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김시습

색인 김시습

시습(金時習, 1435년 ~ 1493년)은 조선 초기의 문인, 학자이.

105 처지: 동학사, 매월당문학사상연구회, 명주, 무량사 (부여군), 문학, 묘법연화경, 강릉 김씨, 박팽년, 경기도, 법명, 공주시, 계유정난, 북한산, 불교, 부여군, 기자헌, 금오신화, 금성대군, 김반, 김담, 김종직, 김종서, 김질, 김숙자 (1389년), 대학 (책), 구은사, 남효온, 남산 (경주), 노량진동, 승려, 자 (이름), 작가, 이개, 이계전, 이기 (1476년), 이득성, 이이, 이징옥, 이징옥의 난, 이수형 (1435년), 이시애, 이시애의 난, 의상 (신라), 정보 (조선), 정인지, 정창손, 조려, 조선, 조선 문종, 조선 단종, ..., 조선 숙종, 조선 세조, 조선 세종, 조선왕조실록, 중용, 집의, 집현전, 충청도, 충청남도, 유교, 유자미, 유응부, 유성원, 윤춘년, 윤상, 생육신, 영풍군 (왕족), 영월군, 호 (이름), 혜빈 양씨, 엄흥도, 사육신, 사육신묘, 사육신공원, 성리학, 성달생, 성담수, 성승, 성삼문, 세조찬위, 서거정, 서울특별시, 소요산, 소설, 한명회, 한성부, 한시, 안평대군, 하위지, 하원 (조선), 학문, 신숙주, 시 (문학), 시조, 원호, 홍유손, 황보인, 화엄일승법계도, 1435년, 1437년, 1447년, 1466년, 1468년, 1476년, 1493년.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55 더) »

동학사

동학사동학사(東鶴寺)는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에 있는 사찰이.

새로운!!: 김시습와 동학사 · 더보기 »

매월당문학사상연구회

매월당문학사상연구회는 민족사 최초의 소설을 저작하여 한민족의 문학사에 현저한 위공과 천추에 불로의 절의를 세우신 매월당 선생의 정신을 계승, 발전하여 국맥을 영수케 하며 전통적 정신문화를 육성을 목적으로 2000년 2월 14일 설립된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소관의 사단법인이.

새로운!!: 김시습와 매월당문학사상연구회 · 더보기 »

명주

비단천을 갈무리하는 여인들을 표현한 그림 명주(明紬) 또는 주(紬)는 누에의 고치로부터 얻은 천연 단백질 섬유인 견사(絹絲, 곧 명주실) 및 명주실로 짠 천(견(絹))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

새로운!!: 김시습와 명주 · 더보기 »

무량사 (부여군)

무량사는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만수리 만수산에 위치한 사찰로 신라 헌강왕 때 범일국사가 창건했다고도 하고, 신라 문성왕 때 창건했다고도 전. 범일국사는 847년 당나라에서 귀국한 이후 무량사를 세운 것으로 보인.

새로운!!: 김시습와 무량사 (부여군) · 더보기 »

문학

장오노레 프라고나르 작 "책 읽는 소녀" 문학(文學)은 언어를 예술적 표현의 제재로 삼아 새로운 의미를 창출하여, 인간과 사회를 진실되게 묘사하는 예술의 하위분야이.

새로운!!: 김시습와 문학 · 더보기 »

묘법연화경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소장 《묘법연화경》 2권 변상도(1340년 고려(高麗)에서 간행)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또는 《법화경》(法華經)은 대승경전의 하나로, 예로부터 모든 경전의 왕으로 생각되었으며, 초기 대승경전(大乘經典)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경전이.

새로운!!: 김시습와 묘법연화경 · 더보기 »

강릉 김씨

강릉 김씨(江陵 金氏)는 강원도 강릉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김시습와 강릉 김씨 · 더보기 »

박팽년

박팽년(朴彭年, 1417년 ~ 1456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 겸 학자로 사육신의 한 사람이.

새로운!!: 김시습와 박팽년 · 더보기 »

경기도

경기도(京畿道)는 대한민국의 북서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김시습와 경기도 · 더보기 »

법명

법명(法名)은 불교에서 불교 승려가 되는 이에게 종파에서 지어 주는 이름인데 참고로 여담이지만 불교 승려의 출가 이전 속가 이름, 즉 불교 승려의 본명을 속명(俗名)이.

새로운!!: 김시습와 법명 · 더보기 »

공주시

공주시(公州市)는 대한민국 충청남도 중앙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김시습와 공주시 · 더보기 »

계유정난

유정난(癸酉靖難)은 1453년(단종 1) 11월 10일 (음력 10월 10일) 수양대군이 김종서와 황보인과 세종의 여러 대군들을 귀양보내거나 제가하며 마지막으로 단종을 제거하고 정권을 장악한 사건을 말. 이 정변이 계유년에 일어났으므로 계유정난이.

새로운!!: 김시습와 계유정난 · 더보기 »

북한산

북한산(北漢山)은 서울특별시 강북구·도봉구·은평구·성북구·종로구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양주시·의정부시의 경계에 있는 높이 835.6m(2013년 6월 국토지리정보원 지도)의 산으로, 이름은 조선 후기시대때 한성의 북쪽이라는 뜻에서 유래되었.

새로운!!: 김시습와 북한산 · 더보기 »

불교

불교 만자. 한반도에서도 사용된다. 불교(佛敎)는 기원전 6세기경 인도의 고타마 붓다(석가모니) 에 의해 시작된 종교이.

새로운!!: 김시습와 불교 · 더보기 »

부여군

부여군(扶餘郡)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남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김시습와 부여군 · 더보기 »

기자헌

자헌(奇自獻, 1562년 ~ 1624년)은 조선시대 중기, 후기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김시습와 기자헌 · 더보기 »

금오신화

오신화(16세기 조선중기 문신 윤춘년이 필사한 필사본) 《금오신화(金鰲新話)》는 조선 전기의 시인, 작가, 이며 생육신의 한 사람인 김시습(金時習, 1435-1493)이 금오산에서 지은 것으로 추정되는 조선 최초의 한문 단편소설집이.

새로운!!: 김시습와 금오신화 · 더보기 »

금성대군

성대군 이유(錦城大君 李瑜, 1426년 5월 5일/음력 3월 28일~1457년 11월 7일/음력 10월 21일)는 조선 전기의 왕족이.

새로운!!: 김시습와 금성대군 · 더보기 »

김반

반 (金泮, ? ~ ?)은 조선 초의 학자이.

새로운!!: 김시습와 김반 · 더보기 »

김담

(金淡, 1416년 ~ 1464년 7월 10일)은 조선 전기의 문신, 유학자, 수학자, 천문학자이.

새로운!!: 김시습와 김담 · 더보기 »

김종직

종직(金宗直, 1431년 6월 ~ 1492년 8월 19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이자 사상가이며, 성리학자, 정치가, 교육자, 시인이.

새로운!!: 김시습와 김종직 · 더보기 »

김종서

종서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김시습와 김종서 · 더보기 »

김질

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김시습와 김질 · 더보기 »

김숙자 (1389년)

숙자(金叔滋, 1389년 ∼ 1456년)는 조선 전기의 문신·학자로 본관은 선산(善山), 자는 자배(子培), 호는 강호(江湖)·강호산인(江湖散人)으로 불. 선산 출신의 도학자이자 유학자이.

새로운!!: 김시습와 김숙자 (1389년) · 더보기 »

대학 (책)

《대학》(大學)은 사서오경의 하나인 유교 경전이.

새로운!!: 김시습와 대학 (책) · 더보기 »

구은사

은사(九隱祠)는 조선 단종의 복위를 도모하기 위해 은거한 구은사(九隱士, 생육신인 김시습 외 8인)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

새로운!!: 김시습와 구은사 · 더보기 »

남효온

효온의 글씨 남효온(南孝溫, 1454년~1492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고 생육신 중의 한 사람이.

새로운!!: 김시습와 남효온 · 더보기 »

남산 (경주)

산(南山)은 경상북도 경주시 인왕동, 탑동, 배동, 내남면에 걸쳐있는 산이.

새로운!!: 김시습와 남산 (경주) · 더보기 »

노량진동

량진동(鷺梁津洞)은 서울특별시 동작구에 있으며 행정동으로 노량진1동과 노량진2동으.

새로운!!: 김시습와 노량진동 · 더보기 »

승려

이의 불교 수도승 승려(僧侶)는 불교의 출가 수행자를 가리카는 말이.

새로운!!: 김시습와 승려 · 더보기 »

자 (이름)

자(字)는 한자 문화권, 특히 중국이나 한국, 일본에서 성년이 되는 관례 때 받는 이름인 관명과 함께 스스럼없이 부를 수 있도록 짓는 새로운 이름을 말. 이는 이름이 부모가 주신 것으로서 부모님이나 스승, 왕(혹은 황제)외에는 함부로 부르지 못하는 것으로 인식하던 데에 기인.

새로운!!: 김시습와 자 (이름) · 더보기 »

작가

안톤 체호프의 사진이 실린 우표 작가(作家) 혹은 지은이는 예술과 취미의 분야에서 작품을 창작하는 사람을 말. 이때 작품이 반드시 문학 작품일 필요는 없으며, 문학 작품인 경우에는 저술가라고 불리지만, 일반적으로 작가라고도 하는 경우가 많.

새로운!!: 김시습와 작가 · 더보기 »

이개

이개(李塏, 1417년 ~ 1456년)는 조선시대 전기의 학자이자 관리이며, 성삼문, 신숙주 등과 함께 훈민정음의 창제에 참여하였.

새로운!!: 김시습와 이개 · 더보기 »

이계전

이계전(李季甸, 1404년 ~ 1459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

새로운!!: 김시습와 이계전 · 더보기 »

이기 (1476년)

이기(李芑, 1476년 10월 26일 ~ 1552년 4월 28일)는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 권신이.

새로운!!: 김시습와 이기 (1476년) · 더보기 »

이득성

이득성(李得成, 1429년 - 1519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 시인, 학자이.

새로운!!: 김시습와 이득성 · 더보기 »

이이

이이(李珥, 1537년 1월 7일(1536년 음력 12월 26일) ~ 1584년 2월 27일(음력 1월 16일))는 조선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

새로운!!: 김시습와 이이 · 더보기 »

이징옥

이징옥(李澄玉, 1399년 ~ 1453년 음력 10월 20일)은 조선 시대 초기의 무신, 군인, 정치가이.

새로운!!: 김시습와 이징옥 · 더보기 »

이징옥의 난

이징옥의 난(李澄玉-亂)은 함길도 도절제사 이징옥이 수양대군 일파의 권력 장악과 자신의 파직에 대해 불만을 품고 여진족 등과 함께 일으킨 반란이.

새로운!!: 김시습와 이징옥의 난 · 더보기 »

이수형 (1435년)

이수형(李秀亨, 1435년 ~ 1528년 1월 24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시인, 학자이.

새로운!!: 김시습와 이수형 (1435년) · 더보기 »

이시애

이시애(李施愛, ? ~ 1467년 8월 12일)는 조선 초기의 무신이자, 군인, 반란자이.

새로운!!: 김시습와 이시애 · 더보기 »

이시애의 난

이시애의 난(李施愛-亂)은 1467년(세조 13년) 5월부터 8월까지 함경도 길주의 호족 이시애 등이 세조의 집권 정책에 반대해 일으킨 반란이.

새로운!!: 김시습와 이시애의 난 · 더보기 »

의상 (신라)

의상(義湘, 625년 ~ 702년)은 고대 통일신라시대 중기의 왕족 출신, 고승이.

새로운!!: 김시습와 의상 (신라) · 더보기 »

정보 (조선)

정보(鄭保, ? ~ ?)는 조선시대 초기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김시습와 정보 (조선) · 더보기 »

정인지

정인지(鄭麟趾, 1396년 12월 28일 ~ 1478년 11월 26일)는 조선 초기의 문신·성리학자이며 한글학자, 역사가, 정치인이.

새로운!!: 김시습와 정인지 · 더보기 »

정창손

정창손(鄭昌孫, 1402년 3월 11일 ~ 1487년 1월 27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언어학자, 유학자이.

새로운!!: 김시습와 정창손 · 더보기 »

조려

원주 치악산의 삼공제명암 (오른쪽 첫 번째가 원호 (관란), 가운데는 조려 (어계), 왼쪽은 이수형 (도촌)) 조려(趙旅, 1420년 ~ 1489년)는 조선 세종, 문종, 단종 때의 문신이며 생육신의 한 사람이.

새로운!!: 김시습와 조려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김시습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문종

문종(文宗, 1414년 11월 15일 (음력 10월 3일) ~ 1452년 6월 1일 (음력 5월 14일), 재위 1450년 ~ 1452년)은 조선의 제5대 임금이.

새로운!!: 김시습와 조선 문종 · 더보기 »

조선 단종

종(端宗, 1441년 8월 9일 (음력 7월 23일) ~ 1457년 11월 7일 (음력 10월 21일), 재위 1452년~1455년)은 조선의 제6대 왕이.

새로운!!: 김시습와 조선 단종 · 더보기 »

조선 숙종

숙종(肅宗, 1661년 10월 7일(음력 8월 15일) ~ 1720년 7월 12일(음력 6월 8일))은 조선의 제19대 왕이.

새로운!!: 김시습와 조선 숙종 · 더보기 »

조선 세조

세조(世祖, 1417년 11월 2일 (음력 9월 24일) ~ 1468년 9월 23일 (음력 9월 8일), 재위 1455년~1468년)는 조선의 제7대 임금, 시인이.

새로운!!: 김시습와 조선 세조 · 더보기 »

조선 세종

조선 세종(朝鮮 世宗, 1397년 5월 15일 (음력 4월 10일) ~ 1450년 3월 30일 (음력 2월 17일), 재위 1418년 ~ 1450년)은 조선의 제4대 군주이며 언어학자이.

새로운!!: 김시습와 조선 세종 · 더보기 »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은 태조(1392년)부터 철종(1863년)까지 25대에 걸친 472년간 조선 왕조의 역사적 사실을 연월일순(年月日順)에 따라 편년체로 기술한 역사서이.

새로운!!: 김시습와 조선왕조실록 · 더보기 »

중용

《중용》(中庸)은 사서오경에 속하는 경전 중 하나로 사람이 세상을 살아가는 데 있어서 지녀야 할 자세와 태도를 제시하고 있. 본래 예기의 31편이.

새로운!!: 김시습와 중용 · 더보기 »

집의

집의(執義)는 조선시대 사헌부에 있던 종3품 관직이.

새로운!!: 김시습와 집의 · 더보기 »

집현전

집현전(集賢殿)은 정이품아문으로, 고려 말 조선 초의 학문 연구 및 국왕의 자문 기관이자, 왕실 연구기관이.

새로운!!: 김시습와 집현전 · 더보기 »

충청도

조선후기 충청도 충청도(忠淸道)는 충청남도, 충청북도와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일대를 관할했던 행정구역으로 호서 지방(湖西地方)에 해당.

새로운!!: 김시습와 충청도 · 더보기 »

충청남도

충청남도(忠淸南道)는 대한민국 중서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김시습와 충청남도 · 더보기 »

유교

유교(儒敎)는 중국 춘추시대(기원전 770~403) 말기에 공자(孔子)가 체계화한 사상인 유학(儒學)의 학문을 이르는 말이.

새로운!!: 김시습와 유교 · 더보기 »

유자미

유자미(柳自湄, ? ~ 1462년)는 조선 전기의 문신이.

새로운!!: 김시습와 유자미 · 더보기 »

유응부

유응부(兪應孚, ? ~ 1456년)는 조선의 무신이.

새로운!!: 김시습와 유응부 · 더보기 »

유성원

유성원(柳誠源, ?~ 1456년)은 조선의 문신이자 사육신의 한 사람이.

새로운!!: 김시습와 유성원 · 더보기 »

윤춘년

윤춘년(尹春年, 1514년 ∼ 1567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파평(坡平).

새로운!!: 김시습와 윤춘년 · 더보기 »

윤상

윤상(1968년 5월 11일 ~)은 대한민국의 가수, 작곡가, 음악 프로듀서, 대학 교수이.

새로운!!: 김시습와 윤상 · 더보기 »

생육신

생육신(生六臣)은 세조가 단종의 왕위를 빼앗자 벼슬을 버리고 절개를 지킨 여섯 명의 신하를 말. 세조의 찬위 사건을 불의의 행위로 단정하고, 불사이군(不事二君)의 원칙에 따라 두문(杜門) 혹은 방랑으로 일생을 보. 이들은 벼슬을 버리고 단종을 추모하면서 절개를.

새로운!!: 김시습와 생육신 · 더보기 »

영풍군 (왕족)

영풍군 이전(永豊君 李瑔, 1434년 9월 17일 (음력 8월 17일) ~ 1456년 7월 22일 (음력 6월 20일))은 조선의 왕족으로 세종대왕의 서자이며 본관은 전주(全州), 단종을 기른 혜빈 양씨의 셋째 아들이.

새로운!!: 김시습와 영풍군 (왕족) · 더보기 »

영월군

영월군(寧越郡)은 대한민국 강원도 남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김시습와 영월군 · 더보기 »

호 (이름)

호(號)는 유교 문화권, 특히 중국이나 한국에서 본명이나 자 이외에 따로 지어 부르는 이름으로, 사람의 별칭이나 필명 또는 별호(別號)나 아호(雅號) 등을 가리.

새로운!!: 김시습와 호 (이름) · 더보기 »

혜빈 양씨

혜빈 양씨(惠嬪 楊氏, 생년미상 ~ 1455년 음력 11월 9일)은 조선 제4대 왕 세종의 후궁이.

새로운!!: 김시습와 혜빈 양씨 · 더보기 »

엄흥도

엄흥도 영정 엄흥도 (嚴興道, ?~?) 는 조선 전기의 문신, 충신이.

새로운!!: 김시습와 엄흥도 · 더보기 »

사육신

량진공원 의절사 사육신(死六臣)은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가 발각되어 세조에게 죽임을 당한 여섯 명의 신하를 이르는 말이.

새로운!!: 김시습와 사육신 · 더보기 »

사육신묘

사육신묘(死六臣墓)는 서울특별시 동작구 노량진동, 사육신묘지공원에 있는 조선시대의 사육신(死六臣)을 모신 곳이.

새로운!!: 김시습와 사육신묘 · 더보기 »

사육신공원

사육신 공원(死六臣公園)은 서울특별시 동작구 노량진동에 있는 사육신묘와 그 외 사육신비 등이 안장된 공원이.

새로운!!: 김시습와 사육신공원 · 더보기 »

성리학

성리학(性理學) 12세기에 남송의 주희(朱熹)가 집대성한 유교의 주류 학파이.

새로운!!: 김시습와 성리학 · 더보기 »

성달생

성달생(成達生, 1376년 ~ 1444년)은 고려·조선시대의 무신이며 자는 효백(孝白)이고 본관은 창녕이.

새로운!!: 김시습와 성달생 · 더보기 »

성담수

성담수(成聃壽, ? ~ ?)는 조선 전기의 문신, 학자, 은일사로, 세조 때 단종 폐위에 분개하여 벼슬을 사직한 생육신의 한 사람이.

새로운!!: 김시습와 성담수 · 더보기 »

성승

성승(成勝, ? ~ 1456년 6월 8일)은 조선 전기의 무신, 군인이며 단종 복위 운동의 가담자의 한사람이.

새로운!!: 김시습와 성승 · 더보기 »

성삼문

성삼문(成三問, 1418년 ~ 1456년 6월 8일)은 조선 전기의 문신·학자로서, 사육신의 한 사람이.

새로운!!: 김시습와 성삼문 · 더보기 »

세조찬위

세조찬위(世祖簒位) 또는 세조반정(世祖反正)은 조선의 첫 번째 반정으로 1455년(단종 3) 수양대군이 단종을 몰아내고 왕위를 빼앗은 일이.

새로운!!: 김시습와 세조찬위 · 더보기 »

서거정

서거정(徐居正, 1420년~1488년)은 조선 문종, 세조, 성종 때의 문신이며 학자이.

새로운!!: 김시습와 서거정 · 더보기 »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는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김시습와 서울특별시 · 더보기 »

소요산

소요산(逍遙山)은 경기도 동두천시에 있는 해발 고도 536m의 산이.

새로운!!: 김시습와 소요산 · 더보기 »

소설

에밀리 브론테의 폭풍의 언덕 초판 표지 소설(小說)은 사건을 미적으로 질서화하여 통일적인 의미가 구현될 수 있도록 산문으로 서술한 서사 문예이.

새로운!!: 김시습와 소설 · 더보기 »

한명회

명회(韓明澮, 1415년 11월 26일 (음력 10월 25일) ~ 1487년 11월 28일 (음력 11월 14일))는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군인, 정치인이며 외척이.

새로운!!: 김시습와 한명회 · 더보기 »

한성부

경복궁 앞 근정문 근정전 어좌의 모습 한성(漢城)은 조선의 도읍지(수도)였.

새로운!!: 김시습와 한성부 · 더보기 »

한시

시(漢詩)는 한자(漢字)로 쓰인 근대 이전에 만들어진 시를 일컫는 말로서, 주로 중국과 그 주변 한자 문화권인 한국, 일본, 베트남에서 만들어졌.

새로운!!: 김시습와 한시 · 더보기 »

안평대군

안평대군 이용(安平大君 李瑢, 1418년 10월 18일(음력 9월 19일) ~ 1453년 11월 18일(음력 10월 18일))은 조선 전기의 왕족이자 서예가, 서화가, 시인, 작가이.

새로운!!: 김시습와 안평대군 · 더보기 »

하위지

위지(河緯地, 1412년 ~ 1456년)는 조선 전기의 문신, 정치인, 학자이며 조선 단종 때 사육신의 한 사람이.

새로운!!: 김시습와 하위지 · 더보기 »

하원 (조선)

원(河源, 1451년~1518년)은 조선시대의 무신이.

새로운!!: 김시습와 하원 (조선) · 더보기 »

학문

학문(學問, Academia)은 배우고 익히는 것이.

새로운!!: 김시습와 학문 · 더보기 »

신숙주

신숙주(申叔舟, 1417년 8월 2일 (음력 6월 20일) ~ 1475년 7월 23일 (음력 6월 21일))는 조선 전기의 성리학자·문신·정치가이며 언어학자, 외교관이.

새로운!!: 김시습와 신숙주 · 더보기 »

시 (문학)

시(詩, poetry)란 마음 속에 떠오르는 느낌을 운율이 있는 언어로 압축하여 표현한 글이.

새로운!!: 김시습와 시 (문학) · 더보기 »

시조

시조(時調)는 고려 중엽에 발생한 한국 전통 시 양식의 하나이며, 조선 시대에 유행한 시가 양식이.

새로운!!: 김시습와 시조 · 더보기 »

원호

원호에는 다음 뜻이 있.

새로운!!: 김시습와 원호 · 더보기 »

홍유손

홍유손(1431년 ~ 1529년, 향년 99세)은 조선의 문신 및 시인이.

새로운!!: 김시습와 홍유손 · 더보기 »

황보인

황보 인(皇甫仁, 1387년 ~ 1453년)은 조선 전기의 문관 겸 정치가이며, 단종의 충신 3 상신(相臣) 중 한명이.

새로운!!: 김시습와 황보인 · 더보기 »

화엄일승법계도

《화엄일승법계도(華嚴一勝法界圖)》 또는 《법성게(法性偈)》는 신라의 고승인 의상이 깨달음의 경계와 법(法)에 대하여 표현한 7언 30구의 게송으로, 화엄일승의 교리를 도해한 것이.

새로운!!: 김시습와 화엄일승법계도 · 더보기 »

143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김시습와 1435년 · 더보기 »

143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김시습와 1437년 · 더보기 »

144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김시습와 1447년 · 더보기 »

146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김시습와 1466년 · 더보기 »

146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김시습와 1468년 · 더보기 »

147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김시습와 1476년 · 더보기 »

149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김시습와 1493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동봉 김시습, 매월당, 매월당 김시습, 벽산청은 김시습, 열경 김시습, 설잠.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