군 이경응(永平君 李景應, 1828년 7월 20일 ~ 1902년 2월 1일/1901년 음력 12월 23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종실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영평군 (1828년) · 더보기 »

영의정

영의정(領議政)은 의정부 3정승 가운데 하나로 정1품에 해당하는 조선 최고의 중앙관직이었.

새로운!!: 조선 정조와 영의정 · 더보기 »

영온옹주

영온옹주(永溫翁主, 1817년 음력 10월 11일 ~ 1829년 음력 4월 8일)는 조선의 왕족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영온옹주 · 더보기 »

영원한 제국

《영원한 제국》은 1995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영원한 제국 · 더보기 »

옥동 (울산)

옥동(玉洞)은 울산광역시 남구의 법정동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옥동 (울산) · 더보기 »

온온사

온온사(穩穩舍)는 과천시 중앙동사무소 뒤편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온온사 · 더보기 »

온양 방씨

온양 방씨(溫陽 方氏)는 충청남도 아산시를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온양 방씨 · 더보기 »

온양온천

온양온천(溫陽溫泉)은 충남 아산시 온천동 일원에 위치한,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온천으로 1,300여 년 전 백제 때에는 탕정군, 신라 때에는 탕정주, 고려시대 때에는 온수군으로 지칭되었.

새로운!!: 조선 정조와 온양온천 · 더보기 »

예천 명봉리 경모궁 태실 감역 각석문

예천 명봉리 경모궁 태실 감역 각석문(醴泉 鳴鳳里 景慕宮 胎室 監役 刻石文)은 경상북도 예천군 효자면 명봉리에 있는, 정조 9년(1785)에 景慕宮(사도세자)의 태실을 감역한 사람들의 명단이 자연암석에 새겨진 각석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예천 명봉리 경모궁 태실 감역 각석문 · 더보기 »

예천 문효세자 태실

예천 문효세자 태실(醴泉 文孝世子 胎室)은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내지리에 있는, 1783년(정조 7)에 조성된 문효세자의 태실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예천 문효세자 태실 · 더보기 »

현빈

현빈(炫彬, (金泰坪) 1982년 9월 25일 ~)은 대한민국의 남자 배우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현빈 · 더보기 »

최수한

수한(1997년 8월 12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최수한 · 더보기 »

최영손

영손(崔泳孫, ?~1455년)은 조선의 무신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최영손 · 더보기 »

어진

조선 태조의 어진 어진(御眞)은 왕의 초상화를 뜻. 어진 말고도 진용(眞容)·진(眞)·진영 (眞影)·수용(睢容)·성용(聖容)·영자(影子)·영정(影幀)·어용(御容)·왕상(王像)·어영(御影) 이라는 단어들로 불리었다가 1713년(숙종 39년) 숙종어진을 그릴 당시 어용도사도감도제조(御容圖寫都監都提調)였던 이이명의 건의에 따라 ‘어진’이라는 명칭으로 통일하였.

새로운!!: 조선 정조와 어진 · 더보기 »

어유봉

어유봉(魚有鳳, 1672년 ~ 1744년)은 조선의 문신이자 학자이며 조선 후기의 거유(巨儒)였.

새로운!!: 조선 정조와 어유봉 · 더보기 »

언양군

언양군(彦陽郡)은 울산광역시 울주군 서부지역에 있던 옛 행정구역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언양군 · 더보기 »

양반

양반 양반(兩班)은 조선 시대 최상급의 사회계급으로 사(士)·농(農)·공(工)·상(商) 중 사족(士族)에 해당.

새로운!!: 조선 정조와 양반 · 더보기 »

양반전

《양반전》(兩班傳)은 조선 정조 때 박지원이 지은 한문소설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양반전 · 더보기 »

양정동 (울산)

양정동(楊亭洞)은 울산광역시 북구의 법정동 및 행정동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양정동 (울산) · 더보기 »

양주 낭씨

양주 낭씨(楊州 浪氏)는 경기도 양주시를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양주 낭씨 · 더보기 »

양산 남강서원 소장 어정두륙천선

양산 남강서원 소장 어정두륙천선(梁山 南岡書院 所藏 御定杜陸千選)는 경상남도 양산시에 있는 조선시대의 시선집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양산 남강서원 소장 어정두륙천선 · 더보기 »

양산 남강서원 소장 어정사부수권

양산 남강서원 소장 어정사부수권(梁山 南岡書院 所藏 御定四部手圈)은 경상남도 양산시, 남강서원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시대의 책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양산 남강서원 소장 어정사부수권 · 더보기 »

여수절도사안숙사적비

여수절도사안숙사적비(麗水節度使安潚事蹟碑)는 전라남도 여수시 연등동에 있는 조선시대의 사적비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여수절도사안숙사적비 · 더보기 »

여수호좌수영수성창설사적비

여수호좌수영수성창설사적비(麗水湖左水營守城創設事蹟碑)는 전라남도 여수시에 있는 조선시대의 사적비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여수호좌수영수성창설사적비 · 더보기 »

역린 (영화)

《역린》(逆鱗)은 2014년 4월 30일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역린 (영화) · 더보기 »

역사 연표

역사 연표는 세계사를 적은 연표로 한국사도 포함되어 있.

새로운!!: 조선 정조와 역사 연표 · 더보기 »

역사저널 그날의 에피소드 목록

아래는 KBS 1TV 《역사저널 그날》의 방영 목록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역사저널 그날의 에피소드 목록 · 더보기 »

역사채널e

역사채널e는 한국교육방송공사(EBS)에서 방송하는 5분 정도 길이의 단편 역사 프로그램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역사채널e · 더보기 »

연조귀감

《연조귀감》(掾曹龜鑑)은 조선의 관인 이진흥(李震興)이 향리(鄕吏)에 관계된 기록 및 그들 가운데서 뛰어난 인물의 전기를 모아 엮은 책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연조귀감 · 더보기 »

열상방언

열상방언洌上方言)은 조선 영조~정조 때의 학자 이덕무(李德懋)가 속담을 수집하여 한역한 글이다.

새로운!!: 조선 정조와 열상방언 · 더보기 »

열하일기

《열하일기》(熱河日記)는 조선 정조 때의 북학파인 박지원이 44세 때인 1780년(정조 4년)에 삼종형(8촌 형) 박명원(朴明源)이 청나라 건륭제의 만수절(萬壽節, 칠순 잔치) 사절로 북경(당시의 연경)에 갈 때 따라가서 보고 들은 것을 남긴 견문기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열하일기 · 더보기 »

헌경왕후

경왕후 홍씨(獻敬王后 洪氏, 1735년 8월 6일(음력 6월 18일) ~ 1816년 1월 13일(1815년 음력 12월 15일))는 조선시대 후기의 왕세자빈, 추존왕비로, 대한제국의 추존황후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헌경왕후 · 더보기 »

허목

목(許穆, 1595년 12월 11일 ~ 1682년 4월 2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및 유학자, 역사가이자 교육자, 정치인이며, 화가, 작가, 서예가, 사상가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허목 · 더보기 »

허균

(許筠, 1569년 12월 10일(음력 11월 3일) ~ 1618년 10월 12일(음력 8월 24일))은 조선 중기의 문인으로 학자이자 작가, 정치가, 시인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허균 · 더보기 »

허난설헌

설헌(許蘭雪軒, 1563년 ~ 1589년 3월 19일)은 조선 중기의 시인, 작가, 화가,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허난설헌 · 더보기 »

허적

적(許積, 1610년 ~ 1680년 5월 11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학자, 정치인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허적 · 더보기 »

허정숙

정숙(許貞淑, 1902년 7월 16일 ~ 1991년 6월 5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며 여성운동가, 사회주의자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허정숙 · 더보기 »

표훈사

훈사(表訓寺)는 강원도 금강군 내강리 내금강 만폭동 어귀에 있는 조선시대 사찰이며 금강산 4대 사찰 가운데 유일하게 남아 있는 절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표훈사 · 더보기 »

풍계군

풍계군 이당(豐溪君 李瑭, 1783년 2월 1일 - 1826년 5월 8일)은 조선후기의 왕족으로 사도세자(장조)의 서손자이자 은전군(恩全君)의 양아들이며 생부는 은언군(恩彦君)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풍계군 · 더보기 »

풍양 조씨

풍양 조씨(豐壤 趙氏)는 경기도 남양주시를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풍양 조씨 · 더보기 »

풍산 홍씨

풍산 홍씨(豊山 洪氏)는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풍산 홍씨 · 더보기 »

사도 (영화)

《사도》는 2015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사도 (영화) · 더보기 »

사르후 전투

사르후 전투()는 1619년 명나라에 쳐들어오는 후금에 대항하기 위해 명나라, 조선, 여진족까지 참전한 대전.

새로운!!: 조선 정조와 사르후 전투 · 더보기 »

사육신

량진공원 의절사 사육신(死六臣)은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가 발각되어 세조에게 죽임을 당한 여섯 명의 신하를 이르는 말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사육신 · 더보기 »

사육신묘

사육신묘(死六臣墓)는 서울특별시 동작구 노량진동, 사육신묘지공원에 있는 조선시대의 사육신(死六臣)을 모신 곳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사육신묘 · 더보기 »

사심충만 오!쾌남

《사심충만 오!쾌남》은 2017년 4월 1일부터 2017년 7월 9일까지 채널A에서 방영되었던 역사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사심충만 오!쾌남 · 더보기 »

산림 (정치)

산림(山林)은 학식과 덕이 높으나 벼슬을 하지 아니하고 숨어 지내는 선비로서 산림숙덕지사, 산림독서지인의 준말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산림 (정치) · 더보기 »

산대나례

산대나례(山臺儺禮)는 조선조에 이루어지던 유희의.

새로운!!: 조선 정조와 산대나례 · 더보기 »

삼척 죽서루

삼척 죽서루(三陟 竹西樓)는 강원도 삼척시에 위치한 누각으로 보물 213호로 지정되었으며, 관동팔경 중의 하나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삼척 죽서루 · 더보기 »

삼산동 (울산)

삼산동(三山洞)은 울산광역시 남구의 법정동, 행정동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삼산동 (울산) · 더보기 »

삼성사

삼성사(三聖祠)는, 황해도(黃海道) 문화현(文化縣, 지금의 북한 황해남도 안악군) 구월산에 위치한 사당으로, 고려, 조선 시대 국가와 민간에서 단군(檀君)의 제사를 지내던 곳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삼성사 · 더보기 »

삼학사전

삼학사전 《삼학사전》(三學士傳)은 1671년 조선의 유학자인 송시열이 편찬한 삼학사의 전기문으로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 《송자대전》 제113권에 원문이 수록되어 있으며 필사본 1책이 규장각 도서로 편찬되었.

새로운!!: 조선 정조와 삼학사전 · 더보기 »

피휘

청나라 강희제의 피휘. 강희제의 이름 현엽(玄燁)에서 마지막 획을 긋지 않았다. 이런 피휘법을 결획(缺劃)이라 한다. 피휘(避諱)는 군주나 자신의 조상의 이름에 쓰인 글자를 사용하지 않는 관습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피휘 · 더보기 »

피서산장

서산장()은 중국에서 가장 큰 황실 정원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피서산장 · 더보기 »

선 (시호)

선(宣)은 시호의 일종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선 (시호) · 더보기 »

선운사

선운사(禪雲寺)는 대한민국의 전라북도 고창군에 위치한 명승고찰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선운사 · 더보기 »

성균관 스캔들

《성균관 스캔들》은 2010년 8월 30일부터 2010년 11월 2일까지 KBS 2TV에서 방송된 월화드라마.

새로운!!: 조선 정조와 성균관 스캔들 · 더보기 »

성주 옥천서원

성주 옥천서원(星州 玉川書院)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성주군 용암면에 소재한 서원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성주 옥천서원 · 더보기 »

세도정치

세도 정치(勢道政治)는 조선시대 왕의 신임과 직접적인 위임(委任)을 받는 형식으로 정권을 잡고 나라를 다스리던 일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세도정치 · 더보기 »

서매수

서매수(徐邁修, 1731년 ~ 1818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서매수 · 더보기 »

서명선

서명선(徐命善, 1728년 ~ 1791년)은 조선의 문신 겸 정치가 및 시인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서명선 · 더보기 »

서광범

서광범(徐光範, 1859년 11월 8일 ~ 1897년 7월 17일 또는 8월)은 조선 말기의 문신, 정치가이며 개화파 사상가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서광범 · 더보기 »

서북피아양계만리일람지도

〈서북피아양계만리일람지도〉(西北彼我兩界萬里一覽之圖)는 작자, 연대 미상의 한국 관북 관서 지방과 만주 지방, 러시아의 연해주를 포함하는 관방지도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서북피아양계만리일람지도 · 더보기 »

서운관지

서운관지(書雲觀志)는 조선 영조~조선 정조 때의 천문학자 성주덕(成周悳)이 짓고, 이경로,이의봉에 의해 교정 받은 천문학책으로 조선 순조 18년인 1818년에 간행되었.

새로운!!: 조선 정조와 서운관지 · 더보기 »

서재창

서재창(徐載昌, 1866년 10월 29일 ~ 1884년 12월 13일)은 조선 말기의 군인, 정치인, 개화사상가로 서재필의 동생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서재창 · 더보기 »

서재영 (1867년)

서재영(徐載榮, 1867년 10월 15일 ~ 1922년 2월 24일)은 대한제국 말기의 관료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서재영 (1867년) · 더보기 »

서재필

서재필(徐載弼, 1864년 1월 7일 ~ 1951년 1월 5일, 미국 귀화명은 필립 제이슨(Philip Jaisohn))은 조선의 무신, 대한제국의 정치인, 언론인이자 미국 국적의 한국 독립운동가, 의사였.

새로운!!: 조선 정조와 서재필 · 더보기 »

서일보

서일보(徐日輔, 1734년 5월 4일 - 1804년 1월 3일)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서일보 · 더보기 »

서유구

서유구 초상 서유구(徐有榘, 1764년 ~ 1845년)은 조선 후기의 실학자이자, 농정가(農政家)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서유구 · 더보기 »

서유녕

서유녕(徐有寧, 1733년 8월 3일 - 1789년 5월 2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서유녕 · 더보기 »

서호공원

서호공원 내 서호저수지. 서호공원(西湖公園)은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화서동 일대에 위치한 공원으로, 서호천이 유입되는 저수지인 서호(西湖) 주변에 조성되었.

새로운!!: 조선 정조와 서호공원 · 더보기 »

서호수

서호수(徐浩修, 1736년 ∼1799년)는 조선 후기의 천문학자이자 실학자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서호수 · 더보기 »

서얼

서얼(庶孼)은 양반의 자손 가운데 첩(妾)과의 사이에서 나온 자손을 말하는 것으로, 양인(良人)의 신분에 속하는 첩이 낳은 서자(庶子)와 천민(賤民)에 속하는 첩이 낳은 얼자(孼子)를 함께 이르는 말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서얼 · 더보기 »

서얼 금고령

서얼 금고령은 조선 시대 서자들에 대한 관직을 제한한 규정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서얼 금고령 · 더보기 »

서산 해미읍성

미읍성(海美邑城)은 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면에 있는 옛 읍성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서산 해미읍성 · 더보기 »

서삼릉

서삼릉(西三陵)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원당동에 있는, 희릉, 효릉, 예릉의 세 능(三陵)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서삼릉 · 더보기 »

송자대전

송자대전(宋子大全)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유학자, 성리학자인 송시열의 저서와 시문, 상소 등을 모은 모음집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송자대전 · 더보기 »

송현수

송현수(宋玹壽, ? ~ 1457년 음력 10월 21일)는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국구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송현수 · 더보기 »

송시열

송시열(宋時烈, 1607년 12월 30일(음력 11월 12일) ~ 1689년 7월 19일(음력 6월 3일))은 조선의 문신·성리학자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송시열 · 더보기 »

소론

소론(少論)은 조선 붕당정치의 한 당파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소론 · 더보기 »

소의 유씨

소의 유씨(昭儀 劉氏, ? ~ 1707년 음력 4월 8일《승정원일기》숙종 33년 4월 8일 (경인) 원본435책/탈초본23책 (7/8))는 조선 숙종의 후궁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소의 유씨 · 더보기 »

소지섭

소지섭(蘇志燮, 1977년 11월 4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가수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소지섭 · 더보기 »

소설 목민심서

《소설 목민심서》는 KBS 2TV에서 2000년 5월 1일부터 2000년 10월 12일까지 방영된 드라마인데 소설가와 정약용을 이진우가 1인 2역으로 연기하면서 생긴 혼란이 컸던 것과 드라마를 너무 의식한 기법이 드라마의 흐름을 끊었다는 지적이 있었.

새로운!!: 조선 정조와 소설 목민심서 · 더보기 »

소안도

소안도(所安島)는 대한민국 남해안의 섬으로, 전라남도 완도군 소안면에 속. 면적은 23.22 km2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소안도 · 더보기 »

통명전

창경궁 통명전(昌慶宮通明殿)은 창경궁에 있는 왕의 침전 겸 연회용 건물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통명전 · 더보기 »

합덕제

합덕제(合德堤) 또는 당진 합덕제(唐津 合德堤)는 충청남도 당진시 합덕읍에 위치한 저수지였.

새로운!!: 조선 정조와 합덕제 · 더보기 »

항주 황씨

항주 황씨(杭州 黃氏)는 중국에서 유래한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항주 황씨 · 더보기 »

해동 (별칭)

동(海東)은 한국에 대한 별칭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해동 (별칭) · 더보기 »

해동농서

《해동농서》(海東農書)는 조선 후기에 편찬된 농서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해동농서 · 더보기 »

해동삼국도

동삼국도」 채색필사 248.0×264.4cm,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해동삼국도(海東三國圖)는 연대·작자 미상의 동북아시아 지도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해동삼국도 · 더보기 »

해미면

미면(海美面)은 충청남도 서산시에 있는 면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해미면 · 더보기 »

해남 대흥사 서산대사유물

흥사 서산대사유물(海南 大興寺 西山大師遺物)은 전라남도 해남군, 대흥사에 있는 조선시대 서산대사의 유물로, 임진왜란때 승군(僧軍)으로 나선 서산대사를 승군 대장 도총섭(都總攝)으로 임명한 교지와 정조가 서산대사의 충절을 기리는 내용을 친히 적은 서산대사화상당명 총 2점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해남 대흥사 서산대사유물 · 더보기 »

해주 오씨

주 오씨(海州 吳氏)는 황해도 해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해주 오씨 · 더보기 »

해안군

안군(海安君, 1511년 음력 6월 15일 ~ 1573년 음력 8월 4일)은 조선의 왕족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해안군 · 더보기 »

해암정

암정(海巖亭)은 강원도 동해시 추암동에 있는 정자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해암정 · 더보기 »

야미도

야미도(夜味島) 또는 배미섬은 전라북도 군산시 옥도면 야미도리에 속하는 면적 0.5 km²의 섬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야미도 · 더보기 »

야음장생포동

야음장생포동(也音長生浦洞)은 울산광역시 남구의 행정동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야음장생포동 · 더보기 »

약천정

약천정(藥泉亭)은 경상북도 영양군 수비면 발리리에 있는 조선 시대의 정자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약천정 · 더보기 »

약사동 (울산)

약사동(藥泗洞)은 울산광역시 중구의 행정동, 법정동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약사동 (울산) · 더보기 »

한복

원삼 당의 다양한 종류의 한복을 입은 행렬 한복(韓服)은 한민족 고유의 옷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한복 · 더보기 »

한국 법제의 역사

이 문서는 한국 법제의 역사(韓國 法制- 歷史)를 기술.

새로운!!: 조선 정조와 한국 법제의 역사 · 더보기 »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또는 한국의 천주교회는 조선 중엽에서 말기 사이에 마테오 리치의 《천주실의》(天主實義)를 통해 ‘서학’(西學)이라는 학문으로서 전래되었으며, 이후 점차 신도가 늘어 외부의 선교 활동 없이 자치 교회를 세우는 데에 이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 더보기 »

한국의 미술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국보 제83호). 한국의 미술은 한반도 및 주변 지역에서 발생했던 미술을 말. 고분벽화, 불화, 문인화, 산수화 같은 평면 시각매체 예술과, 불상, 석탑, 도자기 같은 입체 시각매체 예술을.

새로운!!: 조선 정조와 한국의 미술 · 더보기 »

한국의 민속놀이

국의 민속놀이(韓國-民俗-)는 한국의 전통적인 놀이를 말. 예로부터 주로 서민층에서 명절이나 혹은 특별한 일이 있을 경우에 예식의 하나로서 여흥을 돋구고자, 또는 어린이들 사이에서 교육과 유희를 위해 행하여졌.

새로운!!: 조선 정조와 한국의 민속놀이 · 더보기 »

한국의 천문학

국의 천문학(韓國-天文學)은 삼국시대 이전부터 시작되었.

새로운!!: 조선 정조와 한국의 천문학 · 더보기 »

한국의 역사

국의 역사(韓國-歷史) 또는 한국사는 구석기 시대 이후 주로 한반도와 만주, 연해주, 넓게는 동아시아 지역을 바탕으로 발전되어 온 한민족의 역사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한국의 역사 · 더보기 »

한국의 연극

국 연극(韓國_演劇)의 장르는 가면극, 인형극, 판소리, 창극, 신파극, 신극의 여섯으로 크게 나눌 수 있.梁在淵, 문화·민속/한국의 연극/한국의 연극[서설], 《글로벌 세계 대백과》.

새로운!!: 조선 정조와 한국의 연극 · 더보기 »

한국의 왕자와 왕녀 목록

이 문서는 현재까지 알려진 한국의 왕자(황자)와 왕녀(공주, 궁주, 옹주)의 목록을 담고 있.

새로운!!: 조선 정조와 한국의 왕자와 왕녀 목록 · 더보기 »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韓國을 빛낸 百名의 偉人들)은 박인호(박문영)가 작사, 작곡하여 1991년에 최영준, 노사사(노래를 사랑하는 사람들)의 노래로 발표한 노래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 · 더보기 »

한국사 전

《한국사 전》(한국사 傳)은 《역사기행》 종영 후 2007년 6월 16일부터 2008년 10월 25일까지 매주 토요일 밤 8시 10분부터 9시까지 KBS 1TV에서 방송된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한국사 전 · 더보기 »

한일도서협정으로 반환된 도서 목록

2011년 12월 6일 도서에 관한 대한민국 정부와 일본국 정부 간의 협정 발효에 따라 일본에서 대한민국으로 반환이 완료된 1205권의 도서 목록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한일도서협정으로 반환된 도서 목록 · 더보기 »

한중록

중록(閑中錄 또는 恨中錄)은 헌경왕후가 궁중생활 60년을 기록한 자전적인 회고록으로서 궁정 수필 및 자전적 수필로 분류되며, 쓰인 문체는 내간체(內簡體) 및 우유체(優柔體)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한중록 · 더보기 »

한중록 (드라마)

《한중록》은 MBC 정통 사극 조선왕조 오백년 시리즈의 아홉 번째 작품으로, 1988년 10월 19일부터 1989년 6월 1일까지 방영되었.

새로운!!: 조선 정조와 한중록 (드라마) · 더보기 »

한치윤

윤(韓致奫, 1765년~1814년)은 조선 후기의 실학자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한치윤 · 더보기 »

한상진 (배우)

상진(韓尚進, 1978년 1월 17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한상진 (배우) · 더보기 »

한성별곡

《한성별곡-정》(漢城別曲-正, Conspiracy in the Court)은 대한민국의 KBS 2TV에서 2007년 7월 9일부터 2007년 7월 31일까지 매주 월요일과 화요일에 방영한 사극 드라마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한성별곡 · 더보기 »

안동시의 역사

안동시의 역사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안동시의 역사에 대해서.

새로운!!: 조선 정조와 안동시의 역사 · 더보기 »

안경

현대의 안경 안경(眼鏡, 👓)은 눈의 굴절 이상을 보정하거나 눈을 보호하거나 몸을 치장하기 위한 기구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안경 · 더보기 »

안내상

안내상(安內相, 1964년 12월 25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안내상 · 더보기 »

안정복

안정복(安鼎福, 1712년 ~ 1791년 7월 20일)은 조선 후기의 실학자, 성리학자, 작가, 역사가, 수필가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안정복 · 더보기 »

안양시

안양시(安養市)는 대한민국 경기도 중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안양시 · 더보기 »

안성기

안성기(1952년 1월 1일 ~)는 대한민국의 영화배우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안성기 · 더보기 »

하회마을

회마을(河回里)은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에 있는 민속마을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하회마을 · 더보기 »

아산시

아산시(牙山市)는 대한민국 충청남도 북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아산시 · 더보기 »

필성뢰

성뢰(弼聖賚, 1752년 ∼ ?)는 조선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필성뢰 · 더보기 »

아시아의 역사

아시아의 문명을 잇는 실크로드 몽골제국 이전의 아시아 아시아의 역사는 동아시아와 남아시아, 중동등의 해안 지역과 이를 잇는 유라시아 스텝 지역의 역사 등으로 이루어져 있. 해안 지역에서는 메소포타미아와 인더스 강, 황하 등의 큰 강 유역에서 주요 고대 문명이 발생하였.

새로운!!: 조선 정조와 아시아의 역사 · 더보기 »

신미양요

신미양요(辛未洋擾)는 1871년 6월 1일(고종 8년 음력 4월 14일)에 발생한 조선과 미국 간 전쟁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신미양요 · 더보기 »

신경준 고지도

신경준 고지도(申景濬 古地圖)는 조선 시대 신경준이 제작한 지도 2매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신경준 고지도 · 더보기 »

신정왕후 (조선)

신정왕후(神貞王后, 1809년 1월 21일(1808년 음력 12월 6일) ~ 1890년 6월 4일(음력 4월 17일))는 조선의 추존왕 문조의 아내이며 헌종의 어머니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신정왕후 (조선) · 더보기 »

신천 (대구)

신천(新川, Sincheon)은 대한민국 대구광역시의 동부에 흐르는 하천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신천 (대구) · 더보기 »

신유박해

신유박해(辛酉迫害)는 1801년(순조 1년)에 발생한 조선의 가톨릭 박해 사건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신유박해 · 더보기 »

신위

신위(申緯, 1769년~1845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신위 · 더보기 »

신해박해

신해박해(辛亥迫害)는 1791년(신해년, 정조 15년) 조선 최초의 가톨릭에 대한 박해 사건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신해박해 · 더보기 »

신해통공

신해통공(辛亥通共)은 조선 후기인 1791년(정조 15년) 육의전을 제외한 시전의 금난전권(禁亂廛權)을 폐지한 조처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신해통공 · 더보기 »

신한평

신한평(申漢枰, 1726년 ~ ?)은 조선 후기의 화가이자 무관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신한평 · 더보기 »

실학파 문학

실학파 문학(實學派文學)은 조선시대에 유학 이외의 실생활에 유익한 것을 목표로 한 학문을 하는 사람들의 문학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실학파 문학 · 더보기 »

심능악

심능악(沈能岳, 1766년 ~ 1844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자는 유한(維翰), 본관은 청송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심능악 · 더보기 »

심의면

심의면(沈宜冕, 1808년 ~ 1865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자는 주경(周卿), 본관은 청송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심의면 · 더보기 »

심풍지

심풍지(沈豊之, 1738년 ~ 1793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심풍지 · 더보기 »

심환지

심환지 영정, 보물 1480호 심환지(沈煥之, 1730년 - 1802년 10월 18일)는 조선 영조·정조 시대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심환지 · 더보기 »

십팔기

십팔기(十八技, 18기)는 조선 영조 25년(1749년), 사도세자가 정리해 《무예신보》(武藝新譜)에 수록한 18가지 보병무예의 총칭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십팔기 · 더보기 »

시대 배경순 영화 목록

음은 시대 배경순 영화 작품 목록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시대 배경순 영화 목록 · 더보기 »

시흥동 (서울)

시흥동(始興洞)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금천구에 위치한 법정동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시흥동 (서울) · 더보기 »

시파

시파(時派)는 조선 정조 시기 정조의 탕평책을 지지한 세력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시파 · 더보기 »

원빈 홍씨

원빈 홍씨(元嬪 洪氏, 1766년 음력 5월 27일~1779년 음력 5월 7일)는 조선 정조의 첫 번째 간택후궁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원빈 홍씨 · 더보기 »

월봉서원

월봉서원은 조선시대 성리학자인 고봉 기대승의 학덕을 기리기 위해 호남 유생들이 1578년(선조 11) 광주광역시 광산구에 세운 서원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월봉서원 · 더보기 »

홍릉 (정성왕후)

홍릉(弘陵)은 조선 제21대 왕 영조의 원비 정성왕후 서씨의 능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홍릉 (정성왕후) · 더보기 »

홍명희

홍명희(洪命憙, 1888년 5월 23일 ~ 1968년 3월 5일)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가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홍명희 · 더보기 »

홍봉한

홍봉한(洪鳳漢, 1713년 ~ 1778년)은 조선 말기의 대신으로, 혜경궁 홍씨의 아버지이며 장헌세자(사도세자)의 장인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홍봉한 · 더보기 »

홍국영

홍국영(洪國榮, 1748년 ~ 1781년 4월 28일(음력 4월 5일))은 조선 영조,정조대의 세도 정. 본관은 풍산(豊山)이며, 자는 덕로(德老)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홍국영 · 더보기 »

홍국영 (드라마)

《홍국영》은 MBC에서 2001년 3월 26일부터 2001년 8월 7일까지 방영된 월화 드라마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홍국영 (드라마) · 더보기 »

홍낙순

홍낙순(洪樂純, 1723년 ~ ?)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홍낙순 · 더보기 »

홍낙성

홍낙성의 초상화 홍낙성(洪樂性, 1718년~1798년)은 조선시대 후기의 척신으로 좌의정과 영의정을.

새로운!!: 조선 정조와 홍낙성 · 더보기 »

홍우원

홍우원(洪宇遠, 1605년 7월 29일 ∼ 1687년 7월 2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학자이며 남인 중진이었.

새로운!!: 조선 정조와 홍우원 · 더보기 »

홍희 (1884년)

홍희(洪憙, 1884년 5월 16일 ~ 1935년 1월 6일)는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유학자 겸 역사가로 자는 복경(復卿), 호는 겸산(兼山), 겸산자(兼山子), 겸산하사(兼山下士), 겸산학인(兼山學人), 목식도인(木食道人)이며 본적은 한성부 안국동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홍희 (1884년) · 더보기 »

홍인한

홍인한(洪麟漢, 1722년 ~ 1776년 7월 5일)은 조선 후기의 문인이자 정치가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홍인한 · 더보기 »

홍익만

홍익만(洪翼曼, ?~?)은 조선 후기의 의관으로, 숙종 때 비변사 서리였던 홍국신(洪國藎)의 아들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홍익만 · 더보기 »

홍종현 (배우)

홍종현(洪宗玄, 1990년 2월 2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모델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홍종현 (배우) · 더보기 »

홍현주

홍현주(洪顯周, 1793년~1865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정조의 서차녀 숙선옹주의 남편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홍현주 · 더보기 »

홍양호

홍양호(洪良浩, 1724년 ~ 1802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홍양호 · 더보기 »

황사영

황사영(黃嗣永, 1775년 ~ 1801년 12월 10일)은 조선의 천주교 순교자.

새로운!!: 조선 정조와 황사영 · 더보기 »

황사영 백서

황사영 백서(黃嗣永帛書)는 조선에서, 1801년(순조 1년) 신유박해 때 천주교 신자(信者) 황사영이 중국 로마 가톨릭교회 북경 교구의 주교에게 혹독한 박해를 받는 조선교회의 전말보고와 그 대책을 흰 비단에 적은 밀서(密書)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황사영 백서 · 더보기 »

황선신

황선신(黃善身, 1570년~1637년)은 조선 중기의 무신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황선신 · 더보기 »

외규장각

외규장각 외규장각(外奎章閣)은 1782년 2월 정조가 왕실 관련 서적을 보관할 목적으로 강화도에 설치한 규장각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외규장각 · 더보기 »

화령전

수원 화령전(水原 華寧殿)는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신풍로23번길 34 (신풍동)에 있는 조선시대의 제사유적으로, 순조가 정조의 어진(御眞)을 봉안(奉安)하고 제사를 지내던 곳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화령전 · 더보기 »

화령옹주

화령옹주(和寧翁主, 1752년 ~ 1821년 음력 9월 3일)은 조선의 왕족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화령옹주 · 더보기 »

화길옹주

화길옹주(和吉翁主, 1754년 ~ 1772년 음력 12월 18일)는 조선의 왕족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화길옹주 · 더보기 »

화빈 윤씨

화빈 윤씨(和嬪 尹氏, 1765년 ~ 1824년)는 조선의 제22대 왕 정조의 두 번째 간택후궁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화빈 윤씨 · 더보기 »

화평옹주

화평옹주(和平翁主, 1727년 4월 27일 ~ 1748년 6월 24일)는 조선의 왕족으로, 제21대 왕 영조의 서녀이며, 생모는 영빈 이씨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화평옹주 · 더보기 »

화순읍

화순읍(和順邑)은 전라남도 화순군에 위치한 읍으로, 지리상 화순군 서북부에 위치하고 동쪽으로 동면, 이서면, 서쪽으로 나주시, 남쪽으로는 한천면, 능주면, 도곡면에 접하고, 북쪽으로는 광주광역시 동구와 남구에 접하고 있. 거창읍, 옥천읍, 증평읍, 울릉읍처럼 군 전체 인구의 50%이상이 거주하는 몇 안되는 읍 중 하나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화순읍 · 더보기 »

화순옹주 (영조)

화순옹주(和順翁主, 1720년 ~ 1758년 1월 17일)는 조선 제21대 임금 영조(英祖, 1694~1776, 재위 1724~1776)의 차녀로 어머니는 정빈 이씨(靖嬪 李氏, 1694~1721)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화순옹주 (영조) · 더보기 »

화협옹주

화협옹주(和協翁主, 1733년 음력 3월 7일 ~ 1752년 음력 11월 27일)는 조선의 왕족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화협옹주 · 더보기 »

화억옹주

화억옹주(和億翁主, 1717년 4월 22일 ~ 1718년 4월 8일)는 조선의 옹주이자 제21대 영조의 장녀로 어머니는 정빈 이씨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화억옹주 · 더보기 »

화성 용주사 회양목

화성 용주사 회양목(華城 龍珠寺 -楊木)은 경기도 화성시 송산동, 용주사 대웅보전 앞에 있던 회양목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화성 용주사 회양목 · 더보기 »

화성행궁

화성행궁 (華城行宮)은 정조가 머물던 임시 처소로서, 평소에는 부사(府使) 또는 유수(留守)가 집무하던 곳으로 활용되던 곳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화성행궁 · 더보기 »

화성행행도 병풍

화성행행도 병풍(華城行幸圖 屛風)은 조선의 제22대 국왕 정조가 아버지인 사도세자의 묘소에 행차한 모습을 그린 그림을 담은 8폭 병풍을 말. 대한민국의 보물 제1430호로 지정되어 있. 정조가 부친인 사도세자의 회갑을 맞이하여, 정조 19년(1795년) 윤 2월 9일부터 8일간에 걸쳐 모친인 혜경궁 홍씨를 모시고 사도세자의 묘소가 있는 화성의 현륭원(顯隆園)을 행행했을 때 거행한 주요 행사를 그린 8첩 병풍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화성행행도 병풍 · 더보기 »

화성시

화성시(華城市)는 대한민국 경기도 서남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화성시 · 더보기 »

화완옹주

화완옹주(和緩翁主, 1738년 3월 9일 (음력 1월 19일) ~ 1808년 5월)는 조선의 제 21대 왕 영조와 영빈 이씨의 딸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화완옹주 · 더보기 »

완도 묘당도 이충무공 유적

완도 묘당도 이충무공 유적(莞島 廟堂島 李忠武公 遺蹟)은 전라남도 완도군 고금면에 있는 조선시대 정유재란 때 충무공 이순신(1545∼1598) 장군과 명나라 장수 진린(陳璘)의 군사들이 힘을 합해 왜군을 물리쳤던 장소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완도 묘당도 이충무공 유적 · 더보기 »

완도 충무사

완도 충무사(莞島 忠武祠)는 전라남도 완도군에 있는, 충무공 이순신을 기리고자 건립된 사당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완도 충무사 · 더보기 »

완성군

완성군 이희(完城君 李爔, 1771년 10월 9일 ~ 1830년 6월 6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문신이며, 도정궁(都正宮) 사손(嗣孫)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완성군 · 더보기 »

왕 (한국 성씨)

왕(王)씨는 한국 성씨 순위는 82위로 2만명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왕 (한국 성씨) · 더보기 »

왕도 (드라마)

《왕도》(王道)는 1991년 대한민국의 방송사 KBS에서 방영된 드라마이며 조선 정조시대 때 절대권력을 누린 홍국영의 일생을 중심으로 한 사극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왕도 (드라마) · 더보기 »

왕세손

왕세손(皇太孫)은 국왕의 적장손이자, 왕세자의 적장자로 왕위계승 서열 2위에 해당.

새로운!!: 조선 정조와 왕세손 · 더보기 »

KBS 스페셜

《KBS 스페셜》은 매주 목요일 밤 10시에 KBS 1TV로 방송되는 다큐멘터리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KBS 스페셜 · 더보기 »

10월 28일

10월 2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01번째(윤년일 경우 30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조선 정조와 10월 28일 · 더보기 »

1752년

1752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1752년 · 더보기 »

1753년

1753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1753년 · 더보기 »

1762년

1762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1762년 · 더보기 »

1776년

1776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1776년 · 더보기 »

1777년

1777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1777년 · 더보기 »

1778년

1778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1778년 · 더보기 »

1779년

1779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1779년 · 더보기 »

1780년

1780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1780년 · 더보기 »

1781년

1781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1781년 · 더보기 »

1782년

1783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1782년 · 더보기 »

1783년

1783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1783년 · 더보기 »

1784년

1784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1784년 · 더보기 »

1785년

1785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1785년 · 더보기 »

1786년

1786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1786년 · 더보기 »

1787년

1787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1787년 · 더보기 »

1788년

1788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1788년 · 더보기 »

1789년

1789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1789년 · 더보기 »

1790년

1790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1790년 · 더보기 »

1791년

1791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1791년 · 더보기 »

1792년

1792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1792년 · 더보기 »

1793년

1793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1793년 · 더보기 »

1794년

1794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1794년 · 더보기 »

1795년

1795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1795년 · 더보기 »

1796년

1796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1796년 · 더보기 »

1797년

1797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1797년 · 더보기 »

1798년

1798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1798년 · 더보기 »

1799년

1799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1799년 · 더보기 »

1800년

1800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1800년 · 더보기 »

1800년 주권국의 지도자 목록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조선 정조와 1800년 주권국의 지도자 목록 · 더보기 »

1800년대

1800년대는 1800년부터 1809년까지를 가리.

새로운!!: 조선 정조와 1800년대 · 더보기 »

19세기

세실 존 로드의 케이프-카이로 철도 계획을 풍자한 그림. 영국의 아프리카 남북 분할의 상징이다. 제1차 아편 전쟁의 전투기록화 19세기(- 世紀)는 1801년부터 1900년까지의 기간이.

새로운!!: 조선 정조와 19세기 · 더보기 »

2009년 2월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조선 정조와 2009년 2월 · 더보기 »

2월 9일

2월 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40번째(윤년일 경우도 4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조선 정조와 2월 9일 · 더보기 »

8월 18일

8월 1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30번째(윤년일 경우 23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조선 정조와 8월 18일 · 더보기 »

8월 5일

8월 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17번째(윤년일 경우 21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조선 정조와 8월 5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대한제국 정조, 정조, 정조 (조선), 정조 이산, 정조대왕, 정조선황제, 조선 정조대왕, 홍재 이산, 홍재 정조.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