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거룩한 잔

색인 거룩한 잔

빈 성에 거룩한 잔을 들고 퍼시벌 앞에 나타난 아름다운 여인의 환영. 1917년 아서 래컴이 그린 삽화. 거룩한 잔 또는 신성한 술잔, 성배(聖杯)는 문학 작품과 일부 기독교 전승에 등장하는 성유물로서, 일반적으로 최후의 만찬에서 예수 그리스도가 사용했던 술잔으로서 기적의 힘을 지닌 것으로 묘사.

14 처지: 그레이트브리튼섬, 그리스도의 피, 기독교, 댄 브라운, 다빈치 코드, 크레티앵 드 트루아, 켈트족, 예수, 최후의 만찬, 성작, 성혈과 성배, 아리마태아의 요셉, 아서 래컴, 아서 왕.

그레이트브리튼섬

이트브리튼 섬() 또는 대브리튼 섬은 유럽 북서쪽에 있는 세계에서 9번째로 큰 섬이.

새로운!!: 거룩한 잔와 그레이트브리튼섬 · 더보기 »

그리스도의 피

리스도의 피()는 십자가상에서 예수 그리스도가 실제로 흘렸던 육체의 피를 말하며, 기독교에서 가르치는 인류 구원은 바로 이 피를 흘림으로써 이루어졌.

새로운!!: 거룩한 잔와 그리스도의 피 · 더보기 »

기독교

독교(基督敎)From Ancient Greek Khristós (Latinized as Christus), translating Hebrew מָשִׁיחַ, Māšîăḥ, meaning "the anointed one", with the Latin suffixes -ian and -itas.

새로운!!: 거룩한 잔와 기독교 · 더보기 »

댄 브라운

브라운(Daniel Brown, 1964년 6월 22일 ~)은 미국의 소설가이.

새로운!!: 거룩한 잔와 댄 브라운 · 더보기 »

다빈치 코드

《다빈치 코드》()는 미국의 소설가 댄 브라운이 2003년에 쓴 미스터리 추리 소설이.

새로운!!: 거룩한 잔와 다빈치 코드 · 더보기 »

크레티앵 드 트루아

앵 드 트루아 크레티앵 드 트루아(Chrétien de Troyes, ?~?)는 12세기의 프랑스 시인이.

새로운!!: 거룩한 잔와 크레티앵 드 트루아 · 더보기 »

켈트족

켈트어파 언어가 아직도 널리 사용되는 지역 켈트족은 인도유럽어족의 한 일파인 켈트어파를 쓰는 아리아족을 가리.

새로운!!: 거룩한 잔와 켈트족 · 더보기 »

예수

예수(기원전 약 4년 ~ 기원후 약 30) 또는 나사렛 예수는 유대교, 기독교, 그리고 이슬람교 등 여러 종교에서 중요하게 다뤄지는 인물이.

새로운!!: 거룩한 잔와 예수 · 더보기 »

최후의 만찬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그림 〈최후의 만찬〉.산타 마리아 델레 그라치에 성당(Santa Maria delle Grazie)에 전시하기 위해 그렸음. 최후의 만찬(最後의晚餐)또는 마지막 만찬, 주의 만찬은 기독교의 신약성서에 기술된 장면 가운데 하나로, 예수 그리스도가 수난을 당하기 전날 밤(성력 1월14일 저녁), 열두 제자들과 함께 가진 저녁 식사 또는 그 저녁 식사 자리에서 일어났던 일을 말. 산타 마리아 델레 그라치에 성당 교회에 있는 벽화이.

새로운!!: 거룩한 잔와 최후의 만찬 · 더보기 »

성작

바로크 양식의 성작과 성반 성작(聖爵, 은 기독교에서 사용하는 제구(祭具) 중의 하나로 성찬 전례(영성체)를 거행할 때에 성찬용 포도주를 담는 잔이다. 일반적으로 값비싼 합금을 재료로 만들어지며, 때때로 에나멜이나 보석으로 화려하게 치장하기도 한다. 성작은 초기 기독교 때부터 쭉 사용되어 왔다. 성경을 보면 최후의 만찬에서 예수는 제자들에게 빵과 잔에 든 포도주를 나누어 주며 “너희는 나를 기억하여 이를 행하여라.”(루카 22,19)라고 당부하였으며, 사도 바오로 또한 코린토 신자들에게 보낸 첫째 서간 11장 23~26장에서 성찬례는 기독교 전례의 중심이라고 가르쳤다. 이에 따라 성작은 매우 중요한 제구로서 매우 훌륭하게 장식되었으며 조심스럽게 다루어지게 되었다. 초창기 성작들은 커다란 그릇에 두 개의 손잡이가 달린 형태를 하고 있었으며, 시간이 흐르면서 성작의 크기는 작아지고 성작을 놓을 때 쓰러지지 않기 위해 잔을 받치는 밑의 받침 부분이 커졌다. 또한 기독교 미술의 양식이 변화하면서 각 시대마다 잔과 받침의 크기와 비례의 변화, 장식 기법, 재료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하였다. 150px 성작의 기본적인 형태는 포도주가 담기는 잔 부분(poculum)과 손잡이의 역할을 하는 중간의 줄기부분(nodus), 받침(fundamentum)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 시대와 나라에 따라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며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였다. 서방 교회의 경우, 일반적으로 손잡이 부분과 받침 부분 사이에 어떤 장식이나 튀어나온 부위가 있어서 성작을 잡고 들어 올리는 일이 보다 용이하다. 가톨릭교회에서는 13세기 이후부터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전까지 성작들은 튤립 모양을 한 경우가 많았으며, 포도주를 담는 공간이 매우 좁았는데, 이는 미사 때 사제만이 성혈을 영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오늘날에는 모든 성체 배령자들도 자유롭게 성혈을 모실 수 있기 때문에(양형 영성체), 오늘날의 성작은 과거에 비해 더 크게 제작되는 경향이 있다. 성작을 만드는 데 사용된 재질은 초대 교회에서는 주로 유리가 사용되었고 점차 구리, 청동, 천연수정, 마노 등이 사용되다가 기독교가 정식으로 공인되고 본격적인 성미술이 시작되는 콘스탄티누스 대제(306-337) 이후에는 금이나 은과 같은 귀금속을 주재료로 하고 진주와 칠보 등 다양한 보석을 사용하여 만들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성작은 다시 초대 교회 시절의 단순하고 장식이 없는 기능적인 형태로 돌아갔다. 다만 쉽게 깨지거나 썩는 재료로 만들어서는 안 되고, 수분을 흡수하지 않는 재질을 사용하여야 한다. 또한 성작의 안쪽 면은 반드시 금으로 도금할 것을 규정하고 있다. 그릇을 받치는 대와 받침은 단단하고 품위 있는 재료를 사용하여야 하고, 성찬례가 거행되는 동안 성혈을 담은 성작이 넘어지는 일이 없도록 안전한 형태로 제작되어야 한다. 동방 정교회, 동방 가톨릭교회, 오리엔트 정교회 등의 동방 교회에서는 십자가상처럼 성작을 에나멜을 입히거나 조각을 새기고는 한다. 동방 교회에서는 서방 교회와는 달리 모든 성체 배령자가 의무적으로 성체와 성혈을 모두 영하는 양형 영성체 방식을 의무화하고 있다. 성체를 모실 때 성체 조각은 성작 안에 넣어지며, 성체 배령자들은 사제가 숟가락으로 성체와 성혈을 떠서 주면 입으로 받아 모신다. 이러한 까닭에 동방 교회의 성작들은 서방 교회의 성작들에 비해 크기가 더 크고, 잔 부분이 원형을 이루고 있다.

새로운!!: 거룩한 잔와 성작 · 더보기 »

성혈과 성배

《성혈과 성배》(영어 원제: The Holy Blood and the Holy Grail)는 헨리 링컨(Henry Lincorn), 마이클 베이전트(Michael Baigent), 리처드 레이(Richard Leigh)가 쓴, 기독교의 기원과 예수 전설에 관련된 내용을 조사한 책이.

새로운!!: 거룩한 잔와 성혈과 성배 · 더보기 »

아리마태아의 요셉

아리마태아의 요셉, 또는 아리마대의 요셉은 예수 그리스도의 제자 중 한 명(마태오 27:57)으로, 루가에 따르면 아리마태아는 유대인들의 동네 이름이.

새로운!!: 거룩한 잔와 아리마태아의 요셉 · 더보기 »

아서 래컴

아서 래컴 아서 래컴(1867년 9월 19일 - 1939년 9월 6일)은 영국의 동화책 삽화가이.

새로운!!: 거룩한 잔와 아서 래컴 · 더보기 »

아서 왕

1922년 출판된 《소년왕 아서》의 16쪽 삽화. "그들은 그 손이 들고 있는 검에 다가갔고, 아서 왕은 그것을 잡았다." 아서 왕()은 중세의 사료들과 무훈시, 기사문학에 언급되는 브리튼족 켈트인들의 전설적인 군주이.

새로운!!: 거룩한 잔와 아서 왕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성배, 신성한 술잔.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